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1686B1 - 디자이너 플랫폼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디자이너 플랫폼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1686B1
KR101451686B1 KR1020120137669A KR20120137669A KR101451686B1 KR 101451686 B1 KR101451686 B1 KR 101451686B1 KR 1020120137669 A KR1020120137669 A KR 1020120137669A KR 20120137669 A KR20120137669 A KR 20120137669A KR 101451686 B1 KR101451686 B1 KR 1014516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signer
virtual image
design
designers
prelimin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76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70917A (ko
Inventor
김한울
홍예린
강영선
Original Assignee
김한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한울 filed Critical 김한울
Priority to KR10201201376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1686B1/ko
Publication of KR201400709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09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16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16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G06Q30/0643Graphical representation of items or shopp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3/00Animation
    • G06T13/203D [Three Dimensional] anim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5/003D [Three Dimensional] image rendering
    • G06T15/10Geometric effects
    • G06T15/20Perspective computation
    • G06T15/205Image-based rende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23D-info-object: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internal or external surface of a three dimensional manipulable object, e.g. on the faces of a cube that can be rotated by the u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Geometr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자이너 플랫폼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디자이너 플랫폼 장치로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 디바이스와 인터넷 기반의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하는 통신모듈; 상기 통신모듈을 매개로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의상 디자인의 도식화를 업로드 받고, 상기 업로드된 도식화의 패턴 처리를 거쳐 3D 가상 이미지로 변환하는 3D 변환 프로그램; 및 상기 3D 변환 프로그램의 처리를 통해 3D 가상 이미지로 변환된 디자인을 디자이너별 해당 영역에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자이너 플랫폼 장치를 개시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예비 디자이너가 업로드 한 도식화를 3D 변환 프로그램을 통해 3D 가상 이미지로 변환하여 제공하며, 페이스북(SNS) 연동을 통한 3D 가상 이미지의 조회 및 투표 결과를 통해 상위 순위의 디자인이 랭킹 순위에 따라 홈페이지 상단에 위치하여 제공될 수 있도록 해줌으로써 디자인 생산과정이 줄어들어 시간과 비용이 감소되고, 신진 디자이너 배출에 기여하는 예비(예비) 디자이너를 배출하는 등용문의 역할을 담당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예비 디자이너들을 위한 소통의 장을 제공하고, 예비 디자이너들의 참신하고 유니크 한 디자인 아이템이 객관적으로 평가받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예비 디자이너에게 시장 진입 기회의 제공과 함께 투표 결과로 소비자 구매 트랜드를 도출하고 선정된 디자인의 판매 생산이 연계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디자이너 플랫폼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Designer platform device and method to provide service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디자이너 플랫폼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예비 디자이너가 디자인을 도식화로 간단하게 업로드 하고, 그 업로드 된 도식화를 3D 변환 프로그램을 통해 3D 가상 이미지로 변환하여 제공되도록 하며, SNS 연동을 통한 3D 가상 이미지의 조회 및 투표 결과를 통해 상위 순위의 디자인이 랭킹 순위에 따라 홈페이지 상단에 위치하여 제공될 수 있도록 해주는 디자이너 플랫폼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의류학과를 재학 중인 학생들은 미래의 디자이너로서 현재 예비 디자이너라 할 수 있으며, 재학 중 만들어내는 디자인들은 대부분 빛을 보지 못하고 자기만족으로 그치는 안타까움이 있다. 즉, 같은 생각과 꿈을 가지고 있는 학생 신분의 예비 디자이너들이 많이 있지만, 디자이너가 될 수 있는 기회나 직접 패션마켓과 연결되기에는 높은 현실의 벽이 있다.
즉, 현재 예비 디자이너들의 경우, 졸업 작품전이나 학내 패션쇼 등의 일부를 제외하고는 자신의 디자인을 선보일 수 있는 채널이 전무한 실정으로 자신의 디자인을 검증 받고, 또한 디자이너로서의 자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이 없어 많은 현실적인 어려움이 따르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패션시장은 규모가 점점 커지고 있는 추세로 2010년 의류시장은 28조 2천억 규모, 가방이나 신발을 포함하면 34조 6천억 규모로 성장하고 있으며, 그 속에서 참신한 디자인 아이템을 찾는 소비자가 늘고 있다. 이러한 소비자의 욕구를 만족시키기에는 기성 디자이너의 디자인 아이템만으로는 다양성의 한계가 있다.
