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5687B1 - 차량용 자전거 캐리어 - Google Patents

차량용 자전거 캐리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5687B1
KR101655687B1 KR1020150089594A KR20150089594A KR101655687B1 KR 101655687 B1 KR101655687 B1 KR 101655687B1 KR 1020150089594 A KR1020150089594 A KR 1020150089594A KR 20150089594 A KR20150089594 A KR 20150089594A KR 101655687 B1 KR101655687 B1 KR 1016556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ont wheel
support frame
rear wheel
pai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95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병철
Original Assignee
박병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철 filed Critical 박병철
Priority to KR10201500895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56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56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56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6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for carrying vehicles
    • B60P3/07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for carrying vehicles for carrying roa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6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for carrying vehicles
    • B60P3/07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for carrying vehicles for carrying road vehicles
    • B60P3/073Vehicle retainers
    • B60P3/075Vehicle retainers for wheels, hubs, or axle shafts
    • B60P3/077Wheel cradles, chocks, or we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9/00Supplementary fittings on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e.g. luggage, sports gear or the like
    • B60R9/08Supplementary fittings on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e.g. luggage, sports gear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sports gear
    • B60R9/10Supplementary fittings on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e.g. luggage, sports gear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sports gear for cy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HCYCLE STANDS;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Z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DEVICES FOR LEARNING TO RIDE CYCLES
    • B62H3/00Separate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 B62H3/08Separate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involving recesses or channelled rails for embracing the bottom part of a whe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ransportation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자전거 캐리어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트럭이나 화물차의 적재함에 장착하기 쉽고, 화물차에의 고정이 용이하며, 많은 대수의 자전거 탑재가 가능하며, 탑재된 자전거들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된 차량용 자전거 캐리어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차량의 적재함 바닥면에 놓여지며 적재함의 전·후에 한 쌍이 마주하도록 마련되는 받침다리; 상기 한 쌍의 받침다리 상단에 결합하는 전륜지지프레임; 상기 전륜지지프레임을 중심으로 양측에 위치하며 상기 한 쌍의 받침다리의 하방측에 결합하는 제1측 후륜지지프레임과 제2측 후륜지지프레임; 상기 전륜지지프레임에 결합하며 전륜지지프레임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하도록 다수 개가 배치되는 전륜가이드; 상기 제1측 후륜지지프레임에 결합하며 제1측 후륜지지프레임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하도록 다수 개가 배치되는 제1측 후륜가이드; 상기 제2측 후륜지지프레임에 결합하며 제2측 후륜지지프레임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하도록 다수 개가 배치되는 제2측 후륜가이드; 상기 각 받침다리의 양측단에 한 쌍으로 마련되는 적재함 고리용 자동바 결속구; 및 상기 각 받침다리 상에 마련되는 한 쌍의 적재함 고리용 자동바 결속구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받침다리 상에 좌·우 한 쌍으로 마련되는 자전거 프레임 고정용 자동바 결속구;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전륜가이드와 후륜가이드는 각각 전륜지지프레임과 후륜지지프레임의 종축 방향에 대하여 일정한 예각을 이루도록 사선 방향으로 결합하며, 상기 다수 개의 전륜가이드는 인접하여 위치하는 전륜가이드의 앞뒤가 서로 반대 방향에 위치하도록 엇갈리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자전거 캐리어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차량용 자전거 캐리어{A Bicycle Carrier for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용 자전거 캐리어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트럭이나 화물차의 적재함에 장착하기 쉽고, 화물차에의 고정이 용이하며, 많은 대수의 자전거 탑재가 가능하며, 탑재된 자전거들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된 차량용 자전거 캐리어에 관한 것이다.
최근 자전거 열풍이 불면서 경제성, 건강증진, 친목도모 및 여행 등의 목적 수단으로 자전거가 많이 활용되고 있다. 특히 엠티비 산악용 자전거나 로드 싸이클의 경우 다수의 사람들이 동호회를 형성하여 단체로 원정 라이딩을 즐기는 것이 유행하고 있다. 동호회의 회원들이 원정 라이딩을 가고자 하는 경우 목적지까지 기차나 버스를 이용할 수 있으나 자전거를 싣고 가기가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가 있어 최근에는 자신의 승용차에 자전거 캐리어를 장착하여 한 두 대의 자전거를 운송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허등록 제10-0799750호, 특허등록 제10-0871971호, 공개특허 제10-2015-0019127호들에서는 이러한 승용차용 자전거 캐리어의 몇 가지 예시를 보이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승용차용 탈 부착형 자전거 캐리어의 경우 많은 대수의 자전거를 싣지 못한다는 점과, 고속 주행하는 자동차에서 간혹 자전거가 이탈하는 사고를 동반한다는 점에서 안전성에 문제가 있었다.
