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1438B1 - 접이식 행거 - Google Patents

접이식 행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1438B1
KR101661438B1 KR1020157020331A KR20157020331A KR101661438B1 KR 101661438 B1 KR101661438 B1 KR 101661438B1 KR 1020157020331 A KR1020157020331 A KR 1020157020331A KR 20157020331 A KR20157020331 A KR 20157020331A KR 101661438 B1 KR101661438 B1 KR 1016614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hanger
hook
edge
rotation ax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203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00901A (ko
Inventor
도시히사 츠카다
Original Assignee
유겐가이샤 큐브 아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겐가이샤 큐브 아이티 filed Critical 유겐가이샤 큐브 아이티
Priority claimed from PCT/JP2013/056298 external-priority patent/WO2013161400A1/ja
Publication of KR201501009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09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14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14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14Clothing hangers, e.g. suit hangers
    • A47G25/40Collapsible hangers
    • A47G25/4015Collapsible hangers comprising one-piece support arms at least one only pivotally-connected to a central hook member
    • A47G25/403Collapsible hangers comprising one-piece support arms at least one only pivotally-connected to a central hook member collapsing upwardly towards the hook memb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14Clothing hangers, e.g. suit hangers
    • A47G25/40Collapsible hangers
    • A47G25/4015Collapsible hangers comprising one-piece support arms at least one only pivotally-connected to a central hook member
    • A47G25/4023Collapsible hangers comprising one-piece support arms at least one only pivotally-connected to a central hook member collapsing downwardly away from the hook member

Abstract

의류 등을 거는 접이식 행거이며, 구조가 단순하고 특별한 고정구나 스프링 등의 장착을 필요로 하지 않고, 행거를 펼치거나, 접는 것을 간단하게 할 수 있는 접이식 행거를 제공한다. 공통의 회전축을 갖는 한 쌍의 아암과 훅으로 행거를 구성한다. 아암과 훅의 재질은 플라스틱, 목재, 금속 등이다. 플라스틱, 목재, 금속 등을 사용하는 경우, 각각의 아암을 2개의 평행판과 상기 평행판을 연결하는 중간판으로 구성하고, 각각의 아암의 2개의 평행판의 폭에 차이를 둔다. 아암의 중심선과 에지 라인 사이의 각도를 50도 이상 80도 이하로 설정한다. 아암의 선단부가 에지 원 영역 내에 수용되도록 한다. 아암의 선단부에 훅 스토퍼를 설치한다. 재질이 금속인 경우, 그 일 형태로서 아암과 훅을 철사로 구성하면 경량화할 수 있다. 이 경우, 에지는 상기 철사를 변형시켜 구성한다.

Description

접이식 행거 {FOLDING HANGER}
본 발명은, 의류 등을 거는 접이식 행거에 관한 것이다.
의류 등을 거는 데 행거를 사용한다. 행거는, 생활에 빼놓을 수 없는 필수품이지만, 형상에는 문제가 있다. 행거는, 크고 긴 데다가 복잡한 형상을 하고 있다. 이로 인해, 부피가 크기 때문에 사용하고 있지 않을 때에도 옷장의 공간을 점령한다. 또한, 행거는, 운반에도 적합하지 않다. 가능하면 행거는, 백이나 가방 속에 넣어 운반하고 싶지만 좀처럼 그렇게는 되지 않는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2-51899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3-169743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4-261416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5-348993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8-264477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11-235042호 공보
종래의 행거는, 크고 길며 구조가 복잡하여 취급하기 어려웠다. 이로 인해, 종래의 행거는, 접어 넣을 수 없으므로 가방 등에 넣어 운반하는 것도 용이하지 않았다.
