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8847A - 디자인 비용결제를 위한 디자인 통합 서비스 플랫폼 장치 - Google Patents

디자인 비용결제를 위한 디자인 통합 서비스 플랫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8847A
KR20180078847A KR1020160184055A KR20160184055A KR20180078847A KR 20180078847 A KR20180078847 A KR 20180078847A KR 1020160184055 A KR1020160184055 A KR 1020160184055A KR 20160184055 A KR20160184055 A KR 20160184055A KR 20180078847 A KR20180078847 A KR 201800788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sign
purchase
specific
sns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840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55487B1 (ko
Inventor
김민
천애리
김민지
Original Assignee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온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온투 filed Critical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1840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5487B1/ko
Publication of KR201800788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88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54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54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3Third-party assisted
    • G06Q30/0619Neutral ag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2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shopping systems
    • G06Q20/123Shopping for digital content
    • G06Q20/1235Shopping for digital content with control of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2Rating or review of business operators or produ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4Billing or invoic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1Request for offers or quo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21Item configuration or customiz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1Item recommend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자인 비용결제를 위한 디자인 통합 서비스 플랫폼 장치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 단말로부터 디자인 의뢰 비용을 수신하고, 디자인 객체 제작업체 단말에 의하여 제작된 적어도 하나의 디자인 객체로 구성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과의 인터랙션을 통해 결정되는 제1 디자인을 생성하는 제1 디자인 생성부, 상기 제1 디자인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디자인 객체를 조절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2 디자인을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디자인 중 일부에 관해 기간제 구매, 공급횟수 구매 또는 소비횟수 구매를 추천하는 제2 디자인 구매 추천부 및 특정 제2 디자인에 관해 상기 기간제 구매, 공급횟수 구매 또는 소비횟수 구매가 결정되면 디자인 저장소에 상기 제2 디자인을 저장하고, 상기 제2 디자인의 사용기간, 공급횟수 또는 소비횟수를 관리하는 제2 디자인 사용권한 관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디자인 비용결제를 위한 디자인 통합 서비스 플랫폼 장치{DESIGN INTEGRATED SERVICE PLATFORM APPARATUS FOR DESIGN COST PAYMENT}
본 발명은 디자인 비용결제를 위한 디자인 통합 서비스 제공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특정 디자인 구매를 기초로 사용권한을 관리하여 특정 디자인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디자인 비용결제를 위한 디자인 통합 서비스 플랫폼 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업의 디자인 아웃소싱 절차는 단독의 프리랜서 디자이너 또는 단독의 디자인 의뢰업체에게 디자인 제작을 의뢰하고 해당 내용을 제공받는 과정을 포함한다. 단독의 프리랜서 디자이너 또는 디자인 의뢰업체에게 디자인 제작을 의뢰하는 경우 소기업의 입장에서는 소비되는 비용이 높아 비용 부담이 되고, 단독의 프리랜서 디자이너 또는 디자인 의뢰업체의 입장에서는 투자되는 비용 대비 디자인 성과가 낮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3-0070164호는 네트워크 기반의 디자인 서비스 중개방법에 관한 것으로, 고객으로부터 의뢰 받은 디자인에 대한 제품구별 분야를 선택하고 저장하는 단계, 해당분야에 따른 분류된 디자이너를 회원정보DB에서 검색하고, 검색된 디자이너를 선택하는 단계, 디자이너에게 이메일이나 SMS로 디자인작업을 할 것인지를 문의하는 단계, 디자이너로부터 문의 결과가 있으면, 운영자서버에서는 이메일이나 SMS을 통해 고객과 디자이너 단말기로 상담할 일자 및 시간을 통지하고 이를 게시판에 등록하는 단계, 운영자 서버는 상담예약 일에 고객 및 디자이너 단말기를 운영자 서버에 접속하고, 음성인식 기능을 갖는 커뮤니케이션 모드에 제공되는 화상채팅모드와 문자 기록모드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면서 디자인 시안 및 가격을 선택하는 단계, 디자인 시안 및 가격이 선택되면 운영자서버를 통해 문서화된 계약서로 계약을 체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술을 개시한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60267호는 디자이너와 기업을 연결하는 디자인 중개 서비스 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기업의 단말로부터 요구조건이 특정된 디자인을 요청받는 단계, 요구조건에 해당하는 외부 디자이너의 단말과 내부 디자이너의 단말을 디자이너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하는 단계, 요구조건을 검색된 외부 디자이너의 단말에 전달하는 단계, 외부 디자이너들의 단말로부터 복수의 제1 디자인 시안을 전달받는 단계, 제1 디자인 시안과 요구조건을 내부 디자이너의 단말로 전달하는 단계, 내부 디자이너의 단말로부터 복수의 제2 디자인 시안을 전달받는 단계 및 제2 디자인 시안을 기업의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술을 개시한다.
