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96380A - 컨텐츠 재 판매 엔진과 이를 이용한 컨텐츠 재 판매 방법 - Google Patents

컨텐츠 재 판매 엔진과 이를 이용한 컨텐츠 재 판매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96380A
KR20010096380A KR1020000020529A KR20000020529A KR20010096380A KR 20010096380 A KR20010096380 A KR 20010096380A KR 1020000020529 A KR1020000020529 A KR 1020000020529A KR 20000020529 A KR20000020529 A KR 20000020529A KR 20010096380 A KR20010096380 A KR 200100963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purchaser
engine
contents
websi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05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65683B1 (ko
Inventor
신광승
Original Assignee
신광승
(주) 코리아컨텐츠네트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광승, (주) 코리아컨텐츠네트워크 filed Critical 신광승
Priority to KR10200000205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5683B1/ko
Publication of KR200100963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63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56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56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07F11/36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the magazines are of helical or spiral form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07F11/04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magazines the articles are stored one vertically above the other
    • G07F11/1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magazines the articles are stored one vertically above the other two or more magazines having a common delivery chut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006Details of the software used for the vending machin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터넷상에서 웹사이트(web site)를 운영하며 필요한 컨텐츠를 구매하고자 하는 컨텐츠 구매자가 컨텐츠(content) 구입을 원하는 업체의 웹사이트에서 필요한 컨텐츠를 선택하면 선택된 컨텐츠를 컨텐츠 구매자의 웹사이트 디자인의 틀(template)에 맞게 자동으로 디자인해서 마치 컨텐츠 구매자의 사이트의 일부분인 것 처럼 보이게 해주는 컨텐츠를 컨텐츠 구매자에게 제공하는 B2B 엔진(Business to Business Engine)과 이를 이용한 컨텐츠 재 판매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컨텐츠 구매자가 원하는 정보만을 선별하여 컨텐츠 구매자의 웹사이트에 맞게 디자인을 바꾸어서 맞춤 정보 제공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시스템 자체에서 디자인 변경을 자동으로 지원하기 때문에, 정보를 판매하고자 할 때, 빠른 시간내에 컨텐츠 구매자의 요구에 맞춰서 신속하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을 뿐 아니라, CP(content provider)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새로운 시스템을 구축할 필요 없이 정보 소유자가 시스템에 입주하여 시스템을 통하여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개발비와 개발시간 및 유지보수 인력과 비용을 절감함으로써, CP 업체로 하여금 빠른 시일내에 양질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인프라를 제공해주는 장점이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Description

컨텐츠 재 판매 엔진과 이를 이용한 컨텐츠 재 판매 방법 {Business to Business Engine and Content Resale method Which use B2B Engine}
본 발명은 인터넷상에서 웹사이트(web site)를 운영하며 컨텐츠 구매를 원하는 컨텐츠 구매자가 컨텐츠(content) 구입을 원하는 업체의 웹사이트에서 필요한 컨텐츠를 선택하면 선택된 컨텐츠를 컨텐츠 구매자의 웹사이트 디자인의 틀(template)에 맞게 자동으로 디자인해서 마치 컨텐츠 구매자의 웹사이트의 일부분인 것 처럼 보이게 해주는 컨텐츠를 컨텐츠 구매자에게 제공하는 B2B엔진과 이를 이용한 컨텐츠 재 판매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들어 인터넷 사용자는 기하 급수적으로 늘고 있는 추세이다. 이미 인터넷 사용자는 전세계적으로 2 억명을 넘어서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그 사용자의 수가 천만명에 육박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그리고, 이런 수많은 인터넷 사용자들이 만들어 내는 웹사이트들의 수는 측정이 불가능 할 정도이다.
