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5238B1 - 무대용 커튼 구동장치 - Google Patents

무대용 커튼 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5238B1
KR101655238B1 KR1020160023970A KR20160023970A KR101655238B1 KR 101655238 B1 KR101655238 B1 KR 101655238B1 KR 1020160023970 A KR1020160023970 A KR 1020160023970A KR 20160023970 A KR20160023970 A KR 20160023970A KR 101655238 B1 KR101655238 B1 KR 1016552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curtain
timing belt
timing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39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제황
김학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일티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일티앤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일티앤씨
Priority to KR10201600239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52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52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52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JDEVICES FOR THEATRES, CIRCUSES, OR THE LIKE; CONJURING APPLIANCES OR THE LIKE
    • A63J1/00Stage arrangements
    • A63J1/02Scenery; Curtains; Other decorations; Means for moving sam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H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 A47H1/00Curtain suspension devices
    • A47H1/04Curtain rails
    • A47H1/06Curtain rails fix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H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 A47H15/00Runners or gliders for supporting curtains on rails or ro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H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 A47H5/00Devices for drawing draperies, curtains, or the like
    • A47H5/02Devices for opening and closing curtains
    • A47H5/032Devices with guiding means and draw cor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JDEVICES FOR THEATRES, CIRCUSES, OR THE LIKE; CONJURING APPLIANCES OR THE LIKE
    • A63J5/00Auxiliaries for producing special effects on stages, or in circuses or arenas
    • A63J5/02Arrangements for making stage effects; Auxiliary stage appliances

Landscapes

  • Curtains And 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대용 커튼 구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무대 커튼의 안정적인 개폐동작이 가능하고, 무대의 구조에 따라 다양한 구조로 시공이 가능한 무대용 커튼 구동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커튼의 이동경로를 따라 연장되는 구조를 갖도록 무대의 천장에 설치된 레일;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하도록 레일에 결합되며, 커튼의 상단부와 연결되어 커튼을 지지하는 다수의 슬레이브 캐리어;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하도록 레일에 결합되며, 커튼의 상측 끝단부와 연결되어 커튼의 상측 끝단부를 당겨 커튼의 개폐를 유도하는 마스터 캐리어; 상기 마스터 캐리어와의 결속을 위한 다수의 기어치가 일측면에 형성되고, 단일폐곡선의 구조로써 상기 레일의 전면부 및 후면부에 지지된 채로 레일을 따라 이동하도록 설치되는 타이밍벨트; 상기 레일의 일측 단부에 구성되며, 상기 타이밍벨트와 결합된 채로 회전하면서 타이밍벨트를 이동시키는 타이밍풀리 및 상기 타이밍풀리를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를 포함하는 구동부; 및 상기 타이밍벨트를 지지하도록 상기 레일의 타측 단부에 구성된 리턴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대용 커튼 구동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무대용 커튼 구동장치{Apparatus for driving stage curtain}
본 발명은 무대용 커튼 구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타이밍벨트를 이용하여 커튼의 정확한 개폐작동이 가능하게 하고, 더불어 타이밍벨트를 지지하는 레일을 이용하여 무대의 구조에 따라 다양한 구조로 커튼을 시공할 수 있도록 한 무대용 커튼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극이나 뮤지컬 등 각종 공연이 실시되는 장소인 무대의 앞쪽에는 커튼이 설치되고 있다. 이처럼 무대에 설치되는 커튼의 경우, 무대의 전면을 완전히 커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좌우 폭이 넓은 것은 물론이고, 상하 높이도 상당히 길기 때문에 사람이 직접 커튼을 개폐 작동하는 것은 쉽지 않다.
이러한 관계로 모터의 동력을 이용하여 커튼의 개폐작동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한 다양한 방식의 커튼 구동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한편, 등록특허공보 제0978046호에는 모터의 동력을 이용하여 무대 커튼의 개폐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한 커튼 구동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한 특허문헌에 개시된 커튼 구동장치는, 무대의 천장에 설치되어 커튼의 이동을 지지하는 레일부와, 상기 레일부와 커튼을 연결하되 레일부를 따라 이동하면서 커튼의 개폐가 이루어지게 하는 커튼 고정부와, 상기 레일부의 내외측을 따라 연장되는 무한궤도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커튼 고정부와 연결된 와이어와, 모터의 작동에 의해 풀리나 드럼이 회전하면서 상기 와이어를 감거나 풀어주어 커튼의 개폐작동이 이루어지게 하는 구동부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와이어를 이용한 방식의 커튼 구동장치의 경우, 무대커튼의 상당한 무게로 인해서 와이어가 풀리나 드럼의 표면에서 미끄러지면서 풀리나 드럼이 헛바퀴 도는 경우가 발생되고 있으며, 이러한 현상이 발생되는 경우 커튼의 올바른 개폐동작이 이루어지지 못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풀리나 드럼이 헛바퀴 도는 현상은 시간의 경과로 인한 부품의 노후화에 비례하여 심해지게 되므로, 시공 후 어느 정도 사용된 커튼 구동장치의 경우, 커튼의 개폐작동에 심각한 문제가 발생될 위험성이 높은 단점을 갖고 있다.
