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2042B1 - 실측기반의 메타버스 가상주거공간에서의 상품 서비스 제공 장치 - Google Patents

실측기반의 메타버스 가상주거공간에서의 상품 서비스 제공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2042B1
KR102442042B1 KR1020220021059A KR20220021059A KR102442042B1 KR 102442042 B1 KR102442042 B1 KR 102442042B1 KR 1020220021059 A KR1020220021059 A KR 1020220021059A KR 20220021059 A KR20220021059 A KR 20220021059A KR 102442042 B1 KR102442042 B1 KR 1024420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information
user
experience
residential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10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규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와이에스리테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와이에스리테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와이에스리테일
Priority to KR10202200210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20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20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20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G06Q30/0643Graphical representation of items or shopp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1Item recommend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3Navigation within 3D models or imag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실측기반의 메타버스 가상주거공간에서의 상품 서비스 제공 장치에 관한 것이며, 실측기반의 메타버스 가상주거공간에서의 상품 서비스 제공 장치는, 사용자가 소지한 사용자 단말로부터 주거공간 정보와 구매 희망 상품에 관한 상품 설치 시연 조건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 입력된 상기 주거공간 정보를 기반으로 메타버스 공간 상에 상기 주거공간 정보에 대응하는 가상주거공간을 생성하고, 상기 상품 설치 시연 조건정보에 대응하도록 생성된 체험 상품 데이터를 상기 가상주거공간에 적용시킨 상품 체험 컨텐츠를 생성하고 관리하는 컨텐츠 관리부; 및 상기 생성된 상품 체험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되, 사용자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한 상품 체험 컨텐츠의 표출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실측기반의 메타버스 가상주거공간에서의 상품 서비스 제공 장치 {PRODUCT SERVICE PROVISION APPARATUS IN THE METAVERSE VIRTUAL RESIDENTIAL SPACE BASED ON ACTUAL MEASUREMENT}
본원은 실측기반의 메타버스 가상주거공간에서의 상품 서비스 제공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온라인 쇼핑을 통한 상품 구매는 오프라인 쇼핑을 통한 상품 구매에 비해 상품 구매에 소요되는 시간을 절약하고 공간적인 제약을 극복할 수 있다. 이러한 온라인 쇼핑의 이점과 함께 스마트 폰이 대중화됨에 따라, 온라인 쇼핑을 통해 원하는 상품을 구매하려는 수요가 급격하게 늘어나고 있다.
온라인 쇼핑몰을 통해 구매 가능한 상품에는 TV, 냉장고, 에어컨, 태블릿 PC, 오븐 등의 전자제품(전기 기기 제품, 가전제품), 수납장, 테이블(책상), 의자 등의 가구 제품, 의류, 신발, 모자, 가방 등의 제품 등을 포함하여 그 종류와 크기는 매우 다양하다고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자들은 온라인 쇼핑몰에서 상품을 구매할 때, 온라인 쇼핑몰에서 제공하는 상품 상세정보 설명 페이지에 적힌 크기 정보(사이즈 표기 값)나 다른 사람들이 올린 리뷰들을 보고 해당 상품의 구매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이와 같이, 종래에는 온라인 쇼핑몰 상에 표시된 상품의 크기 정보를 토대로 사용자가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의 크기를 가늠할 수 있었기 때문에, 해당 상품을 구매하여 실제로 실물 상품을 받아보았을 때 자신(사용자 자신)이 예상했던 상품의 크기보다 실제 해당 상품의 크기가 더 크거나 혹은 더 작은 경우가 자주 존재하여, 사용자가 다시 다른 크기의 상품으로 교환하거나 환불해야 하는 등의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온라인 쇼핑몰 상에서 판매되는 상품에 대한 구매 실패의 확률을 줄이면서 만족도 높은 상품 구매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개발이 요구된다.
본원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13014호에 개시되어 있다.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온라인 쇼핑몰 상에서 판매되는 상품에 대한 구매 실패의 확률을 줄이면서 만족도 높은 상품 구매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실측기반의 메타버스 가상주거공간에서의 상품 서비스 제공 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만, 본원의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측기반의 메타버스 가상주거공간에서의 상품 서비스 제공 장치는, 사용자가 소지한 사용자 단말로부터 주거공간 정보와 구매 희망 상품에 관한 상품 설치 시연 조건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 입력된 상기 주거공간 정보를 기반으로 메타버스 공간 상에 상기 주거공간 정보에 대응하는 가상주거공간을 생성하고, 상기 상품 설치 시연 조건정보에 대응하도록 생성된 체험 상품 데이터를 상기 가상주거공간에 적용시킨 상품 체험 컨텐츠를 생성하고 관리하는 컨텐츠 관리부; 및 상기 생성된 상품 체험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되, 사용자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한 상품 체험 컨텐츠의 표출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주거공간 정보는, 복수의 샘플 주거공간 정보 중 어느 하나의 샘플 주거공간 정보를 사용자가 선택함으로써 입력되거나,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을 통해 주거공간 실측 데이터를 업로드함으로써 입력될 수 있다.
또한, 상품 설치 시연 조건정보는, 구매 희망 상품에 관한 상품 종류, 상품 스펙, 상품 설치 요건 및 시연 컨텐츠를 포함한 복수의 조건메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복수의 조건메뉴 각각 내 복수의 선택 가능 항목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복수의 조건메뉴별 선택 정보를 기반으로 생성된 체험 상품 데이터가 포함된 상품 체험 컨텐츠를 표출시키되 사용자로부터 복수의 조건메뉴별 변경된 선택 정보의 입력이 이루어진 경우, 변경된 선택 정보를 기반으로 재생성된 체험 상품 데이터가 포함되도록 표출되는 상품 체험 컨텐츠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표출된 상품 체험 컨텐츠를 확인한 사용자로부터 상품 모델 검색 요청이 이루어진 경우, 상품 모델 검색 요청에 응답하여 표출된 상품 체험 컨텐츠 내 체험 상품 데이터와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의 매칭 상품 모델 정보의 리스트를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제공하고, 리스트 내 적어도 하나의 매칭 상품 모델 정보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매칭 상품 모델 정보에 대하여 구매 요청이 이루어진 경우, 구매 요청에 응답하여 구매 요청이 이루어진 매칭 상품 모델 정보에 대한 상품 결제 프로세스를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표출된 상기 상품 체험 컨텐츠에서 사용자에 의해 배치된 상기 상품 체험 컨텐츠 내 체험 상품 데이터의 배치 위치가 제1 위치로 식별되고,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1 위치에 대한 체험 상품 데이터의 배치 위치 적합 확인 요청이 이루어진경우, 상기 체험 상품 데이터의 특성, 상기 가상주거공간에 대응하는 실제 주거공간의 환경 정보, 상기 가상주거공간 내에 기 배치되어 있는 기존재 상품 데이터들의 특성, 상기 제1 위치가 식별된 현재 시간 정보 및 상기 실제 주거공간의 주변 건물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제1 위치가 기 설정된 적합 조건을 충족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위치에 대한 체험 상품 데이터의 배치 위치가 부적합인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가상주거공간 내에서 상기 기 설정된 적합 조건을 충족하는 제2 위치를 상기 상품 체험 컨텐츠 상에 추천 배치 위치 정보로서 표시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 설정된 적합 조건은, 상기 체험 상품 데이터의 특성에 따라 각기 다르게 설정되되, 상기 체험 상품 데이터가 햇빛의 수신을 필요로 하는 상품인 경우, 상기 제1 위치에 대응하는 실제 주거공간 내 대응 위치에 대한 햇빛의 비춤 유지 시간이 미리 설정된 제1 시간 이상으로 나타나는 조건이고, 상기 체험 상품 데이터가 햇빛의 노출을 최소화해야 하는 상품인 경우, 상기 제1 위치에 대응하는 실제 주거공간 내 대응 위치에 대한 햇빛의 비춤 유지 시간이 미리 설정된 제2 시간 미만으로 나타나는 조건일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원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실측기반의 메타버스 가상주거공간에서의 상품 서비스 제공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온라인 쇼핑몰 상에서 판매되는 상품을 구매함에 있어서, 상품의 구매 실패 확률을 효과적으로 줄이면서 만족도 높은 상품 구매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원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상기된 바와 같은 효과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효과들이 존재할 수 있다.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측기반의 메타버스 가상주거공간에서의 상품 서비스 제공 장치를 포함한 메타버스 기반 상품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측기반의 메타버스 가상주거공간에서의 상품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상부에", "상단에", "하에", "하부에", "하단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측기반의 메타버스 가상주거공간에서의 상품 서비스 제공 장치(10)를 포함한 메타버스 기반 상품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측기반의 메타버스 가상주거공간에서의 상품 서비스 제공 장치(10)를 본 장치(10)라 하고,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타버스 기반 상품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을 본 시스템(1)이라 하기로 한다. 본 시스템(1)은 따른 실측기반의 메타버스 가상주거공간에서의 상품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라 달리 지칭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시스템(1)은 본 장치(10) 및 사용자(2)가 소지한 사용자 단말(3)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장치(10)는 사용자 단말(3)과 네트워크(7)를 통해 연동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7)는 일예로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고, 다양한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2)는 본 장치(10)(혹은 본 장치에 의해 제공되는 앱, 플랫폼 등)을 이용하는 사용자로서, 이용자, 고객 등으로 달리 지칭될 수 있다.
사용자(2)는 온라인 쇼핑몰에서 판매/거래되는 상품 중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즉, 구매 희망 상품)을 실제로 구매하기에 앞서, 본 장치(10)를 통하여 구매 희망 상품을 실측기반으로 생성된 메타버스 가상주거공간에서 체험(시뮬레이션 체험)을 해본 후 상품 구매 여부를 결정하게 되는 사용자일 수 있다. 즉, 사용자(2)는 상품 구매를 희망하는 사용자일 수 있으며, 남녀노소 누구나일 수 있다.
본원에서 고려되는 상품(혹은 구매 희망 상품)에는 TV, 냉장고, 에어컨, 태블릿 PC, 오븐 등의 전자제품(전기 기기 제품, 가전제품), 수납장, 테이블(책상), 의자, 쇼파 등의 가구 제품, 의류, 신발, 모자, 가방 등의 제품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다만, 이는 본원의 이해를 돕기 위한 하나의 예시일 뿐,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원에서 고려되는 상품으로는 온라인 쇼핑몰에서 판매/거래되는 각종 상품(제품, 물품)이 적용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3)은 사용자(2)가 소지한 단말을 의미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3)은 일예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휴대폰), 스마트패드(SmartPad), 태블릿 PC, 노트북, 웨어러블 디바이스, 데스크탑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유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뿐만 아니라, 사용자 단말(3)은 일예로 가상현실(virtual reality, VR),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AR), 혼합현실(mixed reality, MR) 및 이들을 아우르는 확장현실(extended reality, XR) 중 적어도 하나의 기술/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기기(장치, 단말)일 수 있다. 이러한 기기(장치)에는 일예로 VR/AR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인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head mounted display, HMD), 구글 글라스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3)에는 사용자가 현실감 있는 영상을 체험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각종 기기(장치, 단말)로서, 종래에 이미 공지되었거나 향후 개발되는 VR/AR/MR/XR 등의 실감 영상의 구현이 가능한 각종 기기(장치, 단말)가 적용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사용자 단말(3)은 일예로 사용자(2)에게 착용되어 실측기반의 메타버스 가상주거공간에서 상품 체험이 가능하도록 하는 상품 체험 컨텐츠(즉, 본 장치(10)에 의해 생성되고 제공되는 상품 체험 컨텐츠)를 출력하는 기기(장치, 단말)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3)은 사용자(2)로부터 주거공간 정보와 구매 희망 상품에 관한 상품 설치 시연 조건정보(특히나, 상품 설치 시연 조건정보내 복수의 조건메뉴별 선택 정보)를 입력받아 이를 본 장치(10)로 제공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 단말(3)은 본 장치(10)에 의해 생성된 상품 체험 컨텐츠(체험 상품 데이터를 메타버스의 실측기반 가상주거공간 상에 구현한 컨텐츠)를 본 장치(10)로부터 제공받아 출력(표출)할 수 있다.
일예로 본 장치(10)는 사용자 단말(3)에 포함된 장치의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본 장치(10)는 사용자 단말(3)에 설치되는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어플, 앱)의 형태로 구현 가능한 장치일 수 있다. 달리 말해, 본 장치(10)를 통해 제공되는 실측기반의 메타버스 가상주거공간에서의 상품 서비스 제공 방법은 일예로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의 형태로 구현되어 사용자 단말(3)을 통해 사용자(2)에게 제공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른 일예로 본 장치(10)는 사용자 단말(3)과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서버의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서버의 형태로 마련된 본 장치(10)는, 본 장치(10)에 의해 제공되는 프로그램 혹은 애플리케이션에 접속한 사용자(2)의 사용자 단말(3)의 화면 표시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한 설명에서는 본 장치(10)가 일예로 서버의 형태로 마련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하며, 이러한 경우 본 장치(10)는 서버, 실측기반의 메타버스 가상주거공간에서의 상품 서비스 제공 서버 등으로 달리 지칭될 수 있다.
또한, 본원에서 본 장치(10)에 의해 제공되는 애플리케이션(어플, 앱)은 실측기반의 메타버스 가상주거공간에서의 상품 서비스 제공 애플리케이션으로서 본원에서는 편의상 본 앱이라 지칭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본 장치(10)는 본 앱(프로그램)을 설치한 사용자(2)의 사용자 단말(3)의 동작(일예로 화면 표시 동작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본 장치(10)는 본 앱의 제공을 통해 실측기반의 메타버스 가상주거공간에서의 상품 서비스 제공 플랫폼(본 플랫폼)을 제공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본 장치(10)는 복수의 사용자의 단말 각각과 네트워크(7)를 통해 연동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즉, 본 장치(10)는 복수의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사용자에는 사용자(2)가 포함될 수 있고, 복수의 사용자 중 사용자(2)를 제외한 사용자들은 본원에서 타 사용자라 지칭될 수 있다.
이하 본원을 설명함에 있어서, 사용자(2)의 사용자 단말(3)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은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복수의 사용자의 단말 각각(즉, 복수의 타 사용자의 단말 각각)에 대한 설명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장치(10)를 이용하는 타 사용자는 일예로 사용자(2)와 마찬가지로, 본 장치(10)를 통하여 상품을 체험하고 구매 가능한 사용자일 수 있다.
본 장치(10)는 실측기반의 메타버스 가상주거공간에서의 상품 서비스 제공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즉, 본 장치(10)는 사용자(2)의 실제 주거공간을 메타버스 공간에 구현한 가상주거공간(즉, 실제 주거공간의 실측 데이터를 기반으로 메타버스 공간에 구현된 실제 주거공간에 대응하는 가상주거공간)에서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을 고객이 직접 체험해 보고 구매(쇼핑)가 가능하도록 하는 장치일 수 있다. 본원에서 메타버스 공간은 메타버스 플랫폼, 메타버스 플랫폼 환경 등으로 달리 지칭될 수 있다.
