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3780U - 다기능 옷걸이 - Google Patents

다기능 옷걸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3780U
KR20170003780U KR2020170005098U KR20170005098U KR20170003780U KR 20170003780 U KR20170003780 U KR 20170003780U KR 2020170005098 U KR2020170005098 U KR 2020170005098U KR 20170005098 U KR20170005098 U KR 20170005098U KR 20170003780 U KR20170003780 U KR 2017000378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ger
round
bars
round hanger
multifunctio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509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7425Y1 (ko
Inventor
송주현
Original Assignee
송주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주현 filed Critical 송주현
Priority to KR202017000509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7425Y1/ko
Publication of KR2017000378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378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742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742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14Clothing hangers, e.g. suit hangers
    • A47G25/40Collapsible hang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14Clothing hangers, e.g. suit hangers
    • A47G25/28Hang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A47G25/32Hang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involving details of the hook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14Clothing hangers, e.g. suit hangers
    • A47G25/40Collapsible hangers
    • A47G25/4015Collapsible hangers comprising one-piece support arms at least one only pivotally-connected to a central hook member
    • A47G25/4038Collapsible hangers comprising one-piece support arms at least one only pivotally-connected to a central hook member collapsing around a vertical axis, e.g. the axis of the hook memb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14Clothing hangers, e.g. suit hangers
    • A47G25/40Collapsible hangers
    • A47G25/4046Collapsible hangers comprising support arms of a series of links
    • A47G25/4053Collapsible hangers comprising support arms of a series of links telescopically or slidably connected

Landscapes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옷걸이는 제1 라운드 걸이(10); 상기 제1 라운드 걸이(10) 상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라운드 걸이(20); 상기 제1 라운드 걸이(10)의 하부 측에 배치되는 지지부(30); 상기 지지부(30)의 상하부 상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하부 회전바(40,50); 상기 회전바(40,5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걸이부(60); 및 상기 지지부(30)의 상단 및 하단에 배치되는 회전작동구(70)와, 상기 상단 및 하단 각각의 회전작동구(70)를 중심으로 상하부 회전바(40,50)의 양단과 걸이부(60) 사이에 배치된 좌우의 회전 작동구(70);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30)를 중심으로 한 상기 상하부 회전바(40,50)의 회전 및 상기 상하부 회전바(40,50)의 외측 상에서의 상기 걸이부(60)의 회전에 따라 접힘 구동이 가능하고, 상기 걸이부(60)의 펼쳐진 상태 및 접힘 상태에 따라, 상기 제1 라운드 걸이(10) 및 제2 라운드 걸이(20)를 갖는 이중의 라운드 걸이 구조를 통해서, 선택적으로 옷장의 걸이봉 상에 걸 수 있는 구조이며, 상기 상하부 회전바(40,50)는 걸이부(60)에 비하여 짧은 수평형의 로드로 걸이부(60)를 지지하고 회전을 보조하며, 상기 제2 라운드 걸이(20)는 상기 제1 라운드 걸이(10)와 동일한 높이의 위치 및 상기 제2 라운드 걸이(20)를 수직으로 아래로 회동시켜 지지부(30)를 향하여 수납할 수 있는 위치로 설정할 수 있고, 상기 선택적으로 옷장의 걸이봉 상에 걸 수 있는 구조는, 지지부(30)를 중심으로 걸이부(60)를 수평 방향으로 절반 접었을 때 제2라운드 걸이(20)를 상기 제1 라운드 걸이(10)와 동일한 높이의 위치에서 상기 제2 라운드 걸이(20)를 상기 걸이봉 상에 걸 수 있다.

Description

다기능 옷걸이{Multi function hanger}
본 고안은 다기능 옷걸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이중 구조의 걸고리 및 회전 가능한 한쌍의 회전바를 구성하여 옷의 종류에 따라 설치 및 보관시 공간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한 다기능 옷걸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옷걸이는 의류 중 상의를 옷의 형상을 그대로 유지시키면서 정리정돈 및 보관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종래의 옷걸이는 실용신안등록 제20-0194441호와 같이 중앙에는 걸고리가 형성된 몸체를 이루고, 상기 몸체의 양측으로는 옷(상의)의 내측 어깨 부분을 걸 수 있도록 지지바가 일체로 전개 형성되어 있다.