이런 가운데, 인터넷 사용자들은 인터넷 상에서 각자가 관심을 가진 컨텐츠들을 다양하게 확보하기를 원하고 이런 요구에서 컨텐츠 보유자의 보유 내용중 구매자가 요구하는 컨텐츠의 내용을 구매자의 요구 및 디자인의 내용에 따라 컨텐츠를 변경하는 방식으로 판매하는 컨텐츠 개발 판매 방식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존의 컨텐츠 개발 판매 방식은 컨텐츠 판매자에게있어서, 구매자의 요구에 맞게 컨텐츠 변경하는 것이 실제로는 새로운 컨텐츠를 개발하는 것 보다 효율이 떨어졌다. 또한, 컨텐츠 구매자에게는, 자신에게 필요하지 않은 부분(database)도 구매를 하여야 하는 부담과 시간적인 손실을 가져온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컨텐츠의 재사용이 가능하게 하고, 컨텐츠 구매자의 웹사이트의 디자인에 맞게 시스템 자체에서 디자인 변경을 자동으로 지원하여 제공된 컨텐츠가 마치 컨텐츠 구매자의 웹사이트의 일부인 것 처럼 서비스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컨텐츠 구매자가 자신의 웹사이트를 통해 서비스하고자 하는 컨텐츠를 제공 받을 때 마치, 백화점 물품 카탈로그를 보는 듯이 고를 수 있도록 하고, 모든 기능을 웹 기반의 인터페이스로 제공함으로써 컨텐츠 구매자의 편이를 극대화 시키는 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B2B(business to business) 엔진을 이용한 컨텐츠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B2B 엔진을 이용한 컨텐츠 재 판매 방법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B2B 엔진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B2B 엔진의 카탈로그 기능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B2B 엔진의 통계기능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구매자의 사이트 디자인 스킨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와 사이트 디자인 스킨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최종적으로 컨텐츠 구매자에게 제공되는 컨텐츠의 예시도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컨텐츠(content) 서비스 제공 업체와 컨텐츠 구매자간에 어떤 서비스를 리포스팅(reposting) 할 것인지 컨텐츠 구매자가 선택한 후, 일정 기간동안 단위로 컨텐츠 리포스팅 라이센스(license)를 체결하는 단계와; 컨텐츠 서비스 제공 업체의 B2B(business to business)엔진(CASP : Content Application Service Provider)관리자가 상기 라이센스의 내용을 B2B 엔진 에 등록 하는 단계와; 컨텐츠 구매자 자신이 운영하는 웹사이트의 디자인의 기본 틀(template)을 각 섹션별로 컨텐츠 서비스 제공 업체에 보내고 컨텐츠 서비스 제공 업체의 B2B 엔진 관리자가 이를 B2B 엔진에 등록하는 단계와; 상기 B2B엔진이 등록된 컨텐츠 구매자의 웹사이트의 섹션별 디자인 기본 틀과 컨텐츠 구매자가 상기 선택한 컨텐츠를 자동으로 결합하는 단계와; 컨텐츠 구매자가 자신의 웹사이트에 계약한 컨텐츠를 제공받아 링크(link)하여 인터넷 사용자들에게 서비스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우선,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어지는 몇가지 필요한 용어에 대해 설명한다.
공급자 : 매체를 소유하면서 컨텐츠에 대한 원시 자료(source data)를 공급하는 자.
컨텐츠 구매자 : 컨텐츠를 서비스하는 컨텐츠 서비스 제공 업체와 라이센스(license)계약을 하여 컨텐츠 서비스 제공 업체로부터 제공 받은 컨텐츠들을 자신의 사이트에 링크(link)하여 이를 인터넷 사용자(네티즌 : netizen)들에게서비스 하는 자.
컨텐츠 서비스 제공 업체 : B2B엔진 운영하면서 공급자에게서 컨텐츠를 받아 가공하여 컨텐츠 구매자에게 재 판매하는 업체.
인터넷 사용자(네티즌 : netizen) : 컨텐츠 구매자의 웹사이트를 통해서 해당 컨텐츠를 읽고, 사용하는 자.
B2B(CASP : Content Application Service Provider)서버 : 컨텐츠 재 판매 서비스를 제공해주는 시스템의 서버.
원시자료(source data) : Quark 또는 텍스트(text)등으로 이루어진 컨텐츠 자료의 원본.
