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3374B1 - 스마트 가전 작동 시뮬레이션을 지원하는 메타버스 모델하우스를 제공하는 메타버스 구현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마트 가전 작동 시뮬레이션을 지원하는 메타버스 모델하우스를 제공하는 메타버스 구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3374B1
KR102623374B1 KR1020220134607A KR20220134607A KR102623374B1 KR 102623374 B1 KR102623374 B1 KR 102623374B1 KR 1020220134607 A KR1020220134607 A KR 1020220134607A KR 20220134607 A KR20220134607 A KR 20220134607A KR 102623374 B1 KR102623374 B1 KR 1026233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 home
avatar
home appliance
metaverse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46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윤제
최진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심시스글로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심시스글로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심시스글로벌
Priority to KR10202201346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33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33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337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2Head tracking input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5Interaction with a metaphor-based environment or interaction object displayed as three-dimensional, e.g. changing the user viewpoint with respect to the environment or objec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7Audio in a user interface, e.g. using voice commands for navigating, audio feedbac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1Customer relationship services
    • G06Q30/015Providing customer assistance, e.g. assisting a customer within a business location or via helpdesk
    • G06Q30/016After-sa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3/00Animation
    • G06T13/203D [Three Dimensional] animation
    • G06T13/403D [Three Dimensional] animation of characters, e.g. humans, animals or virtual being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3Navigation within 3D models or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ultimedia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Testing And Monitoring For Control Systems (AREA)
  • Geophysics And Detection Of Objects (AREA)

Abstract

메타버스 구현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시스템은 스마트 가전 작동 시뮬레이션을 지원하는 시스템으로, 메타버스 공간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메타버스에서 스마트 가전 작동을 경험하기 위한 모델 하우스를 디스플레이 장치로 제공하기 위한 메타버스 구현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시스템이 제공됨으로써, 사용자 편의가 제고될 수 있다.

Description

스마트 가전 작동 시뮬레이션을 지원하는 메타버스 모델하우스를 제공하는 메타버스 구현 시스템{METAVERSE IMPLEMENTATION SYSTEM FOR PROVIDING METAVERSE MODEL HOUSE SUPPORTING SMART HOME APPLIANCE OPERATION SIMULATION}
본 발명은 스마트 가전 작동 시뮬레이션을 지원하는 메타버스 모델하우스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메타버스 구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전통적인 가전 판매 방식에 따르면 소비자가 가전을 구매하기 위해서는 오프라인 상에서 가전 판매 업체를 방문하여, 가전 브랜드, 가전 종류, 가전 규격, 가전 성능 등을 확인하고 구매할 수 밖에 없었다.
최근의 인터넷 쇼핑몰을 통해 문구로 기재된 상품 정보를 참고한다 하더라도, 실제 스마트 가전의 성능을 확인하기 어렵고, 가정에 설치했을 때의 모습과 성능을 추측해야하는 한계가 있다.
한편, 최근에 가상 세계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대표적인 서비스로서 메타버스(metaverse)가 각광받고 있다. 메타버스는 가공, 추상을 의미하는 메타(meta)와 현실세계를 의미하는 유니버스(universe)의 합성어로 3차원 가상 세계를 의미하며, 이러한 메타버스의 핵심기술은 가상현실(virtual reality, VR),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AR) 및 혼합현실(mixed reality, MR)을 아우르는 확장현실(extended reality, XR) 기술이다.
따라서, 가전 판매업체를 직접 방문하지 않고, 메타버스 환경에서 스마트 가전을 집에 설치하고 구동시키는 것과 같은 경험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체험 서비스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어, 이와 관련된 기술에 대한 연구가 요구된다.
