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8907B1 - 다이아고날 케이블의 장력 제거를 이용한 케이블 돔 해체공법 - Google Patents

다이아고날 케이블의 장력 제거를 이용한 케이블 돔 해체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8907B1
KR101658907B1 KR1020160044797A KR20160044797A KR101658907B1 KR 101658907 B1 KR101658907 B1 KR 101658907B1 KR 1020160044797 A KR1020160044797 A KR 1020160044797A KR 20160044797 A KR20160044797 A KR 20160044797A KR 101658907 B1 KR101658907 B1 KR 1016589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tension
cables
dome
ri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47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남철
Original Assignee
조남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남철 filed Critical 조남철
Priority to KR10201600447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89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89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89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2Arched structures; Vaulted structures; Folded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8Wrecking of bui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5/00Shores or struts; Ch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22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supported by roofs or ceil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이아고날 케이블의 장력 제거를 이용한 케이블 돔 해체공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케이블 돔 내부 중앙에 지지 및 가설타워와 달비계를 설치하는 공정과; 지붕 막 중 흡음막과 암막, 방습막 및 단열막 순으로 철거하는 공정과; 상기 포스트들의 상부 사이에서 안전 케이블을 설치하여 포스트들의 전도를 방지하는 공정과; 지붕 막의 외막 및 달비계를 철거하는 공정과; 케이블 돔의 중앙에 케이블 돔의 중앙부 및 센터링 처짐 방지용 가설 시설물과 인양장비 또는 부상장비를 설치하는 공정과; 케이블 돔의 중앙부위를 정해진 높이만큼 인양 또는 부상시키는 공정과; 상기 복수의 다이아고날 케이블들 중 미들 및 아우터 다이아고날 케이블에 장력 제거용 케이블들을 연장 설치함은 물론 상기 장력 제거용 케이블에 유압장비를 설치하는 공정과; 미들 및 아우터 다이아고날 케이블의 장력을 제거하는 공정과; 각각의 링 케이블을 포스트 상부 캐스팅에서 분리 및 해체하는 공정과; 릿지 케이블 및 가설 시설물을 해체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케이블 돔 구조물을 안전하고 경제적으로 해체할 수 있고, 특히 하부 구조물이나 바닥 마감재 등에 손상을 주지 않고 해체할 수 있으며, 또한 사고발생 위험을 크게 낮출 수 있고, 공기를 단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사비도 대폭 절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다이아고날 케이블의 장력 제거를 이용한 케이블 돔 해체공법{Cable Dome demolition method used to remove the tension in the diagonal cable}
본 발명은 다이아고날 케이블의 장력 제거를 이용한 케이블 돔 해체공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케이블 돔 구조물에 구비된 다이아고날 케이블들에 각각 별도의 장력 제거용 케이블을 연결하여 각각의 다이아고날 케이블들에 대한 장력을 제거하는 방식을 통해 케이블 돔 구조물을 해체할 수 있도록 하여, 케이블 돔 구조물을 안전하고 경제적으로 해체할 수 있음은 물론 하부 구조물이나 바닥 마감재 등에 손상을 주지 않고 해체할 수 있으며, 또한 사고발생 위험을 크게 낮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고 공사비도 대폭 절감할 수 있도록 발명한 다이아고날 케이블의 장력 제거를 이용한 케이블 돔 해체공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공간구조물은 강성구조물과 연성구조물로 나누는 데, 강성구조물은 철골트러스 구조, 스페이스 플래임 등이 있으며, 연성구조물에는 케이블 구조물, 공기막구조물, 하이브리드 구조물로 분류된다.
또, 케이블 돔 구조와 같은 경량인장구조물은 일반구조물과 달리 대 변형을 수반하며, 부재의 인장력으로 구조물을 지지하게 되므로 수직의 포스트를 제외한 어느 부재에도 압축이 발생하지 않는다.
도 1은 종래 일반적인 케이블 돔 구조의 개념도를 도시한 것으로, 이와 같이 케이블에는 압축력이 발생하지 않고, 포스트에 압축력이 발생한다.
따라서 모든 절점에서 케이블의 인장력과 스트럿의 압축력이 평형을 이루어져야 구조적인 성능을 발휘함에 따라 케이블의 장력은 케이블의 종류마다 다르다.
도 2는 종래 케이블 돔 구조물에서 힘의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종래 케이블 돔의 개략적인 종단면을 도시한 것으로, 예를 들어 직경 120m의 케이블 돔 구조물일 경우, 16개의 릿지 케이블(3)로 분할하고, 각각의 릿지 케이블(3)은 압축재인 3개의 포스트(5) 압축력으로 지지하며, 포스트(5)의 하부는 릿지 케이블(3)로 연결되는 다이아고날 케이블(6)과 링 케이블(4)이 3차원으로 지지하게 된다.
이때, 포스트(5)와 릿지 케이블(3) 및 다이아고날 케이블(6)은 삼각형을 형성하면서 압축과 인장으로 평형을 이룬다.
또, 상부의 지붕 막(8) 구조는 릿지 케이블(3)을 경계구조로 지지되고, 릿지 케이블(3) 사이에 밸리 케이블(7)을 설치하여 장력을 도입함으로써 막 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또한, 하중방향에 따라 하중 저항부재가 달라지는데 수직 하향방향에 대해서는 링 케이블(4)과 다이아고날 케이블(6)이 지지하게 되고, 상향방향에 대해서 밸리 케이블(7)과 릿지 케이블(3)이 저항하게 된다.
이와 같은 케이블 돔 구조물은 힘의 흐림이 최적화되어 세장한 부재로 대공간을 형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변형이 많이 발생하여 지붕재료로 막 구조물만 사용 가능하다.
또, 도심지에 위치하여 공연장 또는 콘서트 홀로 사용할 경우 내부의 소음이 외부로 전달되기 때문에 민원이 발생하게 되는 원인이 됨에 따라 하부의 구조물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도록 상부의 지붕 구조물만 철거할 경우 상당한 기술력이 요구된다.
한편, 케이블 돔 구조물의 종래 해체공법으로는 크게 2종류로 나눌 수 있는데, 폭파공법과 릿지 케이블 절단공법으로 나눈다.
여기서 폭파공법은 아우터 릿지 및 다이아고날 케이블의 정착구에 폭약을 설치하여, 케이블을 해체하는 공법으로, 해체공사비가 고가이며, 하부구조물에 손상이 발생함으로 하부구조물과 상부구조물을 동시에 철거할 때만 사용하고, 케이블 돔 주변에 주변건물이나 시설물 및 작업인원을 보호하기 위한 방호벽을 설치해야 한다.
