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44823A -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전자 상거래 중개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전자 상거래 중개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44823A
KR20200144823A KR1020190072948A KR20190072948A KR20200144823A KR 20200144823 A KR20200144823 A KR 20200144823A KR 1020190072948 A KR1020190072948 A KR 1020190072948A KR 20190072948 A KR20190072948 A KR 20190072948A KR 20200144823 A KR20200144823 A KR 202001448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user application
customer
market
pro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29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75132B1 (ko
Inventor
김진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매지니어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매지니어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매지니어스
Priority to KR10201900729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5132B1/ko
Publication of KR202001448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48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51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51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1Item recommend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09Buyer or seller confidence or verif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3Third-party assist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G06Q30/0643Graphical representation of items or shopper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 상거래 중개 시스템을 개시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고객이 자신의 단말에 설치된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개인화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기반으로 하여 자신에게 적합한 상품을 추천받아 구매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전자 상거래 중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온라인 마켓을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자신이 소지한 스마트폰 등의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상품에 대한 가상피팅을 수행해 보도록 함으로써 직적 오프라인의 매장에 방문하지 않아도 상품을 착용 본 것과 같은 결과를 확인하여 쇼핑에 참조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전자 상거래 중개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INTERMEDIATING ELECTRONIC COMMERCE USING USER APPLICATION}
본 발명은 전자 상거래 중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고객이 자신의 단말에 설치된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개인화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기반으로 하여 자신에게 적합한 상품을 추천받아 구매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전자 상거래 중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정보기술의 발전에 따라, 종래 원격지간 전화통화 기능 또는 메시지 전송기능만을 제한적으로 제공하는 모바일 단말장치는 현재 그 성능이 대폭 활용됨에 따라, 인터넷 접속, 전자문서 생성 등의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특히,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단말장치는 정보통신망 접속 기능 이외에도, 음원 및 영상 재생기능, 피사체를 촬영하여 영상을 생성하는 촬영기능, 위치정보에 따른 전자지도 제공기능 등 다양한 기능을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을 설치 및 실행함으로써 제공할 수 있다. 이중, 모바일 단말장치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새로운 형태의 디지털 콘텐츠를 생성하는 증강현실(AR) 기능까지 구현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현재 모바일 단말장치는 정보통신만을 통해 온라인 상에서 운영중인 다수의 전자 상거래 서버, 즉 쇼핑몰 서버에 접속할 수 있고, 그로부터 상품정보를 제공받아 확인하며, 상품을 직접 주문하여 구매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운영중인 온라인 쇼핑몰에 의한 전자 상거래 방법에 의하면, 사용자 어플리케이션 또는 웹 브라우저를 통해 해당 쇼핑몰 서버의 웹 사이트에 접속하여 상품에 대한 이미지, 설명 등을 확인하고, 공지의 온라인 결제수단을 통해 구입대금을 지불 및 배송 받는 방식으로 진행될 뿐이다. 이에 따라 고객이 오프라인 상의 매장에서 직접 상품을 확인하거나 착용하여 자신에게 최적의 상품을 선택할 수는 없으며, 이러한 한계에 따라 온라인 구매방식보다 전통적인 오프라인 구매방식을 선호하는 고객들도 상당수 존재하고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06257호(공개일자: 2017.01.17.)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고객이 온라인 마켓에 게시된 다양한 상품 구매에 대한 전자 상거래 서비스를 소지한 스마트폰 등의 사용자 단말을 통해 이용할 수 있도록 하되, 증강현실 기술을 통해 고객이 자신에게 적합한 상품을 가상 착용해 보고 구매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전자 상거래 중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과제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고객이 자신의 얼굴, 체형 등을 촬영하여 그 신체적 특징을 수치화한 개인화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중개서버에 제공하여 개인화 정보에 대한 분석결과에 의해 추출된 하나 이상의 상품을 추천하는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전자 상거래 중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다른 과제가 있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상거래 시스템은, 정보통신망을 통해 접속한 고객에게 상품 구매를 위한 온라인 마켓을 제공하는 중개서버를 포함하는 전자 상거래 시스템으로서, 상기 중개서버는 고객의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사용자 어플리케이션과 연동하는 단말 연동부, 복수의 상품에 대한 상품정보가 게시되는 마켓을 상기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에 제공하는 마켓 제공부, 상기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의 요청에 따라 상기 마켓 내 판매중인 하나 이상의 상품에 대한 구매절차를 처리하는 구매절차 처리부, 상기 상품정보 및 등록된 고객에 대한 회원정보가 저장되는 서버 데이터 베이스 및 상기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수신한 고객의 개인화 정보를 분석하고, 고객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개인화 상품을 추출하여 상기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에 제공하는 개인화 정보 분석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개서버는, 