따라서, 가방 속에 넣어 운반할 수 있어, 레스토랑 등에 들어갔을 때 꺼내어 펼쳐 코트를 걸 수 있고, 돌아갈 때에는 원 상태로 되돌려 가방에 넣을 수 있는 구조가 요구된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서는, 접을 수 있는 접이식 행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행거는, 구조가 단순하고 특별한 고정구나 스프링 등의 장착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그러면서도 행거를 펼치거나, 접는 것을 간단하게 할 수 있다. 접어 넣은 후에는 콤팩트해지므로, 백이나 가방 등에 수납되어 운반에 적합한 것으로 된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서는, 행거를 접은 상태에 있어서 아암뿐만 아니라 훅도 접어 넣어지고, 아암을 펼쳤을 때에는 훅을 아암의 밖으로 나오게 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서는, 이 동작을 확실하게 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서는, 행거를 접은 상태에서 훅을 밖으로 나오게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형태의 접이식 행거는, 한 쌍의 아암과 훅으로 이루어지는 접이식 행거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아암과 상기 훅이 공통의 회전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행거를 접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특별한 고정구나 스프링 등의 도움을 받는 일 없이, 행거가 사용시와 수납시를 넘나드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그러면서도 사용시에는 안정된 동작을 할 수 있고, 수납시에는 외견상 1매의 가늘고 긴 판으로 되어 휴대에 적합한 형태로 된다. 공공을 사용하여 벽에 걸면 일견 행거로는 보이지 않는 미관의 양호성이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전체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실시 형태의 아암의 외관도로, (a)는 측면도, (b)는 상면도, (c)는 하면도, (d)는 전방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한 쌍의 아암(1, 2)을 폐쇄한 상태를 도시하는 전방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있어서 생략된 에지(9)를 나타내고, 행거 기능시의 수평선(10)과 아암의 중심선(11) 사이의 각도 A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훅의 일례이며, 도 1의 공통 회전축(3)을 중심축으로 하는 둥근 구멍(8)을 통과하는 지지 막대(12)를 훅(4)과 일체화한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실시 형태의 개폐 상황을 도시하는 도면으로, (a)는 행거를 폐쇄한 상태를 나타내고, (b)는 중간 위치를 나타내고, (c)는 동작 위치를 나타내고, 각도 B는 행거 사용시에 있어서의 한 쌍의 아암의 개방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1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아암의 중심선(11)과 에지 라인(13) 사이의 에지각 C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a)는 아암의 측면도, (b)는 전방면도이다.
도 8은 아암의 형상에 대한 제약 조건을 나타내고, 아암의 선단부가 에지 원 영역(16) 내에 수용되어 있는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조건을 도 1의 실시 형태에 입각한 형태로 나타내고, 에지 원(14)을 실선으로 나타내고, 이 조건하에서 행거가 소정의 동작을 실시할 수 있는 것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내고, 아암에 공공(17)을 형성한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아암의 형상이 다른 예의 (a)는 측면도, (b)는 상면도, (c)는 하면도, (d)는 전방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아암의 선단에 훅 스토퍼(18)를 부착한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도 12의 행거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a)는 행거가 폐쇄된 상태, (b) 및 (c)는 동작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도 12의 실시 형태의 행거에 있어서 아암을 폐쇄한 상태에서 훅을 인출하는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아암의 형상을 중간부에 돌기부(19)를 갖는 구성으로 한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내고, 아암의 형상이 다른 예와는 다르지만 기능은 변함없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a)는 폐쇄된 상태, (b)는 동작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내고, 아암에 철사를 사용한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8은 도 17의 아암으로 구성한 행거의 동작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는 도 17의 실시 형태에 대응하는 훅(25)과 지지 막대(26)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0은 와이어 아암을 사용한 행거의 조립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행거를 공통의 회전축을 갖는 한 쌍의 아암과 훅으로 구성한다. 각각의 아암은 2개의 평행판과 그들을 연결하는 중간판으로 이루어진다. 아암이나 훅의 재질은 플라스틱이나 목재나 금속 등이다.
각각의 아암이 역방향으로 100도 이상 회전하여 정지한다. 에지 라인과 아암의 중심축 사이의 각도를 50도 이상 80도 이하로 설정한다.
