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2283A - 플랫폼 기반 공간 디자인 서비스 지원 시스템 - Google Patents

플랫폼 기반 공간 디자인 서비스 지원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2283A
KR20230122283A KR1020220018757A KR20220018757A KR20230122283A KR 20230122283 A KR20230122283 A KR 20230122283A KR 1020220018757 A KR1020220018757 A KR 1020220018757A KR 20220018757 A KR20220018757 A KR 20220018757A KR 20230122283 A KR20230122283 A KR 202301222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sumer
design
data
propensit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87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재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투디자인하우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투디자인하우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투디자인하우스
Priority to KR10202200187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22283A/ko
Publication of KR202301222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2283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4Manufactu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21Item configuration or customiz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1Item recommend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3Lists, e.g. purchase orders, compilation or proces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8Auc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30Comput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발명은 디자인, 제조기업, 소비자 연결 지원 플랫폼 기반 디자인제조서비스 지원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소비자와, 디자이너, 제조업체를 통합 연결하는 디자인제조서비스 지원 시스템에 있어서, 디자이너가 접속하여 지원 플랫폼 상에 업로드한 디자인 데이터가 저장, 분류화되는 디자인 DB와, 제조업체가 접속하여 지원플랫폼상에 업로드한 제조업체 정보, 생산 제품종류, 제조방법, 소재가 저장, 분류화 되는 제조업체 DB와, 소비자가 접속하여 입력한 소비자 정보, 니즈데이터가 저장되는 소비자 DB를 갖는 데이터 베이스; 소비자 정보를 입력하는 소비자 정보입력부와, 소비자의 니즈데이터를 입력하는 소비자 니즈입력부와, 소비자의 디자인 성향을 판단하여 소비자 성향데이터를 생성하는 성향판단부를 갖는 소비자 성향분석부; 상기 소비자 성향데이터와 니즈 데이터와 소비자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디자인 DB 내에 저장된 디자인 데이터를 상기 소비자에게 추천하고 상기 소비자가 상기디자인 데이터를 선택하면 상기 디자인 데이터를 업로드한 디자이너를 매칭시키는 디자인 추천부; 선택한 상기 디자인 데이터에 맞춤형 제조기술을 추천하고, 상기 제조기술에 부합되는 제조업체를 추천하는 제조기술추천부; 및 선택한 상기 디자인 데이터 또는 상기 제조기술에 의해 제조된 예상제품을 제공하는 제품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자인, 제조기업, 소비자 플랫폼 기반 공간 디자인 서비스 지원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플랫폼 기반 공간 디자인 서비스 지원 시스템{SYSTEM FOR SUPPORTING SERVICE OF SPACE DESIGN BASED ON PLATFORM}
본 발명은 플랫폼 기반 공간 디자인 서비스 지원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디자이너, 제조업체와, 소비자를 통합적으로 연결하는 플랫폼에 기반하여, 소비자 맞춤형 디자인을 추천, 설계하고 선택된 디자인에 적합한 제조기술을 추천한 후 선택된 제조기술에 부합되는 제조업체를 추천, 선택이 가능한 플랫폼 기반 공간 디자인 서비스 지원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기업의 디자인 아웃소싱 절차는 단독의 프리랜서 디자이너 또는 단독의 디자인 의뢰업체에게 디자인 제작을 의뢰하고 해당 내용을 제공받는 과정을 포함한다. 단독의 프리랜서 디자이너 또는 디자인 의뢰업체에게 디자인 제작을 의뢰하는 경우 소기업의 입장에서는 소비되는 비용이 높아 비용 부담이 되고, 단독의 프리랜서 디자이너 또는 디자인 의뢰업체의 입장에서는 투자되는 비용 대비 디자인 성과가 낮다.