이에, 사용자는 옷걸이의 양측 지지바를 이용하여 옷(상의)의 내측 어깨 부위가 걸쳐질 수 있도록 지지하여 옷을 거는 한편, 걸고리를 이용하여 행거나 옷장 걸이대 등에 보관하게 된다.
즉, 상기와 같은 종래의 옷걸이는 와이셔츠 등과 같이 전면이 개방되는 옷의 경우에는 그 전면 개방부를 통해 옷걸이의 지지바를 옷의 내부로 수용시켜 어깨 부위를 걸어 사용하며, 티셔츠나 니트와 같이 전방이 폐쇄되어 있는 옷의 경우에는 지지바를 목 부위를 통해 내부로 진입시켜 걸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옷걸이는 지지바와 걸이대의 형상이 고정되어 있어서, 휴대 및 보관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티셔츠와 같은 옷의 삽입시 지지바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삽입하는 과정이 복잡한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의 국내등록특허인 제10-1581784호에서는 한쌍이 걸이구와 라운드 고리를 접이식으로 구성하여 공간활용도를 높이면서도 크기를 절반으로 줄여 보관 및 이동시 여유공간을 최소화하여 다량의 옷걸이를 보관 및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반접이식 옷걸이를 제안한 바 있다.
한편, 상기의 반접이식 옷걸이를 보면, 옷을 걸어서 접을 때 많은 기능이 이용된다는 점과 춘,하,추,동 의상에 따른 옷의 두께에 대한 부분을 여전히 많이 배려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더불어, 옷을 걸은 후에 옷장 걸이봉에 걸을 때 걸고리 부분을 접어야 하는 불편한 점이 여전한 문제점으로 지적된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73089호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3-0002110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81784호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중 구조의 걸고리 및 옷의 두께에 따라 조절할 수 있도록 회전 가능한 한쌍의 회전바를 통하여 다양한 춘,하,추,동 의복을 각각의 두께에 맞추어 걸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일반 옷장 걸이봉과 슬림형 옷장 걸이봉에 모두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여유공간을 최소화하여 다량의 옷걸이를 보관 및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옷걸이는 제1 라운드 걸이(10); 상기 제1 라운드 걸이(10) 상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라운드 걸이(20); 상기 제1 라운드 걸이(10)의 하부 측에 배치되는 지지부(30); 상기 지지부(30)의 상하부 상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하부 회전바(40,50); 상기 회전바(40,5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걸이부(60); 및 상기 지지부(30)의 상단 및 하단에 배치되는 회전작동구(70)와, 상기 상단 및 하단 각각의 회전작동구(70)를 중심으로 상하부 회전바(40,50)의 양단과 걸이부(60) 사이에 배치된 좌우의 회전 작동구(70);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30)를 중심으로 한 상기 상하부 회전바(40,50)의 회전 및 상기 상하부 회전바(40,50)의 외측 상에서의 상기 걸이부(60)의 회전에 따라 접힘 구동이 가능하고, 상기 걸이부(60)의 펼쳐진 상태 및 접힘 상태에 따라, 상기 제1 라운드 걸이(10) 및 제2 라운드 걸이(20)를 갖는 이중의 라운드 걸이 구조를 통해서, 선택적으로 옷장의 걸이봉 상에 걸 수 있는 구조이며, 상기 상하부 회전바(40,50)는 걸이부(60)에 비하여 짧은 수평형의 로드로 걸이부(60)를 지지하고 회전을 보조하며, 상기 제2 라운드 걸이(20)는 상기 제1 라운드 걸이(10)와 동일한 높이의 위치 및 상기 제2 라운드 걸이(20)를 수직으로 아래로 회동시켜 지지부(30)를 향하여 수납할 수 있는 위치로 설정할 수 있고, 상기 선택적으로 옷장의 걸이봉 상에 걸 수 있는 구조는, 지지부(30)를 중심으로 걸이부(60)를 수평 방향으로 절반 접었을 때 제2라운드 걸이(20)를 상기 제1 라운드 걸이(10)와 동일한 높이의 위치에서 상기 제2 라운드 걸이(20)를 상기 걸이봉 상에 걸 수 있는 구조인, 다기능 옷걸이를 개시한다.
상기 회전바(40,50)와 걸이부(60)는 전체적으로 삼각형의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공간은 지지부(30)에 의하여 2분할된다.
