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9476B1 - 전자상거래에서 상품의 가상 체험을 지원하기 위한 3d 모델의 사용을 허여하는 방법 및 장치, 및 오픈 마켓 서버에서 상품과 3d 모델을 연관시켜 웹 페이지에 등록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사용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전자상거래에서 상품의 가상 체험을 지원하기 위한 3d 모델의 사용을 허여하는 방법 및 장치, 및 오픈 마켓 서버에서 상품과 3d 모델을 연관시켜 웹 페이지에 등록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사용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9476B1
KR102439476B1 KR1020200004497A KR20200004497A KR102439476B1 KR 102439476 B1 KR102439476 B1 KR 102439476B1 KR 1020200004497 A KR1020200004497 A KR 1020200004497A KR 20200004497 A KR20200004497 A KR 20200004497A KR 102439476 B1 KR102439476 B1 KR 1024394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l
product
open market
web page
us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44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91008A (ko
Inventor
정진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시어스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시어스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시어스랩
Priority to KR10202000044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9476B1/ko
Publication of KR202100910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10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94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94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G06Q30/0643Graphical representation of items or shopp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40Extraction of image or video fea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ultimedia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양태는 전자상거래에서 상품의 가상 체험을 지원하기 위한 3D 모델을 사용하도록 허여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상기 방법은 복수 개의 상품들에 대한 3D 모델들을 저장소에 보유하는 단계(상기 3D 모델들 중 적어도 일부는 사용자 단말에서 실행되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가상으로 상품을 체험할 수 있도록 그래픽적으로 구현됨), 오픈 마켓 서버로부터의 제 1 상품에 대한 3D 모델 연동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오픈 마켓 서버의 상기 제 1 상품에 대한 메타 데이터와 상기 제 1 상품에 대한 3D 모델을 연관시키는 단계 및 상기 오픈 마켓 서버에서 관리하는 웹 페이지에 방문한 방문자에 의해 발생되는 상기 제 1 상품에 대한 3D 모델의 실행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실행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3D 모델의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의 실행을 허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자상거래에서 상품의 가상 체험을 지원하기 위한 3D 모델의 사용을 허여하는 방법 및 장치, 및 오픈 마켓 서버에서 상품과 3D 모델을 연관시켜 웹 페이지에 등록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사용하는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ALLOWING AN USER TERMINAL TO USE 3D MODEL OF A PRODUCT FOR AUGMENTED REALITY IN E-COMMERCE, AND METHOD FOR REGISTERING 3D MODEL BY ASSOCIATING A PRODUCT ON A WEB PAGE AND APPARATUS USING SAID METHOD}
본 발명은 상품 모델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반품률을 줄이기 위해 관련 상품 모델을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까지 전자상거래를 이용한 상품 구매는 계속하여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전자상거래의 경우, 웹 페이지를 방문한 방문자가 실제 상품을 체험해보지 못하고, 해당 웹 페이지에 게시된 상품의 모습만 보고 구매 여부를 판단해야 하기에 실제 상품의 착용 또는 실제 상품을 배치했을 때의 느낌을 정확하게 인식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웹 페이지에 게시된 상품의 모습과 실제 상품의 착용감 또는 특정 영역에 상품을 배치했을 때의 느낌이 상반되어 반품하게 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고 있다. 결국, 이는 반품률의 증가로 귀결되어 전자상거래를 통해 매출을 발생시키는 오픈 마켓의 운영자, 상품 판매자 및 관련 상품을 구매하는 소비자의 상품 구매 효율을 떨어뜨리는 문제로 이어진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목적은 전자상거래를 통해 판매되는 상품의 가상 체험을 제공하기 위한 상품 3D 모델을 오픈 마켓의 애플리케이션(APP; Application) 또는 웹 페이지에 제공하여 상품의 구매자가 상품을 가상으로 체험해보도록 함으로써 구매 상품의 반품률을 감소시키기 위한 전자상거래에서 상품의 가상 체험을 지원하기 위한 3D 모델의 사용을 허여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전자상거래에서 상품의 가상 체험을 지원하기 위한 3D 모델을 사용하도록 허여하는 방법은, 복수 개의 상품들에 대한 3D 모델들을 저장소에 보유하는 단계(상기 3D 모델들 중 적어도 일부는 사용자 단말에서 실행되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가상으로 상품을 체험할 수 있도록 그래픽적으로 구현됨), 오픈 마켓 서버로부터의 제 1 상품에 대한 3D 모델 연동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오픈 마켓 서버의 상기 제 1 상품에 대한 메타 데이터와 상기 제 1 상품에 대한 3D 모델을 연관시키는 단계 및 상기 오픈 마켓 서버에서 관리하는 웹 페이지에 방문한 방문자에 의해 발생되는 상기 제 1 상품에 대한 3D 모델의 실행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실행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3D 모델의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의 실행을 허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관시키는 단계는, 상기 오픈 마켓 서버에서 제 1 상품을 등록할 때, 상기 오픈 마켓 서버로부터 상기 제 1 상품에 대한 3D 모델의 존재 여부에 대한 질의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질의에 대응하여 상기 제 1 상품에 대한 3D 모델을 상기 저장소에서 검색하는 단계, 검색 결과를 상기 오픈 마켓 서버로 반환하는 단계 및 검색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제 1 상품의 3D 모델을 상기 오픈 마켓 서버의 제 1 상품 메타 데이터와 연관시켜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3D 모델은 상기 오픈 마켓 서버에서 관리되는 상품의 구매 URL과 연동될 수 있다.
