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8039A - 커튼 개폐 장치 및 커튼 개폐 시스템 - Google Patents

커튼 개폐 장치 및 커튼 개폐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8039A
KR20220048039A KR1020227010274A KR20227010274A KR20220048039A KR 20220048039 A KR20220048039 A KR 20220048039A KR 1020227010274 A KR1020227010274 A KR 1020227010274A KR 20227010274 A KR20227010274 A KR 20227010274A KR 20220048039 A KR20220048039 A KR 202200480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tain
housing
closing device
opening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102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웨이 호우
지첸 리
양 판
궈후이 리우
차오 마
창하이 랴오
Original Assignee
워안 테크놀로지 (선전)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워안 테크놀로지 (선전)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워안 테크놀로지 (선전)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200480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80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H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 A47H1/00Curtain suspension devices
    • A47H1/04Curtain ra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H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 A47H5/00Devices for drawing draperies, curtains, or the like
    • A47H5/02Devices for opening and closing curtai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H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 A47H5/00Devices for drawing draperies, curtains, or the like
    • A47H5/02Devices for opening and closing curtains
    • A47H5/032Devices with guiding means and draw cords
    • A47H5/0325Devices with guiding means and draw cords using electrical or electronical drive, detecting or controlling mea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34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 H02J7/35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with light sensitive cel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H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 A47H13/00Fastening curtains on curtain rods or rails
    • A47H13/04Fastening curtains on curtain rods or rails by hooks, e.g. with additional run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urtains And 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튼 개폐 장치(100) 및 커튼 개폐 시스템을 제공하며, 이 중, 상기 커튼 개폐 장치(100)는 본체(10) 및 롤러 기구(20)를 포함하며, 본체(10)는 내강(11)를 갖는 하우징(12)과, 내강(11)에 장착되어 부분적으로 내강(11)의 외부로 돌출 구성된 구동 휠(13)과, 내강(11)에 구비되어 구동 휠(13)의 회전을 제어하는 모터(14)와, 내강(11)에 위치하여 모터(14)의 개폐를 제어하는 컨트롤러(15), 및 컨트롤러(15)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모터(14)의 개폐 신호를 접수하는 신호 송수신 모듈(16)을 포함하며, 구동 휠(13)은 커튼을 커튼 레일(30)의 연장 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사용되며; 롤러 기구(20)는 하우징(12)에 장착되며, 롤러 기구(20)는 하우징(12)의 일단에서 멀어지게 커튼 레일(30) 상에 걸어서 구성하며, 구동 휠(13)을 커튼 레일(30)의 외측벽에 압착한다. 이와 같은 커튼 개폐 장치는 설치 시, 롤러 기구를 커튼 가이드 레일에 직접 걸어서 구성하여 설치 시 보조용 도구가 필요하지 않으며, 작업이 간편해지고 비용도 절감된다.

Description

커튼 개폐 장치 및 커튼 개폐 시스템
본 발명은 스마트 홈의 기술 분야에 관한 것이며, 특히 커튼 개폐 장치 및 커튼 개폐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기존 기술의 경우, 대부분의 커튼은 수동으로 개폐되어 제어가 번거롭고 사용자의 쾌적한 사용성이 떨어진다.
커튼의 지능화 제어는 스마트 홈 분야의 중요한 구성 부분으로, 현재, 사용자의 사용 상 쾌적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시중에 커튼의 개폐를 전기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전동 커튼이 출시되었지만 기존의 전동커튼은 사용 현장에 전용 커튼 레일 및 모터를 번거롭게 설치해야 하고, 비용 투입도 크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단점을 극복하고, 기존 전동커튼의 복잡한 설치 및 비용 투입이 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커튼 개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커튼 개폐 장치를 포함하는 커튼 개폐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한 목적에서 다음을 실현하기 위한 기술 방안을 채택한다.
커튼 개폐 장치는 커튼 레일 상에 설치되어 커튼의 개폐를 제어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커튼 개폐 장치는:
내강을 구비한 하우징과, 상기 내강에 장착되어 부분적으로 상기 내강 밖으로 돌출 구성되며 상기 커튼을 상기 커튼 레일의 연장 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추진하는 구동 휠과, 상기 내강에 구성되어 상기 구동 휠의 회전을 제어하는 모터와, 상기 내강에 위치하여 상기 모터의 스위치를 제어하는 컨트롤러, 및 상기 컨트롤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모터의 스위치 신호를 접수하는 신호 송수신 모듈을 포함하는 본체;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고, 상기 하우징의 일단과 멀어지게 상기 커튼 레일 상에 걸어서 구성되며, 상기 구동 휠을 상기 커튼 레일의 외측벽에 압착하여 구성하는 롤러 기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롤러기구는 상기 하우징과 연결되는 장착 시트, 상기 장착 시트와 연결되는 탄성 조립체, 및 상기 탄성 조립체가 상기 커튼 레일을 향한 일측에 구성된 롤러 조립체를 포함하며, 상기 롤러 조립체는 상기 커튼 레일에 걸어 구성되며, 상기 탄성부재는 연결봉 및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봉의 일단은 상기 롤러 조립체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장착 시트와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장착 시트 내부에 위치되며,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연결봉 외부에 슬리빙으로 구성되어 상기 구동 휠을 상기 커튼 레일 위에 압착하는 데 사용된다.
또한, 상기 장착 시트는 제1 챔버와, 상기 제1 챔버의 상기 롤러 조립체로부터 멀어지는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1 챔버와 연통되는 제2 챔버, 및 상기 제1 챔버의 상기 롤러 조립체에 일측에 접근하여 상기 제1 챔버와 연통되는 관통 홀로 구성되며,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제1 챔버에 수납되며, 상기 연결봉은 상기 관통 홀, 상기 제1 챔버 및 상기 제2 챔버를 관통 이동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장착 시트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 슬롯은 하우징에 함몰 구성된다.
