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6173A - 접이식 옷걸이 - Google Patents

접이식 옷걸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6173A
KR20180136173A KR1020170074777A KR20170074777A KR20180136173A KR 20180136173 A KR20180136173 A KR 20180136173A KR 1020170074777 A KR1020170074777 A KR 1020170074777A KR 20170074777 A KR20170074777 A KR 20170074777A KR 20180136173 A KR20180136173 A KR 201801361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support
plate
flange
ha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47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병선
전재선
Original Assignee
박병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선 filed Critical 박병선
Priority to KR10201700747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36173A/ko
Publication of KR201801361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61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14Clothing hangers, e.g. suit hangers
    • A47G25/40Collapsible hangers
    • A47G25/4015Collapsible hangers comprising one-piece support arms at least one only pivotally-connected to a central hook member
    • A47G25/4023Collapsible hangers comprising one-piece support arms at least one only pivotally-connected to a central hook member collapsing downwardly away from the hook memb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14Clothing hangers, e.g. suit hangers
    • A47G25/40Collapsible hangers
    • A47G25/4046Collapsible hangers comprising support arms of a series of lin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14Clothing hangers, e.g. suit hangers
    • A47G25/44Slidable hangers ; Adjustable hangers
    • A47G25/441Slidable hangers ; Adjustable hangers having adjustable width
    • A47G25/442Slidable hangers ; Adjustable hangers having adjustable width to support shouldered garments

Landscapes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옷을 보관 시 형태가 흐트러지지 않도록 상의와 하의를 동시에 거치할 수 있는 접이식 옷걸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의의 크기에 따라 옷이 거치되는 걸이부의 길이가 가변적으로 조절이 가능하며, 걸이부가 이루는 각도가 조절되어 거치할 수 있는 옷의 종류에 제약을 받지 않고, 휴대와 보관이 용이하도록 접힐 수 있는 접이식 옷걸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접이식 옷걸이 {Foldable hanger}
본 발명은 옷을 보관 시 형태가 흐트러지지 않도록 상의와 하의를 동시에 거치할 수 있는 접이식 옷걸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의의 크기에 따라 옷이 거치되는 걸이부의 길이가 가변적으로 조절이 가능하며, 걸이부가 이루는 각도가 조절되어 거치할 수 있는 옷의 종류에 제약을 받지 않고, 휴대와 보관이 용이하도록 접힐 수 있는 접이식 옷걸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옷걸이는 상의(양복, 와이셔츠, 티셔츠 등) 등의 어깨부분을 걸 수 있도록 어깨걸이를 가지며, 상부 중앙의 고리부분과 이러한 고리부분으로부터 양측으로 연장된 어깨걸이(걸림다리)가 일체로 이루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옷걸이는 주로 철사 등을 밴딩하거나 목재 등을 가공하여 상측에 고리부분을 결합하고, 대량생산이 용이하도록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가공하는 방법으로 제조되었다.
이처럼 고리와 어깨걸이가 일체로 구성된 옷걸이는 양측의 어깨걸이가 접혀지지 않으므로 사용상의 불편함이 있었고, 무엇보다 보관 시 부피가 커 공간을 차지하는 비중이 높아 여행 등으로 인해 짐을 꾸려야 하는 경우 큰 부피를 차지하는 단점이 있었다.
특히, 종래의 옷걸이는 티셔츠와 같은 앞트임이 없는 옷을 옷걸이에 거치할 때에는 옷의 목 부위를 무리하게 늘려서 거치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고, 이와 같은 습관으로 인해 옷의 목 부위가 늘어나는 문제점을 가져다주었다.