종래기술로서,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 2003-0070164호는 고객과 디자인을 중개하는 서비스업체를 각각 네트워크로 연결하고, 상기 중개서비스업체에 등록된 사이버디자이너를 통해 고객과 1:1 디자인 맞춤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하는 디자인 서비스 중개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고객으로부터 의뢰 받은 디자인에 대한 제품구별 분야를 선택하고, 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해당분야에 따른 분류된 디자이너를 회원 정보DB에서 검색하고, 검색된 디자이너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디자이너에게 이메일이나 SMS로 디자인작업을 할 것인지를 문의하는 단계; 상기 디자이너로부터 문의 결과가 있으면, 운영자서버에서는 이메일이나 SMS을 통해 고객과 디자이너단말기로 상담할 일자 및 시간을 통지하고 이를 게시판에 등록하는 단계; 상기 운영자서버는 상담예약 일에 고객 및 디자이너단말기를 운영자서버에 접속하고, 음성인식 기능을 갖는 커뮤니케이션모드에 제공되는 화상채팅모드와 문자기록모드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면서 디자인 시안 및 가격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디자인 시안 및 가격이 선택되면 운영자서버를 통해 문서화된 계약서로 계약을 체결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60267호는 디자이너와 기업을 연결시켜 디자인의 요청과 제공을 중개하는 서비스 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기업의 단말로부터 요구조건이 특정된 디자인을 요청받는 단계; 요구조건에 해당하는 외부 디자이너의 단말과 내부 디자이너의 단말을 디자이너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하는 단계; 요구조건을 검색된 외부 디자이너의 단말에 전달하는 단계; 외부 디자이너들의 단말로부터 복수의 제1 디자인 시안을 전달받는 단계; 제1 디자인 시안과 요구조건을 내부 디자이너의 단말로 전달하는 단계; 내부 디자이너의 단말로부터 복수의 제2 디자인 시안을 전달받는 단계; 및 제2 디자인 시안을 기업의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방법을 기재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들은 단순히 디자이너와 소비자 또는 디자이너와 기업을 연결하여, 소비자와 디자이너 또는 디자이너와 기업 간에 커뮤니케이션, 의견교환 가격 협의, 요구조건 전달 등의 통신만이 가능한 한계가 존재한다.
따라서 디자인 라이브러리 상에 저장, 업데이트, 분류화되는 디자인 데이터 중 소비자의 성향에 부합되는 다자인을 플랫폼 상에서 자동추천되고 선택된 디자인 데이터를 제작한 디자이너와 연결되며, 또한, 선택된 디자인 데이터에 부합되는 제조기술을 추천하고 해당 제조기술로 제조된 예상제품을 VR 데이터 등으로 제시할 수 있으며, 최종 선택된 제조기술에 부합되는 제조업체가 추천되고 선택된 제조업체에 주문이 완료되면 즉시 생산에 착수하고 제조단계별 완료여부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지원 시스템의 개발이 요구되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3-0070164호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60267호 한국 공개특허 제10-2018-0078845호 한국 등록특허 제10-1837473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디자인 라이브러리 상에 저장, 업데이트, 분류화되는 디자인 데이터 중 소비자의 성향에 부합되는 다자인을 플랫폼 상에서 자동추천되고 선택된 디자인 데이터를 제작한 디자이너와 연결되며, 또한, 선택된 디자인 데이터에 부합되는 제조기술을 추천하고 해당 제조기술로 제조된 예상제품을 VR 데이터 등으로 제시할 수 있으며, 최종 선택된 제조기술에 부합되는 제조업체가 추천되고 선택된 제조업체에 주문이 완료되면 즉시 생산에 착수하고 제조단계별 완료여부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플랫폼 기반 공간 디자인 서비스 지원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디자이너와 소비자의 연결을 통해 소비자 니즈를 정확히 반영할 수 있고, 성향판단이미지제시부를 통해 제시되는 성향별 복수의 이미지를 제공한 후, 복수의 이미지 중 소비자 자신의 성향에 가장 부합되는 이미지를 선택하는 과정을 통해 소비자의 성향을 분석, 업데이트하여 소비자에게 맞춤형 디자인을 추천할 수 있는 플랫폼 기반 공간 디자인 서비스 지원 시스템을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공간이미지입력부를 통해 소비자가 인테리어하고자 하는 실제 공간 이미지를 업로드 하고, 실제 공간에 부합되는 인테리어 디자인 데이터를 추천하면, 제조기술별로 예상 제품을 실제 공간이미지 상에 제시하여 소비자가 실제 공간 맞춤형 제품을 선택할 수 있는 플랫폼 기반 공간 디자인 서비스 지원 시스템을 제공한다.
