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8504B1 - 수용성 폴리머 조성물, 피부 부착제의 플라스터층 형성용 조성물 및 피부 부착제 - Google Patents

수용성 폴리머 조성물, 피부 부착제의 플라스터층 형성용 조성물 및 피부 부착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8504B1
KR101658504B1 KR1020127005372A KR20127005372A KR101658504B1 KR 101658504 B1 KR101658504 B1 KR 101658504B1 KR 1020127005372 A KR1020127005372 A KR 1020127005372A KR 20127005372 A KR20127005372 A KR 20127005372A KR 101658504 B1 KR101658504 B1 KR 1016585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omposition
meth
acrylic acid
plaster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053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39054A (ko
Inventor
가즈유키 미우라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 세이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 세이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토모 세이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390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90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85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850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61K9/702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 A61K9/70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characterised by shape or structure; Details concerning release liner or backing; Refillable patches; User-activated patches
    • A61K9/7038Transdermal patches of the drug-in-adhesive type, i.e. comprising drug in the skin-adhesive layer
    • A61K9/7046Transdermal patches of the drug-in-adhesive type, i.e. comprising drug in the skin-adhesive layer the adhesive comprising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7053Transdermal patches of the drug-in-adhesive type, i.e. comprising drug in the skin-adhesive layer the adhesive comprising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 to 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vinyl, polyisobutylene, polystyrene
    • A61K9/7061Polyacry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ids; Metal or ammonium sal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carbomers, poly(meth)acrylates, or polyvinyl pyrrolid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6Ointments; Bases therefor; Other semi-solid forms, e.g. creams, sticks, g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61K9/702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61K9/702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 A61K9/70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characterised by shape or structure; Details concerning release liner or backing; Refillable patches; User-activated patches
    • A61K9/7084Transdermal patches having a drug layer or reservoir, and one or more separate drug-free skin-adhesive layers, e.g. between drug reservoir and skin, or surrounding the drug reservoir; Liquid-filled reservoir patc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5/00Devices for applying media, e.g. remedies, on the human body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1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zed by their specific function
    • C08K3/014Stabilisers against oxidation, heat, light or ozo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00Material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5/00Heat-transfer, heat-exchange or heat-storage materials, e.g. refrigerants; Materials for the production of heat or cold by chemical reactions other than by combustion
    • C09K5/08Materials not undergoing a change of physical state when us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524/00Synthetic resins or natural rubbers -- part of the class 520 series
    • Y10S524/916Hydrogel compositions

Abstract

본 발명은 수용성 폴리(메타)아크릴산 폴리머 및 겔화 속도 지연제를 함유하는 수용성 폴리머 조성물 및 해당 수용성 폴리머 조성물에 다가 금속 화합물을 첨가하여 얻어지는 피부 부착제의 플라스터층 형성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수용성 폴리머 조성물은 이것에 다가 금속 화합물을 첨가했을 때에 겔의 경화 개시까지 적당한 유도기를 갖는 것으로 되고, 피부 부착제의 플라스터층을 형성하기 위해 이용하는 경우에 첨가 성분을 균일하게 혼합할 수 있어서, 지지체로의 도포 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Description

수용성 폴리머 조성물, 피부 부착제의 플라스터층 형성용 조성물 및 피부 부착제{WATER-SOLUBLE POLYMER COMPOSITION, COMPOSITION FOR FORMING PLASTER LAYER OF SKIN PATCH, AND SKIN PATCH}
본 발명은 수용성 폴리머 조성물, 피부 부착제의 플라스터층 형성용 조성물, 이들의 제조 방법 및 해당 플라스터층 형성용 조성물을 이용한 피부 부착제에 관한 것이다.
습포제, 냉각 시트 등의 피부 부착제는 수용성 폴리머를 포함하는 조성물에 각종 약제나 물 등을 배합하여 겔상으로 한 플라스터를 부직포 등의 지지체 상에 도포하고, 해당 조성물을 경화 숙성함으로써 해당 지지체 상에 플라스터층을 형성한 것이다. 이와 같은 조성물에 배합되는 수용성 폴리머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메타)아크릴산 또는 그 염 등의 폴리(메타)아크릴산 폴리머가 이용되고 있다.
피부 부착제에 이용되는 수용성 폴리머를 포함하는 플라스터층의 형성용 조성물은 피부 등에 대한 접착성, 벤딩부에 대한 부착을 위한 신축성 등의 특성이 요구되는데, 또한, 피부 부착제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의 각종 특성도 요구되고 있다.
습포제나 냉각 시트 등의 일반적인 제조 방법으로서는 일반적으로, 수용성 폴리머를 포함하는 조성물에 각종 첨가 성분을 혼합하여 겔상의 플라스터로 해서, 이것을 부직포 등의 지지체 상에 도포하고, 폴리에틸렌 필름 등의 라이너로 표면을 덮은 후, 재단, 패킹하여 팩 내에서 해당 조성물을 경화 숙성시켜서 플라스터층을 형성하는 방법이 채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방법에서는 해당 수용성 폴리머 조성물을 이용하여 겔상의 플라스터를 얻을 때에 해당 수용성 폴리머 조성물에 가교제로서 알루미늄 등의 다가 금속 화합물이 첨가되는데, 수용성 폴리머와 다가 금속 화합물이 반응하기 쉬워서, 경화 속도가 지나치게 빠르면, 지지체로의 도포 시에 겔화가 진행되어 지지체 상에 도포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수용성 폴리머와 다가 금속 화합물의 반응 속도를 조절할 목적으로, 다가 금속 화합물과 동시에 겔화 속도 지연제로서 에틸렌디아민4초산2나트륨염을 첨가하는 방법이 채용되고 있다(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일본국 특개평03―188149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다가 금속 화합물과 겔화 속도 지연제를 동시에 배합하는 방법에서는 겔의 경화 속도의 제어가 어려워서, 적당한 경화 속도로 하는 것은 곤란하여, 첨가 성분의 혼합 작업이나 지지체로의 도포 작업에 지장을 초래하는 일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현상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주요한 목적은 습포제, 냉각 시트 등의 피부 부착제의 플라스터층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조성물로서, 겔화 속도의 제어가 용이하고, 지지체에 도포하기 쉬운 수용성 폴리머를 포함하는 조성물 및 해당 조성물을 이용하여 얻어지는 피부 부착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는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예의 연구를 거듭해 왔다. 그 결과, 폴리(메타)아크릴산 또는 그 염과 함께 겔화 속도 지연제를 포함하는 수용성 폴리머 조성물에 가교제로서 다가 금속 화합물을 첨가하고, 이것을 피부 부착제(skin patch)의 플라스터층(plaster layer) 형성용 조성물로서 이용하는 경우에는, 다가 금속 화합물이 첨가된 조성물을 겔상의 플라스터로 할 때에 겔화 속도의 제어가 용이하고, 겔상의 플라스터의 경화가 진행되기까지의 유도기(induction period)를 적당히 설정할 수 있으며, 그 결과, 해당 조성물에 대한 첨가 성분의 혼합 작업이나 지지체로의 플라스터의 도포 작업이 용이하게 되는 것을 발견하고, 여기에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하기의 수용성 폴리머 조성물, 피부 부착제의 플라스터층 형성용 조성물, 이들의 제조 방법 및 해당 플라스터층 형성용 조성물을 이용한 피부 부착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항 1. 수용성 폴리(메타)아크릴산 폴리머 및 겔화 속도 지연제를 함유하는 수용성 폴리머 조성물.
