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6216A -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실시간 전방주시시스템 및 전방주시방법 - Google Patents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실시간 전방주시시스템 및 전방주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6216A
KR20160016216A KR1020140099874A KR20140099874A KR20160016216A KR 20160016216 A KR20160016216 A KR 20160016216A KR 1020140099874 A KR1020140099874 A KR 1020140099874A KR 20140099874 A KR20140099874 A KR 20140099874A KR 20160016216 A KR20160016216 A KR 201600162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arable device
image
user
photographed image
commun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98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성철
엄정한
김진영
이경현
김대중
김석기
유철현
Original Assignee
넥시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넥시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넥시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998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16216A/ko
Priority to PCT/KR2015/008129 priority patent/WO2016021907A1/ko
Publication of KR201600162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621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7/0172Head mounted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3Eye tracking input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11Arrangements specific to free-space transmission, i.e. transmission through air or vacuum
    • H04B10/114Indoor or close-range type systems
    • H04B10/1149Arrangements for indoor wireless networking of inform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027/0138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image capture systems, e.g. camera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027/014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information/image processing system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027/0178Eyeglass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실시간 전방주시시스템 및 전방주시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실시간 전방주시방법은,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제1카메라가 사용자의 전방 영상을 촬영하는 단계(S100);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촬영 영상을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단계(S200); 통신단말기가 실시간으로 촬영 영상을 수신하여 상기 촬영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S300);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아닌 다른 통신디바이스를 이용하면서 보행시에도 전방상황을 상기 통신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화면 내에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어, 외부 상황의 급격한 변화, 특히 사용자 이동 중 장애물에 대한 사용자의 능동적이고 신속한 대처를 가능하게 해주는 등의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실시간 전방주시시스템 및 전방주시방법 {SYSTEM AND METHOD FOR REAL-TIME FORWARD-LOOKING BY WEARABLE GLASS DEVICE}
본 발명은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실시간 전방주시시스템 및 전방주시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다른 통신디바이스를 사용하면서 보행할 때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전방을 주시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웨어러블 디바이스들이 등장하고 있다. 스마트폰과 연동되는 안경(Glass)형태로 등장하고 있으며, 스마트폰 없이도 독립적으로 작동할 수 있는 형태도 등장하고 있다.
최근에는 스마트 디바이스들은 SMS 메시지 기능, 메모작성 기능, 동영상 기능 등 뿐만 아니라 3D게임 기능과 SNS(Social Networking Service)기능 등 다양한 기능들이 포함되고 있다. 이러한 스마트 디바이스에서 제공되는 각종 서비스를 수행하고자 할때, 디스플레이부로부터 그 기능들에 관련된 정보를 얻게 되는바, 이때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를 지속적으로 주시해야하므로 외부 상황과 시각적으로 단절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사용자가 보행 등의 이동을 하면서 스마트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부를 주시하는 경우, 사용자는 전방의 장애물 또는 전방의 급작스런 상황변화에 대하여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없게 된다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다른 통신디바이스를 사용하면서 보행 시에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전방 영상을 상기 통신디바이스로 실시간 제공하여, 전방 영상을 확인하면서 상기 통신디바이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실시간 전방주시시스템 및 전방주시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언급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실시간 전방주시시스템은, 사용자의 전방 영상을 촬영하여 무선통신을 통해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실시간으로 촬영 영상을 수신하고, 상기 촬영 영상의 제공 요청이 있으면 상기 영상을 통신 단말기로 제공하는 촬영정보 관리서버; 및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촬영정보 관리서버로 상기 촬영 영상의 제공을 요청하고, 상기 촬영 영상을 제공받아 표시하는 통신단말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실시간 전방주시시스템은, 사용자의 전방 영상을 촬영하여 상기 무선통신을 통해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촬영 영상을 제공받아 표시하는 통신단말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전방영상을 획득하는 제1카메라; 무선통신으로 데이터 송수신을 행하는 무선통신부; 및 무선통신에 의한 데이터 송신을 위해 정보처리를 수행하는 정보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단말기는, 태블릿PC, 스마트폰, 스마트워치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단말기는, 무선통신으로 데이터 송수신을 행하는 무선통신부; 사용자에게 영상 또는 이미지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무선통신을 통해 수신한 데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표시하기 위해 정보처리를 수행하고, 상기 촬영정보 관리서버 또는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상기 촬영 영상의 제공요청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단말기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같은 면의 일측에 구비되는 전면카메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촬영 영상의 제공요청여부 판단은, 상기 통신단말기의 전면카메라를 이용한 아이트래킹을 통해 사용자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주시하고 있음이 인식되면, 상기 촬영정보 관리서버 또는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상기 촬영영상의 실시간 제공을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촬영 영상의 제공요청여부 판단은, 상기 통신단말기가 켜지는 경우, 자동으로 상기 촬영정보 관리서버 또는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연결되어 제공요청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카메라는, 기울기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상기 사용자의 고개 숙임 정도를 인식하는 각도측정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촬영정보 관리서버는,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촬영한 영상을 수신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촬영정보 관리서버는, 날짜별 또는 사용자별로 상기 서버에 촬영 영상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촬영정보 관리서버는, 특정기간이 경과하면 상기 저장된 촬영영상이 자동 삭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실시간 전방주시방법은,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제1카메라가 사용자의 전방 영상을 촬영하는 단계;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촬영 영상을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통신단말기가 실시간으로 촬영 영상을 수신하여 상기 촬영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촬영정보 관리서버가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촬영 영상을 수신하여 상기 통신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고개가 숙여진 각도를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카메라를 상기 인식된 각도만큼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단말기의 전면카메라를 이용한 아이트래킹을 통해 사용자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주시하고 있음이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통신단말기가 촬영영상의 실시간 제공을 요청을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아래와 같은 다양한 효과들을 가진다.
