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3439B1 - 의류 공유 및 코디네이션 방법 - Google Patents

의류 공유 및 코디네이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3439B1
KR102143439B1 KR1020190152059A KR20190152059A KR102143439B1 KR 102143439 B1 KR102143439 B1 KR 102143439B1 KR 1020190152059 A KR1020190152059 A KR 1020190152059A KR 20190152059 A KR20190152059 A KR 20190152059A KR 102143439 B1 KR102143439 B1 KR 1021434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othing
coordination
user
layout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20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복
Original Assignee
박영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영복 filed Critical 박영복
Priority to KR10201901520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34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34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34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9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profile or attribut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1Item recommend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G06Q30/0643Graphical representation of items or shopper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갖는 컴퓨팅 디바이스 상에서 개인 의류 코디를 위한 방법이 구현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의류 공유 및 코디네이션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이를 위하여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 내 사용자의 의류 관련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레이아웃을 분석하며, 상기 분석한 레이아웃에 고유 인덱스를 부여하여 옷장용 저장폴더에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가상 마네킹을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옷장용 저장폴더 내 어느 하나의 레이아웃이 선택됨에 따라 상기 선택된 레이아웃을 상기 설정한 가상 마네킹에 적용하여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의류 공유 및 코디네이션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의류에 대응되는 레이아웃을 통한 물물교환, 판매, 구매, 홍보 등을 제공할 수 있는 플랫폼의 구현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의류 공유 및 코디네이션 방법{METHOD FOR COORDINATING AND SHARING CLOTHES}
본 발명은 의류 내역 코디네이션 추천 방법과 공유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산업의 발달과 온라인 활성화에 따라 사용자는 저렴한 가격에 다양한 형태의 의류, 예컨대 옷, 구도, 허리띠, 가방, 넥타이 및 스카프 등을 구입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각 가정에는 개인의 옷장이나 집에는 구두, 옷, 허리띠, 가방, 넥타이 및 스카프 등의 액세서리를 포함하는 패션 아이템이 보관되어 있다. 옷 등의 패션 아이템들을 매 계절마다 옷을 바꾸거나 정리하여 입는 것이 보통이나, 옷을 고르다 보면 상황에 맞지 않는 옷을 착용하게 되거나 액세서리와 어울리지 않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게 된다. 이 때문에 잘 쓰지 않는 것은 한번 사용 후 버릴 때까지 사용하지 않아 유행이 지나버려 처분하거나 남에게 주는 등의 낭비가 발생하기도 한다.
낭비 방지와 자신이 가지고 있는 의류 활용을 위해 다른 사람들의 추천을 통해서 사용자들은 본인의 상황에 맞는 스타일링 서비스를 받을 수 있게 되고, 나아가 신속하고 편리하게 상품(예를 들어, 의류 및 악세사리 등) 구매까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의 충성도를 높일 수 있고, 구매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나아가, 스마트폰을 활용한 디지털 라이프 시대 모바일 활용 비즈니스는 급성장하고 있으며, 특히, 사용자의 상황에 맞는 스타일링 서비스를 사용자가 원하는 시기에 손쉽게 받아볼 수 있다면, 편리한 의상 선택과 연출이 가능하고, 모바일 간편 결제를 통해 보다 쉽게 의류 및 악세사리 구입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따라서, 최근 정보 통신의 발달과 스마트폰을 이용하는 사용자가 늘어나면서, 자신의 소유하고 있는 옷과 그에 따른 악세사리를 효율적으로 관리함과 더불어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코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13750호(2018.10.25. 등록)
본 발명은 사용자의 의류 관련 이미지를 기반으로 레이아웃을 생성한 후 이를 컴퓨팅 디바이스 내 옷장용 저장폴더에 저장하여 관리하며, 사용자가 설정한 가상 마네킹에 옷장용 저장폴더에 저장된 레이아웃을 적용할 수 있는 의류 코디네이션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자신의 옷장용 저장폴더에 저장된 레이아웃을 의류 코디네이션 중계 서버를 통해 다른 사용자와 공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들간 공유된 레이아웃을 기반으로 사용자간 판매 또는 물물 교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의류 코디네이션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옷장용 저장폴더에 저장된 레이아웃과 사용자의 가상 마네킹의 공유를 통해 코디 조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의류 코디네이션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 공유 및 코디네이션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갖는 컴퓨팅 디바이스 상에서 개인 의류 코디를 위한 방법이 구현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코디네이션 방법에 