항 2. (메타)아크릴산 및 그 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메타)아크릴산 화합물을 중합함으로써 수용성 폴리(메타)아크릴산 폴리머의 함수 겔을 얻은 후, 얻어진 함수 겔의 건조 전 또는 건조 중에 겔화 속도 지연제를 첨가하여 건조함으로써 얻어지는 항 1에 기재된 수용성 폴리머 조성물.
항 3. 겔화 속도 지연제의 첨가량이 수용성 폴리(메타)아크릴산 폴리머를 얻기 위해 사용한 (메타)아크릴산 및 그 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메타)아크릴산 화합물 100질량부에 대하여 0.1∼10질량부인 상기 항 1 또는 2에 기재된 수용성 폴리머 조성물.
항 4. 상기 항 1∼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수용성 폴리머 조성물 및 다가 금속 화합물을 함유하는 피부 부착제의 플라스터층 형성용 조성물.
항 5. 다가 금속 화합물의 양이 수용성 폴리머 조성물 100질량부에 대하여 0.01∼20질량부인 상기 항 4에 기재된 플라스터층 형성용 조성물.
항 6. 상기 항 4 또는 5에 기재된 플라스터층 형성용 조성물로 형성된 플라스터층을 갖는 피부 부착제.
항 7. 습포제(poultice) 또는 냉각 시트(cooling sheet)인 상기 항 6에 기재된 피부 부착제.
항 8. (메타)아크릴산 및 그 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메타)아크릴산 화합물을 중합하여 함수 겔을 얻은 후, 해당 함수 겔의 건조 전 또는 건조 중에 겔화 속도 지연제를 첨가하여 건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액 폴리머 조성물의 제조 방법.
항 9. 상기 항 8의 방법에 의하여 얻어지는 수용성 폴리머 조성물에 다가 금속 화합물을 첨가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피부 부착제의 플라스터층 형성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
이하, 본 발명의 수용성 폴리머 조성물 및 해당 조성물을 이용하는 피부 부착제의 플라스터층 형성용 조성물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Ⅰ) 수용성 폴리머 조성물
본 발명의 수용성 폴리머 조성물은 수용성 폴리(메타)아크릴산 폴리머와 겔화 속도 지연제를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것이다. 이하, 해당 조성물에 포함되는 수용성 폴리(메타)아크릴산 폴리머와 겔화 속도 지연제에 대하여 설명한다.
(1) 수용성 폴리(메타)아크릴산 폴리머
본 발명에서 이용하는 수용성 폴리(메타)아크릴산 폴리머는 (메타)아크릴산 및 그 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메타)아크릴산 화합물을 모노머 성분으로서 이용하고, 이것을 중합하여 얻어지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은 없다. 중합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메타)아크릴산 화합물의 대표적인 중합 방법인 역상 현탁 중합법, 수용액 중합법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모노머 성분을 중합할 때에 극도의 저분자량체나 극도의 고분자량체가 생성되지 않도록 중합도를 컨트롤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원 명세서에서는 “(메타)아크릴산”이란, “아크릴산”과 “메타크릴산”의 양쪽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하, 수용성 폴리(메타)아크릴산 폴리머의 제조 방법의 예로서, 역상 현탁 중합법과 수용액 중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ⅰ) 역상 현탁 중합법:
역상 현탁 중합법에서는 예를 들면, (메타)아크릴산 및 그 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메타)아크릴산 화합물을 모노머 성분으로 하고, 래디컬 중합 개시제를 이용하여 계면 활성제 및 고분자 분산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성분을 포함하는 석유계 탄화수소 용매 중에 있어서, 유중 수적형 역상 현탁 중합을 실시하면 좋다. 또한, 역상 현탁 중합법에 있어서는, 역상 현탁 중합에 의하여 얻어진 수용성 폴리(메타)아크릴산 폴리머의 슬러리에 (메타)아크릴산 화합물을 더 첨가하고, 2단 이상의 다단으로 중합을 실시할 수도 있다.
모노머 성분으로 하는 (메타)아크릴산 화합물은 통상, 수용액의 상태로 이용하면 좋다. 수용액 중의 (메타)아크릴산 화합물의 농도는 중합 반응을 신속히 실시하기 위해, 15질량%∼포화 농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얻어지는 폴리(메타)아크릴산 폴리머에 적당한 수용성을 부여시키기 위해, 모노머 성분으로서의 (메타)아크릴산 화합물로서는, (메타)아크릴산염을 단독으로 이용하거나, 또는, (메타)아크릴산염과 (메타)아크릴산의 혼합물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수용액 중에 있어서, (메타)아크릴산의 일부 또는 전부를 염기로 중화하여 (메타)아크릴산염을 포함하는 수용액을 조제하고, 해당 수용액 중에서 중합 반응을 진행시킴으로써 적당한 수용성을 갖는 폴리(메타)아크릴산 폴리머를 얻을 수 있다. 이 때, (메타)아크릴산의 중화도는 5∼100몰%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얻어지는 수용액 폴리(메타)아크릴산 폴리머의 물에 대한 용해성을 양호하게 하기 위해서는, 20∼100몰% 정도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메타)아크릴산염의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면, (메타)아크릴산리튬, (메타)아크릴산나트륨, (메타)아크릴산칼륨, (메타)아크릴산암모늄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의 (메타)아크릴산염 중에서는 (메타)아크릴산나트륨 및 (메타)아크릴산칼륨이 바람직하고, (메타)아크릴산나트륨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메타)아크릴산염을 조제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면, 염기로서, 수산화리튬,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암모니아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래디컬 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면, 과황산칼륨, 과황산암모늄, 과황산나트륨 등의 과황산염; 메틸에틸케톤퍼옥시드, 메틸이소부틸케톤퍼옥시드, 디―tert―부틸퍼옥시드, tert―부틸쿠밀퍼옥시드, tert―부틸퍼옥시아세테이트, tert―부틸퍼옥시이소부티레이트, tert―부틸퍼옥시피발레이트, 과산화수소 등의 과산화물; 2, 2’―아조비스(2―아미디노프로판)2염산염, 2, 2’―아조비스[2―(N―페닐아미디노)프로판]2염산염, 2, 2’―아조비스[2―(N―알릴아미디노)프로판]2염산염, 2, 2’―아조비스{2―[1―(2―히드록시에틸)―2―이미다졸린―2―일]프로판}2염산염, 2, 2’아조비스{2―메틸―N―[1, 1―비스(히드록시메틸)―2―히드록시에틸]프로피온아미드}, 2, 2’―아조비스[2―메틸―N―(2―히드록시에틸)―프로피온아미드], 4, 4’―아조비스(4―시아노길초산) 등의 아조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의 래디컬 중합 개시제는 단독으로 이용해도, 2종 이상을 병용해도 좋다. 이들의 래디컬 중합 개시제 중에서는 공업적으로 입수가 용이하고, 보존 안정성이 양호한 것에서, 과황산칼륨, 과황산암모늄, 과황산나트륨, 2, 2’―아조비스(2―아미디노프로판)2염산염 등이 가장 적합하다.
래디컬 중합 개시제의 사용량은 중합 반응의 시간을 단축하고, 또한, 급격한 중합 반응을 막아서 중합도를 컨트롤하기 쉽게 하기 위해, (메타)아크릴산 화합물 100질량부에 대하여 0.015∼0.15질량부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래디컬 중합 개시제의 사용량이 지나치게 적으면, 중합 반응 시간이 길어질 염려가 있다. 또, 래디컬 중합 개시제의 사용량이 지나치게 많은 경우에는, 중합 반응 속도가 빨라서 급격한 반응으로 되어 중합 반응을 제어할 수 없게 될 염려가 있다.
