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7593A -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탈출경로 제공방법 및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탈출경로 제공방법 및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7593A
KR20160017593A KR1020150042547A KR20150042547A KR20160017593A KR 20160017593 A KR20160017593 A KR 20160017593A KR 1020150042547 A KR1020150042547 A KR 1020150042547A KR 20150042547 A KR20150042547 A KR 20150042547A KR 20160017593 A KR20160017593 A KR 201600175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wearable device
user
glass
loc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25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성철
엄정한
김진영
이경현
김대중
김석기
유철현
김주천
김주원
Original Assignee
넥시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넥시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넥시스 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15/007914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6018063A2/ko
Publication of KR201600175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75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00Devices or single parts for facilitating escape from buildings or the like, e.g. protection shields, protection screens;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smoke penetrating into distinct parts of building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5/00Other devices for rescuing from fir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0Instruments for performing navigational calculations
    • G01C21/206Instruments for performing navigational calcu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indoor navig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89Sight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탈출경로 제공방법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탈출경로 제공방법은, 건물 내 사건발생위치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100); 상기 사건발생위치정보를 바탕으로, 안전한 비상구 위치정보를 판단하여 탈출경로를 계산하는 단계(S200); 상기 계산된 탈출경로를 따라 안내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300); 및 사용자에게 상기 안내정보를 제공하는 단계(S4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비콘신호를 통해 획득된 사건발생장소정보를 피해가는 실질적으로 안전한 경로를 사람들에게 제공하여, 사고에 의한 사상자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연기에 의해 시인성이 저하되는 경우에도, 사용자의 눈앞에 위치한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부 상에 경로 안내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비상구 또는 대피장소를 용이하게 찾아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탈출경로 제공방법 및 프로그램 {METHOD AND PROGRAM FOR NOTIFYING EMERGENCY EXIT BY BEACON AND WEARABLE GLASS DEVICE}
본 발명은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탈출경로 제공방법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사고 현장에서 탈출할 수 있는 경로를 안내하는 방법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최근 웨어러블 디바이스들이 등장하고 있다. 스마트폰과 연동되는 안경(Glass)형태로 등장하고 있으며, 스마트폰 없이도 독립적으로 작동할 수 있는 형태도 등장하고 있다.
한편, 화재 등의 비상발생시, 비상구 또는 지정된 대피장소로 사람들을 유도하기 위해 비상구 방향을 표시하는 종래의 비상구 유도등이 건물 내에 부착되어 있다.
그러나 실제 화재 발생시에는 복수층의 건물의 중간층에서 화재가 발생될 수 있다. 이런 경우 비상계단이나 엘리베이터 등이 설치된 방향을 일방적으로 표시하도록 설치된 비상구 유도등을 따라 화재가 발생된 층보다 위의 층에 있는 사람이 무작정 아래층으로 대피하면 화재 연기 등에 큰 피해를 입을 수 있다. 이런 경우에는 상황에 맞게 건물의 옥상 등으로 대피를 하거나, 별도의 대피공간으로 대피를 해야 한다. 따라서 비상구 유도등은 사람들에게 실질적으로 안전한 장소로 가는 경로를 안내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어서, 사고현장의 정보를 획득하여 안전하게 빠져나갈 수 있는 탈출경로를 사람들에게 제공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또한, 건물 내에서 화재 발생시에는 건물 내에 많은 연기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연기에 의해 비상구 유도등이 가려져서 시인성이 저하되므로, 사람들이 비상구 유도등을 제대로 확인하기 어렵게 되어, 안전한 장소로의 이동이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사고가 발생한 위급상황에서 사용자의 통신디바이스에 직접 탈출경로를 제공해줄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지하철 역사나 지하도, 학교, 병원, 백화점 등의 각종 건물 내 사고발생 시 무선통신을 통해 사건발생장소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하여 안전한 탈출경로를 계산하고, 상기 경로 안내를 수행하는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탈출경로 제공방법 및 프로그램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언급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탈출경로 제공방법은, 건물 내 사건발생위치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건발생위치정보를 바탕으로, 적절한 비상구 위치정보를 판단하여 탈출경로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계산된 탈출경로를 따라 안내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사용자에게 상기 안내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사건발생위치정보는, 특정 건물 내의 사용자의 대피를 요하는 특정한 사건이 발생한 위치정보이다.
또한, 상기 안내정보 제공단계는, 상기 안내정보를 화면에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알리는 방식, 상기 안내정보를 음향출력으로 사용자에게 알리는 방식, 진동 발생의 세기와 진동 발생 방향을 통해 사용자에게 상기 안내정보를 알리는 방식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실내 측위를 통해 현재 위치를 측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탈출경로 계산단계는 상기 실내위치정보 및 사건발생위치정보를 바탕으로 적절한 비상구 및 탈출경로를 계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의 실시간 위치정보를 무선통신을 통해 외부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건물 위치정보를 파악하는 단계; 및 상기 건물 위치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건물 내부지도를 통제서버에 요청하여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무선통신을 통해 실시간 사건진행상황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안내정보 제공단계는 상기 사건발생위치정보 또는 상기 사건진행상황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건진행상황정보는, 상기 사건이 화재사고인 경우, 통제서버에 의해 작동한 스프링쿨러 위치 또는 개수, 건물 내 카메라 또는 통신장비의 위치 또는 고장시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바탕으로 분석되어,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내정보는, 이동경로 정보, 상기 이동경로 전환 방향, 상기 이동경로 전환까지 남은 거리, 이동시 주의사항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용 탈출경로 제공프로그램은,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상기 언급된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탈출경로 제공방법을 실행하며, 매체에 저장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아래와 같은 다양한 효과들을 가진다.