기본데이타 : 링크 서비스에 사용되기 위한 컨텐츠의 내용으로, HTML에서 BODY 부분과, 디자인(design) 부분을 떼어낸 순수 컨텐츠 내용 부분의 HTML 문서 데이터.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각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B2B 엔진을 이용한 컨텐츠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B2B 엔진을 이용한 컨텐츠 재 판매 방법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B2B 엔진(100)을 이용한 컨텐츠 서비스 방법은, 인터넷(600) 상에서 웹사이트를 운영하며 필요한 컨텐츠를 구매하고자 하는 컨텐츠 구매자(200)가 컨텐츠를 구매하기 위해 컨텐츠 서비스 제공 업체의 B2B 엔진(100)의 컨텐츠 카탈로그(catalog)기능에서 자신의 웹사이트에 필요한 컨텐츠들을 선택하고, 어느 정도의 기간까지의 컨텐츠를 이용할 것 인지를 선택한다(S1). 상기 선택된 컨텐츠의 종류와 컨텐츠의 범위를 결정하면, 컨텐츠 서비스 제공 업체(10)와 언제까지 컨텐츠 제공 서비스를 받을 것인지에 대하여 라이센스(license) 계약을 체결한다(S2). 이어서, 컨텐츠 서비스 제공 업체(10)의 B2B엔진의 관리자(120)가 상기 라이센스의 내용을 B2B 엔진(100)에 등록한다(S3). 이렇게, 라이센스를 등록하면, 컨텐츠 구매자(200)는 컨텐츠 서비스 제공 업체(10)로 부터 라이센스를 얻은 컨텐츠를 라이센스가 체결된 기간동안 자신의 웹사이트에 링크시켜 자신의 사이트처럼 인터넷 사용자들에게 서비스 할 수 있다. 한편, 컨텐츠 구매자(200)는 라이센스가 체결됨과 동시에 자신의 웹사이트의 섹션별 디자인 틀(사이트 디자인 스킨 : site design skin)을 컨텐츠 서비스 제공 업체(10)로 보내고, 컨텐츠 서비스 제공 업체의 B2B 엔진 관리자(120)는 컨텐츠 구매자(200)로부터 받은 컨텐츠 구매자(200)의 웹사이트의 섹션별 디자인 틀(사이트 디자인 스킨)을 B2B 엔진(100)에 등록한다(S4). 이어서, B2B 엔진(100)은 컨텐츠 구매자(200)가 자신의 웹사이트에 상기 선택된 컨텐츠들을 링크 할 때, 기본 컨텐츠 내용에 컨텐츠 구매자의 웹사이트의 디자인을 적용시키기 위해서 상기 컨텐츠 구매자(200)로 부터 받은 컨텐츠 구매자(200)의 웹사이트의 섹션별 디자인 틀(사이트 디자인 스킨)에 상기 컨텐츠 구매자(200)가 선택한 컨텐츠들의 내용을 입혀서(S5), 컨텐츠 구매자(200)의 웹사이트에 출력함으로써, 링크된 컨텐츠가 마치 자신의 웹사이트인 것 처럼 나타낼 수 있고 상기 링크된 컨텐츠를 인터넷 사용자(netizen)(400)들에게 서비스 한다(S6).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B2B 엔진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B2B 엔진(100)은 외부와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게 하여주는 외부 통신 인터페이스부(102)와, 컨텐츠를 공급하는 공급자(300)가 공급한 컨텐츠의 원시자료를 가공하여 HTML로 작성한 기본테이타를 입력할 수 있는 기본데이타 입력부(106)와, 컨텐츠를 구매하고자 하는 컨텐츠 구매자(200)가 구매하고자 하는 컨텐츠를 선택 할 수 있는 컨텐츠 선택부(103)와, 컨텐츠 구매자(200)와의 라이센스 계약 내용을 등록 할 수 있는 라이센스 계약 등록부(105)와, 상기 컨텐츠 구매자(200)의 웹사이트의 디자인 틀을 입력 할 수 있는 사이트 디자인 스킨 입력부(104)와, 보유하고 있는 컨텐츠들을 저장하고 있는컨텐츠 데이터베이스(111)와, 컨텐츠 구매자(200)와의 라이센스 계약 정보와 컨텐츠 구매자(200)의 신상정보를 저장하는 라이센스 데이터베이스(112)와, 컨텐츠 구매자(200)의 사이트 디자인 스킨들을 저장하는 사이트 디자인 스킨 데이타베이스(110)와, 컨텐츠 구매자(200)가 선택한 컨텐츠 내용과 사이트 디자인 스킨 데이터베이스(110)에 저장된 컨텐츠 구매자(200)가 운영하는 웹사이트의 섹션별 디자인 틀을 결합하는 연산기능과 B2B 엔진(100)의 제어기능을 가진 중앙처리부(101)와; 상기 중앙처리부(101)에서 출력된 컨텐츠 구매자(200)의 웹사이트의 섹션별 디자인 틀과 결합된 컨텐츠를 상기 컨텐츠 구매자(200)의 웹사이트로 출력시키는 출력부(10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컨텐츠 서비스 제공 업체(10)는 공급자(300)로 부터 원시 자료를 넘겨 받는다. 이어서, 컨텐츠 서비스 제공 업체(10)는 공급자(300)로 부터 제공된 원시자료 중에 양질의 내용을 제공하는 컨텐츠만을 선별 및, 분류하고, 상기 선별 및, 분류된 원시자료의 내용을 가공하여, HTML 형식을 사용하는 기본데이타로 작성한다. 이어서, 컨텐츠 서비스 제공 업체(10)의 B2B 엔진 관리자(120)는 가공된 기본데이타를 B2B 엔진(100)의 기본 테이타 입력부(106)을 통하여 등록정보(매체의 종류, 컨텐츠의 종류, 등록날짜, 기사 요약, 제목 등)와 함께 B2B 엔진(100)에 등록한다.