또한, 옷의 종류에 따라 옷걸이를 활용할 수 있는 범위가 매우 한정적이며, 옷의 크기 부피에 맞는 옷걸이를 다양하게 구비하여야 하므로 사용시 상당한 번거로움이 수반되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 좌우 어깨걸이를 상하로 일정폭 제한된 범위내에서 각도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옷걸이가 제안되었으나, 어깨걸이의 각도조절을 담당하는 버튼의 압지작동법 및 구성이 매우 복잡하였으며, 부품 수가 많아 원가가 상승되고 조립과정이 복잡하여 생산성 저하 및 인건비가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옷의 종류와 크기에 제약을 받지 않으며, 보관 및 수납이 용이하도록 부피를 조절할 수 있는 조립식 옷걸이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1.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95815호 '차량 휴대용 접이식 옷걸이' (출원일자 2002.08.10( 2.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63392호 '원 터치형 접이식 옷걸이' (출원일자 2010.12.29) 3.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53296호 '접이식 옷걸이' (출원일자 2009.11.14)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옷을 보관 시 상의와 하의를 동시에 거치할 수 있어 협소한 공간에도 옷을 보관할 수 있으며, 보관 및 수납이 용이하도록 옷의 어깨가 거치되는 걸이부가 절첩될 수 있고, 옷의 종류와 크기에 따라 가변적으로 걸이부의 길이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는 접이식 옷걸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접이식 옷걸이는 내부가 중공되며, 중공된 중앙 내측면에 회전축(110)이 돌출 형성되는 하우징(100); 상기 하우징(100)의 상단에 결합되어 자유회전이 가능한 고리(200); 상기 하우징(100) 내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회전축(110)에 삽입되는 플랜지(300); 소정의 두께를 가지되, 상기 플랜지(300)의 외측면을 따라 방사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하우징(100) 내부에 위치하는 고정플레이트(400); 일측이 상기 플랜지(300)의 외측면에 삽입되어 상기 회전축(110)의 돌출된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회전되는 메인걸이부(500); 상기 고정플레이트(400)의 일측면에 구비되며, 상기 메인걸이부(500)가 상측 또는 하측으로 회전될 때 임의의 각도가 유지된 상태를 지속하도록 상기 메인걸이부(500)의 일측과 접촉되어 상기 메인걸이부(500)를 고정시키는 고정수단(600); 상기 고정플레이트(400)와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다수의 회전핀의 결합으로 절첩이 가능한 보조걸이부(7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메인걸이부(500)는 상기 플랜지(300)가 삽입되는 삽입공(511)이 관통형성되고, 가장자리에 지지돌기(512)가 돌출 형성되며 일측이 상기 하우징(100)의 외부에 노출되는 로드플레이트(510); 상기 로드플레이트(510)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 로드(520); 상기 제1 로드(520)와 결합되되, 상기 제1 로드(520)를 따라 슬라이딩되는 제2 로드(530);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수단(600)은 상기 메인걸이부(500) 일측의 회전반경과 동일한 곡률반경을 가지며, 상기 지지돌기(512)가 삽입되는 걸림홈(611)이 형성되는 고정리브(610); 상기 로드플레이트(510)가 회전하여 상기 지지돌기(512)가 걸림홈(611)에 삽입된 경우 지지돌기(512)의 삽입된 상태를 유지시키도록 일측이 상기 로드플레이트(510)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플랜지(300)에 탄성지지되는 탄성부재(6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걸림홈(611)은 상기 메인걸이부(500)가 펼쳐져 유지되는 각도가 적어도 하나 이상이 되도록 상기 플랜지(300)와 마주보는 상기 고정리브(610)의 내측면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어 다수개 형성되며, 상기 삽입공(511)은 상기 로드플레이트(510)가 상기 플랜지(300)에 안내되어 상기 탄성부재(620)가 탄성지지하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며 이동하도록 이동하는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되, 상기 로드플레이트(510)를 상기 슬라이딩되는 방향으로 견인하여 상기 지지돌기(512)를 걸림홈(611)에서 인출한 후 상기 로드플레이트(510)를 회전시켜 상기 지지돌기(512)를 다른 걸림홈(611)에 삽입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로드(520)에는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는 지지홈(521)이 다수개 형성되고, 상기 제2 로드(530)에는 상기 지지홈(521)에 삽입되는 가압돌기(531)가 돌출 형성되되, 상기 제1 로드(520)와 제2 로드(530)가 이루는 길이가 조절되도록 상기 제2 로드(530)가 제1 로드(520)에 안내되어 슬라이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보조걸이부(700)는 상기 