또한, 상기 래디컬 중합 개시제는 아황산나트륨, 아황산수소나트륨, 아황산제1철 등의 아황산염; D―아스코르빈산, L―아스코르빈산, 롱갈리트(rongalite) 등의 환원제를 병용하여 레독스 중합 개시제로서 이용할 수 있다.
상기한 방법으로 폴리(메타)아크릴산 폴리머를 제조할 때에는 극도의 저분자량체나 극도의 고분자량체가 생성되지 않도록 중합도를 적절히 컨트롤하기 위해, 수용성 연쇄 이동제(chain transfer agent)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용성 연쇄 이동제로서는 예를 들면, 차아인산염 화합물, 아인산 화합물, 티올 화합물, 제 2급 알코올 화합물, 아민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의 수용성 연쇄 이동제는 단독으로 이용해도, 2종 이상을 병용해도 좋다. 이들의 수용성 연쇄 이동제 중에서는 무취이고, 위생면 및 안전성이 양호한 것에서, 차아인산나트륨, 차아인산칼륨 등의 차아인산염 화합물이 가장 적합하게 이용된다.
수용성 연쇄 이동제의 사용량은 중합도를 적절히 컨트롤하기 위해, (메타)아크릴산 화합물 100질량부에 대하여 0.001∼2질량부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고, 0.001∼1.7질량부 정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수용성 연쇄 이동제의 사용량이 지나치게 적은 경우에는, 수용성 연쇄 이동제를 사용하는 효과가 발휘되지 않을 염려가 있다. 또, 수용성 연쇄 이동제의 사용량이 지나치게 많으면, 저분자량체의 비율이 증가하여, 플라스터층 형성용 조성물을 조제했을 때에 겔의 경화 속도가 늦어지는 경향이 있으며, 또한, 해당 조성물을 이용하여 습포제 등을 제조했을 때, 얻어지는 습포제 등의 겔 중에 포함되는 염농도가 증가하기 때문에 겔의 접착성이 나빠질 염려가 있다.
(메타)아크릴산 화합물을 중합할 때에 이용되는 계면 활성제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자당지방산에스테르, 소르비탄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소르비톨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톨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경화피마자유, 알킬알릴포름알데히드 축합 폴리옥시에틸렌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블록코폴리머,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알킬에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아민,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의 인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알릴에테르의 인산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의 계면 활성제는 단독으로 이용해도, 2종 이상을 병용해도 좋다. 이들의 계면 활성제 중에서는 (메타)아크릴산 화합물을 포함하는 수용액의 분산 안정성이 양호한 것에서, 소르비탄지방산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및 자당지방산에스테르가 가장 적합하게 이용된다.
(메타)아크릴산 화합물을 중합할 때에 이용되는 고분자 분산제로서는 예를 들면, 무수말레인산 변성 폴리에틸렌, 무수말레인산 변성 폴리프로필렌, 무수말레인산 변성 에틸렌ㆍ프로필렌 공중합체, 무수말레인산 변성 EPDM(에틸렌ㆍ프로필렌ㆍ디엔ㆍ터폴리머), 무수말레인산 변성 폴리부타디엔, 에틸렌ㆍ무수말레인산 공중합체, 에틸렌ㆍ프로필렌ㆍ무수말레인산 공중합체, 부타디엔ㆍ무수말레인산 공중합체, 산화형 폴리에틸렌, 에틸렌ㆍ아크릴산 공중합체, 에틸셀룰로오스, 에틸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들의 고분자 분산제는 단독으로 이용해도, 2종 이상을 병용해도 좋다. 이들 중에서는 (메타)아크릴산 화합물을 포함하는 수용액의 분산 안정성이 양호한 것에서, 무수말레인산 변성 폴리에틸렌, 무수말레인산 변성 폴리프로필렌, 무수말레인산 변성 에틸렌ㆍ프로필렌 공중합체, 산화형 폴리에틸렌, 에틸렌ㆍ아크릴산 공중합체 등이 가장 적합하게 이용된다.
계면 활성제와 고분자 분산제는 양자를 병용해도 좋고, 어느 한쪽을 이용해도 좋다. 이들 성분의 사용량은 (메타)아크릴산 화합물을 포함하는 수용액의 분산 상태를 양호하게 유지하고, 또한, 사용량에 알맞는 분산 효과를 얻기 위해, (메타)아크릴산 화합물 100질량부에 대하여 계면 활성제 및 고분자 분산제의 합계량으로서, 0.1∼5질량부 정도가 바람직하고, 0.2∼3질량부 정도가 보다 바람직하다. 이들 성분의 사용량이 지나치게 적은 경우에는, (메타)아크릴산 화합물의 분산성이 나빠져서, 중합 이상이 일어날 염려가 있다. 또, 이들 성분의 사용량이 지나치게 많은 경우에는, 사용량에 알맞는 분산 효과가 얻어지지 않을 염려가 있다.
석유계 탄화수소 용매로서는 예를 들면, n―헥산, n―헵탄, n―옥탄, 리그로인 등의 지방족 탄화수소; 시클로펜탄, 메틸시클로펜탄, 시클로헥산, 메틸시클로헥산 등의 지환족 탄화수소; 벤젠, 톨루엔, 크실렌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들의 석유계 탄화수소 용매는 단독으로 이용해도, 2종 이상을 병용해도 좋다. 이들의 석유계 탄화수소 용매 중에서는 공업적으로 입수가 용이하고, 품질이 안정되며, 또한, 저가인 것에서, n―헥산, n―헵탄, 시클로헥산 등이 가장 적합하게 이용된다.
석유계 탄화수소 용매의 사용량은 중합 열을 제거하고, 중합 온도를 제어하기 쉽게 하기 위해, 통상, (메타)아크릴산 화합물 100질량부에 대하여 50∼600질량부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80∼550질량부 정도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중합 반응 시의 반응 온도는 사용하는 래디컬 중합 개시제에 따라서 다른데, 중합을 신속히 진행시켜서 중합 시간을 짧게 함으로써 생산성을 높이는 것과 함께, 용이하게 중합 열을 제거하여 원활히 반응을 실시하기 위해, 20∼110℃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중합 온도 제어가 용이하고, 중합도를 컨트롤하기 쉬운 점에서, 40∼90℃ 정도가 보다 바람직하다. 반응 온도가 지나치게 낮으면, 중합 속도가 늦어서 중합 시간이 길어지기 때문에 경제적으로 바람직하지 않다. 한편, 반응 온도가 지나치게 높은 경우에는, 중합열을 제거하는 것이 어려워지기 때문에 원활히 반응을 실시하는 것이 곤란하게 될 염려가 있다.
이렇게 하여 중합 반응 종료 후, 수용성 폴리(메타)아크릴산 폴리머의 함수 겔이 분산된 슬러리가 얻어진다. 이 슬러리를 예를 들면, 80∼200℃ 정도로 가열하여 수분이나 석유계 탄화수소 용매를 제거하고, 건조시킴으로써 수용성 폴리(메타)아크릴산 폴리머를 얻을 수 있다.
(ⅱ) 수용액 중합법
다음으로, 실시 형태의 다른 일례로서, 수용액 중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수용액 중합법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메타)아크릴산 화합물을 모노머 성분으로서 이용하고, 래디컬 중합 개시제를 이용하여 상법에 따라서 수용액 중합을 실시하면 좋다.
또한, 수용액 중합법에 있어서는, (메타)아크릴산 화합물, 래디컬 중합 개시제, 그 밖의 임의의 첨가제 등의 종류 및 사용량 등은 상기 역상 현탁 중합법에서 기재한 것과 동일하다.
