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4635B1 - Nft를 활용한 사용자 서비스 제공 장치, 서버 및 방법 - Google Patents

Nft를 활용한 사용자 서비스 제공 장치, 서버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4635B1
KR102634635B1 KR1020220010236A KR20220010236A KR102634635B1 KR 102634635 B1 KR102634635 B1 KR 102634635B1 KR 1020220010236 A KR1020220010236 A KR 1020220010236A KR 20220010236 A KR20220010236 A KR 20220010236A KR 102634635 B1 KR102634635 B1 KR 1026346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ft
target
user
service platform
online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02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14100A (ko
Inventor
권영대
Original Assignee
(주)비즈니스매니지먼트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비즈니스매니지먼트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비즈니스매니지먼트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10202200102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4635B1/ko
Priority to PCT/KR2022/004155 priority patent/WO2023140427A1/ko
Publication of KR202301141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41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46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46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10Protecting distributed programs or content, e.g. vending or licensing of copyrighted material ;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4Protecting data integrity, e.g. using checksums, certificates or signa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6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6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 G06Q20/367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involving electronic purses or money safes
    • G06Q20/3678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involving electronic purses or money safes e-cash details, e.g. blinded, divisible or detecting double spen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3Third-party assisted
    • G06Q30/0619Neutral ag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5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using hash chains, e.g. blockchains or hash tre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chnology Law (AREA)
  • Multimedia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Bioeth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NFT를 활용한 사용자 서비스 제공 장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스마트 컨트랙트(Smart Contract)를 기반으로 대상 객체가 타겟팅된 대상 디지털 컨텐츠에 대한 대상 NFT(Non-Fungible Token)를 생성하는 NFT 생성 모듈; 상기 NFT 생성 모듈에 의해 생성된 대상 NFT의 거래를 위해, NFT의 거래를 수행하는 거래소 서버에 상기 대상 NFT를 등록하고, 상기 거래소 서버에서의 상기 대상 NFT의 거래에 따른 소유권 이전 이력을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저장하는 거래 관리 모듈; 및 사용자에게 온라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온라인 서비스 플랫폼을 관리하는 온라인 서비스 플랫폼 관리 모듈로서, 상기 온라인 서비스 플랫폼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 권한은 상기 대상 NFT의 소유자인지 여부에 의존하는 것인, 온라인 서비스 플랫폼 관리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NFT를 활용한 사용자 서비스 제공 장치, 서버 및 방법{APPARATUS, SERVER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 SERVICE USING NON-FUNGIBLE TOKEN}
본 발명은 NFT를 활용한 사용자 서비스 제공 장치, 서버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블록체인 네트워크는 자산을 스마트 컨트랙트(smart contract)를 통해 생성되는 토큰(token) 형태로 관리하며, 토큰은 동일한 타입의 다른 토큰과 교환이 가능한 대체 가능 토큰(Fungible Token)과, 토큰마다 고유한 ID를 갖고 있어 다른 토큰과 교환이 불가능한 대체 불가능 토큰(Non-Fungible Token; NFT)으로 구분된다. 특히, NFT는 다른 토큰과 교환이 불가능하다는 고유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특정 자산의 소유권을 안전하게 보장하는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NFT가 적용된 디지털 컨텐츠는 고유한 자산으로 인식되고 있다.