한국등록특허 제10-2341752호(2021.09.13)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일 과제는 메타버스 상에서 스마트 가전 시뮬레이션을 지원하는 메타버스 모델하우스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비대면 기반으로 스마트 가전의 작동 방법을 소비자에게 설명하고 광고하기 위한 메타버스 구현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가전 작동 시뮬레이션을 지원하는 메타버스 구현 시스템은, 메타버스 공간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메타버스에서 스마트 가전 작동을 경험하기 위한 모델 하우스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제공하기 위한 메타버스 구현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스마트 가전 작동 방법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아바타 및 상기 가이드 아바타의 도움을 받아 스마트 가전 조작을 경험하는 사용자 아바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메타버스 구현 서버는, 상기 가이드 아바타가 상기 사용자 아바타에게 소정 공간에 배치된 스마트 가전의 작동 및 조작 방법을 가이드하도록 관련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 입력부 및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타버스의 특정 스마트 가전에 대한 조작 방법 가이드 요청을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수신하면, 상기 사용자 아바타가 상기 가이드 아바타에게 특정 스마트 가전에 대한 조작 방법 가이드를 요청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메타버스 구현 서버는, 상기 사용자 아바타가 특정 스마트 가전을 조작하는 과정 중에, 매뉴얼에 따른 조작 방법과 다르게 조작하는 경우, 매뉴얼에 따른 조작 방법을 가이드하도록 관련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HMD(head mounted display) 장치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사용자 입력부는 사용자의 음성 및 제스쳐를 입력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가전 작동을 경험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작동 방법은 메타버스 공간을 출력하는 단계; 메타버스에서 스마트 가전 작동을 경험하기 위한 모델 하우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모델 하우스 내부에 배치된 스마트 가전의 작동 방법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아바타 및 상기 가이드 아바타의 도움을 받아 스마트 가전 조작을 경험하는 사용자 아바타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작동 방법은, 상기 메타버스의 특정 스마트 가전에 대한 조작 방법 가이드 요청을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요청에 따라 상기 사용자 아바타가 상기 가이드 아바타에게 특정 스마트 가전에 대한 조작 방법 가이드를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작동 방법은, 상기 사용자 아바타가 스마트 가전을 매뉴얼에 따라 조작하지 않아서 상기 가이드 아바타로부터 피드백을 받는 경우, 피드백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아래와 같은 효과가 도출될 수 있다.
우선, 메타버스 상에서 스마트 가전 시뮬레이션을 지원하는 메타버스 모델하우스가 제공됨으로써, 현실 세계에 위치한 스마트 가전의 작동 방법이 소비자에게 용이하게 전달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 편의가 제고될 수 있다.
또한, 비대면 기반으로 스마트 가전의 작동 방법을 소비자에게 전달하는 방법이 제공됨으로써, 오프라인으로 가전 판매 매장을 방문하지 않더라도 용이하게 스마트 가전의 작동 방법이 전달됨으로써, 사용자 편의가 제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반적인 동작 주체들을 포함한 상업화 모델 구현을 위한 메타버스 구현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상업화 모델 구현을 위한 메타버스 구현 서버와 통신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가전 작동을 경험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작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메타버스 기반의 모델하우스를 나타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이드 아바타에게 특정 스마트 가전에 대한 가이드 요청을 수행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시퀀스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아바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이드 아바타에게 특정 스마트 가전에 대한 가이드 서비스를 요청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뒤에 설명이 되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뒤에 설명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구조, 역할 및 기능 등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오로지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청구항의 범주에 의하여 정의될 뿐이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반적인 동작 주체들을 포함한 메타버스 구현 시스템(1)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메타버스 구현 시스템(1)은 메타버스 서비스 환경을 제공하는 시스템으로, 구현된 메타버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100A~100D), 메타버스를 구현하여 각종 장치 및 디바이스로 제공하는 메타버스 구현 서버(200) 및 사용자(USER1)에 의해 제어되는 각종 단말(ST1, ST2)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메타버스를 구현하기 위한 기기들은 상술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단말, 디바이스, 장치, 포스 기기, 키오스크, 디지털 사이니지, 서버, 클라우드, VR/AR 을 위한 기기(하이바, 웨어러블 기기, 마이크로 디스플레이, 홀로그램 장치 등)이 서로 연동되어, 메타버스 구현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스마트폰(100A), 랩톱(100B), 키오스크 단말(100C), HMD(head mounted display, 100D)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연산처리를 수행하여 사용자에게 결과를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장치들이 모두 포함된다. 