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7770B1 - 기중절연배전반의 접지모듈 - Google Patents

기중절연배전반의 접지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7770B1
KR102137770B1 KR1020190006157A KR20190006157A KR102137770B1 KR 102137770 B1 KR102137770 B1 KR 102137770B1 KR 1020190006157 A KR1020190006157 A KR 1020190006157A KR 20190006157 A KR20190006157 A KR 20190006157A KR 102137770 B1 KR102137770 B1 KR 1021377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e
unit
ground
opening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61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혁수
Original Assignee
엘에스일렉트릭(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일렉트릭(주) filed Critical 엘에스일렉트릭(주)
Priority to KR10201900061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7770B1/ko
Priority to PCT/KR2019/011697 priority patent/WO2020149488A1/ko
Priority to CN201980088974.0A priority patent/CN113302809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77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77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35Gas-insulated switchgear
    • H02B13/075Earth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16Earth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atch 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접지모듈은 도어, 제1개폐유닛, 승강플레이트, 연동플레이트 및 접지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제1개폐유닛은 도어에 구비된다. 그리고 외부입력에 의해 제1상태 또는 제2상태로 변환된다. 승강플레이트는 제1개폐유닛이 제1상태일 때 제1위치로 이동 가능하고, 제1개폐유닛이 제2상태일 때는 제2위치에 고정된다. 연동플레이트는 승강플레이트의 이동에 종속되어 이동한다. 그리고 접지유닛은 승강플레이트가 제2위치일 때 조작 불가 상태가 되고, 승강플레이트가 제1위치일 때 조작 가능 상태로 변환될 수 있다.

Description

기중절연배전반의 접지모듈{GROUNDING MODULE FOR SWITCHBOARD}
본 발명은 기중절연 배전반의 접지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주회로가 활선상태일때는 접지가 되지 않고 접지가 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도어가 열리지 않도록 한 기중절연 배전반의 접지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중절연배전반은 공기를 매질로 사용하여 송,변전설비 등에서 부하를 개폐하는 것을 기본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송,변전설비의 이상 작동 시에는 회로를 신속히 차단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기중절연배전반은 주회로를 활선상태로 투입하거나 단선시키기 위한 부하개폐스위치(LBS)와 차단기(CB)를 포함한다. 또한, 주회로가 단선된 상태에서 접지(earth)를 통해 기중절연배전반의 전위를 0으로 유지하기 위한 접지스위치(ES)를 더 포함하게 된다.
접지스위치는 부하개폐스위치와 차단기를 통해 주회로가 차단된 상태에서 기중절연배전반의 유지 또는 보수 등을 위해 작업자가 접근하는 경우에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한 장치이다.
하지만, 주회로가 활선상태일 때 접지가 이루어지면 3상 단락 회로가 형성되어 3상 단락 전류가 흐르게 되고 이는 기중절연배전반의 정상작동을 저해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기중절연배전반의 내부에 아크가 발생될 수 있도 있어 주회로가 활선 상태일 경우에는 접지가 이루어져서는 안된다.
