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6546A - 쇼핑을 위한 증강현실 체험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쇼핑을 위한 증강현실 체험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6546A
KR20160096546A KR1020160011650A KR20160011650A KR20160096546A KR 20160096546 A KR20160096546 A KR 20160096546A KR 1020160011650 A KR1020160011650 A KR 1020160011650A KR 20160011650 A KR20160011650 A KR 20160011650A KR 20160096546 A KR20160096546 A KR 201600965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user
augmented reality
experience
hist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16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가임
김대식
Original Assignee
김가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가임 filed Critical 김가임
Publication of KR201600965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65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4Content authoring
    • H04N21/8549Creating video summaries, e.g. movie trail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Multimedia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쇼핑을 위한 증강현실 체험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온오프라인 쇼핑 시 제품을 실제 시연해 볼 수 있는 증강현실 체험 기능을 적용하고, 이렇게 얻어진 증강현실 체험 히스토리를 설정된 카테고리로 분류하여 관리할 수 있도록 한 쇼핑을 위한 증강현실 체험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여러 온라인 쇼핑몰에서 증강 현실 기반으로 제품을 체험해본 상태의 정보를 추출하여 카테고리별로 분류된 히스토리 저장 공간에 저장하고, 사용자가 추후 해당 쇼핑 히스토리 저장 공간의 카테고리를 선택함에 따라 해당 카테고리에 저장된 체험 상태의 영상 정보를 비교 가능하도록 제공하여 사용자가 한눈에 자신에게 적용된 체험 상태 영상들 중 원하는 것을 용이하게 파악하거나 분류할 수 있고, 선별된 체험 상태 영상 정보에 연동되는 상품 관련 정보를 통해 해당 쇼핑몰에서의 구매 페이지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 편의성을 높이고 복수 쇼핑몰 간 증강현실 연동에 따른 판매를 촉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쇼핑을 위한 증강현실 체험 시스템 및 방법{Augmented reality experience system and method for shopping}
본 발명은 쇼핑을 위한 증강현실 체험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온오프라인 쇼핑 시 제품을 실제 시연해 볼 수 있는 증강현실 체험 기능을 적용하고, 이렇게 얻어진 증강현실 체험 히스토리를 설정된 카테고리로 분류하여 관리할 수 있도록 한 쇼핑을 위한 증강현실 체험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실 생활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서비스라도 오프라인에서만 직접 경험할 수 밖에 없는 서비스들이 다수 있는데 그 중 대표적인 것이 뷰티 및 패션 등이 있다.
구매자가 구매 전 다양한 상품을 구매자의 실모습에 적용 및 비교가 필요한 서비스 중의 하나가 바로 뷰티 및 패션 등이지만, 오프에서 다양한 매장을 직접 방문하여 다양한 상품을 비교 구매하는 방식은 구매자의 시간과 체력에서 많은 비용 소모를 발생하게 하므로 더 큰 비용이 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최근 가상 피팅 서비스나 가상 뷰티 서비스와 같이 사용자의 현실 세계 정보에 제품의 가상 이미지를 결합하여 마치 실제로 옷을 입어보거나 화장을 해 보는 듯한 효과를 제공하는 서비스가 시험적으로 제공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가상 피팅 서비스나 가상 뷰티 서비스는 대부분 오프라인 매장에 구비된 전용 장치들을 이용하여 해당 매장 내의 제품 중 일부에 대해 적용해 볼 수 있도록 되어 있어 접근성이나 선택성이 낮은 문제가 있고, 최근 사용자 단말 장치의 성능이 개선됨에 따라 온라인에서도 사용자가 가상 피팅이나 가상 뷰티 서비스를 일부 체험해 볼 수 있는 서비스도 등장하고 있으나 이 역시 해당 서비스를 제공하는 고유한 제품에 대한 것으로 한정되고 있어 여러 제품들을 비교해보고자 하는 소비자의 요구를 만족시키지 못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076671호 증강 현실 기반 모바일 쇼핑 도우미 응용 서비스 제공 방법
본 발명은 여러 온라인 쇼핑몰에서 증강 현실 기반으로 제품을 체험해본 상태의 정보를 추출하여 카테고리별로 분류된 히스토리 저장 공간에 저장하고, 사용자가 추후 해당 쇼핑 히스토리 저장 공간의 카테고리를 선택함에 따라 해당 카테고리에 저장된 체험 상태의 영상 정보를 비교 가능하도록 제공하여 사용자가 한 눈에 자신에게 적용된 체험 상태 영상들 중 원하는 것을 용이하게 파악하거나 분류할 수 있고, 선별된 체험 상태 영상 정보에 연동되는 상품 관련 정보를 통해 해당 쇼핑몰에서의 구매 페이지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쇼핑을 위하 증강현실 체험 시스템은 온라인 쇼핑몰의 상품 페이지로부터 상품에 관한 증강현실 데이터를 수집하는 쇼핑몰 상품정보 수집부와, 사용자로부터 체험을 위한 사용자 신체 관련 정보를 수집하는 사용자 정보 수집부와, 상기 사용자 신체 관련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 신체를 그래픽화한 사용자 신체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 신체 정보에 상기 상품의 증강현실 데이터를 적용한 체험 영상을 생성하여 제공하는 증강현실 제공부와, 상기 체험 영상 중 사용자 선택이나 자동적으로 해당 체험 영상 생성에 관련된 정보와 연동 상품 페이지 정보 및 상기 체험 영상의 대표 이미지를 히스토리 정보로서 상품 카테고리에 따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카테고리별 히스토리 정보들에 각각 포함된 상기 대표 이미지를 나열하여 상호 비교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 선택 정보에 따른 분류나 선별 및 상품 페이지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히스토리 이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히스토리 이용부는 상기 히스토리 정보들 중 사용자 선택에 따라 선택된 카테고리에 대응되는 히스토리 정보들을 취합하여 앨범 형태로 구성한 앨범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거나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히스토리 이용부는 상기 히스토리 정보들 중 사용자 선택에 따라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히스토리 정보를 사용자가 지정한 타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로 전송하여 히스토리 정보가 공유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대표 이미지는 썸네일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증강현실 제공부는 사용자 선택에 따라 쇼핑몰 상품정보 수집부를 