최근, 가상세계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대표적인 서비스로서 메타버스(metaverse)가 각광받고 있다. 메타버스는 가공, 추상을 의미하는 메타(meta)와 현실세계를 의미하는 유니버스(universe)의 합성어로 3차원 가상세계를 의미하며, 이러한 메타버스의 핵심기술은 가상현실(virtual reality, VR),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AR) 및 혼합현실(mixed reality, MR)을 아우르는 확장현실(extended reality, XR) 기술이라 할 수 있다.
본 장치(10)는 사용자(2)가 실제 거주하는 공간이자 구매하려는 상품(구매 희망 상품)을 설치할 공간인 실제 주거공간을 실측 데이터를 기반으로 메타버스를 통해 가상으로 구현(즉, 실제 주거공간에 대응하는 가상주거공간을 메타버스로 생성)하고, 사용자가 구매 희망 상품을 구매하기 전에, 구현된 가상주거공간(즉, 메타버스 가상주거공간)에서 구매 희망 상품의 설치 시연을 체험(시뮬레이션 체험)해 볼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를 사용자(2)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본 장치(10)에 의해 제공되는 메타버스(메타버스 공간, 메타버스 환경)는 일예로 3DsMAX, ZBrush, MAYA 등과 같은 다양한 그래픽 관련 툴(Tool)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다만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종래에 이미 공지되었거나 향후 개발되는 다양한 메타버스 구현 툴(각종 3D 모델링 구현 기술, 그래픽 처리 기술 등)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본 장치(10)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다음과 같다.
본 장치(10)는 입력부(11), 컨텐츠 관리부(12) 및 제어부(13)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1)는 사용자(2)가 소지한 사용자 단말(3)로부터 주거공간 정보와 구매 희망 상품에 관한 상품 설치 시연 조건정보를 입력(선택)받을 수 있다. 사용자(2)는 사용자 단말(3)을 통해 본 앱에 접속하여 주거공간 정보 및 상품 설치 시연 조건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여기서, 주거공간 정보는 사용자(2)가 구매 희망 상품을 실제 설치하고자 하는 사용자 자신의 실제 주거공간(즉, 구매 희망 상품이 실제 설치될 주거공간)에 대한 정보(실측 주거공간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주거공간(즉, 실제 주거공간)은 아파트, 빌라, 단독주택 등의 주거(거주) 공간을 의미할 수 있으며, 이러한 주거 공간에서도 거실, 안방, 베란다 등의 세부 공간을 의미할 수도 있다. 여기서, 주거공간으로서 고려되는 아파트로는 이미 건설이 완료되어 사용자가 실제 입주하여 생활하고 있는 아파트가 고려될 수도 있고, 이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신규 아파트의 입주를 위해 생성된 아파트분양 모델하우스가 고려될 수도 있다.
일예로 주거공간 정보는 복수의 샘플 주거공간 정보 중 어느 하나의 샘플 주거공간 정보를 사용자(2)가 선택함으로써 입력될 수 있다. 일예로 사용자(2)로부터 주거공간 정보를 입력받기 위해, 입력부(11)는 기 생성된 복수의 샘플 주거공간 정보를 사용자 단말(3)로 제공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2)는 제공받은 복수의 샘플 주거공간 정보 중 사용자(2) 자신의 주거공간과 일치하는(매칭되는) 어느 하나의 샘플 주거공간 정보를 선택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입력부(11)가 주거공간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샘플 주거공간 정보는 주거공간의 유형에 따라 생성된 복수개의 주거공간의 샘플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다. 주거공간의 유형에는 주거공간의 건물 유형 정보(일예로 아파트, 아파트분양 모델하우스, 다가구 주택, 단독주택, 빌딩 등), 아파트명 정보(아파트의 브랜드명) 및 평형 정보(즉, 주거공간의 크기, 평수, 실평수, 면적 등의 정보로서, 일예로 20평대, 30평대, 40평대 등, 일예로 주거공간의 유형이 아파트분양 모델하우스인 경우 25 타입(Type), 33A Type , 33B Type, 33C Type, 45 Type 등)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복수의 샘플 주거공간 정보에는 제1 샘플 주거공간 정보(일예로, A 브랜드명을 가진 30평대의 아파트 정보), 제2 샘플 주거공간 정보(일예로, B 브랜드명을 가진 20평대의 아파트 정보), 제3 샘플 주거공간 정보(일예로, 실평수 50평에 해당하는 단독 주택 정보), 제4 샘플 주거공간 정보(일예로, 25평 타입의 아파트분양 모델하우스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복수의 샘플 주거공간 정보는 일예로 건물을 짓는 건설사나 부동산 등으로부터 기 획득(수집)된 지구상에 존재하는 각종 주거공간 관련 데이터(일예로, 주거공간의 아파트명, 평형 정보, 건축 설계 도면 정보, 주거공간의 실측 데이터 등)를 기반으로 샘플 주거공간을 미리 모델링함으로써 생성된 것(즉, 실측 기반으로 미리 모델링되어 생성된 정보)일 수 있다.
사용자(2)는 일예로 복수의 샘플 주거공간 정보 중 특정한 어느 하나의 샘플 주거공간 정보를 선택함으로써 주거공간 정보를 입력할 수도 있겠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복수의 샘플 주거공간 정보와 관련하여 제공되는 주거공간의 복수 유형(건물 유형 정보, 아파트명 정보, 평형 정보) 각각에 대하여 자신의 주거공간과 일치하는 정보를 순차적으로 선택함(일예로 건물 유형 정보로는 아파트를 선택하고, 아파트명 정보로는 A 아파트, B 아파트, C 아파트 등의 다수의 선택 항목들 중 A 아파트를 선택하고, 평형 정보로는 20평대, 30평대 등의 다수의 선택 항목들 중 30평대를 선택함)으로써 주거공간 정보를 입력할 수도 있다.
예시적으로, 사용자(2)는자신이 입주하고자 하는 신규 아파트의 아파트분양 모델하우스를 메타버스 공간에 가상으로 구현(즉, 가상주거공간을 마련)하고, 이를 토대로 가상으로 구현된 가상주거공간(즉, 아파트분양 모델하우스에 대응하는 가상주거공간)을 토대로 구매 희망 상품의 설치를 시연(시뮬레이션, 체험)해 보고자 하는 경우, 아파트분양(입주) 평형별 모델하우스 및 분양 옵션을 선택함으로써 주거공간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여기서, 아파트분양 모델하우스의 평형정보에는 일예로 25 Type , 33A Type , 33B Type, 33C Type, 45 Type 등이 포함될 수 있고, 아파트분양 모델하우스의 분양 옵션에는 일예로 베란다 일반형, 베란다 확장형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즉, 본 장치(10)는 아파트분양(입주) 모델하우스를 디지털환경의 메타버스 플랫폼(메타버스 공간)에 구현시킨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실제 오프라인 모델하우스에서는 대표 분양타입 2~3대만 건립 체험을 할 수 있을뿐(즉, 8개 평형타입 분양시에도 2개 평형타입만 체험 가능할 뿐) 모든 평형타입에 대한 체험이 불가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신규 아파트의 입주 전 다양한 평형타입의 모델하우스를 체험하는 데에 한계가 있다.
이에 반해, 본 장치(10)는 사용자가 선택한 아파트분양(입주) 평형별 모델하우스 및 분양 옵션 정보를 기반으로 생성한 가상주거공간을 메타버스 공간에 구현해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바, 사용자로 하여금 분양하는 전세대를 실측환경에서 XR모델하우스를 아바타가 되어 체험 가능하게(즉, 실측환경에 기반해 메타버스 공간에 구현된 모델하우스에 대응하는 가상주거공간을 토대로, 사용자가 입주하게 될 신규 아파트를 가상에서 실제와 유사한 환경의 느낌으로 체험해 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즉, 본 장치(10)에 의하면, 사용자는 8개 평형타입 분양시 8개 평형타입 모두 체험이 가능할 수 있다.
사용자가 신규 아파트에 입주하는경우, 일예로 사용자는 본 장치(10)에서 아파트 분양(입주) 평형별 모델하우스 및 분양 옵션을 선택(즉, 사용자 입주 환경에 맞춤형으로 정보/옵션을 선택)할 수 있고, 이후 선택된 정보를 기반으로 메타버스에 구현된 가상주거공간 상에서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일예로 TV)을 시물레이션하고 체험해 볼 수 있다.
또한, 다른 일예로, 주거공간 정보는 사용자(2)가 사용자 단말(3)을 통해 사용자가 구매 희망 상품을 실제 설치하고자 하는 실제 주거공간에 대한 주거공간 실측 데이터를 업로드함으로써 입력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사용자가 TV를 구매하고자 하고, 구매 희망 상품인 TV를 자신이 사는 아파트의 안방에 설치하고자 한다고 하자. 이러한 경우, 사용자(2)는 주거공간 실측 데이터로서 일예로 자신이 사는 아파트의 안방의 공간에 대한 가로, 세로, 높이를 직접 자로 측정한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3)에 입력하여 본 장치(10)에 업로드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사용자(2)는 자신이 실제 거주하는 주거공간에 대한 설계 도면 파일(일예로, 3D 도면 파일, 캐드파일 등)을 갖고 있는 경우, 설계 도면 파일을 사용자 단말(3)을 통해 본 장치(10)에 업로드할 수 있다. 입력부(11)는 이렇게 사용자 단말(3)로부터 업로드된 정보를 이용하여 실제 주거공간에 대한 주거공간 정보(실측 주거공간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사용자(2)는 자신이 사는 아파트의 안방을 사용자 단말(3)로 촬영한 안방 촬영 영상을 본 장치(10)에 업로드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입력부(11)는 사용자 단말(3)로부터 획득된 안방 촬영 영상에 대해 이미지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주거공간 정보(즉, 실측 주거공간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상품 설치 시연 조건정보는, 구매 희망 상품을 실제 구매하기에 앞서, 본 장치(10)에 의해 생성된 가상주거공간에서 구매 희망 상품의 설치를 시연(시뮬레이션, 체험)해 보기 위해 필요한 조건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상품 설치 시연 조건정보는 구매 희망 상품에 관한 상품 종류, 상품 스펙, 상품 설치 요건 및 시연 컨텐츠를 포함한 복수의 조건메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품 종류 관련 조건메뉴는 구매 희망 상품의 종류를 입력(선택)하는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품 종류 관련 조건메뉴에는 복수의 선택 가능 항목으로서, 일예로 TV, 냉장고, 에어컨, 태블릿 PC, 오븐, 수납장, 테이블(책상), 의자, 쇼파, 의류, 신발, 모자, 가방 등의 항목이 포함될 수 있다.
상품 스펙 관련 조건메뉴는 구매 희망 상품의 스펙 정보(일예로, 크기, 화질, 화소 등)를 입력(선택)하는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품 스펙 관련 조건메뉴에는 복수의 선택 가능 항목으로서, 구매 희망 상품의 크기, 화질, 화소 등과 관련된 항목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 뿐만 아니라 일예로 구매 희망 상품의 제조사 정보도 포함될 수도 있다. 예시적으로, 구매 희망 상품이 TV인 경우, 상품 스펙 관련 조건 메뉴에는 복수의 선택 가능 항목으로서, 일예로 55인치TV, 65인치TV, 75인치TV, 85인치 TV, UHD, OLED, 제1 제조사(예시적으로 삼성전자), 제2 제조사(예시적으로, LG 전자) 등의 항목이 포함될 수 있다.
상품 설치 요건 관련 조건메뉴는 구매 희망 상품의 설치 유형 내지 설치 옵션 정보를 입력(선택)하는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구매 희망 상품이 TV인 경우, 상품 설치 요건 관련 조건메뉴에는 복수의 선택 가능 항목으로서, 일예로 벽걸이설치, 스탠드설치, 사운드바 설치 등의 항목이 포함될 수 있다.
시연 컨텐츠 관련 조건메뉴는 구매 희망 상품을 통해 표출되는 컨텐츠의 표출 컨텐츠 유형(장르)을 입력(선택)하는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구매 희망 상품이 TV인 경우, 시연 컨텐츠 관련 조건메뉴에는 복수의 선택 가능 항목으로서, 일예로 스포츠, 영화, 드라마, 예능 등의 항목이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2)는 복수의 조건메뉴 각각 내 복수의 선택 가능 항목에 대하여 복수의 조건메뉴별로 적어도 하나의 선택 가능 항목을 선택함으로써 상품 설치 시연 조건정보를 사용자 단말(3)에 입력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입력부(11)가 상품 설치 시연 조건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컨텐츠 관리부(12)는 입력부(11)에서 입력된 주거공간 정보를 기반으로 메타버스 공간(메타버스 플랫폼 환경) 상에 입력된 주거공간 정보에 대응하는 가상주거공간(즉, 메타버스 가상주거공간)을 생성(구현)하고, 입력부(11)에서 입력된 상품 설치 시연 조건정보에 대응하도록 생성된 체험 상품 데이터를 가상주거공간에 적용시킨 상품 체험 컨텐츠를 생성하고 관리할 수 있다.
즉, 컨텐츠 관리부(12)에 의해 생성되는 가상주거공간은, 사용자(2)가 구매 희망 상품을 실제 설치하고자 하는 실제 주거공간의 실측 데이터를 기반으로 메타버스 공간 상에 구현된 가상주거공간(실제 주거공간의 실측 데이터에 대응하도록 생성된 가상의 주거공간)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관리부(12)에 의해 생성되는 체험 상품 데이터는, 입력부(11)에서 입력된 상품 설치 시연 조건정보(즉, 복수의 조건메뉴 내 복수의 선택 가능 항목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항목(선택 항목))를 충족하도록 생성된 체험 상품 데이터(일예로, 메타버스 공간 상에 구현되는 3차원 상품 모델링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다만,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른 일예로 사용자(2)는 상품 설치 시연 조건정보를 사용자 단말(3)을 통해 입력할 때, 일예로 온라인 쇼핑몰에서 판매되는 복수의 상품들 중 구매를 희망하는 구매 희망 상품을 판매하는 온라인 쇼핑몰의 링크 정보를 입력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컨텐츠 관리부(12)는 체험 상품 데이터의 생성을 위해, 사용자(2)가 입력한 온라인 쇼핑몰의 링크 정보로부터 구매 희망 상품의 상품 판매 페이지 정보를 크롤링(웹 크롤링)을 통해 수집하고, 수집된 상품 판매 페이지 정보를 분석하여 구매 희망 상품의 상품 속성 정보를 자동으로 식별할 수 있다. 이후, 컨텐츠 관리부(12)는 자동으로 식별된 상품 속성 정보, 사용자가 선택한 상품 설치 요건에 대한 선택 정보 및 사용자가 선택한 시연 컨텐츠에 대한 선택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구매 희망 상품에 대응하는 체험 상품 데이터(즉, 구매 희망 상품을 메타버스 공간 상에 3차원 형상으로 구현한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품 속성 정보에는 상품 종류, 상품 스펙(일예로, 크기, 화질, 화소의 정보 외에도 구매 희망 상품의 재질, 소재 등), 상품의 형상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상품의 형상 정보는 입력된 링크 정보 내 상품의 상세정보 페이지에 있는 상품 이미지 정보 및/또는 타 사용자들에 의해 업로드된 리뷰 정보 내 상품 이미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관리부(12)는 복수의 온라인 쇼핑몰에서 판매되는 복수의 상품(모든 상품들) 각각에 대하여, 크롤링된 정보의 분석을 통해 식별된 각 상품의 상품 속성 정보를 기반으로, 복수의 상품 각각을 메타버스 공간에 구현한 상품 데이터(즉, 복수의 상품 각각에 대응하도록 생성된 복수의 상품 데이터)를 기 생성해둘 수 있다. 이때, 생성된 상품 데이터는 해당 상품을 3차원 형상으로 구현(모델링)한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3)의 화면에 표출되는 상품 체험 컨텐츠 내 체험 상품 데이터는, 일예로 기 생성된 복수의 상품 데이터 중 어느 하나의 상품 데이터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컨텐츠 관리부(12)는 생성된 체험 상품 데이터를 생성된 가상주거공간에 적용(합성)시킨 상품 체험 컨텐츠를 생성하고 관리할 수 있다.