행거의 아암을 충분히 회전시키기 위해 아암의 선단부를 에지 원 영역의 내부에 수용한다. 이에 의해 아암의 회전이 도중에서 차단되는 일이 없게 된다.
아암을 개방하였을 때, 훅이 아암 내에 가려져 버리지 않도록 아암의 선단부에 내향의 돌기부(푹 스토퍼)를 설치한다.
한 쌍의 아암과 훅을 철사로 구성하고, 철사를 변형시켜 에지를 구성한다.
[실시 형태 1]
도 1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 및 그 설명도를 나타낸 것으로, 행거의 아암이나 훅을 도시하는 투시도이다. 한 쌍의 아암과 훅은 공통의 회전축을 갖는다. 중간판의 단부(에지)가 상대 아암의 평행판에 접촉하여 정지하여, 행거가 안정 기능 상태로 유지된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한 쌍의 아암을 대향하는 것 같은 형태로 조립한다. 이 도면에는 훅은 생략되어 있다.
본 발명은, 행거를 접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그로 인해, 본 발명은 행거를 한 쌍의 아암과 훅으로 구성한다. 도 1은, 그 일 실시 형태를 나타낸 것으로 의류를 걸 때의 행거의 상태를 도시하는 전체 구성도이며, 내부 구조를 이해하기 쉽게 하기 위해 투시도로 되어 있다. 행거는, 한 쌍의 아암으로서, 제1 아암(1)과 제2 아암(2)을 갖는다. 2개의 아암(1, 2)은, 공통의 회전축(3)을 갖는다. 부호 4는 훅이다.
도 1의 접이식 행거의 아암 형상을 이해하기 쉽게 묘화한 것이 도 2이다. 도 2의 (a)는 아암의 측면, 도 2의 (b)는 상면, 도 2의 (c)는 하면, 도 2의 (d)는 전방면을 도시하고 있다. 전방면을 도시한 도 2의 (d)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아암은 2매의 평행판(5) 및 평행판(6)과, 이 2매을 연결하는 중간판(7)을 갖는다. 아암에는, 공통 회전축(3)이 통과하는 둥근 구멍(8)이 형성되어 있다. 아암의 2매의 평행판(5, 6)은, 반드시 완전히 평행할 필요는 없고, 약간 밖을 향해 넓어지는 형상이어도 된다.
도 2의 (a) 내지 (d)에서 중간판(7)은, 평면 형상으로 묘화되어 있지만 곡면이어도 된다. 즉, 중간판(7)은, 아암의 전방면 형상이 U자형으로 되는 상태이다. 도 2의 (a) 내지 (d)에 있어서, 부호 9는 중간판(7)의 단부(에지)이다. 보다 엄밀하게는, 부호 9는 공통 회전축에 가까운 측의 중간판(7)의 단부(에지)이다. 다시 말하면, 중간판(7)은 1매판이 아니어도 되고, 판이 복수매 있는 경우나 변형판, 나아가서는 다양한 형상의 중간부가 있을 수 있다. 여에서 의미하는 에지(9)는, 그들을 포함하여 공통 회전축에 가장 가까운 단부를 가리킨다.
2개의 아암(1, 2)은, 기본적으로는 동일한 것으로,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하여 행거를 형성한다. 그 모습을 전방면으로부터 보는 형태로 나타낸 것이 도 3이다. 도면 중, 훅은 생략되어 있다. 도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아암의 2매의 평행판(5, 6)은, 그 폭이 다르다. 즉, 평행판(5, 6)의 폭이 다른 것은, 접었을 때 서로가 상대에 수용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4는 도 1을 다시 그린 것으로, 도 1에서는 기재하지 않은 에지(9)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4는 각각의 아암의 에지가 상대 아암의 평행판에 접촉하여 정지하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아암의 에지가 상대 아암의 평행판에 접촉하여 정지되어 있는 상태가, 행거가 기능하는 상태이다.
