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7322B1 - 바이패스 전원 절체 장치의 인터록 구조 - Google Patents

바이패스 전원 절체 장치의 인터록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7322B1
KR102387322B1 KR1020210012494A KR20210012494A KR102387322B1 KR 102387322 B1 KR102387322 B1 KR 102387322B1 KR 1020210012494 A KR1020210012494 A KR 1020210012494A KR 20210012494 A KR20210012494 A KR 20210012494A KR 102387322 B1 KR102387322 B1 KR 1023873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ypass
power
lever
main bar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24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성환
황신오
Original Assignee
오성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성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성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124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7322B1/ko
Priority to CN202121052663.XU priority patent/CN214705750U/zh
Priority to CN202110536266.8A priority patent/CN114823184A/zh
Priority to US17/503,316 priority patent/US11990732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73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73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20Interlocking, locking, or latching mechanisms
    • H01H9/24Interlocking, locking, or latching mechanisms for interlocking two or more parts of the mechanism for operating contac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14Shutters or guards for preventing access to contac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 H02J9/06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 H02J9/068Electronic means for switching from one power supply to another power supply, e.g. to avoid parallel conn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20Interlocking, locking, or latching mechanis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20Interlocking, locking, or latching mechanisms
    • H01H9/26Interlocking, locking, or latching mechanisms for interlocking two or more switch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 H02J9/06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00Orthogonal indexing scheme relating to 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or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covered by H01H
    • H01H2300/018Application transfer; between utility and emergency power supp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rip Switchboards (AREA)
  • Stand-By Power Supply Arrangements (AREA)
  • Patch Boards (AREA)
  • Driving Mechanisms And Operating Circuits Of Arc-Extinguishing High-Tensi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이패스 전원 절체 장치의 인터록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바이패스 스위치를 통해 공급전원이 바이패스될 경우, 바이패스 스위치의 투입 전원에 관계없이 레버투입부가 폐쇄되도록 하여 자동 절환 스위치에 대한 수동 절환이 차단될 수 있도록 하고, 바이패스 스위치의 투입 전원과 자동 절환 스위치의 투입 전원이 일치해야만 자동 절환 스위치가 배전반에 투입될 수 있도록 한 바이패스 전원 절체 장치의 인터록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상용전원 및 비상전원 수동 절환을 위한 통공 형태의 레버투입부가 형성된 자동 절환 스위치; 상기 자동 절환 스위치를 통해 부하측으로 공급되는 상용전원 또는 비상전원의 전원을 바이패스시킬 수 있도록 설치되며, 바이패스 회로를 수동으로 가변시킬 수 있는 바이패스 레버를 포함하는 바이패스 스위치; 및 상기 바이패스 레버 동작시, 상기 레버투입부를 자동으로 폐쇄시킬 수 있도록 설치된 인터록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인터록 장치는, 상기 바이패스 레버에 축 결합되며, 상기 바이패스 레버의 회동작용에 의해 상기 자동 절환 스위치를 승강할 수 있도록 설치된 메인바; 상기 메인바의 승강작용에 연동되어 상기 자동 절환 스위치의 높이 방향으로 승강될 수 있도록 설치되며, 상기 레버투입부를 향해 경사면이 형성된 승강부재; 상기 승강부재의 승강작용에 의해 상기 승강부재의 경사면을 따라 상기 레버투입부로 밀려나거나 원위치되면서 상기 레버투입부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설치된 개폐판을 포함하며, 상기 메인바와 상기 승강부재 사이에는 메인바의 승강작용을 승강부재에 연동시키는 연동수단이 설치되고, 상기 연동수단은, 상기 메인바에 설치되며, 메인바의 승강에 수직한 방향으로 장홈이 형성된 간섭부재; 상기 간섭부재의 장홈에 일단부가 위치되며, 상기 메인바 승강시 장홈을 따라 일단부가 이동하면서 메인바의 높이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설치된 제1링커; 상기 제1링커의 타단부에 일단부가 축 결합되고, 상기 승강부재에 타단부가 축 결합되어 상기 제1링커 회동시 상기 승강부재를 하방으로 밀어내거나 상기 승강부재를 끌어올릴 수 있도록 설치된 제2링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패스 전원 절체 장치의 인터록 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바이패스 전원 절체 장치의 인터록 구조{An interlock structure of a bypass transfer switching device}
본 발명은 바이패스 전원 절체 장치의 인터록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공급전원이 바이패스된 경우 자동 절환 스위치에 대한 수동 절환이 물리적으로 차단될 수 있도록 하고, 바이패스 스위치와 자동 절환 스위치의 전원 투입 방향이 일치되어야 배전반으로 자동 절환 스위치가 투입될 수 있도록 한 바이패스 전원 절체 장치의 인터록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형 건물이나 공장 등은 한국 전력과 같은 전력 공급원으로부터 상용 전력(Normal Power Supply)을 공급받아 사용하고, 정전과 같이 상용 전력 공급에 이상이 발생했을 때에는 내부에 구비된 발전 설비등을 이용하여 비상 전력(Emergency Power Supply)을 생성하여 사용한다. 이러한 대형 건물이나 공장등에는, 평상시에 상용 전원과 부하측을 연결하여 부하측에 전력을 공급하고, 상용 전력 공급원에 이상이 발생할 때 비상 전원을 부하측에 연결하여 비상 전력을 부하측으로 제공하는 자동 절환 스위치(Automatic Transfer Switch;ATS)가 포함된 자동 전원 절환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자동 전원 절환 장치는 자동 절환 스위치를 병렬로 연결 구성하여 하나의 자동 절환 스위치에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 병렬로 구비된 다른 자동 절환 스위치를 통해 전원을 공급하도록 절체를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이상이 발생된 자동 절환 스위치에 대한 유지보수, 장비의 테스트 등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바이패스 전원 절체 장치로 제공되고 있다.
