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2063B1 - 물리적인 건축 블록들을 기반으로 한 메타버스 플랫폼 상의 건축물 3d 모델링 구현 방법, 장치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물리적인 건축 블록들을 기반으로 한 메타버스 플랫폼 상의 건축물 3d 모델링 구현 방법, 장치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2063B1
KR102622063B1 KR1020220168310A KR20220168310A KR102622063B1 KR 102622063 B1 KR102622063 B1 KR 102622063B1 KR 1020220168310 A KR1020220168310 A KR 1020220168310A KR 20220168310 A KR20220168310 A KR 20220168310A KR 102622063 B1 KR102622063 B1 KR 1026220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building
building block
base
metaver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683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민철
Original Assignee
이민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민철 filed Critical 이민철
Priority to KR10202201683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20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20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206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3/00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G09B23/02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mathematics
    • G09B23/04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mathematics for geometry, trigonometry, projection or perspectiv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2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visual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e.g. using film strip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물리 공간에 존재하는 소정의 건축 블록(모형 블록)을 베이스(키트 패널)에 안착/결합시켰을 때, 이를 기반으로 메타버스 공간 상에 상기 건축 블록에 대응하는 가상의 건축물/구조물을 생성하는, 물리적인 건축 블록들을 기반으로 한 메타버스 플랫폼 상의 건축물 3D 모델링 구현 방법,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물리적인 건축 블록들을 기반으로 한 메타버스 플랫폼 상의 건축물 3D 모델링 구현 방법, 장치 및 시스템{BUILDING 3D MODELING IMPLEMENTATION METHOD, DEVICE AND SYSTEM ON METAVERSE PLATFORM BASED ON PHYSICAL BUILDING BLOCKS}
아래 실시예들은 물리 공간에 존재하는 소정의 건축 블록(모형 블록)을 베이스(키트 패널)에 안착/결합시켰을 때, 이를 기반으로 메타버스 공간 상에 상기 건축 블록에 대응하는 가상의 건축물/구조물을 생성하는, 물리적인 건축 블록들을 기반으로 한 메타버스 플랫폼 상의 건축물 3D 모델링 구현 방법,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레고, 옥스포드 사 등에서 판매되고 있는 장난감 블록 교구는, 단순한 형태의 블록들을 조립하여 복잡한 형상의 물체를 만들어낼 수 있다는 점에서 교육용, 취미용 등으로 인기가 높다.
다만, 일반적인 블록 교구들은 종이로된 설명서/도면 등을 참고하여 만들거나, 디지털 매체의 도움을 받더라도 단순히 동영상을 참고하는 등, 어린이/청소년이 복잡한 형상의 물체를 만드는 과정을 학습하는 데에 큰 어려움이 있었다.
한편, 자석을 이용하여 서로 연결/조립되는 자석형 블록 교구가 개발된 바 있으나, 이 또한 전술한 일반적인 블록 교구와 같은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블록 인식 장치 등을 기반으로, 실물 블록과 컴퓨터/디지털 공간 상의 블록을 연동하는 기술 등이 개발되었으나, 건축물 등을 구성하기 위하여 다수의 층을 가지는 블록의 적층/안착/조립을 인식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실용신안문헌 1) KR 20-0490973 Y (실용신안문헌 2) KR 20-2019-0003215 U KR 10-1542783 B KR 10-1588444 B
본 발명의 일실시예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블록 교구의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소정의 구조를 가지는 건축 블록(모형 블록)을 기반으로 소정의 건축물 모형 등을 실제로 조립할 때, 이를 기반으로 메타버스 공간 상의 3D 모델링을 자동으로 생성 및 구축할 수 있는, 물리적인 건축 블록들을 기반으로 한 메타버스 플랫폼 상의 건축물 3D 모델링 구현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소정의 건축 블록과, 상기 건축 블록이 안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베이스를 포함하는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물리적인 건축 블록들을 기반으로 한 메타버스 플랫폼 상의 건축물 3D 모델링 구현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베이스 또는 기 안착되어 있었던 제1 건축 블록]에 소정의 제2 건축 블록이 새로이 안착되는지 감지하는 제1 단계; 상기 제2 건축 블록이 새로이 안착된 것을 기반으로, 상기 제2 건축 블록에 대응하는 제2 가상 블록을 소정의 메타버스 공간 내에 생성하는 제2 단계; 상기 제1 건축 블록이 탈거되는지 감지하는 제3 단계; [상기 제1 건축 블록 중 탈거된 것으로 감지된 제3 건축 블록]에 대응하는 제3 가상 블록을 상기 메타버스 공간 내에서 제거하는 제4 단계; 및 상기 제1 베이스에 연동되는 제1 사용자로부터, 상기 메타버스 공간 및 가상 블록에 대해 소정의 설정을 입력받는 제5 단계; 상기 제1 사용자가, [상기 메타버스 공간에 접속한 제2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상호작용 메세지를 수신하는 제6 단계;를 포함하는, 물리적인 건축 블록들을 기반으로 한 메타버스 플랫폼 상의 건축물 3D 모델링 구현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기재에서, 건축 블록은 제n 건축 블록을 포함하여 지칭하고, 가상 블록은 제m 가상 블록을 포함하여 지칭하고, 베이스는 제k 베이스를 포함하여 지칭함. n, m 및 k는 자연수)