또한 원정 라이딩 목적지까지 각자가 자신의 승용차에 자전거를 싣고 이동해야하므로 이동하는 차량의 대수가 많고 경비가 많이 들어 비경제적이라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비교적 화물을 많이 실어 나를 수 있도록 적재함을 갖춘 트럭이나 화물차에 많은 자전거를 안전하게 탑재할 수 있도록 하는 화물차 전용 자전거 캐리어의 개발이 필요하게 되었다.
특허등록 제10-0799750호 "차량용 자전거 캐리어" 특허등록 제10-0871971호 "차량용 자전거 캐리어" 공개특허 제10-2015-0019127호 "차량용 자전거 캐리어"
본 발명의 목적은 트럭이나 화물차와 같은 차량의 적재함에 손쉽게 장착이나 탈착이 가능하고 화물차에의 고정이 편리하며, 한 번에 많은 대수의 자전거들을 기스나 손상 없이 안정적으로 목적지까지 운반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자전거 캐리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의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최하방의 기저부(110a), 상기 기저부의 중앙부에서 상부로 수직하게 돌출하는 중앙 수직부(110b), 상기 중앙 수직부를 중심으로 상기 기저부의 양 측단에 수직하게 마련되는 한 쌍의 측방 수직부(110c,110d), 상기 한 쌍의 측방 수직부에 각각 형성되는 적재함 고리용 자동바 결속구(111,112) 및 상기 중앙 수직부를 중심으로 상기 중앙 수직부의 양측 기저부 상에 형성되는 한 쌍의 자전거 프레임 고정용 자동바 결속구(113,114)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차량의 적재함 바닥면에 놓여지며 적재함의 전·후에 한 쌍이 마주하도록 마련되는 받침다리; 상기 한 쌍의 받침다리를 연결하도록 상기 중앙 수직부 상단에 결합하며, 서로 이격하여 한 쌍을 이루는 전륜지지 제1프레임(141)과 전륜지지 제2프레임(142)으로 이루어지는 전륜지지프레임; 상기 한 쌍의 받침다리를 연결하도록 상기 중앙 수직부 일측의 기저부 상에 결합하며, 서로 이격하여 한 쌍을 이루는 제1측 후륜지지 제1프레임(121)과 제1측 후륜지지 제2프레임(122)으로 이루어지는 제1측 후륜 지지 프레임; 상기 한 쌍의 받침다리를 연결하도록 상기 중앙 수직부 타측의 기저부 상에 결합하며, 서로 이격하여 한 쌍을 이루는 제2측 후륜지지 제1프레임(131)과 제2측 후륜지지 제2프레임(132)으로 이루어지는 제2측 후륜지지 프레임; 상기 전륜지지프레임의 상부에 결합하며 전륜지지프레임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하도록 다수 개가 배치되는 전륜가이드(170); 상기 제1측 후륜지지프레임의 상부에 결합하며 제1측 후륜지지프레임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하도록 다수 개가 배치되는 제1측 후륜가이드(150); 및 상기 제2측 후륜지지프레임의 상부에 결합하며 제2측 후륜지지프레임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하도록 다수 개가 배치되는 제2측 후륜가이드(16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전륜가이드와 후륜가이드는 각각 전륜지지프레임과 후륜지지프레임의 종축 방향에 대하여 일정한 예각을 이루도록 사선 방향으로 결합하며, 상기 다수 개의 전륜가이드는 인접하여 위치하는 전륜가이드와 앞뒤가 서로 반대 방향에 위치하도록 엇갈리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자전거 캐리어를 제안한다.