첫째,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무선통신신호를 통해 획득된 사건발생장소정보를 피해가는 실질적으로 안전한 경로를 사람들에게 제공하여, 사고에 의한 사상자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연기에 의해 시인성이 저하되는 경우에도, 사용자의 눈 앞에 위치한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부 상에 경로 안내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비상구 또는 대피장소를 용이하게 찾아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 시스템의 내부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탈출경로 제공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4는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부상에 안내정보를 표시한 예시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콘과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탈출경로 제공시스템 의 내부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제서버, 비콘 및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탈출경로 제공시스템의 내부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도 1은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 시스템의 내부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탈출경로 제공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4는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부상에 안내정보를 표시한 예시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콘과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탈출경로 제공시스템 의 내부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제서버, 비콘 및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탈출경로 제공시스템의 내부구성도이다.도 1 내지 도 6에는 시스템(100), 사용자입력부(110), 어플리케이션(111), 키보드(112), 음성입력부(113), 터치패드(114), GPS신호부(115), 근거리통신(116), 카메라부(120), 제1카메라(121), 제2카메라(122), 제3카메라(123), 센싱부(130), 자이로센서(131), 가속도센서(132), 압력센서(133), 홍채인식센서(134), 심박검출센서(135), 근전도센서(136), 정보처리부(210), 음성인식부(220), 상황평가모듈(230), 음성-텍스트변환모듈(240), 무선통신부(250), 메모리(260), 인터페이스부(270), 출력부(300), 디스플레이부(310), 음향출력부(320), 알람부(330), 햅틱모듈(340), 비콘(400); 및 통제서버(500); 가 도시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 시스템의 내부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 시스템(100)은 사용자입력부(110), 어플리케이션(111), 키보드(112), 음성입력부(113), 터치패드(114), GPS신호부(115), 근거리통신(116), 카메라부(120), 제1카메라(121), 제2카메라(122), 제3카메라(123), 센싱부(130), 자이로센서(131), 가속도센서(132), 압력센서(133), 홍채인식센서(134), 심박검출센서(135), 근전도센서(136), 정보처리부(210), 음성인식부(220), 상황평가모듈(230), 음성-텍스트변환모듈(240), 무선통신부(250), 메모리(260), 인터페이스부(270), 출력부(300), 디스플레이부(310), 음향출력부(320), 알람부(330), 및 햅틱모듈(340)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한다.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 시스템(100)은 이외의 추가적인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120)는 비디오 신호 또는 이미지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디바이스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카메라(120)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310)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카메라(120)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260)에 저장되거나 무선통신부(25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이미지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가 정보처리를 위한 입력으로 쓰이는 경우, 제어부(210)로 이미지 신호 및 비디오 신호를 전달한다.
카메라부(120)는 촬영하는 영상의 방향 또는 목적에 따라 하나 이상의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카메라(121)는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일측에 구비되어 전방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제2카메라(122)는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일측에 구비되어 안구 방향의 영상 또는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제3카메라(123)는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후방 또는 측방에 구비되어, 후방 또는 측방의 영상 또는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음성입력부(113)는 음성신호의 입력을 위한 것으로 마이크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마이크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부를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 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잡음(noise)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사용될 수 있다.
사용자입력부(110)는 사용자가 디바이스의 동작 제어를 위하여 입력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입력부(110)는 키패드(key pad), 키보드, 돔 스위치(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핑거 마우스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터치 패드가 후술하는 디스플레이부(310)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경우, 이를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이라 부를 수 있다.
센싱부(130)는 디바이스의 개폐 상태, 디바이스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등과 같이 디바이스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디바이스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또한, 센싱부(130)는 디바이스의 정보처리를 위한 입력신호를 받는 입력부의 기능을 담당할 수 있으며, 외부 기기 연결 여부 인식 등의 다양한 센싱 기능을 담당할 수 있다.
센싱부(130)는 근접센서(Proximity Sensor), 압력센서(133), 모션 센서, 지문인식센서, 홍채인식센서(134), 심박검출센서(135), 피부온도센서, 피부저항센서 및 심전도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근접센서는 접근하는 물체나,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 등을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할 수 있도록 한다. 근접센서는 교류자계의 변화나 정자계의 변화를 이용하거나, 혹은 정전용량의 변화율 등을 이용하여 근접물체를 검출할 수 있다. 근접센서는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압력센서(133)는 디바이스에 압력이 가해지는지 여부와, 그 압력의 크기 등을 검출할 수 있다. 압력센서(133)는 사용환경에 따라 디바이스에서 압력의 검출이 필요한 부위에 설치될 수 있다. 만일, 압력센서(133)가 디스플레이부(310)에 설치되는 경우, 압력센서(133)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부(310)를 통한 터치 입력과, 터치 입력보다 더 큰 압력이 가해지는 압력터치 입력을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압력센서(133)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압력터치 입력 시에 디스플레이부(310)에 가해지는 압력의 크기도 알 수 있다.
