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6921B1 - 고객에게 웹 앱 디자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서버 - Google Patents

고객에게 웹 앱 디자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6921B1
KR102596921B1 KR1020220123710A KR20220123710A KR102596921B1 KR 102596921 B1 KR102596921 B1 KR 102596921B1 KR 1020220123710 A KR1020220123710 A KR 1020220123710A KR 20220123710 A KR20220123710 A KR 20220123710A KR 102596921 B1 KR102596921 B1 KR 1025969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server
web app
app design
desig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37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수진
Original Assignee
한수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수진 filed Critical 한수진
Priority to KR10202201237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69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69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69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1Market modelling; Market analysis; Collecting market data
    • G06Q30/0206Price or cost determination based on market fact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3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서버가 고객에게 웹 앱 디자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서버를 개시한다.

Description

고객에게 웹 앱 디자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서버{METHOD AND SERVER PROVIDING WEB APP DESIGN SERVICE TO CUSTOMER}
본 발명은 고객에게 웹 앱 디자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서버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과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의 발달에 따라, 인터넷 또는 모바일을 통해 비즈니스를 수행하는 사업체의 웹 앱 디자인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나날이 증가하고 있다. 이로 인해, 사업체에게 보다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려는 경쟁이 웹 앱 디자인 서비스 제공자들 사이에서 가속화되고 있다.
국내공개특허 10-2020-0012191 A (2020.02.05) 국내공개특허 10-2020-0044351 A (2020.04.29) 국내공개특허 10-2015-0069042 A (2015.06.23)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고객에게 웹 앱 디자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서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가 고객에게 웹 앱(web app) 디자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고객의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웹 앱 디자인 요청을 위한 웹 앱 디자인 요청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웹 앱 디자인 요청 정보에 포함된 제1 식별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웹 앱 디자인 요청 정보가 복수의 수임 업체들에게 전송되었는지 여부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웹 앱 디자인 요청 정보에 포함된 제2 식별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웹 앱 디자인 요청이 공공기관의 수요에 의한 것인지 여부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웹 앱 디자인 요청 정보에 포함된 제3 식별 정보를 기반으로, 웹 디자인을 요청하였는지, 앱 디자인을 요청하였는지 또는 웹 및 앱 디자인을 요청하였는지 여부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제1 식별 정보, 상기 제2 식별 정보 또는 상기 제3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식별을 기반으로, 상기 웹 앱 디자인 요청 정보에 대한 피드백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피드백 정보를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식별 정보, 상기 제2 식별 정보 및 상기 제3 식별 정보는, 하나의 비트(bit)로 구성된 플래그(flag) 정보 또는 2 이상의 비트들로 구성된 비트열(bitstring) 정보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식별 정보를 통해서, 상기 웹 앱 디자인 요청 정보가 복수의 수임 업체들에게 전송되었음이 식별된 것을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수임 업체들 중 상기 서버와 관련된 회사를 제외한 나머지 수임 업체들의 디자인 작업 내역 정보가 식별되고, 상기 디자인 작업 내역 정보가 상기 나머지 수임 업체들이 웹 앱 디자인 작업을 수행하지 않았음을 지시하는 것을 기반으로, 상기 피드백 정보는 상기 나머지 수임 업체들의 디자인 작업 계획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할 것을 요청하는 디자인 작업 계획 요청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식별 정보를 통해서, 상기 웹 앱 디자인 요청이 복수의 수임 업체들에게 전송되었음이 식별된 것을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수임 업체들 중 상기 서버와 관련된 회사를 제외한 나머지 수임 업체들과 상기 회사의 공동 작업 이력이 있는지 여부가 식별되고, 상기 공동 작업 이력이 식별된 것을 기반으로, 상기 식별된 공동 작업 이력의 제1 작업 견적과 상기 웹 앱 디자인 요청의 제2 작업 견적을 UI(User Interface)에 디스플레이 하여 비교하기 위한 제1 작업 견적 비교 정보가 생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식별 정보를 통해서, 상기 웹 앱 디자인 요청이 단독으로 상기 서버에게 전송되었음이 식별된 것을 기반으로, 상기 피드백 정보는 상기 웹 앱 디자인 요청의 총 작업 견적을 상기 서버로 전송할 것을 요청하는 제1 견적 요청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식별 정보를 통해서, 상기 웹 앱 디자인 요청이 특정 공공기관의 수요에 의한 것으로 식별된 것을 기반으로, 상기 특정 공공기관의 예산 정보가 식별되고, 상기 피드백 정보는 상기 웹 앱 디자인 요청의 총 작업 견적을 상기 서버로 전송할 것을 요청하는 제2 견적 요청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견적 요청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총 작업 견적이 상기 서버로 전달된 것을 기반으로, 상기 총 작업 견적 및 상기 특정 공공기관의 예산 정보를 UI에 디스플레이 하여 비교하기 위한 제2 작업 견적 비교 정보가 생성되고, 상기 특정 공공기관의 예산 정보는, 상기 특정 공공기관이 웹 앱 디자인을 의뢰할 때 가용한 견적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식별 정보를 통해서, 상기 웹 앱 디자인 요청이 특정 사기업의 수요에 의한 것으로 식별된 것을 기반으로, 상기 특정 사기업으로부터 수임하여 작업한 이력이 있는지 여부가 식별되고, 상기 피드백 정보는 상기 웹 앱 디자인 요청의 총 작업 견적을 상기 서버로 전송할 것을 요청하는 제3 견적 요청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특정 사기업으로부터 수임하여 작업한 이력이 있는 것으로 식별된 것을 기반으로, 상기 특정 사기업으로부터 수임하여 작업한 제3 작업 견적이 식별되고, 상기 총 작업 견적과 상기 제3 작업 견적을 UI에 디스플레이 하여 비교하기 위한 제3 작업 견적 비교 정보가 생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3 식별 정보를 통해서, 상기 웹 디자인이 요청되고 상기 앱 디자인이 요청되지 않았음이 식별된 것을 기반으로, 상기 앱 디자인을 추가 요청할 경우 상기 앱 디자인을 할인된 견적으로 수행할 수 있음을 안내하기 위한 제1 텍스트 정보가 생성되고, 상기 제3 식별 정보를 통해서, 상기 앱 디자인이 요청되고 상기 웹 디자인이 요청되지 않았음이 식별된 것을 기반으로, 상기 웹 디자인을 추가 요청할 경우 상기 웹 디자인을 할인된 견적으로 수행할 수 있음을 안내하기 위한 제2 텍스트 정보가 생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식별 정보를 통해서, 상기 웹 앱 디자인 요청 정보가 복수의 수임 업체들에게 전송되었음이 식별된 것을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수임 업체들 중 