일실시예로서, 플랫폼 기반 공간 디자인 서비스 지원 시스템은 소비자와, 디자이너, 제조업체를 통합 연결하는 디자인 서비스 지원 시스템에 있어서, 디자이너가 접속하여 지원 플랫폼 상에 업로드한 디자인 데이터가 저장, 분류화되는 디자인 DB와, 제조업체가 접속하여 지원 플랫폼상에 업로드한 제조업체 정보, 생산 제품종류, 제조방법, 소재가 저장, 분류화 되는 제조업체 DB와, 소비자가 접속하여 입력한 소비자 정보, 니즈데이터가 저장되는 소비자 DB를 갖는 데이터 베이스; 소비자 정보를 입력하는 소비자 정보입력부와, 소비자의 니즈데이터를 입력하는 소비자 니즈입력부와, 소비자의 디자인 성향을 판단하여 소비자 성향데이터를 생성하는 성향판단부를 갖는 소비자 성향분석부; 상기 소비자 성향데이터와 니즈데이터와 소비자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디자인 DB 내에 저장된 디자인 데이터를 상기 소비자에게 추천하고 상기 소비자가 상기디자인 데이터를 선택하면 상기 디자인 데이터를 업로드한 디자이너를 매칭시키는 디자인 추천부; 선택한 상기 디자인 데이터에 맞춤형 제조기술을 추천하고, 상기 제조기술에 부합되는 제조업체를 추천하는 제조기술추천부; 및 선택한 상기 디자인 데이터 또는 상기 제조기술에 의해 제조된 예상제품을 제공하는 제품제시부;를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소비자 정보, 상기 니즈데이터, 상기 성향데이터가 저장 및 업데이트되는 소비자 DB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자인 DB에 저장되는 디자인 데이터는 위치별, 용도별, 재료별, 크기별, 패턴별, 및 색상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분류화되고, 상기 제조업체 DB에 저장되는 제조업체는 제조기술별, 용도별, 및 재료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분류화되고, 상기 소비자 니즈입력부는 제품 후기, 요구사항, 설문조사사항, 매칭된 디자이너와의 의견교환정보가 입력되며, 상기 성향판단부는, 소비자의 성향을 판단하기 위한 분위기별, 패턴별, 색상별, 구조별 각각에 대한 복수의 성향 이미지를 제시하는 성향판단이미지 제시부와, 상기 소비자가 상기 분위기별, 패턴별, 색상별, 구조별에 따라 선택된 성향 이미지를 기반으로 상기 소비자의 소비자 성향데이터를 생성하는 성향결정부를 포함하고, 성향판단이미지 제시부는 특정 주기마다 상기 소비자에게 성향 이미지를 제시하여 소비자 성향데이터가 업데이트되고, 상기 통합연결 플랫폼은, 상기 소비자가 자신이 인테리어하고자 하는 실제 공간 이미지를 업로드 하는 공간이미지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자인 추천부는 상기 공간이미지입력부에 업로드된 상기 실제 공간 이미지 상의 구조, 위치 및 상기 니즈 데이터 및 상기 소비자 성향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디자인 데이터를 추천하고, 상기 제조기술추천부는 상기 디자인 데이터에 맞춤형 제조기술을 추천하며, 상기 제품제시부는 선택한 상기 디자인 데이터 또는 상기 제조기술에 의해 제조된 예상제품을 상기 실제 공간 이미지 상에 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플랫폼 기반 공간 디자인 서비스 지원 시스템은 디자인 라이브러리 상에 저장, 업데이트, 분류화되는 디자인 데이터 중 소비자의 성향에 부합되는 다자인을 플랫폼 상에서 자동추천되고 선택된 디자인 데이터를 제작한 디자이너와 연결되며, 또한, 선택된 디자인 데이터에 부합되는 제조기술을 추천하고 해당 제조기술로 제조된 예상제품을 VR 데이터 등으로 제시할 수 있으며, 최종 선택된 제조기술에 부합되는 제조업체가 추천되고 선택된 제조업체에 주문이 완료되면 즉시 생산에 착수하고 제조단계별 완료여부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디자이너와 소비자의 연결을 통해 소비자 니즈를 정확히 반영할 수 있고, 성향판단 이미지제시부를 통해 제시되는 성향별 복수의 이미지를 제공한 후, 복수의 이미지 중 소비자 자신의 성향에 가장 부합되는 이미지를 선택하는 과정을 통해 소비자의 성향을 분석, 업데이트하여 소비자에게 맞춤형 디자인을 추천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공간이미지입력부를 통해 소비자가 인테리어하고자 하는 실제 공간 이미지를 업로드 하고, 실제 공간에 부합되는 인테리어 디자인 데이터를 추천하면, 제조기술별로 예상 제품을 실제 공간이미지 상에 제시하여 소비자가 실제 공간 맞춤형 제품을 선택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 기반 공간 디자인 서비스 지원 시스템의 모식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제조 스마트 팩토리를 제시한 디자이너, 제조업체, 소비자 플랫폼 기반 공간 디자인 서비스 지원 시스템의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 기반 공간 디자인 서비스 지원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연결 플랫폼의 데이터 베이스의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연결 플랫폼의 소비자성향분석부의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비자 성향 데이터 생성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 기반 공간 디자인 제조 서비스 지원 