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9475B1 - 웹 사이트에 대한 디자인 및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웹 사이트에 대한 디자인 및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9475B1
KR101509475B1 KR20130146029A KR20130146029A KR101509475B1 KR 101509475 B1 KR101509475 B1 KR 101509475B1 KR 20130146029 A KR20130146029 A KR 20130146029A KR 20130146029 A KR20130146029 A KR 20130146029A KR 101509475 B1 KR101509475 B1 KR 1015094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sign
content
profile
server
cli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460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규
구동윤
정화영
Original Assignee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201301460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94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94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94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웹 사이트에 대한 디자인 및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클라이언트가 웹 사이트에 대한 디자인 및 콘텐츠가 맵핑되어 설정된 제 1 프로파일을 웹 서버로 전송하고, 웹 서버가 제 1 프로파일로부터 웹 사이트에 대한 디자인이 설정된 제 2 프로파일 및 웹 사이트에 대한 콘텐츠가 설정된 제 3 프로파일을 각각 도출하고, 웹 서버가 제 2 프로파일을 웹 사이트에 대한 디자인을 제공하는 디자인 서버로 전송하고, 제 3 프로파일을 웹 사이트에 대한 콘텐츠를 제공하는 콘텐츠 서버로 전송하고, 디자인 서버가 제 2 프로파일을 고려하여 클라이언트가 요청하는 웹 사이트에 대한 디자인을 웹 서버로 전송하고, 콘텐츠 서버가 상기 제 3 프로파일을 고려하여 클라이언트가 요청하는 웹 사이트에 대한 콘텐츠를 웹 서버로 전송하며, 웹 서버가 수신된 디자인과 콘텐츠를 제 1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맵핑함으로써, 맵핑된 디자인 및 콘텐츠를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한다.

Description

웹 사이트에 대한 디자인 및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design and contents about web site}
본 발명은 웹 사이트에 대한 디자인 및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클라이언트가 설정한 웹 사이트의 디자인에 클라이언트가 설정한 콘텐츠만을 맵핑하여 화면에 배치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컴퓨터 관련 정보통신 분야의 비약적인 발전은 업무의 효율을 획기적으로 증진시킬 뿐만 아니라, 우리의 일상적인 생활 방식도 크게 변화시키고 있다. 예를 들면, 상품 구매와 관련된 쇼핑 형태에 있어서 네트워크상의 온라인 쇼핑몰(online shopping mall)을 이용한 상품 구매 방법의 이용이 점차 확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 망을 통하여 세계 각 처에서 발생하는 정보를 실시간으로 획득할 수도 있으며, 각 클라이언트가 필요로 하는 정보를 인터넷을 통해 얻을 수 있다.
한편, 인터넷에서 정보를 제공하는 웹 서버는 각 사이트의 특성에 맞추어 해당 정보를 잘 전달할 수 있도록 웹 사이트를 구성한다. 이에 따라, 각 사이트에 접속하여 정보를 획득하는 클라이언트는 웹 서버에서 제공하는 메뉴와 화면 구성에 따라 정보를 획득하게 된다. 그런데 각 사이트에 접속하여 정보를 획득하는 클라이언트는 각 클라이언트별 관심 분야가 다를 수 있으며, 또한 각 정보를 이용하는 빈도 수에 있어 차이가 생기게 된다. 그리고 클라이언트에 따라 화면에 표시하고 싶은 콘텐츠에 있어서도 많은 차이가 발생한다.
따라서, 각 웹 서버는 클라이언트의 성향에 관계없이 획일적인 웹 사이트를 제공함에 따라, 클라이언트 입장에서는 자신의 관심사에 맞는 메뉴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단계적으로 해당 메뉴에 접근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획일적인 배경화면을 갖는 웹 사이트가 제공됨에 따라 웹 사이트의 구성이 단조로운 한계가 존재한다.
한편, 이하에서 인용되는 선행기술 문헌에는 단말 기기에서 웹 사이트의 디자인을 변경하는 장치를 소개하고, 웹 서버로부터 수신된 웹 사이트의 콘텐츠를 클라이언트에 해당하는 단말 기기에서 표시함에 있어서 수신된 콘텐츠를 그대로 표시하는 것이 아니라 그 디자인을 변경하여 표시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 선행기술 문헌에서 제안하는 방법은 콘텐츠가 배치되는 웹 사이트의 디자인이 하나의 프레임만을 제공하는 방식으로 콘텐츠들의 배치는 클라이언트가 원하는 곳에 배치할 수 있으나, 디자인은 제공되는 프레임만을 사용할 수 있다는 치명적인 한계가 존재한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클라이언트가 원하는 디자인을 설정하여 제작하며, 관심분야의 콘텐츠만을 클라이언트가 설정한 위치에 배치할 수 있는 기술적 수단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 10-2010-0048602 호 (2010.05.25.)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첫 번째 과제는 클라이언트가 설정한 웹 사이트의 디자인 및 콘텐츠를 검색하여 도출하고, 도출된 디자인 및 콘텐츠를 맵핑하여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할 수 있는 웹 사이트에 대한 디자인 및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두 번째 과제는 클라이언트가 설정한 웹 사이트의 디자인 및 콘텐츠를 검색하여 도출하고, 도출된 디자인 및 콘텐츠를 맵핑하여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할 수 있는 웹 사이트 제공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된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첫 번째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클라이언트가 웹 사이트에 대한 디자인 및 콘텐츠가 맵핑(mapping)되어 설정된 제 1 프로파일(profile)을 웹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웹 서버가 상기 제 1 프로파일로부터 상기 웹 사이트에 대한 디자인이 설정된 제 2 프로파일 및 상기 웹 사이트에 대한 콘텐츠가 설정된 제 3 프로파일을 각각 도출하는 단계; 상기 웹 서버가 상기 제 2 프로파일을 상기 웹 사이트에 대한 디자인을 제공하는 디자인 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제 3 프로파일을 상기 웹 사이트에 대한 콘텐츠를 제공하는 콘텐츠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디자인 서버가 상기 제 2 프로파일을 고려하여 상기 클라이언트가 요청하는 상기 웹 사이트에 대한 디자인을 상기 웹 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콘텐츠 서버가 상기 제 3 프로파일을 고려하여 상기 클라이언트가 요청하는 상기 웹 사이트에 대한 콘텐츠를 상기 웹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웹 서버가 수신된 상기 디자인과 상기 콘텐츠를 상기 제 1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맵핑함으로써, 상기 맵핑된 디자인 및 콘텐츠를 상기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웹 사이트에 대한 디자인 및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 1 프로파일을 웹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전, 상기 클라이언트가 상기 디자인을 동적 프레임 및 정적 프레임으로 구분하고, 상기 디자인을 형성하는 항목들에 속성값을 부여함으로써, 상기 제 2 프로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클라이언트가 상기 콘텐츠에 대한 분야별 키워드 및 상기 키워드에 따른 중요도를 설정함으로써, 상기 제 3 프로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프로파일을 형성하는 동적 프레임 및 정적 프레임에 인덱스를 부여하여 상기 콘텐츠에 대한 분야별 키워드를 상기 인덱스가 부여된 동적 프레임에 맵핑함으로써, 상기 제 1 프로파일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동적 프레임은 상기 클라이언트가 상기 제 3 프로파일에 설정된 콘텐츠를 배치할 수 있으며, 상기 정적 프레임은 콘텐츠 제공자만이 상기 콘텐츠를 배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사이트에 대한 디자인 및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웹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디자인 서버 및 상기 콘텐츠 서버가 상기 제 1 프로파일을 통해 상기 클라이언트로부터 요청되는 상기 웹 사이트에 대한 디자인 및 콘텐츠를 각각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클라이언트가 요청하는 디자인 및 콘텐츠가 검색될 경우 상기 검색된 디자인 및 콘텐츠를 상기 웹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웹 사이트에 대한 디자인 및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웹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디자인 서버 및 상기 콘텐츠 서버가 상기 제 1 프로파일을 통해 상기 클라이언트로부터 요청되는 상기 웹 사이트에 대한 디자인 및 콘텐츠를 각각 검색하는 단계; 상기 클라이언트가 요청하는 디자인 및 콘텐츠가 검색되지 않을 경우 상기 디자인 서버 및 상기 콘텐츠 서버는 상기 클라이언트가 요청하는 디자인 및 콘텐츠와 상기 디자인 서버 및 상기 콘텐츠 서버에 저장된 디자인 및 콘텐츠와의 유사도를 순차적으로 검사하는 단계; 및 상기 검사를 통해 도출된 값들을 비교하여 상기 유사도가 최대인 결과 값을 포함하는 디자인 및 콘텐츠를 도출하여 상기 웹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웹 사이트에 대한 디자인 및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클라이언트가 요청하는 디자인과 상기 디자인 서버에 저장된 디자인과의 유사도를 검사하는 것은, 상기 요청하는 디자인의 프레임 개수보다 상기 저장된 디자인의 프레임 개수가 크거나 같은 디자인을 선별하고, 상기 선별된 디자인과 상기 요청하는 디자인으로부터 상기 디자인을 형성하는 항목들에 부여된 속성값에 대한 편차 값을 도출하며, 상기 도출된 편차 값이 작은 순서대로 높은 우선순위를 부여함으로써, 상기 가장 높은 우선순위가 부여된 디자인을 상기 유사도가 최대인 결과 값으로 도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사이트에 대한 디자인 및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클라이언트가 요청하는 콘텐츠와 상기 콘텐츠 서버에 저장된 콘텐츠와의 유사도를 검사하는 것은, 상기 콘텐츠에 포함된 키워드의 개수 또는 상기 콘텐츠에 포함된 키워드의 빈도수를 통해 상기 유사도를 검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사이트에 대한 디자인 및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요청하는 콘텐츠와 상기 저장된 콘텐츠와의 유사도를 상기 콘텐츠에 포함된 키워드의 개수를 통해 검사하는 것은, 상기 요청하는 콘텐츠에 설정된 키워드를 이용하여 상기 저장된 콘텐츠에서 상기 설정된 키워드의 개수를 검색하여 각각 도출하며, 상기 도출된 키워드의 개수가 가장 많은 콘텐츠를 상기 유사도가 최대인 결과 값으로 도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사이트에 대한 