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2442B1 - 고체연료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고체연료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2442B1
KR101662442B1 KR1020150058711A KR20150058711A KR101662442B1 KR 101662442 B1 KR101662442 B1 KR 101662442B1 KR 1020150058711 A KR1020150058711 A KR 1020150058711A KR 20150058711 A KR20150058711 A KR 20150058711A KR 101662442 B1 KR101662442 B1 KR 1016624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od
solid fuel
block
alcohol
produ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87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애
Original Assignee
김용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애 filed Critical 김용애
Priority to KR10201500587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24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24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24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11/00Manufacture of firelighters
    • C10L11/04Manufacture of firelighters consisting of combustible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10/00Use of additives to fuels or fires for particular purposes
    • C10L10/06Use of additives to fuels or fires for particular purposes for facilitating soot remova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olid Fuels And Fuel-Associated Substances (AREA)

Abstract

고체연료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a) 목재를 건조기에 소정의 시간동안 삽입 후 건조시키는 단계;
(b) 상기 목재를 외부로 꺼내어, 상기 목재 표면에 물을 뿌리는 단계;
(c) 상기 (a) 단계와 상기 (b) 단계를 반복하여 상기 목재의 수분함량을 10% 이하로 낮추는 단계;
(d) 상기 목재를 소정의 크기로 절단하여 블록을 제조하는 단계;
(e) 상기 블록을 발효 알콜이 저장된 알콜조에 2일 동안 침지시켜 고체연료를 제조하는 단계;
(f) 상기 고체연료를 밀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고체연료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고체연료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solid fuel}
본 발명은 고체연료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숯이나 장작, 연탄 등의 재료로 이루어진 고체 연료는 재료의 특성상 운반이나 보관이 번거롭고 취급 중에 파손되기 쉬우며, 크기도 커서 캠핑시 소지가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고체 연료는 자체적으로는 착화가 어려워 연소를 위해서는 먼저 화염을 방사하는 토오치 램프 등의 착화 수단을 이용하여 번개탄 등의 고체 착화 연료나 가스를 연소시킨 후, 상기의 연소된 고체 착화 연료나 가스를 통해 착화하게 되는데, 이러한 과정은 매우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상기 고체 착화 연료나 가스를 구매하기 위한 별도의 비용이 추가 발생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의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톱밥 등의 재료를 일정 형상으로 성형하여 제작된 고체 연료가 일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의 톱밥 등의 재료로 이루어진 고체 연료는 운반이나 보관 및 취급이 용이해지는 측면은 있으나, 종래와 같이 별도의 고체 착화 연료나 가스를 이용한 착화 과정은 여전히 필수적으로 요구되는바 사용자의 번거로움을 해소하는데 한계를 가질 뿐만 아니라, 상기의 톱밥 등의 재료로 고체 연료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목재의 미세한 절단 및 압착 등의 복잡한 공정을 거쳐야 하므로, 이는 제품의 생산성을 저하시킬 뿐만 아니라 가격이 상승하게 되는 원인이 되는 것이다.