상기 제2 라운드 걸이(20)의 내측 끝단은 상기 제1 라운드 걸이(10) 상에 피봇 운동 가능하게 걸이부 힌지(21)를 통해 결합되고, 상기 제2 라운드 걸이(20) 상에는 타이 또는 스카프를 끼울 수 있는 클립 고정구(25)가 형성된다.
상기 상하부 회전바(40,50)는, 상기 지지부(30)의 상단을 중심으로 한 쌍으로 배치되는 상부 회전바(40) 및 상기 지지부(30)의 하단을 중심으로 하여 한 쌍으로 배치되는 하부 회전바(50)를 포함하며, 상기 한쌍의 상부 회전바(40) 및 한쌍의 하부 회전바(50)는 각각 동일한 길이를 갖는다.
상기 회전 작동구(70)는, 상기 지지부(30)의 상하단 상에 배치되는 회전 작동구(70)를 중심으로 하여 다른 한쌍의 회전 작동구(70)가 상기 회전바(40,50)의 외측 상에 배치됨으로써, 평면상에서 보아 상기 다기능 옷걸이 상에 3중으로 배치되는 형태이다.
상기 회전 작동구(70)는 톱니 바퀴 구조체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이중 구조의 걸고리 및 옷의 두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회전 가능한 한쌍의 회전바를 통하여 다양한 춘,하,추,동 의복을 각각의 두께에 맞추어 걸 수 있게 한다.
또한, 일반 옷장 걸이봉과 슬림형 옷장 걸이봉에 모두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여유공간을 최소화하여 다량의 옷걸이를 보관할 수 있게 한다. 이를 통해 옷장의 공간과 깊이를 축소시킬 수 있으므로 옷장이 설치되는 방의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에 방이 좁은 세대, 원룸, 두룸과 같은 가구에서는 공간에 대한 불만족이 항상 있었던바 옷을 보관하기 위한 옷장이나 붙박이장 때문에 그 공간을 더 협소하게 사용해야만 하는 문제점을 해소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옷걸이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고 소비자에게 방의 공간 확보를 더욱 확대하여 소비자의 만족도를 높이고 이로 인하여 다기능 옷걸이를 사용한 가구 산업도 크게 변화하게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옷걸이의 전체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A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3은 다기능 옷걸이를 구성하는 이중 구조의 걸고리의 작동 구조를 보인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옷걸이가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옷걸이의 부분적으로 접힌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옷걸이의 완전히 접힌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옷걸이의 펼쳐진 상태 및 접힌 상태에서 옷이 걸린 모습을 보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옷걸이의 전체적인 구성도, 도 2는 도 1의 A 부분의 확대도, 도 3은 다기능 옷걸이를 구성하는 이중 구조의 걸고리의 작동 구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옷걸이가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옷걸이의 부분적으로 접힌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옷걸이의 완전히 접힌 상태를 나타낸 도면 및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옷걸이의 펼쳐진 상태 및 접힌 상태에서 옷이 걸린 모습을 보이는 도면이다.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옷걸이(100)는 제1 라운드 걸이(10), 제1 라운드 걸이(10) 상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라운드 걸이(20), 제1 라운드 걸이(10)의 하부 측에 배치되는 지지부(30), 지지부(30)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쌍의 상부 회전바(40), 지지부(30)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쌍의 하부 회전바(50), 회전바(40,5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걸이부(60) 및 지지부(30), 회전바(40,50), 걸이부(60) 사이에 배치되어 회전 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회전 작동구(70)를 포함한다.
제1 라운드 걸이(10)는 다기능 옷걸이(100)의 중앙부 상에서 상부 회전바(40)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결합된다. 옷이 걸린 상태의 다기능 옷걸이(100)가 펼쳐진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제1 라운드 걸이(10)의 상부단에 형성된 고리를 통해 옷장에 걸 수 있게 된다.
제2 라운드 걸이(20)는 제1 라운드 걸이(10)와 유사하게 일측 끝단에 고리가 형성되고, 타측 끝단은 제1 라운드 걸이(10) 상에 피봇 운동 가능하게 걸이부 힌지(21)를 통해 결합된다. 한편, 제2 라운드 걸이(20) 상에는 타이 및 스카프 등을 끼울 수 있게 클립 고정구(25)가 형성된다.