통해 수집된 서로 다른 카테고리에 속한 복수의 상품 각각에 대한 증강 현실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신체 정보에 동시 적용하여 상기 체험 영상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히스토리 이용부는 상기 증강현실 제공부와 연동하여 상기 카테고리별 저장된 히스토리 정보들의 대표 이미지별로 상기 사용자 신체의 자세를 판단하고, 상기 각 히스토리 정보에 포함된 체험 영상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한 각 체험 영상에 대하여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자세로 사용자 신체 정보를 통일하고, 통일된 사용자 신체 정보에 각 히스토리 정보의 상기 체험 영상 생성에 관련된 정보를 적용하여 생성한 각 체험 영상으로부터 상기 대표 이미지를 생성하여 나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증강현실 제공부는 상기 사용자 신체 관련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신체에 대한 3차원 그래픽인 사용자 신체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 신체 정보에서 상기 증강현실 데이터에 포함된 메타 정보를 기초로 상기 증강현실 데이터가 적용될 신체 영역을 인식하며, 상기 증강현실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신체 정보의 상기 신체 영역에 적용하여 상기 체험 영상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히스토리 이용부는 앨범정보의 제공에 따라 나열된 하나 이상의 대표 이미지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대표 이미지에 대한 선택정보를 사용자 장치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대표 이미지에 대한 선택정보 수신시 상기 증강현실 제공부와 연동하여 선택된 대표 이미지를 포함하는 상기 히스토리 정보에 포함된 증강현실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신체 정보에 적용하여 생성한 체험 영상을 상기 사용자 장치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쇼핑을 위한 증강현실 체험 방법은 쇼핑몰 상품정보 수집부가 온라인 쇼핑몰의 상품 페이지로부터 상품에 관한 증강현실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와, 사용자 정보 수집부가 사용자로부터 체험을 위한 사용자 신체 관련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와, 증강현실 제공부가 상기 사용자 신체 관련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 신체를 그래픽화한 사용자 신체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 신체 정보에 상기 상품의 증강현실 데이터를 적용한 체험 영상을 생성하여 제공하고, 상기 체험 영상 중 사용자 선택이나 자동적으로 해당 체험 영상 생성에 관련된 정보와 연동 상품 페이지 정보 및 상기 체험 영상의 대표 이미지를 히스토리 정보로서 상품 카테고리에 따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및 히스토리 이용부가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카테고리별 히스토리 정보들에 각각 포함된 상기 대표 이미지를 나열하여 상호 비교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 선택 정보에 따른 분류나 선별 및 상품 페이지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히스토리 이용부가 상기 히스토리 정보들 중 사용자 선택에 따라 선택된 히스토리 정보들을 취합하여 앨범 형태로 구성한 앨범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거나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여러 온라인 쇼핑몰에서 증강 현실 기반으로 제품을 체험해본 상태의 정보를 추출하여 카테고리별로 분류된 히스토리 저장 공간에 저장하고, 사용자가 추후 해당 쇼핑 히스토리 저장 공간의 카테고리를 선택함에 따라 해당 카테고리에 저장된 체험 상태의 영상 정보를 비교 가능하도록 제공하여 사용자가 한눈에 자신에게 적용된 체험 상태 영상들 중 원하는 것을 용이하게 파악하거나 분류할 수 있고, 선별된 체험 상태 영상 정보에 연동되는 상품 관련 정보를 통해 해당 쇼핑몰에서의 구매 페이지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 편의성을 높이고 복수 쇼핑몰 간 증강현실 연동에 따른 판매를 촉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구매를 위한 쇼핑의 끝 단계에서 기억을 더듬어 구매후보 상품을 다시 찾아 재적용해 볼 필요없이, 앨범을 펼쳐놓고 상품을 선택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다시 테스트한 모든 제품들을 한 눈에 비교해볼 수 있으므로 훨씬 빠르고 정확한 선택이 가능하므로 고객 편의성을 극대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더하여, 본 발명은 쇼핑에서 반복되는 관찰 시간을 줄이고 제품 간 비교 선택 시간을 확실히 줄여 줌은 물론, 재구매 시에도 쇼핑 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어 그에 따른 비용 및 피로감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도록 지원하는 효과가 있다.
이외에도, 본 발명은 본 발명은 쇼핑과 관련되어 과거와 현재에 체험한 복수의 상품 각각에 대하여 체험 상태를 용이하게 동시 확인하여 가장 적합한 상품을 구매하도록 지원하는 동시에 사용자에게 쇼핑과 관련된 추억을 제공하고, 원하는 상품을 즉시 용이하게 구매할 수 있도록 제공하며, 과거에 체험했던 상품의 체험 상태를 다시 체험 영상으로 제공할 수 있어, 더욱 명확하게 자신의 신체에 적용된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지원할 뿐만 아니라 앨범 정보를 타인과 공유하여 사용자가 상품 관련 커뮤니케이션을 활성화시키는 동시에 이에 따라 판매자의 마케팅 이익을 극대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그밖에, 본 발명은 사용자의 앨범정보를 이용한 오픈마켓 판매자의 경품이벤트 실시를 가능케 하여, 해당 이벤트 또는 상시에 판매자가 원할 때 사용자는 자신의 앨범을 판매자에게 사용 허가함으로써 판매자는 이를 마케팅에 활용할 수도 있으며, 그 대가로 판매자는 사용자에게 경품 또는 상품을 무료 지급할 수도 있어, 판매자에게도 마케팅에 좋은 기회를 제공하고, 무엇보다 최종적으로 사용자인 고객에게 부가적인 이익을 선물하는 고객만족 서비스기술이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쇼핑을 위한 증강현실 체험 시스템의 구성 환경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체험 제공 서버에 대한 상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체험 제공 서버의 사용자 신체 정보 생성에 대한 예시도.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체험 제공 서버의 체험 영상 생성에 대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체험 제공 서버의 히스토리 정보 생성에 대한 예시도.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체험 제공 서버의 앨범정보 제공에 대한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체험 제공 서버의 앨범 정보 공유에 대한 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쇼핑을 위한 증강현실 체험 방법에 대한 순서도.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상세 실시예를 설명한다.