또한, 커튼 고정부와 모터를 연결하여 모터의 작동에 의해 커튼 고정부의 이동이 이루어지게 하는 와이어의 경우, 곡선구간에서 처짐이 발생되지 않고 적절한 장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와이어의 경로를 따라 다수의 롤러를 적절한 구조로 배치해야만 하므로 시공 및 유지보수에 많은 어려움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0978046호 (2010.08.25.공고)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무대 커튼의 안정적인 개폐동작이 가능하고, 무대의 구조에 따라 다양한 구조로 시공이 가능한 무대용 커튼 구동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 종래의 결점을 제거하기 위한 과제를 수행하는 본 발명은 커튼의 이동경로를 따라 연장되는 구조를 갖도록 무대의 천장에 설치된 레일;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하도록 레일에 결합되며, 커튼의 상단부와 연결되어 커튼을 지지하는 다수의 슬레이브 캐리어;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하도록 레일에 결합되며, 커튼의 상측 끝단부와 연결되어 커튼의 상측 끝단부를 당겨 커튼의 개폐를 유도하는 마스터 캐리어; 상기 마스터 캐리어와의 결속을 위한 다수의 기어치가 일측면에 형성되고, 단일폐곡선의 구조로써 상기 레일의 전면부 및 후면부에 지지된 채로 레일을 따라 이동하도록 설치되는 타이밍벨트; 상기 레일의 일측 단부에 구성되며, 상기 타이밍벨트와 결합된 채로 회전하면서 타이밍벨트를 이동시키는 타이밍풀리 및 상기 타이밍풀리를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를 포함하는 구동부; 및 상기 타이밍벨트를 지지하도록 상기 레일의 타측 단부에 구성된 리턴부;로 구성되되, 상기 레일은, 마스터 캐리어나 슬레이브 캐리어에 구비되는 롤러의 이동을 지지하도록 전면부와 후면부 및 저면부에 형성된 홈구조의 전면 안내부와 후면 안내부 및 저면 안내부; 상기 타이밍벨트를 수용하도록 전면 안내부와 후면 안내부의 내측에 형성되되 타이밍벨트에 형성된 기어치가 외부로 노출되게 하는 개구부를 포함하는 지지챔버; 및 상기 지지챔버를 형성하는 내측면 중 타이밍벨트의 평탄한 측면과 마주하는 내측면에는 타이밍벨트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타이밍벨트와 지지챔버 사이의 마찰저항을 저감시키는 다수의 마찰저감돌기;를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되고, 상기 슬레이브 캐리어는, ㄷ자형의 단면구조로써 개방된 부분이 위쪽을 향하도록 배치된 제1몸체; 상기 제1몸체의 하부에 형성되어 커튼과 결합되는 커튼 연결고리; 및 상기 제1몸체의 내측면들 중, 마주하는 두 내측면에 설치되어 레일의 전면 안내부와 후면 안내부에 결합된 채로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제1롤러;로 구성되며, 상기 마스터 캐리어는, ㄷ자형의 단면구조로써 개방된 부분이 위쪽을 향하도록 배치된 제2몸체; 상기 제2몸체의 전면 또는 후면에 설치되어 커튼과 결합되는 범퍼 브라켓; 상기 레일의 전면 안내부와 후면 안내부 및 저면 안내부에 결합된 채로 레일을 따라 이동하도록 상기 제2몸체의 내측면에 분산된 구조로 설치된 다수의 제2롤러; 및 상기 제2몸체의 전방측벽 또는 후방측벽으로부터 내측방향으로 돌출되며 끝단부에 기어치가 형성된 것으로 이루어져 타이밍벨트와 결속되는 고정래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대용 커튼 구동장치를 제공한다.