디자인 및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요청하는 콘텐츠와 상기 저장된 콘텐츠와의 유사도를 상기 콘텐츠에 포함된 키워드의 빈도수를 통해 검사하는 것은, 상기 요청하는 콘텐츠에 설정된 키워드를 이용하여 상기 저장된 콘텐츠에서 상기 설정된 키워드의 빈도수를 각각 도출하며, 상기 도출된 빈도수가 많은 순서대로 높은 우선순위를 부여함으로써, 상기 가장 높은 우선순위가 부여된 콘텐츠를 상기 유사도가 최대인 결과 값으로 도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사이트에 대한 디자인 및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두 번째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클라이언트로부터 웹 사이트에 대한 디자인 및 콘텐츠가 맵핑되어 설정된 제 1 프로파일을 수신받고, 제 2 프로파일 및 제 3 프로파일을 디자인 서버 및 콘텐츠 서버로 각각 송신하고, 상기 웹 사이트에 대한 디자인 및 콘텐츠를 상기 디자인 서버 및 콘텐츠 서버로부터 각각 수신받으며, 상기 제 1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맵핑된 디자인 및 콘텐츠를 상기 클라이언트로 송신하는 송수신부; 및 상기 제 1 프로파일로부터 상기 웹 사이트에 대한 디자인이 설정된 상기 제 2 프로파일 및 상기 웹 사이트에 대한 콘텐츠가 설정된 상기 제 3 프로파일을 각각 도출하며, 상기 수신된 디자인과 상기 수신된 콘텐츠를 상기 제 1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맵핑하는 처리부; 및 상기 제 1 프로파일은 상기 제 2 프로파일을 형성하는 동적 프레임 및 정적 프레임에 인덱스를 부여하여 상기 콘텐츠에 대한 분야별 키워드를 상기 인덱스가 부여된 동적 프레임에 맵핑함으로써, 상기 제 1 프로파일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사이트 제공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디자인 서버 및 상기 콘텐츠 서버가 상기 제 1 프로파일을 통해 상기 클라이언트로부터 요청되는 상기 웹 사이트에 대한 디자인 및 콘텐츠를 각각 검색하며, 상기 클라이언트가 요청하는 디자인 및 콘텐츠가 검색될 경우 상기 검색된 디자인 및 콘텐츠를 수신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사이트 제공 장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자인 서버 및 상기 콘텐츠 서버가 상기 제 1 프로파일을 통해 상기 클라이언트로부터 요청되는 상기 웹 사이트에 대한 디자인 및 콘텐츠를 각각 검색하고, 상기 클라이언트가 요청하는 디자인 및 콘텐츠가 검색되지 않을 경우 상기 디자인 서버 및 상기 콘텐츠 서버는 상기 클라이언트가 요청하는 디자인 및 콘텐츠와 상기 디자인 서버 및 상기 콘텐츠 서버에 저장된 디자인 및 콘텐츠와의 유사도를 순차적으로 검사하며, 상기 검사를 통해 도출된 값들을 비교하여 상기 유사도가 최대인 결과 값을 포함하는 디자인 및 콘텐츠를 도출하여 수신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사이트 제공 장치일 수 있다.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된 웹 사이트에 대한 디자인 및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클라이언트가 미리 설정한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웹 사이트에 대한 디자인 및 콘텐츠를 수신받고, 상기 디자인 및 콘텐츠를 맵핑시켜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함으로써, 클라이언트가 원하는 웹 사이트의 디자인에 관심분야의 콘텐츠만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클라이언트가 설정한 웹 사이트에 대한 디자인 및 콘텐츠가 해당 서버에서 검색되지 않을 경우 유사도 검색을 통해 클라이언트가 설정한 디자인 및 콘텐츠에 가장 유사한 디자인 및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웹 사이트에 대한 디자인 및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클라이언트가 제 1 프로파일을 생성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자인 서버에 저장된 웹 사이트의 디자인 및 제 2 프로파일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서버에 저장된 콘텐츠 및 제 3 프로파일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클라이언트가 설정한 디자인 및 제 2 프로파일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클라이언트가 설정한 콘텐츠 및 제 3 프로파일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자인 서버 및 콘텐츠 서버로부터 도출된 디자인 및 콘텐츠를 제1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맵핑한 웹 사이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자인 서버 및 콘텐츠 서버가 디자인 및 콘텐츠를 검색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자인 서버에서 디자인에 대한 유사도를 검사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a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서버에서 콘텐츠에 대한 유사도를 검사하는 과정에서의 콘텐츠 서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서버에서 콘텐츠에 대한 유사도를 검사하는 과정에서의 클라이언트가 지정한 제 3 프로파일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각각의 제 3 프로파일과의 유사도를 검사하여 가장 유사한 제 3 프로파일을 도출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클라이언트가 선호하는 디자인 및 콘텐츠를 맵핑하여 웹 사이트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자인 및 콘텐츠를 전송하는 방식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웹 사이트 제공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에 앞서, 기존의 맞춤형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문제점들을 검토한 후, 이들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채택하고 있는 기술적 수단을 개괄적으로 소개하도록 한다.
기존의 맞춤형 콘텐츠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가 원하는 콘텐츠를 웹 사이트 및 모바일 화면에 배치할 수 있으나, 콘텐츠가 배치되는 웹 사이트의 디자인이 하나의 프레임만을 제공하는 방식으로 콘텐츠들의 배치는 사용자가 원하는 곳에 배치할 수 있지만 디자인은 제공되는 프레임만을 사용할 수 있는 한계가 존재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웹 사이트의 디자인을 클라이언트가 직접 속성값으로 정의하여 제작하고, 관심분야의 콘텐츠를 상기 디자인의 프레임에 맵핑하여 해당 웹 사이트 접속 시 클라이언트가 원하는 형태로 디자인 및 콘텐츠를 볼 수 있는 기술적 수단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하기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웹 사이트에 대한 디자인 및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로서, 클라이언트가 웹 사이트에 대한 디자인 및 콘텐츠가 맵핑(mapping)되어 설정된 제 1 프로파일(profile)을 웹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웹 서버가 상기 제 1 프로파일로부터 상기 웹 사이트에 대한 디자인이 설정된 제 2 프로파일 및 상기 웹 사이트에 대한 콘텐츠가 설정된 제 3 프로파일을 각각 도출하고, 상기 웹 서버가 상기 제 2 프로파일을 상기 웹 사이트에 대한 디자인을 제공하는 디자인 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제 3 프로파일을 상기 웹 사이트에 대한 콘텐츠를 제공하는 콘텐츠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디자인 서버가 상기 제 2 프로파일을 고려하여 상기 클라이언트가 요청하는 상기 웹 사이트에 대한 디자인을 상기 웹 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콘텐츠 서버가 상기 제 3 프로파일을 고려하여 상기 클라이언트가 요청하는 상기 웹 사이트에 대한 콘텐츠를 상기 웹 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웹 서버가 수신된 상기 디자인과 상기 콘텐츠를 상기 제 1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맵핑함으로써, 상기 맵핑된 디자인 및 콘텐츠를 상기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S110 단계에서, 클라이언트가 웹 사이트에 대한 디자인 및 콘텐츠가 맵핑되어 설정된 제 1 프로파일을 웹 서버로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프로파일을 이하에서 도 2를 통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클라이언트가 제 1 프로파일을 생성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로서, 상기 제 1 프로파일을 웹 서버로 전송하기 전, 상기 클라이언트가 상기 디자인을 동적 프레임 및 정적 프레임으로 구분하고, 상기 디자인을 형성하는 항목들에 속성값을 부여함으로써, 상기 제 2 프로파일을 생성하고, 상기 클라이언트가 상기 콘텐츠에 대한 분야별 키워드 및 상기 키워드에 따른 중요도를 설정함으로써, 상기 제 3 프로파일을 생성하며, 상기 제 2 프로파일을 형성하는 동적 프레임 및 정적 프레임에 인덱스를 부여하여 상기 콘텐츠에 대한 분야별 키워드를 상기 인덱스가 부여된 동적 프레임에 맵핑함으로써, 상기 제 1 프로파일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동적 프레임은 상기 클라이언트가 상기 제 3 프로파일에 설정된 콘텐츠를 배치할 수 있으며, 상기 정적 프레임은 콘텐츠 제공자만이 상기 콘텐츠를 배치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S210 단계에서, 상기 클라이언트가 상기 디자인을 동적 프레임 및 정적 프레임으로 구분하고, 상기 디자인을 형성하는 항목들에 속성값을 부여함으로써, 상기 제 2 프로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제 2 프로파일은 디자인을 형성하는 항목들에 대한 속성값들로 정의되어 있고, 상기 속성값을 정의하는 방법은 XML, HTML, CSS 등으로 정의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XML을 통해 정의되어 있다는 가정하에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디자인 프로파일인 제 2 프로파일은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어 디자인 서버에 저장되며, 상기 제작된 제 2 프로파일에 대응하는 디자인 또한 디자인 서버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제 2 프로파일은 상기 클라이언트가 생성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디자인 툴을 사용하여 제작할 수 있으며, 상기 디자인 서버에 미리 제작된 다양한 형태의 제 2 프로파일이 저장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을 통해 상기 디자인 서버에 저장된 디자인의 종류와 그에 대한 제 2 프로파일을 XML로 표현한 것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자인 서버에 저장된 웹 사이트의 디자인 및 제 2 프로파일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디자인은 프레임을 지정하여 나누고, 상기 프레임은 동적 프레임과 정적 프레임으로 구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동적 프레임(DF)은 클라이언트가 선호하여 원하는 콘텐츠를 배치할 수 있는 프레임이고, 상기 정적 프레임(SF)은 콘텐츠 회사에서 지정한 콘텐츠만을 볼 수 있도록 지정함으로써, 클라이언트는 동적 프레임(DF)에만 콘텐츠를 배치할 수 있다.