또한, 상기 장착 슬롯은 상기 하우징의 중앙에 위치하며, 상기 하우징 상에 상기 장착 슬롯과 연통되어 상기 연결봉이 통과하도록 요홈이 구성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제1 하우징과 상기 제1 하우징에 연결되는 제2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이 둘러싸여 상기 내강, 상기 장착 슬롯 및 상기 요홈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장착 시트는 상기 장착 슬롯에 설치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구성되는 장착 시트 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장착 시트 본체는 제1 본체부 및 상기 제1 본체부와 탈착 가능하게 연결된 제2 본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본체부와 제2 본체부가 둘러싸면서 상기 제1 챔버, 상기 제2 챔버 및 상기 관통 홀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장착 슬롯은 2개를 구성하며, 상기 2개의 장착 슬롯은 상기 하우징의 대향 양측에 각각 구성되며, 상기 장착 슬롯별로 내부에 상기 장착 시트 1개씩 장착한다.
또한, 상기 장착 시트는 장착 슬롯에 장착되거나 또는 상기 장착 시트는 탈착 가능하게 상기 장착 슬롯 상에 장착된다.
또한, 상기 본체는 상기 모터를 설치하기 위해 개설된 수납 챔버에 구성된 모터 커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모터 커버는 상기 내강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수납 챔버의 내측벽에는 상기 모터가 상기 모터 커버에 대한 회동을 방지해 주는 제1 리미트면을 구성하며, 상기 모터의 외측벽 상에 상기 제1 리미트면에 배합하는 제2 리미트면이 구성된다.
또한, 상기 본체는 상기 구동 휠의 외부에 슬리빙으로 구성되어 마찰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미끄럼 방지 슬리브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커튼 개폐 장치는 상기 모터, 상기 컨트롤러 및 신호 송수신 모듈에 전력을 공급해 주기 위해 상기 하우징 내부에 장착되는 배터리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커튼 개폐 장치는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데 사용되는 태양광 패널을 더 포함하며, 상기 태양광 패널은 상기 컨트롤러를 통해 상기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 롤러 조립체는 브래킷과, 상기 브래킷에 장착되어 상기 커튼 레일과 롤링 가능하게 연결되는 2개의 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브래킷은 상기 연결봉과 연결하기 위한 수평판과, 상기 수평판 양단에 이격되게 돌출 구성된 수직판 2개를 포함하며, 상기 2개의 수직판의 대향된 2개의 내측벽 상에 각각 1개의 상기 롤러를 구성한다.
또한, 상기 연결봉은 상기 탄성부재가 슬리빙으로 구성되는 로드바디와, 상기 로드바디가 상기 롤러 조립체 일단을 향한 위치에 있는 후크를 포함하며, 상기 롤러 조립체는 상기 수평판으로부터 상기 연결봉 일측으로 돌출 구성된 돌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돌기부는 상기 후크와 배합하는 개구부를 관통 구성하며, 상기 롤러 조립체는 상기 후크와 상기 개구부의 배합을 통해 상기 연결봉과 탈착 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상기 브래킷은 탄성을 가진다.
또한, 상기 롤러 조립체는 상기 고정축과 상기 고정축의 양단에 각각 설치된 2개의 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롤러는 상기 커튼 레일에 롤링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고정축은 상기 연결봉을 관통하여 상기 커튼 레일의 일단 향한다.
또한, 상기 고정축은 상기 연결봉을 관통하는 샤프트 및 상기 샤프트 양단에 위치하여 상기 롤러의 위치를 제한하는 볼록 링을 포함한다.
또한, 2개의 상기 롤러가 배향된 2개의 측벽 상에 상기 볼록 링을 수납하기 위한 캐비티를 구성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에서, 다음의 기술 방안을 채택한다:
커튼 개폐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커튼 개폐 장치와, 커튼 개폐 장치의 작동 또는 정지를 제어하는 원격 제어 단말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에 비해: 하우징, 구동 휠, 모터, 컨트롤러 및 신호 송수신 모듈을 포함하도록 본체를 구성하여, 롤러 기구가 커튼 레일 상에 걸려 구성될 시, 구동 휠을 커튼 레일의 외측벽 상에 압착하며, 모터가 시동되면 구동 휠이 작동되면서 커튼 레일 상에서 롤링 이동하며, 구동 휠은 전체 커튼 개폐 장치가 커튼 레일의 연장 방향을 따라 이동하게 하며, 커튼 개폐 장치 설치 시, 롤러 기구를 커튼 레일 상에 직접 걸어서 구성하여 설치 시 보조용 도구가 필요하지 않으며, 설치작업이 간편해지고 비용도 절감되는 유익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커튼 개폐 장치와 커튼 레일의 조립 개략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커튼 개폐 장치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하우징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하우징의 분해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제2 하우징, 구동 휠, 미끄럼 방지 커버, 모터 및 모터 커버의 분해 개략도;
도 6은 도 2에 도시된 롤러 기구의 구조 개략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롤러 기구의 분해 개략도;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커튼 레일의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제2 하우징, 컨트롤러, 태양광 패널, 배터리, 신호 송수신 모듈 및 충전 모듈의 분해 개략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커튼 개폐 장치와 커튼 레일의 조립 개략도;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롤러 기구의 분해 개략도;