삭제
한편 상기 무대용 커튼 구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캐리어는, 무대의 반쪽을 커버하는 제1커튼과 연결되는 제1마스터 캐리어와, 무대의 나머지 반쪽을 커버하는 제2커튼과 연결되는 제2마스터 캐리어로 구성되며, 상기 제1마스터 캐리어는 레일의 전면부에 지지된 타이밍벨트와 결속되고, 상기 제2마스터 캐리어는 레일의 후면부에 지지된 타이밍벨트와 결속되어 타이밍벨트의 이동시 제1,2마스터 캐리어는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커튼을 개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무대용 커튼 구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레일의 일측 단부에 고정되는 구동부 케이스; 상기 타이밍벨트와 결합되는 기어치가 외주면에 형성된 것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구동부 케이스의 내부에서 타이밍벨트와 결합되도록 설치되는 타이밍풀리; 상기 구동부 케이스에 설치되며, 타이밍풀리와 연결되어 타이밍풀리를 회전시키는 모터; 상기 타이밍풀리를 돌아 나오는 타이밍벨트가 레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타이밍벨트의 방향을 전환하기 위하여 타이밍풀리의 이웃한 곳에 배치된 제1아이들러; 및 상기 제1아이들러에 의해 레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타이밍벨트를 다시 레일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전환하도록 타이밍풀리의 이웃한 곳에 배치된 제1아이들 풀리;로 구성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하면, 커튼과 연결된 마스터 캐리어가 타이밍벨트와 결속되어 커튼과 마스터 캐리어 및 타이밍벨트가 일체화된 거동을 하게 되므로, 커튼의 안정적인 개폐작동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커튼의 개폐작동이 이루어지는 구간내에서 타이밍벨트는 레일에 형성된 지지챔버에 완전히 수용된 구조로 지지됨으로써, 타이밍벨트가 이동경로를 이탈함없이 안정적인 이동이 가능하게 되며, 특히 무대의 구조에 따라 다양한 구조로 커튼 및 구동장치를 구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튼 구동장치의 사시도,
도 2 및 3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튼 구동장치가 작용된 무대용 커튼의 구조도,
도 4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레일의 단면도,
도 5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슬레이브 캐리어의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슬레이브 캐리어가 레일과 결합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7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마스터 캐리어의 사시도,
도 8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마스터 캐리어가 레일에 결합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마스터 캐리어에 구비된 고정래치가 타이밍벨트에 결합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10 은 본 발명에 따른 타이밍벨트가 설치된 구조를 보인 평면도,
도 1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의 구조를 보인 정면도,
도 12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의 구조를 보인 평면도,
도 13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리턴부의 구조를 보인 정면도,
도 14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리턴부의 구조를 보인 평면도,
도 15 는 레일이 곡선형의 구조로 형성된 커튼 구동장치의 평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과 연계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튼 구동장치의 사시도를, 도 2 및 3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튼 구동장치가 작용된 무대용 커튼의 구조도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무대용 커튼 구동장치는 무대의 천장에 구성되어 커튼을 자동으로 개폐하는 것으로, 레일(100), 슬레이브 캐리어(200), 마스터 캐리어(300), 타이밍벨트(400), 구동부(500), 리턴부(600)로 구성된다.
참고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튼 구동장치는 무대의 전면 절반을 커버하는 제1커튼(C1)과, 무대의 전면 나머지 절반을 커버하는 제2커튼(C2)을 미닫이 방식 즉, 무대의 중앙이나 양측면으로 이동시키면서 펼치거나 접어주는 방식으로 무대의 전면을 개폐하는 구조를 갖고 있으며, 도 2에는 제1,2커튼(C1,C2)이 무대의 중앙부로 모여들어 무대의 전면을 폐쇄하도록 닫힌 구조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제1,2커튼(C1,C2)이 무대의 양측면부로 각각 이동하여 무대의 전면이 개방되도록 열린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레일의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레일(100)은 슬레이브 캐리어(200)와 마스터 캐리어(300)의 지지를 통해 커튼이 정해진 경로를 따라 정확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무대의 천장에서 커튼의 이동경로를 따라 연장되는 구조로 설치된다.