우선,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쇼핑을 위한 증강현실 체험 시스템의 구성 환경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쇼핑몰 서버(10) 및 사용자 장치(200)와 유/무선 통신방식을 지원하는 통신망을 통해 통신하는 증강현실 체험 제공 서버(100)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무선 통신망 중 무선 통신망의 일례로 무선랜(Wireless LAN: WLAN),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Wibro), 와이맥스(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2000(Code Division Multi Access 2000), EV-DO(Enhanced Voice-Data Optimized or Enhanced Voice-Data Only), WCDMA(Wideband CDMA),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IEEE 802.16,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광대역 무선 이동 통신 서비스(Wireless Mobile Broadband Service: WMBS),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인접 자장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 초음파 통신(Ultra Sound Communication: USC), 가시광 통신(Visible Light Communication: VLC), 와이 파이(Wi-Fi), 와이 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유선 통신망으로는 전력선 통신(Power Line Communication: PLC), USB 통신, 이더넷(Ethernet), 시리얼 통신(serial communication), 광/동축 케이블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장치(200)는 통신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폰(Smart Phone), 휴대 단말기(Portable Terminal),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개인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단말기, 텔레매틱스(Telematics) 단말기, 내비게이션(Navigation) 단말기,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노트북 컴퓨터,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 포함), 와이브로(Wibro) 단말기,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단말기, 스마트 TV,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AVN(Audio Video Navigation) 단말기, A/V(Audio/Video) 시스템, 플렉시블 단말기(Flexible Terminal) 등과 같은 다양한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을 토대로, 상기 쇼핑몰 서버(10)는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상품을 증강현실로 제공하기 위한 상품 관련 증강현실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증강현실 체험 제공 서버(100)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품은 성형이나 헤어 등과 같은 사용자의 신체 외형에 직접적인 변화를 제공하기 위한 다양한 서비스 상품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증강현실 체험 제공 서버(100)는 사용자 장치(200)로부터 사용자의 신체를 그래픽화하기 위한 사용자 신체 관련 메타정보를 획득한 후 사용자 신체를 생성하기 위한 알고리즘에 적용되는 파라미터에 대입하여 2차원 또는 3차원 그래픽 정보(2차원 또는 3차원 영상 정보 포함)로 구성된 사용자 신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증강현실 체험 제공 서버(100)는 상기 쇼핑몰 서버(10)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한 증강현실 데이터 중 사용자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선택정보에 따라 선택된 상품이나 서비스에 대응되는 증강현실 데이터에 미리 정의된 상기 사용자 신체 정보의 신체 영역에 상기 증강현실 데이터를 적용하여 상기 상품이나 서비스에 대응되는 객체가 사용자 신체에 적용된 체험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증강현실 체험 제공 서버(100)는 사용자 장치(200)의 선택 정보에 따라 선택된 체험 영상에 대하여 체험 영상 관련 정보와 상기 체험 영상을 기초로 히스토리 정보를 생성한 후 사용자 장치(200)에 대응되는 사용자 식별정보와 매칭하여 저장할 수 있으며, 상기 체험 영상에 적용된 상품의 카테고리를 식별하여 카테고리별로 분류하여 히스토리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더하여, 증강현실 체험 제공 서버(100)는 체험 영상의 생성일자별로 분류하여 히스토리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증강현실 체험 제공 서버(100)는 동일 카테고리에 대응되는 히스토리 정보를 취합하여 상기 히스토리 정보에 포함되는 상기 체험 영상으로부터 추출한 대표 이미지를 포함하는 앨범 정보를 생성한 후 사용자 장치(200)에 제공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앨범 정보를 수신한 사용자 장치는 상기 앨범 정보에 포함된 서로 다른 상품의 체험 영상으로부터 추출된 대표 이미지를 나열하여 표시하며,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자신이 체험한 서로 다른 상품의 착용 상태를 한눈에 용이하게 상호 비교해 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토대로, 증강현실 체험 제공 서버(100)는 사용자에게 카테고리별 서로 다른 상품을 직접 자신의 신체에 적용한 다수의 체험 영상을 상호 비교해 보면서 자신에게 적합한 상품을 용이하게 찾을 수 있도록 제공한다.
도 2는 상술한 구성을 토대로 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쇼핑을 위한 증강현실 체험 시스템에 대한 상세 구성도이다.
상기 쇼핑을 위한 증강현실 체험 시스템은 도시된 바와 같이, 증강현실 체험 제공 서버(100)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증강현실 체험 제공 서버(100)는 온라인 쇼핑몰 서버(10)의 상품 페이지로부터 상품에 관한 증강현실 데이터를 수집하는 쇼핑몰 상품정보 수집부(110)와, 사용자로부터 체험을 위한 사용자 신체 정보를 수집하는 사용자 정보 수집부와, 수집된 사용자 정보에 쇼핑몰 상품정보 수집부(110)를 통한 상품의 증강현실 데이터를 적용한 체험 영상을 생성하여 제공하는 증강현실 제공부(120)와, 증강현실 제공부(120)의 체험 영상 제공 중 사용자 선택이나 자동적으로 해당 체험 영상 생성에 관련된 정보와 연동 상품 페이지 정보 및 상기 체험 영상의 대표 이미지를 히스토리 정보로서 상품 카테고리에 따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140)와, 데이터베이스(140)의 카테고리별 히스토리 정보들에 각각 포함된 대표 이미지를 나열하여 상호 비교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 선택 정보에 따른 분류나 선별 및 상품 페이지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히스토리 이용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각 구성부의 상세 동작을 설명하면, 우선 쇼핑몰 상품정보 수집부(110)는 서로 다른 온라인 쇼핑몰을 제공하는 다수의 쇼핑몰 서버(10)의 상품 페이지에 접속하여, 상기 상품 페이지로부터 쇼핑몰 서버(10)에서 상품에 대하여 생성하여 상품 페이지에 대응되어 저장한 증강현실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일례로, 쇼핑몰 상품정보 수집부(110)는 상기 증강현실 체험 제공 서버(100)에 접속한 사용자 장치(200)로 상품 검색 및 검색된 상품에 대한 다수의 쇼핑몰별 상품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웹 페이지를 사용자 장치(200)에 로드된 웹 브라우저에 제공할 수 있다.
즉, 쇼핑몰 상품정보 수집부(110)는 사용자 장치(200)로부터 상품 관련 검색 키워드를 수신하고, 검색 키워드를 쇼핑몰 서버(10)에 전송하여 쇼핑몰 서버(10)로부터 검색 키워드에 대응되어 수신되는 상품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웹 페이지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품 정보는 상품 페이지에 대한 링크정보, 가격정보, 명칭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용이하게 검색 키워드에 대응되어 제공되는 상품 정보를 통해 쇼핑몰별로 가격을 비교해 볼 수 있다.
이후, 쇼핑몰 상품정보 수집부(110)는 상기 웹 페이지를 통해 제공된 상품 정보 중 사용자 선택에 따라 선택된 상품 정보에 포함되는 링크정보를 기초로 상기 쇼핑몰 서버(10)에 접속하여, 쇼핑몰 서버(10)의 상품 페이지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해당 상품 페이지에 대응되는 증강현실 데이터를 상기 쇼핑몰 서버(10)로 요청하여 수집할 수 있다.