첫째,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아닌 다른 통신디바이스를 이용하면서 보행시에도 전방상황을 상기 통신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화면 내에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어, 외부 상황의 급격한 변화, 특히 사용자 이동 중 장애물에 대한 사용자의 능동적이고 신속한 대처를 가능하게 해주는 등의 효과를 제공한다.
둘째, 사용자가 고개를 숙이고 상기 통신디바이스를 사용하면서 보행하는 경우에도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카메라 각도가 조절되어 전방 영상을 획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 시스템의 내부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촬영정보 관리서버를 이용한 실시간 전방주시시스템의 내부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전방영상을 획득하는 예시도면
도 4는 통신단말기에 전방영상이 표시된 예시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실시간 전방주시시스템의 내부구성도
도 6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실시간 전방주시방법의 순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 시스템의 내부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촬영정보 관리서버를 이용한 실시간 전방주시시스템의 내부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전방영상을 획득하는 예시도면이고, 도 4는 통신단말기에 전방영상이 표시된 예시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실시간 전방주시시스템의 내부구성도이고, 도 6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실시간 전방주시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는 시스템(100), 사용자입력부(110), 어플리케이션(111), 키보드(112), 음성입력부(113), 터치패드(114), GPS신호부(115), 근거리통신(116), 카메라부(120), 제1카메라(121), 제2카메라(122), 제3카메라(123), 센싱부(130), 자이로센서(131), 가속도센서(132), 압력센서(133), 홍체인식센서(134), 심박검출센서(135), 근전도센서(136), 정보처리부(210), 음성인식부(220), 상황평가모듈(230), 음성-텍스트변환모듈(240), 무선통신부(250), 메모리(260), 인터페이스부(270), 출력부(300), 디스플레이부(310), 음향출력부(320), 알람부(330), 햅틱모듈(340), 촬영정보 관리서버(400), 통신단말기(500), 무선통신부(510), 디스플레이부(520), 제어부(530)가 도시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 시스템의 내부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시스템(100)은 카메라부(120), 음성입력부(113), 사용자입력부(110), 센싱부(130), 출력부(300), 무선통신부(250), 메모리(260), 인터페이스부(270), 제어부(210), 전원공급부, 및 음성인식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부(120)는 비디오 신호 또는 이미지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디바이스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카메라부(120)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310)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카메라부(120)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260)에 저장되거나 무선통신부(25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이미지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가 정보처리를 위한 입력으로 쓰이는 경우, 제어부(210)로 이미지 신호 및 비디오 신호를 전달한다.
음성입력부(113)는 음성신호의 입력을 위한 것으로 마이크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마이크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부를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 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잡음(noise)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사용될 수 있다.
사용자입력부(110)는 사용자가 디바이스의 동작 제어를 위하여 입력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입력부(110)는 키패드(key pad), 키보드, 돔 스위치(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핑거 마우스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터치 패드가 후술하는 디스플레이부(310)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경우, 이를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이라 부를 수 있다.
센싱부(130)는 디바이스의 개폐 상태, 디바이스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등과 같이 디바이스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디바이스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또한, 센싱부(130)는 디바이스의 정보처리를 위한 입력신호를 받는 입력부의 기능을 담당할 수 있으며, 외부 기기 연결 여부 인식 등의 다양한 센싱 기능을 담당할 수 있다.
