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7323B1 - 바이패스 전원 절체 장치의 인터록 구조 - Google Patents

바이패스 전원 절체 장치의 인터록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7323B1
KR102387323B1 KR1020210012495A KR20210012495A KR102387323B1 KR 102387323 B1 KR102387323 B1 KR 102387323B1 KR 1020210012495 A KR1020210012495 A KR 1020210012495A KR 20210012495 A KR20210012495 A KR 20210012495A KR 102387323 B1 KR102387323 B1 KR 1023873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er
bypass
lever
elastic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24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성환
황신오
Original Assignee
오성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성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성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124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7323B1/ko
Priority to CN202110536660.1A priority patent/CN114823185A/zh
Priority to CN202121056404.4U priority patent/CN214705751U/zh
Priority to US17/503,323 priority patent/US11984706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73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73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20Interlocking, locking, or latching mechanisms
    • H01H9/24Interlocking, locking, or latching mechanisms for interlocking two or more parts of the mechanism for operating contac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14Shutters or guards for preventing access to contac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 H02J9/06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 H02J9/068Electronic means for switching from one power supply to another power supply, e.g. to avoid parallel conn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20Interlocking, locking, or latching mechanis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20Interlocking, locking, or latching mechanisms
    • H01H9/26Interlocking, locking, or latching mechanisms for interlocking two or more switch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 H02J9/06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00Orthogonal indexing scheme relating to 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or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covered by H01H
    • H01H2300/018Application transfer; between utility and emergency power supp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atch Boards (AREA)
  • Trip Switchboards (AREA)
  • Stand-By Power Supply Arrangements (AREA)
  • Driving Mechanisms And Operating Circuits Of Arc-Extinguishing High-Tensi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이패스 전원 절체 장치의 인터록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바이패스 스위치를 통해 공급전원이 바이패스될 경우, 바이패스 스위치의 투입 전원에 관계없이 레버투입부가 폐쇄되도록 하여 자동 절환 스위치에 대한 수동 절환이 차단될 수 있도록 하고, 배전반으로부터 자동 절환 스위치가 인출될 경우에는 폐쇄되었있는 레버투입부가 자동으로 개방될 수 있도록 한 바이패스 전원 절체 장치의 인터록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상용전원 및 비상전원 수동 절환을 위한 통공 형태의 레버투입부가 형성된 자동 절환 스위치; 상기 자동 절환 스위치를 통해 부하측으로 공급되는 상용전원 또는 비상전원의 전원을 바이패스시킬 수 있도록 설치되며, 바이패스 회로를 수동으로 가변시킬 수 있는 바이패스 레버를 포함하는 바이패스 스위치; 및 상기 바이패스 레버 동작시, 상기 레버투입부를 자동으로 폐쇄시킬 수 있도록 설치된 인터록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인터록 장치는, 상기 바이패스 레버에 결합되되 상기 바이패스 레버가 회전될 경우 바이패스 레버의 회전 방향에 관계없이 바이패스 레버의 축 하방으로 하강 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설치된 메인링커; 상기 링커의 승강작용에 연동될 수 있도록 설치된 승강부재; 상기 승강부재를 향해 회동되려고 하는 탄성력을 갖도록 설치되며, 상기 승강부재의 하부에 밀착된 상태로 축 결합된 탄성링커; 및 상기 탄성링커에 축 결합되며, 상기 탄성링커의 회동작용에 의해 상기 레버투입부를 향해 승강되면서 레버투입부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설치된 개폐판을 포함하며, 상기 자동 절환 스위치에는 고정 브라켓이 설치되고, 상기 탄성링커의 일단부는 탄성부재를 통해 상기 고정브라켓에 축 결합되며, 상기 탄성링커의 타단부는 상기 개폐판에 축 결합되며, 상기 탄성링커의 일단부와 타단부 사이에는 상기 승강부재에 밀착된 밀착바가 상기 탄성링커로부터 일측을 향해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패스 전원 절체 장치의 인터록 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바이패스 전원 절체 장치의 인터록 구조{An interlock structure of a bypass transfer switching device}
본 발명은 바이패스 전원 절체 장치의 인터록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공급전원이 바이패스된 경우 자동 절환 스위치에 대한 수동 절환이 물리적으로 차단될 수 있도록 하고, 배전반으로부터 인출된 자동 절환 스위치의 레버투입부는 자동으로 개방될 수 있도록 한 바이패스 전원 절체 장치의 인터록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형 건물이나 공장 등은 한국 전력과 같은 전력 공급원으로부터 상용 전력(Normal Power Supply)을 공급받아 사용하고, 정전과 같이 상용 전력 공급에 이상이 발생했을 때에는 내부에 구비된 발전 설비등을 이용하여 비상 전력(Emergency Power Supply)을 생성하여 사용한다. 이러한 대형 건물이나 공장등에는, 평상시에 상용 전원과 부하측을 연결하여 부하측에 전력을 공급하고, 상용 전력 공급원에 이상이 발생할 때 비상 전원을 부하측에 연결하여 비상 전력을 부하측으로 제공하는 자동 절환 스위치(Automatic Transfer Switch;ATS)가 포함된 자동 전원 절환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자동 전원 절환 장치는 자동 절환 스위치를 병렬로 연결 구성하여 하나의 자동 절환 스위치에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 병렬로 구비된 다른 자동 절환 스위치를 통해 전원을 공급하도록 절체를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이상이 발생된 자동 절환 스위치에 대한 유지보수, 장비의 테스트 등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바이패스 전원 절체 장치로 제공되고 있다.
