KR101662504B1 - 정밀사출 콘택트렌즈 생산을 위한 몰드분리장치 - Google Patents

정밀사출 콘택트렌즈 생산을 위한 몰드분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2504B1
KR101662504B1 KR1020150047375A KR20150047375A KR101662504B1 KR 101662504 B1 KR101662504 B1 KR 101662504B1 KR 1020150047375 A KR1020150047375 A KR 1020150047375A KR 20150047375 A KR20150047375 A KR 20150047375A KR 101662504 B1 KR101662504 B1 KR 1016625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male mold
contact lens
male
le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73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화성
Original Assignee
(주)프라임칼라비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프라임칼라비젼 filed Critical (주)프라임칼라비젼
Priority to KR10201500473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25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25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25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009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 B29D11/00038Production of contact lenses
    • B29D11/00125Auxiliary operations, e.g. removing oxygen from the mould, conveying moulds from a storage to the production line in an inert atmosphere
    • B29D11/00192Demoulding, e.g. separating lenses from mould halves
    • B29D11/00221Demoulding, e.g. separating lenses from mould halves using pry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009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 B29D11/00038Production of contact lenses
    • B29D11/00125Auxiliary operations, e.g. removing oxygen from the mould, conveying moulds from a storage to the production line in an inert atmosphe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009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 B29D11/00038Production of contact lenses
    • B29D11/00125Auxiliary operations, e.g. removing oxygen from the mould, conveying moulds from a storage to the production line in an inert atmosphere
    • B29D11/00173Conveying mou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009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 B29D11/00038Production of contact lenses
    • B29D11/00125Auxiliary operations, e.g. removing oxygen from the mould, conveying moulds from a storage to the production line in an inert atmosphere
    • B29D11/00192Demoulding, e.g. separating lenses from mould h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yeglasses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몰드 분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암몰드 및 숫몰드 사이에 나이프를 삽입하여 암몰드와 숫몰드 사이를 이격시켜 암몰드의 분리가 용이하도록 하고, 숫몰드의 양측면에서 숫몰드를 압착시켜 숫몰드와 콘택트렌즈 사이의 결합력을 낮추어 콘택트렌즈를 추출함으로써, 불량제품 발생률을 감소시키고 분리작업 속도를 향상시켜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정밀사출 콘택트렌즈 생산을 위한 몰드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이 제안하는 정밀사출 콘택트렌즈 생산을 위한 몰드분리장치는 완전몰드를 수용하여 완전몰드가 직립된 상태로 정렬되도록 하는 볼피더(Bowl feeder)와, 상기 볼피더(Bowl feeder)에서 정렬된 완전몰드를 이송시키는 컨베이어로 구성되는 정렬공급부;와 상기 정렬공급부에서 이동된 완전몰드에서 암몰드와 숫몰드 사이를 이격시키는 이격수단과, 상기 숫몰드와 이격된 암몰드를 분리하는 몰드흡입기로 구성되는 암몰드분리부;와 상기 암몰드분리부에서 암몰드를 분리한 숫몰드의 양측면을 압착하는 압착수단과, 상기 압착된 숫몰드 상단에 위치한 콘택트렌즈를 추출하는 렌즈흡입기로 구성되는 렌즈추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정밀사출 콘택트렌즈 생산을 위한 몰드분리장치{A contact-lens Mold separate device}
본 발명은 몰드 분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암몰드 및 숫몰드 사이에 나이프를 삽입하여 암몰드와 숫몰드 사이를 이격시켜 암몰드의 분리가 용이하도록 하고, 숫몰드의 양측면에서 숫몰드를 압착시켜 숫몰드와 콘택트렌즈 사이의 결합력을 낮추어 콘택트렌즈를 추출함으로써, 불량제품 발생률을 감소시키고 분리작업 속도를 향상시켜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정밀사출 콘택트렌즈 생산을 위한 몰드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람은 아침에 일어나 잠들 때까지 계속 눈을 사용하고 있으며 더욱이 현대에 들어서는 텔레비전 시청, 컴퓨터모니터 시청, 스마트폰 사용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눈의 피로도 증가하여 시력이 나빠지는 사람은 증가하고 있으며 그로 인해 의료보조 기구로 안경과 콘택트렌즈의 수요도 증가하였다.