있어서,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 내 사용자의 의류 관련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레이아웃을 분석하며, 상기 분석한 레이아웃에 고유 인덱스를 부여하여 옷장용 저장폴더에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가상 마네킹을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옷장용 저장폴더 내 어느 하나의 레이아웃이 선택됨에 따라 상기 선택된 레이아웃을 상기 설정한 가상 마네킹에 적용하여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 내 카메라를 액세스하여 상기 사용자의 의류에 대한 사진 촬영을 통해 상기 의류 관련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되거나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 내 메모리에 저장된 이미지의 선택을 통해 상기 의류 관련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의류 공유 및 코디네이션 방법은 상기 옷장용 저장폴더에 저장된 레이아웃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선택됨에 따라 상기 선택된 레이아웃과 사용자 식별 정보를 매칭시킨 공유용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의류 코디네이션 중계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공유용 데이터의 공유를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의류 공유 및 코디네이션 방법은 상기 의류 코디네이션 중계 서버에서 외부 서버에서 상기 공유 요청한 공유용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간 물물 교환, 구매 및 판매 서비스 중 하나 이상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의류 공유 및 코디네이션 방법은 임의의 사용자측 컴퓨팅 디바이스의 피팅 서비스 요청에 따라 상기 의류 코디네이션 중계 서버를 통해 공유된 공유용 데이터 내 레이아웃을 상기 임의의 사용자측 컴퓨팅 디바이스에 전송한 후 이를 임의의 사용자에 대한 가상 마네킹에 적용하여 피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의류 공유 및 코디네이션 방법은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상기 선택된 레이아웃이 적용된 가상 마네킹을 기반으로 코디 조언 요청용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생성한 코디 조언 요청용 데이터를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의류 코디네이션 중계 서버에 전송한 후 이를 코디 조언용 인터페이스를 업로딩하여 조언 서비스를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코디 조언용 인터페이스를 통해 다른 사용자와의 연결을 통해 코디 조언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의류 공유 및 코디네이션 방법은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악세사리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옷장용 저장폴더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조언 요청용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레이아웃이 적용된 가상 마네킹과 사용자가 선택한 악세사리 정보를 포함하시켜 상기 조언 요청용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의류 코디네이션 방법은 상기 의류 코디네이션 중계 서버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접속량 및 활동 부분을 체크하여 포인트를 지급하거나 사용자별로 등급을 부여하여 관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의류 관련 이미지 데이터와 더불어 의류 제조사 및 사이즈 정보를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입력받는 단계와, 상기 입력받은 의류 제조사 및 사이즈 정보에 대응되는 의류 속성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는 단계와, 상기 의류 관련 이미지 데이터의 분석을 통해 레이아웃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생성한 레이아웃을 의류 속성 정보를 이용하여 보정하여 최종 레이아웃을 생성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따르면, 사용자의 의류 관련 이미지를 기반으로 레이아웃을 생성한 후 이를 컴퓨팅 디바이스 내 옷장용 저장폴더에 저장하여 관리하며, 사용자가 설정한 가상 마네킹에 옷장용 저장폴더에 저장된 레이아웃을 적용할 수 있는 의류 코디네이션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보유한 의류 관리에 대한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코디를 가상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따르면, 자신의 옷장용 저장폴더에 저장된 레이아웃을 의류 코디네이션 중계 서버를 통해 다른 사용자와 공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들간 공유된 레이아웃을 기반으로 사용자간 판매, 구매, 물물 교환 및 피팅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오프라인 상황과 비숫한 경험을 통해 다른 의류를 피팅할 수 있기 때문에 온라인 상의 단점을 극복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따르면, 옷장용 저장폴더에 저장된 레이아웃과 사용자의 가상 마네킹의 공유를 통해 코디 조언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신체 조건 및 의류 레이아웃을 고려한 양질의 코디 조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따르면, 사용자의 발화 특징점뿐만 아니라 컴퓨팅 디바이스에 장착된 악세사리, 컨텍스트 정보 및 페르소마 속성 중 어느 하나 이상과 인공 지능의 인격 정보를 이용하여 응답 스타일을 결정한 후 이를 기반으로 컴퓨팅 디바이스 내 기능 실행을 최적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상황 및 감정 상태에 따른 응답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교감 능력 및 정보 전달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는 일반적인 컴퓨팅 디바이스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 코디네이션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 코디용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생성된 데이터가 저장된 옷장용 저장폴더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 코디용 어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의류 코디네이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옷장용 저장폴더에 저장된 레이아웃을 기반으로 의류를 공유하고, 공유된 의류를 이용하여 다양한 형태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옷장용 저장폴더에 저장된 레이아웃을 기반으로 코디 조언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방법, 장치 및/또는 시스템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이어서는 안 된다. 