제어부(13)는 컨텐츠 관리부(12)에서 생성된 상품 체험 컨텐츠를 사용자 단말(3)로 제공하되, 사용자(2)의 제어신호에 따라 사용자 단말(3)에 표출되는 상품 체험 컨텐츠와 사용자(2) 간에 상호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사용자 단말(3)에 대한 상품 체험 컨텐츠의 표출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2)의 제어신호라 함은 사용자(2)가 사용자 단말(3)에 표출되는 상품 체험 컨텐츠의 움직임/동작을 제어(조작)하기 위한 신호를 의미할 수 있다. 즉, 사용자(2)의 제어신호는 사용자(2)의 조작에 따라 생성되는 상품 체험 컨텐츠에 대한 조작신호(컨텐츠 조작 제어신호)를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2)의 제어신호는 일예로 사용자 단말(3)이 스마트폰 등과 같은 단말인 경우 단말의 화면에 대한 터치 입력을 통해 생성되는 신호이거나, 혹은 사용자 단말(3)이 데스크탑 PC 등과 같은 단말인 경우 마우스의 입력을 통해 생성되는 신호이거나, 혹은 사용자 단말(3)과는 별도로 마련되는 컨텐츠 조작 유닛(미도시)의 입력을 통해 생성되는 신호일 수 있다. 여기서, 컨텐츠 조작 유닛(미도시)은 일예로 가상현실, 증강현실 및 혼합현실에서 구현된 컨텐츠와 상호작용하기 위해 사용자의 손에 착용되는 것으로, 예를 들면 사용자의 모션을 트래킹하고, 물리적인 피드백을 제공하며, 촉감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는 VR/AR글러브(VR/AR gloves)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컨텐츠 조작 유닛(미도시)은 사용자 단말(3)과 마찬가지로, 본 장치(10)와 네트워크(7)를 통해 연동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일예로, 사용자 단말(3)에 표출되는 상품 체험 컨텐츠는, 사용자(2)의 제어신호를 기반으로 반응하여, 일예로 상품 체험 컨텐츠 내 체험 상품 데이터의 설치 위치(즉, 가상주거공간 내에서의 체험 상품 데이터의 배치 위치)가 변경되는 등 상호작용에 의해 변화될 수 있다.
제어부(13)는 복수의 조건메뉴 각각 내 복수의 선택 가능 항목 중 사용자(2)에 의해 선택된 복수의 조건메뉴별 선택 정보를 기반으로 생성된 체험 상품 데이터(혹은 상품 판매 페이지 정보의 크롤링 정보의 분석을 기반으로 생성된 체험 상품 데이터)가 포함된 상품 체험 컨텐츠를 사용자 단말(3)에 표출시킬 수 있다. 이때, 제어부(13)는 앞서 선택된 복수의 조건메뉴별 선택 정보 대비 사용자(2)로부터 복수의 조건메뉴별 변경된 선택 정보의 입력이 이루어진 경우, 변경된 선택 정보(즉, 복수의 조건메뉴별 변경된 선택 정보)를 기반으로 재생성된 체험 상품 데이터가 포함되도록 사용자 단말(3)에 표출되는 상품 체험 컨텐츠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즉, 제어부(13)는 사용자(2)가 복수의 조건메뉴별 선택 정보를 달리 선택함에 따라, 입력부(11)에서 입력된 상품 설치 시연 조건정보가 변경된 경우, 변경된 상품 설치 시연 조건정보에 맞추어 사용자 단말(3)에 표출되는 상품 체험 컨텐츠 내 체험 상품 데이터 역시 변경시킬 수 있다.
제어부(13)는 사용자 단말(3)에 표출된 상품 체험 컨텐츠를 확인한 사용자(2)로부터 상품 모델 검색 요청이 이루어진 경우, 상품 모델 검색 요청에 응답하여 표출된 상품 체험 컨텐츠 내 체험 상품 데이터와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의 매칭 상품 모델 정보의 리스트를 사용자 단말(3)의 화면에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체험 상품 데이터와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의 매칭 상품 모델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온라인 쇼핑몰(즉, 복수의 온라인 쇼핑몰) 상에서 판매/거래되는 복수의 상품 중 입력부(11)에서 입력된 상품 설치 시연 조건정보와 매칭되는 상품의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일예로, 입력부(11)에서 입력된 상품 설치 시연 조건정보가 '상품 종류: TV, 상품 스펙: 55인치, OLED, 제1 제조사(예시적으로 삼성전자), 상품 설치 요건: 스탠드 설치'라고 하자. 이때, 제어부(13)는 상품 체험 컨텐츠에 대한 상품 모델 검색 요청이 이루어진 경우, 복수의 온라인 쇼핑몰 상에서 판매되는 복수의 상품 중 '제1 제조사(일예로, 삼성전자)에서 제조되고, 스탠드 설치가 가능한 55인치 OLED TV'에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의 상품을 매칭 상품 모델로서 추출하고, 추출된 매칭 상품 모델의 정보를 포함한 리스트(즉, 매칭 상품 모델 정보의 리스트)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3)의 화면에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상품 중 추출되는 매칭 상품 모델의 개수는 적어도 하나 이상(즉, 한개이거나 둘 이상의 복수개)일 수 있다.
즉, 사용자(2)로부터 상품 체험 컨텐츠에 대한 상품 모델 검색 요청이 이루어진 경우, 제어부(13)는 복수의 상품 중 사용자가 상품 모델 검색을 요청한 상품 체험 컨텐츠(즉,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표출된 상품 체험 컨텐츠)에 속한 체험 상품 데이터(즉, 상품 설치 시연 조건정보)와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의 상품을 매칭 상품 모델로서 추출(조회)하고, 추출(조회)된 매칭 상품 모델의 정보를 상품 비교표 형태의 것으로 제공(즉, 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
리스트에 포함되는 매칭 상품 모델 정보에는 일예로 추출된 매칭 상품(매칭 상품 모델)에 대한 정보로서, 일예로 상품명(제품명), 제조사, 에너지등급, 음성출력 및 가격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으며, 다만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매칭 상품과 관련된 각종 사양 관련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추출된 매칭 상품 모델이 3개인 경우, 리스트에는 3개의 매칭 상품 모델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1 매칭 상품 모델 정보는 '제조사:S사, 에너지등급: 1등급, 음성출력: 44W, 가격: 950,000 원', 제2 매칭 상품 모델 정보는 '제조사:S사, 에너지등급: 1등급, 음성출력: 44W, 가격: 1,000,000 원', 제3 매칭 상품 모델 정보는 '제조사:S사, 에너지등급: 2등급, 음성출력: 52W, 가격: 800,000 원'과 같을 수 있다. 이러한 리스트는 일예로 추출된 복수의 매칭 상품 모델 정보 간 대비표(비교표)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어부(13)는 사용자 단말(3)에 표출된 리스트 내 적어도 하나의 매칭 상품 모델 정보 중 사용자(2)에 의해 선택된 매칭 상품 모델 정보에 대하여 사용자(2)로부터 구매 요청이 이루어진 경우, 구매 요청에 응답하여, 구매 요청이 이루어진 매칭 상품 모델 정보에 대한 상품 결제 프로세스를 진행할 수 있다.
일예로, 사용자(2)는 리스트를 확인한 후 리스트 내 3개의 매칭 상품 모델 정보 중 제1 매칭 상품 모델 정보에 해당하는 상품을 구매하고자 하는 경우, 리스트 내에서 제1 매칭 상품 모델 정보를 선택한 후 사용자 단말(3)의 화면의 일영역에 표시된 구매 요청 버튼을 클릭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3)는 구매 요청 버튼에 대한 클릭을 구매 요청 신호로 인지하여, 구매 요청에 응답하여 사용자(2)에 의해 선택된 제1 매칭 상품 모델 정보에 해당하는 상품에 대한 상품 결제 프로세스를 진행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3)는 제1 매칭 상품 모델 정보에 해당하는 상품을 판매하는 온라인 쇼핑몰과 연계되어, 연계된 온라인 쇼핑몰에서 해당 상품에 대한 결제(일예로 신용카드 결제, 계좌이체 결제 등)의 진행 및 결제된 상품에 대한 사용자(2)로의 배송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2)는 구매 요청을 통해(구매 요청 버튼의 클릭을 통해) 사용자(2)가 선택한 매칭 상품 모델 정보에 해당하는 상품을 구매(구입)할 수 있고, 이때, 상품의 구매는 해당 상품을 판매하는 온라인 쇼핑몰과 연동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제어부(13)는 리스트에 포함된 상품들 중 사용자가 구매를 위해 최종 선택한 상품에 대하여, 해당 상품을 판매하는 온라인 쇼핑몰에서 결제(신용카드 등)와 배송의뢰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본 장치(10)에 의해 제공되는 상품 체험 컨텐츠로 하여금, 사용자(2)는 복수의 조건메뉴별 선택 정보를 변경시켜가며, 다양한 조건에 따른 다수 상품들의 성능(스펙, 크기, 시연 컨텐츠의 표출 모습) 등을 메타버스 공간 상에서(특히나, 구매 희망 상품을 실제 설치하고자 하는 공간인 실제 주거공간을 가상으로 구현해 둔 실측기반의 메타버스 가상주거공간 상에서) 체험(시뮬레이션)해 보고, 이를 토대로 체험한 상품의 실제 구매가 가능할 수 있다. 즉, 본 장치(10)에 의하면, 사용자(2)는 상품 체험 컨텐츠의 제공을 통해 구매 희망 상품에 대한 메타버스 기반의 상품 체험 및 구매가 가능할 수 있다.
즉, 본 장치(10)는 실측기반의 메타버스 가상주거공간(일예로 아파트 등)에서 사용자(2, 고객)이 직접 상품을 체험한 후 쇼핑(상품 구매)가 가능하도록 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종래의 온라인 쇼핑몰은 일반적으로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에 대한 정보(크기 등)를 단순히 텍스트 형태나 이미지 정보로 제공할 뿐이다. 이에 종래에는 사용자가 이러한 정보만을 보고 특정 상품을 구매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의 실체 크기를 가늠해 볼 수가 없어, 해당 상품을 구매하여 실제로 실물 상품을 받아보았을 때 자신(사용자 자신)이 예상했던 상품의 크기보다 실제 해당 상품의 크기가 더 크거나 혹은 더 작은 경우가 존재하여, 사용자가 다시 다른 크기의 상품으로 교환하거나 환불해야 하는 등의 불편함이 있었다. 이는 사용자로 하여금 번거로움을 야기하고, 시간 낭비가 이루어지는 문제가 존재한다.
이에, 본 장치(10)는 온라인으로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일예로, TV)을 사용자(2, 고객)가 해당 상품을 실제 설치할 주거공간(즉, 실제 주거공간으로서, 일예로 실제 주거공간의 거실공간 등)에 대응하도록 생성된 가상주거공간에 다양한 조건으로 선택하여(즉, 상품 설치 시연 조건정보를 다양하게 변경시켜가며) 시뮬레이션 체험을 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일예에서는 입력부(11)에서 입력되는 주거공간 정보가 상품 설치 시연 조건정보와는 별도로 입력되는 정보인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는 본원의 이해를 돕기 위한 하나의 예시일 뿐,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주거공간 정보는 상품 설치 시연 조건정보로 입력되는 정보일 수도 있다. 즉, 주거공간 정보는 상품 설치 시연 조건정보 내 복수의 조건메뉴 중 하나의 조건메뉴로서 고려되는 정보일 수도 있다.
본 장치(10)는 사용자(2)로부터 주거공간 정보 및 상품 설치 시연 조건정보를 입력(선택)받은 후, 입력된 정보를 기반으로 상품 체험 컨텐츠를 생성하여 사용자(2)에게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주거공간 정보는 주거환경 정보 등으로 달리 지칭될 수 있고, 예시적으로 구매 희망 상품을 실제 설치하고자 하는 실제 주거공간(설치 주거공간)이 몇 평인지에 대한 정보로서, 20평대, 30평대, 40평대 등의 정보가 입력될 수 있다. 상품 설치 시연 조건정보 내 상품 스펙 정보로는 일예로 55인치TV, 65인치TV, 75인치TV, 벽걸이설치, 스탠드설치 등의 정보가 입력될 수 있다. 상품 설치 시연 조건정보 내 시연 컨텐츠 정보로는 스포츠, 영화, 드라마, 예능 등의 정보가 입력될 수 있다.
본 장치(10)는 가상주거공간(특히나, 실측 기반의 메타버스 가상주거공간)에 체험 상품 데이터를 적용한 상품 체험 컨텐츠를 사용자(2)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2)가 온라인으로 상품을 구매함에 있어서, 온라인 상품 구매에 대한 실패의 확률을 효과적으로 줄이면서, 보다 만족도 높은 상품 구매가 이루어지도록 제공할 수 있다.
본 장치(10)는 메타버스 플랫폼 환경에서 사용자(2)가 자신의 집과 동일한 샘플 주택을 선택(즉, 일예로 복수의 샘플 주거공간 정보 중 사용자 자신의 집과 동일한 형태의 주거공간을 갖는 어느 하나의 샘플 주거공간 정보를 선택)한 후, 선택된 샘플 주택의 공간인 가상주거공간(예시적으로, 선택된 샘플 주택의 평형(크기)의 거실공간)에 다양한 선택조건의 상품 설치 환경(즉, 상품 설치 시연 조건정보를 충족하는 환경으로서, 일예로 TV 설치 환경)을 일예로 MR(Mixed Reality) 환경(내지 메타버스 공간)에서 체험해 보고, 체험을 토대로 사용자 본인이 선택한 최적의 조건에 맞는 상품을 선택하여 구매(일예로, 구매 요청이 이루어진 매칭 상품 모델 정보에 해당하는 상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하는 메타커머스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장치(10)는 온라인 쇼핑몰을 일반적인 인터넷 환경이 아닌, 메타버스 플랫폼 환경에서 e-Commerce를 구축하여, 사용자(2)인 고객이 아바타가 되어 상품을 구매하기 전 실감(체험)하고 사용자가 선택한 조건의 상품(즉, 사용자가 구매하고자 선택한 매칭 상품 모델 정보에 해당하는 상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장치(10)에 의해 제공되는 상품 체험 컨텐츠는 메타버스 공간에서 구현되는 컨텐츠일 수 있다.이러한 상품 체험 컨텐츠에는 일예로 메타버스 로비가 포함될 수 있고, 메타버스 로비는 일예로 복수의 샘플 주거공간 정보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어느 하나의 샘플 주거공간 정보에 대응하도록 생성된 가상주거공간을 의미할 수 있다. 즉, 상품 체험 컨텐츠 내 메타버스 로비는 일예로 20평대의 가상주거공간이거나, 30평대의 가상주거공간이거나, 40평대의 가상주거공간 등일 수 있고,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품 체험 컨텐츠에는 체험 상품 데이터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품 체험 컨텐츠에는 사용자(2)에 대응하도록 생성된 아바타가 포함될 수 있다. 상품 체험 컨텐츠에 포함된 아바타는 일예로 사용자(2)의 신체 특성 정보(예시적으로, 키, 나이, 몸무게 등에 관한 체형, 얼굴형, 피부톤 등)를 고려하여 사용자(2)의 실제 모습과 유사하게 구현한 아바타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2)는 본 장치(10)에 의해 제공되는 상품 체험 컨텐츠를 사용자 단말(3)을 통해 제공받을 수 있다. 사용자(2)는 사용자 단말(3)을 통해 본 앱에 접속하여 본 장치(10)에 의해 제공되는 상품 체험 컨텐츠의 구현이 이루어지는 메타버스 공간에 입장할 수 있다. 사용자(2)는 일예로 자신의 집과 동일한 샘플 주택을 선택(즉, 주거공간 정보를 입력)한 후, 선택된 샘플 주택에 대응하도록 생성된 가상주거공간에 입장할 수 있다. 즉, 사용자(2)는 생성된 가상주거공간에 자신과 대응하도록 생성된 아바타를 입장시킬 수 있고, 이를 토대로 가상주거공간 내에 위치한 체험 상품 데이터를 체험할 수 있다.