한편, 증강현실 제공부(120)는 사용자 장치(200)로부터 증강현실 체험을 위한 사용자 신체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쇼핑몰 상품정보 수집부(110)로부터 사용자가 선택한 상품 페이지에 대응되는 증강현실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 신체 정보에 적용한 체험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일례를 도 3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면, 증강현실 제공부(120)는 상기 상품 페이지에 대응되어 증강현실 체험을 위한 요청정보를 수신한 경우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장치(200)로 사용자의 신체에 대한 영상정보를 요청하기 위한 영상 요청정보를 전송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 장치(200)는 자체 구비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신체 외형에 대한 사용자 영상을 촬영하여 사용자 신체 관련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이를 증강현실 제공부(120)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사용자 신체 관련 정보는 하나 이상의 이미지 또는 영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증강현실 제공부(120)는 사용자 신체 관련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 신체에 대한 2차원 또는 3차원 그래픽 정보로 구성된 사용자 신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일례로, 증강현실 제공부(120)는 사용자 신체 관련 정보를 기초로 얼굴 영역에 대한 3차원 그래픽 정보를 생성하고자 하는 경우 미리 설정된 얼굴인식 알고리즘을 통해 사용자 신체 관련 정보로부터 얼굴 영역에 대응되는 이미지를 인식할 수 있으며, 상기 사용자 신체 관련 정보로부터 안면 형태, 눈, 코, 귀, 입 등과 같은 신체부위를 인식하고, 각 신체부위에 대한 깊이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증강현실 제공부(120)는 사용자 신체 정보로부터 얻어진 얼굴 영역에 대한 이미지와 깊이정보를 3차원 형태의 미리 설정된 객체에 적용하여 사용자 신체에 대하여 3차원 그래픽 정보로 구성된 상기 사용자 신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얼굴인식 알고리즘의 일례로, PCA(Pricipal Component Analysis), FDA(Fisher Discriminarnt Analysis), ICA(Independent Component Analysis), deep learning, deep face 등과 같은 다양한 알고리즘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증강현실 제공부(120)는 상기 사용자 신체 관련 정보로 2차원 이미지가 수신되는 경우 이를 그대로 사용자 신체 정보로 이용할 수도 있다.
상술한 구성에서, 상기 사용자 장치(200)는 상기 증강현실 제공부(120)에서 생성하는 3차원 그래픽 정보를 생성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부가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어플리케이션부는 사용자 장치(200)의 카메라를 통해 촬영되는 영상으로부터 상술한 얼굴인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3차원 그래픽 정보를 직접 생성하여 상기 증강현실 제공부(120)에 상기 사용자 신체 정보로 제공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증강현실 제공부(120)는 상기 사용자 장치(200)로부터 제공되는 사용자 신체 정보를 그대로 이용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 따라, 증강현실 제공부(120)는 사용자 신체 정보에서 각 신체부위를 인식하고, 상기 증강현실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신체 정보에 적용하여 증강현실 체험을 위한 체험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일례를 도 4를 통해 설명하면,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증강현실 제공부(120)는 사용자가 선택한 하나 이상의 상품 각각에 대응되는 증강현실 데이터를 쇼핑몰 상품정보 수집부(110)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증강현실 데이터에 포함된 메타 정보를 기초로 상기 증강현실 데이터가 적용될 신체 영역을 인식하여 상기 증강현실 데이터를 상기 신체 영역에 적용하여 상기 체험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증강현실 제공부(1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립스틱에 대응되는 증강현실 데이터에 포함된 메타정보를 기초로 해당 증강현실 데이터가 적용될 신체부위가 입술 영역임을 식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증강현실 제공부(120)는 상기 사용자 장치(200)에 대응되어 생성된 사용자 신체 정보에서 상기 립스틱에 대응되는 신체 영역인 입술 영역을 인식하고, 상기 립스틱에 대응되는 증강현실 데이터의 메타 정보에 저장된 색상을 상기 입술 영역에 적용하여 체험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증강현실 데이터는 상기 사용자 신체 정보에 2차원 또는 3차원 형태의 그래픽으로 표시되기 위한 상품에 대한 객체 정보와 더불어, 상기 상품의 색상, 크기, 상기 상품이 적용되는 신체 영역 등을 포함하는 메타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증강현실 데이터에 대응되는 상품의 상품명, 제조사, 상품 이미지, 상품 ID, 카테고리 등과 같은 상품 식별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증강현실 데이터에 대응되는 상품이 립스틱인 경우 상기 증강 현실 데이터는 도시된 바와 같이, 카테고리, 상품명, 상품 이미지 등을 포함하는 상품 식별정보와 적용되는 신체 영역(적용 위치), 색상 등에 대한 메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증강현실 제공부(120)는 상기 립스틱 상품에 대응되는 증강현실 데이터에 다양한 복수의 색상정보가 포함된 경우 상기 복수의 색상정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항목 정보를 상기 사용자 장치(200)에 제공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가 상기 항목정보에서 원하는 색상을 선택한 경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색상으로 증강현실 데이터를 사용자 신체 정보에 적용할 수 있다.
또 다른 일례로, 상기 증강현실 데이터에 대응되는 상품이 안경인 경우 상기 증강현실 데이터는 안경에 대응되는 카테고리, 상품명, 상품 이미지 등을 포함하는 상품 식별정보와, 안경의 크기 및 색상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적용되는 신체 영역이 눈 주위 영역으로 설정된 메타 정보 및 안경에 대응되는 객체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증강현실 제공부(120)가 안경에 대한 상품을 사용자 신체 정보 중 눈 주위 영역에 안경에 대응되는 객체정보를 적용하여 체험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증강현실 제공부(120)는 상기 사용자 신체 정보에서 적용되는 신체 영역의 크기에 맞추어 상기 상품에 대응되는 객체 정보의 비율을 조절한 후 상기 사용자 신체 정보에 적용할 수도 있다.
더하여, 상기 증강현실 데이터가 헤어 서비스에 관한 상품인 경우 상기 증강현실 제공부(120)는 상기 헤어 서비스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헤어 형태 각각 대응되는 복수의 객체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증강현실 제공부(120)는 상기 복수의 객체 정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항목 정보를 사용자 장치(200)에 제공하여, 상기 항목 정보를 토대로 상기 사용자 장치(200)에 의해 선택된 헤어 형태에 대한 객체 정보를 상기 사용자 신체 정보에 적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증강현실 제공부(1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립스틱 상품을 사용자 신체 정보에 적용하여 생성한 체험 영상을 사용자 장치(200)로 제공하여, 사용자가 상품을 착용한 상태를 증강현실로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구성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증강현실 제공부(120)는 사용자 장치(200)로부터 복수의 서로 다른 카테고리에 속한 상품에 대한 선택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선택된 복수의 서로 다른 카테고리에 속한 상품에 대응되는 증강현실 데이터를 쇼핑몰 상품정보 수집부(110)로부터 수신하여 사용자 신체 정보에 동시 적용하여 체험 영상을 생성할 수도 있다.
