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1555B1 - 비콘을 이용한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카메라 기능 제한방법 및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비콘을 이용한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카메라 기능 제한방법 및 프로그램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61555B1 KR101661555B1 KR1020150042543A KR20150042543A KR101661555B1 KR 101661555 B1 KR101661555 B1 KR 101661555B1 KR 1020150042543 A KR1020150042543 A KR 1020150042543A KR 20150042543 A KR20150042543 A KR 20150042543A KR 101661555 B1 KR101661555 B1 KR 10166155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mera
- wearable device
- glass
- beacon
- signal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3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33
- 230000002779 inactiva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1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2
- 230000004913 activ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0000009849 deactiv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03213 activ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1133 accel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0000010365 information processing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2015 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10000001508 eye Anatomy 0.000 description 4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3128 head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1747 pupil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30000005236 sound signal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3068 sta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174 ascend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4556 brain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10000004087 cornea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415 inactiv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545 inva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08000016339 iris pattern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726 managemen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7531 blood circ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204 blood vessel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5252 bulbus oculi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427 coher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792 cranial nerv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500 data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74 generation of a signal involved in cell-cell signa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886 head m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86 illu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649 mental concent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672 process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07 retin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625 skull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360 synchronis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09 thin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 H04W4/04—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027/0178—Eyeglass type
-
- G02B2027/0179—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콘을 이용한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카메라 기능 제한 방법은, 제1비콘에 의하여 설정된 카메라 사용제한구역에 진입하면,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상기 제1비콘으로부터 카메라 비활성화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카메라 사용제한구역의 진입을 인식하여 카메라 기능을 제한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카메라 기능을 제한하는 단계는, 현재 실내 위치를 측정하는 단계와,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주시방향을 측정하는 단계와, 현재 실내위치를 기준으로 촬영제한방향을 산출하는 단계와, 주시방향이 카메라 사용제한구역 내 촬영제한방향에 포함되면, 카메라 기능을 제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촬영제한방향은, 비활성화신호에 포함되어 수신되며, 주시방향은,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 내 모션 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방위각 또는 고저각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비콘을 이용한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카메라 기능 제한 방법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블루투스 통신신호 발생장치인 비콘을 이용하여 특정영역 진입 시에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카메라 기능을 제한하는 방법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최근 웨어러블 디바이스들이 등장하고 있다. 스마트폰과 연동되는 안경(Glass)형태로 등장하고 있으며, 스마트폰 없이도 독립적으로 작동할 수 있는 형태도 등장하고 있다.
한편, 통신 단말기 내장 카메라의 동작 제한 장치 및 방법이 등록특허 제10-0575756호를 통해 알려져 있다. 이에 따르면, 제한 구역에 진입하는 사용자의 아이디 카드를 확인하여 사용자가 소지한 이동 통신 단말기를 등록하고 등록된 단말기 정보를 카메라 제어 메시지 센터로 전송하는 아이디 카드 서버와; 상기 아이디 카드 서버로부터 제한 구역에 진입하는 단말기 정보를 수신하여 카메라를 내장한 단말기 정보를 등록하고 카메라 제어 메시지를 해당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카메라 제어 메시지 센터와; 상기 카메라 제어 메시지 센터로부터 카메라 제어 메시지를 수신하여 그에 대응한 카메라 동작을 제어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로 구성되어 단문 메시지를 사용하여 제한 구역 내로 진입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 내장된 카메라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사용자가 제한 구역에서 카메라를 사용할 수 없게 하고 그 외 기능은 사용할 수 있게 한다.
해당 발명은 아이디카드를 소지한 사람에 대해서만 단말기의 카메라 사용제한을 적용할 수 있으며, 아이디카드를 소지한 사람의 아이디카드를 확인하는 단계를 필요로 하며, 등록된 단말기에 대해서만 카메라 사용제한을 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또한, 해당 발명은 메시지를 전송하여 단말기를 제어하는 방식으로 문자메시지의 사용이 감소한 현재에는 적절하지 않은 방식이다.
스마트폰 및 손목착용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촬영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디바이스를 지향하는 동작이 필요하여 주변에서 사진촬영을 하는지 여부를 인식할 수 있으나,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사용자가 촬영하는 방향을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착용한 채 응시하는 동작과 사용자의 간단한 신체동작 또는 음성 등에 의한 실행명령만으로 사진촬영을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타인이 인지하지 못하게 사진 촬영하여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 사용 시에 사생활 침해 및 관련 범죄가 급증할 수 있다. 또한, 영화상영관 또는 미술관 등의 저작물의 촬영이 금지되는 장소에서 몰래 촬영하여 무단배포하는 저작권 침해 문제가 급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생활 보호 및 저작권 보호를 위해 비콘을 이용하여 특정한 영역 내에서 카메라 기능을 제한하는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카메라 기능 제한방법 및 프로그램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언급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콘을 이용한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카메라 기능 제한 방법은, 블루투스 통신신호 발생장치인 비콘을 이용하여 특정영역 진입 시에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카메라 기능 제한방법에 있어서, 제1비콘에 의하여 설정된 카메라 사용제한구역에 진입하면,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상기 제1비콘으로부터 카메라 비활성화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상기 카메라 사용제한구역의 진입을 인식하여 카메라 기능을 제한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카메라 기능을 제한하는 단계는, 현재 실내 위치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주시방향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현재 실내위치를 기준으로 촬영제한방향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주시방향이 상기 카메라 사용제한구역 내 촬영제한방향에 포함되면, 상기 카메라 기능을 제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촬영제한방향은, 상기 비활성화신호에 포함되어 수신되며, 상기 주시방향은,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 내 모션 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방위각 또는 고저각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제2비콘에 의하여 설정된 카메라 사용활성구역에 진입하면,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상기 제2비콘으로부터 카메라 활성화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상기 카메라 사용활성구역 진입을 인식하여 카메라 기능을 활성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비콘의 상기 카메라 비활성화신호를 수신한 후 상기 제2비콘의 상기 카메라 활성화신호를 수신하기 전까지 상기 카메라 기능이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화면 상에 카메라 사용의 제한 또는 활성화 여부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로부터 상기 카메라 사용제한 구역 내에서 상기 카메라 기능을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위한 특정한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기동이 제한됨을 사용자에게 알리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상기 카메라 사용제한구역 내에서 카메라 기능을 수동으로 실행하는 경우,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알람을 발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상기 카메라 사용제한구역 내에서 카메라 기능을 수동으로 실행하는 경우,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관리자에게 상기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 기능 제한은, 상기 카메라 사용제한구역의 유형에 따라 촬영되는 영상 또는 이미지의 특정영역을 블러 또는 모자이크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삭제
삭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비콘을 이용한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용 카메라기능 제한프로그램은,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상기 언급된 카메라 기능 제한 방법을 실행하며, 매체에 저장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아래와 같은 다양한 효과들을 가진다.