한편, 컨텐츠 구매자(200)는 자신이 운영하는 웹사이트에 링크 하고자 하는 매체들을 B2B 엔진(100)의 컨텐츠 선택부(103)의 카탈로그 기능을 이용해서 선택한다. (예를 들어, A 잡지, B 잡지, C 잡지, D 신문, E 신문 등의 컨텐츠 매체가 있을 때, 그중에서 A 잡지와 E 신문의 컨텐츠 내용만 서비스 받고자 할 때는 이 두가지만 선택 한다.) 또는, 매체별로 서비스를 원하는 것이 아니라, 컨텐츠의 종류(예를 들어, 패션, 게임, 미용, 육아정보 등) 중에서 서비스 받고자 하는 컨텐츠의 종류 만을 선택 한다.
도 4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B2B 엔진의 카탈로그 기능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카탈로그 기능은, 컨텐츠 구매자가 컨텐츠의 종류들을 선택할 때, 화면 위의 매체 선택 화면(106-a)을 통해서 매체를 선택하거나, 또는, 컨텐츠의 종류를 선택하면, 아래의 컨텐츠 리스트 화면(106-b)이 나오게 되고, 상기 컨텐츠 리스트 화면을 통해서 컨텐츠 구매자는 자신이 선택한 매체에 주로 어떤 내용이 들어 있는지를 볼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컨텐츠 리스트 화면을 통해서 자신이 원하는 컨텐츠가 있는 지를 제목별, 내용별, 및, 등록일별로 검색(106-c) 할 수 있다.
컨텐츠 종류 선택이 끝나면, 컨텐츠 구매자(200)는 컨텐츠 기간 범위를 설정한다.(예를 들어 패션 컨텐츠 기사를 이번달 부터 3달전 까지의 기사만 서비스 받고자 한다면, 컨텐츠의 기간 범위를 3개월 전에서 현재 까지로 설정한다.)
컨텐츠 구매자(200)가 컨텐츠의 종류와 상기 컨텐츠의 기간 범위를 결정(S1)하면, 컨텐츠 서비스 제공 업체(10)와 언제까지 서비스를 받을 것인지에 대하여 사용 라이센스 계약을 체결(S2)한다. 이때, 상기 라이센스의 개념은, 컨텐츠 서비스 제공 업체(10)로부터 원하는 컨텐츠를 컨텐츠 구매자(200) 자신의 웹사이트에 링크하고자 할 때, 그 링크를 할 수 있는 권리를 일정 기간 단위로 계약한 권리 계약이다. 컨텐츠 구매자(200)는 라이센스 계약 기간 중에만 자신의 웹사이트에 계약된 컨텐츠를 링크하여 서비스할 수 있으며, 라이센스 계약 기간이 지난 후에는 링크된 부분에 컨텐츠가 나오는 것이 아니라, 링크 기간이 만료 되었다는 메시지가 나타나게 된다.
한편, 컨텐츠 구매자(200)가 상기 라이센스 계약을 하고자 할 때, 필수 입력 사항이 몇가지 있다.