본 장치(10)는 사용자(2)로부터 주거공간 정보와 상품 설치 시연 조건정보를 입력받으면, 입력받은 정보를 기반으로 생성된 상품 체험 컨텐츠를 사용자(2)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본 장치(10)에 의해 제공되는 상품 체험 컨텐츠는, 일예로 사용자가 입력한 상품 설치 시연 조건정보에 맞는 상품 설치 환경(일예로, 상품(일예로 TV)의 크기, 화질, 상품 설치 요건에 맞는 환경)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시연 컨텐츠의 동영상(일예로 스포츠 영상)이 시연(재생)이 이루어지고 있는 컨텐츠일 수 있다.
사용자(2)는 주거공간 정보나 상품 설치 시연 조건정보를 포함한 여러가지 조건을 다양하게 변경시켜가며, 변경된 조건을 충족하도록 생성된 상품 체험 컨텐츠로 하여금 각종 구매 희망 상품을 가상주거공간에서 체험해 보고, 상품 체험 컨텐츠 내 체험 상품 데이터에 해당하는 상품(특히나, 리스트 내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매칭 상품 모델 정보에 해당하는 상품)에 대한 구매를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2)는 본 장치(10)를 통해 제공되는 상품 체험 컨텐츠를 통해, 자신이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구매 희망 상품)이 자신의 집(실제 주거공간)에 설치되었을 때의 모습을 시뮬레이션하여 간접적으로 미리 체험해 볼 수 있다. 즉, 사용자(2)는 상품 체험 컨텐츠를 통해, 구매 희망 상품이 자신의 집에 설치될 경우에 공간을 얼마나 차지하고, 크기가 어느정도가 되는지, 실제 주거공간 내 다른 상품(가구들, 가전제품들) 간의 조화가 어떤 모습인지 등을 보다 직관적으로 확인(실감)한 후 구매 희망 상품의 구매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본 장치(10)는 구매 희망 상품을 사용자가 실제로 구매하여 실물로 받아보았을 때 그 크기가 생각했던 크기와는 달라 상품을 교환해야 했던 불편함(번거로움)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줄여, 온라인으로 판매되는 상품에 대한 구매 실패의 확률을 줄이도록 할 수 있다.
본 장치(10)에 의해 제공되는 플랫폼은 일예로 메타랜드 익스피리언스 스마트스토어 플랫폼 등으로 달리 지칭될 수 있다.
본 장치(10)는 메타버스 플랫폼 내에 사용자(고객) 맞춤형 상품(일예로 TV와 같은 전자제품 등)의 시뮬레이션이 가능한 TV쇼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장치(10)는 상품의 품목별 특성에 맞게 구매 희망 상품(TV, 냉장고 등)에 대한 시뮬레이션 체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장치(10)는 일예로 사용자(2) 본인이 거주하는 주거공간의 정보(일예로 아파트의 크기(평형대))를 선택하고 입장하여 하여 거실에 TV 제품 스펙을 선택하여 아바타가 체험해 보고 구매 결정 및 결제/배송 의뢰가 가능하도록 제공할 수 있다.
본 장치(10)에서 일예로 사용자(2, 고객)가 선택할 수 있는 체험 조건은 10개 이내일 수 있으며,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장치(10)에서 체험 가능한 구매 희망 상품의 개수(즉, 상품 체험 컨텐츠로 제공받을 수 있는 구매 희망 상품의 개수)는 일예로 10개일 수 있다. 일예로 사용자(2)가 추가적으로 더 많은 개수의 구매 희망 상품에 대하여 상품 체험 컨텐츠를 제공받고자 할 경우, 사용자(2)는 본 장치(10)에 추가 개수에 따라 기 정의된 현금, 코인, 포인트 등의 액수를 지불함으로써 이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본 장치(10)는 수익을 창출할 수 있다.
종래의 서비스는 거주공간 크기와 상품(제품) 크기가 동일한 비율(일정 비율)로 설정되어 있어 축소/확대가 안되는 형태로 제공되기 때문에, 실제 상황의 체험이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구매한 상품이 원했던 상품의 크기/성능과 차이가 나서 상품을 다시 교환하거나 환불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에 반해, 본 장치(10)는 고정된 상품(일예로 TV) 크기가 아닌, 60인치, 65인치, 70인치, 75인치 등 사용자 자신이 구매하고자 하는 구매 희망 상품을, 자신이 실제 거주하고 구매 희망 상품을 설치하고자 하는 실제 주거공간을 실측 기반으로 구현된 메타버스 상의 가상주거공간(일예로 아파트 거주공간 중 거실)에서 체험해 보고, 해당 구매 희망 상품을 구매할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할 수 있다. 즉, 본 장치(10)는 구매 희망 상품에 대한 실제 주거공간에 대한 설치를, 사용자가 실측 기반으로 체험(특히나, 실측 데이터를 기반으로 생성된 가상주거공간을 통해 체험)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본원에서 고려되는 메타버스 공간(환경)은 가공, 추상을 의미하는 메타(meta)와 현실세계를 의미하는 유니버스(universe)의 합성어로서, 온라인 속 3차원 입체 가상세계에서 캐릭터 내지 캐릭터의 모습으로 구현된 개인들이 서로 소통하는 등 현실의 활동을 그대로 할 수 있는 플랫폼을 말할 수 있다. 이러한 메타버스 공간(환경) 구현의 핵심기술은 앞서 말한 바와 같이 가상현실(virtual reality, VR),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AR) 및 혼합현실(mixed reality, MR)을 아우르는 확장현실(extended reality, XR)이라 할 수 있다.
가상현실은 컴퓨터를 이용하여 현실 세계에 존재하지 않는 가상 공간을 구축한 후 그 가상 공간을 현실처럼 느끼게 하는 기술을 말하고, 증강현실 또는 혼합현실은 현실 세계 위에 컴퓨터에 의해 생성된 정보를 덧붙여 표현하는 기술, 즉 현실 세계와 가상 세계를 결합함으로써 실시간으로 사용자와 상호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기술을 말한다. 본 장치(10)에서 생성되는 컨텐츠(즉, 상품 체험 컨텐츠)는 가상현실, 증강현실 및 혼합현실 중 적어도 하나의 환경에서 구현되어 출력(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3)은 일예로 상술한 가상현실, 증강현실 및 혼합현실 영상을 출력하기 위해 사용자(2)에게 착용되는 것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사용자(2)의 머리 또는 눈 부분에 장착하여 사용자(2)의 눈 앞에 직접 VR/AR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인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head mounted display, HMD) 등으로 마련될 수 있다.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는 사용자가 현실감 있는 영상을 체험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웨어러블 영상 출력 단말의 일종으로서, 주로 헬멧 전면에 디스플레이가 장착되어 VR/AR 등의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본 장치(10)는 구매 희망 상품의 모습과 유사한 모습의 체험 상품 데이터를 실제 거주공간의 실측 데이터를 기반으로 메타버스에 구현된 가상주거공간에 적용한 상품 체험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본 장치(10)는 사용자가 구매 희망 상품의 구매 여부를 결정하는 데에 있어서 도움 줄 수 있다.
본 장치(10)는 메타버스 공간에 구현된 가상주거공간이 사용자(2)가 실제로 생활하는 주거공간과 매우 유사(흡사)한 형태의 공간으로 구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일예로, 사용자(2)는 구현하고자 하는 실제 주거공간을 사용자 단말(3)로 촬영할 수 있다. 본 장치(10)는 사용자 단말(3)에서 촬영된 실제 주거공간에 대한 주거공간 촬영 이미지를 사용자 단말(3)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컨텐츠 관리부(12)는 사용자 단말(3)로부터 주거공간 촬영 이미지가 수신되면, 주거공간 촬영 이미지에 대한 이미지 분석을 통해 주거공간 촬영 이미지에 포함된 상품을 식별하고, 복수의 온라인 쇼핑몰(온라인 쇼핑몰 사이트) 중 식별된 상품을 판매하는 온라인 쇼핑몰을 대상 상품 판매 온라인 쇼핑몰로서 추출할 수 있다. 컨텐츠 관리부(12)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일예로 이미지 분석을 통해 자신의 실제 주거공간에 배치되어 있는 상품을 판매하는 온라인 쇼핑몰(즉, 대상 상품 판매 온라인 쇼핑몰)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른 일예로 사용자 단말(3)로부터 해당 상품을 판매하는 온라인 쇼핑몰의 사이트 주소를 직접 입력받음으로써 대상 상품 판매 온라인 쇼핑몰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이미지 분석시에는 종래에 공지되었거나 향후 개발되는 다양한 이미지 분석 알고리즘이 적용될 수 있다.
대상 상품 판매 온라인 쇼핑몰의 정보가 획득(추출)된 이후, 컨텐츠 관리부(12)는 대상 상품 판매 온라인 쇼핑몰 내 대상 상품에 대한 상품 설명 정보와 리뷰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일예로 딥러닝 모델로 분석함으로써 대상 상품의 크기 및 형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후, 컨텐츠 관리부(12)는 획득된 대상 상품의 크기 및 형상 정보를 기반으로 대상 상품을 3차원 데이터로 모델링함으로써 대상 상품 아이콘(즉, 상술한 상품 데이터)을 생성할 수 있다. 이후, 컨텐츠 관리부(12)는 생성된 대상 상품 아이콘(즉, 주거공간 촬영 이미지에서 식별된 상품에 대응하는 상품 데이터)을 가상주거공간에 적용시켜 상품 체험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생성된 대상 상품 아이콘은 실제 주거공간에 배치되어 있는 실제 상품의 색상/형상(모양)과 상당히 유사하게 구현된 상품의 아이콘(3차원의 상품 데이터)을 의미할 수 있다.
사용자(2)는 컨텐츠 관리부(12)에서 생성된 대상 상품 아이콘을 가상주거공간 내에 배치시킴(실제 주거공간에 배치된 위치와 유사한 위치에 배치시킴)으로써, 가상주거공간을 실제 주거공간과 유사하게 구현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2)는 이러한 대상 상품 아이콘을 가상주거공간 내에 자유롭게 배치시키고, 그 배치 위치를 변경시켜 봄으로써, 일예로 실제 거주공간 내에 특정 상품(즉, 실제 거주공간에 위치하는 상품)의 배치 구조를 변경시키고자 할 때 실제로 특정 상품을 이동시키기 이전에(즉, 배치 구조를 변경시키기 이전에) 미리 시뮬레이션해볼 수 있다.
이러한 본 장치(10)는 상품 체험 컨텐츠로 하여금, 사용자가 실제 자신이 생활하는 거주공간에 위치해 있는 것과 같은 느낌을 받도록 하고, 이처럼 실제 거주공간과 동일한 환경으로 구현된 가상거주공간 내에서 구매 희망 상품의 설치를 시뮬레이션해 본 후 상품 구매 결정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는 앞서 말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3)에 표출된 리스트 내 적어도 하나의 매칭 상품 모델 정보 중 사용자(2)에 의해 선택된 매칭 상품 모델 정보(일예로 제1 매칭 상품 모델 정보)에 대하여 사용자(2)로부터 구매 요청이 이루어진 경우, 구매 요청에 응답하여, 구매 요청이 이루어진 매칭 상품 모델 정보(일예로 제1 매칭 상품 모델 정보)에 대한 상품(일예로 제1 상품)의 결제를 위한 상품 결제 프로세스를 진행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2)가 구매를 위해 리스트에서 선택한 매칭 상품 모델 정보에 대한 상품이 구매 희망 상품일 수 있다.
이때, 제1 매칭 상품 모델 정보에 대한 상품(일예로 제1 상품)이 '제조사:S사, 에너지등급: 1등급, 음성출력: 44W, 가격: 950,000 원'에 해당하는 TV이고, 이러한 제1 상품이 복수의 온라인 쇼핑몰 중 제1 온라인 쇼핑몰에서 판매되고 있다고 하자.