상술한 구성을 통해, 상기 증강현실 제공부(120)는 복수의 서로 다른 카테고리에 속한 상품을 사용자 신체에 동시 적용하여 이종 카테고리의 상품을 함께 적용하여 체험해 볼 수 있도록 제공한다.
그러나, 단순 체험 영상의 제공만으로 사용자는 다양한 상품 중에서 어느 상품이 자신에게 더욱 적합한지 비교해 보기 힘들며, 구매하지 않은 상품에 대한 기억은 빠르게는 몇 시간 내로 희미해져 구체적으로 떠올리기 쉽지 않으므로 사용자에게 섣부른 구매를 재촉하게 된다.
또한, 마음에 든 상품의 구매를 유보하는 경우 다수의 상품을 검색하는 과정에서 어느 상품이 마음에 들었는지 구별하기가 어려움과 더불어, 마음에 든 상품을 검색하는데 상당한 시간을 허비하여 사용자의 불만을 가중시키게 된다.
더군다나, 이미 다른 상품을 구매한 경우 기존에 마음에 든 상품을 다시 발견하게 되면 구매한 상품의 선택을 후회하고 비선택된 상품에 대한 미련을 버리지 못하고 비선택된 상품 역시 구매하게 되어 사용자의 비용 부담을 높이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은 증강현실로 체험한 상품에 대한 체험 영상과 증강현실 데이터를 히스토리로 저장하고, 동일 카테고리의 상품을 상호 용이하게 비교할 수 있도록 제공하여 사용자에게 최적의 상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는 동시에 체험 일자가 상이한 상품의 경우에도 용이하게 비교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상품 구매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
더불어, 본 발명은 사용자가 체험한 상품이 적용된 사용자 모습을 앨범 형태로 제공하여 사용자에게 쇼핑에 대한 추억을 상기시킬 수 있도록 제공하고, 이를 다른 사용자와 상호 공유하여 쇼핑 정보 공유와 더불어 사용자 간 상품에 대한 커뮤니케이션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이를 지원하기 위한 구체적인 구성을 상술한 구성과 도 6 내지 도 10의 구성을 토대로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증강현실 제공부(120)는 체험 영상으로 제공된 상품에 대한 선택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선택된 상품에 대한 체험 영상 생성에 관련된 증강현실 데이터와 상기 쇼핑몰 상품정보 수집부(110)로부터 상기 선택된 상품에 대응되는 상기 증강현실 데이터에 연동된 연동 상품 페이지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증강현실 데이터 및 상기 연동 상품 페이지 정보를 포함하는 히스토리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증강현실 제공부(120)는 상기 체험 영상에 복수의 서로 다른 카테고리의 상품이 적용된 경우 각 상품에 대응되는 증강현실 데이터를 그룹핑하여 하나의 히스토리 정보에 포함시킬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증강현실 제공부(120)는 상기 체험 영상에 대응되어 자동적으로 히스토리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이후, 상기 증강현실 제공부(120)는 상기 증강현실 데이터에 포함된 상품 식별 정보를 기초로 상기 선택된 상품의 카테고리를 식별하고, 상기 히스토리 정보를 상기 선택된 상품에 대응되는 카테고리에 대응되어 상기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증강현실 제공부(120)는 상기 쇼핑몰 상품정보 수집부(110)와 연동하여 상기 선택된 상품에 대응되는 카테고리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선택된 상품의 카테고리를 식별할 수도 있다.
더하여, 상기 증강현실 제공부(120)는 상기 히스토리 정보에 상기 체험 영상이 생성된 일시에 대한 체험일시 정보를 더 포함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할 수 있으며, 상기 사용자 장치(200)에 대응되는 회원정보 또는 사용자 식별정보에 상기 히스토리 정보를 매칭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할 수 있다.
이외에도, 상기 증강현실 제공부(120)는 상기 선택된 상품에 대응되는 체험 영상을 기초로 썸네일(thumb nail)로 이용될 대표 이미지를 추출하고, 상기 대표 이미지를 포함하는 썸네일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히스토리 정보에 포함시킬 수 있다. 이때, 증강현실 제공부(120)는 체험 영상에서 사용자 장치(200)에 의해 선택되거나 캡처된 프레임 이미지를 썸네일 정보로 생성하거나 체험 영상을 기초로 프레임 이미지별 사용자의 신체 자세를 판단하여, 미리 설정된 자세에 대응되는 이미지를 대표 이미지로 설정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증강현실 제공부(120)는 체험 영상에 포함된 각 프레임 이미지별로 각 신체 부위(눈, 코, 입, 귀 등)를 인식하고, 미리 설정된 중심을 기준으로 각 신체 부위의 배치 방향 및 각도 등을 고려하여 사용자의 신체 자세를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증강현실 체험 제공 서버(1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히스토리 이용부(13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히스토리 이용부(130)는 사용자가 선택한 복수의 상품들을 용이하게 비교해 볼 수 있도록 지원하는 동시에 쇼핑에 대한 추억을 제공하기 위한 앨범 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 장치(200)에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히스토리 이용부(130)는 상기 앨범정보의 제공 및 분류 기준 선택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정보를 사용자 장치(200)로 제공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로드하며,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사용자 장치(200)로부터 원하는 하나 이상의 카테고리에 대한 선택 카테고리 정보를 수신한 경우 상기 선택 카테고리 정보에 포함된 카테고리에 대응되어 저장된 하나 이상의 히스토리 정보를 취합하여 사용자 장치(200)에 대응되는 앨범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해당 앨범정보를 데이터베이스(140)에 사용자 식별정보에 매칭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히스토리 이용부(130)는 상기 데이터베이스(140)에 사용자 식별정보에 매칭되어 저장된 앨범정보 중 사용자 선택에 따라 선택된 앨범정보를 사용자 장치(200)에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히스토리 이용부(130)는 상기 앨범정보에 포함된 서로 다른 상품에 각각 대응되는 히스토리 정보에 포함된 썸네일 정보를 상호 비교할 수 있도록 각 썸네일 정보에 포함된 대표 이미지가 상기 사용자 장치(200)에 로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동시 확인 가능하게 나열되어 표시되도록 상기 앨범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서, 상기 히스토리 이용부(130)는 상기 카테고리의 선택이 없는 경우 상기 데이터베이스(140)에 사용자 식별정보에 대응되어 저장된 모든 히스토리 정보에 각각 포함된 복수의 썸네일 정보를 사용자 장치(200)에 전송하여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각 썸네일 정보의 대표 이미지가 나열되어 표시되도록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히스토리 이용부(130)는 앨범정보의 제공에 따라 나열된 하나 이상의 썸네일 정보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썸네일 정보에 대한 선택정보를 사용자 장치(200)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썸네일 정보에 대한 선택정보 수신시 상기 증강현실 제공부(120)와 연동하여 선택된 썸네일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히스토리 정보에 포함된 증강현실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신체 정보에 적용하여 생성한 체험 영상을 상기 사용자 장치(200)에 제공하여, 상기 썸네일 정보와 함께 상기 체험 영상이 사용자 장치(200)에 로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부 영역을 통해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구성에서 상기 히스토리 이용부(130)는 복수의 카테고리에 대한 선택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선택정보에 대응되는 복수의 카테고리를 모두 포함하는 히스토리 정보만을 취합하여 앨범정보를 생성하거나, 선택정보에 대응되는 복수의 카테고리를 모두 포함하는 히스토리 정보 및 복수의 카테고리 중 하나만 포함하는 히스토리 정보를 모두 취합하여 앨범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상술한 구성 이외에도, 상기 히스토리 이용부(130)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사용자 장치(200)로부터 체험 일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체험 일시에 대응되는 히스토리 정보를 취합하여 상기 앨범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장치(200)로 제공할 수도 있다.
