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2466B1 -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조용 장치 - Google Patents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조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2466B1
KR102142466B1 KR1020200032386A KR20200032386A KR102142466B1 KR 102142466 B1 KR102142466 B1 KR 102142466B1 KR 1020200032386 A KR1020200032386 A KR 1020200032386A KR 20200032386 A KR20200032386 A KR 20200032386A KR 102142466 B1 KR102142466 B1 KR 1021424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table unit
unit
precast concret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23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방인식
Original Assignee
(주)대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광 filed Critical (주)대광
Priority to KR10202000323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24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24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24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02Moulds with adjustable parts specially for modifying at will the dimensions or form of the moulded art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00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 B28B1/14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simple casting, the material being neither forcibly fed nor positively compac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0002Auxiliary parts or elements of the moul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Cores, Or Mandr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조용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작하고자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의 형상에 따라 모듈식으로 구성된 성형몰드의 유닛의 수를 늘리거나 줄임으로써 성형몰드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며, 이에 따라 성형몰드가 안치되는 모듈식으로 구성된 인장테이블의 유닛의 수를 늘리거나 줄임으로써 인장테이블의 길이도 조절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강선이 삽입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작시 강선의 로스율을 최소화하며, 인장테이블에 형성된 이동부에 의해 성형몰드가 안착된 프레임부의 공정별 이동을 용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조용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조용 장치 {Device for Precast Concrete}
본 발명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조용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작하고자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의 형상에 따라 모듈식으로 구성된 성형몰드의 유닛의 수를 늘리거나 줄임으로써 성형몰드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며, 이에 따라 성형몰드가 안치되는 모듈식으로 구성된 인장테이블의 유닛의 수를 늘리거나 줄임으로써 인장테이블의 길이도 조절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강선이 삽입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작시 강선의 로스율을 최소화하며, 인장테이블에 형성된 이동부에 의해 성형몰드가 안착된 프레임부의 공정별 이동을 용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조용 장치에 관한 것이다.
프리캐스트 콘크리트(Precast Concrete, PC)란, 공장에서 고정 시설을 가지고, 기둥, 보, 바닥판 등의 부재를 철제 거푸집으로 만들어 양생시킨 기성 콘크리트 제품을 말한다.
이를 통해, 공사 현장에서 거푸집을 설치하고, 철근을 배근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해 양생에 이르기까지 과정을 생략할 수 있게 됨에 따라, 공사기간을 단축시키고, 공사비를 절감하며, 품질 관리를 용이하게 하고, 완성품의 내구성을 증대시키는 등의 이점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는 사전 제작된 몰드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시킴에 따라 제작이 이루어지는데, 통상적으로 몰드는 반복되는 해체와 조립, 그리고 증기에 의한 양생을 견딜 수 있도록 충분한 내구성을 갖는 철재로 제작될 필요가 있다.
또한, 몰드에 의해 제작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는 공사현장으로 운반되어 다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와 연결, 결합되거나 또는 현장타설 콘크리트와 연결,결합되기 위하여 일측 또는 양측에 철근이 노출되도록 제작된다.
도 1은 종래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작용 몰드(90)를 도시한 도면으로, 상기 몰드(90)는 바닥에 놓이는 베드 테이블(91)과, 측판(92)들로 구성되며, 해체와 조립의 편의성을 위하여 볼트 또는 클램프로 결합된다.
이와 같이 제작된 몰드(90) 내부에는 철근(R)이 배근되는데, 이때 배근되는 철근(R)의 단부는 전방 또는 후방에 노출되도록 함으로써, 현장타설 콘크리트 또는 다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와의 연결을 용이하게 한다.
그 다음에, 노출되는 철근(R)들의 수와 위치에 맞게 통공(931)들이 형성된 플레이트(93)를 구비하고, 상기 플레이트(93)의 통공(931)들에 철근(R)들의 단부를 끼운 후 플레이트(93)를 베드 테이블(91) 및 측판(92)에 고정시킨다.
이때, 플레이트(93)의 통공(931)들은 철근(R)이 용이하게 통과되도록 철근(R)의 직경보다 큰 지름을 갖도록 형성되며, 몰드(90) 내에서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양생될 때 누설을 방지하기 위하여 별도의 콘(Cone)(94)을 구비하여 상기 통공(931)들을 막음처리하게 된다.
상기 콘(94)은 철근(R)의 직경과 대응되는 홀을 가지며, 플레이트(93)의 통공(931)에 삽입되는 소경부(941)와, 플레이트(93)의 외면에 밀착 지지되어 콘(94)이 몰드(90) 안쪽으로 인입되는 것을 예방하도록 소경부(941) 보다 크게 형성된 대경부(942)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콘(94)은 플레이트(93)의 외측에서 철근(R)의 단부에 끼워진 후, 플레이트(93)의 통공(931)에 단순히 끼워지는 형태로 조립이 이루어짐으로써, 몰드(90) 내에서 콘크리트가 타설됨에 따른 진동과 압력에 의해 플레이트(93)의 통공(931)으로부터 이탈될 우려가 있는바, 콘(94)의 이탈 방지를 위한 별도의 고정 파이프(95)가 더 구비된다.
상기 고정 파이프(95)는 철근(R)의 단부에 끼워지는 원통형의 플랜지(951)와, 이 플랜지(951)의 일면을 관통하여 조임 및 풀림에 따라 전후진이 이루어지는 조임나사(952)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플레이트(93)의 통공(931)에 콘(94)을 삽입시킨 상태에서, 철근(R)의 단부로 고정 파이프(95)의 플랜지(951)를 끼워 넣고, 플랜지(951)의 단부를 콘(94)의 대경부(942) 선단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조임나사(952)를 조여 그 단부가 철근(R)의 일면에 밀착되도록 고정시키면, 몰드(90) 내의 콘크리트 타설에 따른 진동과 압력에도 상기 고정 파이프(95)에 의해 콘(94)이 지지되어 플레이트(93)의 통공(931)으로부터 이탈이 예방된다.
한편, 몰드(90) 내의 콘크리트 타설에 따른 진동과 압력에 의해 철근(R)들이 전방 또는 후방으로 밀려 나오는 것을 예방하기 위하여 노출 철근(R)의 선단에는 추가적으로 밀림 방지 플레이트(96)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밀림 방지 플레이트(96)는 몰드(90)의 측판(92) 및 베드 테이블(91) 등에 결합 설치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작용 몰드(90)에 의하면 한 가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성형물만 제조할 수 있으며, 몰드 자체의 이동이 불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러한 고중량의 몰드(90)를 이동시킬 때 크레인 등의 별도 장비가 필요하게 되었다. 또한, 다양한 종류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형상의 몰드(90)를 작업 공간에 늘어 놓아야 했는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작에 많은 작업 공간이 필요한 문제가 있었다.