또, 릿지 케이블 절단공법은 릿지 케이블을 절단함으로 포스트를 넘어뜨려 케이블 돔 구조물의 힘에 대한 균형을 깨뜨리는 공법으로, 작업이 어렵고, 인력으로 케이블을 직접 절단해야 함으로 사고위험이 크며, 잔여 해체작업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666600호(2107년 01월 03일)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09-0121491호(2109년 11월 26일)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312166호(2113년 09월 17일)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케이블 돔 내부에 지지 및 가설타워와 달비계를 설치하고, 흡음막과 암막, 방습막, 단열막 순서로 철거한 다음 포스트 상에 안전 케이블을 설치하여 포스트 전도를 방지한 상태에서 외막 및 달비계를 철거한 후 중앙 부분에 케이블 돔의 중앙부 및 센터링 처짐 방지용 가설 시설물 및 인양 또는 부상장비를 설치하여 케이블 돔의 중앙부분을 소정높이만큼 인양 또는 부상시키는 공정까지는 공통으로 실시하고, 이후 미들 및 아우터 다이아고날 케이블에 장력 제거용 케이블을 연장 설치함은 물론 상기 장력 제거용 케이블에 유압장비를 설치하고 상기 유압장비를 이용하여 장력 제거용 케이블을 유압실인더의 전진과 후진을 이용하여 놓아주는 방식을 통해 미들 및 아우터 다이아고날 케이블의 장력을 제거하거나, 또는 링 빔에 유압장비를 설치함은 물론 상기 유압장비와 다이아고날 케이블들 사이에 장력 제거용 케이블을 각각 설치하고 링 빔에 설치된 유압장비를 이용하여 장력 제거용 케이블 상에 기존 아우터 다이아고날 케이블에 도입되어 있는 장력과 동일한 장력을 도입하여 기존 아우터 다이아고날 케이블에 도입되어 있던 장력을 제거한 후 장력 제거용 케이블에 도입된 장력도 제거한 다음 각각의 장력 제거용 케이블을 해체한 다음, 각각 공통으로 링 케이블과 포스트 상부 캐스팅에서 분리 및 해체한 후 릿지 케이블 및 가설 시설물을 해체하여 줌으로써 케이블 돔 구조물을 보다 안전하고 경제적으로 해체할 수 있음은 물론 하부 구조물이나 바닥 마감재 등에 손상을 주지 않고 해체할 수 있으며, 또한 사고발생 위험을 크게 낮출 수 있고, 공기를 단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사비도 대폭 절감할 수 있는 다이아고날 케이블의 장력 제거를 이용한 케이블 돔 해체공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하부 구조물의 상부에 설치되는 링 빔과 돔의 중심점 사이에는 복수의 릿지 케이블이 정해진 각도를 두고 분할 설치되고, 상기 링 빔의 내측 및 릿지 케이블의 저부에는 서로 다른 지름을 갖는 복수의 링 케이블이 설치되며, 상기 릿지 케이블들과 링 케이블 사이에는 복수의 포스트가 압축력을 받으며 지지되고, 상기 포스트들의 하부는 릿지 케이블로 연결되는 아우터와 미들 및 이너 다이아고날 케이블과 링 케이블이 3차원으로 지지되되, 포스트와 릿지 케이블 및 복수의 다이아고날 케이블은 삼각형을 형성하면서 압축과 인장으로 평형을 이루며, 상기 릿지 케이블 사이에는 밸리 케이블이 설치되어 장력이 도입되고, 상기 릿지 케이블과 밸리 케이블의 상부에는 지붕 막이 설치된 케이블 돔의 해체공법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돔 내부 중앙에 지지 및 가설타워와 달비계를 설치하는 공정과; 상기 케이블 돔 내에서 지붕 막 중 흡음막과 암막, 방습막 및 단열막 순으로 철거하는 공정과; 상기 포스트들의 상부 사이에서 수평방향 또는 포스트들 사이에 X자 형태로 안전 케이블을 설치하여 포스트들의 전도를 방지하는 공정과; 지붕 막의 외막 및 달비계를 철거하는 공정과; 케이블 돔의 중앙에 케이블 돔의 중앙부 및 센터링 처짐 방지용 가설 시설물과 인양장비 또는 부상장비를 설치하는 공정과; 인양장비 또는 부상장비를 이용하여 케이블 돔의 중앙부위를 정해진 높이만큼 인양 또는 부상시키는 공정과; 상기 복수의 다이아고날 케이블들 중 미들 및 아우터 다이아고날 케이블에 커플러를 이용하여 장력 제거용 케이블들을 연장 설치함은 물론 상기 장력 제거용 케이블에 유압장비를 설치하는 공정과; 상기 유압장비와 장력 제거용 케이블들을 이용하여 미들 및 아우터 다이아고날 케이블의 장력을 제거하는 공정과; 각각의 링 케이블을 포스트 상부 캐스팅에서 분리 및 해체하는 공정과; 릿지 케이블 및 가설 시설물을 해체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는, 하부 구조물의 상부에 설치되는 링 빔과 돔의 중심점 사이에는 복수의 릿지 케이블이 정해진 각도를 두고 분할 설치되고, 상기 링 빔의 내측 및 릿지 케이블의 저부에는 서로 다른 지름을 갖는 복수의 링 케이블이 설치되며, 상기 릿지 케이블들과 링 케이블 사이에는 복수의 포스트가 압축력을 받으며 지지되고, 상기 포스트들의 하부는 릿지 케이블로 연결되는 아우터와 미들 및 이너 다이아고날 케이블과 링 케이블이 3차원으로 지지되되, 포스트와 릿지 케이블 및 복수의 다이아고날 케이블은 삼각형을 형성하면서 압축과 인장으로 평형을 이루며, 상기 릿지 케이블 사이에는 밸리 케이블이 설치되어 장력이 도입되고, 상기 릿지 케이블과 밸리 케이블의 상부에는 지붕 막이 설치된 케이블 돔의 해체공법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돔 내부 중앙에 지지 및 가설타워와 달비계를 설치하는 공정과; 상기 케이블 돔 내에서 지붕 막 중 흡음막과 암막, 방습막 및 단열막 순으로 철거하는 공정과; 상기 포스트들의 상부 사이에서 수평방향 또는 포스트들 사이에 X자 형태로 안전 케이블을 설치하여 포스트들의 전도를 방지하는 공정과; 지붕 막의 외막 및 달비계를 철거하는 공정과; 케이블 돔의 중앙에 케이블 돔의 중앙부 및 센터링 처짐 방지용 가설 시설물과 인양장비 또는 부상장비를 설치하는 공정과; 인양장비 또는 부상장비를 이용하여 케이블 돔의 중앙부위를 정해진 높이만큼 인양 또는 부상시키는 공정과; 링 빔에 유압장비를 설치함은 물론 상기 유압장비와 다이아고날 케이블들 사이에 장력 제거용 케이블을 각각 설치하고 링 빔에 설치된 유압장비를 이용하여 장력 제거용 케이블 상에 기존 아우터 다이아고날 케이블들에 도입되어 있는 장력과 동일한 장력 또는 기존 케이블 장력제거에 필요한 장력을 도입하여 기존 아우터 다이아고날 케이블들에 도입되어 있던 장력을 제거하는 공정과; 장력 제거용 케이블들에 도입된 장력도 제거한 다음 각각의 장력 제거용 케이블들을 해체하는 공정과; 각각의 링 케이블을 포스트 상부 캐스팅에서 분리 및 해체하는 공정과; 릿지 케이블 및 가설 시설물을 해체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이아고날 케이블의 장력 제거를 이용한 케이블 돔 해체공법에 의하면, 케이블 돔 내부에 지지 및 가설타워와 달비계를 설치하고, 흡음막과 암막, 방습막, 단열막 순서로 철거한 다음 포스트 상에 안전 케이블을 설치하여 포스트 전도를 방지한 상태에서 외막 및 달비계를 철거한 후 중앙 부분에 케이블 돔의 중앙부 및 센터링 처짐 방지용 가설 시설물 및 인양 또는 부상장비를 설치하여 케이블 돔의 중앙부분을 소정높이만큼 인양 또는 부상시키는 공정까지는 공통으로 실시하고, 이후 미들 및 아우터 다이아고날 케이블에 장력 제거용 케이블을 연장 설치함은 물론 