따라서 패션시장에서도 기성 디자이너의 디자인 아이템뿐만 아니라, 예비 디자이너들의 참신하고 유니크 한 디자인 아이템이 각광을 받을 수 있으나, 예비 디자이너들은 패션마켓의 접근성의 어려움으로 인해 제대로 된 평가조차 받을 수 없는 한계가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예비 디자이너의 디자인을 일일이 수작업으로 패턴처리 하였으며, 이러한 패턴처리 작업은 전문가에 의해서 이루어지게 되므로, 예비 디자이너들의 부담이 가중되고, 또한 수작업이므로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예비 디자이너가 디자인을 도식화로 간단하게 업로드 하고, 그 업로드 된 도식화를 패턴처리하며, 패턴처리된 도식화를 3D 변환 프로그램을 통해 3D 가상 이미지로 변환하여 제공하며, SNS 연동을 통한 3D 가상 이미지의 조회 및 투표 결과를 통해 상위 순위의 디자인이 랭킹 순위에 따라 홈페이지 상단에 위치하여 제공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는 디자이너 플랫폼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여기서, 패턴처리 부분이 본 발명의 핵심이 되는 요소로서, 패턴처리가 종래와는 달리 프로그램에 의해 자동적으로 계산되도록 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디자이너 플랫폼의 제공을 통해 예비 디자이너들을 위한 소통의 장을 제공하고, 예비 디자이너들은 자신의 디자인을 조회 및 투표 결과를 통해 검증받고 디자이너로서의 자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는 디자이너 플랫폼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예비 디자이너들의 참신하고 유니크 한 디자인 아이템이 객관적으로 평가받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신진 디자이너 배출에 기여하는 예비 디자이너를 배출하는 등용문의 역할을 담당할 수 있도록 하는 디자이너 플랫폼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예비 디자이너들이 업로드 한 도식화를 패턴을 거쳐 3D 가상 이미지로 변환하여 제공함으로써, 예비 디자이너들의 참여 절차가 간소화 되어 참여율이 증가되고, 또한 디자인 생산과정이 줄어들어 시간과 비용이 감소될 수 있도록 하는 디자이너 플랫폼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3D 가상 이미지를 디자이너 플랫폼의 웹상에 올려 투표 시스템을 통해 디자인이 선정되도록 함으로써, 투표 결과로 소비자 구매 트랜드를 도출하고, 선정된 디자인의 판매 생산이 연계될 수 있도록 하는 디자이너 플랫폼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제1 발명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 디바이스와 인터넷 기반의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하는 통신모듈; 상기 통신모듈을 매개로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의상 디자인의 도식화를 업로드 받고, 상기 업로드된 도식화의 패턴 처리를 거쳐 3D 가상 이미지로 변환하는 3D 변환 프로그램; 및 상기 3D 변환 프로그램의 처리를 통해 3D 가상 이미지로 변환된 디자인을 디자이너별 해당 영역에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자이너 플랫폼 장치를 개시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등록된 3D 가상 이미지를 웹 페이지 화면에 제공하는 표시 처리부; 및 상기 표시 처리부에 의해 웹 페이지 화면에 제공되는 3D 가상 이미지의 조회 수 및 투표수를 반영하여 갱신 처리하는 투표 결과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는 예비 디자이너, 전문 디자이너, 소비자, 투표 참여자, 시장의 생산 판매자가 사용하는 통신 단말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통신모듈은,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들의 사용자가 이용하는 페이스북, 트위터를 포함하는 SNS 채널과 연동이 가능하고, 해당 디자이너의 페이스북 또는 트위터를 포함하는 SNS에 자신이 등록한 3D 가상 이미지가 연동하여 제공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3D 변환 프로그램은, 도식화 그리기를 제공하는 도식화 프로그램; 도식화 형태의 디자인을 도식화 조각의 패턴화로 변환하는 패턴 CAD 프로그램; 및 상기 패턴 CAD 프로그램에 의해 패턴화된 조각을 이용하여 실물에 가까운 3D 시뮬레이션 패션 이미지로 변환하는 3D CAD 프로그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3D CAD 프로그램은, 상기 3D 시뮬레이션 패션 이미지의 변경 시에 패턴이 자동으로 수정되고, 3D 시뮬레이션 애니메이션 기능을 더 포함하여 3D 패션 쇼 제작이 가능하도록 기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의 사용자 정보, 디자이너의 스토리가 담긴 포트폴리오, 3D 가상 이미지로 변환된 디자인을 활용하여 제작한 3D 패션쇼 영상, 및 각종 디자인 콘텐츠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투표 결과 처리부는, 상기 웹 페이지 화면에 제공되는 3D 가상 이미지의 조회 수 및 투표수를 반영하여 갱신 처리함에 있어, 랭킹 순위에 따라 홈 페이지의 상단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제2 발명은, 디자이너 플랫폼 장치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으로서, 디자이너 플랫폼 웹 서버가, (a)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업로드 되는 디자인의 도식화를 입력받고, 도식화의 패턴 처리를 거쳐 3D 가상 이미지로 변환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b)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3D 가상 이미지를 웹 페이지의 화면을 통해 제공하는 단계; 및 (c) 상기 웹 페이지의 화면에 제공되는 3D 가상 이미지의 조회 수 및 투표수를 반영하고, 랭킹 순위에 따라 홈 페이지의 상단에 위치하도록 갱신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자이너 플랫폼 장치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을 개시한다.