이러한 레일(100)은 슬레이브 캐리어(200) 및 마스터 캐리어(300)와 결합되어 이들 캐리어의 이동을 지지하는 기능 및 상기 타이밍벨트(400)가 정해진 경로를 따라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레일(100)은 무대의 천장에 설치된 고정금구(101)와 결합되어 고정되는 고정부(110)가 상단부에 형성되고, 그 하부에 전면 안내부(120)와 후면 안내부(130)가 형성되고, 다시 그 하부에 저면 안내부(140)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고정부(110), 전면 안내부(120), 후면 안내부(130) 및 저면 안내부(140)는 레일(100)의 횡단면을 기준으로 구분된 것으로, 상기 고정부(110)는 레일(100) 횡단면의 최상단부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며, 무대 천장에 고정된 고정금구(101)와의 체결을 위한 너트(N)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구조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면 안내부(120)는 레일(100)의 전면으로부터 후면방향으로 일정한 깊이로 함몰된 홈구조를 갖고, 더불어 레일(10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상기 후면 안내부(130)는 레일(100)의 후면으로부터 전면방향으로 일정한 깊이로 함몰된 홈구조를 갖고, 더불어 레일(10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이러한 후면 안내부(130)는 전면 안내부(120)와 대칭되는 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저면 안내부(140)는 레일(100)의 저면으로부터 수직 상부방향으로 일정한 깊이로 함몰된 홈구조를 갖고, 더불어 레일(10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전면 안내부(120)와 후면 안내부(130) 및 저면 안내부(140)에는 슬레이브 캐리어(200) 및 마스터 캐리어(300)에 장착되는 롤러가 삽입되어 결합되며, 각각의 안내부로 삽입된 롤러는 안내부를 따라 레일(10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전면 안내부(120)의 내측과 후면 안내부(130)의 내측에는 타이밍벨트(400)가 수용되는 지지챔버(151,152)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지지챔버(151,152)에는 내부에 수용된 타이밍벨트(400)의 기어치가 전면 안내부(120) 및 후면 안내부(130)를 통해 각각 외부로 노출되게 하는 개구부(153,154)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지지챔버(151,152)를 형성하는 내측면 중, 타이밍벨트(400)의 평탄한 측면과 마주하게 되는 내측면(151a,152a)에는 타이밍벨트(400) 방향으로 돌출되는 다수의 마찰저감돌기(155)가 형성되며, 이러한 마찰저감돌기(155)에 의해 타이밍벨트(400)가 지지챔버(151,152)와 접촉하는 면적이 감소됨에 따라 타이밍벨트(400)의 이동시 지지챔버(151,152)와의 사이에 발생되는 저항이나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레일(100)의 구조에 따르면, 레일(100)의 내부에 타이밍벨트(400)가 수용되어 지지됨으로써, 무대의 구조의 고려하여 레일(100)을 곡선형의 구조로 형성한 경우에도 타이밍벨트(400)가 정해진 경로로부터 이탈됨 없이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되며, 레일(100)의 전면과 후면 및 저면에 캐리어의 롤러가 결합됨에 따라 캐리어의 안정적인 이동을 환경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5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슬레이브 캐리어의 사시도를,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슬레이브 캐리어가 레일과 결합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슬레이브 캐리어(200)는 레일(100)과 커튼을 연결하여 커튼을 지지하되, 마스터 캐리어(300)에 의해 커튼이 열리고 닫히는 과정에서 커튼과 함께 레일(100)을 따라 이동하면서 커튼이 자연스럽게 열리고 닫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슬레이브 캐리어(200)는 레일(100)과 커튼을 연결함에 있어서, 일정 간격 마다 레일(100)과 커튼을 연결할 수 있도록 다수개로 구성된다.
한편, 각각의 슬레이브 캐리어(200)는 ㄷ자형의 단면구조로써, 개방된 부분이 위쪽을 향하도록 배치된 제1몸체(210)의 하부에 커튼 연결고리(220)가 형성된 것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몸체(210)의 내측면들 중, 마주하는 두 내측면에는 레일(100)의 전면 안내부(120) 및 후면 안내부(130)로 삽입되어 결합되는 제1롤러(230)가 각각 설치된 것으로 구성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마스터 캐리어의 사시도를,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마스터 캐리어가 레일에 결합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를,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마스터 캐리어에 구비된 고정래치가 타이밍벨트에 결합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한편 마스터 캐리어의 구조에 대해 설명함에 있어서, 도 1 및 2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마스터 캐리어(300)는 레일(100)을 따라 이동하도록 설치되는 것과 더불어 커튼의 상측 끝단부와 연결되어 커튼의 상측 끝단부를 당기는 방식으로 커튼을 개폐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커튼이 제1,2커튼(C1,C2)으로 구성된 경우, 상기 마스터 캐리어(300)는 제1,2커튼(C1,C2)을 각각 동작시킬 수 있도록 2개(이하 '제1,2마스터 캐리어'라 칭함)로 구성되며, 상기 제1,2마스터 캐리어(301,302)는 무대의 중앙부에 위치하게 되는 제1,2커튼(C1,C2)의 끝단부 상측에 각각 결합되도록 설치된다(도 1 및 도 2 참조).
한편, 각각의 마스터 캐리어(300)는 ㄷ자형의 단면구조로써, 개방된 부분이 위쪽을 향하도록 배치된 제2몸체(310)와, 상기 제2몸체(310)의 전면 또는 후면에 설치되어 커튼과 결합되는 범퍼 브라켓(320)과, 상기 레일(100)의 전면 안내부(120)와 후면 안내부(130) 및 저면 안내부(140)에 삽입되도록 제2몸체(310)의 내측면에 분산된 구조로 설치된 다수의 제2롤러(330)와, 상기 제2몸체(310)의 전방측벽 또는 후방측벽으로부터 내측방향으로 돌출되며 끝단부에 기어치가 형성된 것으로 이루어져 타이밍벨트(400)와 결속되는 고정래치(340)로 구성된다.
한편, 제1,2마스터 캐리어(301,302)는 제2몸체(310), 범퍼 브라켓(320), 제2롤러(330), 고정래치(340)로 구성된 점에 있어서는 동일하지만, 범퍼 브라켓(320)과 고정래치(340)가 설치되는 위치에 있어서는 차이가 있다.