모션 센서는 가속도센서(132), 자이로센서(131), 지자기센서 등의 센서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이를 이용하여 디바이스의 위치나 움직임 등을 감지한다. 모션 센서에 사용될 수 있는 가속도센서(132)는 어느 한 방향의 가속도 변화에 대해서 이를 전기 신호로 바꾸어 주는 소자로서, MEMS(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 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자이로센서(131)는 각속도를 측정하는 센서로서, 기준 방향에 대해 돌아간 방향을 감지할 수 있다.
심박검출센서(135)는 심장 박동에 의한 혈관 굵기의 변화에 따른 광혈류량의 변화를 측정한다. 피부 온도 센서는 온도 변화에 반응하여 저항값이 변화하는 것에 따라 피부 온도를 측정한다. 피부 저항 센서는 피부의 전기 저항을 측정한다.
홍채인식센서(134)는 사람마다 고유한 특성을 가진 안구의 홍채 정보를 이용해 사람을 인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사람의 홍채는 생후 18개월 이후 완성된 뒤, 홍채의 내측연 가까이에 융기되어 있는 원형의 홍채 패턴은 한번 정해지면 거의 변하지 않고, 또 사람마다 모양이 모두 다르다. 따라서 홍채인식은 사람마다 각기 다른 홍채의 특성을 정보화해 이를 보안용 인증기술로 응용한 것이다. 즉, 홍채의 모양과 색깔, 망막 모세혈관의 형태소 등을 분석해 사람을 식별하기 위한 수단으로 개발한 인증방식이다.
홍채인식센서(134)는 홍채의 패턴을 코드화해 이를 영상신호로 바꾸어 비교ㅇ판단하는데, 일반적인 작동 원리는 다음과 같다. 먼저 일정한 거리에서 홍채인식기 중앙에 있는 거울에 사용자의 눈이 맞춰지면, 적외선을 이용한 카메라가 줌렌즈를 통해 초점을 조절한다. 이어 홍채 카메라가 사용자의 홍채를 사진으로 이미지화한 뒤, 홍채 인식 알고리즘이 홍채의 명암 패턴을 영역별로 분석해 개인 고유의 홍채 코드를 생성한다. 마지막으로 홍채 코드가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는 것과 동시에 비교 검색이 이루어진다.
거리센서는 2점간 거리 측정방식, 3각 측량방식(적외선 이용식, 자연광 이용식), 초음파 방식 등이 있다. 종래의 3각측량의 원리와 같이, 2개의 경로에서 온 피측정물을 직각 프리즘으로 반사시켜 2개의 이미지 센서에 입사시켜 상대적 위치가 합치했을 때, 2점간의 거리가 표시된다. 이 경우, 자연광으로 하는 방법(수동식)과 적외선을 발사하여 행하는 방법이 있다. 초음파방식은 피측정물에 지향성이 날카로운 초음파를 송신하여 피측정물로부터의 반사파를 수신하기까지의 시간을 측정하여 거리를 아는 방식인데, 수신센서는 압전소자가 사용된다.
상기 도플러레이더는 레이더의 한 방식으로, 반사파의 위상변화 즉, 파의 도플러 효과를 이용한 레이더이다. 상기 도플러레이더는 펄스 변조되지 않는 사인파를 송ㆍ수신하는 연속파 레이더와 전자파 신호파형으로서 방형파에 펄스 변조된 전파를 사용하는 펄스 레이더가 있다.
연속파 레이더에서는 도플러 주파수 필터의 성능을 얻기 쉽게 하기 위해서 변조주파수를 비교적 높게 취하기 때문에 원거리를 대상으로 한 레이더에는 부적당하나, 도플러 주파수를 가청주파수대로 택함으로써 인체나 차량 등의 움직임을 안정감 있는 소리로서 재생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펄스 레이더는 펄스 송신에서 반사 에코 수신까지의 시간에 의해 목표까지의 거리를 계측한다. 송신 펄스폭 내에서 주파수 변조나 위상 변조를 가하는 펄스 압축 레이더라 일컬어지는 방식이 있다.
출력부(30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또는 알람(alarm) 신호의 출력을 위한 것이다. 출력부(300)에는 디스플레이부(310), 음향출력 모듈, 알람부(330), 및 햅틱 모듈(340)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310)는 디바이스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그리고 디바이스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 촬영되거나 수신된 영상을 각각 혹은 동시에 표시할 수 있으며, UI, GUI를 표시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310)와 터치패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310)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만일, 디스플레이부(310)가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터치스크린 패널, 터치스크린 패널 제어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도 디스플레이부(31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디바이스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310)가 2개 이상 존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에 외부 디스플레이부(310)와 내부 디스플레이부(310)가 동시에 구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310)는 HUD(Head up Display), HMD(Head mounted Display)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HMD(Head mounted Display)란 안경처럼 머리에 쓰고 대형 영상을 즐길 수 있는 영상표시장치다. HUD(Head up Display)는 사용자의 가시영역 내의 유리에 가상 화상(virtual image)을 투영시키는 영상표시장치이다.