바이패스 전원 절체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전반(30)의 내측에 자동 절환 스위치(10) 및 바이패스 스위치(20)가 설치되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스위치(10, 20)의 고정단자부에 상용전원 공급을 위한 상용전원단자(10-1, 20-1), 비상전원 공급을 위한 비상전원단자(10-2, 20-2) 및 부하 측으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부하단자(10-3, 20-3)는 서로 병렬로 접속되도록 배선되며, 각각의 자동 절환 스위치(10, 20)에 구비되는 가동단자(10-4, 20-4)가 전원단자부(10-1,10-2,20-1,20-2)에 대한 스위칭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자동 절환 스위치(10)의 전면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투입부(10a)가 형성되며, 관리자는 레버투입부(10a)에 레버를 투입하여 수동으로 자동 절환 스위치(10)의 전원을 절환시킬 수 있다. 한편, 바이패스 전원 절체 장치는 자동 절환 스위치(10)에 대한 유지보수, 수리, 테스트 등이 요구되는 경우, 바이패스 스위치(20)를 통해 부하측으로 공급 전원이 끊기지 않고 지속적으로 공급되도록 절체될 수 있는 바, 자동 절환 스위치(10)에 대한 수리, 유지보수, 테스트 등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한 종래의 바이패스 전원 절체 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첫째, 관리자가 자동 절환 스위치를 유지보수, 수리, 테스트 등을 수행하기 위해, 바이패스 스위치(20)를 상용전원 또는 비상전원으로 절환시켜 놓은 경우, 관리자 또는 작업자가 바이패스 스위치(20)의 절환사실을 인지하지 못한 상태에서, 레버투입부(10a)에 레버를 투입하여 자동 절환 장치(10)의 전원을 수동으로 절환시킬 수 있는바, 전원공급 설비 등의 장비 손상은 물론, 화재 사고를 야기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즉, 바이패스 전원 절체 장치는 바이패스 스위치(20)의 투입 전원과 자동 절환 스위치의 투입 전원이 일치하는 경우 문제가 없지만, 바이패스 스위치(20)의 투입 전원과 자동 절환 스위치의 투입 전원이 다른 상태에서 작업자가 부주의로 레버투입부(10a)를 통해 수동으로 자동 절환 스위치의 전원 절체 작업을 시도할 경우, 대형 사고를 야기할 수 있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
둘째, 바이패스 전원 절체 장치는 관리자가 바이패스 스위치(20)를 이용해 전원을 바이패스 시켜 놓은 상태에서, 자동 절환 스위치(10)를 배전반으로부터 인출하여 테스트 또는 유지 보수작업을 수행하고 배전반에 다시 원위치시키는 과정에서, 바이패 스위치(20)의 투입 전원과 자동 절환 스위치(10)의 투입 전원이 다를 경우, 전술한 사고를 유발시킬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즉, 관리자는 배전반(30)으로부터 자동 절환 스위치(10)를 인출한 후, 자동 절환 스위치(10)에 상용전원 또는 비상전원을 투입시키면서 테스트 또는 유지 보수 작업을 수행하는데, 작업자가 일련의 작업을 마친 후 자동 절환 스위치(10)를 배전반(30)에 원위치시킬 때, 자동 절환 스위치(10)의 투입 전원과 바이패스 스위치(20)의 투입 전원이 일치하지 않을 경우, 장비 손상 및 화재 등의 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것이다.