이에 관련 업계에서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작용 몰드(90)의 형상 변경이 가능하고,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으면서, 다양한 몰드(90)를 일정한 작업 공간 내에 용이하게 배치시킬 수 있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조용 장치의 개발을 요구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353048호 (2014.01.13.)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강선이 삽입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작시 성형몰드가 프레임부 상에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도록 하고, 프레임부에 결합된 이동부에 의해 성형몰드가 안착된 프레임부의 공정별 이동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프레임부를 복수 개의 유닛이 분리 가능하게 조립되는 모듈식으로 형성하여, 프레임부에 안착되는 성형몰드의 형상에 따라 조립되는 유닛의 수를 늘리거나 줄임으로써, 그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성형몰드에 따라 테이블유닛의 개수를 증감시켜 모듈화된 프레임부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강선이 삽입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작시 강선의 로스율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프레임부의 전체적인 형상을 상측이 개방된 사각 박스형으로 구성하여, 강선 인장시 발생하는 비틀림 모멘트에 프레임부가 저항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프레임부의 기본 구성을 중앙테이블유닛과, 전방테이블유닛과, 후방테이블유닛으로 하고, 상기 중앙테이블유닛과 상기 전방테이블유닛 사이 및 상기 중앙테이블유닛과 상기 후방테이블유닛 사이에 연장테이블유닛이 선택적으로 추가되도록 함으로써, 프레임부의 전체적 형상은 어떠한 경우에도 비틀림에 강한 사각 박스형을 유지하도록 하되, 그 길이가 변화될 수 있도록 하여, 사용되지 못하고 버려지는 강선의 양을 줄이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복수 개의 유닛이 결합된 프레임부의 하면이 격자 형태를 이루도록 하여, 성형몰드를 지지하는 기능은 유지하면서, 프레임부의 자체 중량은 감소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인장테이블의 이동성을 높이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격자 형태의 전방하면프레임과, 상기 전방하면프레임의 좌우측단에서 상측 방향으로 수직 연장 형성된 한 쌍의 전방측면프레임과, 상기 전방하면프레임의 전측단에서 상측 방향으로 수직 연장 형성되면서 상기 한 쌍의 전방측면프레임과도 결합하는 전방전면프레임을 포함하는 전방테이블유닛을 구성하여, 강선 인장시 비틀림 모멘트의 영향을 가장 크게 받는 테이블의 전방 부분이 손상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방테이블유닛의 전방전면프레임을 속이 빈 직육면체의 박스형태로 형성하여, 강선 인장시 모멘트에 의한 전방전면프레임의 비틀림이 억제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박스형 전방전면프레임의 전측을 폐쇄하는 전방전측플레이트와, 박스형 전방전면프레임의 후측을 폐쇄하는 전방후측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전방전측플레이트와 상기 전방후측플레이트는, 일정 거리만큼 이격시켜, 상기 전방전측플레이트와 상기 전방후측플레이트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전방전면프레임이 내부공간을 형성한 박스형의 형상을 가지도록 함에 따라, 상기 전방전면프레임의 자중은 줄이면서 비틀림 모멘트 저항력은 높아지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방전측플레이트의 일면에서 타면을 관통하는 제1관통공을 형성하고, 전방후측플레이트의 일면에서 타면을 관통하는 제2관통공을 형성하며, 상기 제1관통공과 상기 제2관통공이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강선이 상기 제1관통공 및 상기 제2관통공을 통해 박스형의 전방전면프레임을 통과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방전측플레이트 상에 복수 개의 제1관통공을 형성하고, 전방후측플레이트 상에 복수 개의 제2관통공을 형성하되, 이들이 일대일로 대응되도록 함에 따라, 복수의 강선이 삽입된 성형물을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방전측플레이트와 전방후측플레이트가 이격된 일정 거리만큼의 길이를 가지며, 내측에 빈 공간을 형성하고, 일단과 타단이 개방된 통형의 전방보강수단을 구성하여, 상기 전방보강수단이 상기 전방전측플레이트와 상기 전방후측플레이트 사이의 공간에 위치해, 이들을 내측면을 지지하도록 함으로써, 강선 인장시 모멘트에 의해 상기 전방전측플레이트와 상기 전방후측플레이트가 비틀리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방보강수단의 개방된 일단은 제1관통공과 연통되고, 전방보강수단의 개방된 타단은 제2관통공과 연통되도록 하여, 상기 제1관통공 또는 상기 제2관통공을 통해 전방전면프레임의 내측 공간으로 들어온 강선이 전방보강수단에 의해 가이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1관통공을 D1의 직경을 가지는 원형의 홀로 구성하고, 제2관통공을 D2의 직경을 가지는 원형의 홀로 구성하며, 상기 D1과 상기 D2를 동일하게 하여, 제1관통공과 제2관통공을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도록 하고, 강선이 제1관통공과 제2관통공 내에 안정적으로 수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방보강수단을 횡단면의 내경이 D3인 원통형으로 형성하고, 상기 D3는 제1관통공의 직경 D1 및 제2관통공의 직경 D2보다 크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전방보강수단에 의한 전방전측플레이트와 전방후측플레이트의 지지력이 보다 높아지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격자 형태의 후방하면프레임과, 상기 후방하면프레임의 좌우측단에서 상측 방향으로 수직 연장 형성된 한 쌍의 후방측면프레임과, 상기 후방하면프레임의 후측단에서 상측 방향으로 수직 연장 형성되면서 상기 한 쌍의 후방측면프레임과도 결합하는 후방후면프레임을 포함하는 후방테이블유닛을 구성하여, 강선 인장시 비틀림 모멘트의 영향을 가장 크게 받는 테이블의 후방 부분이 손상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후방테이블유닛의 후방후면프레임을 속이 빈 직육면체의 박스형태로 형성하여, 강선 인장시 모멘트에 의한 후방후면프레임의 비틀림이 억제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박스형 후방후면프레임의 전측을 폐쇄하는 후방전측플레이트와, 박스형 후방후면프레임의 후측을 폐쇄하는 후방후측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후방전측플레이트와 상기 후방후측플레이트는, 일정 거리만큼 이격시켜, 상기 후방전측플레이트와 상기 후방후측플레이트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후방후면프레임이 내부공간을 형성한 박스형의 형상을 가지도록 함에 따라, 상기 후방후면프레임의 자중은 줄이면서 비틀림 모멘트 저항력은 높아지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후방전측플레이트의 일면에서 타면을 관통하는 제3관통공을 형성하고, 후방후측플레이트의 일면에서 타면을 관통하는 제4관통공을 형성하며, 상기 제3관통공과 상기 제4관통공이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강선이 상기 제3관통공 및 상기 제4관통공을 통해 박스형의 후방후면프레임을 통과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후방전측플레이트 상에 복수 개의 제3관통공을 형성하고, 후방후측플레이트 상에 복수 개의 제4관통공을 형성하되, 이들이 일대일로 대응되도록 함에 따라, 복수의 강선이 삽입된 성형물을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후방전측플레이트와 후방후측플레이트가 이격된 일정 거리만큼의 길이를 가지며, 내측에 빈 공간을 형성하고, 일단과 타단이 개방된 통형의 후방보강수단을 구성하여, 상기 후방보강수단이 상기 후방전측플레이트와 상기 후방후측플레이트 사이의 공간에 위치해, 이들을 내측면을 지지하도록 함으로써, 강선 인장시 모멘트에 의해 상기 후방전측플레이트와 상기 후방후측플레이트가 비틀리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후방보강수단의 개방된 일단은 제3관통공과 연통되고, 후방보강수단의 개방된 타단은 제4관통공과 연통되도록 하여, 상기 제3관통공 또는 상기 제4관통공을 통해 후방후면프레임의 내측 공간으로 들어온 강선이 후방보강수단에 의해 가이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3관통공을 D4의 직경을 가지는 원형의 홀로 구성하고, 제4관통공을 D5의 직경을 가지는 원형의 홀로 구성하며, 상기 D4과 상기 D5를 동일하게 하여, 제3관통공과 제4관통공을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도록 하고, 강선이 제3관통공과 제4관통공 내에 안정적으로 수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후방보강수단을 횡단면의 내경이 D6인 원통형으로 형성하고, 상기 D6은 제3관통공의 직경 D4 및 제4관통공의 직경 D5보다 크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후방보강수단에 의한 후방전측플레이트와 후방후측플레이트의 지지력이 보다 높아지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격자 형태의 중앙하면프레임과, 상기 중앙하면프레임의 좌우측단에서 상측 방향으로 수직 연장 형성된 한 쌍의 중앙측면프레임을 포함하는 중앙테이블유닛을 구성하여, 성형몰드가 안정적으로 안착되는 내부공간이 형성되도록 하고, 중앙테이블유닛의 자중을 줄여 프레임부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중앙테이블유닛과, 전방테이블유닛과, 후방테이블유닛에만 이동부가 형성되도록 하고,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추가되거나 제거되는 연장테이블유닛에는 이동부가 형성되지 않도록 구성하여, 불필요한 이동부의 수를 줄이면서도, 인장테이블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중앙테이블유닛의 하측에 탄성수단을 포함하는 제1롤러부가 구성되도록 하고, 전방테이블유닛 및 후방테이블유닛의 하측에 탄성수단을 포함하지 않는 제2롤러부가 구성되도록 함으로써, 인장테이블의 길이가 길어질 경우, 중심부에서 진동의 진폭이 커져 흔들림이 극대화되는 문제가 발생하는바, 중앙테이블유닛에 형성된 제1롤러부를 통해 이러한 진동을 감쇠시키고, 상대적으로 진동에 의한 영향이 적은 전방테이블유닛과 후방테이블유닛에는 탄성수단을 포함하지 않는 제2롤러부를 구성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프레임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좌우측에 각각 분리 형성된 한 쌍의 기어레일을 구성하여, 기어 모터의 기어치가 상기 기어레일에 맞물려 회전하도록 함으로써, 기어 모터로부터 전달받은 동력에 의해 인장테이블이 용이하게 추진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기어레일을 분리 가능하게 조립되는 테이블유닛별로 분리되도록 구성하여, 유닛이 분리되었을 때에는 기어레일도 함께 분리될 수 있도록 하고, 유닛이 조립되었을 때에는 각각의 유닛에 분리 형성된 기어레일이 하나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연장테이블유닛이 제거된 상태로 전방테이블유닛, 중앙테이블유닛 및 후방테이블유닛이 차례로 조립되더라도 연속적인 기어치형을 형성하도록 하고, 상기 연장테이블유닛이 추가된 상태로 상기 전방테이블유닛, 상기 연장테이블유닛, 상기 중앙테이블유닛, 상기 연장테이블유닛 및 상기 후방테이블유닛이 차례로 조립되더라도 연속적인 기어치형을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조립방식에 상관없이 조립된 유닛의 기어레일은 어느 경우에나 연속적으로 이어지게 되어 기어 모터의 기어치에 의한 추진력을 용이하게 전달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성형몰드를 복수 개의 몰드유닛이 분리 가능하게 조립되는 모듈식으로 형성하여, 제작하고자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의 형상에 따라 조립되는 몰드유닛의 수를 늘리거나 줄임으로써, 그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의 형상에 따라 성형몰드유닛의 개수를 증감시켜 모듈화된 성형몰드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강선이 삽입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작시 강선의 로스율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앞서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예에 의해서 구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조용 인장테이블을 포함하며,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조용 인장테이블은, 상측이 개방된 형상을 하며, 개방된 상측과 연통된 내부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내부공간에 안착되는 성형몰드를 지지하는 프레임부와, 상기 프레임부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프레임부에 결합된 이동부를 포함하여, 상기 성형몰드가 안착된 상기 프레임부의 공정별 이동을 