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0512B1 - 캠핑용 열처리 장작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캠핑용 열처리 장작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0512B1
KR101300512B1 KR20120120551A KR20120120551A KR101300512B1 KR 101300512 B1 KR101300512 B1 KR 101300512B1 KR 20120120551 A KR20120120551 A KR 20120120551A KR 20120120551 A KR20120120551 A KR 20120120551A KR 101300512 B1 KR101300512 B1 KR 1013005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wood
camping
manufacturing
wood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201205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석구
피덕원
홍승현
강호양
Original Assignee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201201205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0512B1/ko
Priority to JP2013078138A priority patent/JP5667234B2/ja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05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05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BDESTRUCTIVE DISTILLATION OF CARBONACEOUS MATERIALS FOR PRODUCTION OF GAS, COKE, TAR, OR SIMILAR MATERIALS
    • C10B53/00Destructive distill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olid raw materials or solid raw materials in special form
    • C10B53/02Destructive distill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olid raw materials or solid raw materials in special form of cellulose-contain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CPLANING, DRILLING, MILLING, TURNING OR UNIVERSAL MACHINES FOR WOOD OR SIMILAR MATERIAL
    • B27C5/00Machines designed for producing special profiles or shaped work, e.g. by rotary cutters; Equipment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5/00Solid fuels
    • C10L5/40Solid fuels essentially based on materials of non-mineral origin
    • C10L5/44Solid fuels essentially based on materials of non-mineral origin on vegetable substan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50/00Technologies for the production of fuel of non-fossil origin
    • Y02E50/10Biofuels, e.g. bio-dies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50/00Technologies for the production of fuel of non-fossil origin
    • Y02E50/30Fuel from waste, e.g. synthetic alcohol or dies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78Recycling of wood or furniture was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olid Fuels And Fuel-Associated Substances (AREA)
  • Chemical And Physical Treatments For Wood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캠핑용 열처리 장작의 제조방법은 굴참나무, 갈참나무, 졸참나무, 상수리나무등의 참나무류와 아카시아나무, 자작나무등의 활엽수류 원목을 일정 길이로 절단하는 단계와, 절단된 원목을 고열가공처리실로 이동시킨 다음 150℃ 내지 230℃ 온도에서 5시간 내지 24시간 동안 상대습도 50~80%의 범위 내에서 증기분사를 이용하여 습도조절을 병행하면서 고열가공처리를 수행하는 단계와, 고열가공처리실 내의 온도를 점차 상온으로 5 내지 15시간 동안 감소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중량비가 50(wt%) 이상 80(wt%)미만의 탄소 함량을 가져서, 성분 중 셀룰로오스의 열분해를 일으키지 않고 헤미셀룰로오스를 열분해하여 초기착화시간이 단축되고, 연기 및 불티발생이 감소되는 장점을 가진다.

Description

캠핑용 열처리 장작 및 그 제조방법{THERMALLY MODIFIED FIREWOOD FOR CAMPING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캠핑용 열처리 장작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캠핑용 열처리 장작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장작이나 숯보다 야외에서 착화가 쉽고 숯검정 및 불티의 발생이 감소되며, 잘 부스러지지 않는 캠핑용 열처리 장작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2005년 이후 가족단위의 야외 캠핑을 위한 공간으로서 증가되고 있는 오토캠핑장은 새로운 휴양시설로써 각광받고 있다. 그러한 오토캠핑장에서 가장 일상화된 것이 캠핑장에서 불을 지피고 일상의 피로와 스트레스를 해소하곤 한다. 특히 인간에게는 불을 지피우는 행위 자체가 또 다른 만족과 성취감을 느끼게 할 수 있는 행동이기 때문에 그로 인한 즐거움을 느낄 수 있다. 아울러 오토캠핑장에서의 취사활동 또한 가족간의 공동체 의식을 보다 높이고 견고히 할 수 있다. 이러한 취사활동 중 주를 차지하는 것이 장작 및 숯을 이용한 캠프화이어와 더불어 바비큐를 이용한 고기를 구워먹는 것이다.