삭제
본 발명에 의하면 화물차나 트럭의 적재함에 많은 대수의 자전거들을 간편하게 싣고 단거리 및 장거리를 이동할 수 있어 각자가 자신의 승용차 등에 한 두 대의 자전거를 직접 싣고 이동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비용 경제적이며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승용차 등의 지붕이나 후미에 한 두 대의 자전거를 싣고 이동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차량의 주행 안정성이 뛰어나며 주행 중 자전거의 이탈이나 낙하로 인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최근 자전거 동호회 회원들의 다수가 적게는 수 백만원에서 많게는 수 천만원짜리 수입 자전거를 애용하는 현실을 고려할 때 다수의 자전거들을 한꺼번에 수송하면서도 차량의 주행중 흔들림으로 인하여 인접한 자전거들끼리 서로 부딪히거나 함으로써 고가의 자전거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사시도.
도2는 도1의 정면도.
도3은 도1의 측면도.
도4는 도1의 평면도.
도5 및 도6은 각각 본 발명의 전륜가이드와 후륜가이드의 사시도.
도7은 본 발명에 자전거를 탑재한 상태의 사시도.
도8은 도7의 평면도.
도9는 자전거가 탑재된 본 발명을 화물차에 적재한 상태의 외관 사시도.
도10은 자전거의 전륜과 후륜을 결속한 모습을 보인 자전거 탑재 정면도.
도11은 자동바를 이용하여 자전거 프레임을 고정한 모습을 보인 탑재 측면도.
도12는 도11의 평단면도.
도13은 일반적인 자동바의 개략적인 외관 구성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관한 상세한 설명의 개시에 앞서 본 발명을 보다 명료하게 기술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방향을 정의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도2를 기준으로 우측을 전방, 좌측을 후방으로 정의하며, 도3을 기준으로 좌측을 좌측, 우측을 우측으로 정의한다. 특별한 경우 이와 달리 방향을 정의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별도로 언급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관하여 실시예를 중심으로 상술한다.
도1 내지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차량용 자전거 캐리어(100)는 크게 전체 구조물을 지탱하는 한 쌍의 받침다리(110), 전후 방향으로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상기 받침다리(110)의 상단부에 결합하는 전륜지지프레임(141,142), 상기 전륜지지프레임(141,142)을 기준으로 좌우 양측에 위치하며 상기 한 쌍의 받침다리(110)의 하방측에 결합하는 제1측 후륜지지프레임(121,122)과 제2측 후륜지지프레임(131,132), 상기 전륜지지프레임(141,142) 상에 그 길이 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하도록 다수 개가 배치되는 전륜가이드(170,180) 및 상기 제1측 후륜지지프레임(121,122)과 제2측 후륜지지프레임(131,132) 상에 그 길이 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하도록 다수 개가 각각 배치되는 후륜가이드(150,160)로 이루어진다.
상기 받침다리(110)는 크게 화물차(도9의 300)의 적재함(도9의 310) 바닥면에 놓여지는 것으로서 크게 기저부(110a), 상기 기저부(110a)의 중앙부에서 상부로 수직하게 돌출하는 중앙 수직부(110b) 및 상기 기저부(110a)의 양 측단에 수직하게 마련되는 측방 수직부(110c,110d)로 이루어진다.
상기 측방 수직부(110c, 110d)의 상단부에는 도시한 바와 같이 고리 형상의 적재함 고리용 자동바 결속구(111,112)가 형성되며, 여기에 후술할 자동바(도13의 250)의 후크부(252a,253a) 중 하나를 걸고 다른 하나의 후크부를 적재함(도9의 310)의 적재함 고리(311)에 걸어 차량용 자전거 캐리어(100)를 고정하게 된다.
상기 기저부(110a)에는 중앙 수직부(110b)를 중심으로 좌우 양측에 한 개씩의 자전거 프레임 고정용 자동바 결속구(113,114)가 형성되며, 자전거 프레임 고정용 자동바 결속구(113,114)는 고리 형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한 쌍의 받침다리(110)는 적재함(310)의 전후 방향으로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는데, 각 중앙 수직부(110b)의 상단에는 다수 개의 전륜가이드(170,180)를 결합하기 위한 전륜지지프레임(141,142)이 볼트와 같은 체결 수단 또는 용접에 의하여 결합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륜지지프레임은 전륜지지 제1프레임(141)과 전륜지지 제2프레임(142)이 서로 일정 간격 이격하여 한 쌍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상기 받침다리(110)의 중앙 수직부(110b)의 상단부와 결합한다.
상기 전륜지지 제1프레임(141)과 전륜지지 제2프레임(142) 상에는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은 전륜가이드(170,180)가 다수 개 결합한다.