현재, NFT 거래 시스템(예: Upbit NFT, opensea 등)이 상용화되어 있으며, 이러한 NFT 거래 시스템에서 사용자 간의 NFT 거래가 이루어짐에 따라 해당 NFT에 연계된 디지털 컨텐츠에 대한 소유권이 이전되도록 구성된다. NFT 거래를 통해 특정 디지털 컨텐츠에 대한 소유권을 취득한 사용자는 해당 디지털 컨텐츠의 자산 가치가 상승함에 따라 후속 거래를 통해 차익을 실현하기도 한다. 즉, 현재의 NFT는 개인 또는 기업의 자산 증식을 위한 투자 대상으로 그 기능이 국한되어 있으며, 자신이 소유한 NFT를 활용하는 것과 관련된 서비스는 부재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199567호(2021.01.07. 공고)에 개시되어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NFT의 소유자에게 소정의 온라인 서비스 및 오프라인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하는 방식을 통해, 거래를 통해 취득한 NFT의 2차 사용이 가능한 비즈니스 모델을 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NFT를 활용한 사용자 서비스 제공 장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스마트 컨트랙트(Smart Contract)를 기반으로 대상 객체가 타겟팅된 대상 디지털 컨텐츠에 대한 대상 NFT(Non-Fungible Token)를 생성하는 NFT 생성 모듈; 상기 NFT 생성 모듈에 의해 생성된 대상 NFT의 거래를 위해, NFT의 거래를 수행하는 거래소 서버에 상기 대상 NFT를 등록하고, 상기 거래소 서버에서의 상기 대상 NFT의 거래에 따른 소유권 이전 이력을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저장하는 거래 관리 모듈; 및 사용자에게 온라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온라인 서비스 플랫폼을 관리하는 온라인 서비스 플랫폼 관리 모듈로서, 상기 온라인 서비스 플랫폼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 권한은 상기 대상 NFT의 소유자인지 여부에 의존하는 것인, 온라인 서비스 플랫폼 관리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온라인 서비스 플랫폼은, 상기 대상 객체가 타겟팅된 하나 이상의 대상 디지털 컨텐츠를 제공하는 제1 서브 페이지, 상기 대상 NFT의 소유자 간의 인터랙션(interaction) 공간으로 기능하는 제2 서브 페이지, 및 사용자가 소유한 NFT를 관리하기 위한 전자 지갑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웹 페이지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온라인 서비스 플랫폼 관리 모듈은, 사용자가 상기 거래소 서버에서 구매한 상기 대상 NFT를 상기 온라인 서비스 플랫폼의 상기 전자 지갑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온라인 서비스 플랫폼 관리 모듈은, 상기 온라인 서비스 플랫폼에 1차 접속한 사용자에 대하여 상기 제1 서브 페이지에 대한 접근 권한만을 부여하고, 상기 1차 접속한 사용자의 전자 지갑에 저장된 NFT가 상기 NFT 생성 모듈에 의해 생성된 대상 NFT에 해당하는 것으로 검증된 경우에는 상기 제2 서브 페이지에 대한 접근 권한을 추가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온라인 서비스 플랫폼 관리 모듈은, 상기 대상 NFT의 미 소유자에 대하여 상기 제1 서브 페이지에 대한 접근 및 조회(read) 권한만을 부여하고, 상기 대상 NFT의 소유자에 대하여 상기 제1 및 제2 서브 페이지에 대한 접근, 조회 및 등록(write) 권한을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온라인 서비스 플랫폼의 제1 및 제2 서브 페이지는 디지털 컨텐츠가 타겟팅하는 대상 객체별로 복수 개 마련되고, 상기 온라인 서비스 플랫폼 관리 모듈은, 상기 대상 NFT의 소유자에게 상기 대상 객체에 대응하는 제2 서브 페이지에 대한 접근 권한만을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온라인 서비스 플랫폼 관리 모듈은, 사용자가 소유한 상기 대상 NFT의 개수 및 총 금액 중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등급을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등급에 따라 사용자에게 상기 대상 객체의 대상 NFT와 관련된 인센티브를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인센티브는, 상기 대상 객체의 신규 대상 NFT의 무상 제공 또는 상기 대상 객체와의 다이렉트 인터랙션(direct intercation)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오프라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오프라인 서비스 플랫폼을 관리하는 오프라인 서비스 플랫폼 관리 모듈로서, 상기 오프라인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의 이용 권한은 상기 대상 NFT의 소유자인지 여부에 의존하는 것인, 오프라인 서비스 플랫폼 관리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오프라인 서비스 플랫폼은 상기 대상 객체와 상기 사용자 서비스의 운영 주체에 의해 운영되는 오프라인 샵(shop)에 해당하고, 상기 오프라인 서비스는 상기 오프라인 샵의 이용에 대한 인센티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NFT를 활용한 사용자 서비스 제공 서버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스마트 컨트랙트(Smart Contract)를 기반으로 대상 객체가 타겟팅된 대상 디지털 컨텐츠에 대한 대상 NFT(Non-Fungible Token)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대상 NFT의 거래를 위해, NFT의 거래를 수행하는 거래소 서버에 상기 대상 NFT를 등록하고, 상기 거래소 서버에서의 상기 대상 NFT의 거래에 따른 소유권 이전 이력을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저장하며, 사용자에게 온라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온라인 서비스 플랫폼을 관리하되, 상기 온라인 서비스 플랫폼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 권한은 상기 대상 NFT의 소유자인지 여부에 의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NFT를 활용한 사용자 서비스 제공 방법은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스마트 컨트랙트(Smart Contract)를 기반으로 대상 객체가 타겟팅된 대상 디지털 컨텐츠에 대한 대상 NFT(Non-Fungible Token)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대상 NFT의 거래를 위해, NFT의 거래를 수행하는 거래소 서버에 상기 대상 NFT를 등록하고, 상기 거래소 서버에서의 상기 대상 NFT의 거래에 따른 소유권 이전 이력을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저장하는 단계; 및 사용자에게 온라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온라인 서비스 플랫폼을 관리하는 단계로서, 상기 온라인 서비스 플랫폼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 권한은 상기 대상 NFT의 소유자인지 여부에 의존하는 것인,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개인 또는 기업의 자산 증식을 위한 투자 대상으로 그 기능이 국한되어 있는 현재의 NFT의 기능적 한계를 벗어나, NFT의 소유자에게 소정의 온라인 서비스 및 오프라인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하는 방식을 통해 NFT의 2차 사용이 가능한 비즈니스 모델이 