종래의 기중절연배전반은 부하개폐스위치와 접지스위치의 작동이 각기 독립적이어서 부하개폐스위치가 활선상태임에도 접지스위치를 작동시켜 접지가 수행될 수 있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접지스위치를 작동하여 접지가 이루어진 상태에서 부하개폐스위치를 통해 단락된 주회로를 활선 상태로 전환할 수도 있어 작업자의 특별한 주의가 없다면 큰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주회로가 활선인 상태에서 접지스위치의 조작을 불가하게 하고, 접지스위치를 통해 접지가 된 상태에서는 부하개폐스위치의 조작을 할 수 없도록 한 접지모듈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접지모듈은 도어, 제1개폐유닛, 승강플레이트, 연동플레이트 및 접지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제1개폐유닛은 도어에 구비된다. 그리고 외부입력에 의해 제1상태 또는 제2상태로 변환된다. 승강플레이트는 제1개폐유닛이 제1상태일 때 제1위치로 이동 가능하고, 제1개폐유닛이 제2상태일 때는 제2위치에 고정된다. 연동플레이트는 승강플레이트의 이동에 종속되어 이동한다. 그리고 접지유닛은 승강플레이트가 제2위치일 때 조작 불가 상태가 되고, 승강플레이트가 제1위치일 때 조작 가능 상태로 변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개폐유닛은 입력부재가 삽입되고 제1상태 또는 제2상태가 입력부재의 조작에 의해 선택되는 키조작부, 입력부재의 조작에 따라 회전되는 제1회전축 및 제1회전축과 함께 회전되며 제2상태일 때 연동플레이트와 접하여 연동플레이트를 고정하는 제1차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입력부재는 제1상태일 때 키조작부로부터 분리되지 않을 수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접지유닛은 승강플레이트가 제2위치일 때 연동플레이트에 의해 폐쇄되고, 승강플레이트가 제1위치일 때 연동플레이트가 제거되어 조작 가능한 상태로 개방되는 핸들조작부를 포함하고, 접지상태 또는 비접지상태를 핸들조작부의 조작을 통해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개폐유닛은 핸들조작부가 접지상태일 때 제1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도어는 핸들조작부가 비접지상태일 때 열리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접지유닛은 핸들조작부가 비접지상태에서 접지상태로 변환되거나 접지상태에서 비접지상태로 변환 시 미리 정해진 각도 및 방향으로 회전되는 제2회전축, 일단은 제2회전축과 캠부재에 의해 결합되어 제2회전축의 둘레를 따라 회전운동하고, 타단은 직선왕복운동을 하는 종동링크, 종동링크의 타단에 형성되고 접지상태일 때 제1회전축과 접하여 제1회전축을 고정하는 종동레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접지유닛은 제2회전축에 결합되어 제2회전축의 회전에따라 함께 회전하며, 비접지상태일 때 도어가 열리지 않도록 결합되고, 접지상태일 때 도어와 분리되는 도어개폐레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접지모듈은 접지를 수행하기 위해 입력부재로 키조작부를 조작해야만 접지유닛에 접근할 수 있고, 접지가 이뤄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도어가 열리지 않아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부하개폐모듈을 조작하기 위한 입력부재는 접지가 수행된 상태에서 반출되지 않아 접지스위치가 투입된 상태에서 부하개폐모듈을 조작할 수 없도록 하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지모듈이 적용된 배전반을 도시한 것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지모듈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지모듈에서 제1개폐유닛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지모듈에서 접지유닛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지모듈에서 제2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승강하는 종동레버의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접지모듈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지모듈이 적용된 배전반을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접지모듈(100)은 기중절연 배전반(1)에 적용될 수 있다. 배전반(1)은 주회로를 활선상태 또는 단락된 상태로 조절하는 부하개폐모듈(10)을 포함한다. 부하개폐모듈(10)은 부하개폐스위치(12)에 삽입되는 입력부재를 통해 주회로를 활선상태이거나 단락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입력부재는 열쇠일 수 있으나, 특정한 형상이나 방식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만, 미리 정해진 입력부재가 부하개폐스위치(12)에 삽입될 경우에만 부하개폐모듈(10)이 활선 또는 단락으로 설정될 수 있으면 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입력부재로 부하개폐스위치(12)와 후술될 제1개폐유닛(110)의 키조작부(112)가 조작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배전반은 외부에 도어(20)를 포함한다. 도어(20)는 본 발명에 따른 접지모듈을 외부와 차단한다. 도어(20)는 미리 정해진 동작 또는 상태에서 열수 있고, 도어(20)가 열린 상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접지모듈의 조작이 가능하다.
도어(20)는 핸들삽입공(22) 및 제1안내구(24)를 포함한다. 핸들삽입공(22)은 후술될 연동플레이트(130)에 의해 개방되거나 차단되는 개구이다. 제1안내구(24)는 후술될 제2개폐스위치(122)가 이동하는 경로는 제공한다. 핸들삽입공(22) 및 제1안내구(24)는 각각이 인접한 구성들과 유기적으로 결합된다. 핸들삽입공(22) 및 제1안내구(24)는 각기 연관관계에 있는 구성들을 설명하면서 보다 자세하게 후술한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지모듈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접지모듈(100)은 배전반(1)의 도어(20), 제1개폐유닛(110), 승강플레이트(120), 연동플레이트(130) 및 접지유닛(140)을 포함한다.