상기 서버와 관련된 회사를 제외한 나머지 수임 업체들의 디자인 작업 내역 정보가 식별되고, 상기 디자인 작업 내역 정보가 상기 나머지 수임 업체들이 웹 앱 디자인 작업을 수행하지 않았음을 지시하는 것을 기반으로, 상기 피드백 정보는 상기 나머지 수임 업체들의 디자인 작업 계획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할 것을 요청하는 디자인 작업 계획 요청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식별 정보를 통해서, 상기 웹 앱 디자인 요청이 복수의 수임 업체들에게 전송되었음이 식별된 것을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수임 업체들 중 상기 서버와 관련된 회사를 제외한 나머지 수임 업체들과 상기 회사의 공동 작업 이력이 있는지 여부가 식별되고, 상기 공동 작업 이력이 식별된 것을 기반으로, 상기 식별된 공동 작업 이력의 제1 작업 견적과 상기 웹 앱 디자인 요청의 제2 작업 견적을 UI(User Interface)에 디스플레이 하여 비교하기 위한 제1 작업 견적 비교 정보가 생성되고, 상기 제1 식별 정보를 통해서, 상기 웹 앱 디자인 요청이 단독으로 상기 서버에게 전송되었음이 식별된 것을 기반으로, 상기 피드백 정보는 상기 웹 앱 디자인 요청의 총 작업 견적을 상기 서버로 전송할 것을 요청하는 제1 견적 요청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식별 정보를 통해서, 상기 웹 앱 디자인 요청이 특정 공공기관의 수요에 의한 것으로 식별된 것을 기반으로, 상기 특정 공공기관의 예산 정보가 식별되고, 상기 피드백 정보는 상기 웹 앱 디자인 요청의 총 작업 견적을 상기 서버로 전송할 것을 요청하는 제2 견적 요청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견적 요청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총 작업 견적이 상기 서버로 전달된 것을 기반으로, 상기 총 작업 견적 및 상기 특정 공공기관의 예산 정보를 UI에 디스플레이 하여 비교하기 위한 제2 작업 견적 비교 정보가 생성되고, 상기 특정 공공기관의 예산 정보는, 상기 특정 공공기관이 웹 앱 디자인을 의뢰할 때 가용한 견적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식별 정보를 통해서, 상기 웹 앱 디자인 요청이 특정 사기업의 수요에 의한 것으로 식별된 것을 기반으로, 상기 특정 사기업으로부터 수임하여 작업한 이력이 있는지 여부가 식별되고, 상기 피드백 정보는 상기 웹 앱 디자인 요청의 총 작업 견적을 상기 서버로 전송할 것을 요청하는 제3 견적 요청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특정 사기업으로부터 수임하여 작업한 이력이 있는 것으로 식별된 것을 기반으로, 상기 특정 사기업으로부터 수임하여 작업한 제3 작업 견적이 식별되고, 상기 총 작업 견적과 상기 제3 작업 견적을 UI에 디스플레이 하여 비교하기 위한 제3 작업 견적 비교 정보가 생성되고, 상기 제3 식별 정보를 통해서, 상기 웹 디자인이 요청되고 상기 앱 디자인이 요청되지 않았음이 식별된 것을 기반으로, 상기 앱 디자인을 추가 요청할 경우 상기 앱 디자인을 할인된 견적으로 수행할 수 있음을 안내하기 위한 제1 텍스트 정보가 생성되고, 상기 제3 식별 정보를 통해서, 상기 앱 디자인이 요청되고 상기 웹 디자인이 요청되지 않았음이 식별된 것을 기반으로, 상기 웹 디자인을 추가 요청할 경우 상기 웹 디자인을 할인된 견적으로 수행할 수 있음을 안내하기 위한 제2 텍스트 정보가 생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고객에게 웹 앱 디자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가 제공된다. 상기 서버는, 송수신부(transceiver) 및 프로세서(processor)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고객의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웹 앱 디자인 요청을 위한 웹 앱 디자인 요청 정보를 수신하도록 상기 송수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웹 앱 디자인 요청 정보에 포함된 제1 식별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웹 앱 디자인 요청 정보가 복수의 수임 업체들에게 전송되었는지 여부를 식별하고, 상기 웹 앱 디자인 요청 정보에 포함된 제2 식별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웹 앱 디자인 요청이 공공기관의 수요에 의한 것인지 여부를 식별하고, 상기 웹 앱 디자인 요청 정보에 포함된 제3 식별 정보를 기반으로, 웹 디자인을 요청하였는지, 앱 디자인을 요청하였는지 또는 웹 및 앱 디자인을 요청하였는지 여부를 식별하고, 상기 제1 식별 정보, 상기 제2 식별 정보 또는 상기 제3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식별을 기반으로, 상기 웹 앱 디자인 요청 정보에 대한 피드백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피드백 정보를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로 전송하도록 상기 송수신부를 제어하되, 상기 제1 식별 정보, 상기 제2 식별 정보 및 상기 제3 식별 정보는, 하나의 비트(bit)로 구성된 플래그(flag) 정보 또는 2 이상의 비트들로 구성된 비트열(bitstring) 정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서버는 고객에게 웹 앱 디자인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상기 기재한 효과에 제한되지 않으며, 기재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이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서버 및 사용자 디바이스 간의 통신 구조의 일 예시를 나타낸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 및 사용자 디바이스가 상호 통신을 기반으로 동작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4는 웹 앱 디자인 서비스를 요청하기 위한 사용자 디바이스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일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 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서버 및 사용자 디바이스 간의 통신 구조의 일 예시를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 “서버”는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장치들(예를 들어, 사용자 디바이스) 또는 (자신 이외의) 외부 서버들과 통신하는 서버(server)의 일종으로서, 외부 장치들 또는 외부 서버들을 운용하기 위한 서버를 나타낼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상기 서버는, 일반적인 서버용 하드웨어에 도스, 윈도우, 리눅스, 유닉스, 매킨토시 등의 운영체제에 따라 다양하게 제공되고 있는 웹서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서버(110)는 고객에게 웹 앱(web app) 디자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10)는 온라인 웹 앱 디자인 플랫폼, 웹 앱 디자인 플랫폼 서버, 온라인 웹 앱 디자인 서버, 웹 디자인 플랫폼 등 다양한 명칭으로 지칭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자 디바이스”는 스마트폰, 핸드폰, 스마트 TV, 스마트 워치, 전자 손목 시계, 셋톱박스(set-top box), 태블릿 PC, 디지털 카메라, 캠코더,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데스크탑, 전자책 단말기,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MP3 플레이어, 착용형 기기(wearable device), 에어컨, 전자 레인지, 오디오, DVD 플레이어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기기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서버(110) 및 사용자 디바이스(120)는, 통신망을 통해 상호 통신할 수 있다. 상기 통신망은, 예를 들어 무선 통신망 또는 유선 통신망일 수 있다. 상기 무선 통신망은, 예를 들어 LTE (Long Term Evolution) RAT(Radio Access Technology), NR(New Radio) RAT, WiFi 등에 기반한 통신망일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서버(110) 및 사용자 디바이스(120)는, 상호 D2D(Device-to-Device) 통신을 수행할 수 있고, 기지국(예를 들어, gNB 및/또는 eNB)과 UU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D2D 통신 또는 상기 UU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및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s access) 시스템에서, 정확한 시간 및 주파수 동기화가 요구될 수 있다. 시간 및 주파수 동기화가 정확하게 되지 않으면, 심볼 간 간섭(Inter Symbol Interference, ISI) 및 반송파 간 간섭(Inter Carrier Interference, ICI)으로 인해 시스템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일 예시에 따른 D2D 통신에서는 시간/주파수 동기화를 위해, 물리 계층에서는 동기 신호(synchronization signal)를 사용할 수 있고, RLC(radio link control) 계층에서는 MIB(master information block)를 사용할 수 있다.