상기 장력 제거용 케이블에 유압장비를 설치하고 상기 유압장비를 이용하여 장력 제거용 케이블을 유압실인더의 전진과 후진을 이용하여 놓아주는 방식을 통해 미들 및 아우터 다이아고날 케이블의 장력을 제거하거나, 또는 링 빔에 유압장비를 설치함은 물론 상기 유압장비와 다이아고날 케이블들 사이에 장력 제거용 케이블을 각각 설치하고 링 빔에 설치된 유압장비를 이용하여 장력 제거용 케이블 상에 기존 아우터 다이아고날 케이블에 도입되어 있는 장력과 동일한 장력 또는 기존 케이블 장력제거에 필요한 장력을 도입하여 기존 아우터 다이아고날 케이블에 도입되어 있던 장력을 제거한 후 장력 제거용 케이블에 도입된 장력도 제거한 다음 각각의 장력 제거용 케이블을 해체한 다음, 각각 공통으로 링 케이블과 포스트 상부 캐스팅에서 분리 및 해체한 후 릿지 케이블 및 가설 시설물을 해체하여 줌으로써 케이블 돔 구조물을 보다 안전하고 경제적으로 해체할 수 있고, 특히 하부 구조물이나 바닥 마감재 등에 손상을 주지 않고 해체할 수 있으며, 또한 사고발생 위험을 크게 낮출 수 있고, 공기를 단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사비도 대폭 절감할 수 있는 등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종래 일반적인 케이블 돔 구조의 개념도.
도 2는 종래 케이블 돔 구조물에서 힘의 흐름도.
도 3은 종래 케이블 돔의 개략적인 종단면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 및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돔 해체공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
도 5는 본 발명 방법 중 포스트들 사이에 전도 방지용 안전 케이블을 설치한 상태의 케이블 돔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 방법 중 케이블 돔 중앙부에 센터링 처짐 방지용 지지 및 가설타워와 달비계를 설치한 상태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 방법 중 케이블 돔 중앙을 인양 또는 부상시킨 상태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 중 다이아고날 케이블의 단부에 장력 제거용 케이블을 연결 설치한 상태의 단면도.
도 9의 (a)(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 중 다이아고날 케이블의 단부에 장력 제거용 케이블과 유압장비를 연결 및 설치하기 전,후의 일부 확대도.
도 10의 (a)~(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다이아고날 케이블들의 장력을 해체하는 과정을 도시한 일부 확대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서 미들 및 아우터 다이아고날 케이블에 장력 제거용 케이블을 연장 설치하고, 중앙부 센터링을 소정 높이만큼 올리고 유압장비와 장력 제거용 케이블을 이용하여 다이아고날 케이블에 대한 장력을 최종적으로 제거한 상태도.
도 12는 이너 다이아고날 케이블을 분리한 상태도.
도 13은 하부 캐스팅에 있는 링 케이블들을 완전히 분리한 상태도.
도 14는 릿지 케이블에서 다이아고날 케이블과 포스트를 분리한 상태도.
도 15는 릿지 케이블 및 상부 캐스팅을 완전히 해체한 상태도.
도 16은 중앙부의 지지 및 가설타워와 가설 시설물을 해체하고 마루 바닥을 복구한 상태도.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 링 빔에 설치한 유압장비와 장력 제거용 케이블의 설치 예시도.
도 18 및 도 19는 아우터 또는 미들 다이아고날 케이블에 장력 제거용 케이블을 결속하기 전과 후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확대도.
도 20의 (a)는 도 19 중 A부에 대한 확대도.
도 20의 (b)는 도 19 중 B부에 대한 확대도.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 다이아고날 케이블에 장력 제거용 케이블과 보조 지그 및 유압장비를 설치한 상태의 평면도.
도 22의 (a)는 도 21의 A부의 확대도.
도 22의 (b)는 도 21의 B부의 확대도.
도 2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통해 다이아고날 케이블의 장력을 완전 제거한 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 및 작동상태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 및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돔 해체공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고, 도 5는 본 발명 방법 중 포스트들 사이에 전도 방지용 안전 케이블을 설치한 상태의 케이블 돔 구성도이며. 도 6은 본 발명 방법 중 케이블 돔 중앙부에 센터링 처짐 방지용 지지 및 가설타워와 달비계를 설치한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 방법 중 케이블 돔 중앙을 인양 또는 부상시킨 상태의 단면도이다.
또,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 중 다이아고날 케이블의 단부에 장력 제거용 케이블을 연결 설치한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9의 (a)(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 중 다이아고날 케이블의 단부에 장력 제거용 케이블과 유압장비를 연결 및 설치하기 전,후의 일부 확대도이며, 도 10의 (a)~(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다이아고날 케이블들의 장력을 해체하는 과정을 도시한 일부 확대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서 미들 및 아우터 다이아고날 케이블에 장력 제거용 케이블을 연장 설치하고, 중앙부 센터링을 소정 높이만큼 올리고 유압장비와 장력 제거용 케이블을 이용하여 다이아고날 케이블에 대한 장력을 최종적으로 제거한 상태도이다.
또한, 도 12는 이너 다이아고날 케이블을 분리한 상태도이고, 도 13은 하부 캐스팅에 있는 링 케이블들을 완전히 분리한 상태도이며, 도 14는 릿지 케이블에서 다이아고날 케이블과 포스트를 분리한 상태도이고, 도 15는 릿지 케이블 및 상부 캐스팅을 완전히 해체한 상태도이며, 도 16은 중앙부의 지지 및 가설타워와 가설 시설물을 해체하고 마루 바닥을 복구한 상태도를 나타낸 것이다
한편,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 링 빔에 설치한 유압장비와 장력 제거용 케이블의 설치 예시도이며, 도 18 및 도 19는 아우터 또는 미들 다이아고날 케이블에 장력 제거용 케이블을 결속하기 전과 후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확대도이고, 도 20의 (a)는 도 19 중 A부에 대한 확대도이며, 도 20의 (b)는 도 19 중 B부에 대한 확대도이다.