상기 전륜가이드(170,180)는 볼트 체결공(171a)을 가지는 앞쪽 브라켓(171), 다른 볼트 체결공(172a)을 가지는 뒤쪽 브라켓(172), 상기 앞쪽 브라켓(171)에서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세로부(174) 및 상기 세로부(174)와 상기 뒤쪽 브라켓(172)을 연결하는 바퀴지지부(173)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다수 개의 전륜가이드(170,180)는 인접하여 위치하는 전륜가이드의 앞뒤가 서로 반대 방향에 위치하도록 엇갈리게 상기 전륜지지프레임(141,142) 상에 배치된다.
즉,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측 전륜가이드(170)는 앞쪽 브라켓(171)이 전륜지지 제1프레임(141) 상에 위치하고, 뒤쪽 브라켓(172)이 전륜지지 제2프레임(142) 상에 위치하도록 결합한다. 한편 상기 제1측 전륜가이드(170)에 인접하는 제2측 전륜가이드(180)는 앞쪽 브라켓이 전륜지지 제2프레임(142) 상에 위치하고 뒤쪽 브라켓이 전륜지지 제1프레임(141) 상에 위치하도록 결합하는 것이다.
이렇게 하면 전륜지지프레임(141,142) 상에 일렬 배치되는 다수 개의 전륜가이드(170,180)들의 결합 방향이 서로 순서대로 번갈아 엇갈리게 배치된다.
따라서 제1측 전륜가이드(170)는 도3을 기준으로 우측에 위치하는 제2측 후륜가이드(160)와 대응하여 짝을 이루고, 제2측 전륜가이드(180)는 좌측에 위치하는 제1측 후륜가이드(150)와 짝을 이루게 된다. 짝을 이루는 한 개씩의 전륜가이드와 후륜가이드의 조합에 한 대의 자전거가 거치된다.
상기 중앙 수직부(110b)를 기준으로 좌측 하방에는 제1측 후륜지지프레임(121,122)이 결합하고, 우측 하방에는 제2측 후륜지지프레임(131,132)이 결합한다. 제1측 후륜지지프레임은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측 후륜지지 제1프레임(121)과 제1측 후륜지지 제2프레임(122)로 이루어지고, 제2측 후륜지지프레임은 제2측 후륜지지 제1프레임(131)과 제2측 후륜지지 제2프레임(13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측 후륜지지프레임(121,122) 상에는 그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 개의 제1측 후륜가이드(150)가 일정 간격 이격하여 배치되며, 상기 제2측 후륜지지프레임(131,132) 상에는 그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 개의 제2측 후륜가이드(160)가 일정 간격 이격하여 배치된다.
상기 후륜가이드(150,160)는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볼트 체결공(151a)이 형성되는 앞쪽 브라켓(151), 볼트 체결공(152a)이 형성되는 뒤쪽 브라켓(152) 및 상기 앞쪽 브라켓(151)과 뒤쪽 브라켓(152)을 연결하는 바퀴지지부(153)로 이루어진다.
도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1측 전륜가이드(170)가 전륜지지 제2프레임(142)과 이루는 각(θ1), 제2측 전륜가이드(180)가 전륜지지 제1프레임(141)과 이루는 각(θ2), 제1측 후륜가이드(150)가 제1측 후륜지지 제2프레임(122)과 이루는 각(θ3) 및 제2측 후륜가이드(160)가 제2측 후륜지지 제2프레임(132)과 이루는 각(θ4)는 모두 예각이며 30~45도의 각도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전륜가이드(170,180)와 후륜가이드(150,160)들을 각각 전륜지지 프레임(141,142)과 후륜지지프레임(121,122,131,132)에 대하여 사선을 이루도록 비스듬하게 배치하는 것이다.
이렇게 하는 이유는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 개의 자전거들(201~207, 211~217)들을 각각 전륜가이드(170,180)와 후륜가이드(150,160) 상에 순서대로 일열로 거치하는 경우에도 각 자전거들의 핸들바아(201c~207c, 211c~217c)들이 서로 간섭하지 않게 되기 때문이다.