첫째,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비콘을 이용한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카메라 기능 제한시스템 및 그 방법은 특정지역에서의 사생활 침해를 방지할 수 있다. 사용자가 계단, 에스컬레이터 등에서 타인의 신체부위를 촬영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비콘을 이용한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카메라 기능 제한시스템 및 그 방법은 저작권 침해를 방지할 수 있다.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사용자가 영화상영관에서 영상을 촬영하여 무단 배포하거나, 미술관에서 저작물을 촬영하여 복제품을 만드는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 시스템의 내부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카메라 기능 제한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비콘에 의한 카메라기능제한 및 제2비콘에 의한 카메라기능활성화가 이루어지는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카메라 기능 제한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박물관 내에서 비콘을 이용하여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카메라 기능을 제한하기 위한 비콘 배치 예시도면이다.
도 6은 에스컬레이터에서 비콘을 이용하여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카메라 기능을 제한하기 위한 비콘 배치 예시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카메라 기능 제한을 표시하는 예시도면이다.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콘을 이용한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카메라 기능 제한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카메라 기능 제한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비콘에 의한 카메라기능제한 및 제2비콘에 의한 카메라기능활성화가 이루어지는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카메라 기능 제한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박물관 내에서 비콘을 이용하여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카메라 기능을 제한하기 위한 비콘 배치 예시도면이다.
도 6은 에스컬레이터에서 비콘을 이용하여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카메라 기능을 제한하기 위한 비콘 배치 예시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카메라 기능 제한을 표시하는 예시도면이다.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콘을 이용한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카메라 기능 제한시스템의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 시스템의 내부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카메라 기능 제한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비콘에 의한 카메라기능제한 및 제2비콘에 의한 카메라기능활성화가 이루어지는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카메라 기능 제한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박물관 내에서 비콘을 이용하여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카메라 기능을 제한하기 위한 비콘 배치 예시도면이다. 도 6은 에스컬레이터에서 비콘을 이용하여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카메라 기능을 제한하기 위한 비콘 배치 예시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카메라 기능 제한을 표시하는 예시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콘을 이용한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카메라 기능 제한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7에는 시스템(100), 사용자입력부(110), 어플리케이션(111), 키보드(112), 음성입력부(113), 터치패드(114), GPS신호부(115), 근거리통신(116), 카메라부(120), 제1카메라(121), 제2카메라(122), 제3카메라(123), 센싱부(130), 자이로센서(131), 가속도센서(132), 압력센서(133), 홍채인식센서(134), 심박검출센서(135), 근전도센서(136), 정보처리부(210), 음성인식부(220), 상황평가모듈(230), 음성-텍스트변환모듈(240), 무선통신부(250), 메모리(260), 인터페이스부(270), 출력부(300), 디스플레이부(310), 음향출력부(320), 알람부(330), 및 햅틱모듈(340) 가 도시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 시스템의 내부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 시스템(100)은 사용자입력부(110), 어플리케이션(111), 키보드(112), 음성입력부(113), 터치패드(114), GPS신호부(115), 근거리통신(116), 카메라부(120), 제1카메라(121), 제2카메라(122), 제3카메라(123), 센싱부(130), 자이로센서(131), 가속도센서(132), 압력센서(133), 홍채인식센서(134), 심박검출센서(135), 근전도센서(136), 정보처리부(210), 음성인식부(220), 상황평가모듈(230), 음성-텍스트변환모듈(240), 무선통신부(250), 메모리(260), 인터페이스부(270), 출력부(300), 디스플레이부(310), 음향출력부(320), 알람부(330), 및 햅틱모듈(340)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한다.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 시스템(100)은 이외의 추가적인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120)는 비디오 신호 또는 이미지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디바이스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카메라(120)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310)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카메라(120)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260)에 저장되거나 무선통신부(25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이미지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가 정보처리를 위한 입력으로 쓰이는 경우, 제어부(210)로 이미지 신호 및 비디오 신호를 전달한다.
카메라부(120)는 촬영하는 영상의 방향 또는 목적에 따라 하나 이상의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카메라(121)는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일측에 구비되어 전방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제2카메라(122)는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일측에 구비되어 안구 방향의 영상 또는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제3카메라(123)는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후방 또는 측방에 구비되어, 후방 또는 측방의 영상 또는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음성입력부(113)는 음성신호의 입력을 위한 것으로 마이크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마이크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부를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 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잡음(noise)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사용될 수 있다.