도 4에 있어서 공통 회전축을 통과하는 수평선(10)과 아암의 중심선(11)이 이루는 각도를 A로 한다. 행거 동작시에 있어서의 이 각도의 일반적인 값은 약 30도이지만, 반드시 정해진 값이 있는 것은 아니다. 다만, 이 각도가 40도 이상으로 되면 의류가 흘러내려 버릴 우려가 발생한다.
도 1, 도 4에 있어서 회전축(3)을 통과하는 지지 막대가 필요하다. 훅(4)에 지지 막대(12)를 조립한 예를 도 5에 도시한다. 도 5의 (a)가 훅의 측면도이고, 도 5의 (b)가 하면도이다.
지지 막대가 2단 구성으로 되어 있는 예를 나타낸다. 지지 막대(12)의 중심이 훅의 회전축으로 된다. 그리고 이 회전축은 아암의 공통 회전축(3)을 회전축으로서 공유한다. 여기서는 지지 막대(12)가 훅(4)에 일체화되어 있을 경우를 나타냈지만, 이것은 각각 구성되어 있어도 지장은 없다.
도 6은 도 1의 행거에 있어서, 행거를 폐쇄한 상태인 도 6의 (a)로부터 행거 사용시인 도 6의 (c)까지의 형상의 변화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의 (b)는 중간 상태를 나타낸다. 도 6의 (a)로부터 아암을 외측으로 개방해 가면, 에지(9)도 회전하여 도 6의 (c)에서 상대 아암의 평행판에 접촉하여 정지한다. 이 상태가 행거의 기능 상태이다.
이 도 6의 (c) 상태에 있어서의 양 아암의 개방 각도를 B로 한다. 각도 A가 30도일 때, 각도 B는 240도로 된다.
의류를 뺀 후, 아암을 원 상태로 되돌리면 행거는 일자로 되어 가방이나 백 안에 쏙 들어간다. 훅도 내부로 접혀 보이지 않게 된다. 도 6의 (a)의 상태이다.
도 7은 행거가 그 기능을 발휘하기 위한 조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에서 행거 기능시에 아암이 수평선과 이루는 각도 A에 대해 서술하였다. 그 각도는 30도 전후가 일반적이다. 도 7의 각도 C는 아암의 중심선(11)과 선(13) 사이의 각도이다. 선(13)은 공통 회전축(3)과 에지(9)를 연결한 선이다. 이 선을 에지 라인이라 칭하는 것으로 하면, 에지 라인(13)은 행거의 동작 상태에서 수직으로 된다.
도 4와 도 7을 비교해 보면, 각도 A에 각도 C를 더한 것이 직각과 동등한 것을 알 수 있다. 앞서 서술한 바와 같이 각도 A는 40도 이상으로 되면 행거로서는 기능하기 어려워진다. 즉, 각도 C에 부과되는 조건은 50도 이상으로 된다. 한편, 각도 C가 90도로 되면 행거의 아암은 동작시 수평하게 되어 버린다. 따라서 각도 C는 50도 이상 90도 미만으로 된다. 이하, 이 각도 C를 에지각이라 칭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실제 사용시에 있어서는 아암의 중심선이 수평선과 이루는 각도 A의 값으로서 40도 내지 10도의 사이로 하는 것이 타당하다. 따라서, 에지각 C에 요청되는 각도는 50도 이상 80도 이하로 된다.
이상을 아암의 회전각의 시점에서 파악하면 다음과 같아진다. 도 6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행거를 접은 상태로부터 아암을 펼쳐 행거를 동작 상태로 한다. 이 과정에 있어서의 아암의 확대각 B를 상기한 설명으로부터 산출한다. 그러면 확대각 B는 200도 이상 260도 이하로 된다. 각각의 아암의 회전각은 100도 이상 130도 이하로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하나의 필요 조건을 나타낸 것이다. 도면에 나타낸 원(14)(에지 원)은 그 중심이 공통 회전축에 있고, 그 반경이 아암의 공통 회전축(3)과 에지(9)를 연결하는 직선 거리와 동등한 원이다. 그리고 이 에지 원(14)의 실선으로 나타낸 부분과 선(15)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을 에지 원 영역(16)이라 칭하는 것으로 한다. 선(15)은 에지를 통과하여 아암의 중심선(11)에 직행하는 선이다.