또한, 상기 베이스는: 다수개의 건축 블록이 안착되도록 다수개의 제1 구획이 형성되며, 소정의 제1 제어부; 상기 제1 구획마다 구비되는 제1 전극; 상기 제1 구획마다 구비되는 제1 자석; 및 상기 제1 구획마다 구비되는 제1 접촉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건축 블록은: 소정의 정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정육면체 형상의 각 면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패널; 상기 정육면체 형상의 각 면에 구비되는 제2 자석; 상기 정육면체 형상의 각 면에 구비되는 제2 접촉센서; 상기 정육면체 형상의 각 면에 구비되는 제2 전극; 상기 정육면체 형상의 내측에 수용되는 제2 제어부; 및 상기 정육면체 형상의 내측에 수용되는 배터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제2 건축 블록의 제2 전극이 [상기 제1 베이스의 제1 전극] 또는 [기 안착되어 있었던 제1 건축 블록의 제2 전극]과 연결되어, 상기 제2 건축 블록에 전원이 인가되는 단계; 상기 제2 건축 블록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베이스의 제1 접촉센서] 또는 [상기 제1 건축 블록의 제2 접촉센서]를 기반으로, 상기 제2 건축 블록의 안착 지점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제1 베이스의 제1 접촉센서] 또는 [상기 제1 건축 블록의 제2 접촉센서]를 기반으로, 상기 제3 건축 블록의 탈거 지점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베이스에 안착되지 않은 건축 블록인 제4 건축 블록]을 보관하는 제2 베이스에 안착된 상기 제4 건축 블록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건축 블록은: 소정의 고유번호가 지정되어, 상기 고유번호를 기반으로 상기 메타버스 공간 상의 가상 블록에 대응되고, 상기 고유번호마다 벽, 창문, 지붕, 바닥, 문 및 가구를 포함하는 군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블록 카테고리가 지정되며,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은: 상기 블록 카테고리에 따라 소정의 블록 그래픽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5 단계는: 상기 소정의 설정을 입력받도록 활성화된 가상 블록에 대응하는 건축 블록의 디스플레이패널을 점멸시키는 단계; 상기 가상 블록에 대한 블록 카테고리를 지정받는 단계; 및 상기 가상 블록에 대응하는 건축 블록에, 지정된 상기 블록 카테고리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6 단계는: 상기 상호작용 메세지에 포함된 가상 블록에 대응하는 제5 건축 블록의 디스플레이패널을 점멸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1 사용자가 상기 메타버스 공간 상에서 상기 상호작용 메세지를 확인하도록 표기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① 상기 상호작용 메세지가 블록 위치 변경 메세지인 경우: [상기 제5 건축 블록의 디스플레이 패널에 디스플레이된 상기 블록 그래픽]에 빨간색 색조 필터를 적용하여 점멸시키고, ② 상기 상호작용 메세지가 블록 방향 변경 메세지인 경우: [상기 제5 건축 블록의 디스플레이 패널에 디스플레이된 상기 블록 그래픽]에 주황색 색조 필터를 적용하여 점멸시키고, ③ 상기 상호작용 메세지가 블록 카테고리 변경 메세지인 경우: [상기 제5 건축 블록의 디스플레이 패널에 디스플레이된 상기 블록 그래픽]에 노란색 색조 필터를 적용하여 점멸시키고, ④ 상기 상호작용 메세지가 신규 블록 추가 메세지인 경우: [상기 제5 건축 블록의 디스플레이 패널에 디스플레이된 상기 블록 그래픽]에 초록색 색조 필터를 적용하여 점멸시키되, 상기 제5 건축 블록이 안착될 제1 건축 블록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5 건축 블록이 안착될 상기 제1 건축 블록의 디스플레이 패널에 디스플레이된 상기 블록 그래픽]에 초록색 색조 필터를 적용하여 점멸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베이스의 제1 구획은, 가로 5칸 및 세로 5칸으로 구성되며, 상기 메타버스 공간에는 [상기 제1 구획에 대응하는 가로 5칸 및 세로 5칸]과, 높이 5칸을 가지는 제2 구획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사용자가, [상기 제2 구획에 건축된 가상 구조물]을 대체 불가능 토큰(Non-Fungible Token; NFT)으로 등록하는 제7 단계; 및 상기 제1 사용자가, 제2 사용자가 등록한 블록 도면을 구매하여, 상기 블록 도면을 기반으로 건축 블록을 제1 베이스에 안착시키도록 안내받는 제8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7 단계는: 상기 제2 구획에 대응하는 소정의 3차원 행렬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3차원 행렬의 성분에, 각 제2 구획에 안착된 가상 블록의 블록 카테고리에 따라 두 자리 알파벳으로 구성된 카테고리코드와, 각 제2 구획에 안착된 가상 블록이 향하는 방향에 따라 두 자리 숫자로 구성된 방향코드를 지정하는 단계; 상기 3차원 행렬을 기반으로, 상기 가상 구조물의 기 등록된 블록 도면과의 중복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가상 구조물이 기 등록된 블록 도면과 중복되지 않는 것을 기반으로, 상기 3차원 행렬에 대한 대체 불가능 토큰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3차원 행렬을, 블록 도면으로써 소정의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는 단계; 및 상기 대체 불가능 토큰을 소정의 NFT 거래 플랫폼을 기반으로 매매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8 단계는: 상기 블록 도면에 대한 사용료를 결제하는 단계; 및 상기 블록 도면에 대응하는 대체 불가능 토큰의 소유자에게 사용료를 정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상술한 방법들 중 어느 하나의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소정의 구조를 가지는 건축 블록(모형 블록)을 기반으로 소정의 건축물 모형 등을 실제로 조립할 때, 이를 기반으로 메타버스 공간 상의 3D 모델링을 자동으로 생성 및 구축할 수 있다.
또한, 건축 블록의 구조를 기반으로, 건축 블록이 안착된 3차원 좌표(가로, 세로, 높이 위치)를 확인하여 이를 기반으로 실시간 3차원 모델링을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건축 블록과 베이스간 전극을 연결함으로써, 건축 블록에 전원을 공급하고 건축 블록의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아울러, 건축 블록의 외주면에 배치된 디스플레이패널에 소정의 디자인을 표기함으로써, 단일한 건축 블록을 기반으로 다양한 형태의 건축물/구조물 모형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메타버스 공간상의 다른 사용자로부터 가상 건축물/구조물에 대한 피드백/상호작용을 수신하고, 이를 기반으로 건축 블록의 외주면에 배치된 디스플레이패널을 점멸시킴으로써, 블록 교구에 관한 원격 학습/지도가 가능하다.
그리고, 건축물/구조물에 관한 도면을 NFT화 하고, 이를 기반으로 건축물/구조물을 설계한 사람에게 소정의 수익을 분배할 수 있다.