상기 3D 모델의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의 실행을 허여함에 대응하여 상기 제 1 상품의 3D 모델에 대한 사용 비용을 상기 오픈 마켓 서버와 연관된 계좌 및 상기 제 1 상품의 판매자와 연관된 계좌 중 적어도 하나로 청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3D 모델 사용 비용은 상기 방문자의 제 1 상품에 대한 3D 모델의 실행 횟수 정보 및 상기 3D 모델의 실행에 후속하여 이루어진 행위와 연관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산정될 수 있다.
상기 3D 모델이 사람이 착용하는 패션 상품의 모델인 경우,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피사체의 소정 특징점을 기반으로 상기 3D 모델이 적용되며, 상기 3D 모델이 소정 공간에 배치되는 진열 상품의 모델인 경우,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소정 영역의 공간에 상기 3D 모델이 적용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전자상거래에서 상품의 가상 체험을 지원하기 위한 3D 모델을 사용하도록 허여하는 장치는, 복수 개의 상품들에 대한 3D 모델들을 보유하는 저장소(상기 3D 모델들 중 적어도 일부는 사용자 단말에서 실행되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가상으로 상품을 체험할 수 있도록 그래픽적으로 구현됨), 프로세서의 동작을 실행하는 지시어를 포함하는 메모리 및 오픈 마켓 서버로부터의 제 1 상품에 대한 3D 모델 연동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오픈 마켓 서버의 상기 제 1 상품에 대한 메타 데이터와 상기 제 1 상품에 대한 3D 모델을 연관시키고, 상기 오픈 마켓 서버에서 관리하는 웹 페이지에 방문한 방문자에 의해 발생되는 상기 제 1 상품에 대한 3D 모델의 실행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3D 모델의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의 실행을 허여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른, 오픈 마켓 서버에서 상품과 3D 모델을 연관시켜 웹 페이지에 등록하는 방법은, 상품 판매자의 단말로부터 오픈 마켓의 구매 웹 페이지에 제 1 상품을 등록시키기 위한 등록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등록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제 1 상품과 관련된 3D 모델을 상기 제 1 상품과 연관시키기 위한 연관 요청을 상품 3D 모델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상기 3D 모델은 사용자 단말에서 실행되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가상으로 상품을 체험할 수 있도록 그래픽적으로 구현됨) 및 상기 상품 3D 모델 관리 서버에서의 상기 연관 요청에 대한 처리에 후속하여 상기 제 1 상품과 상기 3D 모델을 연관시켜 상기 구매 웹 페이지에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관 요청을 상품 3D 모델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등록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제 1 상품과 관련된 3D 모델을 보유하고 있는지 상기 상품 3D 모델 관리 서버로 질의하는 단계, 상기 상품 3D 모델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제 1 상품과 관련된 3D 모델을 보유하고 있는지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응답을 기반으로 상기 연관 요청을 상기 상품 3D 모델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3D 모델은 상기 오픈 마켓 서버에서 관리되는 상품의 구매 URL과 연동될 수 있다.
상기 구매 웹 페이지 상에서 상기 3D 모델을 실행시키는 아이콘이 상기 제 1 상품의 상세 정보와 함께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른, 상품과 3D 모델을 연관시켜 웹 페이지에 등록하는 장치는, 상품 판매자의 단말로부터 오픈 마켓의 구매 웹 페이지에 제 1 상품을 등록시키기 위한 등록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제 1 상품과 관련된 3D 모델을 상기 제 1 상품과 연관시키기 위한 연관 요청을 상품 3D 모델 관리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상품 3D 모델 관리 서버에서의 상기 연관 요청에 대한 처리에 후속하여 상기 제 1 상품과 상기 3D 모델을 연관시켜 상기 구매 웹 페이지에 등록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의 동작과 관련된 지시어를 포함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되, 상기 3D 모델은 사용자 단말에서 실행되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가상으로 상품을 체험할 수 있도록 그래픽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자상거래에서 상품의 가상 체험을 지원하기 위한 3D 모델의 사용을 허여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따르면, 오픈 마켓 서버의 운영자 또는 상품 판매자가 특정 상품의 3D 모델을 직접 제작하지 않고 3D 모델 작성자에게 일정 비용을 주고, 해당 제품의 3D 모델을 이용할 수 있어 상품 구매에 따른 반품률을 감소시킴에 의해 상품 판매 효율을 제고시키는 효과가 있다.
추가적으로, 구매자의 입장에서는 3D 모델을 이용하여 자신이 직접 상품을 착용하거나 원하는 위치에 상품을 배치해 봄에 따라 상품의 실제 착용 모습을 체험해 보고 상품 구매 여부를 결정할 수 있어 상품 구매 효율을 제고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상거래에서 상품의 가상 체험을 지원하기 위한 3D 모델의 사용을 허여하는 방법이 적용되는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
도 2는 오픈 마켓의 운영 웹 페이지에 상품을 등록하는 과정에서 관련 3D 모델을 연동시키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 3은 도 2의 과정에 따라 특정 상품과 연동되는 3D 모델이 사용자 단말에서 구현되는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구매자 입장에서 오픈 마켓의 운영 웹 페이지에 접속하여 3D 모델을 이용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상세흐름도,
도 5는 3D 모델 사용 비용을 산정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상세흐름도,
도 6은 도 1의 시스템 중 상품 3D 모델 관리 서버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상거래에서 상품의 가상 체험을 지원하기 위한 3D 모델의 사용을 허여하는 방법이 적용되는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 3D 모델 제공 시스템은 상품 3D 모델 관리 서버(110) 및 복수 개의 오픈 마켓 서버들(120-1~120-N)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상품 3D 모델 관리 서버(110)는 다수의 상품들의 3D 모델을 저장하고 있는 3D 모델 저장소(115)(데이터베이스(DB: Database))와 연동하며, 복수 개의 오픈 마켓 서버들(120-1~120-N)과도 연동할 수 있다. 상품 3D 모델 관리 서버(110)는 컴퓨팅 장치로 구현될 수 있고, 이는 서버급 컴퓨터일 수 있다. 다만, 반드시 서버급 컴퓨터여야만 하는 것은 아니고, 일반 개인용 PC, 랩톱, 스마튼 폰 등의 단말로도 구현 가능하다.
