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9994B1 - 사용자 성향에 따른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사용자 성향에 따른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9994B1
KR101449994B1 KR1020130153196A KR20130153196A KR101449994B1 KR 101449994 B1 KR101449994 B1 KR 101449994B1 KR 1020130153196 A KR1020130153196 A KR 1020130153196A KR 20130153196 A KR20130153196 A KR 20130153196A KR 101449994 B1 KR101449994 B1 KR 1014499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profile
user
user profile
cli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31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규
Original Assignee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1531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99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99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99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Abstract

사용자 성향에 따른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클라이언트가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사용자의 기본 정보 및 선호하는 콘텐츠의 정보를 포함하여 사용자 프로파일을 생성하며, 콘텐츠 서버가 콘텐츠 별로 콘텐츠 제공자로부터 입력된 콘텐츠 수요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여 콘텐츠 프로파일을 각각 생성하고, 클라이언트가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검색 키워드와 사용자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통합 검색 키워드를 생성하고, 콘텐츠 서버가 콘텐츠 별로 콘텐츠의 내용에 따라 설정된 콘텐츠 키워드와 콘텐츠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통합 키워드를 각각 생성하고, 클라이언트가 콘텐츠 검색을 위한 통합 검색 키워드 및 사용자 프로파일을 콘텐츠 서버로 전송하고, 콘텐츠 서버가 통합 검색 키워드와 콘텐츠 별로 생성된 통합 키워드와의 유사도를 고려하여 제 1 가중치를 콘텐츠에 부여하고, 콘텐츠 서버가 사용자 프로파일에 포함된 사용자 고유의 속성값과 콘텐츠 프로파일에 포함된 콘텐츠 수요자 고유의 속성값과의 유사도를 고려하여 제 2 가중치를 콘텐츠에 부여하며, 콘텐츠 서버가 콘텐츠별로 제 1 가중치와 제 2 가중치를 합산하여 제 3 가중치를 각각 도출함으로써, 제 3 가중치가 큰 순서대로 콘텐츠를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한다.

Description

사용자 성향에 따른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Method for providing retrieval service according to user preference}
본 발명은 사용자 성향에 따른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콘텐츠 사용자 성향에 따라 프로파일을 동적 관리함으로써, 콘텐츠 사용자 성향에 따른 검색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검색 시스템은 검색 방식 측면에서 크롤러 기반, 디렉토리 기반, 하이브리드 검색, 메타 검색 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크롤러 기반 방식의 검색 시스템에서는 스파이더, 크롤러, 웹봇 등으로 불리는 자동화된 에이전트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웹상의 문서를 자신의 데이터베이스에 다운로드하고 저장한다. 사용자의 검색 요청은 검색 키워드를 저장된 웹 문서의 인덱스에서 찾아 해당 문서의 링크를 제공함으로써 처리된다. 이 방식은 구글 검색 시스템이 대표적인 예이다. 또한, 상기 디렉토리 기반 방식의 검색 시스템에서는 사람에 의해 웹 사이트들이 사전에 정의된 특정 디렉터리에 분류 저장되고, 저장된 웹사이트들이 사전에 정의된 규칙에 의해 랭킹된다. 사용자의 검색 요청은 키워드 매칭에 의해 찾아진 웹 문서를 디렉터리 별로 그룹핑하여 제공함으로써 처리된다. 이 방식은 야후, 네이버 검색 시스템이 대표적 예이다. 또한, 상기 하이브리드 방식의 검색 시스템에서는 상기 크롤러 방식과 상기 디렉토리 방식을 병용하며 일반적으로 사용자에게 더 좋은 검색결과를 제공한다. 이 방식은 마이크로소프트의 MSN검색이 대표적 예이다. 또한, 상기 메타 검색 방식의 시스템에서는 다른 검색 시스템의 검색 알고리즘과 평가 기준을 활용한다. 즉, 다른 검색 시스템의 검색결과를 병합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Metacrawler 시스템이 대표적인 예이다.
한편, 이하에서 인용되는 선행기술 문헌에는 웹 기반 한글 정보검색 시스템의 구현 방법을 소개하고, 웹 기반의 한글 정보 검색 시스템을 구현하는데 있어서 핵심 부분이 되는 한글 검색엔진이 갖추어야 할 기능 및 구현 방법, 특히 명사, 조사, 불용어 등 각종 한글 사전 등을 이용하여 한글의 특성에 맞는 형태소 분석을 이용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 웹 기반 한글 정보검색 시스템의 구현 방법과 크롤러 기반, 디렉토리 기반, 하이브리드 검색, 및 메타 검색 방식의 검색 시스템은 검색 키워드만을 사용하여 정보를 검색함에 따라, 사용자의 성향에 맞는 콘텐츠를 제공하지 못한다는 치명적인 단점이 존재한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콘텐츠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성향을 고려한 콘텐츠 검색 수단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비특허 문헌 1) 웹기반 한글정보검색시스템의 구현, 전자통신동향분석 14,6('99.12) pp.9-21 1225-6455, 학술논문, 홍기채, 정현수, 1999.12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첫 번째 과제는 검색 키워드와 사용자의 성향을 고려하여 작성된 프로파일을 이용하여 콘텐츠 사용자 성향에 따른 검색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고, 상기 프로파일을 콘텐츠를 이용하는 사용자들의 속성값에 따라 동적으로 관리하는데 있다.
또한, 상기된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첫 번째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클라이언트가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상기 사용자의 기본 정보 및 선호하는 콘텐츠의 정보를 포함하여 사용자 프로파일을 생성하며, 콘텐츠 서버가 콘텐츠 별로 콘텐츠 제공자로부터 입력된 콘텐츠 수요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여 콘텐츠 프로파일을 각각 생성하는 단계; 상기 클라이언트가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검색 키워드와 상기 사용자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통합 검색 키워드를 생성하며, 상기 콘텐츠 서버가 콘텐츠 별로 콘텐츠의 내용에 따라 설정된 콘텐츠 키워드와 상기 콘텐츠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통합 키워드를 각각 생성하는 단계; 상기 클라이언트가 콘텐츠 검색을 위한 상기 통합 검색 키워드 및 상기 사용자 프로파일을 상기 콘텐츠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콘텐츠 서버가 상기 통합 검색 키워드와 상기 콘텐츠 별로 생성된 통합 키워드와의 유사도를 고려하여 상기 콘텐츠를 정렬시키며, 제 1 가중치를 상기 콘텐츠에 부여하는 단계; 상기 콘텐츠 서버가 상기 사용자 프로파일에 포함된 상기 사용자 고유의 속성값과 상기 콘텐츠 프로파일에 포함된 상기 콘텐츠 수요자 고유의 속성값과의 유사도를 고려하여 상기 콘텐츠를 정렬시키며, 제 2 가중치를 상기 콘텐츠에 부여하는 단계; 및 상기 콘텐츠 서버가 상기 콘텐츠 별로 상기 제 1 가중치와 상기 제 2 가중치를 합산하여 제 3 가중치를 각각 도출함으로써, 상기 제 3 가중치가 작은 순서대로 상기 콘텐츠를 상기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성향에 따른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사용자 프로파일은, 상기 사용자의 주변상황에 따라 변동되는 상황속성과 상기 사용자의 주변상황에 따라 변동되지 않는 고유 속성인 비상황속성을 포함하여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성향에 따른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콘텐츠 프로파일은, 콘텐츠의 내용에 따라 변동되는 상황속성과 상기 콘텐츠 수요자의 정보가 반영되어 주변상황에 따라 변동되지 않는 고유 속성인 비상황속성을 포함하여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성향에 따른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통합 검색 키워드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검색 키워드와 상기 사용자 프로파일에 포함된 상기 사용자의 주변상황에 따라 변동되는 상황속성을 조합하여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성향에 따른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통합 키워드는, 콘텐츠를 검색하도록 설정된 콘텐츠 키워드와 상기 콘텐츠 프로파일에 포함된 콘텐츠의 내용에 따라 변동되는 