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0267B1 - 디자이너와 기업을 연결하는 디자인 중개 서비스 제공방법 - Google Patents

디자이너와 기업을 연결하는 디자인 중개 서비스 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0267B1
KR101660267B1 KR1020150103836A KR20150103836A KR101660267B1 KR 101660267 B1 KR101660267 B1 KR 101660267B1 KR 1020150103836 A KR1020150103836 A KR 1020150103836A KR 20150103836 A KR20150103836 A KR 20150103836A KR 101660267 B1 KR101660267 B1 KR 1016602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sign
designer
terminal
enterprise
exter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38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준
Original Assignee
김형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형준 filed Critical 김형준
Priority to KR10201501038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02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02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02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8Au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3Third-party assisted
    • G06Q30/0619Neutral ag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21Item configuration or customiz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자이너와 기업을 연결시켜 디자인의 요청과 제공을 중개하는 서비스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기업의 단말로부터 요구조건이 특정된 디자인을 요청받는 단계; 요구조건에 해당하는 외부 디자이너의 단말과 내부 디자이너의 단말을 디자이너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하는 단계; 요구조건을 검색된 외부 디자이너의 단말에 전달하는 단계; 외부 디자이너들의 단말로부터 복수의 제1 디자인 시안을 전달받는 단계; 제1 디자인 시안과 요구조건을 내부 디자이너의 단말로 전달하는 단계; 내부 디자이너의 단말로부터 복수의 제2 디자인 시안을 전달받는 단계; 및 제2 디자인 시안을 기업의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예비 디자이너의 입장에서 자신의 디자인을 평가 받고, 디자이너로서의 자질 향상을 통해 취업의 기회를 제공받는 이점이 있다. 또한 기업의 입장에서 다양한 디자인을 접할 수 있고, 우수한 인재를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디자이너와 기업을 연결하는 디자인 중개 서비스 제공방법{METHODS FOR OFFERING A DESIGN BROKERAGE SERVICES TO CONNECT DESIGNERS AND COMPANIES}
본 발명은 디자이너와 기업을 연결하는 디자인 중개 서비스 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실무경험이 부족한 디자이너에게 사회와의 소통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의 현재 4년제 대학교 디자인 전공생 수는 130,247명으로 미국에 이어 세계에서 두 번째로 많은 수가 배출되고 있고, 디자인과의 증설 및 디자인과 학생 수는 매년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는 세계 3대 디자인 어워드에서도 두각을 나타내고 있는데, 이것은 규모만이 아니라 디자인 능력 또한 세계적인 수준이라는 것을 반증하고 있다. 하지만 디자인 전공생의 실질적인 취업률은 49.9%로 높은 듯 하지만 피고용직과 계약직을 제외하면 약 30% 정도로 매우 낮은 상황이다. 이는 학생들이 학교 내에서 충분한 실무교육을 제공받지 못하고 있기 때문에 기업에서는 실무경험이 없는 학생들을 선호하지 않고, 경력직을 선호하기 때문이다.
현재 예비 디자이너들의 경우, 졸업 작품전이나 학내 패션쇼나 디자인 전시회 등의 일부를 제외하고는 자신의 디자인을 선보일 수 있는 채널이 전무한 실정이다. 자신의 디자인을 검증 받고, 디자이너로서의 자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이 시급한 실정이다.
이와 관련, 종래 문헌으로 한국등록특허 제10-1509475호(종래 문헌1:웹 사이트에 대한 디자인 및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는 웹서버가 수신한 프로파일을 맵핑하여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또한 종래 문헌으로 한국공개특허 제2004-0026025호(종래 문헌2:영상ㅇ게임산업 분야의 자립형 지역혁신 전문인력양성시스템)는 전문인력의 외부유출을 방지하고, 지역산업의 경쟁력을 제고하는 자립형 지역혁신 전문인력 양성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다.