고정플레이트(400)와 결합되는 연결부(710); 일측이 상기 연결부(710)에 상하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체결되는 제1 상부지지대(720); 상기 제1 상부지지대(720)와 상기 연결부(710)를 중심으로 대칭을 이루며, 일측이 상기 연결부(710)에 상하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체결되는 제2 상부지지대(730); 일측이 상기 제1 상부지지대(720)의 타측에 회전가능하도록 체결되는 제1 하부지지대(740); 일측이 상기 제2 상부지지대(730)의 타측에 회전가능하도록 체결되며, 타측이 상기 제1 하부지지대(740)의 타측과 회전가능하도록 체결되는 제2 하부지지대(7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1 상부지지대(720) 및 제2 상부지지대(730)는 상기 제1 하부지지대(740) 및 제2 하부지지대(750) 보다 더 연장된 길이를 이루도록 형성되되, 상기 제1 하부지지대(740)와 제2 하부지지대(750)가 동일한 수평선 상에 위치하도록 회전하는 경우 상기 제1 상부지지대(720)와 제2 상부지지대(730)가 예각을 유지하며 펼쳐지고, 상기 제1 하부지지대(740)와 제2 하부지지대(750)의 체결부위가 상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회전하는 경우 제1 상부지지대(720)의 타측과 제2 상부지지대(730)의 타측이 서로 접촉되도록 접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종류의 옷을 거치할 수 있도록 메인걸이부가 이루는 각도가 변경되며, 양측으로 펼쳐진 메일걸이부를 접어 최소한의 공간에 수납시킬 수 있어 가방 등에 간편하게 소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메인걸이부를 지지하며, 메인걸이부가 펼쳐지는 각도를 조절하는 고정수단의 작동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고정수단의 구성이 복잡하지 않아 제조과정의 편의성 및 원가절감과 더불어 작동상의 신뢰성을 포함하고, 내구성이 향상되어 장기간 사용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접이식 옷걸이의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접이식 옷걸이의 주요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메인걸이부의 작동상태 일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메인걸이부의 길이조절 방법의 일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보조걸이부의 주요구성 및 작동방법을 나타낸 측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보조걸이부의 주요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저면 사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접이식 옷걸이에 대한 일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접이식 옷걸이의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접이식 옷걸이의 주요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메인걸이부의 작동상태 일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메인걸이부의 길이조절 방법의 일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보조걸이부의 주요구성 및 작동방법을 나타낸 측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보조걸이부의 주요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저면 사시도에 관한 것이다.
도 1 및 도 2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접이식 옷걸이는 하우징(100)을 갖는다. 하우징(100)은 내부가 중공된 형상을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일측이 개방된 제1 하우징(101)과 제1 하우징(101)과 마주보며, 마주보는 일측이 개방된 제2 하우징(102)을 포함한다. 제1 하우징(101)에는 개방된 일측면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돌출되는 회전축(110)이 형성된다. 회전축(110)의 끝단은 제2 하우징(102)의 개방된 내측면에 접촉되면서 제1 하우징(101)과 제2 하우징(102)은 상호 결합된다.
도 1 및 도 2 를 참조하면 제1 하우징(101) 또는 제2 하우징(102)의 상단에는 고리(200)가 체결된다. 고리(200)는 제1 하우징(101) 또는 제2 하우징(102)의 상단에 탈부착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며, 체결된 후 자유회전이 가능하다.
또한, 고리(200)는 옷장의 연결봉에 걸어 사용하도록 일정 곡률반경을 그리며 구부러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옷장의 연결봉과 접촉되는 고리(200)의 상측에는 고리(200)가 옷장의 연결봉에서 보다 안정적으로 거치될 수 있도록 고리(200)가 이루는 곡률반경보다 작은 곡률반경을 그리는 안착부(210)가 고리(200)의 상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도 2 를 참조하면 하우징(100)의 내부에 배치되는 플랜지(300)가 형성된다. 플랜지(300)는 내부가 중공된 관 형상을 이루며 일정거리 연장된 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플랜지(300)는 하우징(100)의 내부에 위치하면서 회전축(110)에 삽입된다.