용이하게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프레임부는, 복수 개의 테이블유닛이 분리 가능하게 조립되는 모듈식으로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부에 안착되는 상기 성형몰드의 형상에 따라 그 길이를 조절해 강선 로스를 최소화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프레임부는, 프레임부의 중심부를 형성하는 중앙테이블유닛과, 상기 중앙테이블유닛의 전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전방테이블유닛과, 상기 중앙테이블유닛의 후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후방테이블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중앙테이블유닛과 상기 전방테이블유닛 사이 및/또는 상기 중앙테이블유닛과 상기 후방테이블유닛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중앙테이블유닛 및 상기 전방테이블유닛과 분리가능하게 결합되거나, 상기 중앙테이블유닛 및 상기 후방테이블유닛과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연장테이블유닛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전방테이블유닛은,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격자 형태의 전방하면프레임과, 상기 전방하면프레임의 좌우측단에서 상측 방향으로 수직 연장 형성된 한 쌍의 전방측면프레임과, 상기 전방하면프레임의 전측단에서 상측 방향으로 수직 연장 형성되면서 상기 한 쌍의 전방측면프레임과도 결합하는 전방전면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전방전면프레임은, 강선 인장시 비틀림 모멘트에 저항하도록 내측공간을 형성한 박스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전방전면프레임은, 박스형 전방전면프레임의 전측을 폐쇄하는 전방전측플레이트와, 박스형 전방전면프레임의 후측을 폐쇄하는 전방후측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전방전측플레이트와 상기 전방후측플레이트는, 일정 거리만큼 이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전방전측플레이트는, 일면에서 타면을 관통하는 제1관통공을 포함하고, 상기 전방후측플레이트는, 일면에서 타면을 관통하는 제2관통공을 포함하며, 상기 제1관통공과 상기 제2관통공은, 동일한 강선을 함께 수용하도록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전방전면프레임은, 상기 전방전측플레이트와 상기 전방후측플레이트가 이격된 일정 거리만큼의 길이를 가지며, 내측에 빈 공간을 형성하고, 일단과 타단이 개방된 통형의 전방보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전방보강수단은, 개방된 일단이 상기 제1관통공과 연통되고, 개방된 타단이 상기 제2관통공과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제1관통공은, D1의 직경을 가지는 원형의 홀이고, 상기 제2관통공은, D2의 직경을 가지는 원형의 홀이며, 상기 D1과 상기 D2는,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전방보강수단은,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횡단면의 내경이 D3이고, 상기 D3는, 상기 D1 및 상기 D2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후방테이블유닛은,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격자 형태의 후방하면프레임과, 상기 후방하면프레임의 좌우측단에서 상측 방향으로 수직 연장 형성된 한 쌍의 후방측면프레임과, 상기 후방하면프레임의 후측단에서 상측 방향으로 수직 연장 형성되면서 상기 한 쌍의 후방측면프레임과도 결합하는 후방후면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후방후면프레임은, 강선 인장시 비틀림 모멘트에 저항하도록 내측공간을 형성한 박스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후방후면프레임은, 박스형 후방후면프레임의 전측을 폐쇄하는 후방전측플레이트와, 박스형 후방후면프레임의 후측을 폐쇄하는 후방후측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후방전측플레이트와 상기 후방후측플레이트는 일정 거리만큼 이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후방전측플레이트는, 일면에서 타면을 관통하는 제3관통공을 포함하고, 상기 후방후측플레이트는, 일면에서 타면을 관통하는 제4관통공을 포함하며, 상기 제3관통공과 상기 제4관통공은 동일한 강선을 함께 수용하도록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후방후면프레임은, 상기 후방전측플레이트와 상기 후방후측플레이트가 이격된 일정 거리만큼의 길이를 가지며, 내측에 빈 공간을 형성하고, 일단과 타단이 개방된 통형의 후방보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후방보강수단은, 개방된 일단이 상기 제3관통공과 연통되고, 개방된 타단이 상기 제4관통공과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제3관통공은, D4의 직경을 가지는 원형의 홀이고, 상기 제4관통공은, D5의 직경을 가지는 원형의 홀이며, 상기 D4와 상기 D5는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후방보강수단은,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횡단면의 내경이 D6이고, 상기 D6은, 상기 D4 및 상기 D5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중앙테이블유닛은,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격자 형태의 중앙하면프레임과, 상기 중앙하면프레임의 좌우측단에서 상측 방향으로 수직 연장 형성된 한 쌍의 중앙측면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이동부는, 상기 중앙테이블유닛과, 상기 전방테이블유닛과, 상기 후방테이블유닛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이동부는, 상기 중앙테이블유닛에 결합된 탄성수단을 포함하는 제1롤러부와, 상기 전방테이블유닛 및 상기 후방테이블유닛에 결합된 탄성수단을 포함하지 않는 제2롤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중앙테이블유닛은, 한 쌍의 중앙측면프레임의 중심 하측면으로부터 상측방향으로 일정한 높이만큼 관통 형성된 한 쌍의 이동부수용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제1롤러부는, 상기 이동부수용홀 상에 형성되며, 충격을 흡수하는 댐핑부와, 상기 댐핑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바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댐핑부는, 일측이 상기 이동부수용홀의 상면을 형성한 중앙 측면 프레임에 결합되는 탄성수단과, 상기 탄성수단의 타측에 결합되는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의 좌우측에서 하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연결수단과, 상기 연결수단 사이를 연결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바퀴부가 결합되는 회전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프레임부는, 추진 동력을 제공받기 위해 상기 프레임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좌우측에 각각 분리 형성된 한 쌍의 기어레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기어레일은, 분리 가능하게 조립되는 테이블유닛별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기어레일은, 상기 연장테이블유닛이 제거된 상태로 상기 전방테이블유닛, 상기 중앙테이블유닛 및 상기 후방테이블유닛이 차례로 조립되더라도, 연속적인 기어치형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기어레일의 기어치형은, 상기 연장테이블유닛이 추가된 상태로 상기 전방테이블유닛, 상기 연장테이블유닛, 상기 중앙테이블유닛, 상기 연장테이블유닛 및 상기 후방테이블유닛이 차례로 조립되더라도, 연속적인 기어치형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조용 장치는,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조용 인장테이블 상에 안착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조용 성형몰드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성형몰드는, 복수 개의 몰드유닛이 분리 가능하게 조립되는 모듈식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성형몰드는, 성형몰드의 중심부를 형성하는 중앙몰드유닛과, 상기 중앙몰드유닛의 전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전방몰드유닛과, 상기 중앙몰드유닛의 후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후방몰드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성형몰드는, 상기 중앙몰드유닛과 상기 전방몰드유닛 사이 및/또는 상기 중앙몰드유닛과 상기 후방몰드유닛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중앙몰드유닛 및 상기 전방몰드유닛과 분리가능하게 결합되거나, 상기 중앙몰드유닛 및 상기 후방몰드유닛과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연장몰드유닛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앞서 본 실시예와 하기에 설명할 구성과 결합, 사용관계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강선이 삽입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작시 성형몰드가 프레임부 상에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도록 하고, 프레임부에 결합된 이동부에 의해 성형몰드가 안착된 프레임부의 공정별 이동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프레임부를 복수 개의 유닛이 분리 가능하게 조립되는 모듈식으로 형성하여, 프레임부에 안착되는 성형몰드의 형상에 따라 조립되는 유닛의 수를 늘리거나 줄임으로써, 그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도출한다.
본 발명은, 성형몰드에 따라 테이블유닛의 개수를 증감시켜 모듈화된 프레임부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강선이 삽입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작시 강선의 로스율을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프레임부의 전체적인 형상을 상측이 개방된 사각 박스형으로 구성하여, 강선 인장시 발생하는 비틀림 모멘트에 프레임부가 저항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프레임부의 기본 구성을 중앙테이블유닛과, 전방테이블유닛과, 후방테이블유닛으로 하고, 상기 중앙테이블유닛과 상기 전방테이블유닛 사이 및 상기 중앙테이블유닛과 상기 후방테이블유닛 사이에 연장테이블유닛이 선택적으로 추가되도록 함으로써, 프레임부의 전체적 형상은 어떠한 경우에도 비틀림에 강한 사각 박스형을 유지하도록 하되, 그 길이가 변화될 수 있도록 하여, 사용되지 못하고 버려지는 강선의 양을 줄이는 효과를 도출한다.
본 발명은, 복수 개의 유닛이 결합된 프레임부의 하면이 격자 형태를 이루도록 하여, 성형몰드를 지지하는 기능은 유지하면서, 프레임부의 자체 중량은 감소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인장테이블의 이동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격자 형태의 전방하면프레임과, 상기 전방하면프레임의 좌우측단에서 상측 방향으로 수직 연장 형성된 한 쌍의 전방측면프레임과, 상기 전방하면프레임의 전측단에서 상측 방향으로 수직 연장 형성되면서 상기 한 쌍의 전방측면프레임과도 결합하는 전방전면프레임을 포함하는 전방테이블유닛을 구성하여, 강선 인장시 비틀림 모멘트의 영향을 가장 크게 받는 테이블의 전방 부분이 손상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전방테이블유닛의 전방전면프레임을 속이 빈 직육면체의 박스형태로 형성하여, 강선 인장시 모멘트에 의한 전방전면프레임의 비틀림이 억제되도록 하는 효과를 도출한다.
본 발명은, 박스형 전방전면프레임의 전측을 폐쇄하는 전방전측플레이트와, 박스형 전방전면프레임의 후측을 폐쇄하는 전방후측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전방전측플레이트와 상기 전방후측플레이트는, 일정 거리만큼 이격시켜, 상기 전방전측플레이트와 상기 전방후측플레이트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전방전면프레임이 내부공간을 형성한 박스형의 형상을 가지도록 함에 따라, 상기 전방전면프레임의 자중은 줄이면서 비틀림 모멘트 저항력은 높아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전방전측플레이트의 일면에서 타면을 관통하는 제1관통공을 형성하고, 전방후측플레이트의 일면에서 타면을 관통하는 제2관통공을 형성하며, 상기 제1관통공과 상기 제2관통공이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강선이 상기 제1관통공 및 상기 제2관통공을 통해 박스형의 전방전면프레임을 통과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전방전측플레이트 상에 복수 개의 제1관통공을 형성하고, 전방후측플레이트 상에 복수 개의 제2관통공을 형성하되, 이들이 일대일로 대응되도록 함에 따라, 복수의 강선이 삽입된 성형물을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도출한다.
