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4365U - 옷걸이 - Google Patents

옷걸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4365U
KR20100004365U KR2020080013918U KR20080013918U KR20100004365U KR 20100004365 U KR20100004365 U KR 20100004365U KR 2020080013918 U KR2020080013918 U KR 2020080013918U KR 20080013918 U KR20080013918 U KR 20080013918U KR 20100004365 U KR20100004365 U KR 2010000436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ger
hinge
support member
frame
pedes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39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진호
조맹종
Original Assignee
조진호
조맹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진호, 조맹종 filed Critical 조진호
Priority to KR20200800139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04365U/ko
Publication of KR2010000436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4365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14Clothing hangers, e.g. suit hangers
    • A47G25/18Clothing hangers, e.g. suit hangers for two or more similar garments, e.g. constructed to connect to, or support, a similar hang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9/00Supports, holders, or containers for household use,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G1/00-A47G27/00 or A47G33/00 
    • A47G29/087Devices for fastening household utensils, or the like, to tables, walls, or the like

Landscapes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옷걸이에 관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상단에 고리부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고리부 양측으로 어깨걸이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리부 및 어깨걸이부에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흡착구가 구비되어 이루어진 옷걸이본체와; 상기 어깨걸이부의 양단부로부터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그 내측으로 한 쌍의 힌지축이 형성되어 있으며, 배면 하단부에는 지지돌기가 각각 돌출 형성되어 있는 지지부재와; 대략 사각형을 이루는 틀의 내측으로 다수의 걸이봉이 간격을 두고 배열되어 있으며, 상기 틀의 일단부는 상기 지지부재의 힌지축에 회전 가능하게 조립되는 걸이대와; 한 쪽 단부는 상기 지지부재의 하단에 마련되는 힌지핀에 회전 가능하게 조립되며, 다른 쪽 단부는 상기 틀의 하단부를 지지하여 상기 걸이대를 수평을 유지하는 받침대;로 이루어지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옷걸이본체를 흡착구를 이용하여 거울,유리창,타일 및 시트 등과 같이 표면이 매끄러운 표면이면 원하는 위치에 부착 고정시킬 수 있기 때문에 설치 공간의 제약 없이 옷걸이를 활용하여 옷을 걸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한다.
그리고, 옷걸이본체 하단에 구비된 걸이대는 수직 또는 수평으로 절첩 가능한 구성이므로, 건조대로 사용시 수평으로 펼쳐서 받침대로서 원하는 회전 각도로서 지지함으로써 걸이대의 걸이봉에 다수의 행주나 작은 수건, 양말 등을 걸어서 간편하게 건조할 수 있게 되며, 다 사용한 후에는 간편하게 부착면에서 때내어 접어서 보관할 수 있어서, 가정에서는 물론 여행을 다닐 때에도 편리하게 휴대하고 다니다가 매그러운 면이면 원하는 위치에 부착 고정하여 건조대 기능을 발휘하여 사용할 수 있는 옷걸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걸이대 및 받침대를 수직으로 접은 상태에서는 상의 및 하의를 걸어 옷장이나 행거 등에 걸어 보관할 수 있음은 물론, 다수의 허리띠, 넥타이, 목도리 등과 같은 소품들도 함께 걸어서 보관 또는 건조시킬 수 있는 등 다용도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옷걸이, 흡착구, 부착면, 걸이대, 건조대, 걸이봉, 받침대, 힌지축

Description

옷걸이{Coat Hanger}
본 고안은 옷걸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옷걸이를 거울, 유리창, 타일 및 시트등과 같이 표면이 매끄러운 면에 부착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옷걸이 본체 하단에는 수직 또는 수평으로 절첩 가능한 걸이대를 구비하여 수평으로 펼쳐서 행주나 작은 수건, 양말 등을 걸이대에 널어서 간편하게 건조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수직으로 접은 상태에서는 상의 및 하의 또는 허리티 넥타이 등도 함께 걸어 다용도로서 사용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옷걸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옷걸이는 상의나 하의를 걸어서 옷장 등에 걸어 보관하거나 빨래 건조대에 걸어 세탁물을 건조시키는 용도로 사용되고 있는 생활 필수품 중에 하나이다.