D2D 통신 과정에서, 서버(110) 및 사용자 디바이스(120)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s)에 직접적으로 동기화 되거나, 또는 GNSS에 직접적으로 동기화된 (네트워크 커버리지 내의 또는 네트워크 커버리지 밖의) 단말을 통해 비간접적으로 GNSS에 동기화 될 수 있다. GNSS가 동기화 소스로 설정된 경우, 서버(110) 및 사용자 디바이스(120)는 UTC(Coordinated Universal Time) 및 (미리) 설정된 DFN(Direct Frame Number) 오프셋을 사용하여 DFN 및 서브프레임 번호를 계산할 수 있다.
또는, 서버(110) 및 사용자 디바이스(120)는 기지국에 직접 동기화되거나, 기지국에 시간/주파수 동기화된 다른 단말에게 동기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기지국은 eNB 또는 gNB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10) 및 사용자 디바이스(120)가 네트워크 커버리지 내에 있는 경우, 서버(110) 및 사용자 디바이스(120)는 기지국이 제공하는 동기화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기지국에 직접 동기화될 수 있다. 그 후, 서버(110) 및 사용자 디바이스(120)는 동기화 정보를 인접한 다른 단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기지국 타이밍이 동기화 기준으로 설정된 경우, 서버(110) 및 사용자 디바이스(120)는 동기화 및 하향링크 측정을 위해 해당 주파수에 연관된 셀(상기 주파수에서 셀 커버리지 내에 있는 경우), 프라이머리 셀 또는 서빙 셀(상기 주파수에서 셀 커버리지 바깥에 있는 경우)을 따를 수 있다.
기지국(예를 들어, 서빙 셀)은 D2D 또는 SL(sidelink) 통신에 사용되는 반송파에 대한 동기화 설정을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서버(110) 및 사용자 디바이스(120)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동기화 설정을 따를 수 있다. 만약, 서버(110) 및 사용자 디바이스(120)가 상기 D2D 또는 SL 통신에 사용되는 반송파에서 어떤 셀도 검출하지 못했고, 서빙 셀로부터 동기화 설정도 수신하지 못했다면, 서버(110) 및 사용자 디바이스(120)는 미리 설정된 동기화 설정을 따를 수 있다.
또는, 서버(110) 및 사용자 디바이스(120)는 기지국이나 GNSS로부터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동기화 정보를 획득하지 못한 다른 단말에게 동기화될 수도 있다. 동기화 소스 및 선호도는 단말에게 미리 설정될 수 있다. 또는, 동기화 소스 및 선호도는 기지국에 의하여 제공되는 제어 메시지를 통해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서버(110) 및 사용자 디바이스(120)는 네트워크(100) (또는 통신망)를 통해서 상호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10)가 네트워크(100)로 데이터를 전송하면, 네트워크(100)는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120)로 상기 데이터를 전달(전송)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120)가 상기 네트워크(100)로 데이터를 전송하면, 상기 네트워크(100)는 상기 서버(110) 로 상기 데이터를 전달(전송)할 수 있다.
이하 도 2 내지 도 6에 대한 설명에서는, 서버(110) 및 사용자 디바이스(120) 간의 신호 교환 또는 통신을 기반으로, 상기 서버(110)가 고객에게 엡 앱 디자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검토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의 흐름도에 개시된 동작들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과 결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도 2에서 설명되는 서버는, 도 1에 개시된 서버(110), 도 3에 개시된 서버(301) 또는 도 5에 개시된 서버(500)와 대응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도 2의 흐름도에 개시된 동작들은, 도 1 및 도 3 내지 도 6에 개시된 (서버의) 동작들 중 일부와 대응될 수 있다.
단계 S210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는, 고객의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웹 앱 디자인 요청을 위한 웹 앱 디자인 요청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웹 앱 디자인 요청 정보는, 상기 서버에 대한 웹 앱 디자인 요청 및 제1 식별 정보 내지 제3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식별 정보 내지 제3 식별 정보는, 예를 들어 상기 웹 앱 디자인 요청을 복수의 수임 업체들에게 전송하는지 여부, 상기 웹 앱 디자인 요청이 공공기관의 수요에 의한 것인지 여부 또는 웹/앱 디자인 요청 종류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웹 앱 디자인 요청 정보는, 플래그(flag) 정보, 비트(bit) 정보, 텍스트 정보, HTML (hypertext markup language), 메타데이터(metadata), 신택스(syntax), 시멘틱스(semantics) 또는 프로그래밍 언어의 형태로 표현될 수 있다.
단계 S220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는, 상기 웹 앱 디자인 요청 정보에 포함된 제1 식별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웹 앱 디자인 요청 정보가 복수의 수임 업체들에게 전송되었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고객은 사용자 디바이스를 통해서 상기 웹 앱 디자인 요청을 전송할 수임 업체를 결정할 수 있다. 고객이 해당 디자인 의뢰 건에 대하여 복수의 수임 업체들을 선정한 경우, 상기 서버를 운영하는 회사 입장에서는 상기 복수의 수임 업체들과 공동 디자인 작업을 수행해야 하는 상황에 직면한다.