또, 수용액 중합법에 있어서는, 중합 반응 시의 반응 온도, 반응 시간 등에 대해서도, 상기 역상 현탁 중합법에서 기재한 것과 동일하다.
이렇게 하여 중합 반응 종료 후, 수용성 폴리(메타)아크릴산 폴리머의 함수 겔이 얻어진다. 이 함수 겔을 예를 들면, 80∼200℃로 가열하여 수분을 제거하고, 건조시킴으로써 수용성 폴리(메타)아크릴산 폴리머가 얻어진다.
(2) 겔화 속도 지연제
본 발명에서는 겔화 속도 지연제로서는, 금속 이온에 대하여 킬레이트화능 또는 배위능을 갖는 화합물을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겔화 속도 지연제로서는, 특별히 한정적은 아니고, 폴리(메타)아크릴산 폴리머의 겔화 속도 지연제로서 공지의 화합물을 이용할 수 있으며, 구체예로서, 에틸렌디아민4초산, 디에틸렌트리아민5초산, 초산, 시트르산, 푸말산, 타르타르산, 유산, 말산 등의 유기산; 이들의 유기산의 염; 붕산, 탄산 등의 무기산; 붕산염, 탄산염, 탄산수소염 등의 무기산염 등을 들 수 있다. 유기산염 및 무기산염의 종류에 대해서는, 수용성 염이면 좋고, 특별히 한정은 없지만, 예를 들면, 알칼리 금속염, 알칼리토류 금속염, 암모늄염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이들의 겔화 속도 지연제는 단독으로 이용해도, 2종 이상을 병용해도 좋다. 이들의 겔화 속도 지연제 중에서는 무취이고, 위생면 및 안전성이 양호한 것에서, 에틸렌디아민4초산, 그 염 등이 가장 적합하게 이용된다.
겔화 속도 지연제의 첨가량은 적당한 겔 경화의 유도기를 발현시키기 위해, 모노머 성분으로서 사용한 (메타)아크릴산 화합물 100질량부에 대하여 0.1∼10질량부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겔화 속도 지연제의 첨가량이 지나치게 적은 경우에는, 수용성 폴리(메타)아크릴산 폴리머를 함유하는 조성물을 이용하여 습포제 등을 제조할 때에 해당 조성물에 배합하는 첨가제 성분을 충분히 교반하기 위한 충분한 유도기를 발현시킬 수 없을 염려가 있다. 또, 겔화 속도 지연제의 첨가량이 지나치게 많으면, 해당 조성물에 가교제로서 다가 금속 화합물을 첨가하여 겔상의 플라스터로 할 때에, 다가 금속 이온으로의 마스킹 작용이 지나치게 강해져서 겔화 반응이 저해되기 쉽고, 겔화 시간이 길어져서 효율적이지 않으며, 또한, 형성되는 플라스터층의 최종 강도가 낮아질 염려가 있다.
(3) 수용성 폴리머 조성물의 조제 방법
본 발명의 수용성 폴리머 조성물은 상기한 수용성 폴리(메타)아크릴산 폴리머와 겔화 속도 지연제를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미리 수용성 폴리(메타)아크릴산 폴리머와 겔화 속도 지연제를 함유하는 조성물로 함으로써 수용성 폴리머와 겔화 속도 지연제가 균일성 좋게 존재하게 되고, 가교제로서 이용하는 다가 금속 화합물과 반응시켰을 때에 경화 속도를 컨트롤하기 쉬워진다. 이 때문에, 다가 금속 화합물을 첨가하여 겔화를 진행시켜서 피부 부착제의 플라스터층을 형성할 때에, 겔 상태의 조성물의 경화 반응의 개시까지 적당한 유도기를 발현시킬 수 있으며, 그 결과, 첨가제 성분을 균일하게 혼합할 수 있고, 지지체에 대한 도포 작업도 용이하게 된다.
수용성 폴리(메타)아크릴산 폴리머와 겔화 속도 지연제의 혼합 방법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적은 아니고, 양자를 가능한 한 균일하게 혼합할 수 있는 방법이면 좋다.
예를 들면, 상기한 폴리(메타)아크릴산 폴리머의 중합 공정에 있어서, 겔화 속도 지연제 존재 하에 (메타)아크릴산 화합물을 중합시키는 방법; (메타)아크릴산 화합물을 중합시켜서 폴리(메타)아크릴산 폴리머의 함수 겔을 얻은 후, 해당 함수 겔의 건조 전 또는 건조 중에 갤화 속도 지연제를 첨가하는 방법 등에 의해 수용성 폴리아크릴산 폴리머와 겔화 속도 지연제를 혼합하면 좋다. 특히, 폴리(메타)아크릴산 폴리머의 중합 반응을 원활히 실시하기 위해, (메타)아크릴산 화합물을 중합하여 함수 겔을 얻은 후, 얻어진 함수 겔에 겔화 속도 지연제를 첨가하고, 그 후, 건조하는 방법, 또는 해당 함수 겔의 건조 중에 겔화 속도 지연제를 첨가하는 방법에 의하여 본 발명의 수용성 폴리머 조성물을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Ⅱ) 피부 부착제의 플라스터층 형성용 조성물
상기한 수용성 폴리(메타)아크릴산 폴리머와 겔화 속도 지연제를 함유하는 수용성 폴리머 조성물에, 또한, 가교제로서 다가 금속 화합물을 첨가한 조성물은 서서히 겔화가 진행되는 성질을 갖는 것이다. 이와 같은 조성물은 피부 부착제의 플라스터층 형성용 조성물로서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다가 금속 화합물을 첨가하여 겔상으로 한 것을 피부 부착제용의 지지체에 도포하여 경화 숙성함으로써 피부 부착제의 플라스터층을 형성할 수 있다.
플라스터층 형성용 조성물에 배합하는 다가 금속 화합물은 수용성 폴리(메타)아크릴산 폴리머에 대하여 가교제로서 기능하는 것이고, 예를 들면, 2∼6가의 금속 이온과, 염화물 이온, 황산 이온, 규산 이온, 인산 이온 등의 음이온의 염을 이용할 수 있다. 다가 금속 이온의 구체예로서는, 알루미늄 이온, 칼슘 이온, 철 이온 등을 들 수 있다. 다가 금속 화합물의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면, 수산화 알루미늄, 황산 알루미늄, 규산 알루미늄, 인산 알루미늄, 알루미늄 글리시네이트, 수산화칼슘, 황산 제 2철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다가 금속 화합물은 단독으로 이용해도, 2종 이상을 병용해도 좋다.
다가 금속 화합물의 첨가량은 다가 금속 화합물을 첨가한 조성물로 형성되는 겔상 플라스터를 지지체에 도포하고, 경화 숙성하여 플라스터층으로 했을 때에 양호한 보형성으로 하기 위해, 상기 수용성 폴리(메타)아크릴산 폴리머 100질량부에 대하여 0.01질량부 정도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05질량부 정도 이상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0.1질량부 정도 이상으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 다가 금속 화합물의 첨가량의 상한은, 형성되는 플라스터층의 신축성이나 점착성을 양호하게 하기 위해, 수용성 폴리(메타)아크릴산 폴리머 100질량부에 대하여 20질량부 정도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5질량부 정도 이하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10질량부 정도 이하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피부 부착제의 플라스터층 형성용 조성물에는 수용성 폴리(메타)아크릴산 폴리머 조성물과 다가 금속 화합물 이외에, 또한, 다가 알코올, pH 조정제 등을 첨가해도 좋다.
