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8538B1 - 배전반 도어와 연동되는 회로차단기의 핸들 도어장치 - Google Patents

배전반 도어와 연동되는 회로차단기의 핸들 도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8538B1
KR101658538B1 KR1020100006659A KR20100006659A KR101658538B1 KR 101658538 B1 KR101658538 B1 KR 101658538B1 KR 1020100006659 A KR1020100006659 A KR 1020100006659A KR 20100006659 A KR20100006659 A KR 20100006659A KR 101658538 B1 KR101658538 B1 KR 1016585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door plate
front cover
plate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66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87155A (ko
Inventor
이상철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066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8538B1/ko
Publication of KR201100871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71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85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85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02Housings; Casings; Bases; Mountings
    • H01H71/0207Mounting or assembling the different parts of the circuit break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02Housings; Casings; Bases; Mountings
    • H01H71/0207Mounting or assembling the different parts of the circuit breaker
    • H01H71/0235Contacts and the arc extinguishing space inside individual separate cases, which are positioned inside the housing of the circuit break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50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 H01H71/52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actuated by lever

Landscapes

  • Patch 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전반 수납형 회로차단기에 있어서 배전반 도어의 개폐와 연동되는 안전장치로서 회로차단기의 핸들 도어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라서 배전반 도어를 닫았을 때도 배전반 도어와 접촉이 없는 노출부분과 배전반 도어를 닫으면 배전반 도어에 의해 접촉되는 접촉부를 가지며, 노출부분에 회로차단기의 인입 또는 인출 구동용 핸들의 핸들 삽입구가 마련된 전면커버; 전면커버의 후위에 전면 커버에 대해서 수평적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핸들 삽입구를 차폐하는 차폐위치와 핸들 삽입구를 개방하는 개방위치로 이동가능한 도어 판; 도어 판에 차폐위치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부과하는 복귀 스프링; 차폐위치로 탄성력을 도어 판에 부과하도록, 복귀 스프링을 도어 판의 차폐위치 방향으로 가압하며 전면 커버중 미리결정된 위치에 고정설치되는 스프링 가압판부; 및 배전반 도어가 닫혔을 때 도어 판의 개방위치 이동을 허용하는 이동허용 위치와, 배전반 도어가 열렸을 때 도어 판을 가로막아 도어 판의 개방위치 이동을 금지하도록 구속하는 이동구속 위치를 가지며, 전면커버의 접촉부상에 설치되는 연동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차단기의 핸들 도어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배전반 도어와 연동되는 회로차단기의 핸들 도어장치{HANDLE DOOR APPARATUS FOR CIRCUIT BREAKER INTERLOCKING WITH SWITCHGEAR DOOR}
배전반에 수납되는 회로차단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배전반에 수납되는 회로차단기에 있어서 배전반 도어(door)의 개폐와 연동하는 안전장치로서 회로차단기의 핸들 도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회로차단기중에서 특히 공기중에서 회로를 개폐하는 기중 회로차단기(이하 기중차단기로 약칭함)는 고전압용의 진공회로차단기에 대비하여 비교적 중저전압용의 회로차단기로서, 변전소 또는 대용량 전력사용처에서 변압기의 후단에 설치되어 인입전원측과 배전부하측간의 주 회로(main electric power circuit)를 개폐하는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기중차단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배전반(switchgear)에 수납되어 사용되는 종류의 기중차단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회로차단기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배전반(1)에 있어서 배전반 도어(1a, 1b)가 전면에 마련되며, 회로차단기(CB1, CB2)는 배전반 도어(1a, 1b)의 후위의 배전반(1)내에 수납된다. 회로차단기(CB1, CB2)의 개폐조작 및 차단기본체의 인입 및 인출 구동조작을 허용하기위해서, 배전반 도어(1a, 1b)의 전면부가 노출되도록 회로차단기(CB1, CB2)에 대해 여유공차를 가진 크기의 개방부를 마련하고 해당 개방부를 통해서 회로차단기(CB1, CB2)의 전면부가 노출되고 있다. 여기서, 회로차단기(CB1, CB2)의 전면부는 회로차단기(CB1, CB2)의 개폐조작을 위한 위한 상부 전면판부와, 회로차단기 본체의 인입출 조작을 위한 조작핸들의 접속을 허용하는 하부 전면커버(FRONT COVER)를 포함한다.