아울러, 다른 사람이 설계한 건축물/구조물의 도면을 구매/임대하여 이를 기반으로 다양한 건축물/구조물을 조립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리적인 건축 블록들을 기반으로 한 메타버스 플랫폼 상의 건축물 3D 모델링 구현 장치의 건축 블록을 나타낸 실시예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리적인 건축 블록들을 기반으로 한 메타버스 플랫폼 상의 건축물 3D 모델링 구현 장치의 건축 블록이 베이스에 안착된 상태를 나타낸 실시예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리적인 건축 블록들을 기반으로 한 메타버스 플랫폼 상의 건축물 3D 모델링 구현 방법에서 생성된 3차원 행렬의 일부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리적인 건축 블록들을 기반으로 한 메타버스 플랫폼 상의 건축물 3D 모델링 구현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리적인 건축 블록들을 기반으로 한 메타버스 플랫폼 상의 건축물 3D 모델링 구현 방법의 제7 단계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특정한 개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기호인 대괄호('[', ']')는, 어떠한 단어가 어떻게 수식/한정되는지를 명확히 이해할 수 있도록 구분하여 표현하는 용도로 사용되었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 건축 블록은 제n 건축 블록을 포함하여 지칭하고, 가상 블록은 제m 가상 블록을 포함하여 지칭하고, 베이스는 제k 베이스를 포함하여 지칭할 수 있다. 여기서, n, m 및 k는 자연수로 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건축 블록은 ~하다'라는 설명은, '제1 건축 블록, 제2 건축 블록 및 제3 건축 블록은 ~하다'라는 설명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건축 블록'이란, 건축에 관한 교육 등을 위하여 제조/사용되는 소정의 모형 건축 블록을 의미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소정의 건축 블록과, 상기 건축 블록이 안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베이스를 포함하는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물리적인 건축 블록들을 기반으로 한 메타버스 플랫폼 상의 건축물 3D 모델링 구현 방법을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장치는, 소정의 메타버스 공간을 구성하기 위한 퍼스널 컴퓨터, 랩톱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스마트 폰, 텔레비전, 스마트 가전 기기, 지능형 자동차, 키오스크, 웨어러블 장치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다시말해, 상기 장치는, 건축 블록, 베이스 및 중앙처리장치 등을 포함하는 한 세트의 키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상기 제1 베이스 또는 기 안착되어 있었던 제1 건축 블록]에 소정의 제2 건축 블록이 새로이 안착되는지 감지하는 제1 단계(S100);에서는, 제1 건축 블록이 안착되는 공간인 제1 베이스에 새로운 건축 블록인 제2 건축 블록이 안착되는지를 감지하거나, 상기 제1 베이스에 이미 안착되어 있었던 건축 블록인 제1 건축 블록에 새로운 건축 블록인 제2 건축 블록이 안착되는지를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건축 블록이란, 제1 사용자 등에 의해 이미 제1 베이스 또는 다른 건축 블록에 안착되어 있었던 기존 건축 블록을 의미하며, 제2 건축 블록이란, 상기 단계에서 새로이 놓여지는 건축 블록을 의미한다.
다시말해, 제1 사용자는 건축 블록을 제1 베이스 또는 다른 건축 블록에 안착(거치/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제2 건축 블록이 새로이 안착된 것을 기반으로, 상기 제2 건축 블록에 대응하는 제2 가상 블록을 소정의 메타버스 공간 내에 생성하는 제2 단계(S200);에서는, 소정의 가상 블록이 새로이 놓여진 상기 제2 건축 블록에 대응되도록 가상 공간인 상기 메타버스 공간 내에 생성되어, 메타버스 공간 내에서 안착될 수 있다.
상기 메타버스 공간이란, 소정의 메타버스 플랫폼에서 생성된 가상의 3차원 공간을 의미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2 가상 블록이란, 상기 단계에서 새로이 놓여지는 가상 블록을 의미하며, 제1 가상 블록이란, 제1 사용자 등에 의해 이미 메타버스 공간에 안착되어 있었던 기존 가상 블록을 의미한다. 다만, 후술하는 실시예에서는 제1 가상 블록에 관한 설명이 불필요하여 설명을 생략하였다.
상기 제1 건축 블록이 탈거되는지 감지하는 제3 단계(S300);에서는, 이미 안착되어 있었던 제1 건축 블록들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제1 건축 블록으로부터 또는 제1 베이스로부터 탈거되는지를 감지한다.
여기서, 상기 제1 건축 블록들은 제1 베이스와 지속적으로 유무선 통신 연결되어 소정의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있으며, 상기 제1 베이스(또는 장치)는 이를 기반으로 안착 및 탈거에 대해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정의 전원을 공급받으며 제1 베이스에 대해 '안착이 유지되고 있음'을 송신하고 있던 제1 건축 블록들 중 어느 하나가 탈거되면, 탈거된 건축 블록인 제3 건축 블록에서는 제1 베이스에 대한 '안착이 유지되고 있음' 정보 송신이 중단되므로, 상기 제1 베이스는 '안착이 유지되고 있음' 정보 송신이 중단된 제3 건축 블록이 탈거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건축 블록들에는 소정의 배터리가 내장될 수 있으나, 상기와 같이 베이스와의 탈착 감지를 위한 연결/통신은 전원 연결(전극 연결)에 의해서만 수행되도록 회로를 구성할 수 있다. 그 경우, 상기 배터리는 디스플레이패널의 작동에만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건축 블록 중 탈거된 것으로 감지된 제3 건축 블록]에 대응하는 제3 가상 블록을 상기 메타버스 공간 내에서 제거하는 제4 단계(S400);에서는, 제1 베이스가 탈거된 건축 블록이라고 판단/감지한 건축 블록인 제3 건축 블록에 대응하여 상기 메타버스 공간 내에 생성 및 안착되어 있는 제3 가상 블록을, 메타버스 공간 내에서 제거/탈거할 수 있다.
여기서, '제거'란, 상기 메타버스 공간 내에 구축된 소정의 가상 건축물/구조물로부터 제거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제1 베이스에 연동되는 제1 사용자로부터, 상기 메타버스 공간 및 가상 블록에 대해 소정의 설정을 입력받는 제5 단계(S500);에서는, 상기 제1 베이스를 조작하고 있는 제1 사용자의 장치(단말기)로부터, 상기 가상 블록들마다의 종류나 배치 방향을 지정하거나, 소정의 블록 도면을 활용할 것인지 여부 등의 설정을 입력받을 수 있다.