한편, 종래의 고체 연료는 완전 연소가 어려워 착화된 불이 꺼지더라도 일부분은 연소되지 않은 상태로 남게 되므로 연료의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공개특허 제10-1988-0005243호(고체연료의 제조방법)이 있다.
본 발명은 연기나 그을음 없이 불꽃을 만들어 숯 등에 착화시킬 수 있는 고체연료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a) 목재를 건조기에 소정의 시간동안 삽입 후 건조시키는 단계;
(b) 상기 목재를 외부로 꺼내어, 상기 목재 표면에 물을 뿌리는 단계;
(c) 상기 (a) 단계와 상기 (b) 단계를 반복하여 상기 목재의 수분함량을 10% 이하로 낮추는 단계;
(d) 상기 목재를 소정의 크기로 절단하여 블록을 제조하는 단계;
(e) 상기 블록을 발효 알콜이 저장된 알콜조에 2일 동안 침지시켜 고체연료를 제조하는 단계;
(f) 상기 고체연료를 밀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고체연료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은 연기나 그을음 없이 불꽃을 만들어 숯 등에 착화시킬 수 있는 고체연료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체연료 제조방법의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체연료 제조 공정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체연료의 사시도.
이하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써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체연료 제조방법의 순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체연료 제조 공정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체연료의 사시도이다.
S11은 목재를 건조기에 소정의 시간동안 삽입 후 건조시키는 단계이다. 목재(10)는 각목 형태일 수 있다. 목재(10)의 수분함량을 낮춰야 불이 잘 착화된다. 따라서, 목재(10)의 수분함량을 낮추는 것이 중요하다. 이때, 목재(10)를 건조기(20)에 장시간 노출할 경우 갈라지고 뒤틀려진다. 따라서, 섭씨 80도의 온도로 30분간 건조기에서 건조를 한다. 건조기(20)에 들어간 목재(10)는 표면부터 수분이 증발하여 내부까지 점차 수분함량이 낮아지는 과정을 거친다.
S12는 상기 목재를 외부로 꺼내어, 상기 목재 표면에 물을 뿌리는 단계이다. S11단계를 지속적으로 진행하면 목재(10)의 표면이 너무 건조해진다. 목재(10) 전체의 수분함량을 10% 이하로 낮추기 전에, 목재(10)의 표면이 갈라지고 뒤틀어진다. 따라서, 목재(10)를 건조기(20)로 부터 꺼내서, 분무기로 목재(10) 표면에 물을 뿌려야 한다. 목재(10) 표면에 물이 침투되면, 목재(10) 표면의 뒤틀림이 방지된다.
S13은 상기 S11 단계와 S12 단계를 반복하여 상기 목재의 수분함량을 10% 이하로 낮추는 단계이다. S12 단계에서, 목재(10) 표면의 수분함량을 증가시키면 목재(10)의 뒤틀림은 방지된다. 그러나, 목재(10)의 중심부는 아직 충분히 건조되지 않았다. 따라서, S11 단계와 S12 단계를 반복하여 목재(10)의 중심부를 건조시켜 최종 수분함량 10% 이하의 목재(10)를 제조하는 단계이다. 아울러, 목재(10) 표면은 수분에 의해서 뒤틀리지 않고 형상을 유지한다.
S14는 상기 목재를 소정의 크기로 절단하여 블록을 만드는 단계이다. 도 3과 같이, 톱날을 이용하여 목재(20)를 다양한 방향으로 절개할 수 있다. 아울러, 사용하기 편하도록 직육면체 형태로 목재(20)를 절단하여 블록(30)을 만든다. 블록(30)에 형성되는 톱날홈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S15는 상기 블록을 발효 알콜이 저장된 알콜조에 2일 동안 침지시켜 고체연료(50)을 제조는 단계이다. 발효 알콜에 저장된 알콜조(40)에 블록(30)을 넣으면, 건조된 블록(30)에 발효 알콜이 침투된다. 블록(30)은 중심부까지 건조된 상태이기 때문에, 알콜이 블록(30)의 중심부까지 침투된다.
발효 알콜은 순도 95% 이상인 것이 좋다.
S16은 상기 고체연료를 밀봉하는 단계이다. 고체연료(50)의 표면 및 내부에는 발효 알콜이 침투되어 있다. 발효 알콜은 쉽게 휘발된다. 따라서, 고체연료(50)에 침투된 발효 알콜이 휘발되지 않도록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이로써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를 바탕으로 균등한 범위까지 당업자가 변형 및 추가하는 범위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목재(10) 건조기(20)
블록(30) 알콜조(40)
고체연료 (50)

Claims (1)

  1. (a) 목재를 건조기에 소정의 시간동안 삽입 후 건조시키는 단계;
    (b) 상기 목재를 외부로 꺼내어, 상기 목재 표면에 물을 뿌리는 단계;
    (c) 상기 (a) 단계와 상기 (b) 단계를 반복하여 상기 목재의 수분함량을 10% 이하로 낮추는 단계;
    (d) 상기 목재를 소정의 크기로 절단하여 블록을 제조하는 단계;
    (e) 상기 블록을 발효 알콜이 저장된 알콜조에 2일 동안 침지시켜 고체연료를 제조하는 단계;
    (f) 상기 고체연료를 밀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고체연료 제조방법.