콘택트렌즈는 안경과는 달리 눈의 각막 표면에 직접 접촉되도록 끼워서 착용하여 각막표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빛을 굴절시켜 시력을 교정시키는 작용을 한다. 콘택트렌즈는 착용시 안경과 같이 외부로 돌출되지 않아 착용자의 활동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콘택트렌즈에 칼라 및 디자인을 구현하여 다양하게 눈의 색상을 연출 할 수 있는 미용 콘택트렌즈로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콘택트렌즈는 구성 재질에 따라 단단한 하드 콘택트렌즈와 유연한 소프트 콘택트렌즈로 구분하게 된다. 하드 콘택트렌즈는 시력교정이 우수하며 산소투과성이 매우 높고 수명이 길며 세척이 쉬우며 눈에 삽입, 제거도 쉬운 장점이 있으며 소프트 콘택트렌즈의 경우 렌즈가 파손되거나 찢어지기 쉽지만 적응기간이 짧고 착용감이 좋으며 각막손상의 발생빈도 또한 낮다. 특히 소프트 콘택트렌즈의 크기와 유연성 때문에 각막과 밀착되어 있어 먼지 등과 같은 이물질들이 렌즈와 각막 사이로 잘 들어가지 않아 편안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콘택트렌즈를 성형하기 위하여 암몰드에 콘택트렌즈의 원료가 되는 단량체를 주입한 후 숫몰드를 암몰드와 결합시켜 일정시간이 지나면 단량체가 경화되면 숫몰드와 암몰드를 분리하는 작업에 들어가게 된다. 분리하는 작업을 수작업으로 할 경우 작업시간이 오래 걸리고 분리과정에서 콘택트렌즈가 손상되는 단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의 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72063호(2006년04월11일)에는 콘택트렌즈 몰드를 몰드 베이스로부터 분리시키는 콘택트렌즈 몰드 분리장치에 있어서, 상판 하부에 프레임을 연결하여 형성되는 몸체, 상기 몸체 상판에 형성되는 프레스 실린더, 상기 몸체 프레임의 측면에 형성되는 가이드 실린더, 콘택트렌즈 몰드 상부에 형성된 단턱에 맞물리도록 다수개의 홈을 구비하며, 일측은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가이드 실린더에 의해 이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한 쌍의 몰드 가이드, 및 상기 프레스 실린더의 작동에 의하여 몰드 베이스에 압력을 가함으로서 콘택트렌즈 몰드와 분리시키는 다수개의 파이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렌즈 몰드 분리장치가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콘택트렌즈 몰드 분리장치는 파이프들이 몰드베이스의 중심에 압력을 가하여 동시에 여러개의 콘택트렌즈 몰드와 분리하는 것으로서 몰드베이스의 중앙에 압력을 가해 중앙에서부터 가장자리로 몰드베이스가 분리되어 콘택트렌즈가 찢겨지는 손상위험이 있으며 분리된 몰드베이스는 수납함으로 수거하지만 몰드가이드가 고정하고 있는 콘택트렌즈 몰드는 직접 콘택트렌즈가 손상되지 않도록 수작업으로 수거해야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 다른 종래의 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60072호(2011년08월22일)에는 콘택트렌즈 몰드 자동분리 수납장치에 있어서, 콘택트렌즈 성형용 몰드조립체 중 정상 조립된 몰드조립체를 분류하여 배출하는 몰드조립체 분류유닛과, 상기 몰드조립체 분류유닛에서 배출된 상기 몰드조립체에서 상형몰드와 하형몰드를 분리하는 몰드분리유닛과, 상기 몰드분리유닛에서 분리된 몰드 중 상형몰드에서, 성형된 콘택트렌즈를 취출하는 콘택트렌즈 취출유닛과, 상기 콘택트렌즈 취출유닛에서 취출된 콘택트렌즈를 렌즈보관 어레이에 수납하는 렌즈수납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몰드조립체 분류유닛은 원판 형상의 회전형 지지부와, 상기 회전형 지지부와 함께 회전하는 몰드조립체 중 정상 조립된 몰드 조립체를 분류하기 위해 상기 회전형 지지부의 상부에 마련된 복수의 분류용 바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렌즈 몰드 자동분리 수납장치가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콘택트렌즈 몰드 자동분리 수납장치는 회전부에 수납부를 형성하여 수납부에 수납된 몰드조립체의 하형몰드에 압력을 가하여 상형몰드를 아래쪽으로 분리하는 것으로서 일정하게 적정한 압력을 하형몰드 상부에 가하지만 각각의 상형몰드와 하형몰드는 동일하게 결합되어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압력을 가하였을 때 상형몰드가 분리되지 않으면 하형몰드 수거부로 콘택트렌즈가 유입될 수 있어 분리작업이 효율적이지 못할 뿐만 아니라 작업장 내에 미세한 바람이 형성될 때에는 분리된 상형몰드가 하강하여 상형몰드 수납부에 안착하기 어려우며 그로 인해 콘택트렌즈가 손상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정렬공급부에서 