도 12는 도 10에 도시된 커튼 레일의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 및 구체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다음과 같이 더 상세하게 설명하며, 상충 되지 않는 전제 하에 아래에 기재된 각 실시예 사이 또는 각 기술적 특징 사이는 임의 조합을 통해 새로운 실시예를 형성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모든 방향성 관련 기재(예: 위, 아래, 왼쪽, 오른쪽, 앞, 뒤, 내부, 외부, 정상, 밑...)는 특정 형태(예: 첨부된 도면과 같이)에서 부품간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며, 만약 이와 같은 특정 형태가 변경되면, 이와 같은 방향성 지시도 대응되게 변경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에서 한 소자가 다른 소자에 "고정"되거나 “구성”되는 것으로 언급될 경우, 이와 같은 소자는 다른 소자 상에 직접 존재하거나 또는 중간에 위치한 소자가 동시에 존재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에서 한 소자가 다른 소자에 "연결"되는 것으로 간주될 경우, 이와 같은 소자가 다른 소자에 직접 연결되거나 중간에 위치한 소자가 동시에 존재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실시예1: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커튼 개폐 시스템은 커튼 개폐 장치(100)와, 커튼 개폐 장치(100)의 작동 또는 정지를 제어하는 원격 제어 단말을 포함하며, 커튼 개폐 장치(100)는 본체(10) 및 롤러 기구(20)를 포함하며, 본체(10)는 내강(11)를 갖는 하우징(12), 내강(11)에 장착되어 부분적으로 내강(11)의 외부로 돌출 구성된 구동 휠(13), 내강(11)에 구비되어 구동 휠(13)의 회전을 제어하는 모터(14), 내강(11)에 위치하여 모터(14)의 개폐를 제어하는 컨트롤러(15), 및 컨트롤러(15)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모터(14)의 개폐 신호를 접수하는 신호 송수신 모듈(16)을 포함하며, 구동 휠(13)은 커튼을 커튼 레일(30)의 연장 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사용되며; 롤러 기구(20)는 하우징(12)에 장착되며, 롤러 기구(20)는 하우징(12)의 일단에서 멀어지게 커튼 레일(30) 상에 걸어서 구성하며, 구동 휠(13)을 커튼 레일(30)의 외측벽에 압착한다.
본 실시예는 'I'자형 커튼 레일(30)을 채택하며, 천판(31), 천판(31)의 하위에 이격되게 구성되는 밑판(32), 및 천판(31)과 밑판(32) 사이에서 수직되게 연결되는 연결판(33)을 포함하며, 연결판(33)은 천판(31) 및 밑판(32)과 함께 둘러싸여, 노치가 서로 배향된 2개의 슈트(34)를 구성하며, 커튼 개폐 장치(100) 설치 시, 2개의 슈트(34)를 통해 롤러 기구(20)를 커튼 레일(30) 상에 직접 걸어 주어, 전체 커튼 개폐 장치(100) 전체를 커튼 레일(30) 상에 걸어 구성해 주고, 본체(10)의 구동 휠(13)을 천판(31)에서 멀어지는 밑판(32)의 일측에 압착 구성하며, 신호 송수신 모듈(16)이 원격 제어 단말의 작동 신호를 수신하면, 컨트롤러(15)는 모터(14)가 정방향, 역방향 회전 또는 회전을 정지하도록 제어해 주며, 모터(14)가 회전한 후, 구동 휠(13)이 밑판(32) 상에서 이동하도록 구동되고, 전체 본체(10)도 함께 이동하게 하며, 본체(10)는 롤러 기구(20)가 슈트(34)의 연장 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추진해 주며, 즉, 이를 통해 커튼의 개폐를 구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디자인 방식은 커튼 개폐 장치(100)를 커튼 레일(30) 상에 직접 걸어서 구성하여, 설치 시 보조용 도구가 필요하지 않으며, 설치작업이 간편해지고 비용도 절감된다. 또한, 원격 제어 단말이 고장나거나 사용자가 원격 제어 단말을 사용하는 데 불편한 경우, 사용자는 수동으로 커튼 개폐 장치(100)의 이동을 제어하여 커튼의 개폐를 실현할 수 있고 사용자도 더욱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신호 송수신 모듈(16)은 컨트롤러(15) 상에 설치되고, 컨트롤러(15)에는 충전 모듈(17)이 더 구성된다.
원격 제어 단말은 커튼 개폐 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해 전문 사용되는 리모콘일 수도 있고, 휴대폰과 같은 지능형 전자 장치일 수도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대한 개선 방식 중 하나로, 롤러 기구(20)는 탄성 조립체(21), 롤러 조립체(22) 및 장착 시트(23)를 포함하며, 장착 시트(23)는 하우징(12)에 연결되며, 롤러 조립체(22)는 커튼 레일(30) 상에 걸어 구성하며, 탄성 조립체(21)는 연결봉(211) 및 탄성부재(212)를 포함하며, 연결봉(211)의 일단은 롤러 조립체(22)와 연결되고, 타단은 장착 시트(23)와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탄성부재(212)는 장착 시트(23) 내부에 위치하며, 탄성부재(212)는 연결봉(211)의 외부에 슬리빙으로 구성되어, 구동 휠(13)을 커튼 레일(30) 상에 압착 구성하는 데 사용된다.
탄성 조립체(21) 및 롤러 조립체(22)를 포함하도록 롤러 기구(20)를 구성하며, 탄성 조립체(21)는 연결봉(211) 및 탄성 부재(212)를 포함하며, 탄성 부재(212)는 바람직하게는 스프링을 채택하고 연결봉(211) 외부에 슬리빙으로 구성되며, 스프링이 압축된 후 연결봉(211)은 하우징(12)을 향한 회복력을 갖추게 되며, 장착 시트(23)는 회복력의 작용에 의해 커튼 레일(30) 쪽으로 이동하게 되며, 하우징(12)도 함께 이동하여, 구동 휠(13)을 커튼 레일(30)의 밑판(32) 상에 압착한다.