음향출력부(320)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2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음향출력 모듈(320)은 디바이스에서 수행되는 기능, 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출력 모듈(320)에는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330)는 디바이스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디바이스에서 발생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330)는 오디오 신호나 비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예를 들면, 진동 형태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알람부(330)는 호 신호가 수신되거나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이를 알리기 위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알람부(330)는 키 신호가 입력된 경우, 키 신호 입력에 대한 피드백으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알람부(330)가 출력하는 신호를 통해 사용자는 이벤트 발생을 인지할 수 있다. 디바이스에서 이벤트 발생 알림을 위한 신호는 디스플레이부(310)나 음향출력부를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340)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340)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 효과가 있다. 햅틱 모듈(340)이 촉각 효과로 진동을 발생시키는 경우, 햅택 모듈(340)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변환가능하며,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무선통신부(250)는 방송수신 모듈, 이동통신 모듈, 무선 인터넷 모듈, 근거리 통신 모듈, 및 GPS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수신 모듈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 방송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한다. 이때,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관리 서버는, 방송신호 및 방송 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나,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 방송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방송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방송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이동통신 모듈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방송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방송수신 모듈은, 각종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하며,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방송수신 모듈은, 이와 같은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방송 신호를 제공하는 모든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방송수신 모듈을 통해 수신된 방송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2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서,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무선 인터넷 모듈은 디바이스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6)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비콘(Beacon),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115)은 복수 개의 GPS 인공위성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메모리(260)는 제어부(21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력되거나 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메모리(2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 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는 인터넷(internet) 상에서 메모리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를 운영할 수도 있다.
메모리(260)는 이하 저장부(260)로 표현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270)는 디바이스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수행한다. 디바이스에 연결되는 외부기기의 예로는, 유/무선 헤드셋, 외부 충전기,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이나 UIM(User Identity Module) 카드 등과 같은 카드 소켓, 오디오 I/O(Input/Output) 단자, 비디오 I/O(Input/Output) 단자, 이어폰 등이 있다. 인터페이스부(270)는 이러한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디바이스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할 수 있고, 디바이스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통상적으로 상기 각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디바이스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210)는 멀티미디어 재생을 위해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입력부 또는 센싱부(130)로부터 입력받은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210)는 얼굴인식을 위한 얼굴 검출 및 얼굴 인식을 수행한다. 즉, 제어부(210)는 얼굴인식을 위한 얼굴검출모듈 및 얼굴인식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얼굴검출모듈은 카메라부(120)에 의해 획득된 카메라 영상에서 얼굴영역만을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얼굴검출모듈은 눈, 코, 입 등의 얼굴 내 특징요소를 인식하여 얼굴영역을 추출할 수 있다. 얼굴인식모듈은 추출된 얼굴영역에서 특징정보를 추출하여 템플릿을 생성하고, 얼굴데이터베이스 내의 얼굴정보 데이터와 탬플릿 비교를 수행하여 얼굴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10)는 카메라부(120)에 의해 획득된 영상 또는 이미지 내에서 문자를 추출하여 인식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제어부(210)는 문자인식을 위한 문자인식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문자인식모듈의 문자 인식 방법으로 광학문자인식(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OCR)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OCR방식은 이미지 스캔으로 얻을 수 있는 사람이 쓰거나 기계로 인쇄한 문서의 활자 영상을 컴퓨터가 편집 가능한 문자코드 등의 형식으로 변환하는 것으로, 소프트웨어로 구현이 가능한 방식이다. 예를 들어, 상기 OCR방식은 미리 준비된 몇 개의 표준 패턴문자와 입력문자를 비교하여 표준 패턴문자와 가장 유사한 것을 해당 문자로 선정할 수 있다. 상기 문자인식모듈이 다양한 언어의 표준 패턴문자를 구비하면, 다양한 언어의 인쇄된 활자를 판독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을 OCR방식 중 Pattern matching기법이라고 하며, 상기 OCR방식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다양한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문자인식모듈의 문자인식 방식은 OCR방식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이미 인쇄되어 있는 오프라인상의 문자를 인식할 수 있는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10)는 제2카메라(122)가 획득한 안구방향 영상 또는 이미지를 바탕으로 시선방향을 인식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제어부(210)는 시선방향 인식을 수행하는 시선분석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의 주시방향과 시선방향을 측정한 후 합성에 의해 계산하여 사용자가 바라보는 방향을 파악할 수 있다. 상기 주시방향은, 사용자의 얼굴 방향을 의미하여, 센싱부(130)의 자이로센서(131) 또는 가속도센서(132)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상기 시선방향은, 사용자의 동공이 바라보는 방향으로, 시선분석모듈에 의해 파악될 수 있다. 시선분석모듈은, 실시간 카메라 이미지의 분석을 통해 동공의 움직임을 검출하고, 각막에 반사된 고정 위치를 기준으로 시선의 방향을 계산하는 방식 등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처리 방법을 통해 동공의 중심 및 조명에 의한 각막 반사광의 위치를 추출하여 이들의 위치 관계를 통해 시선 위치를 계산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이하 정보처리부(210)로 표현될 수 있다.
전원 공급부는 제어부(21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음성인식부(220)는 자동적 수단에 의하여 음성으로부터 언어적 의미 내용을 식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음성파형을 입력하여 단어나 단어열을 식별하고 의미를 추출하는 처리 과정이며, 크게 음성 분석, 음소 인식, 단어 인식, 문장 해석, 의미 추출의 5가지로 분류된다. 음성인식부(220)는 저장된 음성과 입력된 음성이 동일한지 비교하는 음성평가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음성인식부(220)는 입력된 음성을 텍스트로 변환하거나, 텍스트를 음성으로 변환하는 음성-텍스트변환모듈(240)도 더 포함할 수 있다.