센싱부(130)는 근접센서(Proximity Sensor), 압력센서(133), 모션 센서, 지문인식센서, 홍체인식센서(134), 심박검출센서(135), 피부온도센서, 피부저항센서, 심전도센서, 거리센서 및 도플러레이더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근접센서는 접근하는 물체나,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 등을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할 수 있도록 한다. 근접센서는 교류자계의 변화나 정자계의 변화를 이용하거나, 혹은 정전용량의 변화율 등을 이용하여 근접물체를 검출할 수 있다. 근접센서는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압력센서(133)는 디바이스에 압력이 가해지는지 여부와, 그 압력의 크기 등을 검출할 수 있다. 압력센서(133)는 사용환경에 따라 디바이스에서 압력의 검출이 필요한 부위에 설치될 수 있다. 만일, 압력센서(133)가 디스플레이부(310)에 설치되는 경우, 압력센서(133)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부(310)를 통한 터치 입력과, 터치 입력보다 더 큰 압력이 가해지는 압력터치 입력을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압력센서(133)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압력터치 입력시 디스플레이부(310)에 가해지는 압력의 크기도 알 수 있다.
모션 센서는 가속도센서(132), 자이로센서(131), 지자기센서 등의 센서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이를 이용하여 디바이스의 위치나 움직임 등을 감지한다. 모션 센서에 사용될 수 있는 가속도센서(132)는 어느 한 방향의 가속도 변화에 대해서 이를 전기 신호로 바꾸어 주는 소자로서, MEMS(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 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가속도센서(132)는 중력가속도의 변화를 인식하는 중력센서를 포함한다. 또한, 자이로센서(131)는 각속도를 측정하는 센서로서, 기준 방향에 대해 돌아간 방향을 감지할 수 있다.
심박검출센서(135)는 감성신호를 수집하기 위해 심장 박동에 의한 혈관 굵기의 변화에 따른 광혈류량의 변화를 측정한다. 피부 온도 센서는 온도 변화에 반응하여 저항값이 변화하는 것에 따라 피부 온도를 측정한다. 피부 저항 센서는 피부의 전기 저항을 측정한다.
홍체인식센서(134)는 사람마다 고유한 특성을 가진 안구의 홍채 정보를 이용해 사람을 인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사람의 홍채는 생후 18개월 이후 완성된 뒤, 홍채의 내측연 가까이에 융기되어 있는 원형의 홍채 패턴은 한번 정해지면 거의 변하지 않고, 또 사람마다 모양이 모두 다르다. 따라서 홍채인식은 사람마다 각기 다른 홍채의 특성을 정보화해 이를 보안용 인증기술로 응용한 것이다. 즉, 홍채의 모양과 색깔, 망막 모세혈관의 형태소 등을 분석해 사람을 식별하기 위한 수단으로 개발한 인증방식이다.
홍체인식센서(134)는 홍채의 패턴을 코드화해 이를 영상신호로 바꾸어 비교?판단하는데, 일반적인 작동 원리는 다음과 같다. 먼저 일정한 거리에서 홍채인식기 중앙에 있는 거울에 사용자의 눈이 맞춰지면, 적외선을 이용한 카메라가 줌렌즈를 통해 초점을 조절한다. 이어 홍채 카메라가 사용자의 홍채를 사진으로 이미지화한 뒤, 홍채 인식 알고리즘이 홍채의 명암 패턴을 영역별로 분석해 개인 고유의 홍채 코드를 생성한다. 마지막으로 홍채 코드가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는 것과 동시에 비교 검색이 이루어진다.
거리센서는 2점간 거리 측정방식, 3각 측량방식(적외선 이용식, 자연광 이용식), 초음파 방식 등이 있다. 종래의 3각측량의 원리와 같이, 2개의 경로에서 온 피측정물을 직각 프리즘으로 반사시켜 2개의 이미지 센서에 입사시켜 상대적 위치가 합치했을 때, 2점간의 거리가 표시된다. 이 경우, 자연광으로 하는 방법(수동식)과 적외선을 발사하여 행하는 방법이 있다. 초음파방식은 피측정물에 지향성이 날카로운 초음파를 송신하여 피측정물로부터의 반사파를 수신하기까지의 시간을 측정하여 거리를 아는 방식인데, 수신센서는 압전소자가 사용된다.