지지부(30)는 중공의 원통형 부재로서 그 상하단에 결합되는 상,하부 회전바(40,50)와 회전 작동구(70)를 통해 결합된다.
상부 회전바(40)는 지지부(30)를 중심으로 한 쌍으로 배치되는 제1,2 상부 회전바(41,45)를 포함한다. 제1 상부 회전바(41)는 그 내측에 형성된 제1 내부 회전 돌기(411)가 지지부(30) 상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고, 제2 상부 회전바(45)는 그 내측에 형성된 제2 내부 회전 돌기(451)가 제1 내부 회전 돌기(411) 상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한다. 여기에서, 상기 내부 회전 돌기(411,451)는 회전 작동구(70)의 톱니 구조체를 통해 결합된다.
제1 상부 회전바(41)는 그 외측에 형성된 제1 외부 회전 돌기(412)가 걸이부(60) 상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고, 제2 상부 회전바(45)는 그 외측에 형성된 제2 외부 회전 돌기(452)가 걸이부(60) 상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한다. 여기에서, 상기 외부 회전 돌기(412,452)는 걸이부(60)의 끝단에 배치된 걸이부 돌기(62)와 회전 작동구(70)의 톱니 구조체를 통해 결합된다.
한편, 하부 회전바(50)의 경우도 상부 회전바(40)와 마찬가지로 지지부(30)를 중심으로 하여 한 쌍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즉, 지지부(30)를 기준으로 대칭적으로 배치되는 한쌍의 상부 회전바(40) 및 한쌍의 하부 회전바(50)는 각각 걸이부(60) 상에 그 외측이 회전 작동구(70)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상태를 유지한다. 여기에서, 상기 한쌍의 상부 회전바(40)는 동일한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고, 한쌍의 하부 회전바(50)의 경우도 동일한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부 회전바(40)와 하부 회전바(50)의 길이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한편, 제1 라운드 걸이(10)는 그 하단부(11)가 제2 내부 회전 돌기(451)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제1 라운드 걸이(10)와 제2 상부 회전바(45)는 상호 간에 자유로운 회전 거동이 가능하다.
본 고안의 옷걸이는 회전바(40,50)와 걸이부(60)는 전체적으로 삼각형의 공간을 형성하며, 이 공간이 지지부(30)에 의하여 2분할되므로 견고하고 튼튼하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라운드 걸이(10)와 제2 라운드 걸이(20)는 전체적으로 이중으로 이루어진 고리 형태를 갖게 되는데, 상기 구조를 통해서 다기능 옷걸이(100)의 펼쳐진 상태 및 접혀진 상태 모두에서 안정적으로 옷장의 걸이봉에 걸 수 있게 한다.
도 3(a)는 제2 라운드 걸이(20)가 제1 라운드 걸이(10) 상에서 수평으로 펼쳐진 상태를 보인다. 상기 상태에서는 제1 라운드 걸이(10)의 고리를 통해 옷장의 걸이봉에 다기능 옷걸이(100)를 걸 수 있고, 클립 고정구(25)를 넥타이 등을 안정적으로 끼움 체결하여 보관할 수 있다. 제2 라운드 걸이(20)가 수평으로 펼쳐지는 경우에 과도한 펼쳐짐을 방지하기 위해서 걸이부 힌지(21)의 상단에 인접하여 제1 라운드 걸이(10)에는 멈춤턱이 형성된다.
도 3(b)는 제2 라운드 걸이(20)가 제1 라운드 걸이(10) 상에서 수직으로 전개된 상태를 보인다. 상기 상태에서는 제2 라운드 걸이(20)의 고리를 통해 옷장의 걸이봉에 다기능 옷걸이(100)를 걸 수 있다.
회전 작동구(70)는 회전바(40,50)의 외측과 걸이부(60) 사이에 배치되거나 지지부(30)와 회전바(40,50) 사이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호 간의 회전 작동을 가능하게 한다.
회전 작동구(70)는 다기능 옷걸이(100) 상에 3개가 연속적으로 3중으로 배치되는 형태이다. 즉, 지지부(30)의 상하단 상에 배치되는 회전 작동구(70)를 중심으로 하여 한쌍의 회전 작동구(70)가 회전바(40,50)의 외측 상에 배치된다.