도어(20)는 배전반(1)의 함체를 열어 내부를 개방시킬 수 있는 개폐수단이다. 도어(20)는 배전반(1)의 함체 적어도 일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제1개폐유닛(110)은 도어(20)에 구비되고 외부입력에 의해 제1상태 또는 제2상태로 변환된다.
승강플레이트(120)는 제1개폐유닛(110)이 제1상태일 때 제1위치로 이동 가능하고, 제1개폐유닛(110)이 제2상태일 때는 제2위치에 고정된다.
연동플레이트(130)는 승강플레이트(120)의 이동에 종속되어 움직인다.
접지유닛(140)은 승강플레이트(120)가 제2위치일 때 조작이 불가한 상태가 되고, 승강플레이트(120)가 제1위치일 때 조작 가능한 상태로 변환된다.
아래에서는 상기된 각각의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1개폐유닛(110)은 도어(20)에 마련되어 도어(20)의 열림과 닫힘을 조작하게된다. 제1개폐유닛(110)은 도어(20)의 외측으로 일부가 노출되는 키조작부(112)를 포함한다.
키조작부(112)는 전술하였던 입력부재가 삽입될 수 있고, 미리 정해진 입력부재가 삽입되었을 경우 입력부재의 회전을 통해 열림 또는 닫힘을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개폐유닛(110)을 조작하기 위한 외부입력은 입력부재이다. 입력부재는 키조작부(112)에 삽입된 후 미리 정해진 방향으로 회전함으로 제1개폐유닛(110)을 제1상태 또는 제2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상태는 열림상태로, 제2상태는 닫힘상태로 정의한다.
키조작부(112)에 삽입된 입력부재가 회전하면 도어(20)의 내측공간에서 입력부재와 함께 제1회전축(114)이 회전한다. 제1회전축(114)은 회전되는 중심축을 기준으로 중심축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휘거나 접힘, 또는 그 두께가 변경되는 제1차단부(116) 및 제2차단부(118)를 포함한다. 제1차단부(116) 및 제2차단부(118)는 후술될 연동플레이트(130) 및 종동링크(152)와 유기적인 관계를 맺어 작동하게 된다. 제1차단부(116) 및 제2차단부(118)는 연동플레이트(130)와 종동링크(152)와 함께 다시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승강플레이트(120)는 도어(20)의 내측에 마련되나, 도어(20)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제2개폐스위치(122)를 포함한다. 도어(20)는 상하로 길게 개방된 장공 형태의 제1안내구(24)가 형성되고, 제2개폐스위치(122)는 제1안내구(24)를 통해 도어(20)의 전방으로 돌출된다.
제2개폐스위치(122)는 작업자가 손으로 조작하여 제1안내구(24)를 따라 이동시킬 수 있다. 상세하게는 제1안내구(24)는 도어(20)의 상하방향으로 형성되고, 제2개폐스위치(122)는 제1안내구(24)의 최하단에 위치하게 된다. 작업자가 제2개폐스위치(122)를 상방으로 이동시키면 제2개폐스위치(122)와 결합되어 있는 승강플레이트(120)는 도어(20)의 내측공간에서 상승한다. 그리고, 작업자가 제2개폐스위치(122)를 놓으면 승강플레이트(120)는 자중에 의해 하강하게 된다.
이때, 승강플레이트(120)는 제1개폐유닛(110)이 제1상태일 때 상승하여 제1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제1개폐유닛(110)이 제2상태일 때에는 작업자가 제2개폐스위치(122)를 올릴 수 없고 승강플레이트(120)는 아래쪽에 고정된다.
구체적으로는, 작업자가 제1개폐유닛(110)을 제1상태로 설정하지 않으면 승강플레이트(120)를 들어올릴 수 없게된다. 제1개폐유닛(110)을 제1상태로 설정하는 것은 입력부재를 제1개폐유닛(110)의 키조작부(112)에 삽입한 후 미리 정해진 방향으로 돌림으로써 가능하다.