또한,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 다이아고날 케이블에 장력 제거용 케이블과 보조 지그 및 유압장비를 설치한 상태의 평면도이고, 도 22의 (a)는 도 21의 A부의 확대도이며, 도 22의 (b)는 도 21의 B부의 확대도이고, 도 2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통해 다이아고날 케이블의 장력을 완전 제거한 상태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하부 구조물(1)의 상부에 설치되는 링 빔(2)과 돔의 중심점 사이에는 복수의 릿지 케이블(3)이 정해진 각도를 두고 분할 설치되고, 상기 링 빔(2)의 내측 및 릿지 케이블(3)의 저부에는 서로 다른 지름을 갖는 복수의 링 케이블(4)이 설치되며, 상기 릿지 케이블(3)들과 링 케이블(4) 사이에는 복수의 포스트(5)가 압축력을 받으며 지지되고, 상기 포스트(5)들의 하부는 릿지 케이블(3)로 연결되는 아우터와 미들 및 이너 다이아고날 케이블(6)과 링 케이블(4)들이 3차원으로 지지되되, 포스트(5)와 릿지 케이블(3) 및 복수의 다이아고날 케이블(6)은 삼각형을 형성하면서 압축과 인장으로 평형을 이루며, 상기 릿지 케이블(3) 사이에는 밸리 케이블(7)들이 각각 설치되어 장력이 도입되고, 상기 릿지 케이블(3)과 밸리 케이블(7)의 상부에는 지붕 막(8)이 설치된 케이블 돔의 해체공법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돔 내부 중앙에 지지 및 가설타워(9)와 달비계(10)를 설치하는 공정(S1)과;
상기 케이블 돔 내에서 지붕 막(8) 중 흡음막(81)과 암막(82), 방습막(83) 및 단열막(84) 순으로 철거하는 공정(S2)과;
상기 포스트(5)들의 상부 사이에서 수평방향 또는 포스트(5)들 사이에 X자 형태로 안전 케이블(11)을 설치하여 포스트들의 전도를 방지하는 공정(S3)과;
지붕 막(8)의 외막(85) 및 달비계(10)를 철거하는 공정(S4)과;
케이블 돔의 중앙에 케이블 돔의 중앙부 및 센터링 처짐 방지용 가설 시설물(12a)(12b)과 인양장비(13) 또는 부상장비(14)를 설치하는 공정(S5)과;
인양장비(13) 또는 부상장비(14)를 이용하여 케이블 돔의 중앙부위를 정해진 높이만큼 인양 또는 부상시키는 공정(S6)과;
상기 복수의 다이아고날 케이블(6)들 중 미들 및 아우터 다이아고날 케이블(6)에 커플러(151)를 이용하여 장력 제거용 케이블(15)들을 연장 설치함은 물론 상기 장력 제거용 케이블(15)에 유압장비(16)를 설치하는 공정(S7-1)과;
상기 유압장비(16)와 장력 제거용 케이블(15)들을 이용하여 미들 및 아우터 다이아고날 케이블(6)의 장력을 제거하는 공정(S8-1)과;
각각의 링 케이블(4)을 포스트(5) 상부 캐스팅에서 분리 및 해체하는 공정(S9)과;
릿지 케이블(3)과 케이블 돔의 중앙부 및 센터링 처짐 방지용 가설 시설물(12a)(12b)을 해체하는 공정(S1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는,
하부 구조물(1)의 상부에 설치되는 링 빔(2)과 돔의 중심점 사이에는 복수의 릿지 케이블(3)이 정해진 각도를 두고 분할 설치되고, 상기 링 빔(2)의 내측 및 릿지 케이블(3)의 저부에는 서로 다른 지름을 갖는 복수의 링 케이블(4)이 설치되며, 상기 릿지 케이블(3)들과 링 케이블(4) 사이에는 복수의 포스트(5)가 압축력을 받으며 지지되고, 상기 포스트(5)들의 하부는 릿지 케이블(3)로 연결되는 아우터와 미들 및 이너 다이아고날 케이블(6)과 링 케이블(4)들이 3차원으로 지지되되, 포스트(5)와 릿지 케이블(3) 및 복수의 다이아고날 케이블(6)은 삼각형을 형성하면서 압축과 인장으로 평형을 이루며, 상기 릿지 케이블(3) 사이에는 밸리 케이블(7)들이 각각 설치되어 장력이 도입되고, 상기 릿지 케이블(3)과 밸리 케이블(7)의 상부에는 지붕 막(8)이 설치된 케이블 돔의 해체공법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돔 내부 중앙에 지지 및 가설타워(9)와 달비계(10)를 설치하는 공정(S1)과;
상기 케이블 돔 내에서 지붕 막(8) 중 흡음막(81)과 암막(82), 방습막(83) 및 단열막(84) 순으로 철거하는 공정(S2)과;
상기 포스트(5)들의 상부 사이에서 수평방향 또는 포스트(5)들 사이에 X자 형태로 안전 케이블(11)을 설치하여 포스트들의 전도를 방지하는 공정(S3)과;
지붕 막(8)의 외막(85) 및 달비계(10)를 철거하는 공정(S4)과;
케이블 돔의 중앙에 케이블 돔의 중앙부 및 센터링 처짐 방지용 가설 시설물(12a)(12b)과 인양장비(13) 또는 부상장비(14)를 설치하는 공정(S5)과;
인양장비(13) 또는 부상장비(14)를 이용하여 케이블 돔의 중앙부위를 정해진 높이만큼 인양 또는 부상시키는 공정(S6)과;
링 빔(2)에 유압장비(16)를 설치함은 물론 상기 유압장비(16)와 다이아고날 케이블(6)들 사이에 장력 제거용 케이블(15)을 각각 설치하고, 링 빔(2)에 설치된 유압장비(16)를 이용하여 장력 제거용 케이블(15) 상에 기존 아우터 다이아고날 케이블(6)들에 도입되어 있는 장력과 동일한 장력 또는 기존 케이블 장력제거에 필요한 장력을 도입하여 기존 아우터 다이아고날 케이블(6)들에 도입되어 있던 장력을 제거하는 공정(S7-2)과;
장력 제거용 케이블(15)들에 도입된 장력도 제거한 다음 각각의 장력 제거용 케이블(15)들을 해체하는 공정(S8-2)과;
각각의 링 케이블(4)을 포스트(5) 상부 캐스팅에서 분리 및 해체하는 공정(S9)과;
릿지 케이블(3)과 케이블 돔의 중앙부 및 센터링 처짐 방지용 가설 시설물(12a)(12b)을 해체하는 공정(S1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공정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다이아고날 케이블의 장력 제거를 이용한 케이블 돔 해체공법에 대한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 방법에 의해 해체되는 케이블 돔은 도 3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블 돔을 전체적으로 지지해 주는 하부 구조물(1)의 상면에는 소정 높이 및 지름을 갖는 링 빔(2)이 고정 설치되고, 상기 링 빔(2)과 돔의 중심점(즉, 지붕 막(8) 중앙) 사이에는 복수의 릿지 케이블(3)이 정해진 각도를 두고 탄력적으로 분할 설치된 형태를 갖는다.