또한 종래 문헌으로 한국 공개특허 특10-1451686호(종래 문헌3:디자이너 플랫폼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는 본 발명은 예비 디자이너가 업로드 한 도식화를 3D 변환 프로그램을 통해 3D 가상 이미지로 변환하여 제공하며, 페이스북(SNS) 연동을 통한 3D 가상 이미지의 조회 및 투표 결과를 통해 상위 순위의 디자인이 랭킹 순위에 따라 홈페이지 상단에 위치하여 제공될 수 있도록 해줌으로써 디자인 생산과정이 줄어들어 시간과 비용이 감소되고, 신진 디자이너 배출에 기여하는 예비 디자이너를 배출하는 등용문의 역할을 담당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다만 종래 문헌1은 클라이언트가 설정한 웹 사이트의 디자인에 클라이언트가 설정한 콘텐츠만을 맵핑하여 화면에 배치할 수 있는 방법을 나타내며, 클라이언트에게 디자인의 다양한 제공이나 디자이너의 실무 경험 제공을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 문헌2는 실무중심의 중견 전문인력의 양성체계를 구축하는 과정을 나타내고 있으나, 기업과 연계되는 구체적인 과정이나 기업에서의 필요 인력을 확보하는 모습이 구체적으로 제시되어 있지 않고, 포인트나 인턴쉽 기회 제공 등에 대한 방안이 없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 문헌3은 사용자의 다양한 요구조건에 맞출 수 없고, 단순한 3D 디자인을 제공하기 때문에 사용자 입장에서 다양한 시안을 접할 수 없고,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509475호 한국공개특허 제2004-0026025호 한국등록특허 제10-1451686호
본 발명은 실무 경험이 부족한 디자이너에게 사회와의 소통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기업에게 저비용으로 다양한 디자인을 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디자이너와 기업을 연결하는 디자인 중개 서비스 제공방법에 있어서, 기업의 단말로부터 요구조건이 특정된 디자인을 요청받는 단계; 요구조건에 해당하는 외부 디자이너들과 내부 디자이너를 디자이너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하는 단계; 요구조건을 검색된 외부 디자이너들의 단말에 전달하는 단계; 외부 디자이너들의 단말로부터 복수의 제1 디자인 시안을 전달받는 단계; 제1 디자인 시안과 요구조건을 내부 디자이너의 단말로 전달하는 단계; 내부 디자이너의 단말로부터 복수의 제2 디자인 시안을 전달받는 단계; 및 제2 디자인 시안을 기업의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자인 중개 서비스 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제2 디자인 시안 중 선정된 제2 디자인 시안에 대한 정보를 기업의 단말로부터 전달받는 단계; 및 선정된 제2 디자인 시안의 외부 디자이너에게 지급할, 우수 디자인에 대한 대가를 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디자인 시안을 제공한 외부 디자이너에게 지급할, 참여에 대한 대가를 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외부 디자이너로부터 지식재산권 위임을 받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기업의 단말로부터, 제공된 제2 디자인 시안에 대한 수정 요구를 받는 단계; 수정 요구에 따라 작성된 제3 디자인 시안을 기업의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수정 요구는 미리 정해진 횟수로 제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예비 디자이너의 입장에서 자신의 디자인을 평가 받고, 디자이너로서의 자질 향상을 통해 취업의 기회를 제공받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업의 입장에서 다양한 디자인을 접할 수 있고, 우수한 인재를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자인 중개 서비스 제공장치와 각 단말장치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자인 중개 서비스 제공방법의 순서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에서 요구조건에 따라 검색하는 페이지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자인 중개 서비스 제공장치와 각 단말 사이의 서비스 과정을 나타낸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이 예시적 실시 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 참조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재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는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자연스럽게 이해되거나 보다 분명해 질 수 있으며, 하기의 기재만으로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디자인을 웹상에서 서비스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디자인을 필요로 하는 기업과 디자인을 제작하는 개인 및 집단을 결속시킬 수 있는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이다. 또한 적은 인원으로 많은 디자인을 보유하고 디자이너 육성을 넓혀주며 디자인된 작품을 상표 및 의장의 권리획득이 가능하도록 디자인 작품을 중개 서비스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는 문맥에 따라 기업은 기업의 단말, 외부 디자이너는 외부 디자이너 단말, 내부 디자이너는 내부 디자이너 단말의 의미로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자인 중개 서비스 제공 장치(1)와 각 단말 장치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디자인 중개 서비스 제공 장치(1)는 기업의 단말(10), 외부 디자이너의 단말(30), 내부 디자이너의 단말(50) 및 데이터베이스(70)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의 단말은 네트워크 시스템을 갖추는 모든 장비를 포함하며, 일반적인 PC나 스마트폰, 이동통신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은 디자인 중개 서비스 제공 장치(1)와 유·무선을 통해 접속이 가능하고, 디자인 중개 서비스 제공 장치(1)에서는 단말을 통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DIFFY는 Design Information For Frevent Youth 의 약자로, 본 서비스를 제공하는 디자인 중개 서비스 제공 장치(1)를 말하고, 서비스를 시행하는 서버를 말한다.