상황속성을 조합하여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성향에 따른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 1 가중치를 상기 콘텐츠에 부여하는 단계는, 상기 클라이언트가 콘텐츠 검색을 위한 상기 통합 검색 키워드 및 상기 사용자 프로파일을 상기 콘텐츠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콘텐츠 서버가 상기 통합 검색 키워드를 이용하여 상기 콘텐츠별로 생성된 통합 키워드와의 유사도를 순차적으로 검사하는 단계; 상기 콘텐츠 서버가 상기 유사도가 높은 순서대로 상기 콘텐츠를 정렬시키는 단계; 및 상기 콘텐츠 서버가 상기 정렬된 콘텐츠의 앞에서부터 제 1 가중치를 부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성향에 따른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 2 가중치를 상기 콘텐츠에 부여하는 단계는, 상기 콘텐츠 서버가 상기 사용자 프로파일에 포함된 상기 사용자 고유의 속성값과 상기 콘텐츠 프로파일에 포함된 상기 콘텐츠 수요자 고유의 속성값과의 유사도를 순차적으로 검사하는 단계; 상기 콘텐츠 서버가 상기 유사도가 높은 순서대로 상기 콘텐츠를 정렬시키는 단계; 및 상기 콘텐츠 서버가 상기 정렬된 콘텐츠의 앞에서부터 제 2 가중치를 부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성향에 따른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콘텐츠를 상기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콘텐츠 서버가 상기 콘텐츠별로 상기 제 1 가중치와 상기 제 1 가중치를 상기 콘텐츠에 부여하는 단계에서 정렬된 콘텐츠의 순위값을 곱셈하여 제 1 곱셈값을 각각 도출하는 단계; 상기 콘텐츠 서버가 상기 콘텐츠별로 상기 제 2 가중치와 상기 제 2 가중치를 상기 콘텐츠에 부여하는 단계에서 정렬된 콘텐츠의 순위값을 곱셈하여 제 2 곱셈값을 각각 도출하는 단계; 상기 콘텐츠 서버가 상기 콘텐츠별로 상기 제 1 곱셈값과 상기 제 2 곱셈값을 합산하여 제 3 가중치를 각각 도출하는 단계; 및 상기 콘텐츠 서버가 상기 제 3 가중치가 작은 순서대로 상기 콘텐츠를 정렬시킴으로써, 상기 콘텐츠를 상기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성향에 따른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콘텐츠를 상기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콘텐츠 서버가 상기 사용자 프로파일에 포함된 속성값과 상기 콘텐츠 프로파일에 포함된 속성값을 비교하는 단계; 상기 콘텐츠 서버가 상기 비교를 통해 변경될 속성값을 도출하고, 상기 도출된 속성값을 상기 사용자 프로파일 및 상기 콘텐츠 프로파일에 각각 적용하여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콘텐츠 서버가 상기 사용자 프로파일을 상기 클라이언트에게 전송함으로써, 상기 사용자 프로파일 및 상기 콘텐츠 프로파일을 동적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성향에 따른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콘텐츠 서버에 상기 클라이언트로부터 수신받은 상기 사용자 프로파일이 존재하지 않고, 상기 클라이언트로 제공되는 콘텐츠에 상기 콘텐츠 프로파일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상기 콘텐츠 서버는 기본 사용자 프로파일을 생성하여 상기 기본 사용자 프로파일에 포함된 방문한 콘텐츠 수 항목에 대한 속성값을 증가시키고, 상기 클라이언트로 제공되는 콘텐츠에 기본 콘텐츠 프로파일을 생성하여 상기 기본 콘텐츠 프로파일에 포함된 방문한 사용자 수 항목에 대한 속성값을 증가시키며, 상기 사용자 프로파일을 상기 클라이언트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사용자 프로파일 및 상기 콘텐츠 프로파일을 동적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성향에 따른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콘텐츠 서버에 상기 클라이언트로부터 수신받은 상기 사용자 프로파일이 존재하지 않고, 상기 클라이언트로 제공되는 콘텐츠에 상기 콘텐츠 프로파일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콘텐츠 서버는 기본 사용자 프로파일을 생성하여 상기 기본 사용자 프로파일에 포함된 방문한 콘텐츠 수 항목에 대한 속성값을 증가시키고, 상기 콘텐츠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상기 기본 사용자 프로파일의 속성값을 변경시키고, 상기 콘텐츠 프로파일에 포함된 방문한 사용자 수 항목에 대한 속성값을 증가시키며, 상기 사용자 프로파일을 상기 클라이언트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사용자 프로파일 및 상기 콘텐츠 프로파일을 동적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성향에 따른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콘텐츠 서버에 상기 클라이언트로부터 수신받은 상기 사용자 프로파일이 존재하고, 상기 클라이언트로 제공되는 콘텐츠에 상기 콘텐츠 프로파일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상기 콘텐츠 서버는 상기 사용자 프로파일에 포함된 방문한 콘텐츠 수 항목에 대한 속성값을 증가시키고, 상기 콘텐츠에 기본 콘텐츠 프로파일을 생성하여 상기 기본 콘텐츠 프로파일에 포함된 방문한 사용자 수 항목에 대한 속성값을 증가시키고, 상기 사용자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상기 콘텐츠 프로파일의 속성값을 변경시키며, 상기 사용자 프로파일을 상기 클라이언트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사용자 프로파일 및 상기 콘텐츠 프로파일을 동적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성향에 따른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콘텐츠 서버에 상기 클라이언트로부터 수신받은 상기 사용자 프로파일이 존재하고, 상기 클라이언트로 제공되는 콘텐츠에 상기 콘텐츠 프로파일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콘텐츠 서버는 상기 사용자 프로파일에 포함된 방문한 콘텐츠 수 항목에 대한 속성값을 증가시키고, 상기 콘텐츠 프로파일에 포함된 방문한 사용자 수 항목에 대한 속성값을 증가시키고, 상기 사용자 프로파일에 포함된 속성값과 상기 콘텐츠 프로파일에 포함된 속성값을 비교하고, 상기 비교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프로파일 및 상기 콘텐츠 프로파일을 각각 변경시키며, 상기 사용자 프로파일을 상기 클라이언트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사용자 프로파일 및 상기 콘텐츠 프로파일을 동적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성향에 따른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일 수 있다.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된 사용자 성향에 따른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 프로파일과 콘텐츠 프로파일을 생성하고, 통합 검색 키워드와 통합 키워드를 생성하여 유사도 검색을 통해 사용자 성향에 따른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 프로파일 및 콘텐츠 프로파일의 속성값을 비교하여 변경될 속성값을 도출하고, 도출된 속성값을 사용자 프로파일 및 콘텐츠 프로파일에 적용함으로써, 프로파일을 동적 관리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성향에 따른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프로파일을 예시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프로파일을 예시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합 검색 키워드를 생성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합 키워드를 생성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 1 가중치를 부여하는 과정과 제 2 가중치를 부여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b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 3 가중치를 부여하여 클라이언트에게 제공되는 콘텐츠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a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프로파일과 콘텐츠 프로파일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프로파일을 동적 변경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프로파일이 존재하고 사용자 프로파일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프로파일을 동적 변경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프로파일이 존재하고 콘텐츠 프로파일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프로파일을 동적 변경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d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프로파일과 콘텐츠 프로파일이 모두 존재할 경우 프로파일을 동적 변경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에 앞서, 기존의 검색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문제점들을 검토한 후, 이들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채택하고 있는 기술적 수단을 개괄적으로 소개하도록 한다.