본 발명은, 전방전측플레이트와 전방후측플레이트가 이격된 일정 거리만큼의 길이를 가지며, 내측에 빈 공간을 형성하고, 일단과 타단이 개방된 통형의 전방보강수단을 구성하여, 상기 전방보강수단이 상기 전방전측플레이트와 상기 전방후측플레이트 사이의 공간에 위치해, 이들을 내측면을 지지하도록 함으로써, 강선 인장시 모멘트에 의해 상기 전방전측플레이트와 상기 전방후측플레이트가 비틀리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전방보강수단의 개방된 일단은 제1관통공과 연통되고, 전방보강수단의 개방된 타단은 제2관통공과 연통되도록 하여, 상기 제1관통공 또는 상기 제2관통공을 통해 전방전면프레임의 내측 공간으로 들어온 강선이 전방보강수단에 의해 가이드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제1관통공을 D1의 직경을 가지는 원형의 홀로 구성하고, 제2관통공을 D2의 직경을 가지는 원형의 홀로 구성하며, 상기 D1과 상기 D2를 동일하게 하여, 제1관통공과 제2관통공을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도록 하고, 강선이 제1관통공과 제2관통공 내에 안정적으로 수용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도출한다.
본 발명은, 전방보강수단을 횡단면의 내경이 D3인 원통형으로 형성하고, 상기 D3는 제1관통공의 직경 D1 및 제2관통공의 직경 D2보다 크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전방보강수단에 의한 전방전측플레이트와 전방후측플레이트의 지지력이 보다 높아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격자 형태의 후방하면프레임과, 상기 후방하면프레임의 좌우측단에서 상측 방향으로 수직 연장 형성된 한 쌍의 후방측면프레임과, 상기 후방하면프레임의 후측단에서 상측 방향으로 수직 연장 형성되면서 상기 한 쌍의 후방측면프레임과도 결합하는 후방후면프레임을 포함하는 후방테이블유닛을 구성하여, 강선 인장시 비틀림 모멘트의 영향을 가장 크게 받는 테이블의 후방 부분이 손상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후방테이블유닛의 후방후면프레임을 속이 빈 직육면체의 박스형태로 형성하여, 강선 인장시 모멘트에 의한 후방후면프레임의 비틀림이 억제되도록 하는 효과를 도출한다.
본 발명은, 박스형 후방후면프레임의 전측을 폐쇄하는 후방전측플레이트와, 박스형 후방후면프레임의 후측을 폐쇄하는 후방후측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후방전측플레이트와 상기 후방후측플레이트는, 일정 거리만큼 이격시켜, 상기 후방전측플레이트와 상기 후방후측플레이트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후방후면프레임이 내부공간을 형성한 박스형의 형상을 가지도록 함에 따라, 상기 후방후면프레임의 자중은 줄이면서 비틀림 모멘트 저항력은 높아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후방전측플레이트의 일면에서 타면을 관통하는 제3관통공을 형성하고, 후방후측플레이트의 일면에서 타면을 관통하는 제4관통공을 형성하며, 상기 제3관통공과 상기 제4관통공이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강선이 상기 제3관통공 및 상기 제4관통공을 통해 박스형의 후방후면프레임을 통과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후방전측플레이트 상에 복수 개의 제3관통공을 형성하고, 후방후측플레이트 상에 복수 개의 제4관통공을 형성하되, 이들이 일대일로 대응되도록 함에 따라, 복수의 강선이 삽입된 성형물을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도출한다.
본 발명은, 후방전측플레이트와 후방후측플레이트가 이격된 일정 거리만큼의 길이를 가지며, 내측에 빈 공간을 형성하고, 일단과 타단이 개방된 통형의 후방보강수단을 구성하여, 상기 후방보강수단이 상기 후방전측플레이트와 상기 후방후측플레이트 사이의 공간에 위치해, 이들을 내측면을 지지하도록 함으로써, 강선 인장시 모멘트에 의해 상기 후방전측플레이트와 상기 후방후측플레이트가 비틀리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후방보강수단의 개방된 일단은 제3관통공과 연통되고, 후방보강수단의 개방된 타단은 제4관통공과 연통되도록 하여, 상기 제3관통공 또는 상기 제4관통공을 통해 후방후면프레임의 내측 공간으로 들어온 강선이 후방보강수단에 의해 가이드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제3관통공을 D4의 직경을 가지는 원형의 홀로 구성하고, 제4관통공을 D5의 직경을 가지는 원형의 홀로 구성하며, 상기 D4과 상기 D5를 동일하게 하여, 제3관통공과 제4관통공을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도록 하고, 강선이 제3관통공과 제4관통공 내에 안정적으로 수용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도출한다.
본 발명은, 후방보강수단을 횡단면의 내경이 D6인 원통형으로 형성하고, 상기 D6은 제3관통공의 직경 D4 및 제4관통공의 직경 D5보다 크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후방보강수단에 의한 후방전측플레이트와 후방후측플레이트의 지지력이 보다 높아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격자 형태의 중앙하면프레임과, 상기 중앙하면프레임의 좌우측단에서 상측 방향으로 수직 연장 형성된 한 쌍의 중앙측면프레임을 포함하는 중앙테이블유닛을 구성하여, 성형몰드가 안정적으로 안착되는 내부공간이 형성되도록 하고, 중앙테이블유닛의 자중을 줄여 프레임부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중앙테이블유닛과, 전방테이블유닛과, 후방테이블유닛에만 이동부가 형성되도록 하고,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추가되거나 제거되는 연장테이블유닛에는 이동부가 형성되지 않도록 구성하여, 불필요한 이동부의 수를 줄이면서도, 인장테이블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를 도출한다.
본 발명은, 중앙테이블유닛의 하측에 탄성수단을 포함하는 제1롤러부가 구성되도록 하고, 전방테이블유닛 및 후방테이블유닛의 하측에 탄성수단을 포함하지 않는 제2롤러부가 구성되도록 함으로써, 인장테이블의 길이가 길어질 경우, 중심부에서 진동의 진폭이 커져 흔들림이 극대화되는 문제가 발생하는바, 중앙테이블유닛에 형성된 제1롤러부를 통해 이러한 진동을 감쇠시키고, 상대적으로 진동에 의한 영향이 적은 전방테이블유닛과 후방테이블유닛에는 탄성수단을 포함하지 않는 제2롤러부를 구성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프레임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좌우측에 각각 분리 형성된 한 쌍의 기어레일을 구성하여, 기어 모터의 기어치가 상기 기어레일에 맞물려 회전하도록 함으로써, 기어 모터로부터 전달받은 동력에 의해 인장테이블이 용이하게 추진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기어레일을 분리 가능하게 조립되는 테이블유닛별로 분리되도록 구성하여, 유닛이 분리되었을 때에는 기어레일도 함께 분리될 수 있도록 하고, 유닛이 조립되었을 때에는 각각의 유닛에 분리 형성된 기어레일이 하나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도출한다.
본 발명은, 연장테이블유닛이 제거된 상태로 전방테이블유닛, 중앙테이블유닛 및 후방테이블유닛이 차례로 조립되더라도 연속적인 기어치형을 형성하도록 하고, 상기 연장테이블유닛이 추가된 상태로 상기 전방테이블유닛, 상기 연장테이블유닛, 상기 중앙테이블유닛, 상기 연장테이블유닛 및 상기 후방테이블유닛이 차례로 조립되더라도 연속적인 기어치형을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조립방식에 상관없이 조립된 유닛의 기어레일은 어느 경우에나 연속적으로 이어지게 되어 기어 모터의 기어치에 의한 추진력을 용이하게 전달받을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성형몰드를 복수 개의 몰드유닛이 분리 가능하게 조립되는 모듈식으로 형성하여, 제작하고자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의 형상에 따라 조립되는 몰드유닛의 수를 늘리거나 줄임으로써, 그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의 형상에 따라 성형몰드유닛의 개수를 증감시켜 모듈화된 성형몰드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강선이 삽입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작시 강선의 로스율을 최소화하는 효과를 도출한다.
도 1은 종래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작용 몰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단면도.
도 3은 도 1에서 밀림 방지 플레이트가 추가된 몰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조용 인장테이블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부의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부의 평면도.
도 8은 중앙테이블유닛의 평면도.
도 9는 중앙테이블유닛의 측면도.
도 10은 전방전측플레이트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전방후측플레이트를 도시한 도면.
도 12는 전방보강수단을 도시한 도면.
도 13은 후방전측플레이트를 도시한 도면.
도 14는 후방후측플레이트를 도시한 도면.
도 15는 후방보강수단을 도시한 도면.
도 16은 연장테이블유닛을 도시한 도면.
도 17은 기어레일을 도시한 도면.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부를 도시한 도면.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부를 도시한 도면.
도 20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도.
도 21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도.