단계 S230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는, 상기 웹 앱 디자인 요청 정보에 포함된 제2 식별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웹 앱 디자인 요청이 공공기관의 수요에 의한 것인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식별 정보가 상기 웹 앱 디자인 요청이 공공기관의 수요에 의한 것임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고객이 공공기관을 대표하여 상기 웹 앱 디자인 요청을 전달한 것임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제2 식별 정보가 상기 웹 앱 디자인 요청이 민간기관의 수요에 의한 것임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고객이 민간기관을 대표하여 상기 웹 앱 디자인 요청을 전달한 것임을 의미할 수 있다.
단계 S240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는, 상기 웹 앱 디자인 요청 정보에 포함된 제3 식별 정보를 기반으로, 웹 디자인을 요청하였는지, 앱 디자인을 요청하였는지 또는 웹 및 앱 디자인을 요청하였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단계 S250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는, 상기 제1 식별 정보, 상기 제2 식별 정보 또는 상기 제3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식별을 기반으로, 상기 웹 앱 디자인 요청 정보에 대한 피드백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피드백 정보는, 플래그(flag) 정보, 비트(bit) 정보, 텍스트 정보, HTML (hypertext markup language), 메타데이터(metadata), 신택스(syntax), 시멘틱스(semantics) 또는 프로그래밍 언어의 형태로 표현될 수 있다.
단계 S260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는, 상기 피드백 정보를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식별 정보, 상기 제2 식별 정보 및 상기 제3 식별 정보는, 하나의 비트(bit)로 구성된 플래그(flag) 정보 또는 2 이상의 비트들로 구성된 비트열(bitstring) 정보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식별 정보를 통해서, 상기 웹 앱 디자인 요청 정보가 복수의 수임 업체들에게 전송되었음이 식별된 것을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수임 업체들 중 상기 서버와 관련된 회사를 제외한 나머지 수임 업체들의 디자인 작업 내역 정보가 식별되고, 상기 디자인 작업 내역 정보가 상기 나머지 수임 업체들이 웹 앱 디자인 작업을 수행하지 않았음을 지시하는 것을 기반으로, 상기 피드백 정보는 상기 나머지 수임 업체들의 디자인 작업 계획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할 것을 요청하는 디자인 작업 계획 요청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복수의 수임 업체들의 공동 프로젝트로 식별된 경우, 나머지 수임 업체들의 디자인 작업 현황을 파악하고, 디자인 작업이 수행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나머지 수임 업체들이 웹 앱 디자인을 위한 어떠한 계획을 가지고 있는지 여부를 문의하기 위한 디자인 작업 계획 요청 정보를 상기 피드백 정보로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식별 정보를 통해서, 상기 웹 앱 디자인 요청이 복수의 수임 업체들에게 전송되었음이 식별된 것을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수임 업체들 중 상기 서버와 관련된 회사를 제외한 나머지 수임 업체들과 상기 회사의 공동 작업 이력이 있는지 여부가 식별되고, 상기 공동 작업 이력이 식별된 것을 기반으로, 상기 식별된 공동 작업 이력의 제1 작업 견적과 상기 웹 앱 디자인 요청의 제2 작업 견적을 UI(User Interface)에 디스플레이 하여 비교하기 위한 제1 작업 견적 비교 정보가 생성될 수 있다.
즉, 물론 상기 식별된 공동 작업과 현재 상기 복수의 수임 업체들에게 위임된 웹 앱 디자인 작업의 작업량이 동일/유사하지 않을 확률이 높지만, 이전 작업 이력을 비교군으로 놓고 현재 상기 복수의 수임 업체들에게 위임된 상기 제2 작업 견적의 적절성을 비교/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식별 정보를 통해서, 상기 웹 앱 디자인 요청이 단독으로 상기 서버에게 전송되었음이 식별된 것을 기반으로, 상기 피드백 정보는 상기 웹 앱 디자인 요청의 총 작업 견적을 상기 서버로 전송할 것을 요청하는 제1 견적 요청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식별 정보를 통해서, 상기 웹 앱 디자인 요청이 특정 공공기관의 수요에 의한 것으로 식별된 것을 기반으로, 상기 특정 공공기관의 예산 정보가 식별되고, 상기 피드백 정보는 상기 웹 앱 디자인 요청의 총 작업 견적을 상기 서버로 전송할 것을 요청하는 제2 견적 요청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견적 요청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총 작업 견적이 상기 서버로 전달된 것을 기반으로, 상기 총 작업 견적 및 상기 특정 공공기관의 예산 정보를 UI에 디스플레이 하여 비교하기 위한 제2 작업 견적 비교 정보가 생성되고, 상기 특정 공공기관의 예산 정보는, 상기 특정 공공기관이 웹 앱 디자인을 의뢰할 때 가용한 견적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공공기관은 웹 앱 디자인을 의뢰할 때 1000만원까지 예산 사용이 가능한데, 상기 서버에 전달된 본 수임의 총 견적이 500만원인 경우, 상기 서버를 관리하는 사용자는 UI에 디스플레이 된 상기 1000만원 제한 내에서, 상기 총 견적 500만원을 어느 선까지 상향 요청할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식별 정보를 통해서, 상기 웹 앱 디자인 요청이 특정 사기업의 수요에 의한 것으로 식별된 것을 기반으로, 상기 특정 사기업으로부터 수임하여 작업한 이력이 있는지 여부가 식별되고, 상기 피드백 정보는 상기 웹 앱 디자인 요청의 총 작업 견적을 상기 서버로 전송할 것을 요청하는 제3 견적 요청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특정 사기업으로부터 수임하여 작업한 이력이 있는 것으로 식별된 것을 기반으로, 상기 특정 사기업으로부터 수임하여 작업한 제3 작업 견적이 식별되고, 상기 총 작업 견적과 상기 제3 작업 견적을 UI에 디스플레이 하여 비교하기 위한 제3 작업 견적 비교 정보가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서버가 특정 사기업인 A사로부터 수임하여 웹 앱 디자인 작업을 수행한 이력이 있는 경우, 이전 작업 당시의 총 작업 견적 및 작업 내용과, 본 수임의 상기 제3 작업 견적 및 작업 내용이 UI에 디스플레이 될 수 있고, 상기 서버를 관리하는 사용자는 UI에 디스플레이 된 상기 총 