상기 고객에 대한 회원가입, 로그인 및 탈퇴절차를 수행하고, 상기 회원정보를 생성, 갱신 및 삭제하는 회원 관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원 관리부는 고객별로 상기 개인화 정보를 식별하여 상기 서버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중개서버는, 쇼핑몰 서버에서 운영하는 하나 이상의 마켓을 등록하는 마켓 등록부 및 상기 쇼핑몰 서버로부터 하나 이상의 상품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서버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는 상품정보 수집부를 포함하고, 상기 개인화 정보 분석부는 개인화 정보의 분석결과에 따라, 상기 서버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상품정보를 검색하여 해당 고객의 특성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상품을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은, 고객을 촬영하여 실시간으로 고객영상을 생성하는 촬영부, 상기 고객영상에 기초하여 고객의 얼굴 및 체형 중, 하나 이상에 대한 특징을 나타내는 개인화 정보를 생성하는 개인화 정보 생성부, 상기 고객영상에 하나 이상의 상품에 관한 이미지를 증강현실 기술을 통해 중첩시켜 하나 이상의 가상의 피팅 화면을 제공하는 가상 착용부, 상기 마켓에 접속하여 고객이 입력한 키워드에 따른 하나 이상의 상품에 대한 검색결과를 수신하여 화면에 표시는 상품 검색부, 상기 마켓에 게시된 하나 이상의 상품 중, 고객에 의해 선택된 하나 이상의 상품에 대한 주문을 요청하는 구매 요청부 및 상기 개인화 정보 및 고객에 의한 상품주문 내역이 저장되는 단말 저장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개인화 정보를 상기 중개서버에 전송하여 상기 마켓에 게시된 하나 이상의 상품에 대한 추천정보를 요청하는 상품 추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천정보는, 상기 개인화 정보의 분석결과에 기초하여 추출된 하나의 동일상품에 대하여 둘 이상의 마켓간 가격비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양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상거래 중개 방법은, 상기의 기재된 중개서버에 의한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전자 상거래 중개 방법으로서, 하나 이상의 쇼핑몰 서버로부터 운영중인 하나 이상의 마켓의 등록을 요청받아 등록하는 단계, 상기 마켓에 게시된 복수의 상품에 대한 상품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의 요청에 따라 등록된 하나 이상의 마켓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수신한 고객의 개인화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 고객의 특징에 대응하여 추출한 하나 이상의 개인화 상품을 포함하는 추천정보를 상기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에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의 주문에 따라, 고객이 선택한 상기 마켓 내 판매중인 하나 이상의 상품에 대한 구매절차를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상품에 대한 상품정보가 게시되는 마켓을 상기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에 제공하는 단계 및 고객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개인화 상품을 추출한 추천정보를 상기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에 제공하는 단계 사이에, 상기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상기 개인화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개인화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개인화 정보의 분석결과를 이용하여 서버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상품정보를 검색하고, 해당 고객의 특성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상품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천정보는, 고객별 등록된 회원등급에 따라 제공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온라인 마켓을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자신이 소지한 스마트폰 등의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상품에 대한 가상 피팅을 수행해 보도록 함으로써 직접 오프라인의 매장에 방문하지 않아도 상품을 착용 본 것과 같은 결과를 확인하여 쇼핑에 참조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을 통해 촬영한 고객 자신의 얼굴, 체형 등을 통해 개인화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중개서버에 제공함으로써 중개서버의 분석에 따라 자신에게 적합한 상품을 추천받아 쇼핑에 참조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전자 상거래 중개 시스템의 전체 구조에 대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의 구조에 관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예 따른 전자 상거래 중개 시스템의 중개서버의 구조에 관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상거래 중개 방법에 관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화면의 일 예에 관한 도면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구비" 또는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Unit)", "...서버(Server)" 및 "...시스템(System)"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실시예"라는 용어는 예시, 사례 또는 도해의 역할을 하는 것을 의미하나, 발명의 대상은 그러한 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포함하는", "구비하는", "갖는" 및 다른 유사한 용어가 사용되고 있으나, 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경우 임의의 추가적인 또는 다른 구성요소를 배제하지 않는 개방적인 전환어(Transition word)로서 "포함하는(Comprising)"이라는 용어와 유사한 방식으로 포괄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다양한 기법은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와 함께 구현되거나, 적합한 경우에 이들 모두의 조합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은 "...부(Unit)", "...서버(Server)" 및 "...시스템(System)" 등의 용어는 마찬가지로 컴퓨터 관련 엔티티(Entity), 즉 하드웨어,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 소프트웨어 또는 실행 시의 소프트웨어와 등가로 취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프로그램에서 실행되는 각 기능은 모듈단위로 구성될 수 있고, 하나의 물리적 메모리에 기록되거나, 둘 이상의 메모리 및 기록매체 사이에 분산되어 기록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전자 상거래 중개 시스템 및 방법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전자 상거래 중개 시스템의 전체 구조에 대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상거래 중개 시스템은, 고객의 사용자 단말(10)에 설치 및 실행되고, 정보 통신망을 통해 온라인 상의 마켓에 포함되는 사용자 어플리케이션(100), 정보통신망을 통해 사용자 단말과 연결되어 등록된 하나 이상의 온라인 쇼핑몰을 제공함과 아울러 쇼핑을 위한 추천정보를 제공하는 중개서버(200) 및 중개서버(200)에 현재 운영중인 마켓을 등록하여 본 발명의 시스템을 통해 상품을 판매하는 쇼핑몰 서버(30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어플리케이션(100)은 고객의 소지한 스마트폰, 태블릿PC 등에 설치 및 실행되어 정보통신망을 통해 중개서버(200)에 접속하고, 중개서버(200)에 의해 온라인 상에 게시된 하나 이상의 마켓을 이용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다.