제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NFT를 활용한 사용자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서버를 보인 블록구성도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NFT를 활용한 사용자 서비스 제공 장치에서 대상 객체가 대상 디지털 컨텐츠에 타겟팅된 예시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NFT를 활용한 사용자 서비스 제공 장치에서 온라인 서비스 플랫폼의 구현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NFT를 활용한 사용자 서비스 제공 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NFT를 활용한 사용자 서비스 제공 장치, 서버 및 방법을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관리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NFT를 활용한 사용자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서버를 보인 블록구성도이고,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NFT를 활용한 사용자 서비스 제공 장치에서 대상 객체가 대상 디지털 컨텐츠에 타겟팅된 예시를 보인 예시도이며, 도 3 및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NFT를 활용한 사용자 서비스 제공 장치에서 온라인 서비스 플랫폼의 구현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NFT를 활용한 사용자 서비스 제공 장치(이하, 본 장치)(10)는 디지털 컨텐츠 획득 모듈(100), NFT 생성 모듈(200), 거래 관리 모듈(300), 식별 코드 데이터베이스(400), 온라인 서비스 플랫폼 관리 모듈(500) 및 오프라인 서비스 플랫폼 관리 모듈(600)을 포함하며,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장치(10)는 사용자 단말(UT), 블록체인 네트워크(BCN), 거래소 서버(TS) 및 오프라인 서비스 플랫폼(F_OFF)의 로컬 단말(후술)과 통신하는 서버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장치(서버, 10)의 동작을 그 하위 구성의 동작으로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디지털 컨텐츠 획득 모듈(100)은 대상 객체가 타겟팅된 대상 디지털 컨텐츠를 소정의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미도시)를 통해 입력받아 획득하도록 구성된다('대상'의 용어는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전제가 되는 구성을 표현하기 위한 용어임을 밝혀둔다). 여기서, 대상 객체라 함은 연예인(가수, 연기자, 댄서, 모델 등), SNS 인플루언서, 또는 일반인과 같은 자연인에 해당할 수도 있고(이 경우, 대상 객체는 대상 디지털 컨텐츠의 원 저작자가 될 수 있다), 스포츠(예: 농구, 야구, 축구 등)에 해당할 수도 있으며, 게임과 같은 엔터테인먼트에 해당할 수도 있다. 또한, 대상 객체가 대상 디지털 컨텐츠에 타켓팅된다 함은 상기한 자연인, 스포츠 또는 게임이 대상 디지털 컨텐츠의 시각적인 그래픽에 반영됨을 의미할 수도 있고, 자연인에 해당하는 대상 객체가 대상 디지털 컨텐츠의 생성에 기반이 되는 원본 그래픽을 제작함을 의미할 수도 있다. 도 2는 대상 객체가 자연인(연예인 또는 일반인)인 경우로서(a) 대상 디지털 컨텐츠의 시각적인 그래픽에 반영되는 방식을 통해 대상 디지털 컨텐츠(b)에 타겟팅된 예시를 보이고 있다.
NFT 생성 모듈(200)은 블록체인 네트워크(BCN)의 스마트 컨트랙트(Smart Contract)를 기반으로 대상 객체가 타겟팅된 대상 디지털 컨텐츠에 대한 대상 NFT(Non-Fungible Token)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블록체인 네트워크(BCN)는 비트코인 네트워크 또는 이더리움 네트워크에 해당할 수 있으며, NFT 생성 모듈(200)은 이러한 블록체인 네트워크(BCN)의 스마트 컨트랙트를 이용하여 대상 디지털 컨텐츠에 대응되는 고유 토큰 식별 코드를 갖는 대상 NFT를 생성한다. NFT를 생성하는 방식 자체는 주지된 것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NFT 생성 모듈(200)은 위와 같이 생성한 대상 NFT의 고유 토큰 식별 코드를 식별 코드 데이터베이스(400)에 저장하며, 저장된 고유 토큰 식별 코드는 후술할 것과 같이 온라인 서비스 플랫폼(F_ON)의 접속 사용자가 대상 NFT의 소유자인지 여부를 검증하는 과정에서 활용된다.
거래 관리 모듈(300)은 NFT 생성 모듈(200)에 의해 생성된 대상 NFT의 거래를 위해, NFT의 거래를 수행하는 거래소 서버(TS)(예: Upbit NFT, opensea 등)에 대상 NFT를 등록하고, 거래소 서버(TS)에서의 대상 NFT의 거래에 따른 대상 디지털 컨텐츠의 소유권 이전 이력을 블록체인 네트워크(BCN)에 저장한다. 한편, 거래 관리 모듈(300)은 상기한 소유권 이전 이력을 토대로, 거래소 서버(TS)에서 1차 거래된 NFT가 추후 2차 거래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해당 NFT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별도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도 있으며, 위 저장된 NFT의 메타데이터는 추후 해당 NFT의 원작자(예: 전술한 자연인에 해당하는 대상 객체)에게 로열티가 지급되는 과정에 활용될 수 있다.
온라인 서비스 플랫폼 관리 모듈(500)은 사용자에게 온라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온라인 서비스 플랫폼(F_ON)을 관리하도록 동작하며, 본 실시예에서 온라인 서비스 플랫폼(F_ON)은 제1 서브 페이지, 제2 서브 페이지 및 전자 지갑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웹 페이지로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서브 페이지는 대상 객체가 타겟팅된 하나 이상의 대상 디지털 컨텐츠를 제공하며, 예를 들어 특정 연예인이 타겟팅된 복수의 다른 종류의 대상 디지털 컨텐츠를 제공하는 페이지로 기능할 수 있다. 제1 서브 페이지는 복수의 대상 디지털 컨텐츠를 갤러리(gallery) 타입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자신의 단말을 통해 제1 서브 페이지 상에서 제공되는 대상 디지털 컨텐츠를 선택(터치 또는 클릭)하면, 선택된 대상 디지털 컨텐츠의 구매를 위해 거래소 서버(TS)로 연동되는 구성이 마련될 수도 있다.
제2 서브 페이지는 대상 NFT의 소유자 간의 인터랙션(interaction) 공간으로 기능한다. 특정 연예인이 대상 디지털 컨텐츠에 타겟팅된 예시에서, 제2 서브 페이지는 대상 NFT의 소유자가 해당 연예인에 대한 다양한 글을 등록하거나 다른 대상 NFT의 소유자의 글에 댓글을 등록하는 것과 같은, 통상의 인터넷 커뮤니티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전자 지갑은 사용자가 소유한 NFT를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온라인 서비스 플랫폼 관리 모듈(500)은 사용자가 거래소 서버(TS)에서 구매한 대상 NFT를 전자 지갑에 저장하도록 동작한다.