상품 3D 모델 관리 서버(110)는 내부 또는 외부에 3D 모델 저장소(115)와 연동하며, 3D 모델 저장소(115)에 저장되어 있는 다수의 상품 3D 모델을 관리한다. 여기서, 상품 3D 모델은 상품에 대한 3차원 그래픽 요소를 의미한다. 3D 모델은 CAD, SOLID WORK 등으로 구현되는, 상품의 3차원 그래픽 그 자체뿐만 아니라,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피사체 또는 촬영된 특정 공간과 함께 재생될 수 있는 AR 모델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3D 모델은 360도 서라운드 뷰(surround view)를 지원한다. 이는 재생이 가능한 부분을 포함하고 있어 3D 콘텐츠라고 부를 수 있다. 3D 모델은 사용자 단말에서 실행 또는 구현된다. 따라서, 본 명세서 상에서 특별한 구분이 없다면, 3D 모델은 상품의 3차원 그래픽 모델 및 AR 모델을 함께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지만, 구분하여 표현한 내용에 대해서는, 3차원 그래픽 모델과 AR 모델은 구분될 수 있는 개념이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상품의 3D 모델은 전문가가 아닌, 일반인이 제작하긴 어렵다. 따라서, 이러한 3D 모델은 상품별로 전문가에 의해 제작되는 것이 효율적이고, 이렇게 제작된 3D 모델은 3D 모델 저장소(115)에 저장되어 있으며, 상품 3D 모델 관리 서버(110)에 의해 일괄적으로 관리되어, 3D 모델과 관련된 상품을 유통하는 다수의 상품 거래 웹 페이지 또는 오픈 마켓에서 효율적으로 사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품 3D 모델 관리 서버(110)는 제작된 3D 모델과 상품의 메타 데이터(예컨대, 상품명, 상품 제조 회사, 상품 종류, 상품 제조 년월일, 상품 시리얼 넘버(SN: Serial Number), 3D 모델 제작일, 3D 모델 저작 툴 등)과 함께 매칭하여 저장하고, 이러한 상품을 거래하는 관련 오픈 마켓과 함께 상기 3D 모델들이 연동될 수 있도록 제어한다. 이러한 시스템 구조를 위해, 상품 3D 모델 관리 서버(110), 오픈 마켓 서버들(120-1~120-N)은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서로 연결되고, 각종 요청을 서로 주고받을 수 있다. 또한, 오픈 마켓 서버(120-1~120-N)가 제작된 3D 모델들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각각의 오픈 마켓 서버(120-1~120-N)에서 자체 제작된 앱(APP) 또는 웹 페이지에 3D 모델 연동을 위한 SDK(Software Development Kit) 및 API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공되는 SDK 및 API를 통해 각 오픈 마켓 서버(120-1~120-N)들은 자신들 웹 페이지에서 판매되는 상품의 판매 진열대에 3D 모델의 재생을 지시하는 아아콘을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품을 구매하는 구매자는 오픈 마켓 웹 페이지에 접속하여 자신의 사용자 단말(미도시)에서 상품 구매 전에 상품 상세 정보와 함께 제공되는 3D 모델을 이용하여 해당 상품을 보다 면밀히 확인해 볼 수 있다.
오픈 마켓 서버(120-1~120-N)는 각종 상품을 판매하는 전자상거래 장터를 관리하는 서버 장치이다. 개인 또는 소규모 업체가 온라인 상에서 직접 상품을 등록해 판매할 수 있도록 전자상거래 사이트(웹 페이지) 및/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오픈 마켓 서버(120-1~120-N)는 이베이(e-Bay), 쿠팡, 11번가, 위매프, G마켓, 티몬 등의 오픈 마켓을 관리하는 서버로 구현될 수 있다.
오픈 마켓 서버(120-1~120-N)는 각자 자신이 운영하는 오픈 마켓에서 판매되는 상품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상품 카탈로그 데이터베이스(125)에 저장하고 있다. 상품 카탈로그 데이터베이스(125)는 오픈 마켓 서버 자체적으로 생성한 상품 관련 메타데이터(상품 품명, 제조사, 상품 판매자, 상품 등록 일자, 상품 구매 URL, 상품 번호, 재고 정보, 광고 관련 정보, 결제 관련 정보)가 저장되어 있으며, 특정 상품에 대한 3D 모델이 3D 모델 저장소(115)에 보유되고 있을 시, 이를 문의하여, 자신의 상품 카탈로그 데이터와 매칭될 수 있도록 관리한다. 오픈 마켓 서버(120-1~120-N)가 보유하고 있는 상품 메타데이터는 앞서 설명한 상품 3D 모델 관리 서버(110)가 관리하는 상품 메타데이터와는 다른 정보이다. 데이터의 매칭은 상기 두 개의 서로 다른 상품 메타데이터를 기반으로 상품과 3D 모델을 매칭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일 예에서, A 오픈 마켓에서 거래되는 제 1 상품에 대한 3D 모델이 3D 모델 저장소(115)에 존재하는 경우, A 오픈 마켓 서버(120-1) 또는 A 오픈 마켓에 상품을 등록하여 판매하는 상품 판매자의 단말로부터 상기 제 1 상품에 대한 3D 모델 연동 요청을 상기 상품 3D 모델 관리 서버(110)로 전송하고, 상품 3D 모델 관리 서버(110)는 해당 3D 모델을 상기 제 1 상품과 매칭하여 상품 카탈로그 데이터베이스(125)에 저장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3D 모델 저장소 내에서 A 오픈 마켓과 연관된 것으로 구분하여 저장한다. 즉, A 오픈 마켓 서버의 상품 카탈로그 데이터베이스(125)와 3D 모델 저장소(115)의 일부 3D 모델이 연동될 수 있도록 상품 3D 모델 관리 서버(110)가 제어한다.