상부 전면판부 후위에 위치하는 미도시의 회로차단기 본체를 회로에 접속되는 단자부와 접속하도록 전면부로부터 멀어지게 보내는 인입위치와 회로차단기 본체를 상기 단자부로부터 분리하여 전면부로 접근하게 끌어오는 인출위치의 차단기 본체 인입출 조작을 위해 인입출 장치를 포함한다. 이러한 인입출 장치의 일 예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설명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배전반 수납형 회로차단기에 있어서 종래에는 배전반도어(1a, 1b)가 개방된 상태에서도 회로차단기(CB1, CB2)의 차단기 본체 인입 및 인출을 위해서 조작 핸들을 접속하고 조작하는 것이 허용되었기 때문에, 조작자는 전기적 및 기계적 안전사고의 위험성에 노출되었었다. 따라서, 배전반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만 차단기 본체의 인입 또는 인출 조작이 가능하도록 하는 안전장치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상의 문제점을 해소하는 것으로서, 배전반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만 차단기 본체의 인입 또는 인출 조작을 허용하는 배전반 도어와 연동되는 회로차단기의 안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배전반 도어와 연동되는 회로차단기의 핸들 도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전반 도어를 닫았을 때도 상기 배전반 도어와 접촉이 없는 노출부분과 상기 배전반 도어를 닫으면 상기 배전반 도어에 의해 접촉되는 접촉부를 가지며, 상기 노출부분에 회로차단기의 인입 또는 인출 구동용 핸들의 핸들 삽입구가 마련된 상기 회로차단기의 전면커버(FRONT COVER);
상기 전면커버의 후위에서 상기 전면 커버에 대해서 수평적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핸들 삽입구를 차폐하는 차폐위치와 상기 핸들 삽입구를 개방하는 개방위치로 이동가능한 도어 판(DOOR PLATE);
상기 도어 판에 상기 차폐위치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부과하는 복귀 스프링;
상기 차폐위치로 탄성력을 상기 도어 판에 부과하도록, 상기 복귀 스프링을 상기 도어 판의 차폐위치 방향으로 가압하며 상기 전면 커버중 미리결정된 위치에 고정설치되는 스프링 가압판부; 및
상기 배전반 도어가 닫혔을 때 상기 도어 판의 개방위치 이동을 허용하는 이동허용 위치와, 상기 배전반 도어가 열렸을 때 상기 도어 판을 가로막아 상기 도어 판의 개방위치 이동을 금지하도록 구속하는 이동구속 위치를 가지며, 상기 전면커버의 접촉부상에 설치되는 연동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에 따른 회로차단기의 핸들 도어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회로차단기의 핸들 도어장치는, 전면 커버의 핸들 삽입구를 차폐하는 차폐위치와 개방하는 개방위치로 이동가능한 도어 판과, 배전반 도어가 닫혔을 때 도어 판의 개방위치 이동을 허용하는 이동허용 위치와, 배전반 도어가 열렸을 때 도어 판을 가로막아 도어 판의 개방위치 이동을 금지하도록 구속하는 이동구속 위치를 갖는 연동기구를 구비하므로, 배전반 도어가 닫혔을 때만 핸들의 조작 접근을 허용하여 조작자를 안전사고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회로차단기의 핸들 도어장치는, 도어 판에 차폐위치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부과하는 복귀 스프링과, 복귀 스프링을 도어 판의 차폐위치 방향으로 가압하는 스프링 가압판부를 포함하므로, 도어 판이 차폐위치로 자동 복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회로차단기의 핸들 도어장치는, 전면커버에 도어 판을 지지하는 지지기둥부가 구비되고, 도어 판은 상기 지지기둥부가 삽입되는 장공부를 포함하므로, 도어 판이 제한된 거리만큼 이동할 수 있게 지지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회로차단기의 핸들 도어장치는, 연동기구가 이동허용 위치일 때, 핸들의 삽입하면 상기 핸들의 외주면과 접촉하여 상기 도어 판을 개방위치로 구동하도록, 내주면의 직경이 입구로부터 멀어질수록 좁아지는 핸들 접속구부가 도어 판에 구비되므로, 연동기구가 이동허용 위치일 때는 핸들의 삽입에 따라 자동으로 도어 판을 개방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회로차단기의 핸들 도어장치에 있어서, 연동기구가 구속위치에서 위치하는 홈부가 도어 판에 구비되고, 배전반 도어가 열렸을 때, 도어 판의 홈부에 끼워져 도어 판의 개방위치 이동을 금지하도록 구속하고, 배전반 도어가 닫혔을 때, 배전반 도어에 의해 가압되어 이동함으로써 도어 판의 개방위치 이동을 허용하는 연동판이 상기 연동기구에 구비되므로, 기계장치에 의해서 배전반도어의 개폐상태에 따라 핸들 접속의 허용하도록 도어 판을 개방위치 이동을 허용하거나 핸들 접속을 불허하도록 도어 판의 개방 위치 이동을 구속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회로차단기의 핸들 도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동판은, 상기 도어 판을 구속하도록, 상기 도어 판의 홈부에 끼워질 수 있는 구속돌부와, 상기 도어 판의 수평이동을 허용하도록, 상기 도어 판의 수평이동을 허용하는 해방홈부;를 포함하므로, 도어 판의 수평이동을 허용하거나 불허하게 구속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회로차단기의 핸들 도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동기구는, 상기 연동기구를 이동구속 위치에 위치하도록 탄성가압하는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전면커버는, 상기 접촉부에 위치하고 상기 배전반 도어가 닫혔을 때 상기 배전반 도어와 함께 상기 스프링을 압축하도록 상기 스프링의 일단부를 지지하는 스프링 지지벽부를 포함하므로, 배전반 도어가 열렸을 때는 상기 스프링으로 인해서 상기 연동기구가 이동구속 위치에 위치하게 탄성가압될 수 있고 배전반 도어가 닫혔을 때는 상기 스프링이 압축되면서 상기 연동기구가 도어 판의 수평이동을 허용하는 해방위치로 