이때, 플랜지(300)의 외측면을 따라 고정플레이트(400)가 방사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고정플레이트(400)는 플랜지(300)의 연장된 길이방향보다 작은 두께를 가지며, 상하방향으로 세워지도록 형성된다. 플랜지(300)와 고정플레이트(400)는 하우징(100)의 중공된 내부에 배치되어 하우징(100)에 고정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 를 참조하면 일측이 플랜지(300)의 외측면에 삽입되어 회전하는 메인걸이부(500)가 구비된다. 메인걸이부(500)는 회전축(110)의 돌출된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을 중심축으로 가정하고, 상기 임의로 가정한 중심축을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메인걸이부(500)는 한쌍을 이루도록 하우징(100)을 중심으로 상호 대칭을 이루는 복수개로 형성된다. 이처럼 복수개로 이루어진 메인걸이부(500)의 상면에 옷의 어깨부가 거치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메인걸이부(500)가 하우징(100)과 일정각도를 유지하며 상하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사용자가 상측 또는 하측으로 회전시켜 사용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 를 참조하면 메인걸이부(500)가 상측 또는 하측에 위치하는 경우 메인걸이부(500)가 이루는 각도를 유지시키도록 메인걸이부(500)를 고정시키는 고정수단(600)이 더 구비된다. 고정수단(600)은 고정플레이트(400)의 일측면에 구비된다. 메인걸이부(500)가 복수개로 구비되므로 고정수단(600) 또한 각각의 메인걸이부(500)를 고정시키기 위해 메인걸이부(500)와 동일한 개수로 이루어진다.
하우징(100)의 하단에는 고정플레이트(400)와 탈부착이 이루어지는 삼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보조걸이부(700)가 더 구비된다. 보조걸이부(700)는 고정플레이트(400)의 하단에 돌출된 연결구(410)에 끼워지며, 절첩이 가능하도록 각각의 모서리가 힌지 결합 또는 다수의 회전핀과의 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조걸이부(700)에는 옷의 상의뿐만 아니라 바지, 특히 주름이 잘 발생하는 정장바지 등을 거치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 를 참조하면 메인걸이부(500)는 로드플레이트(510), 제1 로드(520) 및 제2 로드(530)를 포함한다. 먼저 로드플레이트(510)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판 형상으로 중앙에 삽입공(511)이 관통 형성된다. 삽입공(511)에는 플랜지(300)가 삽입되며, 이로 인해 로드플레이트(510)는 플랜지(300)를 중심으로 플랜지(300)의 외주면에 안내되어 상하방향 회전할 수 있다.
또한, 로드플레이트(510)의 가장자리에는 지지돌기(512)가 돌출 형성된다. 지지돌기(512)는 로드플레이트(510)의 두께를 이루는 측면으로부터 연장되며, 끝단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로드플레이트(510)의 지지돌기(512)와 마주보는 로드플레이트(510)의 가장자리의 일부는 하우징(100)의 외부에 노출된다.
제1 로드(520)는 하우징(100)의 외부에 노출된 로드플레이트(510)의 가장자리로부터 일정길이로 연장되며, 로드플레이트(510)와 일체로 회전한다. 제1 로드(520)에는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제1 로드(520)의 내측으로 함입되는 지지홈(521)이 다수개 형성된다. 지지홈(521)이 이루는 간격은 일정하거나, 제1 로드(520)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좁아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 로드(530)는 제1 로드(520)가 연장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형성된다. 그리고, 일측으로 제1 로드(520)가 삽입될 수 있도록 내부가 중공되며, 일측이 개방된 형상을 갖는다. 제2 로드(530)에 제1 로드(520)가 삽입됨으로써, 제2 로드(530)는 제1 로드(520)를 따라 슬라이딩된다. 이때, 개방된 제2 로드(530)의 일측에는 지지홈(521)에 삽입되는 가압돌기(531)가 돌출 형성된다.