이러한 사용자 어플리케이션(100)은 마켓에 전시된 다수의 상품에 대한 상품정보를 수신하여 화면상에 표시하고, 고객에 의해 선택된 상품에 대한 주문절차를 온라인 상에서 수행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어플리케이션(100)은 사용자 단말(10)에 탑재된 카메라를 통해 고객의 모습을 촬영하여 고객영상을 획득하고, 고객이 착용하는 상품, 예를 들면 안경, 의복, 귀걸이 및 목걸이 등의 악세서리 등에 대하여 증강현실 기술을 통해 가상 피팅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다.
일례로서, 고객이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이 안경인 경우, 사용자 어플리케이션(100)은 고객이 자신의 얼굴을 직접 촬영하고, 마켓에 게시된 다양한 디자인의 안경상품 중, 선택된 하나를 상품정보에 포함된 모델링 데이터를 이용하여 증강현실 기술 기반으로 중첩하여 화면상에 표시함으로써, 고객이 안경상품을 착용한 모습을 직접 확인한 후 안경구매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어플리케이션(100)은 고객이 촬영한 얼굴에 대하여 영상처리를 통해 복수의 특징점, 일례로서 68개의 특징점을 추출하고, 그 특정점을 일정한 규칙에 따라 연결함으로써 개인의 얼굴유형, 특징, 개성 파악 및 분석할 수 있는 개인화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만약, 특징점이 68개라고 가정하면, 이를 잇는 직선의 경우의 수는 68C2 이므로 총 2278개가 되며, 2278개의 길이 데이터의 조합으로 얼굴의 형상을 특정할 수 있다. 특히 각 특징점이 결정되면, 각 특징점간 거리는 서로 연관되며, 얼굴형상을 그대로 반영함에 따라 어느 하나의 특징점의 길이를 직접 입력받아 타 특징점간 거리를 산출할 수 있게 된다.
사용자 어플리케이션(100)은 이렇게 측정된 실측 길이들의 조합을 한 사람의 개성을 반영하는 유형으로 판단하여 개인화 정보를 생성하게 된다. 이러한 개인화 정보는 이후 중개서버(200)에 제공되어 분석을 통해 해당 고객과 얼굴형이 비슷한 타 고객들이 선호하는 상품을 개인화 상품으로서 추천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전술한 사용자 단말(10)로는,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 및 거치형PC, 노트북과 같은 컴퓨팅 장치를 포함하는 장치가 이용될 수 있다.
중개서버(200)는 정보통신망을 통해 사용자 어플리케이션(100)과 연동하는 서버장치로서, 다수의 일반마켓, 오픈마켓 등이 등록될 수 있고, 등록된 마켓에서 판매중인 상품들의 상품정보를 사용자 어플리케이션(100)에 제공할 수 있다.
중개서버(200)는 본 발명의 시스템을 통해 상품을 판매하고자 하는 마켓 또는 그 마켓을 운영하는 쇼핑몰 운영측의 요청에 따라, 마켓을 등록하고, 각 마켓으로부터 상품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여 중개서버(200)를 통해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에게 제공함으로써 중개 플랫폼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마켓에 게시된 상품들은 시스템 운영측이 제작한 웹 사이트 상에 링크(link)되어 사용자 단말(10)에 제공될 수 있고, 또는 해당 쇼핑몰 서버(300)의 마켓 웹 페이지로 접속한 사용자 단말(10)을 리다이렉션(redirection)하는 방식으로 사용자 단말(10)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중개서버(200)는 사용자 어플리케이션(100)로부터 제공되는 개인화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고객의 외형에 따른 특징을 분석하고, 이에 따른 개인화 상품을 추천할 수 있다.
전술한 중개서버(200)로는 다수의 마켓 및 상품에 대한 정보를 처리하고, 사용자 단말(10)의 요청에 응답함에 따라 해당 절차를 지연없이 처리하기 위해 고성능의 프로세서 및 대용량의 저장공간을 갖는 워크스테이션 등을 포함하는 서버 장치가 이용될 수 있다.
쇼핑몰 서버(300)는 다양한 종류의 상품을 판매하는 업체가 온라인 마켓을 개설하여 마켓 웹 사이트를 운영하는 쇼핑몰의 서버장치로서, 공지의 온라인 쇼핑몰 업체인, 옥션, 인터파크, 11번가, Amazon 등이 운영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쇼핑몰 서버(300)에서 마켓을 개설한 업체들은 회원 등록을 위해 중개서버(200)에 접속하여 회원 등록을 요청 및 그 절차를 수행할 수 있고, 이때 업체 및 상품에 대한 각종 정보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이후, 등록된 마켓을 통한 상품주문이 접수되면, 쇼핑몰 서버(300)는 중개서버(200)를 통해 전달된 주문정보에 따라 해당 사용자 단말(10)과 직접 연결될 수 있고, 결제, 배송 등의 공지의 상품주문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물류업체를 통한 배송이 시작되면, 그 배송정보를 사용자 단말(1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시스템 운영측은 등록된 업체측으로부터 판매수수료, 광고비에 따른 수익을 창출할 수 있고, 업체측에서는 시스템 운영측으로부터 고객을 연결받아 매출을 발생시키게 된다.