이러한 옷걸이는 사용 용도에 따라 여러 가지 종류와 모양으로 이루어지는데, 그 기본 구성을 살펴보면 옷걸이본체 상단에는 빨래줄이나 행거에 걸기 위한 고리부가 형성되어 있고, 이 고리부를 중심으로 상의를 걸 수 있는 어깨걸이부가 경사지게 대칭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다른 형태로서 옷걸이의 어깨걸이부 내측 으로 하의를 걸 수 있는 바지걸이부가 함께 구성된 것도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옷걸이는 상의와 하의를 선택적으로 걸 수 있는 단순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었기 때문에 하나의 상의 또는 하의를 걸거나, 한 벌의 상,하의를 함께 걸어 옷장이나 행거에 보관하는 용도로 주로 사용되고 있는 한계가 있는 구성이었다.
그리고, 세탁물을 빨래줄 등에 걸어 건조시킬 때에도 상기와 마찬가지로 하나의 상의 또는 하의를 걸어 건조시키거나, 한 벌의 상,하의를 함께 걸어 건조시키는 용도로 사용되고 있는 한계가 있었다.
또한, 상의와 하의를 제외한 손수건, 행주, 양말 등과 같이 크기가 작은 세탁물의 경우에는 하나의 옷걸이에 여러 개의 세탁물을 함께 걸 수가 없었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 때문에 고가의 스탠드 타입의 빨래 건조대를 별도로 구입하여 옷걸이에 걸수 없는 세탁물을 걸어서 건조시는 상황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스탠드 타입의 건조대는 펼쳐 놓았을 때 설치 공간이 많이 차지하는 문제점 때문에 실내에 설치하여 사용하기 보다는 베란다 등과 같은 별도의 장소에 설치하여 사용해야만 하는 불편함이 뒤따르는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스탠트 타입의 건조대에도 상,하의와 같은 부피가 큰 세탁물을 걸어 놓으면 건조대에 자리를 많이 차지하게 되어 작은 크기의 세탁물을 걸수 있는 공간이 부족하여 별도의 미니 스탠드 건조대를 구입하여 작은 크기의 세탁물을 별도로 모아서 걸어 건조시켜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도 내재되어 있었다.
한편, 주방이나 욕실에서 자주 사용하게 되는 행주나 물수건, 걸래, 샤워수건 및 가재 수건 등과 같이 자주 빨고 말려서 사용하게 되는 것들은 주방이나 욕실에 별도의 건조대를 고정 설치하여 건조시키는 상황이어서 이 또한 별도의 비용을 들여 행주, 수세미 또는 샤워 수건 등을 걸어 건조시킬 수 있는 전용 건조대를 별도로 구입하여 설치해야 하는 비경제적이고 불편한 문제도 있었다.
그리고, 상기한 종래의 대부분의 건조대는 세탁물을 건조하는 용도로 제한되어 있는 구성이므로 건조대를 옷걸이 형태로 사용할 수 없는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소비자들은 옷걸이를 활용하여 상,하의를 걸어 보관하거나 세탁 후 세탁물을 건조시킬 수 있는 기능을 개선하여 보다 많은 세탁물을 걸어서 건조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옷걸이로서 사용시에도 상,하의는 물론 넥타이, 허리띠, 목도리, 등과 같은 소품들도 함께 걸어 보관 및 건조 시킬수 있는 다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옷걸이를 절실히 요구하고 있는 상황이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서, 빨래줄이나 건조대가 없는 장소나, 옷걸이를 걸수 없는 장소에서도 옷걸이를 사용할 수 있도록 옷걸이본체를 거울,유리창,타일 및 시트 등과 같이 표면이 매끄러운 면에 부착 고정시킬 수 있는 흡착 기능을 구성하고, 옷걸이본체 하단에는 수직 또는 수평으로 절첩 가능한 걸이대를 구비하여 구성함으로써, 건조대로 사용시 상기 걸이대를 수평으로 펼쳐서 행주나 작은 수건, 양말 등을 간편하게 건조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상기 걸이대를 수직으로 접은 상태에서는 상의 및 하의 또는 허리띠, 넥타이, 목도리 등과 같은 소품들도 함께 걸어서 다용도로 활용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옷걸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상단에 