따라서, 제1 로드(520)와 제2 로드(530)가 이루는 길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제2 로드(530)가 제1 로드(520)에 안내되어 슬라이딩되며, 가압돌기(531)가 지지홈(521)에 삽입됨으로 인해 제2 로드(530)는 제1 로드(520)에 고정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 을 참조하면 고정수단(600)은 고정리브(610) 및 탄성부재(620)를 포함한다. 고정리브(610)는 고정플레이트(400) 일측면과 타측면, 즉, 플랜지(300)가 돌출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각각 돌출 형성된다. 이때, 고정리브(610)는 메인걸이부(500) 일측의 회전반경과 동일하거나, 일정한 곡률 반경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고정리브(610)의 내측면과 로드플레이트(510)의 가장자리는 서로 마주볼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로드플레이트(510)의 가장자리와 마주보는 고정리브(610)의 내측면에는 걸림홈(611)이 합입 형성된다. 걸림홈(611)은 고정리브(610)의 내측면을 따라 일정간격을 이루며 다수개 형성될 수 있다. 즉, 메인걸이부(500)가 펼쳐져 유지되는 각도가 적어도 하나 이상이 되도록 걸림홈(611)에는 지지돌기(512)가 끼워질 수 있으며, 로드플레이트(510)가 회전하여 이웃한 다른 걸림홈(611)에 지지돌기(512)가 끼워짐으로써, 로드플레이트(510)가 임의의 각도로 회전한 후 회전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탄성부재(620)는 지지돌기(512)가 걸림홈(611)에 삽입될 경우 지지돌기(512)가 걸림홈(611)에 삽입될 상태를 유지하여 지지돌기(512)가 걸림홈(611)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일측이 로드플레이트(510)에 고정되고 타측이 플랜지(300)에 탄성지지 된다.
이때, 탄성부재(620)가 일측이 볼록하게 돌출된 판스프링일 경우, 로드플레이트(510)에는 탄성부재(620)의 양단을 지지하는 탄성부재지지돌기(510-1)가 돌출 형성된다. 탄성부재(620)가 탄성부재지지돌기(510-1)에 고정되는 경우 탄성부재(620)의 볼록한 돌출부분이 플랜지(300)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탄성력이 지지돌기(512)가 돌출된 방향을 향한다. 따라서, 지지돌기(512)가 걸림홈(611)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3 의 (a)을 참조하면, 로드플레이트(510)에 형성된 삽입공(511)은 탄성부재(620)가 탄성지지하는 방향 혹은 지지돌기(512)가 돌출된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연장형성된다. 삽입공(511)이 연장될 때, 삽입공(511)에 끼워진 플랜지(300)가 삽입공(511)의 연장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동일한 직경을 유지하며 연장된다. 이로써, 로드플레이트(510)는 플랜지(300)에 안내되어 회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삽입공(511)의 연장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
도 3 의 (b)를 참조하면 삽입공(511)이 연장형성됨으로 인해 지지돌기(512)를 걸림홈(611)에서 인출시키기 위해 로드플레이트(510)의 노출된 부분을 사용자가 파지하여 탄성부재(620)가 지지하는 탄성력의 반대방향으로 견인한다. 이로 인해, 지지돌기(512)는 걸림홈(611)에서 인출되며, 이후 로드플레이트(510)를 회전시키고, 견인하는 힘을 해제하면 이웃한 다른 걸림홈(611)에 지지돌기(512)가 삽입된다. 따라서, 메인걸이부(500)가 이루는 각도를 옷의 종류에 맞게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2 를 참조하면 제1 및 제2 하우징(101,102) 각각의 내측면에는 로드플레이트(510)의 회전범위를 제한하는 멈춤돌기(101-1,102-1)가 돌출 형성된다. 멈춤돌기(101-1,102-1)는 회전축(110)을 중심으로 소정의 곡률반경을 그리며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탄성부재지지돌기(510-1)와 동일한 회전반경을 그리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로드플레이트(510)가 일정각도 상하 회전시 탄성부재지지돌기(510-1)가 멈춤돌기(101-1,102-1)의 끝단에 접촉되면서 로드플레이트(510)의 회전을 저지할 수 있다.
도 5 를 참조하면 보조걸이부(700)는 연결부(710), 제1 상부지지대(720), 제2 상부지지대(730) 및 제1 하부지지대(740), 제2 하부지지대(750)를 포함한다.