예를 들어, 본 개시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컴퓨터, 서버 장치 및 휴대용 단말기를 모두 포함하거나, 또는 어느 하나의 형태가 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태블릿 PC, 슬레이트 P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버 장치는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여 정보를 처리하는 서버로써, 애플리케이션 서버, 컴퓨팅 서버, 데이터베이스 서버, 파일 서버, 게임 서버, 메일 서버, 프록시 서버, 클라우드 기반의 서버 및 웹 서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와 시계, 반지, 팔찌, 발찌, 목걸이, 안경, 콘택트 렌즈, 또는 머리 착용형 장치 등과 같은 웨어러블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메타버스 구현 서버(200)는 다양한 요구조건에 따라 메타버스를 구현하는 주체로서, 애플리케이션 서버, 컴퓨팅 서버, 데이터베이스 서버, 파일 서버, 게임 서버, 메일 서버, 프록시 서버, 클라우드 기반의 서버 및 웹 서버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실시 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메타버스 구현 서버(2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통해 메타버스 서비스를 사용자(USER1)에게 제공할 수 있으나, 실시 예에 따라서는, 메타버스 구현 서버(200)가 직접 사용자 단말에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메타버스 구현 서버(200)와 통신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상업화 모델 구현을 위한 메타버스 구현 서버(200)와 통신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통신부(110), 입력부(120), 센싱부(130), 디스플레이(140), 메모리(150) 및 제어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본 개시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구성요소들 중 통신부(110)는 외부 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방송 수신 모듈, 유선통신 모듈, 무선통신 모듈, 근거리 통신 모듈, 위치정보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영상 정보(또는 신호), 오디오 정보(또는 신호), 데이터, 또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정보의 입력을 위한 것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폰 및 사용자 입력부(121)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에서 수집한 음성 데이터나 이미지 데이터는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21)는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 입력부(121)를 통해 정보가 입력되면, 제어부(190)는 입력된 정보에 대응되도록 본 장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입력부는 하드웨어식 물리 키(예를 들어, 본 장치의 전면, 후면 및 측면 중 적어도 하나에 위치하는 버튼, 돔 스위치 (dome switch),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 및 소프트웨어식 터치 키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터치 키는, 소프트웨어적인 처리를 통해 터치스크린 타입의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가상 키(virtual key), 소프트 키(soft key) 또는 비주얼 키(visual key)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터치스크린 이외의 부분에 배치되는 터치 키(touch key)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상키 또는 비주얼 키는, 다양한 형태를 가지면서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되는 것이 가능하며, 예를 들어, 그래픽(graphic), 텍스트(text), 아이콘(icon), 비디오(video)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센싱부(130)는 본 장치의 내 정보, 본 장치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고, 이에 대응하는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제어부(190)는 이러한 센싱 신호에 기초하여, 본 장치의 구동 또는 동작을 제어하거나, 본 장치에 설치된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데이터 처리,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센싱부(130)는 근접센서(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illumination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RGB 센서,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지문인식 센서(finger scan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예를 들어, 카메라), 마이크로폰, 환경 센서(예를 들어,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방사능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화학 센서(예를 들어, 헬스케어 센서, 생체 인식 센서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장치는, 이러한 센서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에서 센싱되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4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4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일 예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 정보, 또는 이러한 실행화면 정보에 따른 UI(User Interface), GUI(Graphic User Interface)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메모리(15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와, 제어부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음악 파일,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저장할 있고, 본 장치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이러한, 메모리(15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SSD 타입(Solid State Disk type), SDD 타입(Silicon Disk Drive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및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는 본 장치와는 분리되어 있으나,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데이터베이스가 될 수도 있다.