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 설명되는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구분하여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또한 본 출원에서 적어도 2개의 상이한 실시예들이 각각 기재되어 있을 경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별다른 기재가 없더라도 각 실시예들은 구성요소의 전부 또는 일부를 상호 병합 및 혼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 기반 공간 디자인 서비스 지원 시스템의 구성 및 기능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자이너(2), 제조업체(3), 소비자를 통합하는 플랫폼 기반 공간 디자인 서비스 지원 시스템의 모식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2는 도 1에서 제조 스마트 팩토리를 제시한 플랫폼 기반 공간 디자인 서비스 지원 시스템의 모식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자인제조서비스 지원 시스템은 소비자(1)와 디자이너(2)와 제조업체(3)를 모두 연결하는 통합연결 플랫폼(100)을 기반으로 구성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디자이너(2)는 통합연결플랫폼(100)을 통해 자신이 디자인한 디자인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업로드하여 라이브러리화하고, 소비자(1)는 이러한 디자인을 선택할 수 있으며, 제조업체는 선택된 디자인에 대해 제품을 생산하여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기본적인 플랫폼(100) 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소비자(1)의 성향을 분석하여 소비자(1) 맞춤형 디자인을 제공하게 되며, 선택된 디자인에 대하여 재료, 소재, 제조기술별로 해당 디자인의 최적화된 맞춤형 제조방법을 제시하고, 이러한 제조방법에 의해 생산된 예상 제품을 소비자(1)에게 제시할 수 있다.
또한, 디자인과 제조방법이 선택되면 스마트 팩토리가 구축된 제조업체(3)가 즉시 생산을 시작하며 스마트 팩토리에서 측정되는 제조단계별 완료데이터를 통합연결플랫폼(100)에 전송하여 소비자(1)가 제품의 생산과정을 모니터링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연결 플랫폼(100)의 구체적인 구성 및 기능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 기반 공간 디자인 서비스 지원 시스템의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연결 플랫폼(100)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소비자(1), 디자이너(2), 제조업체(3)를 연결하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베이스(110), 소비자성향분석부(120), 디자인 추천부(140), 제조기술추천부(170), 제품제시부(150), 공간이미지 입력부(160), 모니터링부(18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알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연결 플랫폼(100)의 데이터 베이스(110)의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데이터베이스(1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자인 DB(111)와 제조업체 DB(112), 소비자 DB(11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디자인 DB(111)는 디자이너(2)가 접속하여 지원 플랫폼(100) 상에 업로드한 디자인 데이터가 저장, 분류화되도도록 구성되고, 제조업체 DB(11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조업체(3)가 접속하여 지원 플랫폼(100)상에 업로드한 제조업체 정보, 생산 제품종류, 제조방법, 소재가 저장되며 이러한 제조업체(3)는 제조기술별, 재료별로 분류화 되어 저장되게 된다. 또한, 소비자 DB(113)는 소비자(1)가 접속하여 입력한 소비자 정보, 니즈데이터, 소비자 성향데이터가 저장, 업데이트되게 된다.
그리고 디자인 DB(111)에 저장되는 디자인 데이터는 위치별, 용도별, 재료별, 크기별, 패턴별, 및 색상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분류화, 업데이트되게 된다. 그리고 제조업체 DB(112)에 저장되는 제조업체(3) 역시 제조기술별, 용도별, 및 재료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분류화, 업데이트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연결 플랫폼(100)의 소비자성향분석부(120)의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비자 성향분석부(120)는 소비자 성향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해 구성되며, 소비자 정보입력부(121), 소비자 니즈입력부(122), 성향판단부(13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알 수 있다.