뇌파동조신호발생부는 인간의 뇌파를 동조시키기 위한 주파수와 파형을 갖는 뇌파동조신호를 발생시킨다. 즉, 뇌파동조신호발생부는 뇌파 주파수의 진동을 두개골에 전달하여 뇌파를 동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뇌파란 뇌신경 신호가 전달될 때 생기는 전기의 흐름을 말한다. 이러한 뇌파는 잠잘 때 아주 느린 뇌파인 델타파가, 활동할 때는 빠른 뇌파인 베타파가, 명상을 할 때는 중간 정도 속도의 알파파 등이 증가된다. 따라서 뇌파동조신호발생부는 알파파와 세타파를 유도함으로써 학습보조 및 정신집중의 효과를 발휘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탈출경로 제공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탈출경로 제공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탈출경로 제공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탈출경로 제공방법은, 건물 내 사건발생위치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100); 상기 사건발생위치정보를 바탕으로, 안전한 비상구 위치정보를 판단하여 탈출경로를 계산하는 단계(S200); 상기 계산된 탈출경로를 따라 안내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300); 및 사용자에게 상기 안내정보를 제공하는 단계(S4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탈출경로 제공방법을 순서대로 설명한다.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건물 내 사건발생위치정보를 수신한다(S100). 상기 사건발생위치정보는, 특정 건물 내의 사용자의 대피를 요하는 특정한 사건이 발생한 위치정보이다. 상기 사건발생위치정보는 각 구역의 스프링쿨러 작동, 화재 발생 경보장치 작동, 정전 감지 센서 작동, 열감지기 작동, 경비원의 인지 후 비상알람 작동, 감시카메라 또는 통신장비의 고장 등을 통해 파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재에 의해 연기가 발생하여 특정구역의 스프링클러가 작동하면 상기 특정구역이 사건발생장소로 판단된다.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무선통신을 통해 사건발생위치정보를 수신한다. 예를 들어, 상기 무선통신신호가 비콘(400)이 발신하는 비콘신호인 경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100)가 비콘신호를 엑티브 센싱할 수 있다. 상기 비콘(400)은 건물의 여러 위치에 부착되어 있을 수 있으며, 특히 비상구 알림등의 내부에 포함될 수 있다.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건물 내부의 여러 장소에 부착된 비콘을 통해 사건발생위치정보가 포함된 비콘신호를 어느 위치에서나 수신할 수 있다.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사건발생위치정보를 바탕으로, 안전한 비상구 위치정보를 판단하여 탈출경로를 계산한다(S200). 상기 비상구위치정보는 건물 내에 위치하는 비상구의 위치에 관한 정보로,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100)가 저장하고 있을 수 있고, 비콘신호에 사건발생위치정보와 함께 포함되어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비상구는 외부로 대피하는 통로일 수도 있고, 외부로 대피할 수 없는 경우에는 옥상 등 안전하게 대피하여 구조를 기다릴 수 있는 장소로 가는 경로일 수 있다.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제어부(210)는 사고발생위치 및 사용자의 현재위치를 바탕으로, 안전 대피가 가능한 비상구를 파악한다. 그 후,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파악된 비상구로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는 탈출경로를 계산한다.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상기 계산된 탈출경로를 따라 안내정보를 생성한다(S300). 상기 안내정보는, 이동경로 정보, 이동경로 전환 방향, 상기 이동경로 전환까지 남은 거리, 이동시 주의사항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탈출경로를 바탕으로,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제어부(210)는 상기 비상구로 향하는 방향 및 분기점까지의 거리 등을 차례로 포함한 안내정보를 생성한다.
사용자에게 상기 안내정보를 제공한다(S400). 상기 사용자에게 안내정보를 알리는 방식은, 상기 안내정보를 디스플레이부(310)에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알리는 방식, 상기 안내정보를 음향출력으로 사용자에게 알리는 방식, 진동 발생의 세기와 진동 발생 방향을 통해 사용자에게 상기 안내정보를 알리는 방식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디스플레이부(310) 상에 이동경로 전환 방향, 상기 이동경로 전환까지 남은 거리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내정보에는 상기 탈출경로가 차례대로 포함되어 있으므로, 상기 사용자는 상기 이동경로 전환 후 상기 사용자입력부(110)를 통해 다음 안내정보 제공을 상기 제어부(210)에 요청하여 안내정보를 순서대로 확인하면서 상기 탈출경로를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내정보를 디스플레이부(310)에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알리는 방식은, 자이로센서(131) 등의 모션센서를 통해 현재 이동방향을 측정하고, 사용자의 이동방향이 탈출경로에 부합하는지 파악하여 사용자에게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무선통신을 통해 실시간 사건진행상황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안내정보 제공단계(S400)는 상기 사건발생위치정보 또는 상기 사건진행상황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사건진행상황정보는, 사건이 처리되고 있는 상황 또는 사건이 진행되고 있는 상황에 대한 정보이다. 예를 들어, 화재사건인 경우, 사건진행상황정보는 화재의 진행상황(즉, 불이 확장된 건물 범위), 화재의 진압 정도, 또는 소방관 투입여부 등을 의미할 수 있다. 즉, 상기 사건이 화재사고인 경우, 사건진행상황정보는 통제서버에 의해 작동한 스프링쿨러 위치 또는 개수, 건물 내 카메라 또는 통신장비의 위치 또는 고장시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바탕으로 분석되어,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수신할 수 있다.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부(310)에 표시되는 지도상에 사건발생장소정보를 표시하고 사건이 처리되고 있는 상황을 함께 표시해주어서, 사건상황이 악화된 경우에는 사람들이 위급함을 느껴 신속하게 대피하게 하고, 사건이 안전하게 처리되고 있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처리상황을 인지할 수 있게 하여 조급하게 대피하다가 발생하는 2차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실내 측위를 통해 현재 위치를 측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탈출경로 계산단계(S200)는 상기 실내위치정보 및 사건발생위치정보를 바탕으로 적절한 비상구 및 탈출경로를 계산할 수 있다. 사용자의 실내 위치를 인식하는 방법으로, 상기 비콘(400)과 같은 무선통신장치와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상호교신을 통해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측량하는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3개의 구별이 되는 비콘신호를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100)가 수신하여, 수신한 상기 비콘신호의 세기와 상기 비콘신호를 송신한 비콘(400)의 위치를 바탕으로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측량할 수 있다. 