고리부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고리부 양측으로 어깨걸이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리부 및 어깨걸이부에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흡착구가 구비되어 이루어진 옷걸이본체와; 상기 어깨걸이부의 양단부로부터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그 내측으로 한 쌍의 힌지축이 형성되어 있으며, 배면 하단부에는 지지돌기가 각각 돌출 형성되어 있는 지지부재와; 대략 사각형을 이루는 틀의 내측으로 다수의 걸이봉이 간격을 두고 배열되어 있으며, 상기 틀의 일단부는 상기 지지부재의 힌지축에 회전 가능하게 조립되어 있는 걸이대와; 한 쪽 단부는 상기 지지부재의 하단에 마련되는 힌지핀에 회전 가능하게 조립되며, 다른 쪽 단부는 상기 틀을 지지하여 상기 걸이대를 수평을 유지하는 받침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걸이대 및 상기 받침대의 일측 단부에는 상기 힌지축 및 상기 힌지핀에 조립되는 힌지구멍을 갖는 보스가 마련되어 있고, 이 보스의 외면은 다면체로 이루어져서 상기 힌지축 및 상기 힌지핀에 인접하여 상기 지지부재의 내측으로 형성되는 바지걸이봉 및 걸림핀 외면에 접촉되면서 상기 걸이대 및 상기 받침대의 회전 각도를 단계적으로 제한하도록 이루어진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걸이대 외측면에는 소품을 걸을 수 있는 다수의 보조걸이구가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받침대는 상기 지지부재의 힌지핀에 회전 가능하게 조립된 상태에서 다른 쪽 단부가 상기 틀의 하단부에 간격을 두고 형성된 복수의 끼움공에 선택적으로 끼워짐으로써 상기 걸이대를 수평 또는 임의의 회전 각도로 조절하여 지지하도록 이루어진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걸이대의 걸이봉은 그 단면이 삼각형 단면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옷걸이본체를 흡착구를 이용하여 거울,유리창,타일 및 시트 등과 같이 표면이 매끄러운 표면이면 원하는 위치에 부착 고정시킬 수 있기 때문에 설치 공간의 제약 없이 옷걸이를 활용하여 옷을 걸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한 다.
그리고, 옷걸이본체 하단에 구비된 걸이대는 수직 또는 수평으로 절첩 가능한 구성이므로, 건조대로 사용시 수평으로 펼쳐서 받침대로서 원하는 회전 각도로서 지지함으로써 걸이대의 걸이봉에 다수의 행주나 작은 수건, 양말 등을 걸어서 간편하게 건조할 수 있게 되며, 다 사용한 후에는 간편하게 부착면에서 때내어 접어서 보관할 수 있어서, 가정에서는 물론 여행을 다닐 때에도 편리하게 휴대하고 다니다가 매그러운 면이면 원하는 위치에 부착 고정하여 건조대 기능을 발휘하여 사용할 수 있는 옷걸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걸이대 및 받침대를 수직으로 접은 상태에서는 상의 및 하의를 걸어 옷장이나 행거 등에 걸어 보관할 수 있음은 물론, 다수의 허리띠, 넥타이, 목도리 등과 같은 소품들도 함께 걸어서 보관 또는 건조시킬 수 있는 등 다용도로 활용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옷걸이의 기본 구성으로서 건조대 사용 상태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옷걸이본체에 마련되는 흡착구 구성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옷걸이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옷걸이본체와 흡착구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요부확대 측단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옷걸이를 이용한 건조 기능을 설명하 기 위한 사용상태 측단면도이다.