이러한 고기를 굽고 캠프화이어를 하기 위한 도구로서 화로(火爐)가 필요하고, 연료로서 숯 또는 장작 등이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연료는 숯으로써 목재를 섭씨 500도 이상의 고온에서 다양한 탄화방법을 통해 제조하며 목탄(木炭)이라고도 한다. 사용되는 재료로는 일반적으로 재질이 단단한 나무가 사용되며, 한국에서는 참나무류(갈참나무, 굴참나무, 물참나무, 줄참나무 등)가 주로 사용된다. 참나무류로 만든 숯을 참숯이라고 하는데, 다른 나무류보다 제품이 뛰어나고 효능이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숯을 이용한 바비큐의 연료사용은 장작에 비해 50% 이하의 중량으로 운반이동이 간단하고, 연기가 많이 발생하지 않아 일단 불이 붙으면 낮은 온도로 고기를 굽기에 좋은 특징을 갖고 있다. 그러나 이에 반해 목재로부터 다양한 추출물 (연소에 도움을 주는 메탄가스, 아세트산, 수소, 산소 등)이 제거 되고 탄소성분만 남아 있기 때문에 초기 연소가 매우 어려우며 취급시 부서지기 쉬우며, 검정이 묻어 취급시 불편할 뿐 아니라 점화시 불티가 튀어 주변에 발화 위험성이 있거나 화상을 일으키는 등의 단점이 있다.
숯의 제탄법에는 무개 제단법, 퇴적 제탄법, 갱내 제탄법, 축요 제탄법 등이 있으며, 근래에는 분쇄된 목재를 압축하여 이를 탄화시키는 성형탄제조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이중 분쇄목을 압축하여 숯을 제조하는 방법을 살펴보면 원목을 잘게 분쇄하는 단계와, 분쇄목(잘게 분쇄된 목재)을 압축기를 이용하여 일정크기로 압축 성형하는 단계와, 그 성형물을 가열하여 탄화목(숯)으로 제조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숯 제조방법에서는 분쇄목을 압축 성형한 후에도 잘 깨지기 때문에, 그러한 단점을 해소하여 위하여 분쇄목과 함께 접착제를 혼합하여 압축 성형한다.
이렇게 숯 내부에 접착제가 포함되어 있을 경우에는 소비자가 고기 등을 굽기 위하여 숯을 연소시킬 때 숯에 포함된 접착제 때문에 연소시 유해가스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고, 이러한 성형탄 뿐만 아니라 참숯의 경우에도 숯의 특성상 숯검정이 많이 발생하게 되고 부스러지기 쉬운 취약점이 있다.
숯 대신 사용되는 것이 또한 오토캠핑장에서 직접 판매하고 있는 장작을 이용하게 된다. 이러한 장작은 수분이 제거되지 않았기 때문에 무겁고 숯보다는 초기 점화가 쉽지만, 장작이 보유하고 있는 수분의 함량에 따라 연기가 많이 발생하고 착화시키기에 어려움이 있다. 또한 불티가 많이 발생하는 단점뿐만 아니라, 일단 불이 붙은 후에도 고기를 굽게 되면 불꽃(火焰)의 조절이 어려워 바비큐요리를 망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오토캠핑장에서의 화로를 사용한 불을 피우는 또 다른 의미와 이유는 단순히 숯을 이용한 고기를 굽는 목적 말고도 야간의 조명으로 사용되고, 가족 구성간이 함께 앉아서 이야기할 수 있는 공간제공이라는 또 다른 목적이 있는데 숯이나 장작으로는 그러한 공간마련을 위해서는 연기 발생문제와 적은 불꽃 등으로 목적에 부합하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오토캠핑장에서 사용되는 바비큐화로의 연료로서 사용되는 숯과 장작의 연소상의 단점인 초기점화시간 단축이 가능하고, 연기발생을 억제시킬 뿐 아니라, 장작에 비해 고발열량을 실현하고 캠프화이어용 장작으로 사용 후 바비큐용 숯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숯보다는 경도를 강화시켜 잘 부스러지지 않는 캠핑용 열처리 장작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캠핑용 열처리 장작의 제조방법은 굴참나무, 갈참나무, 졸참나무, 상수리나무등의 참나무류와 아카시아나무, 자작나무 등의 활엽수류 원목을 일정 길이로 절단하는 단계와, 상기 절단된 원목을 고열가공처리실로 이동시킨 다음 150℃ 내지 230℃ 온도에서 5시간 내지 24시간 동안 일정 습도범위 내에서 증기분사를 이용하여 습도조절을 병행하면서 고열가공처리를 수행하는 단계와, 고열가공처리실 내의 온도를 점차 상온으로 일정 시간 동안 감소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중량비 50wt% 이상 80wt% 미만의 탄소 함량을 가져서 성분 중 셀룰로오스의 열분해를 일으키지 않고 헤미셀룰로오스를 열분해하여 초기착화시간이 단축되고 연기 및 불티 발생이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절단단계 후 운반 및 취급이 용이하고 연소효율이 향상되도록 선택적으로 절단된 원목을 중앙부분이 오목하고 직경이 중앙에서 양측으로 갈수록 커지는 형상으로 회전선반가공 절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열가공처리단계에서 