또, 상기 링 빔(2)의 내측 및 릿지 케이블(3)의 저부에는 서로 다른 지름을 갖는 복수의 링 케이블(4)이 설치되며, 상기 릿지 케이블(3)들과 링 케이블(4) 사이에는 복수의 포스트(5)가 수직방향으로 설치되어 압축력을 받으며 지지되는 형태를 갖는다.
또한. 상기 포스트(5)들의 하부는 릿지 케이블(3)로 연결되는 아우터(외측)와 미들(중간) 및 이너(내측)에 각각 설치된 다이아고날 케이블(6)과 링 케이블(4)들이 3차원으로 지지는데, 이때 상기 포스트(5)와 릿지 케이블(3) 및 복수의 다이아고날 케이블(6)은 삼각형을 형성하면서 압축과 인장으로 평형을 이룬다.
또, 상기 릿지 케이블(3) 사이에는 밸리 케이블(7)들이 각각 설치되어 장력이 도입되고, 상기 릿지 케이블(3)과 밸리 케이블(7)의 상부에는 흡음막(81)과 암막(82), 방습막(83), 단열막(84) 및 외막(85)이 저부에서 상부를 향해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지붕 막(8)이 설치된 형태를 갖는다.
한편,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케이블 돔을 해체하기 위한 본 발명 방법에 두 실시 예는, 크게 도 4A 및 도 4B에 도시한 플로우챠트와 같은 공정으로 이루어진 형태를 갖는다.
이중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도 4A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작업자가 특정 케이블 돔 구조물에 대한 돔을 해체하고자 할 때, 상기 케이블 돔 내부 중앙에 도 6 및 도 7과 같이 지지 및 가설타워(9)와 달비계(10)를 설치(S1)한 다음, 상기 케이블 돔 내에서 지붕 막(8)을 철거(S2)(S4)하게 된다.
이때, 흡음막(81)과 암막(82), 방습막(83), 단열막(84) 및 외막(85)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형태를 갖는 지붕 막(8)을 동시에 모두 철거할 경우, 상기 릿지 케이블(3)들과 링 케이블(4) 사이에서 압축재로 수직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는 복수의 포스트(5)가 전도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상기 지붕 막(8)을 철거할 때에는 상기 케이블 돔 내에서 지붕 막(8) 중 흡음막(81)과 암막(82), 방습막(83) 및 단열막(84)을 순차적으로 먼저 철거(S2)한 다음, 도 5와 같이 상기 포스트(5)들의 상부 사이에서 수평방향과, 포스트(5)들 사이에 X자 형태(즉, X 브레싱)로 안전 케이블(11)을 설치하여 포스트들의 전도를 방지(S3)한 후, 지붕 막(8)의 외부에 설치되어 있는 외막(85)을 마지막으로 철거한 다음 달비계(10)를 철거(S4)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지붕 막(8)을 구성하고 있는 모든 막에 대한 철거를 완료한 후에는, 도 6과 같이 케이블 돔의 중앙에 가설 비계 및 가설 동바리 등으로 구성되는 케이블 돔의 중앙부 처짐 방지용 가설 시설물(12a)과 센터링 처짐 방지용 가설 시설물(12b)을 설치함은 물론 도 6과 같이 케이블 돔의 중앙에 설치되어 있는 상기 지지 및 가설타워(9)의 상면에 인양장비(13)인 유압장비를 설치하거나 또는 지지 및 가설타워(9)의 상방부에 부상장비(14)를 설치(S5)한다.
이어서 케이블 돔의 중앙부 처짐 방지용 가설 시설물(12a)에 연결된 상기 중앙부 인양용 인양장비(13)를 작동시키거나 또는 돔 구조물의 중앙 저부를 받쳐주는 부상장비(14)를 작동시켜 케이블 돔의 센터링 처짐 방지용 가설 시설물(12b)에 의해 받쳐지고 있는 케이블 돔의 중앙(센터)부위를 도 7과 같이 정해진 높이(예를 들어 0.5~7m)만큼 인양 또는 부상(S6)하게 된다.
이와 같이 케이블 돔의 중앙부분을 상방향으로 0.5~7m 정도 인양 또는 부상시키게 되면, 맨 중앙(센터)에 위치된 인너 다이아고날 케이블(6)의 장력 값은 거의 "0"으로 소멸되고, 미들(중간) 및 아우터(외측) 다이아고날 케이블(6)의 장력값도 본래 장력에서 5-30%정도 제거된다.
이어서, 도 9의 (a)와 같은 상태에 있는 상기 복수의 다이아고날 케이블(6) 중 미들 및 아우터 다이아고날 케이블(6)의 단부에 도 7과 도 8 및 도 9의 (b)와 같이 커플러(151)를 이용하여 0.5m ∼ 10m의 길이를 갖는 장력 제거용 케이블(15)들을 연장 설치함은 물론 상기 장력 제거용 케이블(15)을 고정하고 있는 캐스팅(152)에 유압장비(16)를 설치(S7-1)한다.
이후, 상기 유압장비(16)와 장력 제거용 케이블(15)들을 이용하여 미들 및 아우터 다이아고날 케이블(6)의 장력을 제거(S8-1)하게 되는데, 예를 들어 도 10의 (a)와 같은 상태에 있던 장력 제거용 케이블(15)을 도 10의 (b)와 같이 유압장비(16)를 통해 장력 제거용 케이블(15)을 놓아주면, 다이아고날 케이블(6)은 도 10의 (c)와 같이 길어지면서 장력이 소멸되고 포스트(5)의 위치가 하부로 내려간다.
이때, 장력 제거용 유압장비(16)는 단일의 소정용량을 보유한 장비와 전후진이 자동으로 작동하는 장비를 포함한다.