(d)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들의 사용자가 이용하는 페이스북 또는 트위터의 SNS 채널과 연동하며, 해당 디자이너의 페이스북 또는 트위터에 디자이너 자신이 등록한 3D 가상 이미지를 연동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e) 상기 랭킹 순위에 따라 홈 페이지의 상단에 위치하는 3D 가상 이미지 중 특정 랭킹된 디자인을 선정하고, 선정된 디자인을 시장의 생산 판매자와 연계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a) 단계는, (a-1) 도식화 바디 폼을 제공받고, 바디 폼 그리드에 찍힌 점과 점 사이의 직선과 곡선의 연결 처리를 통해 완료된 도식화를 입력받는 단계; (a-2) 도식화의 실선을 인식하고, 도식화 실선을 바탕으로 조각으로 분리한 후 도식화 좌표가 수치로 인식되도록 하는 단계; (a-3) 수치로 인식된 도식화 조각의 패턴화를 수행하여 평면 패턴을 완료하는 단계; (a-4) 완료된 평면 패턴을 기초로 3D 맵핑을 수행하고, 수정이 필요한 경우 (a-3) 단계로 진행하여 평면 패턴을 수정하고 수정이 필요 없는 경우 저장하는 단계; (a-5) 패턴 인쇄의 요청 시에 인쇄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a) 단계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3D 가상 이미지를 활용한 3D 패션 쇼 제작이 가능하도록 3D 시뮬레이션 애니메이션 기능의 실행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디자이너 플랫폼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에 의하면, 예비 디자이너가 디자인을 도식화로 간단하게 업로드 하고, 그 업로드 된 도식화를 패턴처리하며, 이를 3D 변환 프로그램을 통해 3D 가상 이미지로 변환하여 제공하고, SNS 연동을 통한 3D 가상 이미지의 조회 및 투표 결과를 통해 상위 순위의 디자인이 랭킹 순위에 따라 홈페이지 상단에 위치하여 제공될 수 있도록 해줌으로써 디자인 생산과정이 줄어들어 시간과 비용이 감소될 수 있음은 물론, 신진 디자이너 배출에 기여하는 예비 디자이너를 배출하는 등용문의 역할을 담당하는 효과가 있다.