1.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3-0070164호 (2003.08.29) 2.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660267호 (2016.09.21)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특정 디자인 구매를 기초로 사용권한을 관리하여 특정 디자인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디자인 비용결제를 위한 디자인 통합 서비스 플랫폼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디자인 객체 레이아웃을 조절하여 동적 템플릿 또는 정적 템플릿에 자동으로 적응시키고 결합할 수 있는 디자인 비용결제를 위한 디자인 통합 서비스 플랫폼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특정 SNS 게시글에 대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해당 SNS 게시글 내용에 따른 테마를 결정할 수 있는 디자인 비용결제를 위한 디자인 통합 서비스 플랫폼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들 중에서, 디자인 비용결제를 위한 디자인 통합 서비스 플랫폼 장치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디자인 의뢰 비용을 수신하고, 디자인 객체 제작업체 단말에 의하여 제작된 적어도 하나의 디자인 객체로 구성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과의 인터랙션을 통해 결정되는 제1 디자인을 생성하는 제1 디자인 생성부, 상기 제1 디자인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디자인 객체를 조절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2 디자인을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디자인 중 일부에 관해 기간제 구매, 공급횟수 구매 또는 소비횟수 구매를 추천하는 제2 디자인 구매 추천부 및 특정 제2 디자인에 관해 상기 기간제 구매, 공급횟수 구매 또는 소비횟수 구매가 결정되면 디자인 저장소에 상기 제2 디자인을 저장하고, 상기 제2 디자인의 사용기간, 공급횟수 또는 소비횟수를 관리하는 제2 디자인 사용권한 관리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디자인 생성부는 상기 제1 디자인의 생성 전에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의하여 생성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자인 객체를 서술한 디자인 디스크립션을 상기 디자인 객체 제작업체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1 디자인 생성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자인 객체에 관해 가상 디자인을 자동으로 생성하고, 상기 인터랙션을 통해 상기 가상 디자인에 있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자인 객체의 레이아웃을 조절하여 상기 제1 디자인을 완성할 수 있다.
상기 제2 디자인 구매 추천부는 상기 제1 디자인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디자인 객체를 SNS(Social Network Service) 게시글에 관한 SNS 동적 템플릿에 자동으로 적응시킬 수 있다.
상기 제2 디자인 구매 추천부는 상기 SNS 게시글의 내용을 분석하여 해당 내용에 따른 테마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테마에 따라 상기 SNS 동적 템플릿으로부터 파생된 SNS 정적 템플릿에 상기 SNS 게시글을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제2 디자인 구매 추천부는 아래의 수학식에 의해 상기 테마를 결정할 수 있다.
[수학식]
T = ∑ Distance(W | STDword) / Tword
상기 T : 상기 테마를 결정하는 인덱스로서, 상기 SNS 게시글의 내용에 있는 단어 각각에 대한 합산에 의해 결정되며, 상기 인덱스는 1에 가까울수록 흥분되고 -1에 가까울수록 차분함
상기 Distance (A|B) : 대상 단어(상기 A)에 관해 기준 단어 집합(상기 B) 중 하나로부터 떨어진 흥분 또는 차분의 정도로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획득되며, 상기 흥분에 따른 최대값은 1이고, 상기 차분에 따른 최대값은 -1에 해당함
상기 STDword : 기준 단어 집합
상기 W : 상기 SNS 게시글의 내용에 있는 단어
상기 Tword : 상기 SNS 게시글의 내용에 있는 단어의 수
상기 제2 디자인 사용권한 관리부는 상기 특정 제2 디자인에 상기 기간제 구매, 공급횟수 구매 또는 소비횟수 구매에 의해 결정된 DRM(Digital Right Management)을 부여하여 상기 디자인 저장소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제2 디자인 사용권한 관리부는 상기 특정 제2 디자인에 관한 상기 DRM의 유효성이 만료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에 해당 구매의 연장 의사를 포함하는 재구매를 프롬프팅할 수 있다.
상기 제2 디자인 사용권한 관리부는 상기 특정 제2 디자인에 관한 접근이 상기 디자인 저장소에 요청될 때마다 상기 기간제 구매, 공급횟수 구매 또는 소비횟수 구매에 따라 상기 접근의 허가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제2 디자인 사용권한 관리부는 상기 특정 제2 디자인이 상기 소비횟수 구매에 의해 구매된 경우에는 상기 접근이 특정 시간 이내에 동일한 인터넷 주소를 통해 요청되었는지 여부를 검출하여 그렇다면 최초의 접근만을 상기 구매로 결정하고 나머지 구매를 상기 구매로 결정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제2 디자인 사용권한 관리부는 상기 특정 제2 디자인이 상기 공급횟수 구매에 의해 구매된 경우에는 특정 시간 이내에 상기 특정 제2 디자인의 공급이 취소되었는지를 검출하여 그렇다면 해당 공급횟수의 갱신을 번복할 수 있다.
상기 제2 디자인 사용권한 관리부는 상기 특정 제2 디자인을 임베딩한 콘텐츠의 삭제를 상기 특정 제2 디자인의 공급 취소로 결정할 수 있다.