이동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회로차단기의 핸들 도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동기구는, 상기 전면커버에 탄성 지지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탄성 후크(hook) 지지돌부를 더 포함하므로, 연동기구를 전면커버에 설치할 때 연동기구를 전면커버의 설치 홈내로 밀어넣으면 탄성 후크 지지돌부가 탄지되면서 간편하게 설치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배전반 수납형 회로차단기의 설치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원내는 회로차단기만의 확대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회로차단기의 핸들 도어장치가 설치된 회로 차단기의 전면커버와 후위의 인입출장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회로차단기의 핸들 도어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회로차단기의 핸들 도어장치중 도어 판의 입체적 형상과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회로차단기의 핸들 도어장치가 조립된 상태에서 전체 외형을 보여주는 것으로서 상부로부터 비스듬히 내려다본 사시도이고,
도 6은 배전반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핸들의 삽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회로차단기의 핸들 도어장치의 동작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회로차단기의 핸들 도어장치에 있어서 전면 커버가 제거된 상태에서 핸들 삽입시 도어 판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부분 확대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회로차단기의 핸들 도어장치중 연동기구의 전면커버에의 조립 전후 상태를 보여주는 조립공정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회로차단기의 핸들 도어장치중 연동기구의 구성을 보여주는 것으로서 아래로부터 비스듬히 올려다본 사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회로차단기의 핸들 도어장치중 연동기구의 구성을 보여주는 것으로서 도 9의 연동기구를 연동판이 상부를 향하게 회전시킨후 전체적으로 시계방향으로 다시 90도회전시켜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회로차단기의 핸들 도어장치중 연동기구가 조립되는 전면커버의 접촉부에 대한 정면 부분사시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회로차단기의 핸들 도어장치중 연동기구가 조립되는 전면커버의 접촉부에 대한 후면 부분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회로차단기의 핸들 도어장치중 연동기구에 의해 구속 또는 해방되는 도어 판의 해당부분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부분 확대 사시도이며,
도 14는 배전반 도어가 열려서 본 발명에 따른 회로차단기의 핸들 도어장치중 연동기구가 도어 판을 구속하는 위치에 위치한 상태를 보여주는 동작 상태도이고,
도 15는 배전반 도어가 닫혀서 본 발명에 따른 회로차단기의 핸들 도어장치중 연동기구가 도어 판을 해방하는 위치에 위치한 상태를 보여주는 동작 상태도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과 이를 달성하는 본 발명의 구성 및 그의 작용효과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이하의 설명에 의해서 좀 더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전반 도어와 연동되는 회로차단기의 핸들 도어장치는, 도 3을 참조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전면커버(FRONT COVER)(10), 도어 판(DOOR PLATE)(20), 복귀 스프링(도 5의 부호 21 참조), 스프링 가압판부(도 6의 부호 10e 참조) 및 연동기구(4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전반 도어와 연동되는 회로차단기의 핸들 도어장치는, 도 3을 참조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전면커버(10)의 핸들 삽입구(10c)와 연통하는 핸들 관통구(도 5의 부호 30a 참조)를 가지며 전면커버(10)와 도어 판(20)사이에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핸들 레버(handle lever)(30)를 더 포함한다.
전면커버(10)는 배전반 도어(도 1의 부호 1a, 1b 참조)를 닫았을 때 배전반 도어(1a, 1b)와 접촉이 접촉이 없는 노출부분과 배전반 도어(1a, 1b)를 닫으면 배전반 도어(1a, 1b)에 의해 접촉되는 접촉부(10a, 10b)를 가진다. 여기서, 접촉부(10a, 10b)는 전면커버(10)의 양측단 즉, 전면커버(10)의 길이방향 양단부에 위치하고, 상기 노출부분은 도 2를 참조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전면커버(10)중 양측단의 접촉부(10a, 10b)를 제외한 중앙부분이 해당된다. 전면커버(10)중 양측단의 접촉부(10a, 10b)는 전면커버(10)를 후위의 지지판부에 고정시켜주는 고정나사가 삽입되도록 허용하는 고정구(fixing opening)(10a1, 10b1)를 각각 구비한다. 전면커버(10)의 상기 노출부분에 회로차단기의 인입 또는 인출 구동용 핸들(도 7의 부호 H 참조)의 핸들 삽입구(10c)가 마련된다. 전면커버(10)의 상기 노출부분에는 차단기 본체(미도시)의 위치(인입위치, 인출위치, 시험위치)를 위치표시축(도 2의 부호 56참조)의 단부에 마련된 화살표와 화살표 주변의 상기 노출부분에 표시된 위치표시{RUN(인입위치), TEST(시험위치), DISCONNECT(인출위치)}에 의해서 표시하는 위치표시부(10d)도 마련된다.
또한 도 6을 참조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전면커버(10)는 배면부에 스프링 가압판부(10e)와, 지지기둥부(10f)를 더 포함한다.