여기서 패턴처리 부분은 종래에 수작업으로 이루어졌던 것을 본 발명에서는 프로그램을 통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전문가의 손길을 거치지 않더라도 누구나 패턴처리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디자이너 플랫폼의 제공을 통해 예비 디자이너들을 위한 소통의 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예비 디자이너들은 자신의 디자인을 조회 및 투표 결과를 통해 검증 받고 디자이너로서의 자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예비 디자이너들의 참신하고 유니크 한 디자인 아이템이 객관적으로 평가받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예비 디자이너에게 시장 진입 기회의 제공과 함께 투표 결과로 소비자 구매 트랜드를 도출하고 선정된 디자인의 판매 생산이 연계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예비 디자이너들이 디자인을 도식화로 업로드 하도록 함으로써, 예비 디자이너들의 참여 절차가 간소화 되어 참여율이 증가되고, 신진 디자이너들의 참여가 더욱 활성화됨은 물론, 디자이너 간 또는 디자이너와 소비자 간의 쌍방향 소통 채널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디자이너 플랫폼 장치를 나타낸 시스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자이너 플랫폼 장치에 적용되는 3D 변환 프로그램의 내부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디자이너 플랫폼 장치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낸 동작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디자이너 플랫폼 장치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 S100 단계를 상세히 나타낸 동작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디자이너 플랫폼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에 적용되는 도식화의 일례를 나타낸 참고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디자이너 플랫폼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에 적용되는 패턴화의 일례를 나타낸 참고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디자이너 플랫폼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에 적용되는 3D 가상 이미지의 일례를 나타낸 참고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정의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것으로,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디자이너 플랫폼 장치를 나타낸 시스템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자이너 플랫폼 장치에 적용되는 3D 변환 프로그램의 내부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디자이너 플랫폼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 디바이스(10)와 인터넷 기반의 유무선 네트워크(20)를 통해 접속하는 통신모듈(110), 3D 변환 프로그램(120), 및 데이터베이스(130)를 포함하며, 표시 처리부(140), 및 투표 결과 처리부(1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10)는 예비 디자이너, 전문 디자이너, 소비자, 투표 참여자, 시장의 생산 판매자가 사용하는 통신 단말기로서, 상기 유무선 네트워크(20)를 매개로 연결 접속될 수 있는 퍼스널 컴퓨터(PC), 스마트폰, 이동통신 단말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무선 네트워크(20)는 유선 또는 무선의 인터넷 접속을 제공하며,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10)와 디자이너 플랫폼 장치의 통신모듈(110) 간을 중계 서비스하는 역할을 한다. 도면 부호 30은 유무선 네트워크(20)를 통해 연결 접속하는 트위터/페이스북의 SNS 채널을 나타낸다.
상기 통신모듈(110)은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10)들과 유무선 네트워크(20)를 매개로 통신 접속하며,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10)들의 사용자가 이용하는 페이스북, 트위터(30) 등을 포함하는 SNS 채널과 연동이 가능하고, 해당 디자이너의 페이스북 또는 트위터(30)에 자신이 등록한 3D 가상 이미지가 연동하여 제공될 수 있도록 하는 송수신 역할을 한다.
상기 3D 변환 프로그램(120)은 상기 통신모듈(110)을 매개로 사용자 디바이스(10)로부터 의상 디자인의 도식화를 업로드 받고, 상기 업로드된 도식화의 패턴 처리를 거쳐 3D 가상 이미지로 변환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3D 변환 프로그램(12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식화 그리기를 제공하는 도식화 프로그램(121)과, 도식화 형태의 디자인을 도식화 조각의 패턴화로 변환하는 패턴 CAD 프로그램(122), 및 상기 패턴 CAD 프로그램(122)에 의해 패턴화된 조각을 이용하여 실물에 가까운 3D 시뮬레이션 패션 이미지로 변환하는 3D CAD 프로그램(123)을 포함한다.
상기 3D CAD 프로그램(123)은 상기 3D 시뮬레이션 패션 이미지의 변경 시에 패턴이 자동으로 수정되고, 3D 시뮬레이션 애니메이션 기능을 더 포함함으로써, 3D 패션 쇼 제작이 가능하도록 기능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베이스(130)는 상기 3D 변환 프로그램(120)의 처리를 통해 3D 가상 이미지로 변환된 디자인을 디자이너별 해당 영역에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데이터베이스(130)는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10)의 사용자 정보, 디자이너의 스토리가 담긴 포트폴리오, 3D 가상 이미지로 변환된 디자인을 활용하여 제작한 3D 패션쇼 영상, 및 각종 디자인 콘텐츠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 처리부(140)는 상기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하여 등록된 3D 가상 이미지를 웹 페이지 화면에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투표 결과 처리부(150)는 상기 표시 처리부(140)에 의해 웹 페이지 화면에 제공되는 3D 가상 이미지의 조회 수 및 투표수를 반영하여 갱신 처리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투표 결과 처리부(150)는 상기 웹 페이지 화면에 제공되는 3D 가상 이미지의 조회 수 및 투표수를 반영하여 갱신 처리함에 있어, 랭킹 순위에 따라 해당 3D 가상 이미지가 홈 페이지의 상단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디자이너 플랫폼 장치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낸 동작순서도이다.