본 실시예에 대한 개선 방식의 하나로, 장착 시트(23) 상에 제1 챔버(231)와, 상기 제1 챔버(231)가 롤러 조립체(22)로부터 멀어지는 일측에 구성되고 제1 챔버(231)와 연통되는 제2 챔버(232), 및 제1 챔버(231)가 롤러 조립체(22)와 가까운 일측에 구성되고 제1 챔버(231)와 연통되는 관통 홀(233)로 구성되며, 탄성 부재(212)는 제1 챔버(231)에 수납되고, 연결봉(211)은 이동 가능하게 관통 홀(233), 제1 챔버(231) 및 제2 챔버(232)에 관통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챔버(231), 제2 챔버(232) 및 관통 홀(233)을 장착 시트(23) 내부에 설치하며, 제2 챔버(232) 및 관통 홀(233)은 각각 제1 챔버(231)의 대향 양측에 위치하면서 전부 제1 챔버(231)와 연통되며, 탄성부재(212)는 제1 챔버(231) 내부에 수납되며, 연결봉(211) 상에 스토퍼(234)를 돌출 구성하며, 연결봉(211)은 관통 홀(233), 제1 챔버(231) 및 제2 챔버(232)와 이동 가능하게 관통 구성되며, 탄성부재(212)의 일단은 롤러 조립체(22)에 가까운 제1 챔버(231)의 내벽에 접하고 타단은 스토퍼(234)와 접하여 커튼 개폐 장치(100) 장착 시, 사용자가 커튼 레일(30)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장착 시트(23)를 당기면, 연결봉(211)과 롤러 조립체(22)가 연결되기 때문에, 장착 시트(23)는 연결봉(211)에 대하여 커튼 레일(3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스프링을 압축하며, 사용자가 당김을 멈추면, 스프링은 자체 탄력의 작용에 의해 장착 시트(23)를 커튼 레일(30) 방향으로 밀어 주며, 장착 시트(23)는 하우징(12)도 함께 이동하도록 추진하여, 구동 휠(13)을 커튼 레일(30) 상에 압착해 주어 커튼 개폐 장치(100)가 안정적으로 실행할 수 있도록 보장해 주며, 또한, 스프링 자체가 일정한 신축성을 가지고 있어 커튼 개폐 장치(100)는 다양한 두께의 커튼 레일(30)에 적용되어 커튼 개폐 장치(100)의 실용적인 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개선 방식의 하나로, 장착 시트(23)를 위한 장착 슬롯(121)은 하우징(12) 상에 함몰 구성된다. 장착 슬롯(121) 내부에 장착 시트(23)를 설치하여, 커튼 개폐장치(100)의 전체적인 구조가 컴팩트하게 개선된다.
본 실시예의 개선 방식의 하나로, 장착 슬롯(121)은 하우징(12)의 중앙에 위치하며, 하우징(12) 상에 장착 슬롯(121)과 연통된 요홈(122)이 형성되어 연결봉(211)을 관통하는 데 사용된다. 연결봉(211)이 통과하도록 하우징(12)에 요홈(122)을 구성하여, 하우징(12)이 연결봉(211)에 대해 이동하는 과정에서, 연결봉(211)은 하우징(12)에 대한 안내 역할을 하여 이동의 안정성을 확보한다.
본 실시예에 대한 개선 방식의 하나로, 하우징(12)은 제1 하우징(123) 및 제1 하우징(123)에 연결되는 제2 하우징(124)을 포함하며, 제1 하우징(123)과 제2 하우징(124)에 둘러싸여 내강(11), 장착 슬롯(121), 및 요홈(122)을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하우징(123)과 제2 하우징(124)을 포함하도록 하우징(12)을 구성하며, 제1 하우징(123)과 제2 하우징(124)에 둘러싸여 내강(11), 장착 슬롯(121) 및 요홈(122)을 형성하여, 커튼 개폐 장치(100)의 조립이 용이해 지며; 제1 하우징(123)은 나사 또는 볼트로 제2 하우징(124)과 고정 연결되어, 커튼 개폐 장치(100)의 구조적 신뢰성을 확보한다.
본 실시예에 대한 개선 방식의 하나로, 장착 시트(23)는 장착 슬롯(121)에 설치된 하우징(235)과 하우징(235) 내부에 설치된 장착 시트의 본체(236)를 포함하며, 장착 시트의 본체(236)는 제1 본체부(2361)와, 제1 본체부(2361) 와 탈착 가능하게 연결된 제2 본체부(2362)를 포함하며, 제1 본체부(2361) 및 제2 본체부(2362)에 둘러싸여 제1 챔버(231), 제2 챔버(232) 및 관통 홀(233)을 형성한다.
하우징(235) 및 장착 시트 본체(236)를 포함하도록 장착 시트(23)를 구성하며, 장착 시트 본체(236)는 제1 본체부(2361)와 제2 본체부(2362)을 포함하며, 제1 본체부(2361) 및 제2 본체부(2362)에 둘러싸여 제1 챔버(231), 제2 챔버(232) 및 관통 홀(233)을 형성하며,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장착 시트(23)와 탄성 부품(21)의 조립이 용이해지고, 케이스(235)도 장착 시트 본체(236)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여, 커튼 개폐 장치(100)의 수명을 연장해 준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케이스(235)는 제1 본체부(2361)를 수납하기 위한 제1 수납부(2351)와 제2 본체부(2362)를 수납하기 위한 제2 수납부(2352)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대한 개선 방식의 하나로, 2개의 장착 슬롯(121)을 구성하며, 2개의 장착 슬롯(121)은 각각 하우징(12)의 대향 양측에 각각 구성되며, 장착 슬롯(121)별로 내부에 1개의 장착 시트(23)를 설치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구동 휠(13)을 커튼 레일(30) 상에 압착 구성하도록 보장할 수 있다.