연결부(710)는 고정플레이트(400)의 하단에 돌출된 연결구(410)와 탈부착이 이루어지지도록 체결된다.
제1 상부지지대(720)는 소정의 길이로 연장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일면이 일정한 곡률반경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제1 상부지지대(720)의 일측은 연결부(710)와 회전핀(미도시)에 의해 체결되고, 이로 인해 제1 상부지지대(720)는 상하방향으로 회전한다.
제2 상부지지대(720)는 소정의 길이로 연장 형성되되, 제1 상부지지대(720)와 연결부(710)를 중심으로 대칭을 이루며, 동일한 형상을 갖는다. 제2 상부지지대(720) 또한, 회전핀에 의해 연결부(710)와 체결되고, 상하방향으로 회전된다.
제1 하부지지대(740)는 소정의 길이로 연장형성되되, 제1 및 제2 상부지지대(720,730) 보다 작은 길이를 갖도록 연장 형성된다. 그리고 제1 하부지지대(740)의 일측은 제1 상부지지대(720)의 타측에 회전핀에 의해 체결되고 제1 상부지지대(720)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한다.
제2 하부지지대(750)는 소정의 길이로 연장 형성되되, 제1 및 제2 상부지지대(720,730) 보다 작은 길이를 갖도록 연장 형성된다.그리고, 일측이 제2 상부지지대(730)의 타측과 회전핀에 의해 체결되며, 제2 상부지지대(730)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때, 제1 하부지지대(740)의 타측과 제2 하부지지대(750)의 타측이 상호 회전핀에 의해 체결되면서, 보조걸이부(700)는 삼각형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즉, 도 5 를 참조하면, 제1 및 제2 상부지지대(720,730)가 제1 및 제2 하부지지대(740,750)보다 긴 길이를 가지므로, 제1 하부지지대(740)와 제2 하부지지대(750)가 동일한 수평선 상에 위치하는 경우 제1 상부지지대(720)와 제2 상부지지대(730)가 예각을 유지하며 삼각형 형상으로 펼쳐진다.
이와 반대로, 제1 하부지지대(740)와 제2 하부지지대(750)의 체결부위가 상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제1 및 제2 하부지지대(740,750)가 회전하면, 마주보던 제1 및 제2 상부지지대(720,730)의 각각의 타측이 점차적으로 가까워지면서 제1 및 제2 상부지지대(720,730)의 연장된 길이방향의 측면이 상호 접촉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필요조건에 따라 보조걸이부(700)를 펼치거나 접어서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도 6 을 참조하면 제1 및 제2 하부지지대(740,750) 각각의 일측에는 자석이 구비될 수 있고, 일정한 힘을 가해 자석을 떨어뜨려야만 접힌 보조걸이부(700)가 펼쳐질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하부지지대(740,750) 각각의 일측에는 제1 및 제2 상부지지대(720,730)의 연장된 길이방향의 측면이 상호 접촉된 후 접촉된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해 제1 및 제2 하부지지대(740,750) 각각의 일측을 고정하도록 고정돌기와 고점홈이 형성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 을 참조하면 제1 하부지지대(740)의 타측으로부터 제1 하부지지대(740)의 연장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날개(741)가 형성되고, 제2 하부지지대(750)의 타측에는 지지날개(741)가 안착되는 날개안착홈(751)이 형성된다. 이는 제1 및 제2 하부지지대(740,750)가 동일한 수평선상에 위치하도록 회전되는 경우 지지날개(741)가 날개안착홈(751)에 안착되어 제1 하부지지대(740)와 제2 하부지지대(750)의 체결부위가 하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지지날개(741)와 날개안착홈(751)은 제1 및 제2 하부지지대(740,750)에 거치되는 옷의 중량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접이식 옷걸이는 메인걸이부(500)가 이루는 각도가 변경, 양측으로 펼쳐지는 길이가 조절됨으로, 다양한 종류의 옷을 간편하게 거치할 수 있다. 그리고, 메일걸이부(500)를 접어서 가방 등에 간편하게 소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00 : 하우징 200 : 고리
300 : 플랜지 400 : 고정플레이트
500 : 메인걸이부 510 : 로드플레이트
520 : 제1 로드 520 : 제2 로드
600 : 고정수단 610 : 고정리브
620 : 탄성부재 700 : 보조걸이부
710 : 연결부 720 : 제1 상부지지대
730 : 제2 상부지지대 740 : 제1 하부지지대
750 : 제2 하부지지대

Claims (6)

  1. 내부가 중공되며, 중공된 중앙 내측면에 회전축(110)이 돌출 형성되는 하우징(100);
    상기 하우징(100)의 상단에 결합되어 자유회전이 가능한 고리(200);
    상기 하우징(100) 내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회전축(110)에 삽입되는 플랜지(300);
    소정의 두께를 가지되, 상기 플랜지(300)의 외측면을 따라 방사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하우징(100) 내부에 위치하는 고정플레이트(400);