대한민국 등록번호 제10-0844202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바이패스 스위치를 통해 공급전원이 바이패스된 상태에서는 자동 절환 스위치의 레버투입부가 자동으로 폐쇄되도록 함으로써, 자동 절환 스위치에 대한 수동 절환이 원천적으로 차단될 수 있도록 한 바이패스 전원 절체 장치의 인터록 구조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용전원 및 비상전원 수동 절환을 위한 통공 형태의 레버투입부가 형성된 자동 절환 스위치; 상기 자동 절환 스위치를 통해 부하측으로 공급되는 상용전원 또는 비상전원의 전원을 바이패스시킬 수 있도록 설치되며, 바이패스 회로를 수동으로 가변시킬 수 있는 바이패스 레버를 포함하는 바이패스 스위치; 및 상기 바이패스 레버 동작시, 상기 레버투입부를 자동으로 폐쇄시킬 수 있도록 설치된 인터록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인터록 장치는, 상기 바이패스 레버에 결합되되 상기 바이패스 레버가 회전될 경우 바이패스 레버의 회전 방향에 관계없이 바이패스 레버의 축 하방으로 하강 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설치된 메인링커; 상기 링커의 승강작용에 연동될 수 있도록 설치된 승강부재; 상기 승강부재를 향해 회동되려고 하는 탄성력을 갖도록 설치되며, 상기 승강부재의 하부에 밀착된 상태로 축 결합된 탄성링커; 및 상기 탄성링커에 축 결합되며, 상기 탄성링커의 회동작용에 의해 상기 레버투입부를 향해 승강되면서 레버투입부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설치된 개폐판을 포함하며, 상기 자동 절환 스위치에는 고정 브라켓이 설치되고, 상기 탄성링커의 일단부는 탄성부재를 통해 상기 고정브라켓에 축 결합되며, 상기 탄성링커의 타단부는 상기 개폐판에 축 결합되며, 상기 탄성링커의 일단부와 타단부 사이에는 상기 승강부재에 밀착된 밀착바가 상기 탄성링커로부터 일측을 향해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패스 전원 절체 장치의 인터록 구조를 제공한다.
삭제
이때, 상기 승강부재의 저면은 상기 밀착바에 접촉되어 밀착바를 가압하는 직선부와, 상기 직선부의 단부로부터 자동 절환 스위치의 전방을 향해 상향 경사진 경사부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메인링커는, 상기 바이패스 레버의 하부에 일단부가 축 결합되며, 바이패스 레버의 회전 방향에 대하여 상기 일단부를 중심으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설치된 제1링커; 및 상기 제1링커의 타단부와 상기 승강부재 사이에 축 결합되며, 상기 제1링커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링커의 타단부를 중심으로 하방을 향해 회동될 수 있도록 설치된 제2링커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바이패스 전원 절체 장치의 인터록 구조는 바이패스 스위치를 통해 공급전원이 바이패스된 상태에서는 자동 절환 스위치의 레버투입부가 자동으로 폐쇄됨으로써, 작업자가 자동 절환 스위치의 전원을 수동으로 절환시키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자동 절환 스위치에 대한 수리, 테스트 중에 바이패스 투입 전원과 자동 절환 장치의 투입 전원이 달라 부하측 장비가 손상되거나 화재 등의 사고가 발생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원이 바이패스된 상태에서 자동 절환 스위치가 배전반으로부터 인출될 경우, 레버투입부를 폐쇄시키고 있던 개폐판이 상승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자동 절환 스위치가 배전반으로부터 인출된 상태에서는 레버투입부가 자동으로 개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배전반으로부터 인출된 자동 절환 스위치를 작업자가 투입 전원을 용이하게 조작하여 가변시켜가면서 테스트 등의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도 1은 바이패스 전원 절체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바이패스 전원 절체 장치의 회로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바이패스 전원 절체 장치의 인터록 구조 요부를 일측에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바이패스 전원 절체 장치의 인터록 구조 요부를 타측에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바이패스 전원 절체 장치의 인터록 구조 요부를 타측에서 분해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는 자동 절환 스위치가 운전되고 있는 상태에서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바이패스 전원 절체 장치의 인터록 구조를 나타낸 측면도 및 정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바이패스 스위치를 통해 전원이 상용전원으로 바이패스된 상태에서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바이패스 전원 절체 장치의 인터록 구조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8은 바이패스 스위치를 통해 전원이 비상전원으로 바이패스된 상태에서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바이패스 전원 