기업의 단말(10)은 다양한 디자인을 원하는 기업들이 사용하는 단말로서, 저렴한 가격으로 다양한 디자인 시안을 원하는 기업이 접속할 수 있다. 또한 기업의 단말(10)에 접속하는 기업은, 디자인 시안을 통하여 디자이너를 고용하고자 하는 기업이 될 수도 있다. 기업은 실무경험이 없는 신입사원에게 교육하기 보다는 경력직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이러한 경력직을 채용하는 대신 디자인 시안을 통하여 디자이너를 미리 선별하는 과정을 가질 수 있다.
외부 디자이너의 단말(30)은 예비 디자이너, 전문 디자이너, 디자인 창출자, 참여자가 접속할 수 있고, 시장에서 자신의 디자이너를 통해 공모 방식으로 접속할 수 있는 자가 접속할 수 있다. 특히 실무 경험이 필요한 학생들, 즉 사회에 진출하기 전 트레이닝 과정이 필요한 예비 디자이너들이 접속하는데 유용하다. 후술하겠지만 외부 디자이너에는 디자인을 필요로 하는 모든 기업이 해당할 수 있으며, 이는 단지 상업적으로 디자인을 이용하는 회사나 기업 뿐만 아니라 공공 영역의 기관도 해당할 수 있다.
내부 디자이너의 단말(50)은, 디자인 중개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문 디자이너가 접속할 수 있다. 내부 디자이너 단말은 서버와 연결되어 외부 디자이너의 단말(30)로부터 자료를 제공받아 가공 작업을 거쳐 기업의 단말(10)로 자료를 전송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70)는 외부 디자이너의 단말(30)과 내부 디자이너의 단말(50) 정보를 가지고 있으며, 기업의 단말(10)로부터 요구조건에 맞는 단말을 검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체적인 내용은 DIFFY를 운영하는 회사가 직접 서버를 구축하고 기업에게서 프로젝트를 제안받고, 이를 중개하여 학생들로 하여금 공모하는 방식을 갖는다.
본 발명은 인터넷상에서 운영이 가능할 수 있고, 기업과 외부 디자이너가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운영될 수 있다. 기업으로부터 요청받고, 요청받은 제안을 수용하는 집단의 연결을 중개하는 시스템으로서, 종래의 아이디어, 채용, 기술정보또는 특허권리를 중개하는 중개시스템과 차별되는 몇 가지 기술적이고 시스템적인 특징이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자인 중개 서비스 제공방법의 순서도를 나타낸다. 도 2를 살펴보면, 디자인 중개 서비스 제공 장치(1)는 기업의 단말(10)로부터 요구조건이 특정된 디자인을 요청받는다(S10단계). 요구조건에는 기업이 원하는 디자인의 분야, 디자인의 컨셉, 후보 디자인 시안의 수, 납품일자 등이 있을 수 있고, 기업이 원하는 모든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디자인 중개 서비스 제공 장치(1)는 요구조건에 해당하는 외부 디자이너의 단말(30)과 내부 디자이너의 단말(50)을 데이터베이스(70)로부터 검색할 수 있다(S20단계). 데이터베이스(70)에는 외부 디자이너와 내부 디자이너의 정보들이 기 저장되어 있고, 기업의 단말(10)로부터 요구조건을 전송받았을 때 매칭되는 디자이너를 선정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자인 중개 서비스 제공 장치(1)와 데이터베이스(70)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70)에서 요구조건에 따라 검색하는 페이지를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면 기업에서 요구하는 요구조건이 서버로 전송되고, 서버에서는 요구조건에 맞는 디자인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70)로부터 검색할 수 있다. 데이터 카테고리(701)는 요구조건에 맞는 디자인 영역이나 디자인의 종류가 될 수 있다. 기업이 원하는 요구조건을 거시적인 관점에서 접근하여 관련된 외부 또는 내부 디자이너를 찾는데 용이하게 설계될 수 있다. 데이터 필드(703)는 각 디자인마다의 세부적인 사항으로 상술한 디자인의 분야, 디자인의 컨셉, 후보 디자인 시안의 수, 납품일자 등이 될 수 있다. 이에 매칭하여 디자이너의 검색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검색 화면(705)은 데이터 카테고리(701)와 데이터 필드(703)에서 나타난 항목들을 바탕으로 세부적으로 디자이너를 추적 검색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데이터베이스(70)는 디자이너의 이름, 경력, 전공 분야, 관심 분야, 경력, 수상 이력 등을 종합적으로 조회하여 검색 화면(705)에 나타난 바와 같이 디자이너를 선택할 수 있다.