작업 견적 및 상기 제3 작업 견적을 비교하면서 상기 총 작업 견적의 적절성을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3 식별 정보를 통해서, 상기 웹 디자인이 요청되고 상기 앱 디자인이 요청되지 않았음이 식별된 것을 기반으로, 상기 앱 디자인을 추가 요청할 경우 상기 앱 디자인을 할인된 견적으로 수행할 수 있음을 안내하기 위한 제1 텍스트 정보가 생성되고, 상기 제3 식별 정보를 통해서, 상기 앱 디자인이 요청되고 상기 웹 디자인이 요청되지 않았음이 식별된 것을 기반으로, 상기 웹 디자인을 추가 요청할 경우 상기 웹 디자인을 할인된 견적으로 수행할 수 있음을 안내하기 위한 제2 텍스트 정보가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웹 디자인이 요청되고 앱 디자인이 요청되지 않은 경우, 서버는 상기 앱 디자인을 추가할 경우 원래 앱 디자인 견적인 500만원에서 20% 할인된 400만원으로 작업할 수 있음을 안내하기 위한 제1 텍스트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식별 정보를 통해서, 상기 웹 앱 디자인 요청 정보가 복수의 수임 업체들에게 전송되었음이 식별된 것을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수임 업체들 중 상기 서버와 관련된 회사를 제외한 나머지 수임 업체들의 디자인 작업 내역 정보가 식별되고, 상기 디자인 작업 내역 정보가 상기 나머지 수임 업체들이 웹 앱 디자인 작업을 수행하지 않았음을 지시하는 것을 기반으로, 상기 피드백 정보는 상기 나머지 수임 업체들의 디자인 작업 계획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할 것을 요청하는 디자인 작업 계획 요청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식별 정보를 통해서, 상기 웹 앱 디자인 요청이 복수의 수임 업체들에게 전송되었음이 식별된 것을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수임 업체들 중 상기 서버와 관련된 회사를 제외한 나머지 수임 업체들과 상기 회사의 공동 작업 이력이 있는지 여부가 식별되고, 상기 공동 작업 이력이 식별된 것을 기반으로, 상기 식별된 공동 작업 이력의 제1 작업 견적과 상기 웹 앱 디자인 요청의 제2 작업 견적을 UI(User Interface)에 디스플레이 하여 비교하기 위한 제1 작업 견적 비교 정보가 생성되고, 상기 제1 식별 정보를 통해서, 상기 웹 앱 디자인 요청이 단독으로 상기 서버에게 전송되었음이 식별된 것을 기반으로, 상기 피드백 정보는 상기 웹 앱 디자인 요청의 총 작업 견적을 상기 서버로 전송할 것을 요청하는 제1 견적 요청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식별 정보를 통해서, 상기 웹 앱 디자인 요청이 특정 공공기관의 수요에 의한 것으로 식별된 것을 기반으로, 상기 특정 공공기관의 예산 정보가 식별되고, 상기 피드백 정보는 상기 웹 앱 디자인 요청의 총 작업 견적을 상기 서버로 전송할 것을 요청하는 제2 견적 요청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견적 요청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총 작업 견적이 상기 서버로 전달된 것을 기반으로, 상기 총 작업 견적 및 상기 특정 공공기관의 예산 정보를 UI에 디스플레이 하여 비교하기 위한 제2 작업 견적 비교 정보가 생성되고, 상기 특정 공공기관의 예산 정보는, 상기 특정 공공기관이 웹 앱 디자인을 의뢰할 때 가용한 견적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식별 정보를 통해서, 상기 웹 앱 디자인 요청이 특정 사기업의 수요에 의한 것으로 식별된 것을 기반으로, 상기 특정 사기업으로부터 수임하여 작업한 이력이 있는지 여부가 식별되고, 상기 피드백 정보는 상기 웹 앱 디자인 요청의 총 작업 견적을 상기 서버로 전송할 것을 요청하는 제3 견적 요청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특정 사기업으로부터 수임하여 작업한 이력이 있는 것으로 식별된 것을 기반으로, 상기 특정 사기업으로부터 수임하여 작업한 제3 작업 견적이 식별되고, 상기 총 작업 견적과 상기 제3 작업 견적을 UI에 디스플레이 하여 비교하기 위한 제3 작업 견적 비교 정보가 생성되고, 상기 제3 식별 정보를 통해서, 상기 웹 디자인이 요청되고 상기 앱 디자인이 요청되지 않았음이 식별된 것을 기반으로, 상기 앱 디자인을 추가 요청할 경우 상기 앱 디자인을 할인된 견적으로 수행할 수 있음을 안내하기 위한 제1 텍스트 정보가 생성되고, 상기 제3 식별 정보를 통해서, 상기 앱 디자인이 요청되고 상기 웹 디자인이 요청되지 않았음이 식별된 것을 기반으로, 상기 웹 디자인을 추가 요청할 경우 상기 웹 디자인을 할인된 견적으로 수행할 수 있음을 안내하기 위한 제2 텍스트 정보가 생성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 및 사용자 디바이스가 상호 통신을 기반으로 동작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일 실시예에서, S310 내지 S360은 도 2의 S210 내지 S260과 각각 대응될 수 있다.
단계 S310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301)는, 고객의 사용자 디바이스(302)로부터, 웹 앱 디자인 요청을 위한 웹 앱 디자인 요청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단계 S320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301)는, 상기 웹 앱 디자인 요청 정보에 포함된 제1 식별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웹 앱 디자인 요청 정보가 복수의 수임 업체들에게 전송되었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단계 S330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301)는, 상기 웹 앱 디자인 요청 정보에 포함된 제2 식별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웹 앱 디자인 요청이 공공기관의 수요에 의한 것인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단계 S340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301)는, 상기 웹 앱 디자인 요청 정보에 포함된 제3 식별 정보를 기반으로, 웹 디자인을 요청하였는지, 앱 디자인을 요청하였는지 또는 웹 및 앱 디자인을 요청하였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단계 S350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301)는, 상기 제1 식별 정보, 상기 제2 식별 정보 또는 상기 제3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식별을 기반으로, 상기 웹 앱 디자인 요청 정보에 대한 피드백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단계 S360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301)는, 상기 피드백 정보를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302)로 전송할 수 있다.