상술한 구성에 따라, 상기 히스토리 이용부(130)는 사용자가 마음에 둔 상품을 앨범 형태로 제공하여, 동시에 동일 카테고리에 속한 복수의 상품을 사용자 신체에 적용한 모습으로 용이하게 비교 가능하도록 지원하여 사용자가 가장 적합한 상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제공함으로써 사용자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히스토리 이용부(130)는 사용자의 쇼핑 기록을 앨범 형태로 제공하여 사용자에게 쇼핑과 관련된 추억을 제공하는 동시에 잊혀진 상품을 재 상기시켜 최근에 쇼핑 대상으로 지목한 상품과 비교 가능하도록 제공함으로써 과거 상품에 대한 미련을 떨칠 수 있도록 하여 쇼핑 만족도를 크게 개선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사용자 장치(200)는 상기 앨범정보에 포함된 히스토리 정보 중 사용자가 원하는 상품의 히스토리 정보에 포함된 연동 상품 페이지 정보를 기초로 상기 상품 페이지 정보에 링크된 쇼핑몰 서버(10)의 상품 페이지로 접속하여 원하는 상품에 대한 구매를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구성에서 상기 쇼핑몰 상품정보 수집부(110)는 오프라인 판매자로부터 상품정보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하고, 사용자의 검색 키워드에 대응되는 다른 쇼핑몰 서버(10)의 상품과 함께 상기 오프라인 판매자의 상품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오프라인 판매자의 업체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업체정보를 상기 연동 상품 페이지 정보 대신 수신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증강현실 제공부(120)는 상기 오프라인 판매자의 상품정보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히스토리 정보에 포함되는 상품 페이지 정보 대신 상기 업체정보를 상기 쇼핑몰 상품정보 수집부(110)로부터 수신하여 히스토리 정보에 포함시킬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장치(200)는 상기 앨범정보에 포함된 히스토리 정보 중 사용자가 원하는 상품에 대응되는 히스토리 정보에 포함된 업체정보 및 이에 포함된 업체 위치정보를 지도정보에 표시하여 사용자가 해당 상품의 구매를 위해 오프라인 판매자의 업체를 찾아갈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오프라인 매장에서 상품을 보고 온라인을 통해 저렴하게 구매하는 소비자(쇼루밍족) 뿐만 아니라 반대로 온라인에서 검색을 통해 상품을 결정한 뒤, 오프라인에서 구매하는 소비자(역쇼루밍족)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쇼핑과 관련되어 과거와 현재에 체험한 복수의 상품 각각에 대하여 체험 상태를 용이하게 동시 확인하여 가장 적합한 상품을 구매하도록 지원하는 동시에 사용자에게 쇼핑과 관련된 추억을 제공하고, 원하는 상품을 즉시 용이하게 구매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이외에도, 본 발명은 과거에 체험했던 상품의 체험 상태를 다시 체험 영상으로 제공할 수 있어, 더욱 명확하게 자신의 신체에 적용된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한편, 상술한 구성에서 상기 썸네일 정보에 포함된 사용자의 신체가 서로 다른 자세를 취하고 있는 경우 상품 비교가 어려울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신체 자세(배치)를 통일시켜 더욱 정확하고 용이한 비교가 이루어지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를 도 9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면,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히스토리 이용부(130)는 상기 사용자 장치(200)로 제공된 앨범정보에 포함된 서로 다른 히스토리 정보별 썸네일 정보에서 사용자의 신체 자세가 일부 불일치 하는 경우 이를 보정하기 위한 보정 요청 정보를 사용자 장치(2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히스토리 이용부(130)는 상기 증강현실 제공부(120)로 상기 앨범정보에 포함된 각 상품에 대한 히스토리 정보를 제공한다.
이후, 상기 증강현실 제공부(120)는 사용자 장치(20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신체 정보를 하나의 자세로 통일하고, 통일된 사용자 신체 정보에 상기 히스토리 이용부(130)로부터 제공된 각 히스토리 정보의 증강현실 데이터를 적용하여 각 상품에 대하여 동일한 자세의 체험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사용자 신체 정보는 상기 데이터베이스(140)에 사용자 식별정보에 매칭되어 저장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증강현실 제공부(120)는 상기 체험 영상을 사용자 장치(200)로 제공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신체 자세에 대하여 상기 체험 영상을 이용하여 설정한 자세 설정정보를 사용자 장치(200)로부터 수신할 수 있으며, 상기 자세 설정정보에 따라 상기 체험 영상의 자세를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증강현실 제공부(120)는 각 상품에 대응되는 체험 영상으로부터 기존 썸네일 정보를 갱신하기 위한 갱신 썸네일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각 히스토리 정보의 기존 썸네일 정보를 상기 갱신 썸네일 정보로 대체하여 갱신한 갱신 히스토리 정보를 히스토리 이용부(130)로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히스토리 이용부(130)는 각 상품에 대응되어 증강현실 제공부(120)로부터 제공되는 갱신 히스토리 정보를 기존 히스토리 정보에 대체하여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하고, 상기 갱신 히스토리 정보를 포함하는 앨범 정보를 사용자 장치(200)에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 장치(200)는 앨범정보에 포함된 각 상품의 히스토리 정보에 대응되는 갱신 썸네일 정보를 나열하여 출력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 따라, 체험 영상에 대한 썸네일 정보 제공시 사용자 자세가 통일된 상태로 상품이 적용된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용이하게 동일 자세에서 각 상품의 적용 상태를 비교해 볼 수 있으므로 최적의 상품 선택이 더욱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원한다.