요구조건에 맞는 디자인에 따라 추후 디자이너를 매칭시키기 위해 검색이 가능하다. 기업에서 요구하는 디자인에 대한 제품에 해당하는 외부 디자이너와 내부 디자이너의 정보에는 디자이너의 이름, 경력, 전공 분야, 관심 분야, 경력 및 수상 이력 등이 있고, 디자인 작성에 관련된 정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요구조건에 매칭되는 디자이너는 데이터베이스(70)로부터 검색될 수 있고, 의뢰받은 디자인이 기업에게 최종적으로 넘어가는 때까지 디자이너가 책임지고 업무를 수행한다.
상기 S10단계에서 서버에 등록 의뢰된 디자인(상품, 제품, CI, 지면광고, 상품포장재 등)을 디자인의 종류에 따라 기업의 이미지, 상품의 특성, 성질, 크기, 적용대상, 기능성 등의 디자인 필수자료 제공하도록 이루어지며, 인증된 인증절차를 거쳐 확인이 가능하다.
디자인 중개 서비스 제공 장치(1)는 요구조건에 맞는 외부 디자이너와 내부 디자이너가 선정되면, 해당하는 각 단말을 검색하고, 요구조건에 맞는 디자인 시안을 생성하기 위해 각 단말과 연결할 수 있다. 디자인 중개 서비스 제공 장치(1)를 운영하는 회사는 사전에 외부 디자이너의 단말(30)로 접속하는 외부 디자이너로부터 지식재산권 위임을 받을 수 있다. 외부 디자이너가 위임된 계약에 따라 회사에 디자인 시안을 제공하는 경우, 회사는 그 디자인에 대한 권리를 갖을 수 있다. 다만, 내부 디자이너는 자신이 만든 포트폴리오 등을 취업시 사용이 가능하고, 상업적인 목적과 별개로 사용하는 경우 활용할 수 있다.
디자인 중개 서비스 제공 장치(1)는 기업의 단말(10)로부터 요청된 요구조건을, 검색된 외부 디자이너의 단말(30)에 전달할 수 있다(S30단계). 디자인 중개 서비스 제공 장치(1)는 기업의 단말(10)로부터 요청된 요구조건을 외부 디자이너의 단말(30)에 프로젝트 형태로 공모하거나 명시할 수 있다.
디자인 중개 서비스 제공 장치(1)는 외부 디자이너의 단말(30)로부터 복수의 제1 디자인 시안을 전달받을 수 있다(S40단계). 외부 디자이너의 단말(30)에 공모 또는 명시된 디자인이 작성된 경우, 디자인 중개 서비스 제공 장치(1)는 외부 디자이너의 단말(30)로부터 복수의 제1 디자인 시안을 전달받을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제1 디자인 시안, 제2 디자인 시안 및 제3 디자인 시안은 수정 단계에 따라 명칭을 달리한다. 제1 디자인 시안은 공모된 요구조건에 맞추어 제작된 최초 디자인을 말하고, 제2 디자인 시안은 제1 디자인 시안을 내부 디자이너에 의해 수정작업을 거친 디자인을 말하며, 제3 디자인 시안은 기업의 단말(10)로 제공된 제2 디자인 시안을 기업의 단말(10)의 요청으로 인한 내부 디자이너의 수정 작업을 통해 다시 기업의 단말(10)로 제공되는 디자인을 말한다.
디자인 중개 서비스 제공 장치(1)는 제1 디자인 시안과 요구조건을 내부 디자이너의 단말(50)로 전달하고, 내부 디자이너의 단말(50)로부터 복수의 제2 디자인 시안을 전달받을 수 있다(S50단계). 내부 디자이너의 단말(50)로 전송된 제1 디자인 시안은 내부 디자이너의 단말(50)의 작업을 통해 제2 디자인 시안이 될 수 있다.
