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8385B1 - 유리용기 제조용 블로금형 컨트롤 장치 - Google Patents

유리용기 제조용 블로금형 컨트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8385B1
KR101658385B1 KR1020140162978A KR20140162978A KR101658385B1 KR 101658385 B1 KR101658385 B1 KR 101658385B1 KR 1020140162978 A KR1020140162978 A KR 1020140162978A KR 20140162978 A KR20140162978 A KR 20140162978A KR 101658385 B1 KR101658385 B1 KR 1016583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w mold
air
mold
container
ac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29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60517A (ko
Inventor
한강회
Original Assignee
한강회
(주)용천자연유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강회, (주)용천자연유리 filed Critical 한강회
Priority to KR10201401629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8385B1/ko
Publication of KR201600605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05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83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83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9/00Blowing glass; Production of hollow glass articles
    • C03B9/30Details of blowing glass; Use of materials for the moulds
    • C03B9/36Blow heads; Supplying, ejecting or controlling the air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9/00Blowing glass; Production of hollow glass articles
    • C03B9/30Details of blowing glass; Use of materials for the mould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9/00Blowing glass; Production of hollow glass articles
    • C03B9/30Details of blowing glass; Use of materials for the moulds
    • C03B9/36Blow heads; Supplying, ejecting or controlling the air
    • C03B9/3609Selection or characteristics of the blowing medium, e.g. gas composition, moisture content, cryogenic sta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40/00Technologies relating to the processing of minerals
    • Y02P40/50Glass production, e.g. reusing waste heat during processing or shaping
    • Y02P40/57Improving the yield, e-g- reduction of reject r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AREA)
  • Blow-Moulding Or Thermoform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리용융액(U1)의 예비성형으로 마련됨과 동시에 집게금형(10)으로 파지된 예비용기(U2)를 수용하면서 에어주입기(30)로부터 공기를 받아들여 유리용기(U3)로 완성시키는 블로금형(20)을 포함하는 유리용기 제조용 블로금형 컨트롤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기 유리용기(U3)의 하단을 완성시키는 하단금형(41a)을 센터링 고정시키면서 상기 블로금형(20)을 받쳐주는 베이스(41)와, 상기 베이스(41)로부터 직립된 포스트(51) 및 고정 스크류(52)와, 상기 포스트(51) 및 고정 스크류(52)의 상단을 서로 연결시켜 잡아주는 어퍼 플레이트(42)와, 상기 베이스(41) 및 어퍼 플레이트(42) 사이에서 정역회전되는 회전 스크류(53)와, 상기 회전 스크류(53)를 정역회전시키는 회전 제어모듈(60)과, 상기 회전 스크류(53)의 정역회전에 연동되면서 상기 포스트(51)를 따라 슬라이딩 승강되는 능동 승강판(70)과, 상기 능동 승강판(70)에 고정됨과 동시에 상기 블로금형(20)의 상단에 놓여지면서 상기 집게금형(10)을 받쳐주는 능동 집게아암(71)과, 상기 고정 스크류(52)를 따라 승강되면서 상기 에어주입기(30)를 상기 능동 집게아암(71) 위로 위치시키면서 공기를 상기 예비용기(U2) 속으로 주입 및 차단토록 하는 에어 스위칭모듈(8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유리용기 제조용 블로금형 컨트롤 장치{BLOW MOLD CONTROL APPARATUS FOR MANUFACTURING GLASS VESSEL}
본 발명은 유리용기 제조용 블로금형 컨트롤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리용기를 신속 간편하게 생산할 수 있는 유리용기 제조용 블로금형 컨트롤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용기는 각종 음식물 또는 음료를 담기 위한 그릇으로 플라스틱, 합성섬유, 금속 또는 유리와 같은 재질로 만들 수 있으며 절삭, 밀링 공법 또는 단조, 프레스, 주조, 다이캐스팅 공법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용기(1)의 내경이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동일하거나 상광하협의 치수를 갖는 경우라면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의 외형(1b)에 일치하는 내부홈(2a)을 갖춘 하부금형(2) 속에 용융액(A)을 넣은 후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의 내형(1a)에 일치하는 돌출부(3a)를 갖춘 상부금형(3)을 가압하여 용기의 형태를 완성하면서 급랭시키는 다이캐스팅 공법을 적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부금형(3)과 하부금형(2)의 압축하중에 의하여 용기(1)를 제조할 수 있으려면 적어도 용기(1)의 내경이 상하 동일하거나 상광하협의 치수를 가져야만 상부금형(3)의 돌출부(3a)가 용기의 내형(1a)으로부터 자유롭게 분리될 수 있기 때문에 가능하고, 이러한 다이캐스팅 공법은 대량 생산에 적합하다는 점에서 그 이점이 있다.