사용자가 자신이 소지한 사용자 단말(UT)(예: 스마트폰, 태블릿과 같은 이동 통신 단말, 또는 데스크탑 PC와 같은 컴퓨팅 디바이스)을 통해 위 온라인 서비스 플랫폼(F_ON)에 접근할 경우 그 접근 권한은 해당 사용자가 대상 NFT의 소유자인지 여부에 의존하도록 구성된다. 즉, 본 실시예는 사용자가 거래를 통해 취득한 NFT의 활용성을 확보하기 위해, 전술한 온라인 서비스 플랫폼(F_ON)을 마련한 후, 온라인 서비스 플랫폼(F_ON)의 접근 내지 이용을 대상 NFT의 소유자에 국한시키는 비즈니스 모델을 채용한다.
온라인 서비스 플랫폼(F_ON)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 권한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온라인 서비스 플랫폼 관리 모듈(500)은 온라인 서비스 플랫폼(F_ON)에 1차 접속한 사용자에 대하여 제1 서브 페이지(P1)에 대한 접근 권한만을 부여한다(상기한 1차 접속은 온라인 서비스 플랫폼(F_ON)에 회원 가입한 후 로그인한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즉, 온라인 서비스 플랫폼 관리 모듈(500)은 온라인 서비스 플랫폼(F_ON)에 1차 접속한 사용자라면, 대상 NFT를 소유하지 않았더라도, 대상 디지털 컨텐츠가 갤러리 타입으로 제공되는 제1 서브 페이지(P1)에 대한 접근 권한을 부여함으로써, 대상 객체가 타겟팅된 대상 디지털 컨텐츠와 그에 대한 NFT의 구매 자유도가 보장되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가 온라인 서비스 플랫폼(F_ON)에 1차 접속한 상태에서, 온라인 서비스 플랫폼 관리 모듈(500)은 1차 접속한 사용자의 전자 지갑에 저장된 NFT가 NFT 생성 모듈(200)에 의해 생성된 대상 NFT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검증하며(즉, 1차 접속한 사용자가 대상 NFT의 소유자인지 여부를 검증하며), 이때 전자 지갑에 저장된 NFT의 고유 토큰 식별 코드가 전술한 식별 코드 데이터베이스(400)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 1차 접속한 사용자가 대상 NFT의 소유자에 해당하는 것으로 확정할 수 있다. 이후, 온라인 서비스 플랫폼 관리 모듈(500)은 해당 사용자에게 제2 서브 페이지(P2)에 대한 접근 권한을 추가 부여한다.
최종적으로, 온라인 서비스 플랫폼(F_ON)에 접속한 사용자가 대상 NFT의 미 소유자인 경우에는 제1 서브 페이지에 대한 접근 및 조회(read) 권한만이 부여되고, 대상 NFT의 소유자인 경우에는 제1 및 제2 서브 페이지에 대한 접근, 조회 및 등록(write) 권한이 부여된다. 이에 따라, 대상 NFT의 소유자는 온라인 서비스 플랫폼(F_ON) 상에서 제1 서브 페이지에 등록된 대상 디지털 컨텐츠에 대한 의견을 자유롭게 게재할 수 있고, 또한 제2 서브 페이지 상에서 타 소유자들과 디지털 컨텐츠 및 대상 객체(예: 연예인, 스포츠, 게임)에 대한 의견을 자유롭게 인터랙션할 수 있게 된다.
위에서는 온라인 서비스 플랫폼(F_ON)에 대한 접근 권한이 대상 NFT의 소유 여부를 기준으로 구분되는 구성을 설명하였으며, 이와 함께 온라인 서비스 플랫폼(F_ON)에 대한 접근 권한은 대상 객체를 기준으로 구분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온라인 서비스 플랫폼(F_ON)의 제1 및 제2 서브 페이지는 디지털 컨텐츠가 타겟팅하는 대상 객체별로 복수 개 마련될 수 있으며, 온라인 서비스 플랫폼 관리 모듈(500)은 대상 NFT의 소유자에게 대상 객체에 대응하는 제2 서브 페이지에 대한 접근 권한만을 부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및 제2 서브 페이지(P1_A, P1_B, P1_C, P2_A, P2_B, P2_C)는 가수 'A', 연기자 'B', 스포츠 'C'와 같이 대상 객체별로 복수 개 마련될 수 있다. 특정 사용자가 가수 'A'가 타겟팅된 디지털 컨텐츠의 NFT를 소유하고 있을 경우, 해당 사용자에게는 가수 'A'의 제2 서브 페이지(P2_A)에 대한 접근 권한만이 부여되며, 연기자 'B', 스포츠 'C'의 제2 서브 페이지(P2_B, P2_C)에 대한 접근 권한은 부여되지 않는다. 다만, 앞서 언급한 것과 같이 해당 사용자에게 연기자 'B', 스포츠 'C'의 제1 서브 페이지(P1_B, P1-C)에 대한 접근 권한은 부여되므로, 해당 사용자는 연기자 'B', 스포츠 'C'가 타겟팅된 디지털 컨텐츠를 조회하고 그에 대한 NFT를 구매함으로써 연기자 'B' 또는 스포츠 'C'의 제2 서브 페이지(P2_B, P2_C)에 대한 접근 권한을 부여받게 될 수 있다.
