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1282B1 - 점화가 용이한 숯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점화가 용이한 숯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1282B1
KR101921282B1 KR1020170049945A KR20170049945A KR101921282B1 KR 101921282 B1 KR101921282 B1 KR 101921282B1 KR 1020170049945 A KR1020170049945 A KR 1020170049945A KR 20170049945 A KR20170049945 A KR 20170049945A KR 101921282 B1 KR101921282 B1 KR 1019212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
ethyl alcohol
charcoal
base material
receiv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99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16960A (ko
Inventor
장도순
Original Assignee
대일에스앤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일에스앤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일에스앤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499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1282B1/ko
Publication of KR201801169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69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12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12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5/00Solid fuels
    • C10L5/40Solid fuels essentially based on materials of non-mineral origin
    • C10L5/44Solid fuels essentially based on materials of non-mineral origin on vegetable substances
    • C10L5/442Wood or forestry waste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BDESTRUCTIVE DISTILLATION OF CARBONACEOUS MATERIALS FOR PRODUCTION OF GAS, COKE, TAR, OR SIMILAR MATERIALS
    • C10B53/00Destructive distill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olid raw materials or solid raw materials in special form
    • C10B53/02Destructive distill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olid raw materials or solid raw materials in special form of cellulose-containing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2290/00Fuel preparation or upgrading, processes or apparatus therefore, comprising specific process steps or apparatus units
    • C10L2290/14Injection, e.g. in a reactor or a fuel stream during fuel production
    • C10L2290/141Injection, e.g. in a reactor or a fuel stream during fuel production of additive or catalys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50/00Technologies for the production of fuel of non-fossil origin
    • Y02E50/10Biofuels, e.g. bio-dies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50/00Technologies for the production of fuel of non-fossil origin
    • Y02E50/30Fuel from waste, e.g. synthetic alcohol or diese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olid Fuels And Fuel-Associated Substances (AREA)
  • Carbon And Carbon Compounds (AREA)

Abstract

점화가 용이한 숯 및 그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숯은 숯 모재; 및 상기 숯 모재에 첨가되는 에틸 알코올을 포함하고, 점화가 용이하다.