한편, A 오픈 마켓에 방문한 방문자가 상기 제 1 상품을 탐색하다가 관련 3D 모델을 실행시키는 경우, 상품 3D 모델 관리 서버(110)는 이를 트래킹(tracking)할 수 있다. 또한, 3D 모델 재생 후, 해당 상품을 구매할 시, 구매 내역 정보를 A 오픈 마켓 서버(125)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상기 결제 내역 정보는 상품 결제를 담당하는 결제 게이트웨이로부터 수신할 수도 있다. 또는, 광고 관련 정보를 A 오픈 마켓 서버(125)로부터 수신할 수도 있다.
이때, 상품 3D 모델 관리 서버(110)는 3D 모델 실행 횟수(실행 아이콘 클릭 횟수), 3D 모델 실행 후 구매 내역 또는 광고 비용 등의 정보를 기반으로 3D 모델 사용 비용을 산정하여 A 오픈 마켓 서버(120-1)와 관련된 계좌 및/또는 해당 상품의 판매자에게 청구할 수 있다.
도 2는 오픈 마켓의 운영 웹 페이지에 상품을 등록하는 과정에서 관련 3D 모델을 연동시키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오픈 마켓 서버가 관리하는 웹 페이지에 상품 판매자가 제 1 상품의 등록을 요청하면, 오픈 마켓 서버는 해당 웹 페이지에 상기 제 1 상품을 등록한다(S210). 이때, 오픈 마켓 서버는 상품 판매자가 오픈 마켓의 애플리케이션 및/또는 웹 페이지에서 상기 제 1 상품의 3D 모델을 사용할지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상품 판매자가 3D 모델을 사용하길 원한다는 선택을 하면, 오픈 마켓 서버는 제 1 상품의 3D 모델이 존재하는지를 상품 3D 모델 관리 서버로 질의한다(S220). 상기 질의를 수신한 상품 3D 모델 관리 서버는 제 1 상품에 대한 3D 모델이 3D 모델 저장소에 보유되어 있는지 검색한다(S230). 만약, 검색되지 않는다면, 제 1 상품의 3D 모델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메시지를 오픈 마켓 서버로 반환한다(S240). 오픈 마켓 서버는 이를 상품 판매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해당 웹 페이지에 표시한다. 이 경우, 제 1 상품은 상기 오픈 마켓의 웹 페이지에서 3D 모델 및 AR 모델 없이 다른 상세정보들만 표시된 채로 업로드된다. 이때, 오픈 마켓 서버는 상품 판매자로 하여금 3D 모델의 제작을 요청할지 선택하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고, 상품 판매자로부터 제작 요청을 수신한 경우, 상품 3D 모델 관리 서버로 상기 제 1 상품의 3D 모델 제작을 요청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상품 판매자의 선택을 스킵하고 직접 제 1 상품의 3D 모델 제작을 상기 오픈 마켓 서버가 직접 요청할 수도 있다.
다시 단계(S230)로 돌아가서, 제 1 상품에 대한 3D 모델이 3D 모델 저장소에 보유되어 있다면, 상품 3D 모델 관리 서버는 관련 3D 모델이 존재한다는 검색 결과를 오픈 마켓 서버로 반환한다(S240). 오픈 마켓 서버는 이를 상품 판매자에게 통지하고 상품 판매자로부터 제 1 상품의 등록 페이지에 3D 모델을 연동시킬지 묻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상품 판매자가 연동을 선택함에 응답하여 제 1 상품과 보유된 3D 모델의 연동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상품 3D 모델 관리 서버로 전송한다(S250). 상품 3D 모델 관리 서버는 연동 요청에 대응하여 제 1 상품과 상기 3D 모델을 연관시킨다(S260). 연관은 해당 오픈 마켓의 특정 상품과 해당 3D 모델이 연계되어 있음을 의미하고, 해당 오픈 마켓의 앱 및/또는 웹 페이지에서 제 1 상품이 진열될 때, 3D 모델을 재생시키기 위한 아이콘이 표시되고, 상기 아이콘의 실행에 대응하여 상품 3D 모델 관리 서버가 미리 연계되어 있는 상기 3D 모델을 재생시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즉, 상품 3D 모델 관리 서버는 오픈 마켓 서버로부터 상품의 메타 데이터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메타 데이터 정보와 상기 3D 모델을 매칭시켜 저장한다.