상기 제1 사용자가, [상기 메타버스 공간에 접속한 제2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상호작용 메세지를 수신하는 제6 단계(S600);에서는, 상기 가상 블록이 올바로 놓여졌는지, 다음에는 어떤 가상 블록을 어디에 배치할 수 있는지 등, 적어도 하나의 가상 블록을 지정하고 이에 관한 코멘트나 동작 영상을 포함한 소정의 상호작용 메세지를 제2 사용자가 송신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제1 사용자는: 상기 제1 베이스에 연동되어 상기 건축 블록을 직접적/물리적으로 조작/운반/접촉하는 사람이나, 그 사람의 계정, 그 사람이 조작하는 장치 등을 의미할 수 있으며, 문맥에 따라 달리 이해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제2 사용자는: 상기 제1 사용자와는 다른 사람/계정/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는 블록 교구로 학습하는 사람/계정/장치, 제2 사용자는 지도하는 선생님/계정/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가 소정의 상호작용 메세지를 수신하는 제6 단계(S600)에서 '제1 사용자'라는 '사람(자연인)'이 디지털 신호인 상호작용 메세지를 별도의 장치 없이 직접 수신하는 것은 불가능하므로, 여기서 제1 사용자는 '제1 사용자의 계정 내지 제1 사용자의 장치'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는: 다수개의 건축 블록이 안착되도록 다수개의 제1 구획이 형성되며, 소정의 제1 제어부; 상기 제1 구획마다 구비되는 제1 전극; 상기 제1 구획마다 구비되는 제1 자석; 및 상기 제1 구획마다 구비되는 제1 접촉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로 42cm * 세로 42cm 크기의 베이스에 격자 형태로 나뉘어진 제1 구획마다, 상기 건축 블록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비되는 제1 전극, 상기 건축 블록이 안착/결합되도록 구비되는 제1 자석, 상기 건축 블록의 안착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구비되는 제1 접촉센서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구획은 소정의 구조물/건축물의 가장 저층(기반)으로써 기능할 수 있으며, 제1 사용자는 베이스 위에 놓여진 건축 블록 위에 다른 건축 블록을 적층하는 형식으로 다수개의 건축 블록 층을 가지는 구조물/건축물을 만들 수 있다.
여기서, 접촉센서에는 적외선 센서, 자석 센서 등 건축 블록과 건축 블록간 접촉 및 건축 블록과 베이스간 접촉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건축 블록은: 소정의 정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정육면체 형상의 각 면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패널; 상기 정육면체 형상의 각 면에 구비되는 제2 자석; 상기 정육면체 형상의 각 면에 구비되는 제2 접촉센서; 상기 정육면체 형상의 각 면에 구비되는 제2 전극; 상기 정육면체 형상의 내측에 수용되는 제2 제어부; 및 상기 정육면체 형상의 내측에 수용되는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건축 블록의 여섯 면에 구비되는 상기 제2 자석은, 상기 건축 블록의 어느 세 면에는 N극 제2 자석으로, 나머지 세 면에는 S극 제2 자석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이를 구분할 수 있도록 N극 제2 자석은 빨간색으로, S극 제2 자석은 파란색으로 도색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자석은 건축 블록의 제2 자석에 부착될 수 있는 기능만을 포함하면 되므로, 자석이 아닌 자석에 부착 가능한 소정의 금속으로 대체되는 실시예도 포함하는 기재로 해석될 수 있다.
상기 건축 블록들 각각에는 중앙처리장치, 메모리 및 통신모듈 등을 포함하는 제2 제어부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제2 전극을 통해 전원을 인가받음과 동시에 상기 베이스(제1 제어부)와 통신하며, 이를 기반으로 건축 블록의 탈착을 감지/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1 단계(S100)는: 상기 제2 건축 블록의 제2 전극이 [상기 제1 베이스의 제1 전극] 또는 [기 안착되어 있었던 제1 건축 블록의 제2 전극]과 연결되어, 상기 제2 건축 블록에 전원이 인가되는 단계; 상기 제2 건축 블록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베이스의 제1 접촉센서] 또는 [상기 제1 건축 블록의 제2 접촉센서]를 기반으로, 상기 제2 건축 블록의 안착 지점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안착된 건축 블록들은 베이스와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이를 구성하기 위한 회로도 등은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도록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다.
전원을 인가받은 건축 블록들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베이스와 소정의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전원을 기반으로 내장된 배터리를 충전하고, 디스플레이패널을 작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은, 전원이 인가되는 e동안에는 전원을 기반으로, 전원이 인가되지 않는 동안에는 배터리를 기반으로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건축 블록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단계는 '배터리의 충전을 시작하는 단계'로 해석될 수도 있다.
[상기 제1 베이스의 제1 접촉센서] 또는 [상기 제1 건축 블록의 제2 접촉센서]를 기반으로, 상기 제2 건축 블록의 안착 지점을 판단하는 단계에서는, 기존에는 접촉이 감지되지 않던 제1 접촉센서 또는 제2 접촉센서로부터 접촉이 감지되고, 이와 동시에 제2 건축 블록에 전원이 인가됨으로써 제1 베이스와 통신하는 건축 블록이 추가되었다면, 상기 제2 건축 블록이 새로이 접촉이 감지된 제1 접촉센서 또는 제2 접촉센서의 위치에 안착/결합된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이러한 단계를 기반으로 제1 베이스는 건축 블록이 3차원 좌표(구획) 중 어느 위치에 배치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3 단계(S300)는: [상기 제1 베이스의 제1 접촉센서] 또는 [상기 제1 건축 블록의 제2 접촉센서]를 기반으로, 상기 제3 건축 블록의 탈거 지점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건축 블록의 탈거 지점을 판단하는 단계에서는, 기존에는 접촉이 감지되던 제1 접촉센서 또는 제2 접촉센서로부터 접촉이 감지되지 않고, 이와 동시에 제1 건축 블록 중 어느 하나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음으로써 제1 베이스와 통신하는 건축 블록이 감소/이탈/제거되었다면, 상기 제1 건축 블록이 새로이 미접촉이 감지된 제1 접촉센서 또는 제2 접촉센서의 위치로부터 탈거/분리/이탈된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 베이스에 안착되지 않은 건축 블록인 제4 건축 블록]을 보관하는 제2 베이스에 안착된 상기 제4 건축 블록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제1 사용자에 의해 소정의 구조물/건축물이 구성되는 제1 베이스와는 별도로, 소정의 제2 베이스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2 베이스는, 아직 상기 구조물/건축물에 포함되지 않은 미사용/여분 건축 블록들이 안착/저장되는 공간으로써, 미사용/여분 건축 블록들을 미리 충전하고, 배터리를 기반으로 각 건축 블록들의 디스플레이패널이 작동 가능하도록 유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건축 블록은: 소정의 고유번호가 지정되어, 상기 고유번호를 기반으로 상기 메타버스 공간 상의 가상 블록에 대응되고, 상기 고유번호마다 벽, 창문, 지붕, 바닥, 문 및 가구를 포함하는 군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블록 카테고리가 지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조사에서는 제조하는 모든 건축 블록들 각각에 서로 중복되지 않는 고유번호를 부여하고, 이를 기반으로 메타버스 공간/플랫폼 내에 존재하는 모든 가상 블록들이 유일성을 가질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제1 사용자는 자신이 보유한 모든 건축 블록들 각각에 대해 상기 블록 카테고리를 지정하고 변경할 수 있다.