즉, 내부 디자이너는 외부 디자이너가 제작한 디자인 시안을 직접적으로 수정하거나 선별 작업을 통해 엄선할 수 있다. 디자인 중개 서비스 제공 장치(1)는 내부 디자이너의 단말(50)로부터 복수의 제2 디자인 시안을 전달받아, 기업의 단말(10)로 1차적인 초안을 전송할 수 있다.
디자인 중개 서비스 제공 장치(1)는 제2 디자인 시안을 기업의 단말(10)로 제공하고, 기업의 단말(10)로부터 만족도를 확인할 수 있다(S60단계). 디자인 중개 서비스 제공 장치(1)는 제2 디자인 시안 중 선정된 제2 디자인 시안에 대한 정보를 기업의 단말(10)로부터 전달받을 수 있다.
기업의 단말(10)에서 만족하는 경우, 디자인 중개 서비스 제공 장치(1)는 기 전송된 제2 디자인 시안에 대해 최종적으로 만족된 제2 디자인 시안이라는 것을 표시하여, 기업의 단말(10)로 전송할 수 있다(S70단계).
기업의 단말(10)에서 만족하지 않는 경우, 디자인 중개 서비스 제공 장치(1)는 기 전송된 제2 디자인 시안을 내부 디자이너의 단말(50)로 전송할 수 있다. 내부 디자이너의 단말(50)은 제2디자인 시안을 기업의 단말(10)로부터 전달받은 수정 요구조건에 대응하여 작성되고, 작성된 제3 디자인 시안을 디자인 중개 서비스 제공 장치(1)로 전송할 수 있다. 디자인 중개 서비스 제공 장치(1)는 제3 디자인 시안을 기업의 단말(10)로 제공할 수 있다(S80단계).
S80단계에서 기업의 단말(10)로부터 수정 요구조건을 전송받는 단계는 미리 정해진 횟수로 제한될 수 있다. 기업의 단말(10)로부터 수정 요구조건을 전송받는 횟수가 미리 정해진 횟수를 초과하는 경우, 디자인 중개 서비스 제공 장치(1)는 기업의 단말(10)에 초과 횟수를 기준으로 약정된 금액을 초과하는 과금을 청구하는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기업의 단말(10)이 최종적인 디자인 시안을 선정하여 전송받은 경우, 디자인 중개 서비스 제공 장치(1)는 선정된 제2 디자인 시안 또는 제3 디자인 시안의 외부 디자이너의 단말(30)에 지급할, 우수 디자인 대가를 산정할 수 있다. 또한 디자인 중개 서비스 제공 장치(1)는 우수 디자인과 무관하게, 최초의 제1 디자인 시안을 제공한 외부 디자이너에게 지급할, 참여 대가를 산정할 수 있다. 대가는 현금이나 포인트가 될 수 있고, 기업의 인턴이나 취업 등의 대가가 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자인 중개 서비스 제공 장치(1)와 각 단말 사이의 서비스 과정을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디자인 중개 서비스 제공 장치(1)와 각 단말은 상술한 서비스 제공방법에 의해 작동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술한 기업에 해당하는 부분은 여러 매체가 될 수 있다. 디자인을 필요로 하는 모든 기업이 해당할 수 있으며, 이는 단지 상업적으로 디자인을 이용하는 회사나 기업 뿐만 아니라 공공 영역에서도 활용 가능할 수 있는 모습을 보여준다. 즉 본 발명은 상업적인 목적과 더불어 예비 디자이너들의 사회로의 진출에 기여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학생들이 대학을 다니는 목적은 학업의 성취를 통해 실력을 향상하는 것일 수도 있으나, 자아실현을 통해 디자이너로서 사회에 진출하는 것이 대부분의 목표일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로 대학에서 이러한 사정을 반영하여 커리큘럼에 본 발명을 확대 적용할 수 있고 대학에서 디자인 응모를 커리큘럼으로 반영하여 학점을 인정해주는 시스템을 적용할 수 있다. 대학에서 수강 신청 과목에 디자인 응모와 관련된 수강트리를 추가시키고, 디자인 관련 교수가 본 과목에 대한 지도를 할 수 있다. 디자인 응모를 통해 내부 디자이너의 평가와 기업의 평가 등을 반영하여, 학생들에게 피드백 된 결과를 바탕으로 학생의 성취도를 평가할 수 있다. 결국 응모 횟수와 퀄리티 등을 종합하여 디자이너로서의 자질을 과목의 점수로 반영할 수 있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설명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와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1 : 디자인 중개 서비스 제공 장치
10 : 기업의 단말 30 : 외부 디자이너의 단말
50 : 내부 디자이너의 단말 70 : 데이터베이스
701 : 데이터 카테고리 703 : 데이터 필드
705 : 검색 화면

Claims (6)

  1. 디자이너와 기업을 연결하는 디자인 중개 서비스 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업으로부터 요구조건이 특정된 디자인을 요청받는 단계;
    상기 요구조건에 해당하는 외부 디자이너와 내부 디자이너를 디자이너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하는 단계;
    상기 요구조건을 상기 검색된 외부 디자이너에 전달하는 단계;
    상기 외부 디자이너로부터 복수의 제1 디자인 시안을 전달받는 단계;
    상기 제1 디자인 시안과 상기 요구조건을 상기 내부 디자이너에게 전달하는 단계;
    상기 내부 디자이너의 단말로부터 복수의 제2 디자인 시안을 전달받는 단계;
    상기 복수의 제2 디자인 시안을 상기 기업으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기업으로부터, 상기 제공된 제2 디자인 시안에 대한 수정 요구를 받는 단계; 및
    상기 수정 요구에 따라 작성된 제3 디자인 시안을 상기 기업으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기업의 요구조건에 맞는 디자인에 대한 정보를 매칭하여 선정되는 디자인을 해당 기업의 미리 정해진 수정요구 횟수에 따라 수정 작업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자인 중개 서비스 제공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2 디자인 시안 중 선정된 제2 디자인 시안에 대한 정보를 상기 기업으로부터 전달받는 단계; 및