즉, 본 고안에 따른 옷걸이(100)는 거울, 유리창, 타일 및 시트 등과 같이 표면이 매끄러운 면(이하,"부착면"이라함)에 부착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옷걸이본체(10) 하단에는 수직 또는 수평으로 절첩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수평으로 펼쳐서 행주나 작은 수건, 양말 등 세탁물(W)을 간편하게 건조할 수 있도록 하며, 수직으로 접은 상태에서는 상의(C1) 및 하의(C2) 또는 허리띠, 넥타이 등도 함께 걸어 다용도로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 옷걸이의 기본 구성을 살펴보면, 옷걸이본체(10)와, 흡착구(20), 지지부재(30), 걸이대(40) 및 받침대(50)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옷걸이본체(10)는 상단에 고리부(11)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고리부(11) 양측으로 어깨걸이부(12)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어깨걸이부(12)의 내측에는 각 단부로부터 연장 형성된 바지걸이부(13)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고리부(11)와 어깨걸이부(12) 및 바지걸이부(13)는 옷걸이(100)의 형태에 따라 여러가지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고리부(11)와 어깨걸이부(12) 및 바지걸이부(13) 전체가 합성수지로 되며,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는 옷걸이(100)의 사출 단가를 고려하여 저렴한 판매 단가를 설정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그 단면 형상은 원형 단면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리부(11)는 필요에 따라 옷걸이본체(10)와 다른 금속재질로 구성하여 옷걸이본체(10) 사출시 인써트 사출되어 일체로 조립되거나 별도로 조립되어 회전 가능하게 구성할 수 도 있다.
그리고, 상기 고리부(11) 및 어깨걸이부(12)의 배면에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흡착구(20)가 구비되는데, 상기 흡착구(20)는 본 실시예에 의하면 3개가 구비된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즉, 상기 흡착구(20)는 공지의 구성으로서 옷걸이본체(10)에 걸리는 옷이나 세탁물(W)의 중량에 대비하여 대,중,소형의 흡착구(20)를 선택하여 구성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깨걸이부(12)와 바지걸이부(13)의 모서리 부위에 가격이 저렴한 단순한 형태의 흡착구(21),(22)를 조립하여 구성하고, 다른 하나의 흡착구(23)는 흡착력을 조절할 수 있는 고급 사양으로 구성하여 옷걸이본체(10)의 고리부(11)의 내측으로 끼워 조립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3개의 흡착구(21),(22),(23)가 옷걸이본체(10)의 어깨걸이부(12)의 양단부와 중앙 상단의 고리부(11)에 삼각형을 이루면서 배치되어 옷걸이본체(10) 배면에 조립됨으로써, 옷걸이본체(10)를 부착면(S)에 흡착할 경우 각각의 흡착구(21),(22),(23)에 걸리는 하중의 3배까지도 옷이나 세탁물(W)의 중량을 안정적으로 견디면서 부착되어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흡착구(21),(22),(23) 중에서 옷걸이본체(10) 중앙 상단에 배치되는 흡착구(23)는 고리부(11)와 어깨걸이부(12)의 사이에 흡착구(23)를 조립하여 구성할 수 있는데, 이는 옷걸이(100)에 상의(C1)를 걸어 사 용하는 경우 상의(C1)의 목부분에 흡착구(23)가 걸리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상의(C1)가 걸쳐지는 영역 외측으로 흡착구(23)를 배치하여 조립한 것이다.
한편, 상기 옷걸이본체(10)와 상기 흡착구(20)의 조립 구성을 살펴보면,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질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흡착구(20)의 일측에는 끼움홈(24)을 가진 체결보스(25)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옷걸이본체(10)의 어깨걸이부(12) 양단부에는 고정판(14)이 형성되고, 이 고정판(14)의 중앙으로 체결홈(15)이 형성되어 있다.
이 체결홈(15)은 중간에 단턱을 가지는 장방형으로 이루어져서, 하측의 내경 크기가 상기 흡착구(15)의 체결보스(25)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측의 내경은 상기 끼움홈(24)의 외경에 동일한 크기로 형성된 구성이며, 상기 끼움홈(24)의 간격은 체결홈(15)의 두께보다 약간 크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흡착구(20)의 체결보스(25)를 상기 체결홈(15)의 하측으로 끼운 상태에서 흡착구(20)를 상측으로 올리면 상기 체결홈(15)의 내주면이 상기 끼움홈(24) 외측으로 조립되어 빠지지 않게 됨으로써 옷걸이본체(10)가 흡착구(20)에 매달리게 되어 부착면(W)에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기본 구성을 갖는 옷걸이본체(10)의 하측에는 상기 걸이대(40)가 추가로 조립되는데, 이를 위해 상기 걸이대(40)를 조립하기 위한 지지부재(30)가 마련되어 구성된다.