실시예들 중에서, 디자인 비용결제 방법은 디자인 비용결제를 위한 디자인 통합 서비스 플랫폼 장치에서 수행된다. 상기 방법은 (a) 사용자 단말로부터 디자인 의뢰 비용을 수신하고, 디자인 객체 제작업체 단말에 의하여 제작된 적어도 하나의 디자인 객체로 구성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과의 인터랙션을 통해 결정되는 제1 디자인을 생성하는 단계, (b) 상기 제1 디자인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디자인 객체를 조절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2 디자인을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디자인 중 일부에 관해 기간제 구매, 공급횟수 구매 또는 소비횟수 구매를 추천하는 단계 및 (c) 특정 제2 디자인에 관해 상기 기간제 구매, 공급횟수 구매 또는 소비횟수 구매가 결정되면 디자인 저장소에 상기 제2 디자인을 저장하고, 상기 제2 디자인의 사용기간, 공급횟수 또는 소비횟수를 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b) 단계는 상기 제1 디자인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디자인 객체를 SNS(Social Network Service) 게시글에 관한 SNS 동적 템플릿에 자동으로 적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c) 단계는 상기 특정 제2 디자인에 상기 기간제 구매, 공급횟수 구매 또는 소비횟수 구매에 의해 결정된 DRM(Digital Right Management)을 부여하여 상기 디자인 저장소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특정 제2 디자인에 관한 접근이 상기 디자인 저장소에 요청될 때마다 상기 기간제 구매, 공급횟수 구매 또는 소비횟수 구매에 따라 상기 접근의 허가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기술은 다음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특정 실시예가 다음의 효과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다음의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자인 비용결제를 위한 디자인 통합 서비스 플랫폼 장치는 특정 디자인 구매를 기초로 사용권한을 관리하여 특정 디자인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자인 비용결제를 위한 디자인 통합 서비스 플랫폼 장치는 디자인 객체 레이아웃을 조절하여 동적 템플릿 또는 정적 템플릿에 자동으로 적응시키고 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자인 비용결제를 위한 디자인 통합 서비스 플랫폼 장치는 특정 SNS 게시글에 대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해당 SNS 게시글 내용에 따른 테마를 결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자인 비용결제를 위한 디자인 통합 서비스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디자인 비용결제를 위한 디자인 통합 서비스 플랫폼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있는 디자인 비용결제를 위한 디자인 통합 서비스 플랫폼 장치에서 수행되는 디자인 비용결제 과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될 수 있고,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자인 비용결제를 위한 디자인 통합 서비스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디자인 비용결제를 위한 디자인 통합 서비스 시스템(10)은 사용자 단말(100), 디자인 비용결제를 위한 디자인 통합 서비스 플랫폼 장치(200) 및 디자인 객체 제작업체 단말(300)을 포함하고, 이들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에 의해 소유될 수 있고, 디자인 비용결제를 위한 디자인 통합 서비스 플랫폼 장치(200)와 연결된 컴퓨팅 장치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00)은 데스크톱, 노트북, 태블릿 PC 또는 스마트폰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사용자 단말(100)은 디자인 비용결제를 위한 디자인 통합 서비스 플랫폼 장치(200)와 블루투수, Wifi 등을 통해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100)은 디자인 비용결제를 위한 디자인 통합 서비스 플랫폼 장치(20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사용자로 하여금 원하는 디자인을 선택하여 제작을 의뢰할 수 있고, 디자인 비용결제를 위한 디자인 통합 서비스 플랫폼 장치(20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디자인을 제공할 수 있는 디자인 객체 제작업체를 선별하여 디자인 제작 요청을 디자인 객체 제작업체 단말(300)에 전송할 수 있다.
디자인 비용결제를 위한 디자인 통합 서비스 플랫폼 장치(200)는 클라이언트(이하, 사용자)에게 네트워크를 통해 디자인 비용결제를 위한 디자인 통합 서비스를 제공하는 컴퓨팅 장치 또는 프로그램에 해당하는 서버로 구현될 수 있다. 디자인 비용결제를 위한 디자인 통합 서비스 플랫폼 장치(200)는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디자인 비용결제를 위한 디자인 통합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다.
디자인 객체 제작업체 단말(300)은 디자인 객체 제작업체에 의해 소유될 수 있고, 디자인 비용결제를 위한 디자인 통합 서비스 플랫폼 장치(200)와 연결된 컴퓨팅 장치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자인 객체 제작업체 단말(300)은 데스크톱, 노트북 또는 태블릿 PC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디자인 비용결제를 위한 디자인 통합 서비스 플랫폼 장치(200)는 사용자 단말(100)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사용자의 기본정보들 및 디자인 요청을 수신할 수 있고, 각 사용자의 요청 사항을 디자인 객체 제작업체 단말(300)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자인 비용결제를 위한 디자인 통합 서비스 플랫폼 장치(200)는 사용자가 기업에 해당할 경우, 기업이름, 기업 담당자의 이메일, 휴대번호 및 디자인 제작을 요청할 제품 또는 브랜드 이름에 관한 간단한 설명 등을 수신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있는 디자인 비용결제를 위한 디자인 통합 서비스 플랫폼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디자인 비용결제를 위한 디자인 통합 서비스 플랫폼 장치(200)는 제1 디자인 생성부(210), 제2 디자인 구매 추천부(220), 제2 디자인 사용권한 관리부(230) 및 제어부(240)를 포함한다.
제1 디자인 생성부(21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디자인 의뢰 비용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100)은 디자인 비용결제를 위한 디자인 통합 서비스 플랫폼 장치(200)와 연동된 클라우드 데이터베이스(이하, 디자인 저장소)(400)를 통해 제작하고자 하는 디자인 비용을 확인할 수 있고, 제작하고자 하는 디자인들에 관한 비용들을 합산한 디자인 의뢰 비용을 제1 디자인 생성부(210)에 송신할 수 있다.