스프링 가압판부(10e)는 핸들 접속구를 차폐하는 차폐위치로 탄성력을 도어 판(20)에 부과하도록, 도어 판(20)의 차폐위치 방향으로 복귀 스프링(도 5의 부호 21 참조)을 가압하며 전면 커버(10)의 배면부중 미리결정된 위치에 고정설치된다. 여기서 미리결정된 위치는 도 4 또는 도 5를 참조했을 때 한 쌍의 스프링 시트부(도 4의 부호 20b)중 좌측의 것에 근접한 위치에서 복귀 스프링(21)을 압축되도록 도 5에 있어서 우측방향으로 미는 위치이다. 스프링 가압판부(10e)는 일종의 칸막이로서 전면 커버(10)의 내부공간에서 전면 커버(10)의 길이방향에 대해서 직각으로 가로지르게 위치고정되게 전면커버(10)와 별체로 또는 전면커버(10)와 일체로 설치될 수 있다.
지지기둥부(10f)는 전면커버(10)와 별체로 또는 전면커버(10)와 일체로 전면커버(10)의 배면 후방으로 판면으로부터 직각으로 돌출한 미리 결정된 길이를 갖는 돌출부로서, 후술하는 도어판(20)의 장공부(20c)에 끼워져 도어 판(20)을 지지함과 아울러 도어 판(20)의 수평이동거리를 한정하는 스토퍼(stopper)의 기능도 수행한다.
한편, 도 2를 참조하여 회로차단기의 인입출 기구(50)의 구성과 작용을 간단히 설명한다.
전면커버(10)중 핸들 삽입구(10c)의 후위에는 외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된 스핀들(spindle)(51)이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며, 스핀들(51)의 나사부에 나사결합하며 스핀들(51)의 회전에 따라 스핀들(51)의 나사부를 따라 전면커버(10)에 접근하는 위치 또는 전면커버(10)로부터 멀어지는 위치로 이동가능한 이동판(52)이 마련된다. 이동판(52)은 수직판부와 수평판부를 갖는 알파벳 "L"자형의 금속판재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이동판(52)은 수직판부에는 스핀들(51)이 관통하고 스핀들(51)의 나사부와 나사결합하는 나사구(threaded opening)와, 이동판(52)의 이동위치에 따라 상기 위치표시축(56)을 회전시키도록 위치표시축(56)에 접속되는 접속구부(부호 미부여)를 포함한다. 이동판(52)의 수평판부에는 양측부에 각각 하나씩 한쌍의 래크(rack) 기어부가 마련된다. 이동판(52)의 수평판부상의 래크 기어부에 기어 접속되게 한 쌍의 제 1 피니언 기어(53)가 기어 축(54)에 축 지지되게 마련된다. 기어 축(54)의 길이방향 양 단부에는 한 쌍의 제 2 피니언 기어(53)가 축 지지되게 마련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 핸들(H)을 핸들 삽입구(10c)의 후단에 위치하는 스핀들(51)의 단부에 접속하여 스핀들(51)을 회전시키면, 이동판(52)은 회전하는 스핀들(51)의 나사부를 타고 전면커버(10)에 접근하는 위치 또는 전면커버(10)로부터 멀어지는 위치로 이동한다. 따라서, 이동판(52)의 수평판부에 마련된 래크 기어부에 맞물린 제 1 피니언 기어(53)가 회전함에 따라, 기어 축(54) 및 제 2 피니언 기어(53)도 회전하게 된다. 한 쌍의 제 2 피니언 기어(53)는 미도시한 상부의 드로우 기어(draw gear)와 기어접속되어 해당 드로우 기어를 구동하게된다. 드로우 기어에는 길게 안내 홈부가 마련되어 해당 안내 홈부에 차단기 본체의 측부에 고정된 구동돌부를 끼워서 인입위치, 인출위치 또는 시험위치로 구동하게 된다. 이러한 회로차단기의 인입출 구성 및 작용에 대한 더욱 상세한 개시는 본 발명의 출원인이 출원하여 2008년 12월 22일자로 등록한 대한민국 특허 등록 제0876409호(발명의 명칭: 인출형 차단기의 크레들 인입출구조)의 공보를 참조할 수 있다.
도 3 및 도 5를 참조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도어 판(20)은 전면커버(10)의 후위에서 전면 커버(10)에 대해서 수평적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도어 판(20)은 전면커버(10)의 핸들 삽입구(10c)를 차폐하는 차폐위치와 핸들 삽입구(10c)를 개방하는 개방위치로 이동가능하다. 여기서 차폐위치는 도 4에 있어서 도어 판(20)이 우측으로 이동하여 핸들 접속구부(20a)의 좌측 폐색벽부(부호 미부여)가 전면커버(10)의 핸들 삽입구(10c)를 차폐하는 위치이고, 개방위치는 도어 판(20)이 도 4에 있어서 좌측으로 이동하여 핸들 접속구부(20a)가 전면커버(10)의 핸들 삽입구(10c)와 연통하는 위치이다. 도 4에 있어서 핸들 접속구부(20a)는 연동기구(도 2 및 도 3의 부호 40 참조)가 이동허용 위치일 때, 핸들(도 6 및 도 7의 부호 H 참조)을 삽입하면 상기 핸들의 외주면과 접촉하여 도어 판(20)을 개방위치로 구동하도록, 내주면의 직경이 입구로부터 멀어질수록 좁아지게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특징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도어 판(20)은 핸들 접속구부(20a)외에 스프링 시트부(spring seat portion)(20b)와, 장공부(20c)와, 안내 슈(guide shoe)(20d)와, 홈부(20e) 및 돌부(돌출부)(20f)를 포함한다.