여기서, 제어부(13)는 사용자 단말(3)로부터 제1 상품에 대한 리뷰 정보 제공 요청이 이루어진 경우, 리뷰 정보 제공 요청에 응답하여 제1 상품에 대응하는 리뷰 정보가 사용자 단말(3)의 화면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3)는 제1 상품에 대응하는 리뷰 정보로서 일예로 제1 온라인 쇼핑몰에서 제공하는 리뷰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바람직하게는 제1 온라인 쇼핑몰을 포함하여 제1 상품과 동일 상품을 판매하는 복수의 온라인 쇼핑몰(일예로, 쿠팡, 11번가, 신세계몰 등)로부터 획득된 제1 상품 관련 통합 리뷰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1 상품의 리뷰 정보(통합 리뷰 정보)가 사용자 단말(3)의 화면에 표시된 이후, 제어부(13)는 사용자 단말(3)의 화면의 일영역에 표시된 구매 추이 제공 메뉴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이루어진 경우, 리뷰 정보와 관련하여 기 설정된 기간별 구매 건수에 대한 그래프 정보를 사용자 단말(3)의 화면에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기 설정된 기간별이라 함은 일예로 날짜별, 월별, 연도별 등을 의미할 수 있으나, 이는 본원의 이해를 돕기 위한 하나의 예시일 뿐,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그래프 정보를 제공함에 있어서 기 설정된 기간의 유형(즉, 날짜, 월, 연도)에 대한 설정은 일예로 사용자(2)의 선택 입력에 의해 설정될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른 일예로 본 장치(10)를 관리하는 사용자(관리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즉, 구매 추이 제공 메뉴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이루어지면, 제어부(13)는 일예로 제1 상품에 대한 통합 리뷰 정보를 토대로, 통합 리뷰 정보를 날짜별(혹은 월별, 연도별) 구매 건수에 관한 그래프 형태로 생성해 사용자 단말(3)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3)는 구매 추이 제공 메뉴에 대한 사용자 입력시 사용자 단말(3)로부터 구매 희망 상품(제1 상품)에 대한 상품 유형 정보가 더 입력된 경우, 상품 유형 정보별로 구매 추이 관련 리뷰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품 유형 정보는 구매 희망 상품(제1 상품)의 색상 정보 및/또는 사이즈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제어부(13)는 제1 상품에 대응하는 통합 리뷰 정보 중 특히 사용자가 입력한 구매 희망 상품의 색상 정보와 사이즈 정보와 관련된 통합 리뷰 정보만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이때 이러한 정보(즉, 사용자가 입력한 구매 희망 상품의 색상 정보와 사이즈 정보와 관련된 통합 리뷰 정보)를 기 설정된 기간별 구매 건수에 대한 그래프 정보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는 구매 희망 상품(일예로 제1 상품인 TV)에 대한 상품 유형 정보가 입력된 경우, 상품 유형 정보별 구매 추이 관련 리뷰 정보(즉, 상품 유형 정보마다의 기 설정된 기간별 구매 건수에 대한 그래프 정보)를 제공하는 것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입력한 상품 유형 정보에 대응하는 리뷰 정보들(상품 유형 정보에 대응하는 통합 리뷰 정보들)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일예로, 사용자가 구매 희망 상품(일예로 제1 상품인 TV)에 관한 상품 유형 정보로서 '색상: 블랙, 사이즈(크기) 55인치'을 입력했다고 하자. 이러한 경우, 제어부(13)는 일예로 구매 희망 상품(제1 상품인 TV, 특히나 '제조사:S사, 에너지등급: 1등급, 음성출력: 44W, 가격: 950,000 원'인 TV)와 관련된 통합 리뷰 정보들 중 특히 '블랙 색상의 55인치 TV'와 관련된 통합 리뷰 정보들만 추출하여 사용자에게 일예로 목록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는 제1 상품에 관한 구매 추이 관련 리뷰 정보로서 일예로, '블랙 색상의 55인치 TV'에 해당하는 제1 상품과 관련된 통합 리뷰 정보들을 기반으로 생성된 기 설정된 기간별(일예로 날짜별) 구매 건수에 대한 그래프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본 장치(10)는 상품 유형 정보가 고려된 구매 추이 관련 정보(그래프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특정 상품(구매 희망 상품)을 실제로 구매하기에 앞서, 자신이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에 대한 트렌드(유행, 추세, 경향), 선호도 등을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즉, 자신이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이, 일예로 최근 타 사용자들에게 구매가 많이 이루어져 최근 유행하고 있는 상품인지 혹은 작년까지는 타 사용자들이 많이 구매해 유행이었으나 올해는 구매율이 적어 유행이 한물 간 상품인지를 그래프 정보를 토대로 보다 직관적으로 빠르게 파악할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장치(10)는 제1 상품에 대응하는 통합 리뷰 정보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제1 상품에 대응하는 통합 리뷰 정보들 중 특히나 제1 상품과 관련해 사용자가 입력한 특정 상품 유형 정보에 대응하는 통합 리뷰 정보만을 추출해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바, 사용자가 방대한 양의 리뷰 정보들 중 자신이 원하는 색상과 사이즈의 상품에 관한 리뷰만을 모아서 한번에 볼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해당 상품에 대한 구매의 결정에 도움 줄 수 있다.
종래의 온라인 쇼핑몰은 특정 상품에 대한 복수의 리뷰들을 제공할 때, 단순히 최신순, 랭킹순 등을 기준으로 하여 목록 형태로 제공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즉, 종래의 온라인 쇼핑몰은 일예로 판매되는 제1 상품(TV)의 색상과 사이즈 등이 다양하게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이들의 구분 없이 사용자들이 올린 복수의 리뷰들을 단순히 리뷰를 올린 순으로(최신순 등으로) 하여 목록 형태로 제공하고 있을 뿐이다.
이에 따르면, 종래에는 일예로 사용자가 제1 상품 중 특히나 '블랙 색상의 55인치 TV'를 구매하길 희망하고 있고, '블랙 색상의 55인치 TV'를 구매한 사용자들의 리뷰만을 찾아서 보고자 할 경우, 사용자가 목록 형태로 제공되는 리뷰들을 일일이 확인해 가면서 목록들 중 '블랙 색상의 55인치 TV'에 관한 리뷰만을 직접 골라 찾아서 확인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그렇기 때문에, 리뷰수가 300건, 1000건 등과 같이 그 양이 방대할수록,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항목(상품의 색상과 사이즈)에 관한 리뷰만을 찾아보는 것이 더 어렵고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반해, 본 장치(10)는 제1 상품에 대한 모든 리뷰가 아닌, 제1 상품의 리뷰 중에서도 특히나 사용자가 입력한 상품 유형 정보(일예로 블랙 색상의 55인치 TV)에 해당하는 리뷰만을 사용자에게 일예로 목록 형태로 제공할 수 있는바,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색상과 사이즈의 상품에 관한 리뷰만을 보다 쉽게 모아서 한번에 볼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종래에는 일반적으로 특정 상품(일예로 제1 상품)에 대한 리뷰들이 단순히 날짜 표시(리뷰 작성이 이루어진 날짜 표시)가 이루어진 목록 형태로만 제공되고 있어, 해당 특정 상품이 최근(일예로 최근 6개월 사이)에 타 사용자들에게서 많이 구매가 이루어지고 있는지, 혹은 타 사용자들에게서 최근 구매가 잘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지 등을 직관적으로 확인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이에 반해, 본 장치(10)는 구매 추이 관련 리뷰 정보(즉, 제1 상품과 관련된 기 설정된 기간별 구매 건수에 대한 그래프 정보, 상품 유형 정보별 기 설정된 기간별 구매 건수에 대한 그래프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특정 상품(제1 상품)을 구매하기에 앞서, 해당 제1 상품을 타 사용자들이 최근에 많이 구매했는지 혹은 다른 사람들이 요즘 잘 구매하지 않는지 등의 상품 구매 트렌드(추세), 해당 상품의 선호도(선호율)를 보다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하여, 구매의 결정에 보다 도움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는 제1 상품(구매 희망 상품)에 대응하는 리뷰 정보가 사용자 단말(3)의 화면에 표시된 이후, 화면의 일영역에 표시된 실감 정보 제공 메뉴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이루어진 경우, 구매 희망 상품인 제1 상품의 상품 속성 정보가 고려된 제1 상품에 대응하는 상품 실감 정보가 사용자에게 제공되도록 전방표시장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본 시스템(1)은 사용자가 소지한 전방표시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장치(10)는 네트워크(7)를 통해 전방표시장치와 연동(연결)될 수 있다. 전방표시장치(Head Up Display, HUD)는 빔(beam) 조사를 통해 전방표시장치의 전방에(혹은 전방의 공중에, 전방의 상공에) 상품 실감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품 실감 정보라 함은, 구매 희망 상품(즉, 제1 상품)의 상품 속성 정보(일예로 크기, 화질, 화소, 재질, 소재 등의 정보)를 고려하여 제1 상품을 3차원 입체 영상으로 구현한 데이터(즉, 3차원 입체 영상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다. 만약, 제1 상품이 의류와 같은 상품인 경우, 제1 상품의 상품 속성 정보에는 일예로 치수(이때 치수 정보로는 총기장, 가슴단면, 어깨넓이, 및 소매길이에 관한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음), 소재, 신축성, 및 비침 정도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품 실감 정보는 사용자가 구매하길 희망하는 구매 희망 상품(즉, 리스트 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매칭 상품 모델 정보에 대응하는 상품, 제1 상품)의 실물(실제) 크기와 상응하는 크기로 구현되는 구매 희망 상품의 3차원 입체 영상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다. 다시 말하자면, 상품 실감 정보는, 전방표시장치에 의하여 상공에 조사되는 빔을 통해 보여지는 구매 희망 상품(제1 상품)에 대응하는 3차원 상품 데이터(3차원 형상의 구매 희망 상품)을 의미할 수 있다.
이때, 해당 구매 희망 상품(제1 상품)에 대한 상품 실감 정보의 제공을 위한 사용자 입력이 이루어지면(즉, 실감 정보 제공 메뉴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이루어지면), 제어부(13)는 전방표시장치의 전방에 제1 상품에 대응하는 상품 실감 정보가 제공되도록 전방표시장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공되는 상품 실감 정보는 제1 상품(일예로 의류인 경우)의 총기장, 가슴단면, 어깨넓이, 및 소매길이에 관한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치수에 맞추어 구매 희망 상품을 3차원 입체 영상으로 영상화한 데이터일 수 있다.
전방표시장치는 제어부(13)의 제어에 의해, 상품 실감 정보를 전방표시장치의 전방에 제공할 수 있다. 전방표시장치는 빔(beam)을 통해 전방표시장치의 전방에 초점이 맺히도록 할 수 있으며, 이로부터 해당 초점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품 실감 정보에 대응하는 영상(이미지)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실감 정보 제공 메뉴(실감 정보 제공 버튼)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이루어지면, 전방표시장치는 제어부(13)의 제어에 응답하여 전방표시장치의 전방에 빔을 통해 상을 뿌림으로써 상품 실감 정보를 전방표시장치 전방의 상공 상에 제공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품을 판매/거래하고 있는 온라인 쇼핑몰 상(웹 사이트 상)에서는, 판매하는 상품의 크기를 나타내는 정보(일예로, 총기장, 가슴단면, 어깨넓이, 및 소매길이 등)의 표시를 단순히 수치 값(몇 cm, 몇 mm 등)으로만 표시하고 있다. 그렇게 때문에, 사용자는 온라인 쇼핑몰 상에서 판매되는 해당 상품(제품)을 실제로 받아보았을 때 그 크기가 어느정도 되는지를 쉽게 가늠(판단)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다.
이에 본 장치(10)는 상품 체험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구매 희망 상품에 대한 크기를 해당 상품의 구매 전 체험을 통해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특히나 가상주거공간에서의 상품 배치 모습을 시뮬레이션 체험해 볼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장치(10)는 구매 희망 상품의 실제 크기와 상응하는 크기를 갖는 3차원 입체 영상인 상품 실감 정보를 전방표시장치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본 장치(10)는 사용자가 구매를 희망하는 상품(구매 희망 상품)을 구매/결제하기에 앞서 상품 실감 정보를 제공받음으로써, 구매를 희망하는 상품의 실물 크기(실제 크기)를 직관적으로 인지하여 체감해볼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다.
특히나, 제어부(13)는 일예로 제1 상품이 의류인 경우, 전방표시장치를 통해 제공되는 상품 실감 정보(제1 상품에 대응하는 상품 실감 정보)가 사용자(2)의 신체 상에 투영되도록 전방표시장치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본 시스템(1)은 일예로 본 장치(10)와 네트워크(7)를 통해 연결되는 이미지 센서(미도시)와 이동 제어 부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이미지 센서(미도시)는 상품 실감 정보의 투영 대상이 되는 사용자의 신체 영상을 획득하는 센서를 의미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미도시)는 카메라, 영상 촬영 센서 등으로 달리 표현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미도시)는 일예로 사용자 단말(3)에 마련된 이미지 센서, 전방표시장치에 마련된 이미지 센서 및 본 장치(10)에 자체 마련된 이미지 센서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동 제어 부재(미도시)는 전방표시장치와 결합되고, 좌/우/상/하/전/후에 대한 전방표시장치의 이동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동 제어 부재(미도시)는 전방표시장치의 이동 및 각도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이동 제어 부재(미도시)는 상품 실감 정보를 제공하는 전방표시장치의 위치뿐만 아니라 각도를 제어할 수 있다.
일예로, 제어부(13)는 이미지 센서(미도시)를 통해 획득된 사용자(상품 실감 정보의 투영 대상이 되는 사용자)의 신체 영상에 대한 이미지 분석을 통해 사용자의 부분 부위(예를 들어, 머리, 목, 팔, 손목, 상체, 하체, 발목, 발 등의 부위)를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는 상품 실감 정보에 대응하는 구매 희망 상품의 분류 유형(예를 들어, 상의인지, 하의인지, 팔찌 등의 액세서리인지, 모자인지 등)을 식별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3)는 식별된 구매 희망 상품의 분류 유형과 식별된 사용자의 부분 부위를 기반으로 하여, 구매 희망 상품에 대응하는 상품 실감 정보가 그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신체 부분 부위 상에 투영되도록 이동 제어 부재(미도시)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전방표시장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
예시적으로, 구매 희망 상품의 분류 유형이 상의인 경우, 제어부(13)는 구매 희망 상품에 대응하는 상품 실감 정보가 이미지 분석을 통해 식별된 사용자의 부분 부위 중 식별된 구매 희망 상품의 분류 유형에 대응하는 신체 부분 부위인 상체(즉, 상의에 대응하는 신체부위인 상체) 상에 투영되도록, 이동 제어 부재(미도시)의 동작 제어를 통해 전방표시장치를 이동시키는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즉, 제어부(13)는 사용자의 신체 부위 중 상체 상에 구매 희망 상품(상의)에 해당하는 상품 실감 정보가 오버랩하여 투영되도록 전방표시장치를 이동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전방표시장치의 이동을 위해 이동 제어 부재(미도시)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본 장치(10)는 상품 실감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구매 희망 상품에 대한 구매의 실패 확률(일예로, 치수가 작거나 하여 이로 인해 반품/교환/환불을 수행해야 하는 불편함 등)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다.
본 장치(10)는 온라인 쇼핑몰 상에서 판매되는 상품들 중 사용자가 구매를 희망하는 구매 희망 상품에 대하여, 그 실제 크기와 상응하는 크기를 갖는 3차원 입체 영상을 전방표시장치를 통해 제공(즉, 상품 실감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구매 희망 상품의 크기(실제 크기)를 보다 현실감 있게 체감하고 가늠해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에 의해 제공되는 상품 체험 컨텐츠에는 상술한 아바타(사용자의 신체 특성 정보를 고려하여 구현된 사용자의 아바타가 포함될 수 있다.
신체 특성 정보는 일예로 사용자의 체형, 얼굴형 및 피부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의 체형에 관한 정보라 함은 사용자의 몸의 모양(형태, 형상)에 관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다만,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사용자의 체형에 관한 정보에는 사용자의 키, 몸무게, 발사이즈, 허리 사이즈, 가슴 사이즈 등 사용자의 신체 사이즈에 관한 각종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신체 특성 정보는 사용자와 닮은 3차원 아바타(3차원 모델)을 생성하는데 있어서 필요한 모든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의 신체 특성 정보는 일예로 사용자 단말(3)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타이핑을 통해 입력받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장치(10)에 의해 생성된 아바타는 사용자 자신을 닮은 체형의 아바타일 수 있다.
제어부(13)는 구매 희망 상품(일예로 제1 상품)이 사용자(2)의 신체에 착용 가능한 상품이고, 사용자로부터 제1 상품의 착용 시뮬레이션 적용을 희망하는 사용자 선택이 이루어진 경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구매 희망 상품(제1 상품)이 아바타 상에 착용된 모습의 상품 착용 아바타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3)에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품 착용 아바타라 함은, 생성된 아바타 상에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구매 희망 상품의 착용이 이루어진 모습(구매 희망 상품이 입혀진 모습)의 아바타를 의미할 수 있다.