도 8을 보면 아암의 선단부, 즉 공통 회전축측의 선단부는 이 에지 원 영역(16) 내에 수용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은 행거가 정상 동작하기 위한 필요 조건으로 된다. 왜냐하면, 만일 아암의 선단부가 에지 원 영역(16)으로부터 밖으로 밀려나와 있으면 아암의 회전이 도중에 정지되어 버리기 때문이다.
도 9는 도 8의 아암의 회전의 모습을 에지 원(14)과 함께 도시한 것이다. 도 9의 (b)에 도시한 회전의 도중에도 에지(9)는 상대의 아암의 평행판에 접촉하는 일 없이 회전한다. 그리고 도 9의 (c)에서 상대 아암에 접촉하여 소정의 위치에 자리 잡게 된다.
[실시 형태 2]
도 10은 상기 실시 형태의 아암에 공공(17)을 형성한 다른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행거를 폐쇄한 후 삽입 막대에 이 구멍을 통과시키면 훅을 사용하지 않아도 벽 등에 걸 수 있다.
[실시 형태 3]
도 10의 실시 형태에서는 공공에 의해 행거를 거는 예를 나타냈다. 이것을 더욱 발전시켜 행거를 폐쇄한 상태에서도 훅을 사용하여 행거를 걸 수 있는 쪽이 편리하다. 그것을 가능하게 하는 예를 도 11에 도시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과는 아암의 형상이 다른 예이다. 즉, 도 1의 구성에 대해, 아암의 전체 형상, 중간판 등에 변경을 가한 것이다. 거는 의류에 길들여지기 쉬운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도 11의 (a)는 아암의 형상이 다른 행거의 측면, 도 11의 (b)는 상면, 도 11의 (c)는 하면, 도 11의 (d)는 전방면을 나타내고 있다. 각각 훅이 기재되어 있지만, 도면의 복잡함을 피하기 위해 아암의 서술은 하나에만 그치고 있다.
도 11의 실시 형태의 포인트는 중간판(7)의 형상에 변경을 가하고 있는 점이다. 에지(9)의 위치는 바꾸지 않고 중간판에 결손부를 설치하고 있다. 이에 의해 훅의 출입을 자유롭게 행할 수 있다. 따라서 행거를 폐쇄한 상태에서도 훅을 인출할 수 있다. 둥근 구멍에 의해서도, 훅을 사용해서도 행거를 걸 수 있다.
[실시 형태 4]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낸 것이며, 본 발명에 추가하는 또 하나의 기능을 도시한 것이다. 이 도면은 기본적으로 도 11과 동일하지만, 훅 스토퍼(18)를 부가한 점이 다르다. 이 스토퍼의 기능은, 도 11에 있어서 지나치게 자유로워진 훅의 회전에 제한을 가하는 것이다.
도 12의 예는, 도 11의 실시 형태에 훅 스토퍼(18)를 부착한 것으로, 훅의 회전에 제한을 가할 수 있다. 그 모습을 도 13 및 도 14에 도시한다.
통상 훅은 아암을 펼쳤을 때, 아암의 밖으로 나오는 것이 기대되지만, 도 11의 예 등에서는 항상 그렇게 된다고는 할 수 없다. 훅이 아암 속에 가려져 버리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그렇게 되면 이것을 취출하기 위해 불필요한 조작이 필요해진다. 이 점을 개선하기 위해 아암의 선단(공통 회전축에 가까운)에 훅의 스토퍼(18)를 부착한다. 이에 의해 아암을 펼쳤을 때, 훅이 아암 속에 가려져 버리는 일이 없어진다.
도 13은 그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행거를 폐쇄한 상태인 도 13의 (a)로부터 도 13의 (b)로 되거나 도 13의 (c)로 되어도, 훅은 스토퍼(18)에 차단되어 아암의 외부에 머무른다.
