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3217B1 - 배전반 도어의 개폐기구 - Google Patents
배전반 도어의 개폐기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13217B1 KR100913217B1 KR1020090034144A KR20090034144A KR100913217B1 KR 100913217 B1 KR100913217 B1 KR 100913217B1 KR 1020090034144 A KR1020090034144 A KR 1020090034144A KR 20090034144 A KR20090034144 A KR 20090034144A KR 100913217 B1 KR100913217 B1 KR 10091321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r
- opening
- housing
- door
- cabine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Cabinet-type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8—Hinged covers or door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atch 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손잡이(22)로 캐비닛(20)의 도어를 개폐하는 기구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20)의 도어 내면에 안내대(25)를 개재하여 설치되고, 상하로 동시에 이동하며 개폐되는 바아(28); 상기 캐비닛(20)의 도어 내면에 설치되고, 상하측 바아(28)의 중간에 위치하는 하우징(31); 상기 하우징(31) 상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손잡이(22)에 연결되는 캠링크(38); 및 상기 하우징(31) 상에 수직 승하강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캠링크(38)와 상시 접촉상태를 유지하는 승강편(35);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승강편(35)은 다단공(36a)을 지닌 연결편(36)을 개재하여 바아(28)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31)은 승강편(35)과의 접촉면적을 축소하도록 돌턱부(31a)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사용중에 휨현상이 발생하지 않아 장기간 작동의 원활성이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
배전반, 캐비닛, 캐비넷, 도어, 변형
Description
본 발명은 배전반 도어의 개폐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중에 휨현상이 발생하지 않아 장기간 작동의 원활성이 유지되는 배전반 도어의 개폐기구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배전반 도어용 개폐기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통상적으로 배전반을 비롯한 다양한 산업용 기기용 제어장치들은 상자형의 캐비닛(10)에 수용되는데, 캐비닛(10)의 도어는 전면에 다수의 계기(12)를 수용하면서 링크(15)와 바아(18)로 개폐가 가능한 구조이다. 그러나 손잡이의 회전에 따라 링크(15)가 회전하면서 그 양단에 결합된 바아(18)가 수직운동과 함께 수평운동을 병행하기 때문에 변형의 우려가 크다. 일단 바아(18)의 변형이 발생되면 휨현상이 심화되어 작동이 원활치 않으며 계기(12)와 간섭이 발생하기도 한다.
또 다른 예로서 한국 공개실용신안 제1987-0003982호 "캐비닛 개폐장치"와 한국 실용신안공보 제981-0000462호 "캐비넷 개폐장치"가 있다.
한국 공개실용신안 제1987-0003982호는 『캐비닛문의 표면에 요구를 형성하 여 이 요구내에 개폐작동용 돌기판의 선단을 위치시키고 문의 내면에는 개폐작동용 돌기판의 상하로 연동판과 이 연동판에 괘지간을 연결시키되 상부 괘지간의 선단부에 괘지홈을 각설하고 문의 상단부 내면에 괘지간의 삽입공을 형성한』 구성을 개시한다. 한국 실용신안공보 제981-0000462호는 『캐비넷 양쪽문(12)(13)에 연동간(3)(3')(7)(7')을 장설한 공지의 것에 있어서 핸들기틀(2)에 연동기틀(4)를 장착하여 돌기(4')를 돌설하고 상대편문(13)에는 축(6)으로 회동기틀판(5)을 장착하는』 구성을 개시한다.
그러나 상기한 선행기술의 경우에도 불필요한 힘의 분산을 근원적으로 해소하지 못하기 때문에 장기간 사용하면 주요 작동부의 변형이 발생하고 작동성이 저하되는 폐단이 있다.