제어부(13)는 상품 착용 아바타가 적용된 상품 체험 컨텐츠를 사용자 단말(3)로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품 착용 아바타를 통하여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인 제1 상품(구매 희망 상품)이 실제로 자신이 입었을 때 어떠한 모습으로 보여지는지에 대한 모습을 가상으로 확인해 볼 수 있다.
사용자(2)는 상품 착용 아바타의 자세를 변경시키며, 자세 변경된 아바타를 통하여 상품 착용을 시뮬레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품 착용 아바타의 자세는 일예로 사용자의 실시간 자세 변경 조작 제어에 의해 변경될 수 있으며, 다른 일예로 기 설정된 복수 유형의 변경 자세로 자동으로 변경될 수 있다. 이때, 본원에서 상품 착용 아바타의 자세를 변경시킨다 함은, 정적인 상태로의 자세 변경을 의미할 수 있겠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동적인 상태로의 자세 변경까지 모두 포함하는 넓은 개념으로 이해됨이 바람직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상품 착용 아바타의 기본 자세는 정자세일 수 있으며, 변경된 자세로는 다양한 높이별 의자에 앉은 자세, 맨 바닥에 쭈그린 자세, 걷는 자세, 뛰는 자세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뿐만 아니라 걷는 동작, 뛰는 동작, 앉았다 일어서는 것을 반복하는 동작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제어부(13)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구매 희망 상품의 상품 속성 정보를 고려하여, 상품 착용 아바타의 자세를 변경시킴에 따른 상태 변화가 이루어지는 변화된 구매 희망 상품이 반영된 자세 변경 아바타를 실시간으로 생성해 상품 체험 컨텐츠에 적용시켜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3)는 아바타(자세 변경 아바타)에 대하여 구매 희망 상품(제1 상품)에 대한 착용 시뮬레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제어부(13)는 상품 착용 아바타의 자세 변경에 응답하여, 변화되는 구매 희망 상품의 상태의 변화(일예로, 옷이 늘어나거나, 조이거나, 팽팽해지거나 하는 등의 변화)가 반영된 자세가 변경된 아바타(자세 변경 아바타)의 모습을 착용 시뮬레이션의 수행 결과로서 실시간으로 사용자 단말(3)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는 사용자 단말(3)에 제공된 자세 변경 아바타 상에서, 변화된(상태 변화가 이루어진) 구매 희망 상품에 의하여 기 설정된 조임 강도값 이상의 조임 강도값이 나타나는 조임 부위의 영역을 식별할 수 있다. 여기서, 조임 강도값이라 함은 조여지는 수준(정도)을 나타내는 값으로서, 타이트함(tightness) 정도값 등으로 달리 지칭될 수 있다. 제어부(13)는 식별된 조임 부위의 영역을 자세 변경 아바타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3)는 기 설정된 조임 강도값 이상의 조임 강도의 수준(정도)에 따라 자세 변경 아바타의 영상 상에 표시되는 조임 부위의 영역에 대한 표시 형태를 달리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3)는 자세 변경 아바타 상에서 식별된 조임 부위의 영역들 중 조임 강도의 수준이 높게 나타나는 조임 부위의 영역일수록, 그보다 상대적으로 조임 강도의 수준이 낮게 나타나는 조임 부위의 영역과 대비하여 보다 인식 또는 식별이 용이한 형태로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달리 말해, 제어부(13)는 식별된 조임 부위가 제1 조임 부위 및 제2 조임 부위를 포함하되, 제1 조임 부위의 조임 강도값이 제2 조임 부위의 조임 강도값 보다 큰 경우, 자세 변경 아바타(혹은 상품 착용 아바타) 상에서 제1 조임 부위의 영역이 제2 조임 부위의 영역 대비 보다 인식 또는 식별이 용이한 형태로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조임 부위의 영역을 인식 또는 식별이 용이한 형태로 표시한다는 것은, 해당 조임 부위의 영역의 표시가 시각적으로 강조된 형태, 크기가 확장된 형태, 청각적인 효과를 수반하는 형태 및 동적인 애니메이션 형태 중 적어도 하나로 표시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1 상품(반팔 상의의 상품)을 아바타에 착용시킨 착용 시뮬레이션을 수행했는데, 상품 착용이 이루어진 상품 착용 아바타 상에서, 기 설정된 조임 강도값 이상의 조임 강도값이 나타나는 조임 부위의 영역을 식별하였더니, 제1 조임 부위와 제2 조임 부위를 포함한 두 부위가 식별되었다고 하자. 이때, 제1 조임 부위는 제1 상품의 왼쪽 팔의 끝단에 해당하는 부위(즉, 아바타의 왼쪽 팔뚝 부위에 해당하는 부위)이고, 제2 조임 부위는 제1 상품의 목 부분에 해당하는 부위(즉, 아바타의 목 부위에 해당하는 부위)라고 하자.
이때, 제1 조임 부위의 조임 강도값이 제2 조임 부위의 조임 강도값보다 높게 나타난 경우, 제어부(13)는 화면에 표시되는 상품 착용 아바타에서 제1 조임 부위의 영역이 제2 조임 부위의 영역 대비 보다 인식 또는 식별이 용이한 형태로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일예로, 제어부(13)는 제1 조임 부위의 영역을 빨간색으로 표시하고, 제2 조임 부위의 영역을 노란색으로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일예로, 제어부(13)는 제1 조임 부위의 영역의 표시 크기를 제2 조임 부위의 영역의 표시 크기보다 더 크게 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 다른 일예로, 제어부(13)는 제1 조임 부위의 영역을 볼딕으로 표시하고 제2 조임 부위의 영역을 볼딕 없이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3)는 자세 변경 아바타 혹은 상품 착용 아바타 상에서 조임 부위의 영역을 표시함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조임 강도값이 더 높게 나타나는 영역이 그보다 조임 강도값이 낮게 나타나는 영역 대비 인식 또는 식별이 용이한 형태로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해당 구매 희망 상품을 구매하여 실제로 착용하였을 때 조임이 예상되는 부위(위치)를 미리 직관적으로 인지(확인)할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13)는 사용자가 해당 구매 희망 상품을 실제 구매하기에 앞서, 해당 구매 희망 상품을 구매할지 여부에 대한 결정, 해당 구매 희망 상품 대비 다른 사이즈로 바꾸어 구매할지에 대한 결정, 혹은 해당 구매 희망 상품과는 다른 이종의 상품으로 구매할지에 대한 결정이 보다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품(구매 희망 상품)에 대한 구매의 실패 확률이 낮아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는 제1 상품에 대한 착용 시뮬레이션 결과, 제1 상품과 관련하여 식별된 조임 부위의 영역의 개수가 기 설정된 개수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기 설정된 개수 이상으로 조임 부위의 영역이 나타나는 제1 상품(구매 희망 상품)보다 한 단계 큰 치수를 갖는 동종 상품의 정보를 추천 상품으로서의 추천을 위해 사용자 단말(3)의 화면의 일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기 설정된 개수는 일예로 3개일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개수는 다양하게 변경 설정(적용)될 수 있다.
본원에서는 동종 상품의 정보의 추천이 이루어지는 사용자 단말(3)의 화면이 일영역을 설명의 편의상 화면의 제1 영역이라 할 수 있다. 화면의 제1 영역에는 기 설정된 개수 이상의 조임 부위의 영역이 나타난 구매 희망 상품을 기준으로, 그와 동종인 동종 상품의 정보(크기가 더 크거나 크기가 더 작은 동종의 상품의 정보 포함)가 표시될 수 있으며,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와 이종인 상품의 정보가 표시될 수도 있다. 즉, 화면의 제1 영역은 동종 상품의 정보를 포함하여 각종 상품 중 사용자에게 추천을 위한 추천 상품이 표시되는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달리 말하자면, 본원의 일예에서는 화면의 제1 영역에 추천 상품으로서 구매 희망 상품보다 한 단계 큰 치수를 갖는 동종 상품의 정보가 표시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1 영역에는 조임 부위의 영역의 개수가 기 설정된 개수 이상으로 나타난 구매 희망 상품과 관련하여, 그와 종류는 같으나 사이즈가 더 큰 동종의 구매 희망 상품(이는 색상, 모양, 무늬 등이 모두 같고 크기만 다른 동종 구매 희망 상품을 의미함), 그와 종류는 같으나 사이즈가 더 작은 동종의 구매 희망 상품, 그와 종류가 다른 이종의 구매 희망 상품(이는 색상, 모양 및 무늬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르거나 종류 자체가 다른 구매 희망 상품을 의미함) 등이 추천 상품으로서 표시될 수 있다.
일예로 자세 변경 아바타(혹은 상품 착용 아바타)가 착용하고 있는 제1 상품에서 조임 부위의 영역이 기 설정된 개수 이상으로 나타난 것으로 식별되었다고 하자. 이러한 경우, 제어부(13)는 기 설정된 개수 이상의 조임 부위의 영역이 나타난 해당 구매 희망 상품이 사용자에게 작은 것으로 판단(즉, 사용자가 해당 구매 희망 상품을 실제 구매하여 착용하였을 때 옷이 작을 수 있을 것이라 판단)하여, 해당 구매 희망 상품보다 한 단계(혹은 두단계 이상) 큰 치수(사이즈)를 갖는 동종의 상품의 정보를 추천 상품으로서 사용자에게 추천하고자 이를 화면의 일영역(제1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3)는, 구매 희망 상품에 대하여 기 설정된 개수 이상의 조임 부위의 영역이 식별된 경우(일예로, 5개의 조임 부위의 영역이 식별된 경우), 식별된 조임 부위의 영역의 개수, 식별된 조임 부위의 영역 각각에 대한 조임 강도값, 및 식별된 조임 부위의 영역의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구매 희망 상품 대비 몇 단계로 치수 차이가 나는 상품을 추천할 것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즉, 제어부(13)는 시뮬레이션 결과(일예로, 조임 부위에 관한 정보)를 기반으로 추천 상품의 제공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구매 희망 상품이 M 사이즈이고, 구매 희망 상품에서 식별된 조임 부위의 영역의 개수가 8개 이상인 경우, 제어부(13)는 구매 희망 상품 대비 2단계 큰 치수(XL 사이즈)를 갖는 동종의 상품의 정보를 제1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구매 희망 상품이 M 사이즈이고, 구매 희망 상품에서 식별된 조임 부위의 영역의 개수가 3개 이상 8개 미만인 경우, 제어부(13)는 구매 희망 상품 대비 한단계(1단계) 큰 치수(즉, S 사이즈)를 갖는 동종의 상품의 정보를 제1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상술한 본원의 일예에서는, 기 설정된 조임 강도값(이는 기 설정된 조임 강도 상한값이라 달리 지칭될 수 있음) 이상의 조임 강도값이 나타나는 조임 부위의 영역을 식별함에 따라, 그 결과에 따라 제어부(13)가 보다 큰 치수의 동종 상품을 추천하는 경우에 대하여 예시하였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일예로, 제어부(13)는 기 설정된 조임 강도 하한값 미만에 해당하는 조임 강도값이 나타나는 조임 부위의 영역을 식별하고, 그 결과에 따라 제어부(13)는 해당 구매 희망 상품이 사용자에게 너무 큰 것으로 판단하여 구매 희망 상품보다 한 단계(혹은 두단계 이상) 작은 치수의 동종 상품을 추천 상품으로서 화면의 제1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3)는, 화면의 제1 영역에 추천 상품으로서 일예로 구매 희망 상품보다 한 단계 큰 치수를 갖는 동종 상품의 정보(일예로 이미지)가 표시된 이후, 표시된 동종 상품의 정보에 대하여 사용자 입력이 이루어진 경우,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동종 상품의 착용이 이루어진 상품 적용 아바타를 재생성해(업데이트해) 사용자 단말(3)에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본 장치(10)는 상품 착용 아바타를 통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상품(사용자가 선택한 구매 희망 상품, 사용자가 선택한 추천 상품)의 착용이 이루어진 아바타의 모습을 실시간으로 보여주되, 이때 상품이 착용된 사용자 체형을 모델링한 아바타 상에서 착용된 상품에 의해 너무 조여지거나 너무 느슨한 부분의 위치를 화면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의 신체 특성을 고려하여 생성된 아바타로 하여금 사용자가 특정 상품을 구매 전 실제 착용하였을 때 예상되는 모습을 현실감있게 제공받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장치(10)는 상품 착용 아바타의 자세를 변경시켜가며 자세 변경시마다 나타나는 조임 부위의 영역을 실시간으로 표시해 줄 수 있어, 단순히 구매 희망 상품을 정자세로 입었을 때 뿐만 아니라 동적으로 움직여 자세를 변경시켰을 때에도 조임이 예상되는 부분 등을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어, 해당 구매 희망 상품을 살지에 대한 결정이 보다 결단력 있게 이루어지도록 도울 수 있고 온라인 쇼핑몰에서의 상품의 구매 실패 확률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다.
한편, 사용자(2)가 일예로 리스트에 포함된 제1 매칭 상품 모델 정보를 선택하여 구매 요청을 하기 이전에(즉, 제1 매칭 상품 모델 정보에 대응하는 제1 상품을 구매하기 이전에), 사용자(2)가 제1 상품(일예로 TV)에 대한 구매를 온라인 쇼핑몰에서 구매하는 것이 아니라, 오프라인 매장에서 현재 바로 구매하길 희망한다고 하자. 이러한 경우, 제어부(13)는 사용자(2)가 제1 상품을 오프라인에서 보다 빠르게 구매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3)의 화면의 일영역에 업체 정보 제공 메뉴를 표시(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2)가 업체 정보 제공 메뉴를 클릭한 경우, 제어부(13)는 해당 클릭을 오프라인 매장에서의 즉시 구매를 희망하는 신호인 것으로 인식하여, 본 장치(10)의 업체 DB(미도시)에 기 등록된 복수의 상품 판매 업체의 정보 중 특히나 제1 상품을 판매하는 복수의 제1 상품 판매 업체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업체 DB(미도시)에는 상품 판매 업체(제1 상품 판매 업체)들의 정보로서 각 상품 판매 업체(제1 상품 판매 업체)의 업체명, 영업시간, 주소 등이 저장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3)는 복수의 제1 상품 판매 업체의 정보를 사용자 단말(3)로 제공할 때, 복수의 제1 상품 판매 업체의 위치가 마크 아이콘으로 표시된 지도(map)를 사용자 단말(3)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3)는 지도의 표시시, 사용자(2)가 업체 정보 제공 메뉴를 선택(클릭)한 선택 시점을 기준으로, 복수의 제1 상품 판매 업체 중 선택 시점에 이용이 가능한 이용 가능 제1 상품 판매 업체에 대응하는 마크 아이콘을 선택 시점에 이용이 불가능한 이용 불가 제1 상품 판매 업체에 대응하는 마크 아이콘 보다 인식 또는 식별이 용이한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이용 가능 제1 상품 판매 업체에 대응하는 마크 아이콘을 이용 불가 제1 상품 판매 업체 보다 인식 또는 식별이 용이한 형태로 표시한다는 것은, 시각적으로 강조된 형태(예를 들어, 이용 가능 제1 상품 판매 업체에 대응하는 마크 아이콘의 테두리 선의 색상이나 두께 등을 달리할 수 있음), 크기가 확장된 형태, 청각적인 효과를 수반하는 형태 및 동적인 애니메이션 형태 중 적어도 하나로 표시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사용자(2)가 업체 정보 제공 메뉴를 선택함으로써 자신의 위치(사용자 단말(3)의 위치)로부터 그 주변에 위치해 있는 제1 상품 판매 업체를 지도에서 확인(검색)하고자 한다고 하자. 그리고, 사용자의 위치의 주변에 3개의 제1 상품 판매 업체가 위치해 있다고 하자.