제조사에서는 어느 한 키트의 건축 블록/베이스에 대해, 건축 블록들마다 블록 카테고리의 개수를 지정하여 출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총 125개의 건축 블록이 포함된 키트에서, 50개의 건축 블록은 벽 블록 카테고리로, 10개의 건축 블록은 창문 블록 카테고리로 지정하여 출고할 수 있으며, 이를 구매한 제1 사용자는 자신이 건축할 구조물/건축물에 따라 이를 변경하며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은: 상기 블록 카테고리에 따라 소정의 블록 그래픽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제1 사용자는 상기 메타버스 공간 상에서 어느 건축 블록에 대해 '벽 블록'으로써 블록 카테고리를 지정할 수 있으며, 상기 고유번호를 기반으로 베이스가 상기 건축 블록에 데이터를 송신함으로써 상기 건축 블록의 디스플레이패널에 '벽 블록 그래픽'이 표기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시말해, 모든 건축 블록들은 벽, 창문, 지붕, 바닥, 문 및 가구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건축 블록으로써 사용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구조물/건축물에는 소정의 테마가 선택 및 지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딕 건축 양식 테마에서는 고딕 건축 양식 디자인으로 구성된 벽, 창문, 지붕, 바닥, 문 및 가구 블록 디자인이 디스플레이패널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으며, 현대 건축 양식 테마에서는 현대 건축 양식 디자인으로 구성된 벽, 창문, 지붕, 바닥, 문 및 가구 블록 디자인이 디스플레이패널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 때, 같은 종류의 건축 블록이더라도, 고유번호마다 서로 다른 블록 그래픽을 선택하여 지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건축 블록이 모두 '가구 블록 카테고리'로 지정된 경우, 기본적으로는 기본 세팅에 따른 가구 블록 그래픽이 디스플레이되지만, 제1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고유번호마다 서로 다른 가구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기본 세팅에 의해 모든 가구 블록 카테고리의 건축 블록들이 '의자'로 디스플레이되다가, 제1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어느 가구 블록 카테고리의 건축 블록은 '테이블'로, 어느 가구 블록 카테고리의 건축 블록은 '침대'로, 어느 가구 블록 카테고리의 건축 블록은 '선반'으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고, 이에 대응하는 가상 블록의 그래픽이 상기 메타버스 공간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상기 제5 단계(S500)는: 상기 소정의 설정을 입력받도록 활성화된 가상 블록에 대응하는 건축 블록의 디스플레이패널을 점멸시키는 단계; 상기 가상 블록에 대한 블록 카테고리를 지정받는 단계; 및 상기 가상 블록에 대응하는 건축 블록에, 지정된 상기 블록 카테고리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가 보유한 125개의 건축 블록에 대해, 제1 사용자가 메타버스 공간 상에서 어느 한 가상 블록에 대한 설정을 입력하고 있는 도중이라면, 고유번호를 기반으로 그에 대응하는 상기 건축 블록을 특정하고, 그 건축 블록의 디스플레이패널을 점멸시킴으로써 제1 사용자에게 자신이 설정하고 있는 건축 블록/가상 블록이 어느 건축 블록인지 확인시킬 수 있다.
따라서, 메타버스 공간 내에서 제1 사용자가 어느 가상 블록에 대해 블록 카테고리를 지정하게 되면, 이에 따라 그에 대응하는 건축 블록에 상기 블록 카테고리가 전송되어 건축 블록의 디스플레이패널에 새로이 지정된 블록 카테고리에 맞는 블록 그래픽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6 단계(S600)는: 상기 상호작용 메세지에 포함된 가상 블록에 대응하는 제5 건축 블록의 디스플레이패널을 점멸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1 사용자가 상기 메타버스 공간 상에서 상기 상호작용 메세지를 확인하도록 표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느 제2 사용자가 메타버스 공간 상의 어느 A 가상 블록(제5 가상 블록)에 대해 '안착된 위치가 잘못되었다'는 상호작용 메세지를 제1 사용자에게 송신한 경우, 제1 사용자가 구비한 건축 블록 중 상기 A 가상 블록에 대응하는 건축 블록인 제5 건축 블록의 디스플레이패널이 점멸됨으로써, 제1 사용자는 자신이 수신한 상호작용 메세지가 어느 건축 블록에 관한 것인지를 쉽게 인지할 수 있다.
뿐만아니라, 메타버스 공간 상에서도 자신이 수신한 상호작용 메세지가 어느 가상 블록에 관한 것인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표기함으로써, 제1 사용자는 물리 공간에 존재하는 건축 블록과 메타버스 공간에 존재하는 가상 블록을 쉽게 대응하여 이해할 수 있다.