한편, 회전바(40,50)의 외측 상에 상하로 배치되는 회전 작동구(70)를 연결하도록 지지부(30)가 추가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라운드 걸이(10)의 하부 측에 배치되는 지지부(30)를 기준으로 양측에 지지부(30)가 추가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걸이부(60)의 안정적인 회전 구동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상기 구조를 통해서, 다기능 옷걸이(100)는 지지부(30)를 기준으로 회전바(40,50)가 접힘 기능을 함과 동시에 회전바(40,50)에 결합된 걸이부(60)도 접힘 기능을 수행하는바, 이를 통해서 옷의 두께에 따른 변화에 맞춰 움직일 수 있도록 3중 구조로 된 회전 작동구(70)가 있어 두꺼운 패딩과 같은 동복을 접어서 사용할 수 있도록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이하,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다기능 옷걸이(100)의 다양한 배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라운드 걸이(10)를 중심으로 한쌍의 상부 회전바(40) 및 걸이부(60)가 일직선으로 배치된 상태를 보인다. 여기에서, 제1 라운드 걸이(10)와 상부 회전바(40) 및 상부 회전바(40)와 걸이부(60) 사이에는 회전 작동구(70)가 배치된다. 회전 작동구(70)는 다기능 옷걸이(100) 상에 3개가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형태이다.
상기 상태에서는 다기능 옷걸이(100)에 걸린 옷이 접히지 않은 상태에서 그대로의 형태를 유지한다.
상기의 실시예는 옷장에 충분한 여유 공간이 있거나, 다기능 옷걸이(100)에 걸린 옷의 부피가 상당히 큰 경우에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겨울 옷과 같이 옷의 두께가 두꺼운 경우에 활용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라운드 걸이(10)를 중심으로 한쌍의 상부 회전바(40)가 각각 반시계 및 시계 방향을 따라 소정각 만큼 회동한다. 본 실시예서는 각각 45도 만큼 회동한 것일 수 있다. 한쌍의 상부 회전바(40) 및 걸이부(60)는 일직선을 유지한 상태를 보인다. 상기 상태에서는 다기능 옷걸이(100)에 걸린 옷이 중앙을 기준으로 절반 정도로 접힌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의 실시예는 옷장에 여유 공간이 많지 않거나, 다기능 옷걸이(100)에 걸린 옷의 부피가 그리 크지 않은 경우에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봄, 가을 옷과 같이 옷의 두께가 두껍거나 얇지 않은 경우에 활용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 라운드 걸이(10)를 중심으로 한쌍의 상부 회전바(40)가 각각 반시계 및 시계 방향을 따라 계속적으로 회동하여 한쌍의 걸이부(60)가 거리상으로 상당히 인접하게 유지한다. 본 실시예서는 예를 들어 각각 80~85도 만큼 회동한 것일 수 있다. 한쌍의 상부 회전바(40) 및 걸이부(60)는 절곡된 상태를 보인다. 상기 상태에서는 다기능 옷걸이(100)에 걸린 옷이 중앙을 기준으로 완전히 접힌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의 실시예는 옷장에 여유 공간이 별로 없거나, 다기능 옷걸이(100)에 걸린 옷의 부피가 작은 경우에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여름 옷과 같이 옷의 두께가 아주 얇은 경우에 활용할 수 있다. 한편, 두꺼운 패딩과 같은 동복의 경우도 접어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7을 참조하면, 각각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옷걸이의 펼쳐지거나 반 접힘 상태를 보인다.
도 7(a)에서는 도 4와 같이 제1 라운드 걸이(10)를 중심으로 한쌍의 상부 회전바(40) 및 걸이부(60)가 일직선으로 배치된 상태를 보이는 것으로서, 중앙 부위에 배치된 제1 라운드 걸이(10)를 통해 걸이봉 상에 걸 수 있다.
도 7(b)에서는 도 6과 같이 제1 라운드 걸이(10)를 중심으로 한쌍의 상부 회전바(40)가 포개져 한쌍의 걸이부(60)가 거리상으로 상당히 인접하게 유지된 후 오른쪽으로 상하부 회전바(40,50)를 회전시킨 것으로서, 중앙 부위에 배치된 제2 라운드 걸이(20)를 통해 걸이봉 상에 걸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옷걸이는 이중 구조의 걸고리 및 옷의 두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회전 가능한 한쌍의 회전바를 통하여 다양한 두께의 옷을 일반 옷장 걸이봉과 슬림형 옷장 걸이봉에 모두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여유공간을 최소화하여 다량의 옷걸이를 보관할 수 있게 한다.
