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3489B1 -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조용 이동식 몰드 - Google Patents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조용 이동식 몰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3489B1
KR101653489B1 KR1020150049190A KR20150049190A KR101653489B1 KR 101653489 B1 KR101653489 B1 KR 101653489B1 KR 1020150049190 A KR1020150049190 A KR 1020150049190A KR 20150049190 A KR20150049190 A KR 20150049190A KR 101653489 B1 KR101653489 B1 KR 1016534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wire
mold
fixed
precast concrete
fram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91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재관
Original Assignee
피씨에스솔루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피씨에스솔루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피씨에스솔루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491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34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34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34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02Moulds with adjustable parts specially for modifying at will the dimensions or form of the moulded art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06Moulds with flexible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Cores, Or Mandr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작용 이동식 몰드에 관한 것으로, 전,후방프레임(101)(101')과 좌,우측프레임(201)(201')이 연결 고정되어 이루어지는 사각틀체(100)와; 상기 사각틀체(100) 내의 하부에 수평으로 연결 고정되는 격자상 받침대(110)와; 상기 격자상 받침대(110) 위에 설치되는 성형틀(300)과; 상기 성형틀(300)의 전,후면(301) 하부에 형성된 다수의 강선 구멍(301a)을 통과한 강선(303)이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전,후방프레임(101)(101')의 상부에 형성된 고정공(101a)으로 구성되어 이동식 몰드를 이동 가능하게 함과 더불어 적층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조 및 스팀 양생시 필요로 하는 공간을 최소화하면서도 대량으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를 제조할 수 있어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품의 가격을 저렴화하는 각별한 장점이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Description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조용 이동식 몰드{Removable mold for manufacturi ng precast concrete}
본 발명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조용 몰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몰드에 설치되는 성형틀을 교체하여 한가지 몰드로 다양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성형물을 제조할 수 있고, 몰드를 이동하여 적층 시킬 수 있어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조 공장의 제조 공간 및 양생 공간을 작게 함으로써 비용을 낮출 수 있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작용 이동식 몰드에 관한 것이다.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는, 공장에서 다양한 형태로 제작된 몰드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시킨 후 건설 현장에서 사용하는 콘크리트 부재를 말한다.
즉,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공법은, 공사현장에서 거푸집을 설치하고 철근을 배근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건축물을 완성하는 현장 타설 공법과는 달리 기둥, 보, 슬래브, 벽체와 같은 구조물들을 공장에서 제작한 후 공사현장으로 운반, 조립하여 건축물을 완성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는 사전 제작된 몰드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시킴에 따라 제조가 이루어지는데, 통상적으로 몰드는 반복되는 해체와 조립, 그리고 증기에 의한 양생을 견딜 수 있도록 충분한 내구성을 갖는 금속재로 제작된다. 종래에 개발된 기술로서 "프리캐스트 제작용 몰드"가 특허 제1353048호(특허문헌 1 참조)로서 등록특허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 제1353048호의 "프리캐스트 제작용 몰드"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쪽 또는 양쪽에 철근(20)의 단부가 일정길이만큼 노출되도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를 제작하는 몰드(A)에 있어서, 바닥에 놓이는 베드 테이블(32)과; 상기 베드 테이블(32)의 양 측면에 설치되는 측판(34)들과; 상기 베드 테이블(32) 및 측판(34)들의 안쪽에 배근되는 복수의 철근(20)들과; 상기 철근(20)들의 수와 위치에 맞게 통공(42)들이 형성되고, 상기 철근(20)들이 상기 통공(42)들에 삽입되는 플레이트(40)를 포함하며, 상기 철근(20)들이 삽입되기 위한 통공(42)들이 각각 형성되되, 상기 통공(42)들에 상기 철근(20)이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플레이트(40)를 기준으로 안쪽과 바깥쪽에 배치되며, 상호 암수체결에 의해 고정결합되는 콘(P)을 