반면, 용기(5)의 내경이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협하광의 치수를 갖는 경우라면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융액(B) 속에 공기(7)를 주입하여 일차적으로 중공(中空; B1)을 만든 후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의 외형(5b)에 일치하는 내부홈(6a)을 갖는 블로(blow)금형(6) 속에 중공(B1)이 형성된 용융액(B)을 넣음과 동시에 다시 공기(7)를 중공(B1)에 강하게 주입하면서 급랭시키는 블로공법을 적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블로공법은 상협하광의 내경을 갖는 용기(5)를 제조할 경우에 적합하지만 용융액(B) 속에 공기(7)를 주입하여 일차적으로 중공(B1)을 갖도록 한 후 블로금형(6)에 다시 집어넣어 이차적으로 공기(7)를 제공하여야만 하여 그 공정이 복잡하고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선행기술문헌(10-2002-0014394; 유리용기 제조방법)
선행기술문헌에 따른 유리용기 제조방법은 도 3a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 몸체의 예비 외형(12b)을 결정짓는 하부금형(20) 속에 용융액(L)을 넣은 후 용기 입구의 실제 외형(11b)을 결정짓는 집게금형(40)을 하부금형(20) 위에 올려놓음과 동시에 용기 입구의 실제 내형(11a) 및 용기 몸체의 예비 내형(12a)을 결정짓는 상부금형(30)을 가압하여 용기의 입구측 성형물(10a)을 완성하는 제 1 단계와, 집게금형(40)을 파지하면서 용기의 입구측 성형물(10a)을 하부금형(20)으로부터 분리한 후 용기 몸체의 실제 외형(12d)을 결정짓는 블로금형(50) 속에 넣는 제 2 단계와, 블로금형(50) 위를 밀폐시키면서 용기 몸체의 예비 내형(12a)에 에어 주입기(60)로부터 공기(61)를 주입하여 용기 몸체의 실제 내형(12c) 및 외형(12d)의 형상을 모두 완성하는 제 3 단계로 이루어진다.
이때, 제 1 단계 후에 용기 몸체의 예비 내형(12a) 또는 예비 외형(12b)에 고온의 열(F)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 3 단계 전에 용융액(L)과 동일한 재질의 용융액(L)을 용기 몸체의 예비 내형(12a)에 더 주입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원 출원인은 선행기술문헌을 참조하면서 유리용기를 완성시키는 블로금형을 더욱 용이하게 활용하기 위한 장치를 개발하여 본 발명으로 제안하기로 한다.
선행기술문헌(10-2002-0014394; 유리용기 제조방법) 선생기술문헌(10-2013-0029963; 유리용기 제조방법)
본 발명의 목적은 유리용기를 신속 간편하게 생산할 수 있는 유리용기 제조용 블로금형 컨트롤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불량률을 현저히 줄일 수 있는 유리용기 제조용 블로금형 컨트롤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유리용기의 크고 작음에 따라, 즉 높낮이에 따라 블로금형의 높이가 다를 수 있는 점을 고려하여 능동 승강판 및 에어 스위칭모듈의 높이를 작업환경에 따라 신속 정확하게 변화시킬 수 있는 유리용기 제조용 블로금형 컨트롤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어퍼 플레이트에 의해 포스트와 더불어 고정 스크류의 상단을 고정시켜 작업 중 흔들리지 않도록 하는 유리용기 제조용 블로금형 컨트롤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능동 승강판이 회전 스크류에 연동되어 승강되도록 하여 신속한 높낮이 조절을 가능케 할 수 있는 유리용기 제조용 블로금형 컨트롤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에어 스위칭모듈의 높낮이를 특별히 가변시키지 않더라도 탄성적인 움직임으로 거리 오차를 극복케 할 수 있는 유리용기 제조용 블로금형 컨트롤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블로금형의 위치 또는 블로금형의 크기에 따라 블로금형의 상단에 이르는 능동 가변아암의 거리차를 능동적으로 맞출 수 있는 유리용기 제조용 블로금형 컨트롤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수동 수평핸들의 누름 및 해제에 따라 압출스프링이 탄성적으로 연동되면서 수동 수직핸들에 고정된 에어주입기로 하여금 실린더를 따라 승강되도록 하여 능동 집게아암에 맞닿은 상태에서 공기를 주입케 한 후 다시 복원되면서 차단케 하는 반복운동으로 실현토록 할 수 있는 유리용기 제조용 블로금형 컨트롤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측면 화력라인에 의한 좌측 블로금형 및 우측 블로금형의 지속적인 축열로서 예비용기가 유리용기로 완성될 때 열손실을 보상하여 더욱 빠르고 불량없이 제품을 제작케 할 수 있는 유리용기 제조용 블로금형 컨트롤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에어주입기를 통한 공기의 주입량이 많더라도 퇴로구멍을 통한 배출로서 유리용기를 완성시키는 데 불량을 철저하게 봉쇄토록 할 수 있는 유리용기 제조용 블로금형 컨트롤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제어핸들의 미세한 조절로서 샤프트가 정역회전하면 수직기어에 맞물린 수평기어가 정역회전되면서 회전 스크류를 동작시켜 능동 승강판을 정밀하고도 신속하게 승강시킬 수 있는 유리용기 제조용 블로금형 컨트롤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키홀을 통한 스토퍼 키의 조임으로 샤프트의 회전을 방지케 하여 블로금형의 높이에 맞춰진 능동 승강판의 높낮이에 대한 변동을 철저히 차단하여 결과적으로 집게금형을 받쳐주는 능동 집게아암이 블로금형의 상단에 더욱 정밀하게 위치될 수 있도록 하는 유리용기 제조용 블로금형 컨트롤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유리용융액의 예비성형으로 마련됨과 동시에 집게금형으로 파지된 예비용기를 수용하면서 에어주입기로부터 공기를 받아들여 유리용기로 완성시키는 블로금형을 포함하는 유리용기 제조용 블로금형 컨트롤 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리용기의 하단을 완성시키는 하단금형을 센터링 고정시키면서 상기 블로금형을 받쳐주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로부터 직립된 포스트 및 고정 스크류와,