사용자입력부(110)는 사용자가 디바이스의 동작 제어를 위하여 입력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입력부(110)는 키패드(key pad), 키보드, 돔 스위치(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핑거 마우스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터치 패드가 후술하는 디스플레이부(310)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경우, 이를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이라 부를 수 있다.
센싱부(130)는 디바이스의 개폐 상태, 디바이스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등과 같이 디바이스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디바이스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또한, 센싱부(130)는 디바이스의 정보처리를 위한 입력신호를 받는 입력부의 기능을 담당할 수 있으며, 외부 기기 연결 여부 인식 등의 다양한 센싱 기능을 담당할 수 있다.
센싱부(130)는 근접센서(Proximity Sensor), 압력센서(133), 모션 센서, 지문인식센서, 홍채인식센서(134), 심박검출센서(135), 피부온도센서, 피부저항센서 및 심전도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근접센서는 접근하는 물체나,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 등을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할 수 있도록 한다. 근접센서는 교류자계의 변화나 정자계의 변화를 이용하거나, 혹은 정전용량의 변화율 등을 이용하여 근접물체를 검출할 수 있다. 근접센서는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압력센서(133)는 디바이스에 압력이 가해지는지 여부와, 그 압력의 크기 등을 검출할 수 있다. 압력센서(133)는 사용환경에 따라 디바이스에서 압력의 검출이 필요한 부위에 설치될 수 있다. 만일, 압력센서(133)가 디스플레이부(310)에 설치되는 경우, 압력센서(133)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부(310)를 통한 터치 입력과, 터치 입력보다 더 큰 압력이 가해지는 압력터치 입력을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압력센서(133)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압력터치 입력 시에 디스플레이부(310)에 가해지는 압력의 크기도 알 수 있다.
모션 센서는 가속도센서(132), 자이로센서(131), 지자기센서 등의 센서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이를 이용하여 디바이스의 위치나 움직임 등을 감지한다. 모션 센서에 사용될 수 있는 가속도센서(132)는 어느 한 방향의 가속도 변화에 대해서 이를 전기 신호로 바꾸어 주는 소자로서, MEMS(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 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자이로센서(131)는 각속도를 측정하는 센서로서, 기준 방향에 대해 돌아간 방향을 감지할 수 있다.
심박검출센서(135)는 심장 박동에 의한 혈관 굵기의 변화에 따른 광혈류량의 변화를 측정한다. 피부 온도 센서는 온도 변화에 반응하여 저항값이 변화하는 것에 따라 피부 온도를 측정한다. 피부 저항 센서는 피부의 전기 저항을 측정한다.
홍채인식센서(134)는 사람마다 고유한 특성을 가진 안구의 홍채 정보를 이용해 사람을 인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사람의 홍채는 생후 18개월 이후 완성된 뒤, 홍채의 내측연 가까이에 융기되어 있는 원형의 홍채 패턴은 한번 정해지면 거의 변하지 않고, 또 사람마다 모양이 모두 다르다. 따라서 홍채인식은 사람마다 각기 다른 홍채의 특성을 정보화해 이를 보안용 인증기술로 응용한 것이다. 즉, 홍채의 모양과 색깔, 망막 모세혈관의 형태소 등을 분석해 사람을 식별하기 위한 수단으로 개발한 인증방식이다.
홍채인식센서(134)는 홍채의 패턴을 코드화해 이를 영상신호로 바꾸어 비교ㅇ판단하는데, 일반적인 작동 원리는 다음과 같다. 먼저 일정한 거리에서 홍채인식기 중앙에 있는 거울에 사용자의 눈이 맞춰지면, 적외선을 이용한 카메라가 줌렌즈를 통해 초점을 조절한다. 이어 홍채 카메라가 사용자의 홍채를 사진으로 이미지화한 뒤, 홍채 인식 알고리즘이 홍채의 명암 패턴을 영역별로 분석해 개인 고유의 홍채 코드를 생성한다. 마지막으로 홍채 코드가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는 것과 동시에 비교 검색이 이루어진다.
거리센서는 2점간 거리 측정방식, 3각 측량방식(적외선 이용식, 자연광 이용식), 초음파 방식 등이 있다. 종래의 3각측량의 원리와 같이, 2개의 경로에서 온 피측정물을 직각 프리즘으로 반사시켜 2개의 이미지 센서에 입사시켜 상대적 위치가 합치했을 때, 2점간의 거리가 표시된다. 이 경우, 자연광으로 하는 방법(수동식)과 적외선을 발사하여 행하는 방법이 있다. 초음파방식은 피측정물에 지향성이 날카로운 초음파를 송신하여 피측정물로부터의 반사파를 수신하기까지의 시간을 측정하여 거리를 아는 방식인데, 수신센서는 압전소자가 사용된다.
상기 도플러레이더는 레이더의 한 방식으로, 반사파의 위상변화 즉, 파의 도플러 효과를 이용한 레이더이다. 상기 도플러레이더는 펄스 변조되지 않는 사인파를 송ㆍ수신하는 연속파 레이더와 전자파 신호파형으로서 방형파에 펄스 변조된 전파를 사용하는 펄스 레이더가 있다.
연속파 레이더에서는 도플러 주파수 필터의 성능을 얻기 쉽게 하기 위해서 변조주파수를 비교적 높게 취하기 때문에 원거리를 대상으로 한 레이더에는 부적당하나, 도플러 주파수를 가청주파수대로 택함으로써 인체나 차량 등의 움직임을 안정감 있는 소리로서 재생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펄스 레이더는 펄스 송신에서 반사 에코 수신까지의 시간에 의해 목표까지의 거리를 계측한다. 송신 펄스폭 내에서 주파수 변조나 위상 변조를 가하는 펄스 압축 레이더라 일컬어지는 방식이 있다.