첫 번째는, 계약 기간이다. 계약 기간은 정확히 며칠 부터 며칠 까지, 라이센스 계약이 체결된 컨텐츠를 링크할 수 있는 지를 나타내는 기간이며, 계약 기간이 지난 후에, 링크한 컨텐츠를 보려고 하는 경우, 기간 만료 오류 메시지가 출력 된다. 또, 상기 라이센스 계약 기간은 컨텐츠의 매체나 컨텐츠의 종류별로 각각 따로 설정 할 수 있다.(예를 들어, 패션은 2개월간 계약을, 유아는 7 개월간 계약을 할 수 있다.)
두 번째는, 컨텐츠의 종류이다. 컨텐츠는 매체별, 종류별로 구분된다. A, B, C 라는 잡지가 있으면, 이것은 매체별 종류가 되며, 패션, 미용, 육아 라는 종류가 있으면, 이것은 컨텐츠별 종류가 된다. 컨텐츠 구매자는 자신의 취향에 따라, 라이센스를 취득 할 때, 원하는 매체만을 선택하거나, 원하는 컨텐츠의 종류를 선택하는 두 종류의 라이센스 중 원하는 한가지를 선택 할 수 있다.
세 번째는, 컨텐츠의 양이다. 컨텐츠의 종류에 따라, 매달 또는, 매주일 또는, 매일 마다 일정량이 업데이트 된다. 컨텐츠 구매자는 라이센스 계약을 할 때, 서비스 중인 현재부터 과거로 몇 달 전의 컨텐츠까지 자신이 사용 할 수 있을 지를 결정을 할 수 있으므로, 컨텐츠 구매자가 사용 가능한 컨텐츠의 양을 결정 할 수 있다.(예를 들면, 월간지의 경우, 현재부터 3 개월 전 내용까지 사용한다는 식의 범위를 설정 할 수 있다.)
상기 라이센스 계약이 체결되면, 이어서, 컨텐츠 서비스 제공 업체(10)의 B2B 엔진 관리자(120)는 컨텐츠 구매자와의 라이센스 계약 내용을 B2B 엔진의 라이센스 계약 모듈을 통하여 B2B 엔진에 라이센스를 등록하고(S3) 이는 B2B 엔진(100) 내의 중앙처리부(101)에 의해 라이센스 데이터베이스(112)에 저장된다. 상기와 같이 B2B 엔진(100)에 컨텐츠 구매자(200)의 라이센스 계약의 내용이 등록되면 컨텐츠 구매자(200)는 상기 라이센스 계약에 해당하는 컨텐츠들을 해당기간동안 링크하여 자신의 웹사이트처럼 인터넷 사용자(400)들에게 서비스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구매자의 사이트 디자인 스킨에 대한 예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와 사이트 디자인 스킨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최종적으로 컨텐츠 구매자에게 제공되는 컨텐츠의 예시도이다.
컨텐츠 구매자(200)는 자신의 웹사이트의 사이트 디자인 스킨(site design skin)(150)을 컨텐츠 서비스 제공 업체(10)로 보내고, 컨텐츠 서비스 제공 업체(10)의 B2B 엔진(100)의 관리자(120)는 컨텐츠 구매자(200)에게서 제공된 컨텐츠 구매자(200)의 사이트 디자인 스킨(site design skin)(150)을 사이트 디자인 스킨 입력부(104)을 통하여 B2B 엔진(100)에 등록 시키면(S4) B2B 엔진(100) 내의 중앙처리부(101)는 이를 사이트 디자인 스킨 데이터베이스(110)에 저장한다. 이어서, 컨텐츠 구매자(200)가 자신의 웹사이트에 상기 라이센스 계약이 등록된 컨텐츠를 링크할 때, B2B 엔진의 중앙처리부(101)는 기본 컨텐츠(140) 내용에 컨텐츠 구매자의 웹사이트의 디자인을 적용하기 위해서, 컨텐츠 구매자(200)가 선택한 컨텐츠(140)에 상기 컨텐츠 구매자(200)의 사이트 디자인 스킨(site design skin)(150)을 입혀서(S5) 컨텐츠 구매자(200)의 웹사이트에 상기 사이트 디자인 스킨(150)이 입혀진 컨텐츠(160)를 출력부(107)을 통해서 출력하므로써, 컨텐츠(160)가 마지 고객의 웹사이트인 것 처럼 나타낼 수 있다(S6).