상기 전륜가이드(170,180)의 앞쪽 브라켓(171)과 뒤쪽 브라켓(172)은 상기 전륜지지프레임(141,142) 상에 볼트 체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후륜가이드(150,160)의 앞쪽 브라켓(151)과 뒤쪽 브라켓(152)은 상기 후륜지지프레임(121,122,131,132) 상에 볼트 체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륜지지 제1프레임(141)과 전륜지지 제2프레임(142) 상에는 고리 형상의 전륜 결속구(141a,142a)가 각각 다수 개 형성된다. 상기 전륜지지 제1프레임(141) 상에는 각 제1측 전륜가이드(170)에 대응하도록 전륜 결속구(141a)가 형성되며, 상기 전륜지지 제2프레임(142) 상에는 각 제2측 전륜가이드(180)에 대응하도록 전륜 결속구(142a)가 형성된다.
상기 전륜 결속구(141a,142a)는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륜가이드(170,180)와 후륜가이드(150,160)에 의하여 거치된 자전거의 전륜(211a)을 벨크로 테이프나 고무밴드와 같은 전륜 결속 스트랩(192)를 이용하여 안전하게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1측 후륜지지 제2프레임(122)과 제2측 후륜지지 제2프레임(132) 상에도 거치되는 각 자전거에 대응하는 개수의 후륜 결속구(122a,132a)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후륜 결속구(122a,132a) 역시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거치되는 자전거의 후륜(201b)을 후륜 결속 스트랩(191)을 이용하여 안전하게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차량용 자전거 캐리어(100)를 도9에 도시한 것처럼 화물차(300)의 적재함(310) 상에 위치시킨 후 전술한 바와 같이 전륜 결속구(141a,142a)와 후륜 결속구(122a,132a)를 이용하여 각 자전거의 전륜과 후륜을 결속하여 고정시킨다.
이후에는 도11 및 도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동바(250)를 이용하여 거치된 각 자전거들의 프레임(201d,211d)을 감아 나가면서 고정한다.
자동바(250)로는 도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흔히 사용되는 화물 고정용 자동바(일명 깔깔이라고도 부른다)를 적용할 수 있다. 자동바(250)는 몸체부(251a)에 라쳇기어부(251c)에 의하여 잠금 회전되도록 장착되는 회동 핸들부(251b)로 구성되는 본체(251)와, 상기 본체(251)의 양측에 형성되는 고정부(252)와 연장부(253)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부(252)의 길이는 일반적으로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연장부(253)는 라쳇기어부(251c)에 귄회되어 감기는 정도에 따라 그 길이가 신축된다. 상기 고정부(252)와 연장부(253)의 선단에는 일반적으로 화물차(300)의 적재함 고리(311)에 걸어 연결하기 위한 후크부(252a,253a)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형상을 가지는 자동바(250)의 연장부(253) 후크부(253a)를 도12의 하단측에 위치하는 자전거 프레임 고정용 자동바 결속구(113,114)에 건 상태에서 자동바(250)의 연장부(253)를 이용하여 각 자전거(201~207, 211~217)들의 프레임들을 순차적으로 한 바퀴씩 감아 나아가면서 상단측으로 전진한다. 상단측의 맨 마지막 자전거(207,217)의 프레임까지 권회하고 나면 고정부 후크부(252a)를 상단측에 위치하는 자전거 프레임 고정용 자동바 결속구(113,114)에 건 다음 회동 핸들부(251b)를 당겨 연장부(253)와 고정부(252)의 스트랩이 팽팽하게 당겨지도록 조이면 된다. 자동바(250)를 이용한 자전거 프레임의 결속 작업이 완료한 후에는 도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동바(250)가 자전거들(201~207, 211~217)의 각 프레임을 권회하면서 상하로 가로지르는 모양이 된다.
이와 같이 자전거 프레임 고정용 자동바 결속구(113,114)와 자동바(250)를 이용한 결속 작업을 차량용 자전거 캐리어(100)에 거치된 모든 자전거들(201~207, 211~217)에 대하여 동일하게 수행하면 차량용 자전거 캐리어(100) 상에 탑재된 전체의 자전거들에 대한 고정 작업이 완료하게 되고 차량의 심한 흔들림에도 자전거들이 좌우로 요동치거나 함으로써 인접한 자전거와 부딪히거나 차량용 자전거 캐리어(100)에서 이탈하는 등의 사고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상기 자동바(250)로는 긴 띠 모양의 끈이나 밧줄, 고무바, 스트랩 등을 활용할 수도 있으나, 도시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자동바를 사용하는 것이 간편하고 체결이 확실하여 바람직하다.