이러한 경우, 제어부(13)는 업체 정보 제공 메뉴에 대하여 사용자(2)의 선택이 이루어진 시점(선택 시점)에, 사용자 단말(3)의 화면에 지도(map)를 표시할 수 있으며, 이때 지도(map) 상에는 복수의 제1 상품 판매 업체로서 3개의 제1 상품 판매 업체(즉, 상품 판매 업체1 내지 상품 판매 업체3)의 위치가 마크 아이콘으로 표시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각각의 제1 상품 판매 업체는 영업시간(일예로 상품 판매 업체1은 24시간, 상품 판매 업체2는 6:00~23:00, 상품 판매 업체3은 5:00~23:00 등) 등에서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각각의 제1 상품 판매 업체는 개인 사정, 휴가기간 일정 차이 등의 이유로 문 닫는 시기가 각기 다를 수 있다.
일예로, 사용자(2)가 업체 정보 제공 메뉴를 선택한 시점(해당 시간대)에, 상품 판매 업체1과 상품 판매 업체2가 정상 영업 중이고, 상품 판매 업체3은 개인 사정으로 인해 현재 영업을 하고 있지 않은 상태라고 하자. 이러한 경우, 제어부(13)는 상품 판매 업체1과 상품 판매 업체2를 이용 가능 제1 상품 판매 업체로 인식하고, 상품 판매 업체3을 이용 불가 제1 상품 판매 업체로 인식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3)는 이용 가능 제1 상품 판매 업체(즉, 상품 판매 업체1,2)에 대응하는 마크 아이콘을 이용 불가 제1 상품 판매 업체(즉, 상품 판매 업체3)에 대응하는 마크 아이콘과 대비해 보다 인식 또는 식별이 용이한 형태로 지도(map)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어부(13)는 이용 불가 제1 상품 판매 업체에 대응하는 마크 아이콘 대비, 이용 가능 제1 상품 판매 업체에 대응하는 마크 아이콘을 보다 크기를 크게 하여 표시하거나, 색을 더 진하게 하여 표시하거나, 보다 인식(각인)이 잘되도록 깜빡이는 효과를 넣어 표시하는 등 차이를 두어 표시를 달리할 수 있다.
본 장치(10)는 사용자(2)가 업체 정보 제공 메뉴를 선택한 시점을 기준으로, 선택 시점에서의 이용 가능 제1 상품 판매 업체(즉, 제1 상품의 오프라인 즉시 구매가 가능한 상품 판매 업체)의 마크 아이콘과 선택 시점에서의 이용 불가 제1 상품 판매 업체(즉, 제1 상품을 판매하고는 있으나, 개인 휴가 등으로 인해 현 시점에 제1 상품의 오프라인 즉시 구매가 불가능한 상품 판매 업체)의 마크 아이콘을 서로 구분하여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지금 당장 제1 상품을 오프라인으로 구매할 수 있는 제1 상품 판매 오프라인 매장에 대한 정보를 보다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바, 사용자가 헤매지 않고 보다 빠르게 이용 가능 제1 상품 판매 업체를 방문하여 제1 상품을 빠르게 구매할 수 있도록 도움 줄 수 있다.
즉, 사용자(2)는 복수의 제1 상품 판매 업체의 위치가 표시된 지도(map)를 통해, 일예로 자신의 현 위치로부터 가까이 위치해 있는 제1 상품 판매 업체를 쉽게 찾을 수 있다. 또한, 사용자(2)는 지도 상에 표시된 복수의 제1 상품 판매 업체의 위치를 기반으로 가까이 있는 제1 상품 판매 업체(특히나, 현재 바로 이용 가능한 이용 가능 제1 상품 판매 업체)를 보다 쉽고 빠르게 찾을 수 있고, 해당 제1 상품 판매 업체에서 제1 상품을 오프라인으로 빠르게 구매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는, 사용자 단말(3)에 표출된 상품 체험 컨텐츠에서 사용자(2)에 의해 배치된 상품 체험 컨텐츠 내 체험 상품 데이터의 배치 위치가 제1 위치로 식별되고, 사용자(2)로부터 제1 위치에 대한 체험 상품 데이터의 배치 위치 적합 확인 요청이 이루어진경우, 배치 위치 적합 확인 요청에 응답하여 제1 위치에 대한 체험 상품 데이터의 배치 위치의 적합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배치 위치의 적합성 여부의 판단시, 제어부(13)는, 체험 상품 데이터의 특성, 가상주거공간에 대응하는 실제 주거공간의 환경 정보, 가상주거공간 내에 기 배치되어 있는 기존재 상품 데이터들의 특성, 제1 위치가 식별된 현재 시간 정보 및 실제 주거공간의 주변 건물 정보를 고려하여, 제1 위치가 기 설정된 적합 조건을 충족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면, 제1 위치에 대한 체험 상품 데이터의 배치 위치가 부적합인 것으로 판단하여 가상주거공간 내에서 기 설정된 적합 조건을 충족하는 제2 위치를 상품 체험 컨텐츠 상에 추천 배치 위치 정보로서 표시하여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체험 상품 데이터의 특성은 일예로 체험 상품 데이터에 대응하는 상품이 햇빛의 노출(일예로, 햇빛의 노출 여부, 햇빛의 노출 시간 등)에 영향을 받는 상품인지, 햇빛의 노출에 영향을 받지 않은 상품인지로 구분되는 특성을 의미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햇빛의 노출에 영향을 받는 상품에는 체험 상품 데이터(즉, 구매 희망 상품에 대응하는 체험 상품 데이터)가 일예로 냉장 보관식품, 냉동 보관식품(일예로 우유 등), 오랜 시간 햇빛에 노출되면 변질(변형)이 이루어지는 소재로 이루어진 가구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반면 햇빛의 노출에 영향을 받지 않는 상품에는 일예로 식물, TV, 세탁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가상주거공간에 대응하는 실제 주거공간의 환경 정보는 일예로 실제 주거공간의 온도나 습도 정보(이는, 일예로 실제 주거공간에 배치된 온도 센서나 습도 센서를 이용해 획득되는 정보일 수 있음), 창문을 통해 햇빛이 드는 영역의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가상주거공간 내에 기 배치되어 있는 기존재 상품 데이터들은 실제 주거공간에 배치되어 있는 상품들(예시적으로, 쇼파, 침대, 책상, 수납장, TV, 창문 등)을 가상주거공간 상에 구현해둔 3차원 상품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기존재 상품 데이터들의 특성은 기존재 상품 데이터의 소재(유리인지, 나무인지 등), 크기나 형상 등을 의미(일예로, 기존재 상품 데이터가 창문일 때, 투명 유리인지, 불투명 유리인지 등을 의미)할 수 있다.
제1 위치가 식별된 현재 시간 정보는 시간대별로 태양의 위치가 변화됨에 따라, 동일 위치라 하더라도 시간대별로 해당 위치에 대한 햇빛이 비추는지 여부, 얼마나 오랜 시간 비추는지, 햇빛이 비춰지는 영역 등에 대한 정보가 달라지기 때문에, 이러한 점을 고려하고자 이용(활용)되는 정보일 수 있다.
실제 주거공간의 주변 건물 정보는 실제 주거공간의 주변에 높은 빌딩이 있다면, 시간변화에 따라 해당 빌딩에 의해 실제 주거공간 내에서 햇빛이 비춰지는 영역, 햇빛이 얼마나 오랜 시간 비추는지 등의 정보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점을 고려하고자 이용(활용)되는 정보일 수 있다.
이에 따르면, 가상주거공간의 영역(혹은 가상주거공간에 대응하는 실제 주거공간의 영역) 내에서는 창문의 배치 위치, 시간대, 기존재 상품데이터들의 특성, 실제 주거공간의 주변 건물 정보(일예로 건물이 높은지 낮은지 등)에 따라, 햇빛이 잘 비추는 영역(햇빛이 잘 드는 영역)이 있는가 반면, 햇빛이 잘 비추지 않는 영역이 있을 수 있다.
즉, 시간대별로 태양의 위치가 변화됨에 따라, 가상주거공간(혹은 실제 주거공간) 내 제1 위치의 경우, 해당 제1 위치에서는 시간대별 태양의 위치 변화에 따라 햇빛이 비출수도 있고, 햇빛이 비추지 않을 수도 있으며, 햇빛이 비추었다가 비추지 않을 수도 있고, 햇빛이 지속적으로 비출 수도 있는 등 달라질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1 위치가 가상주거공간 내 제1 창문 데이터(일예로 제1 상품 데이터)의 내측 인근 위치(가까운 주변 위치)에 존재하는 위치하고, 제1 창문 데이터의 외측 인근 주변에 높은 빌딩 건물이 있다고 하자. 이때, 일예로 오전 9시부터 오전 11시 사이의 시간대(제1 시간대)에는 인근 주변의 높은 빌딩 건물에 의해 햇빛이 가려져 제1 위치에 그늘이 생길 수 있다. 반면, 오후 1시부터 오후 5시 사이의 시간대(제2 시간대)에는 인근 주변의 높은 빌딩 건물에 의해 햇빛이 가려지지 않음에 따라 제1 위치에 햇빛이 비추어질 수 있다.
이처럼, 단순히 오늘 해가 쨍쨍 뜨는 날씨라 하더라도, 가상주거공간(혹은 실제 주거공간) 내에서 어디에 위치해 있는지와 시간대별 태양의 위치와 실제 주거공간의 주변 건물의 높이 정보, 현재의 날씨 등에 따라, 동일 위치(일예로 제1 위치)에 햇빛이 비추어지는(햇빛이 드는) 시간대, 햇빛의 비춤 유지 시간 등이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제어부(13)는 가상주거공간 내에서의 식별된 제1 위치, 체험 상품 데이터의 특성, 가상주거공간에 대응하는 실제 주거공간의 환경 정보, 가상주거공간 내에 기 배치되어 있는 기존재 상품 데이터들의 특성, 제1 위치가 식별된 현재 시간 정보(즉, 현재 시간대에서의 태양의 위치 정보), 및 실제 주거공간의 주변 건물 정보(주변 건물의 높이 정보)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식별된 제1 위치에 대한 햇빛의 비춤 특성(햇빛의 비춤 유지 시간 등)을 파악해 파악된 햇빛의 비춤 특성 정보를 기반으로 제1 위치에 대한 체험 상품 데이터의 배치 위치의 적합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3)는, 제1 위치가 기 설정된 적합 조건을 충족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면, 제1 위치에 대한 체험 상품 데이터의 배치 위치가 부적합인 것으로 판단하여 가상주거공간 내에서 기 설정된 적합 조건을 충족하는 제2 위치를 상품 체험 컨텐츠 상에 추천 배치 위치 정보로서 표시하여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기 설정된 적합 조건은, 체험 상품 데이터의 특성에 따라 각기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일예로, 기 설정된 적합 조건은, 체험 상품 데이터가 햇빛의 수신을 필요로 하는 상품이거나 햇빛의 노출에 영향을 받지 않는 상품인 경우(일예로, 식물, TV, 세탁기 등)인 경우, 제1 위치에 대응하는 실제 주거공간 내 대응 위치에 대한 햇빛의 비춤 유지 시간이 미리 설정된 제1 시간(예시적으로, 4시간) 이상으로 나타나는 조건일 수 있다. 즉, 제어부(13)는 햇빛의 노출에 영향을 받지 않는 상품에 대응되는 체험 상품 데이터(일예로 식물 등)가 제1 위치에 배치되고, 제1 위치가 기 설정된 적합 조건을 충족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면, 배치 위치 적합 확인 요청에 대한 확인 결과를 '부적합'인 것으로 하여 가상주거공간 내에서 기 설정된 적합 조건을 충족하는 제2 위치를 상품 체험 컨텐츠 상에 추천 배치 위치 정보로서 표시해 사용자 단말(3)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제1 위치는 일예로 가상주거공간 내에서 제1 창문 데이터의 내측 인근 위치(가까운 주변 위치)에 존재하는 위치하고, 제2 위치는 일예로 가상주거공간 내에서 제1 창문 데이터와는 다른 위치에 위치한 제2 창문 데이터의 내측 인근 위치(가까운 주변 위치)에 존재하는 위치일 수 있다.
만약, 제1 위치가 기 설정된 적합 조건을 충족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제어부(13)는 배치 위치 적합 확인 요청에 대한 확인 결과를 '적합'인 것으로 하여 사용자 단말(3)로 제공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2)는 배치 위치 적합 확인 요청에 대한 확인 결과를 적합으로 제공받은 제1 위치에 시뮬레이션한 체험 상품 데이터에 대한 구매 요청을 수행하고 구매, 결제를 진행할 수 있다.
또한, 기 설정된 적합 조건은, 체험 상품 데이터가 햇빛의 노출을 최소화해야 하는 상품(일예로, 냉동 보관식품, 냉장보관 식품 등)인 경우, 제1 위치에 대응하는 실제 주거공간 내 대응 위치에 대한 햇빛의 비춤 유지 시간이 미리 설정된 제2 시간(예시적으로 30분) 미만으로 나타나는 조건일 수 있다.
이처럼, 본 장치(10)는 사용자가 구매 희망 상품에 대한 체험 상품 데이터의 배치 위치를 가상주거공간 상에서 시뮬레이션(체험)해 볼 때, 사용자가 체험 상품 데이터를 배치시킨 위치(제1 위치)가 적합한지를 판단하여, 부적합하다고 판단될 경우, 적합하다고 판단되는 다른 배치 위치를 사용자에게 추천(즉, 추천 배치 위치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으므로, 사용자(2)가 체험 상품 데이터(구매 희망 상품)의 구매 후 구매한 상품을 실제 주거공간에서 어디에 배치시킬지를 미리 시뮬레이션해 본 다음에 해당 상품을 구매할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에 자세히 설명된 내용을 기반으로, 본원의 동작 흐름을 간단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측기반의 메타버스 가상주거공간에서의 상품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2에 도시된 실측기반의 메타버스 가상주거공간에서의 상품 서비스 제공 방법은 앞서 설명된 본 장치(10)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본 장치(10)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은 실측기반의 메타버스 가상주거공간에서의 상품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한 설명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단계S11에서 입력부는 사용자가 소지한 사용자 단말로부터 주거공간 정보와 구매 희망 상품에 관한 상품 설치 시연 조건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여기서, 주거공간 정보는, 복수의 샘플 주거공간 정보 중 어느 하나의 샘플 주거공간 정보를 사용자가 선택함으로써 입력되거나,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을 통해 주거공간 실측 데이터를 업로드함으로써 입력될 수 있다.