한편, 상기 컨텐츠 구매자의 사이트 디자인 스킨(150)을 입힐 때, 각 매체별이나, 각 컨텐츠의 종류별로 따로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패션 컨텐츠는 컨텐츠 구매자의 사이트 디자인 스킨 A 를 적용하여 출력하고, 육아 컨텐츠는 컨텐츠 구매자의 사이트 디자인 스킨 B 를 적용하여 출력 할 수 있다.)
만약, 라이센스 계약기간이 경과된 내용이나, 라이센스 계약이 성립되지 않은 컨텐츠에 대한 링크 서비스를 컨텐츠 구매자(200)가 자신의 웹사이트에 링크하여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할 때는 B2B 엔진(100)이 자동으로 컨텐츠 구매자(200)의 웹사이트와 상기 라이센스 계약이 성립되지 않은 컨텐츠간의 접속을 차단하므로써 에러 메시지가 뜨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B2B 엔진의 통계기능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텐츠 구매자(200)가 B2B 엔진(100)을 통해 출력된 컨텐츠들을 링크시켜 인터넷 사용자(netizen)(400)에게 서비스할 때 B2B엔진은 각각의 컨텐츠 별로, 접속 통계를 자동으로 체크하고 컨텐츠의 일별, 월별 접속 통계를 그래프 형식으로 고객에게 통계기능을 제공한다(130). 이를 통해서, 컨텐츠 구매자(200)는 자신이 선택하여 서비스중인 컨텐츠의 방문자의 성향 분석을 하여 향후 컨텐츠의 제공의 방향과 사이트 운영 방한을 결정하는 기본 자료로 사용 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기술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첨부된 청구 범위에 정의된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을 여러 가지로 변형 또는,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앞으로의 실시예들의 변경은 본 발명의 기술을 벗어날 수 없을 것이다.
이와 같이, 본 컨텐츠 재 판매 엔진을 이용한 컨텐츠 서비스 방법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장점들이 있다.
첫째는, 효율적인 컨텐츠의 판매가 가능하다. 컨텐츠 구입을 원하는 컨텐츠 구매자의 웹사이트에 맞게 디자인을 바꾸어서 컨텐츠 구매자가 원하는 정보만을 선별하여 맞춤 정보 제공 서비스를 제공는데 있어서, B2B 엔진이 디자인 변경을 자동으로 지원하기 때문에, 컨텐츠를 판매하고자 할 때 빠른 시간내에 고객의 요구에 맞춰서 신속하게 정보를 제공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는, 지술과 자본의 부담이 경감된다. CP(content provider)정보를 제공하기 위해서 새로운 시스템을 구축할 필요 없이 정보 소유자가 B2B엔진에 입주하여 B2B엔진을 통하여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개발비와 개발 시간 및, 유지 보수 인력과 비용을 절감하므로써, CP업체로 하여금 빠른 시일내에 양질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인프라를 제공한다.
셋째는, CP 표준을 제공 한다는 것이다. 각각의 CP정보를 제공하는 업체별로 정보를 제공하는 웹 문서 포맷이 다르고 시스템이 각각 다르기 때문에 컨텐츠를 재 판매 하거나 다른 시스템으로 포팅하고자 할 때, 다시 컨텐츠를 사용하고자하는 시스템에 맞도록 재 가동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컨텐츠의 시스템과 문서 포맷을 표준화 하므로써, 영문화권을 비롯한 좀더 많은 곳에 정보를 재 판매 할 수 있고 표준에 따라 컨텐츠를 재 사용 하므로써, 컨텐츠 판매 시장을 넓힐 수 있다.