다만, 비콘(400)과 상호교신을 이용한 위치 측량방식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비콘신호의 방향 등을 이용하는 방식 등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실내 위치를 인식하는 방법으로, 도 3에서와 같이, 제1카메라(121)를 이용해 주변의 특징적인 지형 또는 지물과 같은 특징적 요소를 인식하고,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100) 내에 저장되거나 통제서버로부터 무선통신으로 수신한 실내 지도 정보와 비교 수행하여,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상기 제1카메라(121)는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일측에 구비되어 전방의 영상 또는 이미지를 획득하는 카메라이다. 따라서 상기 제1카메라(121)가 전방 영상 또는 이미지를 획득하고, 상기 영상 또는 이미지 내에 있는 상기 특징적 요소를 추출하고, 상기 특징적 요소를 상기 실내지도 정보에서 파악하여 현재 위치를 파악한다. 또한, 상기 전방 영상 또는 이미지 내의 특징적 요소 위치를 통해 현재 상기 사용자가 향하고 있는 방향도 인식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의 실내 위치를 파악하는 단계;를 통해서, 상기 사용자는 이동하면서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적절한 안내정보를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다. 다만, 사용자의 실내 위치를 파악하는 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실내 위치 인식을 구현하는 다양한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그 후,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실내위치정보 및 사건발생위치정보를 바탕으로 적절한 비상구 및 탈출경로를 계산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의 위치에 가장 부합하는 비상구 및 탈출경로를 안내할 수 있어서, 사용자가 안전하게 탈출하도록 보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의 실시간 위치정보를 무선통신을 통해 외부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100)가 인식된 상기 사용자의 위치를 무선통신을 통해 외부단말로 전송함으로써, 외부의 사람들이 건물 내의 상기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어, 용이하게 구조를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건물 위치정보를 파악하는 단계; 및 상기 건물 위치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건물 내부지도를 통제서버에 요청하여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100)가 정확한 탈출경로 계산 및 탈출경로 안내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건물 내부지도가 필요하다. 따라서,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내부지도를 제공받을 건물을 파악하기 위해 GPS신호 등을 통해 건물 위치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그 후,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건물의 내부지도를 통제서버에 요청하여 수신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콘(400)과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를 이용한 비상구 알림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비콘(400)과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를 이용한 비상구 알림시스템은, 무선통신부(250); 제어부(210); 및 출력부(300);를 포함한다. 다만, 도 5에 있어서, 기 설명한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무선통신부(250)는 상기 비콘(400)으로부터 사건발생장소정보를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무선통신부(250)는,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100)가 비상구 위치정보를 저장하지 않는 경우, 상기 비상구 위치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통신부(250)는 외부단말과 정보교환을 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기 무선통신부(250)는 상기 사용자의 측정된 실내 위치정보를 외부단말로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10)는 상기 사건발생 장소 및 상기 비상구 위치정보를 인식하여 탈출경로를 계산하고, 상기 탈출경로에 따라 안내정보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210)는, 비콘(400)과의 상호교신 또는 상기 제1카메라(121)에 의한 전방의 특징적 요소 인식 등의 방식에 따라서, 상기 사용자의 실내 현재 위치를 인식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210)는, 상기 무선통신부(250)가 수신한 하나 이상의 상기 비콘신호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출력부(300)는 사용자에게 안내정보를 알리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출력부(300)는, 상기 안내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310), 상기 안내정보를 음향출력으로 사용자에게 알리는 음향출력부(320), 진동 발생의 세기와 진동 발생 방향을 통해 사용자에게 상기 안내정보를 알리는 진동알람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제서버(500), 비콘(400) 및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를 이용한 비상구 알림시스템 의 내부구성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비콘(400)과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를 이용한 비상구 알림시스템은, 통제서버(500); 비콘(400);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를 포함한다. 다만, 도 6에 있어서, 기 설명한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통제서버(500)는 사건발생 장소를 인식하여 탈출경로를 계산하고, 비콘(400) 별로 송신할 이동경로 안내정보를 설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비콘(400)은 상기 통제서버(500)가 설정한 상기 안내정보에 대응하는 비콘신호를 발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상기 비콘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안내정보를 알리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무선통신부(250); 제어부(210); 및 출력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통신부(250)는 상기 상기 비콘(400)으로부터 비콘신호를 수신하고, 외부와 정보교환을 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제어부(210)는 상기 수신한 비콘신호를 바탕으로 출력 형태에 맞게 정보처리를 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출력부(300)는 사용자에게 안내정보를 알리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통제서버(500)는 사건발생 장소를 인식하여 탈출경로를 계산하고, 비콘(400) 별로 송신할 이동경로 안내정보를 설정한다. 상기 안내정보는, 이동경로 전환 방향, 상기 이동경로 전환까지 남은 거리, 이동시 주의사항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콘(400)은 상기 통제서버(500)가 설정한 상기 안내정보에 대응하는 비콘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무선통신부(250)가 상기 비콘신호를 수신한다. 그 후, 상기 제어부(210)가 상기 수신한 비콘신호를 출력 형태에 맞게 정보처리를 행하고, 상기 출력부(300)가 상기 정보처리된 데이터를 전달받아 상기 사용자에게 이동경로 안내정보를 알린다. 사용자가 이동하면서 상기 비콘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의 위치의 적절한 안내정보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210)는, 상기 무선통신부(250)가 수신한 하나 이상의 상기 비콘신호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측정 수 있다.