더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플레이트의 통공에 삽입, 결합되는 콘(P)이 암수결합에 의해 체결되어 고정됨으로써, 그 자체로서 이탈방지의 기능을 충분히 발휘하게 되어 별도의 고정 파이프를 필요로 하지 않는 등 그 구성이 간단하여 제작비가 적게 들고, 조립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갖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프리캐스트 제작용 몰드"는 한가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성형물만 제조할 수 있으며, 또한 이동이 불가능한 것이기 때문에 다양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몰드를 넓은 공간에 늘어 놓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야 하므로 공장에 넓은 공간을 필요로 하게 되고, 또한 스팀 양생시 양생시설 역시 커져야함으로 경제성이 저하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몰드에 설치되는 성형틀을 교체하여 한가지 몰드로 다양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성형물을 제조할 수 있고, 이동식 몰드를 이동하여 적층 시킬 수 있어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조 공장의 제조 공간 및 양생 공간을 작게 함으로써 제조비용을 낮출 수 있게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조용 이동식 몰드는, 전,후방프레임(101)(101')과 좌,우측프레임(201)(201')이 연결 고정되어 이루어지는 사각틀체(100)와; 상기 사각틀체(100) 내의 하부에 수평으로 연결 고정되는 격자상 받침대(110)와; 상기 격자상 받침대(110) 위에 설치되는 성형틀(300)과; 상기 성형틀(300)의 전,후면(301) 하부에 형성된 다수의 강선 구멍(301a)을 통과한 강선(303)이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전,후방프레임(101)(101')의 상부에 형성된 고정공(101a)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몰드에 설치되는 성형틀을 교체하여 한가지 몰드로 다양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성형물을 제조할 수 있고, 이동식 몰드를 이동하여 적층 시킬 수 있어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조 공장의 제조 공간 및 양생 공간을 작게 함으로써 제조비용을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프리캐스트 제작용 몰드의 일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조용 이동식 몰드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조용 이동식 몰드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조용 이동식 몰드의 사용상태도,
도 5은 도 4의 일부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 전,후방프레임의 다른 실시예 일부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작용 이동식 몰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조용 이동식 몰드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조용 이동식 몰드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조용 이동식 몰드의 사용상태도, 도 5은 도 4의 일부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 전,후방프레임의 다른 실시예 일부 단면도로서, 본 발명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조용 이동식 몰드는, 전,후방프레임(101)(101')과 좌,우측프레임(201)(201')이 연결 고정되어 이루어지는 사각틀체(100)와; 상기 사각틀체(100) 내의 하부에 수평으로 연결 고정되는 격자상 받침대(110)와; 상기 격자상 받침대(110) 위에 설치되는 성형틀(300)과; 상기 성형틀(300)의 전,후면(301) 하부에 형성된 다수의 강선 구멍(301a)을 통과한 강선(303)이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전,후방프레임(101)(101')의 상부에 형성된 고정공(101a)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전,후방프레임(101)(101')은 상부에 강선고정공(101a)이 형성된 강선고정판(102) 만으로 구성할 수 있는데, 이 경우에 상기 강선고정판(102)이 강선(303)의 인장력에 견딜 수 있도록 두께를 두껍게 하여 견고하게 형성하여야 한다.
또한, 상기 전,후방프레임(101)(101')은 상부에 강선고정공(101a)이 형성된 강선고정판(102)의 내측에 보강을 위하여 보강대(103)를 고정하고, 상기 보강대(103)의 내측 상부에는 강선지지공(104a)이 형성된 강선지지 브라켓(104)을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는데, 상기에서의 고정수단은 용접 고정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강선지지공(104a)이 형성된 강선지지 브라켓(104)을 다수개 사용하였으나, 상기 강선지지 브라켓(104)은 다수의 강선지지공(104a)이 형성된 1개의 긴 강선지지 브라켓(104)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 상기 강선고정판(102)과 보강대(103), 및 강선지지 브라켓(104)으로 구성되는 전,후방프레임(101)(101')은 전,후방 외측으로 1020도 경사지게 형성할 수 있는데, 상기와 같이 전,후방프레임(101)(101')을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하는 이유는, 상기 이동식 몰드에 강선(303)을 인장한 후 상기 전,후방프레임(101)(101')의 상부 고정공(101a)에 강선(303)고정하였을 때, 상기 전,후방프레임(101)(101')에 걸리는 인장력을 감소시켜 상기 전,후방프레임(101)(101')이 휘어지거나 손상되는 것을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격자상 받침대(110)는 상기 전방프레임(101)과 후방프레임(101') 사이의 하부에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연결 고정된 다수의 긴 사각강관(112)과; 상기 긴 사각강관(112)과 긴 사각강관(112), 및 상기 긴 사각강관(112)과 좌,우측프레임(201)(201')의 하부에 횡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연결 고정된 다수의 짧은 사각강관(113)으로 구성된다.