디자인 1(31)은 DF로 표시된 5개의 동적 프레임과 SF로 표시된 3개의 정적 프레임으로 나눈 것이며, 각 프레임에 대한 속성값들은 XML 문서로 정의함으로써 디자인 1(31)에 대한 제 2 프로파일(32)과 매칭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여기서, 디자인 1(31)에 대한 제 2 프로파일(32)에서는 프레임은 총 8개이고, 동적 프레임 DF1은 정의된 속성값들로 인해 폰트크기는 15, 폰트색상은 빨강으로 지정되어 있으며, 이외에도 다양한 속성값들을 정의하여 프레임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디자인 1(31)의 동적 프레임(DF)은 플래쉬, 드래그 앤 드롭(Drag & Drop) 기능 등을 이용하여 클라이언트가 상기 동적 프레임(DF) 간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으며, 미디어 쿼리(Media Query) 등을 이용하여 화면에 맞게 각 프레임의 크기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은 동적 프레임(DF)처럼 유동적으로 배치하고 정의할 수 있으며, 정적 프레임(SF)처럼 콘텐츠 제공자가 광고, 배너 등을 제공하기 위해 고정적으로 배치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각 디자인 별 프레임에는 다양한 속성값들이 정의되어 있어 각기 다른 디자인을 저장하고 있고, 클라이언트는 원하는 디자인의 형태를 직접 생성하여 제공받을 수 있고, 선호하는 디자인과 유사하다고 판단되는 디자인을 디자인 서버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다. 한편, 상기 디자인 서버에서는 각 디자인 별 프레임마다 속성값을 정의하여 폰트, 배경 등을 설정할 수 있고, 각 동적 프레임(DF)에 기본으로 스타일시트(CSS)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클라이언트는 상기 디자인 서버에서 제공되는 스타일시트(CSS)를 선택할 수도 있으며, 사용자 프로파일인 상기 제 1 프로파일에서 직접 디자인을 정의할 수 있다.
S220 단계에서, 상기 클라이언트가 상기 콘텐츠에 대한 분야별 키워드 및 상기 키워드에 따른 중요도를 설정함으로써, 상기 제 3 프로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콘텐츠 프로파일인 제 3 프로파일은 클라이언트가 접속한 해당 웹 사이트의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로 클라이언트가 선호하는 콘텐츠를 제공하여 상기 디자인에 알맞게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 3 프로파일에는 분야별로 정의되어 있으며, 각 분야에는 내용과 키워드가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콘텐츠 서버에는 해당 웹 사이트의 다양한 콘텐츠가 저장되어 있으며, 각 콘텐츠에는 콘텐츠 프로파일인 제 3 프로파일이 매칭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사의 일부 분야로는 스포츠, 경제, 음식, 연예 등이 있으며 이 중 스포츠 분야에는 축구, 야구 등이 있고 또 축구분야에는 '메시', '호날두', 'EPL'등의 세부적인 키워드를 각각의 기사마다 지정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키워드는 키워드 사전(Keyword Dictionary)에 모두 저장될 수 있으며, 상기 키워드 사전에 저장되어 있는 키워드와 기사 콘텐츠 프로파일인 제 3 프로파일에 저장되어 있는 키워드가 일치하거나 유사하다고 판단하는 방법은 키워드 추출기를 이용하여 검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키워드 추출기는 키워드를 자동으로 추출하는 프로그램으로 상기 제 3 프로파일의 키워드가 상기 키워드 사전에 저장되어 있는 것들 중 일치하거나 유사하다고 판단되는 것을 자동으로 검색할 수 있다. 이렇게 각각 정해진 분야별 키워드는 클라이언트가 선호하는 분야 및 키워드와 일치하거나 유사한 것을 판단하여 상기 클라이언트에게 해당하는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를 통해 상기 콘텐츠 서버에 저장된 콘텐츠 및 제 3 프로파일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서버(40)에 저장된 콘텐츠 및 제 3 프로파일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스포츠(41)와 음식(42) 및 연예(43) 분야를 예시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첫 번째 콘텐츠는 스포츠(41)와 관련된 내용이 저장되어 있는 제 3 프로파일(44)으로서, 스포츠의 다양한 분야 중 일부분에 해당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 것이며, 실제로는 더 많고 다양한 세부 분야로 나뉠 수 있다. 상기 스포츠 분야와 세부 기사 내용에는 인덱스가 형성되어 있어 사용자 프로파일인 제 1 프로파일에서 상기 디자인 프레임에 맵핑시킬 수 있다. 여기서, 축구는 C1, 야구는 C2, 농구는 C3 순으로 인덱스가 부여되며, 축구(C1)의 기사 내용들에는 C1_1, C1_2, C1_3 순으로 인덱스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스포츠(41)의 세부 분야로는 축구, 야구, 농구가 있으며 각 세부 분야는 각 기사별로 제 3 프로파일(44)이 저장될 수 있다. 기사별 제 3 프로파일(44)에는 기사 내용을 포함하고 있으며 기사에 대한 키워드(C1_1_K)와 키워드가 생성된 날짜(C1_1_K_D)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두 번째 콘텐츠는 음식(42), 세 번째 콘텐츠는 연예(43) 등 다양하게 콘텐츠를 나누어 정의할 수 있으며 모든 분야 및 세부 분야에는 내용과 키워드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클라이언트는 정의되어 있는 콘텐츠를 선택하여 디자인 프로파일인 제 2 프로파일의 원하는 프레임에 배치할 수 있으며 일치하는 내용이 없을 경우 선호하는 키워드와 비교하여 유사한 콘텐츠를 상기 콘텐츠 서버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다.
이제 다시 도 2로 돌아가 S220 단계 이후를 설명하도록 한다.
S330 단계에서, 상기 제 2 프로파일을 형성하는 동적 프레임 및 정적 프레임에 인덱스를 부여하여 상기 콘텐츠에 대한 분야별 키워드를 상기 인덱스가 부여된 동적 프레임에 맵핑함으로써, 상기 제 1 프로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프로파일인 상기 제 1 프로파일은 각 클라이언트별로 정의되어 있으며, 이에 대한 정보로는 클라이언트가 선호하는 상기 디자인 프로파일인 제 2 프로파일과 상기 콘텐츠 프로파일인 제 3 프로파일 등을 포함한 개인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 프로파일인 제 1 프로파일은 각 클라이언트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프로파일에는 상기 클라이언트가 선호하는 디자인과 콘텐츠를 정의하여야 하며, 상기 디자인 프로파일인 제 2 프로파일과 상기 콘텐츠 프로파일인 제 3 프로파일을 생성하는 방법은 S210 단계 및 S220 단계에서 상세하게 설명하였음으로 여기서는 간략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클라이언트는 자신만의 프레임, 색상, 폰트 등을 설정하여 속성값으로 디자인 프로파일인 제 2 프로파일을 생성하고, 상기 클라이언트가 원하는 콘텐츠를 보기 위해 선호하는 콘텐츠 프로파일인 제 3 프로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이후, 클라이언트가 선호하는 제 2 프로파일과 제 3 프로파일이 생성되면 상기 제 2 프로파일과 상기 제 3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프로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이하의 도 5a, 도 5b, 및 도 5c는 클라이언트가 설정한 제 2 프로파일, 제 3 프로파일, 및 제 1 프로파일을 예시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클라이언트가 설정한 디자인 및 제 2 프로파일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클라이언트는 제 2 프로파일을 통해 웹 사이트에 대한 프레임 개수(51)가 9개이고, 동적 프레임인 DF1의 배경색상(52)이 녹색이며, 동적 프레임인 DF 1의 폰트크기(53)가 10으로 설정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동적 프레임인 DF 2 및 DF 3의 설정 또한 상기 제 2 프로파일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정적 프레임인 SF 1 내지 SF 4는 콘텐츠 제공자가 고정적으로 제공하는 것이기 때문에 상기 클라이언트가 설정할 수 없다. 또한, 동적 프레임 DF 1 내지 DF 3은 클라이언트가 직접 지정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디자인 서버에서 제공받는 스타일시트를 선택하지 않고 직접 스타일시트를 설정할 수 있다.
도 5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클라이언트가 설정한 콘텐츠 및 제 3 프로파일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콘텐츠 프로파일인 제 3 프로파일에서는 클라이언트가 스포츠(41), 음식(42), 및 연예(43)에 관한 콘텐츠만 보기를 원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스포츠(41) 콘텐츠인 축구 기사(61)에서는 '메시vs호날두'에 관한 콘텐츠만을 선호하여 키워드로 '메시' 및 '호날두'가 설정되었으며, 해당 축구 기사(61)의 생성 날짜는 '2013-08-31'인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키워드의 중요도가 '7, 7'로서 클라이언트가 선호하는 콘텐츠 프로파일인 제 3 프로파일의 키워드에 대한 중요도가 정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클라이언트가 정의한 상기 중요도는 콘텐츠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콘텐츠 프로파일인 제 3 프로파일의 키워드의 빈도수보다 항상 클 수 있다. 다시 말해, 클라이언트가 중요한 중요도보다 작은 것을 먼저 검색하여 유사도를 계산할 수 있으며, 상기 각 키워드에 대한 중요도는 클라이언트가 선호하는 콘텐츠 프로파일인 제 3 프로파일을 선택할 때, 유사도를 검사하는 방법에서 빈도수로 활용될 수 있다.