소비자(1)는 소비자 정보입력부(121)를 통해 소비자(1)의 각종 정보를 입력하게되며, 소비자 니즈입력부(122)를 통해 소비자(1)의 니즈데이터를 입력하게 된다. 또한, 소비자 니즈입력부(122)는 제품 후기, 요구사항, 설문조사사항, 매칭된 디자이너(2)와의 의견교환정보가 입력될 수 있다.
그리고 소비자 성향분석부(120)는 소비자 정보와 니즈데이터를 통해 소비자(1)의 디자인 성향을 판단하여 소비자 성향데이터를 생성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성향판단부(130)는 성향판단이미지 제시부(131)와, 성향결정부(13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성향판단이미지 제시부(131)는 소비자(1)의 성향을 판단하기 위해 분위기별, 패턴별, 색상별, 구조별 등 각각에 대한 복수의 성향 이미지를 소비자(1)에게 제시하게 된다. 그리고 성향결정부(132)는 소비자(1)가 분위기별, 패턴별, 색상별, 구조별에 따라 선택된 성향 이미지를 기반으로 소비자(1)의 소비자 성향데이터를 생성하게 된다.
즉, 성향판단이미지 제시부(131)에서 분위기가 서로 상이한 복수의 성향이미지, 패턴이 서로 상이한 복수의 성향이미지, 색상, 톤이 서로 상이한 복수의 성향이미지, 구조가 서로 상이한 복수의 성향이미지를 소비자(1)에게 제시하게 되고, 소비자(1)는 이러한 복수의 성향이미지에서 자신이 맘에 드는 이미지를 선택하게 된다. 이러한 선택된 성향 이미지를 통해 소비자(1)가 선호하는 분위기, 패턴, 구조, 톤(색상)을 판단하게 되게 된다.
또한, 이러한 성향판단이미지 제시부(131)는 특정 주기마다 소비자(1)에게 성향 이미지를 제시하여 소비자 성향데이터가 업데이트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비자 성향 데이터 생성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먼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성향판단이미지 제시부(131)가 복수의 성향이미지를 소비자(1)에게 제시하게 되고(S1), 소비자(1)는 제시된 성향이미지 중 선호하는 이미지를 선택하게 되며, 제시된 성향이미지 중 선호하는 이미지를 선택할 수 없는 경우 또 다른 성향이미지를 갱신 요구할 수 있다(S2).
그리고 성향결정부(132)는 선택된 성향이미지를 기반으로 소비자 성향데이터를 생성하게 된다(S3). 이러한 소비자 성향데이터는 특정 주기마다 지속적으로 업데이트되게 된다(S4).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연결플랫폼(1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자인 추전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디자인 추천부(140)는 소비자 성향데이터와 니즈데이터와 소비자 정보를 기반으로 디자인 DB(111) 내에 저장된 디자인 데이터를 소비자(1)에게 추천하고 소비자(1)가 상기디자인 데이터를 선택하면 디자인 데이터를 업로드한 디자이너(2)를 매칭시키게 된다. 디자이너(2)와 소비자(1)가 매칭되면 양자간의 의견교환이 가능하며 이러한 의견교환 데이터는 소비자 니즈데이터로서 반영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연결플랫폼(1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조기술 추전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조기술 추천부(170)는 선택한 디자인 데이터에 맞춤형 제조기술을 추천하고, 제조기술에 부합되는 제조업체(3)를 추천, 매칭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연결플랫폼(1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품제시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품 제시부(150)는 선택한 디자인 데이터 또는 선택한 디자인 제이터에 대한 각종 제조기술에 의해 제조된 예상제품을 제시할 수 있다. 소비자(1)는 이러한 제조방법, 재료 등에 따른 서로 다른 제조기술에 의해 제조된 예상제품 이미지를 확인한 후, 자신이 원하는 제조기술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연결 플랫폼(100)은, 소비자(1)가 자신이 인테리어하고자 하는 실제 공간 이미지를 업로드 하는 공간이미지입력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소비자(1)는 자신이 인테리어하고자 위치, 예를 들어 자신의 집의 화장실이나, 부엌 등의 실제 공간 이미지 데이터를 업로드할 수 있다.