이상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탈출경로 제공방법은, 하드웨어인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와 결합되어 실행되기 위해 프로그램(또는 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어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전술한 프로그램은,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100)가 프로그램을 읽어 들여 프로그램으로 구현된 상기 방법들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프로세서(CPU)가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장치 인터페이스를 통해 읽힐 수 있는 C, C++, JAVA, 기계어 등의 컴퓨터 언어로 코드화된 코드(Code)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코드는 상기 방법들을 실행하는 필요한 기능들을 정의한 함수 등과 관련된 기능적인 코드(Functional Code)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기능들을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프로세서가 소정의 절차대로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실행 절차 관련 제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코드는 상기 기능들을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프로세서가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추가 정보나 미디어가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내부 또는 외부 메모리의 어느 위치(주소 번지)에서 참조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메모리 참조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프로세서가 상기 기능들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원격(Remote)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통신이 필요한 경우, 코드는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원격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어떻게 통신해야 하는지, 통신 시 어떠한 정보나 미디어를 송수신해야 하는지 등에 대한 통신 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되는 매체는,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저장되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즉,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100)가 접속할 수 있는 다양한 서버 상의 다양한 기록매체 또는 사용자의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상의 다양한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될 수 있다.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아래와 같은 다양한 효과들을 가진다.
첫째,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비콘신호를 통해 획득된 사건발생장소정보를 피해가는 실질적으로 안전한 경로를 사람들에게 제공하여, 사고에 의한 사상자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연기에 의해 시인성이 저하되는 경우에도, 사용자의 눈 앞에 위치한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부 상에 경로 안내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비상구 또는 대피장소를 용이하게 찾아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 시스템 110 : 사용자입력부
111 : 어플리케이션 112 : 키보드
113 : 음성입력부 114 : 터치패드
115 : GPS신호부 116 : 근거리통신
120 : 카메라부 121 : 제1카메라
122 : 제2카메라 123 : 제3카메라
130 : 센싱부 131 : 자이로센서
132 : 가속도센서 133 : 압력센서
134 : 홍체인식센서 135 : 심박검출센서
136 : 근전도센서
210 : 제어부 220 : 음성인식부
230 : 상황평가모듈 240 : 음성-텍스트변환모듈
250 : 무선통신부 260 : 메모리
270 : 인터페이스부
300 : 출력부 310 : 디스플레이부
320 : 음향출력부 330 : 알람부
340 : 햅틱모듈
400 : 비콘 500 : 통제서버

Claims (9)

  1.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적절한 탈출경로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건물 내 사건발생위치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건발생위치정보를 바탕으로, 적절한 비상구 위치정보를 판단하여 탈출경로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계산된 탈출경로를 따라 안내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안내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사건발생위치정보는, 특정 건물 내의 상기 사용자의 대피를 요하는 특정한 사건이 발생한 위치정보인,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탈출경로 제공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정보 제공단계는,
    상기 안내정보를 화면에 표시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알리는 방식, 상기 안내정보를 음향출력으로 상기 사용자에게 알리는 방식, 진동 발생의 세기와 진동 발생 방향을 통해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안내정보를 알리는 방식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탈출경로 제공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실내 측위를 통해 현재 실내위치를 측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탈출경로 계산단계는,
    상기 실내위치정보 및 사건발생위치정보를 바탕으로 적절한 비상구 및 탈출경로를 계산하는,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탈출경로 제공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실시간 상기 실내위치정보를 무선통신을 통해 외부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탈출경로 제공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건물 위치정보를 파악하는 단계; 및
    상기 건물 위치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건물 내부지도를 통제서버에 요청하여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탈출경로 제공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무선통신을 통해 실시간 사건진행상황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안내정보 제공단계는,
    상기 사건발생위치정보 또는 상기 사건진행상황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탈출경로 제공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사건진행상황정보는,
    상기 사건이 화재사고인 경우,
    통제서버에 의해 작동한 스프링쿨러 위치 또는 개수, 건물 내 카메라 또는 통신장비의 위치 또는 고장시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바탕으로 분석되어,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송신되는,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탈출경로 제공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정보는,
    이동경로 정보, 상기 이동경로 전환 방향, 상기 이동경로 전환까지 남은 거리, 이동시 주의사항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탈출경로 제공방법.