습도조절은 상대습도 50~80%의 범위 내에서 증기분사를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열가공처리단계는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절단된 원목의 표면에 아로마오일이 함유된 식물성 오일을 도포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회전선반가공 절삭단계는 절단된 원목의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중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원목은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굴참나무, 갈참나무, 졸참나무, 상수리나무등의 참나무류와 아카시아나무, 자작나무 등의 활엽수와 일반적으로 송진을 일컫는 로진(Rosin) 등의 연소시 발생하는 검정연기 등의 이유로 사용하지 않는 소나무류,편백나무 또는 삼나무류등의 침엽수류 또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오토캠핑장에서 사용되는 바비큐화로의 연료로서 사용되는 장작의 연소상의 단점인 초기점화시간의 단축이 가능하고, 연기발생을 억제시킬 뿐 아니라, 장작에 비해 고발열량을 실현할 수 있는 캠핑용 열처리 장작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의 캠핑용 열처리 장작에 의하면 숯에 비해 숯검정이 묻지 않고 잘 부스러지지 않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캠핑용 열처리 장작의 제조방법에서 절삭가공단계를 거친 원목형상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2는 착화시간의 비교그래프이며,
도3은 연소시간에 따른 발열량 비교 그래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캠핑용 열처리 장작을 그 제조방법을 통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굴참나무, 갈참나무, 졸참나무, 상수리나무등의 참나무류와 아카시아나무, 자작나무등의 활엽수류 원목을 소정의 길이로 절단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이 단계에서는 원목을 사용하기 적당하도록 약 10 내지 50cm 크기로 절단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원목으로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참나무류(갈참나무, 굴참나무, 물참나무, 줄참나무 등) 및 아카시아나무, 자작나무 등의 활엽수를 주로 사용하나, 침엽수(소나무류/편백/삼나무) 또한 사용할 수 있다. 종래 침엽수는 송진 등의 이유로 캠핑용으로는 거의 사용되지 못하고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열처리과정을 거침으로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침엽수 또한 사용이 가능해지게 되었다.
그 다음, 상기 절단단계 후 후술하는 바와 같이 고열가공처리를 거치게 되는데,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선택적으로 상기 절단 단계 후 절단된 원목의 외형을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경이 중앙에서 양측으로 갈수록 커지는 형상으로 회전선반가공 절삭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즉, 중앙 부분이 양측보다 직경이 작고 양측으로 갈수록 점차 직경이 크도록 회전선반가공 절삭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특수 형상으로 회전선반가공 절삭하는 이유는 장작 등은 밖에서부터 안으로 타 들어가는데 이와 같이 중앙부분이 오목하고 직경이 중앙에서 양측으로 갈수록 커지는 형상으로 가공을 함으로써 화로에서 연소시킬 경우 내부에 남아 있는 연소가스가 원활하게 배출되게 함으로써 연소효율을 높이기 위함이다. 또한, 숯이나 장작 등은 일반적으로 집게로 집어 화로나 그릴로 운반하게 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회전선반가공 후 제조하는 경우 중앙의 오목한 부분을 집게로 집어 운반할 경우 잘 떨어뜨리지 않게 됨으로써 종래 숯을 떨어뜨려 숯이 부서지는 문제점을 보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바베큐용 연료로 사용할 경우 일반적으로 다수개의 장작 또는 숯을 화로 내에 적재하여 연소시키게 되는데 통상적인 일정한 단면을 가지는 장작 또는 숯을 적재한 것보다 적재시 중앙부분이 오목하여 외부로부터 공기 유입이 원활하여 연소효율이 향상되는 장점 또한 가지게 된다.