상기 지지부재(30)는 별도로 구성하여 조립 및 분해되도록 구성할 수 있지만 금형 제작 비용과 사출 단가를 고려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옷걸이본체(10)와 일체형 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즉, 상기 지지부재(30)는 상기 옷걸이본체(10)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상기 어깨걸이부(12)의 양단부로부터 하측으로 길게 연장 형성되어 일체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내측으로는 한 쌍의 힌지축(31)이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배면 하단부에는 지지돌기(32)가 각각 돌출 형성되어 있는 구성이다.
상기 힌지축(31)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끝단부가 뾰족하게 형성되고, 그 중앙에는 요홈(33)이 형성되어 있으며, 중간에는 걸림턱(34)이 형성되어 있는 구성이다.
상기 지지돌기(32)는 상기 흡착구(20)가 부착된 상태에서 부착면(W)과 상기 지지부재(30) 사이에 간격이 생기게 됨으로써 이 간격 만큼 지지돌기(32)가 돌출 형성되어 지지부재(30)의 하단부가 들떠 있지 않게 지지하여 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한편, 상기 걸이대(40)는 작은 세탁물(W)을 다수 개 걸기 위한 구성으로서 대략 사각형을 이루는 틀(41)로 이루어지고, 이 틀(41)의 내측으로 다수의 걸이봉(42)이 적정 간격을 두고 배열되어 있는 구성이다.
이러한 걸이대(40)는 상기 옷걸이본체(10)와 동일한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며, 필요에 따라 상기 틀(41)만 합성수지재로 구성하고 상기 걸이봉(42)은 중량이 가볍고 단가가 저렴하고 물기에 쉽게 부식이 되지 않는 금속봉이나 파이프를 소재로 하여 상기 틀 내측에 조립구멍(도시하지 않음) 등을 형성하여 조립하여 구성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틀(41)의 일단부에는 상기 지지부재(30)의 힌지축(31)에 회전 가능하게 조립되는데, 이를 위한 구성으로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도 5 및 도 7,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이대(40)의 일측 단부에는 상기 힌지축(31)에 조립되는 힌지구멍(43)을 갖는 보스(44)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보스(44)의 내경은 계단 형태로 이루어져서 상기 힌지축(31)이 보스(44)에 끼워지면서 뾰족한 단부가 요홈(33)에 의하여 내측으로 오무라들었다가 힌지구멍(43)을 통과하여 조립된 후 다시 외측으로 벌어지면서 걸림턱(34)이 힌지구멍(43) 내측의 턱에 걸림으로써 이탈되지 않도록 조립되는 구성이다.
그리고,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보스(44)의 외면은 다면체(45)로 이루어져서 상기 힌지축(31)에 인접하여 상기 지지부재(30)의 내측으로 형성되는 상기 바지걸이부(13) 외면에 접촉되어 걸리도록 함으로써 상기 걸이대(40)의 회전 각도가 단계적으로 제한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사용자가 걸이대(40)를 수직 상태에서 수평 상태로, 또는 그와 반대로 회전시킬 때 상기 보스(44)의 외면이 바지걸이봉(13)의 외면에 접촉되어 단계적으로 걸리면서 회전됨으로써 걸이대(40)를 필요한 각도로 회전 시킨 상태에서 걸이대(40)가 다시 아래로 회전되지 않도록 그 상태를 유지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걸이대(40)가 그 회전된 위치를 유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는 후술된 받침대(50)를 회전시켜 지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옷걸이본체(10)가 부착 면(W)에 부착된 상태에서 한 손으로도 걸이대(40)를 펼치거나 접을 수 있도록 사용상의 편의성을 발휘할 수 있는 구성인 것이다.