이 때, ① 상기 상호작용 메세지가 블록 위치 변경 메세지인 경우: [상기 제5 건축 블록의 디스플레이 패널에 디스플레이된 상기 블록 그래픽]에 빨간색 색조 필터를 적용하여 점멸시키고, ② 상기 상호작용 메세지가 블록 방향 변경 메세지인 경우: [상기 제5 건축 블록의 디스플레이 패널에 디스플레이된 상기 블록 그래픽]에 주황색 색조 필터를 적용하여 점멸시키고, ③ 상기 상호작용 메세지가 블록 카테고리 변경 메세지인 경우: [상기 제5 건축 블록의 디스플레이 패널에 디스플레이된 상기 블록 그래픽]에 노란색 색조 필터를 적용하여 점멸시키고, ④ 상기 상호작용 메세지가 신규 블록 추가 메세지인 경우: [상기 제5 건축 블록의 디스플레이 패널에 디스플레이된 상기 블록 그래픽]에 초록색 색조 필터를 적용하여 점멸시키되, 상기 제5 건축 블록이 안착될 제1 건축 블록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5 건축 블록이 안착될 상기 제1 건축 블록의 디스플레이 패널에 디스플레이된 상기 블록 그래픽]에 초록색 색조 필터를 적용하여 점멸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시말해, 블록 위치가 잘못된 경우, 블록 방향이 잘못된 경우, 블록 카테고리가 잘못된 경우, 신규 블록을 추가해야 하는 경우 등에 따라 디스플레이패널의 색조를 다르게 표기함으로써, 제1 사용자가 어떤 행동/수정을 수행해야 하는지를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다.
이 때,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의 색조 필터/점멸에 대응하여, 상기 메타버스 공간 상의 가상 블록도 동일한 색조 필터가 적용되어 점멸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베이스의 제1 구획은, 가로 5칸 및 세로 5칸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구획의 상부에는 총 5층(높이)의 건축 블록이 안착될 수 있다. 다시말해, 제1 베이스에는 최대 125(5*5*5)개의 건축 블록이 안착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구획 및 건축 블록들은 각각 8cm 가량의 가로/세로/높이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제1 베이스의 가로/세로가 42cm 이므로).
이에 따라, 상기 메타버스 공간에는 [상기 제1 구획에 대응하는 가로 5칸 및 세로 5칸]과, 높이 5칸을 가지는 제2 구획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구획은 물리적으로 제1 베이스에 형성된 바닥층만을 포함할 수 있으나, 상기 제2 구획은 메타버스 공간 상에서 존재하는 가상의 3차원 좌표로써 기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사용자가, [상기 제2 구획에 건축된 가상 구조물]을 대체 불가능 토큰(Non-Fungible Token; NFT)으로 등록하는 제7 단계(S700); 및 상기 제1 사용자가, 제2 사용자가 등록한 블록 도면을 구매하여, 상기 블록 도면을 기반으로 건축 블록을 제1 베이스에 안착시키도록 안내받는 제8 단계(S8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대체 불가능 토큰을 구성하기 위하여, 소정의 블록체인 네트워크가 구성/연결될 수 있다. 다만, 블록체인 네트워크 및 대체 불가능 토큰에 관한 일반적인 구성은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제8 단계(S800)는: 상기 블록 도면에 대한 사용료를 결제하는 단계; 및 상기 블록 도면에 대응하는 대체 불가능 토큰의 소유자에게 사용료를 정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자신만의 상기 가상 구조물을 건축한 제1 사용자는, 자신이 건축한 건축물을 SNS에 업로드하거나 이를 고유화하여 자신이 소유할 수 있으며(NFT), 이를 기반으로 다른 사용자가 자신의 가상 구조물을 따라하면서 학습할 수 있도록 판매/대여/라이센싱할 수 있다.
이 때, 제2 사용자는 블록 도면을 구매하여 자신의 장치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제공받을 수 있으나, 상기 대체 불가능 토큰의 소유자는 여전히 생성자/등록자인 제1 사용자이다.
상기 대체 불가능 토큰은, 상기 블록 도면의 저작권자로써 수익권자를 증빙하는 용도로 활용될 수 있으며, 대체 불가능 토큰에 관한 공지 기술에 따라 별도로 거래될 수 있다.
상기 블록 도면을 기반으로 건축 블록을 제1 베이스에 안착시키도록 안내받는 제8 단계(S800)에서는: 상기 제1 사용자가 상기 가상 구조물을 건축했던 순서를 기반으로, 또는 상기 제1 사용자가 별도로 지정/작성한 매뉴얼을 기반으로, 제2 사용자가 (제1 사용자로써) 장치(건축 블록 및 베이스 등)를 사용하여 구조물/건축물을 건축할 때, 어느 순서에 따라 어떤 건축 블록들을 사용해야 하는지를 구체적으로 안내받을 수 있다.
상기 블록 도면에는 소정의 테마가 지정될 수 있으며, 상기 블록 도면을 구매한 제2 사용자가 건축 블록을 사용할 때, 상기 블록 도면을 선택하면 제2 사용자가 보유한 건축 블록들에 상기 테마에 따른 블록 카테고리 및 블록 그래픽이 일괄적으로 자동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제7 단계(S700)는: 상기 제2 구획에 대응하는 소정의 3차원 행렬을 생성하는 단계(S701); 상기 3차원 행렬(배열)의 성분에, 각 제2 구획에 안착된 가상 블록의 블록 카테고리에 따라 두 자리 알파벳으로 구성된 카테고리코드와, 각 제2 구획에 안착된 가상 블록이 향하는 방향에 따라 두 자리 숫자로 구성된 방향코드를 지정하는 단계(S702); 상기 3차원 행렬을 기반으로, 상기 가상 구조물의 기 등록된 블록 도면과의 중복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703); 상기 가상 구조물이 기 등록된 블록 도면과 중복되지 않는 것을 기반으로, 상기 3차원 행렬에 대한 대체 불가능 토큰을 생성하는 단계(S704); 상기 3차원 행렬을, 블록 도면으로써 소정의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는 단계(S705); 및 상기 대체 불가능 토큰을 소정의 NFT 거래 플랫폼을 기반으로 매매하는 단계(S70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단계에 따라 생성된 3차원 행렬의 예시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두 자리 알파벳으로 구성된 카테고리코드의 앞자리는 벽, 창문, 지붕, 바닥, 문 및 가구 중 어느 하나를 나타내는 A 내지 F 중 어느 하나로, 상기 두 자리 알파벳으로 구성된 카테고리코드의 뒷자리는 상기 블록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다양한 디자인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A 내지 Z 및 a 내지 z 중 어느 하나로 지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Ae' 카테고리코드는 '벽' 블록 카테고리(A)에 해당하는 다양한 디자인 중 'e' 디자인에 해당하는 카테고리코드를 의미할 수 있다. 'AZ' 카테고리코드는 '벽' 블록 카테고리(A)에 해당하는 다양한 디자인 중 'Z' 디자인에 해당하는 카테고리코드를 의미할 수 있다. 'Be' 카테고리코드는 '창문' 블록 카테고리(B)에 해당하는 다양한 디자인 중 'e' 디자인에 해당하는 카테고리코드를 의미할 수 있다.