연동플레이트(130)는 도어(20)의 내측에 구비된다. 연동플레이트(130)는 승강플레이트(120)의 이동에 종속되어 이동한다. 상세하게는, 승강플레이트(120)는 연동플레이트(130)를 향해 연장되는 연동부재(124)를 포함하고, 연동부재(124)는 연동플레이트(130)에 형성된 연동구(132)를 통과하여 결합된다. 따라서, 승강플레이트(120)가 상승하면 연동부재(124)가 연동플레이트(130)를 밀어올려 연동플레이트(130)도 상승하게 된다. 반대로 승강플레이트(120)를 들어올린 외력이 제거되면 연동플레이트(130)는 승강플레이트(120)와 함께 하강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연동플레이트(130)는 상단에 걸림부(134)가 형성된다. 걸림부(134)는 전술하였던 제1개폐유닛(110)의 제1차단부(116)와 접할 수 있다.
제1차단부(116)는 제1개폐유닛(110)이 제1상태로 설정될 경우에 제1회전축(114)의 회전과 함께 걸림부(134)가 상하 이동하는 공간을 벗어난 위치에 배치된다.
그리고, 제1차단부(116)는 제1개폐유닛(110)이 제2상태로 설정될 경우에 제1회전축(114)의 회전과 함께 걸림부(134)의 상단과 접하여 걸림부(134)가 상부로 이동하지 못하게 한다.
걸림부(134)가 제1차단부(116)에 걸려 상부로 이동하지 못하면 걸림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연동플레이트(130)도 상부로 이동이 불가하고, 연동플레이트(130)와 연동부재(124)를 통해 연결된 승강플레이트(120) 또한 상부로 이동이 불가하게 된다.
도 4는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지모듈에서 제1개폐유닛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4는 제2상태를, 도 5는 제1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개폐유닛(110)의 키조작부(112)를 입력부재를 통해 회전시키면 제1회전축(114)이 함께 회전한다. 또한, 제1회전축(114)의 회전과 함께 제1차단부(116)도 함께 회전하고, 제1차단부(116)는 제2상태에서 연동플레이트(130)의 걸림부(134)의 상단과 접하여 연동플레이트(130)가 상부로 이동하지 못하게 한다.
제2상태에서는 승강플레이트(120)가 제2위치에 위치한다. 승강플레이트(120)가 제2위치인 경우 핸들삽입공(22)은 차단된다. 따라서, 제2상태에서는 핸들조작부(142)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핸들조작부(142)의 조작이 불가하다.
제1상태에서는 제1차단부(116)는 걸림부(134)의 상부에서 제거되어 연동플레이트(130) 및 승강플레이트(120)가 상승할 수 있다.
제1상태에서 작업자가 제2개폐스위치(122)를 상부로 올리게 되면 승강플레이트(120)가 상승해 제1위치로 이동한다. 승강플레이트(120)가 제1위치로 상승하면 연동플레이트(130)도 함께 상승한다. 연동플레이트(130)가 상승함에 따라 연동플레이트(130)에 가려져 있던 핸들삽입공(22)이 개방된다. 핸들삽입공(22)은 도어(20)에 마련되며 내부에 접지유닛(140)을 조작할 수 있는 핸들조작부(142)가 배치된다.
따라서, 제1상태에서 작업자의 조작에 의해 연동플레이트(130)가 상승하고, 연동플레이트(130)로 폐쇄되어 있던 핸들삽입공(22)이 개방된다. 그리고, 핸들삽입공(22) 내부의 핸들조작부(142)가 노출된다.
접지유닛(140)은 핸들조작부(142)에 공구를 삽입하여 조작할 수 있다. 접지유닛(140)은 핸들조작부(142)가 미리 정해진 각도로 회전되면 접지를 수행한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지모듈에서 접지유닛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지유닛(140)은 핸들조작부(142)를 포함하고, 핸들조작부(142)가 회전됨에 따라 함께 회전하는 제2회전축(144)을 더 포함한다.