상기 포스트 및 고정 스크류의 상단을 서로 연결시켜 잡아주는 어퍼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및 어퍼 플레이트 사이에서 정역회전되는 회전 스크류와,
상기 회전 스크류를 정역회전시키는 회전 제어모듈과,
상기 회전 스크류의 정역회전에 연동되면서 상기 포스트를 따라 슬라이딩 승강되는 능동 승강판과,
상기 능동 승강판에 고정됨과 동시에 상기 블로금형의 상단에 놓여지면서 상기 집게금형을 받쳐주는 능동 집게아암과,
상기 고정 스크류를 따라 승강되면서 상기 에어주입기를 상기 능동 집게아암 위로 위치시키면서 공기를 상기 예비용기 속으로 주입 및 차단토록 하는 에어 스위칭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유리용기를 신속 간편하게 생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불량률을 현저히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양질의 유리용기를 대량 생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유리용기의 크고 작음에 따라, 즉 높낮이에 따라 블로금형의 높이가 다를 수 있는 점을 고려하여 능동 승강판 및 에어 스위칭모듈의 높이를 작업환경에 따라 신속 정확하게 변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어퍼 플레이트에 의해 포스트와 더불어 고정 스크류의 상단을 고정시켜 작업 중 흔들리지 않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능동 승강판이 회전 스크류에 연동되면서 승강되도록 하여 신속한 높낮이 조절을 가능케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에어 스위칭모듈의 높낮이를 특별히 가변시키지 않더라도 자체의 탄성적인 움직임으로 거리 오차를 극복케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블로금형의 위치 또는 블로금형의 크기에 따라 블로금형의 상단에 이르는 능동 가변아암의 거리차를 능동적으로 맞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수동 수평핸들의 누름 및 해제에 따라 압출스프링이 탄성적으로 연동되면서 수동 수직핸들에 고정된 에어주입기로 하여금 실린더를 따라 승강되도록 하여 능동 집게아암에 맞닿은 상태에서 공기를 주입케 한 후 다시 복원되면서 차단케 하는 반복운동으로 실현토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고정 스크류에 정역회전되면서 수동 승강브래킷을 잡아주는 어퍼 너트를 더 포함하여 에어 스위칭모듈의 탄성적인 동작으로 수동 승강브래킷의 흔들리는 현상을 철저히 방지토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측면 화력라인에 의한 좌측 블로금형 및 우측 블로금형의 지속적인 축열로서 예비용기가 유리용기로 완성될 때 열손실을 보상하여 더욱 빠르고 불량없이 제품을 제작케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에어주입기를 통한 공기의 주입량이 많더라도 퇴로구멍을 통한 배출로서 유리용기를 완성시키는 데 불량을 철저하게 봉쇄토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제어핸들의 미세한 조절로서 샤프트가 정역회전하면 수직기어에 맞물린 수평기어가 정역회전되면서 회전 스크류를 동작시켜 능동 승강판을 정밀하고도 신속하게 승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키홀을 통한 스토퍼 키의 조임으로 샤프트의 회전을 방지케 하여 블로금형의 높이에 맞춰진 능동 승강판의 높낮이에 대한 변동을 철저히 차단하여 결과적으로 집게금형을 받쳐주는 능동 집게아암이 블로금형의 상단에 더욱 정밀하게 위치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a는 종래 기술에 따른 단조성형으로 제조된 용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b 및 도 1c는 종래 기술에 따른 단조성형을 나타내는 공정도.
도 2a는 종래 기술에 따른 블로(Blow)성형으로 제조된 용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b 및 도 2c는 종래 기술에 따른 블로성형을 나타내는 공정도.
도 3a는 선행기술문헌에 따른 용기 제조방법에 적용된 용기의 입구측 성형물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b는 선행기술문헌에 따른 용기 제조방법에 적용된 용기의 입구측 성형물을 만들기 위한 공정도.
도 4는 선행기술문헌에 따른 용기 제조방법에 적용된 용기의 입구측 성형물에 고온의 열을 제공하고 있는 모습을 보여주는 공정도.
도 5는 선행기술문헌에 따른 용기 제조방법에 적용된 용기의 입구측 성형물을 블로금형에 넣은 상태를 보여주는 공정도.
도 6은 선행기술문헌에 따른 용기 제조방법에 적용된 용기 몸체의 예비 내형에 용융액을 추가한 모습을 보여주는 공정도.
도 7a는 선행기술문헌에 따른 용기 제조방법으로 만들어진 용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b는 선행기술문헌에 따른 용기 제조방법에 적용된 용기 몸체의 예비 내형에 공기를 주입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공정도.
도 8은 선행기술문헌에 따른 용기 제조방법에 적용된 다른 용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9a 내지 도 9f는 본 발명에 따른 유리용기 제조용 블로금형 컨트롤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유리용기 제조용 블로금형 컨트롤 장치에 적용된 힌지집게를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유리용기 제조용 블로금형 컨트롤 장치에 적용된 에어 스위칭모듈을 나타내는 요부 확대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유리용기 제조용 블로금형 컨트롤 장치에 적용된 블로금형을 나타내는 요부 확대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유리용기 제조용 블로금형 컨트롤 장치를 배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유리용기 제조용 블로금형 컨트롤 장치에 적용된 회전 제어모듈을 나타내는 요부 확대도(도 13의 A 확대도).