출력부(30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또는 알람(alarm) 신호의 출력을 위한 것이다. 출력부(300)에는 디스플레이부(310), 음향출력 모듈, 알람부(330), 및 햅틱 모듈(340)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310)는 디바이스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그리고 디바이스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 촬영되거나 수신된 영상을 각각 혹은 동시에 표시할 수 있으며, UI, GUI를 표시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310)와 터치패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310)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만일, 디스플레이부(310)가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터치스크린 패널, 터치스크린 패널 제어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도 디스플레이부(31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디바이스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310)가 2개 이상 존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에 외부 디스플레이부(310)와 내부 디스플레이부(310)가 동시에 구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310)는 HUD(Head up Display), HMD(Head mounted Display)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HMD(Head mounted Display)란 안경처럼 머리에 쓰고 대형 영상을 즐길 수 있는 영상표시장치다. HUD(Head up Display)는 사용자의 가시영역 내의 유리에 가상 화상(virtual image)을 투영시키는 영상표시장치이다.
음향출력부(320)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2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음향출력 모듈(320)은 디바이스에서 수행되는 기능, 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출력 모듈(320)에는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330)는 디바이스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디바이스에서 발생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330)는 오디오 신호나 비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예를 들면, 진동 형태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알람부(330)는 호 신호가 수신되거나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이를 알리기 위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알람부(330)는 키 신호가 입력된 경우, 키 신호 입력에 대한 피드백으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알람부(330)가 출력하는 신호를 통해 사용자는 이벤트 발생을 인지할 수 있다. 디바이스에서 이벤트 발생 알림을 위한 신호는 디스플레이부(310)나 음향출력부를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340)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340)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 효과가 있다. 햅틱 모듈(340)이 촉각 효과로 진동을 발생시키는 경우, 햅택 모듈(340)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변환가능하며,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무선통신부(250)는 방송수신 모듈, 이동통신 모듈, 무선 인터넷 모듈, 근거리 통신 모듈, 및 GPS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수신 모듈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 방송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한다. 이때,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관리 서버는, 방송신호 및 방송 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나,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 방송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방송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방송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이동통신 모듈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방송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방송수신 모듈은, 각종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하며,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방송수신 모듈은, 이와 같은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방송 신호를 제공하는 모든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방송수신 모듈을 통해 수신된 방송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2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서,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무선 인터넷 모듈은 디바이스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6)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비콘(Beacon),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115)은 복수 개의 GPS 인공위성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메모리(260)는 제어부(21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력되거나 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메모리(2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 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는 인터넷(internet) 상에서 메모리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를 운영할 수도 있다.
메모리(260)는 이하 저장부(260)로 표현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270)는 디바이스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수행한다. 디바이스에 연결되는 외부기기의 예로는, 유/무선 헤드셋, 외부 충전기,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이나 UIM(User Identity Module) 카드 등과 같은 카드 소켓, 오디오 I/O(Input/Output) 단자, 비디오 I/O(Input/Output) 단자, 이어폰 등이 있다. 인터페이스부(270)는 이러한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디바이스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할 수 있고, 디바이스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통상적으로 상기 각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디바이스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210)는 멀티미디어 재생을 위해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입력부 또는 센싱부(130)로부터 입력받은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210)는 얼굴인식을 위한 얼굴 검출 및 얼굴 인식을 수행한다. 즉, 제어부(210)는 얼굴인식을 위한 얼굴검출모듈 및 얼굴인식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얼굴검출모듈은 카메라부(120)에 의해 획득된 카메라 영상에서 얼굴영역만을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얼굴검출모듈은 눈, 코, 입 등의 얼굴 내 특징요소를 인식하여 얼굴영역을 추출할 수 있다. 얼굴인식모듈은 추출된 얼굴영역에서 특징정보를 추출하여 템플릿을 생성하고, 얼굴데이터베이스 내의 얼굴정보 데이터와 탬플릿 비교를 수행하여 얼굴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10)는 카메라부(120)에 의해 획득된 영상 또는 이미지 내에서 문자를 추출하여 인식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제어부(210)는 문자인식을 위한 문자인식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문자인식모듈의 문자 인식 방법으로 광학문자인식(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OCR)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OCR방식은 이미지 스캔으로 얻을 수 있는 사람이 쓰거나 기계로 인쇄한 문서의 활자 영상을 컴퓨터가 편집 가능한 문자코드 등의 형식으로 변환하는 것으로, 소프트웨어로 구현이 가능한 방식이다. 예를 들어, 상기 OCR방식은 미리 준비된 몇 개의 표준 패턴문자와 입력문자를 비교하여 표준 패턴문자와 가장 유사한 것을 해당 문자로 선정할 수 있다. 상기 문자인식모듈이 다양한 언어의 표준 패턴문자를 구비하면, 다양한 언어의 인쇄된 활자를 판독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을 OCR방식 중 Pattern matching기법이라고 하며, 상기 OCR방식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다양한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문자인식모듈의 문자인식 방식은 OCR방식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이미 인쇄되어 있는 오프라인상의 문자를 인식할 수 있는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10)는 제2카메라(122)가 획득한 안구방향 영상 또는 이미지를 바탕으로 시선방향을 인식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제어부(210)는 시선방향 인식을 수행하는 시선분석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의 주시방향과 시선방향을 측정한 후 합성에 의해 계산하여 사용자가 바라보는 방향을 파악할 수 있다. 상기 주시방향은, 사용자의 얼굴 방향을 의미하여, 센싱부(130)의 자이로센서(131) 또는 가속도센서(132)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상기 시선방향은, 사용자의 동공이 바라보는 방향으로, 시선분석모듈에 의해 파악될 수 있다. 시선분석모듈은, 실시간 카메라 이미지의 분석을 통해 동공의 움직임을 검출하고, 각막에 반사된 고정 위치를 기준으로 시선의 방향을 계산하는 방식 등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처리 방법을 통해 동공의 중심 및 조명에 의한 각막 반사광의 위치를 추출하여 이들의 위치 관계를 통해 시선 위치를 계산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이하 정보처리부(210)로 표현될 수 있다.