제2회전축(144)은 캠부재(150)와 도어개폐레버(146)가 결합된다.
먼저, 도어개폐레버(146)는 핸들조작부(142)를 통해 접지가 수행되지 않은 상태에서 도어(20)와 간섭되어 도어(20)가 열리지 않도록 마련된다.
따라서, 도어(20)는 닫힌 상태에서 핸들조작부(142)를 상술하였던 과정을 거쳐 먼저 개방한 후 핸들조작부(142)를 조작하여 접지하여야만 열수 있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지모듈에서 제2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승강하는 종동레버의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부재(150)는 일단이 제2회전축(144)에 고정되고 타단은 제2회전축(144)의 회전하는 중심축과 미리 정해진 간격만큼 떨어져 위치한다. 따라서, 캠부재(150)는 타단이 큰 회전반경으로 회전하게 된다. 캠부재(150)의 타단에는 종동링크(152)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종동링크(152)는 미리 정해진 길이를 지니고, 하단이 캠부재(150)와 결합되어 캠부재(150)와 함께 회전된다. 종동링크(152)의 상단에는 종동레버(154)가 형성되고, 종동레버(154)는 캠부재(150)가 회전하면 상하 직선방향으로 왕복한다. 구체적으로는, 핸들조작부(142)의 조작을 통해 제2회전축(144)이 회전하여 접지상태가 되면 종동레버(154)는 하사점(bottom dead center)에 위치하고, 접지유닛(140)이 접지해제 상태일때 종동레버(154)는 상사점(top dead point)에 위치한다.
종동레버(154)가 하사점에 위치하면 전술하였던 제1회전축(114)의 제2차단부(118)와 접한다. 제1회전축(114)은 제2차단부(118)와 종동레버(154)가 접한 상태에서 회전이 불가하고, 이는 작업자가 접지상태에서 키조작부(112)에 삽입된 입력부재를 회전시키지 못하게 한다. 따라서, 접지유닛(140)이 접지상태에 있는 경우 작업자는 키조작부(112)에 삽입된 입력부재를 조작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입력부재를 키조작부(112)로부터 인출할 수도 없게 된다.
이는 제1개폐유닛(110)과 동일한 입력부재를 사용하는 부하개폐모듈(10)이 접지가 유지된 채 활선상태로 조작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전술하였던 승강플레이트(120)는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장공인 제2안내구(126)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안내구(126)는 도어(20) 또는 함체에 고정된 돌기가 삽입될 수 있고, 승강플레이트(120)가 상하 방향으로 곧게 승강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연동플레이트(130)도 역시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장공인 제3안내구(136)를 포함할 수 있다. 제3안내구(136) 또한 연동플레이트(130)가 상하 방향으로 곧게 승강할 수 있게 한다.
제2안내구(126) 및 제3안내구(136)는 적어도 하나가 형성될 수 있고, 다수 개가 마련되어도 무방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지닌 본 발명에 따른 접지모듈(100)은 부하개폐모듈(10)과 제1개폐유닛(110)을 동일한 입력부재로 조작한다. 부하개폐모듈(10)이 활선상태일 때는 제1개폐유닛(110)을 조작할 수 없어 도어(20)를 개방할 수 없다.
그리고, 도어(20)는 접지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접지유닛(140)의 도어개폐레버(146)가 개입되어 열리지 않는다. 또한, 접지상태에서는 키조작부(112)에 삽입된 입력부재를 인출할 수 없다.