장착 시트(23)의 개수는 2개로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1개 또는 다수개도 가능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대한 개선 방식의 하나로, 롤러 조립체(22)는 브래킷(221)과, 브래킷(221)에 장착되어 커튼 레일(30)과 롤링 가능하게 연결되는 2개의 롤러(222)를 포함하며, 브래킷(221)은 탄성을 가지며, 브래킷(221)은 연결봉(211)과 연결하기 위해 사용되는 수평판(223)과 수평판(223)의 양단에 각각 돌출되게 구성된 2개의 수직판(224)을 포함하며, 2개의 수직판(224)의 대향하는 2개의 내측벽 상에 각각 1개의 롤러(222)를 구성하며; 브래킷(221)은 탄성을 가진다.
브래킷(221)과 롤러(222)를 포함하도록 롤러 조립체(22)를 구성하며, 브래킷(221)은 수평판(223)과 2개의 수직판(224)을 포함하며, 2개의 수직판(224)은 대향하는 내측벽 상에 각각 1개의 롤러(222)를 구성하며, 브래킷(221)은 일정한 탄성을 가지고 있어, 롤러 조립체(22)를 커튼 레일(30) 상에 설치할 때 2개의 수직판(224)을 일정한 각도로 외부로 벌려주어, 2개의 롤러(222) 사이의 거리가 밑판(32)의 폭보다 크도록 하며, 롤러(222)를 커튼 레일(30) 내에 직접 끼워 넣어, 롤러 조립체(22)의 설치를 편리하도록 하며, 롤러 조립체(22)가 상이한 폭 사이즈를 가진 커튼 레일(30)에도 적용될 수 있어, 롤러 조립체(22)의 실용성을 높여 준다.
본 실시예에 대한 개선 방식의 하나로, 연결봉(211)은 탄성부재(212)가 슬리빙으로 구성하는 로드바디(213)와, 상기 로드바디(213)의 롤러 조립체(22)를 향한 일단에 위치하는 후크(214)를 포함하며,롤러 조립체(22)는 수평판(223)의 연결봉(211)을 향한 일측에 고정되는 돌기부(225)를 더 포함하며, 돌기부(225)는 후크(214)와 배합하는 개구부를 관통 구성하며, 롤러 조립체(22)는 후크(214)와 개구부의 배합을 통해 연결봉(211)과 탈착 가능하게 연결된다.
로드바디(213)와 후크(214)를 포함하도록 연결봉(211)을 구성하며, 롤러 조립체(22)는 수평판(223)에 구성되는 돌기부(225)를 더 포함하고, 돌기부(225)에는 후크(214)와 배합하기 위한 개구부가 구성되어, 연결봉(211)과 롤러 조립체(22)의 연결방식이 간편해져 조립이 용이하며, 롤러(222)는 롤러 조립체(22)와 커튼 레일(30) 사이의 마찰력을 감소시켜 커튼 개폐 장치(100)가 커튼 레일(30)의 연장 방향을 따라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으며, 커튼 레일(30)의 폭 사이즈에 따라 적절한 롤러 기구(20)를 선택할 시, 롤러 조립체(22)만 교체하면 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장착 시트(23)는 장착 슬롯(121)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어, 사용자는 전체 롤러 기구(20) 또는 롤러 조립체(22)만을 교체하도록 선택할 수 있다.
장착 시트(23)는 장착 슬롯(121)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장착 슬롯(121) 내부에 고정 장착될 수도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대한 개선 방식의 하나로, 본체(10)는 모터(14)를 설치하기 위해 수납챔버를 갖는 모터 커버(18)를 더 포함하며, 모터 커버(18)는 내강(11)에 고정 설치되고, 수납챔버의 내측벽 상에 모터(14)가 모터 커버(18)에 대해 회동하는 것을 방지해 주는 제1 리미트면(181)을 구성하며, 모터(14)의 외측벽 상에 제1 리미트면(181)에 배합하는 제2 리미트면(141)을 구성한다.
모터 커버(18) 상에 제1 리미트면(181)을 구성하고, 모터(14)의 외측벽에 제2 리미트면(141)을 구성하되, 제1 리미트면(181)과 제2 리미트면(141)은 모두 평면이며, 제1 리미트면(181)과 제2 리미트면(141)의 배합을 통해 모터(14)가 모터 커버(18)에 대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여 모터(14)의 안정성을 개선하며, 제1 리미트면(181) 및 제2 리미트면(141)은 구조가 단순하여 생산 및 성형이 편리해진다.