전원 공급부는 제어부(21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음성인식부(220)는 자동적 수단에 의하여 음성으로부터 언어적 의미 내용을 식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음성파형을 입력하여 단어나 단어열을 식별하고 의미를 추출하는 처리 과정이며, 크게 음성 분석, 음소 인식, 단어 인식, 문장 해석, 의미 추출의 5가지로 분류된다. 음성인식부(220)는 저장된 음성과 입력된 음성이 동일한지 비교하는 음성평가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음성인식부(220)는 입력된 음성을 텍스트로 변환하거나, 텍스트를 음성으로 변환하는 음성-텍스트변환모듈(240)도 더 포함할 수 있다.
뇌파동조신호발생부는 인간의 뇌파를 동조시키기 위한 주파수와 파형을 갖는 뇌파동조신호를 발생시킨다. 즉, 뇌파동조신호발생부는 뇌파 주파수의 진동을 두개골에 전달하여 뇌파를 동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뇌파란 뇌신경 신호가 전달될 때 생기는 전기의 흐름을 말한다. 이러한 뇌파는 잠잘 때 아주 느린 뇌파인 델타파가, 활동할 때는 빠른 뇌파인 베타파가, 명상을 할 때는 중간 정도 속도의 알파파 등이 증가된다. 따라서 뇌파동조신호발생부는 알파파와 세타파를 유도함으로써 학습보조 및 정신집중의 효과를 발휘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비콘을 이용한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카메라 기능 제한방법, 시스템, 및 프로그램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비콘을 이용한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카메라 기능 제한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2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콘을 이용한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카메라 기능 제한 방법은, 제1비콘에 의하여 설정된 카메라 사용제한구역 진입하면,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상기 제1비콘으로부터 카메라 비활성화신호를 수신하는 단계(S100); 및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상기 카메라 사용제한구역 진입을 인식하여 카메라 기능을 제한하는 단계(S2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콘을 이용한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카메라 기능 제한방법을 순서대로 설명한다.
제1비콘에 의하여 설정된 카메라 사용제한구역 진입하면,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제1비콘으로부터 카메라 비활성화신호를 수신한다(S100). 제1비콘(410)은 카메라 기능을 비활성화하는 명령 신호인 카메라 비활성화신호를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카메라 사용제한구역는 제1비콘(410)의 상기 카메라 비활성화신호에 의해 카메라 기능이 제한되는 범위를 의미한다. 상기 카메라 사용제한구역은 제1비콘(410)에 의한 카메라 비활성화신호가 미치는 범위로 설정하거나, 제1비콘(410)에 의한 상기 카메라 비활성화신호를 수신한 후 다른 신호(예를 들어, 카메라 활성화신호)가 수신되기 전의 모든 범위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사용제한구역의 설정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비콘을 이용하여 구역을 설정할 수 있는 모든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제1비콘(410)으로부터 송신되는 카메라 비활성화신호를 엑티브센싱한다.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상기 카메라 사용제한구역 진입을 인식하여 카메라 기능을 제한한다(S200).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카메라 비활성화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카메라 사용제한구역에 진입한 것으로 인식한다. 즉,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상기 수신한 신호가 카메라 비활성화신호에 해당하는 지를 판단하여, 카메라 비활성화신호에 해당하면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상기 카메라 사용제한구역 진입하였음을 인식한다. 그 후,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카메라 기능을 제한하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어, 상기 카메라 비활성화 신호가 미치는 범위 내를 상기 카메라 사용제한구역으로 설정한 경우, 제어부(210)는 상기 카메라 비활성화 신호가 계속해서 수신되는지를 파악하여, 수신되면 카메라 기능 제한을 유지한다.
예를 들어, 도 5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착용하고 박물관 등의 영상 또는 사진 촬영이 제한된 장소에 진입한 경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작품 주변에 배치된 제1비콘으로부터 송신되는 카메라 비활성화신호의 도달 범위 내에서 카메라 사용을 제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람들이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미술작품 등을 영상 또는 사진으로 촬영한 후 복제품을 제작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제2비콘에 의하여 설정된 카메라 사용활성구역에 진입하면,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상기 제2비콘으로부터 카메라 활성화신호를 수신하는 단계(S300); 및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상기 카메라 사용활성구역 진입을 인식하여 카메라 기능을 활성화하는 단계(S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제1비콘의 카메라 비활성화신호를 수신한 후 제2비콘의 카메라 활성화신호를 수신하기 전까지 상기 카메라 기능이 제한할 수 있다.