완전몰드를 직립정렬하여 이송시키고, 암몰드분리부에서 암몰드와 숫몰드 사이를 이격시킨 뒤 몰드흡입기를 승강시켜 암몰드를 분리하고, 렌즈추출부의 압착수단으로 숫몰드를 양측면에서 압축하여 숫몰드와 콘텍트렌즈 사이의 결합력을 낮춘 뒤 렌즈흡입기를 승강시켜 콘택트렌즈를 추출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콘택트렌즈를 안전하고 신속하게 추출할 수 있도록 하는 정밀사출 콘택트렌즈 생산을 위한 몰드분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 렌즈추출부는 콘택트렌즈가 용이하게 추출될 수 있도록 공기를 분사하는 공기분사수단을 더 구비하고, 렌즈를 추출하는 렌즈흡입기에는 보호패드를 구비하여 콘택트렌즈의 손상을 방지하여 불량제품 발생률을 감소시키도록 하는 정밀사출 콘택트렌즈 생산을 위한 몰드분리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제안하는 정밀사출 콘택트렌즈 생산을 위한 몰드분리장치는 완전몰드를 수용하여 완전몰드가 직립된 상태로 정렬되도록 하는 볼피더(Bowl feeder)와, 상기 볼피더(Bowl feeder)에서 정렬된 완전몰드를 이송시키는 컨베이어로 구성되는 정렬공급부;와 상기 정렬공급부에서 이동된 완전몰드에서 암몰드와 숫몰드 사이를 이격시키는 이격수단과, 상기 숫몰드와 이격된 암몰드를 분리하는 몰드흡입기로 구성되는 암몰드분리부;와 상기 암몰드분리부에서 암몰드를 분리한 숫몰드의 양측면을 압착하는 압착수단과, 상기 압착된 숫몰드 상단에 위치한 콘택트렌즈를 추출하는 렌즈흡입기로 구성되는 렌즈추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정렬공급부의 볼피더는 완전몰드가 이송되며 미세진동에 의해 직립정렬되는 가이드라인과, 상기 가이드라인을 따라 이송되되 직립되지 않은 완전몰드를 반송하는 반송로와, 상기 가이드라인을 따라 이송되며 직립정렬된 완전몰드를 배출하는 배출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정렬공급부의 컨베이어는 이송되는 완전몰드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양측면에는 이탈방지판이 구비된다.
상기 암몰드분리부의 이격수단은 암몰드와 숫몰드 사이를 이격시키는 나이프와, 상기 나이프와 연결형성되어 나이프를 전ㆍ후 왕복이동시키는 실린더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렌즈추출부의 압착수단은 숫몰드를 수용하여 압착시키는 수용홈과, 숫몰드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밀사출 콘택트렌즈 생산을 위한 몰드분리장치.
상기 렌즈추출부의 렌즈흡입기는 콘택트렌즈와 맞닿아 콘택트렌즈가 손상되지 않도록 콘택트렌즈를 보호하는 보호패드를 구비한다.
상기 렌즈추출부는 콘택트렌즈의 추출이 용이하도록 공기를 분사하는 공기분사수단을 더 구비한다.
상기 몰드분리장치의 구동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암몰드분리부에서 암몰드를 분리한 숫몰드를 렌즈추출부로 이송시키되, 숫몰드의 양측면을 압착하여 콘택트렌즈와 숫몰드 사이의 결합력을 낮추는 압착이송부가 더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압착이송부는 가이드돌기가 형성되어 숫몰드의 압착을 보조하는 곡선형 가이드수단과 상기 가이드 수단과 사이에 숫몰드를 이동시킬 수 있는 거리로 이격형성되고, 압착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압착돌기를 형성한 회전원판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정밀사출 콘택트렌즈 생산을 위한 몰드분리장치에 의하면, 암몰드 및 숫몰드 사이에 나이프를 삽입하여 암몰드와 숫몰드 사이를 이격시켜 암몰드의 분리가 용이하도록 하고, 숫몰드의 양측면에서 숫몰드를 압착시켜 숫몰드와 콘택트렌즈 사이의 결합력을 낮추어 콘택트렌즈를 추출함으로써, 콘택트렌즈를 안전하고 신속하게 생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렌즈흡입기는 콘택트렌즈와 맞닿아 콘택트렌즈가 손상되지 않도록 보호패드를 구비하고, 콘택트렌즈 추출시 공기분사수단으로 공기를 분사하여 콘택트렌즈와 숫몰드사이의 결합력을 낮추어 콘택트렌즈의 추출이 용이하도록 하여 콘택트렌즈의 손상을 방지함으로써 불량제품 발생률을 감소시키며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정렬공급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암몰드분리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렌즈추출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압착이송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압착이송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확대도.