이를 통해 옷장의 공간과 깊이를 축소시킬 수 있으므로 옷장이 설치되는 방의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기술적 구성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가 달성되는 것이며,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극히 용이하게 본 고안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임은 물론이다.
10 : 제1 라운드 걸이
20 : 제2 라운드 걸이
30 : 지지부
40 : 상부 회전바
50 : 하부 회전바
60 : 걸이부
70 : 회전 작동구
100 : 다기능 옷걸이

Claims (5)

  1. 제1 라운드 걸이(10);
    상기 제1 라운드 걸이(10) 상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라운드 걸이(20);
    상기 제1 라운드 걸이(10)의 하부 측에 배치되는 지지부(30);
    상기 지지부(30)의 상하부 상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하부 회전바(40,50);
    상기 회전바(40,5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걸이부(60); 및
    상기 지지부(30)의 상단 및 하단에 배치되는 회전작동구(70)와, 상기 상단 및 하단 각각의 회전작동구(70)를 중심으로 상하부 회전바(40,50)의 양단과 걸이부(60) 사이에 배치된 좌우의 회전 작동구(70);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바(40,50)와 걸이부(60)는 전체적으로 삼각형의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공간은 지지부(30)에 의하여 2분할되고,
    상기 지지부(30)를 중심으로 한 상기 상하부 회전바(40,50)의 회전 및 상기 상하부 회전바(40,50)의 외측 상에서의 상기 걸이부(60)의 회전에 따라 접힘 구동이 가능하고,
    상기 걸이부(60)의 펼쳐진 상태 및 접힘 상태에 따라, 상기 제1 라운드 걸이(10) 및 제2 라운드 걸이(20)를 갖는 이중의 라운드 걸이 구조를 통해서, 선택적으로 옷장의 걸이봉 상에 걸 수 있는 구조이며,
    상기 상하부 회전바(40,50)는 걸이부(60)에 비하여 짧은 수평형의 로드로 걸이부(60)를 지지하고 회전을 보조하며,
    상기 제2 라운드 걸이(20)는 상기 제1 라운드 걸이(10)와 동일한 높이의 위치 및 상기 제2 라운드 걸이(20)를 수직으로 아래로 회동시켜 지지부(30)를 향하여 수납할 수 있는 위치로 설정할 수 있고,
    상기 선택적으로 옷장의 걸이봉 상에 걸 수 있는 구조는, 지지부(30)를 중심으로 걸이부(60)를 수평 방향으로 절반 접었을 때 제2라운드 걸이(20)를 상기 제1 라운드 걸이(10)와 동일한 높이의 위치에서 상기 제2 라운드 걸이(20)를 상기 걸이봉 상에 걸 수 있는 구조인, 다기능 옷걸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라운드 걸이(20)의 내측 끝단은 상기 제1 라운드 걸이(10) 상에 피봇 운동 가능하게 걸이부 힌지(21)를 통해 결합되고, 상기 제2 라운드 걸이(20) 상에는 타이 또는 스카프를 끼울 수 있는 클립 고정구(25)가 형성되는,
    다기능 옷걸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 회전바(40,50)는,
    상기 지지부(30)의 상단을 중심으로 한 쌍으로 배치되는 상부 회전바(40) 및 상기 지지부(30)의 하단을 중심으로 하여 한 쌍으로 배치되는 하부 회전바(50)를 포함하며, 상기 한쌍의 상부 회전바(40) 및 한쌍의 하부 회전바(50)는 각각 동일한 길이를 갖는,
    다기능 옷걸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작동구(70)는, 상기 지지부(30)의 상하단 상에 배치되는 회전 작동구(70)를 중심으로 하여 다른 한쌍의 회전 작동구(70)가 상기 회전바(40,50)의 외측 상에 배치됨으로써, 평면에서 보아 상기 다기능 옷걸이 상에 3중으로 배치되는 형태인,
    다기능 옷걸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작동구(70)는 톱니 바퀴 구조체인,
    다기능 옷걸이.