    상기 선정된 제2 디자인 시안에 해당하는 외부 디자이너에게 지급할, 우수 디자인 대가를 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자인 중개 서비스 제공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자인 시안을 제공한 외부 디자이너에게 지급할 참여 대가를 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자인 중개 서비스 제공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디자이너로부터 지식재산권 위임을 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자인 중개 서비스 제공방법
  5. 삭제
  6. 삭제
KR1020150103836A 2015-07-22 2015-07-22 디자이너와 기업을 연결하는 디자인 중개 서비스 제공방법 KR1016602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3836A KR101660267B1 (ko) 2015-07-22 2015-07-22 디자이너와 기업을 연결하는 디자인 중개 서비스 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3836A KR101660267B1 (ko) 2015-07-22 2015-07-22 디자이너와 기업을 연결하는 디자인 중개 서비스 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0267B1 true KR101660267B1 (ko) 2016-09-27

Family

ID=571010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3836A KR101660267B1 (ko) 2015-07-22 2015-07-22 디자이너와 기업을 연결하는 디자인 중개 서비스 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0267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7258B1 (ko) 2016-12-30 2018-06-19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디자인 제작을 위한 디자인 통합 서비스 플랫폼 장치
KR20180078847A (ko) 2016-12-30 2018-07-10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디자인 비용결제를 위한 디자인 통합 서비스 플랫폼 장치
KR20180078845A (ko) 2016-12-30 2018-07-10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디자인 의뢰를 위한 디자인 통합 서비스 플랫폼 장치
KR20190111238A (ko) 2018-03-22 2019-10-02 박수환 미술품을 전시 및 디자인 서비스를 연동하는 장치
WO2020040445A1 (ko) * 2018-08-24 2020-02-27 (주)위드어스커뮤니케이션즈 디자이너, 제조업체, 소비자 통합연결 플랫폼 기반 디자인제조서비스 지원 시스템
KR20220025525A (ko) 2020-08-24 2022-03-03 주식회사 일인칭연구소 플랫폼 기반 맞춤형 조립디자인 통합매칭추천시스템
KR20230122283A (ko) 2022-02-14 2023-08-22 주식회사 엠투디자인하우스 플랫폼 기반 공간 디자인 서비스 지원 시스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9338A (ko) * 2002-03-06 2003-05-17 김성민 디자인 작품을 웹상에서 서비스하는 방법
KR20040026025A (ko) 2002-09-17 2004-03-27 최외수 철도용 유개 화차
KR20090059907A (ko) * 2007-12-07 2009-06-11 장진수 의류디자인 선정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20105595A (ko) * 2011-03-09 2012-09-26 주식회사 이노케어시스템즈 네트워크 기반 제품 개발 방법
KR101451686B1 (ko) 2012-11-30 2014-10-23 김한울 디자이너 플랫폼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509475B1 (ko) 2013-11-28 2015-04-14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웹 사이트에 대한 디자인 및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9338A (ko) * 2002-03-06 2003-05-17 김성민 디자인 작품을 웹상에서 서비스하는 방법
KR20040026025A (ko) 2002-09-17 2004-03-27 최외수 철도용 유개 화차
KR20090059907A (ko) * 2007-12-07 2009-06-11 장진수 의류디자인 선정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20105595A (ko) * 2011-03-09 2012-09-26 주식회사 이노케어시스템즈 네트워크 기반 제품 개발 방법
KR101451686B1 (ko) 2012-11-30 2014-10-23 김한울 디자이너 플랫폼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509475B1 (ko) 2013-11-28 2015-04-14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웹 사이트에 대한 디자인 및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7258B1 (ko) 2016-12-30 2018-06-19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디자인 제작을 위한 디자인 통합 서비스 플랫폼 장치