본 발명은 완전몰드를 수용하여 완전몰드가 직립된 상태로 정렬되도록 하는 볼피더(Bowl feeder)와, 상기 볼피더(Bowl feeder)에서 정렬된 완전몰드를 이송시키는 컨베이어로 구성되는 정렬공급부;와 상기 정렬공급부에서 이동된 완전몰드에서 암몰드와 숫몰드 사이를 이격시키는 이격수단과, 상기 숫몰드와 이격된 암몰드를 분리하는 몰드흡입기로 구성되는 암몰드분리부;와 상기 암몰드분리부에서 암몰드를 분리한 숫몰드의 양측면을 압착하는 압착수단과, 상기 압착된 숫몰드 상단에 위치한 콘택트렌즈를 추출하는 렌즈흡입기로 구성되는 렌즈추출부;를 포함하는 정밀사출 콘택트렌즈 생산을 위한 몰드분리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정렬공급부의 볼피더는 완전몰드가 이송되며 미세진동에 의해 직립정렬되는 가이드라인과, 상기 가이드라인을 따라 이송되되 직립되지 않은 완전몰드를 반송하는 반송로와, 상기 가이드라인을 따라 이송되며 직립정렬된 완전몰드를 배출하는 배출구를 포함하는 정밀사출 콘택트렌즈 생산을 위한 몰드분리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정렬공급부의 컨베이어는 이송되는 완전몰드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양측면에는 이탈방지판이 구비되는 것을 포함하는 정밀사출 콘택트렌즈 생산을 위한 몰드분리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암몰드분리부의 이격수단은 암몰드와 숫몰드 사이를 이격시키는 나이프와, 상기 나이프와 연결형성되어 나이프를 전ㆍ후 왕복이동시키는 실린더를 포함하는 정밀사출 콘택트렌즈 생산을 위한 몰드분리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렌즈추출부의 압착수단은 숫몰드를 수용하여 압착시키는 수용홈과, 숫몰드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부를 포함하는 정밀사출 콘택트렌즈 생산을 위한 몰드분리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렌즈추출부의 렌즈흡입기는 콘택트렌즈와 맞닿아 콘택트렌즈가 손상되지 않도록 콘택트렌즈를 보호하는 보호패드를 구비하는 것을 포함하는 정밀사출 콘택트렌즈 생산을 위한 몰드분리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렌즈추출부는 콘택트렌즈의 추출이 용이하도록 공기를 분사하는 공기분사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포함하는 정밀사출 콘택트렌즈 생산을 위한 몰드분리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몰드분리장치의 구동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정밀사출 콘택트렌즈 생산을 위한 몰드분리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암몰드분리부에서 암몰드를 분리한 숫몰드를 렌즈추출부로 이송시키되, 숫몰드의 양측면을 압착하여 콘택트렌즈와 숫몰드 사이의 결합력을 낮추는 압착이송부가 더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정밀사출 콘택트렌즈 생산을 위한 몰드분리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압착이송부는 가이드돌기가 형성되어 숫몰드의 압착을 보조하는 곡선형 가이드수단과 상기 가이드 수단과 사이에 숫몰드를 이동시킬 수 있는 거리로 이격형성되고, 압착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압착돌기를 형성한 회전원판으로 구성되는 것을 정밀사출 콘택트렌즈 생산을 위한 몰드분리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정밀사출 콘택트렌즈 생산을 위한 몰드분리장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정밀사출 콘택트렌즈 생산을 위한 몰드분리장치의 일실시예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렬공급부(100), 암몰드분리부(200) 및 렌즈추출부(30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정렬공급부(100)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완전몰드(1)가 직립된 상태로 정렬되어 이동할 수 있도록 볼피더(110) 및 컨베이어(130)로 구성된다.
상기 볼피더(110)는 완전몰드(1)를 수용하여 완전몰드(1)가 직립된 상태로 정렬될 수 있도록 가이드라인(112), 반송로(114) 및 배출구(11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볼피더(110)는 미세한 진동을 가하여 수용되어 있던 완전몰드(1)가 가이드라인(112)을 따라 이동직립 되도록 하며, 직립되지 못한 완전몰드(1)는 반송로(114)에서 반송된다. 반송로(114)에서 반송된 완전몰드(1)는 다시 가이드라인(112)을 따라 이동하며 직립 되도록 한다. 가이드라인(112)을 따라 이동하며 직립된 완전몰드(1)는 배출구(116)로 배출된다.
상기 컨베이어(130)는 볼피더(110)에서 직립된 상태로 정렬되어 배출구(116)에서 배출되는 완전몰드(1)를 이동시킨다. 컨베이어(130)는 이동하는 완전몰드(1)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양측면에는 이탈방지판(132)이 구비된다.
상기 이탈방지판(132)은 완전몰드(1)의 높이에 대응하는 높이로 형성하여 이동충격에도 컨베이어(130)에서 완전몰드(1)가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암몰드분리부(200)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렬공급부(100)에서 정렬되어 이동된 완전몰드(1)에서 암몰드(2)를 분리할 수 있도록 이격수단(210) 및 몰드흡입기(230)로 구성된다.
상기 이격수단(210)은 정렬공급부(100)에서 이동된 완전몰드(1)에서 결합된 암몰드(2)와 숫몰드(3) 사이를 이격시킬 수 있도록 나이프(212) 및 실린더(21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나이프(212)는 얇은 판의 형태로 결합된 암몰드(2)와 숫몰드(3) 사이에 삽입되어 암몰드(2)와 숫몰드(3)가 상호 이격될 수 있도록 한다. 나이프(212)는 결합된 암몰드(2)와 숫몰드(3) 사이에 삽입될 수 있도록 완전몰드(1)의 양측면에 위치하여 균일한 압력을 가하여 암몰드(2)와 숫몰드(3) 사이를 이격시킨다.