이들 중에서, 다가 알코올은 보수제로서 기능하는 것이다. 다가 알코올의 구체예로서는, 글리세린, 폴리프로필렌글리콜, 소르비톨, 부틸렌글리콜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의 다가 알코올은 단독으로 이용해도 좋고, 2종 이상을 병용해도 좋다.
다가 알코올의 사용량은 다가 알코올, 물, 그 밖의 임의의 첨가 성분 등을 추가한 플라스터층 형성용 조성물의 전체를 기준으로 하여 50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50질량%를 넘는 경우, 겔상으로 된 플라스터를 지지체에 도포하고, 경화 숙성하여 플라스터층으로 할 때에 경화 속도가 늦어질 염려가 있다.
pH 조정제는 다가 금속 화합물로부터 금속 이온 용출을 촉진하는 것과 함께, 플라스터층 형성용 조성물 자체의 pH 컨트롤제로서 기능한다. pH 조정제의 구체예로서는, 타르타르산, 유산, 시트르산 등의 유기산을 들 수 있다. 또한, pH 조정제는 단독으로 이용해도 좋고, 2종 이상을 병용해도 좋다. pH 조정제의 사용량에 대해서는, 물, 다가 알코올, 그 밖의 임의의 첨가 성분 등을 추가하여 플라스터층 형성용 조성물을 형성했을 때에 해당 조성물의 pH가 3∼7 정도로 되는 양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플라스터층 형성용 조성물은 상기한 각 성분을 포함하는 것이고, 통상, 물을 추가하여 분산액으로서 이용된다. 해당 조성물의 구체적인 조제 방법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은 없지만, 예를 들면, 겔화 속도 지연제를 함유하는 수용성 폴리머 조성물과 다가 금속 화합물에, 필요에 따라서 다가 알코올을 추가하고, 이들의 성분을 혼합하여 분산액을 조제하며, 이 분산액과는 별도로, pH 조정제 및 물을 혼합한 수용액을 조제한 후, 상기 분산액과 수용액을 혼합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물의 사용량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적은 아니지만, 물, 다가 알코올, 그 밖의 임의의 첨가 성분 등을 추가한 플라스터층 형성용 조성물의 전체를 기준으로 하여 50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50질량% 미만인 경우, 겔상으로 된 플라스터를 지지체에 도포할 때, 도포하기 어려워질 염려나 경화 숙성하여 플라스터층으로 할 때에 경화 속도를 컨트롤하기 어려워질 염려가 있다.
(Ⅲ) 피부 부착제
상기한 수용성 폴리(메타)아크릴산 폴리머와 겔화 속도 지연제를 함유하는 수용성 폴리머 조성물에 가교제로서 다가 금속 화합물을 첨가하고, 또한, 필요에 따라서 임의의 첨가 성분을 추가한 조성물로부터 겔상의 플라스터를 형성하고, 이것을 부직포 등의 지지체에 도포하고, 경화 숙성하여 플라스터층을 형성함으로써 피부 부착제를 얻을 수 있다. 피부 부착제의 구체예로서는, 습포제, 냉각 시트 등을 들 수 있다.
피부 부착제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수용성 폴리머 조성물에 다가 금속 화합물과 임의의 첨가제를 첨가한 조성물로 형성되는 겔상의 조성물을 부직포 등의 지지체에 도포하고, 폴리에틸렌 필름 등의 라이너로 표면을 덮은 후, 필요에 따라 적당한 크기로 재단하고, 패킹하여 팩 내에서 경화 숙성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첨가제는 피부 부착제의 사용 목적에 따라서 공지의 성분으로부터 적절히 선택하면 좋고, 예를 들면, 습포제의 경우, 살리실산메틸, L―멘톨, D, L―캠퍼, 초산토코페롤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 냉각 시트의 경우, 파라벤, 색소, 향료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들의 첨가제의 양에 대해서는, 통상의 플라스터층에 있어서의 첨가량과 동일하게 하면 좋다.
지지체로서 이용하는 부직포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제의 부직포 등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부직포는 일반에 시판되고 있으며, 예를 들면, 부착 약용 기포(닛폰 바일린 주식회사의 제품)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용성 폴리머 조성물에 다가 금속 화합물을 첨가하여 얻어지는 조성물은 겔의 경화 개시까지 적당한 유도기를 갖는 것으로 된다. 이 때문에, 해당 조성물에 첨가 성분을 혼합하여 겔상의 플라스터로 할 때에 첨가 성분을 얼룩없이 균일하게 교반할 수 있다. 또, 겔상의 플라스터를 지지체에 도포할 때에 지지체에 겔상의 플라스터를 도포하는 것이 용이하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전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수용성 폴리머 조성물의 조제]
환류 냉각기, 적하 깔때기, 질소가스 도입관 및 교반기 및 교반 날개를 구비한 1000㎖의 5구(five-necked) 원통형 환저 플라스크를 준비했다. 이 플라스크에 n―헵탄 340g을 넣고, HLB3의 자당 스테아린산 에스테르(미츠비시 가가쿠 푸드 주식회사제, 료토 슈거 에스테르S―370) 0.92g 및 무수말레인산 변성 에틸렌ㆍ프로필렌 공중합체(미츠이 화학 주식회사제, 하이왁스1105A) 0.92g을 첨가하고, 교반하면서 80℃까지 승온하여 계면 활성제를 용해한 후, 55℃까지 냉각했다.
한편, 500㎖의 삼각 플라스크에 80질량%의 아크릴산 수용액 92g(1.02몰)을 넣고, 외부로부터 냉각하면서 30질량%의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68.1g(0.51몰)을 적하하여 50몰%의 중화를 실시한 후, 래디컬 중합 개시제로서 2, 2’―아조비스(2―아미디노프로판) 2염산염의 2.0질량% 수용액 1.15g, 차아인산나트륨 1수화물의 1.0질량% 수용액 0.92g 및 이온 교환수 51.6g을 추가하여 용해하고, 단량체 수용액을 조제했다.
이 단량체 수용액의 전량을 상기 원통형 환저 플라스크에 첨가했다. 플라스크를 60℃의 수욕에 침지하여 58℃까지 승온하고, 계내를 질소 치환하여 중합 반응을 실시했다. 30분 후에 피크 온도 79℃에 도달하고, 그곳에서 0.5시간, 60℃의 수욕에 침지시킨 상태를 유지하고, 반응을 계속시켰다. 0.5시간 후의 내액 온도는 59℃이었다.
중합 종료 후, 수용성 폴리아크릴산 폴리머의 함수 겔을 포함하는 슬러리에 3질량%의 에틸렌디아민4초산2나트륨염 수용액 30g을 첨가했다. 0.5시간 교반을 실시한 후, 125℃의 유욕에서 상기 슬러리를 승온하고, n―헵탄과 물의 공비증류에 의해 n―헵탄을 환류하면서 138g의 물을 계외로 제거했다. 또한, 계내의 n―헵탄을 증류에 의해 제거하여 건조시킴으로써 수용성 폴리머 조성물 90.1g을 얻었다.
[플라스터층 형성용 조성물의 조제]
증류수 86.55질량부에 타르타르산 0.25질량부를 첨가하고, 용해시켜서 이것을 A액으로 했다.
다음으로, 500㎖의 비커에 글리세린 4질량부 및 프로필렌글리콜 4질량부로 이루어지는 혼합 용매를 첨가하고, 건조 수산화알루미늄겔(교와 화학 공업 주식회사제, 형번: S―100, 산 반응성: 0.1N―HCl=180초) 0.2질량부를 첨가하고, 분산시켜서 이것을 B액으로 했다.