절체 장치의 인터록 구조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9는 바이패스 스위치를 통해 전원이 비상전원으로 바이패스된 상태에서, 배전반으로부터 자동 절환 스위치가 인출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 3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바이패스 전원 절체 장치의 인터록 구조(이하, '인터록 구조'라 함)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인터록 구조는 자동 절환 스위치(10)와 바이패스 스위치(20)가 병렬 연결된 바이패스 전원 절체 장치에 있어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 절환 스위치(10)에 형성된 레버투입부(10a)를 폐쇄시킬 있는 인터록 장치를 포함한다. 이때, 바이패스 스위치(20)는 바이패스 스위치(20)의 투입 방향을 가변시킬 수 있는 바이패스 레버(21)를 포함하며, 바이패스 레버(21)는 도 6a, 도 7,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전반(30)의 내측에서 상,하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예컨대 바이패스 레버(21)가 배전반(30)의 상방을 향해 회동되면 바이패스 스위치(20)로 상용전원이 바이패스되며, 바이패스 레버(21)가 배전반(30)의 하방을 향해 회동되면 바이패스 스위치(20)로 비상전원이 바이패스 된다. 바이패스 레버(21)는 회동축을 기준으로 회동축과 직선 방향의 하방에 돌출 형성된 연동바(22)를 포함한다. 연동바는 후술하는 메인링커와의 결합을 위한 구성이다.
인터록 장치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링커(100)와, 승강부재(200)와, 탄성링커(300)와, 개폐판(400)을 포함한다.
메인링커(100)는 바이패스 레버(21)의 회전 동작을 개폐판(400)에 전달하기 위한 구성으로써,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이패스 레버(21)와 승강부재(200) 사이에 설치된다. 메인링커(100)는 바이패스 레버(21)의 연동바(22)에 축 결합되며, 바이패스 레버(21)의 정,역 회전 방향에 관계없이 바이패스 레버(21)의 하방으로 하강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메인링커(100)는 2개의 링커가 결합되어 제공됨이 바람직하며, 설명의 편의상 제1링커(110)와 제2링커(120)라 한다. 제1링커(110)의 일단부는 바이패스 레버(21)의 연동바(22)에 축 결합되며, 바이패스 레버(21)의 회전 방향에 대하여 일단부를 중심으로 반대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예컨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이패스 레버(21)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제1링커(110)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을 하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이패스 레버(21)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제1링커(110)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게 설치된 것이다. 제2링커(120)는 제1링커(110)의 타단부에 축 결합되며, 제1링커(110)의 타단부를 중심으로 배전반(30)의 하방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제2링커(120)는 제1링커(110)의 타단부와 승강부재(200) 사이에 축 결합되며, 바이패스 레버(21)의 회전방향에 관계없이 바이패스 레버(21)가 회전할 경우 제2링커(120)는 제1링커(110)의 타단부를 중심으로 배전반(30)의 하방을 향해 회동될 수 있도록 설치된 것이다.
승강부재(200)는 메인링커(100)에 연동되며, 후술하는 탄성링커(300)를 하방으로 회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승강부재(2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링커(120)에 연동될 수 있도록 결합되며, 승강작용이 경로 이탈 없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가이드판(210)과 함께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가이드판(210)은 배전반(30)의 내측에 설치되며, 승강부재(200)의 승강경로 가이드를 위한 가이드돌기(211)를 형성한다. 이때, 승강부재(200)에는 가이드돌기(211)에 대응되는 장공의 가이드공(220)이 형성됨에 따라, 승강부재(200)는 가이드판(210)에서 승강되며 가이드돌기(211)를 따라 승강된다. 한편, 승강부재(200)의 저면은 직선부(230)와 경사부(240)로 구분되어 형성된다. 직선부(230)는 승강부재(200) 승강작용시 후술하는 탄성링커(300)를 가압하여 누르는 부위로써, 지면에 대하여 직선인 형태로 이루어진다. 