본 발명에 따른 유리용기 제조용 블로금형 컨트롤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하기로 하고, 그 실시예로는 다수 개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러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을 더욱 잘 이해할 수 있게 된다.
도 9a 내지 도 9f는 본 발명에 따른 유리용기 제조용 블로금형 컨트롤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리용기 제조용 블로금형 컨트롤 장치는 도 9a 내지 도 9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리용융액(U1)의 예비성형으로 마련됨과 동시에 집게금형(10)으로 파지된 예비용기(U2)를 수용하면서 에어주입기(30)로부터 공기를 받아들여 유리용기(U3)로 완성시키는 블로금형(20)을 컨트롤하기 위한 장치이다.
블로금형(Blow Mold; 20)은 유리용기(U3)의 외형을 결정짓는 내부중공을 지니면서, 이 내부중공 속으로 집게금형(10)으로 파지된 유리용융액(U1)을 수용하여 에어주입기(30)로부터 공기를 받아들여 유리용기(U3)를 완성시킬 수 있도록 하고, 집게금형(10)은 유리용기(U3)의 주둥이, 즉 유리용기(U3)상단의 외형을 결정지을 수 있도록 설계되며, 예를 들어 유리용기(U3)가 과실주를 담근 술병이라면 뚜껑이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집게금형(10)의 내측에는 나사홈(10a)이 형성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유리용기 제조용 블로금형 컨트롤 장치는 유리용기(U3)의 하단을 완성시키는 하단금형(41a)을 센터링 고정시키면서 블로금형(20)을 받쳐주는 베이스(41)를 기본으로 하면서, 베이스(41)로부터 직립된 포스트(51) 및 고정 스크류(52)를 구비하고, 포스트(51) 및 고정 스크류(52)의 상단을 서로 연결시켜 잡아주는 어퍼 플레이트(42), 그리고 베이스(41) 및 어퍼 플레이트(42) 사이에서 정역회전되는 회전 스크류(53)[바람직하게는 베이스(41) 및 어퍼 플레이트(42)에 각각 설치된 베어링에 의해 정역회전되는 회전 스크류(53)], 나아가 회전 스크류(53)를 정역회전시키는 회전 제어모듈(60)과, 회전 스크류(53)의 정역회전에 연동되면서 포스트(51)를 따라 슬라이딩 승강되는 능동 승강판(70)과, 능동 승강판(70)에 고정됨과 동시에 블로금형(20)의 상단에 놓여지면서 집게금형(10)을 받쳐주는 능동 집게아암(71)과, 더 나아가 고정 스크류(52)를 따라 승강되면서 에어주입기(30)를 능동 집게아암(71) 위로 위치시키면서 공기를 예비용기(U2) 속으로 주입 및 차단토록 하는 에어 스위칭모듈(80)을 포함한다.
하단금형(41a)은 유리용기(U3)의 하단을 결정지을 수 있도록 설계되는데, 예를 들어 유리용기(U3)가 지면에 잘 세워질 수 있도록 그 하단을 오목하게 들어갈 수 있도록 하단금형(41a)의 형상을 볼록한 형상으로 설계할 수 있다.
그리고, 회전 제어모듈(60)에 의해 회전 스크류(53)가 정역회전되면 능동 승강판(70)이 포스트(51)를 따라 슬라이딩 승강되고, 다른 한편으로 에어 스위칭모듈(80)이 고정 스크류(52)를 따라 승강될 수 있는데, 이러한 이유는 유리용기(U3)의 크고 작음에 따라, 즉 높낮이에 따라 블로금형(20)의 높이가 다를 수 있으므로, 이러한 경우를 대비하여 능동 승강판(70) 및 에어 스위칭모듈(80)의 높이를 작업환경에 따라 변화시키기 위함이며, 이때 포스트(51)는 회전 스크류(53)와 더불어 삼각지점을 이루어 능동 승강판(70)을 용이하게 승강시킬 수 있도록 한 쌍으로 직립시킬 수 있고, 고정 스크류(52)는 작업 중 흔들리지 않도록 어퍼 플레이트(42)에 의해 포스트(51)와 더불어 상단이 고정될 수 있도록 설계된다.
이때, 능동 승강판(70)이 회전 스크류(53)에 연동되어 승강되도록 하는 것은 능동 집게아암(71)이 블로금형(20)의 상단에 정밀하게 놓여지면서도 특별히 하중을 크게 받지 않기 때문이며 무엇보다도 신속한 높낮이 조절을 가능케 하기 위함이고, 다른 한편으로 에어 스위칭모듈(80)이 고정 스크류(52)에 연동되어 승강되도록 하는 것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탄성적인 하중과 더불어 블로금형(20)과의 거리 오차가 발생하더라도, 즉 높낮이를 특별히 가변시키지 않더라도 에어 스위칭모듈(80) 자체의 탄성적인 움직임으로 거리 오차를 극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능동 집게아암(71)은 도 9a 내지 도 9f에 도시된 바와 같이 능동 승강판(70)으로부터 연장되는 능동 수평아암(71a)과, 블로금형(20)의 위치에 따라 능동 수평아암(71a)에 선택적으로 볼트 고정되는 수직구멍(71b)들이 뚫려져 길이가 가변되는 능동 가변아암(71c)을 포함한다.