도 3은 도 2의 과정에 따라 특정 상품과 연동되는 3D 모델이 사용자 단말에서 구현되는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3D 모델은 사용자 단말에서 재생된다. 3D 모델에 의해 구현되는 상품은 사람이 착용하는 패션 상품 및 특정 공간에 배치되는 가구 등의 진열 상품을 포함한다. 특히, 패션 상품은 안경, 선글라스, 모자, 귀걸이, 목걸이, 반지, 악세서리, 손목시계, 신발, 의류, 화장품 등을 포함한다. 또한, 특정영역에 배치되는 진열 상품은 접시, 소파, 책상, 책장, 침대, 의자 등의 상품을 포함한다. 다만, 반드시 위의 예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에서, 특정 오픈 마켓의 앱 또는 웹 페이지에 방문하였을 때, 방문자는 특정 상품을 검색할 수 있고, 이때, 해당 상품의 구매 페이지로 연결된다. 구매 페이지는 상품의 상세 정보가 표시되고, 하단에 해당 상품의 구매를 위한 절차를 개시하는 구매하기 아이콘(310), 3D 뷰어 아이콘(320) 및 AR 체험 아이콘(330)이 함께 표시될 수 있다. 오픈 마켓 서버가 이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3D 뷰어 아이콘(320) 및 AR 체험 아이콘(330)은 도 2의 절차에 따라 상품 3D 모델 관리 서버에서 해당 상품에 대한 3D 모델을 연계시켰을 때 표시되는 아이콘들이다. 만약 3D 모델이 없다면 위 아이콘들(320, 330)은 표시되지 않을 것이다. 또한, 하나의 모델만 있다면(예컨대, 3D 모델은 있는데 AR 모델이 없거나 또는 AR 모델은 있는데 3D 모델이 없는 경우), 해당 모델을 표시하는 아이콘만 구매 페이지에 함께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3D 뷰어 아이콘(320)을 클릭하면, 3차원 그래픽 요소가 360도 서라운드 뷰로 구현되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는 터치 입력을 통해 원하는 각도로 해당 상품을 돌려가면서 상품을 관찰할 수 있다. 또한, AR 체험 아이콘(330)을 클릭하면, 사람이 착용하는 패션 상품은 상기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피사체에 해당 상품의 3D 모델이 구현되는 형태로 동작한다. 예컨대, 선글라스의 경우,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피사체의 눈과 관련된 특징점을 기반으로 선글라스의 안경알 부분이 매칭되어 적용되고, 안경테는 피사체의 코와 귀와 관련된 특징점을 인식하여 해당 특징점 상에 적용되도록 제어된다. 이러한 피사체의 특정 특징점과 AR 모델의 특정 포인트가 매칭되도록 하여 피사체에 적절히 3D 모델이 착용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해 가상으로 화장을 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른 예에서, 진열 상품(예컨대, 가구 상품)의 경우, AR 체험 아이콘(330)을 클릭시 역시 사용자 단말의 카메라가 동작하며,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특정 공간의 형상을 인식한다. 그리고는, 특정 공간 중 소정 영역을 선택하면 선택된 영역에 상기 가구 상품의 3D 모델이 배치된다. 이러한 메카니즘을 통해,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공간에 가구 상품이 어울리는지를 직접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보고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위와 같이, 3D 모델/AR 모델을 이용하여 상품을 직접 착용해 보거나 특정 공간에 배치해 보고, 그 느낌을 확인해 봄에 의해 전자상거래를 통한 구매임에도 불구하고 실제 착용감 등을 직접 체험할 수 있고, 이로 인해 반품률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4는 구매자 입장에서 오픈 마켓의 운영 웹 페이지에 접속하여 3D 모델을 이용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상세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구매자(또는 방문자라고 부를 수 있음)는 자신의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특정 오픈 마켓의 구매를 위한 웹 페이지에 접속한다(S410). 로그인 등의 절차가 실행될 수 있다. 해당 웹 페이지는 다수의 상품들을 종류별로 보유하고 있을 수 있다. 구매자는 원하는 종류의 상품의 구매 웹 페이지로 들어가 다양한 상품들을 탐색한다(S420). 그리고는, 특정 상품의 구매 웹 페이지에서 제품의 상세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S430). 구매자는 특정 상품의 상세 정보를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보던 중, 3D 뷰어 및/또는 AR 체험을 실행시킬 수 있다(S440). 위 실행 요청에 대응하여 상품 3D 모델 관리 서버는 저장소에 저장된 상기 상품의 3D 모델을 사용자 단말로 제공한다(S450). 이는 구매 URL 또는 해당 상품의 다른 메타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와 연관된 3D 모델을 찾는 작업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구매자는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 화면에서 3D 모델을 직접 재생시키면서 자신에게 가상으로 착용해 봄으로써 구매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후, 구매를 실행시키면(S460), 결제 절차를 거쳐 해당 상품의 구매가 이루어지고, 구매 내역이 상품 3D 모델 관리 서버로 전달된다. 다만, 구매 내역은 사용자 단말에서 전달되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고, 오픈 마켓 서버 및/또는 결제 게이트웨이를 통해 전달되어질 수 있다.
만약, 해당 상품의 3D 모델이 없다면, 단계(440) 및 단계(450)를 통한 구매 동작은 일어날 수 없다. 단순히, 상품 상세 정보만 보고 구매를 할지 결정해야 하고, 따라서 구매자 입장에서는 상품의 정확한 착용감 또는 배치시의 심미감을 느껴보지 못한다.
도 5는 3D 모델 사용 비용을 산정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상세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품 3D 모델 관리 서버는 3D 모델 실행 정보 및/또는 상품 구매 내역 정보를 오픈 마켓 서버 및/또는 다른 장치로부터 획득한다(S510). 일 예에서, 상기 다른 장치는 구매자의 사용자 단말, 결제 게이트웨이 장치, 웹 페이지 관리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3D 모델 실행 정보는 3D 모델이 실행될 때마다 실시간으로 상기 장치들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집될 수 있고, 또는 일정 기간 동안의 발생된 정보들을 모았다가 주기적으로 수집될 수도 있다.