바이패스 전원 절체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전반(30)의 내측에 자동 절환 스위치(10) 및 바이패스 스위치(20)가 설치되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스위치(10, 20)의 고정단자부에 상용전원 공급을 위한 상용전원단자(10-1, 20-1), 비상전원 공급을 위한 비상전원단자(10-2, 20-2) 및 부하 측으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부하단자(10-3, 20-3)는 서로 병렬로 접속되도록 배선되며, 각각의 자동 절환 스위치(10, 20)에 구비되는 가동단자(10-4, 20-4)가 전원단자부(10-1,10-2,20-1,20-2)에 대한 스위칭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자동 절환 스위치(10)의 전면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투입부(10a)가 형성되며, 관리자는 레버투입부(10a)에 레버를 투입하여 수동으로 자동 절환 스위치(10)의 전원을 절환시킬 수 있다. 한편, 바이패스 전원 절체 장치는 자동 절환 스위치(10)에 대한 유지보수, 수리, 테스트 등이 요구되는 경우, 바이패스 스위치(20)를 통해 부하측으로 공급 전원이 끊기지 않고 지속적으로 공급되도록 절체될 수 있는 바, 자동 절환 스위치(10)에 대한 수리, 유지보수, 테스트 등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한 종래의 바이패스 전원 절체 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첫째, 관리자가 자동 절환 스위치를 유지보수, 수리, 테스트 등을 수행하기 위해, 바이패스 스위치(20)를 상용전원 또는 비상전원으로 절환시켜 놓은 경우, 관리자 또는 작업자가 바이패스 스위치(20)의 절환사실을 인지하지 못한 상태에서, 레버투입부(10a)에 레버를 투입하여 자동 절환 장치(10)의 전원을 수동으로 절환시킬 수 있는바, 전원공급 설비 등의 장비 손상은 물론, 화재 사고를 야기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즉, 바이패스 전원 절체 장치는 바이패스 스위치(20)의 투입 전원과 자동 절환 스위치의 투입 전원이 일치하는 경우 문제가 없지만, 바이패스 스위치(20)의 투입 전원과 자동 절환 스위치의 투입 전원이 다른 상태에서 작업자가 부주의로 레버투입부(10a)를 통해 수동으로 자동 절환 스위치의 전원 절체 작업을 시도할 경우, 대형 사고를 야기할 수 있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
둘째, 바이패스 전원 절체 장치는 관리자가 바이패스 스위치(20)를 이용해 전원을 바이패스 시켜 놓은 상태에서, 자동 절환 스위치(10)를 배전반으로부터 인출하여 테스트 또는 유지 보수작업을 수행하고 배전반에 다시 원위치시키는 과정에서, 바이패 스위치(20)의 투입 전원과 자동 절환 스위치(10)의 투입 전원이 다를 경우, 전술한 사고를 유발시킬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즉, 관리자는 배전반(30)으로부터 자동 절환 스위치(10)를 인출한 후, 자동 절환 스위치(10)에 상용전원 또는 비상전원을 투입시키면서 테스트 또는 유지 보수 작업을 수행하는데, 작업자가 일련의 작업을 마친 후 자동 절환 스위치(10)를 배전반(30)에 원위치시킬 때, 자동 절환 스위치(10)의 투입 전원과 바이패스 스위치(20)의 투입 전원이 일치하지 않을 경우, 장비 손상 및 화재 등의 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것이다.