상기 도플러레이더는 레이더의 한 방식으로, 반사파의 위상변화 즉, 파의 도플러 효과를 이용한 레이더이다. 상기 도플러레이더는 펄스 변조되지 않는 사인파를 송ㆍ수신하는 연속파 레이더와 전자파 신호파형으로서 방형파에 펄스 변조된 전파를 사용하는 펄스 레이더가 있다.
연속파 레이더에서는 도플러 주파수 필터의 성능을 얻기 쉽게 하기 위해서 변조주파수를 비교적 높게 취하기 때문에 원거리를 대상으로 한 레이더에는 부적당하나, 도플러 주파수를 가청주파수대로 택함으로써 인체나 차량 등의 움직임을 안정감 있는 소리로서 재생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펄스 레이더는 펄스 송신에서 반사 에코 수신까지의 시간에 의해 목표까지의 거리를 계측한다. 송신 펄스폭 내에서 주파수 변조나 위상 변조를 가하는 펄스 압축 레이더라 일컬어지는 방식이 있다.
출력부(30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또는 알람(alarm) 신호의 출력을 위한 것이다. 출력부(300)에는 디스플레이부(310), 음향출력 모듈, 알람부(330), 및 햅틱 모듈(340)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310)는 디바이스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그리고 디바이스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 촬영되거나 수신된 영상을 각각 혹은 동시에 표시할 수 있으며, UI, GUI를 표시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310)와 터치패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310)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만일, 디스플레이부(310)가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터치스크린 패널, 터치스크린 패널 제어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도 디스플레이부(31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디바이스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310)가 2개 이상 존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에 외부 디스플레이부(310)와 내부 디스플레이부(310)가 동시에 구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310)는 HUD(Head up Display), HMD(Head mounted Display)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HMD(Head mounted Display)란 안경처럼 머리에 쓰고 대형 영상을 즐길 수 있는 영상표시장치다. HUD(Head up Display)는 사용자의 가시영역 내의 유리에 가상 화상(virtual image)을 투영시키는 영상표시장치이다.
음향출력 모듈(320)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2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음향출력 모듈(320)은 디바이스에서 수행되는 기능, 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출력 모듈(320)에는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330)는 디바이스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디바이스에서 발생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330)는 오디오 신호나 비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예를 들면, 진동 형태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알람부(330)는 호 신호가 수신되거나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이를 알리기 위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알람부(330)는 키 신호가 입력된 경우, 키 신호 입력에 대한 피드백으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알람부(330)가 출력하는 신호를 통해 사용자는 이벤트 발생을 인지할 수 있다. 디바이스에서 이벤트 발생 알림을 위한 신호는 디스플레이부(310)나 음향출력 모듈를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340)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340)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 효과가 있다. 햅틱 모듈(340)이 촉각 효과로 진동을 발생시키는 경우, 햅택 모듈(340)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변환가능하며,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무선통신부(250)는 방송수신 모듈, 이동통신 모듈, 무선 인터넷 모듈, 근거리 통신 모듈,및 GPS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수신 모듈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 방송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한다. 이때,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관리 서버는, 방송신호 및 방송 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나,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 방송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방송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방송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이동통신 모듈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방송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방송수신 모듈은, 각종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하며,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방송수신 모듈은, 이와 같은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방송 신호를 제공하는 모든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방송수신 모듈을 통해 수신된 방송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2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서,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무선 인터넷 모듈은 디바이스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6)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비콘(Beacon),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비콘(Beacon)은 무선통신 장치로써 블루투스 4. 0 (BLE-Bluetooth Low Energy) 기반의 프로토콜을 사용해 매우 작은 주파수 시그널을 그들 주위에 전달한다. 블루투스 4. 0은 장치가 대략 5m~70m내의 디바이스들과 통신을 할 수 있으며, 배터리 수명에 거의 영향을 끼치지 않는 저전력이어서 전력 낭비를 최소화하여 블루투스를 항상 켤 수 있다.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115)은 복수 개의 GPS 인공위성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메모리(260)는 제어부(21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력되거나 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메모리(2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 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는 인터넷(internet) 상에서 메모리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를 운영할 수도 있다.