도 4는 웹 앱 디자인 서비스를 요청하기 위한 사용자 디바이스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일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는, 고객이 위임하고자 하는 (즉, 고객으로부터 웹 앱 디자인 요청을 수임하는) 업체를 체크하기 위한 그래픽 아이콘(수임 업체 체크)(410), 고객이 공공기관 소속으로서 디자인 업무를 위임하는지 여부를 체크하기 위한 그래픽 아이콘 (공공기관인가?)(420)및 웹/앱 디자인 중 어느 것을 요청하는지를 체크하기 위한 그래픽 아이콘 (웹/앱 디자인 요청 여부 체크) (430)이 디스플레이 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서, 고객은 사용자 디바이스(120)의 '수임 업체 체크'(410) 그래픽 아이콘을 통해 수임 업체 관련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수임 업체를 입력할 수 있으며, 수임 업체의 총 개수는 도 4에 도시된 3개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수임 업체 체크'(410) 그래픽 아이콘을 통해 입력한 정보는, 도 2에서 전술된 제1 식별 정보와 대응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고객은 사용자 디바이스(120)의 '공공기관인가?'(420) 그래픽 아이콘을 통해, 고객이 공공기관 소속으로서 웹 앱 디자인 업무를 위임하는지 여부를 체크할 수 있다. 고객이 공공기관 소속으로서 웹 앱 디자인 업무를 위임하는지 여부는, 도 2에서 전술된 제2 식별 정보와 대응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고객은 사용자 디바이스(120)의 '웹/앱 디자인 요청 여부 체크'(430) 그래픽 아이콘을 통해, 웹 디자인을 요청하는지, 앱 디자인을 요청하는지, 또는 웹 및 앱 디자인을 요청하는지 여부를 입력할 수 있다. 상기 '웹/앱 디자인 요청 여부 체크'(430) 그래픽 아이콘을 통해 입력한 정보는, 도 2에서 전술된 제3 식별 정보와 대응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500)는 데이터베이스(database, DB)(510), 송수신부(520) 및 프로세서(53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서는 도 5에 도시된 구성 요소 모두가 서버(500)의 필수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고, 서버(500)는 도 5에 도시된 구성 요소보다 많거나 적은 구성 요소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500)에서 데이터베이스(510), 송수신부(520) 및 프로세서(530)는 각각 별도의 칩(chip)으로 구현되거나, 적어도 둘 이상의 구성 요소가 하나의 칩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다.
데이터베이스(DB, 510)는 송수신부(520) 또는 프로세서(530)로부터 전달받은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데이터베이스(51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은, 프로세서(530)가 학습 모델을 실행할 때 이용될 수 있다.
송수신부(520)는 서버 내부의 모듈 간 통신 및/또는 데이터/신호의 송수신에 이용될 수 있고,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송수신부(520)는 외부 장치(예를 들어, 외부 사용자 디바이스, 외부 서버 등)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530)는 서버(5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프로세서(530)는 서버(500)의 데이터베이스(51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데이터베이스(510) 및 송수신부(520) 등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프로세서(530)는 서버(500)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도 1 내지 도 4의 서버(500)의 동작들의 일부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530)는, 고객의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웹 앱 디자인 요청을 위한 웹 앱 디자인 요청 정보를 수신하도록 상기 송수신부(520)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530)는, 상기 웹 앱 디자인 요청 정보에 포함된 제1 식별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웹 앱 디자인 요청 정보가 복수의 수임 업체들에게 전송되었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530)는, 상기 웹 앱 디자인 요청 정보에 포함된 제2 식별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웹 앱 디자인 요청이 공공기관의 수요에 의한 것인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530)는, 상기 웹 앱 디자인 요청 정보에 포함된 제3 식별 정보를 기반으로, 웹 디자인을 요청하였는지, 앱 디자인을 요청하였는지 또는 웹 및 앱 디자인을 요청하였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530)는, 상기 제1 식별 정보, 상기 제2 식별 정보 또는 상기 제3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식별을 기반으로, 상기 웹 앱 디자인 요청 정보에 대한 피드백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530)는, 상기 피드백 정보를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로 전송하도록 상기 송수신부(520)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식별 정보, 상기 제2 식별 정보 및 상기 제3 식별 정보는, 하나의 비트(bit)로 구성된 플래그(flag) 정보 또는 2 이상의 비트들로 구성된 비트열(bitstring) 정보일 수 있다.
일 예시에서, 프로세서(530)는 데이터베이스(51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기반으로 AI(Artificial Intelligence) 학습 모델을 실행할 수 있다. 이하 도 6에서는, 상기 AI 학습 모델을 실행하기 위한 상기 프로세서(530)의 구성의 일 예시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530)는 데이터획득부(532), 학습 데이터 선택부(534), 학습 모델 실행부(536) 및 학습 결과 제공부(538)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서는 도 8에 도시된 구성 요소 모두가 프로세서(530)의 필수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고, 프로세서(530)는 도 6에 도시된 구성 요소보다 많거나 적은 구성 요소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도 8에 도시된 프로세서(530)의 구성은 상기 서버(500)가 AI 학습 모델을 기반으로 기계 학습을 수행할 때 이용될 수 있는 프로세서(530)의 모듈들의 일 예시에 불과하고, 상기 서버(500)가 반드시 기계 학습을 수행하는 것은 아니므로, 따라서 도 6에 도시된 프로세서(530)의 모듈들의 일부 또는 전부가 상기 프로세서(530)에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음을 용이하게 이해할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획득부(532)는, 사용자의 의도를 판단하고, 연관 정보를 제공하고, 대체 동작을 추천하기 위해 필요한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또는, 데이터 획득부(532)는, 사용자의 의도를 판단하고, 연관 정보를 제공하고, 대체 동작을 추천하기 위한 학습을 위하여 필요한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데이터 획득부(532)는, 예를 들어 사용자 음성, 이미지 정보, 소정의 컨텍스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데이터 획득부(532)는, 획득된 데이터를 기 정의된(pre-defined) 포맷으로 전환(convert)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학습 데이터 선택부(534)는, 데이터 획득부(532)가 획득한 데이터 중에서 학습에 필요한 데이터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학습 데이터 선택부(534)는 사용자의 의도 판단, 연관 정보의 제공 및 대체 동작의 추천을 위한 기 정의된 기준에 따라, 데이터 획득부(532)가 획득한 데이터 중에서 학습에 필요한 데이터를 선택할 수 있다. 또는, 학습 데이터 선택부(534)는 학습 모델 실행부(536)에 의한 학습을 기반으로 기 정의된 기준에 따라 데이터를 선택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학습 모델 실행부(536)는, 학습 데이터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의도를 어떻게 판단하고, 연관 정보를 어떻게 결정하고, 대체 동작을 어떻게 추천할 지에 관한 기준을 학습할 수 있다. 또한, 학습 모델 실행부(536)는 사용자의 의도 판단, 연관 정보의 결정 및 대체 동작의 추천을 위하여 어떤 학습 데이터를 이용해야 하는 지에 대한 기준을 학습할 수도 있다.
또한, 학습 모델 실행부(536)는 사용자의 의도 판단, 연관 정보의 결정 및 대체 동작의 추천에 이용되는 AI 학습 모델을 학습 데이터를 이용하여 학습시킬 수 있다. 이 경우, AI 학습 모델은 미리 구축된 모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AI 학습 모델은 기본 학습 데이터(예를 들어, 샘플 데이터 등)을 입력 받아 미리 구축된 모델일 수 있다.