한편 행거를 폐쇄하였을 때에 훅을 인출하고 싶을 때도 있다. 도 12의 실시 형태에서는 그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훅의 형상에 고안을 집중시키고 있다. 도 14는 그 모습을 나타낸 것으로, 도면의 화살표 방향으로 훅을 회전시키면 스토퍼(18)에 방해되는 일 없이 훅을 인출할 수 있다.
[실시 형태 5]
도 15는 상기 실시 형태와는 다른 실시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기본적인 구성은 도 11을 답습하고 있고, 도면 중의 부호 19는 중간판(7)과는 이격되어 아암의 내측을 향하는 돌기부에 의해 이것이 상대 아암의 회전을 정지시키게 된다. 돌기부의 단부가 에지(9)이다.
[실시 형태 6]
도 16은 상기 실시 형태와는 다른 실시 형태의 개폐 상태를 투시도로 하여 도시한 것이다. 아암의 형상이 다른 예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접이식 행거에 있어서는, 행거를 접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특별한 고정구나 스프링 등의 도움을 받는 일 없이, 행거가 사용시와 수납시를 넘나드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그러면서도 사용시에는 안정된 동작을 할 수 있고, 수납시에는 외견상 1매의 가늘고 긴 판으로 되어 휴대에 적합한 형태로 된다. 공공을 사용하여 벽에 걸면 일견 행거로는 보이지 않는 미관의 양호성이 얻어진다.
도 1 등에 기재된 실시 형태에서는, 아암의 평행판이 에지에 접촉하여 행거가 기능하는 상태로 자리 잡는다. 에지는 극히 심플한 형태로 아암 스토퍼로서의 기능을 한다. 도 17에 도시한 실시 형태에서는 와이어 아암의 돌출부의 에지가 상대의 와이어 아암에 접촉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각각의 아암이 90도를 넘어 회전한다. 행거를 접는 것을 아암의 90도 이하의 회전각에 의해 가능하게 하는 종래 기술와 비교하여 행거 사용시의 안정성이 현저하게 개선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아암의 형상에도 일정한 제한을 가하고 있다. 즉, 아암의 공통 회전축측의 선단부가 에지 원 영역 내에 수용되어 있도록 아암 형상을 설계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행거가 확실하게 동작 상태에 들어가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부품수가 3개로 적고, 또한 부품 종류는 2개로 더 적다. 즉, 제작에 있어서의 공정수가 적다. 그리고 이에 의해 부품의 조립, 제거가 극히 용이하다. 제작성의 점에서나 작업성의 점에서도 그 효과는 크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훅과 아암의 형상을 고안함으로써 행거를 개방하였을 때에 훅이 아암에 가려져 버리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훅이 가려졌을 때, 그것을 인출한다고 하는 여분의 조작이 불필요해진다. 또한 매우 심플한 구조이다.
또한, 이때 행거를 폐쇄한 상태에서 훅을 인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행거를 벽 등에 걸 때, 막대에 통과시킬지 훅을 걸지 중 어느 하나의 선택을 할 수 있어 융통성이 풍부하다.
[실시 형태 7]
도 17로부터 도 20까지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아암과 행거를 철사로 구성한 예이다.
상기한 실시 형태의 예에 있어서의 행거를 구성하는 재질로서는 목재나, 플라스틱이다.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이러한 재료를 사용하는 경우를 상정하고 있다. 한편, 재질은 금속이어도 된다. 금속의 일 형태로서 철사를 사용하는 행거도 많다. 철사를 사용해도 마찬가지의 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도 17은 그 예를 도시한 것이다.
철사를 사용한 아암의 예를 도 17의 (a), 도 17의 (b) 및 도 17의 (c)에 도시한다. 각각 아암을 정면으로부터 본 것, 45도 정도 기울인 것, 그리고 90도 기울인 것이다. 아암의 선단 부분을 확대하여 원형 내에 나타내고 있다. 앞서 나온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도면 중의 부호 22는 한 쌍의 아암의 공통 회전축이다. 도면 중의 부호 23은 아암 평면에 직교하는 돌출부이다. 여기서는 그 일례를 나타내고 있지만 다양한 형상이 있을 수 있고, 반드시 아암 평면에 직교해야 하는 것도 아니다.