제어부(19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의 구성요소들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알고리즘 또는 알고리즘을 재현한 프로그램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전술한 동작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미도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메모리와 프로세서는 각각 별개의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는, 메모리와 프로세서는 단일 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90)는 이하의 도 3 내지 도 7에서 설명되는 본 개시에 따른 다양한 실시 예들을 디스플레이 장치(100) 상에서 구현하기 위하여,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를 조합하여 제어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의 성능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가 추가되거나 삭제될 수 있다. 또한, 구성 요소들의 상호 위치는 시스템의 성능 또는 구조에 대응하여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한편, 도 2에서 도시된 각각의 구성요소는 소프트웨어 및/또는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FPGA) 및 주문형 반도체(ASIC,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가전 작동을 경험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작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메타버스 기반의 모델하우스를 나타낸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부(190)는 메타버스 공간을 디스플레이(140)에 출력할 수 있다(S310).
그 후에, 제어부(190)는 메타버스에서 스마트 가전 작동을 경험하기 위한 모델 하우스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S320).
제어부(190)는 모델 하우스가 현실 세계에 대응하는 경우, 모델 하우스의 위치 정보, 건물 형태 정보(아파트, 빌라, 오피스텔, 상가 등), 실제 입주 대상 지역의 거리 뷰 정보, 평형 정보, 학군 정보, 교통/역세권 정보 등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제어부(190)는 모델 하우스 내부에 배치된 스마트 가전의 작동 방법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아바타 및 상기 가이드 아바타의 도움을 받아 스마트 가전 조작을 경험하는 사용자 아바타를 표시할 수 있다(S330).
제어부(190)는 일단 스마트 가전 각각의 사이즈를 실제 적용될 모델 하우스 내 다양한 위치에 배치하는 배치 시뮬레이션을 가이드 아바타에게 요청할 수 있다.
여기서, 가이드 아바타는 NPC(non playing character)라는 인공지능 기반의 지능형 캐릭터로 구현될 수 있으며, 사용자 아바타와의 대화를 수행할 수 있으며, 사용자 아바타의 진행 방향을 가이드할 수 있고, 현실의 사용자가 각종 장비(HMD 디스플레이, 다양한 사용자 입력부(실제 팔/다리의 감각을 전달하는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스마트 가전 작동 시뮬레이션을 가이드할 수 있다.
가령, 제어부(190)는 메타버스의 특정 스마트 가전에 대한 조작 방법 가이드 요청을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수신하는 경우, 수신된 요청에 따라 사용자 아바타가 상기 가이드 아바타에게 특정 스마트 가전에 대한 조작 방법 가이드를 요청할 수 있다.
이 경우, 가이드 아바타는, 사용자 아바타의 실제 연령, 성별, 성향(매뉴얼에 따라 차근차근 설명을 원하는지, 작동 중요 포인트에 대한 설명만 원하는지 등), 스마트 가전 작동 시뮬레이션 허용 시간, 스마트 가전 작동 시뮬레이션 실패시 재 작동 시뮬레이션을 원하는지 등에 대한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가이드 아바타는, 메타버스 구현 서버(200)에 의해 구현되는 인공지능 기반의 캐릭터일 수 있다.
가이드 아바타는 사용자 아바타의 실제 연령 정보만 입력 받은 경우, 특정 스마트 가전에 대해서 해당 연령 대의 사용자가 평균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내용으로 스마트 가전 작동 시뮬레이션을 가이드할 수 있다.