스프링 시트부(spring seat portion)(20b)는 도 5를 참조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복귀 스프링(21)를 지지하는 지지부로서, 실시예상 도어 판(20)의 길이방향상 중앙 상부에 마련된다.
장공부(20c)는 전면 커버(10)의 상기 지지기둥부(도 6의 부호 10f 참조)가 삽입되어 도어 판(20)을 전면 커버(10)에 지지시키며 도어 판(20)의 이동을 한정하는 부분으로서 도어 판(20)중 스프링 시트부(20b)의 하위에 수평방향으로 길게 마련된다.
안내 슈(20d)는 도어 판(20)의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마련되는 종단면이 알파벳 "T"자형인 지지부로서, 전면 커버(10)의 배면에 대응하게 마련되는 종단면이 엎드린 알파벳 "C"인 안내 레일(guide rail)(미도시)에 안내 슈(20d)가 끼워지지됨에 따라, 도어 판(20)이 안정적으로 이동 안내될 수 있게 된다.
홈부(20e)는 도어 판(20)의 일 측단부, 도 4에서는 우측 단부에 하방으로 오목하게 마련되어, 도 14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후술하는 연동기구중 구속돌부(도 14의 부호 41b 참조)가 끼워져 도어 판(20)의 이동을 저지하거나 상기 구속돌부가 이탈하여 도어 판(20)의 이동이 허용되는 구속기구부로서 작용한다.
돌부(20f)는 홈부(20e)에 이어서 수평방향으로 연결되게 형성되고 홈부(20e)보다 수직방향으로 상승하게 형성되어 홈부(20e)의 경계부를 형성한다.
도 5를 참조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복귀 스프링(21)은 상기 차폐위치로 이동하도록 도어 판(20)에 탄성력을 부과한다. 복귀 스프링(21)은 도 4를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도어 판(20)의 한 쌍의 스프링 시트부(20b)에 의해서 이탈이 방지되도록 지지된다. 또한 복귀 스프링(21)은, 도 6을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전면 커버(10)중 스프링 시트부(20b)에 인접하게 설치되는 스프링 가압판부(10e)에 의해 가압되어, 평상시 도어 판(20)에 상기 차폐방향으로(도 6의 점선 화살표 방향 참조) 탄성력을 부과한다. 복귀 스프링(21)은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연동기구(40)는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배전반 도어(도 1의 부호 1a, 1b 참조)가 닫혔을 때 도어 판(20)의 개방위치 이동을 허용하는 이동허용 위치와, 상기 배전반 도어가 열렸을 때 도어 판(20)을 가로막아 상기 도어 판의 개방위치 이동을 금지하도록 구속하는 이동구속 위치를 가진다. 여기서, 이동허용 위치는 상기 배전반 도어(도 1의 부호 1a, 1b 참조)가 닫혔을 때 연동기구(40)가 상기 배전반 도어에 의해 가압되어 후방으로 밀려들어감에 따라 연동기구(40)중 해방홈부(41a)를 통해 도어 판(20)의 개방위치 이동(도 15에서 화살표 b방향 이동)할 수 있게 허용되는 위치이다. 여기서, 이동구속 위치는 상기 배전반 도어(도 1의 부호 1a, 1b 참조)가 열렸을 때 상기 배전반 도어에 의해 가압이 없어짐에 따라 연동기구(40)가 전방으로 원위치로 돌출하도록 나옴에 따라 연동기구(40)중 구속돌부(41b)가 도어 판(20)의 홈부(20e)내에 개입하여 개방위치 이동(도 14에서 좌측방향 이동)을 불허하게 구속하는 위치이다.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연동기구(40)는 전면 커버(10)의 접촉부(10b)상에 설치된다. 도 9 내지 도 10을 참조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연동기구(40)는 연동판(41), 해방홈부(41a), 구속돌부(41b), 스프링수용벽부(42), 스프링(43), 탄성 후크 지지돌부(44a, 44b)를 포함한다. 도 5에 있어서 부호 "D"는 전면커버(10)의 접촉부(10b)에서 연동기구(40)가 돌출하는 높이를 나타내며, 해당 돌출높이(D)는 배전반 도어(도 1의 부호 1a, 1b 참조)의 두께를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동판(41)은 연동기구(40)중 장변과 단변을 가진 개략 사각형상의 판부이며 배전반 도어(도 1의 부호 1a, 1b 참조)가 열렸을 때, 도 4를 참조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도어 판(20)의 홈부(20e)에 끼워져 도어 판(20)의 개방위치 이동을 금지하도록 구속할 수 있다. 또한, 연동판(41)은, 상기 배전반 도어가 닫혔을 때, 상기 배전반 도어에 의해 가압되어 이동함으로써 도 15를 참조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도어 판(20)의 개방위치 이동을 허용할 수 있다. 연동판(41)은 도 9 및 도 10을 참조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장변중 일측에 해방홈부(41a), 구속돌부(41b)를 가진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속돌부(41b)는 도어 판(20)을 구속하도록, 도어 판(20)의 홈부(20e)에 끼워질 수 있다.