이외에도 음식(42) 및 연예(43)가 클라이언트가 선호하는 프로파일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여기서, 클라이언트는 선호하는 제 3 프로파일을 디자인 프로파일인 제 2 프로파일의 어느 프레임에 어떤 콘텐츠를 배치할 것인지를 정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가 선호하는 제 3 프로파일의 인덱스가 스포츠(41) 분야의 축구가 C1, 음식(42) 음식 분야의 한식이 C4, 연예(43) 분야의 예능이 C8로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각 분야에 대한 세부 기사에도 축구 기사(61)가 C1_1, 음식 기사(62)가 C4_2, 연예 기사(63)가 C8_1로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각 콘텐츠에 인덱스가 설정되어 있으며, 상기 인덱스를 이용하여 클라이언트가 선호하는 제 2 프로파일의 어느 프레임에 위치할 것인지를 설정할 수 있다.
도 5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자인 서버 및 콘텐츠 서버로부터 도출된 디자인 및 콘텐츠를 제 1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맵핑한 웹 사이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A 신문사 사이트(72)는 클라이언트가 생성한 제 2 프로파일과 제 3 프로파일을 맵핑한 결과로서, 클라이언트가 선호하는 디자인 구성에 보고자하는 콘텐츠만을 각 프레임에 배치한 것이며, 제 1 프로파일(71)은 제 3 프로파일의 콘텐츠 내용, 관심분야별 키워드, 기사 생성 날짜를 제 2 프로파일의 동적 프레임에 맵핑한 것일 수 있다. 여기서, 디자인 서버 및 콘텐츠 서버와 상기 클라이언트가 원하는 디자인 및 콘텐츠로 구성된 제 2 프로파일 및 제 3 프로파일과 매칭하여 검색하는 방법은 이하에서 도 1의 S140 단계에서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이제 다시 도 1로 돌아가 S110 단계 이후를 설명하도록 한다.
S120 단계에서, 상기 웹 서버가 상기 제 1 프로파일로부터 상기 웹 사이트에 대한 디자인이 설정된 제 2 프로파일 및 상기 웹 사이트에 대한 콘텐츠가 설정된 제 3 프로파일을 각각 도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프로파일은 상기 제 2 프로파일에 설정된 프레임에 상기 제 3 프로파일에 설정된 콘텐츠가 맵핑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 1 프로파일로부터 상기 제 2 프로파일 및 상기 제 3 프로파일을 식별하여 도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프로파일, 상기 제 2 프로파일, 및 상기 제 3 프로파일은 도 2를 통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므로 여기서는 생략하도록 한다.
S130 단계에서, 상기 웹 서버가 상기 제 2 프로파일을 상기 웹 사이트에 대한 디자인을 제공하는 디자인 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제 3 프로파일을 상기 웹 사이트에 대한 콘텐츠를 제공하는 콘텐츠 서버로 전송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2 프로파일은 디자인만을 제공하는 별도의 제작 업체의 디자인 서버에 미리 다양한 디자인이 제작되어 제 2 프로파일과 매칭되어 저장될 수 있으며, 상기 웹 서버는 상기 제 1 프로파일로부터 식별된 제 2 프로파일을 상기 디자인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3 프로파일은 해당 웹 사이트의 콘텐츠 서버에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웹 서버는 상기 제 3 프로파일을 상기 콘텐츠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S140 단계에서, 상기 디자인 서버가 상기 제 2 프로파일을 고려하여 상기 클라이언트가 요청하는 상기 웹 사이트에 대한 디자인을 상기 웹 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콘텐츠 서버가 상기 제 3 프로파일을 고려하여 상기 클라이언트가 요청하는 상기 웹 사이트에 대한 콘텐츠를 상기 웹 서버로 전송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디자인 서버 및 상기 콘텐츠 서버가 상기 제 1 프로파일을 통해 상기 클라이언트로부터 요청되는 상기 웹 사이트에 대한 디자인 및 콘텐츠를 각각 검색하고, 상기 클라이언트가 요청하는 디자인 및 콘텐츠가 검색될 경우 상기 검색된 디자인 및 콘텐츠를 상기 웹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클라이언트가 요청하는 디자인 및 콘텐츠가 검색되지 않을 경우 상기 디자인 서버 및 상기 콘텐츠 서버는 상기 클라이언트가 요청하는 디자인 및 콘텐츠와 상기 디자인 서버 및 상기 콘텐츠 서버에 저장된 디자인 및 콘텐츠와의 유사도를 순차적으로 검사하고, 상기 검사를 통해 도출된 값들을 비교하여 상기 유사도가 최대인 결과 값을 포함하는 디자인 및 콘텐츠를 도출하여 상기 웹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라이언트가 요청하는 디자인과 상기 디자인 서버에 저장된 디자인과의 유사도를 검사하는 것은, 상기 요청하는 디자인의 프레임 개수보다 상기 저장된 디자인의 프레임 개수가 크거나 같은 디자인을 선별하고, 상기 선별된 디자인과 상기 요청하는 디자인으로부터 상기 디자인을 형성하는 항목들에 부여된 속성값에 대한 편차 값을 도출하며, 상기 도출된 편차 값이 작은 순서대로 높은 우선순위를 부여함으로써, 상기 가장 높은 우선순위가 부여된 디자인을 상기 유사도가 최대인 결과 값으로 도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라이언트가 요청하는 콘텐츠와 상기 콘텐츠 서버에 저장된 콘텐츠와의 유사도를 검사하는 것은, 상기 콘텐츠에 포함된 키워드의 개수 또는 상기 콘텐츠에 포함된 키워드의 빈도수를 통해 상기 유사도를 검사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요청하는 콘텐츠와 상기 저장된 콘텐츠와의 유사도를 상기 콘텐츠에 포함된 키워드의 개수를 통해 검사하는 것은, 상기 요청하는 콘텐츠에 설정된 키워드를 이용하여 상기 저장된 콘텐츠에서 상기 설정된 키워드의 개수를 검색하여 각각 도출하며, 상기 도출된 키워드의 개수가 가장 많은 콘텐츠를 상기 유사도가 최대인 결과 값으로 도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요청하는 콘텐츠와 상기 저장된 콘텐츠와의 유사도를 상기 콘텐츠에 포함된 키워드의 빈도수를 통해 검사하는 것은, 상기 요청하는 콘텐츠에 설정된 키워드를 이용하여 상기 저장된 콘텐츠에서 상기 설정된 키워드의 빈도수를 각각 도출하며, 상기 도출된 빈도수가 많은 순서대로 높은 우선순위를 부여함으로써, 상기 가장 높은 우선순위가 부여된 콘텐츠를 상기 유사도가 최대인 결과 값으로 도출할 수 있다.
S140 단계는 이하에서 도 6을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자인 서버 및 콘텐츠 서버가 디자인 및 콘텐츠를 검색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로서, 디자인 프로파일인 제 2 프로파일 및 콘텐츠 프로파일인 제 3 프로파일의 속성값들은 XML로 정의되어 있다는 가정하에 설명하도록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S810 단계에서, 디자인 서버 및 콘텐츠 서버가 클라이언트로부터 요청되는 디자인 및 콘텐츠를 각각 검색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사용자 프로파일인 제 1 프로파일에는 클라이언트가 선호하는 디자인에 대한 프로파일이 XML 방식으로 정의되어 있고, 이는 클라이언트가 지정한 것으로 클라이언트가 선호하는 디자인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디자인 서버에 정의되어 있는 디자인을 비교하여 일치하는 것이 있다면 클라이언트에게 검색된 상기 디자인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프로파일인 제 1 프로파일에는 클라이언트가 선호하는 콘텐츠에 대한 프로파일이 XML로 정의되어 있고, 이는 클라이언트가 지정한 것으로 클라이언트가 선호하는 콘텐츠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콘텐츠 서버에 정의되어 있는 콘텐츠를 비교하여 일치하는 것이 있다면 클라이언트에게 검색된 상기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S820 단계에서, 클라이언트로부터 요청되는 디자인 및 콘텐츠를 상기 디자인 서버 및 콘텐츠 서버에 검색하여 일치하는 디자인 및 콘텐츠가 존재하는지 검색할 수 있다. 여기서, 클라이언트로부터 요청되는 디자인 및 콘텐츠가 상기 디자인 서버 및 콘텐츠 서버에서 일치하는 디자인 및 콘텐츠가 검색될 경우 S850 단계로 진행하며, 클라이언트로부터 요청되는 디자인 및 콘텐츠가 상기 디자인 서버 및 콘텐츠 서버에서 일치하는 디자인 및 콘텐츠가 검색되지 않을 경우 S830단계로 진행할 수 있다.