가이드 아바타는 사용자 아바타를 통해 사용자가 정해진 시퀀스에 따라 스마트 가전을 수행하는지 체크할 수 있으며, 스마트 가전 수행의 단계를 정상적으로 수행할 ‹š마다 칭찬과 격려의 말을 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가이드 아바타는 사용자 아바타가 매뉴얼에 따른 스마트 가전의 작동을 원하는 경우, 사용자 아바타가 스마트 가전을 매뉴얼에 따라 조작하지 않은 경우, 사용자 아바타에게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가이드 아바타는 사용자 아바타가 원하는 경우, 스마트 가전 작동 시뮬레이션을 재차 가이드하거나 가이드 문서를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190)는 가이드 아바타로부터 가이드 문서(피드백)을 받은 경우, 피드백 메시지를 디스플레이(140)에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90)는 시뮬레이션 가능한 스마트 가전의 기능군을 사용자 입력 기능, 출력 기능, 센싱 기능, 가전 유닛의 동적 작동 기능 등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사용자 입력 기능은 버튼, 비접촉식 근접 실행, 스마트폰을 통한 지사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출력 기능은 화면 디스플레이, 음성/사운드 출력, 스마트폰에 출력값 전송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센서 기능은 각종 IoT 센서 기능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가전 유닛의 동적 작동 은 문의 개폐, 유닛의 움직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90)는 스마트 액션(smart action)을 표현하기 위한 메타버스 환경 내 작동 가능한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세트를 이용할 수 있으며, 스마트 액션 에디터를 통해 가전 모델과 API 를 연동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이드 아바타에게 특정 스마트 가전에 대한 가이드 요청을 수행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아바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이드 아바타에게 특정 스마트 가전에 대한 가이드 서비스를 요청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부(190)는 메타버스의 특정 스마트 가전에 대한 조작 방법 가이드 요청을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S410).
선택적 실시 예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HMD(head mounted display)로 구현될 수 있으며, 사용자 입력부는 사용자의 음성 및/또는 제스쳐를 입력받을 수 있다.
제어부(190)는 사용자 아바타(UAV)가 가이드 아바타(가령, 도 7의 GAV)에게 특정 스마트 가전에 대한 조작 방법 가이드를 요청할 수 있다(S420).
메타버스 구현 서버(200)에 의해 제공되는 가이드 아바타(GAV)는 가이드 아바타(GAV)가 사용자 아바타(UAV)에게 소정 공간에 배치된 스마트 가전의 작동 및 조작 방법을 가이드하도록 관련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190)는 사용자 아바타(UAV)가 특정 스마트 가전을 매뉴얼 대로 조작하지 않아서 가이드 아바타(GAV)로부터 피드백을 받는 경우, 피드백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S430).
제어부(190)는 피드백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함과 동시(또는 S430 단계 수행 후)에 스마트 가전의 스마트 액션을 동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S440).
스마트 액션(smart action)은 스마트 가전의 다양한 기능을 포함할 수 있으며, 스마트 가전의 다양한 기능은 사용자 입력 기능, 출력 기능, 센서 기능, 가전 유닛의 동적 작동 기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입력 기능은 버튼, 비접촉식 근접 실행, 스마트폰을 통한 지시 기능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출력 기능은 화면 디스플레이, 음성/사운드 출력, 스마트폰에 출력값 전송 기능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센서 기능은 각종 IoT(internet of things) 센서 기능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가전 유닛의 동적 작동 기능은 오브젝트(가령, 도어, 유닛 등)의 개폐, 움직임 기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90)는 스마트 가전의 스마트 액션을 표현하기 위한 메타버스 환경 내 작동 가능한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세트(set)를 구비할 수 있다. 제어부(190)는 스마트 액션 에디터를 통해 스마트 가전 모델과 API를 서로 연동할 수 있다.
제어부(190)는 사용자 아바타(UAV)가 특정 스마트 가전에 대한 조작에 실패하거나 가이드 아바타(GAV)로부터 사용법을 배우는 상황인 경우, 사용 및/또는 구동 방법을 실행하기 위해, 기 설정된 동작에 대응하는 API를 해당 스마트 가전 모델과 연동시킬 수 있다.
가령, 제어부(190)는 사용자 아바타(GAV)가 작동 및/또는 조작 방법을 수행하도록 특정 스마트 가전의 버튼(선택 버튼, 회전 버튼 등을 포함)이 조작되어야 하는 경우, 해당 버튼이 깜빡깜빡하도록 API를 연동시킬 수 있다.