상기 실린더(214)는 나이프(212)와 연결형성되어 나이프(212)를 전ㆍ후왕복이동시킨다. 실린더(214)는 나이프(212)를 전ㆍ후왕복이동시켜 나이프(212)가 암몰드(2)와 숫몰드(3) 사이에 삽입되거나 인출되도록 하여 암몰드(2)를 분리할 수 있도록 보조한다.
상기 몰드흡입기(230)는 암몰드(2) 상단에 위치하고, 승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암몰드(2)를 분리할 수 있도록 한다. 몰드흡입기(230)는 나이프(212)가 암몰드(2)와 숫몰드(3) 사이를 이격시키면 하강하여 암몰드(2)를 흡입력으로 상승시켜 암몰드(2)를 분리한다. 몰드흡입기(230)는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분리된 암몰드(2)를 수거공간으로 이동시켜 임시저장하도록 한다.
상기 렌즈추출부(300)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암몰드분리부(200)에서 암몰드(2)를 분리한 숫몰드(3)의 상단에 위치한 콘택트렌즈(L)를 추출할 수 있도록 압착수단(310) 및 렌즈흡입기(330)로 구성된다.
상기 압착수단(310)은 숫몰드(3)의 양측면을 압착할 수 있도록 수용홈(312) 및 간격부(314)로 이루어져 있다. 압착수단(310)은 동시에 복수개의 숫몰드(3)를 압착시킬 수 있도록 복수개의 수용홈(312) 및 복수개의 간격부(314)를 갖고 있다. 압착수단(310)은 동시에 복수개의 숫몰드(3)를 균일한 압력으로 압착시킬 수 있도록 수용홈(312)을 4~6개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용홈(312)은 숫몰드(3)의 측면을 수용하여 숫몰드(3)를 고정하여 압착시킬 수 있도록 숫몰드(3)의 직경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간격부(314)는 복수개의 숫몰드(3) 사이에 간격이 형성되어 균일한 압력을 가할 수 있도록 압착수단(310)에서 돌출된 형태로 구성된다.
상기 렌즈흡입기(330)는 숫몰드(3) 상단에 위치하고, 승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콘택트렌즈(L)를 추출할 수 있도록 한다. 렌즈흡입기(330)는 압착수단(310)으로 숫몰드(3)가 압착되면 숫몰드(3)와 결합이 헐거워진 콘택트렌즈(L)를 흡입력으로 추출한다. 렌즈흡입기(330)는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추출된 콘택트렌즈(L)를 트레이에 안착시켜 정렬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렌즈흡입기(330)는 압착수단(310)에서 동시에 압착시키는 숫몰드(3)의 개수에 대응하는 개수로 렌즈흡입기(330)를 구비하여 복수개 콘택트렌즈(L) 추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렌즈흡입기(330)는 콘택트렌즈(L)가 렌즈흡입기(330)와 직접 맞닿아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콘택트렌즈(L)와 맞닿는 면에 보호패드(334)가 구비된다. 보호패드(334)는 콘택트렌즈(L)를 보호할 수 있도록 매우 부드러운 실리콘 등을 사용하여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렌즈추출부(300)는 콘택트렌즈(L)를 용이하게 추출할 수 있도록 공기를 분사하는 공기분사수단(35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공기분사수단(350)은 숫몰드(3)와 콘택트렌즈(L) 방향으로 공기를 분사하여 콘택트렌즈(L)와 숫몰드(3) 사이의 결합력을 떨어트려 콘택트렌즈(L)의 추출이 용이하도록 보조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정밀사출 콘택트렌즈 생산을 위한 몰드분리장치는 제어부(40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어부(400)는 몰드분리장치의 구동 여부에 따른 제어신호를 몰드분리장치에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몰드분리장치를 제어한다. 제어부(400)는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나의 제어부(400)로 전체 몰드분리장치를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고, 도면에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정렬공급부(100), 암몰드분리부(200) 및 렌즈추출부(300)에 각각 제어부(400)를 설치하여 각각 제어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정밀사출 콘택트렌즈 생산을 위한 몰드분리장치는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압착이송부(50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압착이송부(500)는 암몰드분리부(200)에서 암몰드(2)를 분리한 숫몰드(3)를 렌즈추출부(300)로 이송시킨다. 압착이송부(500)는 숫몰드(3)의 양측면을 회전압착시켜 숫몰드(3)의 상단에 안착된 콘택트렌즈(L)와의 결합력을 낮추어 분리되도록 한다.