S830 단계에서, 클라이언트로부터 요청되는 디자인 및 콘텐츠와 디자인 서버 및 콘텐츠 서버에 저장된 디자인 및 콘텐츠와의 유사도를 검사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클라이언트가 요청하는 디자인과 디자인 서버에 정의되어 있는 다양한 디자인의 구성은 비슷하지만 동적 프레임 및 정적 프레임이 클라이언트가 선호하는 것과 일치하지 않을 경우, 상기 디자인 서버는 클라이언트가 요청하는 디자인에 가장 유사한 디자인을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가장 유사한 디자인을 찾는 방법은 먼저 프레임의 개수를 비교한 후 선택된 디자인들의 XML로 정의되어 있는 속성값을 비교하여 계산한 후 상기 속성값들에 대해 우선순위를 부여함으로써, 가장 높은 우선순위를 포함하는 디자인을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디자인 서버에서 디자인에 대한 유사도를 검사하는 것은 이하에서 도 7을 통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자인 서버에서 디자인에 대한 유사도를 검사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가 선호하는 디자인과 디자인 프로파일인 제 2 프로파일(92)은 프레임의 개수가 7개인 디자인을 선호하고, 상기 7개의 프레임 중 4개는 클라이언트가 콘텐츠를 배치할 수 있는 동적 프레임이고, 상기 7개의 프레임 중 3개는 콘텐츠 회사에서 정적으로 배치할 수 있는 정적 프레임이라고 할 때, 클라이언트는 프레임 7개를 선호하므로, 가장 먼저 프레임의 개수에 따라 디자인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디자인과 디자인 별 프로파일(91) 중 프레임이 7개인 모든 디자인을 선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디자인 서버에 7개의 프레임으로 구성된 디자인이 없을 경우 클라이언트가 선호하는 프레임 개수보다 많거나 같은 디자인을 선별할 수 있다. 즉, 디자인 서버의 디자인 프로파일인 제 2 프로파일(91)에 정의되어 있는 프레임의 개수를 DSF라 하고, 클라이언트가 선호하는 디자인 프로파일인 제 2 프로파일(92)에 정의되어 있는 프레임의 개수를 USF라 할 때, 상기 클라이언트가 선호하는 프레임 개수보다 많거나 같은 디자인을 선별하는 것은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Figure 112013108785928-pat00001
이후, 수학식 1을 통해 선택된 디자인들은 다음 단계인 속성값을 비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디자인 서버의 정의된 프로파일(91)의 동적 프레임(93)의 폰트크기, 배경색상이 있을 때, 클라이언트가 선호하는 디자인 프로파일인 제 2 프로파일(92)의 동적 프레임(94)의 속성값인 폰트크기, 배경색상과 비교하여 편차를 도출함으로써, 점수를 부여할 수 있다. 먼저, 상기 편차를 구하는 방법은 상기 디자인 서버에 정의된 프로파일(91)의 동적 프레임(93)의 폰트크기가 10이고, 상기 디자인 서버에 정의된 프로파일(91)의 동적 프레임(93)의 배경색이 녹색이고, 클라이언트가 선호하는 디자인 프로파일인 제 2 프로파일(92)의 동적 프레임(94)의 폰트크기가 10이며, 클라이언트가 선호하는 디자인 프로파일인 제 2 프로파일(92)의 동적 프레임(94)의 배경색이 녹색일 경우, 상기 폰트크기의 편차는 0이므로 서로 일치한다고 판단할 수 있으며, 상기 배경색상 또한 RGB 값으로 계산하여 편차가 0이므로 일치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클라이언트가 선호하는 디자인 프로파일인 제 2 프로파일(92)과 디자인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디자인 프로파일인 제 2 프로파일(91)에 대한 속성값을 각각 계산하여 편차가 작으면 작을수록 높은 점수를 부여하여 상기 부여된 점수가 높은 순서대로 우선순위를 부여할 수 있다. 여기서 프레임별 속성값에 대한 편차 값을 합한 값인 각 유사도의 합이 A라 하고, 프레임을 구성하는 속성의 개수를 T라 할 때, 프레임별 평균 유사도인 Fa는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Figure 112013108785928-pat00002
예를 들어, 속성값에 대한 최대 유사도를 1점이라 할 때, 첫 번째 프레임의 폰트크기 값의 편차가 0이면 유사도가 최대이므로 1점을 주고, 배경색상 값의 편차가 0이면 유사도가 최대이므로 1점을 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폰트크기 유사도 점수와 상기 배경색상 유사도 점수를 합한 값이 총 2점일 수 있다. 이후, 상기 첫 번째 프레임의 속성값이 상기 폰트크기와 배경색상 2개이므로 수학식 2를 통해 프레임별 평균 유사도를 도출하면 1일 수 있다. 또한, 또 다른 예로 두 번째 프레임의 폰트크기 편차 값이 2이며 이는 유사도가 0.8이고, 배경색상은 RGB 값으로 계산한 결과 편차 값이 5이며 유사도는 0.6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폰트크기 유사도 점수와 상기 배경색상 유사도 점수를 합한 값이 총 1.4일 수 있다. 이후, 수학식 2를 통해 프레임별 평균 유사도를 도출하면 0.7일 수 있다.
이제, 수학식 2를 통해 도출된 프레임별 평균 유사도를 이용하여 디자인 별 평균 유사도를 도출할 수 있다. 여기서, 프레임별 평균 유사도의 합을 FaT라 하고, 프레임의 개수를 Fn이라 할 때, 상기 디자인 별 평균 유사도인 Da는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Figure 112013108785928-pat00003
예를 들어, 수학식 2를 통해 도출된 첫 번째 프레임의 평균 유사도가 1이고, 두 번째 프레임의 평균 유사도가 0.7이므로, 상기 프레임별 평균 유사도의 합은 1.7이며, 프레임의 개수가 2개이므로 수학식 3을 통해 디자인 별 평균 유사도를 도출하면 0.85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디자인 서버에 저장된 각 디자인의 평균 유사도를 구하여 랭킹을 부여함으로써, 가장 높은 즉, 가장 유사하다고 판단되는 디자인을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제 다시 S830 단계로 돌아와 콘텐츠 서버에서 유사도를 검사하는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콘텐츠 서버에서 유사도를 검사하는 방법은 이하에서 도 8a, 8b, 및 도 8b를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8a 및 8b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서버에서 콘텐츠에 대한 유사도를 검사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키워드를 통해 유사도를 검사하는 방법은 불리언 검색(boolean retrieval) 방식으로 키워드의 개수로 구할 수 있고, 벡터 모델 및 유클리드 등 유사도 계산 방법을 이용하여 키워드의 유사도로 구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불리언 검색 방식으로 키워드의 개수를 구하는 방법은 도 8b의 클라이언트가 정의한 프로파일의 키워드가 도 8a의 콘텐츠 서버(40)에 저장된 각각의 프로파일의 내용에 몇 개 존재하는지를 계산한다. 예를 들어, 도 8b의 클라이언트가 선호하는 프로파일에 정의한 키워드(81)는 '메시' 및 '호날두' 일 때, 도 8a의 콘텐츠 서버에 있는 축구 기사1(83)에 '메시vs호날두'라는 기사 내용(82)에 메시의 단어 개수가 5개, 호날두의 단어 개수가 3개라면 상기 '메시vs호날두' 상기 키워드의 총 개수는 8개일 수 있다. 그리고 콘텐츠 서버에 있는 또 다른 기사에서 상기 메시가 3개, 호날두가 2개라면 키워드의 총 개수는 5개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콘텐츠 서버의 프로파일에서 나타난 개수가 더 많은 8개의 개수가 있는 축구 기사1(83)이 상기 클라이언트가 선호하는 콘텐츠로 선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키워드의 빈도수를 계산하는 방법은 벡터 모델 및 유클리드 등 유사도 계산 방법을 이용하여 해당 키워드가 문서에 더 많이 나타날 경우 더 많은 점수를 부여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도 8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각각의 제 3 프로파일과의 유사도를 검사하여 가장 유사한 제 3 프로파일을 도출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유사도를 계산하기 위한 비교 대상인 콘텐츠 서버의 제 3 프로파일은 키워드의 빈도수가 클라이언트가 정의한 키워드 중요도보다 작은 것들을 먼저 선별할 수 있으며, 클라이언트가 선호하는 제 3 프로파일과 콘텐츠 서버에 저장된 각각의 제 3 프로파일과의 유사도를 계산하여 랭킹을 부여함으로써, 가장 우선순위가 높은 제 3 프로파일이 가장 유사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콘텐츠 서버의 각각의 제 3 프로파일에는 키워드가 저장될 수 있고, 상기 저장된 키워드의 빈도수는 유클리디언 거리와 벡터 모델의 유사도 계산 방법을 이용함으로써, 유사도를 도출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가 선호하는 콘텐츠 프로파일인 제 3 프로파일에는 키워드의 중요도가 정의될 수 있고, 상기 키워드의 중요도를 상기 빈도수로 이용하여 상기 유사도를 계산할 수 있다.
우선, 상기 유클리디언 거리를 이용한 유사도 계산 방법을 설명하면, 상기 유클리디언 거리는 값이 작을수록 더욱 유사하다고 판단할 수 있으며, n이 제 3 프로파일에 정의되어 있는 키워드의 수이고,
Figure 112013108785928-pat00004
가 클라이언트가 정의한 제 1 프로파일의 키워드 중요도이고,
Figure 112013108785928-pat00005
가 콘텐츠 서버에 저장된 제 3 프로파일의 키워드 빈도수이며,
Figure 112013108785928-pat00006
이라 할 때, 상기 유클리디언 거리는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Figure 112013108785928-pat00007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가 선호하는 스포츠 기사의 콘텐츠 포로파일의 키워드는 '축구', '농구'로 2개이고, 클라이언트가 정의한 콘텐츠 프로파일인 제 3 프로파일은 중요도가 정의되어 있으며, 상기 중요도는 클라이언트가 선호하는 만큼 상황에 따라 임의로 지정할 수 있다. 여기서, 클라이언트가 정의한 '축구', '농구'의 중요도는 '16, '13'이다. 그리고, 해당 키워드를 포함하는 콘텐츠 서버의 스포츠 기사의 콘텐츠 프로파일인 제 3 프로파일은 3개가 저장되어 있다고 가정하고, 상기 3개의 스포츠 기사 콘텐츠 프로파일인 스포츠 기사1, 스포츠 기사2, 스포츠 기사3에는 키워드 '축구'와 '농구'의 빈도수가 저장될 수 있으며, 상기 각각의 키워드의 빈도수는 해당 키워드가 각각의 기사에 나타난 수일 수 있다.