    일측이 상기 플랜지(300)의 외측면에 삽입되어 상기 회전축(110)의 돌출된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회전되는 메인걸이부(500);
    상기 고정플레이트(400)의 일측면에 구비되며, 상기 메인걸이부(500)가 상측 또는 하측으로 회전될 때 임의의 각도가 유지된 상태를 지속하도록 상기 메인걸이부(500)의 일측과 접촉되어 상기 메인걸이부(500)를 고정시키는 고정수단(600);
    상기 고정플레이트(400)와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다수의 회전핀의 결합으로 절첩이 가능한 보조걸이부(7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옷걸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걸이부(500)는 상기 플랜지(300)가 삽입되는 삽입공(511)이 관통형성되고, 가장자리에 지지돌기(512)가 돌출 형성되며 일측이 상기 하우징(100)의 외부에 노출되는 로드플레이트(510);
    상기 로드플레이트(510)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 로드(520);
    상기 제1 로드(520)와 결합되되, 상기 제1 로드(520)를 따라 슬라이딩되는 제2 로드(530);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수단(600)은 상기 메인걸이부(500) 일측의 회전반경과 동일한 곡률반경을 가지며, 상기 지지돌기(512)가 삽입되는 걸림홈(611)이 형성되는 고정리브(610);
    상기 로드플레이트(510)가 회전하여 상기 지지돌기(512)가 걸림홈(611)에 삽입된 경우 지지돌기(512)의 삽입된 상태를 유지시키도록 일측이 상기 로드플레이트(510)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플랜지(300)에 탄성지지되는 탄성부재(62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옷걸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홈(611)은 상기 메인걸이부(500)가 펼쳐져 유지되는 각도가 적어도 하나 이상이 되도록 상기 플랜지(300)와 마주보는 상기 고정리브(610)의 내측면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어 다수개 형성되며,
    상기 삽입공(511)은 상기 로드플레이트(510)가 상기 플랜지(300)에 안내되어 상기 탄성부재(620)가 탄성지지하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며 이동하도록 이동하는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되,
    상기 로드플레이트(510)를 상기 슬라이딩되는 방향으로 견인하여 상기 지지돌기(512)를 걸림홈(611)에서 인출한 후 상기 로드플레이트(510)를 회전시켜 상기 지지돌기(512)를 다른 걸림홈(611)에 삽입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옷걸이.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로드(520)에는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는 지지홈(521)이 다수개 형성되고,
    상기 제2 로드(530)에는 상기 지지홈(521)에 삽입되는 가압돌기(531)가 돌출 형성되되,
    상기 제1 로드(520)와 제2 로드(530)가 이루는 길이가 조절되도록 상기 제2 로드(530)가 제1 로드(520)에 안내되어 슬라이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옷걸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걸이부(700)는
    상기 고정플레이트(400)와 결합되는 연결부(710);
    일측이 상기 연결부(710)에 상하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체결되는 제1 상부지지대(720);
    상기 제1 상부지지대(720)와 상기 연결부(710)를 중심으로 대칭을 이루며, 일측이 상기 연결부(710)에 상하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체결되는 제2 상부지지대(730);
    일측이 상기 제1 상부지지대(720)의 타측에 회전가능하도록 체결되는 제1 하부지지대(740);
    일측이 상기 제2 상부지지대(730)의 타측에 회전가능하도록 체결되며, 타측이 상기 제1 하부지지대(740)의 타측과 회전가능하도록 체결되는 제2 하부지지대(75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옷걸이.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부지지대(720) 및 제2 상부지지대(730)는 상기 제1 하부지지대(740) 및 제2 하부지지대(750) 보다 더 연장된 길이를 이루도록 형성되되,
    상기 제1 하부지지대(740)와 제2 하부지지대(750)가 동일한 수평선 상에 위치하도록 회전하는 경우 상기 제1 상부지지대(720)와 제2 상부지지대(730)가 예각을 유지하며 펼쳐지고,
    상기 제1 하부지지대(740)와 제2 하부지지대(750)의 체결부위가 상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회전하는 경우 제1 상부지지대(720)의 타측과 제2 상부지지대(730)의 타측이 서로 접촉되도록 접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옷걸이.