상기 긴사각강관(112)은 보강을 위하여 상기 긴사각강관(112)의 상,하면 중앙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보강판(115)이 용접으로 고정되어 있다.
상기 좌,우측프레임(201)(201')은 상기 좌,우측프레임(201)(201')의 저면을 보강하기 위하여 보강판(203)이 용접으로 고정하는데, 상기 좌,우측프레임(201)(201')의 저면을 보강형강(203)으로 보강하는 이유는 상기 좌,우측프레임(201)(201')의 저면에 컨베어 벨트가 설치되어 상기 컨베어 벨트의 이동용 바퀴에 상기 좌,우측프레임(201)(201')에 얹혀져서 이동하기 때문에 견고하게 보강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좌,우측프레임(201)(201')의 상면에는 일정간격을 두고 받침대(205)가 고정되어 상기 이동식 몰드를 적층할 시, 상기 받침대(205)가 상기 좌,우측프레임(201)(201')의 밑면을 받쳐서 적층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좌,우측프레임(201)(201')의 전,후 양단부 및 중간부에는 상기 이동식 몰드를 인양할 수 있는 고리(도시하지 않음)가 각각 설치되어 상기 이동식 몰드를 적층할 시 상기 6곳의 고리에 크레인의 로우프를 걸어 인양한다.
상기 성형틀(300)은 제작하고자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의 형상에 따라 용이하게 성형틀(300)을 교체 설치할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성형틀(300)은 콘크리트를 타설할 수 있도록 상부가 개구되며 바닥면과좌,우측면, 및 전,후면으로 조립 구성되어 상기 이동식 몰드에 설치된다.
상기 성형틀(300)의 전,후면(301)의 하부에는 상기 강선(303)이 삽입되는 다수의 관통공(301a)이 형성되고, 상기 성형틀(300)의 전,후,좌,우측면(301)에는 보강을 위하여 보강용 리브(302)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좌,우측프레임(201)(201')의 저면에는 켄베어 벨트가 설치되고, 상기 켄베어 벨트의 양단부에는 상기 켄베어 벨트의 구동으로 이동식 몰드를 이동시킬 수 있는 다수의 이동용 바퀴가 설치되어 있다.
다음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조용 이동식 몰드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상기 격자상 받침대(110)가 용접으로 하부에 연결 고정된 사각틀체(100)를 이동 가능 하도록 컨베어 벨트 위에 재치하고, 상기 사각틀체(100) 위에 성형하고자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조에 필요한 성형틀(300)을 재치한다.
다음, 상기 전,후방프레임(101)(101')의 상부에 형성된 강선고정공(101a)과 상기 전,후방프레임(101)(101')의 내측에 고정된 보강대(103)의 내측 상부에 고정된 강선지지 브라켓(104)에 형성된 강선지지공(104a), 및 상기 성형틀(300)의 전,후면 하부에 형성된 관통공(301a)을 통과시킨 다수의 강선(303)을 인장기로 인장시킨 후, 쐐기를 이용하여 상기 전,후방프레임(101)(101')의 강선고정공(101a)에 고정하고, 상기 성형틀(300) 내에 철근을 배근한 후, 성형틀(300) 내에 콘크리트(400)를 타설한다.
다음, 상기 컨베어 벨트의 이동용 바퀴를 구동시켜 이동식 몰드를 이동하여 스팀 양생장으로 상기 이동식 몰드를 이동시킨 후, 상기 이동식 몰드의 상기 좌,우측프레임(201)(201')의 전,후 양단부 및 중간부에 형성된 고리(도시하지 않음)에 인양용 로우프를 걸어 크레인으로 상기 이동식 몰드를 인양하여 적층한다.