따라서, 콘텐츠 서버에 저장된 스포츠 기사 1에서 '축구', '농구'의 빈도수가 각각 12, 10이고, 상기 스포츠 기사 2에서 '축구', '농구'의 빈도수가 각각 15, 13이며, 상기 스포츠 기사 3에서 '축구', '농구'의 빈도수가 각각 11, 12 일 때, 클라이언트가 정의한 '축구', '농구'의 중요도와 콘텐츠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제 3 프로파일의 키워드의 빈도수를 이용하여 수학식 4를 통해 유사도를 계산하면, 상기 스포츠 1에 대한 유사도는 5, 상기 스포츠 2에 대한 유사도는 1, 상기 스포츠 3에 대한 유사도는 5.8이므로, 유사도를 계산한 결과값이 가장 작은 상기 스포츠 기사 2가 가장 유사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결과값은 소수 셋째자리에서 반올림하여 소수 둘째 자리까지 표현할 수 있으며, 만약 유사도가 동일한 경우 콘텐츠 프로파일인 제 3 프로파일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파일 생성날짜를 통해 가장 최근의 기사를 선정할 수 있다.
한편, 벡터 모델을 통해 유사도를 계산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상기 벡터 모델의 유사도 계산 방법은 결과값이 크면 클수록 가장 유사하다고 판단할 수 있으며, 0에 가까울수록 유사도가 낮다고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n이 제 3 프로파일에 정의되어 있는 키워드의 수이고,
Figure 112013108785928-pat00008
가 클라이언트가 정의한 제 1 프로파일의 키워드 중요도이고,
Figure 112013108785928-pat00009
가 콘텐츠 서버에 저장된 제 3 프로파일의 키워드 빈도수이며,
Figure 112013108785928-pat00010
이라 할 때, 상기 유클리디언 거리는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Figure 112013108785928-pat00011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가 선호하는 스포츠 기사의 콘텐츠 포로파일의 키워드는 '축구', '농구'로 2개이고, 클라이언트가 정의한 콘텐츠 프로파일인 제 3 프로파일은 중요도가 정의되어 있으며, 상기 중요도는 클라이언트가 선호하는 만큼 상황에 따라 임의로 지정할 수 있다. 여기서, 클라이언트가 정의한 '축구', '농구'의 중요도는 '16, '13'이다. 그리고, 해당 키워드를 포함하는 콘텐츠 서버의 스포츠 기사의 콘텐츠 프로파일인 제 3 프로파일은 3개가 저장되어 있다고 가정하고, 상기 3개의 스포츠 기사 콘텐츠 프로파일인 스포츠 기사1, 스포츠 기사2, 스포츠 기사3에는 키워드 '축구'와 '농구'의 빈도수가 저장될 수 있으며, 상기 각각의 키워드의 빈도수는 해당 키워드가 각각의 기사에 나타난 수일 수 있다.
따라서, 콘텐츠 서버에 저장된 스포츠 기사 1에서 '축구', '농구'의 빈도수가 각각 12, 10이고, 상기 스포츠 기사 2에서 '축구', '농구'의 빈도수가 각각 15, 13이며, 상기 스포츠 기사 3에서 '축구', '농구'의 빈도수가 각각 11, 12 일 때, 클라이언트가 정의한 '축구', '농구'의 중요도와 콘텐츠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제 3 프로파일의 키워드의 빈도수를 이용하여 수학식 5를 통해 유사도를 계산하면, 상기 스포츠 기사 1에 대한 유사도가 0.96이고, 상기 스포츠 기사 2에 대한 유사도가 0.99이며, 상기 스포츠 기사 3에 대한 유사도가 0.98이므로, 유사도의 결과값이 1에 가장 가까운 상기 스포츠 기사 2가 가장 유사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결과값은 소수 셋째 자리에서 반올림하여 소수 둘째 자리까지 표현할 수 있으며, 상기 유사도의 결과값이 동일한 경우 콘텐츠 프로파일인 제 3 프로파일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파일 생성날짜를 통해 가장 최근의 기사를 선정할 수 있다.
한편, 해당 기사의 키워드에 대한 개수 및 빈도수를 계산하는 상기의 방법은 상기 기사의 생성 날짜가 더 오래전 것이 아니어야 하므로 상기 기사의 생성 날짜를 통해 당일 생성된 콘텐츠들에 한해서만 비교할 수 있다.
이제 다시 도 6으로 돌아가 S830 단계 이후를 설명하도록 한다.
S840 단계에서, S830 단계에서 디자인 및 콘텐츠의 유사도를 검사하여 도출된 값을 비교하여 상기 유사도가 최대인 결과 값을 포함하는 디자인 및 콘텐츠를 상기 클라이언트가 선호하는 디자인 및 콘텐츠로 선별할 수 있다.
S850 단계에서, S840 단계에서 선별된 디자인 및 콘텐츠를 상기 웹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이제 다시 도 1로 돌아가 S140 단계 이후를 설명하도록 한다.
S150 단계에서, 상기 웹 서버가 수신된 상기 디자인과 상기 콘텐츠를 상기 제 1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맵핑함으로써, 상기 맵핑된 디자인 및 콘텐츠를 상기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S150 단계는 이하에서 도 9를 통해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클라이언트가 선호하는 디자인 및 콘텐츠를 맵핑하여 웹 사이트로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9는 클라이언트가 선호하는 디자인에 클라이언트가 선호하는 콘텐츠가 매칭되어 나온 결과 화면일 수 있다. 여기서, 디자인은 클라이언트가 배치할 수 있는 동적 프레임인 DF1(81), DF2(82), 및 DF3(83)과 콘텐츠 제공자가 고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정적 프레임인 SF1(84), SF2(85), SF3(86), 및 SF4(87) 총 7개의 프레임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클라이언트는 자신이 선호하는 콘텐츠 프로파일인 제 3 프로파일에 스포츠(41), 음식(42), 및 연예(43)에 관한 프로파일을 정의하였고, 스포츠(41)에는 '메시vs호날두', '가레스 베일 이적료', 및 '류현진 활약' 등에 대한 콘텐츠를 선호할 수 있다. 그리고 음식(42)에서는 '청국장 레시피'에 관한 기사를 선호하며, 연예(43)에서는 '슈퍼스타k 5', '뮤직뱅크 순위', 및 '흥행 영화 순위'에 관한 기사를 선호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프로파일인 제 1 프로파일에 정의된 선호하는 콘텐츠 프로파일인 제 3 프로파일에는 DF1(81)에는 스포츠(41) 기사를 배치하고, DF2(82)에는 음식(42) 기사를 배치하며, DF3(83)에는 예능(43) 기사를 배치하도록 정의될 수 있다. 여기서, DF1(81)의 스포츠(41) 기사 내용은 3가지의 기사가 있으며, 이는 우선순위가 부여가 되어 콘텐츠 프로파일인 제 3 프로파일의 키워드 비교를 통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키워드의 빈도수가 동일하다면 기사가 생성된 생성날짜를 고려하여 최근 생성날짜를 기준으로 내림차순 정렬하여 배치할 수 있다.
또한, DF2(82)는 클라이언트가 선호하는 음식(42)에 관한 기사가 하나만 선정될 수 있다. 따라서, DF2(82)에서는 청국장 레시피에 관한 기사만 볼 수 있다.
또한, DF3(83)은 연예(43)에 대한 기사로 클라이언트가 선호하는 콘텐츠 프로파일인 제 3 프로파일에 3가지를 정의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정의한 제 3 프로파일이 콘텐츠 서버에 있으면 키워드를 비교하여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순으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DF3(83)에는 '슈퍼스타k 5', '뮤직뱅크 순위', '흥행 영화 순위' 순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여기서, 각 프레임에 배치되어 있는 기사들 중 첫 번째 기사는 내용과 함께 보이며, 두 번째 순위부터는 링크를 통해 상세 보기 할 수도 있다.
또한, 정적 프레임인 SF1(84) 내지 SF4(87)은 클라이언트가 선호하는 것이 아니라 콘텐츠 제공 업체에서 지정한 콘텐츠만을 넣을 수 있다. 여기서, SF1(84) 및 SF2(85)는 각각 핸드폰 및 통신에 대한 광고 화면이며, SF3(86)는 최신 뉴스에 대해 가장 최근 것을 기준으로 내림차순 되어 배치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SF4(87)는 매달 있는 문화행사에 대한 것으로 상세보기를 통해 이를 홍보함으로써, 정적 프레임은 다양하게 콘텐츠 제공 회사에서 지정하여 설정할 수 있다.
한편, 도 1의 웹 사이트에 대한 디자인 및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에서의 전송 방식은 제 1 프로파일, 제 2 프로파일, 및 제 3 프로파일이 각 서버에 저장되어 있고, 각 서버에서 클라이언트가 선호하는 디자인 및 콘텐츠와 일치하거나 유사한 것을 제공하는 분리형 서버 방식이 있으며, 상기 3개의 프로파일을 한 서버에서 제공하는 통합형 서버방식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의 전송 방식은 이하에서 도 10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0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자인 및 콘텐츠를 전송하는 방식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분리형 서버 방식은 해당 웹 사이트의 콘텐츠만을 제공하는 콘텐츠 서버와 디자인만을 제공하는 회사의 디자인 서버로 분리되어 각각의 서버에서 제공하는 방법일 수 있다.