따라서, 기중절연 배전반(1)이 활선상태일 때 동시에 접지가 이루어질 수 없어 이상작동의 가능성이 감소하게 된다. 그리고, 접지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도어(20)가 열리지 않으므로 작업자의 안전사고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접지상태에서는 입력부재를 인출할 수 없으므로 작업자가 접지상태를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의 실수를 줄일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 배전반
10: 부하개폐모듈 12: 부하개폐스위치
20: 도어 22: 핸들삽입공
24: 제1안내구
100: 접지모듈 110: 제1개폐유닛
112: 키조작부 114: 제1회전축
116: 제1차단부 118: 제2차단부
120: 승강플레이트 122: 제2개폐스위치
124: 연동부재 126: 제2안내구
130: 연동플레이트 132: 연동구
134: 걸림부 136: 제3안내구
140: 접지유닛 142: 핸들조작부
144: 제2회전축 146: 도어개폐레버
150: 캠부재 152: 종동링크
154: 종동레버

Claims (8)

  1. 핸들삽입공이 형성되는 도어;
    상기 도어에 구비되고 외부입력에 의해 제1상태 또는 제2상태로 변환되는 제1개폐유닛;
    상기 제1개폐유닛이 상기 제1상태일 때 제1위치로 이동 가능하고, 상기 제1개폐유닛이 상기 제2상태일 때는 제2위치에 고정되는 승강플레이트;
    상기 승강플레이트의 이동에 종속되어 이동하는 연동플레이트; 및
    공구에 의해서 회전되어 접지상태 또는 비접지상태로 조작되며 상기 핸들삽입공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핸들조작부를 포함하는 접지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승강플레이트 및 상기 연동플레이트가 상기 제1위치로 이동하면 상기 핸들삽입공이 개방되어 상기 핸들조작부가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승강플레이트 및 상기 연동플레이트가 상기 제2위치로 이동하면 상기 핸들삽입공이 폐쇄되어 상기 핸들조작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접지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개폐유닛은,
    입력부재가 삽입되고 상기 제1상태 또는 상기 제2상태가 상기 입력부재의 조작에 의해 선택되는 키조작부;
    상기 입력부재의 조작에 따라 회전되는 제1회전축; 및
    상기 제1회전축과 함께 회전되며 상기 제2상태일 때 상기 연동플레이트와 접하여 상기 연동플레이트를 고정하는 제1차단부를 포함하는 접지모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재는 상기 제1상태일 때 상기 키조작부로부터 분리되지 않는 접지모듈.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유닛은,
    상기 승강플레이트 및 상기 연동플레이트가 상기 제1위치로 이동하면 상기 핸들삽입공이 개방되어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승강플레이트 및 상기 연동플레이트가 상기 제2위치로 이동하면 상기 핸들삽입공이 폐쇄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상기 핸들조작부;를 포함하고,
    접지상태 또는 비접지상태를 상기 핸들조작부의 조작을 통해 선택하는 접지모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개폐유닛은 상기 핸들조작부가 상기 접지상태일 때 상기 제1상태로 고정되는 접지모듈.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핸들조작부가 상기 비접지상태일 때 열리지 않는 접지모듈.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유닛은,
    상기 핸들조작부가 상기 비접지상태에서 상기 접지상태로 변환되거나 상기 접지상태에서 상기 비접지상태로 변환 시 미리 정해진 각도 및 방향으로 회전되는 제2회전축;
    일단은 상기 제2회전축과 캠부재에 의해 결합되어 상기 제2회전축의 둘레를 따라 회전운동하고, 타단은 직선왕복운동을 하는 종동링크; 및
    상기 종동링크의 타단에 형성되고 상기 접지상태일 때 상기 제1회전축과 접하여 상기 제1회전축을 고정하는 종동레버를 포함하는 접지모듈.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유닛은,
    상기 제2회전축에 결합되어 상기 제2회전축의 회전에따라 함께 회전하며, 상기 비접지상태일 때 상기 도어가 열리지 않도록 결합되고, 상기 접지상태일 때 상기 도어와 분리되는 도어개폐레버를 포함하는 접지모듈.