한편, 본 발명은 사용자 장치(200)의 요청에 따라 사용자 장치(200)에 대응되어 생성된 앨범정보 또는 특정 상품에 대한 히스토리 정보를 타 사용자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간 상품정보 공유가 이루어지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일례를 도 10을 통해 설명하면,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히스토리 이용부(130)는 사용자 장치(200)에 의해 선택된 앨범정보 및 히스토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타사용자 장치(201)로 전송하여, 사용자간 상품정보 공유가 이루어지도록 지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장치(200)에 대응되는 사용자의 앨범정보 및 히스토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한 타사용자 장치(201)는 상기 증강현실 체험 제공 서버(100)에 접속하여, 공유된 사용자의 앨범정보 및 히스토리 정보를 타사용자 자신에 직접 적용하여 체험해 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증강현실 제공부(120)는 상기 타사용자 장치(201)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앨범정보 및 히스토리 정보에 대응되는 상품의 체험 요청을 수신하고, 체험 요청 수신사 상기 타사용자 장치(201)로부터 타사용자에 대응되는 타사용자 신체 정보를 수신하여 상술한 구성과 동일하게 체험 영상을 생성하여 타사용자 장치(201)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증강현실 제공부(120)는 사용자의 앨범정보 및 히스토리 정보를 토대로 사용자가 공유한 상품을 타사용자의 신체에 적용하여 생성한 체험 영상과 관련하여 히스토리 정보를 생성하고 타사용자 식별정보와 매칭하여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할 수 있으며, 상술한 도 1 내지 도 9의 구성을 타사용자 장치(201)에 대응되어 모두 적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공유한 상품을 타사용자 역시 직접 체험해 볼 수 있으므로, 사용자간 상품 공유 및 커뮤니케이션을 활성화시킴과 동시에 마케팅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1은 상술한 구성에 따른 쇼핑을 위한 증강현실 체험 방법에 대한 순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쇼핑몰 상품정보 수집부(110)는 사용자가 접속한 온라인 쇼핑몰 서버(10)에서 선택한 상품을 식별하고(S1), 식별된 상품의 상품 페이지로부터 상품에 관한 증강현실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S2).
또한, 사용자 정보 수집부(110)는 사용자로부터 체험을 위한 사용자 신체 관련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S3).
이후, 증강현실 제공부(120)는 상기 사용자 신체 관련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 신체를 그래픽화한 사용자 신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4).
다음, 증강현실 제공부(120)는 상기 사용자 신체 정보에 상기 상품의 증강현실 데이터를 적용한(S5) 체험 영상을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S6).
이후, 증강현실 제공부(120)는 상기 체험 영상 중 사용자 선택이나 자동적으로 해당 체험 영상 생성에 관련된 정보와 연동 상품 페이지 정보 및 상기 체험 영상의 대표 이미지를 포함하는 히스토리 정보를 생성하여, 상품 카테고리에 따라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할 수 있다(S7).
다음, 히스토리 이용부(130)가 상기 데이터베이스(140)의 카테고리별 히스토리 정보들에 각각 포함된 상기 대표 이미지를 나열하여 상호 비교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 선택 정보에 따른 분류나 선별 및 상품 페이지 이동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S8).
또한, 상기 히스토리 이용부(130)는 상기 히스토리 정보들 중 사용자 선택에 따라 선택된 히스토리 정보들을 취합하여 앨범 형태로 구성한 앨범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하거나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200)로 제공할 수 있다.
전술된 내용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쇼핑몰 서버 100: 증강현실 체험 제공 서버
110: 쇼핑몰 상품정보 수집부 120: 증강현실 제공부
130: 히스토리 이용부 140: 데이터베이스
200: 사용자 장치

Claims (10)

  1. 온라인 쇼핑몰의 상품 페이지로부터 상품에 관한 증강현실 데이터를 수집하는 쇼핑몰 상품정보 수집부;
    사용자로부터 체험을 위한 사용자 신체 관련 정보를 수집하는 사용자 정보 수집부;
    상기 사용자 신체 관련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 신체를 그래픽화한 사용자 신체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 신체 정보에 상기 상품의 증강현실 데이터를 적용한 체험 영상을 생성하여 제공하는 증강현실 제공부;
    상기 체험 영상 중 사용자 선택이나 자동적으로 해당 체험 영상 생성에 관련된 정보와 연동 상품 페이지 정보 및 상기 체험 영상의 대표 이미지를 히스토리 정보로서 상품 카테고리에 따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카테고리별 히스토리 정보들에 각각 포함된 상기 대표 이미지를 나열하여 상호 비교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 선택 정보에 따른 분류나 선별 및 상품 페이지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히스토리 이용부
    를 포함하는 쇼핑을 위한 증강현실 체험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히스토리 이용부는 상기 히스토리 정보들 중 사용자 선택에 따라 선택된 카테고리에 대응되는 히스토리 정보들을 취합하여 앨범 형태로 구성한 앨범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거나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핑을 위한 증강현실 체험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히스토리 이용부는 상기 히스토리 정보들 중 사용자 선택에 따라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히스토리 정보를 사용자가 지정한 타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로 전송하여 히스토리 정보가 공유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핑을 위한 증강현실 체험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대표 이미지는 썸네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핑을 위한 증강현실 체험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증강현실 제공부는 사용자 선택에 따라 쇼핑몰 상품정보 수집부를 통해 수집된 서로 다른 카테고리에 속한 복수의 상품 각각에 대한 증강 현실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신체 정보에 동시 적용하여 상기 체험 영상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핑을 위한 증강현실 체험 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히스토리 이용부는 상기 증강현실 제공부와 연동하여 상기 카테고리별 저장된 히스토리 정보들의 대표 이미지별로 상기 사용자 신체의 자세를 판단하고, 상기 각 히스토리 정보에 포함된 체험 영상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한 각 체험 영상에 대하여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자세로 사용자 신체 정보를 통일하고, 통일된 사용자 신체 정보에 각 히스토리 정보의 상기 체험 영상 생성에 관련된 정보를 적용하여 생성한 각 체험 영상으로부터 상기 대표 이미지를 생성하여 나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핑을 위한 증강현실 체험 시스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증강현실 제공부는 상기 사용자 신체 관련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신체에 대한 3차원 그래픽인 사용자 신체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 신체 정보에서 상기 증강현실 데이터에 포함된 메타 정보를 기초로 상기 증강현실 데이터가 적용될 신체 영역을 인식하며, 상기 증강현실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신체 정보의 상기 신체 영역에 적용하여 상기 체험 영상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핑을 위한 증강현실 체험 시스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히스토리 이용부는 앨범정보의 제공에 따라 나열된 하나 이상의 대표 이미지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대표 이미지에 대한 선택정보를 사용자 장치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대표 이미지에 대한 선택정보 수신시 상기 증강현실 제공부와 연동하여 선택된 대표 이미지를 포함하는 상기 히스토리 정보에 포함된 증강현실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신체 정보에 적용하여 생성한 체험 영상을 상기 사용자 장치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핑을 위한 증강현실 체험 시스템.