전술한 구조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전자 상거래 중개 시스템은 고객들이 자신의 모바일 단말을 이용하여 증강현실 기술에 기반한 가상의 피팅을 수행해봄으로써 자신에게 적합한 상품을 구매할 수 있으며, 자신의 외형 특징에 따라 적합한 상품을 추천 받을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예 따른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의 구조에 관한 도면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각 구성부는 공지의 프로그래밍 언어에 의해 작성된 프로그램 모듈로 구성될 수 있고, 사용자 단말에 탑재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가능하며, 읽고 쓰기가 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되어 사용자 단말에 탑재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어플리케이션(100)은, 고객을 촬영하여 실시간으로 고객영상을 생성하는 촬영부(110), 고객영상에 기초하여 고객의 얼굴 및 체형 중, 하나 이상에 대한 특징을 나타내는 개인화 정보를 생성하는 개인화 정보 생성부(120), 고객영상에 하나 이상의 상품에 관한 이미지를 증강현실 기술을 통해 중첩시켜 하나 이상의 가상의 피팅 화면을 제공하는 가상 착용부(130), 마켓에 접속하여 고객이 입력한 키워드에 따른 하나 이상의 상품에 대한 검색결과를 수신하여 화면에 표시는 상품 검색부(140), 마켓에 게시된 하나 이상의 상품 중, 고객에 의해 선택된 하나 이상의 상품에 대한 주문을 요청하는 구매 요청부(150), 개인화 정보 및 고객에 의한 상품주문 내역이 저장되는 단말 저장소(160) 및 개인화 정보를 중개서버에 전송하여 마켓에 게시된 하나 이상의 상품에 대한 추천정보를 요청하는 상품 추천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촬영부(110)는 사용자 단말에 탑재된 카메라를 제어하여 고객 즉, 사용자의 얼굴, 체형 등의 모습을 촬영하고, 그 고객영상을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개인화 정보 생성부(120)는 획득된 고객영상에 기초하여 복수의 특징점을 설정할 수 있다. 특히, 고객영상이 얼굴에 관한 영상이고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이 안경인 경우, 개인화 정보 생성부(120)는 고객 얼굴 내 복수의 특징점을 설정하여 이웃한 특징점을 연결하고, 어느 하나의 특징점 연결선의 실제 길이를 입력받아 전체 얼굴형상의 치수를 산출하여 개인화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가상 착용부(130)는 생성된 개인화 정보에 따라 안경상품의 상품정보에 포함된 안경이미지를 변환하고, 화면상의 얼굴영역에 중첩시켜 표시함으로써 가상착용을 구현하게 된다.
특히, 가상 착용부(130)는 산출된 얼굴 각 부위의 길이에 따라 안경이미지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고, 얼굴영상의 두 눈이 안경의 렌즈에 대응하도록 위치시켜 고객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가상 착용부(130)는 얼굴영상에서 눈 부분을 추적하여 안경이미지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얼굴의 각도가 달라지더라도 자연스러운 증강현실 화면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품 검색부(140)는 고객으로부터 검색하고자 하는 상품의 종류, 카테고리, 상품명 등의 정보를 입력받아 중개서버에 질의하여 현재 각 마켓에서 판매중인 상품정보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품 검색부(140)는 중개서버로부터 질의에 따른 상품 리스트를 회신 받을 수 있고, 각 상품별로 판매 마켓, 가격 등을 인기순, 신상품순, 가격 올림차순 또는 가격 내림차순 등의 정렬순서에 따라 화면상에 표시할 수 있다.
구매 요청부(150)는 화면상에 표시된 상품 중, 고객이 어느 하나의 상품을 선택하고, 이에 대한 주문요청을 선택하면 그 주문내용을 중개서버에 전송하여 주문을 요청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주문내용은 각 마켓의 쇼핑몰 서버에 전달되어 이후의 절차가 진행되게 된다.
이러한 구매 요청부(150)는 고객이 특정 상품을 선택, 수량 설정, 배송지 입력 등을 입력할 수 있도록 소정의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제공할 수 있고 입력된 내용은 주문정보로서 중개서버를 통해 쇼핑몰 서버로 전달 및 접수되게 된다.
단말 저장소(160)는 사용자 어플리케이션(100)이 생성한 각종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특히, 단말 저장소(160)에는 사용자 어플리케이션(100)의 기본 설정값과, 계정명 및 결제수단 등의 주문과 관련된 정보가 저장될 수 있고, 생성된 개인화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저장된 개인화 정보는 추후 동일 카테고리의 상품 주문시 다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어플리케이션(100)은 상품 추천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품 추천부(170)는 사용자 어플리케이션(100)이 생성한 개인화 정보를 중개서버에 제공함으로써 중개서버의 분석에 따른 다양한 개인화 상품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대상상품이 안경의 경우, 개인화 정보에 따라 얼굴외형이 결정되고, 그 얼굴외형에 잘 어울리거나 유사한 얼굴형의 타 고객들이 선호하는 상품을 추천정보로서 사용자 어플리케이션(100)에 제공되게 된다.