추가적인 기능으로서, 온라인 서비스 플랫폼 관리 모듈(500)은 사용자가 소유한 대상 NFT의 개수 및 총 금액 중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등급을 설정하고, 설정된 등급에 따라 사용자에게 대상 객체의 대상 NFT와 관련된 인센티브를 부여하도록 동작할 수도 있다. 대상 NFT의 개수가 많을수록, 그리고 총 금액이 높을수록 사용자의 등급이 더 높은 등급으로 설정되도록 하기 위한 알고리즘이 온라인 서비스 플랫폼 관리 모듈(500)에 정의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인센티브는 대상 객체의 신규 대상 NFT(즉, 대상 객체가 타겟팅된 신규 디지털 컨텐츠에 대한 NFT)의 무상 제공 또는 온라인 서비스 플렛폼 상에서 대상 객체(예: 연예인)와의 다이렉트 인터랙션(direct intercation)(예: 다이렉트 메시지)을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등급이 높을수록 더 많은 수의 NFT를 무상 제공하거나 더 많은 수의 다이렉트 메시지를 제공하는 실시예가 마련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온라인 서비스 제공의 구성과 함께, 본 실시예는 NFT 소유자에게 오프라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구성을 제시하며, 이를 위해 채용된 오프라인 서비스 플랫폼 관리 모듈(600)은 사용자에게 오프라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오프라인 서비스 플랫폼(F_OFF)을 관리하도록 동작한다. 여기서, 오프라인 서비스 플랫폼(F_OFF)은 대상 객체와 본 실시예의 사용자 서비스의 운영 주체에 의해 운영되는 오프라인 샵(shop)에 해당하고, 오프라인 서비스는 오프라인 샵의 이용에 대한 인센티브에 해당하며, 이러한 오프라인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의 이용 권한은 대상 NFT의 소유자인지 여부에 의존한다.
구체적인 예시로서 설명하면, 먼저 사용자는 자신이 소지한 사용자 단말(UT)에 설치된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자신이 소유한 NFT를 관리할 수 있으며, 오프라인 샵에는 전용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NFT의 고유 토큰 식별 코드를 수신하는 코드 수신기(예: 코드 스캐너) 및 컴퓨팅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로컬 단말이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대상 NFT를 소유한 사용자가 오프라인 샵(예: 카페, 레스토랑, 갤러리, 쇼핑몰 등)에 방문할 경우 코드 수신기는 사용자 단말(UT)의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대상 NFT의 고유 토큰 식별 코드를 수신하고, 수신된 고유 토큰 식별 코드는 로컬 단말의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오프라인 서비스 플랫폼 관리 모듈(600)로 전송될 수 있다. 이어, 오프라인 서비스 플랫폼 관리 모듈(600)은 수신된 고유 토큰 식별 코드가 전술한 식별 코드 데이터베이스(400)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 현재 오프라인 샵에 방문한 사용자가 대상 NFT의 소유자에 해당하는 것으로 확정하며, 그 결과는 로컬 단말의 컴퓨팅 디바이스로 피드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현재 오프라인 샵에 방문한 사용자는 오프라인 샵의 이용에 대한 인센티브, 예를 들어 음료 또는 음식 무상 제공, 갤러리 입장료 할인, 쇼핑몰 상품권 제공 등과 같은 인센티브를 부여받는 실시예가 마련될 수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를 때, 개인 또는 기업의 자산 증식을 위한 투자 대상으로 그 기능이 국한되어 있는 현재의 NFT의 기능적 한계를 벗어나, NFT의 소유자에게 소정의 온라인 서비스 및 오프라인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하는 방식을 통해 NFT의 2차 사용이 가능한 비즈니스 모델이 제시될 수 있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NFT를 활용한 사용자 서비스 제공 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NFT를 활용한 사용자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며, 전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고 그 시계열적인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먼저, 서버(10)는 대상 객체가 타겟팅된 대상 디지털 컨텐츠를 획득한다(S100).
이어서, 서버(10)는 블록체인 네트워크(BCN)의 스마트 컨트랙트를 기반으로 대상 객체가 타겟팅된 대상 디지털 컨텐츠에 대한 대상 NFT를 생성한다(S200).
이어서, 서버(10)는 S200 단계에서 생성된 대상 NFT의 거래를 위해, NFT의 거래를 수행하는 거래소 서버(TS)에 대상 NFT를 등록하고, 거래소 서버(TS)에서의 대상 NFT의 거래에 따른 소유권 이전 이력을 블록체인 네트워크(BCN)에 저장한다(S300).
이어서, 서버(10)는 사용자에게 온라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온라인 서비스 플랫폼(F_ON)을 관리하며, 이때 온라인 서비스 플랫폼(F_ON)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 권한은 대상 NFT의 소유자인지 여부에 의존한다(S400). 온라인 서비스 플랫폼(F_ON)은 대상 객체가 타겟팅된 하나 이상의 대상 디지털 컨텐츠를 제공하는 제1 서브 페이지, 대상 NFT의 소유자 간의 인터랙션 공간으로 기능하는 제2 서브 페이지, 및 사용자가 소유한 NFT를 관리하기 위한 전자 지갑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웹 페이지로 구현되며, S400 단계에서 서버(10)는 사용자가 거래소 서버(TS)에서 구매한 대상 NFT를 온라인 서비스 플랫폼(F_ON)의 전자 지갑에 저장한다.