종래기술의 문헌정보
[문헌1] 한국 공개실용신안 제1987-0003982호 "캐비닛 개폐장치"
[문헌2] 한국 실용신안공보 제981-0000462호 "캐비넷 개폐장치"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중에 휨현상이 발생하지 않아 장기간 작동의 원활성이 유지되는 배전반 도어의 개폐기구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손잡이로 캐비닛의 도어를 개폐하는 기구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의 도어 내면에 안내대를 개재하여 설치되고, 상하로 동시에 이동하며 개폐되는 바아; 상기 캐비닛의 도어 내면에 설치되고, 상하측 바아의 중간에 위치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상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손잡이에 연결되는 캠링크; 및 상기 하우징 상에 수직 승하강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캠링크와 상시 접촉상태를 유지하는 승강편;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승강편은 다단공을 지닌 연결편을 개재하여 바아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하우징은 승강편과의 접촉면적을 축소하도록 돌턱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배전반 도어의 개폐기구는 사용중에 휨현상이 발생하지 않아 장기간 작동의 원활성이 유지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개폐기구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개폐기구의 요부를 분해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회전식의 손잡이(22)로 캐비닛(20)의 도어를 개폐하는 기구에 관련되는 바, 여기서 캐비닛(20)은 다양한 계기(12)가 구비되는 배전반의 용도에 적합하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하로 동시에 이동하며 개폐되는 바아(28)가 상기 캐비닛(20)의 도어 내면에 안내대(25)를 개재하여 설치된다. 바아(28)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의 것과 하측의 것으로 이루어지며 캐비닛(20)의 도어에 설치되지만 프레임 상의 홀(미도시)에 출입하며 잠금 기능을 수행한다. 상측 바아(28)의 상단과 하측 바아(28)의 하단을 지지하도록 도어상에 안내대(25)가 설치된다. 안내대(25)는 바아(28)를 2점지지하도록 전체적으로 ㄷ자 형태로 형성되며, 바아(28)의 원활한 승하강을 위해 부싱 역할을 하는 안내링(26)을 구비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캐비닛(20)의 도어 내면에서 상하측 바아(28)의 중간에 하우징(31)이 위치한다. 하우징(31)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면이 개방되는 상자형 구조로서, 도어의 내면 중간에 손잡이(22)와 동일한 위치에 대응하도록 설치된다. 하우징(31)의 내부 개방면에 커버(32)가 설치되고, 하우징(31)의 외측으로 도어 외면에 브라켓(33)을 개재하여 손잡이(22)가 설치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손잡이(22)에 연결되는 캠링크(38)가 상기 하우징(31) 상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캠링크(38)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곡률이 변하는 2개의 곡률면이 180˚ 간격으로 배치되는 구조이며, 손잡이(22)의 각형부(22a)와 맞물려 회전력을 전달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캠링크(38)와 상시 접촉상태를 유지하는 승강편(35)이 상기 하우징(31) 상에 수직 승하강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승강편(35)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측에 동형으로 성형되며, 하우징(31)의 내면에 최소의 유격으로 승하강되도록 설치된다. 상측의 승강편(35)은 상측의 바아(28)와 연결되고, 하측의 승강편(35)은 하측의 바아(28)와 연결된다. 그리고 캠링크(38)의 상측 곡률면은 상측의 승강편(35)과 접촉하고, 하측의 곡률면은 하측의 승강편(35)과 접촉한다.
이때, 본 발명의 상기 승강편(35)은 다단공(36a)을 지닌 연결편(36)을 개재하여 바아(28)에 연결된다. 연결편(36)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편(35)의 일측면을 절곡하여 형성하되 상측으로 충분히 노출되는 크기가 되도록 하여 바아(28)와의 연결이 용이하면서 작동에 있어 간섭현상이 없도록 한다. 다단공(36a)은 캐비닛(20)의 크기와 바아(28)의 길이에 따라 결합위치를 변동 가능하도 록 수직선상으로 다수의 지점에 균일한 간격으로 형성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개폐기구의 제1변형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개폐기구의 제2변형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개폐기구의 제3변형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개폐기구의 제4변형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8a 및 8b는 본 발명에 의한 개폐기구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에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하우징(31)은 승강편(35)과의 접촉면적을 축소하도록 돌턱부(31a)를 더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돌턱부(31a)는 하우징(31)의 프레스 가공시 수직방향으로 약간 돌출되도록 한다. 돌턱부(31a)의 형성 위치는 손잡이(22)의 각형부(22a)가 결합되는 좌우측으로 1개소씩 선정하면 무난하다. 돌턱부(31a)가 형성되면 승강편(35)이 하우징(31)과 선접촉 상태를 유지하므로 승하강 작동력이 줄어들어 조작이 편리하다.