KR1020170074777A 2017-06-14 2017-06-14 접이식 옷걸이 KR2018013617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4777A KR20180136173A (ko) 2017-06-14 2017-06-14 접이식 옷걸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4777A KR20180136173A (ko) 2017-06-14 2017-06-14 접이식 옷걸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6173A true KR20180136173A (ko) 2018-12-24

Family

ID=650102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4777A KR20180136173A (ko) 2017-06-14 2017-06-14 접이식 옷걸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3617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75037A (zh) * 2019-10-18 2019-12-17 昆山大迈家居用品有限公司 一种可折叠衣架
CN113355853A (zh) * 2020-03-04 2021-09-07 Lg电子株式会社 衣物处理装置
KR102447916B1 (ko) * 2021-06-08 2022-09-27 박병선 휴대용 접이식 옷걸이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75037A (zh) * 2019-10-18 2019-12-17 昆山大迈家居用品有限公司 一种可折叠衣架
CN113355853A (zh) * 2020-03-04 2021-09-07 Lg电子株式会社 衣物处理装置
CN113355853B (zh) * 2020-03-04 2023-12-01 Lg电子株式会社 衣物处理装置
US11926949B2 (en) 2020-03-04 2024-03-12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2447916B1 (ko) * 2021-06-08 2022-09-27 박병선 휴대용 접이식 옷걸이
WO2022260191A1 (ko) * 2021-06-08 2022-12-15 박병선 휴대용 접이식 옷걸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1318B1 (ko) 원터치 접이식 옷걸이
US9247838B2 (en) Collapsible clothes and article hanger
KR101581784B1 (ko) 반접이식 옷걸이
US9055834B2 (en) Adjustable garment hanger
KR20180136173A (ko) 접이식 옷걸이
US5590823A (en) Collapsible garment hanger suitable for rapid one-handed engagement with garment
US20190298094A1 (en) Collapsible hanger
US20170071386A1 (en) Collapsible hanger for use in-garment to reduce creasing, crushing, and wrinkling, while maintaining support and structure, of upper garment during storage and transportation
JPWO2002040763A1 (ja) 吊下支持具
US7784654B1 (en) Collapsible travel hanger
US2808942A (en) Garment hanger
KR102447916B1 (ko) 휴대용 접이식 옷걸이
KR20180033918A (ko) 캠핑용 옷걸이
KR20170003780U (ko) 다기능 옷걸이
KR102153228B1 (ko) 지주결합형 걸이모듈
KR200354714Y1 (ko) 세탁물 건조걸이
JP3191592U (ja) ハンガ
US6910593B1 (en) Portable garment rack
CN214613175U (zh) 一种折叠晾衣杆
KR100988555B1 (ko) 일체형 상하의 옷걸이
CN220630617U (zh) 一种折叠猫兜及猫树
KR200170069Y1 (ko) 다용도 옷걸이
KR102153227B1 (ko) 포터블 스탠드형 행거
KR20170002704U (ko) 접이식 옷걸이
CN208755602U (zh) 一种便携挂物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WITR Request for withdrawal (abandonment) after decis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