또한, S400 단계에서 서버(10)는 온라인 서비스 플랫폼(F_ON)에 1차 접속한 사용자에 대하여 제1 서브 페이지에 대한 접근 권한만을 부여하고, 1차 접속한 사용자의 전자 지갑에 저장된 NFT가 S200 단계에서 생성된 대상 NFT에 해당하는 것으로 검증된 경우에는 제2 서브 페이지에 대한 접근 권한을 추가 부여한다.
또한, S400 단계에서 서버(10)는 대상 NFT의 미 소유자에 대하여 제1 서브 페이지에 대한 접근 및 조회(read) 권한만을 부여하고, 대상 NFT의 소유자에 대하여 제1 및 제2 서브 페이지에 대한 접근, 조회 및 등록(write) 권한을 부여한다.
한편, 온라인 서비스 플랫폼(F_ON)의 제1 및 제2 서브 페이지는 디지털 컨텐츠가 타겟팅하는 대상 객체별로 복수 개 마련될 수도 있으며, 이에 따라 S400 단계에서 서버(10)는 대상 NFT의 소유자에게 대상 객체에 대응하는 제2 서브 페이지에 대한 접근 권한만을 부여할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S400 단계에서 서버(10)는 사용자가 소유한 대상 NFT의 개수 및 총 금액 중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등급을 설정하고, 설정된 등급에 따라 사용자에게 대상 객체의 대상 NFT와 관련된 인센티브를 부여하도록 동작할 수도 있으며, 상기한 인센티브는 대상 객체의 신규 대상 NFT의 무상 제공 또는 대상 객체와의 다이렉트 인터랙션을 포함할 수 있다.
S400 단계와 독립적으로, 서버(10)는 사용자에게 오프라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오프라인 서비스 플랫폼(F_OFF)을 관리하며, 이때 오프라인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의 이용 권한은 상기 대상 NFT의 소유자인지 여부에 의존한다(S500). 오프라인 서비스 플랫폼(F_OFF)은 대상 객체와 사용자 서비스의 운영 주체에 의해 운영되는 오프라인 샵에 해당하고, 오프라인 서비스는 오프라인 샵의 이용에 대한 인센티브에 해당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된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 등의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구현은, 예컨대, 방법 또는 프로세스, 장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데이터 스트림 또는 신호로 구현될 수 있다. 단일 형태의 구현의 맥락에서만 논의(예컨대, 방법으로서만 논의)되었더라도, 논의된 특징의 구현은 또한 다른 형태(예컨대, 장치 또는 프로그램)로도 구현될 수 있다. 장치는 적절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 펌웨어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방법은, 예컨대, 컴퓨터, 마이크로프로세서, 집적 회로 또는 프로그래밍가능한 로직 디바이스 등을 포함하는 프로세싱 디바이스를 일반적으로 지칭하는 프로세서 등과 같은 장치에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최종-사용자 사이에 정보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는 컴퓨터, 셀 폰, 휴대용/개인용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및 다른 디바이스 등과 같은 통신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본 장치, 서버
100: 디지털 컨텐츠 획득 모듈
200: NFT 생성 모듈
300: 거래 관리 모듈
400: 식별 코드 데이터베이스
500: 온라인 서비스 플랫폼 관리 모듈
600: 오프라인 서비스 플랫폼 관리 모듈

Claims (12)

  1.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스마트 컨트랙트(Smart Contract)를 기반으로 대상 객체가 타겟팅된 대상 디지털 컨텐츠에 대한 대상 NFT(Non-Fungible Token)를 생성하는 NFT 생성 모듈;
    상기 NFT 생성 모듈에 의해 생성된 대상 NFT의 거래를 위해, NFT의 거래를 수행하는 거래소 서버에 상기 대상 NFT를 등록하고, 상기 거래소 서버에서의 상기 대상 NFT의 거래에 따른 소유권 이전 이력을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저장하는 거래 관리 모듈; 및
    사용자에게 온라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온라인 서비스 플랫폼을 관리하는 온라인 서비스 플랫폼 관리 모듈로서, 상기 온라인 서비스 플랫폼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 권한은 상기 대상 NFT의 소유자인지 여부에 의존하는 것인, 온라인 서비스 플랫폼 관리 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온라인 서비스 플랫폼은, 상기 대상 객체가 타겟팅된 하나 이상의 대상 디지털 컨텐츠를 제공하는 제1 서브 페이지, 및 상기 대상 NFT의 소유자 간의 인터랙션(interaction) 공간으로 기능하는 제2 서브 페이지를 포함하도록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FT를 활용한 사용자 서비스 제공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라인 서비스 플랫폼은, 사용자가 소유한 NFT를 관리하기 위한 전자 지갑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웹 페이지를 더 포함하도록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FT를 활용한 사용자 서비스 제공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온라인 서비스 플랫폼 관리 모듈은, 사용자가 상기 거래소 서버에서 구매한 상기 대상 NFT를 상기 온라인 서비스 플랫폼의 상기 전자 지갑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FT를 활용한 사용자 서비스 제공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온라인 서비스 플랫폼 관리 모듈은, 상기 온라인 서비스 플랫폼에 1차 접속한 사용자에 대하여 상기 제1 서브 페이지에 대한 접근 권한만을 부여하고, 상기 1차 접속한 사용자의 전자 지갑에 저장된 NFT가 상기 NFT 생성 모듈에 의해 생성된 대상 NFT에 해당하는 것으로 검증된 경우에는 상기 제2 서브 페이지에 대한 접근 권한을 추가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FT를 활용한 사용자 서비스 제공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온라인 서비스 플랫폼 관리 모듈은, 상기 대상 NFT의 미 소유자에 대하여 상기 제1 서브 페이지에 대한 접근 및 조회(read) 권한만을 부여하고, 상기 대상 NFT의 소유자에 대하여 상기 제1 및 제2 서브 페이지에 대한 접근, 조회 및 등록(write) 권한을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FT를 활용한 사용자 서비스 제공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온라인 서비스 플랫폼의 제1 및 제2 서브 페이지는 디지털 컨텐츠가 타겟팅하는 대상 객체별로 복수 개 마련되고,
    상기 온라인 서비스 플랫폼 관리 모듈은, 상기 대상 NFT의 소유자에게 상기 대상 객체에 대응하는 제2 서브 페이지에 대한 접근 권한만을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FT를 활용한 사용자 서비스 제공 장치.