대한민국 등록번호 제10-0844202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바이패스 스위치를 통해 공급전원이 바이패스된 상태에서는 자동 절환 스위치의 레버투입부가 자동으로 폐쇄되도록 함으로써, 자동 절환 스위치에 대한 수동 절환이 원천적으로 차단될 수 있도록 한 바이패스 전원 절체 장치의 인터록 구조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용전원 및 비상전원 수동 절환을 위한 통공 형태의 레버투입부가 형성된 자동 절환 스위치; 상기 자동 절환 스위치를 통해 부하측으로 공급되는 상용전원 또는 비상전원의 전원을 바이패스시킬 수 있도록 설치되며, 바이패스 회로를 수동으로 가변시킬 수 있는 바이패스 레버를 포함하는 바이패스 스위치; 및 상기 바이패스 레버 동작시, 상기 레버투입부를 자동으로 폐쇄시킬 수 있도록 설치된 인터록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인터록 장치는, 상기 바이패스 레버에 축 결합되며, 상기 바이패스 레버의 회동작용에 의해 상기 자동 절환 스위치를 승강할 수 있도록 설치된 메인바; 상기 메인바의 승강작용에 연동되어 상기 자동 절환 스위치의 높이 방향으로 승강될 수 있도록 설치되며, 상기 레버투입부를 향해 경사면이 형성된 승강부재; 상기 승강부재의 승강작용에 의해 상기 승강부재의 경사면을 따라 상기 레버투입부로 밀려나거나 원위치되면서 상기 레버투입부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설치된 개폐판을 포함하며, 상기 메인바와 상기 승강부재 사이에는 메인바의 승강작용을 승강부재에 연동시키는 연동수단이 설치되고, 상기 연동수단은, 상기 메인바에 설치되며, 메인바의 승강에 수직한 방향으로 장홈이 형성된 간섭부재; 상기 간섭부재의 장홈에 일단부가 위치되며, 상기 메인바 승강시 장홈을 따라 일단부가 이동하면서 메인바의 높이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설치된 제1링커; 상기 제1링커의 타단부에 일단부가 축 결합되고, 상기 승강부재에 타단부가 축 결합되어 상기 제1링커 회동시 상기 승강부재를 하방으로 밀어내거나 상기 승강부재를 끌어올릴 수 있도록 설치된 제2링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패스 전원 절체 장치의 인터록 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바이패스 전원 절체 장치의 인터록 구조는 바이패스 스위치를 통해 공급전원이 바이패스된 상태에서는 자동 절환 스위치의 레버투입부가 자동으로 폐쇄됨으로써, 작업자가 자동 절환 스위치의 전원을 수동으로 절환시키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자동 절환 스위치에 대한 수리, 테스트 중에 바이패스 투입 전원과 자동 절환 장치의 투입 전원이 달라 부하측 장비가 손상되거나 화재 등의 사고가 발생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바이패스 스위치를 통해 공급 전원이 바이패스된 상태에서는, 배전반으로부터 인출된 자동 절환 스위치의 전원 투입 방향이 바이패스 스위치의 전원 투입 방향과 일치해야만 배전반에 자동 절환 스위치가 투입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바이패스 스위치의 투입 전원과 자동 절환 스위치의 투입 전원 불일치에 따른 장비 손상 및 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바이패스 전원 절체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바이패스 전원 절체 장치의 회로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바이패스 전원 절체 장치의 인터록 구조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바이패스 전원 절체 장치의 인터록 구조를 전면에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바이패스 전원 절체 장치의 인터록 구조를 후면에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는 자동 절환 스위치가 운전되고 있는 상태에서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바이패스 전원 절체 장치의 인터록 구조를 나타낸 측면도 및 정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a 및 도 7b는 바이패스 스위치를 통해 전원이 상용전원으로 바이패스된 상태에서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바이패스 전원 절체 장치의 인터록 구조를 나타낸 측면도 및 정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a 및 도 8b는 바이패스 스위치를 통해 전원이 비상전원으로 바이패스된 상태에서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바이패스 전원 절체 장치의 인터록 구조를 나타낸 측면도 및 정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바이패스 스위치를 통해 전원이 상용전원으로 바이패스된 상태에서, 배전반으로부터 인출된 자동 절환 스위치의 전원이 비상전원에 투입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바이패스 스위치를 통해 전원이 비상전원으로 바이패스된 상태에서, 배전반으로부터 인출된 자동 절환 스위치의 전원이 상용전원에 투입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 3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바이패스 전원 절체 장치의 인터록 구조(이하, '인터록 구조'라 함)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인터록 구조는 자동 절환 스위치(10)와 바이패스 스위치(20)가 병렬 연결된 바이패스 전원 절체 장치에 있어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 절환 스위치(10)에 형성된 레버투입부(10a)를 폐쇄시킬 있는 인터록 장치를 포함한다. 이때, 바이패스 스위치(20)는 바이패스 스위치(20)의 투입 방향을 가변시킬 수 있는 바이패스 레버(21)를 포함하며, 바이패스 레버(21)는 도 6a, 도 7a,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전반(30)의 내측에서 상,하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예컨대 바이패스 레버(21)가 배전반(30)의 상방을 향해 회동되면 바이패스 스위치(20)로 상용전원이 바이패스되며, 바이패스 레버(21)가 배전반(30)의 하방을 향해 회동되면 바이패스 스위치로 비상전원이 바이패스 된다.
인터록 장치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바(100)와, 승강부재(200)와, 개폐판(300)과, 연동수단(400)과, 가이드수단(500)을 포함한다.