특히, 사용자 어플리케이션(100)에서 수신하는 추천정보는 개인화 정보의 분석결과에 기초하여 추출된 하나의 동일상품에 대하여 둘 이상의 마켓간 가격비교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고객의 상품 구매 결정시 유용한 정보로서 참조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어플리케이션과 연동하는 중개서버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예 따른 전자 상거래 중개 시스템의 중개서버의 구조에 관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상거래 중개 시스템의 중개서버(200)는 고객의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사용자 어플리케이션(100)과 연동하는 단말 연동부(210), 복수의 상품에 대한 상품정보가 게시되는 마켓을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에 제공하는 마켓 제공부(220), 사용자 어플리케이션(100)의 요청에 따라 마켓 내 판매중인 하나 이상의 상품에 대한 구매절차를 처리하는 구매절차 처리부(230), 상품정보 및 등록된 고객에 대한 회원정보가 저장되는 서버 데이터 베이스(240), 사용자 어플리케이션(100)으로부터 수신한 고객의 개인화 정보를 분석하고, 고객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개인화 상품을 추출하여 사용자 어플리케이션(100)에 제공하는 개인화 정보 분석부(250), 고객에 대한 회원가입, 로그인 및 탈퇴절차를 수행하고, 회원정보를 생성, 갱신 및 삭제하는 회원 관리부(260), 쇼핑몰 서버로부터 하나 이상의 상품정보를 수집하고, 서버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는 상품정보 수집부(270) 및 쇼핑몰 서버(300)에서 운영하는 하나 이상의 마켓을 등록하는 마켓 등록부(280)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 연동부(210)는 사용자 단말에서 실행되는 사용자 어플리케이션(100)과 연동하여 서비스 제공을 위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단말 연동부(210)는 사용자 어플리케이션(100)에 등록된 마켓 웹 사이트를 제공하고, 상품정보를 송신할 수 있으며, 그로부터 상품주문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마켓 제공부(220)는 중개서버(200)에 등록된 하나 이상의 마켓을 웹 사이트 형태로 온라인 상에 게시할 수 있다. 각 마켓은 쇼핑몰 서버(300)에서 지원하는 웹 사이트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마켓 제공부(220)는 이를 취합하여 하나의 웹 사이트로 구축하여 통일된 UI를 제공할 수 있고, 또는 각 마켓 웹 사이트를 그대로 리다이렉션 하여 해당 마켓의 원 UI를 그대로 사용자 어플리케이션(100)에 제공할 수 있다.
구매절차 처리부(230)는 각 마켓 웹 사이트에 게시된 상품들 중에서, 사용자 어플리케이션(100)으로부터 주문 요청된 상품에 대한 구매를 위한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 어플리케이션(100)으로부터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 및 그 개수가 결정되면, 구매절차 처리부(230)는 그 주문내역을 마켓 제공부(220)로부터 감지하고, 해당 마켓을 운영하는 쇼핑몰 서버(300)에 전달하여 주문접수, 결제처리, 배송진행 등의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 본 발명의 중개서버(200)는 고객과 마켓을 중개하는 역할을 함에 따라, 주문이 접수되면, 해당 사용자 어플리케이션과 쇼핑몰 서버(300)를 서로 연결해줌으로써 전술한 절차가 쇼핑몰 서버(300)에 의해 진행되도록 하고, 그 결과만을 수신하여 기록하는 형태로 절차를 처리할 수 있다.
서버 데이터 베이스(240)는 중개서버(200)를 운영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하는 것으로, 등록된 마켓에서 판매되는 상품들의 상품정보 및 등록된 고객에 대한 회원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서버 데이터 베이스(240)에는 각 고객별로 회원정보에 연계하여 사용자 어플리케이션(100)으로부터 제공되는 개인화 정보가 저장될 수 있고, 이는 이후 추천정보를 생성하는 데 활용될 수 있다.
개인화 정보 분석부(250)는 사용자 어플리케이션(100)으로부터 제공되는 개인화 정보를 분석하여 해당 고객의 얼굴, 체형 등에 따라 복수의 특징점이 이루는 특징을 판단하여 개인의 얼굴유형, 특징, 개성 등을 판단하여 최적의 상품을 추천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
즉, 개인화 정보 분석부(250)는 개인화 정보의 분석결과에 따라, 서버 데이터 베이스(240)에 저장된 상품정보를 검색하여 해당 고객의 특성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상품을 추천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개서버(200)에서는 개인화 정보에 기초한 상품 추천정보 제공 서비스에 대하여, 회원등급에 따라 그 제공여부가 결정될 수 있고, 일례로서 무료회원에게는 제공되지 않으나, 유료회원에게는 주기적으로 개인화 정보에 기반한 개인화 상품에 대한 추천정보를 전송하는 정책이 적용될 수 있다.