상품 3D 모델 관리 서버는 수집된 정보들을 기반으로 3D 모델의 사용 비용을 산정한다(S520). 상기 3D 모델 사용 비용은 3D 모델의 실행 횟수 당 비용(예컨대, CPC(Cost Per Click), CPM(Cost Per Mille), CPP(Cost Per Page) 등 3D 모델이 표시될 때마다 비용이 발생하는 방식)을 토대로 실행횟수를 집계하여 합산될 수 있고, 또는 3D 모델 사용 이후의 후속 행위를 기반으로 산출될 수 있다. 후속 행위는 3D 모델 사용 후 구매까지 이어진 횟수 또는 비용을 기반으로 산출될 수도 있다. 일 예에서, 3D 모델의 실행 횟수 또는 구매 횟수당 사용 비용은 상품마다 다르게 책정될 수 있다. 또는, 3D 모델 실행 이후 광고 관련 비용을 기반으로 3D 모델 사용 비용이 책정될 수 있다. 일 예에서, 3D 모델을 사용한 후 특정 광고를 방문자가 시청하게 되었다면, 광고와 관련된 수익 중 적어도 일부에 대한 금액을 산정하여 3D 모델의 사용 비용으로 활용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3D 모델의 복잡도 및 제작 전문성이 도입된 정도에 따라 다르게 책정될 수 있다. 또한, 3D 모델 자체와 AR 모델은 동일 비용으로 책정될 수도 있고, 서로 다른 비용으로 책정될 수도 있다. 이러한 3D 모델의 사용에 따른 수수료(fee schedule)는 상품 3D 모델 관리 서버가 미리 보유하고 있을 수 있다. 이러한 3D 모델의 비용 산정 기준 및 예시적인 비용은 상품의 업로드시 상품 판매자 및/또는 오픈 마켓 운영자에게 제공되어 3D 모델의 연동 여부 결정에 참고할 수 있도록 한다.
위와 같이 과정을 거쳐 산정된 비용은 오픈 마켓 운영자 및/또는 상품을 오픈 마켓에 업로드한 상품 판매자와 연관된 계좌로 미리 정해진 날짜에 청구될 수 있다(S530).
도 6은 도 1의 시스템 중 상품 3D 모델 관리 서버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는 입력부(610), 출력부(620), 프로세서(630), 통신부(640) 및 메모리(65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입력부(610)는 신호라인을 통해 상기 프로세서(630)와 연결되며, 상품 3D 모델의 관련 정보, 사용 비용 정보 등의 사용자 입력에 따른 정보들을 입력받는다. 입력부(610)는 키보드, 마우스, 터치 패드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630)의 3D 모델 및 3D 모델 사용에 따른 비용 산출 연산 결과 또는 위의 결과를 도출하기 위한 각종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출력부(620)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출력부(620)는 디스플레이부, 스피커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통신부(640)는 다른 장치(예컨대, 오픈 마켓 서버, 결제 게이트웨이, 사용자 단말 등)와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되며, 상기 다른 장치들로부터 각종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자신이 전송하고자 하는 정보를 송신한다. 수신된 데이터는 프로세서(630)로 전달되어 처리된다.
메모리(650)는 다른 신호라인을 통해 상기 프로세서(630)와 연결된다. 상기 메모리(650)는 모바일 프로그램 상에서 실행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모델과 상품 메타 데이터와의 연관 알고리즘, 3D 모델 사용 비용 산출 알고리즘 등을을 저장하며, 이외에도 프로세서(930)의 연산 동작에 관련된 프로그램과 모바일 기기의 모바일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630)는 입력부(610), 출력부(620), 통신부(640), 메모리(650)와 연결된다. 프로세서(630)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CPU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630)는 상품 데이터 매칭 모듈, 결제 트래킹 모듈 및 비용 산정 모듈을 포함한다. 상품 데이터 매칭 모듈은 오픈 마켓 서버로부터의 상품과 3D 모델의 연동 요청에 대응하여 오픈 마켓 서버의 해당 상품에 대한 메타데이터와 3D 모델을 매칭시킨다. 매칭에 따라 3D 모델은 상기 오픈 마켓 서버의 구매 URL에서 표시될 수 있도록 한다. 결제 트래킹 모듈은 3D 모델이 연동되는 상품의 결제와 관련된 데이터를 트래킹하고, 결제 내역 정보가 획득되면 이를 비용 산정 모듈로 제공한다. 도 6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3D 모델의 실행과 관련된 데이터(3D 모델 관련 아이콘의 클릭 행위, 실제 3D 모델 재생 행위 등)도 트래킹될 수 있다.
비용 산정 모듈은 3D 모델의 사용 및 결제와 관련된 데이터를 집계하여 각 오픈 마켓 및/또는 상품 판매자에게 청구할 금액을 산정한다. 그리고는, 산정된 금액이 당사자들에게 청구될 수 있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630)는 미리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스마트 폰과 같은 휴대용 통신 단말기의 통신 및 멀티미디어 운영을 위한 제반 동작을 제어한다.