  9. 하드웨어인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결합되어, 제1항 내지 제8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용 탈출경로 제공 프로그램.
KR1020150042547A 2014-07-30 2015-03-26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탈출경로 제공방법 및 프로그램 KR2016001759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5/007914 WO2016018063A2 (ko) 2014-07-30 2015-07-29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정보처리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1025 2014-08-06
KR20140101025 2014-08-0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7593A true KR20160017593A (ko) 2016-02-16

Family

ID=554480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2547A KR20160017593A (ko) 2014-07-30 2015-03-26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탈출경로 제공방법 및 프로그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17593A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3292B1 (ko) * 2017-04-11 2018-08-30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재난 구조 및 대응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KR20210011665A (ko) * 2019-07-23 2021-02-02 주식회사 피앤씨솔루션 Imu 센서를 이용한 위급상황 내비게이션 기능을 갖는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
KR102228175B1 (ko) * 2020-07-22 2021-03-16 (주)메가플랜 증강 현실을 이용하는 비상 경로 안내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10031153A (ko) * 2019-09-11 2021-03-19 주식회사 피앤씨솔루션 초근접 위치 검출을 위한 uwb를 활용한 증강현실 시뮬레이터 시스템
KR102284464B1 (ko) * 2020-09-09 2021-08-02 주식회사 피앤씨솔루션 Uwb와 imu 센서를 이용한 위치 추적 기능을 갖는 착용형 증강현실 장치
KR102303578B1 (ko) * 2020-10-22 2021-09-17 (주)메가플랜 증강 현실을 이용하는 비상 경로 안내 장치 및 비상 경로 안내 시스템
US20230304815A1 (en) * 2022-03-22 2023-09-28 Lenovo (United States) Inc. Generating navigational path based on security level
KR102675178B1 (ko) * 2023-04-11 2024-06-18 대한민국 화재재난 대피용 웨어러블 디바이스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3292B1 (ko) * 2017-04-11 2018-08-30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재난 구조 및 대응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KR20210011665A (ko) * 2019-07-23 2021-02-02 주식회사 피앤씨솔루션 Imu 센서를 이용한 위급상황 내비게이션 기능을 갖는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
KR20210031153A (ko) * 2019-09-11 2021-03-19 주식회사 피앤씨솔루션 초근접 위치 검출을 위한 uwb를 활용한 증강현실 시뮬레이터 시스템
KR102228175B1 (ko) * 2020-07-22 2021-03-16 (주)메가플랜 증강 현실을 이용하는 비상 경로 안내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2019392A1 (ko) * 2020-07-22 2022-01-27 (주)메가플랜 증강 현실을 이용하는 비상 경로 안내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284464B1 (ko) * 2020-09-09 2021-08-02 주식회사 피앤씨솔루션 Uwb와 imu 센서를 이용한 위치 추적 기능을 갖는 착용형 증강현실 장치
KR102303578B1 (ko) * 2020-10-22 2021-09-17 (주)메가플랜 증강 현실을 이용하는 비상 경로 안내 장치 및 비상 경로 안내 시스템
US20230304815A1 (en) * 2022-03-22 2023-09-28 Lenovo (United States) Inc. Generating navigational path based on security level
KR102675178B1 (ko) * 2023-04-11 2024-06-18 대한민국 화재재난 대피용 웨어러블 디바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17593A (ko)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탈출경로 제공방법 및 프로그램
KR101684264B1 (ko)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버스도착 알림방법 및 이를 이용한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용 프로그램
KR101661555B1 (ko) 비콘을 이용한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카메라 기능 제한방법 및 프로그램
JP6551417B2 (ja) ウェアラブルデバイス、表示制御方法、及び表示制御プログラム
JP6447636B2 (ja) ウェアラブルデバイス、表示制御方法、及び表示制御プログラム
KR101728707B1 (ko)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실내 전자기기 제어방법 및 제어프로그램
KR20160015142A (ko)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긴급시 비상연락방법 및 프로그램
JP7340063B2 (ja) 警備システム及び監視表示装置
KR20160026310A (ko)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컬링코칭 시스템 및 방법
KR102251710B1 (ko)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외부디바이스 내 콘텐츠 관리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로 독출 가능한 기록매체
KR20160011302A (ko)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영상 또는 이미지 처리시스템 및 처리방법
KR101629758B1 (ko)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잠금해제 방법 및 프로그램
KR20160015143A (ko) 포탄방향인식시스템,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포탄 예상 탄착지 제공방법 및 프로그램
KR20160024140A (ko)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매장정보 제공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23226A (ko)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연동된 외부단말기 위치 탐색 시스템 및 탐색 방법
KR20160025150A (ko)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소셜데이팅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53472A (ko)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이벤트정보 제공서비스 시스템, 방법 및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용 어플리케이션
KR20160016216A (ko)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실시간 전방주시시스템 및 전방주시방법
KR20160015704A (ko)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지인 인식시스템 및 인식방법
KR20160016149A (ko)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졸음방지시스템 및 졸음방지방법
KR20160025203A (ko)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당구코칭 시스템 및 방법
KR101661556B1 (ko)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신원 확인 방법 및 프로그램
KR102308970B1 (ko)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외부기기의 입력신호 제공시스템 및 입력신호 제공방법
KR101572807B1 (ko)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영상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그 시스템
EP3882894B1 (en) Seeing aid for a visually impaired individu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