먼저, 디자이너 플랫폼 웹 서버(100)는 사용자 디바이스(10)로부터 업로드 되는 디자인의 도식화를 입력받고, 도식화의 패턴 처리를 거쳐 3D 가상 이미지로 변환하여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한다(S100). 이때, 상기 단계 S100에서는 상기 디자이너 플랫폼 웹 서버(100)가 상기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된 3D 가상 이미지를 활용한 3D 패션 쇼 제작이 가능하도록 3D 시뮬레이션 애니메이션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3D 가상 이미지 변환 및 저장 단계(S100)의 세부 동작과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디자이너 플랫폼 장치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 S100 단계를 상세히 나타낸 동작 순서도이다.
먼저, 상기 디자이너 플랫폼 웹 서버(1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도식화 바디 폼을 제공받고, 바디 폼 그리드에 찍힌 점과 점 사이의 직선과 곡선의 연결 처리를 통해 완료된 도식화를 입력받는다(S101).
이어서, 상기 디자이너 플랫폼 웹 서버(100)는 도식화의 실선을 인식하고, 도식화 실선을 바탕으로 조각으로 분리한 후 도식화 좌표가 수치로 인식되도록 한다(S102).
다음, 상기 디자이너 플랫폼 웹 서버(100)는 수치로 인식된 도식화 조각의 패턴화를 수행하여 평면 패턴을 완료한다(S103). 즉,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의 처리 과정을 수행한다.
이어서, 상기 디자이너 플랫폼 웹 서버(100)는 완료된 평면 패턴을 기초로 3D 맵핑을 수행하고, 수정이 필요한 경우 상기 단계(S103)로 진행하여 평면 패턴을 수정하고 수정이 필요 없는 경우 저장한다(S104).
다음, 상기 디자이너 플랫폼 웹 서버(100)는 패턴 인쇄의 요청 시에 인쇄한다(S105).
이어서, 상기 디자이너 플랫폼 웹 서버(100)는 상기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된 3D 가상 이미지를 웹 페이지의 화면을 통해 제공한다(S200).
다음, 상기 디자이너 플랫폼 웹 서버(100)는 상기 웹 페이지의 화면에 제공되는 3D 가상 이미지의 조회 수 및 투표수를 반영하고, 랭킹 순위에 따라 홈 페이지의 상단에 위치하도록 갱신 처리한다(S300).
한편, 상기 디자이너 플랫폼 웹 서버(100)는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10)들의 사용자가 이용하는 페이스북 또는 트위터(30)의 SNS 채널과 연동하며, 해당 디자이너의 페이스북 또는 트위터(30)에 디자이너 자신이 등록한 3D 가상 이미지를 연동하여 제공한다(S400).
소셜 미디어는 일상의 중요한 수단으로 기존에 존재하는 SNS 시장은 방대하지만, 디자인 전문분야의 정보를 공유하고 지식 데이터를 축적할 수 있는 공간이 없고, 잠재되어 있는 디자이너들이 능력을 발산할 수 있는 통로가 없는 추세에서, 본 발명에 따른 디자이너 플랫폼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은 디자인 전문분야의 정보를 공유하고 활성화 하는 창으로 국내뿐만 해외로까지 진출이 가능하다.
즉, 디자이너 전문 SNS를 활용하여 디자이너 간, 디자이너와 소비자 간의 쌍방향 소통 채널을 마련함으로써, 지금까지의 커뮤니티와는 차별화 된 디자이너들을 위한 채널로 기존의 채널들이 블로그 형식이나 취미 위주의 패션 SNS에 국한되는 한계를 벗어나 쌍방향의 패션 SNS로 한 단계 도약한 유일한 디자이너 전문 SNS를 구축할 수 있게 된다.
다음, 디자이너 플랫폼 웹 서버(100)는 상기 랭킹 순위에 따라 홈 페이지의 상단에 위치하는 3D 가상 이미지 중 특정 랭킹된 디자인을 선정하고, 선정된 디자인을 시장의 생산 판매자와 연계시킨다(S500).