이상 도면 및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상기 도면 또는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으며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2)

  1. 복수 개의 상품들에 대한 3D 모델들을 저장소에 보유하는 단계, 상기 3D 모델들 중 적어도 일부는 사용자 단말에서 실행되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가상으로 상품을 체험할 수 있도록 그래픽적으로 구현됨;
    오픈 마켓 서버로부터의 제 1 상품에 대한 3D 모델 연동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오픈 마켓 서버의 상기 제 1 상품에 대한 메타 데이터와 상기 제 1 상품에 대한 3D 모델을 연관시키는 단계;
    상기 오픈 마켓 서버에서 관리하는 웹 페이지에 방문한 방문자에 의해 발생되는 상기 제 1 상품에 대한 3D 모델의 실행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실행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3D 모델의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의 실행을 허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3D 모델이 사람이 착용하는 패션 상품의 모델인 경우,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피사체의 소정 특징점을 기반으로 상기 3D 모델이 적용되며,
    상기 3D 모델이 소정 공간에 배치되는 진열 상품의 모델인 경우,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소정 영역의 공간에 관한 형상이 인식되고, 상기 소정 영역의 공간이 선택되면 상기 소정 영역의 공간에 상기 3D 모델이 적용되도록 제어하는, 전자상거래에서 상품의 가상 체험을 지원하기 위한 3D 모델을 사용하도록 허여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관시키는 단계는,
    상기 오픈 마켓 서버에서 제 1 상품을 등록할 때, 상기 오픈 마켓 서버로부터 상기 제 1 상품에 대한 3D 모델의 존재 여부에 대한 질의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질의에 대응하여 상기 제 1 상품에 대한 3D 모델을 상기 저장소에서 검색하는 단계;
    검색 결과를 상기 오픈 마켓 서버로 반환하는 단계; 및
    검색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제 1 상품의 3D 모델을 상기 오픈 마켓 서버의 제 1 상품에 대한 메타 데이터와 연관시켜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상거래에서 상품의 가상 체험을 지원하기 위한 3D 모델을 사용하도록 허여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3D 모델은 상기 오픈 마켓 서버에서 관리되는 상품의 구매 URL과 연동되는, 전자상거래에서 상품의 가상 체험을 지원하기 위한 3D 모델을 사용하도록 허여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3D 모델의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의 실행을 허여함에 대응하여 상기 제 1 상품의 3D 모델에 대한 사용 비용을 상기 오픈 마켓 서버와 연관된 계좌 및 상기 제 1 상품의 판매자와 연관된 계좌 중 적어도 하나로 청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상거래에서 상품의 가상 체험을 지원하기 위한 3D 모델을 사용하도록 허여하는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3D 모델 사용 비용은 상기 방문자의 제 1 상품에 대한 3D 모델의 실행 횟수 정보 및 상기 3D 모델의 실행에 후속하여 이루어진 행위와 연관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산정되는, 전자상거래에서 상품의 가상 체험을 지원하기 위한 3D 모델을 사용하도록 허여하는 방법.
  6. 삭제
  7. 복수 개의 상품들에 대한 3D 모델들을 보유하는 저장소, 상기 3D 모델들 중 적어도 일부는 사용자 단말에서 실행되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가상으로 상품을 체험할 수 있도록 그래픽적으로 구현됨;
    프로세서의 동작을 실행하는 지시어를 포함하는 메모리; 및
    오픈 마켓 서버로부터의 제 1 상품에 대한 3D 모델 연동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오픈 마켓 서버의 상기 제 1 상품에 대한 메타 데이터와 상기 제 1 상품에 대한 3D 모델을 연관시키고, 상기 오픈 마켓 서버에서 관리하는 웹 페이지에 방문한 방문자에 의해 발생되는 상기 제 1 상품에 대한 3D 모델의 실행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3D 모델의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의 실행을 허여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3D 모델이 사람이 착용하는 패션 상품의 모델인 경우,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피사체의 소정 특징점을 기반으로 상기 3D 모델이 적용되며,
    상기 3D 모델이 소정 공간에 배치되는 진열 상품의 모델인 경우,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소정 영역의 공간에 관한 형상이 인식되고, 상기 소정 영역의 공간이 선택되면 상기 소정 영역의 공간에 상기 3D 모델이 적용되도록 제어하는, 전자상거래에서 상품의 가상 체험을 지원하기 위한 3D 모델을 사용하도록 허여하는 장치.
  8. 상품 판매자의 단말로부터 오픈 마켓의 구매 웹 페이지에 제 1 상품을 등록시키기 위한 등록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등록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제 1 상품과 관련된 3D 모델을 상기 제 1 상품과 연관시키기 위한 연관 요청을 상품 3D 모델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3D 모델은 사용자 단말에서 실행되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가상으로 상품을 체험할 수 있도록 그래픽적으로 구현됨; 및
    상기 상품 3D 모델 관리 서버에서의 상기 연관 요청에 대한 처리에 후속하여 상기 제 1 상품과 상기 3D 모델을 연관시켜 상기 구매 웹 페이지에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3D 모델이 사람이 착용하는 패션 상품의 모델인 경우,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피사체의 소정 특징점을 기반으로 상기 3D 모델이 적용되며,
    상기 3D 모델이 소정 공간에 배치되는 진열 상품의 모델인 경우,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소정 영역의 공간에 관한 형상이 인식되고, 상기 소정 영역의 공간이 선택되면 상기 소정 영역의 공간에 상기 3D 모델이 적용되도록 제어하는, 오픈 마켓 서버에서 상품과 3D 모델을 연관시켜 웹 페이지에 등록하는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연관 요청을 상품 3D 모델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등록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제 1 상품과 관련된 3D 모델을 보유하고 있는지 상기 상품 3D 모델 관리 서버로 질의하는 단계;
    상기 상품 3D 모델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제 1 상품과 관련된 3D 모델을 보유하고 있는지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응답을 기반으로 상기 연관 요청을 상기 상품 3D 모델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오픈 마켓 서버에서 상품과 3D 모델을 연관시켜 웹 페이지에 등록하는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3D 모델은 상기 오픈 마켓 서버에서 관리되는 상품의 구매 URL과 연동되는, 오픈 마켓 서버에서 상품과 3D 모델을 연관시켜 웹 페이지에 등록하는 방법.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구매 웹 페이지 상에서 상기 3D 모델을 실행시키는 아이콘이 상기 제 1 상품의 상세 정보와 함께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오픈 마켓 서버에서 상품과 3D 모델을 연관시켜 웹 페이지에 등록하는 방법.