종래의 검색 시스템은 검색 방식 측면에서 크롤러 기반, 디렉토리 기반, 하이브리드 검색, 및 메타 검색 방식이 있으며, 상기의 종래 검색 시스템은 검색 키워드만을 사용하여 정보를 검색함에 따라, 사용자의 성향에 맞는 콘텐츠를 제공하지 못한다는 치명적인 단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매 순간마다 바뀌는 사용자의 성향을 프로파일에 반영하여 동적으로 관리하고, 콘텐츠 제공자가 제공한 콘텐츠의 주 고객층에 맞게 프로파일을 동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수단, 또한 사용자가 콘텐츠를 검색할 때 사용자의 프로파일과 콘텐츠의 프로파일을 비교하여 사용자의 성향에 맞는 검색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기술적 수단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하기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성향에 따른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로서, 클라이언트가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상기 사용자의 기본 정보 및 선호하는 콘텐츠의 정보를 포함하여 사용자 프로파일을 생성하고, 콘텐츠 서버가 콘텐츠 별로 콘텐츠 제공자로부터 입력된 콘텐츠 수요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여 콘텐츠 프로파일을 각각 생성하고, 상기 클라이언트가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검색 키워드와 상기 사용자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통합 검색 키워드를 생성하고, 상기 콘텐츠 서버가 콘텐츠 별로 콘텐츠의 내용에 따라 설정된 콘텐츠 키워드와 상기 콘텐츠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통합 키워드를 각각 생성하고, 상기 클라이언트가 콘텐츠 검색을 위한 상기 통합 검색 키워드 및 상기 사용자 프로파일을 상기 콘텐츠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콘텐츠 서버가 상기 통합 검색 키워드와 상기 콘텐츠 별로 생성된 통합 키워드와의 유사도를 고려하여 상기 콘텐츠를 정렬시키며, 제 1 가중치를 상기 콘텐츠에 부여하고, 상기 콘텐츠 서버가 상기 사용자 프로파일에 포함된 상기 사용자 고유의 속성값과 상기 콘텐츠 프로파일에 포함된 상기 콘텐츠 수요자 고유의 속성값과의 유사도를 고려하여 상기 콘텐츠를 정렬시키며, 제 2 가중치를 상기 콘텐츠에 부여하며, 상기 콘텐츠 서버가 상기 콘텐츠 별로 상기 제 1 가중치와 상기 제 2 가중치를 합산하여 제 3 가중치를 각각 도출함으로써, 상기 제 3 가중치가 작은 순서대로 상기 콘텐츠를 상기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한다. 또한, 상기 사용자 성향에 따른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가 구비된 장치로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장치는 클라이언트 또는 서버에 위치하여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콘텐츠란 해당하는 웹 사이트의 모든 내용들로 정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S110 단계에서, 클라이언트가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상기 사용자의 기본 정보 및 선호하는 콘텐츠의 정보를 포함하여 사용자 프로파일을 생성하며, 콘텐츠 서버가 콘텐츠 별로 콘텐츠 제공자로부터 입력된 콘텐츠 수요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여 콘텐츠 프로파일을 각각 생성한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 프로파일 및 콘텐츠 프로파일은 이하에서 도 2 및 도 3을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프로파일을 예시하여 도시한 도면으로서, 사용자 프로파일(21)은, 상기 사용자의 주변상황에 따라 변동되는 상황속성(24)과 상기 사용자의 주변상황에 따라 변동되지 않는 고유 속성인 비상황속성(23)을 포함하여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프로파일의 속성값을 정의하는 방법은 XML, HTML, 및 CSS 등으로 상황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는 XML 형식으로 정의된다는 가정하에 설명하도록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프로파일(21)이란 클라이언트마다 사용자들로부터 정보를 입력받아 생성되어 존재하며, 상기 사용자의 기본 정보와, 선호하는 콘텐츠에 대한 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프로파일(21)은 사용자 단말기 또는 클라이언트에 저장될 수 있고, 사용자 프로파일(21)은 S110 단계에서 클라이언트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아 생성하거나, 생성하지 않을 수 있으며, 상기 생성하지 않을 경우는 콘텐츠 서버에서 제공하는 기본 사용자 프로파일(22)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프로파일(21)은 비상황속성(23)과 상황속성(24)으로 구성될 수 있고, 상황속성(24)은 사용자의 단말기에서 수신되는 GPS 정보, 클라이언트 IP 정보, 기상청 정보 등 다양한 정보들을 이용하여 구성되는 상기 사용자의 상황에 따라 변동될 수 있는 속성값일 수 있다. 한편, 비상황속성(24)은 상기 사용자의 주변 상황에 따라 변동되지 않는 방문한 페이지 수, 사용자의 나이, 사용자의 성별 등과 같은 고유의 속성을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연령대, 이름, 성별, 취미 등 다양한 속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프로파일마다 구성되는 상황속성(23) 및 비상황속성(24)의 속성값들은 같은 속성으로 구성될 수 있고 다른 속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프로파일(21)에는 비상황속성(23) 내에 방문한 페이지 수(28)에 대한 속성은 반드시 포함되어야 하며, 비상황속성(23)에 포함되는 각 속성들에는 사용자의 성향을 나타내는 값인 관심도(27)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초기에 설정된 사용자 프로파일(21)은 방문한 콘텐츠 수(28) 속성을 제외하고 별도로 설정한 각 속성의 관심도(27) 값은 1로 설정될 수 있고, 방문한 콘텐츠 수(28)는 0으로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가 이용하는 콘텐츠에 따라 관심도(27)는 사용자 성향에 따라 동적 변동될 수 있으며, 상기 초기 설정값은 상황에 따라 사용자가 임의설정 가능할 수 있다.
도 2에서 비상황속성(23)에 포함된 속성은 방문한 페이지 수, 연령대, 및 성별로 구성되나, 이외에도 다양한 속성값을 추가하여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 프로파일(21)은 S110 단계에서 클라이언트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아 생성할 수 있고, S110 단계에서 사용자 프로파일(21)을 생성하지 않을 경우 콘텐츠 서버로부터 기본 사용자 프로파일(22)을 제공받을 수 있다. 여기서, 기본 사용자 프로파일(22)은 사용자가 처음 이용한 콘텐츠에 따라 프로파일이 동적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상황속성(24)은 위치, 계절, 및 온도로 구성되나, 이외에도 다양한 상황정보를 추가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3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프로파일을 예시하여 도시한 도면으로서, 상기 콘텐츠 프로파일(31)은, 콘텐츠의 내용에 따라 변동되는 상황속성(34)과 상기 콘텐츠 수요자의 정보가 반영되어 주변상황에 따라 변동되지 않는 고유 속성인 비상황속성(33)을 포함하여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콘텐츠 프로파일(31)의 속성값을 정의하는 방법은 XML, HTML, 및 CSS 등으로 상황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는 XML 형식으로 정의된다는 가정하에 설명하도록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콘텐츠 프로파일(31)은 콘텐츠 서버가 해당 콘텐츠를 이용했으면 하는 사용자 즉, 콘텐츠 수요자에 대한 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콘텐츠 프로파일(31)은 콘텐츠 서버에 저장될 수 있고, S110 단계에서 콘텐츠 서버가 콘텐츠 제공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아 생성하거나, 생성하지 않을 수 있으며, 상기 생성하지 않을 경우는 콘텐츠 서버에서 제공하는 기본 콘텐츠 프로파일(22)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콘텐츠 프로파일(31)은 비상황속성(33)과 상황속성(34)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비상황속성(33)은 콘텐츠 수요자에 대한 연령대, 성별, 및 취미 등 다양한 속성으로 정의될 수 있고, 방문한 사용자 수 속성(38)은 반드시 포함되어야 하고, 비상황속성(33)에는 콘텐츠 수요자들의 정보가 반영되어 관심도(37)라는 값이 존재하며, 관심도(37)의 초기값은 1로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초기값은 상황에 따라 변경될 수 있는 값일 수 있으며, 관심도(37)는 콘텐츠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성향에 따라 동적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상황속성(34)은 해당하는 콘텐츠 내용에 관련된 날씨, 위치, 계절, 및 온도 등과 같은 속성이며, 콘텐츠 제공자로부터 입력받아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주도와 관련된 내용의 콘텐츠일 경우 상황속성(34) 내에 위치 속성은 제주도로 입력될 수 있다. 여기서, 상황속성(34)은 성향을 가질 수 없기 때문에 각 상황속성(34)은 관심도(37)를 갖지 않고, 콘텐츠 프로파일마다 구성되는 상황속성(33) 및 비상황속성(34)의 속성값들은 같은 속성으로 구성될 수 있고 다른 속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속성값들은 콘텐츠 제공자로부터 입력받아 설정될 수 있다.
도 2에서 비상황속성(33)에 포함된 속성은 방문한 사용자 수(38), 연령대, 성별, 및 취미로 구성되나, 이외에도 다양한 속성값을 추가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황속성(34)에 포함된 속성은 위치, 계절, 및 온도로 구성되나, 이외에도 다양한 속성값을 추가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콘텐츠 프로파일(31)은 S110 단계에서 콘텐츠 서버가 콘텐츠 제공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아 생성할 수 있고, S110 단계에서 콘텐츠 프로파일(31)을 생성하지 않을 경우 콘텐츠 서버로부터 기본 콘텐츠 프로파일(32)을 제공받을 수 있다. 여기서, 기본 콘텐츠 프로파일(32)은 해당 콘텐츠를 처음 이용한 사용자에 따라 프로파일이 동적 변경될 수 있고, 방문한 사용자 수는 초기에 설정 여부와 상관없이 0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상기 0의 속성값은 상황에 따라 초기값을 달리할 수 있다.
이제 다시 도 1로 돌아가 S110 단계 이후를 설명하도록 한다.