다시 말해, 좌측 상단의 전송 방식(111)은 사용자 컴퓨터인 클라이언트와 디자인 서버 및 콘텐츠 서버 중간에 웹 서버를 통하여 클라이언트에게 디자인 및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일 수 있다. 우선, 사용자 컴퓨터인 클라이언트는 상기 웹 서버에 자신이 정의한 제 1 프로파일을 전송하고, 웹 서버는 상기 클라이언트에게 받은 제 1 프로파일에서 클라이언트가 선호하는 디자인 프로파일인 제 2 프로파일과 콘텐츠 프로파일인 제 3 프로파일을 도출하여 각각 해당 서버에 요청할 수 있다. 이후, 디자인 서버 및 콘텐츠 서버는 다시 웹 서버에 클라이언트가 선호하는 디자인 및 콘텐츠에 일치하거나 가장 유사한 디자인 및 콘텐츠를 전송하며, 디자인 및 콘텐츠를 전송받은 웹 서버는 클라이언트에게 맞춤형 디자인과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우측 상단의 전송 방식(112)은 중간에 웹 서버를 통하지 않고 콘텐츠 서버 및 디자인 서버가 클라이언트에게 직접 제공하는 방법일 수 있다. 우선, 사용자 컴퓨터인 클라이언트가 선호하여 정의한 제 2 프로파일을 디자인 서버에 요청하며, 사용자 컴퓨터인 클라이언트가 선호하여 정의한 제 3 프로파일을 콘텐츠 서버에 요청할 수 있다. 이후, 상기 디자인 서버 및 콘텐츠 서버는 각각 요청받은 제 2 프로파일과 제 3 프로파일을 해당 서버에서 비교하여 일치하거나 유사한 것을 클라이언트에게 전송하여 클라이언트의 화면에 제공해주는 것일 수 있다.
한편, 통합형 서버 방식은 클라이언트가 접속한 해당 웹 사이트에서 디자인과 콘텐츠를 모두 제공받는 방법일 수 있다. 여기서, 좌측 하단의 전송 방식(113)은 중간에 웹 서버를 통하여 사용자 컴퓨터인 클라이언트에 디자인과 콘텐츠를 제공받는 방법일 수 있다. 우선, 클라이언트는 제 1 프로파일을 전송하여 자신이 원하는 디자인 프로파일인 제 2 프로파일과 콘텐츠 프로파일인 제 3 프로파일을 웹 서버에 요청하고, 제 1 프로파일을 전송받은 웹 서버는 디자인 서버 및 콘텐츠 서버가 통합되어있는 서버에 클라이언트가 선호하는 제 2 프로파일과 제 3 프로파일을 도출하여 요청할 수 있다. 이후, 상기 통합 서버는 웹 서버에 일치하거나 가장 유사한 디자인과 콘텐츠를 상기 웹 서버에 전송하고, 웹 서버는 클라이언트에게 상기 통합 서버로부터 전송받은 디자인 및 콘텐츠를 매칭시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우측 하단의 전송 방식(114)은 중간에 웹 서버를 통하지 않고 통합형 서버가 직접 디자인 및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일 수 있다. 우선, 사용자 컴퓨터인 클라이언트가 자신이 정의한 선호하는 디자인 프로파일인 제 2 프로파일과 콘텐츠 프로파일인 제 3 프로파일을 해당 웹 사이트의 서버에 요청하고, 요청받은 서버는 각 디자인과 콘텐츠 서버에서 일치하거나 유사한 디자인 및 콘텐츠를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할 수 있다.
한편, 클라이언트는 여러 개의 디자인과 콘텐츠 중에서 자신이 선호하는 디자인 및 콘텐츠를 선택할 수도 있으며, 자신의 컴퓨터에 다운받아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클라이언트는 프로파일을 생성할 수 있는 툴 등을 사용하여 선호하는 디자인 및 콘텐츠를 설정하여 생성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웹 사이트 제공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로서, 웹 사이트 제공 장치(125)는 앞서 기술한 도 1의 각 과정에 대응하는 구성을 포함한다. 따라서, 여기서는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시스템의 세부구성을 중심으로 그 기능을 약술하도록 한다.
송수신부(126)는 클라이언트로부터 웹 사이트에 대한 디자인 및 콘텐츠가 맵핑되어 설정된 제 1 프로파일을 수신받고, 제 2 프로파일 및 제 3 프로파일을 디자인 서버 및 콘텐츠 서버로 각각 송신하고, 상기 웹 사이트에 대한 디자인 및 콘텐츠를 상기 디자인 서버 및 콘텐츠 서버로부터 각각 수신받으며, 상기 제 1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맵핑된 디자인 및 콘텐츠를 상기 클라이언트로 송신한다.
처리부(127)는 상기 제 1 프로파일로부터 상기 웹 사이트에 대한 디자인이 설정된 상기 제 2 프로파일 및 상기 웹 사이트에 대한 콘텐츠가 설정된 상기 제 3 프로파일을 각각 도출하며, 상기 수신된 디자인과 상기 수신된 콘텐츠를 상기 제 1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맵핑하되, 상기 제 1 프로파일은 상기 제 2 프로파일을 형성하는 동적 프레임 및 정적 프레임에 인덱스를 부여하여 상기 콘텐츠에 대한 분야별 키워드를 상기 인덱스가 부여된 동적 프레임에 맵핑함으로써, 상기 제 1 프로파일을 생성한다.
또한, 상기 디자인 서버 및 상기 콘텐츠 서버가 상기 제 1 프로파일을 통해 상기 클라이언트로부터 요청되는 상기 웹 사이트에 대한 디자인 및 콘텐츠를 각각 검색하며, 상기 클라이언트가 요청하는 디자인 및 콘텐츠가 검색될 경우 상기 검색된 디자인 및 콘텐츠를 수신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자인 서버 및 상기 콘텐츠 서버가 상기 제 1 프로파일을 통해 상기 클라이언트로부터 요청되는 상기 웹 사이트에 대한 디자인 및 콘텐츠를 각각 검색하고, 상기 클라이언트가 요청하는 디자인 및 콘텐츠가 검색되지 않을 경우 상기 디자인 서버 및 상기 콘텐츠 서버는 상기 클라이언트가 요청하는 디자인 및 콘텐츠와 상기 디자인 서버 및 상기 콘텐츠 서버에 저장된 디자인 및 콘텐츠와의 유사도를 순차적으로 검사하며, 상기 검사를 통해 도출된 값들을 비교하여 상기 유사도가 최대인 결과 값을 포함하는 디자인 및 콘텐츠를 도출하여 수신받을 수 있다.
상기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웹사이트에 대한 디자인 및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을 통해 클라이언트가 원하는 디자인과 콘텐츠를 선택하여 볼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클라이언트는 자신이 원하는 디자인을 정의하여 일치하거나 혹은 유사한 디자인으로 원하는 콘텐츠를 볼 수 있다. 또한, 콘텐츠도 원하는 콘텐츠만을 정의하여 볼 수 있으며, 각 콘텐츠들을 디자인 화면의 원하는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한 웹 사이트를 접속했을 때 접속하는 모든 클라이언트들이 자신이 선호하는 디자인과 콘텐츠들로 해당 웹 사이트를 각각 다르게 볼 수 있다. 즉, 동일한 웹 사이트를 보는 클라이언트들은 모두 자신이 선호하는 각기 다른 화면으로 볼 수 있으며 이를 계속 바꿀 수도 있다. 나아가, 디자인의 프레임을 동적 프레임 및 정적 프레임으로 구분함으로써, 동적 프레임을 통해 클라이언트가 원하는 디자인에 관심분야의 콘텐츠만을 배치하여 볼 수 있으며, 정적 프레임을 통해 콘텐츠 제공자가 설정하는 콘텐츠만을 배치함으로써, 상기 콘텐츠 제공자에게는 광고 등을 통해 이윤을 창출할 수 있는 서비스 등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다양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에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25 : 웹 사이트 제공 장치
126 : 송수신부
127 : 처리부
128 : 클라이언트

Claims (12)

  1. 클라이언트가 웹 사이트에 대한 디자인 및 콘텐츠가 맵핑(mapping)되어 설정된 제 1 프로파일(profile)을 웹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웹 서버가 상기 제 1 프로파일로부터 상기 웹 사이트에 대한 디자인이 설정된 제 2 프로파일 및 상기 웹 사이트에 대한 콘텐츠가 설정된 제 3 프로파일을 각각 도출하는 단계;
    상기 웹 서버가 상기 제 2 프로파일을 상기 웹 사이트에 대한 디자인을 제공하는 디자인 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제 3 프로파일을 상기 웹 사이트에 대한 콘텐츠를 제공하는 콘텐츠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디자인 서버가 상기 제 2 프로파일을 고려하여 상기 클라이언트가 요청하는 상기 웹 사이트에 대한 디자인을 상기 웹 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콘텐츠 서버가 상기 제 3 프로파일을 고려하여 상기 클라이언트가 요청하는 상기 웹 사이트에 대한 콘텐츠를 상기 웹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웹 서버가 수신된 상기 디자인과 상기 콘텐츠를 상기 제 1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맵핑함으로써, 상기 맵핑된 디자인 및 콘텐츠를 상기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웹 사이트에 대한 디자인 및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프로파일을 웹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전,
    상기 클라이언트가 상기 디자인을 동적 프레임 및 정적 프레임으로 구분하고, 상기 디자인을 형성하는 항목들에 속성값을 부여함으로써, 상기 제 2 프로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클라이언트가 상기 콘텐츠에 대한 분야별 키워드 및 상기 키워드에 따른 중요도를 설정함으로써, 상기 제 3 프로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프로파일을 형성하는 동적 프레임 및 정적 프레임에 인덱스를 부여하여 상기 콘텐츠에 대한 분야별 키워드를 상기 인덱스가 부여된 동적 프레임에 맵핑함으로써, 상기 제 1 프로파일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동적 프레임은 상기 클라이언트가 상기 제 3 프로파일에 설정된 콘텐츠를 배치할 수 있으며, 상기 정적 프레임은 콘텐츠 제공자만이 상기 콘텐츠를 배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사이트에 대한 디자인 및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웹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디자인 서버 및 상기 콘텐츠 서버가 상기 제 1 프로파일을 통해 상기 클라이언트로부터 요청되는 상기 웹 사이트에 대한 디자인 및 콘텐츠를 각각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클라이언트가 요청하는 디자인 및 콘텐츠가 검색될 경우 상기 검색된 디자인 및 콘텐츠를 상기 웹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웹 사이트에 대한 디자인 및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웹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디자인 서버 및 상기 콘텐츠 서버가 상기 제 1 프로파일을 통해 상기 클라이언트로부터 요청되는 상기 웹 사이트에 대한 디자인 및 콘텐츠를 각각 검색하는 단계;
    상기 클라이언트가 요청하는 디자인 및 콘텐츠가 검색되지 않을 경우 상기 디자인 서버 및 상기 콘텐츠 서버는 상기 클라이언트가 요청하는 디자인 및 콘텐츠와 상기 디자인 서버 및 상기 콘텐츠 서버에 저장된 디자인 및 콘텐츠와의 유사도를 순차적으로 검사하는 단계; 및
    상기 검사를 통해 도출된 값들을 비교하여 상기 유사도가 최대인 결과 값을 포함하는 디자인 및 콘텐츠를 도출하여 상기 웹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웹 사이트에 대한 디자인 및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가 요청하는 디자인과 상기 디자인 서버에 저장된 디자인과의 유사도를 검사하는 것은,