넷째, 컨텐츠를 카탈로그화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컨텐츠를 하나의 공통된 시스템에 집적함으로써, 컨텐츠 백화점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통합 시스템에서 서비스를 제공중인 업체의 컨텐츠의 내용을 카탈로그화 하므로써, 상품을 고르듯이 필요한 컨텐츠를 골라서, 해당 업체로 부터 정보를 제공 받을 수 있다. 즉, 컨텐츠를 필요로 하는 최종 사용자나 또는 컨텐츠를 리포스팅하려는 업체의 경우, 모여 있는 컨텐츠 중에서 필요한 컨텐츠를 선택하여 해당 컨텐츠를 가지고 있는 CP업체에 개별 접촉하여 빠른 시간내에 원하는 컨텐츠를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4)

  1. 인터넷 상에서 컨텐츠(Content)를 재 판매 하는 방법에 있어서,
    인터넷 상에서 웹서비스(Web Service)를 운영하며 컨텐츠 구매를 원하는 컨텐츠 구매자가 컨텐츠 서비스 제공 업체의 B2B 엔진(Business to Business Engine)에서 자신이 운영하는 상기 웹사이트에 필요한 컨텐츠의 종류와 컨텐츠의 범위를 선택하는 제 1단계;
    상기 컨텐츠 구매자가 상기 컨텐츠 서비스 제공 업체로부터 상기 제 1단계 에서 선택한 상기 컨텐츠 종류와 상기 컨텐츠 범위에 대해서 컨텐츠 제공 서비스를 언제까지 서비스 받을 것인지에 대하여 상기 컨텐츠 서비스 제공 업체와 라이센스(License) 계약을 체결하는 제 2단계;
    상기 컨텐츠 서비스 제공 업체의 상기 B2B 엔진의 관리자가 상기 라이센스 계약의 내용을 상기 B2B엔진에 등록하는 제 3단계;
    상기 컨텐츠 구매자가 자신이 운영하는 웹사이트의 섹션별 디자인 틀(Template)을 상기 컨텐츠 서비스 제공 업체로 보내고, 상기 컨텐츠 서비스 제공 업체의 상기 B2B 엔진 관리자는 상기 컨텐츠 구매자로부터 받은 상기 컨텐츠 구매자의 웹사이트의 섹션별 디자인 틀을 상기 B2B 엔진에 등록하는 제 4단계;
    상기 B2B엔진이 상기 컨텐츠 구매자가 선택한 컨텐츠에 상기 컨텐츠 구매자의 웹사이트의 상기 섹션별 디자인 틀을 입혀서 상기 컨텐츠 구매자의 웹사이트에 상기 섹션별 디자인 틀이 입혀진 컨텐츠를 출력하는 제 5단계;
    상기 컨텐츠 구매자가 컨텐츠 구매자 자신이 운영하는 웹사이트에 상기 제 5단계에서 상기 출력된 컨텐츠를 링크(Link)시켜 인터넷 사용자(Netizen)들에게 서비스하는 제 6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2B 엔진을 이용한 컨텐츠 재 판매 방법.
  2. 인터넷 상에서 컨텐츠를 재 판매하는 B2B(Business to Business)엔진에 있어서,
    외부와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게 하여주는 외부 통신 인터페이스부;
    컨텐츠 공급자가 공급한 컨텐츠의 원시자료를, 가공하여 HTML로 작성한 기본테이타를 입력할 수 있는 기본데이타 입력부;
    컨텐츠를 구매하는 컨텐츠 구매자가 구매하고자 하는 컨텐츠의 종류와 기간범위를 선택 할 수 있는 컨텐츠 선택부;
    상기 컨텐츠 구매자와 컨텐츠 서비스 제공 업체 간의 라이센스 계약 내용을 등록 할 수 있는 라이센스 계약 등록부;
    상기 컨텐츠 구매자가 운영하는 웹사이트의 디자인 틀을 입력 할 수 있는 사이트 디자인 스킨 입력부;
    상기 B2B 엔진이 보유하고 있는 컨텐츠를 저장하고 있는 컨텐츠 데이터베이스;
    상기 컨텐츠 구매자와 상기 컨텐츠 서비스 제공 업체 간의 라이센스 계약 정보를 저장하는 라이센스 데이터베이스;
    상기 컨텐츠 구매자의 디자인 틀들을 저장하는 사이트 디자인 스킨 데이터베이스;
    상기 컨텐츠 구매자가 선택한 컨텐츠 내용과 상기 사이트 디자인 스킨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컨텐츠 구매자가 운영하는 웹사이트의 섹션별 디자인 틀을 결합하는 연산기능과, 상기 B2B 엔진의 제어기능을 가진 중앙처리부;
    상기 중앙처리부에서 출력되는 상기 컨텐츠 구매자의 웹사이트의 상기 섹션별 디자인 틀과 결합된 상기 컨텐츠 구매자가 선택한 상기 컨텐츠를 상기 컨텐츠 구매자의 웹사이트로 출력시키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2B 엔진.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B2B 엔진은,
    상기 컨텐츠 구매자가 상기 B2B 엔진을 통해 상기 출력된 컨텐츠들을 링크시켜 인터넷 사용자에게 서비스할 때, 각각의 컨텐츠 별로 접속 통계를 자동으로 체크하고 컨텐츠의 일별, 월별 접속 통계를 그래프 형식으로 컨텐츠 구매자에게 제공하는 통계기능을 더 포함하는 것 특징으로 하는 B2B 엔진.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선택부는 컨텐츠를 구매하고자 하는 컨텐츠 구매자가 원하는 컨텐츠들을 카탈로그(catalog)식으로 선택 할 수 있는 카탈로그기능을 더 포함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2B 엔진.