한편, 상기한 받침대(50)는 적정 길이를 갖는 봉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한 쪽 단부는 상기 지지부재(30)의 하단에 마련되는 상기 힌지축과 동일하게 요홈(33)과 걸림턱(34)을 가진 힌지핀(35)에 회전 가능하게 조립되며, 다른 쪽 단부는 상기 걸이대(40)의 틀(41) 하단부를 지지하여 상기 걸이대(40)를 수평을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즉, 상기 받침대(50)는 상기 걸이대(40)의 회전 힌지 구성과 동일한 구성으로서, 일측 단부에 상기 힌지핀(35)에 조립되는 힌지구멍(51)을 갖는 보스(52)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보스(52)의 내경은 계단 형태로 이루어져서 상기 힌지핀(35)이 보스(52)에 끼워지면 요홈(33)에 의하여 뾰족한 단부가 내측으로 오무라들었다가 힌지구멍(51)을 통과하여 조립된 후 다시 외측으로 벌어지면서 걸림턱(34)이 힌지구멍(51) 내측의 턱에 걸림으로써 이탈되지 않도록 조립되는 구성이다.
그리고, 이 보스(52)의 외면은 다면체(53)로 이루어져서 상기 힌지핀(35)에 인접하여 상기 지지부재(30)의 내측으로 형성되는 걸림핀(54) 외면에 접촉되면서 상기 받침대(50)의 회전 각도를 상기 걸이대(40)의 위치에 대응하여 단계적으로 조절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사용자가 걸이대(40)가 수평 상태로 또는 그와 반대로 회전 시킬 때 보스(52)의 외면이 상기 걸림핀(36)의 외면에 접촉되어 단계적으로 걸리면서 회전됨으로써 받침대(50)를 걸이대(40)의 회전된 수평 위치에 대응하여 회전시켜서 지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걸이대(40)가 그 회전된 위치를 유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는 받침대(50)를 회전시켜 원하는 위치로 회전시켜 지지할 수 있으므로 한 손으로도 걸이대(40)에 받침대(50)를 지지하여 펼치거나, 반대로 접을 수 있는 사용상의 편의성을 발휘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받침대(5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재(30)에 회전 가능하게 조립된 상태에서 다른 쪽 단부에는 끼움돌기(54)가 형성되어 상기 걸이대(40)의 틀(41) 하단부에 간격을 두고 형성된 복수의 끼움공(46)에 선택적으로 끼워짐으로써 상기 걸이대(40)를 수평 또는 임의의 회전 각도로 조절하여 수평 상태 이외에 상측이나 하측으로 기울인 상태를 유지시켜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걸이대(40) 외측면에는 소품을 걸을 수 있는 다수의 보조걸이구(47)가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걸이대(40)의 걸이봉(42)에 수건이나, 행주, 등을 다 걸은 후에는 또 다른 작은 세탁물 등을 보조걸이구(47)에 걸어 놓거나 건조시킬 수 있어서 걸이대(40)에 다수의 여러 종류의 세탁물들을 함께 걸어 놓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걸이대(40)의 걸이봉(42)은 그 단면이 원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삼각형 단면 형상으로 이 루어져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원형 단면을 갖는 걸이봉에 비하여 강도가 견고해지기 때문에 상기 걸이봉(42)에 물기가 묻어 많이 있는 세탁물(W)을 걸어 놓더라도 걸이봉(42)의 중간이 휘어지지 않고 직선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충격에 의해 쉽게 부러지지 않아 옷걸이 제품의 내구성을 보장하게 되는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옷걸이는 상기한 바와 같이 벽면에 부착 고정한 상태에서 세탁물을 건조시키는 기능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으며, 옷걸이으로서의 다양한 기능으로도 활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즉,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이대(40)와 받침대(50)를 수직으로 접은 상태에서 상의(C1)를 걸어 옷장이나 행거에 보관할 수 있다.