상기 압착이송부(500)는 숫몰드(3)의 압착을 보조할 수 있도록 가이드수단(510)이 형성되고 가이드수단(510)과 사이에 숫몰드(3)를 이동시킬 수 있는 거리로 형성되는 회전원판(530)으로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수단(510)은 숫몰드(3)를 이동시키며 압착을 보조할 수 있도록 곡선형으로 형성되며, 가이드돌기(512)가 복수개 형성된다.
상기 회전원판(530)은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도록 하여 회전력에 의해 숫몰드(3)를 회전이송시키고, 숫몰드(3)를 회전압착할 수 있도록 압착돌기(532)가 복수개 형성된다.
상기 압착이송부(500)는 암몰드분리부(200)에서 암몰드(2)를 분리한 숫몰드(3)를 유입하여 회전원판(530)을 회전시켜 가이드수단(510)을 따라 이동하여 렌즈추출부(300)로 이송시키되, 가이드수단(510) 및 회전원판(530)에 형성된 가이드돌기(512) 및 압착돌기(532)가 숫몰드(3)를 양측면에서 회전압착시켜 숫몰드(3) 상단에 안착된 콘택트렌즈(L)와의 결합력을 낮추어 콘택트렌즈(L)가 분리되도록 한다. 압착이송부(500)에서 숫몰드(3)와 분리된 콘택트렌즈(L)는 렌즈추출부(300)로 이송되어 렌즈추출부(300)에서 추출된다.
상기 압착이송부(500)에서 숫몰드(3)와 콘택트렌즈(L) 사이의 결합력을 낮추면 렌즈추출부(300)에서 콘택트렌즈(L)를 손상시키지 않고 용이하게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정밀사출 콘택트렌즈 생산을 위한 몰드분리장치의 실시예는 먼저, 정렬되지 않은 완전몰드(1)를 정렬공급부(100)에 수용한다.
상기 정렬공급부(100)는 미세진동을 가하여 완전몰드(1)가 가이드라인(112)을 따라 이동하도록 한다. 가이드라인(112)을 따라 이동하는 완전몰드(1)는 미세진동에 의해 직립되고, 직립되지 않은 완전몰드(1)는 반송로(114)에서 반송된다. 가이드라인(112)을 따라 이동하며 직립된 완전몰드(1)는 배출구(116)에서 배출된다. 배출구(116)에서 배출된 완전몰드(1)는 컨베이어(130)를 따라 이동한다.
상기 암몰드분리부(200)는 컨베이어(130)를 따라 이동되는 완전몰드(1)에서 암몰드(2)를 분리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실린더(214)가 구동되어 완전몰드(1) 방향으로 나이프(212)를 이동시켜 암몰드(2)와 숫몰드(3) 사이에 나이프(212)가 삽입되도록 하여 암몰드(2)와 숫몰드(3) 사이를 이격시킨다. 나이프(212)가 암몰드(2)와 숫몰드(3) 사이를 이격시킬 때 상단에 위치한 몰드흡입기(230)가 승강하여 흡입력으로 암몰드(2)를 분리시킨다. 숫몰드(3)가 몰드흡입기(230)의 흡입력에 이탈 또는 변위 되지않도록 나이프(212)의 위치를 고정시켜 숫몰드(3)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한다. 암몰드(2)를 분리시킨 숫몰드(3)는 컨베이어 등을 따라 이동한다.
상기 렌즈추출부(300)는 암몰드(2)를 분리한 숫몰드(3)의 상단에 위치한 콘택트렌즈(L)를 추출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압착수단(310)의 수용홈(312)에 숫몰드(3)를 수용시킨 뒤 숫몰드(3) 측면에 압력을 가하여 숫몰드(3)를 압착시킨다. 숫몰드(3)를 압착시키면 상단에 위치한 콘택트렌즈(L)와의 결합력이 약해진다. 이때, 렌즈흡입기(330)가 승강하여 흡입력으로 콘택트렌즈(L)를 추출한다. 압착수단(310)은 숫몰드(3)에 압력을 계속 가하여 렌즈흡입기(330)의 흡입력에 의해 숫몰드(3)가 이탈 또는 변위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렌즈추출부(300)는 콘택트렌즈(L) 추출시 공기분사수단(350)을 이용하여 콘택트렌즈(L)와 숫몰드(3) 방향으로 공기를 분사하도록 하여 콘택트렌즈(L)의 추출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에 따른 정밀사출 콘택트렌즈 생산을 위한 몰드분리장치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 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완전몰드 2 : 암몰드 3 : 숫몰드
100 : 정렬공급부 110 : 볼피더 112 : 가이드라인
114 : 반송로 116 : 배출구 130 : 컨베이어
132 : 이탈방지판 200 : 암몰드분리부 210 : 이격수단
212 : 나이프 214 : 실린더 230 : 몰드흡입기
300 : 렌즈추출부 310 : 압착수단 312 : 수용홈
314 : 간격부 330 : 렌즈흡입기 334 : 보호패드
350 : 공기분사수단 400 : 제어부 500 : 압착이송부
510 : 가이드수단 512 : 가이드돌기 530 : 회전원판
532 : 압착돌기 L : 콘택트렌즈

Claims (10)

  1. 완전몰드를 수용하여 완전몰드가 직립된 상태로 정렬되도록 하는 볼피더(Bowl feeder)와, 상기 볼피더(Bowl feeder)에서 정렬된 완전몰드를 이송시키는 컨베이어로 구성되는 정렬공급부;와