메모리(260)는 이하 저장부(260)로 표현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270)는 디바이스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수행한다. 디바이스에 연결되는 외부기기의 예로는, 유/무선 헤드셋, 외부 충전기,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260) 카드(Memory card),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이나 UIM(User Identity Module) 카드 등과 같은 카드 소켓, 오디오 I/O(Input/Output) 단자, 비디오 I/O(Input/Output) 단자, 이어폰 등이 있다. 인터페이스부(270)는 이러한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디바이스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할 수 있고, 디바이스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통상적으로 상기 각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디바이스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210)는 멀티미디어 재생을 위해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입력부 또는 센싱부(130)로부터 입력받은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전원 공급부는 제어부(21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음성인식부(220)는 자동적 수단에 의하여 음성으로부터 언어적 의미 내용을 식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음성파형을 입력하여 단어나 단어열을 식별하고 의미를 추출하는 처리 과정이며, 크게 음성 분석, 음소 인식, 단어 인식, 문장 해석, 의미 추출의 5가지로 분류된다. 음성인식부(220)는 저장된 음성과 입력된 음성이 동일한지 비교하는 음성평가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음성인식부(220)는 입력된 음성을 텍스트로 변환하거나, 텍스트를 음성으로 변환하는 음성-텍스트변환모듈(240)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촬영정보 관리서버를 이용한 실시간 전방주시시스템 및 전방주시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촬영정보 관리서버를 이용한 실시간 전방주시시스템의 내부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실시간 전방주시시스템은,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100); 촬영정보 관리서버(400); 통신단말기(500);를 포함한다.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의 전방 영상을 촬영하여 무선통신을 통해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제1카메라(121); 무선통신부(250); 및 정보처리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보처리부(210)는 무선통신에 의한 데이터 송신을 위해 정보처리를 수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정보처리부(210)는 실시간으로 획득되는 영상을 상기 통신단말기(500)에 표시하기 위해서 상기 영상의 화질, 크기 등을 변환하는 영상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무선통신부(250)는 무선통신으로 데이터 송수신을 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기 무선통신부(250)는 상기 제1카메라(121)에 의해서 획득되어 상기 정보처리부(210)에 의해 처리된 데이터를 촬영정보 관리서버(400)로 전송한다.
상기 제1카메라(121)는,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전면부 일측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전방영상을 획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제1카메라(121)는, 기울기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자는 고개를 숙인 채 통신단말기(500)를 사용하므로, 고개를 숙인 각도만큼 상기 제1카메라(121)의 기울기가 조절되어야 상기 전방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각도측정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도측정센서는 상기 사용자의 고개 숙임 정도를 인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각도측정센서는 중력측정방식을 활용하여 중력방향을 기준으로 각도가 얼마나 변경되었는지 측정한다. 상기 중력측정은 미세전자기계시스템(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s; MEMS)소자 등을 통해 지구중력을 측정하여 중력 대비 기울어짐을 측정하는 방식과 도전 액체를 이용하여 도통단계에 따른 기울어짐을 측정하는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다만, 사용자가 고개를 숙인 각도를 측정하는 기술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각도를 측정하는 다양한 기술이 모두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각도인식센서를 통해 사용자가 고개 숙인 각도를 인식하고, 상기 제1카메라(121)는 인식된 상기 각도값만큼 기울기를 조절하면 전방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상기 촬영정보 관리서버(400)는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로부터 실시간으로 촬영 영상을 수신하고, 상기 촬영 영상의 제공 요청이 있으면 상기 영상을 통신 단말기로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촬영정보 관리서버(400)는, 저장부를 포함하여,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100)가 촬영한 영상을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촬영정보 관리서버(400)는, 날짜별 또는 사용자별로 상기 서버에 촬영 영상을 저장할 수 있으며, 특정기간이 경과하면 상기 저장된 촬영영상이 자동 삭제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통신단말기(500)는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촬영정보 관리서버(400)로 상기 촬영 영상의 제공을 요청하고, 상기 촬영 영상을 제공받아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통신단말기(500)는, 무선통신부(510); 디스플레이부(520); 및 제어부(53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통신단말기(500)는, 태블릿PC, 스마트폰, 스마트워치 등의 무선통신부(510); 디스플레이부(520); 및 제어부(530);를 포함하는 통신기기가 될 수 있다.