경사부(240)는 배전반(30)으로부터 자동 절환 스위치(10) 인출시 탄성링커(300)의 회동을 자연스럽게 유도하여 개폐판(400)을 상승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써, 경사부(240)에 대한 상세한 작용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경사부(24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부(230)로부터 배전반(30)의 전방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탄성링커(300)는 개폐판(400)을 직접적으로 승강시키는 구성으로써, 승강부재(200)의 승강작용에 의해 회동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탄성링커(300)는 자동 절환 스위치(10)에 설치되는데, 정확하게는, 자동 절환 스위치(10)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브라켓(11)이 설치되며, 상기 탄성링커(300)는 고정브라켓(11)에서 회동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탄성링커(300)의 일단부는 고정브라켓(11)에 축 결합되며, 탄성링커(300)의 타단부는 개폐판(400)의 상단부에 축 결합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탄성링커(300)는 고정브라켓(11)에서 일단부를 중심으로 타단부가 회동됨에 따라 탄성링커(300)의 타단부에 설치된 개폐판(400)을 승강시킬 수 있음은 이해 가능하다. 탄성링커(300)의 일단부와 타단부 사이에는 밀착바(310)가 형성된다. 밀착바(310)는 승강부재(200)의 저면에 밀착되는 구성으로써, 승강부재(200) 하강시 탄성링커(300)가 실제적으로 눌려지는 구성이다. 밀착바(310)는 탄성링커(300)로부터 일측을 향해 돌출 형성된다. 한편, 탄성링커(300)의 일단부에는 탄성부재(320)가 설치된다. 탄성부재(320)는 탄성링커(300)의 회전에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한 구성으로써, 탄성부재(320)의 탄성력은 탄성링커(300)가 승강부재(200)를 향해 회동되려고 하는 힘을 작용시킨다. 즉, 탄성링커(300)는 탄성부재(320)를 통해 승강부재(200)를 향해 탄성력을 제공하고 있는 것이다. 탄성부재(320)의 구성을 통해, 본 발명은 개폐판(400)이 레버투입부(10a)를 폐쇄하였다가 원위치시키는 작용이 수월하고 유연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320)는 토션스프링으로 제공됨이 바람직하다.
개폐판(400)은 자동 절환 스위치(10)의 레버투입부(10a)를 개폐시키는 역할을 하며,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링커(300)의 타단부에 축 결합된다. 개폐판(400)은 레버투입부(10a)를 향해 승강될 수 있도록 설치되며, 상기 탄성링커(300)의 회동작용에 연동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개폐판(400)은 탄성링커(300)에 결합된 연결부(410)와 레버투입부(10a)를 폐쇄시키는 차폐부(420)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연결부(410)에는 연결부(410)의 길이 방향으로 장공(411)이 형성되며, 고정브라켓(11)에는 장공(411)에 위치될 수 있는 가이드돌기(11a)가 형성된다.
이하,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인터록 구조의 동작에 대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첨부된 도 6a 및 도 6b는 평상시 전원이 공급되고 있는 자동 절환 스위치(10)의 운전상태를 측면과 정면에서 나타낸 도면으로써, 이를 통해 알 수 있듯이 바이패스 레버(21)의 위치는 바이패스 스위치(20)의 어느 전원으로도 접속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다. 또한, 자동 절환 스위치(10)의 수동 전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레버투입부(10a)는 개방된 상태임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자동 절환 스위치(10)에 대한 수리, 테스트 등이 필요할 경우, 작업자는 자동 절환 스위치(10)를 통해 공급되고 있는 전원을 바이패스 스위치(20)를 통해 우회시킨다.
예컨대 작업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이패스 레버(20)를 상방으로 회동시켜 자동 절환 스위치(10)로부터 상용전원을 바이패스 스위치(20)에 바이패스 시킨다. 이때, 바이패스 레버(21)는 축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되며, 제1링커(110)는 연동바(22)를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동된다. 이때, 제2링커(120)는 제1링커(110)의 타단부를 중심으로 회동하면서 수평인 상태에서 하방으로 회동됨에 따라, 승강부재(200)는 가이드판(210)을 따라 하방으로 하강된다.
승강부재(200)가 하강됨에 따라, 승강부재(200)의 직선부에 밀착되어 있던 밀착바(310)는 승강부재(200)에 의해 눌리면서 하강하는데, 결국 탄성링커(300)는 도 6a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브라켓(11)을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타단부를 하강시키게 된다. 이때, 탄성링커(300)는 승강부재(200)에 의해 눌려 있는 상태이며, 토션스프링(320)의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로 되돌아가려는 힘을 작용하고 있는 상태이다. 이와 같이 탄성링커(300)가 회동되어 탄성링커(300)의 타단부가 하강됨에 따라, 탄성링커(300)의 타단부에 연결되어 있는 개폐판(400)은 하강하여 레버투입부(10a)를 폐쇄시킨다.