도 10의 (a)~(c)는 상기 다이아고날 케이블(6)들의 장력을 해체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 도 10의 (a)와 같이 유압장비(16)의 실린더를 후진시켜 장력 제거용 케이블(15)를 고정하고 있는 웨지(153)를 후진시키고, 다시 도 10의 (b)와 같이 상기 유압장비(16)의 실린더를 전진시키며 장력 제거용 케이블(15)을 다이아고날 케이블(6) 측으로 놓아주게 되는데, 이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게 되면 상기 다이아고날 케이블(6)에 걸려있는 장력이 장력 제거용 케이블(15)의 길이 변화에 대응하여 차츰 제거되다가 최종적으로는 완전 제거되는데,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전,후진 자동 유압장비를 이용한 장력제거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다이아고날 케이블(6)들에 걸려있는 장력을 제거하는 순서는 이너 다이아고날 케이블 → 미들 다이아고날 케이블 → 아우터 다이아고날 케이블 순으로 제거하며, 장력제거 시 각각의 다이아고날 케이블은 대칭으로 제거하는 것이 균형상 바람직하다.
한편,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서 미들 및 아우터 다이아고날 케이블에 장력 제거용 케이블을 연장 설치하고, 상기 장력 제거용 케이블에 유압장비를 설치한 상태에서 상기 유압장비와 장력 제거용 케이블(15)을 이용하여 다이아고날 케이블(6)에 대한 장력을 최종적으로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유압장비(16)와 장력 제거용 케이블(15)들을 이용하여 기존의 다이아고날 케이블(6)에 대한 장력 제거(S8-1)를 도 11과 같이 완료한 후에는, 각각의 링 케이블(4)을 포스트(5) 상부 캐스팅에서 분리 및 해체(S9)하고, 릿지 케이블(3)을 물론 케이블 돔의 중앙부 및 센터링 처짐 방지용 가설 시설물(12a)(12b)을 해체(S10)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돔에 대한 해체가 완료된다.
도 12 내지 도 16은 각각의 링 케이블(4)과 포스트(5), 릿지 케이블(3)과 케이블 돔의 중앙부 및 센터링 처짐 방지용 가설 시설물(12a)(12b)을 해체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 도 12는 이너부분부터 링 케이블과 캐스팅 하부에 결속되어 있는 다이아고날 케이블을 분리하는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13은 하부 캐스팅에 있는 다이아고날 케이블들을 완전히 분리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14는 릿지 케이블에서 링 케이블과 포스트를 분리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도 15는 릿지 케이블 및 상부 캐스팅을 완전히 해체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16은 중앙부의 지지 및 가설타워를 해체하고 마루 바닥을 복구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는 도 4B와 도 17 내지 도 2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 중 일부 공정 즉, S1 ~ S6 공정과 S9 및 S10 공정은 일 실시 예에와 동일하므로 중복을 피하기 위해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S1 공정부터 시작하여 케이블 돔의 중앙부 처짐 방지용 가설 시설물(12a)에 연결된 상기 중앙부 인양용 인양장비(13)를 작동시키거나 또는 돔 구조물의 중앙 저부를 받쳐주는 부상장비(14)를 작동시켜 케이블 돔의 센터링 처짐 방지용 가설 시설물(12b)에 의해 받쳐지고 있는 케이블 돔의 중앙(센터)부위를 도 7과 같이 정해진 높이(예를 들어 0.5~7m)만큼 인양 또는 부상(S6)한 다음, 링 빔(2)에 유압장비(16)를 설치함은 물론 상기 유압장비(16)와 다이아고날 케이블(6)들 사이에 커플러(151)를 이용하여 장력 제거용 케이블(15)을 각각 설치한다.
이어서 상기 링 빔(2)에 설치된 유압장비(16)를 이용하여 장력 제거용 케이블(15) 상에 기존 아우터 다이아고날 케이블(6)들에 도입되어 있는 장력과 동일한 장력 또는 기존 케이블의 장력제거에 필요한 장력을 도입하여 기존 아우터 다이아고날 케이블(6)들에 도입되어 있던 장력을 제거(S7-2)을 한다.
이후, 장력 제거용 케이블(15)들에 도입된 장력도 제거한 다음 각각의 장력 제거용 케이블(15)들을 해체(S8-2)하고, 각각의 링 케이블(4)을 포스트(5) 상부 캐스팅에서 분리 및 해체(S9)하고, 릿지 케이블(3)과 케이블 돔의 중앙부 및 센터링 처짐 방지용 가설 시설물(12a)(12b)을 해체(S10)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돔에 대한 해체가 완료된다.
한편, 도 17 내지 도 2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통해 다이아고날 케이블(6)들의 장력을 해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써, 도 17은 링 빔(2)에 설치한 유압장비(16)의 배치위치로 16개소의 다이아고날 케이블에 유압장비와 장력 제거용 케이블을 설치한 예시도이다.
또, 도 18은 아우터 또는 미들 다이아고날 케이블에 장력 제거용 케이블이 결속되지 않은 상태도이고, 도 19는 S8-2 공정에서 다이아고날 케이블들과 링 빔 사이에 장력 제거용 케이블을 설치한 상태도이다.
또한, 도 20의 (a)는 도 19 중 A부에 대한 확대도 즉, 다이아고날 케이블의 위치에 별도의 지그(18)를 이용하여 링 케이블 또는 캐스팅에 결속하여 장력 제거용 케이블을 연결한 상세도이고, 도 20의 (b)는 도 19 중 B부에 대한 확대도 즉, 링 빔에 유압장비 고정용 지그(19)를 이용하여 유압장비(16)와 장력 제거용 케이블(15)을 결속한 상태도이다.
이때, 상기 유압장비 고정용 지그(19)는 사각박스형 또는 원통형과 같이 다양한 형상를 갖게 성형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S7-2 공정에서 링 빔(2)에 유압장비(16)를 설치하고, 상기 유압장비(16)와 다이아고날 케이블(6)들 사이에 커플러(151)를 이용하여 장력 제거용 케이블(15)을 각각 설치한 다음, 상기 링 빔(2)에 설치된 유압장비(16)를 이용하여 장력 제거용 케이블(15) 상에 기존 아우터 다이아고날 케이블(6)들에 도입되어 있는 장력과 동일한 장력 또는 기존 케이블의 장력제거에 필요한 장력을 도입하면 기존의 다이아고날 케이블의 장력값은 "0"이 되므로 기존의 다이아고날 케이블을 해체할 수 있다.
또, S8-2 공정에서 장력 제거용 케이블(15)들에 도입된 장력을 제거하는 과정은 도 10의 (a)~(c)에 도시한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는데,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전,후진 자동 유압장비를 이용한 장력제거 방법을 사용하여도 달성할 수 있다.