KR1020190006157A 2019-01-17 2019-01-17 기중절연배전반의 접지모듈 KR1021377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6157A KR102137770B1 (ko) 2019-01-17 2019-01-17 기중절연배전반의 접지모듈
PCT/KR2019/011697 WO2020149488A1 (ko) 2019-01-17 2019-09-10 기중절연배전반의 접지모듈
CN201980088974.0A CN113302809B (zh) 2019-01-17 2019-09-10 空气绝缘配电盘的接地模块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6157A KR102137770B1 (ko) 2019-01-17 2019-01-17 기중절연배전반의 접지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7770B1 true KR102137770B1 (ko) 2020-07-24

Family

ID=716136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6157A KR102137770B1 (ko) 2019-01-17 2019-01-17 기중절연배전반의 접지모듈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2137770B1 (ko)
CN (1) CN113302809B (ko)
WO (1) WO2020149488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24249A (ja) * 2003-04-25 2004-11-18 Sugatsune Ind Co Ltd 平面ハンドル装置
KR20170036935A (ko) * 2015-09-24 2017-04-04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배전반의 도어 인터록 장치
KR20180040422A (ko) * 2016-10-12 2018-04-20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링 메인 유닛의 인터록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69517A (ja) * 1997-08-07 1999-03-09 Fuji Electric Co Ltd 電力用閉鎖配電盤
JP4320981B2 (ja) * 2001-07-02 2009-08-26 富士電機システムズ株式会社 電気機器盤のドアハンドル装置
KR100913217B1 (ko) * 2009-04-20 2009-08-24 문운하 배전반 도어의 개폐기구
CN201608459U (zh) * 2009-11-03 2010-10-13 Abb技术有限公司 空气绝缘开关设备上柜门的联锁装置
KR101134933B1 (ko) * 2011-02-25 2012-04-17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배전반의 도어 잠금장치
CN106024453B (zh) * 2016-06-22 2018-06-26 四川电器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防止误操作的联锁装置
CN207319958U (zh) * 2017-10-29 2018-05-04 默飓电气有限公司 一种防止没接地状态时开门的联锁机构
CN207602430U (zh) * 2017-12-08 2018-07-10 西门子中压开关技术(无锡)有限公司 开关柜的联锁组件及开关柜
CN208385262U (zh) * 2018-05-24 2019-01-15 厦门华电开关有限公司 高压柜体的联锁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24249A (ja) * 2003-04-25 2004-11-18 Sugatsune Ind Co Ltd 平面ハンドル装置
KR20170036935A (ko) * 2015-09-24 2017-04-04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배전반의 도어 인터록 장치
KR20180040422A (ko) * 2016-10-12 2018-04-20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링 메인 유닛의 인터록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49488A1 (ko) 2020-07-23
CN113302809B (zh) 2023-09-19
CN113302809A (zh) 2021-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77627B1 (en) Remote control and racking device for medium-voltage circuit breakers
KR101158653B1 (ko) 접지 스위치의 인터록 장치
CN201608459U (zh) 空气绝缘开关设备上柜门的联锁装置
CN103441439A (zh) 一种装有隔离开关、真空断路器及接地开关的开关柜
US2806099A (en) Operating mechanism for enclosed circuit breakers or switches
JP2010115002A (ja) 金属閉鎖形スイッチギヤのインターロック装置
EP2110909A2 (en) Circuit breaker with locking mechanism
WO2018055829A1 (ja) スイッチギヤ
CN108074774B (zh) 用于接地开关的凸轮选择器
KR102137770B1 (ko) 기중절연배전반의 접지모듈
CN207398694U (zh) 一种开关设备的联锁装置
KR20170036935A (ko) 배전반의 도어 인터록 장치
CN113745982B (zh) 一种操作安全的高压环网柜
US6989498B1 (en) Method and device for locking
CN219017483U (zh) 一种上隔离下断路器的联锁装置
CN104252980A (zh) 隔离开关熔断器组及其安全联锁装置
CN107465111B (zh) 配电板
EP2571121B1 (en) Withdrawable unit with rotating electrical contacts
CN106057567B (zh) 一种隔离刀联锁操作机构
CN110349781B (zh) 电力转换系统的互锁结构及其操作方法
CN206179717U (zh) 负荷开关‑熔断器组合电器的机构联锁装置
KR100798341B1 (ko) 수배전반의 인터락 장치
CN109346345B (zh) 一种挂钩式电缆室门与接地开关联锁控制方法
CN109285719B (zh) 一种挂接式电缆室门与接地开关联锁机构
CN211858450U (zh) 用于开关柜的联锁装置以及包括该联锁装置的开关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