서로 다른 여섯 면을 가지는 정육면체를 배치하는 경우의 수인 24가지를 기반으로, 01 내지 24의 방향코드를 지정할 수 있다.
각 층마다 지정된 5*5 크기의 2차원 행렬이 5개의 층에 대해 생성됨으로써, 125개의 구획 전체에 관한 블록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3차원 행렬을 기반으로, 상기 가상 구조물의 기 등록된 블록 도면과의 중복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703)에서는,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가상 구조물이 회전하였을 때 다른 가상 구조물과 동일하다면, 두 가상 구조물이 동일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3차원 행렬을, 블록 도면으로써 소정의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는 단계(S705)를 기반으로, 다양한 블록 도면들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으며, 블록 도면을 구매한 제2 사용자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블록 도면을 제1 베이스에 다운로드하여 활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방법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S100 : 제1 단계
S200 : 제2 단계
S300 : 제3 단계
S400 : 제4 단계
S500 : 제5 단계
S600 : 제6 단계
S700 : 제7 단계
S701 : 3차원 행렬을 생성하는 단계
S702 : 방향코드를 지정하는 단계
S703 : 중복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S704 : 대체 불가능 토큰을 생성하는 단계
S705 :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는 단계
S706 : 매매하는 단계
S800 : 제8 단계
B : 베이스
B1 : 제1 구획
B2 : 제1 전극, 제1 자석, 제1 접촉센서
C : 건축 블록
C1 : 디스플레이패널
C2 : 제2 자석, 제2 접촉센서, 제2 전극

Claims (3)

  1. [소정의 건축 블록과, 상기 건축 블록이 안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베이스를 포함하는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물리적인 건축 블록들을 기반으로 한 메타버스 플랫폼 상의 건축물 3D 모델링 구현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베이스 또는 기 안착되어 있었던 제1 건축 블록]에 소정의 제2 건축 블록이 새로이 안착되는지 감지하는 제1 단계;
    상기 제2 건축 블록이 새로이 안착된 것을 기반으로, 상기 제2 건축 블록에 대응하는 제2 가상 블록을 소정의 메타버스 공간 내에 생성하는 제2 단계;
    상기 제1 건축 블록이 탈거되는지 감지하는 제3 단계;
    [상기 제1 건축 블록 중, 상기 제3 단계에서 탈거된 것으로 감지된 상기 제1 건축 블록인 제3 건축 블록]에 대응하는 제3 가상 블록을 상기 메타버스 공간 내에서 제거하는 제4 단계; 및
    상기 제1 베이스에 연동되는 제1 사용자로부터, 상기 메타버스 공간 및 가상 블록에 대해 소정의 설정을 입력받는 제5 단계;
    상기 제1 사용자가, [상기 메타버스 공간에 접속한 제2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상호작용 메세지를 수신하는 제6 단계;를 포함하는,
    물리적인 건축 블록들을 기반으로 한 메타버스 플랫폼 상의 건축물 3D 모델링 구현 방법
    (상기 기재에서, 건축 블록은 제n 건축 블록을 포함하여 지칭하고, 가상 블록은 제m 가상 블록을 포함하여 지칭하고, 베이스는 제k 베이스를 포함하여 지칭함. n, m 및 k는 자연수)
  2.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다수개의 건축 블록이 안착되도록 다수개의 제1 구획이 형성되며,
    소정의 제1 제어부;
    상기 제1 구획마다 구비되는 제1 전극;
    상기 제1 구획마다 구비되는 제1 자석; 및
    상기 제1 구획마다 구비되는 제1 접촉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건축 블록은:
    소정의 정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정육면체 형상의 각 면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패널;
    상기 정육면체 형상의 각 면에 구비되는 제2 자석;
    상기 정육면체 형상의 각 면에 구비되는 제2 접촉센서;
    상기 정육면체 형상의 각 면에 구비되는 제2 전극;
    상기 정육면체 형상의 내측에 수용되는 제2 제어부; 및
    상기 정육면체 형상의 내측에 수용되는 배터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제2 건축 블록의 제2 전극이 [상기 제1 베이스의 제1 전극] 또는 [기 안착되어 있었던 제1 건축 블록의 제2 전극]과 연결되어, 상기 제2 건축 블록에 전원이 인가되는 단계;
    상기 제2 건축 블록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베이스의 제1 접촉센서] 또는 [상기 제1 건축 블록의 제2 접촉센서]를 기반으로, 상기 제2 건축 블록의 안착 지점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제1 베이스의 제1 접촉센서] 또는 [상기 제1 건축 블록의 제2 접촉센서]를 기반으로, 상기 제3 건축 블록의 탈거 지점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물리적인 건축 블록들을 기반으로 한 메타버스 플랫폼 상의 건축물 3D 모델링 구현 방법
  3. 청구항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베이스에 안착되지 않은 건축 블록인 제4 건축 블록]을 보관하는 제2 베이스에 안착된 상기 제4 건축 블록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건축 블록은:
    소정의 고유번호가 지정되어, 상기 고유번호를 기반으로 상기 메타버스 공간 상의 가상 블록에 대응되고,
    상기 고유번호마다 벽, 창문, 지붕, 바닥, 문 및 가구를 포함하는 군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블록 카테고리가 지정되며,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은: 상기 블록 카테고리에 따라 소정의 블록 그래픽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5 단계는:
    상기 소정의 설정을 입력받도록 활성화된 가상 블록에 대응하는 건축 블록의 디스플레이패널을 점멸시키는 단계;
    상기 가상 블록에 대한 블록 카테고리를 지정받는 단계; 및
    상기 가상 블록에 대응하는 건축 블록에, 지정된 상기 블록 카테고리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물리적인 건축 블록들을 기반으로 한 메타버스 플랫폼 상의 건축물 3D 모델링 구현 방법
KR1020220168310A 2022-12-06 2022-12-06 물리적인 건축 블록들을 기반으로 한 메타버스 플랫폼 상의 건축물 3d 모델링 구현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6220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8310A KR102622063B1 (ko) 2022-12-06 2022-12-06 물리적인 건축 블록들을 기반으로 한 메타버스 플랫폼 상의 건축물 3d 모델링 구현 방법, 장치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8310A KR102622063B1 (ko) 2022-12-06 2022-12-06 물리적인 건축 블록들을 기반으로 한 메타버스 플랫폼 상의 건축물 3d 모델링 구현 방법, 장치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2063B1 true KR102622063B1 (ko) 2024-01-05