또한, 상품 설치 시연 조건정보는, 구매 희망 상품에 관한 상품 종류, 상품 스펙, 상품 설치 요건 및 시연 컨텐츠를 포함한 복수의 조건메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S12에서 컨텐츠 관리부는, 입력된 주거공간 정보를 기반으로 메타버스 공간 상에 주거공간 정보에 대응하는 가상주거공간을 생성하고, 상품 설치 시연 조건정보에 대응하도록 생성된 체험 상품 데이터를 가상주거공간에 적용시킨 상품 체험 컨텐츠를 생성하고 관리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S13에서 제어부는, 생성된 상품 체험 컨텐츠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되, 사용자의 제어신호에 따라 사용자 단말에 대한 상품 체험 컨텐츠의 표출을 제어할 수 있다.
단계S13에서 제어부는, 복수의 조건메뉴 각각 내 복수의 선택 가능 항목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복수의 조건메뉴별 선택 정보를 기반으로 생성된 체험 상품 데이터가 포함된 상품 체험 컨텐츠를 표출시키되 사용자로부터 복수의 조건메뉴별 변경된 선택 정보의 입력이 이루어진 경우, 변경된 선택 정보를 기반으로 재생성된 체험 상품 데이터가 포함되도록 표출되는 상품 체험 컨텐츠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또한, 단계S13에서 제어부는, 표출된 상품 체험 컨텐츠를 확인한 사용자로부터 상품 모델 검색 요청이 이루어진 경우, 상품 모델 검색 요청에 응답하여 표출된 상품 체험 컨텐츠 내 체험 상품 데이터와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의 매칭 상품 모델 정보의 리스트를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제공하고, 리스트 내 적어도 하나의 매칭 상품 모델 정보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매칭 상품 모델 정보에 대하여 구매 요청이 이루어진 경우, 구매 요청에 응답하여 구매 요청이 이루어진 매칭 상품 모델 정보에 대한 상품 결제 프로세스를 진행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11 내지 S13은 본원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본원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실측기반의 메타버스 가상주거공간에서의 상품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전술한 실측기반의 메타버스 가상주거공간에서의 상품 서비스 제공 방법은 기록 매체에 저장되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메타버스 기반 상품 서비스 제공 시스템
10: 실측기반의 메타버스 가상주거공간에서의 상품 서비스 제공 방법
11: 입력부
12: 컨텐츠 관리부
13: 제어부
2: 사용자
3: 사용자 단말
7: 네트워크

Claims (5)

  1. 실측기반의 메타버스 가상주거공간에서의 상품 서비스 제공 장치로서,
    사용자가 소지한 사용자 단말로부터 주거공간 정보와 구매 희망 상품에 관한 상품 설치 시연 조건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
    입력된 상기 주거공간 정보를 기반으로 메타버스 공간 상에 상기 주거공간 정보에 대응하는 가상주거공간을 생성하고, 상기 상품 설치 시연 조건정보에 대응하도록 생성된 체험 상품 데이터를 상기 가상주거공간에 적용시킨 상품 체험 컨텐츠를 생성하고 관리하는 컨텐츠 관리부; 및
    상기 생성된 상품 체험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되, 사용자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한 상품 체험 컨텐츠의 표출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주거공간 정보는,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주거공간 실측 데이터를 업로드함으로써 입력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온라인 쇼핑몰에서 판매되는 상품 중 구매하고자 하는 구매 희망 상품을 실제로 구매하기 전, 구매 희망 상품을 실측기반으로 메타버스 공간에 생성된 가상주거공간에서 미리 시뮬레이션 체험을 해본 후 상기 구매 희망 상품에 대한 상품의 구매 여부를 결정하게 되는 사용자가 소지한 단말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출된 상품 체험 컨텐츠를 확인한 사용자로부터 상품 모델 검색 요청이 이루어진 경우, 상기 상품 모델 검색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표출된 상품 체험 컨텐츠 내 체험 상품 데이터와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의 매칭 상품 모델 정보의 리스트를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제공하고, 상기 리스트 내 적어도 하나의 매칭 상품 모델 정보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매칭 상품 모델 정보에 대하여 구매 요청이 이루어진 경우, 상기 구매 요청에 응답하여 구매 요청이 이루어진 매칭 상품 모델 정보에 대한 상품 결제 프로세스를 진행하며,
    상기 선택된 매칭 상품 모델 정보에 대한 제1 상품인 구매 희망 상품에 대하여 리뷰 정보 제공 요청이 이루어진 경우, 제1 상품에 대응하는 리뷰 정보로서 제1 상품과 동일 상품을 판매하는 복수의 온라인 쇼핑몰로부터 획득된 제1 상품 관련 통합 리뷰 정보를 제공하되, 제1 상품의 통합 리뷰 정보가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표시된 이후, 화면의 일영역에 표시된 구매 추이 제공 메뉴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이루어진 경우, 제1 상품의 통합 리뷰 정보와 관련하여 기 설정된 기간별 구매 건수에 대한 그래프 정보를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제공하고,
    상기 구매 추이 제공 메뉴에 대한 사용자 입력시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1 상품에 대한 상품 유형 정보가 더 입력된 경우, 상품 유형 정보마다의 기 설정된 기간별 구매 건수에 대한 그래프 정보를 제공하거나, 상기 제1 상품 관련 통합 리뷰 정보들 중 상기 상품 유형 정보와 관련된 통합 리뷰 정보들만 추출하여 사용자에게 목록 형태로 제공하고,
    상기 기 설정된 기간별은 날짜별, 월별 및 연도별을 의미하고,
    상기 상품 유형 정보는 상기 제1 상품의 색상 정보 및/또는 사이즈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표출된 상기 상품 체험 컨텐츠에서 사용자에 의해 배치된 상기 상품 체험 컨텐츠 내 체험 상품 데이터의 배치 위치가 제1 위치로 식별되고,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1 위치에 대한 체험 상품 데이터의 배치 위치 적합 확인 요청이 이루어진경우,
    상기 체험 상품 데이터의 특성, 상기 가상주거공간에 대응하는 실제 주거공간의 환경 정보, 상기 가상주거공간 내에 기 배치되어 있는 기존재 상품 데이터들의 특성, 상기 제1 위치가 식별된 현재 시간 정보 및 상기 실제 주거공간의 주변 건물 정보를 고려하여, 식별된 상기 제1 위치에 대한 햇빛의 비춤 유지 시간을 파악한 후 파악된 햇빛의 비춤 유지 시간을 기반으로 제1 위치에 대한 체험 상품 데이터의 배치 위치의 적합성 여부를 판단하되, 상기 제1 위치가 기 설정된 적합 조건을 충족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위치에 대한 체험 상품 데이터의 배치 위치가 부적합인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가상주거공간 내에서 상기 체험 상품 데이터의 배치 위치가 적합하다고 판단되는 다른 배치 위치로서 상기 기 설정된 적합 조건을 충족하는 제2 위치를 상기 상품 체험 컨텐츠 상에 추천 배치 위치 정보로서 표시하여 제공하고,
    상기 기 설정된 적합 조건은, 상기 체험 상품 데이터의 특성에 따라 각기 다르게 설정되되, 상기 체험 상품 데이터가 햇빛의 수신을 필요로 하는 상품이거나 햇빛의 노출에 영향을 받지 않는 상품인 경우, 상기 제1 위치에 대응하는 실제 주거공간 내 대응 위치에 대한 햇빛의 비춤 유지 시간이 미리 설정된 제1 시간 이상으로 나타나는 조건이고, 상기 체험 상품 데이터가 햇빛의 노출을 최소화해야 하는 상품인 경우, 상기 제1 위치에 대응하는 실제 주거공간 내 대응 위치에 대한 햇빛의 비춤 유지 시간이 미리 설정된 제2 시간 미만으로 나타나는 조건이며,
    상기 제1 위치는 상기 가상주거공간 내에서 제1 창문 데이터의 내측 인근 위치에 존재하는 위치이고, 제2 위치는 상기 가상주거공간 내에서 제1 창문 데이터와는 다른 위치에 위치한 제2 창문 데이터의 내측 인근 위치에 존재하는 위치이고,
    상기 체험 상품 데이터의 특성은 체험 상품 데이터에 대응하는 상품이 햇빛의 노출 여부와 햇빛의 노출 시간을 포함한 햇빛의 노출에 영향을 받는 상품인지 또는 햇빛의 노출에 영향을 받지 않는 상품인지로 구분되는 특성을 의미하고,
    상기 햇빛의 노출에 영향을 받는 상품에는, 햇빛의 노출을 최소화해야 하는 상품으로서 냉동 보관식품, 냉장 보관식품 및 일정 시간 햇빛에 노출되는 경우 변질이 이루어지는 소재로 이루어진 가구가 포함되고,
    상기 햇빛의 노출에 영향을 받지 않는 상품에는 TV 및 세탁기가 포함되고,
    상기 햇빛의 수신을 필요로 하는 상품에는 식물이 포함되며,
    상기 실제 주거공간의 환경 정보는, 실제 주거공간에 배치된 온도 센서와 습도 센서를 이용해 획득되는 온도 및 습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실측기반의 메타버스 가상주거공간에서의 상품 서비스 제공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거공간 정보는,
    복수의 샘플 주거공간 정보 중 어느 하나의 샘플 주거공간 정보를 사용자가 선택함으로써 더 입력되는 것인, 실측기반의 메타버스 가상주거공간에서의 상품 서비스 제공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 설치 시연 조건정보는, 상기 구매 희망 상품에 관한 상품 종류, 상품 스펙, 상품 설치 요건 및 시연 컨텐츠를 포함한 복수의 조건메뉴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조건메뉴 각각 내 복수의 선택 가능 항목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복수의 조건메뉴별 선택 정보를 기반으로 생성된 체험 상품 데이터가 포함된 상품 체험 컨텐츠를 표출시키되,
    사용자로부터 복수의 조건메뉴별 변경된 선택 정보의 입력이 이루어진 경우, 상기 변경된 선택 정보를 기반으로 재생성된 체험 상품 데이터가 포함되도록 상기 표출되는 상품 체험 컨텐츠를 업데이트하는 것인, 실측기반의 메타버스 가상주거공간에서의 상품 서비스 제공 장치.
  4. 삭제
  5. 삭제
KR1020220021059A 2022-02-17 2022-02-17 실측기반의 메타버스 가상주거공간에서의 상품 서비스 제공 장치 KR1024420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1059A KR102442042B1 (ko) 2022-02-17 2022-02-17 실측기반의 메타버스 가상주거공간에서의 상품 서비스 제공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1059A KR102442042B1 (ko) 2022-02-17 2022-02-17 실측기반의 메타버스 가상주거공간에서의 상품 서비스 제공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2042B1 true KR102442042B1 (ko) 2022-09-08

Family

ID=832796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1059A KR102442042B1 (ko) 2022-02-17 2022-02-17 실측기반의 메타버스 가상주거공간에서의 상품 서비스 제공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204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2063B1 (ko) * 2022-12-06 2024-01-05 이민철 물리적인 건축 블록들을 기반으로 한 메타버스 플랫폼 상의 건축물 3d 모델링 구현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623374B1 (ko) * 2022-10-19 2024-01-11 주식회사 심시스글로벌 스마트 가전 작동 시뮬레이션을 지원하는 메타버스 모델하우스를 제공하는 메타버스 구현 시스템
KR102655382B1 (ko) * 2023-08-14 2024-04-09 주식회사 오가렌 맞춤형 침대 주문 제작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31179A (ko) * 2012-05-23 2013-12-03 대전보건대학 산학협력단 메타버스를 활용한 사이버 모델하우스 시스템
KR102193193B1 (ko) * 2020-08-27 2020-12-18 주식회사 고려주방 가상 체험이 가능한 업소용 주방 배치 인테리어 시스템
KR102272650B1 (ko) * 2020-12-08 2021-07-05 유찬영 가상현실 기반 3차원 공간 재구성을 이용한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316079B1 (ko) * 2021-03-11 2021-10-22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Gan을 이용하는 인테리어 추천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31179A (ko) * 2012-05-23 2013-12-03 대전보건대학 산학협력단 메타버스를 활용한 사이버 모델하우스 시스템
KR102193193B1 (ko) * 2020-08-27 2020-12-18 주식회사 고려주방 가상 체험이 가능한 업소용 주방 배치 인테리어 시스템
KR102272650B1 (ko) * 2020-12-08 2021-07-05 유찬영 가상현실 기반 3차원 공간 재구성을 이용한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316079B1 (ko) * 2021-03-11 2021-10-22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Gan을 이용하는 인테리어 추천 방법 및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3374B1 (ko) * 2022-10-19 2024-01-11 주식회사 심시스글로벌 스마트 가전 작동 시뮬레이션을 지원하는 메타버스 모델하우스를 제공하는 메타버스 구현 시스템
KR102622063B1 (ko) * 2022-12-06 2024-01-05 이민철 물리적인 건축 블록들을 기반으로 한 메타버스 플랫폼 상의 건축물 3d 모델링 구현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655382B1 (ko) * 2023-08-14 2024-04-09 주식회사 오가렌 맞춤형 침대 주문 제작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42042B1 (ko) 실측기반의 메타버스 가상주거공간에서의 상품 서비스 제공 장치
US10846937B2 (en) Three-dimensional virtual environment
US10417825B2 (en) Interactive cubicle and method for determining a body shape
US8117089B2 (en) System for segmentation by product category of product images within a shopping cart
US8108267B2 (en) Method of facilitating a sale of a product and/or a service
WO2017173457A1 (en) Virtual reality platform for retail environment simulation
US20130325647A1 (en) Virtual marketplace accessible to widgetized avatars
WO2001091016A9 (en) A real time, three-dimensional, configurable, interactive product display system and method
US20150134547A1 (en) Belongings visualization and record system
KR101887810B1 (ko) 가상현실과 증강현실을 이용한 이삿짐 시뮬레이션 제공과 이를 통한 부동산 중개 시스템
WO2016191685A1 (en) Graphical processing of data, in particular by mesh vertices comparison
KR102506356B1 (ko) 코디 추천 장치 및 방법
Brooks et al. Towards an inclusive virtual dressing room for wheelchair-bound customers
US2018012435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serving computing resources during an online or virtual shopping session
KR102439476B1 (ko) 전자상거래에서 상품의 가상 체험을 지원하기 위한 3d 모델의 사용을 허여하는 방법 및 장치, 및 오픈 마켓 서버에서 상품과 3d 모델을 연관시켜 웹 페이지에 등록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사용하는 장치
US20200402147A1 (en) E-commerce system, fliktag
US2018012199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djusting the display quality of an avatar during an online or virtual shopping session
CN110852834A (zh) 一种冰箱个性化定制系统及定制方法
KR20130112613A (ko)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잡지 형태의 제품 광고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910495B1 (ko) 온라인에서의 제품 상세정보 제공 방법
Mengoni et al. Toward an integrated platform to support contract furniture industry
US20100211891A1 (en) Widgetized avatar and a method and system of creating and using same including storefronts
CN111047379B (zh) 房屋装修信息处理方法、装置及系统
TW201044297A (en) Internet e-commerce system capable of scenario foreseeing, the management method and computer program
CN116911961A (zh) 一种用于电商直播的商品展示方法、用户终端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