여기서, 옷걸이본체(10) 양측에 조립되어 있는 흡착구(21),(22)는 상의(C1)를 걸더라도 지장을 주지 않으며, 중앙 상단에 있는 흡착구(23)는 상의(C1)의 목 부위의 외측으로 배치되어 있으므로 상의(C1)를 옷걸이본체(10)에 걸때 지장을 주지 않는다.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옷걸이본체(10)의 바지걸이부(13) 및 걸이봉(42)에는 여러 벌의 하의(C2)를 겹쳐서 걸 수 있는데, 이때 하의(C2)의 접힌 부분이 순서대로 노출되어 외부에서 쉽게 볼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여러 벌의 하의가 걸려 있더라도 쉽게 식별하여 하의(C2)를 꺼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옷걸이로서 사용시의 걸이대(40)에는 상,하의(C1,C2) 뿐만아니라, 넥타이, 목도리, 머플러 및 허리띠와 같이 길이가 긴 소품 등을 걸이봉(42)에 순서 대로 걸어 보관할 수 있기 때문에 어지럽게 보관될 수 있는 소품들을 정리 정돈 하여 보관하는데 사용상의 편의성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도 11과 같이 옷걸이본체(10)와 걸이대(40) 및 흡착구(20)를 쉽게 분리할 수 있는데, 이러한 상태에서도 옷걸이본체(10)를 이용하여 기본적인 옷걸이로도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옷걸이의 기본 구성으로서 건조대 사용 상태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옷걸이본체에 마련되는 흡착구 구성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옷걸이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옷걸이본체와 흡착구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요부확대 측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옷걸이를 이용한 건조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사용상태 측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옷걸이의 걸이대의 각도 조절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
도 7 및 도 8 은 본 고안에 따른 걸이대 및 받침대의 회전 조립 구성 및 절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확대 측단면도들.
도 9 및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옷걸이를 이용한 상,하의를 걸어 놓은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 정면도 및 사시도,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옷걸이로서의 다른 사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0 : 옷걸이본체 11 : 고리부
12 : 어깨걸이부 13 : 바지걸이부
14 : 고정판 15 : 체결홈
20 : 흡착구 21,22 : 양측의 흡착구
23 : 중앙의 흡착구 24 : 끼움홈
25 : 체결볼트 30 : 지지부재
31 : 힌지축 32 : 지지돌기
33 : 요홈 34 : 걸림턱
35 : 힌지핀 36 : 걸림핀
40 : 걸이대 41 : 틀
42 : 걸이봉 43,51 : 힌지구멍
44,52 : 보스 45,53 : 다면체
46 : 끼움공 47 : 보조걸이구
50 : 받침대 54 : 끼움돌기
W : 세탁물 S : 부착면
C1 : 상의 C2 : 하의
100 : 옷걸이

Claims (5)

  1. 상단에 고리부(11)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고리부(11) 양측으로 어깨걸이부(1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리부(11) 및 어깨걸이부(12)에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흡착구(20)가 구비되어 이루어진 옷걸이본체(10)와;
    상기 어깨걸이부(12)의 양단부로부터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그 내측으로 한 쌍의 힌지축(31)이 형성되어 있으며, 배면 하단부에는 지지돌기(32)가 각각 돌출 형성되어 있는 지지부재(30)와;
    대략 사각형을 이루는 틀(41)의 내측으로 다수의 걸이봉(42)이 간격을 두고 배열되어 있으며, 상기 틀(41)의 일단부는 상기 지지부재(30)의 힌지축(31)에 회전 가능하게 조립되어 있는 걸이대(40)와;
    한 쪽 단부는 상기 지지부재(30)의 하단에 마련되는 힌지핀(35)에 회전 가능하게 조립되며, 다른 쪽 단부는 상기 틀(41)을 지지하여 상기 걸이대(40)의 수평을 유지하는 받침대(5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걸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대(40) 및 상기 받침대(50)의 일측 단부에는 상기 힌지축(31) 및 상기 힌지핀(35)에 조립되는 힌지구멍(43),(51)을 갖는 보스(44),(52)가 마련되어 있고, 이 보스(44)의 외면은 다면체(45),(53)로 이루어져서 상기 힌지축(31) 및 상 기 힌지핀(35)에 인접하여 상기 지지부재(30)의 내측으로 형성되는 바지걸이봉(13) 및 걸림핀(36) 외면에 접촉되면서 상기 걸이대(40) 및 상기 받침대(50)의 회전 각도를 단계적으로 제한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걸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대(40) 외측면에는 소품을 걸을 수 있는 다수의 보조걸이구(47)가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걸이.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50)는 상기 지지부재(30)의 힌지핀(31)에 회전 가능하게 조립된 상태에서 다른 쪽 단부에 형성된 끼움돌기(54)가 상기 틀(41)의 하단부에 간격을 두고 형성된 복수의 끼움공(46)에 선택적으로 끼워짐으로써 상기 걸이대(40)를 수평 또는 임의의 회전 각도로 조절하여 지지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걸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대(40)의 걸이봉(42) 단면은 삼각형 단면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걸이.