KR2020170005098U 2017-09-28 2017-09-28 다기능 옷걸이 KR20048742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5098U KR200487425Y1 (ko) 2017-09-28 2017-09-28 다기능 옷걸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5098U KR200487425Y1 (ko) 2017-09-28 2017-09-28 다기능 옷걸이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0328 Division 2016-04-25 2016-04-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3780U true KR20170003780U (ko) 2017-11-02
KR200487425Y1 KR200487425Y1 (ko) 2018-10-31

Family

ID=604083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5098U KR200487425Y1 (ko) 2017-09-28 2017-09-28 다기능 옷걸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742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53465A (zh) * 2019-08-24 2019-11-15 赵艳 一种可拆卸对折衣服撑
JP7168802B1 (ja) * 2022-01-14 2022-11-09 吉村 きよ美 鍵付き折り畳みハンガ-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4524Y1 (ko) * 1990-06-23 1992-07-03 최용근 다용도 옷걸이
JP2002112877A (ja) * 2000-10-05 2002-04-16 Kazunori Terada 角度が変更できる洋服ハンガー
KR200373089Y1 (ko) 2004-10-12 2005-01-15 김성순 접이 옷걸이
CN202020248U (zh) * 2011-04-01 2011-11-02 金华职业技术学院 双钩式衣架
KR20130002110A (ko) 2011-06-28 2013-01-07 주식회사 알앤에프케미칼 디스플레이 화면 보호용 필름 및 상기 필름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포장용 백
CN103829749A (zh) * 2012-11-20 2014-06-04 宜城市第三高级中学 折叠式晾衣架
KR101581784B1 (ko) 2015-04-08 2015-12-31 송주현 반접이식 옷걸이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4524Y1 (ko) * 1990-06-23 1992-07-03 최용근 다용도 옷걸이
JP2002112877A (ja) * 2000-10-05 2002-04-16 Kazunori Terada 角度が変更できる洋服ハンガー
KR200373089Y1 (ko) 2004-10-12 2005-01-15 김성순 접이 옷걸이
CN202020248U (zh) * 2011-04-01 2011-11-02 金华职业技术学院 双钩式衣架
KR20130002110A (ko) 2011-06-28 2013-01-07 주식회사 알앤에프케미칼 디스플레이 화면 보호용 필름 및 상기 필름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포장용 백
CN103829749A (zh) * 2012-11-20 2014-06-04 宜城市第三高级中学 折叠式晾衣架
KR101581784B1 (ko) 2015-04-08 2015-12-31 송주현 반접이식 옷걸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53465A (zh) * 2019-08-24 2019-11-15 赵艳 一种可拆卸对折衣服撑
JP7168802B1 (ja) * 2022-01-14 2022-11-09 吉村 きよ美 鍵付き折り畳みハン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7425Y1 (ko) 2018-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1784B1 (ko) 반접이식 옷걸이
JP5757441B2 (ja) 折畳みハンガー
KR100953909B1 (ko) 안정된 단계적 접힘 기능이 구비된 행거
JP3208617U (ja) 折り畳み式ハンガー
KR200487425Y1 (ko) 다기능 옷걸이
KR100886671B1 (ko) 빨래 건조대
KR20100004365U (ko) 옷걸이
CN207461893U (zh) 一种便携式可折叠衣架
KR101055978B1 (ko) 절첩식 다용도 옷걸이
WO2017188691A1 (ko) 다기능 옷걸이
CN205923661U (zh) 一种折叠衣架
CN104783628B (zh) 一种多功能可折叠旅行衣架
KR101023888B1 (ko) 절첩가능한 레일부재가 구비된 옷장
CN210018832U (zh) 一种折叠衣架
JP5204879B2 (ja) 物干し具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洗濯ネット
JP5189685B1 (ja) 速乾物干し具
JP3230380U (ja) ツーウェイハンガー
JP6652363B2 (ja) 物干し器
JP4043302B2 (ja) 物干し器
JP2009095363A (ja) 折り畳み式ハンガー
CN216089980U (zh) 一种伸缩衣架
CN201700969U (zh) 一种多用衣架
KR102238713B1 (ko) 자동 버튼식 옷걸이
JP6616647B2 (ja) 物干し器
KR101197479B1 (ko) 옷걸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