다음, 상기 스팀 양생장에 적층된 다수의 이동식 몰드를 스팀 양생한 후, 상기 이동식 몰드에 재치된 조립식 성형틀(300)을 해체하면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성형물(401)의 제조가 완료되는 것이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 정되지 않고 발명의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0 : 사각틀체 101, 101': 전,후방프레임
101a : 강선고정공 102 : 강선고정판
103 : 보강대 104 : 강선지지브라켓
112 : 긴사각강관 113 : ?은사각강관
201, 201' : 좌우측프레임 205 : 받침대
300 : 성형틀 301 : 전,후면
301a : 강선구멍 303 : 강선

Claims (9)

  1. 삭제
  2. 전,후방프레임(101)(101')과 좌,우측프레임(201)(201')이 연결 고정되어 이루어지는 사각틀체(100)와; 상기 사각틀체(100) 내의 하부에 수평으로 연결 고정되는 격자상 받침대(110)와; 상기 격자상 받침대(110) 위에 설치되는 성형틀(300)과; 상기 성형틀(300)의 전,후면(301) 하부에 형성된 다수의 강선 구멍(301a)을 통과한 강선(303)이 고정될 수 있도록 상부에 고정공(101a)이 형성된 강선고정판(102)의 내측에 보강대(103)가 고정되고, 상기 보강대(103)의 내측 상부에는 강선지지공(104a)이 형성된 강선지지 브라켓(104)이 고정된 전,후방프레임(101)(101')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조용 이동식 몰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강선고정판(102)과 보강대(103), 및 강선지지 브라켓(104)으로 구성되는 전,후방프레임(101)(101')은 전,후방 외측으로 경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조용 이동식 몰드.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격자상 받침대(110)는 상기 전방프레임(101)과 후방프레임(101') 사이의 하부에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연결 고정된 다수의 긴 사각강관(112)과; 상기 긴 사각강관(112)과 긴 사각강관(112), 및 상기 긴 사각강관(112)과 좌,우측프레임(201)(201')의 하부에 횡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연결 고정된 다수의 짧은 사각강관(113)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조용 이동식 몰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긴사각강관(112)은 보강을 위하여 상기 긴사각강관(112)의 상,하면 중앙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보강판(115)이 용접으로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조용 이동식 몰드.
  6. 제 2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측프레임( 201)(201')은 상기 좌,우측프레임(201)(201')의 저면을 보강하기 위하여 보강형강(203)이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조용 이동식 몰드.
  7. 제 2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측프레임( 201)(201')의 상면에는 일정간격을 두고 받침대(205)가 고정되어 상기 이동식 몰드를 적층할 시, 상기 받침대(205)가 상기 좌,우측프레임(201)(201')의 밑면을 받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조용 이동식 몰드.
  8. 제 2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틀(300)은 상부가 개구되고, 상기 성형틀(300)의 전,후면(301)의 하부에는 상기 강선(303)이 삽입되는 다수의 관통공(301a)이 형성되고, 상기 성형틀(300)의 전,후,좌,우측면(301)에는 보강용 리브(302)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조용 이동식 몰드.
  9. 제 2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측프레임( 201)(201')의 저면에는 이동식 켄베어 벨트가 설치되고, 상기 이동식 켄베어 벨트의 양단부에는 상기 이동식 몰드를 이동시킬 수 있는 다수의 이동용 바퀴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조용 이동식 몰드.