또한, 상기 회전선반가공에 추가하여 도1에서와 같이 절단된 목재의 중앙에 구멍을 파서 중공을 만드는 단계를 수행한다. 이와 같이 절단된 원목의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중공을 형성함으로써 공기와의 접촉면적을 증가시켜 초기 연소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절단단계 및/또는 절삭가공단계를 거친 목재는 고열가공처리실로 이동시킨 다음 150℃ 내지 230℃ 온도에서 5시간 내지 24시간 동안 고열가공처리를 수행한다. 일반 장작의 경우 잘 말린 장작에서도 장작 내 수분이 연소시에 목재성분과 열반응을 함으로써 불완전 연소하여 연기가 많이 발생하게 되고, 이와 더불어 불티가 많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이 150℃ 내지 230℃의 온도에서 5시간 내지 24시간 동안 고열가공처리시킴으로써 원목 내 수분 및 일부 목재성분이 제거되어 연기 및 불티발생이 현저하게 감소되게 된다.
또한, 이 단계에서 온도를 150℃이상으로 유지하는 이유는 목재를 구성하는 화학적 성분 중 헤미셀룰로오스는 150℃이상의 온도에서 열분해가 생겨서 목재의 화학적, 물리적 성질이 변화되게 되는데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수분 흡착점이 감소되고 이로 인해 수축, 팽창률이 안정적으로 유지되어 내구성이 개선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고열가공처리는 230도 이하에서 수행하게 되는데, 이와 같이 230도 이하에서 수행하는 이유는 목재의 구성성분 중 셀룰로오스는 240 내지 350도에서 열분해가 일어나게 되고, 이러한 셀룰로오스의 분해는 강도가 저하되게 되고 최종 산물이 잘 부스러지는 원인이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셀룰로오스의 열분해가 일어나지 않는 230도 이하에서 수행한다.
아래의 표는 이러한 본 발명의 가공과정을 거친 열처리 장작과, 생재(일반 장작), 및 일반 숯의 조성물을 비교한 표이다.


구성성분(%, 중량비) 발열량
(MJ/kg)
C H O N S A



장작 48.6 6.1 45 0.2 0 0.5 19.5
사례-1 53.4 5.6 40.8 0.3 0 0.51 21.0
사례-2 70.8 4.4 24.4 0.5 0 1.1 27.3
일반 숯 92.7 0.3 6.4 0.6 0 0 32.1
(상기 표에서 사례-1 는 170도에서 5시간, 사례-2는 190도에서 5시간 열처리)
상기 표에서 각 원소별 중량비에 따른 단위무게당 발열량은 물질의 원소 구성비율로부터 발열량을 산출하는 아래 식(1)에 따른 것이다.
Figure 112012088332898-pat00001
............식(1)
(HHVfuel은 연료의 고발열량(MJ/kg)이고, A,C,H,N,O,S는 각각 회분, 탄소, 수소, 질소, 산소 및 유황성분의 중량비이다.)
상기 표에서 알 수 있듯이 일반 장작의 경우 단위 무게당 발열량은 19.5MJ/kg인데, 본 발명의 실시예1은 21.0MJ/kg, 실시예2는 27.3MJ/kg으로 단위 무게당 발열량이 증가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발열량의 증가는 동일한 무게로도 더 높은 온도를 유지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다만, 단위 무게당 발열량은 종래 숯이 제일 높게 나타나지만 숯의 경우 600 내지 1200℃의 고온 탄화과정에서 원목재 성분 중 약 70%는 분해되어 휘발되고 최종산물인 숯은 원목재의 약 30%에 불과하다. 이와 같이 원목재 1ton에서 얻어지는 최종산물의 총발열량을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중량 감소율 원목1ton당 총 발열량(MJ)
기건목재 0% 19,487
사례-1 10% 18,906
사례-2 20% 21,878
일반 숯 70% 9,623
상기 표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탄소 함량 50(wt%) 이상 80(wt%)미만의 캠핑용 열처리 장작을 제조할 경우 투입되는 원목에서 얻어지는 총 발열량은 종래 숯에 비해 2~2.3배 월등히 높은 발열량을 보이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열처리 장작은 일반 장작에 비해 단위무게당 고발열량을 나타낼 수 있고 또한 종래 숯에 비해 투입되는 원목으로부터 얻어지는 총발열량을 높일 수 있어 보다 경제적이다.