즉, 제1마스터 캐리어(301)에는 범퍼 브라켓(320)과 고정래치(340)가 전방 측벽에 설치되는 반면, 제2마스터 캐리어(302)에는 범퍼 브라켓(320)과 고정래치(340)가 후방 측벽에 설치되며, 제1마스터 캐리어(301)에 설치된 범퍼 브라켓(320)과 제2마스터 캐리어(302)에 설치된 범퍼 브라켓(320)은 서로를 향해 연장되는 구조를 갖도록 설치되어 제1,2커튼(C1,C2)이 닫힐 때 제1,2커튼(C1,C2) 사이에 중첩되는 영역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타이밍벨트가 설치된 구조를 보인 평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타이밍벨트(400)는 주지된 바와 같이 일측면에 다수의 기어치가 형성된 것으로 이루어지고, 단일폐곡선의 구조로써 레일(10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되, 레일(100)을 둘러싸는 구조를 갖도록 설치되어 레일(100)의 주위를 정해진 경로를 따라 이동하도록 설치된다.
이처럼 단일폐곡선 구조의 타이밍벨트(400)가 레일(100)을 감싸도록 함에 있어서, 레일(100)의 전면부에 위치하는 타이밍벨트(400)는 레일(100)의 전면부에 형성된 지지챔버(151)에 수용되고, 레일(100)의 후면부에 위치하는 타이밍벨트(400)는 레일(100)의 후면에 형성된 지지챔버(152)에 수용되어 지지챔버(151,152)에 의해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타이밍벨트(400)가 정확하게 정해진 경로를 따라 이동하도록 유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타이밍벨트(400)는 레일(100)의 일측단부에 구성되는 구동부(500) 및 레일(100)의 타측단부에 구성되는 리턴부(600)와 결합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의 구조를 보인 정면도를,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의 구조를 보인 평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구동부(500)는 레일(100)의 일측 단부에 구성되며, 타이밍벨트(400)와 결합되어 타이밍벨트(400)를 이동시키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500)는 구동부 케이스(510)와, 타이밍풀리(520), 모터(530), 제1아이들러(540), 제1아이들 풀리(550)로 구성된다.
상기 구동부 케이스(510)는 레일(100)의 일측 단부에 고정된 구조로 설치되며, 그 내부에는 타이밍풀리(520)와 제1아이들러(540) 및 제2아이들 풀리(620)의 설치를 위한 공간이 마련된 것으로 구성된다.
상기 타이밍풀리(520)는 타이밍벨트(400)에 형성된 기어치와 맞물리는 기어치가 외주면에 형성된 것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구동부 케이스(510)의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모터(530)는 구동부 케이스(510)의 외측에 설치되며, 타이밍풀리(520)와 연결되어 타이밍풀리(520)를 회전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아이들러(540)는 타이밍풀리(520)의 이웃한 곳에 위치하도록 구동부 케이스(510)의 내부에 설치되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타이밍풀리(520)를 돌아 레일(100)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나오는 타이밍풀리(520)를 다시 레일(10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전환하도록 타이밍풀리(520)의 이웃한 곳에 설치된다.
상기 제1아이들 풀리(550)는 제1아이들러(540)에 의해 레일(10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타이밍벨트(400)를 다시 레일(100)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전환하는 것으로, 타이밍풀리(520)를 사이에 두고 레일(100)과 마주하는 구조를 갖도록 타이밍풀리(520)의 이웃한 곳에 배치된다.
상기와 같은 구동부(500)의 구조에 따르면, 타이밍벨트(400)는 타이밍풀리(520)의 회전방향에 따라서 레일(100)의 전면부로부터 나와 타이밍풀리(520), 제1아이들러(540), 제1아이들 풀리(550)를 순차적으로 경유한 뒤 레일(100)의 후면부로 유입되거나, 레일(100)의 후면부로부터 나와 제1아이들 풀리(550), 제1아이들러(540), 타이밍풀리(520)를 경유한 뒤 레일(100)의 전면부로 유입된다.
한편, 상기 구동부(500)에는 타이밍풀리(520)의 회전을 감지하여 커튼의 위치를 미도시된 제어부가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감지부(700)가 함께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감지부(700)는 타이밍풀리(520)와 벨트를 통해 연결되어 타이밍풀리(520)와 연동하여 회전하는 감지용 타이밍풀리(710)와, 상기 감지용 타이밍풀리(710)의 회전을 감지하는 리미트 스위치(720)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리턴부의 구조를 보인 정면도를,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리턴부의 구조를 보인 평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리턴부(600)는 레일(100)의 타측 단부에 구성되며, 레일(100)의 타측 단부를 통해 나오는 타이밍벨트(400)가 다시 레일(100)을 향하도록 타이밍벨트(400)의 방향을 전환하는 것이다.
이러한 리턴부(600)는 리턴부 케이스(610)와 제2아이들 풀리(620) 및 제2아이들러(630)로 구성된다.