해방홈부(41a)는 도어 판(20)의 이동방향을 가로 지르게 배치된 연동판(41)에 있어서 해방홈부(41a)를 통해서 도어 판(20)이 수평이동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부분이다.
스프링(43)은, 연동기구(40)를 이동구속 위치에 위치하도록 탄성가압, 즉 연동기구(40)를 이동구속 위치쪽으로 이동하도록 탄성 바이어스(bias)하기 위한 수단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스프링(43)은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배전반 도어(도 1의 부호 1a, 1b 참조)가 닫혔을 때 상기 배전반 도어와 함께 스프링(43)을 압축하도록, 전면커버(10)는 접촉부(10b)에 위치하고 스프링(43)의 일단부를 지지하는 스프링 지지벽부(10b2)를 구비한다.
스프링수용벽부(42)는 연동판(41)으로부터 직각으로 연장형성되며 내부 빈 사각 테두리형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사각 테두리 내부에는 부호 미부여한 스프링 지지용 돌부가 상기 사각 테두리중 양단변의 일면에 각각 형성된다. 따라서, 스프링수용벽부(42)의 상기 사각 테두리내에서 한 쌍의 상기 스프링 지지용 돌부사이에 지지되게 설치된다.
연동기구(40)가 전면커버(10)에서 이탈이 방지되게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탄성 후크 지지돌부(44a, 44b)는 한 쌍이 스프링수용벽부(42)의 일면(후면)의 상위와 하위에서 각각 서로 후크(hook)형 지지돌부가 돌출한 방향이 상방과 하방으로 반대방향을 가지게 마련된다. 한 쌍의 탄성 후크 지지돌부(44a, 44b)에 대응되도록, 한 쌍의 탄성 후크 지지돌부(44a, 44b)가 삽입되어 각각 탄성 지지되는 후크 지지홈부(10b3, 10b4)가 도 12를 참조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전면 커버(10)중 접촉부(10b)의 후면에 마련된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된 연동기구(40)를 도 8중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커버(10)의 접촉부(10b)에 마련된 설치 홈부에 삽입하면, 한 쌍의 탄성 후크 지지돌부(44a, 44b)가 대응하게 전면커버(10)중 접촉부(10b)의 배면에 마련된 후크 지지홈부(10b3, 10b4)에 끼워져 탄성지지됨에 따라 연동기구(40)가 전면커버(10)로부터 이탈이 방지되게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회로차단기의 핸들 도어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배전반 도어(1a, 1b)가 닫힌 상태에서 배전반(1)에 수납된 회로차단기(CB1 또는 CB2)를 인입 또는 인출하기 위해서 도 6 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핸들(H)을 도 2 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전면커버(10)의 핸들 삽입구(10c)에 삽입할 때, 본 발명에 따른 회로차단기의 핸들 도어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배전반 도어(1a, 1b)가 닫힌 상태에서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동기구(40)가 배전반 도어(1a, 1b)에 의해 가압되어 도 15에 있어서 화살표 a방향과 같이 도어 판(10)의 후방측으로 밀려들어감에 의해서, 도어 판(20)의 이동방향을 가로 지르게 배치된 연동판(41)에 있어서 해방홈부(41a)가 도어 판(20)이 수평이동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6 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핸들(H)을 도 2 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전면커버(10)의 핸들 삽입구(10c)에 삽입하면, 핸들(H)은 도 4의 핸들레버(30)의 핸들 관통구(도 5의 부호 30a 참조)를 통해 진입하여 후위로 갈수록 내경이 좁아지게 형성된 도어 판(20)의 핸들 접속구부(도 4의 부호 20a 참조)와 접촉함에 따라, 복귀스프링(21)의 탄성력을 극복하고 도어 판(20)을 상기 개방위치로 이동(도 15에서 화살표 b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따라서, 핸들(H)은 핸들 접속구부(도 4의 부호 20a 참조)를 통과하여 후위의 인입출기구(50)중 스핀들(51)의 접속홈부와 접속되고, 핸들(H)을 반시계방향 또는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스핀들(51)이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차단기 본체의 인입 또는 인출이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차단기 본체의 후위에 위치한 크래들(cradle)상의 단자와 차단기 본체의 단자가 접속하는 인입위치(connect position), 크래들상의 단자와 차단기 본체의 단자는 분리되지만 차단기 본체의 제어전원은 공급되는 시험 위치(test position) 그리고 크래들상의 단자와 차단기 본체의 단자도 분리되고 차단기 본체의 제어전원 공급도 차단되는 인출위치(disconnect position)으로 차단기 본체의 위치이동 조작이 가능하다.