AI 학습 모델은, 학습 모델의 적용 분야, 학습의 목적 또는 장치의 컴퓨터 성능 등을 고려하여 구축될 수 있다. AI 학습 모델은, 예를 들어, 신경망(Neural Network)을 기반으로 하는 모델일 수 있다. 예컨대, DNN(Deep Neural Network), RNN(Recurrent Neural Network), BRDNN(Bidirectional Recurrent Deep Neural Network)과 같은 모델이 AI 학습 모델로서 사용될 수 있으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따른 학습 모델 실행부(536)는, 미리 구축된 AI 학습 모델이 복수 개가 존재하는 경우, 입력된 학습 데이터와 기본 학습 데이터의 관련성이 큰 AI 학습 모델을 학습할 AI 학습 모델로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기본 학습 데이터는 데이터의 타입 별로 기 분류되어 있을 수 있으며, AI 학습 모델은 데이터의 타입 별로 미리 구축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본 학습 데이터는 학습 데이터가 생성된 지역, 학습 데이터가 생성된 시간, 학습 데이터의 크기, 학습 데이터의 장르, 학습 데이터의 생성자, 학습 데이터 내의 오브젝트의 종류 등과 같은 다양한 기준으로 기 분류되어 있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학습 모델 실행부(536)는, 예를 들어, 오류 역전파법(error back-propagation) 또는 경사 하강법(gradient descent)을 포함하는 학습 알고리즘 등을 이용하여 AI 학습 모델을 학습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학습 모델 실행부(536)는, 예를 들어 학습 데이터를 입력 값으로 하는 지도 학습(supervised learning)을 통하여, AI 학습 모델을 학습시킬 수 있다. 또한, 학습 모델 실행부(536)는, 예를 들어 별다른 지도 없이 사용자의 의도를 판단하고, 연관 정보를 제공하고, 대체 동작을 추천하기 위해 필요한 데이터의 종류를 스스로 학습함으로써, 사용자의 의도 판단, 연관 정보의 제공 및 대체 동작의 추천을 위한 기준을 발견하는 비지도 학습(unsupervised learning)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비지도 학습을 통하여, 학습 모델 실행부(536)는 AI 학습 모델을 학습시킬 수 있다. 또한, 학습 모델 실행부(536)는, 예를 들어, 학습에 따른 사용자의 의도 판단, 연관 정보의 제공 및 대체 동작의 추천의 결과가 올바른 지에 대한 피드백을 이용하는 강화 학습(reinforcement learning)을 통하여, AI 학습 모델을 학습시킬 수 있다.
또한, AI 학습 모델이 학습되면, 학습 모델 실행부(536)는 학습된 AI 학습 모델을 저장할 수 있다. 이 경우, 학습 모델 실행부(536)는 학습된 AI 학습 모델을 서버(500)의 데이터베이스(510)에 저장할 수 있다. 또는, 학습 모델 실행부(836)는 학습된 AI 학습 모델을 서버(500)와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서버 또는 장치의 메모리 또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학습 결과 제공부(538)는, 상기 학습 모델 실행부(536)에서 학습된 AI 학습 모델을 기반으로, (기계) 학습 결과를 도출 또는 획득할 수 있다. 학습 결과 제공부(538)는, 상기 (기계) 학습 결과를 데이터베이스(510) 또는 송수신부(520)로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학습 결과 제공부(538)는, 도 2에 전술된 상기 제1 식별 정보 내지 상기 제3 식별 정보를, 고객이 제공하는 정보 없이도 AI 학습 모델을 기반으로 도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AI 학습 모델은, 상기 서버(500)의 데이터베이스(510)에 저장된 고객의 히스토리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제1 식별 정보 내지 상기 제3 식별 정보를 예측/도출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본 발명이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과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다양한 실시 형태가 포함되도록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5)

  1. 고객에게 웹 앱(web app) 디자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에 있어서,
    프로세서; 및 메모리; 를 포함하고,
    웹 앱 디자인 요청을 위한 웹 앱 디자인 요청 정보를 고객의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웹 앱 디자인 요청 정보에 포함된 제1 식별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웹 앱 디자인 요청 정보가 복수의 수임 업체들에게 전송되었는지 여부를 식별하고,
    상기 웹 앱 디자인 요청 정보에 포함된 제2 식별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웹 앱 디자인 요청이 공공기관의 수요에 의한 것인지 여부를 식별하고,
    상기 웹 앱 디자인 요청 정보에 포함된 제3 식별 정보를 기반으로, 웹 디자인을 요청하였는지, 앱 디자인을 요청하였는지 또는 웹 및 앱 디자인을 요청하였는지 여부를 식별하고,
    상기 제1 식별 정보, 상기 제2 식별 정보 또는 상기 제3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식별을 기반으로, 상기 웹 앱 디자인 요청 정보에 대한 피드백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피드백 정보를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로 전송하되,
    상기 제1 식별 정보, 상기 제2 식별 정보 및 상기 제3 식별 정보는, 하나의 비트(bit)로 구성된 플래그(flag) 정보 또는 2 이상의 비트들로 구성된 비트열(bitstring) 정보이고,
    상기 제1 식별 정보를 통해서, 상기 웹 앱 디자인 요청 정보가 복수의 수임 업체들에게 전송되었음이 식별된 것을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수임 업체들 중 상기 서버와 관련된 회사를 제외한 나머지 수임 업체들의 디자인 작업 내역 정보가 식별되고,
    상기 디자인 작업 내역 정보가 상기 나머지 수임 업체들이 웹 앱 디자인 작업을 수행하지 않았음을 지시하는 것을 기반으로, 상기 피드백 정보는 상기 나머지 수임 업체들의 디자인 작업 계획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할 것을 요청하는 디자인 작업 계획 요청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식별 정보를 통해서, 상기 웹 앱 디자인 요청이 복수의 수임 업체들에게 전송되었음이 식별된 것을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수임 업체들 중 상기 서버와 관련된 회사를 제외한 나머지 수임 업체들과 상기 회사의 공동 작업 이력이 있는지 여부가 식별되고,
    상기 공동 작업 이력이 식별된 것을 기반으로, 상기 식별된 공동 작업 이력의 제1 작업 견적과 상기 웹 앱 디자인 요청의 제2 작업 견적을 UI(User Interface)에 디스플레이 하여 비교하기 위한 제1 작업 견적 비교 정보가 생성되는, 서버.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식별 정보를 통해서, 상기 웹 앱 디자인 요청이 단독으로 상기 서버에게 전송되었음이 식별된 것을 기반으로, 상기 피드백 정보는 상기 웹 앱 디자인 요청의 총 작업 견적을 상기 서버로 전송할 것을 요청하는 제1 견적 요청 정보를 포함하는, 서버.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식별 정보를 통해서, 상기 웹 앱 디자인 요청이 특정 공공기관의 수요에 의한 것으로 식별된 것을 기반으로, 상기 특정 공공기관의 예산 정보가 식별되고,
    상기 피드백 정보는 상기 웹 앱 디자인 요청의 총 작업 견적을 상기 서버로 전송할 것을 요청하는 제2 견적 요청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견적 요청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총 작업 견적이 상기 서버로 전달된 것을 기반으로, 상기 총 작업 견적 및 상기 특정 공공기관의 예산 정보를 UI에 디스플레이 하여 비교하기 위한 제2 작업 견적 비교 정보가 생성되고,
    상기 특정 공공기관의 예산 정보는, 상기 특정 공공기관이 웹 앱 디자인을 의뢰할 때 가용한 견적 정보를 포함하는, 서버.