모터(14)와 모터 커버(18) 사이는 모터(14)와 모터 커버(18)가 직접 접착 고정되거나 다른 기계적 수단에 의해 고정될 수 있는 경우와 같이 위에서 언급한 평면 리미트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대한 개선 방식의 하나로, 본체(10)는 마찰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구동 휠(13)의 외부에 슬리빙으로 구성된 미끄럼 방지 슬리브(19)를 더 포함한다. 미끄럼 방지 슬리브(19)를 구동 휠(13)의 외측에 구성하여, 구동 휠(13)과 커튼 레일(30) 사이의 마찰력을 증가시켜 구동 휠(13)의 슬라이딩 현상을 방지하여, 커튼 개폐 장치(100)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본 실시예에 대한 개선 방식의 하나로, 커튼 개폐 장치(100)는 모터(14), 컨트롤러(15) 및 신호 송수신 모듈(16)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하우징(12) 내부에 설치되는 배터리(40)를 더 포함한다. 하우징(12) 내부에 배터리(40)를 구성하고, 배터리(40)는 바람직하게 충전식 배터리를 채택하여, 커튼 개폐 장치(100)는 자체 전원을 갖춰 외부 전원을 연결할 필요가 없어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대한 개선 방식의 하나로, 커튼 개폐 장치(100)는 배터리(40)를 충전하기 위한 태양광 패널(50)을 더 포함하고, 태양광 패널(50)은 컨트롤러(15)를 통해 배터리(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배터리(40)와 연결되는 태양광 패널(50)을 구성하여, 태양광 패널(50)은 태양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전환한 후 저장하여, 충전 모듈(17)을 통해 배터리(40)에 충전될 수 있기에 사용자는 배터리를 교체할 필요가 없어지고, 사용자가 더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다.
구체적인 설치/탈착 과정은 다음과 같다:
설치 시 먼저 커튼 레일(30) 사이즈에 따라 적당한 규격의 롤러 조립체(22) 2개를 선택하여 후크(214)와 돌기부(225)의 배합을 통해 연결봉(211) 상에 장착한 후 브래킷(221)의 탄성을 이용하여 2개의 수직판(224)을 외측으로 벌려주어, 롤러(222)를 커튼 레일(30)에 직접 끼워넣어 준 후 하우징(12)을 수평으로 잡아 당겨주며, 같은 방식을 적용하여 다른 한 롤러 조립체(22)의 롤러(222)를 커튼 레일(30)에 끼워넣어 설치를 완료한다.
탈착 시, 1개 브래킷(221) 상의 2개의 수직판(224)을 외측으로 벌려주어, 롤러 조립체(22)가 커튼 레일(30)과 분리되도록 한 후, 같은 방법을 사용하여 다른 한 롤러 조립체(22)를 커튼 레일(30)로부터 분리하여 해체를 완료한다.
실시예2: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커튼 개폐 장치(200)가 실시예1에서 제공되는 커튼 개폐 장치(100) 와 상이한 점이라면, 주로 적용되고 있는 커튼 레일의 종류가 상이하여 롤러 기구(20')의 구조가 상이하다는 데서 구현되며,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커튼 레일(60)은 천판(61)과, 천판(61)의 양측에서 아래로 연장되는 2개의 측판(62)과, 및 2개의 측판(62)이 천판(61)과 멀어지는 단부로부터 대향 연장되는 밑판(63)을 포함하며, 2개의 밑판(63) 사이에 일정한 거리를 두며, 천판(61), 1개의 측판(62) 및 1개의 밑판(63)이 둘러싸여 1개의 슈트(64)를 형성하도록 구현한다.
롤러 조립체(70)는 고정축(71)과 롤러(72)를 포함하며, 고정축(71)은 연결봉(80)을 관통하여 커튼 레일(60)의 일단을 향하며, 고정축(71)의 양단에는 각각 롤러(72) 1개씩 설치되며, 롤러(72)는 슈트(64) 내부에 위치되어 밑판(63) 위에서 롤링 이동 가능하며, 고정축(71)은 샤프트(73) 및 샤프트(73)의 양단에 위치하여 롤러(72)의 위치를 한정하는 볼록 링(74)을 포함하며, 볼록 링(74) 상에 볼록 링(74)을 수납하기 위한 캐비티(75)을 구성한다. 롤러(72)는 롤러 조립체(70)와 커튼 레일(60) 사이의 마찰력을 감소시켜 커튼 레일(30)의 연장 방향을 따라 커튼 개폐 장치(200)의 이동을 용이하도록 한다.
구체적인 설치/탈착 과정은 다음과 같다:
설치 시, 우선, 커튼 레일(60)의 사이즈에 따라 적당한 사양의 롤러 기구(20') 2개를 선정하여, 이 중 롤러 기구(20') 하나를 하우징(12') 일측에 장착하고, 조립된 부품을 일정한 각도로 회전시켜, 롤러(72) 중심축이 커튼 레일(60)의 연장 방향과 평행되게 한 다음, 2개의 바닥 판(63) 사이의 틈을 통해 2개의 롤러(72)를 커튼 레일(60)에 끼워넣은 후 90° 회전해 주고, 수평되게 아래로 당겨주어 움지이지 않는 상태를 유지시켜 주며, 같은 방법으로 다른 한 롤러 기구(20')에 있는 롤러(72)를 커튼 레일(60)에 끼워넣고 90° 회전시켜 준 후, 하우징(12’)의 다른 일단에 장착하여 하우징에 대한 장착을 완료하거나;
또는, 2개의 롤러 기구(20')를 각각 커튼 레일(60)에 장착한 다음, 양측에서 2개의 롤러 기구(20')를 하우징(12')에 장착할 수 있다.
탈착 시, 우선 롤러 기구(20')를 하우징(12')으로부터 해체한 후, 롤러 기구(20')를 90° 회전시켜 주면 롤러 기구(20')가 커튼 레일(60)에서 분리되면서 탈착을 완료한다.
이상에서 언급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보호 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사용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에 기반하여 행하는 모든 비실질적인 변경 및 교체는 전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든다는 것은 자명하다.