한편, 도 8은 바이패스 레버(21)가 회동하여 공급전원을 비상전원으로 바이패스 시킨 상태로써, 작업자가 바이패스 레버(21)를 시계 방향으로 회동시킨 상태이다. 이때, 제1링커(110)는 도 6a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동바(22)를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되며, 제2링커(120)를 시계 방향으로 회동시킨다. 이때, 제2링커(120)는 제1링커(110)와 직선인 상태가 되며, 제2링커(120)의 타단부는 하강되면서 승강부재(200)를 하강시킨다.
승강부재(200)가 하강됨에 따라, 승강부재(200)의 직선부(230)에 밀착되어 있던 밀착바(310)는 도 7과 마찬가지로 승강부재(200)에 의해 눌리면서 하강하는데, 결국 탄성링커(300)는 도 6a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브라켓(11)을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타단부를 하강시키게 된다. 이때, 탄성링커(300)는 승강부재(200)에 의해 눌려 있는 상태이며, 토션스프링(320)의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로 되돌아가려는 힘을 작용하고 있는 상태이다. 이와 같이 탄성링커(300)가 회동되어 탄성링커(300)의 타단부가 하강됨에 따라, 탄성링커(300)의 타단부에 연결되어 있는 개폐판(400)은 하강하여 레버투입부(10a)를 폐쇄시킨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공급전원을 바이패스 시키기 위해 바이패스 레버(21)가 회동될 경우, 개폐판(400)이 자동으로 하강하여 레버투입부(10a)를 폐쇄시킴으로써, 공급전원이 바이패스된 상태에서는 바이패스 레버(21)의 투입 전원 위치에 관계없이 작업자가 레버투입부(10a)를 통해 자동 절환 스위치(10)를 수동으로 절환 시키는 작업은 불가능하게 된다.
한편, 도 9는 작업자가 공급 전원을 바이패스 시킨 상태에서, 자동 절환 스위치(10) 테스트 작업을 위해, 배전반(30)으로부터 자동 절환 스위치(10)를 인출시킨 상태로써, 본 발명은 작업자가 배전반(30)으로부터 자동 절환 스위치(10)를 인출시킬 경우, 개폐판(400)이 자동으로 상승되어 레버투입부(10a)를 개방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즉, 본 발명은 공급전원이 바이패스된 상태에서, 자동 절환 스위치(10)가 배전반(30)으로부터 인출되면 폐쇄되어 있던 레버투입부(10a)가 자동으로 개방됨에 따라, 작업자는 별도의 작업 없이 레버투입부(10a)를 통해 전원을 절환시키면서 테스트 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일련의 과정에 대하여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도 8은 전술한 바와 같이, 비상전원이 바이패스된 상태로써, 개폐판(400)의 하강에 의해 자동 절환 스위치(10)의 레버투입부(10a)는 폐쇄된 상태이다. 이때, 작업자는 자동 절환 스위치(10)를 배전반(30)의 전방으로 당겨 인출시킨다. 이때, 탄성링커(300)는 고정브라켓(11)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자동 절환 스위치(10)와 함께 인출이 되는데, 승강부재(200)의 직선부(230)에 밀착되어 눌려 있던 탄성링커(300)의 밀착바(310)는 직선부(230)를 따라 이동하다가 직선부(230)를 넘어 경사부(240)와 만나게 된다. 이때, 밀착바(310)는 경사부(240)를 따라 가이드되므로 탄성링커(30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부(240)에 대응되는 각으로 상방을 향해 회동을 하게 된다. 탄성링커(300)가 도면상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됨에 따라, 탄성링커(300)의 타단부는 상승하면서 개폐판(400)을 상승시킴에 따라 레버투입부(10a)는 개방된다. 