KR1020150049190A 2015-04-07 2015-04-07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조용 이동식 몰드 KR1016534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9190A KR101653489B1 (ko) 2015-04-07 2015-04-07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조용 이동식 몰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9190A KR101653489B1 (ko) 2015-04-07 2015-04-07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조용 이동식 몰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3489B1 true KR101653489B1 (ko) 2016-09-01

Family

ID=569427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9190A KR101653489B1 (ko) 2015-04-07 2015-04-07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조용 이동식 몰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3489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01195A (zh) * 2017-12-19 2018-04-13 湘电重型装备有限公司 一种卧式水泥方涵模具设备
KR102142466B1 (ko) * 2020-03-17 2020-08-14 (주)대광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조용 장치
KR102213009B1 (ko) 2020-11-03 2021-02-05 민우산업(주)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제작장치 및 제작방법
KR102220309B1 (ko) * 2020-09-09 2021-03-03 화성산업주식회사 리브형 슬래브 제조장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리브형 슬래브
KR102283753B1 (ko) * 2021-02-01 2021-07-30 주식회사 태명실업 프리텐션 방식을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조를 위한 이동식 제조 형틀 및 그 제조 형틀을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의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27119A (ja) * 2001-10-22 2003-05-08 Penta Ocean Constr Co Ltd プレキャスト柱部材の製造方法及び製造用型枠
KR200324288Y1 (ko) * 2003-05-13 2003-08-25 권대영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제품 성형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27119A (ja) * 2001-10-22 2003-05-08 Penta Ocean Constr Co Ltd プレキャスト柱部材の製造方法及び製造用型枠
KR200324288Y1 (ko) * 2003-05-13 2003-08-25 권대영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제품 성형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01195A (zh) * 2017-12-19 2018-04-13 湘电重型装备有限公司 一种卧式水泥方涵模具设备
KR102142466B1 (ko) * 2020-03-17 2020-08-14 (주)대광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조용 장치
KR102220309B1 (ko) * 2020-09-09 2021-03-03 화성산업주식회사 리브형 슬래브 제조장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리브형 슬래브
KR102213009B1 (ko) 2020-11-03 2021-02-05 민우산업(주)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제작장치 및 제작방법
KR102283753B1 (ko) * 2021-02-01 2021-07-30 주식회사 태명실업 프리텐션 방식을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조를 위한 이동식 제조 형틀 및 그 제조 형틀을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3489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조용 이동식 몰드
KR101645462B1 (ko) 프리캐스트 가로보 제작방법 및 프리캐스트 가로보 시공방법
KR102236828B1 (ko) 선조립 벽체 모듈을 이용한 선조립 벽체의 시공 방법
KR102055012B1 (ko) 프리캐스트 격자형보 몰드의 탈형 장치
KR101886308B1 (ko) 역리브 피씨 슬래브 제조장치와 이의 제조 방법 및 역리브 피씨 슬래브
KR20090111590A (ko) 돔 구조물 축조공법
JP4108219B2 (ja) カルバートの構築方法
KR100402436B1 (ko) 복합부재 판넬과 유압 잭을 이용한 지하 구조물 시공법
WO2013161065A1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階段用の型枠装置、及び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階段の成形方法
KR100949785B1 (ko) 피씨 보 제작용 몰드
CN111823386A (zh) 层叠式预制混凝土设备管道井浇筑成型模具
KR102209116B1 (ko) 튜브를 이용한 철근이 관통하는 중공형 프리캐스트 부재의 제작방법
CN212385681U (zh) 层叠式预制混凝土设备管道井浇筑成型模具
KR101347556B1 (ko) 복부파형강판 콘크리트 합성아이빔 제작용 거푸집
CN107313541B (zh) 一种预制空心楼板模块的制作和施工方法
CN111319128A (zh) 一种预制罐模具及施工方法
KR101203190B1 (ko) 콘크리트용 거푸집
KR20090085798A (ko) 장원형 교각용 슬립폼 및 이를 이용한 수평근 배근방법
JP7145717B2 (ja) 建築物の構築方法
KR101924030B1 (ko) 수직몰드시스템을 이용한 프리캐스트 중공 벽체구조물 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벽체구조물 시공방법
CN112523243A (zh) 沉箱模板
JP6576204B2 (ja) スラブ構造の施工方法
KR101769452B1 (ko) 더블 월 피씨들 사이의 결합방법
JP2008150820A (ja) 壁コンクリート、壁コンクリートの製造方法及び壁コンクリートの施工方法
CN110952710B (zh) 一种设置免拆模的预制楼板及其生产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