상기 무선통신부(510)는 무선통신으로 데이터 송수신을 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520)는 사용자에게 영상 또는 이미지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에 의해 획득된 전방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부(520)의 일부에 표시하여 사용자가 전방상황을 주시하면서 상기 통신단말기(500)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어부(530)는 무선통신을 통해 수신한 데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부(520) 상에 표시하기 위해 정보처리를 수행한다.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에서 상기 단말기에서 전방영상을 표시하기에 적절한 형식으로 영상 변환이 이루어지지 않고 전송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530)가 상기 수신한 전방영상의 변환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530)는 상기 촬영정보 관리서버(400)로의 상기 촬영 영상의 제공요청 여부를 판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제어부(530)는, 상기 통신단말기(500)가 켜지는 경우, 자동으로 상기 촬영정보 관리서버(400)와 연결되어 상기 촬영 영상의 제공요청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통신단말기(500)의 화면은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꺼져있으므로, 화면이 켜지는 경우는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사용하기 위해 화면을 켠 것이다. 상기 통신단말기(500)의 화면이 켜지면 상기 촬영정보 관리서버(400)에 자동 로그인 되도록 설정하여, 상기 촬영 영상의 제공요청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단말기(50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520)와 같은 면의 일측에 구비되는 전면카메라;를 더 포함하여, 상기 전면카메라를 이용한 아이트래킹을 통해 사용자가 상기 디스플레이부(520)를 주시하고 있음이 인식되면, 상기 촬영정보 관리서버(400)로 상기 촬영영상의 실시간 제공을 요청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아이트래킹을 통해서 사용자가 실제로 상기 통신단말기(500)의 디스플레이부(520)를 주시하는 지를 파악하여, 주시하는 경우에만 상기 통신단말기(500)가 상기 촬영 영상 제공 요청을 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여러 통신단말기(500)를 사용하는 경우, 상기 촬영정보 관리서버(400)는 어떠한 통신단말기(500)로 상기 실시간 전방영상을 전송하여 표시하여야 할지 결정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를 이용한 실시간 전방주시시스템의 내부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를 이용한 실시간 전방주시시스템은,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100); 및 통신단말기(500);를 포함한다. 즉, 다만, 도 5에 있어서, 기 설명한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상기 실시예와 달리,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와 상기 통신단말기(500) 간에 직접 연동되어 촬영영상 제공요청 및 획득된 전방영상 전송이 이루어진다.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의 전방 영상을 촬영하여 상기 무선통신을 통해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제1카메라(121); 무선통신부(250); 정보처리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카메라(121)는 사용자의 전방영상을 획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제1카메라(121)는, 사용자를 고개를 숙이고 상기 통신단말기(500)를 사용하는 경우, 전방영상을 획득하기 위해 기울기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상기 무선통신부(250)는 상기 통신단말기(500)와 무선통신으로 데이터 송수신을 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기 무선통신부(250)는 상기 통신단말기(500)로부터 촬영 영상 제공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이에 따라 상기 제1카메라(121)에 의해 획득되어 정보처리된 실시간 전방 영상 데이터를 상기 통신단말기(500)로 전송한다.
상기 정보처리부(210)는 무선통신에 의한 데이터 송신을 위해 정보처리를 수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상기 사용자의 고개 숙임 정도를 인식하는 각도측정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단말기(500)는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로부터 상기 촬영 영상을 제공받아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무선통신부(510); 디스플레이부(520); 및 제어부(5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통신부(510)는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와 무선통신으로 데이터 송수신을 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520)는 사용자에게 영상 또는 이미지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제어부(530)는 무선통신을 통해 수신한 데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부(520) 상에 표시하기 위해 정보처리를 수행하고,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로 상기 촬영 영상의 제공요청 여부를 판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통신단말기(50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520)와 같은 면의 일측에 구비되는 전면카메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530)는 상기 통신단말기(500)의 전면카메라를 이용한 아이트래킹을 통해 사용자가 상기 디스플레이부(520)를 주시하고 있음이 인식되면,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로 상기 촬영영상의 실시간 제공을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530)는, 상기 통신단말기(500)가 켜지는 경우, 자동으로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와 연결되어 촬영영상 제공요청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를 이용한 실시간 전방주시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를 이용한 실시간 전방주시방법은,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제1카메라(121)가 사용자의 전방 영상을 촬영하는 단계(S100);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촬영 영상을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단계(S200); 통신단말기(500)가 실시간으로 촬영 영상을 수신하여 상기 촬영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S3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를 이용한 실시간 전방주시방법을 순서대로 설명한다.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제1카메라(121)가 사용자의 전방 영상을 촬영한다(S100).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촬영 영상을 실시간으로 전송한다(S200). 상기 촬영영상은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100) 또는 상기 촬영정보 관리서버(400)로 전송된다.
통신단말기(500)가 실시간으로 촬영 영상을 수신하여 상기 촬영 영상을 표시한다(S300). 상기 촬영정보 관리서버(400)가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와 상기 통신단말기(500) 사이에서 촬영 영상의 전송을 관리하는 경우, 상기 촬영정보 관리서버(400)가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로부터 무선통신을 통해 촬영 영상을 수신하여 상기 통신단말기(500)로 전송할 수 있다.