회원 관리부(26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개서버(200)가 가입된 회원에 대한 전반적인 관리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최초 접속한 고객에 대한 회원가입절차, 회원 가입된 고객의 계정명을 이용한 로그인 절차, 회원 탈퇴절차 등에 대한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회원정보 변경, 상품구매 내역 추가 등의 이벤트 발생시 회원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특히, 회원 관리부(260)는 고객별로 개인화 정보를 식별하여 서버 데이터 베이스(240)에 저장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상품정보 수집부(270)는 등록된 마켓에 게시된 상품에 대한 상품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여 이를 마켓 웹 사이트에 반영할 수 있다. 등록 이후 마켓내 판매중인 상품들은 재고부족 및 추가입고, 신상품 입고 등 다양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고, 이에 따른 고객들의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상품정보 수집부(270)는 각 쇼핑몰 서버(300)의 마켓들에 게시된 상품정보를 웹 크롤링 기법 등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수집하여 변경사항을 파악하고, 중개서버(200)가 제공하는 마켓 웹 사이트에 즉시 반영할 수 있도록 한다. 수집된 상품정보는 서버 데이터 베이스(240)에 반영, 갱신될 수 있다.
마켓 등록부(280)는 본 발명의 시스템을 통해 상품을 판매하고자 하는 마켓 운영측으로부터 자신의 마켓의 등록을 요청 받을 수 있다. 마켓 등록부(280)는 쇼핑몰 서버(300)로부터 해당 마켓에 대한 정보이용권한 및 URL 등의 가입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고, 소정의 절차를 통해 마켓을 등록하고, 마켓 제공부(220)를 통해 사용자 어플리케이션(100)에 제공될 수 있다. 이후, 등록된 마켓에 대해서 상품정보 수집부(270)에 의해 상품정보가 수집되어 마켓 웹 사이트에 반영되게 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상거래 중개 방법을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상거래 중개 방법에 관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상거래 중개 방법은, 마켓 등록 요청 단계(S100), 상품정보 수집 단계(S110), 마켓 제공 요청 단계(S120), 마켓 제공 단계(S130), 개인화 정보 생성 단계(S140), 개인화 정보 제공 단계(S150), 개인화 정보 분석 단계(S160), 추천정보 제공 단계(S170), 상품 주문 단계(S180), 구매 절차 처리 단계(S190) 및 배송 알림(S200)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시스템을 이용하고자 하는 마켓의 쇼핑몰 서버(300)로부터 중개서버(200)가 마켓 등록을 요청 받으면, 중개서버(200)는 해당 마켓과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고, 시스템에 마켓으로 등록하게 된다(S100).
이후, 중개서버(200)는 마켓에 게시된 복수의 상품에 대한 상품정보를 수집하여 마켓 웹 사이트에 게시되는 상품을 지속적으로 갱신한다(S110).
또한, 본 발명의 시스템을 이용하고자 하는 고객이 자신의 사용자 단말(10)을 이용하여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함에 따라, 마켓 웹 사이트의 제공을 요청하고(S120), 그 요청에 응답하여 중개서버(200)가 등록된 마켓 웹 사이트를 사용자 단말(10)에 제공함으로써 온라인 쇼핑을 수행하도록 한다(S130).
다음으로, 고객이 안경, 의복 등의 착용을 위한 상품을 구매하고자 할 때, 가상 피팅 기능을 이용할 수 있고, 고객은 자신의 얼굴 등 신체를 사용자 단말(10)을 통해 촬영하여 개인화 정보를 생성할 수 있고(S140),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은 증강현실 기술을 통해 상품에 대한 가상 피팅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고객은 가상 착용을 통해 해당 상품이 자신의 의도에 부합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전술한 개인화 정보는 중개서버(200)에 제공될 수 있고(S150), 중개서버(200)는 수신한 개인화 정보를 분석하여 해당 고객의 외형에 따른 특징점에 기초하여 고객의 외모 유형, 특징, 개성 등을 판단할 수 있다(S160).
그리고, 중개서버(200)는 S160 단계에 의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그에 어울리는 상품 또는 유사 외모를 갖는 타 고객들이 선호하는 상품 등을 추출하고, 이를 추천정보로서 사용자 단말(10)에 제공하게 된다(S170).
전술한 S150 내지 S170 단계는 회원권한에 따라 제한적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무료회원을 대상으로는 상기의 단계들이 생략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 단말(10)을 통해 고객이 마켓 내 판매중인 하나 이상의 상품을 선택하고, 그 상품에 대한 주문을 요청하면(S180), 중개서버(200)는 그 주문내용을 접수하고, 해당 마켓의 쇼핑몰 서버(300)에 주문내역을 전송함과 아울러 구매절차를 처리한다(S190).
이후, 쇼핑몰 서버(300)의 마켓 측에서는 상품확인, 포장, 배송출고 등의 공지의 상품판매절차를 수행함으로써 상품 거래가 완료되며, 쇼핑몰 서버(300)는 절차진행에 따른 알림, 일례로서 포장완료 후 배송업체에 상품을 위탁함에 따른 배송 알림 등의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10)에 전송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전자 상거래 중개 시스템이 사용자 단말을 통해 제공하는 화면의 일 예를 통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화면의 일 예에 관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은 증강현실 기술에 기반한 사용자 단말(10)을 통한 가상 피팅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고객은 자신의 사용자 단말(10)에 탑재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자신의 신체, 얼굴 등을 촬영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10)은 그 고객영상을 실시간으로 화면(W110)상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고객은 가상 피팅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상품, 일례로서, 마켓 웹 사이트에 게시된 안경상품(W110)을 선택하면,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은 고객영상에서 특징점을 설정하여 개인화 정보를 생성하며, 그 특징점 중, 두 눈에 대응하는 특징점의 위치를 추적하고, 안경상품(W110)의 이미지를 두 눈을 기준으로 자동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가상 피팅을 구현하게 된다.