도 22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조용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의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가 이해하는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의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
본 발명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조용 장치는, 제작하고자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의 형상에 따라 모듈식으로 구성된 성형몰드의 유닛의 수를 늘리거나 줄임으로써 성형몰드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며, 이에 따라 성형몰드가 안치되는 모듈식으로 구성된 인장테이블의 유닛의 수를 늘리거나 줄임으로써 인장테이블의 길이도 조절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강선이 삽입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작시 강선의 로스율을 최소화하며, 인장테이블에 형성된 이동부에 의해 성형몰드가 안착된 프레임부의 공정별 이동을 용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조용 장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조용 인장테이블(1) 및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조용 성형몰드(5)를 포함한다.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조용 인장테이블(1)은, 강선이 삽입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작시 성형몰드가 프레임부(10) 상에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도록 하고, 프레임부(10)에 결합된 이동부(30)에 의해 성형몰드가 안착된 프레임부(10)의 공정별 이동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프레임부(10)를 복수 개의 테이블유닛이 분리 가능하게 조립되는 모듈식으로 형성하여, 프레임부(10)에 안착되는 성형몰드의 형상에 따라 조립되는 유닛의 수를 늘리거나 줄임으로써, 그 길이를 조절하고, 이를 통해 강선이 삽입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작시 강선의 로스(Loss)율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조용 인장테이블(1)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분해사시도로, 도 4 및 도 5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상기 인장테이블(1)은 프레임부(10)와, 이동부(30)를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부(10)는, 상측이 개방된 형상을 하며, 개방된 상측과 연통된 내부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내부공간에 안착되는 성형몰드를 지지하는 구성을 말한다. 상기 프레임부(10)는, 복수 개의 테이블유닛이 분리 가능하게 조립되는 모듈식으로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부(10)에 안착되는 상기 성형몰드의 형상에 따라 그 길이를 조절해 강선 로스를 최소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성형몰드의 길이가 길 경우, 조립 가능한 유닛의 수를 늘려 상기 프레임부(10)의 길이를 늘릴 수 있고, 성형몰드의 길이가 짧을 경우, 조립 가능한 유닛의 수를 줄여 상기 프레임부(10)의 길이를 줄일 수 있다.
만일 상기 프레임부(1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없다면, 성형몰드의 길이는 짧은데 상기 프레임부(10)의 길이가 길 경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를 제작하는데 필요한 강선의 길이를 짧게 해도 될 상황에서 프레임부(10)의 길이에 맞추어 긴 강선을 공급해야 하고, 완성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에서 필요 이상으로 돌출된 긴 강선을 다시 잘라야 하는바, 사용되지 못하고 버려지는 강선의 양이 크게 증가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하지만, 본원발명의 상기 프레임부(10)는 모듈식으로 구성되어, 유닛의 가감에 따라 프레임부(10)의 전체 길이를 변화시킬 수 있으므로, 강선 로스율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부(10)는, 그 전체적인 형상이 상측이 개방된 사각 박스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인장테이블에 성형몰드를 넣고 강선을 배치해 인장시키는 경우 강한 인장력에 의해 프레임부(10)가 큰 비틀림 모멘트를 받게 되면서 손상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비틀림 모멘트에 대한 저항력을 높이고자, 상기 프레임부(10)를 속이 빈 사각 박스형태로 구성함으로써, 전후좌우로 연결된 프레임부(10)의 지지력에 의해 비틀림, 손상 등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부(10)는, 복수 개의 유닛이 결합된 프레임부(10)의 하면이 격자 형태를 이루도록 구성되어, 성형몰드를 지지하는 기능은 유지하면서, 프레임부(10)의 자체 중량은 감소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인장테이블의 이동성을 높이는 특징이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부의 평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부의 평면도로, 도 6 및 도 7을 참고하면, 이러한 상기 프레임부(10)는, 중앙테이블유닛(11), 전방테이블유닛(13), 후방테이블유닛(15), 연장테이블유닛(17), 기어레일(19)을 포함한다.
상기 중앙테이블유닛(11)은, 상기 프레임부(10)의 중심부를 형성하는 구성을 말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레임부(10)는 상기 중앙테이블유닛(11)과, 후술할 전방테이블유닛(13)과, 후방테이블유닛(15)으로 하고, 상기 중앙테이블유닛(11)과 상기 전방테이블유닛(13) 사이 및 상기 중앙테이블유닛(11)과 상기 후방테이블유닛(15) 사이에 연장테이블유닛(17)이 선택적으로 추가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프레임부(10)의 전체적 형상은 어떠한 경우에도 비틀림에 강한 사각 박스형을 유지하도록 하되, 그 길이가 변화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상기 중앙테이블유닛(11)은 프레임부(10)의 중심에 위치하여 후술할 전방테이블유닛(13), 후방테이블유닛(15) 또는 연장테이블유닛(17)과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다.
도 8은 중앙테이블유닛의 평면도이고, 도 9는 중앙테이블유닛의 측면도로, 도 8 및 도 9를 참고하면, 이러한 상기 중앙테이블유닛(11)은, 중앙하면프레임(111)과, 중앙측면프레임(113)을 포함한다.
상기 중앙하면프레임(111)은,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격자 형태의 구성으로, 성형몰드가 안정적으로 안착되는 내부공간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중앙테이블유닛(11)의 자중을 줄여 프레임부(10)의 이동을 용이하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중앙하면프레임(111)은 'I' 또는 'H' 빔(Beam)이 전후측방향과 좌우측방향으로 배치되어 직각을 이루면서 서로 연결되는 구성으로 볼 수 있다.
상기 중앙측면프레임(113)은, 상기 중앙하면프레임(111)의 좌우측단에서 상측 방향으로 수직 연장 형성된 좌우측 한 쌍의 프레임 구성을 가리킨다. 상기 중앙측면프레임(113)을 통해 상기 프레임부(10)의 내부공간에 안치된 성형몰드의 외부 이탈이 방지될 수 있고, 후술할 이동부(30)가 상기 프레임부(10)에 결합되는 부위를 제공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중앙측면프레임(113)은, 'I' 또는 'H' 빔(Beam)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중앙측면프레임(113)은, 이동부수용홀(1131)을 포함한다.
상기 이동부수용홀(1131)은, 한 쌍의 중앙측면프레임(113)의 중심 하측면으로부터 상측방향으로 일정한 높이만큼 관통 형성된 좌우측 한 쌍의 빈 공간을 말한다. 상기 이동부수용홀(1131) 상에는 후술할 이동부(30)의 제1롤러부(31)가 위치하여, 상기 프레임부(10)의 이동을 가능하게 할 수 있고, 상기 중앙테이블유닛(11)에 발생하는 진동을 감쇠시킨다. 상기 이동부수용홀(1131)의 형상을 어느 특정 형상으로만 제한하는 것은 아니지만, 바람직하게는, 사각홀의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방테이블유닛(13)은, 상기 중앙테이블유닛(11)의 전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성을 말한다. 상기 전방테이블유닛(13)은 프레임부(10)의 내부 공간에 안치된 성형몰드의 전측을 지지하고 성형몰드의 외부 이탈을 방지한다. 상기 전방테이블유닛(13)은 상측과 후측이 개방된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하측에는 후술할 이동부(30)가 형성될 수 있다. 강선은 상기 전방테이블유닛(13)을 관통해 상기 프레임부(10)의 내부공간으로 삽입되고, 상기 프레임부(10)의 내부공간에 안착된 성형몰드 상에 형성된 홀을 통과한 후, 후술할 후방테이블유닛(13)도 관통하게 된다. 이러한 강선의 일단은 상기 전방테이블유닛(13)에 인접하게 되는바, 강선을 인장시킬 때, 인장력이 상기 전방테이블유닛(13)에 전해져 강한 비틀림 모멘트를 작용시킬 수 있고, 이러한 모멘트에 의해 상기 전방테이블유닛(13)이 휘거나 뒤틀리는 등의 손상을 입을 수 있는바, 상기 전방테이블유닛(13)의 보강이 중요하다고 할 것이다.
이러한 상기 전방테이블유닛(13)은, 전방하면프레임(131), 전방측면프레임(133), 전방전면프레임(135)을 포함한다.
상기 전방하면프레임(131)은,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격자 형태의 구성으로, 성형몰드가 안정적으로 안착되는 내부공간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전방하면프레임(131)의 자중을 줄여 프레임부(10)의 이동을 용이하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방하면프레임(131)은 'I' 또는 'H' 빔(Beam)이 전후측방향과 좌우측방향으로 배치되어 직각을 이루면서 서로 연결되는 구성으로 볼 수 있다. 모듈식으로 구성된 유닛이 결합되었을 때, 각 유닛이 자연스럽게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전방하면프레임(131)은 인접하는 상기 중앙하면프레임(111) 또는 후술할 연장테이블유닛(17)과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전체적인 격자형태를 이루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방측면프레임(133)은, 상기 전방하면프레임(131)의 좌우측단에서 상측 방향으로 수직 연장 형성된 좌우측 한 쌍의 구성을 말한다. 상기 전방측면프레임(133)을 통해 상기 프레임부(10)의 내부공간에 안치된 성형몰드의 외부 이탈이 방지될 수 있고, 후술할 이동부(30) 중 제2롤러부(33)가 상기 프레임부(10)에 결합되는 부위를 제공할 수도 있다. 상기 전방측면프레임(133)은 'I' 또는 'H' 빔(Beam)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프레임부(10)의 연속적인 측면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전방측면프레임(133)의 단부는 상기 중앙측면프레임(113) 또는 후술할 연장측면프레임(173)의 단부와 상보적인 형상을 가지면서 연결되고, 이들 간의 연결방식으로 볼트 접합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전방전면프레임(135)은, 상기 전방하면프레임(131)의 전측단에서 상측 방향으로 수직 연장 형성되면서 상기 한 쌍의 전방측면프레임(133)과도 결합하는 구성을 말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방전면프레임(135)은, 강선 인장시 비틀림 모멘트에 저항하도록 내측공간을 형성한 박스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박스형태란, 속이 빈 직육면체를 지칭하는 것으로 봄이 바람직하다. 기존에는 상기 전방전면프레임(135)에 대응되는 부분이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철판으로만 구성되었기 때문에, 강선 인장시 해당 철판인 모멘트에 저항하지 못하고 휘어지거나 뒤틀리는 등의 손상이 잦았다. 이에 본원발명은 상기 전방전면프레임(135) 자체를 비틀림 모멘트에 강한 육면체 박스형태로 구성함으로써 모멘트 저항력을 높이고, 육면체 내부에 빈 공간을 형성하여 상기 전방전면프레임(135)의 자중은 줄어들도록 해 상기 프레임부(10)의 이동성을 높이고 있다.