능동 가변아암(71c)이 능동 수평아암(71a)으로부터 길이가 가변되도록 하는 것은 블로금형(20)의 위치 또는 블로금형(20)의 크기에 따라 블로금형(20)의 상단에 이르는 거리차가 발생하는 것을 능동적으로 맞추기 위함이고, 본 발명에서 비록 길이의 가변을 한정하고 있으나 단일 제품, 즉 단일의 유리용기(U3)를 생산하기 위하여 길이의 가변이 없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으며, 나아가 수직구멍(71b)들이 역으로 능동 수평아암(71a)에 형성되어 길이의 가변을 가능케 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유리용기 제조용 블로금형 컨트롤 장치에 적용된 힌지집게를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유리용기 제조용 블로금형 컨트롤 장치에 적용된 에어 스위칭모듈을 나타내는 요부 확대도이다.
에어 스위칭모듈(80)은 도 도 9a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스크류(52)를 따라 슬라이딩 승강되는 수동 승강브래킷(81)과, 고정 스크류(52)에 정역회전되면서 수동 승강브래킷(81)을 올리거나 내려주는 언더 너트(82a)와, 수동 승강브래킷(81)으로부터 연장되어 수직홀(83a)이 뚫려진 수동 수평아암(83)과, 블로금형(20)의 위치에 맞추어 수직홀(83a)에 볼트 고정되는 장홀(84a)을 지님과 동시에 에어주입기(30)를 슬라이딩 직립시키는 실린더(85)를 지닌 수동 가변아암(84)과, 실린더(85) 위로 지지되어 에어주입기(30)에 끼워지는 압출스프링(86)과, 수동 가변아암(84)에 힌지 결합되어 상하 원호운동하는 수동 수평핸들(87)과, 에어주입기(30)의 상단에 결합됨과 동시에 수동 수평핸들(87)에 힌지 결합되되 수동 수평핸들(87)을 하측방향으로 누를 경우 압출스프링(86)의 탄성을 이겨내고 에어주입기(30)를 능동 집게아암(71) 위로 하향 위치시키면서 공기를 예비용기(U2) 속으로 주입시킨 후 수동 수평핸들(87)의 누름을 해제할 경우 압출스프링(86)의 탄성에 의해 에어주입기(30)를 상향으로 복원시켜 공기의 주입을 차단케 하는 수동 수직핸들(88)을 포함한다.
에어 스위칭모듈(80)은 에어주입기(30)로 하여금 예비용기(U2) 속으로 공기의 적당한 주입과 차단을 가능케 하여야 하는데, 이러한 에어 스위칭모듈(80)의 스위칭은 수동 수평핸들(87)의 누름 및 해제에 따라 압출스프링(86)이 탄성적으로 연동되면서 수동 수직핸들(88)에 고정된 에어주입기(30)로 하여금 실린더(85)를 따라 승강되도록 하여 능동 집게아암(71)에 맞닿은 상태에서 공기를 주입케 한 후 다시 복원되면서 차단케 하는 반복운동으로 실현토록 할 수 있다.
이때, 고정 스크류(52)에 정역회전되면서 수동 승강브래킷(81)을 잡아주는 어퍼 너트(82b)를 더 포함하여 에어 스위칭모듈(80)의 탄성적인 동작으로 수동 승강브래킷(81)의 흔들리는 현상을 철저히 방지토록 한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유리용기 제조용 블로금형 컨트롤 장치에 적용된 블로금형을 나타내는 요부 확대도이다.
블로금형(20)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축(23)에 의해 이등분 회동되면서 하단금형(41a)을 중심으로 합체되거나 분리되는 좌측 블로금형(21) 및 우측 블로금형(22)과, 좌측 블로금형(21) 및 우측 블로금형(22)에 고온의 열을 가해주는 측면 화력라인(26)을 포함한다.
좌측 블로금형(21) 및 우측 블로금형(22)이 힌지축(23)을 중심으로 이등분 회동되어 집게금형(10)으로 파지된 예비용기(U2)의 진입 나아가 유리용기(U3)의 이탈을 용이하게 실현시킬 수 있도록 하고, 특히 측면 화력라인(26)에 의한 좌측 블로금형(21) 및 우측 블로금형(22)의 지속적인 축열로서 예비용기(U2)가 유리용기(U3)로 완성될 때 열손실을 보상하여 더욱 빠르고 불량없이 제품을 제작케 한다.
이때, 블로금형(20)은 에어주입기(30)의 공기가 주입되어 예비용기(U2)를 유리용기(U3)로 완성시킨 후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하는 퇴로구멍(25)을 구비하여, 에어주입기(30)를 통한 공기의 주입량이 많더라도 퇴로구멍(25)을 통한 배출로서 유리용기(U3)를 완성시키는 데 불량을 철저하게 봉쇄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유리용기 제조용 블로금형 컨트롤 장치를 배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유리용기 제조용 블로금형 컨트롤 장치에 적용된 회전 제어모듈을 나타내는 요부 확대도(도 13의 A 확대도)이다.
회전 제어모듈(60)은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스크류(53)의 하부에 고정된 수평기어(61)와, 수평기어(61)에 맞물리는 수직기어(62)와, 수직기어(62)에 축결합되는 샤프트(63)와, 베이스(41)에 고정되어 샤프트(63)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서포터(64)와, 샤프트(63)를 회전시키는 제어핸들(65)을 포함한다.