그 후, 상기 통신단말기(50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520) 상에 실시간 영상을 표시한다. 또한, 상기 통신단말기(500)는 사용자가 다른 작업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520)의 일부에 상기 촬영영상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통신단말기(500)가 실시간으로 촬영영상 제공요청을 하고, 이에 따라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100) 또는 상기 촬영정보 관리서버(400)가 상기 통신단말기(500)로 촬영영상을 실시간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촬영영상 제공요청은, 상기 통신단말기(500)의 전면카메라를 이용한 아이트래킹을 통해 사용자가 상기 디스플레이부(520)를 주시하고 있음이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100) 또는 상기 촬영정보 관리서버(400)로 촬영영상 제공요청을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촬영영상 제공요청은, 상기 통신단말기(500)가 켜짐을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통신단말기(500)가 자동으로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100) 또는 상기 촬영정보 관리서버(400)와 연결되어 촬영영상 제공요청을 하는 단계;을 더 포함하여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고개가 숙여진 각도를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카메라(121)를 상기 인식된 각도만큼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도측정센서에 의해서 사용자가 고개 숙인 각도를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각도만큼 제1카메라(121)의 각도를 조절하여 고개 숙임에 관계없이 전방영상을 획득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아래와 같은 다양한 효과들을 가진다.
첫째,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아닌 다른 통신디바이스를 이용하면서 보행시에도 전방상황을 상기 통신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화면 내에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어, 외부 상황의 급격한 변화, 특히 사용자 이동 중 장애물에 대한 사용자의 능동적이고 신속한 대처를 가능하게 해주는 등의 효과를 제공한다.
둘째, 사용자가 고개를 숙이고 상기 통신디바이스를 사용하면서 보행하는 경우에도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카메라 각도가 조절되어 전방 영상을 획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 시스템
110 : 사용자입력부
111 : 어플리케이션 112 : 키보드
113 : 음성입력부 114 : 터치패드
115 : GPS신호부 116 : 근거리통신
120 : 카메라부 121 : 제1카메라
122 : 제2카메라 123 : 제3카메라
130 : 센싱부 131 : 자이로센서
132 : 가속도센서 133 : 압력센서
134 : 홍체인식센서 135 : 심박검출센서
136 : 근전도센서
210 : 정보처리부 220 : 음성인식부
230 : 상황평가모듈 240 : 음성-텍스트변환모듈
250 : 무선통신부 260 : 메모리
270 : 인터페이스부
300 : 출력부 310 : 디스플레이부
320 : 음향출력부 330 : 알람부
340 : 햅틱모듈
400 : 촬영정보 관리서버
500 : 통신단말기 510 : 무선통신부
520 : 디스플레이부 530 : 제어부

Claims (17)

  1. 사용자의 전방 영상을 촬영하여 무선통신을 통해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실시간으로 촬영 영상을 수신하고, 상기 촬영 영상의 제공 요청이 있으면 상기 영상을 통신 단말기로 제공하는 촬영정보 관리서버; 및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촬영정보 관리서버로 상기 촬영 영상의 제공을 요청하고, 상기 촬영 영상을 제공받아 표시하는 통신단말기;를 포함하는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실시간 전방주시시스템.
  2. 사용자의 전방 영상을 촬영하여 상기 무선통신을 통해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촬영 영상을 제공받아 표시하는 통신단말기;를 포함하는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실시간 전방주시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전방영상을 획득하는 제1카메라;
    무선통신으로 데이터 송수신을 행하는 무선통신부; 및
    무선통신에 의한 데이터 송신을 위해 정보처리를 수행하는 정보처리부;
    를 포함하는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실시간 전방주시시스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단말기는,
    태블릿PC, 스마트폰, 스마트워치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실시간 전방주시시스템.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단말기는,
    무선통신으로 데이터 송수신을 행하는 무선통신부;
    사용자에게 영상 또는 이미지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무선통신을 통해 수신한 데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표시하기 위해 정보처리를 수행하고, 상기 촬영정보 관리서버 또는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상기 촬영 영상의 제공요청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실시간 전방주시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단말기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같은 면의 일측에 구비되는 전면카메라;를 더 포함하는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실시간 전방주시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영상의 제공요청여부 판단은,
    상기 통신단말기의 전면카메라를 이용한 아이트래킹을 통해 사용자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주시하고 있음이 인식되면, 상기 촬영정보 관리서버 또는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상기 촬영영상의 실시간 제공을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실시간 전방주시시스템.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영상의 제공요청여부 판단은,
    상기 통신단말기가 켜지는 경우, 자동으로 상기 촬영정보 관리서버 또는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연결되어 상기 촬영영상의 실시간 제공요청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실시간 전방주시시스템.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카메라는,
    기울기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실시간 전방주시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상기 사용자의 고개 숙임 정도를 인식하는 각도측정센서;를 더 포함하는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실시간 전방주시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정보 관리서버는,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촬영한 영상을 수신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실시간 전방주시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정보 관리서버는,
    날짜별 또는 사용자별로 상기 서버에 촬영 영상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실시간 전방주시시스템.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정보 관리서버는,
    특정기간이 경과하면 상기 저장된 촬영영상이 자동 삭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실시간 전방주시시스템.