한편, 도 21은 다이아고날 케이블에 장력 제거용 케이블과 보조 지그 및 유압장비 등을 설치한 형태를 보인 평면도이고, 도 22의 (a)는 도 21의 A부의 확대도 즉, 캐스팅부분의 확대도이며, 도 22의 (b)는 도 21의 B부의 확대도 즉, 링 빔의 고정부분에 대한 확대도인데, 이때 유압장비는 단일 또는 두 개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 2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서 링 빔에 유압장비를 설치하고 상기 유압장비와 다이아고날 케이블들 사이에 장력 제거용 케이블을 각각 설치한 다음 링 빔에 설치된 유압장비를 이용하여 장력 제거용 케이블 상에 기존 아우터 다이아고날 케이블에 도입되어 있는 장력과 동일한 장력 또는 기존 케이블의 장력제거에 필요한 장력을 도입한 다음 다이아고날 케이블의 장력을 완전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각각의 링 케이블(4)을 포스트(5) 상부 캐스팅에서 분리 및 해체하는 공정(S9)과, 릿지 케이블(3), 케이블 돔의 중앙부 및 센터링 처짐 방지용 가설 시설물(12a)(12b)을 해체하는 공정(S10)은 전술한 일 실시 예의 방법과 동일하다.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한 실시 예 및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만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1 : 하부 구조물 2 : 링 빔
3 : 릿지 케이블 4 : 링 케이블
5 : 포스트 6 : 다이아고날 케이블
7 : 밸리 케이블
8 : 지붕 막 81 : 흡음막
82 : 암막 83 : 방습막
84 : 단열막 85 : 외막
9 : 지지 및 가설타워 10 : 달비계
11 : 안전 케이블 12a, 12b : 처짐 방지용 가설 시설물
13 : 인양장비 14 : 부상장비
15 : 장력 제거용 케이블 151 : 커플러
152 : 캐스팅 153 : 웨지
16 : 유압장비 17, 18 : 지그

Claims (6)

  1. 하부 구조물의 상부에 설치되는 링 빔과 돔의 중심점 사이에는 복수의 릿지 케이블이 정해진 각도를 두고 분할 설치되고, 상기 링 빔의 내측 및 릿지 케이블의 저부에는 서로 다른 지름을 갖는 복수의 링 케이블이 설치되며, 상기 릿지 케이블들과 링 케이블 사이에는 복수의 포스트가 압축력을 받으며 지지되고, 상기 포스트들의 하부는 릿지 케이블로 연결되는 아우터와 미들 및 이너 다이아고날 케이블과 링 케이블이 3차원으로 지지되되, 포스트와 릿지 케이블 및 복수의 다이아고날 케이블은 삼각형을 형성하면서 압축과 인장으로 평형을 이루며, 상기 릿지 케이블 사이에는 밸리 케이블이 설치되어 장력이 도입되고, 상기 릿지 케이블과 밸리 케이블의 상부에는 지붕 막이 설치된 케이블 돔의 해체공법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돔 내부 중앙에 지지 및 가설타워와 달비계를 설치하는 공정과;
    상기 케이블 돔 내에서 지붕 막 중 흡음막과 암막, 방습막 및 단열막 순으로 철거하는 공정과;
    지붕 막의 외막 및 달비계를 철거하는 공정과;
    케이블 돔의 중앙에 케이블 돔의 중앙부 및 센터링 처짐 방지용 가설 시설물과 인양장비 또는 부상장비를 설치하는 공정과;
    인양장비 또는 부상장비를 이용하여 케이블 돔의 중앙부위를 정해진 높이만큼 인양 또는 부상시키는 공정과;
    상기 복수의 다이아고날 케이블들 중 미들 및 아우터 다이아고날 케이블에 커플러를 이용하여 장력 제거용 케이블들을 연장 설치함은 물론 상기 장력 제거용 케이블에 유압장비를 설치하는 공정과;
    상기 유압장비와 장력 제거용 케이블들을 이용하여 미들 및 아우터 다이아고날 케이블의 장력을 제거하는 공정과;
    각각의 링 케이블을 포스트 상부 캐스팅에서 분리 및 해체하는 공정과;
    릿지 케이블 및 가설 시설물을 해체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아고날 케이블의 장력 제거를 이용한 케이블 돔 해체공법.
  2. 하부 구조물의 상부에 설치되는 링 빔과 돔의 중심점 사이에는 복수의 릿지 케이블이 정해진 각도를 두고 분할 설치되고, 상기 링 빔의 내측 및 릿지 케이블의 저부에는 서로 다른 지름을 갖는 복수의 링 케이블이 설치되며, 상기 릿지 케이블들과 링 케이블 사이에는 복수의 포스트가 압축력을 받으며 지지되고, 상기 포스트들의 하부는 릿지 케이블로 연결되는 아우터와 미들 및 이너 다이아고날 케이블과 링 케이블이 3차원으로 지지되되, 포스트와 릿지 케이블 및 복수의 다이아고날 케이블은 삼각형을 형성하면서 압축과 인장으로 평형을 이루며, 상기 릿지 케이블 사이에는 밸리 케이블이 설치되어 장력이 도입되고, 상기 릿지 케이블과 밸리 케이블의 상부에는 지붕 막이 설치된 케이블 돔의 해체공법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돔 내부 중앙에 지지 및 가설타워와 달비계를 설치하는 공정과;
    상기 케이블 돔 내에서 지붕 막 중 흡음막과 암막, 방습막 및 단열막 순으로 철거하는 공정과;
    지붕 막의 외막 및 달비계를 철거하는 공정과;
    케이블 돔의 중앙에 케이블 돔의 중앙부 및 센터링 처짐 방지용 가설 시설물과 인양장비 또는 부상장비를 설치하는 공정과;
    인양장비 또는 부상장비를 이용하여 케이블 돔의 중앙부위를 정해진 높이만큼 인양 또는 부상시키는 공정과;
    링 빔에 유압장비를 설치함은 물론 상기 유압장비와 다이아고날 케이블들 사이에 장력 제거용 케이블을 각각 설치하고 링 빔에 설치된 유압장비를 이용하여 장력 제거용 케이블 상에 기존 아우터 다이아고날 케이블들에 도입되어 있는 장력과 동일한 장력 또는 기존 케이블 장력제거에 필요한 장력을 도입하여 기존 아우터 다이아고날 케이블들에 도입되어 있던 장력을 제거하는 공정과;
    장력 제거용 케이블들에 도입된 장력도 제거한 다음 각각의 장력 제거용 케이블들을 해체하는 공정과;
    각각의 링 케이블을 포스트 상부 캐스팅에서 분리 및 해체하는 공정과;
    릿지 케이블 및 가설 시설물을 해체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아고날 케이블의 장력 제거를 이용한 케이블 돔 해체공법.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붕 막의 외막 및 달비계를 철거하는 공정을 실시하기에 앞서,
    상기 포스트들 사이에 안전 케이블을 설치하여 포스트들의 전도를 방지하는 공정;을 더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아고날 케이블의 장력 제거를 이용한 케이블 돔 해체공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안전 케이블은 상기 포스트들의 상부 사이에서 수평방향 설치함은 물론 포스트들 사이에 X자 형태로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아고날 케이블의 장력 제거를 이용한 케이블 돔 해체공법.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케이블 돔의 중앙부 처짐 방지용 가설 시설물에 연결된 인양장비를 이용하여 케이블 돔의 중앙부위를 인양시키는 높이는 0.5~7m로 설정하여, 맨 중앙에 위치된 인너 다이아고날 케이블의 장력 값은 소멸되고, 미들 및 아아터 다이아고날 케이블의 장력값은 본래 장력에서 5-30% 제거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아고날 케이블의 장력 제거를 이용한 케이블 돔 해체공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이아고날 케이블의 단부에 연장 설치되는 장력 제거용 케이블의 길이는 0.5m ∼ 10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아고날 케이블의 장력 제거를 이용한 케이블 돔 해체공법.