도 10 내지 도 12를 참고하면, 이러한 상기 전방전면프레임(135)은, 전방전측플레이트(1351), 전방후측플레이트(1353), 전방보강수단(1355)을 포함한다.
상기 전방전측플레이트(1351)은, 박스형 전방전면프레임(135)의 전측을 폐쇄하는 구성으로,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판상형의 형태를 가진다. 상기 전방전측플레이트(1351)는, 후술할 전방후측플레이트(1353)와 일정 거리만큼 이격 형성된다. 상기 전방전측플레이트(1351)는, 일면에서 타면을 관통하는 제1관통공(13511)을 포함하고, 후술할 전방후측플레이트(1353)는, 일면에서 타면을 관통하는 제2관통공(13531)을 포함하며, 상기 제1관통공(13511)과 상기 제2관통공(13531)은, 동일한 강선을 함께 수용하도록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강선이 상기 제1관통공(13511) 및 상기 제2관통공(13531)을 통해 박스형의 상기 전방전면프레임(135)을 통과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상기 제1관통공(13511)은 상기 전방전측플레이트(1351) 상에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으며, 후술할 전방후측플레이트(1353) 상에도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 개의 제2관통공(13531)이 형성되어 이들이 일대일로 대응됨에 따라, 복수의 강선이 삽입된 성형물을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관통공(13511)은 D1의 직경을 가지는 원형의 홀의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제1관통공(13511)의 직경(D1)은 후술할 제2관통공(13531)의 직경(D2)과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방후측플레이트(1353)은, 박스형 전방전면프레임(135)의 후측을 폐쇄하는 구성으로, 상기 전방후측플레이트(1353) 역시,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판상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방후측플레이트(1353)는, 상기 전방전측플레이트(1351)와 일정 거리만큼 이격 형성된다. 상기 전방후측플레이트(1353)는, 일면에서 타면을 관통하는 제2관통공(13531)을 포함하고, 상기 제1관통공(13511)과 상기 제2관통공(13531)은, 동일한 강선을 함께 수용하도록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제2관통공(13531)은 상기 전방후측플레이트(1353) 상에 복수 개로 구성되며, 복수 개로 구성된 상기 제1관통공(13511)과 일대일로 대응이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관통공(13531)은, D2의 직경을 가지는 원형의 홀로 형성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관통공(13531)의 직경 D2는 상기 제1관통공(13511)의 직경 D1과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제1관통공(13511)과 상기 제2관통공(13531)을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도록 하고, 강선이 상기 제1관통공(13511)과 제2관통공(13531) 내에 안정적으로 수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전방보강수단(1355)은, 상기 전방전측플레이트(1351)와 상기 전방후측플레이트(1353)가 이격된 일정 거리만큼의 길이를 가지며, 내측에 빈 공간을 형성하고, 일단과 타단이 개방된 통형의 구성을 말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방보강수단(1355)은 횡단면의 내경이 D3인 원통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방보강수단(1355)은, 개방된 일단이 상기 제1관통공(13511)과 연통되고, 개방된 타단이 상기 제2관통공(13531)과 연통된다. 이로써, 상기 제1관통공(13511) 또는 상기 제2관통공(13531)을 통해 들어온 강선이, 상기 전방보강수단(1355)의 가이드를 받으며, 상기 제2관통공(13531) 또는 상기 제1관통공(13511)으로 통과될 수 있도록 한다.
무엇보다도, 상기 전방보강수단(1355)의 일단과 타단은 상기 전방전측플레이트(1351)의 내측면과 상기 전방후측플레이트(1353)의 내측면과 접하면서 이들을 지지하는바, 강선 인장시 모멘트에 의해 상기 전방전측플레이트(1351)와 상기 전방후측플레이트(1353)가 변형에 대한 높은 저항력을 가질 수 있도록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D3는 상기 D1 및 상기 D2보다 크게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전방보강수단(1355) 역시, 강선을 수용하게 되는바, 강선의 직경 이상으로 구성되어야 하며, 상기 전방보강수단(1355)의 단면 크기를 넓히게 될 경우, 모멘트에 저항하는 힘이 커질 수 있기 때문이다. 다만, 상기 관통공(13511,13531)은 플레이트(1351,1353) 상에 복수 개가 형성되는 바, 상기 전방보강수단(1355)의 상기 D3가 너무 커지게 되면 주변과의 간섭을 일으키게 되므로, 상기 D3의 크기는 이러한 간섭을 일으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최대 크기를 갖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후방테이블유닛(15)은, 상기 중앙테이블유닛(11)의 후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성으로, 상기 후방테이블유닛(15)은 프레임부(10)의 내부 공간에 안치된 성형몰드의 후측을 지지하고 성형몰드의 외부 이탈을 방지한다. 상기 후방테이블유닛(15)은 상측과 전측이 개방된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하측에는 후술할 이동부(30)가 형성될 수 있다. 강선은 상기 후방테이블유닛(15)을 관통해 상기 프레임부(10)의 내부공간으로 삽입되고, 상기 프레임부(10)의 내부공간에 안착된 성형몰드 상에 형성된 홀을 통과한 후, 상기 전방테이블유닛(13)도 관통하게 되며, 그 반대의 순서로도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강선의 타단은 상기 후방테이블유닛(15)에 인접하게 되는바, 강선을 인장시킬 때, 인장력이 상기 후방테이블유닛(15)에 전해져 강한 비틀림 모멘트를 작용시킬 수 있고, 이러한 모멘트에 의해 상기 후방테이블유닛(15)이 휘어져 들어올려지거나 뒤틀리는 등의 손상을 입을 수 있는바, 상기 후방테이블유닛(15)의 보강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상기 후방테이블유닛(15)은, 후방하면프레임(151), 후방측면프레임(153), 후방후면프레임(155)으로 구성된다.
상기 후방하면프레임(151)은,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격자 형태의 구성을 말한다. 상기 후방하면프레임(151)은 성형몰드가 안정적으로 안착되는 내부공간을 형성하며, 격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후방하면프레임(151)의 자중을 줄임에 따라 프레임부(10)의 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후방하면프레임(151)은 'I' 또는 'H' 빔이 전후측방향과 좌우측방향으로 직각을 이루며 배치되어 서로 연결되는 구성으로 볼 수 있다. 본원발명은 모듈식으로 구성된 복수의 테이블유닛이 다양한 길이를 형성하면서 조립되는 것인바, 유닛간의 조립이 이루어졌을 때, 전체적으로도 연속적인 격자 형태의 하면 프레임이 형성되도록, 상기 후방하면프레임(151)의 단부는 인접하는 상기 중앙하면프레임(111) 또는 후술할 연장테이블유닛(17)의 단부와 상보적인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후방측면프레임(153)은, 상기 후방하면프레임(151)의 좌우측단에서 상측 방향으로 수직 연장 형성된 좌우측 한 쌍의 구성으로, 상기 후방측면프레임(153)을 통해 상기 프레임부(10)의 내부공간에 안치된 성형몰드의 외부 이탈이 방지될 수 있고, 후술할 이동부(30) 중 제2롤러부(33)가 상기 프레임부(10)에 결합되는 부위를 제공할 수도 있다. 상기 후방측면프레임(153)은 'I' 또는 'H' 빔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프레임부(10)의 연속적인 측면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후방측면프레임(153)의 단부는 상기 중앙측면프레임(113) 또는 후술할 연장측면프레임(173)의 단부와 상보적인 형상을 가지면서 연결되고, 이들 간의 연결방식으로 볼트 접합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후방후면프레임(155)은, 상기 후방하면프레임(151)의 후측단에서 상측 방향으로 수직 연장 형성되면서 상기 한 쌍의 후방측면프레임(153)과도 결합하는 구성을 말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후방후면프레임(155)은, 강선 인장시 비틀림 모멘트에 저항하도록 내측공간을 형성한 박스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박스형태란, 속이 빈 직육면체를 지칭하는 것으로 봄이 바람직하다. 기존에는 상기 후방후면프레임(155)에 대응되는 부분이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철판으로만 구성되었기 때문에, 강선 인장시 해당 철판인 모멘트에 저항하지 못하고 휘어지거나 뒤틀리는 등의 손상이 잦았다. 이에 본원발명은 상기 후방후면프레임(155) 자체를 비틀림 모멘트에 강한 육면체 박스형태로 구성함으로써 모멘트 저항력을 높이고, 육면체 내부에 빈 공간을 형성하여 상기 후방후면프레임(155)의 자중은 줄어들도록 해 상기 프레임부(10)의 이동성을 높이고 있다.
도 13 내지 도 15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이러한 상기 후방후면프레임(155)은, 후방전측플레이트(1551), 후방후측플레이트(1553), 후방보강수단(1555)을 포함한다.