이후, 작업자는 레버투입부(10a)를 통해 자동 절환 스위치(10)의 전원을 가변시키면서 테스트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자동 절환 스위치(10)에 대한 테스트 작업이 완료되면, 작업자는 배전반(30)의 내부로 자동 절환 스위치(10)를 밀어 원위치시키는데, 탄성링커(300)의 밀착바(310)는 경사부(240)를 따라 가이드되어 이동하다가 직선부(230)에 이르면 개폐판(400)을 다시 하강시키게 되므로, 배전반(30)에 자동 절환 스위치(10)가 투입된 상태에서의 레버투입부(10a)는 다시 폐쇄된 상태가 된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이패스 전원 절체 장치의 인터록 구조는 공급전원이 바이패스될 경우, 자동 절환 스위치의 레버투입부를 자동으로 폐쇄시키되, 바이패스된 상태에서 자동 절환 스위치가 배전반으로부터 인출될 경우, 레버투입부는 자동으로 개방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바이패스된 상태에서 자동 절환 스위치의 수동 절환을 원천적으로 차단하여 안전사고를 방지하고, 자동 절환 스위치가 배전반으로부터 인출될 경우에는 레버투입부가 자동으로 개방되어 작업자의 작업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은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 : 자동 절환 스위치 10a : 레버투입부
11 : 고정브라켓 11a,211 : 가이드돌기
20 : 바이패스 스위치 21 : 바이패스 레버
22 : 연동바 100 : 메인링커
110 : 제1링커 120 : 제2링커
200 : 승강부재 210 : 가이드바
211 : 가이드돌기 220,411 : 장공
230 : 직선부 240 : 경사부
300 : 탄성링커 310 : 밀착바
320 : 탄성부재(토션스프링) 400 : 개폐판
410 : 연결부 420 : 차폐부

Claims (4)

  1. 상용전원 및 비상전원 수동 절환을 위한 통공 형태의 레버투입부가 형성된 자동 절환 스위치;
    상기 자동 절환 스위치를 통해 부하측으로 공급되는 상용전원 또는 비상전원의 전원을 바이패스시킬 수 있도록 설치되며, 바이패스 회로를 수동으로 가변시킬 수 있는 바이패스 레버를 포함하는 바이패스 스위치; 및
    상기 바이패스 레버 동작시, 상기 레버투입부를 자동으로 폐쇄시킬 수 있도록 설치된 인터록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인터록 장치는,
    상기 바이패스 레버에 결합되되 상기 바이패스 레버가 회전될 경우 바이패스 레버의 회전 방향에 관계없이 바이패스 레버의 축 하방으로 하강 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설치된 메인링커;
    상기 링커의 승강작용에 연동될 수 있도록 설치된 승강부재;
    상기 승강부재를 향해 회동되려고 하는 탄성력을 갖도록 설치되며, 상기 승강부재의 하부에 밀착된 상태로 축 결합된 탄성링커; 및
    상기 탄성링커에 축 결합되며, 상기 탄성링커의 회동작용에 의해 상기 레버투입부를 향해 승강되면서 레버투입부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설치된 개폐판을 포함하며,
    상기 자동 절환 스위치에는 고정 브라켓이 설치되고,
    상기 탄성링커의 일단부는 탄성부재를 통해 상기 고정브라켓에 축 결합되며,
    상기 탄성링커의 타단부는 상기 개폐판에 축 결합되며,
    상기 탄성링커의 일단부와 타단부 사이에는 상기 승강부재에 밀착된 밀착바가 상기 탄성링커로부터 일측을 향해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패스 전원 절체 장치의 인터록 구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재의 저면은 상기 밀착바에 접촉되어 밀착바를 가압하는 직선부와, 상기 직선부의 단부로부터 자동 절환 스위치의 전방을 향해 상향 경사진 경사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패스 전원 절체 장치의 인터록 구조.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링커는,
    상기 바이패스 레버의 하부에 일단부가 축 결합되며, 바이패스 레버의 회전 방향에 대하여 상기 일단부를 중심으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설치된 제1링커; 및
    상기 제1링커의 타단부와 상기 승강부재 사이에 축 결합되며, 상기 제1링커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링커의 타단부를 중심으로 하방을 향해 회동될 수 있도록 설치된 제2링커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패스 전원 절체 장치의 인터록 구조.