KR20180078847A (ko) 2016-12-30 2018-07-10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디자인 비용결제를 위한 디자인 통합 서비스 플랫폼 장치
KR20180078845A (ko) 2016-12-30 2018-07-10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디자인 의뢰를 위한 디자인 통합 서비스 플랫폼 장치
KR101950908B1 (ko) * 2016-12-30 2019-02-21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디자인 의뢰를 위한 디자인 통합 서비스 플랫폼 장치
KR101955487B1 (ko) * 2016-12-30 2019-06-24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디자인 비용결제를 위한 디자인 통합 서비스 플랫폼 장치
KR20190111238A (ko) 2018-03-22 2019-10-02 박수환 미술품을 전시 및 디자인 서비스를 연동하는 장치
WO2020040445A1 (ko) * 2018-08-24 2020-02-27 (주)위드어스커뮤니케이션즈 디자이너, 제조업체, 소비자 통합연결 플랫폼 기반 디자인제조서비스 지원 시스템
KR20200022819A (ko) 2018-08-24 2020-03-04 (주)위드어스커뮤니케이션즈 디자이너, 제조업체, 소비자 통합연결 플랫폼 기반 디자인제조서비스 지원 시스템
KR20220025525A (ko) 2020-08-24 2022-03-03 주식회사 일인칭연구소 플랫폼 기반 맞춤형 조립디자인 통합매칭추천시스템
KR20230122283A (ko) 2022-02-14 2023-08-22 주식회사 엠투디자인하우스 플랫폼 기반 공간 디자인 서비스 지원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0267B1 (ko) 디자이너와 기업을 연결하는 디자인 중개 서비스 제공방법
Minocha et al. From graduate employability to employment: policy and practice in UK higher education
Su et al. Tourism-induced livelihood changes at mount Sanqingshan world heritage site, China
US20130066798A1 (en) Transcript, course catalog and financial aid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KR102187053B1 (ko) 도서 정보 제공 서버 및 그에 의한 도서 정보 제공 방법
KR101708824B1 (ko) 도서 통합 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190137649A (ko) 웹 혹은 스마트폰 앱을 이용한 스포츠 시설 및 지도자 선택방법
Ullah Empowerment of the rural poor through access to ICT: A case study of the union information and service centre initiative in Bangladesh
Sok et al. Internationalization of higher education in Cambodia: toward an agenda for higher education development
Damodaran et al. Informing Digital Futures
Pamment West European public diplomacy
Barlow Rising to the post-LASPO challenge: How should mediation respond?
KR101628968B1 (ko) 강사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
Ray Emerging innovative marketing strategies in the tourism industry
Mualam Where planning meets the law: The rise of appeal tribunals for deciding land-use disputes
Silvestre et al. Evaluation of the content and accessibility of microsurgery fellowship program websites
Healy et al. The role of a knowledge broker in improving knowledge and understanding of climate change in the Australian rangelands
Phipps et al. Choices in the paradigm shift: Where next for libraries?
Dsouza et al. Policy and regulatory frameworks for agritourism development in India: A scoping review
Gu Engaging museum visitors through social media: Multiple case studies of social media implementation in museums
CN109241478A (zh) 一种研究型阅读系统及研究型阅读方法
Nnafie Internet cafés in Dar es Salaam
Scudder et al. Royal College of Physicians Medical Training Initiative: making the difference
Shams A multi-campus approach of mobility and quality assurance of higher education: the synthesis of an Australian case
Amreen et al. The nuances of transformation: a study on the rural society of Banglades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