날개 직경 75㎜의 피치드 패들을 이용하여 상기 B액을 100rpm으로 교반하면서 상기 수용성 폴리머 조성물 5질량부를 2초간으로 첨가하고, 3초간 교반을 계속한 후, 상기 A액 전량을 2초간으로 첨가했다. 그 후, 15초간 교반한 후 교반을 정지하고, 플라스터층 형성용 조성물을 제작했다.
실시예 2
환류 냉각기, 적하 깔때기, 질소가스 도입관 및 교반기 및 교반 날개를 구비한 1000㎖의 5구 원통형 환저 플라스크를 준비했다. 이 플라스크에 n―헵탄 340g을 넣고, HLB3의 자당 스테아린산 에스테르(미츠비시 가가쿠 푸드 주식회사제, 료토 슈거 에스테르S―370) 0.92g 및 무수말레인산 변성 에틸렌ㆍ프로필렌 공중합체(미츠이 화학 주식회사제, 하이왁스1105A) 0.92g을 첨가하고, 교반하면서 80℃까지 승온하여 계면 활성제를 용해한 후, 55℃까지 냉각했다.
한편, 500㎖의 삼각 플라스크에 80질량%의 아크릴산 수용액 92g(1.02몰)을 넣고, 외부로부터 냉각하면서 30질량%의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68. 1g(0.51몰)을 적하하여 50몰%의 중화를 실시한 후, 래디컬 중합 개시제로서 2, 2’―아조비스(2―아미디노프로판) 2염산염의 2.0질량% 수용액 1.15g, 차아인산나트륨 1수화물의 1.0질량% 수용액 0.92g 및 이온 교환수 51.6g을 추가하여 용해하고, 단량체 수용액을 조제했다.
이 단량체 수용액의 전량을 상기 원통형 환저 플라스크에 첨가했다. 플라스크를 60℃의 수욕에 침지하여 58℃까지 승온하고, 계내를 질소 치환하여 중합 반응을 실시했다. 30분 후에 피크 온도 79℃에 도달하고, 그곳에서 1시간, 55℃의 수욕에 침지시킨 상태를 유지하고, 반응을 계속시켰다. 1시간 후의 내액 온도는 53℃이었다.
중합 종료 후, 수용성 폴리아크릴산 폴리머의 함수 겔을 포함하는 슬러리에 10질량%의 에틸렌디아민4초산2나트륨염 수용액 80g을 첨가했다. 0.5시간 교반을 실시한 후, 125℃의 유욕에서 상기 슬러리를 승온하고, n―헵탄과 물의 공비증류에 의해 n―헵탄을 환류하면서 181g의 물을 계외로 제거했다. 또한, 계내의 n―헵탄을 증류에 의해 제거하여 건조시킴으로써 수용성 폴리아크릴산 폴리머 조성물 97.7g을 얻었다.
얻어진 수용성 아크릴산 폴리머 조성물을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플라스터층 형성용 조성물을 제작했다.
실시예 3
300㎖용의 삼각 플라스크에 80질량%의 아크릴산 수용액 27g(0.3몰)을 넣고, 외부로부터 냉각하면서 30질량%의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20g(0.15몰)을 적하하여 50몰%의 중화를 실시한 후, 이온 교환수 22.6g을 추가하여 용해하고, 단량체 수용액을 조제했다.
환류 냉각기, 적하 깔때기, 질소 가스 도입관 및 교반기 및 교반 날개를 구비한 500㎖의 5구 원통형 환저 플라스크에 상기 단량체 수용액의 전량을 넣었다. 계내를 질소 치환한 후, 플라스크를 60℃의 수욕에 침지하여 58℃까지 승온했다. 3질량%의 에틸렌디아민4초산2나트륨염 수용액 30g을 추가하고, 0.5시간 교반한 후, 래디컬 중합 개시제로서 2, 2’―아조비스(2―아미디노프로판) 2염산염의 2.0질량% 수용액 0.54g 및 차아인산나트륨 1수화물의 1.0질량% 수용액 0.72g을 추가하여 중합 반응을 실시했다. 1분 후부터 계내가 증점하고, 2분 후에 교반을 정지시켰다. 4분 후에 피크 온도 75℃에 도달하고, 그곳에서 3시간, 60℃의 수욕에 침지시킨 상태를 유지하고, 반응을 계속시켰다. 3시간 후의 내액 온도는 58℃이었다.
중합 종료 후, 일체화한 수용성 아크릴산 폴리머의 함수 겔을 120℃에서 2시간 건조시킨 후에 분쇄하고, 110℃에서 2시간 건조시킴으로써 수용성 폴리아크릴산 폴리머 조성물 24.4g을 얻었다.
얻어진 수용성 폴리아크릴산 폴리머 조성물을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플라스터층 형성용 조성물을 제작했다.
실시예 4
환류 냉각기, 적하 깔때기, 질소 가스 도입관 및 교반기 및 교반 날개를 구비한 1000㎖의 5구 원통형 환저 플라스크를 준비했다. 이 플라스크에 n―헵탄 340g을 넣고, HLB3의 자당 스테아린산 에스테르(미츠비시 가가쿠 푸드 주식회사제, 료토 슈거 에스테르S―370) 0.92g 및 무수말레인산 변성 에틸렌ㆍ프로필렌 공중합체(미츠이 화학 주식회사제, 하이왁스1105A) 0.92g을 첨가하고, 교반하면서 80℃까지 승온하여 계면 활성제를 용해한 후, 55℃까지 냉각했다.
한편, 500㎖의 삼각 플라스크에 80질량%의 아크릴산 수용액 92g(1.02몰)을 넣고, 외부로부터 냉각하면서 30질량%의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68.1g(0.51몰)을 적하하여 50몰%의 중화를 실시한 후, 래디컬 중합 개시제로서 2, 2’―아조비스(2―아미디노프로판) 2염산염의 2.0질량% 수용액 1.15g, 차아인산나트륨 1수화물의 1.0질량% 수용액 0.92g 및 이온 교환수 51.6g을 추가하여 용해하고, 단량체 수용액을 조제했다.
이 단량체 수용액의 전량을 상기 원통형 환저 플라스크에 첨가했다. 플라스크를 60℃의 수욕에 침지하여 58℃까지 승온하고, 계내를 질소 치환하여 중합 반응을 실시했다. 30분 후에 피크 온도 79℃에 도달하고, 그곳에서 0.5시간, 60℃의 수욕에 침지시킨 상태를 유지하고, 반응을 계속시켰다. 0.5시간 후의 내액 온도는 59℃이었다.
중합 종료 후, 수용성 폴리아크릴산 폴리머의 함수 겔을 포함하는 슬러리에 10질량%의 에틸렌디아민4초산2나트륨염 수용액 100g을 첨가했다. 0.5시간 교반을 실시한 후, 125℃의 유욕에서 상기 슬러리를 승온하고, n―헵탄과 물의 공비증류에 의해 n―헵탄을 환류하면서 199g의 물을 계외로 제거했다. 또한, 계내의 n―헵탄을 증류에 의해 제거하여 건조시킴으로써 수용성 폴리아크릴산 폴리머 조성물 99.4g을 얻었다.
얻어진 수용성 폴리아크릴산 폴리머 조성물을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플라스터층 형성용 조성물을 제작했다.
비교예 1
환류 냉각기, 적하 깔때기, 질소 가스 도입관 및 교반기 및 교반 날개를 구비한 1000㎖의 5구 원통형 환저 플라스크를 준비했다. 이 플라스크에 n―헵탄 340g을 넣고, HLB3의 자당 스테아린산 에스테르(미츠비시 가가쿠 푸드 주식회사제, 료토 슈거 에스테르S―370) 0.92g 및 무수말레인산 변성 에틸렌ㆍ프로필렌 공중합체(미츠이 화학 주식회사제, 하이왁스1105A) 0.92g을 첨가하고, 교반하면서 80℃까지 승온하여 계면 활성제를 용해한 후, 55℃까지 냉각했다.