제어핸들(65)의 미세한 조절로서 샤프트(63)가 정역회전하면 수직기어(62)에 맞물린 수평기어(61)가 정역회전되면서 회전 스크류(53)를 동작시켜 능동 승강판(70)을 정밀하고도 신속하게 승강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 회전 제어모듈(60)은 베이스(41)에 고정되어 샤프트(63)를 받아들이면서 키홀(66a)이 뚫려진 스토퍼 링(66)과, 스토퍼 링(66)의 키홀(66a)에 끼워지면서 조일 경우 샤프트(63)의 회전을 방지케 하는 스토퍼 키(67)를 더 포함한다.
키홀(66a)을 통한 스토퍼 키(67)의 조임으로 샤프트(63)의 회전을 방지케 하여 블로금형(20)의 높이에 맞춰진 능동 승강판(70)의 높낮이에 대한 변동을 철저히 차단하여 결과적으로 집게금형(10)을 받쳐주는 능동 집게아암(71)이 블로금형(20)의 상단에 더욱 정밀하게 위치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리용기 제조용 블로금형 컨트롤 장치의 동작설명을 간단히 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용광로로부터 유리용융액(U1)을 인출한 후 집게금형(10)과 미 도시된 예비금형으로 예비용기(U2)를 마련한 후 집게금형(10)을 상하로 움직이면서 예비용기(U2)를 공기 속에서 예비 경화시킨 후 힌지축(23)을 중심으로 벌려진 블로금형(20) 속으로 진입시켜 좌측 블로금형(21) 및 우측 블로금형(22)을 합체시킨다.
블로금형(20)은 유리용기(U3)의 하단을 완성시키는 하단금형(41a)을 중심에 두고 좌측 블로금형(21) 및 우측 블로금형(22)의 합체로서 예비용기(U2)를 수용하게 되고, 집게금형(10)은 블로금형(20)의 상단에 놓여진 능동 집게아암(71)에 의해 받쳐지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에어 스위칭모듈(80)에 의해 에어주입기(30)가 집게금형(10)의 중앙으로 공기를 주입시켜 예비용기(U2)로 하여금 블로금형(20) 속에서 팽창되도록 하여 블로금형(20)의 내부중공과 일치되는 외형을 갖는 유리용기(U3)를 완성시키고, 이어서 에어 스위칭모듈(80)의 탄성적 복원에 따라 에어주입기(30)의 공기 주입을 차단한 상태에서 집게금형(10)을 역회전시켜 분리한 후 좌측 블로금형(21) 및 우측 블로금형(22)을 벌림과 동시에 힌지집게(90)로 유리용기(U3)를 파지하여 블로금형(20)으로부터 이탈시킨다.
이때, 힌지집게(90)로 파지된 유리용기(U3)는 미 도시된 소성로로 옮겨 최종 소성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유리용기 제조용 블로금형 컨트롤 장치는 블로금형(20)을 비롯한 주변 구성요소를 베이스(41) 위에 복수 개로 설치하여 작업효율 및 생산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음료나 술을 담글 수 있는 유리병을 양산하는 산업분야에 이용될 수 있다.
도 1a 내지 도 1c에 관련한 도면 부호
A : 용융액 1 : 용기
1a : 용기의 내형 1b : 용기의 외형
2 : 하부금형 2a : 내부홈
3 : 상부금형 3a : 돌출부
도 2a 내지 도 2c에 관련한 도면 부호
B : 용융액 B1 : 중공
5 : 용기 5a : 용기의 내형
5b : 용기의 외형 6 : 블로금형
6a : 내부홈 7 : 공기
도 3 내지 도 8에 관련한 도면 부호
L : 용융액 10 : 용기
10a : 용기의 입구측 성형물 11 : 용기의 입구
11a : 용기 입구의 실제 내형 11b : 용기 입구의 실제 외형
12 : 용기의 몸체 12a : 용기 몸체의 예비 내형
12b : 용기 몸체의 예비 외형 12c : 용기 몸체의 실제 내형
12d : 용기 몸체의 실제 외형 13 : 손잡이
20 : 하부금형 30 : 상부금형
40 : 집게금형 41 : 힌지
50 : 블로금형 60 : 에어 주입기
61 : 공기 F : 고온의 열
본 발명에 관련한 도면 부호
U1 : 유리용융액 U2 : 예비용기
U3 : 유리용기 10 : 집게금형
10a : 나사홈 20 : 블로금형
21 : 좌측 블로금형 22 : 우측 블로금형
23 : 힌지축 25 : 퇴로구멍
26 : 측면 화력라인 30 : 에어주입기
41 : 베이스 41a : 하단금형
42 : 어퍼 플레이트 51 : 포스트
52 : 고정 스크류 53 : 회전 스크류
60 : 회전 제어모듈 61 : 수평기어
62 : 수직기어 63 : 샤프트
64 : 서포터 65 : 제어핸들
66 : 스토퍼 링 66a : 키홀
67 : 스토퍼 키 70 : 능동 승강판
71 : 능동 집게아암 71a : 능동 수평아암
71b : 수직구멍 71c : 능동 가변아암
80 : 에어 스위칭모듈 81 : 수동 승강브래킷
82a : 언더 너트 82b : 어퍼 너트
83 : 수동 수평아암 83a : 수직홀
84 : 수동 가변아암 84a : 장홀
85 : 실린더 86 : 압출스프링
87 : 수동 수평핸들 88 : 수동 수직핸들
90 : 힌지집게

Claims (8)

  1. 삭제