도 5에서, 도 2 내지 도 3과는 달리 상하의 바아(28)가 동일축 상에서 승강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축 상에서 승강하도록 하기 위해 연결편(36)의 위치를 승강편(35')의 일측, 즉 승강편(35')의 연결편(36)을 일측에 상하 대응되도록 설계할 수도 있다. 물론 이 경우 하나의 프레스 가공으로 상하의 승강편(35')을 형성 가능하지만 안내대(25)의 부착 위치를 동일하게 유지할 수 없다.
도 6에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바아(28)는 중간에 ""형의 절곡부(28a)를 더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는 도 5에서 도 2 내지 도 3과 같은 취지로 상측의 바아(28)와 하측의 바아(28)가 동일축 상에서 승하강하도록 편심을 주는 구성이다. 이와 같이 하면 안내대(25)의 부착 위치를 동일하게 유지할 수 있다.
도 7에서, 도 6과 같은 취지로 상하의 바아(28)가 동일축 상에서 승하강하도록 하기 위해 바아(28)에 절곡부(28a)를 두는 대신 연결편(36)의 위치를 승강편(35")의 중앙에 오도록 설계할 수도 있다. 물론 이 경우 전술한 것처럼 프레스 가공에서 일체로 형성하기 곤란하고 별도의 용접가공을 요한다.
도 8(a)은 도어가 로크(폐쇄)된 상태로서 상하의 바아(28)가 안내대(25)를 관통하여 크게 노출된다. 도 8(b)처럼 손잡이(22)를 돌리면 캠링크(38)가 회전하면서 접촉상태를 유지하는 각각의 승강편(35)을 수직으로 이동시키고, 이에 따라 바아(28)가 정확한 수직운동만 수행하여 안내대(25)로부터 작게 노출된다. 즉, 바아(28)에 수평분력이 작용하지 않으므로 휨현상이 크게 완화된다. 물론 도 4 내지 도 7과 같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있어서도 손잡이(22)의 회전에 따라 바아(28)가 정확하게 수직으로만 이동하는 작동에 있어 동일성을 유지한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배전반 도어용 개폐기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개폐기구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개폐기구의 요부를 분해하여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개폐기구의 제1변형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개폐기구의 제2변형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개폐기구의 제3변형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개폐기구의 제4변형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8a 및 8b는 본 발명에 의한 개폐기구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 20: 캐비닛 22: 손잡이
25: 안내대 26: 안내링
28: 바아 28a: 절곡부
30: 링크수단 31: 하우징
31a: 돌턱부 35,35',35": 승강편
36: 연결편 36a: 다단공
38: 캠링크
Claims (4)
- 손잡이(22)로 캐비닛(20)의 도어를 개폐하는 기구에 있어서:상기 캐비닛(20)의 도어 내면에 안내대(25)를 개재하여 설치되고, 상하로 동시에 이동하며 개폐되는 바아(28);상기 캐비닛(20)의 도어 내면에 설치되고, 상하측 바아(28)의 중간에 위치하는 하우징(31);상기 하우징(31) 상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손잡이(22)에 연결되는 캠링크(38); 및상기 하우징(31) 상에 수직 승하강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캠링크(38)와 상시 접촉상태를 유지하는 승강편(35);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 도어의 개폐기구.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승강편(35)은 다단공(36a)을 지닌 연결편(36)을 개재하여 바아(28)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 도어의 개폐기구.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하우징(31)은 승강편(35)과의 접촉면적을 축소하도록 돌턱부(31a)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 도어의 개폐기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34144A KR100913217B1 (ko) | 2009-04-20 | 2009-04-20 | 배전반 도어의 개폐기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34144A KR100913217B1 (ko) | 2009-04-20 | 2009-04-20 | 배전반 도어의 개폐기구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913217B1 true KR100913217B1 (ko) | 2009-08-24 |
Family