구동되는 스마트 액션은 상술한 예에 국한되지 않으며, 스마트 가전 모델마다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으며, 스마트 액션은 사용자 아바타(UAV)가 해당 스마트 가전을 정상적으로 구동시킬 때까지 순차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도 6을 참고하면, 사용자 아바타(UAV)는 현실 세계의 사용자에 대응할 수 있다. 사용자 아바타(UAV)는 실제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데, 실제 사용자와 유사한 형태(실제 사용자보다 미모가 더 출중하거나 사용자 의사가 반영되어 표현되는 형태)로 디스플레이 될 수 있으며, 실제 사용자와는 다른 형태(실제 여성이 아닌 경우에도 여성으로 표현되거나 반려견의 모양으로 표현 등)로도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사용자 아바타(UAV)는 모델하우스에서 복수의 스마트 가전(VS1~VS3) 중에서 작동 시뮬레이션을 경험하고자 하는 스마트 가전(VS1~VS3)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 가이드 아바타(GAV, 도 6에는 미표시)는 사용자 아바타(UAV)에게 작동 자신감을 불러 일으키기 위해, 작동이 가장 쉬운 스마트 가전부터 가장 어려운 스마트 가전으로 설정하여 사용자 아바타(UAV)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서는, 가이드 아바타(GAV)는 스마트 가전 작동 시뮬레이션 일정을 만들어서, 사용자 아바타(UAV)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이동 단말에 정기적으로 알람 형태로 알릴 수 있다.
도 7을 참고하면, 가이드 아바타(GAV)는 사용자 아바타(UAV)와 인터랙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가령, 가이드 아바타(GAV)는 사용자 아바타(UAV)는 대화할 수 있는데, 배치된 스마트 가전(O1~O6) 중에서 작동 시뮬레이션하고자 하는 스마트 가전을 선택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가이드 아바타(GAV)는 간단하게 구동되는 스마트 가전(O1으로 가정)에서 작동이 어려운 스마트 가전(O6으로 가정) 순으로 작동 시뮬레이션을 가이드할 수 있다.
가이드 아바타(GAV)는 실제 사용자의 팔에 탑재된 장비(감각을 전달할 수 있으며, 사용자 제어 명령을 수행할 수 있는 장비)를 이용한 입력을 요청할 수 있다.
가이드 아바타(GAV) 및/또는 제어부(190)는 가이드 아바타(GAV)의 가이드 내용을 인식한 후, 실제로 사용자 아바타(UAV)가 정확한 조작을 수행하는지 모니티링할 수 있다
가이드 아바타(GAV)는 사용자 아바타(UAV)가 정확한 동작을 수행하는지 단계별로 체크하고 저장하며, 사용자 아바타(UAV)의 작동 감각/스킬 정보를 저장하여, 작동 감각/스킬 정보가 떨어지는 경우(가령, 동일한 작동을 세번 연속 실패하는 경우), 사용자 아바타(UAV)가 포기하지 않도록 작동 방법만 문서로 생성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가이드 아바타(GAV)는 미리 정의된 스마트 가전의 기능군에 기초하여, 해당 기능(사용자 입력 기능, 출력 기능, 센싱 기능 및 가전 유닛의 동적 작동 등)을 수행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00: 디스플레이 장치 110: 통신부
120: 입력부 130: 센싱부
140: 디스플레이 150: 메모리
190: 제어부 200: 메타버스 구현 서버

Claims (8)

  1. 스마트 가전 작동 시뮬레이션을 지원하는 메타버스 구현 시스템으로서,
    사용자 입력부와 제어부를 구비하되, 스마트 가전 작동 방법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아바타 및 상기 가이드 아바타의 도움을 받아 스마트 가전 조작을 경험하는 사용자 아바타를 디스플레이하며, 메타버스 공간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메타버스에서 스마트 가전 작동을 경험하기 위한 모델 하우스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제공하고, 상기 가이드 아바타가 상기 사용자 아바타에게 소정 공간에 배치된 스마트 가전의 작동 및 조작 방법을 가이드하도록 관련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제공하는 메타버스 구현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델 하우스가 현실 세계에 대응하는 경우, 상기 모델 하우스의 위치 정보, 건물 형태 정보, 실제 입주 대상 지역의 거리 뷰 정보, 평형 정보, 학군 정보, 교통 및 역세권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메타버스의 특정 스마트 가전에 대한 조작 방법 가이드 요청을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수신하면, 상기 사용자 아바타가 상기 가이드 아바타에게 특정 스마트 가전에 대한 조작 방법 가이드를 요청하며,