S120 단계에서, 상기 클라이언트가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검색 키워드와 상기 사용자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통합 검색 키워드를 생성하며, 상기 콘텐츠 서버가 콘텐츠 별로 콘텐츠의 내용에 따라 설정된 콘텐츠 키워드와 상기 콘텐츠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통합 키워드를 각각 생성한다. 여기서, 상기 통합 검색 키워드와 상기 통합 키워드는 이하에서 도 4 및 도 5를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합 검색 키워드를 생성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통합 검색 키워드(41)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검색 키워드(42)와 상기 사용자 프로파일에 포함된 상기 사용자의 주변상황에 따라 변동되는 상황속성(24)을 조합하여 생성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검색 키워드(42)는 사용자가 콘텐츠를 검색할 때 입력한 검색 키워드일 수 있고, 사용자 프로파일 키워드(43)는 사용자 프로파일(21)에 포함된 상황속성(24) 값을 기반으로 하는 키워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키워드에 대한 표시 방법은 HTML, CSS, XML 등 다양한 표시 방법을 이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XML 형식으로 정의된다는 가정하에 설명하도록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키워드 검색, 일반적인 웹 검색 방법 등 다양한 검색 방법을 이용하여 검색을 할 경우에는 사용자의 단말기에서 수신되는 GPS 정보, 클라이언트의 IP 정보, 및 기상청 정보 등 다양한 정보들을 이용하여 나온 사용자의 상황속성(24)을 사용자 검색 키워드(42)에 포함시켜 확장할 수 있다. 즉, 사용자 검색 키워드(42)와 사용자 프로파일 키워드(43)를 합산함으로써, 통합 검색 키워드(41)를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검색하는 키워드를 확장함으로써, 사용자의 상황에 맞는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확장하지 않았을 때보다 좀 더 좋은 결과인 사용자의 성향에 따른 검색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서 사용자 검색 키워드(42)에 포함된 '낚시터'만 이용하여 검색하면 낚시터의 정확한 위치나 상황정보들이 빠져있기 때문에 사용자 프로파일(21)의 상황속성(24)을 바탕으로 구성되는 사용자 프로파일 키워드(43)를 사용자 검색 키워드(42)에 추가하여 확장함으로써, 통합 검색 키워드(41)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프로파일(21)의 상황속성(24)은 위치(제주도), 날씨(맑음), 및 계절(봄)이므로, 사용자 검색 키워드(42)인 '낚시터'에 상황속성(24)인 사용자 프로파일 키워드(43)를 추가시켜 통합 검색 키워드(41)를 생성하면, '낚시터', '제주도', '맑음', 및 '봄'으로 확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키워드에 대한 표시 방법은 HTML, CSS, XML 등 다양한 표시 방법을 이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는 XML을 이용하여 정의한다는 가정하에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합 키워드를 생성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상기 통합 키워드(51)는, 콘텐츠를 검색하도록 설정된 콘텐츠 키워드(52)와 상기 콘텐츠 프로파일(31)에 포함된 콘텐츠의 내용에 따라 변동되는 상황속성(34)을 조합하여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콘텐츠 키워드(52)는 콘텐츠가 포함하고 있는 내용을 기반으로 하는 키워드이고, 콘텐츠 프로파일 키워드(53)는 콘텐츠 프로파일(31)에 포함된 상황속성(34) 값을 기반으로 하는 키워드이며, 통합 키워드(51)는 콘텐츠 키워드(52)와 콘텐츠 프로파일 키워드(53)를 합산하여 생성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기존 검색 방법에서는 콘텐츠의 내용을 기반으로 구성된 검색 키워드를 이용하여 검색하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콘텐츠 프로파일(31)의 상황속성(34)이 존재하기 때문에 콘텐츠의 내용을 기반으로 구성된 콘텐츠 키워드(52)에 콘텐츠 프로파일(31)의 상황속성(34)을 기반으로 하는 콘텐츠 프로파일 키워드(53)를 추가하여 키워드를 확장함으로써, 통합 키워드(51)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황속성(34)을 이용하여 키워드를 확장할 경우 기존 검색 방법보다 정확한 키워드를 구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5를 예를 들면, 콘텐츠에 대한 통합 키워드(51)와 콘텐츠에 대한 콘텐츠 프로파일(31)이 있다고 가정할 수 있다. 여기서, 콘텐츠 프로파일(31)에 포함된 상황속성(34)은 위치, 계절, 날씨를 외에도 상황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하여 추가할 수 있다. 또한, 콘텐츠 키워드(52)에 구성되어 있는 키워드와 해당 키워드의 빈도수를 같이 표현하면 (식당, 2), (전복, 3), (뚝배기, 1)일 수 있다. 여기서, 구성되어 있는 콘텐츠 키워드(52)만을 이용한다면 식당의 위치, 어떤 계절에 이용하면 좋을지 등 다양한 키워드들이 누락될 수 있다. 따라서, 콘텐츠 프로파일(31)에 설정하였던 상황속성(34)을 이용하여 콘텐츠 프로파일 키워드(53)를 추가함으로써, 콘텐츠 키워드(52)를 확장하여 통합 키워드(51)를 생성할 수 있다. 즉, 통합 키워드(51)에서 키워드와 해당 키워드의 빈도수는 (식당, 2), (전복, 3), (뚝배기, 1), (제주고, 1), (여름, 1), (맑음, 1)으로 콘텐츠 프로파일(31)에 설정된 상황속성(34)이 추가될 수 있다. 따라서, 통합 키워드(51)는 위치, 계절, 날씨 등 상황속성(34)이 추가되기 때문에 기존의 키워드 구성 방법보다 더욱 정확한 키워드 구성이 가능할 수 있다.
이제 다시 도 1로 돌아가 S120 단계 이후를 설명하도록 한다.
S130 단계에서, 상기 클라이언트가 콘텐츠 검색을 위한 상기 통합 검색 키워드 및 상기 사용자 프로파일을 상기 콘텐츠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콘텐츠 서버가 상기 통합 검색 키워드와 상기 콘텐츠 별로 생성된 통합 키워드와의 유사도를 고려하여 상기 콘텐츠를 정렬시키며, 제 1 가중치를 상기 콘텐츠에 부여한다. 다시 말해, 상기 클라이언트가 콘텐츠 검색을 위한 상기 통합 검색 키워드 및 상기 사용자 프로파일을 상기 콘텐츠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콘텐츠 서버가 상기 통합 검색 키워드를 이용하여 상기 콘텐츠 별로 생성된 통합 키워드와의 유사도를 순차적으로 검사하며, 상기 콘텐츠 서버가 상기 유사도가 높은 순서대로 상기 콘텐츠를 정렬시킴으로써, 상기 콘텐츠 서버가 상기 정렬된 콘텐츠의 앞에서부터 제 1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정보검색론에서 상기 유사도를 검색하기 위해서 많이 활용하는 유클리디안 거리(Euclidean distance) 공식, 벡터 공간 모델(Vector space model) 등 다양한 유사도 계산 공식을 이용하여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할 콘텐츠를 선정할 수 있다. 또한, 클라이언트가 생성한 통합 검색 키워드를 바탕으로 콘텐츠의 통합 키워드와의 가장 유사한 콘텐츠를 검색하여 유사도가 높은 순서대로 콘텐츠를 정렬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유사도 검색 결과로 도출되는 콘텐츠의 수는 상위 일정 개수를 정하여 정렬시킬 수 있으며, 상기 일정 개수는 상황에 따라 사용자가 임의 설정 가능할 수 있다.
여기서,
Figure 112013112987860-pat00001
는 사용자가 콘텐츠를 검색하기 위하여 입력한 키워드이고,
Figure 112013112987860-pat00002
까지 총 n개의 키워드가 있고, 상기 총 n개의 키워드는
Figure 112013112987860-pat00003
으로 표현하고,
Figure 112013112987860-pat00004
는 콘텐츠이고,
Figure 112013112987860-pat00005
까지 총 n개의 통합 키워드가 있고, 상기 n개의 통합 키워드는
Figure 112013112987860-pat00006
라고 할 때, 상기 유클리디안 거리 공식은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Figure 112013112987860-pat00007
여기서, 각 키워드 간의 유클리디안 거리가 가까울수록 즉, 수학식 1을 통해 도출된 값이 작을수록 유사도는 높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벡터 공간 모델은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Figure 112013112987860-pat00008
여기서, 수학식 2를 통해 도출된 값이 1에 가까울수록 유사도가 높으며, 0에 가까울수록 유사도가 낮다고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수학식 1 및 수학식 2를 통해 통합 검색 키워드와 상기 콘텐츠 별로 생성된 통합 키워드와의 유사도를 검사하여 유사도가 높은 순서대로 콘텐츠를 정렬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의 사용자 프로파일(21)에 포함된 상황속성(24)은 위치(제주도), 날씨(맑음), 및 계절(봄)으로 사용자의 검색 키워드(42)인 '낚시터'에 상황속성(24)의 값들을 추가하여 통합 검색 키워드(41)를 생성함으로써, 클라이언트의 통합 검색 키워드(41)는 '낚시터, 제주도, 맑음, 봄'으로 확장될 수 있다. 이후, 통합 검색 키워드(41)와 도 5에서 콘텐츠 별로 설정된 통합 키워드(51)와의 유사도를 수학식 1 및 수학식 2를 통해 검사함으로써, 가장 유사도가 높은 콘텐츠를 계산하여 유사도가 높은 순서대로 정렬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정렬된 콘텐츠의 앞에서부터 제 1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이제 다시, 도 1로 돌아가 S130 단계 이후를 설명하도록 한다.