KR1020210012495A 2021-01-28 2021-01-28 바이패스 전원 절체 장치의 인터록 구조 KR1023873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2495A KR102387323B1 (ko) 2021-01-28 2021-01-28 바이패스 전원 절체 장치의 인터록 구조
CN202110536660.1A CN114823185A (zh) 2021-01-28 2021-05-17 旁路电源切换装置的联锁结构
CN202121056404.4U CN214705751U (zh) 2021-01-28 2021-05-17 旁路电源切换装置的联锁结构
US17/503,323 US11984706B2 (en) 2021-01-28 2021-10-17 Interlock structure of bypass transfer switch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2495A KR102387323B1 (ko) 2021-01-28 2021-01-28 바이패스 전원 절체 장치의 인터록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7323B1 true KR102387323B1 (ko) 2022-04-15

Family

ID=78552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2495A KR102387323B1 (ko) 2021-01-28 2021-01-28 바이패스 전원 절체 장치의 인터록 구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984706B2 (ko)
KR (1) KR102387323B1 (ko)
CN (2) CN11482318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864071B (zh) * 2022-12-01 2023-09-26 江苏卓胜微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旁路接头、加工设备以及维护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65819A (ja) * 1986-01-17 1987-07-22 文化シヤツタ−株式会社 リミットスイッチ装置
KR20060035103A (ko) * 2004-10-21 2006-04-26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스위치 메카니즘의 동시 투입방지용 인터록 장치를 포함한자동 부하전환 개폐기
KR100844202B1 (ko) 2005-08-24 2008-07-04 오성기전주식회사 병렬 구조의 전원 절환 장치
KR101073681B1 (ko) * 2010-06-15 2011-10-14 오성기전주식회사 바이패스 전원절체장치의 인터록 장치
KR20190133049A (ko) * 2017-05-11 2019-11-29 오성기전주식회사 N상 중첩절한 절체스위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82579B1 (fr) * 1998-08-24 2000-10-06 Schneider Electric Ind Sa Appareillage electrique de coupure comportant un disjoncteur embrochable et un dispositif indiquant l'etat du disjoncteur
US7019229B1 (en) * 2004-09-03 2006-03-28 Eaton Corporation Door interlock assembly and draw-out circuit breaker assembly employ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65819A (ja) * 1986-01-17 1987-07-22 文化シヤツタ−株式会社 リミットスイッチ装置
KR20060035103A (ko) * 2004-10-21 2006-04-26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스위치 메카니즘의 동시 투입방지용 인터록 장치를 포함한자동 부하전환 개폐기
KR100844202B1 (ko) 2005-08-24 2008-07-04 오성기전주식회사 병렬 구조의 전원 절환 장치
KR101073681B1 (ko) * 2010-06-15 2011-10-14 오성기전주식회사 바이패스 전원절체장치의 인터록 장치
KR20190133049A (ko) * 2017-05-11 2019-11-29 오성기전주식회사 N상 중첩절한 절체스위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4823185A (zh) 2022-07-29
US11984706B2 (en) 2024-05-14
CN214705751U (zh) 2021-11-12
US20220239074A1 (en) 2022-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308868B1 (en) Enclosed switchboard
KR102387323B1 (ko) 바이패스 전원 절체 장치의 인터록 구조
EP3322051A1 (en) Interlocking mechanism for circuit breaker
KR102387322B1 (ko) 바이패스 전원 절체 장치의 인터록 구조
CN108074774B (zh) 用于接地开关的凸轮选择器
KR100424897B1 (ko) 전력개폐장치용 조작기
DE112012000743B4 (de) Elektrische Abschalt-Veriegelungsschutzvorrichtung für explosionsgeschützten Untertage-Frequenzumrichter
CN211238037U (zh) 一种配金属铠装移开式开关柜接地开关双向电气机械闭锁机构
KR100394025B1 (ko) 진공차단기의 접지스위치 인터록장치
CN208385261U (zh) 电动操作机构的挂锁结构
CN205845821U (zh) 一种组合电器用面板联锁装置
KR102213037B1 (ko) 전동기 제어반
CN109559918A (zh) 智能电缆分段柜联锁装置
CN213070986U (zh) 一种户外高压真空开关与隔离开关的连锁系统
CN206179811U (zh) 一种新型户内高压真空断路器的联锁装置
CN208655443U (zh) 一种带双电源互锁的集成化共箱式充气式环网柜
KR102431478B1 (ko) N상 오버래핑 구조를 갖는 자동 절환스위치
KR102633156B1 (ko) 인터록 모듈, 차단기 이동부 및 이를 포함하는 배전반
CN209963612U (zh) 抽屉开关操作机构以及抽屉式开关柜
CN217444246U (zh) 一种自动转换开关操作模式控制模块的滑动门锁定机构
CN207800417U (zh) 环网柜的机械联锁装置及环网柜
KR20100024078A (ko) 부하개폐기의 상호 인터럽 기능을 가지는 일체형 메카니즘
US20240153720A1 (en) Transfer apparatus for dual-power transfer switch
CN103700537B (zh) 一种户内高压真空断路器
KR19990087611A (ko) 이중 버스 바아를 가진 가스-절연 스위칭 시스템을 위한잠금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