상기 리턴부 케이스(610)는 레일(100)의 타측 단부에 고정된 구조로 설치되며, 그 내부에는 제2아이들 풀리(620)와 제2아이들러(630)의 설치를 위한 공간이 마련된 것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2아이들 풀리(620)는 리턴부 케이스(610)의 내부에서 회전 가능한 구조를 갖도록 설치되어 레일(100)로부터 나오는 타이밍벨트(400)의 방향을 다시 레일(100)측으로 전환하는 기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제2아이들 풀리(62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축(621)은 리턴부 케이스(610)에 마련되는 장력조절스크류(622)와 결합되어 장력조절스크류(622)의 회전에 의해 레일(100)에 근접하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타이밍벨트(400)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2아이들러(630)는 레일(100)로부터 나와 제2아이들 풀리(620)로 이동하는 타이밍벨트(400) 또는 제2아이들 풀리(620)에 의해 방향이 전환되어 레일(100)로 이동하는 타이밍벨트(400)가 제2아이들 풀리(620) 또는 레일(100)과 적절한 각도를 유지한 상태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제2아이들 풀리(620)의 이웃한 곳에 위치하도록 리턴부 케이스(610)의 내부에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무대용 커튼 구동장치에 의해 제1,2커튼(C1,C2)의 개폐작동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이, 레일(100)의 일측 단부에는 구동부(500)가 구성되고, 레일(100)의 타측 단부에는 리턴부(600)가 구성되며, 구동부(500)로부터 레일(100)의 전면부와 리턴부(600) 및 레일(100)의 후면부를 순차적으로 경유한 뒤 다시 구동부(500)로 연장되는 단일폐곡선의 구조를 갖도록 타이밍벨트(400)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레일(100)에는 제1커튼(C1)과 제2커튼(C2)을 지지하기 위한 다수의 슬레이브 캐리어(200)가 설치되며, 다수의 슬레이브 캐리어(200)는 레일(100)에 분산된 구조로 설치되어 제1커튼(C1) 및 제2커튼(C2)과 연결된다.
한편, 제1커튼(C1)과 연결된 다수의 슬레이브 캐리어(200)와, 제2커튼(C2)과 연결된 다수의 슬레이브 캐리어(200) 사이에는 제1마스터 캐리어(301)와 제2마스터 캐리어(302)가 배치되며, 상기 제1마스터 캐리어(301)는 제1커튼(C1)의 상측 끝단부에 결합되어 제1커튼(C1)을 열거나 닫고, 상기 제2마스터 캐리어(302)는 제2커튼(C2)의 상측 끝단부에 결합되어 제2커튼(C2)을 열거나 닫게 된다.
또한, 상기 제1마스터 캐리어(301)에 설치된 고정래치(340)는 레일(100)의 전면부에 배치된 타이밍벨트(400)에 결속되고, 상기 제2마스터 캐리어(302)에 설치된 고정래치(340)는 레일(100)의 후면부에 배치된 타이밍벨트(400)에 결속된다.
한편, 구동부(500)에 마련된 모터(530)의 작동에 의해 타이밍풀리(520)가 회전함으로써, 타이밍벨트(400)가 이동하게 되며, 타이밍벨트(400)는 타이밍풀리(520)의 회전방향에 따라 시계방향으로 레일(100)의 주위를 선회하는 형태로 이동하거나, 반시계방향으로 레일(100)의 주위를 선회하는 형태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제1마스터 캐리어(301)가 레일(100)의 전면부에서 타이밍벨트(400)와 결속되고, 제2마스터 캐리어(302)가 레일(100)의 후면부에서 타이밍벨트(400)와 결속된 경우, 타이밍벨트(400)가 시계방향으로 레일(100)의 주위를 선회하게 되면, 제1마스터 캐리어(301)와 제2마스터 캐리어(302)는 레일(100)의 중앙부로 모여들게 되므로, 제1커튼(C1)과 제2커튼(C2)을 무대의 전면을 폐쇄하도록 닫히게 된다.
반대로, 타이밍벨트(400)가 반시계방향으로 레일(100)의 주위를 선회하게 되면, 제1마스터 캐리어(301)는 레일(100)의 일측 단부로 이동하고, 제2마스터 캐리어(302)는 레일(100)의 타측 단부로 이동하게 되므로, 제1커튼(C1)과 제2커튼(C2)은 무대의 측면부로 이동하면서 무대의 전면을 개방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대용 커튼 구동장치는 모터(530)의 작동에 의한 타이밍벨트(400)에 의해 제1,2마스터 캐리어(301,302)가 이동하면서 커튼을 열거나 닫는 구조를 갖고 있으며, 특히 상기 타이밍벨트(400)는 레일(100)에 형성된 지지챔버(151,152)에 수용된 채로 레일(100)의 주위를 이동하게 되므로, 무대의 구조에 따라 레일(100)을 곡선이나 파형의 구조 등 다양한 구조로 형성한 경우에도 타이밍벨트(400)의 안정적인 작동을 보장할 수 있다.