Description

점화가 용이한 숯 및 그 제조방법{CHARCOA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숯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숯이란 목재를 공기의 공급을 차단하고 가열하였을 때 생기는 고체 생성물로 목탄이라고도 한다. 숯은 나무의 종류와 굽는 조건에 따라 그 종류가 다양하다.
숯은 종래에는 주로 각종 연료의 기재로서 사용되어 왔지만, 최근에는 생활수준의 향상에 따라 음식점 및 야외 등에서 고기를 굽는 주연료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통상적으로, 고기를 굽는 연료로서 가스불과 숯불이 주로 사용되어 왔는데, 편리함에서는 가스불이 상대적으로 우수하지만 자연에 가까운 맛을 즐기려는 소비자들의 욕구에 부응하여 숯불의 사용이 크게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통상적으로 숯에 불을 옮겨 붙이기 위해서는 장시간 불꽃을 숯에 접촉시켜야 불이 붙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번개탄 또는 가스토치 등의 불쏘시개로 이용하여 숯에 불을 붙이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점화가 용이한 숯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숯 모재; 및 상기 숯 모재에 첨가되는 에틸 알코올을 포함하는, 점화가 용이한 숯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숯 모재에는 적어도 하나의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에는 상기 에틸 알코올을 담은 용기가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용기는, 종이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에틸 알코올은 상기 숯 모재에 형성된 기공 내부에 침투되고, 상기 기공 입구는 식물성 오일 성분의 커버층으로 커버될 수 있다.
상기 식물성 오일은, 올리브유 또는 피마자유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원료 목재를 탄화시켜 숯 모재를 만드는 탄화 단계; 및 상기 숯 모재에 에틸 알코올을 첨가하는 첨가 단계를 포함하는, 점화가 용이한 숯 제조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탄화 단계는, 상기 원료 목재에 적어도 하나의 수용홈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수용홈이 형성된 원료 목재를 탄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첨가 단계는, 상기 에틸 알코올이 담긴 용기를 상기 수용홈에 수용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기는 종이 재질을 가질 수 있따.
상기 첨가 단계는, 상기 숯 모재에 형성된 기공 안으로 상기 에틸 알코올을 침투시키는 단계; 및 상기 에틸 알코올이 침투한 상기 기공의 입구를 커버하고, 식물성 오일 성분을 가지는 커버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식물성 오일은, 올리브유 또는 피마자유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숯 모재에 에틸 알코올이 첨가됨으로써 숯이 짧은 시간에 쉽게 점화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숯 제조 방법의 순서도이고,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숯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숯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숯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숯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숯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숯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은 도 7의 A-A선에 따른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숯 제조 방법의 순서도이고,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숯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숯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숯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원료 목재(109)에 적어도 하나의 수용홈(111)을 형성한다(S110). 예컨대, 원료 목재(109)는 참나무, 맹그로브 나무로 제작될 수 있다. 원료 목재(109)의 형상은 원기둥, 사각 기둥 등 다양한 입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수용홈(111)은 원료 목재(109)를 드릴링하거나 펀칭하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수용홈(111)이 형성된 원료 목재(도 2의 109)를 탄화시킨다(S120). 이때, 수용홈(111)이 형성된 숯 모재(110)가 만들어진다.
수용홈(111)이 형성된 원료 목재(도 2의 109)를 탄화시키는 과정에서 수용홈(111)이 형태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탄화 전 원료 목재(도 2의 109)에 형성된 수용홈(111)에 수용홈(111)의 형상에 대응하는 틀 부재(미도시)를 삽입한다. 틀 부재(미도시)는 원료 목재(도 2의 109)를 탄화시키는 열기에도 변형되지 않는 재질로 제작된다. 틀 부재(미도시)는 원료 목재(도 2의 109)가 탄화되어 숯 모재(110)가 되면 수용홈(111)에서 제거된다.
본 실시예에서 위와 같은 과정들(S110, S130)을 거쳐 원료 목재(109)가 탄화되어 숯 모재(110)가 만들어진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에틸 알코올(130)이 담긴 용기(120)를 숯 모재(110)에 형성된 수용홈(111)에 수용시킨다.
예컨대, 용기(120)는 종이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종이 재질로 제작된 용기(120)는 열기에 노출되면 쉽게 탄다. 일단 용기(120)가 타면 용기(120)에 수용된 에틸 알코올(130)은 열기에 쉽게 연소된다.
종이 재질로 제작된 용기(120)의 내측면에는 코팅층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코팅층에 의해 용기(130)에 수용된 에틸 알코올(130)이 쉽게 밖으로 빠져나가지 못한다.
또는 용기(120)는 열기에 쉽게 연소되는 천연 수지 또는 합성 수지 재질로 제작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위와 같은 과정(S150)을 거쳐 숯 모재(110)에 에틸 알코올(130)이 첨가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실시예에 따른 숯 제조 방법을 통해 도 5와 같이 숯 모재(110)에 에틸 알코올(130)이 첨가된 숯(100)이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숯(100)이 점화를 위해 화염에 노출되면 숯 모재(110)에 첨가된 에틸 알코올(130)이 순간적으로 연소된다. 이때, 에틸 알코올(130)이 연소되면서 숯(100)을 점화하기 위한 열기가 배가되어 숯 모재(110)는 짧은 시간에 쉽게 점화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숯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숯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숯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은 도 7의 A-A선에 따른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원료 목재(미도시)를 탄화시켜 숯 모재(210)를 만든다(S210). 숯 모재(210)에는 다수의 기공(213)이 형성된다.
이후, 숯 모재(210)에 형성된 기공(213) 안으로 에틸 알코올(230)을 침투시킨다(S210).
예컨대, 숯 모재(210)는 에틸 알코올(230)이 저장된 저장 용기(미도시)에 침지될 수 있다. 또는 에틸 알코올(230)이 숯 모재(210)에 분사될 수 있다. 또는 에틸 알코올(230)이 숯 모재(210)에 도포될 수 있다. 위와 같은 침지, 분사, 도포 과정에서 에틸 알코올(230)은 숯 모재(210)에 형성된 기공(213) 안으로 침투된다.
이후, 에틸 알코올(230)이 침투한 기공(213)의 입구를 커버하고, 식물성 오일 성분을 가지는 커버층(250)을 형성한다(S230).
일례로, 에틸 알코올(230)이 침투한 숯 모재(210)를 식물성 오일에 노출시킨다. 이때, 숯 모재(210)가 식물성 오일이 저장된 저장 용기(미도시)에 침지될 수 있다. 또는 식물성 오일이 숯 모재(210)에 분사될 수 있다. 또는 식물성 오일이 숯 모재(210)에 도포될 수 있다.
그리고 식물성 오일에 노출된 숯 모재(210)를 건조한다. 이때, 식물성 오일에 노출된 숯 모재(210)는 온풍에 의해 건조될 수 있다. 식물성 오일이 건조되면서 에틸 알코올(230)이 침투한 기공(213)의 입구를 커버하는 커버층(250)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위와 같은 과정들(S230, S250)을 거쳐 숯 모재(210)에 에틸 알코올(230)이 첨가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커버층(250)을 형성하는 식물성 오일은 에틸 알코올(230) 보다 비중이 클 수 있다. 예컨대, 커버층(250)을 형성하는 식물성 오일은 올리브유 또는 피마자유일 수 있다. 이때, 에틸 알코올(230)의 비중이 대략 0.8이고, 올리브유의 비중은 대략 0.92이고, 피마자유의 비중은 대략 0.96이다.
에틸 알코올(230) 보다 비중이 큰 식물성 오일을 사용하여 커버층(250)을 형성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숯 모재(210)를 에틸 알코올(230)이 침투한 기공(213)이 위를 향하도록 배치한다. 이후 숯 모재(210)를 에틸 알코올(230) 보다 비중이 낮은 식물성 오일에 노출시킨다. 이때, 에틸 알코올(230)과 식물성 오일의 비중차에 의해 기공(213) 내부의 에틸 알코올(230)은 식물성 오일의 아래에 위치하게 되어 기공(213)으로부터 빠져 나오지 못한다.
이후, 숯 모재(210)에 제공된 식물성 오일을 건조하여 커버층(250)을 형성한다.
위와 같은 방식으로 커버층(250)을 형성하면, 에틸 알코올(230)은 기공(213)에 갇힌 상태를 효과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실시예에 따른 숯 제조 방법을 통해 도 7과 같이 숯 모재(210)의 기공(213)에 에틸 알코올(230)이 침투한 숯(200)이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숯(200)이 점화를 위해 화염에 노출되면 식물성 오일 성분의 커버층(250)과 숯 모재(210)에 첨가된 에틸 알코올(230)이 순간적으로 연소된다. 이때, 커버층(250)과 에틸 알코올(230)이 연소되면서 숯(200)을 점화하기 위한 열기가 배가되어 숯 모재(210)는 짧은 시간에 쉽게 점화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제조된 숯(100, 200)은 진공 포장 방식 등으로 포장되어 판매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 숯
109 : 원료 목재
110 : 숯 모재
111 : 수용홈
120 : 용기
130 : 에틸 알코올
200 : 숯
210 : 숯 모재
213 : 기공
230 : 에틸 알코올
250 : 커버층