  12. 상품 판매자의 단말로부터 오픈 마켓의 구매 웹 페이지에 제 1 상품을 등록시키기 위한 등록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제 1 상품과 관련된 3D 모델을 상기 제 1 상품과 연관시키기 위한 연관 요청을 상품 3D 모델 관리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상품 3D 모델 관리 서버에서의 상기 연관 요청에 대한 처리에 후속하여 상기 제 1 상품과 상기 3D 모델을 연관시켜 상기 구매 웹 페이지에 등록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의 동작과 관련된 지시어를 포함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되,
    상기 3D 모델은 사용자 단말에서 실행되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가상으로 상품을 체험할 수 있도록 그래픽적으로 구현되고,
    상기 3D 모델이 사람이 착용하는 패션 상품의 모델인 경우,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피사체의 소정 특징점을 기반으로 상기 3D 모델이 적용되며,
    상기 3D 모델이 소정 공간에 배치되는 진열 상품의 모델인 경우,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소정 영역의 공간에 관한 형상이 인식되고, 상기 소정 영역의 공간이 선택되면 상기 소정 영역의 공간에 상기 3D 모델이 적용되도록 제어하는, 상품과 3D 모델을 연관시켜 웹 페이지에 등록하는 장치.
KR1020200004497A 2020-01-13 2020-01-13 전자상거래에서 상품의 가상 체험을 지원하기 위한 3d 모델의 사용을 허여하는 방법 및 장치, 및 오픈 마켓 서버에서 상품과 3d 모델을 연관시켜 웹 페이지에 등록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사용하는 장치 KR1024394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4497A KR102439476B1 (ko) 2020-01-13 2020-01-13 전자상거래에서 상품의 가상 체험을 지원하기 위한 3d 모델의 사용을 허여하는 방법 및 장치, 및 오픈 마켓 서버에서 상품과 3d 모델을 연관시켜 웹 페이지에 등록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사용하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4497A KR102439476B1 (ko) 2020-01-13 2020-01-13 전자상거래에서 상품의 가상 체험을 지원하기 위한 3d 모델의 사용을 허여하는 방법 및 장치, 및 오픈 마켓 서버에서 상품과 3d 모델을 연관시켜 웹 페이지에 등록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사용하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1008A KR20210091008A (ko) 2021-07-21
KR102439476B1 true KR102439476B1 (ko) 2022-09-05

Family

ID=771437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4497A KR102439476B1 (ko) 2020-01-13 2020-01-13 전자상거래에서 상품의 가상 체험을 지원하기 위한 3d 모델의 사용을 허여하는 방법 및 장치, 및 오픈 마켓 서버에서 상품과 3d 모델을 연관시켜 웹 페이지에 등록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사용하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947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1069B1 (ko) * 2021-11-03 2024-01-09 (주) 씨이랩 가상피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거래 중개 시스템 및 이의 방법
KR102621073B1 (ko) * 2021-11-08 2024-01-09 (주) 씨이랩 가상피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플랫폼 상의 거래 중개 시스템에 포함된 컴퓨팅 장치 및 이의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4999B1 (ko) * 2016-04-01 2017-04-07 주식회사 포켓메모리 가상 쇼핑 방문자 단말기와 가상 쇼핑 서버를 포함하는 가상 쇼핑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3732B1 (ko) * 1999-11-23 2003-05-14 배영주 전자 상거래 상품 정보 제공 시스템과 그 제공 방법 및이를 구축한 전자 기록 매체
KR20000063857A (ko) * 2000-08-01 2000-11-06 이성종 인터넷 상에서 온라인 3d 이미지를 제공하는 방법 및시스템
KR20160013451A (ko) * 2014-07-25 2016-02-04 한상선 증강현실 애플리케이션을 접목한 제품현시시스템
KR102139126B1 (ko) * 2018-04-23 2020-07-29 주식회사 로로젬 액세서리 판매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4999B1 (ko) * 2016-04-01 2017-04-07 주식회사 포켓메모리 가상 쇼핑 방문자 단말기와 가상 쇼핑 서버를 포함하는 가상 쇼핑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1008A (ko) 2021-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15288B2 (en) Useful and novel shopping application
JP6061309B2 (ja) 関連商品情報を表示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
CN106164837A (zh) 图像评估
US9817846B1 (en) Content selection algorithms
CN108520453A (zh) 一种基于实体商业的线上全景购物方法及系统
CN106127554A (zh) 基于虚拟现实、增强现实相结合的商业系统
US2023032590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commending 2d image
KR100896613B1 (ko) 쇼핑몰 사이트 운영 방법
KR102439476B1 (ko) 전자상거래에서 상품의 가상 체험을 지원하기 위한 3d 모델의 사용을 허여하는 방법 및 장치, 및 오픈 마켓 서버에서 상품과 3d 모델을 연관시켜 웹 페이지에 등록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사용하는 장치
KR101765415B1 (ko) 판매자와 판매대행자 간의 연결 및 수익공유를 제공하는 판매대행 서비스 제공방법 및 제공장치
KR20200144823A (ko)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전자 상거래 중개 시스템 및 방법
WO202313362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customized augmented reality video
US2022033791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ustomizing live video streams
KR101563617B1 (ko) 사용자의 인체모형을 이용한 시뮬레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740623B1 (ko) 온라인 마케팅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501965B1 (ko) 상업화 모델 구현을 위한 메타버스 시스템 구현 서버, 장치 및 그들의 작동 방법
KR20200044197A (ko) 머신러닝 기반의 의류 핏 추천 장치
KR102269643B1 (ko) 블록체인을 이용한 o2o 기반의 종합 이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KR101644172B1 (ko) 고객이 구매하여 제공하는 상품 관련 이미지 또는 영상 정보에 기초한 상품 판매 방법
KR20220086967A (ko) Ar 기반 공동구매 서비스 제공 장치, 방법 및 시스템
US20150178821A1 (en) Interactive try-on platform for electronic commerce
CN111222934A (zh) 信息发布方法、装置及计算机系统
KR102544595B1 (ko) 가상 공간과 실제 아이템을 판매하는 플랫폼을 연계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2023031638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product data on mobile user interfaces
US2024004632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deling real-world objects in virtual scen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