한 쌍의 와이어 아암(20과 21)을 마주보는 형태로 조합하여 공통 회전축(22)의 주위로 회전시키면, 소정의 각도로 된 부분에서 이 와이어의 돌출부(23)의 에지(24)가 상대의 아암에 닿는다. 지금까지 서술해 온 예와 마찬가지로 행거가 기능한다. 도 18은 그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나타낸 와이어 아암 형상은 일례이며, 다양한 변형이 있을 수 있다.
도 18에서는 생략한 훅이나 지지 막대를 기재한 것이 도 19이다. 철사의 훅(25)을 플라스틱의 지지 막대(26)에 매립한 예를 도시한다. 지지 막대(26)를 구성하는 데 목재나 금속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물론 지지 막대도 철사로 할 수 있다.
도 20은 한 쌍의 와이어 아암(20, 21)과 훅(25)을 조합한 모습을 도시한다. 선단부의 확대도를 원형 내에 나타낸다. 또한, 철사를 사용하는 훅과 도 1 이하의 실시 형태에 있는 아암 쌍을 조합하는 것도 가능하고, 도 5에 도시한 지지 막대와 훅의 조합에 철사 훅을 사용하는 등이 그 예이며, 이것도 실용성이 높은 구성으로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접이식 행거에 있어서는, 행거의 재질에 금속을 사용하는 경우, 철사로 아암이나 훅을 구성하면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재료가 저렴한 데다가 에지의 구성 등도 간략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행거의 종래 개념을 크게 바꾸어, 이용 형태의 새로운 가능성을 여는 것이다.
1 : 제1 아암
2 : 제2 아암
3 : 공통 회전축
4 : 훅
5 : 제1 평행판
6 : 제2 평행판
7 : 중간판
8 : 둥근 구멍
9 : 에지
10 : 수평선
11 : 아암의 중심선
12 : 지지 막대
13 : 에지 라인
14 : 에지 원
15 : 에지를 통과하여 아암의 중심선에 직교하는 선
16 : 에지 원 영역
17 : 공공
18 : 훅 스토퍼
19 : 돌기부
20 : 제1 철사 아암
21 : 제2 철사 아암
22 : 철사 아암의 공통 회전축
23 : 철사 아암의 돌출부
24 : 철사 아암의 에지
25 : 철사 훅
26 : 철사 행거의 지지 막대
A : 수평선과 아암의 중심선이 이루는 각도
B : 행거 사용시에 있어서의 한 쌍의 아암의 개방각
C : 아암의 중심선과 에지 라인이 이루는 각도

Claims (7)

  1. 한 쌍의 아암과 훅으로 이루어지는 접이식 행거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아암과 상기 훅이 공통의 회전축을 갖고, 각각의 아암이 2개의 평행판과 상기 평행판을 연결하는 중간판으로 이루어지고, 아암을 개방했을 때 각각의 아암의 중간판의 에지가 상대 아암의 평행판에 접촉하여 정지하고, 각각의 아암의 중간판의 에지와 공통 회전축을 연결하는 에지 라인과 아암의 중심선 사이의 각도가 50도 이상 80도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행거.
  2.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아암의 2개의 평행판의 폭이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행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 회전축에 가까운 아암의 선단부가, 그 중심이 공통 회전축에 있고 그 반경이 아암의 공통 회전축과 에지를 연결하는 직선 거리와 동등한 에지 원의 둘레선에 의해, 그리고 에지를 통과하여 아암의 중심선에 직교하는 선에 의해 둘러싸이고, 또한 회전축을 포함하는 에지 원 영역 내에 수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행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공통의 회전축에 가까운 아암의 선단부에 내향으로 돌기한 훅 스토퍼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행거.