그리고, 이 고열가공처리단계에서는 열과 함께 상대습도 50~80%의 범위 내에서 증기분사를 이용한 습도조절을 병행하면서 고열가공처리를 수행한다. 일반적으로 목재를 오랜시간 고온에 노출시키면 목재의 갈라짐이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현상은 최종 생산물로 만든 후에도 경도를 약화시키는 원인이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대습도 50~80%로 증기분사를 이용하여 열가공처리를 함으로써 이 단계 중에 목재의 갈라짐을 방지하여 경도가 현저히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본 단계에서는 고열가공처리 전에 목재의 표면에 천연 식물성 오일을 도포한 다음 열가공처리를 수행한다. 이는 고열가공처리실 내부의 온도가 일정 온도로 세팅되더라도 그 내부지점에 따라 다소의 온도차이가 있을 수 있고 이러한 온도차이로 인해 목재의 조직 및 재색이 지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원목 표면에 식물성 오일을 도포하여 원목 전체에 신속하면서도 골고루 온도를 전달해 줌으로써 조직 및 재색이 균일하게 변하도록 처리된다.
또한, 본 단계에서는 추가적인 실시예로서 라벤더, 로즈마리, 카모마일 등의 아로마 오일이 전부 또는 일부 함유된 식물성 오일을 사용한다. 아로마오일은 지친 심신을 풀어주고 정신을 맑게 해주는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아로마 오일이 함유된 식물성 오일을 사용함으로써 열처리 장작으로 제조한 이후에도 연소시에 이러한 아로마향이 발산되어 지친 심신을 풀어주고 정신을 맑게 해주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원목으로 앞서 기술한 참나무류, 아카시아나무, 자작나무 등의 활엽수를 예로 들었으나, 여기서는 바람직한 일실시예로 피톤치드 기능을 배가시키기 위해 편백나무 또는 삼나무을 사용하는 방법을 적용한다. 편백나무 또는 삼나무는 항균작용, 진정작용, 탈취작용, 스트레스 해소작용 등의 기능이 있는 피톤치드를 가장 많이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이러한 기능의 편백나무 또는 삼나무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열처리 장작을 제조할 경우 항균작용, 진정작용, 탈취작용, 스트레스 해소작용 등의 피톤치드 기능을 수반할 수 있고, 또한 편백나무 또는 삼나무향이 배인 열처리 장작을 제조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고열가공처리단계를 수행한 다음 고열가공처리실 내의 온도를 서서히 5 내지 15시간 동안 상온으로 감소시키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는 급격한 온도 변화로 인해 최종 결과물이 쪼개지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삭제
이와 같이 제조되는 본 발명의 캠핑용 열처리 장작은 초기착화시간이 단축된다. 도2는 본 발명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열처리 장작과 일반 장작의 착화시간 비교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2에서 일반장작의 경우 750도씨의 온도조건하에서 18초에 착화되었으나, 170도씨에서 제조된 본 발명의 사례1의 열처리 장작은 15초, 190도씨에서 제조된 본 발명의 사례2의 열처리 장작은 14초에 착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탄소의 함량이 100%에 가까운 일반 참숯은 750도씨의 온도에는 착화가 일어나지 않았다. 본 그래프에서 착화시간은 탄소와 산소의 구성비의 결과와 비례하게 나타났다.
한편, 도3은 콘 칼로리미터 테스트를 통해 본 발명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캠핑용 열처리 장작과 일반 장작, 및 일반 숯의 연소시간에 따른 발열량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3에서 빨간색 선(네모 모양 연결선)이 170도씨 조건하에서 24시간동안 제조한 열처리 장작이고 녹색 선(삼각형 연결선)이 190도씨에서 24시간 제조한 열처리 장작이며, 파란색 선(마름모 모양 연결선)이 일반 장작이다. 아래 그래프에서 나타나듯이 초기에 착화시간이 장작보다 170도씨와 190도씨에서 제조한 열처리 장작이 O/C의 비율이 낮으면 낮을수록 착화시간이 빠르게 나타났다. 170도씨에서 제조한 열처리 장작(빨간색 선)에서는 일정시간이 경과한 이후 내부에서 가연성 가스가 방산되어 높은 발열량을 나타내고 있고, 녹색선의 열처리 장작 또한 파란색 선의 일반 장작과는 달리 천천히 가연성가스 용출에 힘입어 고발열량을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고열가공처리에 의해 잔존수분에 의한 흰 연기를 막아주면서 내부에 가스를 용출시켜 연료로써의 역할을 하는데 도움을 주고 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캠핑용 열처리 장작은 캠프파이어 및 바비큐용 연료로 사용되는 일반 장작의 문제점을 보완하여 초기착화시간이 단축되고, 연소시 연기 및 불티발생이 감소되며, 단위 무게당 발열량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숯의 경우 검정이 묻어나고 잘 부스러지는 단점이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이 없어 숯보다도 사용하기 편리한 효과가 있다.