ID=412100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34144A KR100913217B1 (ko) | 2009-04-20 | 2009-04-20 | 배전반 도어의 개폐기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913217B1 (ko)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90461B1 (ko) | 2010-02-25 | 2011-12-07 | (주)타임네트웍스 | 차단기 락킹장치 |
KR101134933B1 (ko) | 2011-02-25 | 2012-04-17 |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 배전반의 도어 잠금장치 |
KR101403514B1 (ko) | 2012-10-19 | 2014-06-09 | 김진웅 | 도어의 잠금 모듈, 그를 갖는 모드 전환 장치 및 배전반 |
KR200488839Y1 (ko) | 2018-11-27 | 2019-07-18 | 박종호 | 캐비넷 도어개폐장치 |
WO2020149488A1 (ko) * | 2019-01-17 | 2020-07-23 | 엘에스일렉트릭(주) | 기중절연배전반의 접지모듈 |
KR102574820B1 (ko) | 2023-06-23 | 2023-09-04 | 류병구 | 제어함용 다중도어 잠금장치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441894U (ko) | 1977-08-25 | 1979-03-20 | ||
JPS61147505U (ko) | 1985-03-04 | 1986-09-11 | ||
JPH0439005U (ko) * | 1990-08-01 | 1992-04-02 |
-
2009
- 2009-04-20 KR KR1020090034144A patent/KR100913217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441894U (ko) | 1977-08-25 | 1979-03-20 | ||
JPS61147505U (ko) | 1985-03-04 | 1986-09-11 | ||
JPH0439005U (ko) * | 1990-08-01 | 1992-04-02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90461B1 (ko) | 2010-02-25 | 2011-12-07 | (주)타임네트웍스 | 차단기 락킹장치 |
KR101134933B1 (ko) | 2011-02-25 | 2012-04-17 |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 배전반의 도어 잠금장치 |
KR101403514B1 (ko) | 2012-10-19 | 2014-06-09 | 김진웅 | 도어의 잠금 모듈, 그를 갖는 모드 전환 장치 및 배전반 |
KR200488839Y1 (ko) | 2018-11-27 | 2019-07-18 | 박종호 | 캐비넷 도어개폐장치 |
WO2020149488A1 (ko) * | 2019-01-17 | 2020-07-23 | 엘에스일렉트릭(주) | 기중절연배전반의 접지모듈 |
KR102574820B1 (ko) | 2023-06-23 | 2023-09-04 | 류병구 | 제어함용 다중도어 잠금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913217B1 (ko) | 배전반 도어의 개폐기구 | |
US8474103B2 (en) | Door hinge | |
CN101622417B (zh) | 包括锁定装置的竖铰链式窗 | |
EP3323587A1 (en) | A bottle blowing machine | |
KR20100019626A (ko) | 레버의 방향전환이 가능한 슬라이딩 도어 잠금장치용 손잡이 | |
US20210180380A1 (en) | Device for moving a door leaf | |
CN106460426B (zh) | 用于家用电器的铰链机构 | |
MX2007013159A (es) | Sistema de puerta protector para encerramientos resistentes a altas presiones internas. | |
JP5261271B2 (ja) | 金属閉鎖形スイッチギヤのインターロック装置 | |
CN106954355B (zh) | 伺服器组件、卡榫机构及操作卡榫机构的方法 | |
KR100754021B1 (ko) | 다양한 개폐구조를 갖는 전시용 실내벽체 | |
EP2592523B1 (en) | Opening/closing mechanism | |
JP2013258000A (ja) | 引出形遮断器のインターロック装置 | |
CN209881148U (zh) | 模数化终端组合电器箱 | |
JP4686213B2 (ja) | 引き戸の開き装置 | |
CN207412025U (zh) | 电压力锅及其开盖装置 | |
JP5385644B2 (ja) | 上げ下げ窓 | |
CN216720610U (zh) | 活门机构及电力柜 | |
KR200396366Y1 (ko) | 리프트 타입 슬라이딩 창호의 리프터 | |
CN114243505B (zh) | 活门机构及电力柜 | |
CN208088995U (zh) | 一种金库门门栓防撞机构 | |
CN108711534B (zh) | 永磁断路器的联锁机构 | |
KR900008875B1 (ko) | 힌지(Hinge) | |
CN210989665U (zh) | 锅盖组件与高压锅 | |
CN101476423B (zh) | 用于家用电器上的铰链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813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120 Year of fee payment: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