KR1020220123710A 2022-09-28 2022-09-28 고객에게 웹 앱 디자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서버 KR1025969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3710A KR102596921B1 (ko) 2022-09-28 2022-09-28 고객에게 웹 앱 디자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서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3710A KR102596921B1 (ko) 2022-09-28 2022-09-28 고객에게 웹 앱 디자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서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6921B1 true KR102596921B1 (ko) 2023-10-31

Family

ID=885431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3710A KR102596921B1 (ko) 2022-09-28 2022-09-28 고객에게 웹 앱 디자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서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6921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07896A (ja) * 2000-10-10 2002-07-26 Sony Corp ウェブページ制作支援システム,ウェブページ制作支援サーバ,ウェブページ制作支援方法,ウェブページ制作支援プログラムの記録媒体
KR20130114326A (ko) * 2012-04-09 2013-10-18 심플렉스 인터넷 주식회사 웹 디자인 거래 방법 및 시스템
KR101509475B1 (ko) * 2013-11-28 2015-04-14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웹 사이트에 대한 디자인 및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50069042A (ko) 2013-12-11 2015-06-2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하이브리드 웹앱 기반 사용자 맞춤형 상품 검색 앱 구축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상품 검색 방법
KR20180078845A (ko) * 2016-12-30 2018-07-10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디자인 의뢰를 위한 디자인 통합 서비스 플랫폼 장치
KR20200012191A (ko) 2018-07-26 2020-02-05 주식회사 세븐지엔씨 스토리 부품을 활용하기 위한 스토리보드 편집방법과 그 방법을 통한 앱 프로그램 자동 생성 방법
KR20200043467A (ko) * 2017-10-13 2020-04-27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웹페이지 콘텐츠를 추출하기 위한 방법 및 단말 장치
KR20200044351A (ko) 2018-10-19 2020-04-29 주식회사 익스모바일 결제시스템이 탑재된 툴을 이용한 판매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및 웹 플랫폼 자동 생성 방법과 시스템
KR102299405B1 (ko) * 2021-02-17 2021-09-08 (주)지앤글로벌 웹, 어플리케이션 및 디자인 제작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07896A (ja) * 2000-10-10 2002-07-26 Sony Corp ウェブページ制作支援システム,ウェブページ制作支援サーバ,ウェブページ制作支援方法,ウェブページ制作支援プログラムの記録媒体
KR20130114326A (ko) * 2012-04-09 2013-10-18 심플렉스 인터넷 주식회사 웹 디자인 거래 방법 및 시스템
KR101509475B1 (ko) * 2013-11-28 2015-04-14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웹 사이트에 대한 디자인 및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50069042A (ko) 2013-12-11 2015-06-2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하이브리드 웹앱 기반 사용자 맞춤형 상품 검색 앱 구축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상품 검색 방법
KR20180078845A (ko) * 2016-12-30 2018-07-10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디자인 의뢰를 위한 디자인 통합 서비스 플랫폼 장치
KR20200043467A (ko) * 2017-10-13 2020-04-27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웹페이지 콘텐츠를 추출하기 위한 방법 및 단말 장치
KR20200012191A (ko) 2018-07-26 2020-02-05 주식회사 세븐지엔씨 스토리 부품을 활용하기 위한 스토리보드 편집방법과 그 방법을 통한 앱 프로그램 자동 생성 방법
KR20200044351A (ko) 2018-10-19 2020-04-29 주식회사 익스모바일 결제시스템이 탑재된 툴을 이용한 판매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및 웹 플랫폼 자동 생성 방법과 시스템
KR102299405B1 (ko) * 2021-02-17 2021-09-08 (주)지앤글로벌 웹, 어플리케이션 및 디자인 제작 시스템 및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웹 디자인 업체 '위시켓' 홈페이지(2015.04.1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98260B2 (en) Adaptive function-based dynamic application extension framework
CN109062563B (zh) 用于生成页面的方法和装置
US20210406389A1 (en) Method and device for displaying information
US9704112B2 (en) Global entity-to-entity integration platform using standards-based application program interfaces (APIs)
CN109923497A (zh) 基于在设备上显示内容时的电池使用来管理内容
US20140316828A1 (en) System and method for exchanging an electronic ticket
US20130059531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seamless service
AU2014412020B2 (en) Techniques to transform network resource requests to zero rated network requests
CN111787041B (zh) 用于处理数据的方法和装置
KR102596921B1 (ko) 고객에게 웹 앱 디자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서버
US20230155894A1 (en) Information technology (it) topology solutions according to operational goals
KR102475351B1 (ko) Gui를 기반으로 온라인 뉴스 서비스 플랫폼을 제공하는 방법 및 서버
US20170193370A1 (en) Method and system for func-based experience framework with cross-user intelligence
KR20240018769A (ko) 광고 제작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서버
KR102530549B1 (ko) 광고 기능을 포함하는 온라인 판매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KR102513947B1 (ko) Gui를 기반으로 온라인 의류 도매 플랫폼을 제공하는 방법 및 서버
US9886715B2 (en) Associating interdependent subscriptions
US20170262859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it support, building and managing network infrastructures on demand
US20240127263A1 (en) Guidance Rule-Based Compliance Management
US20240119383A1 (en) Centralized orchestration of workflow component executions across software services
US20230033957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implementing waterfall gateways
de Souza et al. Mobile Application Estimate the Design Phase
JP6323028B2 (ja) 情報管理サーバ、情報提供システム、情報提供方法、および、情報管理プログラム
CN117455499A (zh) 信息回执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CN113641668A (zh) 数据解析装置与数据解析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