클라우드 데이터베이스(400)는 디자인 비용결제를 위한 디자인 통합 서비스 플랫폼 장치(200)와 연동될 수 있고, 클라우드 데이터베이스(400)는 사용자에 관한 정보, 디자인 객체 제작업체에 관한 정보 등을 저장하고 주기적으로 업데이트하여 관리할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자에 관한 정보는 사용자 기본정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디자인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고, 디자인 객체 제작업체에 관한 정보는 다양한 디자인 객체 제작업체의 기본정보, 디자인 객체 제작업체별 디자인 객체 제작비용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자인 비용결제를 위한 디자인 통합 서비스 플랫폼 장치(10)는 클라우드 데이터베이스(400)을 통해 사용자 단말(100)에 가장 저렴한 디자인 제작 비용을 제시한 디자인 객체 제작업체부터 가장 비싼 디자인 제작 비용을 제시한 디자인 객체 제작업체 순으로 디자인 제작 비용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제1 디자인 생성부(210)는 디자인 객체 제작업체 단말(300)에 의하여 제작된 적어도 하나의 디자인 객체로 구성되고 사용자 단말(100)과의 인터랙션을 통해 결정되는 제1 디자인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디자인 객체 제작업체는 폰트, 이미지 또는 로고(Logo) 등에 해당하는 각각의 디자인 객체 제작에 특화된 디자인 객체 제작업체들이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디자인 생성부(210)는 제1 디자인의 생성 전에 사용자 단말(100)에 의하여 생성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서술한 디자인 디스크립션을 디자인 객체 제작업체 단말(300)에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디자인 디스크립션은 사용자가 디자인 제작을 의뢰할 때 입력하는 디자인 객체 정보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디자인 생성부(210)는 사용자가 제작하고자 하는 디자인이 로고에 해당하면 로고의 타입, 성격, 스타일, 색상, 주요타깃의 정보, 사용목적 등에 관한 정보를 설명하는 디자인 디스크립션을 수신하여 해당 디자인 디스크립션을 디자인 객체 제작업체 단말(300)에 제공할 수 있다.
제1 디자인 생성부(210)는 적어도 하나의 디자인 객체에 관해 가상 디자인을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100)과의 인터랙션을 통해 가상 디자인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디자인 객체의 레이아웃을 조절하여 제1 디자인을 완성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디자인 생성부(210)는 자동으로 가상 디자인이 생성될 때마다 사용자 단말(100)과의 인터랙션을 통해 가상 디자인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디자인 객체들의 레이아웃을 조절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디자인에 해당하는 제1 디자인을 완성할 수 있다.
제2 디자인 구매 추천부(220)는 제1 디자인 생성부(210)에 의해 생성된 제1 디자인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디자인 객체를 조절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2 디자인을 생성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 디자인 구매 추천부(220)는 제1 디자인을 사용목적에 맞게 조절할 수 있고, 사용목적은 간판, 인쇄물, 스크린, 웹, SNS(Social Network Service) 등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디자인 구매 추천부(220)는 동일한 제1 디자인에 대하여 사용목적에 맞게 크기가 다른 제2 디자인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디자인 구매 추천부(220)는 제1 디자인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디자인 객체를 SNS 게시글에 관한 SNS 동적 템플릿에 자동으로 적응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SNS 동적 템플릿은 사용자가 SNS에 게시글만 작성하면 레이아웃을 자동으로 설정할 수 있는 템플릿에 해당한다. 예들 들어, 제2 디자인 구매 추천부(220)는 설날, 식목일, 추석, 한글날 또는 크리스마스 등과 같은 특정일에 작성되는 SNS 게시글을 대해 특정일과 연관된 이미지를 포함하는 레이아웃에 SNS 게시글을 자동으로 결합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2 디자인 구매 추천부(220)는 특성이 다른 복수의 SNS들에 적합하도록 제1 디자인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디자인 객체를 조절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2 디자인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자 단말(100)에 설치된 SNS(Social Network Service)는 인스타그램(Instagram), 트위터(Twitter) 또는 페이스북(Facebook)에 해당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제2 디자인 구매 추천부(220)는 SNS 게시글의 내용을 분석하여 해당 내용에 따른 테마를 결정할 수 있고, 결정된 테마에 따라 SNS 동적 템플릿으로부터 파생된 SNS 정적 템플릿에 SNS 게시글을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SNS에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와 같은 게시글을 작성할 수 있고, 제2 디자인 구매 추천부(220)는 SNS 게시글의 내용에서 키워드 {새해}를 검출할 수 있고, 키워드{새해}와 연관된 테마를 결정하여 해당 테마를 포함하는 레이아웃에 SNS 게시글을 자동으로 결합할 수 있다.
제2 디자인 구매 추천부(220)는 아래의 수학식에 의해 테마를 결정할 수 있다.