상기 후방전측플레이트(1551)는, 박스형 후방후면프레임(155)의 전측을 폐쇄하는 구성으로,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판상형의 형태를 가진다. 상기 후방전측플레이트(1551)는 상기 후방후측플레이트(1553)과 일정 거리만큼 이격 형성된다. 상기 후방전측플레이트(1551)는, 일면에서 타면을 관통하는 제3관통공(15511)을 포함하고, 후술할 후방후측플레이트(1553)는, 일면에서 타면을 관통하는 제4관통공(15531)을 포함하며, 상기 제3관통공(15511)과 상기 제4관통공(15531)은, 동일한 강선을 함께 수용하도록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강선이 상기 제3관통공(15511) 및 상기 제4관통공(15531)을 통해 박스형의 상기 후방후면프레임(155)을 통과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상기 제3관통공(15511)은 상기 후방전측플레이트(1551) 상에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으며, 후술할 후방후측플레이트(1553) 상에도 이에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 개의 제4관통공(15531)이 형성되어 이들이 일대일로 대응됨에 따라, 복수의 강선이 삽입된 성형물을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3관통공(15511)은 D4의 직경을 가지는 원형의 홀의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제3관통공(15511)의 직경(D4)은 후술할 제4관통공(15531)의 직경(D5)과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후방후측플레이트(1553)는, 박스형 후방후면프레임(155)의 후측을 폐쇄하는 구성으로,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판상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후방후측플레이트(1553)는 상기 전방후측플레이트(1551)와 일정 거리만큼 이격 형성되는 특징이 있다. 상기 후방후측플레이트(1553)에는 제4관통공(15531)이 형성된다. 상기 제4관통공(15531)은, 상기 후방후측플레이트(1553)의 일면에서 타면을 관통하는 구성으로, 상기 제4관통공(15531)은 상기 제3관통공(15511)과 동일한 강선을 함께 수용할 수 있도록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후방전측플레이트(1551) 상에는 복수 개의 제3관통공(15511)이 형성될 수 있는바, 상기 후방후측플레이트(1553) 상에는 복수 개의 제3관통공(15511)에 일대일로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 개의 제4관통공(15531)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4관통공(15531) 역시 원형의 홀로 형성되며, D5의 직경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D5는 상기 제3관통공(15511)의 직경 D4와 동일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복수 개의 상기 제3관통공(15511)과 상기 제4관통공(15531)을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후방보강수단(1555)은, 상기 후방전측플레이트(1551)와 상기 후방후측플레이트(1553)가 이격된 일정 거리만큼의 길이를 가지며, 내측에 빈 공간을 형성하고, 일단과 타단이 개방된 통형의 구성을 말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후방보강수단(1555)은, 횡단면의 내경이 D6인 원통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후방보강수단(1555)의 일단과 타단은 상기 후방전측플레이트(1551)의 내측면과 상기 후방후측플레이트(1553)의 내측면과 접하면서 이들을 지지하는바, 강선 인장시 모멘트에 의해 상기 후방전측플레이트(1551)와 상기 후방후측플레이트(1553)가 변형에 대한 높은 저항력을 가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후방보강수단(1555)은, 개방된 일단이 상기 제3관통공(15511)과 연통되고, 개방된 타단이 상기 제4관통공(15531)과 연통되도록 구성된다. 이로써, 상기 제3관통공(15511) 또는 상기 제4관통공(15531)을 통해 들어온 강선이, 상기 후방보강수단(1555)의 가이드를 받으며, 상기 제4관통공(15531) 또는 상기 제3관통공(15511)으로 통과될 수 있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후방보강수단(1555)의 상기 내경 D6는, 상기 D4 및 D5 보다 크게 구성되어, 상기 제3관통공(15511)을 통과한 강선이 간섭없이 상기 후방보강수단(1555)의 내측 공간을 지나 상기 제4관통공(15531)을 통과하도록 하고, 강선을 간섭없이 통과시키는 사이즈보다 더 크게 형성되어 단면을 증가시켜 모멘트에 저항하는 힘이 커지도록 함에 따라, 후방후면프레임(155)이 강선 인장시 비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D6는 상기 D3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6은 연장테이블유닛(17)을 도시한 도면으로, 도 16을 참고하면, 상기 연장테이블유닛(17)은, 상기 중앙테이블유닛(11)과 상기 전방테이블유닛(113) 사이 및/또는 상기 중앙테이블유닛(11)과 상기 후방테이블유닛(15)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중앙테이블유닛(11) 및 상기 전방테이블유닛(13)과 분리가능하게 결합되거나, 상기 중앙테이블유닛(11) 및 상기 후방테이블유닛(15)과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성을 말한다. 구체적으로, 인장테이블을 구성할 때, 기본구성 유닛인 상기 전방테이블유닛(13)과 상기 중앙테이블유닛(11)과 상기 후방테이블유닛(15)이 차례로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연장테이블유닛(17)은 상기 전방테이블유닛(13)과 상기 중앙테이블유닛(11) 사이에만 결합될 수도 있고, 상기 중앙테이블유닛(11)과 상기 후방테이블유닛(15) 사이에만 결합될 수도 있으며, 상기 전방테이블유닛(13)과 상기 중앙테이블유닛(11) 사이 및 상기 중앙테이블유닛(11)과 상기 후방테이블유닛(15) 사이 모두에 결합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전방테이블유닛(13)과 상기 중앙테이블유닛(11) 사이에 복수 개의 연장테이블유닛(17)이 결합될 수도 있고, 상기 중앙테이블유닛(11)과 상기 후방테이블유닛(15) 사이에 복수 개의 연장테이블유닛(17)이 결합될 수도 있는 등 얼마든지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연장테이블유닛(17)은, 연장하면프레임(171), 연장측면프레임(173)을 포함한다.
상기 연장하면프레임(171)은,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격자 형태의 구성으로, 성형몰드가 안정적으로 안착되는 내부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면서, 상기 연장하면프레임(171)의 자중을 줄여 프레임부(10)의 이동을 용이하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장하면프레임(171)은 'I' 또는 'H' 빔이 전후측방향과 좌우측방향으로 배치되어 직각을 이루면서 서로 연결되는 구성으로 볼 수 있다. 모듈식으로 구성된 유닛이 결합되었을 때, 각 유닛이 자연스럽게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연장하면프레임(171)은 인접하는 상기 중앙하면프레임(111), 상기 전방하면프레임(131) 및 상기 후방하면프레임(151)과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프레임부(10) 하면이 전체적인 격자형태를 이루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장측면프레임(173)은, 상기 연장하면프레임(171)의 좌우측단에서 상측 방향으로 수직 연장 형성된 좌우측 한 쌍의 구성을 말한다. 상기 연장측면프레임(173)을 통해 상기 프레임부(10)의 내부공간에 안치된 성형몰드의 외부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연장측면프레임(173)은 'I' 또는 'H' 빔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프레임부(10)의 연속적인 측면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연장측면프레임(173)의 단부는 상기 중앙측면프레임(113), 상기 전방측면프레임(133), 상기 후방측면프레임(153)의 단부와 상보적인 형상을 가지면서 연결되고, 이들 간의 연결방식으로 볼트 접합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도 17은 기어레일(19)을 도시한 도면으로, 상기 기어레일(19)은, 추진 동력을 제공받기 위해 상기 프레임부(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좌우측에 각각 분리 형성된 한 쌍의 구성을 말한다. 바람직하게는 기어치가 형성된 기어 모터(G)의 회전력에 의해 기어 모터(G)의 기어치가 회전할 때, 상기 기어치에 맞물린 상기 기어레일(19)이 동력을 전달 받도록 함으로써, 기어 모터(G)에 의해 인장테이블이 용이하게 추진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상기 기어레일(19)은, 분리 가능하게 조립되는 테이블유닛별로 분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유닛이 분리되었을 때에는 기어레일도 함께 분리될 수 있도록 하고, 유닛이 조립되었을 때에는 각각의 유닛에 분리 형성된 기어레일(19)이 하나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어레일(19)은, 상기 연장테이블유닛(17)이 제거된 상태로 상기 전방테이블유닛(13), 상기 중앙테이블유닛(11) 및 상기 후방테이블유닛(15)이 차례로 조립되더라도 연속적인 기어치형을 형성하며, 상기 연장테이블유닛(17)이 추가된 상태로 상기 전방테이블유닛(13), 상기 연장테이블유닛(17), 상기 중앙테이블유닛(11), 상기 연장테이블유닛(17) 및 상기 후방테이블유닛(15)이 차례로 조립되더라도 연속적인 기어치형을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로써, 조립방식에 상관없이 조립된 유닛의 기어레일(19)은 어느 경우에나 연속적으로 이어지게 되어 기어 모터(G)의 기어치에 의한 추진력을 용이하게 전달받을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이동부(30)는, 상기 프레임부(10)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프레임부(10)에 결합된 구성을 말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동부(30)는, 상기 연장테이블유닛(17)을 제외한, 상기 중앙테이블유닛(11), 상기 전방테이블유닛(13) 및 상기 후방테이블유닛(15)에 형성될 수 있다. 인장테이블(1)을 구성하는데 있어, 상기 중앙테이블유닛(11), 상기 전방테이블유닛(13) 및 상기 후방테이블유닛(15)은 필수적 구성인바, 이들에는 이동부(30)가 구성되도록 하고, 상기 연장테이블유닛(17)은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추가되거나 제거되는 구성이므로, 이러한 구성에는 이동부(30)가 형성되지 않도록 하여, 불필요한 이동부(30)의 수를 줄이면서도, 인장테이블의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부(30)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부(30)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 18 및 도 19를 참고하면, 이러한 상기 이동부(30)는, 제1롤러부(31) 및 제2롤러부(33)를 포함한다.