S140 단계에서, 상기 콘텐츠 서버가 상기 사용자 프로파일에 포함된 상기 사용자 고유의 속성값과 상기 콘텐츠 프로파일에 포함된 상기 콘텐츠 수요자 고유의 속성값과의 유사도를 고려하여 상기 콘텐츠를 정렬시키며, 제 2 가중치를 상기 콘텐츠에 부여한다. 다시 말해, 상기 콘텐츠 서버가 상기 사용자 프로파일에 포함된 상기 사용자 고유의 속성값과 상기 콘텐츠 프로파일에 포함된 상기 콘텐츠 수요자 고유의 속성값과의 유사도를 순차적으로 검사하며, 상기 콘텐츠 서버가 상기 유사도가 높은 순서대로 상기 콘텐츠를 정렬시킴으로써, 상기 콘텐츠 서버가 상기 정렬된 콘텐츠의 앞에서부터 제 2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S130 단계에서 유사도가 높은 순서대로 정렬된 콘텐츠를 이용하여 비상황속성인 상기 사용자 고유의 속성값에 대한 순위를 정할 때는 상기 비상황속성과 가장 유사한 것부터 순서대로 순위를 정할 수 있다. 즉, S130 단계에서 유사도가 높은 순서대로 정렬된 콘텐츠에서 사용자의 비상황속성을 이용하여 유사한 것부터 순위를 정하면, S130 단계에서 유사도가 높은 순서대로 정렬된 콘텐츠의 순서보다 사용자의 성향에 맞는 콘텐츠를 정렬하여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의 비상황속성을 이용하여 유사한 것부터 순위를 정하는 것은 벡터 공간 모델, 유클리디안 공식 등 다양한 유사도 계산 방법을 이용하여 유사도를 검사할 수 있다.
또한,
Figure 112013112987860-pat00009
는 사용자 프로파일에 포함된 비상황속성이고,
Figure 112013112987860-pat00010
까지 총 n개의 사용자 프로파일에 포함된 비상황속성이 있고, 상기 총 n개의 사용자 프로파일에 포함된 비상황속성은
Figure 112013112987860-pat00011
으로 표현하고,
Figure 112013112987860-pat00012
는 콘텐츠 프로파일에 포함된 비상황속성이고,
Figure 112013112987860-pat00013
까지 총 n개의 콘텐츠 프로파일에 포함된 비상황속성이 있고, 상기 n개의 콘텐츠 프로파일에 포함된 비상황속성은
Figure 112013112987860-pat00014
라고 할 때, 상기 유클리디안 거리 공식은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Figure 112013112987860-pat00015
여기서, 각 키워드 간의 유클리디안 거리가 가까울수록 즉, 수학식 3을 통해 도출된 값이 작을수록 유사도는 높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벡터 공간 모델은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Figure 112013112987860-pat00016
여기서, 수학식 4를 통해 도출된 값이 1에 가까울수록 유사도가 높으며, 0에 가까울수록 유사도가 낮다고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수학식 3 및 수학식 4를 통해 사용자 프로파일에 포함된 비상황속성과 S130 단계에서 유사도가 높은 순서대로 정렬된 콘텐츠 별로 생성된 비상황속성 간의 유사도를 검사하여 유사도가 높은 순서대로 콘텐츠를 재정렬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사도 검색 결과로 도출되는 콘텐츠의 수를 상위 4개로 설정하고, S130 단계를 통해 정렬된 콘텐츠가 앞에서부터 콘텐츠 2, 콘텐츠 3, 콘텐츠 1, 콘텐츠 4 순서로 순위가 매겨진다고 가정할 때, S140 단계에서 사용자 프로파일에 포함된 비상황속성을 이용하여 S130 단계에서 정렬된 콘텐츠와의 유사도를 다시 검사할 수 있다. 여기서, 만약 상기 사용자 프로파일에 포함된 비상황속성과 S130 단계를 통해 정렬된 콘텐츠의 비상황속성과의 유사도를 유클리디언 거리 공식인 수학식 3을 통해 순차적으로 도출하여 상기 콘텐츠 2와의 유사도가 1.215, 상기 콘텐츠 3과의 유사도가 0.75, 상기 콘텐츠 1과의 유사도가 1.787, 상기 콘텐츠 4와의 유사도가 0.454로 각각 도출되면, 상기 유클리디언 거리 공식은 유사도 값이 작을수록 유사도가 높으므로, 상기 콘텐츠를 유사도가 높은 순서대로 재정렬할 경우 콘텐츠 4, 콘텐츠 3, 콘텐츠 2, 콘텐츠 1 순서로 재정렬할 수 있다. 이후, 재정렬된 콘텐츠에 제 2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S150 단계에서, 상기 콘텐츠 서버가 상기 콘텐츠 별로 상기 제 1 가중치와 상기 제 2 가중치를 합산하여 제 3 가중치를 각각 도출함으로써, 상기 제 3 가중치가 작은 순서대로 상기 콘텐츠를 상기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3 가중치를 도출하는 과정은 이하에서 도 6a 및 도 6b를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6a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 1 가중치를 부여하는 과정과 제 2 가중치를 부여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b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 3 가중치를 부여하여 클라이언트에게 제공되는 콘텐츠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상기 콘텐츠 서버가 상기 콘텐츠별로 상기 제 1 가중치와 상기 제 1 가중치를 상기 콘텐츠에 부여하는 단계에서 정렬된 콘텐츠의 순위값을 곱셈하여 제 1 곱셈값을 각각 도출하고, 상기 콘텐츠 서버가 상기 콘텐츠별로 상기 제 2 가중치와 상기 제 2 가중치를 상기 콘텐츠에 부여하는 단계에서 정렬된 콘텐츠의 순위값을 곱셈하여 제 2 곱셈값을 각각 도출하고, 상기 콘텐츠 서버가 상기 콘텐츠별로 상기 제 1 곱셈값과 상기 제 2 곱셈값을 합산하여 제 3 가중치를 각각 도출하며, 상기 콘텐츠 서버가 상기 제 3 가중치가 작은 순서대로 상기 콘텐츠를 정렬시킴으로써, 상기 콘텐츠를 상기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S130 단계에서 부여된 제 1 가중치를
Figure 112013112987860-pat00017
, S140 단계에서 부여된 제 2 가중치를
Figure 112013112987860-pat00018
라 하고,
Figure 112013112987860-pat00019
이 S130 단계에서 정렬된 콘텐츠의 순위이고,
Figure 112013112987860-pat00020
가 S140 단계에서 정렬된 콘텐츠의 순위이고,
Figure 112013112987860-pat00021
이라 할 때, 상기 제 3 가중치는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Figure 112013112987860-pat00022
여기서, 상기
Figure 112013112987860-pat00023
Figure 112013112987860-pat00024
는 사용자가 상황에 따라 임의설정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a은 좌측 도면(61)이 S130 단계에서 정렬된 콘텐츠와 정렬된 콘텐츠에 해당하는 순위이고, 우측 도면(62)이 S140 단계에서 정렬된 콘텐츠와 정렬된 콘텐츠에 해당하는 순위일 수 있다. 즉, S130 단계의 결과로 도출된 콘텐츠를 유사도가 높은 순서대로 나열하면 콘텐츠 2, 콘텐츠 3, 콘텐츠 1, 콘텐츠 4일 수 있고, S140 단계의 결과로 도출된 콘텐츠를 유사도가 높은 순서대로 나열하면 콘텐츠 4, 콘텐츠 3, 콘텐츠 2, 콘텐츠 1일 수 있다. 또한, 제 1 가중치가 0.5이고, 제 2 가중치가 0.5라고 가정할 때, 수학식 5를 통해 콘텐츠 별 제 3 가중치를 도출하면, 상기 콘텐츠 1이 3.5이고, 콘텐츠 2가 2이고, 콘텐츠 3이 2이고, 콘텐츠 4가 2.5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콘텐츠 2 및 콘텐츠 3은 도출된 제 3 가중치가 2로 동일하나, 콘텐츠 3의 업로드 날짜인 2013-11-04가 콘텐츠 2의 업로드 날짜인 2013-10-31보다 최근에 업로드 되었기 때문에 상기 콘텐츠 3이 콘텐츠 2보다 높은 순위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콘텐츠 2 및 콘텐츠 3의 업로드 날짜가 동일할 경우 상기 콘텐츠 2 및 콘텐츠 3에 한하여 순서에 상관없이 제공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제 3 가중치가 작을수록 순위가 높아지므로, 도 6b와 같이 클라이언트에게 제공되는 콘텐츠의 순서는 콘텐츠 3, 콘텐츠 2, 콘텐츠 4, 콘텐츠 1의 순서로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도 1의 S110 단계에서 생성한 사용자 프로파일과 콘텐츠 프로파일은 클라이언트가 콘텐츠를 제공받을 경우 서로의 속성값에 영향을 받아 동적 변경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콘텐츠 서버가 상기 사용자 프로파일에 포함된 속성값과 상기 콘텐츠 프로파일에 포함된 속성값을 비교하고, 상기 콘텐츠 서버가 상기 비교를 통해 변경될 속성값을 도출하고, 상기 도출된 속성값을 상기 사용자 프로파일 및 상기 콘텐츠 프로파일에 각각 적용하여 변경하며, 상기 콘텐츠 서버가 상기 사용자 프로파일을 상기 클라이언트에게 전송함으로써, 상기 사용자 프로파일 및 상기 콘텐츠 프로파일을 동적 변경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사용자 프로파일은 클라이언트가 이용한 콘텐츠의 콘텐츠 프로파일에 따라 속성값이 변경될 수 있다. 여기서, 클라이언트가 방문한 콘텐츠의 수가
Figure 112013112987860-pat00025
이고, 사용자 프로파일에 포함된 비상황속성의 관심도가
Figure 112013112987860-pat00026
이며, 제공된 콘텐츠의 콘텐츠 프로파일에 포함된 비상황속성의 관심도가
Figure 112013112987860-pat00027
이라고 할 때, 상기 변경되는 속성값은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Figure 112013112987860-pat00028
또한, 콘텐츠 프로파일은 해당 콘텐츠를 이용하는 클라이언트의 사용자 프로파일에 따라 속성값이 변경될 수 있다. 여기서, 콘텐츠를 이용한 클라이언트의 수가
Figure 112013112987860-pat00029
이고, 콘텐츠의 콘텐츠 프로파일에 포함된 비상황속성의 관심도가
Figure 112013112987860-pat00030
이며, 콘텐츠를 이용하는 클라이언트의 사용자 프로파일에 포함된 비상황속성의 관심도가
Figure 112013112987860-pat00031
라고 할 때, 상기 변경되는 속성값은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Figure 112013112987860-pat00032
따라서, 사용자 프로파일과 콘텐츠 프로파일의 동적 변경은 수학식 6 및 수학식 7을 통해 동적 변경되며, 사용자 프로파일과 콘텐츠 프로파일의 존재 여부에 따라 도 7a 내지 도 7d의 4가지 경우로 구분될 수 있다.