  5. 제3항에 있어서, 공통의 회전축에 가까운 아암의 선단부에 내향으로 돌기한 훅 스토퍼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행거.
  6. 삭제
  7. 삭제
KR1020157020331A 2013-03-07 2013-03-07 접이식 행거 KR1016614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3/056298 WO2013161400A1 (ja) 2012-04-27 2013-03-07 折畳みハンガ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0901A KR20150100901A (ko) 2015-09-02
KR101661438B1 true KR101661438B1 (ko) 2016-09-29

Family

ID=542518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20331A KR101661438B1 (ko) 2013-03-07 2013-03-07 접이식 행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61438B1 (ko)
CN (1) CN10516363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32103A (zh) * 2016-04-18 2016-08-10 陈歆 一种折叠快速撑衣衣架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12650B2 (ja) * 1996-06-11 2000-11-27 大成建設株式会社 工事用エレベータおよびそのクライミング方法
KR200259228Y1 (ko) * 2001-09-06 2002-01-09 황세주 옷걸이 고리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12650A (ja) * 1989-09-27 1991-05-14 Shin Kobe Electric Mach Co Ltd 熱硬化性樹脂積層板および積層板用ガラス織布基材
JP3439181B2 (ja) 2000-08-10 2003-08-25 長林商事株式会社 ハンガー
JP2003169743A (ja) 2001-12-06 2003-06-17 Mitsunori Hara 開閉式ハンガー
JP2004261416A (ja) 2003-03-03 2004-09-24 Manabu Sato 衣服用ハンガー
JP2005348993A (ja) 2004-06-11 2005-12-22 Shengzhou Enterp Co Ltd 折り畳み式衣類用ハンガー
JP2008264477A (ja) 2007-04-24 2008-11-06 Tomonori Shichida 折り畳み機能付きハンガー
CN201131602Y (zh) * 2007-12-27 2008-10-15 张飞 折叠衣架
CN201178950Y (zh) * 2008-04-16 2009-01-14 黄知真 折叠衣架
JP2011235042A (ja) 2010-04-30 2011-11-24 Yuko Isogaki 折りたたみ式ハンガ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12650B2 (ja) * 1996-06-11 2000-11-27 大成建設株式会社 工事用エレベータおよびそのクライミング方法
KR200259228Y1 (ko) * 2001-09-06 2002-01-09 황세주 옷걸이 고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0901A (ko) 2015-09-02
CN105163630A (zh) 2015-12-16
CN105163630B (zh) 2016-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57441B2 (ja) 折畳みハンガー
JP3215493U (ja) 半折り畳み式ハンガー
KR100886671B1 (ko) 빨래 건조대
KR101661438B1 (ko) 접이식 행거
KR200438117Y1 (ko) 세탁물 건조대용 접이식 받침대
EP2762383A1 (en) Push chair for children
US11478097B2 (en) Collapsible hanger cover
KR200487425Y1 (ko) 다기능 옷걸이
KR20180136173A (ko) 접이식 옷걸이
CN110573047B (zh) 折叠式衣架
JP3076860U (ja) 物干しハンガー
KR102010868B1 (ko) 의류걸이 세트
KR20110005177U (ko) 전신 옷걸이
KR101438975B1 (ko) 접이식 옷걸이
JP3125826U (ja) ハンガー
JP3844845B2 (ja) 物干器における本体枠の吊下げワイヤー取付構造
KR200218197Y1 (ko) 반 접이식 옷걸이
JP3087604U (ja) 物干しハンガー
CN107788794B (zh) 裤架
JP5840573B2 (ja) 竿用洗濯バサミ
KR200398995Y1 (ko) 개선된 벽걸이용 절첩식 옷걸이대
JP2009095363A (ja) 折り畳み式ハンガー
CN207355916U (zh) 可简易收展的衣用挂架
JP6216549B2 (ja) カーテン用フック及びフック付カーテン
JP3147711U (ja) 衣服用ハンガ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