그리고, 종래 캠핑용 장작으로 침엽수(소나무류)는 송진 등의 이유로 거의 사용되지 못하고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별도의 가공과정을 거침으로서 송진 등이 제거되어 침엽수도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본 발명에 따른 캠핑용 장작은 캠프화이어용 또는 고기구이용으로 사용시 연소하면서 아로마향이 발산되어 심신 이완과 더불어 정신을 맑게 해주는 기능 또한 가지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삭제

Claims (7)

  1. 원목을 일정 길이로 절단하는 단계와,
    상기 절단된 원목을 고열가공처리실로 이동시킨 다음 150℃ 내지 230℃ 온도에서 5시간 내지 24시간 동안 일정 습도범위 내에서 증기분사를 이용하여 습도조절을 병행하면서 고열가공처리를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고열가공처리실 내의 온도를 점차 상온으로 일정 시간 동안 감소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중량비 50wt% 이상 80wt% 미만의 탄소 함량을 가지고 성분 중 셀룰로오스의 열분해를 일으키지 않고 헤미셀룰로오스를 열분해하여 초기착화시간이 단축되고 연기 및 불티 발생이 감소되는 캠핑용 열처리 장작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 단계 후 절단된 원목을 중앙부분이 오목하고 직경이 중앙에서 양측으로 갈수록 커지는 형상으로 회전선반가공 절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져 운반 및 취급이 용이하고 연소효율이 향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핑용 열처리 장작의 제조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열가공처리단계에서 습도조절은 상대습도 50~80%의 범위 내에서 증기분사를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캠핑용 열처리 장작의 제조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열가공처리단계는 상기 절단된 원목의 표면에 아로마오일이 함유된 식물성 오일을 도포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핑용 열처리 장작의 제조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선반가공 절삭단계는 절단된 원목의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중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캠핑용 열처리 장작의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목은 침엽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핑용 열처리 장작의 제조방법.
  7.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캠핑용 열처리 장작.
KR20120120551A 2012-10-29 2012-10-29 캠핑용 열처리 장작 및 그 제조방법 KR1013005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120551A KR101300512B1 (ko) 2012-10-29 2012-10-29 캠핑용 열처리 장작 및 그 제조방법
JP2013078138A JP5667234B2 (ja) 2012-10-29 2013-04-04 熱処理されたキャンプ用薪及びその製造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120551A KR101300512B1 (ko) 2012-10-29 2012-10-29 캠핑용 열처리 장작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0512B1 true KR101300512B1 (ko) 2013-09-02

Family

ID=494545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20120551A KR101300512B1 (ko) 2012-10-29 2012-10-29 캠핑용 열처리 장작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5667234B2 (ko)
KR (1) KR10130051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0192A (ko) 2016-11-28 2018-06-07 이태은 꺼피찌꺼기를 이용한 장작의 제조 방법
KR20200073177A (ko) * 2020-06-03 2020-06-23 백지곤 과실나무를 이용한 캠핑용 장작 제조방법 및 그로써 제조된 캠핑용 장작
KR102254733B1 (ko) * 2020-12-10 2021-05-20 권광희 착화가 용이한 친환경 장작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장작
KR102311240B1 (ko) 2021-06-14 2021-10-14 주식회사 메사 장작 자동 제조방법 및 그 시스템
KR20220138161A (ko) * 2021-04-05 2022-10-12 농업회사법인향유미가(주) 옥수수 착화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1780Y1 (ko) * 2004-03-05 2004-06-02 송화섭 숯에 아로마 원액을 함침한 후 백열등을 전원에 접속시켜숯으로 투사한 아로마테라피용 향기 발생기