상기 자동바(250)는 자전거 프레임을 아래로 당기는 역할도 하게 되므로 차량의 주행 중 자전거가 상하로 요동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차량용 자전거 캐리어(100) 상에는 다수 개의 적재함 고리용 자동바 결속구(111,112)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차량용 자전거 캐리어(100)를 화물차(300)의 적재함(310)에 장착하고 각 전륜가이드(170,180)와 후륜가이드(150,160)에 자전거들(201~207, 211~217)을 탑재하여 고정시키고 난 후 각 적재함 고리용 자동바 결속구(111,112)에 자동바(250)의 연장부 후크부(253a)를 걸고 고정부 후크부(252a)를 적재함 고리(311)에 걸고 회동 핸들부(251b)를 당겨 조이면 차량용 자전거 캐리어(100)의 적재함(310)에의 고정 작업이 간단하게 완료하게 된다.
이렇듯 본 발명의 차량용 자전거 캐리어(100)는 화물차에의 탑재나 하차 작업이 용이할 뿐 아니라 거치된 각 자전거가 안정적으로 고정됨으로써 주행 안정성이 높아지게 된다.
본 발명은 차량용 자전거 캐리어에 관한 것으로서 원거리 단체 라이딩을 즐기는 동호회나 많은 대수의 자전거를 운송하는 지차체나 자전거 생산, 판매, 대여 업체 등에서 활용하면 한 번에 많은 자전거를 손상 없이 안전하게 운송할 수 있게 되므로 매우 활용가치가 크다고 할 것이다.
100: 차량용 자전거 캐리어 110: 받침다리
110a: 기저부 110b: 중앙 수직부
110c,110d: 측방 수직부
111,112: 적재함 고리용 자동바 결속구
113,114: 자전거 프레임 고정용 자동바 결속구
121,122: 제1측 후륜지지프레임 122a: 후륜 결속구
131,132: 제2측 후륜지지프레임 132a: 후륜 결속구
141,142: 전륜지지프레임 141a,142a: 전륜 결속구
150,160: 후륜가이드
170,180: 전륜가이드 250: 자동바

Claims (2)

  1. 최하방의 기저부(110a), 상기 기저부의 중앙부에서 상부로 수직하게 돌출하는 중앙 수직부(110b), 상기 중앙 수직부를 중심으로 상기 기저부의 양 측단에 수직하게 마련되는 한 쌍의 측방 수직부(110c,110d), 상기 한 쌍의 측방 수직부에 각각 형성되는 적재함 고리용 자동바 결속구(111,112) 및 상기 중앙 수직부를 중심으로 상기 중앙 수직부의 양측 기저부 상에 형성되는 한 쌍의 자전거 프레임 고정용 자동바 결속구(113,114)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차량의 적재함 바닥면에 놓여지며 적재함의 전·후에 한 쌍이 마주하도록 마련되는 받침다리;
    상기 한 쌍의 받침다리를 연결하도록 상기 중앙 수직부 상단에 결합하며, 서로 이격하여 한 쌍을 이루는 전륜지지 제1프레임(141)과 전륜지지 제2프레임(142)으로 이루어지는 전륜지지프레임;
    상기 한 쌍의 받침다리를 연결하도록 상기 중앙 수직부 일측의 기저부 상에 결합하며, 서로 이격하여 한 쌍을 이루는 제1측 후륜지지 제1프레임(121)과 제1측 후륜지지 제2프레임(122)으로 이루어지는 제1측 후륜 지지 프레임;
    상기 한 쌍의 받침다리를 연결하도록 상기 중앙 수직부 타측의 기저부 상에 결합하며, 서로 이격하여 한 쌍을 이루는 제2측 후륜지지 제1프레임(131)과 제2측 후륜지지 제2프레임(132)으로 이루어지는 제2측 후륜지지 프레임;
    상기 전륜지지프레임의 상부에 결합하며 전륜지지프레임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하도록 다수 개가 배치되는 전륜가이드(170);
    상기 제1측 후륜지지프레임의 상부에 결합하며 제1측 후륜지지프레임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하도록 다수 개가 배치되는 제1측 후륜가이드(150); 및
    상기 제2측 후륜지지프레임의 상부에 결합하며 제2측 후륜지지프레임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하도록 다수 개가 배치되는 제2측 후륜가이드(16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전륜가이드와 후륜가이드는 각각 전륜지지프레임과 후륜지지프레임의 종축 방향에 대하여 일정한 예각을 이루도록 사선 방향으로 결합하며,
    상기 다수 개의 전륜가이드는 인접하여 위치하는 전륜가이드와 앞뒤가 서로 반대 방향에 위치하도록 엇갈리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자전거 캐리어.