참고로, 도 15에는 레일이 곡선형의 구조로 형성된 커튼 구동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무대용 커튼 구동장치는 무대의 구조에 따라 커튼을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레일 120: 전면 안내부
130: 후면 안내부 140: 저면 안내부
151,152: 지지챔버 153,154: 개구부
155: 마찰저감돌기 200: 슬레이브 캐리어
300: 마스터 캐리어 301: 제1마스터 캐리어
302: 제2마스터 캐리어 400: 타이밍벨트
500: 구동부 510: 구동부 케이스
520: 타이밍풀리 530: 모터
540: 제1아이들러 550: 제1아이들 풀리
600: 리턴부

Claims (7)

  1. 커튼의 이동경로를 따라 연장되는 구조를 갖도록 무대의 천장에 설치된 레일;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하도록 레일에 결합되며, 커튼의 상단부와 연결되어 커튼을 지지하는 다수의 슬레이브 캐리어;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하도록 레일에 결합되며, 커튼의 상측 끝단부와 연결되어 커튼의 상측 끝단부를 당겨 커튼의 개폐를 유도하는 마스터 캐리어;
    상기 마스터 캐리어와의 결속을 위한 다수의 기어치가 일측면에 형성되고, 단일폐곡선의 구조로써 상기 레일의 전면부 및 후면부에 지지된 채로 레일을 따라 이동하도록 설치되는 타이밍벨트;
    상기 레일의 일측 단부에 구성되며, 상기 타이밍벨트와 결합된 채로 회전하면서 타이밍벨트를 이동시키는 타이밍풀리 및 상기 타이밍풀리를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를 포함하는 구동부; 및
    상기 타이밍벨트를 지지하도록 상기 레일의 타측 단부에 구성된 리턴부;로 구성되되,
    상기 레일은, 마스터 캐리어나 슬레이브 캐리어에 구비되는 롤러의 이동을 지지하도록 전면부와 후면부 및 저면부에 형성된 홈구조의 전면 안내부와 후면 안내부 및 저면 안내부; 상기 타이밍벨트를 수용하도록 전면 안내부와 후면 안내부의 내측에 형성되되 타이밍벨트에 형성된 기어치가 외부로 노출되게 하는 개구부를 포함하는 지지챔버; 및 상기 지지챔버를 형성하는 내측면 중 타이밍벨트의 평탄한 측면과 마주하는 내측면에는 타이밍벨트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타이밍벨트와 지지챔버 사이의 마찰저항을 저감시키는 다수의 마찰저감돌기;를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되고,
    상기 슬레이브 캐리어는, ㄷ자형의 단면구조로써 개방된 부분이 위쪽을 향하도록 배치된 제1몸체; 상기 제1몸체의 하부에 형성되어 커튼과 결합되는 커튼 연결고리; 및 상기 제1몸체의 내측면들 중, 마주하는 두 내측면에 설치되어 레일의 전면 안내부와 후면 안내부에 결합된 채로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제1롤러;로 구성되며,
    상기 마스터 캐리어는, ㄷ자형의 단면구조로써 개방된 부분이 위쪽을 향하도록 배치된 제2몸체; 상기 제2몸체의 전면 또는 후면에 설치되어 커튼과 결합되는 범퍼 브라켓; 상기 레일의 전면 안내부와 후면 안내부 및 저면 안내부에 결합된 채로 레일을 따라 이동하도록 상기 제2몸체의 내측면에 분산된 구조로 설치된 다수의 제2롤러; 및 상기 제2몸체의 전방측벽 또는 후방측벽으로부터 내측방향으로 돌출되며 끝단부에 기어치가 형성된 것으로 이루어져 타이밍벨트와 결속되는 고정래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대용 커튼 구동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캐리어는, 무대의 반쪽을 커버하는 제1커튼과 연결되는 제1마스터 캐리어와, 무대의 나머지 반쪽을 커버하는 제2커튼과 연결되는 제2마스터 캐리어로 구성되며,
    상기 제1마스터 캐리어는 레일의 전면부에 지지된 타이밍벨트와 결속되고, 상기 제2마스터 캐리어는 레일의 후면부에 지지된 타이밍벨트와 결속되어 타이밍벨트의 이동시 제1,2마스터 캐리어는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커튼을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대용 커튼 구동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레일의 일측 단부에 고정되는 구동부 케이스;
    상기 타이밍벨트와 결합되는 기어치가 외주면에 형성된 것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구동부 케이스의 내부에서 타이밍벨트와 결합되도록 설치되는 타이밍풀리;
    상기 구동부 케이스에 설치되며, 타이밍풀리와 연결되어 타이밍풀리를 회전시키는 모터;
    상기 타이밍풀리를 돌아 나오는 타이밍벨트가 레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타이밍벨트의 방향을 전환하기 위하여 타이밍풀리의 이웃한 곳에 배치된 제1아이들러;