도 5에서는 피팅 화면(W110)의 하단에 다수의 안경상품의 이미지(W120)가 배열된 화면을 예시하고 있으며, 고객은 안경상품의 이미지(W120) 중, 원하는 안경 이미지를 선택하여 착용한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이후, 고객은 마음에 드는 상품을 선택하여 구매주문을 요청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은 고객의 상품 주문을 위한 UI를 제공할 수 있고, 이러한 상품주문 화면(W200)에는 선택된 상품의 이미지와, 상품의 판매자명, 종류, 상품색상, 상품타입 및 가격 등에 대한 구체적인 상품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고객은 주문전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의 디자인 및 정보를 확인하고 최종적으로 주문을 요청할 수 있다.
상기한 설명에 많은 사항이 구체적으로 기재되어 있으나 이것은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라기보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예시로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발명은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에 균등한 것에 의하여 정하여져야 한다.
10 : 사용자 단말 100 : 사용자 어플리케이션
110 : 촬영부 120 : 개인화정보 생성부
130 :가상 착용부 140 : 상품 검색부
150 : 구매 요청부 160 : 단말 저장소
170 : 상품 추천부 200 : 중개서버
210 : 단말 연동부 220 : 마켓 제공부
230 : 구매절차 처리부 240 : 서버 데이터 베이스
250 : 개인화 정보 분석부 260 : 회원 관리부
270 : 상품정보 수집부 280 : 마켓 등록부
300 : 쇼핑몰 서버

Claims (9)

  1. 정보통신망을 통해 접속한 고객에게 상품 구매를 위한 온라인 마켓을 제공하는 중개서버를 포함하는 전자 상거래 시스템으로서,
    상기 중개서버는,
    고객의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사용자 어플리케이션과 연동하는 단말 연동부;
    복수의 상품에 대한 상품정보가 게시되는 마켓을 상기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에 제공하는 마켓 제공부;
    상기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의 요청에 따라 상기 마켓 내 판매중인 하나 이상의 상품에 대한 구매절차를 처리하는 구매절차 처리부;
    상기 상품정보 및 등록된 고객에 대한 회원정보가 저장되는 서버 데이터 베이스; 및
    상기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수신한 고객의 개인화 정보를 분석하고, 고객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개인화 상품을 추출하여 상기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에 제공하는 개인화 정보 분석부
    를 포함하는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전자 상거래 중개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개서버는,
    상기 고객에 대한 회원가입, 로그인 및 탈퇴절차를 수행하고, 상기 회원정보를 생성, 갱신 및 삭제하는 회원 관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원 관리부는,
    고객별로 상기 개인화 정보를 식별하여 상기 서버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는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전자 상거래 중개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개서버는,
    쇼핑몰 서버에서 운영하는 하나 이상의 마켓을 등록하는 마켓 등록부; 및
    상기 쇼핑몰 서버로부터 하나 이상의 상품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서버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는 상품정보 수집부를 포함하고,
    상기 개인화 정보 분석부는,
    개인화 정보의 분석결과에 따라, 상기 서버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상품정보를 검색하여 해당 고객의 특성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상품을 추출하는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전자 상거래 중개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은,
    고객을 촬영하여 실시간으로 고객영상을 생성하는 촬영부;
    상기 고객영상에 기초하여 고객의 얼굴 및 체형 중, 하나 이상에 대한 특징을 나타내는 개인화 정보를 생성하는 개인화 정보 생성부;
    상기 고객영상에 하나 이상의 상품에 관한 이미지를 증강현실 기술을 통해 중첩시켜 하나 이상의 가상의 피팅 화면을 제공하는 가상 착용부;
    상기 마켓에 접속하여 고객이 입력한 키워드에 따른 하나 이상의 상품에 대한 검색결과를 수신하여 화면에 표시는 상품 검색부;
    상기 마켓에 게시된 하나 이상의 상품 중, 고객에 의해 선택된 하나 이상의 상품에 대한 주문을 요청하는 구매 요청부; 및
    상기 개인화 정보 및 고객에 의한 상품주문 내역이 저장되는 단말 저장소
    를 포함하는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전자 상거래 중개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개인화 정보를 상기 중개서버에 전송하여 상기 마켓에 게시된 하나 이상의 상품에 대한 추천정보를 요청하는 상품 추천부
    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전자 상거래 중개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추천정보는,
    상기 개인화 정보의 분석결과에 기초하여 추출된 하나의 동일상품에 대하여 둘 이상의 마켓간 가격비교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전자 상거래 중개 시스템.