  14.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제1카메라가 사용자의 전방 영상을 촬영하는 단계;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촬영 영상을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통신단말기가 실시간으로 촬영 영상을 수신하여 상기 촬영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실시간 전방주시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촬영정보 관리서버가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촬영 영상을 수신하여 상기 통신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실시간 전방주시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고개가 숙여진 각도를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카메라를 상기 인식된 각도만큼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실시간 전방주시방법.
  17. 제14항에 있어서,
    통신단말기의 전면카메라를 이용한 아이트래킹을 통해 사용자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주시하고 있음이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통신단말기가 촬영영상의 실시간 제공을 요청을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실시간 전방주시방법.
KR1020140099874A 2014-08-04 2014-08-04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실시간 전방주시시스템 및 전방주시방법 KR20160016216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9874A KR20160016216A (ko) 2014-08-04 2014-08-04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실시간 전방주시시스템 및 전방주시방법
PCT/KR2015/008129 WO2016021907A1 (ko) 2014-08-04 2015-08-04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정보처리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9874A KR20160016216A (ko) 2014-08-04 2014-08-04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실시간 전방주시시스템 및 전방주시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6216A true KR20160016216A (ko) 2016-02-15

Family

ID=553569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9874A KR20160016216A (ko) 2014-08-04 2014-08-04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실시간 전방주시시스템 및 전방주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1621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1405A (ko) * 2017-12-14 2019-06-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스마트 글라스를 이용한 발화자 선택 장치 및 방법
JP2020036123A (ja) * 2018-08-28 2020-03-05 株式会社Nttドコモ ウェアラブル端末及び表示システ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1405A (ko) * 2017-12-14 2019-06-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스마트 글라스를 이용한 발화자 선택 장치 및 방법
JP2020036123A (ja) * 2018-08-28 2020-03-05 株式会社Nttドコモ ウェアラブル端末及び表示システ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1555B1 (ko) 비콘을 이용한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카메라 기능 제한방법 및 프로그램
KR101684264B1 (ko)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버스도착 알림방법 및 이를 이용한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용 프로그램
KR20160017593A (ko)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탈출경로 제공방법 및 프로그램
EP3669277B1 (en) Associating a user voice query with head direction
KR20160015142A (ko)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긴급시 비상연락방법 및 프로그램
KR20160026310A (ko)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컬링코칭 시스템 및 방법
KR101728707B1 (ko)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실내 전자기기 제어방법 및 제어프로그램
AU2018329478B2 (en) Associating a user voice query with head direction
KR102251710B1 (ko)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외부디바이스 내 콘텐츠 관리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로 독출 가능한 기록매체
US20190354235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Augmenting Images in an Electronic Device
KR20160011302A (ko)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영상 또는 이미지 처리시스템 및 처리방법
KR20160016216A (ko)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실시간 전방주시시스템 및 전방주시방법
KR20160024140A (ko)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매장정보 제공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1629758B1 (ko)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잠금해제 방법 및 프로그램
KR20160025150A (ko)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소셜데이팅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23226A (ko)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연동된 외부단말기 위치 탐색 시스템 및 탐색 방법
KR20160015704A (ko)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지인 인식시스템 및 인식방법
KR20160025203A (ko)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당구코칭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15143A (ko) 포탄방향인식시스템,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포탄 예상 탄착지 제공방법 및 프로그램
KR102308970B1 (ko)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외부기기의 입력신호 제공시스템 및 입력신호 제공방법
KR20160016149A (ko)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졸음방지시스템 및 졸음방지방법
KR101661556B1 (ko)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신원 확인 방법 및 프로그램
KR20160014822A (ko)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택시승차정보 확인시스템 및 확인방법
KR20160018261A (ko)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보관식품 안전관리 시스템 및 안전관리 방법
KR20160027399A (ko)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회사정보 탐색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