KR1020160044797A 2016-04-12 2016-04-12 다이아고날 케이블의 장력 제거를 이용한 케이블 돔 해체공법 KR1016589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4797A KR101658907B1 (ko) 2016-04-12 2016-04-12 다이아고날 케이블의 장력 제거를 이용한 케이블 돔 해체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4797A KR101658907B1 (ko) 2016-04-12 2016-04-12 다이아고날 케이블의 장력 제거를 이용한 케이블 돔 해체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8907B1 true KR101658907B1 (ko) 2016-09-22

Family

ID=571025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4797A KR101658907B1 (ko) 2016-04-12 2016-04-12 다이아고날 케이블의 장력 제거를 이용한 케이블 돔 해체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890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38921A (zh) * 2018-11-20 2019-03-29 中国三冶集团有限公司 一种事故状态下煤气柜活塞系统悬挂拆除方法
CN109750779A (zh) * 2019-01-17 2019-05-14 上海海事大学 一种旋转锥面肋环型索穹顶
CN110424610A (zh) * 2019-07-08 2019-11-08 北京建筑大学 一种索穹顶结构
CN112878493A (zh) * 2021-01-08 2021-06-01 中国航空国际建设投资有限公司 带斗屏子结构的球面穹顶
CN114541776A (zh) * 2022-04-28 2022-05-27 北京市建筑工程研究院有限责任公司 一种拉索提升张拉转换装置及其施工方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81399A (ja) * 1992-09-07 1994-03-22 Maeda Corp ドーム式屋根の建方法
JP3261255B2 (ja) * 1994-04-19 2002-02-25 株式会社竹中工務店 シェル屋根のリフトアップ工法
JP3338146B2 (ja) * 1993-11-16 2002-10-28 前田建設工業株式会社 ドーム式屋根架構のケーブル張力導入方法
JP3700101B2 (ja) * 1997-07-28 2005-09-28 清水建設株式会社 ドーム屋根の解体方法
KR100666600B1 (ko) 2004-08-18 2007-01-09 주식회사 타이가 개폐식 지붕구조물
KR20090121491A (ko) 2008-05-22 2009-11-26 최진영 돔형 지붕의 개폐장치
KR101312166B1 (ko) 2011-09-08 2013-09-26 홍종수 개방형 스타디움용 차폐 구조물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81399A (ja) * 1992-09-07 1994-03-22 Maeda Corp ドーム式屋根の建方法
JP3338146B2 (ja) * 1993-11-16 2002-10-28 前田建設工業株式会社 ドーム式屋根架構のケーブル張力導入方法
JP3261255B2 (ja) * 1994-04-19 2002-02-25 株式会社竹中工務店 シェル屋根のリフトアップ工法
JP3700101B2 (ja) * 1997-07-28 2005-09-28 清水建設株式会社 ドーム屋根の解体方法
KR100666600B1 (ko) 2004-08-18 2007-01-09 주식회사 타이가 개폐식 지붕구조물
KR20090121491A (ko) 2008-05-22 2009-11-26 최진영 돔형 지붕의 개폐장치
KR101312166B1 (ko) 2011-09-08 2013-09-26 홍종수 개방형 스타디움용 차폐 구조물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38921A (zh) * 2018-11-20 2019-03-29 中国三冶集团有限公司 一种事故状态下煤气柜活塞系统悬挂拆除方法
CN109750779A (zh) * 2019-01-17 2019-05-14 上海海事大学 一种旋转锥面肋环型索穹顶
CN109750779B (zh) * 2019-01-17 2023-10-31 上海海事大学 一种旋转锥面肋环型索穹顶
CN110424610A (zh) * 2019-07-08 2019-11-08 北京建筑大学 一种索穹顶结构
CN112878493A (zh) * 2021-01-08 2021-06-01 中国航空国际建设投资有限公司 带斗屏子结构的球面穹顶
CN112878493B (zh) * 2021-01-08 2022-07-26 中国航空规划设计研究总院有限公司 带斗屏子结构的球面穹顶
CN114541776A (zh) * 2022-04-28 2022-05-27 北京市建筑工程研究院有限责任公司 一种拉索提升张拉转换装置及其施工方法
CN114541776B (zh) * 2022-04-28 2022-07-12 北京市建筑工程研究院有限责任公司 一种拉索提升张拉转换装置及其施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8907B1 (ko) 다이아고날 케이블의 장력 제거를 이용한 케이블 돔 해체공법
CN109779269B (zh) 大跨度桁架分段吊装高空合拢措施装置及施工方法
CN112267709A (zh) 一种大跨度张弦梁结构的分段拆除施工方法
CN113235948B (zh) 一种大型场馆钢结构屋盖空间竖转施工方法
CN107476581B (zh) 一种钢结构双层悬挑结构吊装安装方法
CN101858163A (zh) 火炬塔架散装方法
JP5503223B2 (ja) 既存建物の改造方法
JP4691431B2 (ja) 屋根構造体およびその構築方法
JPH06101274A (ja) ケーブルドームの屋根の構築方法
JP5953186B2 (ja) ボイラとボイラ建屋の同時解体方法
JP2009156022A (ja) 多層建築物の解体工法及び解体用荷重伝達構造
CN114941433B (zh) 一种大重量船型采光顶钢结构的施工方法
JP5952098B2 (ja) 構造物の解体工法
KR102332718B1 (ko) 데크로드
JP5985263B2 (ja) 構造物の解体工法
JPH07300817A (ja) コンクリート充填鋼管トラス橋脚とその施工方法
JP2927321B2 (ja) 大型吊下げ式ボイラの解体方法
JPH10140872A (ja) 塔状構造物屋根の構築工法
JP6508958B2 (ja) 解体システムおよび解体方法
JP6093665B2 (ja) 構造物改築方法
JP2018091098A (ja) 仮設支柱および屋根架構の構築方法
CN111794557A (zh) 大型建筑混凝土顶板翻新改造用托架及其顶板拆除方法
CN113152768A (zh) 一种不等直径环桁架高空分段安装固定装置
JP2022101717A (ja) 建物解体時の養生システム及び解体すべき建物の解体方法
JP5992218B2 (ja) 構造物の解体工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