[수학식]
T = ∑ Distance(W | STDword) / Tword
(여기에서, T: 테마를 결정하는 인덱스로서, SNS 게시글의 내용에 있는 단어 각각에 대한 합산에 의해 결정되며, 인덱스는 1에 가까울수록 흥분되고 -1에 가까울수록 차분함, Distance (A|B): 대상 단어(A)에 관해 기준 단어 집합(B) 중 하나로부터 떨어진 흥분 또는 차분의 정도로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획득되며, 흥분에 따른 최대값은 1이고, 차분에 따른 최대값은 -1에 해당함, STDword: 기준 단어 집합, W: SNS 게시글의 내용에 있는 단어 및 Tword: 상기 SNS 게시글의 내용에 있는 단어의 수)
일 실시예에서, 제2 디자인 구매 추천부(220)는 SNS 게시글의 내용에 있는 단어들 중 기준 단어 집합에 포함되는 단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빅데이터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에서, 기준 단어 집합은 알림, 수신 등과 같은 중립적인 단어에 해당할 수 있고, 해당 단어들은 흥분(붉은 계열의 테마) 또는 차분(푸른 계열의 테마)의 정도가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제2 디자인 구매 추천부(220)는 사용자 단말(100)에게 적어도 하나의 제2 디자인 중 일부에 관해 기간제 구매, 공급횟수 구매 또는 소비횟수 구매를 추천할 수 있고, 이외에도 제2 디자인 중 일부에 관해 영구 구매를 추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예서, 제2 디자인 구매 추천부(220)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디자인에 관해 특정기간 동안 사용할 수 있는 기간제 구매를 추천할 수 있다. 제2 디자인 구매 추천부(220)는 30일, 6개월, 1년 또는 2년 등과 같은 기간제를 추천할 수 있고, 기간제는 이에 한정하지 않을 수 있다. 사용자는 복수의 기간제들 중 적어도 하나의 기간제를 선택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2 디자인을 구매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제2 디자인 구매 추천부(220)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디자인에 관해 사용자가 사용한 횟수에 따른 공급횟수 구매를 추천할 수 있다. 제2 디자인 구매 추천부(220)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디자인 중 일부에 관해 사용자에게 몇 번 공급하였는지 카운팅할 수 있고, 키운팅된 횟수를 기초로 사용자에게 공급횟수 구매를 추천할 수 있다. 제2 디자인 구매 추천부(220)는 사용자의 사용패턴(또는 사용횟수)을 기초로 사용자에게 적합한 구매를 추천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 제2 디자인 구매 추천부(220)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디자인에 관해 다른 사용자에 의해 소비된 횟수에 따른 소비횟수 구매를 추천할 수 있다. 제2 디자인 구매 추천부(220)는 50회, 100회, 200회, 1000회 등과 같은 특정 소비횟수를 추천할 수 있고, 소비횟수는 이에 한정하지 않을 수 있다. 사용자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디자인에 관해 200회 사용할 수 있는 소비횟수를 구매할 수 있고, 200회 사용 가능한 제2 디자인은 다른 사용자에 의해 200회 접근되면 사용이 제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SNS 배너에 사용하고자 하는 제2 디자인에 관해 100회 사용 가능한 소비횟수를 구매할 수 있고, 사용자 SNS에 다른 사용자에 의해 100회 접근되면 사용이 종료된다.
즉, 제2 디자인 구매 추천부(220)는 사용자의 사용기간, 사용자에 의한 사용횟수 또는 다른 사용자에 의한 사용횟수와 같은 다양한 사용패턴을 파악하여 사용자에게 효율적인 구매를 추천할 수 있다.
제2 디자인 사용권한 관리부(230)는 특정 제2 디자인에 관해 기간제 구매, 공급횟수 구매 또는 소비횟수 구매가 결정되면 디자인 저장소(클라우드 데이터베이스)(400)에 제2 디자인을 저장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 디자인 사용권한 관리부(230)는 기간제 구매, 공급횟수 구매 또는 소비횟수 구매가 결정되면 해당 구매 정보를 제2 디자인과 연관시켜 디자인 저장소(400)에 저장할 수 있다. 즉, 제2 디자인 사용권한 관리부(230)는 디자인 저장소(40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제2 디자인의 사용기간, 공급횟수 또는 소비횟수를 관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디자인 사용권한 관리부(230)는 특정 제2 디자인에 기간제 구매, 공급횟수 구매 또는 소비횟수 구매에 의해 결정된 DRM(Digital Right Management)을 부여하여 디자인 저장소(400)에 저장할 수 있다. 여기에서, DRM은 디지털 권리 관리로 특정 제2 디자인에 관해 결정된 구매로만 사용되도록 제한하는데 사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 디자인 사용권한 관리부(230)는 특정 제2 디자인에 관한 DRM의 유효성이 만료되면 사용자 단말(100)에 해당 구매의 연장 의사를 포함하는 재구매를 프롬프팅(Prompting)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디자인 사용권한 관리부(230)는 1년 기간제 구매가 결정된 특정 제2 디자인에 관해 구매일로부터 1년이 지나면 DRM의 유효성이 만료된 것으로 결정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100)에 해당 특정 제2 디자인에 대한 유효성 만료안내알림, 해당 구매의 연장 의사, 구매 변경 의사 등을 포함하는 재구매를 프롬프팅할 수 있다. 여기에서, 구매 변경 의사는 현재 결정된 구매에서 다른 구매로 변경하는 것에 해당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제2 디자인 사용권한 관리부(230)는 특정 제2 디자인에 관한 접근이 디자인 저장소(400)에 요청될 때마다 기간제 구매, 공급횟수 구매 또는 소비횟수 구매에 따라 접근의 허가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제2 디자인 사용권한 관리부(230)는 특정 제2 디자인이 소비횟수 구매에 의해 구매된 경우에는 접근이 특정 시간 이내에 동일한 인터넷 주소를 통해 요청되었는지 여부를 검출하여 그렇다면 최초의 접근만을 구매로 결정할 수 있고, 나머지 구매를 구매로 결정하지 않을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 디자인 사용권한 관리부(230)는 다른 사용자에 의한 특정 제2 디자인의 접근을 카운팅할 수 있고, 해당 접근이 특정시간 이내에 동일한 인터넷 주소를 통해 요청되었는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디자인 사용권한 관리부(230)는 다른 사용자에 의해 특정시간 동안 동일한 인터넷 주소를 통해 여러 번의 접근(예를 들어, 10회)들이 검출된 경우 최초의 접근 1회만을 구매로 결정할 수 있다.