즉, 투표 결과에 따른 유니크(Unique) 한 디자인은 소비자의 요구가 반영된 디자인이기 때문에 패션시장에서 수요가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서울시의 인터넷 쇼핑몰 이용 실태조사에 따르면 시민의 90.6%가 월 1회 이상 온라인 쇼핑몰을 이용해 물품을 구매한다고 하다. 온라인을 이용한 패션상품의 구매가 많아지는 추세를 따라 온라인 시장의 공략에 유용한 장점이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디자이너 플랫폼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에 적용되는 도식화의 일례를 나타낸 참고도이고,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디자이너 플랫폼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에 적용되는 패턴화의 일례를 나타낸 참고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디자이너 플랫폼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에 적용되는 3D 가상 이미지의 일례를 나타낸 참고도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디자이너 플랫폼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에 따르면, 3D 변환 기술로 인한 시간과 비용을 절감하고, 학생 디자이너들의 소통의 장을 마련하며, 디자이너 개인의 스토리가 담기 포트폴리오 제공과, 학생 디자이너에게 신장 진입 기회를 제공하며, 투표 결과로 소비자 구매 트랜드를 도출하고, 전 세계의 디자이너와 디자인을 접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예들을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들로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사용자 디바이스 20 : 유무선 네트워크
30 : 트위터/페이스북 100 : 디자이너 플랫폼 웹 서버
110 : 통신모듈 120 : 3D 변환 프로그램
121 : 도식화 프로그램 122 : 패턴 CAD 프로그램
123 : 3D CAD 프로그램 130 : 데이터베이스(DB)
140 : 표시 처리부 150 : 투표 결과 처리부

Claims (13)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디자이너 플랫폼 장치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으로서, 디자이너 플랫폼 웹 서버가,
    (a)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업로드 되는 디자인의 도식화를 입력받고, 도식화의 패턴 처리를 거쳐 3D 가상 이미지로 변환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b)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3D 가상 이미지를 웹 페이지의 화면을 통해 제공하는 단계; 및
    (c) 상기 웹 페이지의 화면에 제공되는 3D 가상 이미지의 조회 수 및 투표수를 반영하고, 랭킹 순위에 따라 홈 페이지의 상단에 위치하도록 갱신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a) 단계는,
    (a-1) 도식화 바디 폼을 제공받고, 바디 폼 그리드에 찍힌 점과 점 사이의 직선과 곡선의 연결 처리를 통해 완료된 도식화를 입력받는 단계;
    (a-2) 도식화의 실선을 인식하고, 도식화 실선을 바탕으로 조각으로 분리한 후 도식화 좌표가 수치로 인식되도록 하는 단계;
    (a-3) 수치로 인식된 도식화 조각의 패턴화를 수행하여 평면 패턴을 완료하는 단계;
    (a-4) 완료된 평면 패턴을 기초로 3D 맵핑을 수행하고, 수정이 필요한 경우 (a-3) 단계로 진행하여 평면 패턴을 수정하고 수정이 필요 없는 경우 저장하는 단계;
    (a-5) 패턴 인쇄의 요청 시에 인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자이너 플랫폼 장치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d)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들의 사용자가 이용하는 페이스북 또는 트위터의 SNS 채널과 연동하며, 해당 디자이너의 페이스북 또는 트위터에 디자이너 자신이 등록한 3D 가상 이미지를 연동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자이너 플랫폼 장치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11. 제 9항에 있어서,
    (e) 상기 랭킹 순위에 따라 홈 페이지의 상단에 위치하는 3D 가상 이미지 중 특정 랭킹된 디자인을 선정하고, 선정된 디자인을 시장의 생산 판매자와 연계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자이너 플랫폼 장치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12. 삭제
  13.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3D 가상 이미지를 활용한 3D 패션 쇼 제작이 가능하도록 3D 시뮬레이션 애니메이션 기능의 실행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자이너 플랫폼을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120137669A 2012-11-30 2012-11-30 디자이너 플랫폼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4516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7669A KR101451686B1 (ko) 2012-11-30 2012-11-30 디자이너 플랫폼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7669A KR101451686B1 (ko) 2012-11-30 2012-11-30 디자이너 플랫폼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0917A KR20140070917A (ko) 2014-06-11
KR101451686B1 true KR101451686B1 (ko) 2014-10-23

Family