먼저, 제2비콘에 의하여 설정된 카메라 사용활성구역에 진입하면,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제2비콘으로부터 카메라 활성화신호를 수신한다(S300). 제2비콘(420)은 카메라 사용활성구역을 설정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제2비콘(420)은 카메라 기능을 활성화하는 명령 신호인 카메라 활성화신호를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카메라 사용활성구역은 제2비콘(420)의 상기 카메라 활성화신호에 의해 카메라 기능이 활성화되는 범위를 의미하여, 제2비콘(420)에 의한 카메라 활성화신호가 미치는 범위로 설정하거나, 제2비콘(420)에 의한 상기 카메라 비활성화신호를 수신한 후 다른 신호(예를 들어, 카메라 비활성화신호)가 수신되기 전의 모든 범위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사용활성구역의 설정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비콘을 이용하여 구역을 설정할 수 있는 모든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상기 제2비콘(420)으로부터 송신되는 카메라 활성화신호를 엑티브센싱할 수 있다.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카메라 사용활성구역 진입을 인식하여 카메라 기능을 활성화할 수 있다(S400).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수신한 신호가 상기 카메라 활성화신호에 해당하는 지를 판단하여, 상기 카메라 활성화신호에 해당하면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카메라 사용활성구역 진입하였다고 인식할 수 있다. 그 후,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카메라 기능을 활성화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착용하고 올라가는 에스컬레이터에 진입한 경우, 타인을 도촬하는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카메라 사용을 제한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에스컬레이터 입구에 제1비콘을 설치하여 카메라 비활성화신호를 생성하도록 하고, 에스컬레이터 출구에 제2비콘을 설치하여 카메라 활성화신호를 생성하도록 할 수 있다. 제1비콘과 제2비콘이 발생하는 신호의 세기를 조절하여,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100)가 입구 또는 출구에 가까이 접근하였을 때만 비콘신호를 획득하도록 할 수 있다.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100)가 에스컬레이터의 입구에서 카메라 비활성화신호를 획득하면 카메라 기능이 제한되고, 에스컬레이터의 출구에서 카메라 활성화신호를 획득하면 카메라 기능이 다시 활성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화면 상에 카메라 사용의 제한 또는 활성화 여부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7에서와 같이, 디스플레이부(310)에 상기 카메라 사용활성구역 진입을 표시하여, 사용자가 스스로 상기 카메라 사용활성구역 진입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 사용제한구역에 진입하여 카메라 기능이 아닌 다른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경우에는 디스플레이부(310)에 상기 카메라 사용제한구역 진입을 표시하지 않고, 카메라 기능이 포함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경우에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제한하면서 디스플레이부(310)에 사용제한구역 진입을 표시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로부터 상기 카메라 사용제한 구역 내에서 상기 카메라 기능을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위한 특정한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기동이 제한됨을 사용자에게 알리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일실시예가 상기 모션센서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착용한 사용자의 고개움직임 등의 동작으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특성에 따라, 상기 카메라 사용제한구역 내에서,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위한 동작을 모션센서를 통해 인식하고, 상기 동작이 카메라 기능을 포함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동작에 해당하면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제한할 수 있다. 그 후,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기동이 제한됨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사용자에게 알림을 제공하는 방식으로는, 음성 알림을 제공하는 방식,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상에 표시하는 방식, 진동 알람을 제공하는 방식 등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상기 카메라 사용제한구역 내에서 카메라 기능을 수동으로 실행하는 경우,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알람을 발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관리자 권한으로 카메라 기능을 수동 실행하는 경우,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알람을 발생시킨다. 진동이나 음성을 통해 사용자에게 알람을 발생시켜 상기 카메라 사용제한구역 내임을 다시 인식시킬 수 있으며, 외부로 음성알람이 발생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가 상기 카메라 사용제한구역 내에서 카메라 기능을 수동으로 실행하는 경우,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관리자에게 상기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관리자 권한으로 카메라 기능을 수동 실행하는 경우,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해당 장소(예를 들어, 영화관 또는 미술관 등) 내의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해당 장소의 관리자에게 전송한다. 예를 들어, 상기 카메라 비활성화신호에 의해 상기 카메라 사용제한구역으로 설정된 영화상영관 내에서 사용자가 관리자 권한을 바탕으로 카메라 기능을 수동 실행하여 영화를 몰래 촬영하는 경우,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상기 영화상영관 내의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좌석 위치를 전송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수동으로 상기 글래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카메라 기능을 실행하는 경우, 해당 장소의 관리자가 상기 사용자의 위치를 찾아가서 직접 제재할 수 있으며, 추후 조치를 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 기능 제한은, 상기 카메라 사용제한구역의 유형에 따라 촬영되는 영상 또는 이미지의 특정영역을 블러 또는 모자이크 처리할 수 있다. 즉, 특정 장소에서 카메라 사용을 전면적으로 제한할 수 없는 경우에는 촬영되는 영상 또는 이미지 내의 특정영역만을 블러 또는 모자이크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 기능 제한 단계(S200)는,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주시방향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주시방향이 상기 카메라 사용제한구역 내 촬영제한방향에 포함되면, 상기 카메라 기능을 제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서와 같이,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착용한 사용자가 상승하는 에스컬레이터를 탑승하는 경우에는 고개를 들어서 사진 또는 영상을 촬영하는 경우만 제한하면 된다. 따라서,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주시방향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주시방향은 사용자가 바라보는 얼굴방향으로,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모션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방위각 또는 고저각을 의미한다. 그 후,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제1비콘이 발신하는 비활성화신호 내에 포함된 촬영제한방향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그 후,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제어부(210)은, 측정된 주시방향이 상기 카메라 사용제한구역 내 촬영제한방향에 포함되면, 상기 카메라 기능을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 기능 제한 단계는, 현재 실내 위치를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실내위치를 기준으로 촬영제한방향이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즉,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무선통신신호를 통한 실내 측위 방식, 도 4에서와 같이, 제1카메라에 의해 획득된 실시간 전방 영상의 분석을 통한 실내 측위 방식 등을 통해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인식하고, 현재 위치를 바탕으로 촬영제한여부 또는 촬영제한방향을 인식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콘을 이용한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카메라 기능 제한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다만, 도 6에 있어서, 기 설명한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비콘을 이용한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카메라 기능 제한시스템은, 상기 제1비콘(410), 상기 제2비콘(420), 상기 무선통신부(250) 및 상기 정보처리부(210)를 포함한다.