도 7a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프로파일과 콘텐츠 프로파일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프로파일을 동적 변경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상기 콘텐츠 서버에 상기 클라이언트로부터 수신받은 상기 사용자 프로파일이 존재하지 않고, 상기 클라이언트로 제공되는 콘텐츠에 상기 콘텐츠 프로파일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상기 콘텐츠 서버는 기본 사용자 프로파일을 생성하여 상기 기본 사용자 프로파일에 포함된 방문한 콘텐츠 수 항목에 대한 속성값을 증가시키고, 상기 클라이언트로 제공되는 콘텐츠에 기본 콘텐츠 프로파일을 생성하여 상기 기본 콘텐츠 프로파일에 포함된 방문한 사용자 수 항목에 대한 속성값을 증가시키며, 상기 사용자 프로파일을 상기 클라이언트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사용자 프로파일 및 상기 콘텐츠 프로파일을 동적 변경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의 S110 단계에서 사용자 프로파일을 생성하지 않은 상기 클라이언트 1이 콘텐츠 프로파일이 존재하지 않는 콘텐츠 1을 이용할 경우 클라이언트 1의 사용자 프로파일(81)과 상기 콘텐츠 1의 콘텐츠 프로파일(82)에는 방문한 콘텐츠 수 항목에 대한 속성값(97)과 방문한 사용자 수 항목에 대한 속성값(98)만 각각 증가 되고, 이외의 항목들에 대한 변동은 없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본 프로파일로 생성된 사용자 프로파일(81)의 상황속성은 여기서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으로 표현하고, 도 1의 S110 단계에서 사용자 프로파일 및 콘텐츠 프로파일을 생성하지 않은 상태라고 가정하고, 클라이언트가 콘텐츠를 이용함에 따라 기본 사용자 프로파일(81)과 기본 콘텐츠 프로파일(82)에서의 속성값 변화를 수학식 7 및 수학식 8을 통해 도출하면, 기본 프로파일의 관심도는 모두 공란이므로, 속성값인 '연령대', '성별', 및 '취미'에 대한 속성값 변화는 0인 것을 알 수 있다. 반면, 방문한 콘텐츠 수 항목에 대한 속성값(97)과 방문한 사용자 수 항목에 대한 속성값(98)은 각각 1씩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7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프로파일이 존재하고 사용자 프로파일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프로파일을 동적 변경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상기 콘텐츠 서버에 상기 클라이언트로부터 수신받은 상기 사용자 프로파일이 존재하지 않고, 상기 클라이언트로 제공되는 콘텐츠에 상기 콘텐츠 프로파일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콘텐츠 서버는 기본 사용자 프로파일을 생성하여 상기 기본 사용자 프로파일에 포함된 방문한 콘텐츠 수 항목에 대한 속성값을 증가시키고, 상기 콘텐츠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상기 기본 사용자 프로파일의 속성값을 변경시키고, 상기 콘텐츠 프로파일에 포함된 방문한 사용자 수 항목에 대한 속성값을 증가시키며, 상기 사용자 프로파일을 상기 클라이언트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사용자 프로파일 및 상기 콘텐츠 프로파일을 동적 변경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의 S110 단계에서 사용자 프로파일을 생성하지 않은 클라이언트가 콘텐츠 프로파일이 존재하는 콘텐츠를 이용할 경우 상기 콘텐츠 프로파일에 따라 상기 클라이언트의 사용자 프로파일이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 2는 사용자 프로파일을 생성하지 않아 콘텐츠 서버로부터 기본 사용자 프로파일(85)이 생성된 상태이고, 콘텐츠 2는 콘텐츠 프로파일(86)이 존재하는 상태일 수 있다. 여기서, 기본 사용자 프로파일(85)은 상황속성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로 표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콘텐츠 2의 콘텐츠 프로파일(86)의 비상황속성 값은 연령대 {30대(0.325), 기타(0.675)}, 성별 {여자(0.442), 남자(0.558)}, 취미 {여행(0.891), 기타(0.109)}이며, 상황속성 값은 위치(제주도), 계절(봄), 온도(23~25)일 수 있다. 또한, 상황속성은 변경되지 않으며, 비상황속성만 변경될 수 있으며, 상기 클라이언트 2가 상기 콘텐츠 2를 이용할 때 클라이언트 2의 프로파일의 변화는 수학식 6을 통해 도출하여 소수 넷째 자리에서 반올림하면, 계산 결과, 상기 클라이언트 2의 변경된 사용자 프로파일(87)의 비상황속성(100)은 연령대 {30대(0.325), 기타(0.675)}, 성별 {여자(0.442), 남자(0.558)}, 취미{여행(0.891), 기타(0.109)}, 방문한 콘텐츠 수(97)는 1로 변경될 수 있다. 반면, 상기 콘텐츠 2의 변경된 콘텐츠 프로파일(88)에 대한 비상황속성(101)은 방문한 사용자 수에 대한 속성값(98)만 1 증가하고 이외의 속성값들은 변경 없을 수 있다.
도 7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프로파일이 존재하고 콘텐츠 프로파일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프로파일을 동적 변경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상기 콘텐츠 서버에 상기 클라이언트로부터 수신받은 상기 사용자 프로파일이 존재하고, 상기 클라이언트로 제공되는 콘텐츠에 상기 콘텐츠 프로파일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상기 콘텐츠 서버는 상기 사용자 프로파일에 포함된 방문한 콘텐츠 수 항목에 대한 속성값을 증가시키고, 상기 콘텐츠에 기본 콘텐츠 프로파일을 생성하여 상기 기본 콘텐츠 프로파일에 포함된 방문한 사용자 수 항목에 대한 속성값을 증가시키고, 상기 사용자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상기 콘텐츠 프로파일의 속성값을 변경시키며, 상기 사용자 프로파일을 상기 클라이언트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사용자 프로파일 및 상기 콘텐츠 프로파일을 동적 변경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의 S110 단계에서 사용자 프로파일을 생성한 클라이언트 3이 콘텐츠 프로파일이 존재하지 않는 콘텐츠 3을 이용할 경우일 수 있다. 여기서, S110 단계에서 생성한 사용자 프로파일(89)과 콘텐츠 서버로부터 생성된 기본 콘텐츠 프로파일(90)이 있을 때, 사용자 프로파일(89)의 속성값은 연령대{20대(0.782), 기타(0.218)}, 성별{여자(0.693), 남자(0.307)}, 취미{화장(0.876), 기타(0.124)}일 수 있고, 콘텐츠 프로파일(90)은 초기 프로파일 설정을 하지 않은 기본 콘텐츠 프로파일이기 때문에 속성값이 모두 비어있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콘텐츠 3의 경우 기본 콘텐츠 프로파일(90)은 상기 클라이언트 3의 사용자 프로파일(89)과 동일하게 적용하여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콘텐츠 프로파일(90)의 상황 속성은 콘텐츠 제공자가 별도로 설정하지 않을 경우 속성값이 설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모든 상황 속성을 빈칸으로 표시하였으며, 위치 속성은 프로파일에 표시가 되지 않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클라이언트 3이 상기 콘텐츠 3를 이용할 때 상기 콘텐츠 3의 콘텐츠 프로파일(90)의 변화를 수학식 7을 통해 도출하여 소수 넷째 자리에서 반올림하면, 계산 결과, 상기 콘텐츠 3의 변경된 콘텐츠 프로파일(92)의 비상황속성(101)은 연령대{20대(0.782), 기타(0.218)}, 성별{여자(0.693), 남자(0.307)}, 취미{화장(0.876), 기타(0.124)}, 방문한 사용자 수(98)는 1이 증가 되어 변경될 수 있다. 반면, 상기 클라이언트 3의 변경된 사용자 프로파일(91)에 대한 비상황속성(101)은 방문한 사용자 수에 대한 속성값(97)만 1 증가하고 이외의 속성값들은 변경 없을 수 있다.