명확하게 달리 사용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표현은 복수 형태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설명에서, "포함" 또는 "구비"와 같은 표현은 어떤 특성들, 숫자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을 가리키기 위한 것이며, 기술된 것 이외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 숫자, 단계, 동작, 요소,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의 존재 또는 가능성을 배제하도록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의류 코디네이션 방법 및 시스템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에 앞서, 의류 코디네이션 시스템은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호 연결된 서버와 복수의 사용자측 컴퓨팅 디바이스(200)간의 연동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컴퓨팅 디바이스(200)는 복수의 사용자측이 소지한 개인용 컴퓨터이거나 스마트폰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는 일반적인 컴퓨팅 디바이스(20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디바이스(200)는 서버로부터 제공받은 의류 코디네이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 가능하고,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이 가능한 것으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처리 유닛(CPU)(110), 인터페이스들(140), 및 (PCI(peripheral component interconnect) 등의) 버스(130)를 포함한다. 적절한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의 제어 하에서 동작할 때, CPU(110)는 특정하게 구성된 컴퓨팅 디바이스(200) 또는 기계의 기능들과 연관된 특정 기능들을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자의 스마트폰이 CPU(110), 메모리(120), 및 인터페이스(들)(140)를 활용하는 의류 코디네이션 시스템으로서 기능하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디자인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CPU(110)가 소프트웨어 모듈들/컴포넌트들(예를 들어, 운영 시스템 및 임의의 적절한 응용 프로그램 소프트웨어, 드라이버들 등을 포함함)의 제어 하에서 하나 이상의 상이한 타입의 의류 코디네이션 프로그램 기능들 및/또는 작업들을 수행하도록 초래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 코디네이션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류 코디네이션 시스템은 의류 코디네이션 중계 서버(250)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미도시됨)으로 연결된 복수의 사용자측 컴퓨팅 디바이스(200)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복수의 사용자는 의류를 구입하고자 하는 구매자, 소매업자, 도매업자, 판매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사용자측 컴퓨팅 디바이스(200)는 의류 코디네이션 중계 서버(250)의 접속을 통해 다운로드받은 의류 코디용 어플리케이션(210)이 메모리(120)에 실행 가능한 형태로 저장되며, CPU(110)에 의해 실행되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 코디네이션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 코디용 어플리케이션(210)은 사용자측 컴퓨팅 디바이스(200) 내 사용자의 의류에 관련된 이미지 데이터의 분석을 통해 의류에 대한 레이아웃을 생성하고, 분석한 레이아웃을 메모리(120) 내 옷장용 저장폴더(220)에 저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의류 코디용 어플리케이션(210)은 사용자측 컴퓨팅 디바이스(200) 내 카메라를 통해 입력된 의류 관련 이미지 데이터를 이용하여 의류에 대한 레이아웃을 분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레이아웃은 의류를 포함한 이미지 데이터에서 각종 배경 관련 부분을 제거하고, 의류의 형상(윤곽선 등을 포함함), 색깔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부가적으로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제조사 및 사이즈 정보를 기반으로 보정되어 생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의류 코디용 어플리케이션(210)은 이미지 데이터의 분석을 통해 의류 형성 및 색깔 등을 추출하여 1차적인 레이아웃을 생성한 후 제조사 및 사이즈 정보에 대한 의류 속성 정보를 이용하여 1차적으로 생성한 레이아웃을 보정하여 최종 레이아웃을 생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 코디네이션 중계 서버(250)는 의류 제조사의 사이즈별 의류 속성 정보(의류의 각종 사이즈별 허벅지, 기장, 허리, 밑단, 밑위, 엉덩이 등에 대한 상세 사이즈 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260)를 구비하거나 외부, 즉 의류 제조사에 운용되는 서버(미도시됨)로부터 사이즈 정보를 전송한 후 이에 대한 응답으로 의류 속성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의류 코디용 어플리케이션(210)은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가상 마네킹을 생성하며, 생성한 가상 마네킹을 메모리(120)에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자의 입력은 사용자의 신체 관련 정보, 예컨대 키, 몸무게 등을 포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신체 전체를 포함한 이미지일 수 있다.