KR2020080013918U 2008-10-20 2008-10-20 옷걸이 KR2010000436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3918U KR20100004365U (ko) 2008-10-20 2008-10-20 옷걸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3918U KR20100004365U (ko) 2008-10-20 2008-10-20 옷걸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4365U true KR20100004365U (ko) 2010-04-29

Family

ID=441988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3918U KR20100004365U (ko) 2008-10-20 2008-10-20 옷걸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04365U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0920B1 (ko) * 2010-08-27 2011-01-25 박일우 수건 정리 및 보관대
CN102499565A (zh) * 2011-11-21 2012-06-20 苏州贵族公子服饰有限公司 一种环型衣服夹
KR20160094637A (ko) 2015-02-02 2016-08-10 주식회사 신흥정밀 사출금형의 보스부위 싱크마크 생성방지 장치
KR20160130656A (ko) 2015-05-04 2016-11-14 동용원 빨래 건조대
WO2019223816A1 (es) * 2018-05-19 2019-11-28 Reyes Velez Fabio Esteban Gancho de ensamble multiple con extendedor y organizador de calcetines
WO2020262796A1 (ko) * 2019-06-27 2020-12-30 조늘해 수영모자 및 수영용품 걸이대
KR20210064580A (ko) 2019-11-26 2021-06-03 이혜원 탈착가능한 폴딩형 빨래 건조대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0920B1 (ko) * 2010-08-27 2011-01-25 박일우 수건 정리 및 보관대
CN102499565A (zh) * 2011-11-21 2012-06-20 苏州贵族公子服饰有限公司 一种环型衣服夹
KR20160094637A (ko) 2015-02-02 2016-08-10 주식회사 신흥정밀 사출금형의 보스부위 싱크마크 생성방지 장치
KR20160130656A (ko) 2015-05-04 2016-11-14 동용원 빨래 건조대
WO2019223816A1 (es) * 2018-05-19 2019-11-28 Reyes Velez Fabio Esteban Gancho de ensamble multiple con extendedor y organizador de calcetines
WO2020262796A1 (ko) * 2019-06-27 2020-12-30 조늘해 수영모자 및 수영용품 걸이대
KR20210064580A (ko) 2019-11-26 2021-06-03 이혜원 탈착가능한 폴딩형 빨래 건조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04365U (ko) 옷걸이
KR100886671B1 (ko) 빨래 건조대
KR200425524Y1 (ko) 옷걸이 걸이대가 구비된 y자형 빨래 건조대
KR20110007533U (ko) 다단 접이식 빨래 건조대
KR20090000074U (ko) 건조대 겸용 행거 구조
KR100966023B1 (ko) 스탠드형 빨래 건조대 겸용 옷걸이대
KR200450680Y1 (ko) 다용도 이동식 건조대
KR200354714Y1 (ko) 세탁물 건조걸이
KR200458127Y1 (ko) 접이식 빨래 건조대의 절첩구조
JP2008200073A (ja) 物干し具
JP3134544U (ja) 速乾ハンガー
JP5783350B2 (ja) 物干し器
KR200461610Y1 (ko) 개량 빨랫줄
KR200243033Y1 (ko) 빨래거치대가 설치된 빨래건조대
JP3169702U (ja) ハンガー掛け
KR102010868B1 (ko) 의류걸이 세트
KR200170069Y1 (ko) 다용도 옷걸이
KR101056397B1 (ko) 휴대용 세탁물 건조대
KR102227465B1 (ko) 다기능 옷걸이
KR100988555B1 (ko) 일체형 상하의 옷걸이
KR200483282Y1 (ko) 행거수단이 구비된 옷걸이
KR200222110Y1 (ko) 세탁물 건조대
JP3111151U (ja) 多目的物干し用具
KR960009229Y1 (ko) 벽걸이용 절첩식 세탁물 건조대
JP3099471U (ja) ズボンを一箇所で吊るせるフック付きハンガ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