메인바(100)는 바이패스 레버(21)의 회전 동작을 개폐판(300)에 전달하기 위한 구성으로써, 바이패스 레버(21)와 후술하는 연동수단(400) 사이에 설치된다. 메인바(100)는 바이패스 레버(21)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설치된다. 메인바(100)는 바이패스 레버(21)에 축 결합되며, 바이패스 레버(21) 정,역 회전시 배전반(30)의 측부 내부에서 높이 방향으로 승강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승강부재(200)는 메인바(100)의 승강작용에 의해 승강될 수 있도록 설치되며, 개폐판(300)을 밀어내거나 당기는 역할을 한다. 승강부재(200)의 승강작용은 후술하는 연동수단(400)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공된다. 승강부재(20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 절환 스위치(10)의 측부와 전면을 따라 절곡된 패널 형태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때, 배전반(30)의 측면에 대응되는 승강부재(200)의 일측에는 승강부재(200)의 승강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후술하는 가이드 수단(500)과의 결합을 위한 승강공(210)이 형성된다. 승강공(210)은 후술하는 가이드 수단(500)의 롤러가 삽입되어 회전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승강부재(200)의 승강작용을 더욱 원활하게 해주기 위한 구성이다. 승강공(210)은 승강부재(200)의 높이 방향으로 장공(長空)의 형태로 이루어지며 복수개임이 바람직하다. 또한, 배전반(300)의 전면에 대응되는 승강부재(200)의 타측은 경사면(220)을 형성한다. 경사면(220)은 자동 절환 스위치(10)의 레버투입부(10a)를 향해 형성되되 승강부재(200)의 중간부를 중심으로 상,하 방향으로 대칭된 각을 형성한다. 즉, 경사면(220)은 승강부재(200)의 타측 중간부를 중심으로 레버투입부(10a)를 향해 경사면(220)의 상,하 너비가 점점 넓어지게 형성된 것이다. 이러한 구성의 경사면(220)은 승강부재(200)의 중간부를 중심으로 상부 경사면(221)과 하부 경사면(222)으로 구분될 수 있다.
개폐판(300)은 바이패스 레버(21)의 회전동작에 의해 레버투입부(10a)를 실질적으로 폐쇄시키는 구성이다. 개폐판(300)은 자동 절환 스위치(10)의 전면 패널 후방에 위치되며, 레버투입부(10a)를 향해 왕복 이동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개폐판(300)의 형태는 레버투입부(10a)를 폐쇄시킬 수 있는 형태이면 무방하며, 개폐판(300)의 일측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바(310)가 형성된다. 가이드바(310)는 승강부재(200)의 승강작용에 의해 개폐판(300)이 연동될 수 있도록 한 구성으로써, 개폐판(300)으로부터 외향 돌출 형성된다. 가이드바(310)는 승강부재(200)의 경사면(220)이 시작되는 승강부재(220)의 중간부에 위치되며, 승강부재(220) 승강시 가이드바(310)는 경사면(220)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또한, 개폐판(300)에는 개폐판(300)의 왕복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320)이 설치된다. 또한, 개폐판(300)에는 개폐판(300)의 왕복 움직임이 유연하게 이루어질 수있도록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330)가 설치된다.
연동수단(400)은 메인바(100)의 승강작용을 승강부재(200)에 전달하는 역할을 하며, 메인바(100)와 승강부재(200) 사이에 설치된다. 연동수단(4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섭부재(410)와, 제1링커(420)와, 제2링커(430)를 포함한다. 간섭부재(410)는 메인바(100)로부터 외향 돌출 형성되며, 배전반(30)의 전방을 향해 개구된 장홈(411)을 형성한다. 장홈(411)에는 제1링커(430)의 일단부가 위치되며, 장홈(411)은 간섭부재(410)의 승강에 따른 제1링커(430)의 회동이 간섭없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구성이다. 제1링커(420)는 자동 절환 스위치(10)의 내측에서 축 결합되며, 간섭부재(410)의 승강작용에 의해 메인바(100)의 높이 방향 즉, 메인바(100)의 승강 방향을 따라 회동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제1링커(420)의 일단부는 상기한 바와 같이 간섭부재(410)의 장홈(411)에 위치되는데, 정확하게는, 제1링커(420)의 일단부에는 간섭돌기(421)가 외향 돌출되며, 간섭돌기(421)는 장홈(411)에 위치되어 간섭부재(410)의 움직임이 간섭돌기(421)를 통해 제1링커(420)에 전달되도록 한 것이다. 제2링커(430)는 제1링커(420)의 동작에 연동되며, 제1링커(420)와 승강부재(200) 사이에 설치된다. 제2링커(430)의 일단부는 제1링커(420)의 타단부에 축 결합되며, 제2링커(430)의 타단부는 승강부재(200)에 축 결합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제2링커(430)는 제1링커(420)가 축을 중심으로 회동될 때, 승강부재(200)를 하방으로 밀어내거나 상방으로 끌어올리는 작용을 하게 된다.