다음, 배전반 도어(1a, 1b)가 열린 상태에서 배전반(1)에 수납된 회로차단기(CB1 또는 CB2)를 인입 또는 인출하기 위해서 도 6 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핸들(H)을 도 2 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전면커버(10)의 핸들 삽입구(10c)에 삽입할 때, 본 발명에 따른 회로차단기의 핸들 도어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배전반 도어(1a, 1b)가 열린 상태에서는, 배전반 도어(1a, 1b)에 의한 가압력이 없어짐에 따라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동기구(40)가 스프링(도 9의 부호 43 참조)의 탄성력에의해 도어 판(20)의 전방측으로 튀어나옴에 의해서, 도어 판(20)의 이동방향을 가로 지르게 배치된 연동판(41)에 있어서 구속돌부(41b)가 도어 판(20)이 수평이동하는 것을 불허하게 도어 판(20)의 홈부(20e)내에 위치함에 따라 도어 판(20)은 수평이동이 불가하게 구속된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도 6 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핸들(H)을 도 2 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전면커버(10)의 핸들 삽입구(10c)에 삽입하더라도, 핸들(H)은 도 4의 핸들레버(30)의 핸들 관통구(도 5의 부호 30a 참조)를 통해 진입하더라도 도어 판(20)중 핸들 접속구부(도 4의 부호 20a 참조)의 측방(좌측)에 위치한 차폐부에 접촉함에 따라, 핸들(H)의 후속 진입이 저지된다. 따라서, 핸들(H)은 핸들 접속구부(도 4의 부호 20a 참조)에 삽입되지 못하고 저지되어 후위의 인입출기구(50)중 스핀들(51)의 접속홈부와도 접속되지 못하고, 핸들(H)을 반시계방향 또는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더라도 공회전만 할 뿐, 스핀들(51)은 회전되지 않고 따라서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차단기 본체의 인입 또는 인출조작이 불가능해진다. 그러므로, 배전반 도어(1a, 1b)가 열린 상태에서는 차단기 본체의 인입출 조작이 불가능해짐에 의해서, 조작자를 전기적 안전사고로부터 보호할 수 있게된다.
1: 배전반 1a, 1b: 배전반 도어
CB1, CB2: 회로차단기 10: 전면 커버
10a: 접촉부 10a1: 고정구
10b: 접촉부 10b1: 고정구
10b2: 스프링 지지벽부 10b3, 10b4: 후크 지지홈부
10c: 핸들 삽입구 10d: 위치표시부
10e: 스프링 가압판부 10f; 지지기둥부
20: 도어 판 20a: 핸들 접속구부
20b: 스프링 시트부 20c: 장공부
20d: 안내 슈(guide shoe) 20e: 홈부
20f: 돌부 30: 핸들 레버
30a: 핸들 관통구
40: 연동기구 41: 연동판
41a: 해방홈부 41b: 구속돌부
42: 스프링수용벽부 43: 스프링
44a, 44b: 탄성 후크 지지돌부
50: 인입출 기구
51: 스핀들 52: 이동판
53: 제 1 피니언 기어 54: 기어 축
55: 제 2 피니언 기어 56: 위치표시 축

Claims (7)

  1. 배전반 도어와 연동되는 회로차단기의 핸들 도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전반 도어를 닫았을 때도 상기 배전반 도어와 접촉이 없는 노출부분과 상기 배전반 도어를 닫으면 상기 배전반 도어에 의해 접촉되는 접촉부를 가지며, 상기 노출부분에 회로차단기의 인입 또는 인출 구동용 핸들의 핸들 삽입구가 마련된 상기 회로차단기의 전면커버(FRONT COVER);
    상기 전면커버의 후위에서 상기 전면 커버에 대해서 수평적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핸들 삽입구를 차폐하는 차폐위치와 상기 핸들 삽입구를 개방하는 개방위치로 이동가능한 도어 판(DOOR PLATE);
    상기 도어 판에 상기 차폐위치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부과하는 복귀 스프링;
    상기 차폐위치로 탄성력을 상기 도어 판에 부과하도록, 상기 복귀 스프링을 상기 도어 판의 차폐위치 방향으로 가압하며 상기 전면 커버중 미리결정된 위치에 고정설치되는 스프링 가압판부; 및
    상기 배전반 도어가 닫혔을 때 상기 도어 판의 개방위치 이동을 허용하는 이동허용 위치와, 상기 배전반 도어가 열렸을 때 상기 도어 판을 가로막아 상기 도어 판의 개방위치 이동을 금지하도록 구속하는 이동구속 위치를 가지며, 상기 전면커버의 접촉부상에 설치되는 연동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 판은,
    상기 연동기구가 이동허용 위치일 때, 상기 핸들을 삽입하면 상기 핸들의 외주면과 접촉하여 상기 도어 판을 개방위치로 구동하도록, 내주면의 직경이 입구로부터 멀어질수록 좁아지는 핸들 접속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차단기의 핸들 도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커버는 상기 도어 판을 지지하는 지지기둥부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 판은 상기 지지기둥부가 삽입되는 장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차단기의 핸들 도어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판은,
    상기 연동기구가 구속위치에서 위치하는 홈부를 구비하고,
    상기 연동기구는,
    상기 배전반 도어가 열렸을 때, 상기 도어 판의 홈부에 끼워져 상기 도어 판의 개방위치 이동을 금지하도록 구속하고,
    상기 배전반 도어가 닫혔을 때, 상기 배전반 도어에 의해 가압되어 이동함으로써 상기 도어 판의 개방위치 이동을 허용하는 연동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차단기의 핸들 도어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판은,
    상기 도어 판을 구속하도록, 상기 도어 판의 홈부에 끼워질 수 있는 구속돌부; 및
    상기 도어 판의 수평이동을 허용하는 해방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차단기의 핸들 도어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기구는,
    상기 연동기구를 이동구속 위치에 위치하도록 탄성가압하는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전면커버는,
    상기 접촉부에 위치하고 상기 배전반 도어가 닫혔을 때 상기 배전반 도어와 함께 상기 스프링을 압축하도록 상기 스프링의 일단부를 지지하는 스프링 지지벽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차단기의 핸들 도어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기구는,
    상기 전면커버에 탄성 지지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탄성 후크(hook) 지지돌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차단기의 핸들 도어장치.