    상기 정렬공급부에서 이동된 완전몰드에서 암몰드와 숫몰드 사이를 이격시키는 이격수단과, 상기 숫몰드와 이격된 암몰드를 분리하는 몰드흡입기로 구성되는 암몰드분리부;와
    상기 암몰드분리부에서 암몰드를 분리한 숫몰드의 양측면을 압착하는 압착수단과, 상기 압착된 숫몰드 상단에 위치한 콘택트렌즈를 추출하는 렌즈흡입기로 구성되는 렌즈추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정렬공급부의 볼피더는 완전몰드가 이송되며 미세진동에 의해 직립정렬되는 가이드라인과, 상기 가이드라인을 따라 이송되되 직립되지 않은 완전몰드를 반송하는 반송로와, 상기 가이드라인을 따라 이송되며 직립정렬된 완전몰드를 배출하는 배출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정렬공급부의 컨베이어는 이송되는 완전몰드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양측면에는 이탈방지판이 구비되며,
    상기 암몰드분리부의 이격수단은 암몰드와 숫몰드 사이를 이격시키는 나이프와, 상기 나이프와 연결형성되어 나이프를 전ㆍ후 왕복이동시키는 실린더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암몰드분리부에서 암몰드를 분리한 숫몰드의 양측면을 회전압착하여 콘택트렌즈와 숫몰드 사이의 결합력을 낮추어 콘택트렌즈를 분리하는 압착이송부를 구비하되, 상기 압착이송부는 가이드돌기가 형성되어 숫몰드의 회전압착을 보조하는 곡선형 가이드수단과 상기 가이드 수단과 사이에 숫몰드를 회전이동시킬 수 있는 거리로 이격형성되고, 회전압착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압착돌기를 형성한 회전원판으로 구성되며,
    상기 렌즈추출부의 압착수단은 숫몰드를 수용하여 압착시키는 수용홈과, 숫몰드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밀사출 콘택트렌즈 생산을 위한 몰드분리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렌즈추출부의 렌즈흡입기는 콘택트렌즈와 맞닿아 콘택트렌즈가 손상되지 않도록 콘택트렌즈를 보호하는 보호패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밀사출 콘택트렌즈 생산을 위한 몰드분리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렌즈추출부는 콘택트렌즈의 추출이 용이하도록 공기를 분사하는 공기분사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밀사출 콘택트렌즈 생산을 위한 몰드분리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몰드분리장치의 구동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밀사출 콘택트렌즈 생산을 위한 몰드분리장치.
  9. 삭제
  10. 삭제
KR1020150047375A 2015-04-03 2015-04-03 정밀사출 콘택트렌즈 생산을 위한 몰드분리장치 KR1016625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7375A KR101662504B1 (ko) 2015-04-03 2015-04-03 정밀사출 콘택트렌즈 생산을 위한 몰드분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7375A KR101662504B1 (ko) 2015-04-03 2015-04-03 정밀사출 콘택트렌즈 생산을 위한 몰드분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2504B1 true KR101662504B1 (ko) 2016-10-05

Family

ID=571539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7375A KR101662504B1 (ko) 2015-04-03 2015-04-03 정밀사출 콘택트렌즈 생산을 위한 몰드분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2504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9131B1 (ko) 2017-05-18 2018-05-16 주식회사 인터로조 콘택트렌즈 제조용 몰드 분리장치
KR101859133B1 (ko) 2017-05-18 2018-05-16 주식회사 인터로조 콘택트렌즈 제조용 몰드 히터장치
KR101903587B1 (ko) * 2017-07-20 2018-11-14 (주)지오메디칼 완전몰드식 콘택트렌즈 정밀 분리장치
KR20200027377A (ko) 2018-09-04 2020-03-12 박근창 콘텍트렌즈 분리장치 및 분리방법
KR102152571B1 (ko) * 2019-07-24 2020-09-04 박근창 콘택트 렌즈 제조용 몰드 분리장치
KR20220100175A (ko) * 2021-01-08 2022-07-15 주식회사 보콜 비접촉식 자동 콘택트 렌즈 분리 장치