사용자의 신체 전체 이미지가 입력되는 경우, 의류 코디용 어플리케이션(210)은 사용자의 신체 전체 이미지에 대한 레이아웃 분석과 사용자가 입력한 신체 사이즈 정보를 기반으로 가상 마네킹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자의 신체 전체 이미지에 대한 레이아웃 분석은 배경 제거 또는 사용자의 신체에 대한 윤곽선 추출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추출한 윤곽선을 사용자가 입력한 신체 사이즈 정보를 기반으로 보정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 코디용 어플리케이션(210)은 가상 마네킹을 이용하여 레이아웃을 최종 결정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의류 코디용 어플리케이션(210)은 옷 사진에 대응되는 이미지에서 배경을 삭제하여 임시 레이아웃을 생성하며, 생성한 임시 레이아웃을 가상 마네킹에 매칭시킴과 더불어 임시 레이아웃이 매칭된 가상 마네킹과 편집용 인터페이스를 사용자측 컴퓨팅 디바이스(200)에 제공한 후 편집용 인터페이스를 통해 임시 레이아웃을 변경시켜 최종 레이아웃을 생성하여 옷장용 저장폴더(220)에 저장할 수 있다. 여기에서, 편집용 인터페이스는 옷 크기 및 위치 조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의류 코디용 어플리케이션(210)은 옷장용 저장폴더(220) 내 어느 하나의 레이아웃이 선택됨에 따라 선택된 레이아웃을 가상 마네킹에 적용하여 컴퓨팅 디바이스(200)의 디스플레이(미도시됨)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 코디용 어플리케이션(210)은 의류 코디네이션 중계 서버(250)를 통해 의류 공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의류 코디용 어플리케이션(210)은 옷장용 저장폴더(220)에 저장된 레이아웃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선택됨에 따라 이를 공유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인터페이스를 통해 공유 요청이 있을 경우 선택된 레이아웃과 사용자 식별 정보를 매칭시킨 공유용 데이터를 생성한 후 이를 의류 코디네이션 중계 서버(250)에 전송하여 공유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자 식별 정보는 사용자의 연락처(전화번호, 이메일 주소 등을 포함함), 사용자가 의류 코디네이션 중계 서버(250)에 가입 시 아이디 정보 등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의류 코디용 어플리케이션(210)은 의류 코디네이션 중계 서버(250)를 통해 복수의 사용자에 의해 공유된 공유용 데이터를 기반으로 공유한 레이아웃을 이용하여 물물 교환 서비스, 판매 서비스, 구매 서비스, 피팅 서비스 등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의류 코디네이션 중계 서버(250)는 공유용 데이터를 기반으로 공유된 레이아웃을 피팅하고자 하는 특정 사용자측 컴퓨팅 디바이스(200)에 전송한 후 이를 특정 사용자측 컴퓨팅 디바이스(200) 내 설치된 의류 코디용 어플리케이션(210)에 의해 생성된 특정 사용자의 가상 마네킹에 피팅시켜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며, 사용자들간의 연결, 예컨대 채팅 서비스, 연락처 교환 등의 연결을 통해 물물 교환, 판매, 구매 등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의류 코디용 어플리케이션(210)은 사용자가 생성한 가상 마네킹과 사용자가 선택한 레이아웃을 의류 코디네이션 중계 서버(250)에 전송한 후 이를 기반으로 다른 사용자의 코디 조언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의류 코디용 어플리케이션(210)은 사용자가 생성한 가상 마네킹에 사용자가 선택한 레이아웃을 적용하여 코디 조언 요청용 데이터를 생성하며, 생성한 코디 인터페이스, 예컨대 게시판에 등록시킨 후 다른 사용자에 의해 코디 조언용 게시판에 등록된 코디 의견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의류 코디용 어플리케이션(210)은 옷장용 저장폴더(220)에 저장된 레이아웃만을 이용하여 코디 조언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의류 코디용 어플리케이션(210)은 옷장용 저장폴더(220)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레이아웃과 자신의 신체 정보(또는 가상 마네킹)를 의류 코디네이션 중계 서버(250)에 의해 제공된 코디 조언용 인터페이스, 예컨대 게시판에 등록시킨 후 다른 사용자에 의해 코디 조언용 게시판에 등록된 코디 의견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의류 코디용 어플리케이션(210)은 옷 관련 이미지뿐만 아니라 옷과 관련된 악세사리 정보를 등록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악세사리 정보를 옷장용 저장폴더(220)에 저장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악세사리 정보의 등록은 이미지를 통해 이루어지거나 사용자의 입력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미지를 통해 이루어질 경우, 악세사리의 형상 및 색상 등의 정보가 등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에에서, 악세사리는 가방, 넥타이, 시계, 스카프, 귀걸이, 반지, 신발, 양발, 장갑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한편, 의류 코디용 어플리케이션(210)은 옷장용 저장폴더(220)에 저장된 악세사리 정보를 포함시켜 코디 조언 서비스를 의류 코디네이션 중계 서버(250)를 통해 요청한 후 이에 대한 응답으로 다른 사용자의 코디 의견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코디 조언 서비스를 요청할 때, 사용자는 의류 코디용 어플리케이션(210)을 이용하여 다양한 조건 정보를 더 입력할 수 있다. 여기에서, 다양한 조건 정보는 외출 상황, 외출 이유, 만나는 사람, 날씨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의류 코디네이션 중계 서버(250)는 복수의 사용자 요청에 따라 의류 코디용 어플리케이션(210)을 배포할 수 있다. 여기에서, 배포는 복수의 사용자측 컴퓨팅 디바이스(200)의 메모리(120)에 실행 가능한 형태로 설치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의류 코디네이션 중계 서버(250)는 복수의 사용자측 컴퓨팅 디바이스(200)로부터 수신한 공유용 데이터를 기반으로 복수의 사용자측이 공유한 레이아웃을 제공할 수 있다.