도면에서: 100-커튼 개폐 장치;10-본체;20-롤러 기구;30-커튼 레일; 11-내강; 12- 하우징; 13-구동 휠;14-모터; 15-컨트롤러; 16-신호 송수신 모듈; 31-천판; 32-밑판; 33-연결판; 34-슈트; 17-충전 모듈; 21-탄성 조립체;22-롤러 조립체;211- 연결봉; 212-탄성부재; 23-장착 시트; 231-제1 챔버; 232-제2 챔버; 233-관통 홀; 234-스토퍼; 121-장착 슬롯; 122-요홈; 123-제1 하우징; 124-제2 하우징; 235-케이스; 236-장착 시트 본체; 2361-제1 본체부; 2362-제2 본체부; 2351-제1 수납부; 2352-제2 수납부; 221-브래킷; 222-롤러; 223-수평판; 224-수직판; 213-로드바디; 214-후크; 225-돌기부; 18-모터 커버; 181-제1 리미트면; 141-제2 리미트면; 19-미끄럼 방지 슬리브; 40-배터리; 50, 태양광 패널; 200- 커튼 개폐 장치; 60-커튼 레일; 61-천판; 62, 측판; 63-밑판; 64-슈트; 70-롤러 조립체; 71-고정축; 72-롤러; 80-연결봉; 73-샤프트; 74-볼록 링; 75-캐비티; 20'-롤러 기구; 12'-하우징.

Claims (20)

  1. 커튼 개폐 장치에 있어서,
    커튼 개폐 장치는 커튼 레일 상에 설치되어 커튼의 개폐를 제어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커튼 개폐 장치는:
    내강을 구비한 하우징과, 상기 내강에 장착되어 부분적으로 상기 내강 밖으로 돌출 구성되며 상기 커튼을 상기 커튼 레일의 연장 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추진하는 구동 휠과, 상기 내강에 구성되어 상기 구동 휠의 회전을 제어하는 모터와, 상기 내강에 위치하여 상기 모터의 스위치를 제어하는 컨트롤러, 및 상기 컨트롤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모터의 스위치 신호를 접수하는 신호 송수신 모듈을 포함하는 본체;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고, 상기 하우징의 일단과 멀어지게 상기 커튼 레일 상에 걸어서 구성되며, 상기 구동 휠을 상기 커튼 레일의 외측벽에 압착하여 구성하는 롤러 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 개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기구는 상기 하우징과 연결되는 장착 시트, 상기 장착 시트와 연결되는 탄성 조립체, 및 상기 탄성 조립체가 상기 커튼 레일을 향한 일측에 구성된 롤러 조립체를 포함하며, 상기 롤러 조립체는 상기 커튼 레일에 걸어 구성되며, 상기 탄성부재는 연결봉 및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봉의 일단은 상기 롤러 조립체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장착 시트와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장착 시트 내부에 위치되며,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연결봉 외부에 슬리빙으로 구성되어 상기 구동 휠을 상기 커튼 레일 위에 압착하는 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 개폐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시트는 제1 챔버와, 상기 제1 챔버의 상기 롤러 조립체로부터 멀어지는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1 챔버와 연통되는 제2 챔버와, 상기 제1 챔버의 상기 롤러 조립체에 일측에 접근하여 상기 제1 챔버와 연통되는 관통 홀로 구성되며,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제1 챔버에 수납되며, 상기 연결봉은 상기 관통 홀, 상기 제1 챔버 및 상기 제2 챔버를 관통 이동 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 개폐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시트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 슬롯은 하우징에 함몰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 개폐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슬롯은 상기 하우징의 중앙에 위치하며, 상기 하우징 상에 상기 장착 슬롯과 연통되어 상기 연결봉이 요홈을 통과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 개폐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제1 하우징과 상기 제1 하우징에 연결되는 제2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이 둘러싸여 상기 내강, 상기 장착 슬롯 및 상기 요홈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 개폐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시트는 상기 장착 슬롯에 설치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구성되는 장착 시트 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장착 시트 본체는 제1 본체부 및 상기 제1 본체부와 탈착 가능하게 연결된 제2 본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본체부와 제2 본체부가 둘러싸면서 상기 제1 챔버, 상기 제2 챔버 및 상기 관통 홀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 개폐 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슬롯은 2개를 구성하며, 상기 2개의 장착 슬롯은 상기 하우징의 대향 양측에 각각 구성되며, 상기 장착 슬롯별로 내부에 상기 장착 시트 1개씩 장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 개폐 장치.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시트는 장착 슬롯에 장착되거나 또는 상기 장착 시트는 탈착 가능하게 상기 장착 슬롯 상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 개폐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모터를 설치하기 위해 개설된 수납 챔버에 구성된 모터 커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모터 커버는 상기 내강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수납 챔버의 내측벽에는 상기 모터가 상기 모터 커버에 대한 회동을 방지해 주는 제1 리미트면을 구성하며, 상기 모터의 외측벽 상에 상기 제1 리미트면에 배합하는 제2 리미트면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 개폐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구동 휠의 외부에 슬리빙으로 구성되어 마찰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미끄럼 방지 슬리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 개폐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튼 개폐 장치는 상기 모터, 상기 컨트롤러 및 신호 송수신 모듈에 전력을 공급해 주기 위해 상기 하우징 내부에 장착되는 배터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 개폐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커튼 개폐 장치는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데 사용되는 태양광 패널을 더 포함하며, 상기 태양광 패널은 상기 컨트롤러를 통해 상기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 개폐 장치.