도 7d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프로파일과 콘텐츠 프로파일이 모두 존재할 경우 프로파일을 동적 변경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상기 콘텐츠 서버에 상기 클라이언트로부터 수신받은 상기 사용자 프로파일이 존재하고, 상기 클라이언트로 제공되는 콘텐츠에 상기 콘텐츠 프로파일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콘텐츠 서버는 상기 사용자 프로파일에 포함된 방문한 콘텐츠 수 항목에 대한 속성값을 증가시키고, 상기 콘텐츠 프로파일에 포함된 방문한 사용자 수 항목에 대한 속성값을 증가시키고, 상기 사용자 프로파일에 포함된 속성값과 상기 콘텐츠 프로파일에 포함된 속성값을 비교하고, 상기 비교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프로파일 및 상기 콘텐츠 프로파일을 각각 변경시키며, 상기 사용자 프로파일을 상기 클라이언트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사용자 프로파일 및 상기 콘텐츠 프로파일을 동적 변경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클라이언트 4의 사용자 프로파일(93)과 콘텐츠 4의 콘텐츠 프로파일(94)이 존재한다고 가정할 때, 사용자 프로파일(93)과 콘텐츠 프로파일(94)에 적용하여 변경할 때 속성값에 대한 데이터를 모두 축적하여 프로파일에 적용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사용자 프로파일(93)의 비상황속성(102)에 대한 속성값은 연령대{60대(0.713), 기타(0.287)}, 성별{여자(0.312), 남자(0.688)}, 취미{낚시(0.857), 기타(0.143)}일 수 있고, 콘텐츠 프로파일(94)의 비상황속성(103)에 대한 속성값은 연령대{50대(0.653), 기타(0.347)}, 성별{여자(0.301), 남자(0.699)}, 취미{낚시(0.774), 기타(0.226)}, 위치(강원도), 계절(겨울), 온도(-2.5~2)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프로파일(93)이 존재하는 상기 클라이언트 4가 콘텐츠 프로파일(94)이 존재하는 콘텐츠 4를 이용할 경우 콘텐츠 프로파일(94)의 비상황속성(103)에 대한 관심도를 상기 사용자 4의 사용자 프로파일(93)의 비상황속성(102)에 적용하여 변경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프로파일(93)에 대한 상황속성은 변경되지 않으며, 비상황속성(102)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콘텐츠 4를 이용한 상기 사용자 4의 사용자 프로파일(93)의 비상황속성(102)에 대한 관심도를 상기 콘텐츠 4의 콘텐츠 프로파일(94)에 비상황속성(103)에 대한 관심도에 적용하여 변경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 4의 사용자 프로파일(93)에 대한 변경값을 수학식 6을 통해 도출하여 소수 넷째 자리에서 반올림할 경우, 계산 결과, 변경된 사용자 프로파일(95)의 비상황속성(104)은 연령대 {60대(0.693), 기타(0.307)}, 성별 {여자(0.312), 남자(0.688)}, 취미{낚시(0.854), 기타(0.146)}, 방문한 사용자 수(97)는 1 증가하여 28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콘텐츠 4의 콘텐츠 프로파일(94)에 대한 변경값을 수학식 7을 통해 도출하여 소수 넷째 자리에서 반올림할 경우, 계산 결과, 변경된 콘텐츠 프로파일(96)의 비상황속성(105)은 연령대 {50대(0.643), 기타(0.357)}, 성별 {여자(0.301), 남자(0.699)}, 취미{낚시(0.776), 기타(0.224)}, 방문한 사용자 수(98)은 1 증가하여 54로 변경될 수 있다.
상기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사용자의 성향이 수시로 변경됨에 따라 상기 변경된 성향을 클라이언트가 설정한 사용자 프로파일에 동적으로 변경하여 사용자 성향에 맞게 콘텐츠를 제공하고, 콘텐츠를 이용하는 주 고객층은 수시로 변경되기 때문에 콘텐츠 프로파일을 이용하여 방문하는 클라이언트에 따라서 매번 변경되어 적절한 클라이언트에게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사용자의 성향에 맞는 검색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며, 수동으로 프로파일을 관리하지 않기 때문에 편리하고 효율적인 검색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다양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에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4)

  1. 클라이언트가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상기 사용자의 기본 정보 및 선호하는 콘텐츠의 정보를 포함하여 사용자 프로파일을 생성하며, 콘텐츠 서버가 콘텐츠 별로 콘텐츠 제공자로부터 입력된 콘텐츠 수요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여 콘텐츠 프로파일을 각각 생성하는 단계;
    상기 클라이언트가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검색 키워드와 상기 사용자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통합 검색 키워드를 생성하며, 상기 콘텐츠 서버가 콘텐츠 별로 콘텐츠의 내용에 따라 설정된 콘텐츠 키워드와 상기 콘텐츠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통합 키워드를 각각 생성하는 단계;
    상기 클라이언트가 콘텐츠 검색을 위한 상기 통합 검색 키워드 및 상기 사용자 프로파일을 상기 콘텐츠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콘텐츠 서버가 상기 통합 검색 키워드와 상기 콘텐츠 별로 생성된 통합 키워드와의 유사도를 고려하여 상기 콘텐츠를 정렬시키며, 제 1 가중치를 상기 콘텐츠에 부여하는 단계;
    상기 콘텐츠 서버가 상기 사용자 프로파일에 포함된 상기 사용자 고유의 속성값과 상기 콘텐츠 프로파일에 포함된 상기 콘텐츠 수요자 고유의 속성값과의 유사도를 고려하여 상기 콘텐츠를 정렬시키며, 제 2 가중치를 상기 콘텐츠에 부여하는 단계; 및
    상기 콘텐츠 서버가 상기 콘텐츠별로 상기 제 1 가중치와 상기 제 2 가중치를 고려하여 제 3 가중치를 각각 도출함으로써, 상기 제 3 가중치가 작은 순서대로 상기 콘텐츠를 상기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성향에 따른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프로파일은,
    상기 사용자의 주변상황에 따라 변동되는 상황속성과 상기 사용자의 주변상황에 따라 변동되지 않는 고유 속성인 비상황속성을 포함하여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성향에 따른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프로파일은,
    콘텐츠의 내용에 따라 변동되는 상황속성과 상기 콘텐츠 수요자의 정보가 반영되어 주변상황에 따라 변동되지 않는 고유 속성인 비상황속성을 포함하여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성향에 따른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검색 키워드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검색 키워드와 상기 사용자 프로파일에 포함된 상기 사용자의 주변상황에 따라 변동되는 상황속성을 조합하여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성향에 따른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키워드는,
    콘텐츠를 검색하도록 설정된 콘텐츠 키워드와 상기 콘텐츠 프로파일에 포함된 콘텐츠의 내용에 따라 변동되는 상황속성을 조합하여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성향에 따른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중치를 상기 콘텐츠에 부여하는 단계는,
    상기 클라이언트가 콘텐츠 검색을 위한 상기 통합 검색 키워드 및 상기 사용자 프로파일을 상기 콘텐츠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콘텐츠 서버가 상기 통합 검색 키워드를 이용하여 상기 콘텐츠 별로 생성된 통합 키워드와의 유사도를 순차적으로 검사하는 단계;
    상기 콘텐츠 서버가 상기 유사도가 높은 순서대로 상기 콘텐츠를 정렬시키는 단계; 및
    상기 콘텐츠 서버가 상기 정렬된 콘텐츠의 앞에서부터 제 1 가중치를 부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성향에 따른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가중치를 상기 콘텐츠에 부여하는 단계는,
    상기 콘텐츠 서버가 상기 사용자 프로파일에 포함된 상기 사용자 고유의 속성값과 상기 콘텐츠 프로파일에 포함된 상기 콘텐츠 수요자 고유의 속성값과의 유사도를 순차적으로 검사하는 단계;
    상기 콘텐츠 서버가 상기 유사도가 높은 순서대로 상기 콘텐츠를 정렬시키는 단계; 및
    상기 콘텐츠 서버가 상기 정렬된 콘텐츠의 앞에서부터 제 2 가중치를 부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성향에 따른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를 상기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콘텐츠 서버가 상기 콘텐츠별로 상기 제 1 가중치와 상기 제 1 가중치를 상기 콘텐츠에 부여하는 단계에서 정렬된 콘텐츠의 순위값을 곱셈하여 제 1 곱셈값을 각각 도출하는 단계;
    상기 콘텐츠 서버가 상기 콘텐츠별로 상기 제 2 가중치와 상기 제 2 가중치를 상기 콘텐츠에 부여하는 단계에서 정렬된 콘텐츠의 순위값을 곱셈하여 제 2 곱셈값을 각각 도출하는 단계;
    상기 콘텐츠 서버가 상기 콘텐츠별로 상기 제 1 곱셈값과 상기 제 2 곱셈값을 합산하여 제 3 가중치를 각각 도출하는 단계; 및
    상기 콘텐츠 서버가 상기 제 3 가중치가 작은 순서대로 상기 콘텐츠를 정렬시킴으로써, 상기 콘텐츠를 상기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성향에 따른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를 상기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콘텐츠 서버가 상기 사용자 프로파일에 포함된 속성값과 상기 콘텐츠 프로파일에 포함된 속성값을 비교하는 단계;