상기 제1비콘(410)은 카메라 비활성화 신호를 송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제2비콘(420)은 카메라 활성화 신호를 송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무선통신부(250)는 상기 제1비콘(410) 또는 상기 제2비콘(420)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정보처리부(210)는 카메라 사용제한구역을 인식하고, 카메라 기능을 제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모션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카메라 사용제한구역 내 어플리케이션 실행 동작을 인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모션센서는, 가속도센서(132), 지자기센서, 자이로센서(131)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3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310)는 사용자에게 카메라 사용의 제한 또는 활성화 여부를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알람부(3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알람부(330)는, 사용자가 상기 카메라 사용제한구역 내에서 카메라 기능을 수동으로 실행하는 경우,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무선통신부(250)는, 사용자가 상기 카메라 사용제한구역 내에서 카메라 기능을 수동으로 실행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관리자에게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콘을 이용한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카메라 기능 제한방법은, 하드웨어인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와 결합되어 실행되기 위해 프로그램(또는 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어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전술한 프로그램은,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100)가 프로그램을 읽어 들여 프로그램으로 구현된 상기 방법들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프로세서(CPU)가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장치 인터페이스를 통해 읽힐 수 있는 C, C++, JAVA, 기계어 등의 컴퓨터 언어로 코드화된 코드(Code)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코드는 상기 방법들을 실행하는 필요한 기능들을 정의한 함수 등과 관련된 기능적인 코드(Functional Code)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기능들을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프로세서가 소정의 절차대로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실행 절차 관련 제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코드는 상기 기능들을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프로세서가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추가 정보나 미디어가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내부 또는 외부 메모리의 어느 위치(주소, 번지)에서 참조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메모리 참조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프로세서가 상기 기능들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원격(Remote)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통신이 필요한 경우, 코드는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원격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어떻게 통신해야 하는지, 통신 시 어떠한 정보나 미디어를 송수신해야 하는지 등에 대한 통신 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되는 매체는,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저장되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즉,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100)가 접속할 수 있는 다양한 서버 상의 다양한 기록매체 또는 사용자의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상의 다양한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아래와 같은 다양한 효과들을 가진다.
첫째,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비콘을 이용한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카메라 기능 제한시스템 및 그 방법은 특정지역에서의 사생활 침해를 방지할 수 있다. 사용자가 계단, 에스컬레이터 등에서 타인의 신체부위를 촬영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비콘을 이용한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카메라 기능 제한시스템 및 그 방법은 저작권 침해를 방지할 수 있다.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사용자가 영화상영관에서 영상을 촬영하여 무단 배포하거나, 미술관에서 저작물을 촬영하여 복제품을 만드는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 시스템 110 : 사용자입력부
111 : 어플리케이션 112 : 키보드
113 : 음성입력부 114 : 터치패드
115 : GPS신호부 116 : 근거리통신
120 : 카메라부 121 : 제1카메라
122 : 제2카메라 123 : 제3카메라
130 : 센싱부 131 : 자이로센서
132 : 가속도센서 133 : 압력센서
134 : 홍체인식센서 135 : 심박검출센서
136 : 근전도센서
210 : 정보처리부 220 : 음성인식부
230 : 상황평가모듈 240 : 음성-텍스트변환모듈
250 : 무선통신부 260 : 메모리
270 : 인터페이스부
300 : 출력부 310 : 디스플레이부
320 : 음향출력부 330 : 알람부
340 : 햅틱모듈
410 : 제1비콘 420 : 제2비콘
111 : 어플리케이션 112 : 키보드
113 : 음성입력부 114 : 터치패드
115 : GPS신호부 116 : 근거리통신
120 : 카메라부 121 : 제1카메라
122 : 제2카메라 123 : 제3카메라
130 : 센싱부 131 : 자이로센서
132 : 가속도센서 133 : 압력센서
134 : 홍체인식센서 135 : 심박검출센서
136 : 근전도센서
210 : 정보처리부 220 : 음성인식부
230 : 상황평가모듈 240 : 음성-텍스트변환모듈
250 : 무선통신부 260 : 메모리
270 : 인터페이스부
300 : 출력부 310 : 디스플레이부
320 : 음향출력부 330 : 알람부
340 : 햅틱모듈
410 : 제1비콘 420 : 제2비콘
Claims (10)
- 블루투스 통신신호 발생장치인 비콘을 이용하여 특정영역 진입 시에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카메라 기능 제한방법에 있어서,
제1비콘에 의하여 설정된 카메라 사용제한구역에 진입하면,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상기 제1비콘으로부터 카메라 비활성화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상기 카메라 사용제한구역의 진입을 인식하여 카메라 기능을 제한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카메라 기능을 제한하는 단계는,
현재 실내 위치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주시방향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현재 실내위치를 기준으로 촬영제한방향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주시방향이 상기 카메라 사용제한구역 내 촬영제한방향에 포함되면, 상기 카메라 기능을 제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촬영제한방향은, 상기 비활성화신호에 포함되어 수신되며,
상기 주시방향은,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 내 모션 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방위각 또는 고저각에 의해 결정되는 것인,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카메라 기능 제한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제2비콘에 의하여 설정된 카메라 사용활성구역에 진입하면,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상기 제2비콘으로부터 카메라 활성화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상기 카메라 사용활성구역 진입을 인식하여 카메라 기능을 활성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비콘의 상기 카메라 비활성화신호를 수신한 후 상기 제2비콘의 상기 카메라 활성화신호를 수신하기 전까지 상기 카메라 기능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카메라 기능 제한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화면 상에 카메라 사용의 제한 또는 활성화 여부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카메라 기능 제한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상기 카메라 사용제한 구역 내에서 상기 카메라 기능을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위한 특정한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기동이 제한됨을 사용자에게 알리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카메라 기능 제한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카메라 사용제한구역 내에서 상기 카메라 기능을 수동으로 실행하는 경우,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알람을 발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카메라 기능 제한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카메라 사용제한구역 내에서 상기 카메라 기능을 실행하는 경우,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관리자에게 상기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카메라 기능 제한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기능 제한은,
상기 카메라 사용제한구역의 유형에 따라 촬영되는 영상 또는 이미지의 특정영역을 블러 또는 모자이크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카메라 기능 제한방법.