  1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 조립체는 브래킷과, 상기 브래킷에 장착되어 상기 커튼 레일과 롤링 가능하게 연결되는 2개의 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브래킷은 상기 연결봉과 연결하기 위한 수평판과, 상기 수평판 양단에 이격되게 돌출 구성된 수직판 2개를 포함하며, 상기 2개의 수직판의 대향된 2개의 내측벽 상에 각각 1개의 상기 롤러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 개폐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봉은 상기 탄성부재가 슬리빙으로 구성되는 로드바디와, 상기 로드바디가 상기 롤러 조립체 일단을 향한 위치에 있는 후크를 포함하고, 상기 롤러 조립체는 상기 수평판으로부터 상기 연결봉 일측으로 돌출 구성된 돌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돌기부는 상기 후크와 배합하는 개구부를 관통 구성하며, 상기 롤러 조립체는 상기 후크와 상기 개구부의 배합을 통해 상기 연결봉과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 개폐 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은 탄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 개폐 장치.
  1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 조립체는 상기 고정축과 상기 고정축의 양단에 각각 설치된 2개의 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롤러는 상기 커튼 레일에 롤링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고정축은 상기 연결봉을 관통하여 상기 커튼 레일의 일단 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 개폐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축은 상기 연결봉을 관통하는 샤프트 및 상기 샤프트 양단에 위치하여 상기 롤러의 위치를 제한하는 볼록 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 개폐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2개의 상기 롤러가 배향된 2개의 측벽 상에 상기 볼록 링을 수납하기 위한 캐비티를 각각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 개폐 장치.
  20. 커튼 개폐 시스템에 있어서,
    제1항 내지 제19항에 기재된 커튼 개폐 장치와, 상기 커튼 개폐 장치의 작동 또는 정지를 제어하는 원격 제어 단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 개폐 시스템.
KR1020227010274A 2019-10-12 2019-10-12 커튼 개폐 장치 및 커튼 개폐 시스템 KR2022004803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9/110846 WO2021068250A1 (zh) 2019-10-12 2019-10-12 窗帘开合装置及窗帘开合系统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8039A true KR20220048039A (ko) 2022-04-19

Family

ID=754376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10274A KR20220048039A (ko) 2019-10-12 2019-10-12 커튼 개폐 장치 및 커튼 개폐 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20265076A1 (ko)
JP (1) JP3236920U (ko)
KR (1) KR20220048039A (ko)
CN (1) CN215424061U (ko)
WO (1) WO202106825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211711A (zh) * 2022-05-27 2022-10-21 杭州威仕达机电科技有限公司 高集成度双驱动电动窗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38407A (zh) * 2020-08-14 2020-11-17 卧安科技(深圳)有限公司 窗帘开合装置
USD1014129S1 (en) * 2021-09-01 2024-02-13 Zhangzhou oter Intelligent Technology Co., Ltd Curtain controller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245917C (zh) * 2001-02-07 2006-03-22 株式会社横田 电动开闭窗帘装置
CN202287690U (zh) * 2011-09-02 2012-07-04 宁波耐巴浴具制造有限公司 一种电动窗帘总成
CN203676806U (zh) * 2014-01-07 2014-07-02 辽宁万泰科技发展股份有限公司 一种无线控制电动窗帘
US9801486B2 (en) * 2014-05-19 2017-10-31 Current Products Corp. Crossover bracket for drapery
CN204071635U (zh) * 2014-07-28 2015-01-07 重庆瑞坤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电动螺旋杆智能窗帘轨道
US20160066734A1 (en) * 2014-09-08 2016-03-10 Crestron Electronics, Inc. Drapery track system
CN109924849A (zh) * 2017-12-19 2019-06-25 张海港 一种电动窗帘
CN109171423A (zh) * 2018-11-16 2019-01-11 黎庆有 一种智能家用遥控电动窗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211711A (zh) * 2022-05-27 2022-10-21 杭州威仕达机电科技有限公司 高集成度双驱动电动窗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15424061U (zh) 2022-01-07
WO2021068250A1 (zh) 2021-04-15
US20220265076A1 (en) 2022-08-25
JP3236920U (ja) 2022-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048039A (ko) 커튼 개폐 장치 및 커튼 개폐 시스템
CN110962648B (zh) 一种电动车充电自动断电设备
WO2022237299A1 (zh) 窗帘开合器
WO2021068252A1 (zh) 窗帘开合装置及窗帘开合系统
CN102652642A (zh) 间隙充电自走式电动开合帘机
CN210310906U (zh) 一种新型多旋翼无人机重心固定结构
CN210204378U (zh) 一种电动窗帘轨道以及电机机组
CN209761295U (zh) 通用自动窗帘机
CN210733867U (zh) 一种具有智能防盗效果的充电装置
CN203729777U (zh) 用于推拉式门窗的电动开窗器
CN206650985U (zh) 一种电动叉车智能高频充电机用机壳
CN218105537U (zh) 一种手自一体窗帘主机及太阳能窗帘
CN216197422U (zh) 一种推拉窗自动开窗器
CN215015981U (zh) 窗帘无线驱动器
CN109640225A (zh) 一种玻璃
CN215154426U (zh) 新能源汽车用前保险杠组件
CN211606296U (zh) 一种开合帘窗帘电机
CN218734289U (zh) 一种便于使用的楼宇对讲机
CN219515971U (zh) 一种饮水机
CN211008235U (zh) 一种中空玻璃内置遮阳产品的太阳能驱动系统
CN116838215A (zh) 门窗助推设备、方法及门窗
CN219961090U (zh) 一种使用方便的智能拉珠窗帘控制器
CN216813899U (zh) 一种组合led电源的型材
CN217390429U (zh) 一种电动窗帘驱动结构
CN211422477U (zh) 电动防晒装置的驱动控制部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