Claims (10)

  1. 원료 목재에 적어도 하나의 수용홈을 형성하는 단계;
    탄화 과정에서 상기 원료 목재의 수용홈의 형태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원료 목재의 수용홈에 상기 원료 목재의 수용홈의 형상에 대응하는 틀 부재를 삽입하는 단계;
    상기 원료 목재를 탄화시켜 숯 모재를 만드는 단계;
    상기 틀 부재를 상기 숯 모재의 수용홈에서 제거하는 단계; 및
    에틸 알코올이 담긴 용기를 상기 숯 모재의 수용홈에 수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점화가 용이한 숯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종이 재질을 가지는, 점화가 용이한 숯 제조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점화가 용이한 숯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숯.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70049945A 2017-04-18 2017-04-18 점화가 용이한 숯 및 그 제조방법 KR1019212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9945A KR101921282B1 (ko) 2017-04-18 2017-04-18 점화가 용이한 숯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9945A KR101921282B1 (ko) 2017-04-18 2017-04-18 점화가 용이한 숯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6960A KR20180116960A (ko) 2018-10-26
KR101921282B1 true KR101921282B1 (ko) 2018-11-22

Family

ID=640989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9945A KR101921282B1 (ko) 2017-04-18 2017-04-18 점화가 용이한 숯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128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7923B1 (ko) * 2013-09-25 2014-12-30 김선익 착화탄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7923B1 (ko) * 2013-09-25 2014-12-30 김선익 착화탄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6960A (ko) 2018-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230673A1 (en) Whole timber firelog impregnated with combustible material
US8475544B2 (en) Combustible article
EP0953033B1 (en) Combustible fuel source
US11932835B2 (en) Cocktail smoking chimneys and methods for infusing smoke into cocktails, beverages and alcoholic drinks
KR20160147429A (ko) 고형연료용 착화제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착화제
US20130247455A1 (en) Fire starter
KR101921282B1 (ko) 점화가 용이한 숯 및 그 제조방법
US8250995B2 (en) Log cartridge burning system
SE2450449A1 (en) Combustion wood and method for producing dry combustion wood
EP0686184A1 (en) Fire starter and method of making same
KR102038219B1 (ko) 착화가 용이한 파라핀 장작 및 이의 제조방법
JP5667234B2 (ja) 熱処理されたキャンプ用薪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477923B1 (ko) 착화탄 제조방법
KR101307417B1 (ko) 점화체 및 그의 제조방법
US3377147A (en) Charcoal starting device
KR101348804B1 (ko) 천연 착화탄 및 그 제조방법
US20080010898A1 (en) Pellets with infused accelerants and method of use
KR20150117952A (ko) 참나무를 이용한 고체연료 및 그 제조 방법
US11571089B2 (en) Fire starter tube
US20180362872A1 (en) Fire Starter and Method for Making and Using the Same
KR101662442B1 (ko) 고체연료 제조방법
KR102330642B1 (ko) 순간점화가 가능한 숯의 제조방법
KR20150014664A (ko) 고체 연료 및 그 제조 방법
KR20120017094A (ko) 순간점화가 가능하게 하는 숯의 가공방법
KR102049565B1 (ko) 친환경 스펀지를 기재로 하는 연소재 및 연소재 제작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