한편, 500㎖의 삼각 플라스크에 80질량%의 아크릴산 수용액 92g(1.02몰)을 넣고, 외부로부터 냉각하면서 30질량%의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68.1g(0.51몰)을 적하하여 50몰%의 중화를 실시한 후, 래디컬 중합 개시제로서 2, 2’―아조비스(2―아미디노프로판) 2염산염의 2.0질량% 수용액 1.15g, 차아인산나트륨 1수화물의 1.0질량% 수용액 0.92g 및 이온 교환수 51.6g을 첨가하여 용해하고, 단량체 수용액을 조제했다.
이 단량체 수용액의 전량을 상기 원통형 환저 플라스크에 첨가했다. 플라스크를 60℃의 수욕에 침지하여 58℃까지 승온하고, 계내를 질소 치환하여 중합 반응을 실시했다. 30분 후에 피크 온도 79℃에 도달하고, 그곳에서 0.5시간, 60℃의 수욕에 침지시킨 상태를 유지하고, 반응을 계속시켰다. 0.5시간 후의 내액 온도는 59℃이었다.
중합 종료 후, 125℃의 유욕에서 수용성 아크릴산 폴리머의 함수 겔을 포함하는 슬러리를 승온하고, n―헵탄과 물의 공비증류에 의해 n―헵탄을 환류하면서 108g의 물을 계외로 제거했다. 또한, 계내의 n―헵탄을 증류에 의해 제거하여 건조시킴으로써 수용성 폴리아크릴산 폴리머 89.1g을 얻었다.
얻어진 수용성 폴리아크릴산 폴리머를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플라스터층 형성용 조성물을 제작했다.
비교예 2
비교예 1에서 얻어진 수용성 폴리아크릴산 폴리머를 이용하여 겔화 기제를 조제할 때에 수용성 폴리아크릴산 폴리머 5질량부와 동시에 에틸렌디아민4초산2나트륨 0.2질량부를 첨가한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플라스터층 형성용 조성물을 제작했다.
실시예 1∼4 및 비교예 1∼2에서 얻어진 플라스터층 형성용 조성물에 대하여, 이하에 나타내는 방법에 의해 겔 강도를 평가했다.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겔의 숙성]
조제한 플라스터층 형성용 조성물 95∼100g을 폴리에틸렌제 용기(애즈 원 주식회사제, 상품명: 타이트 보이TB―2)로 옮기고, 25℃, 상대 습도 60%로 조정한 항온항습기(에스펙 주식회사제, 상품명: LHU―113형)에 넣고, 소정 시간 숙성시켰다(1, 2, 3, 6, 9, 12, 15, 18, 24, 30, 36, 48시간)
[겔 강도]
조제 직후 및 소정 시간 숙성 후의 플라스터층 형성용 조성물에 대하여, 커드미터(아이 테크노 엔지니어링사제, 상품명: 커드미터MAX, 형식: ME―303)를 이용하여 겔 강도를 측정했다. 또한, 측정 조건은 하중: 100g, 감압축경: 16㎜, 스피드: 7초/인치, 측정 모드: 점성이다.
실시예 5
[습포제의 제작]
실시예 1에서 조제한 플라스터층 형성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폴리에스테르제의 부직포(닛폰 바일린 주식회사제, 상품명: 부착 약용 기포)의 일면에 5㎜ 두께로 연신 도포하고, 계속해서 겔의 위를 나일론 필름으로 덮고, 100㎜×50㎜의 크기로 재단하여 습포제를 제작했다.
실시예 6∼8 및 비교예 3∼4
표 1에 나타내는 실시예 2∼4 및 비교예 1∼2에서 얻어진 플라스터층 형성용 조성물을 이용한 이외는, 실시예 5와 동일하게 하여 습포제를 각각 제작했다.
실시예 5∼8 및 비교예 3∼4에서 얻어진 습포제 중의 겔의 외관에 대하여 이하에 나타내는 방법에 의해 평가했다.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겔의 상태]
습포제를 제조 시, 플라스터층 형성용 조성물을 도포 직후의 겔의 상태에 대하여, 육안으로 가루 덩어리의 유무를 확인했다.
○: 가루 덩어리 없음
×: 가루 덩어리 있음
겔 강도[N/㎡] 겔의 상태
숙성 시간[시간]
0 1 2 3 6 9 12 15 18 24 30 36 48
실시예 1 147 98 99 101 223 321 405 448 458 480 484 484 487 실시예 5
실시예 2 143 96 96 98 98 99 105 158 270 401 430 444 452 실시예 6
실시예 3 111 93 94 95 95 148 255 360 432 467 471 480 480 실시예 7
실시예 4 141 95 97 95 98 97 98 99 189 340 389 390 390 실시예 8
비교예 1 155 178 201 223 345 429 456 465 473 488 491 493 495 비교예 3
비교예 2 148 160 172 188 253 322 371 403 423 445 462 467 468 비교예 4 ×
표 1로부터, 실시예 1∼4이 수용성 폴리아크릴산 폴리머 조성물은 플라스터층 형성용 조성물의 조제 후, 3시간 이상, 200N/㎡ 이하의 저겔 강도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고, 겔의 경화 개시까지 적당한 유도기를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실시예 5∼8의 본 발명의 습포제를 제조할 때, 플라스터층 형성용 조성물에 가루 덩어리가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얻어지는 습포제의 외관성이 우수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Claims (10)

  1. 수용성 폴리(메타)아크릴산 폴리머 및 겔화 속도 지연제를 혼합하여 수용성 폴리머 조성물을 조제하는 공정 및,
    얻어진 수용성 폴리머 조성물 및 다가 금속 화합물을 혼합하여 플라스터층 형성용 조성물을 조제하는 공정을 거쳐서 제조되는
    플라스터층 형성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수용성 폴리(메타)아크릴산 폴리머 및 겔화 속도 지연제를 혼합하여 수용성 폴리머 조성물을 조제하는 공정이
    (메타)아크릴산 및 그 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메타)아크릴산 화합물을 중합함으로써 수용성 폴리(메타)아크릴산 폴리머의 함수 겔을 얻은 후, 얻어진 함수 겔의 건조 전 또는 건조 중에 겔화 속도 지연제를 첨가하여 건조함으로써 수용성 폴리머 조성물을 조제하는 공정인
    플라스터층 형성용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겔화 속도 지연제의 첨가량이 수용성 폴리(메타)아크릴산 폴리머를 얻기 위해 사용한 (메타)아크릴산 및 그 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메타)아크릴산 화합물 100질량부에 대하여 0.1~10질량부인
    플라스터층 형성용 조성물.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다가 금속 화합물이 수산화 알루미늄, 황산 알루미늄, 규산 알루미늄, 인산 알루미늄, 알루미늄 글리시네이트, 수산화칼슘 및 황산 제2철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플라스터층 형성용 조성물.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겔화 속도 지연제가 에틸렌디아민4초산, 디에틸렌트리아민5초산, 초산, 시트르산, 푸말산, 타르타르산, 유산, 말산 및 이들의 유기산의 염 및 붕산, 탄산, 붕산염, 탄산염 및 탄산수소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플라스터층 형성용 조성물.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다가 금속 화합물의 양이 수용성 폴리머 조성물 100질량부에 대하여 0.01~20질량부인
    플라스터층 형성용 조성물.
  7.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플라스터층 형성용 조성물로 형성된 플라스터층을 갖는 피부 부착제.