  7.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스마트 컨트랙트(Smart Contract)를 기반으로 대상 객체가 타겟팅된 대상 디지털 컨텐츠에 대한 대상 NFT(Non-Fungible Token)를 생성하는 NFT 생성 모듈;
    상기 NFT 생성 모듈에 의해 생성된 대상 NFT의 거래를 위해, NFT의 거래를 수행하는 거래소 서버에 상기 대상 NFT를 등록하고, 상기 거래소 서버에서의 상기 대상 NFT의 거래에 따른 소유권 이전 이력을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저장하는 거래 관리 모듈; 및
    사용자에게 온라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온라인 서비스 플랫폼을 관리하는 온라인 서비스 플랫폼 관리 모듈로서, 상기 온라인 서비스 플랫폼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 권한은 상기 대상 NFT의 소유자인지 여부에 의존하는 것인, 온라인 서비스 플랫폼 관리 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온라인 서비스 플랫폼 관리 모듈은, 사용자가 소유한 상기 대상 NFT의 개수 및 총 금액 중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등급을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등급에 따라 사용자에게 상기 대상 객체의 대상 NFT와 관련된 인센티브를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FT를 활용한 사용자 서비스 제공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인센티브는, 상기 대상 객체의 신규 대상 NFT의 무상 제공 또는 상기 대상 객체와의 다이렉트 인터랙션(direct intercation)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FT를 활용한 사용자 서비스 제공 장치.
  9.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스마트 컨트랙트(Smart Contract)를 기반으로 대상 객체가 타겟팅된 대상 디지털 컨텐츠에 대한 대상 NFT(Non-Fungible Token)를 생성하는 NFT 생성 모듈;
    상기 NFT 생성 모듈에 의해 생성된 대상 NFT의 거래를 위해, NFT의 거래를 수행하는 거래소 서버에 상기 대상 NFT를 등록하고, 상기 거래소 서버에서의 상기 대상 NFT의 거래에 따른 소유권 이전 이력을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저장하는 거래 관리 모듈;
    사용자에게 온라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온라인 서비스 플랫폼을 관리하는 온라인 서비스 플랫폼 관리 모듈로서, 상기 온라인 서비스 플랫폼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 권한은 상기 대상 NFT의 소유자인지 여부에 의존하는 것인, 온라인 서비스 플랫폼 관리 모듈; 및
    사용자에게 오프라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오프라인 서비스 플랫폼을 관리하는 오프라인 서비스 플랫폼 관리 모듈로서, 상기 오프라인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의 이용 권한은 상기 대상 NFT의 소유자인지 여부에 의존하는 것인, 오프라인 서비스 플랫폼 관리 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FT를 활용한 사용자 서비스 제공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오프라인 서비스 플랫폼은 상기 대상 객체와 상기 사용자 서비스의 운영 주체에 의해 운영되는 오프라인 샵(shop)에 해당하고, 상기 오프라인 서비스는 상기 오프라인 샵의 이용에 대한 인센티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NFT를 활용한 사용자 서비스 제공 장치.
  11. NFT를 활용한 사용자 서비스 제공 서버로서,
    상기 사용자 서비스 제공 서버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스마트 컨트랙트(Smart Contract)를 기반으로 대상 객체가 타겟팅된 대상 디지털 컨텐츠에 대한 대상 NFT(Non-Fungible Token)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대상 NFT의 거래를 위해, NFT의 거래를 수행하는 거래소 서버에 상기 대상 NFT를 등록하고, 상기 거래소 서버에서의 상기 대상 NFT의 거래에 따른 소유권 이전 이력을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저장하며,
    사용자에게 온라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온라인 서비스 플랫폼을 관리하되, 상기 온라인 서비스 플랫폼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 권한은 상기 대상 NFT의 소유자인지 여부에 의존하고,
    상기 온라인 서비스 플랫폼은, 상기 대상 객체가 타겟팅된 하나 이상의 대상 디지털 컨텐츠를 제공하는 제1 서브 페이지, 및 상기 대상 NFT의 소유자 간의 인터랙션(interaction) 공간으로 기능하는 제2 서브 페이지를 포함하도록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FT를 활용한 사용자 서비스 제공 서버.