  2. 유리용융액(U1)의 예비성형으로 마련됨과 동시에 집게금형(10)으로 파지된 예비용기(U2)를 수용하면서 에어주입기(30)로부터 공기를 받아들여 유리용기(U3)로 완성시키는 블로금형(20)을 포함하는 유리용기 제조용 블로금형 컨트롤 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리용기(U3)의 하단을 완성시키는 하단금형(41a)을 센터링 고정시키면서 상기 블로금형(20)을 받쳐주는 베이스(41)와, 상기 베이스(41)로부터 직립된 포스트(51) 및 고정 스크류(52)와, 상기 포스트(51) 및 고정 스크류(52)의 상단을 서로 연결시켜 잡아주는 어퍼 플레이트(42)와, 상기 베이스(41) 및 어퍼 플레이트(42) 사이에서 정역회전되는 회전 스크류(53)와, 상기 회전 스크류(53)를 정역회전시키는 회전 제어모듈(60)과, 상기 회전 스크류(53)의 정역회전에 연동되면서 상기 포스트(51)를 따라 슬라이딩 승강되는 능동 승강판(70)과, 상기 능동 승강판(70)에 고정됨과 동시에 상기 블로금형(20)의 상단에 놓여지면서 상기 집게금형(10)을 받쳐주는 능동 집게아암(71)과, 상기 고정 스크류(52)를 따라 승강되면서 상기 에어주입기(30)를 상기 능동 집게아암(71) 위로 위치시키면서 공기를 상기 예비용기(U2) 속으로 주입 및 차단토록 하는 에어 스위칭모듈(80)을 포함하고,
    상기 능동 집게아암(71)은
    상기 능동 승강판(70)으로부터 연장되는 능동 수평아암(71a)과,
    상기 블로금형(20)의 위치에 따라 상기 능동 수평아암(71a)에 선택적으로 볼트 고정되는 수직구멍(71b)들이 뚫려져 길이가 가변되는 능동 가변아암(71c)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용기 제조용 블로금형 컨트롤 장치.
  3. 유리용융액(U1)의 예비성형으로 마련됨과 동시에 집게금형(10)으로 파지된 예비용기(U2)를 수용하면서 에어주입기(30)로부터 공기를 받아들여 유리용기(U3)로 완성시키는 블로금형(20)을 포함하는 유리용기 제조용 블로금형 컨트롤 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리용기(U3)의 하단을 완성시키는 하단금형(41a)을 센터링 고정시키면서 상기 블로금형(20)을 받쳐주는 베이스(41)와, 상기 베이스(41)로부터 직립된 포스트(51) 및 고정 스크류(52)와, 상기 포스트(51) 및 고정 스크류(52)의 상단을 서로 연결시켜 잡아주는 어퍼 플레이트(42)와, 상기 베이스(41) 및 어퍼 플레이트(42) 사이에서 정역회전되는 회전 스크류(53)와, 상기 회전 스크류(53)를 정역회전시키는 회전 제어모듈(60)과, 상기 회전 스크류(53)의 정역회전에 연동되면서 상기 포스트(51)를 따라 슬라이딩 승강되는 능동 승강판(70)과, 상기 능동 승강판(70)에 고정됨과 동시에 상기 블로금형(20)의 상단에 놓여지면서 상기 집게금형(10)을 받쳐주는 능동 집게아암(71)과, 상기 고정 스크류(52)를 따라 승강되면서 상기 에어주입기(30)를 상기 능동 집게아암(71) 위로 위치시키면서 공기를 상기 예비용기(U2) 속으로 주입 및 차단토록 하는 에어 스위칭모듈(80)을 포함하고,
    상기 에어 스위칭모듈(80)은
    상기 고정 스크류(52)를 따라 슬라이딩 승강되는 수동 승강브래킷(81)과,
    상기 고정 스크류(52)에 정역회전되면서 상기 수동 승강브래킷(81)을 올리거나 내려주는 언더 너트(82a)와,
    상기 수동 승강브래킷(81)으로부터 연장되어 수직홀(83a)이 뚫려진 수동 수평아암(83)과,
    상기 블로금형(20)의 위치에 맞추어 상기 수직홀(83a)에 볼트 고정되는 장홀(84a)을 지님과 동시에 상기 에어주입기(30)를 슬라이딩 직립시키는 실린더(85)를 지닌 수동 가변아암(84)과,
    상기 실린더(85) 위로 지지되어 상기 에어주입기(30)에 끼워지는 압출스프링(86)과,
    상기 수동 가변아암(84)에 힌지 결합되어 상하 원호운동하는 수동 수평핸들(87)과,
    상기 에어주입기(30)의 상단에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수동 수평핸들(87)에 힌지 결합되되 상기 수동 수평핸들(87)을 하측방향으로 누를 경우 상기 압출스프링(86)의 탄성을 이겨내고 상기 에어주입기(30)를 상기 능동 집게아암(71) 위로 하향 위치시키면서 공기를 상기 예비용기(U2) 속으로 주입시킨 후 상기 수동 수평핸들(87)의 누름을 해제할 경우 상기 압출스프링(86)의 탄성에 의해 상기 에어주입기(30)를 상향으로 복원시켜 공기의 주입을 차단케 하는 수동 수직핸들(8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용기 제조용 블로금형 컨트롤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스크류(52)에 정역회전되면서 상기 수동 승강브래킷(81)을 잡아주는 어퍼 너트(82b)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용기 제조용 블로금형 컨트롤 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로금형(20)은
    힌지축(23)에 의해 이등분 회동되면서 상기 하단금형(41a)을 중심으로 합체되거나 분리되는 좌측 블로금형(21) 및 우측 블로금형(22)과,
    상기 좌측 블로금형(21) 및 우측 블로금형(22)에 고온의 열을 가해주는 측면 화력라인(2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용기 제조용 블로금형 컨트롤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로금형(20)은 상기 에어주입기(30)의 공기가 주입되어 상기 예비용기(U2)를 상기 유리용기(U3)로 완성시킨 후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하는 퇴로구멍(25)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용기 제조용 블로금형 컨트롤 장치.