제2 디자인 사용권한 관리부(230)는 특정 제2 디자인이 공급횟수 구매에 의해 구매된 경우에는 특정 시간 이내에 특정 제2 디자인의 공급이 취소되었는지를 검출하여 그렇다면 해당 공급횟수의 갱신을 번복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 디자인 사용권한 관리부(230)는 사용자에 의해 특정 제2 디자인이 포함된 SNS 게시글(또는 콘텐츠)이 작성되고, 특정 시간 이내에 해당 SNS 게시글이 삭제되면 특정 제2 디자인의 공급이 취소된 것으로 카운팅하여 해당 공급횟수의 갱신을 번복할 수 있다. 제2 디자인 사용권한 관리부(230)는 특정 제2 디자인을 임베딩한 콘텐츠의 삭제를 특정 제2 디자인의 공급 취소로 결정할 수 있다.
제2 디자인 사용권한 관리부(230)는 디자인 저장소(400)를 통해 제2 디자인의 사용기간, 공급횟수 또는 소비횟수를 관리하여 사용자가 제2 디자인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제2 디자인에 관한 사용권한을 관리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디자인 사용권한 관리부(230)는 사용자 또는 다른 사용자에 의해 특정 제2 디자인에 관한 무분별한 사용으로 공급횟수 또는 소비횟수가 감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어부(240)는 디자인 비용결제를 위한 디자인 통합 서비스 플랫폼 장치(1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제1 디자인 생성부(210), 제2 디자인 구매 추천부(220) 및 제2 디자인 사용권한 관리부(230) 간의 제어 흐름 또는 데이터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있는 디자인 비용결제를 위한 디자인 통합 서비스 플랫폼 장치에서 수행되는 디자인 비용결제 과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3에서, 제1 디자인 생성부(21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디자인 의뢰 비용을 수신할 수 있고, 디자인 객체 제작업체 단말(300)에 의하여 제작된 적어도 하나의 디자인 객체로 구성되고 사용자 단말(100)과의 인터랙션을 통해 결정되는 제1 디자인을 생성할 수 있다(단계 S310).
보다 구체적으로, 제1 디자인 생성부(210)는 적어도 하나의 디자인 객체에 관해 자동으로 가상 디자인을 생성할 수 있고, 생성된 가상 디자인을 사용자 단말(100)과의 인터랙션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디자인 객체의 레이아웃을 조절함으로써 제1 디자인을 완성할 수 있다.
제2 디자인 구매 추천부(220)는 제1 디자인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디자인 객체를 조절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2 디자인을 생성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100)에게 적어도 하나의 제2 디자인 중 일부에 관해 기간제 구매, 공급횟수 구매 또는 소비횟수 구매를 추천할 수 있다(단계 S320).
보다 구체적으로, 제2 디자인 구매 추천부(220)는 사용자 단말(100)에 적합한 구매를 결정할 수 있도록 기간제 구매, 공급횟수 구매 또는 소비횟수 구매를 추천할 수 있고, 사용자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디자인 중 일부에 관해 효율적인 구매를 할 수 있다.