  8. 제7항에 있어서,
    습포제 또는 냉각 시트인
    피부 부착제.
  9. 수용성 폴리(메타)아크릴산 폴리머 및 겔화 속도 지연제를 혼합하여 수용성 폴리머 조성물을 조제하는 공정 및,
    얻어진 수용성 폴리머 조성물 및 다가 금속 화합물을 혼합하여 플라스터층 형성용 조성물을 조제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플라스터층 형성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수용성 폴리(메타)아크릴산 폴리머 및 겔화 속도 지연제를 혼합하여 수용성 폴리머 조성물을 조제하는 공정이,
    (메타)아크릴산 및 그 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메타)아크릴산 화합물을 중합하여 함수 겔을 얻은 후, 해당 함수 겔의 건조 전 또는 건조 중에 겔화 속도 지연제를 첨가하여 건조해서 수용액 폴리머 조성물을 조제하는 공정인
    플라스터층 형성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
KR1020127005372A 2009-07-30 2010-07-21 수용성 폴리머 조성물, 피부 부착제의 플라스터층 형성용 조성물 및 피부 부착제 KR1016585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177281 2009-07-30
JP2009177281 2009-07-30
PCT/JP2010/062220 WO2011013546A1 (ja) 2009-07-30 2010-07-21 水溶性ポリマー組成物、皮膚貼付剤の膏体層形成用組成物、及び皮膚貼付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9054A KR20120039054A (ko) 2012-04-24
KR101658504B1 true KR101658504B1 (ko) 2016-09-21

Family

ID=435292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5372A KR101658504B1 (ko) 2009-07-30 2010-07-21 수용성 폴리머 조성물, 피부 부착제의 플라스터층 형성용 조성물 및 피부 부착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906980B2 (ko)
EP (1) EP2460853B1 (ko)
JP (1) JP5832289B2 (ko)
KR (1) KR101658504B1 (ko)
CN (1) CN102482477B (ko)
TW (1) TWI616461B (ko)
WO (1) WO201101354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73493B (zh) * 2012-12-11 2015-04-22 楚雄蕴萃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薄荷油水凝胶贴剂基质及其制备方法
US11446256B1 (en) 2021-08-20 2022-09-20 Advantice Health, Llc Aqueous wound healing formulatio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65560A1 (en) 2000-09-14 2003-09-04 Shigenori Otsuka Preparations for coating wound
US20040072715A1 (en) 2002-10-09 2004-04-15 Greg Griese Solid composition with rheology modifier
JP2007119552A (ja) 2005-10-26 2007-05-17 Showa Denko Kk (メタ)アクリル酸系含水ゲル体の製造方法および(メタ)アクリル酸系含水ゲル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311549A (ja) * 1989-05-26 1990-12-27 Taisho Pharmaceut Co Ltd ゲルの製造方法
JPH0794583B2 (ja) 1989-12-15 1995-10-11 株式会社大塚製薬工場 高含水高分子ゲル
JPH08774B1 (ko) * 1990-11-09 1996-01-10
GB2256588B (en) * 1990-11-09 1994-08-10 Teikoku Seiyaku Kk Preparation for transdermal administration of procaterol
DE4303818C1 (de) * 1993-02-10 1994-03-31 Mann Gerhard Chem Pharm Fab Arzneimittel mit einem Gehalt an Dexpanthenol zur topischen Anwendung
EP0854154A1 (de) * 1997-01-16 1998-07-22 Th. Goldschmidt AG Emulgatorgemische
US6555020B1 (en) * 1998-10-29 2003-04-29 Den-Mat Corporation Stable tooth whitening gels containing high percentages of hydrogen peroxide
JP4202526B2 (ja) * 1999-05-07 2008-12-24 リンテック株式会社 水性ゲル積層体ロールの製造方法
TWI239340B (en) * 2001-12-06 2005-09-11 Nippon Catalytic Chem Ind Process for production of water-soluble (meth)acrylic polymers, water-soluble (meth)acrylic polymers, and use thereof
WO2006112533A1 (en) * 2005-04-18 2006-10-26 Showa Denko K.K. Water-containing gel form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JP5130203B2 (ja) * 2006-04-28 2013-01-30 ライオン株式会社 非水系粘着剤組成物、貼付剤および貼付剤の製造方法
EP2213165A1 (en) * 2007-11-27 2010-08-04 Erc Technology Inc. Novel compositions containing ozonized surfactant
US9517289B2 (en) * 2007-12-12 2016-12-13 Nippon Shokubai Co., Ltd. Water-absorbing agent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2009161618A (ja) * 2007-12-28 2009-07-23 Nippon Shokubai Co Ltd 貼付材組成物用添加剤、それを含む貼付材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65560A1 (en) 2000-09-14 2003-09-04 Shigenori Otsuka Preparations for coating wound
US20040072715A1 (en) 2002-10-09 2004-04-15 Greg Griese Solid composition with rheology modifier
JP2007119552A (ja) 2005-10-26 2007-05-17 Showa Denko Kk (メタ)アクリル酸系含水ゲル体の製造方法および(メタ)アクリル酸系含水ゲ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460853B1 (en) 2017-08-30
EP2460853A1 (en) 2012-06-06
JP5832289B2 (ja) 2015-12-16
TWI616461B (zh) 2018-03-01
CN102482477B (zh) 2015-04-15
US8906980B2 (en) 2014-12-09
TW201113298A (en) 2011-04-16
EP2460853A4 (en) 2015-02-25
WO2011013546A1 (ja) 2011-02-03
US20120123015A1 (en) 2012-05-17
CN102482477A (zh) 2012-05-30
KR20120039054A (ko) 2012-04-24
JPWO2011013546A1 (ja) 2013-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690503B2 (ja) 改良された超吸収剤組成物および方法
JP2000026510A (ja) 樹脂の製造法および吸水性樹脂
JPH01126310A (ja) 改良された水吸収性樹脂の製造方法
KR20110092236A (ko) 양이온성 고분자 화합물로 표면개질된 흡수성 수지
WO2003059961A1 (fr) Procede de prevention de la coloration d'une resine absorbant l'eau
CN106366257A (zh) 一种低敏感抗泥交叉支链型聚羧酸减水剂及其制备方法
KR101658504B1 (ko) 수용성 폴리머 조성물, 피부 부착제의 플라스터층 형성용 조성물 및 피부 부착제
JPH026654A (ja) 溶液共重合体、これを含有するセルロース用速硬性結合剤およびその製造方法
EP2305722B1 (en) Water-soluble acrylic acid salt polymer and gelling base
US20030120027A1 (en) Anionic polymers of acrylic and/or methacrylic acids and maleic esters, and salts thereof, and their use as cement/concrete additives
JP2000038407A (ja) 吸水性樹脂の製造方法
KR100447838B1 (ko) 카르복실기함유중합체조성물
US20110021642A1 (en) Water-soluble acrylic acid salt polymer and gelling base
JPH0214925B2 (ko)
TW396173B (en) Method of preparing superabsorbent polymer
AU642055B2 (en) An emulsion polymerised polymer
JP3338677B2 (ja) ビニルピロリドン系重合体の製造方法
CN113906056A (zh) 吸水性树脂和阻水材料
JP2000128907A (ja) 吸水性ポリマーの製造法
JPH0528723B2 (ko)
JPH0476362B2 (ko)
JPH09241392A (ja) 高吸水性ポリマーの製造方法
KR0165136B1 (ko) 친수성 수지의 제조방법
JPH04272910A (ja) 高吸水性樹脂の製造方法
JPH0794501B2 (ja) 吸水性樹脂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