  7. 제 2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제어모듈(60)은
    상기 회전 스크류(53)의 하부에 고정된 수평기어(61)와,
    상기 수평기어(61)에 맞물리는 수직기어(62)와,
    상기 수직기어(62)에 축결합되는 샤프트(63)와,
    상기 베이스(41)에 고정되어 상기 샤프트(63)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서포터(64)와,
    상기 샤프트(63)를 회전시키는 제어핸들(6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용기 제조용 블로금형 컨트롤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제어모듈(60)은
    상기 베이스(41)에 고정되어 상기 샤프트(63)를 받아들이면서 키홀(66a)이 뚫려진 스토퍼 링(66)과,
    상기 스토퍼 링(66)의 키홀(66a)에 끼워지면서 조일 경우 상기 샤프트(63)의 회전을 방지케 하는 스토퍼 키(67)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용기 제조용 블로금형 컨트롤 장치.
KR1020140162978A 2014-11-20 2014-11-20 유리용기 제조용 블로금형 컨트롤 장치 KR1016583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2978A KR101658385B1 (ko) 2014-11-20 2014-11-20 유리용기 제조용 블로금형 컨트롤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2978A KR101658385B1 (ko) 2014-11-20 2014-11-20 유리용기 제조용 블로금형 컨트롤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0517A KR20160060517A (ko) 2016-05-30
KR101658385B1 true KR101658385B1 (ko) 2016-09-21

Family

ID=570806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2978A KR101658385B1 (ko) 2014-11-20 2014-11-20 유리용기 제조용 블로금형 컨트롤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838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8572B1 (ko) * 2020-04-03 2021-05-04 한종필 유리보울 제조장치
KR102479182B1 (ko) * 2022-03-23 2022-12-20 신병천 가스 저장용기 제조장치
CN114940577B (zh) * 2022-04-29 2024-01-16 重庆健力玻璃制品有限公司 一种玻璃容器高效生产工艺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48730A (ja) * 2001-08-06 2003-02-21 Koa Glass Kk ガラス容器の製造方法およびガラス容器の製造装置
JP2005047750A (ja) * 2003-07-29 2005-02-24 Olympus Corp ガラスセル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95497B2 (ja) * 1997-12-26 2005-09-14 日本プラスト株式会社 加飾中空体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KR20020014394A (ko) 2000-08-17 2002-02-25 한상관 흙을 가공하여 이용하는 방법
CN1874966A (zh) * 2003-11-14 2006-12-06 日本山村硝子株式会社 瓶成形模的温度调节方法及其使用的瓶成形模
KR20130029963A (ko) 2011-09-16 2013-03-2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충격 센서를 이용한 tpms 센서 송신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48730A (ja) * 2001-08-06 2003-02-21 Koa Glass Kk ガラス容器の製造方法およびガラス容器の製造装置
JP2005047750A (ja) * 2003-07-29 2005-02-24 Olympus Corp ガラスセル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0517A (ko) 2016-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143897A1 (en) Method for producing resin vessel made of resin, mould unit and moulding apparatus
CN109501208B (zh) 吹塑机
KR101658385B1 (ko) 유리용기 제조용 블로금형 컨트롤 장치
WO2017002150A1 (ja) 射出延伸ブロー成形機による容器の成形方法
JP2016199053A (ja) 樹脂製容器のブロー成形方法
JP5798444B2 (ja) ブロー型ユニット、ブロー成形機及びブロー型ユニットの交換方法
US9969118B2 (en) Method for producing containers, comprising a delayed boxing operation
JP6796592B2 (ja) 金型、ブロー成形装置、およびブロー成形方法
JP2021000840A (ja) 樹脂製容器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US3784348A (en) Injection blow-molding apparatus
JP6770666B1 (ja) 樹脂製容器の製造装置および製造方法
JPS62216722A (ja) 分子配向可能なプラスチツク材料からなる中空の容器を成形する方法及び装置
CN214294410U (zh) 一种具有剪浇口机构的瓶坯调温预吹成型装置
CN114933408A (zh) 一种玻璃瓶瓶底凸点加工设备及加工工艺
CN110014535B (zh) 用于成型机的快速换模装置
EP3453515B2 (fr) Dispositif et procédé de soufflage
JP6200930B2 (ja) 一次成形品の二次成形方法及び二次成形装置
CN100348522C (zh) 可定位硝材、承托镜片的玻璃模造成形装置
JP2003320576A (ja) 延伸ブロー成形ユニット及び射出延伸ブロー成形機
CN216544696U (zh) 吹塑容器的矫形装置
FR2464135A1 (fr) Procede d'injection-etirage et moulage par soufflage
CN116395940B (zh) 一种玻璃酒瓶吹制设备及其吹制方法
KR20140115189A (ko) 유리용기 제조방법
CN117125881B (zh) 化妆品玻璃瓶加工用全自动多工位制瓶机
EP1196273B1 (en) Injection molding method and apparatus with improved clamping un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