  12.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NFT를 활용한 사용자 서비스 제공 방법으로서,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스마트 컨트랙트(Smart Contract)를 기반으로 대상 객체가 타겟팅된 대상 디지털 컨텐츠에 대한 대상 NFT(Non-Fungible Token)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대상 NFT의 거래를 위해, NFT의 거래를 수행하는 거래소 서버에 상기 대상 NFT를 등록하고, 상기 거래소 서버에서의 상기 대상 NFT의 거래에 따른 소유권 이전 이력을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저장하는 단계; 및
    사용자에게 온라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온라인 서비스 플랫폼을 관리하는 단계로서, 상기 온라인 서비스 플랫폼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 권한은 상기 대상 NFT의 소유자인지 여부에 의존하는 것인,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온라인 서비스 플랫폼은, 상기 대상 객체가 타겟팅된 하나 이상의 대상 디지털 컨텐츠를 제공하는 제1 서브 페이지, 및 상기 대상 NFT의 소유자 간의 인터랙션(interaction) 공간으로 기능하는 제2 서브 페이지를 포함하도록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FT를 활용한 사용자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220010236A 2022-01-24 2022-01-24 Nft를 활용한 사용자 서비스 제공 장치, 서버 및 방법 KR1026346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0236A KR102634635B1 (ko) 2022-01-24 2022-01-24 Nft를 활용한 사용자 서비스 제공 장치, 서버 및 방법
PCT/KR2022/004155 WO2023140427A1 (ko) 2022-01-24 2022-03-24 Nft를 활용한 사용자 서비스 제공 장치, 서버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0236A KR102634635B1 (ko) 2022-01-24 2022-01-24 Nft를 활용한 사용자 서비스 제공 장치, 서버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4100A KR20230114100A (ko) 2023-08-01
KR102634635B1 true KR102634635B1 (ko) 2024-02-07

Family

ID=87348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0236A KR102634635B1 (ko) 2022-01-24 2022-01-24 Nft를 활용한 사용자 서비스 제공 장치, 서버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634635B1 (ko)
WO (1) WO2023140427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068388A (ja) 2018-10-19 2020-04-30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コンテンツ契約システム、コンテンツ契約方法、権利者端末、譲受人端末、制御端末、コンテンツ蓄積サーバ、権利者プログラム、譲受人プログラム、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コンテンツ蓄積プログラム
JP2021089640A (ja) * 2019-12-05 2021-06-10 bacoor dApps株式会社 対象物を管理する方法及び管理サーバ
KR102322511B1 (ko) 2021-07-19 2021-11-08 주식회사 와이콘즈 Nft와 연관된 객체의 코드를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340588B1 (ko) * 2021-05-11 2021-12-21 주식회사 와이콘즈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이용한 객체 관리 서비스를 지원하는 객체 관리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6335B1 (ko) * 2020-07-10 2021-02-17 김유철 디지털 컨텐츠 플랫폼에서 디지털 컨텐츠 수요자의 요청에 대응되는 특정 디지털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서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068388A (ja) 2018-10-19 2020-04-30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コンテンツ契約システム、コンテンツ契約方法、権利者端末、譲受人端末、制御端末、コンテンツ蓄積サーバ、権利者プログラム、譲受人プログラム、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コンテンツ蓄積プログラム
JP2021089640A (ja) * 2019-12-05 2021-06-10 bacoor dApps株式会社 対象物を管理する方法及び管理サーバ
KR102340588B1 (ko) * 2021-05-11 2021-12-21 주식회사 와이콘즈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이용한 객체 관리 서비스를 지원하는 객체 관리 시스템
KR102322511B1 (ko) 2021-07-19 2021-11-08 주식회사 와이콘즈 Nft와 연관된 객체의 코드를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4100A (ko) 2023-08-01
WO2023140427A1 (ko) 2023-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166203A1 (en) System and process for tokenization of digital media
CN109155035B (zh) 用于使用区块链在点对点分布式账簿上有效转移实体的方法及系统
TWI822653B (zh) 以令牌化來進行以區塊鏈為基礎的匯兌
US20190005580A1 (en) Medium of exchange based on right to use or access information
CN109643420A (zh) 用于在区块链上有效转移实体的方法和系统
KR102278574B1 (ko) 연예인 굿즈 유통 양성화를 위한 플랫폼 시스템 및 방법
WO201209177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permissions for information ownership in the cloud
WO2022261650A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intenance of nft assets
US20220130005A1 (en) Digital asset management systems and methods
CN109559164B (zh) 优惠信息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介质
US20220027936A1 (en) Creating a community from data
US11763331B2 (en) Enhancing existing social media network from data
US20230120534A1 (en) Methods for Conditional Transaction Tokens, Secure Sharing of Token Assets, Wallet Spam Protection, and User Interfaces for Acceptance of Terms
US20220358467A1 (en) Permissions for retailer types within a marketing system
US2023005561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ement of Token Interactions
WO2023049770A2 (en) Cryptographically enabling characteristic assignment to identities with tokens, token validity assessments and state capture processes
US20140351096A1 (en) Techniques for facilitating acquisition and exchange of ebook and other digital content via a computer network
Menon et al. Blockchain: A non-technical primer for marketing academics
CN117136373A (zh) 信息处理装置、信息处理方法和信息处理程序
KR20150129967A (ko) 3d 프린팅 컨텐츠 거래 시스템
He et al. NFTs–a game changer or a bubble in the digital market?
KR102634635B1 (ko) Nft를 활용한 사용자 서비스 제공 장치, 서버 및 방법
CN110599184A (zh) 用于网络服务账号交易的方法和装置、服务器和存储介质
Rafati Niya et al. DeTi: A Decentralized Ticketing Management Platform
Menon et al. Blockchain: An Exploratory Review of Applications in Market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