JP2004285127A (ja) * 2003-03-19 2004-10-14 Univ Shimane 炭製造方法および炭
JP4044886B2 (ja) * 2003-09-17 2008-02-06 澤藤電機株式会社 炭製造方法および炭製造装置
KR101162893B1 (ko) * 2011-09-09 2012-07-05 최현동 탄화목재 제조방법과 그를 이용하여 제작한 탄화목재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10788A (ja) * 1983-11-19 1985-06-17 Sugano Shigeji 木質燃料とその製造方法
JP2002348583A (ja) * 2001-05-29 2002-12-04 Yasuyuki Suzuki 燃焼用木質材料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2011583A (ja) * 2010-06-29 2012-01-19 Cdm Consulting Co Ltd 燃料用間伐材の処理方法及び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85127A (ja) * 2003-03-19 2004-10-14 Univ Shimane 炭製造方法および炭
JP4044886B2 (ja) * 2003-09-17 2008-02-06 澤藤電機株式会社 炭製造方法および炭製造装置
KR200351780Y1 (ko) * 2004-03-05 2004-06-02 송화섭 숯에 아로마 원액을 함침한 후 백열등을 전원에 접속시켜숯으로 투사한 아로마테라피용 향기 발생기
KR101162893B1 (ko) * 2011-09-09 2012-07-05 최현동 탄화목재 제조방법과 그를 이용하여 제작한 탄화목재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0192A (ko) 2016-11-28 2018-06-07 이태은 꺼피찌꺼기를 이용한 장작의 제조 방법
KR20200073177A (ko) * 2020-06-03 2020-06-23 백지곤 과실나무를 이용한 캠핑용 장작 제조방법 및 그로써 제조된 캠핑용 장작
KR102159905B1 (ko) * 2020-06-03 2020-09-24 백지곤 과실나무를 이용한 캠핑용 장작 제조방법 및 그로써 제조된 캠핑용 장작
KR102254733B1 (ko) * 2020-12-10 2021-05-20 권광희 착화가 용이한 친환경 장작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장작
KR20220138161A (ko) * 2021-04-05 2022-10-12 농업회사법인향유미가(주) 옥수수 착화제
KR102459412B1 (ko) 2021-04-05 2022-10-27 농업회사법인향유미가(주) 옥수수 착화제
KR102311240B1 (ko) 2021-06-14 2021-10-14 주식회사 메사 장작 자동 제조방법 및 그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667234B2 (ja) 2015-02-12
JP2014088540A (ja) 2014-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0512B1 (ko) 캠핑용 열처리 장작 및 그 제조방법
JP4785633B2 (ja) 燃料用成形木炭の製造方法
US8647399B2 (en) Fire starter
JP2006306925A (ja) 燃料用成形木炭の製造方法
KR101665596B1 (ko) 유독가스저감형 친환경 착화탄 및 그 제조방법
JP2008045084A (ja) 廃木材および/または廃竹材の炭化物、廃木材および/または廃竹材および廃油の処理方法および処理装置
US11473027B2 (en) Organic mixture for a fuel source
KR101611939B1 (ko) 밤과 황토를 이용한 숯불구이용 성형탄의 제조방법
US8747494B2 (en) Auto-combustible torch
JP3131583U (ja) 円柱状薪
KR20180060204A (ko) 맥반석을 함유한 커피찌꺼기 숯의 제조 방법
US8636816B1 (en) Composite wood products and methods of manufacture
KR20180060192A (ko) 꺼피찌꺼기를 이용한 장작의 제조 방법
KR101589595B1 (ko) 친환경 인공숯 제조방법 및 친환경 인공숯
WO2008007096A3 (en) Pellets with infused accelerants and method of use
KR101713495B1 (ko) 커피 성형 숯 및 그 제조방법
EP3947609B1 (en) A combustible briquette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combustible briquette
US943554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urning solid fuels by radiative combustion
US20220041947A1 (en) Coconut shell charcoal log
WO2004067686A1 (en) Aromatic wooden briquettes
KR20120017094A (ko) 순간점화가 가능하게 하는 숯의 가공방법
US20210269729A1 (en) Organic Fire Starter
KR20150117952A (ko) 참나무를 이용한 고체연료 및 그 제조 방법
US20230203392A1 (en) Sawdust charcoal
JP2006348277A (ja) 成形炭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