KR1020150058711A 2015-04-27 2015-04-27 고체연료 제조방법 KR1016624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8711A KR101662442B1 (ko) 2015-04-27 2015-04-27 고체연료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8711A KR101662442B1 (ko) 2015-04-27 2015-04-27 고체연료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2442B1 true KR101662442B1 (ko) 2016-10-05

Family

ID=571537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8711A KR101662442B1 (ko) 2015-04-27 2015-04-27 고체연료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244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7434A (ko) * 2019-05-02 2020-11-11 김수영 고형 연료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착화 및 연소 효율이 우수한 고형 연료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29740A (ja) * 2003-07-11 2005-02-03 Kuzumaki Ringyo Kk 燃料木材チップの製造方法
KR101343656B1 (ko) * 2013-07-24 2014-01-24 신재언 방부목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50014664A (ko) * 2013-07-30 2015-02-09 손영준 고체 연료 및 그 제조 방법
KR20150033136A (ko) * 2013-09-23 2015-04-01 (주) 베스트라이프코리아 목재를 이용한 발화 연료 및 그 발화 연료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29740A (ja) * 2003-07-11 2005-02-03 Kuzumaki Ringyo Kk 燃料木材チップの製造方法
KR101343656B1 (ko) * 2013-07-24 2014-01-24 신재언 방부목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50014664A (ko) * 2013-07-30 2015-02-09 손영준 고체 연료 및 그 제조 방법
KR20150033136A (ko) * 2013-09-23 2015-04-01 (주) 베스트라이프코리아 목재를 이용한 발화 연료 및 그 발화 연료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7434A (ko) * 2019-05-02 2020-11-11 김수영 고형 연료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착화 및 연소 효율이 우수한 고형 연료
KR102260769B1 (ko) 2019-05-02 2021-06-07 강원 고형 연료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착화 및 연소 효율이 우수한 고형 연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3361B1 (ko) 폐 배지를 이용한 고체연료 및 그 제조방법
KR20160147429A (ko) 고형연료용 착화제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착화제
CA2605415A1 (en) Whole timber firelog impregnated with combustible material
KR101662442B1 (ko) 고체연료 제조방법
CA2402065A1 (en) Wood drying method
KR102038219B1 (ko) 착화가 용이한 파라핀 장작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00512B1 (ko) 캠핑용 열처리 장작 및 그 제조방법
KR101477923B1 (ko) 착화탄 제조방법
KR101533501B1 (ko) 고체 연료 및 그 제조 방법
Ebner et al. Study of wooden surface carbonization using the traditional Japanese Yakisugi technique.
US8747494B2 (en) Auto-combustible torch
KR101550538B1 (ko) 유해성 없는 성형 목탄
KR102260769B1 (ko) 고형 연료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착화 및 연소 효율이 우수한 고형 연료
JP3161104U (ja) 燃焼器及び燃焼材
KR20150117952A (ko) 참나무를 이용한 고체연료 및 그 제조 방법
EP2948533B1 (en) Method of producing clean burning wood biomass fuel
JP5542350B2 (ja) 固形燃料の製造方法
RU189597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лучения огня
KR101921282B1 (ko) 점화가 용이한 숯 및 그 제조방법
JP2007297459A (ja) 炭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777079B1 (ko) 착화탄의 제조방법 및 그를 통해 얻어진 착화탄
KR20150033136A (ko) 목재를 이용한 발화 연료 및 그 발화 연료 제조방법
SI25255A (sl) Kurilni vložek
KR102330642B1 (ko) 순간점화가 가능한 숯의 제조방법
KR20120017094A (ko) 순간점화가 가능하게 하는 숯의 가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