ID=511255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7669A KR101451686B1 (ko) 2012-11-30 2012-11-30 디자이너 플랫폼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168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0267B1 (ko) 2015-07-22 2016-09-27 김형준 디자이너와 기업을 연결하는 디자인 중개 서비스 제공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0351B1 (ko) * 2017-09-29 2019-07-16 전자부품연구원 3d 프린팅 플랫폼
KR102045017B1 (ko) 2018-02-12 2019-11-29 송우상 이미지/텍스트 기반 디자인 생성 장치 및 방법
KR102160637B1 (ko) * 2018-05-18 2020-09-28 숙명여자대학교산학협력단 디자인 선택을 통한 공동구매 시스템 및 그 공동 구매 방법
CN113190884B (zh) * 2021-04-27 2023-04-14 杭州卓惟机械有限公司 基于款式模块与感性需求的交互式服装设计方法及其装置
KR102619850B1 (ko) * 2023-06-14 2024-01-04 (주)쥬얼리김 주얼리 유통 플랫폼 제공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8352A (ko) * 2000-10-09 2002-04-17 윤영석 인터넷을 통한 패션디자인작품 평가방법 및 그 시스템
KR20080032585A (ko) * 2006-10-09 2008-04-15 가부시키가이샤 테크노아 구매자 또는 판매자가 디자인한 의복을 인터넷을 통해판매하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의복 판매 방법
KR20110139427A (ko) * 2010-06-23 2011-12-29 (주)피센 자동 디지털 클로딩 기법을 활용한 의류업체 간 업무 협력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8352A (ko) * 2000-10-09 2002-04-17 윤영석 인터넷을 통한 패션디자인작품 평가방법 및 그 시스템
KR20080032585A (ko) * 2006-10-09 2008-04-15 가부시키가이샤 테크노아 구매자 또는 판매자가 디자인한 의복을 인터넷을 통해판매하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의복 판매 방법
KR20110139427A (ko) * 2010-06-23 2011-12-29 (주)피센 자동 디지털 클로딩 기법을 활용한 의류업체 간 업무 협력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0267B1 (ko) 2015-07-22 2016-09-27 김형준 디자이너와 기업을 연결하는 디자인 중개 서비스 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0917A (ko) 2014-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1686B1 (ko) 디자이너 플랫폼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US11823256B2 (en) Virtual reality platform for retail environment simulation
KR102222319B1 (ko) 인테리어 마감소재 맞춤 디자인 제공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
CN107958330A (zh) 基于浏览器的bim造价预算管理方法及其系统
US20200315322A1 (en) Beauty product creation platform
CN103679476A (zh) 基于wamp架构的智能校园电子商务系统及其使用方法
KR102442042B1 (ko) 실측기반의 메타버스 가상주거공간에서의 상품 서비스 제공 장치
CN113901588A (zh) 车辆个性化定制方法、装置、设备及介质
KR20180121175A (ko) 3차원 가상공간의 인테리어 설계 및 가구 판매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및 실행이 가능한 사용자 단말 장치
JPWO2018008182A1 (ja) 花壇受発注システム及び配植計画支援プログラム
Feng et al. Personalized customization system solution using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KR102221654B1 (ko) 3d 커스터마이징 기술을 이용한 상품 배치 및 구매 지원 시스템
KR102143439B1 (ko) 의류 공유 및 코디네이션 방법
US20150356507A1 (en) Method for providing product total solution in which product design, design community, product manufacturing through design, and marketing are carried out online
JP2024014682A (ja) ブロックオブジェクトの設計図を出力する方法
KR20200062979A (ko) 디자이너를 위한 제품 플랫폼서비스 제공방법
CN104102759B (zh) 建筑模型影像显示系统及其方法
US11481834B2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and displaying product images with progressive resolution display with artificial realities
US11282132B2 (en) Frameworks and methodologies configured to enable generation and utilisation of three-dimensional body scan data
KR20220060640A (ko) 전문 디자이너의 플랫폼 및 클라우드를 이용한 사업연계 서비스
AU2020326572A1 (en) A system and method for an interactive access to project design and space layout planning
KR20160025755A (ko) 디자인혁신 컨설팅방법
KR102539497B1 (ko) 다중 참여가 가능한 증강현실 기반 맞춤형 피팅서비스 시스템
JP7351455B1 (ja) 背景提供装置、背景提供方法及び背景提供プログラム
KR102644247B1 (ko) 인공지능 기반 qr 코드 인식을 통해 상품설명용 콘텐츠 제공이 가능한 스마트 잡지 제공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