KR1020100006659A 2010-01-25 2010-01-25 배전반 도어와 연동되는 회로차단기의 핸들 도어장치 KR1016585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6659A KR101658538B1 (ko) 2010-01-25 2010-01-25 배전반 도어와 연동되는 회로차단기의 핸들 도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6659A KR101658538B1 (ko) 2010-01-25 2010-01-25 배전반 도어와 연동되는 회로차단기의 핸들 도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7155A KR20110087155A (ko) 2011-08-02
KR101658538B1 true KR101658538B1 (ko) 2016-09-23

Family

ID=449260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6659A KR101658538B1 (ko) 2010-01-25 2010-01-25 배전반 도어와 연동되는 회로차단기의 핸들 도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853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31169B2 (en) * 2014-06-30 2016-12-27 Eaton Corporation Motor control center units with retractable stabs and interlocks using portal shutters
US10186847B2 (en) 2016-11-21 2019-01-22 Eaton Intelligent Power Limited Motor control center (MCC) units with slidable shutters
US10742004B2 (en) 2017-12-20 2020-08-11 Eaton Intelligent Power Limited Motor control center (MCC) units with retractable power connector and interlocks including a power connector position interlock
US11177088B2 (en) 2019-02-22 2021-11-16 Eaton Intelligent Power Limited Motor control center (MCC) units with dual disconnect switches, dual operator handles, retractable power connector and interlocks
KR102387322B1 (ko) * 2021-01-28 2022-04-15 오성기전 주식회사 바이패스 전원 절체 장치의 인터록 구조
CN116581002B (zh) * 2023-07-13 2024-03-26 希格玛电气(珠海)有限公司 一种带自闭型门控机构的断路器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42711A (ja) * 1990-06-07 1992-02-13 Mitsubishi Electric Corp 外部操作方式閉鎖形配電盤
KR960000682B1 (ko) * 1993-10-15 1996-01-11 대우전자주식회사 도어 개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7155A (ko) 2011-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8538B1 (ko) 배전반 도어와 연동되는 회로차단기의 핸들 도어장치
KR101191159B1 (ko) 진공차단기의 인터록 장치
KR101836497B1 (ko) 회로 차단기와 사용하기 위한 언더캐리지 및 키로크 조립체
US8294051B2 (en) Device for preventing withdrawing and inserting of a circuit breaker
US8129641B2 (en) Installation switchgear having a spring-loaded terminal arrangement
US4831489A (en) Control unit withdrawing mechanism for swichgears
SK278330B6 (en) Protection equipment of switching apparatus
KR940001118B1 (ko) 인출형 개폐기
CN107275159B (zh) 断路器电动辅助联接器-可现场安装的套件
KR101993450B1 (ko) 배전반의 도어 인터록 해제 장치
KR20180035079A (ko) 배전반 내 진공 차단기의 인입출 인터록 장치
KR101604280B1 (ko) 배전반
JPH0587929B2 (ko)
KR101669907B1 (ko) 진공차단기 인입출 인터록 장치
EP3453041B1 (en) Combination of a panel for accommodating a draw-out device and the draw-out device
KR101883574B1 (ko) 진공 차단기의 위치 검출장치
KR20110015920A (ko) 차단기의 인입출 장치
KR101412592B1 (ko) 회로차단기의 인입출 안전장치
CN210535542U (zh) 一种用于微型开关的机械互锁机构
KR101522263B1 (ko) 기중 차단기의 인출 방지 장치 및 인출 방지 장치를 갖는 기중 차단기
KR101793549B1 (ko) 진공 차단기의 인터록 장치
KR102632384B1 (ko) 셔터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배전반
KR102633156B1 (ko) 인터록 모듈, 차단기 이동부 및 이를 포함하는 배전반
CN219040329U (zh) 一种预防式防误操作联锁装置
CN111200254B (zh) 一种开关柜及其二次联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