제2 디자인 사용권한 관리부(230)는 특정 제2 디자인에 관해 기간제 구매, 공급횟수 구매 또는 소비횟수 구매가 결정되면 디자인 저장소(400)에 제2 디자인을 저장할 수 있고, 제2 디자인의 사용기간, 공급횟수 또는 소비횟수를 관리할 수 있다(단계 S330).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디자인 비용결제를 위한 디자인 통합 서비스 시스템
100: 사용자 단말
200: 디자인 비용결제를 위한 디자인 통합 서비스 플랫폼 장치
210: 제1 디자인 생성부 220: 제2 디자인 구매 추천부
230: 제2 디자인 사용권한 관리부 240: 제어부
300: 디자인 객체 제작업체 단말
400: 클라우드 데이터베이스

Claims (15)

  1. 사용자 단말로부터 디자인 의뢰 비용을 수신하고, 디자인 객체 제작업체 단말에 의하여 제작된 적어도 하나의 디자인 객체로 구성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과의 인터랙션을 통해 결정되는 제1 디자인을 생성하는 제1 디자인 생성부;
    상기 제1 디자인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디자인 객체를 조절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2 디자인을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디자인 중 일부에 관해 기간제 구매, 공급횟수 구매 또는 소비횟수 구매를 추천하는 제2 디자인 구매 추천부; 및
    특정 제2 디자인에 관해 상기 기간제 구매, 공급횟수 구매 또는 소비횟수 구매가 결정되면 디자인 저장소에 상기 제2 디자인을 저장하고, 상기 제2 디자인의 사용기간, 공급횟수 또는 소비횟수를 관리하는 제2 디자인 사용권한 관리부를 포함하는 디자인 비용결제를 위한 디자인 통합 서비스 플랫폼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자인 생성부는
    상기 제1 디자인의 생성 전에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의하여 생성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자인 객체를 서술한 디자인 디스크립션을 상기 디자인 객체 제작업체 단말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자인 비용결제를 위한 디자인 통합 서비스 플랫폼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자인 생성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자인 객체에 관해 가상 디자인을 자동으로 생성하고, 상기 인터랙션을 통해 상기 가상 디자인에 있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자인 객체의 레이아웃을 조절하여 상기 제1 디자인을 완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자인 비용결제를 위한 디자인 통합 서비스 플랫폼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디자인 구매 추천부는
    상기 제1 디자인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디자인 객체를 SNS(Social Network Service) 게시글에 관한 SNS 동적 템플릿에 자동으로 적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자인 비용결제를 위한 디자인 통합 서비스 플랫폼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디자인 구매 추천부는
    상기 SNS 게시글의 내용을 분석하여 해당 내용에 따른 테마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테마에 따라 상기 SNS 동적 템플릿으로부터 파생된 SNS 정적 템플릿에 상기 SNS 게시글을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자인 비용결제를 위한 디자인 통합 서비스 플랫폼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디자인 구매 추천부는
    아래의 수학식에 의해 상기 테마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자인 비용결제를 위한 디자인 통합 서비스 플랫폼 장치.
    [수학식]
    T = ∑ Distance(W | STDword) / Tword
    상기 T : 상기 테마를 결정하는 인덱스로서, 상기 SNS 게시글의 내용에 있는 단어 각각에 대한 합산에 의해 결정되며, 상기 인덱스는 1에 가까울수록 흥분되고 -1에 가까울수록 차분함
    상기 Distance (A|B) : 대상 단어(상기 A)에 관해 기준 단어 집합(상기 B) 중 하나로부터 떨어진 흥분 또는 차분의 정도로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획득되며, 상기 흥분에 따른 최대값은 1이고, 상기 차분에 따른 최대값은 -1에 해당함
    상기 STDword : 기준 단어 집합
    상기 W : 상기 SNS 게시글의 내용에 있는 단어
    상기 Tword : 상기 SNS 게시글의 내용에 있는 단어의 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디자인 사용권한 관리부는
    상기 특정 제2 디자인에 상기 기간제 구매, 공급횟수 구매 또는 소비횟수 구매에 의해 결정된 DRM(Digital Right Management)을 부여하여 상기 디자인 저장소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자인 비용결제를 위한 디자인 통합 서비스 플랫폼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디자인 사용권한 관리부는
    상기 특정 제2 디자인에 관한 상기 DRM의 유효성이 만료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에 해당 구매의 연장 의사를 포함하는 재구매를 프롬프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자인 비용결제를 위한 디자인 통합 서비스 플랫폼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디자인 사용권한 관리부는
    상기 특정 제2 디자인에 관한 접근이 상기 디자인 저장소에 요청될 때마다 상기 기간제 구매, 공급횟수 구매 또는 소비횟수 구매에 따라 상기 접근의 허가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자인 비용결제를 위한 디자인 통합 서비스 플랫폼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디자인 사용권한 관리부는
    상기 특정 제2 디자인이 상기 소비횟수 구매에 의해 구매된 경우에는 상기 접근이 특정 시간 이내에 동일한 인터넷 주소를 통해 요청되었는지 여부를 검출하여 그렇다면 최초의 접근만을 상기 구매로 결정하고 나머지 구매를 상기 구매로 결정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자인 비용결제를 위한 디자인 통합 서비스 플랫폼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디자인 사용권한 관리부는
    상기 특정 제2 디자인이 상기 공급횟수 구매에 의해 구매된 경우에는 특정 시간 이내에 상기 특정 제2 디자인의 공급이 취소되었는지를 검출하여 그렇다면 해당 공급횟수의 갱신을 번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자인 비용결제를 위한 디자인 통합 서비스 플랫폼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디자인 사용권한 관리부는
    상기 특정 제2 디자인을 임베딩한 콘텐츠의 삭제를 상기 특정 제2 디자인의 공급 취소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자인 비용결제를 위한 디자인 통합 서비스 플랫폼 장치.