    상기 사용자 아바타가 스마트 가전을 매뉴얼에 따라 조작하지 않아서 상기 가이드 아바타로부터 피드백을 받은 경우, 피드백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고, 동시에 스마트 가전의 사용자 입력 기능, 출력 기능, 센서 기능, 가전 유닛의 동적 작동 기능을 포함하는 스마트 액션을 동적으로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사용자 아바타가 해당 스마트 가전을 정상적으로 구동시킬 때까지 상기 스마트 액션을 순차적으로 제공하는, 메타버스 구현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아바타의 실제 연령, 성별, 성향, 스마트 가전 작동 시뮬레이션 허용 시간, 스마트 가전 작동 시뮬레이션 실패시 재 작동 시뮬레이션을 원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입력 받도록 구성된, 메타버스 구현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아바타는 실제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로 구현되어 디스플레이되며,
    상기 사용자 아바타는 상기 모델 하우스에서 복수의 스마트 가전 중에서 작동 시뮬레이션을 경험하고자 하는 스마트 가전 방향으로 이동되며, 상기 가이드 아바타는 상기 사용자 아바타에게 작동 자신감을 불러 일으키기 위해, 작동이 가장 쉬운 스마트 가전부터 가장 어려운 스마트 가전으로 설정하여 상기 사용자 아바타의 이동을 가이드하며,
    상기 가이드 아바타는 스마트 가전 작동 시뮬레이션 일정을 만들어 상기 사용자 아바타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이동 단말에 정기적으로 알람 형태로 알리도록 구성된, 메타버스 구현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아바타는 상기 사용자 아바타와 인터랙션 기능을 수행하여 스마트 가전들 중에서 작동 시뮬레이션하고자 하는 스마트 가전을 선택하도록 가이드하거나, 간단하게 구동되는 스마트 가전에서 작동이 어려운 스마트 가전 순으로 작동 시뮬레이션을 가이드하며,
    상기 가이드 아바타는 상기 사용자 아바타가 정확한 조작을 수행하는지 모니티링하고, 상기 사용자 아바타가 정확한 동작을 수행하는지 단계별로 체크하고 저장하며, 상기 사용자 아바타의 작동 감각 및 스킬 정보를 저장하여 작동 감각 및 스킬 정보가 떨어지는 경우에 작동 방법을 문서로 생성하여 제공하고 미리 정의된 스마트 가전의 기능군에 기초하여 해당 기능을 수행하도록 가이드하는, 메타버스 구현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HMD(head mounted display) 장치로 구현되며,
    상기 사용자 입력부는 사용자의 음성 및 제스쳐를 입력받도록 구성되는, 메타버스 구현 시스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220134607A 2022-10-19 2022-10-19 스마트 가전 작동 시뮬레이션을 지원하는 메타버스 모델하우스를 제공하는 메타버스 구현 시스템 KR1026233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4607A KR102623374B1 (ko) 2022-10-19 2022-10-19 스마트 가전 작동 시뮬레이션을 지원하는 메타버스 모델하우스를 제공하는 메타버스 구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4607A KR102623374B1 (ko) 2022-10-19 2022-10-19 스마트 가전 작동 시뮬레이션을 지원하는 메타버스 모델하우스를 제공하는 메타버스 구현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3374B1 true KR102623374B1 (ko) 2024-01-11

Family

ID=895335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4607A KR102623374B1 (ko) 2022-10-19 2022-10-19 스마트 가전 작동 시뮬레이션을 지원하는 메타버스 모델하우스를 제공하는 메타버스 구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3374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31179A (ko) * 2012-05-23 2013-12-03 대전보건대학 산학협력단 메타버스를 활용한 사이버 모델하우스 시스템
KR102122563B1 (ko) * 2019-11-25 2020-06-12 류경희 가상 현실 공간을 이용한 쇼핑몰 플랫폼 구축 시스템
KR102193193B1 (ko) * 2020-08-27 2020-12-18 주식회사 고려주방 가상 체험이 가능한 업소용 주방 배치 인테리어 시스템
KR102341752B1 (ko) 2021-09-13 2021-12-27 (주)인더스트리미디어 메타버스에서 아바타를 이용한 강의 보조 방법 및 그 장치