  9. 쇼핑몰 상품정보 수집부가 온라인 쇼핑몰의 상품 페이지로부터 상품에 관한 증강현실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사용자 정보 수집부가 사용자로부터 체험을 위한 사용자 신체 관련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증강현실 제공부가 상기 사용자 신체 관련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 신체를 그래픽화한 사용자 신체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 신체 정보에 상기 상품의 증강현실 데이터를 적용한 체험 영상을 생성하여 제공하고, 상기 체험 영상 중 사용자 선택이나 자동적으로 해당 체험 영상 생성에 관련된 정보와 연동 상품 페이지 정보 및 상기 체험 영상의 대표 이미지를 히스토리 정보로서 상품 카테고리에 따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및
    히스토리 이용부가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카테고리별 히스토리 정보들에 각각 포함된 상기 대표 이미지를 나열하여 상호 비교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 선택 정보에 따른 분류나 선별 및 상품 페이지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쇼핑을 위한 증강현실 체험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히스토리 이용부가 상기 히스토리 정보들 중 사용자 선택에 따라 선택된 히스토리 정보들을 취합하여 앨범 형태로 구성한 앨범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거나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핑을 위한 증강현실 체험 방법.
KR1020160011650A 2015-02-05 2016-01-29 쇼핑을 위한 증강현실 체험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9654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017851 2015-02-05
KR1020150017851 2015-02-0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6546A true KR20160096546A (ko) 2016-08-16

Family

ID=56854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1650A KR20160096546A (ko) 2015-02-05 2016-01-29 쇼핑을 위한 증강현실 체험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96546A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47416A1 (en) * 2018-08-30 2020-03-05 Splashlight Holding Llc Technologies for enabling analytics of computing events based on augmented canonicalization of classified images
KR20200144823A (ko) * 2019-06-19 2020-12-30 주식회사 이매지니어스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전자 상거래 중개 시스템 및 방법
CN112231611A (zh) * 2017-12-29 2021-01-15 创新先进技术有限公司 信息展示方法、装置和电子设备
KR20220086967A (ko) * 2020-12-17 2022-06-24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Ar 기반 공동구매 서비스 제공 장치, 방법 및 시스템
US11798274B2 (en) 2017-12-18 2023-10-24 Naver Labs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crowdsourcing geofencing-based content
KR20240001632A (ko) * 2022-06-27 2024-01-03 네이버 주식회사 라이브 방송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240001631A (ko) * 2022-06-27 2024-01-03 네이버 주식회사 라이브 방송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240001634A (ko) * 2022-06-27 2024-01-03 네이버 주식회사 라이브 방송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240001633A (ko) * 2022-06-27 2024-01-03 네이버 주식회사 라이브 방송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76671A (ko) 2010-12-13 2012-07-0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증강 현실 기반 모바일 쇼핑 도우미 응용 서비스 제공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76671A (ko) 2010-12-13 2012-07-0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증강 현실 기반 모바일 쇼핑 도우미 응용 서비스 제공 방법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98274B2 (en) 2017-12-18 2023-10-24 Naver Labs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crowdsourcing geofencing-based content
CN112231611A (zh) * 2017-12-29 2021-01-15 创新先进技术有限公司 信息展示方法、装置和电子设备
WO2020047416A1 (en) * 2018-08-30 2020-03-05 Splashlight Holding Llc Technologies for enabling analytics of computing events based on augmented canonicalization of classified images
KR20200144823A (ko) * 2019-06-19 2020-12-30 주식회사 이매지니어스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전자 상거래 중개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86967A (ko) * 2020-12-17 2022-06-24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Ar 기반 공동구매 서비스 제공 장치, 방법 및 시스템
KR20240001632A (ko) * 2022-06-27 2024-01-03 네이버 주식회사 라이브 방송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240001631A (ko) * 2022-06-27 2024-01-03 네이버 주식회사 라이브 방송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240001634A (ko) * 2022-06-27 2024-01-03 네이버 주식회사 라이브 방송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240001633A (ko) * 2022-06-27 2024-01-03 네이버 주식회사 라이브 방송 제공 방법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96546A (ko) 쇼핑을 위한 증강현실 체험 시스템 및 방법
US11281366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highly personalized information regarding products and services
US20180197220A1 (en) System and method of image-based product genre identification
US20180005305A1 (en) Method for simultaneously one-step filling a virtual shopping cart with many items from one or multiple resources; all items of any type or characteristics from potential resources which have been embodied into a customized list which has been simultaneously generated and sourced in one-step then presented visually to user to select items; culminating and resulting acquisiion to be simultaneosly placed in a single virtual shpping cart and all are acquired simultaneously from many source
KR102246109B1 (ko) 소비자 선호도에 기반한 상품 추천 시스템 및 방법
JP2014029643A (ja) 情報提供装置、情報提供方法、情報提供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US10460464B1 (en) Device, method, and medium for packing recommendations based on container volume and contextual information
KR20170019976A (ko)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
Mora et al. Holographic recommendations in brick-and-mortar stores
Mnyakin Investigating the Impacts of AR, AI, and Website Optimization on Ecommerce Sales Growth
KR20170091402A (ko) 패션 아이템 검색 시스템
CN110322262B (zh) 门店信息处理方法、装置及门店系统
CN105243557A (zh) 自助式挑选蔬果的方法及系统
KR102298101B1 (ko) 성인용품 판매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구동방법
KR102497411B1 (ko) 네일아트 서비스 제공 방법 및 네일아트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1759683B1 (ko) 3d 이미지 업로딩을 이용한 전자상거래를 위한 구매장치 및 이에 의한 구매방법
Wang Integrating correspondence analysis with Grey relational model to implement a user-driven STP product strategy for smart glasses
KR20210112258A (ko) 오프라인 구매를 위한 개인화된 추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121800B1 (ko) 사용자화장품을 이용한 메이크업 정보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50178821A1 (en) Interactive try-on platform for electronic commerce
Jain et al. Snap and match: a case study of virtual color cosmetics consultation
JP7308318B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7308317B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2016033708A (ja) コーディネートサーバ、コーディネートシステム、及びコーディネート方法
US20240071019A1 (en) Three-dimensional models of users wearing clothing ite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