가이드 수단(500)은 승강부재(200) 승강작용 및 개폐판(300)의 왕복이동을 원활하게 가이드해주는 역할을 한다. 즉, 가이드 수단(500)은 승강부재(200)의 승강경로 및 개폐판(300)의 이동경로를 가이드 해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가이드 수단(500)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 절환 스위치(10)의 측부와 전면을 따라 절곡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가이드 수단(500)의 일측에는 롤러(510)가 설치되며, 롤러(510)는 승강부재(200)의 승강공(210)을 따라 구를 수 있도록 설치된다. 즉, 승강부재(200) 승강시 가이드 수단(500)의 롤러(510)가 승강공(210)을 따라 롤링됨에 따라 승강부재(200)의 승강작용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가이드 수단(500)의 타측에는 가이드공(520)이 형성된다. 가이드공(520)은 개폐판(300)에 설치된 롤러(330)가 롤링될 수 있도록 한 구성으로써, 개폐판(300) 왕복 이동시 원활한 움직임을 제공한다.
이하,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인터록 구조의 동작에 대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첨부된 도 6a 및 도 6b는 평상시 전원이 공급되고 있는 자동 절환 스위치(10)의 운전상태를 측면과 정면에서 나타낸 도면으로써, 이를 통해 알 수 있듯이 바이패스 레버(21)의 위치는 바이패스 스위치(20)의 어느 전원으로도 접속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다. 또한, 자동 절환 스위치(10)의 수동 전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레버투입부(10a)는 개방된 상태임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자동 절환 스위치(10)에 대한 수리, 테스트 등이 필요할 경우, 작업자는 자동 절환 스위치(10)를 통해 공급되고 있는 전원을 바이패스 스위치(20)를 통해 우회시킨다.
예컨대 작업자는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이패스 레버(20)를 상방으로 회동시켜 자동 절환 스위치(10)로부터 상용전원을 바이패스 스위치(20)에 바이패스 시킨다. 이때, 메인바(100)는 바이패스 레버(21)가 상방으로 회동됨에 따라, 간섭부재(410)와 함께 배전반(30)의 상방으로 상승된다. 이때, 제1링커(420)의 간섭돌기(421)는 간섭부재(410)의 장홈(411)에 위치되어 있으므로, 제1링커(420)는 간섭부재(410)에 연동되어 상방으로 회동된다. 이러한 제1링커(420)의 회동에 의해, 제1링커(420)의 일단부는 상승되고, 제1링커(420)의 타단부는 하강됨을 도 6a 및 도 7a를 통해 알 수 있다. 제1링커(420)의 타단부가 하강됨에 따라 승강부재(200)는 배전반(30)의 하부로 하강되며, 이때, 롤러(510)가 승강공(210)을 따라 롤링됨으로써 승강부재(200)의 하강은 유연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승강부재(200)가 하강됨에 따라, 개폐판(300)의 가이드바(310)는 승강부재(200)의 상부 경사면(221)을 따라 가이드되며, 가이드바(310)가 상부 경사면(221)을 따라 이동된만큼 개폐판(300)이 이동되었음을 도 6b 및 도 7b를 통해 알 수 있다. 즉, 개폐판(300)은 스프링(320)을 신장시키면서 가이드 수단(500)의 가이드공(520)을 따라 도면상 우측으로 이동되어 레버투입부(10a)를 폐쇄시키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바이패스 레버(21)가 자동 절환 스위치(10)의 전원을 바이패스 시키면 개폐판(300)은 바이패스 레버(21)의 작용에 연동되면서 자동으로 레버투입부(10a)를 폐쇄시켜 자동 절환 스위치(10)에 대한 수동 절환을 원천적으로 봉쇄하게 된다. 이후, 작업자는 자동 절환 스위치(10)에 대한 일련의 작업을 실시하고, 작업이 완료되면 바이패스 레버(20)를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위치시킨다.
한편, 작업자는 바이패스 레버(21)를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방으로 회동시켜 자동 절환 스위치(10)로부터 비상전원을 바이패스 스위치(20)에 바이패스 시킬 수도 있다. 이때, 메인바(100)는 간섭부재(410)와 함께 배전반(30)의 하부로 하강되며, 간섭부재(410)의 하강에 의해 제1링커(420)는 회동하여 타단부가 상승됨을 도 6a 및 도 8a를 통해 알 수 있다. 제1링커(420)의 타단부가 상승됨에 따라, 승강부재(200)는 배전반(30)의 상부를 향해 상승된다. 승강부재(200)가 상승됨에 따라, 개폐판(300)의 가이드바(310)는 승강부재(200)의 하부 경사면(221)을 따라 가이드되며, 가이드바(310)가 하부 경사면(221)을 따라 이동된만큼 개폐판(300)이 이동되어 레버투입부(10a)를 폐쇄시켰음을 도 6b 및 도 8b를 통해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인터록 장치의 동작을 통해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은 바이패스 레버(20)가 상용전원을 바이패스 시키거나 비상전원을 바이패스 시키는 것에 관계없이 공급전원이 바이패스된 경우에는 개폐판(300)이 자동으로 이동하여 레버투입부(10a)를 폐쇄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즉, 본 발명은 자동 절환 스위치(10)의 전원이 바이패스될 경우, 레버투입부(10a)가 무조건 폐쇄될 수 있도록 제공됨으로써 작업자가 부주의로 자동 절환 스위치(10)를 수동 절환시키는 일을 원천적으로 차단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자동 절환 스위치(10)의 전원이 바이패스된 후, 배전반(30)으로부터 자동 절환 스위치(10)가 인출되어 수리 또는 테스트 작업이 이루어졌다가 원위치되는 과정에서 자동 절환 스위치(10)의 투입 전원과 바이패스 스위치(20)의 투입 전원이 다를 경우, 자동 절환 스위치(10)가 배전반(10)으로 원위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특징을 갖는다. 