    상기 콘텐츠 서버가 상기 비교를 통해 변경될 속성값을 도출하고, 상기 도출된 속성값을 상기 사용자 프로파일 및 상기 콘텐츠 프로파일에 각각 적용하여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콘텐츠 서버가 상기 사용자 프로파일을 상기 클라이언트에게 전송함으로써, 상기 사용자 프로파일 및 상기 콘텐츠 프로파일을 동적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성향에 따른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서버에 상기 클라이언트로부터 수신받은 상기 사용자 프로파일이 존재하지 않고, 상기 클라이언트로 제공되는 콘텐츠에 상기 콘텐츠 프로파일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상기 콘텐츠 서버는 기본 사용자 프로파일을 생성하여 상기 기본 사용자 프로파일에 포함된 방문한 콘텐츠 수 항목에 대한 속성값을 증가시키고, 상기 클라이언트로 제공되는 콘텐츠에 기본 콘텐츠 프로파일을 생성하여 상기 기본 콘텐츠 프로파일에 포함된 방문한 사용자 수 항목에 대한 속성값을 증가시키며, 상기 사용자 프로파일을 상기 클라이언트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사용자 프로파일 및 상기 콘텐츠 프로파일을 동적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성향에 따른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서버에 상기 클라이언트로부터 수신받은 상기 사용자 프로파일이 존재하지 않고, 상기 클라이언트로 제공되는 콘텐츠에 상기 콘텐츠 프로파일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콘텐츠 서버는 기본 사용자 프로파일을 생성하여 상기 기본 사용자 프로파일에 포함된 방문한 콘텐츠 수 항목에 대한 속성값을 증가시키고, 상기 콘텐츠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상기 기본 사용자 프로파일의 속성값을 변경시키고, 상기 콘텐츠 프로파일에 포함된 방문한 사용자 수 항목에 대한 속성값을 증가시키며, 상기 사용자 프로파일을 상기 클라이언트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사용자 프로파일 및 상기 콘텐츠 프로파일을 동적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성향에 따른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서버에 상기 클라이언트로부터 수신받은 상기 사용자 프로파일이 존재하고, 상기 클라이언트로 제공되는 콘텐츠에 상기 콘텐츠 프로파일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상기 콘텐츠 서버는 상기 사용자 프로파일에 포함된 방문한 콘텐츠 수 항목에 대한 속성값을 증가시키고, 상기 콘텐츠에 기본 콘텐츠 프로파일을 생성하여 상기 기본 콘텐츠 프로파일에 포함된 방문한 사용자 수 항목에 대한 속성값을 증가시키고, 상기 사용자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상기 콘텐츠 프로파일의 속성값을 변경시키며, 상기 사용자 프로파일을 상기 클라이언트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사용자 프로파일 및 상기 콘텐츠 프로파일을 동적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성향에 따른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서버에 상기 클라이언트로부터 수신받은 상기 사용자 프로파일이 존재하고, 상기 클라이언트로 제공되는 콘텐츠에 상기 콘텐츠 프로파일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콘텐츠 서버는 상기 사용자 프로파일에 포함된 방문한 콘텐츠 수 항목에 대한 속성값을 증가시키고, 상기 콘텐츠 프로파일에 포함된 방문한 사용자 수 항목에 대한 속성값을 증가시키고, 상기 사용자 프로파일에 포함된 속성값과 상기 콘텐츠 프로파일에 포함된 속성값을 비교하고, 상기 비교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프로파일 및 상기 콘텐츠 프로파일을 각각 변경시키며, 상기 사용자 프로파일을 상기 클라이언트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사용자 프로파일 및 상기 콘텐츠 프로파일을 동적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성향에 따른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에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130153196A 2013-12-10 2013-12-10 사용자 성향에 따른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4499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3196A KR101449994B1 (ko) 2013-12-10 2013-12-10 사용자 성향에 따른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3196A KR101449994B1 (ko) 2013-12-10 2013-12-10 사용자 성향에 따른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9994B1 true KR101449994B1 (ko) 2014-10-15

Family

ID=519974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3196A KR101449994B1 (ko) 2013-12-10 2013-12-10 사용자 성향에 따른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999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9475B1 (ko) 2013-11-28 2015-04-14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웹 사이트에 대한 디자인 및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57649A (ja) 2002-11-05 2004-06-03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階層化されたユーザプロファイル作成方法およびシステム並びに階層化されたユーザプロファイル作成プログラムおよびそれ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2007323398A (ja) 2006-06-01 2007-12-13 Sony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録媒体
KR20110137665A (ko) * 2010-06-17 2011-12-23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사용자 기반의 컨텐츠 제공 방법
KR20130064447A (ko) * 2011-12-08 2013-06-18 주식회사 케이티 사용자의 성향 유사도를 이용한 검색 결과 제공 서버 및 방법, 그리고 단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57649A (ja) 2002-11-05 2004-06-03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階層化されたユーザプロファイル作成方法およびシステム並びに階層化されたユーザプロファイル作成プログラムおよびそれ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2007323398A (ja) 2006-06-01 2007-12-13 Sony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録媒体
KR20110137665A (ko) * 2010-06-17 2011-12-23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사용자 기반의 컨텐츠 제공 방법
KR20130064447A (ko) * 2011-12-08 2013-06-18 주식회사 케이티 사용자의 성향 유사도를 이용한 검색 결과 제공 서버 및 방법, 그리고 단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9475B1 (ko) 2013-11-28 2015-04-14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웹 사이트에 대한 디자인 및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72596B2 (ja) 検索結果内におけるプレーストコンテンツの順序付けのパーソナライズ
US9390144B2 (en) Objective and subjective ranking of comments
US7577718B2 (en) Adaptive dissemination of personalized and contextually relevant information
JP4638439B2 (ja) ウェブ検索の個人化
US7849079B2 (en) Temporal ranking of search results
US7685199B2 (en) Presenting information related to topics extracted from event classes
US9015140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xtual actions on a search results page
AU2014259978B2 (en) Tagged search result maintenance
US20080222105A1 (en) Entity recommendation system using restricted information tagged to selected entities
KR20140091530A (ko) 소셜 네트워크 피쳐들을 갖는 이름 및 기타 검색 질의의 적합도
US10685073B1 (en) Selecting textual representations for entity attribute values
US9424353B2 (en) Related entities
KR20200014589A (ko) 지역 기반 아이템 추천 장치 및 방법
US9400789B2 (en) Associating resources with entities
KR101449994B1 (ko) 사용자 성향에 따른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172487B1 (ko) 검색 결과 내에 첨부된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기초한 검색 리스트 및 검색어 순위 제공 방법 및 시스템
US9311362B1 (en) Personal knowledge panel interface
KR101180371B1 (ko) 폭소노미 기반 개인화 웹 검색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시스템
JP5741242B2 (ja) プロファイル更新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ならびに、プロファイル更新用プログラム
KR20200011725A (ko) 주종 및 주량에 따른 음식점 추천 장치 및 방법
KR20200012252A (ko) 음식점 관련 아이템 추천 장치 및 방법.
AU2011253732B2 (en) Temporal ranking of search results
KR20200002223A (ko) 이벤트에 따른 아이템 정보 분포 제공 장치 및 방법
Kauppinen et al. SMARTMUSEUM Knowledge Exchange Platform for Cross-European Cultural Content Integration and Mobile Publi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