KR20220167591A (ko) * 2021-06-14 2022-12-21 류병현 콘택트 렌즈 성형용 몰드 정렬 테이블, 및 이를 이용한 하몰드 분리방법과, 콘택트 렌즈의 습식 취출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5096A (ko) * 2006-06-01 2009-02-11 쿠퍼 비젼 인터내셔날 홀딩 캄파니 엘피 가스를 사용하는 안과용 렌즈의 렌즈분리
KR101067641B1 (ko) * 2011-01-31 2011-09-27 주식회사 서울금속 부품 선별 시스템
KR20130015919A (ko) * 2011-08-05 2013-02-14 (주)지오메디칼 콘택트렌즈 몰드 분리장치
KR101463779B1 (ko) * 2013-05-15 2014-11-21 (주)지오메디칼 정밀사출 콘택트렌즈 생산을 위한 완전몰드 신속분리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5096A (ko) * 2006-06-01 2009-02-11 쿠퍼 비젼 인터내셔날 홀딩 캄파니 엘피 가스를 사용하는 안과용 렌즈의 렌즈분리
KR101067641B1 (ko) * 2011-01-31 2011-09-27 주식회사 서울금속 부품 선별 시스템
KR20130015919A (ko) * 2011-08-05 2013-02-14 (주)지오메디칼 콘택트렌즈 몰드 분리장치
KR101463779B1 (ko) * 2013-05-15 2014-11-21 (주)지오메디칼 정밀사출 콘택트렌즈 생산을 위한 완전몰드 신속분리장치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9131B1 (ko) 2017-05-18 2018-05-16 주식회사 인터로조 콘택트렌즈 제조용 몰드 분리장치
KR101859133B1 (ko) 2017-05-18 2018-05-16 주식회사 인터로조 콘택트렌즈 제조용 몰드 히터장치
KR101903587B1 (ko) * 2017-07-20 2018-11-14 (주)지오메디칼 완전몰드식 콘택트렌즈 정밀 분리장치
KR20200027377A (ko) 2018-09-04 2020-03-12 박근창 콘텍트렌즈 분리장치 및 분리방법
KR102152571B1 (ko) * 2019-07-24 2020-09-04 박근창 콘택트 렌즈 제조용 몰드 분리장치
WO2021015341A1 (ko) * 2019-07-24 2021-01-28 박근창 콘택트 렌즈 제조용 몰드 분리장치
KR20220100175A (ko) * 2021-01-08 2022-07-15 주식회사 보콜 비접촉식 자동 콘택트 렌즈 분리 장치
KR102432642B1 (ko) * 2021-01-08 2022-08-16 주식회사 보콜 비접촉식 자동 콘택트 렌즈 분리 장치
KR20220167591A (ko) * 2021-06-14 2022-12-21 류병현 콘택트 렌즈 성형용 몰드 정렬 테이블, 및 이를 이용한 하몰드 분리방법과, 콘택트 렌즈의 습식 취출방법
KR102512949B1 (ko) 2021-06-14 2023-03-21 류병현 콘택트 렌즈 성형용 몰드 정렬 테이블, 및 이를 이용한 하몰드 분리방법과, 콘택트 렌즈의 습식 취출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2504B1 (ko) 정밀사출 콘택트렌즈 생산을 위한 몰드분리장치
KR101718145B1 (ko) 콘택트렌즈 몰드 분리장치
TWI334824B (en) Delensing of ophthalmic lenses using gas
ES2234815T3 (es) Aparato y procedimiento que permite la manipulacion de una lente oftalmica.
US6368096B1 (en) Apparatus for separating material from a mold surface
CN111882991B (zh) 一种柔性显示屏及其制作方法
KR101070858B1 (ko) 콘택트렌즈 반몰드식 제조 자동화 시스템의 렌즈 몰드분리장치
KR101800645B1 (ko) 콘택트렌즈 분리장치 및 분리방법
CN105374728A (zh) 粘合带剥离方法和粘合带剥离装置
KR101809483B1 (ko) 콘택트 렌즈 분리장치
KR101903587B1 (ko) 완전몰드식 콘택트렌즈 정밀 분리장치
CN107214499B (zh) 一种自动眼镜脚插芯机
KR101566658B1 (ko) 콘택트렌즈 측면부 커팅 및 몰드 분리 장치
KR101807477B1 (ko) 콘택트 렌즈를 몰드 분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463779B1 (ko) 정밀사출 콘택트렌즈 생산을 위한 완전몰드 신속분리장치
KR20140138637A (ko) 고체 물체 보유 수단을 가진 운송 장치
KR101238724B1 (ko) 의약용 고무마개 제조방법 및 그 장치
CN216037090U (zh) 蚕豆卧姿调整设备
CN210792052U (zh) 一种塑料制杯机用防护装置
TWI663049B (zh) 隱形眼鏡脫模之方法與裝置
JP4482242B2 (ja) フェルールのカット装置及びカット方法
KR102432642B1 (ko) 비접촉식 자동 콘택트 렌즈 분리 장치
KR200288928Y1 (ko) 어류 및 육류 표피제거기
CN215659461U (zh) 一种用于滤光片切换装置的磨水口设备
KR101938353B1 (ko) 고무제조 성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