    상기 제1아이들러에 의해 레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타이밍벨트를 다시 레일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전환하도록 타이밍풀리의 이웃한 곳에 배치된 제1아이들 풀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대용 커튼 구동장치.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60023970A 2016-02-29 2016-02-29 무대용 커튼 구동장치 KR1016552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3970A KR101655238B1 (ko) 2016-02-29 2016-02-29 무대용 커튼 구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3970A KR101655238B1 (ko) 2016-02-29 2016-02-29 무대용 커튼 구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5238B1 true KR101655238B1 (ko) 2016-09-08

Family

ID=569505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3970A KR101655238B1 (ko) 2016-02-29 2016-02-29 무대용 커튼 구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523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185471U1 (ru) * 2018-05-17 2018-12-05 Алексей Борисович Крылов Дорога линейная для занавеса
KR101953126B1 (ko) * 2018-02-20 2019-02-28 유상말 장면 변환기능을 갖는 무대 커튼용 구동장치
CN111298461A (zh) * 2020-03-25 2020-06-19 郑州铁路职业技术学院 一种音乐剧舞台用双面帷幕
KR200496305Y1 (ko) * 2022-07-06 2022-12-27 (주)준쉐이드 형상기억커튼용 고정구
KR20230154772A (ko) 2023-06-28 2023-11-09 김무석 무대 다중 커튼 작동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335Y2 (ja) * 1990-07-11 1996-01-31 エスエム工業株式会社 プーリのワイヤ巻回補助構造
JPH08154809A (ja) * 1994-12-02 1996-06-18 Maruman Sangyo Kk カ−テンの開閉装置
KR100641079B1 (ko) * 2005-02-24 2006-11-03 주식회사 3지테크놀러지 미닫이 창호의 잠금장치
KR100977755B1 (ko) * 2008-05-29 2010-08-25 문종옥 커튼구동장치
KR100978046B1 (ko) 2010-01-12 2010-08-25 이광현 무대 커튼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335Y2 (ja) * 1990-07-11 1996-01-31 エスエム工業株式会社 プーリのワイヤ巻回補助構造
JPH08154809A (ja) * 1994-12-02 1996-06-18 Maruman Sangyo Kk カ−テンの開閉装置
KR100641079B1 (ko) * 2005-02-24 2006-11-03 주식회사 3지테크놀러지 미닫이 창호의 잠금장치
KR100977755B1 (ko) * 2008-05-29 2010-08-25 문종옥 커튼구동장치
KR100978046B1 (ko) 2010-01-12 2010-08-25 이광현 무대 커튼 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3126B1 (ko) * 2018-02-20 2019-02-28 유상말 장면 변환기능을 갖는 무대 커튼용 구동장치
RU185471U1 (ru) * 2018-05-17 2018-12-05 Алексей Борисович Крылов Дорога линейная для занавеса
CN111298461A (zh) * 2020-03-25 2020-06-19 郑州铁路职业技术学院 一种音乐剧舞台用双面帷幕
CN111298461B (zh) * 2020-03-25 2021-04-09 郑州铁路职业技术学院 一种音乐剧舞台用双面帷幕
KR200496305Y1 (ko) * 2022-07-06 2022-12-27 (주)준쉐이드 형상기억커튼용 고정구
KR20230154772A (ko) 2023-06-28 2023-11-09 김무석 무대 다중 커튼 작동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5238B1 (ko) 무대용 커튼 구동장치
JP5796238B2 (ja) 車両用ドアの開閉装置
JP4283561B2 (ja) スライドドア開閉装置
KR20140082278A (ko) 슬라이딩 도어
JP2006240529A (ja) ホームドア装置
JP2007223402A (ja) スライドドア開閉装置
JP2001003638A (ja) 車両用電動スライドドア装置
KR101012061B1 (ko) 도어의 위치에 따라 도어 지지봉의 방향을 바꿀 수 있는 미닫이 도어 이동장치
JP5955932B2 (ja) プラットホームドア装置
KR100928560B1 (ko) 접철문의 슬라이드식 이동장치
JP2009127291A (ja) 車両用ドア開閉装置
JP4638631B2 (ja) 自閉式連動引戸装置
JP2016185714A (ja) ハーネス配索構造
JP3205515U (ja) 引戸連動装置
JP2009083852A (ja) ホームドア装置
JP3900988B2 (ja) ブラインド装置
JP2015063839A (ja) ワイヤ式ウインドウレギュレータ
KR20190019742A (ko) 슬라이딩 도어용 블라인드장치
KR101630520B1 (ko) 자동문 구조
JP5796239B2 (ja) 車両用ドアの開閉装置
JP7446175B2 (ja) 電動式の円弧状ドア装置
KR200331962Y1 (ko) 차단장치
KR100835001B1 (ko) 커튼 개폐장치
JP3475871B2 (ja) ゲート装置
JPH0754542A (ja) 間仕切ドアの駆動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