의류 코디네이션 중계 서버(250)는 공유된 레이아웃을 기반으로 사용자간 물물 교환, 판매, 구매 등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의류 코디네이션 중계 서버(250)는 사용자의 회원 가입 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사용자 정보, 예컨대 사용자 전화번호, 이메일 주소, 아이디 및 비번 등을 데이터베이스(260)에 저장하여 관리하며, 특정 사용자측 컴퓨팅 디바이스(200)로부터 물물 교환, 판매, 구매 등의 서비스 요청이 수신됨에 따라 공유한 레이아웃에 설정된 사용자 식별 정보와 데이터베이스(260)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간의 비교를 통해 사용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한 후 인증 결과를 특정 사용자측 컴퓨팅 디바이스(200)에 제공할 수 있다.
의류 코디네이션 중계 서버(250)는 사용자측 컴퓨팅 디바이스(200) 상에서 실행된 의류 코디용 어플리케이션(210)을 통해 수신한 코디 조언 요청용 데이터, 레이아웃, 가상 마네킹, 사용자 입력 정보 등을 기반으로 코디 조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코디 조언용 인터페이스, 예컨대 사용자간의 커뮤니티인 게시판을 제공할 수 있다.
의류 코디네이션 중계 서버(250)는 의류 코디용 어플리케이션(210)을 이용한 사용자의 접속률, 각종 게시판 활동량을 체크하며, 체크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사용자별로 등급을 부여하거나 포인트를 지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의류 코디네이션 시스템이 의류 코디용 어플리케이션(210)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의류 코디네이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에 대해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 코디용 어플리케이션(210)을 기반으로 의류 코디네이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사용자측 컴퓨팅 디바이스(200) 상에서 실행된 의류 코디용 어플리케이션(210)은 의류 관련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한다(S300). 즉, 의류 코디용 어플리케이션(210)은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사용자측 컴퓨팅 디바이스(200)와 연동되는 카메라(미도시됨)를 통해 촬영된 의류 관련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거나 사용자측 컴퓨팅 디바이스(200)에 저장된 의류 관련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 코디용 어플리케이션(210)은 의류 관련 이미지 데이터와 더불어 의류 관련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속성 정보, 예컨대 의류 제조사 및 사이즈 정보 등을 입력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의류 코디용 어플리케이션(210)은 의류 관련 이미지 데이터의 분석을 통해 레이아웃을 생성한다(S302). 구체적으로, 의류 코디용 어플리케이션(210)은 의류 관련 이미지 데이터에서 배경 이미지를 제거하는 과정, 배경 이미지가 제거된 의류 관련 이미지 데이터에서 의류 형상을 추출하는 과정 및 의류 색상 정보와 의류 내 포함된 다양한 형태의 부가 용품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 등을 통해 레이아웃을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 코디용 어플리케이션(210)은 제조사와 의류 사이즈를 기반으로 레이아웃을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의류 코디용 어플리케이션(210)은 제조사별 의류 사이즈 정보에 대응되는 의류 속성 정보(의류의 각종 사이즈별 허벅지, 기장, 허리, 밑단, 밑위, 엉덩이 등에 대한 상세 사이즈 정보)를 관리하며, 사용자가 입력한 제조사 및 의류 사이즈 정보에 의거하여 의류 속성 정보를 추출하며, 의류 관련 이미지 데이터에서 추출한 레이아웃을 추출한 의류 속성 정보를 기반으로 보정하여 최종의 레이아웃을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나서, 의류 코디용 어플리케이션(210)은 생성한 레이아웃에 고유 인덱스를 부여함과 더불어 의류 관련 이미지 데이터(배경이 제거된 의류 관련 이미지)를 매칭시켜 옷장용 저장폴더(220)에 저장한다(S304).