즉,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 역시, 자동 절환 스위치(10)의 투입 전원과 바이패스 스위치(20)의 투입 전원이 상이함에 따른 장비 손상 및 사고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 절환 스위치(10)는 상용전원 및 비상전원 투입을 위한 상용전원 회동축(12) 및 비상전원 회동축(22)을 포함하며, 상용전원 회동축(12) 및 비상전원 회동축(22)은 서로 높이 방향으로 설치된다. 상용전원 회동축(12) 및 비상전원 회동축(22) 각각의 단부에는 캠링커(13,23)가 설치되며, 캠링커(13,23)는 회동축(12,22) 회동과 연동된다. 상용전원 회동축(12)의 캠링커(13)와 비상전원 회동축(22)의 캠링커(23)는 서로 대칭인 상태로 설치되는데, 편심진 부위가 서로 반대 방향인 것이다. 또한, 캠링커(13,23)에는 구속돌기(14,24)가 외향 도출 형성된다. 구속돌기(14,24)는 캠링커(13,23)로부터 메인바(100)를 향해 돌출 형성되며, 후술하는 스토퍼에 간섭될 수 있도록 제공된다.
메인바(100)에는 메인바(100)의 높이 방향으로 스토퍼(110)가 설치된다. 스토퍼(110)는 구속돌기(14,24)에 간섭될 수 있게 한 구성으로써 메인바(100)에 복수로 설치된다. 정확하게는, 스토퍼(110)는 메인바(100)에 2 개로 설치되며, 스토퍼 (110)사이의 간격은 상용전원 회동축(12)과 비상전원 회동축(22) 사이의 구속돌기(14,24) 간격에 대응되되 바이패스 레버(20)의 회동에 의한 메인바(100) 승강시 스토퍼(110)는 상용전원 회동축(12) 또는 비상전원 회동축(22)에 설치된 구속돌기(14,24)에 간섭될 수 있게 제공된다.
이하,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스토퍼(110)와 구속돌기(14,24)를 포함하고 있는 바이패스 전원 절체 장치의 자동 절환 스위치(10)가 배전반(30)을 출입하는 작용에 대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도 6a는 평상시 자동 절환 장치(10)가 운전되고 있는 상태로써, 상용전원 회동축(14) 및 비상전원 회동축(24)의 구속돌기(14,24)는 모두 스토퍼(110) 사이에 위치되어 배전반(30)으로의 자동 절환 스위치(10) 투입이 자유로운 상태임을 알 수 있다. 이때, 작업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용전원을 바이패스 시킨 상태에서, 자동 절환 스위치(10)를 배전반(30)으로부터 인출시킨 후, 일련의 작업을 실시한다. 예컨대 작업자는 배전반(30)으로부터 자동 절환 스위치(10)를 인출한 후, 자동 절환 스위치(10)의 투입 전원을 변경하면서 다양한 작업을 실시하게 된다. 이때, 바이패스 스위치(20)를 통해 주회로는 연결된 상태이므로, 자동 절환 스위치(10)가 배전반(30)으로부터 인출되더라도 전원공급은 문제없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후, 자동 절환 스위치(10)에 대한 일련의 작업이 완료되면, 작업자는 자동 절환 스위치(10)를 배전반에 원위치시켜야 한다. 이때,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이패스 레버(20)는 상방으로 회동하여 상용전원을 바이패스 시키고 있으며, 자동 절환 스위치(10)의 전원 투입 방향은 비상전원 회동축(22)이 회동하여 캠링커(23)가 비상전원측을 향하고 있는바, 비상전원 회동축(22)에 설치된 구속돌기(24)는 메인바(100)의 하부 스토퍼(110)에 간섭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배전반(30)으로부터 인출된 자동 절환 스위치(10)는 작업자가 비상전원 투입방향으로 회동되어 있는 비상전원 회동축(22)을 개방 방향으로 회동시키지 않는한 자동 절환 스위치(10)는 배전반(30)으로 투입되지 않게 된다.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이패스 레버(20)가 하방으로 회동하여, 비상전원을 바이패스 시킨 상태에서, 자동 절환 장치(10)가 상용전원 투입을 위해 상용전원 회동축(12)이 회동되어 있는 경우 역시, 작업자가 상용전원 투입방향으로 회동되어 있는 상용전원 회동축(12)을 개방 방향으로 회동시키지 않는한 상용전원 회동축(12)의 구속돌기(14)가 메인바(100)의 상부 스토퍼(110)에 간섭되어 배전반(30)으로 자동 절환 스위치가 투입되지 않게 된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이패스 전원 절체 장치의 인터록 구조는 공급전원이 바이패스된 경우에는 바이패스된 전원에 관계없이 자동 절환 스위치의 레버투입부가 자동으로 폐쇄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배전반으로부터 인출된 자동 절환 스위치의 전원과 바이패스된 전원이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는 배전반에 자동 절환 스위치의 투입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였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자동 절환 스위치에 대한 수리, 유지보수, 테스트 등을 위한 공급전원 바이패스시 장비 손상을 방지하고 작업자 감전 등 안전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였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은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 : 자동 절환 스위치 10a : 레버투입부