실제 공간 이미지가 업로드되면, 디자인 추천부(140)는 공간이미지입력부(160)에 업로드된 실제 공간 이미지 상의 구조, 위치, 및 소비자 정보 및 소비자 니즈데이터 및 소비자 성향데이터에 기반하여 맞춤형 디자인 데이터를 추천하게 된다.
그리고, 제조기술추천부(170)는 선택된 디자인 데이터에 맞춤형 제조기술을 추천하며, 제품제시부(150)는 선택한 디자인 데이터 또는 제조기술에 의해 제조된 예상제품을 실제 공간 이미지 상에서 소비자(1)에게 제시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제조업체(3)에는 제조상황, 제조단계별 완료여부를 모니터링, 제어할 수 있는 스마트 팩토리가 구축되어 있음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통합연결 플랫폼(100)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니터링부(180)가 포함되어, 스마트 팩토리의 제조상황, 제조단계별 완료데이터를 수신받아 소비자(1)에 제공하여, 소비자(1)가 제품의 제조 단계, 현재 상황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 기반 공간 디자인 제조 서비스 지원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먼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간이미지 입력부(160)를 통해 소비자(1)는 자신이 인테리어하고자 하는 실제공간이미지를 통합연결 플랫폼(100) 상에 업로드 하게 됨을 알 수 있다(S10).
그리고 디자인 추천부(140)는 소비자(1)가 업로드한 실제 공간이미지의 위치, 구조, 소비자 니즈데이터, 소비자 성향데이터를 기반으로 디자인 DB(111) 내의 디자인 데이터를 소비자(1)에게 추천하게 된다(S20).
그리고 소비자(1)는 추천한 디자인 데이터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게 된다(S30). 이러한 디자인 선택과정에서, 제품 제시부(150)는 추천한 디자인 데이터에 의해 디자인된 실제 예상제품을 실제 공간이미지 상에 표현하여 소비자(1)에게 제시할 수 있다. 이러한 제시과정에서는 VR 기술을 적용하여 표현될 수 있다. 소비자(1)는 이러한 실제 공간이미지상에 표현된 디자인을 참고하여 디자인 데이터를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제조기술추천부(170)는 선택된 디자인 데이터에 기반한 맞춤형 재료, 제조기술을 추천하게 된다(S40).
그리고 소비자(1)는 원하는 재료, 제조기술을 선택하게 된다.
이러한 선택과정에서, 제품 제시부(150)는 추천한 제조기술에 의해 제조된 실제 예상제품을 실제 공간이미지 상에 표현하여 소비자(1)에게 제시할 수 있다(S50). 이러한 제시과정에서는 VR 기술을 적용하여 표현될 수 있다.
소비자(1)는 이러한 실제 공간이미지상에 표현된 예상제품 이미지를 참고하여 재료, 제조기술을 선택하게 된다.
그리고 제조기술추천부(170)는 해당 제조기술에 스마트팩토리가 구축된 제조업체(3)를 추천하게 된다. 소비자(1)는 추천된 제조업체(3)를 선택하여 결제, 주문을 진행하게 된다.