    상기 요청하는 디자인의 프레임 개수보다 상기 저장된 디자인의 프레임 개수가 크거나 같은 디자인을 선별하고,
    상기 선별된 디자인과 상기 요청하는 디자인으로부터 상기 디자인을 형성하는 항목들에 부여된 속성값에 대한 편차 값을 도출하며,
    상기 도출된 편차 값이 작은 순서대로 높은 우선순위를 부여함으로써, 가장 높은 우선순위가 부여된 디자인을 상기 유사도가 최대인 결과 값으로 도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사이트에 대한 디자인 및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가 요청하는 콘텐츠와 상기 콘텐츠 서버에 저장된 콘텐츠와의 유사도를 검사하는 것은,
    상기 콘텐츠에 포함된 키워드의 개수 또는 상기 콘텐츠에 포함된 키워드의 빈도수를 통해 상기 유사도를 검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사이트에 대한 디자인 및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하는 콘텐츠와 상기 저장된 콘텐츠와의 유사도를 상기 콘텐츠에 포함된 키워드의 개수를 통해 검사하는 것은,
    상기 요청하는 콘텐츠에 설정된 키워드를 이용하여 상기 저장된 콘텐츠에서 상기 설정된 키워드의 개수를 검색하여 각각 도출하며,
    상기 도출된 키워드의 개수가 가장 많은 콘텐츠를 상기 유사도가 최대인 결과 값으로 도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사이트에 대한 디자인 및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하는 콘텐츠와 상기 저장된 콘텐츠와의 유사도를 상기 콘텐츠에 포함된 키워드의 빈도수를 통해 검사하는 것은,
    상기 요청하는 콘텐츠에 설정된 키워드 및 상기 키워드에 따른 중요도를 고려하여 상기 저장된 콘텐츠에서 상기 설정된 키워드의 빈도수를 각각 도출하며,
    상기 도출된 빈도수가 많은 순서대로 높은 우선순위를 부여함으로써, 가장 높은 우선순위가 부여된 콘텐츠를 상기 유사도가 최대인 결과 값으로 도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사이트에 대한 디자인 및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에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10. 클라이언트로부터 웹 사이트에 대한 디자인 및 콘텐츠가 맵핑되어 설정된 제 1 프로파일을 수신받고, 제 2 프로파일 및 제 3 프로파일을 디자인 서버 및 콘텐츠 서버로 각각 송신하고, 상기 웹 사이트에 대한 디자인 및 콘텐츠를 상기 디자인 서버 및 콘텐츠 서버로부터 각각 수신받으며, 상기 제 1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맵핑된 디자인 및 콘텐츠를 상기 클라이언트로 송신하는 송수신부; 및
    상기 제 1 프로파일로부터 상기 웹 사이트에 대한 디자인이 설정된 상기 제 2 프로파일 및 상기 웹 사이트에 대한 콘텐츠가 설정된 상기 제 3 프로파일을 각각 도출하며, 상기 수신된 디자인과 상기 수신된 콘텐츠를 상기 제 1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맵핑하는 처리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프로파일은 상기 제 2 프로파일을 형성하는 동적 프레임 및 정적 프레임에 인덱스를 부여하여 상기 콘텐츠에 대한 분야별 키워드를 상기 인덱스가 부여된 동적 프레임에 맵핑함으로써, 상기 제 1 프로파일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사이트 제공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디자인 서버 및 상기 콘텐츠 서버가 상기 제 1 프로파일을 통해 상기 클라이언트로부터 요청되는 상기 웹 사이트에 대한 디자인 및 콘텐츠를 각각 검색하며, 상기 클라이언트가 요청하는 디자인 및 콘텐츠가 검색될 경우 상기 검색된 디자인 및 콘텐츠를 수신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사이트 제공 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디자인 서버 및 상기 콘텐츠 서버가 상기 제 1 프로파일을 통해 상기 클라이언트로부터 요청되는 상기 웹 사이트에 대한 디자인 및 콘텐츠를 각각 검색하고, 상기 클라이언트가 요청하는 디자인 및 콘텐츠가 검색되지 않을 경우 상기 디자인 서버 및 상기 콘텐츠 서버는 상기 클라이언트가 요청하는 디자인 및 콘텐츠와 상기 디자인 서버 및 상기 콘텐츠 서버에 저장된 디자인 및 콘텐츠와의 유사도를 순차적으로 검사하며, 상기 검사를 통해 도출된 값들을 비교하여 상기 유사도가 최대인 결과 값을 포함하는 디자인 및 콘텐츠를 도출하여 수신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사이트 제공 장치.
KR20130146029A 2013-11-28 2013-11-28 웹 사이트에 대한 디자인 및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5094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46029A KR101509475B1 (ko) 2013-11-28 2013-11-28 웹 사이트에 대한 디자인 및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46029A KR101509475B1 (ko) 2013-11-28 2013-11-28 웹 사이트에 대한 디자인 및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9475B1 true KR101509475B1 (ko) 2015-04-14

Family

ID=530345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46029A KR101509475B1 (ko) 2013-11-28 2013-11-28 웹 사이트에 대한 디자인 및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947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0267B1 (ko) 2015-07-22 2016-09-27 김형준 디자이너와 기업을 연결하는 디자인 중개 서비스 제공방법
KR102458840B1 (ko) * 2021-12-07 2022-10-25 슬록(주) 소비자가 주도하는 오디션 방식의 친환경 화장품 개발 장치, 방법 및 시스템
KR102596921B1 (ko) * 2022-09-28 2023-10-31 한수진 고객에게 웹 앱 디자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서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40598A (ko) * 2005-10-12 2007-04-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일체형 포탈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사용자단말장치
KR101449994B1 (ko) 2013-12-10 2014-10-15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사용자 성향에 따른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40598A (ko) * 2005-10-12 2007-04-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일체형 포탈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사용자단말장치
KR101449994B1 (ko) 2013-12-10 2014-10-15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사용자 성향에 따른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0267B1 (ko) 2015-07-22 2016-09-27 김형준 디자이너와 기업을 연결하는 디자인 중개 서비스 제공방법
KR102458840B1 (ko) * 2021-12-07 2022-10-25 슬록(주) 소비자가 주도하는 오디션 방식의 친환경 화장품 개발 장치, 방법 및 시스템
KR102596921B1 (ko) * 2022-09-28 2023-10-31 한수진 고객에게 웹 앱 디자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서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75224B1 (ko) 사용자 관계 데이터 결합에 기초하는 검색
US9589025B2 (en) Correlated information recommendation
US8370337B2 (en) Ranking search results using click-based data
CN105339933B (zh) 通过查询扩展的新闻结果
US8145703B2 (en) User interface and method in a local search system with related search results
JP4906846B2 (ja) ソーシャル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利用者の相性の得点化
US9141713B1 (en) System and method for associating keywords with a web page
US9754306B2 (en) Recommendation engine with profile analysis
JP5386663B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US20170206276A1 (en) Large Scale Recommendation Engine Based on User Tastes
US20070214133A1 (en) Methods for filtering data and filling in missing data using nonlinear inference
US9367634B2 (en) Optimizing location and mobile search
US1059256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recommended information
JP2014532924A (ja) ソーシャルネットワークの特徴を有する名前および他の探索クエリーの関連性
US9773064B1 (en) Contextual search term evaluation
US20110307504A1 (en) Combining attribute refinements and textual queries
US20140330770A1 (en) Context-aware implicit and explicit search
CN105683952B (zh) 基于与搜索结果中的一个或多个相关联的消除动作修改搜索结果
CN111143555B (zh) 基于大数据的客户画像生成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US20170178187A1 (en) Deep Link Advertisements
US20150248720A1 (en) Recommendation engine
KR101509475B1 (ko) 웹 사이트에 대한 디자인 및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US20090132236A1 (en) Selection or reliable key words from unreliable sources in a system and method for conducting a search
KR100372225B1 (ko) 홈페이지 작성시스템, 홈페이지 자동 변환방법, 프로그램기록매체 및 홈페이지 뷰잉 차별화방법
CN110766489A (zh) 请求内容及提供内容的方法和相应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