12 : 상용전원 회동축 13,23 : 캠링커
14,24 : 구속돌기 20 : 바이패스 스위치
21 : 바이패스 레버 100 : 메인바
110 : 스토퍼 200 : 승강부재
210 : 승강공 220 : 경사면
221 : 상부 경사면 222 : 하부 경사면
300 : 개폐판 310 : 가이드바
320 : 스프링 330,510 : 롤러
400 : 연동수단 410 : 간섭부재
411 : 장홈 420 : 제1링커
421 : 간섭돌기 430 : 제2링커
500 : 가이드 수단 520 : 가이드공

Claims (6)

  1. 상용전원 및 비상전원 수동 절환을 위한 통공 형태의 레버투입부가 형성된 자동 절환 스위치;
    상기 자동 절환 스위치를 통해 부하측으로 공급되는 상용전원 또는 비상전원의 전원을 바이패스시킬 수 있도록 설치되며, 바이패스 회로를 수동으로 가변시킬 수 있는 바이패스 레버를 포함하는 바이패스 스위치; 및
    상기 바이패스 레버 동작시, 상기 레버투입부를 자동으로 폐쇄시킬 수 있도록 설치된 인터록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인터록 장치는,
    상기 바이패스 레버에 축 결합되며, 상기 바이패스 레버의 회동작용에 의해 상기 자동 절환 스위치를 승강할 수 있도록 설치된 메인바;
    상기 메인바의 승강작용에 연동되어 상기 자동 절환 스위치의 높이 방향으로 승강될 수 있도록 설치되며, 상기 레버투입부를 향해 경사면이 형성된 승강부재;
    상기 승강부재의 승강작용에 의해 상기 승강부재의 경사면을 따라 상기 레버투입부로 밀려나거나 원위치되면서 상기 레버투입부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설치된 개폐판을 포함하며,
    상기 메인바와 상기 승강부재 사이에는 메인바의 승강작용을 승강부재에 연동시키는 연동수단이 설치되고, 상기 연동수단은,
    상기 메인바에 설치되며, 메인바의 승강에 수직한 방향으로 장홈이 형성된 간섭부재;
    상기 간섭부재의 장홈에 일단부가 위치되며, 상기 메인바 승강시 장홈을 따라 일단부가 이동하면서 메인바의 높이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설치된 제1링커;
    상기 제1링커의 타단부에 일단부가 축 결합되고, 상기 승강부재에 타단부가 축 결합되어 상기 제1링커 회동시 상기 승강부재를 하방으로 밀어내거나 상기 승강부재를 끌어올릴 수 있도록 설치된 제2링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패스 전원 절체 장치의 인터록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은 상기 승강부재의 중간부를 중심으로 상기 레버투입부를 향해 경사면의 상,하 너비가 점점 넓어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패스 전원 절체 장치의 인터록 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판은,
    상기 승강부재의 상부 경사면 및 하부 경사면을 따라 가이드될 수 있도록 설치된 가이드바와,
    상기 레버투입부를 향한 개폐판의 왕복이동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패스 전원 절체 장치의 인터록 구조.
  4. 삭제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판과 상기 승강부재 사이에는 가이드수단이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수단의 일측은 상기 승강부재의 승강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롤러가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수단의 타측에는 상기 개폐판의 움직임 방향으로 장공의 가이드공이 형성되어 개폐판의 왕복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패스 전원 절체 장치의 인터록 구조.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절환 스위치는 상용전원 및 비상전원 투입을 위해 회동 작용을 하는 상용전원 회동축 및 비상전원 회동축을 포함하되 상기 상용전원 회동축 및 상기 비상전원 회동축은 서로 높이 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상용전원 회동축 및 상기 비상전원 회동축 각각의 단부에는 캠링커가 결합되되, 상용전원 회동축의 캠링커와 비상전원 회동축의 캠링커는 서로 대칭인 상태에서 설치되며,
    상기 각각의 캠링커 가장자리에는 상기 메인바를 향해 돌출된 간섭돌기가 설치되며,
    상기 메인바는 메인바의 높이 방향으로 두 개의 스토퍼가 설치되어 상기 캠링커의 회전 위치에 따라 배전반으로 자동 절환 스위치 출입시, 상기 간섭돌기가 상기 스토퍼에 걸려 간섭될 수 있도록 하여,
    바이패스 스위치 투입 전원과 자동 절환 스위치 투입 전원이 일치할 경우에만, 자동 절환 스위치가 스토퍼에 간섭없이 배전반으로의 투입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패스 전원 절체 장치의 인터록 구조.