  2. 삭제
KR1020150089594A 2015-06-24 2015-06-24 차량용 자전거 캐리어 KR1016556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9594A KR101655687B1 (ko) 2015-06-24 2015-06-24 차량용 자전거 캐리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9594A KR101655687B1 (ko) 2015-06-24 2015-06-24 차량용 자전거 캐리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5687B1 true KR101655687B1 (ko) 2016-09-07

Family

ID=569500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9594A KR101655687B1 (ko) 2015-06-24 2015-06-24 차량용 자전거 캐리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568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9901B1 (ko) * 2018-02-28 2018-06-28 이정훈 자전거 운송용 트레일러
US20210229767A1 (en) * 2018-08-01 2021-07-29 Matthew D. Jones A bike rack trailer for transporting bicycles or other cargo
WO2023070171A1 (en) * 2021-11-01 2023-05-04 Shingleback Off Road Pty Ltd Bicycle transport trail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9750B1 (ko) 2007-04-25 2008-02-01 장재홍 차량용 자전거 캐리어
KR100871971B1 (ko) 2007-10-22 2008-12-08 김영이 차량용 자전거 캐리어
US7677592B2 (en) * 2005-02-25 2010-03-16 Stephen Giesler Bicycle pod transport system
KR20150019127A (ko) 2013-08-12 2015-02-25 안경훈 차량용 자전거 캐리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77592B2 (en) * 2005-02-25 2010-03-16 Stephen Giesler Bicycle pod transport system
KR100799750B1 (ko) 2007-04-25 2008-02-01 장재홍 차량용 자전거 캐리어
KR100871971B1 (ko) 2007-10-22 2008-12-08 김영이 차량용 자전거 캐리어
KR20150019127A (ko) 2013-08-12 2015-02-25 안경훈 차량용 자전거 캐리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9901B1 (ko) * 2018-02-28 2018-06-28 이정훈 자전거 운송용 트레일러
US20210229767A1 (en) * 2018-08-01 2021-07-29 Matthew D. Jones A bike rack trailer for transporting bicycles or other cargo
WO2023070171A1 (en) * 2021-11-01 2023-05-04 Shingleback Off Road Pty Ltd Bicycle transport trail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6307B1 (ko) 차량용 자전거 운반랙
US7641086B2 (en) Motorcycle rack for pickup trucks and trailers
KR101655687B1 (ko) 차량용 자전거 캐리어
KR101859901B1 (ko) 자전거 운송용 트레일러
US20070080557A1 (en) Track and trolley system for a cargo portion of a vehicle
US20030156930A1 (en) Vehicle article carrier
CN107963026A (zh) 货厢带有升高的自行车搁架的皮卡车
RU2668783C2 (ru) Устройство закрепления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железнодорожного вагона для перевозки автомобилей
US20080152452A1 (en) Clamp for truck racks
EP2190691B1 (en) Motorcycle transportation restraint system
JP2007091068A (ja) 車止め方法とそれに用いる車止め具
US3305114A (en) Portable device and method for removably loading vehicles on carriers
JP4002098B2 (ja) 被運搬車の固縛装置及び自動車運搬用車両
WO2016028716A1 (en) Flatbed tow truck assembly and method of use
GB1602285A (en) Collapsible trailer
CN204526955U (zh) 车辆运输车上用于紧固商品车的集成式紧固装置
JP4163601B2 (ja) 車両運搬車
CN220722873U (zh) 一种汽车运输架及具有其的集装箱
WO2002094608A1 (en) A carrier for a motorcycle and which can be mounted to a vehicle tray
RU2684249C1 (ru) Устройство закрепления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железнодорожного вагона для перевозки автомобилей
CN212243107U (zh) 托架组件
KR200455292Y1 (ko) 자전거 운반용 트레일러
US20150321861A1 (en) Ramp deployment system utilizing a ratchet strap mechanism
JP2011179296A (ja) 自動二輪車用スタンド及び機械式駐車場
SU998164A1 (ru)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дл перевозки шасси грузовых автомобиле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