주문이 완료되면, 해당 제조업체(3)는 제품을 생산하게 되며, 제조과정에서 소비자(1)는 모니터링부(180)를 통해 제조상황, 제조단계별 완료여부, 배송 여부 등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S60).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플랫폼 기반 공간 디자인 서비스 지원 시스템은 디자인 라이브러리 상에 저장, 업데이트, 분류화되는 디자인 데이터 중 소비자의 성향에 부합되는 다자인을 플랫폼 상에서 자동추천되고 선택된 디자인 데이터를 제작한 디자이너와 연결되며, 또한, 선택된 디자인 데이터에 부합되는 제조기술을 추천하고 해당 제조기술로 제조된 예상제품을 VR 데이터 등으로 제시할 수 있으며, 최종 선택된 제조기술에 부합되는 제조업체가 추천되고 선택된 제조업체에 주문이 완료되면 즉시 생산에 착수하고 제조단계별 완료여부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디자이너와 소비자의 연결을 통해 소비자 니즈를 정확히 반영할 수 있고, 성향판단 이미지제시부를 통해 제시되는 성향별 복수의 이미지를 제공한 후, 복수의 이미지 중 소비자 자신의 성향에 가장 부합되는 이미지를 선택하는 과정을 통해 소비자의 성향을 분석, 업데이트하여 소비자에게 맞춤형 디자인을 추천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공간이미지입력부를 통해 소비자가 인테리어하고자 하는 실제 공간 이미지를 업로드 하고, 실제 공간에 부합되는 인테리어 디자인 데이터를 추천하면, 제조기술별로 예상 제품을 실제 공간이미지 상에 제시하여 소비자가 실제 공간 맞춤형 제품을 선택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한편, 본 도면에 개시된 실시예는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1...소비자 2...디자이너
3...제조업체 100...통합연결 플랫폼
110...데이터베이스 111...디자인 DB
112...제조업체 DB 113...소비자 DB
120...소비자성향분석부 121...소지자 정보입력부
122...소비자 니즈입력부 130...성향판단부
131...성향판단 이미지 제시부 132...성향결정부
140...디자인 추천부 150...제품제시부
160...공간이미지입력부 170...제조기술추천부
180...모니터링부

Claims (1)

  1. 소비자와, 디자이너, 제조업체를 통합 연결하는 디자인제조서비스 지원 시스템에 있어서,
    디자이너가 접속하여 지원 플랫폼 상에 업로드한 디자인 데이터가 저장, 분류화되는 디자인 DB와, 제조업체가 접속하여 지원 플랫폼상에 업로드한 제조업체 정보, 생산 제품종류, 제조방법, 소재가 저장, 분류화 되는 제조업체 DB와, 소비자가 접속하여 입력한 소비자 정보, 니즈데이터가 저장되는 소비자 DB를 갖는 데이터 베이스;
    소비자 정보를 입력하는 소비자 정보입력부와, 소비자의 니즈데이터를 입력하는 소비자 니즈입력부와, 소비자의 디자인 성향을 판단하여 소비자 성향데이터를 생성하는 성향판단부를 갖는 소비자 성향분석부;
    상기 소비자 성향데이터와 니즈데이터와 소비자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디자인 DB 내에 저장된 디자인 데이터를 상기 소비자에게 추천하고 상기 소비자가 상기디자인 데이터를 선택하면 상기 디자인 데이터를 업로드한 디자이너를 매칭시키는 디자인 추천부;
    선택한 상기 디자인 데이터에 맞춤형 제조기술을 추천하고, 상기 제조기술에 부합되는 제조업체를 추천하는 제조기술추천부; 및
    선택한 상기 디자인 데이터 또는 상기 제조기술에 의해 제조된 예상제품을 제공하는 제품제시부;를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소비자 정보, 상기 니즈데이터, 상기 성향데이터가 저장 및 업데이트되는 소비자 DB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자인 DB에 저장되는 디자인 데이터는 위치별, 용도별, 재료별, 크기별, 패턴별, 및 색상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분류화되고, 상기 제조업체 DB에 저장되는 제조업체는 제조기술별, 용도별, 및 재료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분류화되고,
    상기 소비자 니즈입력부는 제품 후기, 요구사항, 설문조사사항, 매칭된 디자이너와의 의견교환정보가 입력되며,
    상기 성향판단부는, 소비자의 성향을 판단하기 위한 분위기별, 패턴별, 색상별, 구조별 각각에 대한 복수의 성향 이미지를 제시하는 성향판단이미지 제시부와, 상기 소비자가 상기 분위기별, 패턴별, 색상별, 구조별에 따라 선택된 성향 이미지를 기반으로 상기 소비자의 소비자 성향데이터를 생성하는 성향결정부를 포함하고, 성향판단이미지 제시부는 특정 주기마다 상기 소비자에게 성향 이미지를 제시하여 소비자 성향데이터가 업데이트되고,
    상기 통합연결 플랫폼은, 상기 소비자가 자신이 인테리어하고자 하는 실제 공간 이미지를 업로드 하는 공간이미지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자인 추천부는 상기 공간이미지입력부에 업로드된 상기 실제 공간 이미지 상의 구조, 위치 및 상기 니즈 데이터 및 상기 소비자 성향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디자인 데이터를 추천하고, 상기 제조기술추천부는 상기 디자인 데이터에 맞춤형 제조기술을 추천하며, 상기 제품제시부는 선택한 상기 디자인 데이터 또는 상기 제조기술에 의해 제조된 예상제품을 상기 실제 공간 이미지 상에 제시하는 플랫폼 기반 공간 디자인 서비스 지원 시스템.