Family

ID=895411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68310A KR102622063B1 (ko) 2022-12-06 2022-12-06 물리적인 건축 블록들을 기반으로 한 메타버스 플랫폼 상의 건축물 3d 모델링 구현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2063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38303A (ja) * 2003-07-18 2005-02-10 Sony Corp 3次元モデル処理装置、および3次元モデル処理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150081950A (ko) * 2014-01-07 2015-07-1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부재 미니어처를 이용한 디지털 건축 문화재의 조립 체험 시스템
KR101542783B1 (ko) 2015-03-11 2015-08-07 이상길 유아용 블록식 학습교구
KR101588444B1 (ko) 2013-07-18 2016-01-25 주식회사 한글봇 블록 인식 장치 및 블록 인식 방법
KR20160052952A (ko) * 2014-10-29 2016-05-13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3차원 형상의 모델링을 위한 블록 및 사용자 단말기와 이를 이용한 3차원 형상의 모델링 방법
KR20170010720A (ko) * 2015-07-20 2017-02-01 이준희 토폴로지 인식 기능을 갖는 블록 완구 및 이를 이용한 컨텐츠 제공 시스템
KR20190003215U (ko) 2018-06-20 2019-12-30 윤아영 유아 자석 블록식 학습교구
KR200490973Y1 (ko) 2019-04-04 2020-01-30 김수만 자석을 이용한 블록교구
KR102442042B1 (ko) * 2022-02-17 2022-09-08 주식회사 에스와이에스리테일 실측기반의 메타버스 가상주거공간에서의 상품 서비스 제공 장치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38303A (ja) * 2003-07-18 2005-02-10 Sony Corp 3次元モデル処理装置、および3次元モデル処理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1588444B1 (ko) 2013-07-18 2016-01-25 주식회사 한글봇 블록 인식 장치 및 블록 인식 방법
KR20150081950A (ko) * 2014-01-07 2015-07-1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부재 미니어처를 이용한 디지털 건축 문화재의 조립 체험 시스템
KR20160052952A (ko) * 2014-10-29 2016-05-13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3차원 형상의 모델링을 위한 블록 및 사용자 단말기와 이를 이용한 3차원 형상의 모델링 방법
KR101542783B1 (ko) 2015-03-11 2015-08-07 이상길 유아용 블록식 학습교구
KR20170010720A (ko) * 2015-07-20 2017-02-01 이준희 토폴로지 인식 기능을 갖는 블록 완구 및 이를 이용한 컨텐츠 제공 시스템
KR20190003215U (ko) 2018-06-20 2019-12-30 윤아영 유아 자석 블록식 학습교구
KR200490973Y1 (ko) 2019-04-04 2020-01-30 김수만 자석을 이용한 블록교구
KR102442042B1 (ko) * 2022-02-17 2022-09-08 주식회사 에스와이에스리테일 실측기반의 메타버스 가상주거공간에서의 상품 서비스 제공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794423B (zh) 将物理物体从现实物理生活传送到虚拟世界的系统和方法
Lin et al. Developing virtual environments for industrial training
KR102126521B1 (ko) 유치원 및 초등학교 저학년기의 물리적 프로그래밍을 위한 텐저블 코딩 블록 시스템
JP2015535095A (ja) オンライン学習管理システム
CN107820602A (zh) 转换链兼容类的自动生成
Pisarov Experience with mBot-wheeled mobile robot
US20210201693A1 (en) Unplugged coding blocks
KR102374156B1 (ko) 사용자 피드백 기반의 부동산 매물 추천 방법
Hrybiuk et al. Engineering in Educational Institutions: Standards for Arduino Robots as an Opportunity to Occupy an Important Niche in Educational Robotics in the Context of Manufacturing 4.0.
CN111090899A (zh) 一种用于城市建筑空间布局设计方法
EP3458983A1 (en) Component-based architectural design of a floor plan of a building or an outdoor space
KR102622063B1 (ko) 물리적인 건축 블록들을 기반으로 한 메타버스 플랫폼 상의 건축물 3d 모델링 구현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N110428702A (zh) 基于电阻阻值分类的积木式编程系统
CN110325943A (zh) 用于教授计算技能的装置及系统
US20210247745A1 (en) Assembly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nd module assembly
Willner-Giwerc et al. The Symbiotics System: Designing An Internet of Things Platform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Radharamanan et al. Innovation and entrepreneurship in engineering education at MUSE
US11455147B2 (en) System for coding without compilation and a module assembly
Barrios-Aranibar et al. Roboeduc: A software for teaching robotics to technological excluded children using lego prototypes
Pappas et al. Game and Simulation Design for Studying Pedestrian-Automated Vehicle Interactions
EP3905056A1 (en) Reader participation type e-book system and operation method using modules
CN113284257A (zh) 一种虚拟场景内容的模块化生成展示方法及系统
AU2018259150B2 (en) Construction system and method
US20210326148A1 (en) Plug and play module assembly and plug and play system
Amoruso et al. Representation and new technologies for the contemporary library, innovating the cultural experience desig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