상술한 단계들을 통해 사용자는 자신의 구입 또는 소유한 의류에 대한 레이아웃을 생성하여 옷장용 저장폴더(220)에 저장할 수 있다.
이후, 의류 코디용 어플리케이션(210)은 사용자의 입력, 예컨대 사용자의 신체 사이즈(키, 몸무게, 허리둘레, 목둘레 등의 신체 사이즈) 정보 입력과 사용자의 사진 데이터가 입력됨에 따라 입력된 신체 사이즈 및 사진 데이터를 기반으로 가상 마네킹을 생성한 후 이를 메모리(120)에 저장한다(S306).
그리고 나서, 의류 코디용 어플리케이션(210)은 옷장용 저장폴더(220)에서 어느 하나의 레이아웃이 선택됨에 따라 선택된 레이아웃을 가상 마네킹에 피팅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S308).
이하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단계를 통해 생성된 각 의류별 레이아웃을 공유하고, 이를 기반으로 물물 교환, 구매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에 대해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옷장용 저장폴더(220)에 저장된 레이아웃을 기반으로 의류를 공유하고, 공유된 의류를 이용하여 다양한 형태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사용자가 의류 코디용 어플리케이션(210)을 통해 제공된 의류 공유용 인터페이스를 선택하면(S400), 의류 코디용 어플리케이션(210)은 옷장용 저장폴더(220)에 저장된 레이아웃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S402). 구체적으로, 의류 코디용 어플리케이션(210)은 고유 인덱스, 레이아웃 및 이미지로 구성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사용자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유 인덱스(또는 레이아웃 또는 이미지)를 선택하면(S404), 의류 코디용 어플리케이션(210)은 선택한 고유 인덱스에 매칭된 레이아웃과 사용자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공유용 데이터를 생성한 후 이를 의류 코디네이션 중계 서버(250)에서 제공되는 공유 게시판에 업로딩할 수 있다(S406, S408). 이때, 공유용 데이터는 고유 인덱스에 매칭된 이미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후, 특정 사용자측 컴퓨팅 디바이스(200)로부터 공유용 데이터에 대한 피팅 서비스 요청이 수신되면(S410), 의류 코디네이션 중계 서버(250)는 공유용 데이터 내 레이아웃을 특정 사용자측 컴퓨팅 디바이스(200)에 전송한 후 이를 특정 사용자측 컴퓨팅 디바이스(200) 내 의류 코디용 어플리케이션(210)에 의해 생성된 가상 마네킹(특정 사용자의 가상 마네킹)에 피팅시킨 후 특정 사용자측 컴퓨팅 디바이스(200)의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한다(S412).
이러한 피팅 서비스 후 특정 사용자측 컴퓨팅 디바이스(200)로부터 물물 교환, 구매 요청 등과 같은 요청이 수신되면(S414), 의류 코디네이션 중계 서버(250)는 공유용 데이터 내 사용자 식별 정보와 데이터베이스(260)에 저장된 정보간의 비교를 통해 공유용 데이터를 업로딩한 사용자에 대한 검증을 수행한다(S416).
검증이 완료됨에 따라, 의류 코디네이션 중계 서버(250)는 공유용 데이터에 대한 물물 교환 또는 구매에 대한 요청을 처리한다(S418). 구체적으로, 의류 코디네이션 중계 서버(250)는 구매 요청인 경우 특정 사용자와 사용자간 공유용 데이터를 기반으로 의류를 구매 및 물물 교환을 위한 프로세서, 예컨대 특정 사용자의 연락처와 사용자의 연락처를 서로 공유시키거나 특정 사용자와 사용자간 채팅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물물 교환 또는 구매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서비스 요청을 처리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단계를 통해 생성된 각 의류별 레이아웃을 기반으로 코디 조언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에 대해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옷장용 저장폴더에 저장된 레이아웃을 기반으로 코디 조언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사용자가 의류 코디용 어플리케이션(210)을 통해 제공된 코디 조언 인터페이스를 선택하면(S500), 의류 코디용 어플리케이션(210)은 옷장용 저장폴더(220)에 저장된 레이아웃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S502). 구체적으로, 의류 코디용 어플리케이션(210)은 고유 인덱스, 레이아웃 및 이미지로 구성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사용자가 하나의 고유 인덱스(또는 레이아웃 또는 이미지)를 선택하면(S504), 의류 코디용 어플리케이션(210)은 선택한 고유 인덱스에 매칭된 레이아웃을 가상 마네킹에 적용하여 코디 조언 요청용 데이터를 생성한 후 이를 의류 코디네이션 중계 서버(250)에서 제공되는 코디 조언용 인터페이스, 예컨대 코디 조언용 게시판에 업로딩하여 표시한다(S506, S508).