KR1020210012494A 2021-01-28 2021-01-28 바이패스 전원 절체 장치의 인터록 구조 KR1023873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2494A KR102387322B1 (ko) 2021-01-28 2021-01-28 바이패스 전원 절체 장치의 인터록 구조
CN202121052663.XU CN214705750U (zh) 2021-01-28 2021-05-17 旁路电源切换装置的联锁结构
CN202110536266.8A CN114823184A (zh) 2021-01-28 2021-05-17 旁路电源切换装置的联锁结构
US17/503,316 US11990732B2 (en) 2021-01-28 2021-10-17 Interlock device configured to open or close the through hole lever input portion of an automatic transfer switch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2494A KR102387322B1 (ko) 2021-01-28 2021-01-28 바이패스 전원 절체 장치의 인터록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7322B1 true KR102387322B1 (ko) 2022-04-15

Family

ID=785527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2494A KR102387322B1 (ko) 2021-01-28 2021-01-28 바이패스 전원 절체 장치의 인터록 구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990732B2 (ko)
KR (1) KR102387322B1 (ko)
CN (2) CN214705750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1478B1 (ko) * 2022-01-06 2022-08-12 오성기전 주식회사 N상 오버래핑 구조를 갖는 자동 절환스위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4202B1 (ko) 2005-08-24 2008-07-04 오성기전주식회사 병렬 구조의 전원 절환 장치
KR20110087155A (ko) * 2010-01-25 2011-08-02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배전반 도어와 연동되는 회로차단기의 핸들 도어장치
KR101073681B1 (ko) * 2010-06-15 2011-10-14 오성기전주식회사 바이패스 전원절체장치의 인터록 장치
KR20130096571A (ko) * 2012-02-22 2013-08-30 기현정공 주식회사 진공 차단기의 인입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23469A (en) * 1990-02-05 1991-06-11 Zenith Controls, Inc. Interlock system for bypass/isolation automatic transfer switch
US5581133A (en) * 1993-12-17 1996-12-03 Eaton Corporation Combination transfer and bypass isolation switch utilizing drawout protective devices and key interlocks
DE10342596B3 (de) * 2003-09-11 2005-05-12 Siemens Ag Verriegelbarer Shutter für Einschubrahmen von Niederspannungs-Leistungsschaltern
US9350199B2 (en) * 2013-10-24 2016-05-24 ASCO Power Technologies L.P. Transfer switch with bypass topology
US10148072B2 (en) * 2016-02-17 2018-12-04 Asco Power Technologies, L.P. Methods and systems for autonomous redundant control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4202B1 (ko) 2005-08-24 2008-07-04 오성기전주식회사 병렬 구조의 전원 절환 장치
KR20110087155A (ko) * 2010-01-25 2011-08-02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배전반 도어와 연동되는 회로차단기의 핸들 도어장치
KR101073681B1 (ko) * 2010-06-15 2011-10-14 오성기전주식회사 바이패스 전원절체장치의 인터록 장치
KR20130096571A (ko) * 2012-02-22 2013-08-30 기현정공 주식회사 진공 차단기의 인입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239073A1 (en) 2022-07-28
CN114823184A (zh) 2022-07-29
US11990732B2 (en) 2024-05-21
CN214705750U (zh) 2021-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26286A (en) Enclosed switchboard
KR102387322B1 (ko) 바이패스 전원 절체 장치의 인터록 구조
KR102387323B1 (ko) 바이패스 전원 절체 장치의 인터록 구조
CN105703232A (zh) 一种断路器联锁机构
CN107946107A (zh) 一种下门与接地开关和隔离开关间设有联锁结构的开关柜
KR101033271B1 (ko) 기기간 기계적 전기적 인터록에 의한 안전 시스템
CN105336524B (zh) 双电源供电断路器柜供电的机械连锁机构
KR102595092B1 (ko) 락킹장치
KR102662150B1 (ko) 접지 스위치와 배전함 도어의 인터록 장치
CN110349781B (zh) 电力转换系统的互锁结构及其操作方法
KR102686845B1 (ko) 진공 차단기용 인터록 장치를 갖는 메카니즘 설비
CN212271864U (zh) 一种电气柜门联锁装置
CN206179811U (zh) 一种新型户内高压真空断路器的联锁装置
CN209962911U (zh) 一种固定式断路器紧急分闸机械联锁装置
KR102137770B1 (ko) 기중절연배전반의 접지모듈
CN207743108U (zh) 一种下门与接地开关和隔离开关间设有联锁结构的开关柜
CN218160060U (zh) 一种接地开关挂锁装置
CN106098435B (zh) 断路器防误合闸联锁机构
CN205692752U (zh) 一种高压真空断路器联锁结构
CN215009271U (zh) 用于开关装置的联锁机构和开关装置
KR200497374Y1 (ko) 배전반 도어
CN217114152U (zh) 一种自动转换开关操作档位传动机构
CN220066526U (zh) 一种开关柜
KR100303591B1 (ko) 바이패스전원절환개폐기
CN215681524U (zh) 用于开关装置的联锁机构和开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