  13. (a) 사용자 단말로부터 디자인 의뢰 비용을 수신하고, 디자인 객체 제작업체 단말에 의하여 제작된 적어도 하나의 디자인 객체로 구성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과의 인터랙션을 통해 결정되는 제1 디자인을 생성하는 단계;
    (b) 상기 제1 디자인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디자인 객체를 조절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2 디자인을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디자인 중 일부에 관해 기간제 구매, 공급횟수 구매 또는 소비횟수 구매를 추천하는 단계; 및
    (c) 특정 제2 디자인에 관해 상기 기간제 구매, 공급횟수 구매 또는 소비횟수 구매가 결정되면 디자인 저장소에 상기 제2 디자인을 저장하고, 상기 제2 디자인의 사용기간, 공급횟수 또는 소비횟수를 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자인 비용결제를 위한 디자인 통합 서비스 플랫폼 장치에서 수행되는 디자인 비용결제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제1 디자인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디자인 객체를 SNS(Social Network Service) 게시글에 관한 SNS 동적 템플릿에 자동으로 적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자인 비용결제를 위한 디자인 통합 서비스 플랫폼 장치에서 수행되는 디자인 비용결제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특정 제2 디자인에 상기 기간제 구매, 공급횟수 구매 또는 소비횟수 구매에 의해 결정된 DRM(Digital Right Management)을 부여하여 상기 디자인 저장소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특정 제2 디자인에 관한 접근이 상기 디자인 저장소에 요청될 때마다 상기 기간제 구매, 공급횟수 구매 또는 소비횟수 구매에 따라 상기 접근의 허가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자인 비용결제를 위한 디자인 통합 서비스 플랫폼 장치에서 수행되는 디자인 비용결제 방법.
KR1020160184055A 2016-12-30 2016-12-30 디자인 비용결제를 위한 디자인 통합 서비스 플랫폼 장치 KR1019554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4055A KR101955487B1 (ko) 2016-12-30 2016-12-30 디자인 비용결제를 위한 디자인 통합 서비스 플랫폼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4055A KR101955487B1 (ko) 2016-12-30 2016-12-30 디자인 비용결제를 위한 디자인 통합 서비스 플랫폼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8847A true KR20180078847A (ko) 2018-07-10
KR101955487B1 KR101955487B1 (ko) 2019-06-24

Family

ID=629156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84055A KR101955487B1 (ko) 2016-12-30 2016-12-30 디자인 비용결제를 위한 디자인 통합 서비스 플랫폼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548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6380A (ko) * 2000-04-19 2001-11-07 신광승 컨텐츠 재 판매 엔진과 이를 이용한 컨텐츠 재 판매 방법
KR20030070164A (ko) 2002-02-21 2003-08-29 지유아이디자인 주식회사 네트워크 기반의 디자인 서비스 중개방법
KR20070117326A (ko) * 2006-06-08 2007-12-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권한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40145645A (ko) * 2013-06-13 2014-12-24 주식회사 케이티 Sns 분석 데이터를 활용한 실시간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서버 및 디바이스
KR101660267B1 (ko) 2015-07-22 2016-09-27 김형준 디자이너와 기업을 연결하는 디자인 중개 서비스 제공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6380A (ko) * 2000-04-19 2001-11-07 신광승 컨텐츠 재 판매 엔진과 이를 이용한 컨텐츠 재 판매 방법
KR20030070164A (ko) 2002-02-21 2003-08-29 지유아이디자인 주식회사 네트워크 기반의 디자인 서비스 중개방법
KR20070117326A (ko) * 2006-06-08 2007-12-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권한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40145645A (ko) * 2013-06-13 2014-12-24 주식회사 케이티 Sns 분석 데이터를 활용한 실시간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서버 및 디바이스
KR101660267B1 (ko) 2015-07-22 2016-09-27 김형준 디자이너와 기업을 연결하는 디자인 중개 서비스 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5487B1 (ko) 2019-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54186B2 (en) System and method for effectuating data countermeasures
KR101960877B1 (ko) 3d 프린팅에서의 연합 프린터 액세스 기법
US8706560B2 (en) Community based network shopping
US20070239552A1 (en) Community based network shopping
US11108775B2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increasing website relevance while protecting privacy
Hagberg et al. Digitalized markets
US20230306500A1 (en) Product release system, method and device having a customizable prepurchase function
US20170262914A1 (en) Online marketplace for wholesale deals
JPWO2019035459A1 (ja) 情報流通方法、情報流通サーバ装置、端末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9760552B2 (en) Document renewal and translation
KR101950908B1 (ko) 디자인 의뢰를 위한 디자인 통합 서비스 플랫폼 장치
US20170278205A1 (en) Digital Rights Management using Organizational Associations
KR20120009737A (ko) 출판 시스템 및 방법
KR101955487B1 (ko) 디자인 비용결제를 위한 디자인 통합 서비스 플랫폼 장치
JP6872269B2 (ja) インターネットショッピングモール管理方法
US11334907B1 (en) Structured fine print
KR20130052951A (ko) 상호 간의 상생 협력을 위한 이사 포털 서버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634635B1 (ko) Nft를 활용한 사용자 서비스 제공 장치, 서버 및 방법
US20150254741A1 (en) Computer based procurement system and method
KR101857258B1 (ko) 디자인 제작을 위한 디자인 통합 서비스 플랫폼 장치
KR20130089983A (ko) 유무선 데이터 통신 기반의 디자인 등록, 제품 생산 및 수익분배를 위한 오픈형 통합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20220040541A (ko) 고객 전용 쇼핑 웹사이트 운영 방법
KR20220106881A (ko) 고객 전용 마케팅 웹사이트 운영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