- 삭제
- 삭제
- 하드웨어인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결합되어,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용 카메라 기능 제한 프로그램.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PCT/KR2015/007277 WO2016010328A1 (ko) | 2014-07-14 | 2015-07-14 |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정보처리 시스템 및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88641 | 2014-07-14 | ||
KR20140088641 | 2014-07-14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08448A KR20160008448A (ko) | 2016-01-22 |
KR101661555B1 true KR101661555B1 (ko) | 2016-10-04 |
Family
ID=553089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42543A KR101661555B1 (ko) | 2014-07-14 | 2015-03-26 | 비콘을 이용한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카메라 기능 제한방법 및 프로그램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61555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726339B2 (en) | 2021-11-30 | 2023-08-15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System for digital recording protection and electrochromic device fram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9212122A1 (ko) | 2018-04-30 | 2019-11-07 | Lee Hwiwon |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객체의 이벤트 감지 방법 및 이를 운용하는 관리 서버 |
WO2020226431A1 (ko) | 2019-05-07 | 2020-11-12 | 인핸드플러스 주식회사 | 카메라 모듈 및 무선통신 장치를 활용하여 이벤트 감지를 수행하는 웨어러블 기기 |
KR102344338B1 (ko) | 2020-08-19 | 2021-12-29 | 인핸드플러스 주식회사 | 약물 이행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 |
JP2022041765A (ja) * | 2020-09-01 | 2022-03-11 | ソフトバンク株式会社 | 眼鏡型デバイス、プログラム、及び表示制御装置 |
WO2023113242A1 (ko) * | 2021-12-13 | 2023-06-22 | 삼성전자 주식회사 | 사용자 로그인을 지원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817309B2 (ja) * | 1996-10-15 | 2006-09-06 | キヤノン株式会社 | カメラ制御システム |
KR101062653B1 (ko) * | 2003-08-12 | 2011-09-06 |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 촬영 제한형 무선 단말기 |
KR100636982B1 (ko) * | 2004-08-09 | 2006-10-19 |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 영상촬영 제어장치 및 그 방법과 영상촬영 제어기능을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
-
2015
- 2015-03-26 KR KR1020150042543A patent/KR101661555B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726339B2 (en) | 2021-11-30 | 2023-08-15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System for digital recording protection and electrochromic device fram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08448A (ko) | 2016-01-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61555B1 (ko) | 비콘을 이용한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카메라 기능 제한방법 및 프로그램 | |
CN106471419B (zh) | 管理信息显示 | |
KR102483503B1 (ko) | 안전한 웨어러블 컴퓨터 인터페이스 | |
US10571715B2 (en) | Adaptive visual assistive device | |
CN112507799A (zh) | 基于眼动注视点引导的图像识别方法、mr眼镜及介质 | |
KR101684264B1 (ko) |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버스도착 알림방법 및 이를 이용한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용 프로그램 | |
KR20160017593A (ko) |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탈출경로 제공방법 및 프로그램 | |
KR20180109109A (ko) | 홍채 기반 인증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 |
KR101728707B1 (ko) |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실내 전자기기 제어방법 및 제어프로그램 | |
KR20160015142A (ko) |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긴급시 비상연락방법 및 프로그램 | |
KR20170031722A (ko) |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정보처리 방법 | |
KR102251710B1 (ko) |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외부디바이스 내 콘텐츠 관리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로 독출 가능한 기록매체 | |
KR20160011302A (ko) |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영상 또는 이미지 처리시스템 및 처리방법 | |
KR101629758B1 (ko) |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잠금해제 방법 및 프로그램 | |
WO2016010328A1 (ko) |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정보처리 시스템 및 방법 | |
KR20160024140A (ko) |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매장정보 제공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 |
WO2016018063A2 (ko) |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정보처리 시스템 및 방법 | |
CN115857781A (zh) | 电子设备的自适应用户登记 | |
KR20160015143A (ko) | 포탄방향인식시스템,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포탄 예상 탄착지 제공방법 및 프로그램 | |
KR20160025150A (ko) |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소셜데이팅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 |
KR20160016216A (ko) |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실시간 전방주시시스템 및 전방주시방법 | |
KR101661556B1 (ko) |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신원 확인 방법 및 프로그램 | |
KR20160015704A (ko) |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지인 인식시스템 및 인식방법 | |
KR20160016149A (ko) |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졸음방지시스템 및 졸음방지방법 | |
KR20160023226A (ko) |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연동된 외부단말기 위치 탐색 시스템 및 탐색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926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