KR1020220018757A 2022-02-14 2022-02-14 플랫폼 기반 공간 디자인 서비스 지원 시스템 KR2023012228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8757A KR20230122283A (ko) 2022-02-14 2022-02-14 플랫폼 기반 공간 디자인 서비스 지원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8757A KR20230122283A (ko) 2022-02-14 2022-02-14 플랫폼 기반 공간 디자인 서비스 지원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2283A true KR20230122283A (ko) 2023-08-22

Family

ID=877998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8757A KR20230122283A (ko) 2022-02-14 2022-02-14 플랫폼 기반 공간 디자인 서비스 지원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22283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0164A (ko) 2002-02-21 2003-08-29 지유아이디자인 주식회사 네트워크 기반의 디자인 서비스 중개방법
KR101660267B1 (ko) 2015-07-22 2016-09-27 김형준 디자이너와 기업을 연결하는 디자인 중개 서비스 제공방법
KR101837473B1 (ko) 2016-04-05 2018-03-12 한국전기연구원 스마트 가공 발주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80078845A (ko) 2016-12-30 2018-07-10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디자인 의뢰를 위한 디자인 통합 서비스 플랫폼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0164A (ko) 2002-02-21 2003-08-29 지유아이디자인 주식회사 네트워크 기반의 디자인 서비스 중개방법
KR101660267B1 (ko) 2015-07-22 2016-09-27 김형준 디자이너와 기업을 연결하는 디자인 중개 서비스 제공방법
KR101837473B1 (ko) 2016-04-05 2018-03-12 한국전기연구원 스마트 가공 발주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80078845A (ko) 2016-12-30 2018-07-10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디자인 의뢰를 위한 디자인 통합 서비스 플랫폼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3159B1 (ko) 디자이너, 제조업체, 소비자 통합연결 플랫폼 기반 디자인제조서비스 지원 시스템
US2021002725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operating an interactive repair facility including automatic parts tracking and ordering
US20130204743A1 (en) Mobile shopping tools utilizing color-based identification, searching and matching enhancement of supply chain and inventory management systems
KR102539059B1 (ko) 인테리어 모델링 제공장치 및 인테리어 모델링 제공방법
CN105989447A (zh) 数据处理系统、方法和平台
TW201546750A (zh) 居家及展示場所傢飾佈置提案推薦系統與方法
US20200387956A1 (en) Offline sales execution system
KR102015617B1 (ko) 분양인테리어서비스 제공 시스템, 서버 및 방법
KR20140099742A (ko) 맞춤형 가발 주문 관리 시스템
KR20230122283A (ko) 플랫폼 기반 공간 디자인 서비스 지원 시스템
KR20190138485A (ko) 오프라인 공방 매칭 서비스를 위한 플랫폼 구축 시스템 및 이를 사용한 오프라인 공방 매칭 서비스 방법
LT5687B (lt) Batų gamybos būdas, apimantis tiesioginį bendravimą su užsakovu
KR102086957B1 (ko) 가구 유통 운영 시스템 및 방법
KR20220105976A (ko) 제품 의뢰 및 제작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20220105978A (ko) 제작 의뢰 기반의 마켓 서비스 제공 장치의 동작 방법
KR102518457B1 (ko) 플랫폼 기반 맞춤형 조립디자인 통합매칭추천시스템
KR102595811B1 (ko) 커스텀 제품 제조 공장 연결 시스템 및 방법
EP4358004A1 (en) Quotation estimation device, quotation estimation method, and quotation estimation program
KR20230077881A (ko) Ar을 이용한 인테리어 모델링 제공장치 및 인테리어 모델링 제공방법
KR100727518B1 (ko) 상품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서브도메인 쇼핑몰 시스템
JP2006276936A (ja) 買物分担割当てサーバ
KR20220145495A (ko) 온라인 상품공급 및 위탁판매를 위한 판매대행서버 및 이를 이용한 판매대행방법
US20020152138A1 (en)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nd apparatus for constructing the system
KR101857258B1 (ko) 디자인 제작을 위한 디자인 통합 서비스 플랫폼 장치
KR20220105988A (ko) 제품 의뢰 및 제작 서비스 프로그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