그리고 나서, 의류 코디네이션 중계 서버(250)는 코디 조언용 게시판을 통해 코디 조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S510). 구체적으로, 의류 코디네이션 중계 서버(250)는 코디 조언 요청용 데이터를 업로딩한 사용자와 다른 사용자간의 연결을 통해 코디 조언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다른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답글 정보를 사용자측 컴퓨팅 디바이스(200)에 제공하여 코디 조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생략되었지만, 코디 조언 요청용 데이터를 생성할 때, 사용자는 옷장용 저장폴더(220)에 저장된 악세사리를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선택할 수 있으며, 의류 코디용 어플리케이션(210)은 선택한 악세사리 정보를 포함한 코디 조언 요청용 데이터를 생성한 후 이를 코디 조언용 게시판에 업로딩하여 표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공유용 데이터로서 의류 관련 레이아웃에 한정지어 설명하였지만, 공유용 데이터로 악세사리 등에 대한 이미지 데이터도 가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 코디용 어플리케이션(210)은 공유용 데이터로 악세사리에 대응되는 이미지 데이터가 선택됨에 따라 선택한 사용자의 가상 마네킹에 선택된 악세사리를 적용하여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첨부된 블록도의 각 블록과 흐름도의 각 단계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블록도의 각 블록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또는 메모리) 등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또는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은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시 예들에서는 블록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200 : 사용자측 컴퓨팅 디바이스
210 : 의류 코디용 어플리케이션
220 : 옷장용 저장폴더
250 : 의류 코디네이션 중계 서버
260 : 데이터베이스

Claims (6)

  1.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갖는 컴퓨팅 디바이스 상에서 개인 의류 코디를 위한 방법이 구현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코디네이션 방법에 있어서,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 내 사용자의 의류 관련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레이아웃을 분석하며, 상기 분석한 레이아웃에 고유 인덱스를 부여하여 옷장용 저장폴더에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가상 마네킹을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옷장용 저장폴더 내 어느 하나의 레이아웃이 선택됨에 따라 상기 선택된 레이아웃을 상기 설정한 가상 마네킹에 적용하여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옷장용 저장폴더에 저장된 레이아웃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선택됨에 따라 상기 선택된 레이아웃과 사용자 식별 정보를 매칭시킨 공유용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의류 코디네이션 중계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공유용 데이터의 공유를 요청하는 단계와,
    임의의 사용자측 컴퓨팅 디바이스의 피팅 서비스 요청에 따라 상기 의류 코디네이션 중계 서버를 통해 공유된 공유용 데이터 내 레이아웃을 상기 임의의 사용자측 컴퓨팅 디바이스에 전송한 후 이를 임의의 사용자에 대한 가상 마네킹에 적용하여 피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의류 코디네이션 중계 서버에서 외부 서버에서 상기 공유 요청한 공유용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간 물물 교환, 구매 및 판매 서비스 중 하나 이상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의류 공유 및 코디네이션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 내 카메라를 액세스하여 상기 사용자의 의류에 대한 사진 촬영을 통해 상기 의류 관련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되거나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 내 메모리에 저장된 이미지의 선택을 통해 상기 의류 관련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는
    의류 공유 및 코디네이션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의류 공유 및 코디네이션 방법은, 상기 의류 코디네이션 중계 서버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접속량 및 활동 부분을 체크하여 포인트를 지급하거나 사용자별로 등급을 부여하여 관리하는
    의류 공유 및 코디네이션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의류 관련 이미지 데이터와 더불어 의류 제조사 및 사이즈 정보를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입력받는 단계와, 상기 입력받은 의류 제조사 및 사이즈 정보에 대응되는 의류 속성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는 단계와, 상기 의류 관련 이미지 데이터의 분석을 통해 레이아웃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생성한 레이아웃을 의류 속성 정보를 이용하여 보정하여 최종 레이아웃을 생성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의류 공유 및 코디네이션 방법.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상기 선택된 레이아웃이 적용된 가상 마네킹을 기반으로 코디 조언 요청용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생성한 코디 조언 요청용 데이터를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의류 코디네이션 중계 서버에 전송한 후 이를 코디 조언용 인터페이스를 업로딩하여 조언 서비스를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코디 조언용 인터페이스를 통해 다른 사용자와의 연결을 통해 코디 조언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악세사리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옷장용 저장폴더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조언 요청용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레이아웃이 적용된 가상 마네킹과 사용자가 선택한 악세사리 정보를 포함하시켜 상기 조언 요청용 데이터를 생성하는
    의류 공유 및 코디네이션 방법.