KR1020000020529A 2000-04-19 2000-04-19 컨텐츠 재 판매 엔진과 이를 이용한 컨텐츠 재 판매 방법 KR1003656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0529A KR100365683B1 (ko) 2000-04-19 2000-04-19 컨텐츠 재 판매 엔진과 이를 이용한 컨텐츠 재 판매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0529A KR100365683B1 (ko) 2000-04-19 2000-04-19 컨텐츠 재 판매 엔진과 이를 이용한 컨텐츠 재 판매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6380A true KR20010096380A (ko) 2001-11-07
KR100365683B1 KR100365683B1 (ko) 2002-12-26

Family

ID=196653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0529A KR100365683B1 (ko) 2000-04-19 2000-04-19 컨텐츠 재 판매 엔진과 이를 이용한 컨텐츠 재 판매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6568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4216A (ko) * 2000-08-30 2000-11-06 김남일 인터넷상에서 맞춤정보틀을 이용한 콘텐츠의 지역화 방안
KR20030075821A (ko) * 2002-03-21 2003-09-26 홍영찬 컨텐츠 공유시스템
KR20180078847A (ko) * 2016-12-30 2018-07-10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디자인 비용결제를 위한 디자인 통합 서비스 플랫폼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7501A (ko) * 2001-01-05 2002-07-11 허광영 인터넷을 이용한 이벤트몰 운영방법
KR20020075962A (ko) * 2001-03-26 2002-10-09 장장희 네트워크 기반의 디지털 저작물 거래서비스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4216A (ko) * 2000-08-30 2000-11-06 김남일 인터넷상에서 맞춤정보틀을 이용한 콘텐츠의 지역화 방안
KR20030075821A (ko) * 2002-03-21 2003-09-26 홍영찬 컨텐츠 공유시스템
KR20180078847A (ko) * 2016-12-30 2018-07-10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디자인 비용결제를 위한 디자인 통합 서비스 플랫폼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65683B1 (ko) 2002-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35083B2 (ja) メッセージ管理システム、装置および/または方法
US20020116232A1 (en) System and method for interactive scheduling
JPH11224288A (ja) 利用条件販売型デジタルコンテンツ販売電子モールシステム
US2003001432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ffering digital content for sale over a communications network
Nustini et al. Factors that Influence the Use of e-Banking and the Effect on Consumptivism
KR100365683B1 (ko) 컨텐츠 재 판매 엔진과 이를 이용한 컨텐츠 재 판매 방법
Möhring et al. Insights into advanced dynamic pricing systems at hotel booking platforms
JPH10222522A (ja) 情報提供システム、情報提供装置及び方法並びにダイレクト・メール
KR20200064281A (ko) 디지털 플랫폼을 이용한 미술 교육시스템
JP2020505713A (ja) インターネットショッピングモール管理方法
US20100070362A1 (en) Boomtime service provisioning systems and methods
JPH11195023A (ja) チラシ・カタログ類の作成システム
JP2002157507A (ja) 個別印刷物作成方法およびシステム
Steiger et al. Beyond Internet business-as-usual
KR100478169B1 (ko) 사이버 영업자를 이용한 인터넷쇼핑몰 시스템 및 그운영방법
KR102341419B1 (ko) 판매 관리 장치 및 판매 관리 방법
KR20000036804A (ko) 정보 통신 기기의 쇼핑 및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CA2619902A1 (en) Online interactive market
De API Monetization
KR20020012925A (ko) 고객 관리방법
KR20030034369A (ko) 인터넷을 활용한 개인별 맞춤형 인터넷 쇼핑 몰 제작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
JP2001125975A5 (ko)
JP2023094831A (ja) 美容サロンシステム
JP2001283106A (ja) インターネットを利用したエージェント用旅行商品販売システムおよび販売方法
JP2006107318A (ja) 販売管理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5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3

Year of fee payment: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