  7. 청구항 1에 기재된 중개서버에 의한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전자 상거래 중개 방법으로서,
    하나 이상의 쇼핑몰 서버로부터 운영중인 하나 이상의 마켓의 등록을 요청받아 등록하는 단계;
    상기 마켓에 게시된 복수의 상품에 대한 상품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의 요청에 따라 등록된 하나 이상의 마켓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수신한 고객의 개인화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
    고객의 특징에 대응하여 추출한 하나 이상의 개인화 상품을 포함하는 추천정보를 상기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에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의 주문에 따라, 고객이 선택한 상기 마켓 내 판매중인 하나 이상의 상품에 대한 구매절차를 처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전자 상거래 중개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상품에 대한 상품정보가 게시되는 마켓을 상기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에 제공하는 단계 및 고객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개인화 상품을 추출한 추천정보를 상기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에 제공하는 단계 사이에,
    상기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상기 개인화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개인화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개인화 정보의 분석결과를 이용하여 서버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상품정보를 검색하고, 해당 고객의 특성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상품을 추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전자 상거래 중개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추천정보는,
    고객별 등록된 회원등급에 따라 제공여부가 결정되는 정보인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전자 상거래 중개 방법.
KR1020190072948A 2019-06-19 2019-06-19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전자 상거래 중개 시스템 및 방법 KR1022751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2948A KR102275132B1 (ko) 2019-06-19 2019-06-19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전자 상거래 중개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2948A KR102275132B1 (ko) 2019-06-19 2019-06-19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전자 상거래 중개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4823A true KR20200144823A (ko) 2020-12-30
KR102275132B1 KR102275132B1 (ko) 2021-07-09

Family

ID=740886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2948A KR102275132B1 (ko) 2019-06-19 2019-06-19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전자 상거래 중개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513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5229B1 (ko) * 2021-10-01 2022-07-01 쿠팡 주식회사 추천 물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30039186A (ko) * 2021-09-14 2023-03-21 김봉건 고객 맞춤형 추천 안경 제공 시스템
KR20240001634A (ko) * 2022-06-27 2024-01-03 네이버 주식회사 라이브 방송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240001631A (ko) * 2022-06-27 2024-01-03 네이버 주식회사 라이브 방송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46653A (ko) * 2010-11-02 2012-05-10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얼굴 및 스타일 인식 기반의 상품 추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60096546A (ko) * 2015-02-05 2016-08-16 김가임 쇼핑을 위한 증강현실 체험 시스템 및 방법
KR20160130206A (ko) * 2016-11-02 2016-11-10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기반 상품 정보 추천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
KR20170006257A (ko) 2015-07-07 2017-01-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실감체험 서비스 제공 시스템, 모바일 기반의 실감체험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190033500A (ko) * 2019-03-19 2019-03-29 주식회사 이베이코리아 스마트폰을 이용한 전자상거래에서의 상품 주문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46653A (ko) * 2010-11-02 2012-05-10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얼굴 및 스타일 인식 기반의 상품 추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60096546A (ko) * 2015-02-05 2016-08-16 김가임 쇼핑을 위한 증강현실 체험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06257A (ko) 2015-07-07 2017-01-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실감체험 서비스 제공 시스템, 모바일 기반의 실감체험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160130206A (ko) * 2016-11-02 2016-11-10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기반 상품 정보 추천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
KR20190033500A (ko) * 2019-03-19 2019-03-29 주식회사 이베이코리아 스마트폰을 이용한 전자상거래에서의 상품 주문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9186A (ko) * 2021-09-14 2023-03-21 김봉건 고객 맞춤형 추천 안경 제공 시스템
KR102415229B1 (ko) * 2021-10-01 2022-07-01 쿠팡 주식회사 추천 물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WO2023054815A1 (ko) * 2021-10-01 2023-04-06 쿠팡 주식회사 추천 물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40001634A (ko) * 2022-06-27 2024-01-03 네이버 주식회사 라이브 방송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240001631A (ko) * 2022-06-27 2024-01-03 네이버 주식회사 라이브 방송 제공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5132B1 (ko) 2021-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42883B2 (en) Integrated online and offline inventory management
KR102275132B1 (ko)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전자 상거래 중개 시스템 및 방법
US1176918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MS e-commerce assistant
CN104281962B (zh) 用于在线系统中的广告和内容的统一市场
CN104978393B (zh) 用于移动公布的方法和系统
US20120173324A1 (en) Dynamic Product/Service Recommendations
KR101231946B1 (ko) 코디네이션시스템을 이용한 상품 판매 및 경영관리시스템
CN110325967A (zh) 速率限制器
US20220261848A1 (en) Micro influencer hyperlinking
KR20200141594A (ko) 상점 간 연계 할인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US2023032590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commending 2d image
KR102348161B1 (ko) 개인별 맞춤 휴대폰 판매 시스템
KR20120030257A (ko) 쇼핑로그 배포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70002246A (ko) 온라인 상에서의 고객의 행동양태에 기초하는 실시간 타겟팅정보제공방법
US2023026024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training and using a machine learning model for matching objects
KR100861805B1 (ko) 개인을 통한 온라인 상거래 중개 방법
Soni et al. E-COMMERCE APPLICATION (Q-Kart).
KR20030031539A (ko) 인터넷 상에서의 대학도서전문 쇼핑몰의 운영방법 및 그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