KR1020190152059A 2019-11-25 2019-11-25 의류 공유 및 코디네이션 방법 KR1021434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2059A KR102143439B1 (ko) 2019-11-25 2019-11-25 의류 공유 및 코디네이션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2059A KR102143439B1 (ko) 2019-11-25 2019-11-25 의류 공유 및 코디네이션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3439B1 true KR102143439B1 (ko) 2020-08-11

Family

ID=720480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2059A KR102143439B1 (ko) 2019-11-25 2019-11-25 의류 공유 및 코디네이션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343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0253B1 (ko) * 2021-05-10 2021-11-24 방현수 귀금속반지 온라인 거래 중개 시스템
KR20220144238A (ko) 2021-04-19 2022-10-26 권진욱 의류 코디 추천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4020A (ko) * 2004-05-31 2005-12-05 김선중 가상착용서비스를 이용한 의류관련 상품 판매시스템 및 방법
KR20120125060A (ko) * 2011-05-06 2012-11-14 김희은 온라인 옷장정보 공유-관리시스템
KR20130086809A (ko) * 2012-01-26 2013-08-05 (주) 키플 중고 물품 교환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
KR20140139901A (ko) * 2013-05-28 2014-12-08 유정호 의류 관리 및 코디네이션 기능을 갖춘 어플리케이션
KR101913750B1 (ko) 2016-08-10 2018-10-31 주식회사 원더풀플랫폼 패션 코디네이션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4020A (ko) * 2004-05-31 2005-12-05 김선중 가상착용서비스를 이용한 의류관련 상품 판매시스템 및 방법
KR20120125060A (ko) * 2011-05-06 2012-11-14 김희은 온라인 옷장정보 공유-관리시스템
KR20130086809A (ko) * 2012-01-26 2013-08-05 (주) 키플 중고 물품 교환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
KR20140139901A (ko) * 2013-05-28 2014-12-08 유정호 의류 관리 및 코디네이션 기능을 갖춘 어플리케이션
KR101913750B1 (ko) 2016-08-10 2018-10-31 주식회사 원더풀플랫폼 패션 코디네이션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4238A (ko) 2021-04-19 2022-10-26 권진욱 의류 코디 추천 시스템
KR102330253B1 (ko) * 2021-05-10 2021-11-24 방현수 귀금속반지 온라인 거래 중개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9356B1 (ko) 고객 맞춤형 인테리어 정보제공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서비스방법
US20220215450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virtual fitting rooms or hybrid stores
US9773274B2 (en) System and method for online virtual fitting room
WO2015129353A1 (ja) 仮想試着システム、仮想試着プログラム、仮想試着方法および仮想試着プログラムを記憶した記憶媒体
US20160180447A1 (en) Virtual shopping
CA3116540A1 (en) Perfitly ar/vr platform
US20140035913A1 (en) Virtual dressing room
JP6535023B2 (ja) 物品をシミュレートするための方法、装置、および、システム
US20160042402A1 (en) Evaluating digital inventories
US20160267576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d Sharing Online Images of Merchandise
KR20170003994A (ko) 신체 스캔 정보를 이용한 의복 필터링 및 제공 방법
KR102143439B1 (ko) 의류 공유 및 코디네이션 방법
US1152693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igital mirror
KR20140146685A (ko) 벽지 인테리어정보 서비스 시스템과 가상 벽지인테리어 제어방법
CN106940862B (zh) 网络实景逛店试衣定制系统
JP2006318113A (ja) トータルコーディネート販売システム
KR20220124361A (ko) 인공지능 기반의 신체부위 및 상황별 스타일링 추천 시스템
KR20200025291A (ko)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퍼스널 컬러진단을 통한 쇼핑서비스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40099742A (ko) 맞춤형 가발 주문 관리 시스템
KR100879460B1 (ko) 사용자 아바타를 활용한 전자상거래 시스템의 처리방법
KR20170019917A (ko) 의상의 3차원 모델 생성 장치,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WO2018052367A1 (en) Garment digitization and try-on system and method
US11282132B2 (en) Frameworks and methodologies configured to enable generation and utilisation of three-dimensional body scan data
WO2022259977A1 (ja) 処理装置、処理方法及び処理プログラム
US10387942B2 (en) Adaptive components providing vendor-specific and context-specific information to custom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