JP2022093785A (ja) * 2020-12-14 2022-06-24 グリー株式会社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プログラム
KR102442042B1 (ko) * 2022-02-17 2022-09-08 주식회사 에스와이에스리테일 실측기반의 메타버스 가상주거공간에서의 상품 서비스 제공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31179A (ko) * 2012-05-23 2013-12-03 대전보건대학 산학협력단 메타버스를 활용한 사이버 모델하우스 시스템
KR102122563B1 (ko) * 2019-11-25 2020-06-12 류경희 가상 현실 공간을 이용한 쇼핑몰 플랫폼 구축 시스템
KR102193193B1 (ko) * 2020-08-27 2020-12-18 주식회사 고려주방 가상 체험이 가능한 업소용 주방 배치 인테리어 시스템
JP2022093785A (ja) * 2020-12-14 2022-06-24 グリー株式会社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プログラム
KR102341752B1 (ko) 2021-09-13 2021-12-27 (주)인더스트리미디어 메타버스에서 아바타를 이용한 강의 보조 방법 및 그 장치
KR102442042B1 (ko) * 2022-02-17 2022-09-08 주식회사 에스와이에스리테일 실측기반의 메타버스 가상주거공간에서의 상품 서비스 제공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20778B2 (en) Augmentable and spatially manipulable 3D modeling
US11009939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generating and providing immersive 3D displays
CN108885521A (zh) 跨环境共享
EP3835933A1 (en) Product browsing method and apparatus, device and storage medium
TWI662475B (zh) 應用程式生成設備、方法和非臨時性電腦可讀媒介及應用程式驅動設備
TWI622941B (zh) 移動裝置、用於預測使用者行為的方法、及非暫時性電腦可讀取儲存媒體
US9495064B2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WO2022169668A1 (en) Integrating artificial reality and other computing devices
KR102623374B1 (ko) 스마트 가전 작동 시뮬레이션을 지원하는 메타버스 모델하우스를 제공하는 메타버스 구현 시스템
Abbas et al. Augmented reality-based real-time accurate artifact management system for museums
KR20200125514A (ko) 터치 패드 입력을 갖는 게임 컨트롤러
Figueiredo et al. Overcoming poverty through digital inclusion
KR20200097012A (ko) 단말 제어 시스템 및 단말 제어 방법
JP2002169640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記録媒体
CN115116295A (zh) 关联性交互训练展示方法、系统、设备及存储介质
US2018008987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virtual reality content
US9971501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daptive arrangement and representation of user interface elements
KR102623371B1 (ko) 표준 전시 부스 기반 메타버스 전시 공간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메타버스 구현 시스템
Cacho-Elizondo et al. Assessing the opportunities for virtual, augmented, and diminished reality in the healthcare sector
CN111135557B (zh) 用于多屏的交互方法和装置
CN112755510A (zh) 一种移动端云游戏控制方法、系统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Vroegop Microsoft HoloLens Developer's Guide
Minda Gilces et al. A kinect-based gesture recognition approach for the design of an interactive tourism guide application
KR102520606B1 (ko) 메타버스 스토어 공간 구축 방법, 메타버스 서핑 기반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메타버스 구현 시스템
Karan et al. Smartphone as a paired game input device: an application on hololens head mounted augmented reality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