상기 제1롤러부(31)는, 상기 중앙테이블유닛(11)에 결합된 탄성수단을 포함하는 구성을 말한다. 상기 연장테이블유닛(17)의 추가에 의해 인장테이블(1)의 길이가 길어질 경우, 중심부에서 진동의 진폭이 커져 흔들림이 극대화되는 문제가 발생하는바, 상기 중앙테이블유닛(11)에 형성된 탄성수단을 포함한 상기 제1롤러부(31)에 의해 이러한 진동이 감쇠되도록 한다. 이러한 상기 제1롤러부(31)는, 댐핑부(311), 바퀴부(313)를 포함한다.
상기 댐핑부(311)는, 상기 이동부수용홀(1131) 상에 형성되며, 충격을 흡수하는 구성으로, 일측이 상기 이동부수용홀(1131)의 상면을 형성한 중앙측면프레임(113)에 결합되는 탄성수단(3111)과, 상기 탄성수단(3111)의 타측에 결합되는 플레이트(3113)와, 상기 플레이트(3113)의 좌우측에서 하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연결수단(3115)과, 상기 연결수단(3115) 사이를 연결하도록 형성되어 후술할 바퀴부(313)가 결합되는 회전축(3117)을 포함한다.
상기 바퀴부(313)는, 상기 댐핑부(31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구성으로, 바람직하게는 상기 회전축(3117)에 결합되는 구성을 말한다. 상기 기어모터(G)에 의한 회전력을 상기 기어레일(19)이 받게 되면서 상기 프레임부(10)에 외력이 전달되고, 상기 프레임부(10) 하측에는 상기 바퀴부(313)가 형성되어, 비교적 적은 외력에 의해서도 고중량의 인장테이블(1)이 추진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2롤러부(33)는, 상기 전방테이블유닛(13) 및 상기 후방테이블유닛(15)에 결합된 탄성수단을 포함하지 않는 구성을 말한다. 상기 중앙테이블유닛(11)에 비해 상기 전방테이블유닛(13)과 상기 후방테이블유닛(15)은 진동에 의한 영향이 적은바, 상기 전방테이블유닛(13)과 상기 후방테이블유닛(15) 하측에는 탄성수단이 없는 상기 제2롤러부(33)를 형성함으로써 구성을 단순화하여 제작비용을 줄이면서도 인장테이블(1)을 공정별로 이동시키는데 무리가 없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용
도 20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20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강선이 삽입된 성형물의 형상과 상보적인 형상을 가지는 성형몰드는, 그 종류에 따라, 상대적으로 길이가 긴 것이 있는가 하면, 상대적으로 길이가 짧은 것이 있다. 성형몰드의 길이가 이렇게 다름에도 불구하고, 길이 조절이 되지 않는 인장테이블(1)이 사용될 경우, 상기 프레임부(10)의 길이에 비해 상대적으로 성형몰드의 길이는 짧을 때, 배근되는 강선이 상기 프레임부(10)의 길이에 맞춰질 수밖에 없어, 완성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에서 강선이 필요 이상으로 돌출되게 되고, 해당 부분은 제거가 되는바, 강선의 로스율이 크게 증가하게 된다. 하지만, 본원발명은 상기 프레임부(10)가 모듈식으로 구성되어, 연장테이블유닛(17)의 가감에 따라 프레임부(10)의 전체 길이를 변화시킬 수 있으므로, 강선 로스율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부(10)의 하측에는 이동부(30)가 형성되며, 상기 이동부(30)는 도 20에 도시된 레일(R) 위를 이동할 수 있게 되면서, 성형몰드 설치, 강선 배치, 콘크리트 타설, 스팀 양생, 탈형 등의 공정에 따라 인장테이블(1)을 단계별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게 되면서, 작업을 보다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게 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프레임부(10)에 형성된 기어레일(19)이 기어모터(G)의 기어치와 맞물려 추진력을 받는바, 고중량의 인장테이블(1)을 보다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도 21과 도 2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조용 인장테이블(1) 상에 안착되는 성형몰드(M)는 전체적으로 일정한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되되, 상기 성형몰드(M) 역시 모듈식으로 제작되어, 필요에 따라 그 길이를 연장하거나, 그 길이를 단축할 수도 있다.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어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개념의 범위, 저술한 개시 내용과 균등한 범위 및/또는 당업계의 기술 또는 지식의 범위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저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최선의 상태를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적용 분야 및 용도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변경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는 다른 실시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조용 인장테이블
10: 프레임부
11: 중앙테이블유닛
111: 중앙하면프레임
113: 중앙측면프레임
1131: 이동부수용홀
13: 전방테이블유닛
131: 전방하면프레임
133: 전방측면프레임
135: 전방전면프레임
1351: 전방전측플레이트
13511: 제1관통공
1353: 전방후측플레이트
13531: 제2관통공
1355: 전방보강수단
15: 후방테이블유닛
151: 후방하면프레임
153: 후방측면프레임
155: 후방후면프레임
1551: 후방전측플레이트
15511: 제3관통공
1553: 후방후측플레이트
15531: 제4관통공
1555: 후방보강수단
17: 연장테이블유닛
171: 연장하면프레임
173: 연장측면프레임
19: 기어레일
30: 이동부
31: 제1롤러부
311: 댐핑부
3111: 탄성수단
3113: 플레이트
3115: 연결수단
3117: 회전축
313: 바퀴부
33: 제2롤러부
5: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조용 성형몰드
51: 중앙몰드유닛
53: 전방몰드유닛
55: 후방몰드유닛
57: 연장몰드유닛

Claims (33)

  1.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조용 인장테이블을 포함하며,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조용 인장테이블은, 상측이 개방된 형상을 하며, 개방된 상측과 연통된 내부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내부공간에 안착되는 성형몰드를 지지하는 프레임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부는, 복수 개의 테이블유닛이 분리 가능하게 조립되는 모듈식으로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부에 안착되는 상기 성형몰드의 형상에 따라 그 길이를 조절해 강선 로스를 최소화하며,
    상기 프레임부는, 프레임부의 중심부를 형성하는 중앙테이블유닛과,
    상기 중앙테이블유닛의 전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전방테이블유닛과,
    상기 중앙테이블유닛의 후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후방테이블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조용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중앙테이블유닛과 상기 전방테이블유닛 사이 및/또는
    상기 중앙테이블유닛과 상기 후방테이블유닛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중앙테이블유닛 및 상기 전방테이블유닛과 분리가능하게 결합되거나, 상기 중앙테이블유닛 및 상기 후방테이블유닛과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연장테이블유닛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조용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테이블유닛은,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격자 형태의 전방하면프레임과, 상기 전방하면프레임의 좌우측단에서 상측 방향으로 수직 연장 형성된 한 쌍의 전방측면프레임과, 상기 전방하면프레임의 전측단에서 상측 방향으로 수직 연장 형성되면서 상기 한 쌍의 전방측면프레임과도 결합하는 전방전면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조용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전면프레임은, 강선 인장시 비틀림 모멘트에 저항하도록 내측공간을 형성한 박스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조용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전면프레임은, 박스형 전방전면프레임의 전측을 폐쇄하는 전방전측플레이트와, 박스형 전방전면프레임의 후측을 폐쇄하는 전방후측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전방전측플레이트와 상기 전방후측플레이트는, 일정 거리만큼 이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조용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전측플레이트는, 일면에서 타면을 관통하는 제1관통공을 포함하고,
    상기 전방후측플레이트는, 일면에서 타면을 관통하는 제2관통공을 포함하며,
    상기 제1관통공과 상기 제2관통공은, 동일한 강선을 함께 수용하도록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조용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전면프레임은, 상기 전방전측플레이트와 상기 전방후측플레이트가 이격된 일정 거리만큼의 길이를 가지며, 내측에 빈 공간을 형성하고, 일단과 타단이 개방된 통형의 전방보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조용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보강수단은, 개방된 일단이 상기 제1관통공과 연통되고, 개방된 타단이 상기 제2관통공과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조용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관통공은, D1의 직경을 가지는 원형의 홀이고,
    상기 제2관통공은, D2의 직경을 가지는 원형의 홀이며,
    상기 D1과 상기 D2는,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조용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보강수단은,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횡단면의 내경이 D3이고,
    상기 D3는, 상기 D1 및 상기 D2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조용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테이블유닛은,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격자 형태의 후방하면프레임과, 상기 후방하면프레임의 좌우측단에서 상측 방향으로 수직 연장 형성된 한 쌍의 후방측면프레임과, 상기 후방하면프레임의 후측단에서 상측 방향으로 수직 연장 형성되면서 상기 한 쌍의 후방측면프레임과도 결합하는 후방후면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조용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후면프레임은, 강선 인장시 비틀림 모멘트에 저항하도록 내측공간을 형성한 박스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조용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후면프레임은, 박스형 후방후면프레임의 전측을 폐쇄하는 후방전측플레이트와, 박스형 후방후면프레임의 후측을 폐쇄하는 후방후측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후방전측플레이트와 상기 후방후측플레이트는 일정 거리만큼 이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조용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전측플레이트는, 일면에서 타면을 관통하는 제3관통공을 포함하고,
    상기 후방후측플레이트는, 일면에서 타면을 관통하는 제4관통공을 포함하며,
    상기 제3관통공과 상기 제4관통공은 동일한 강선을 함께 수용하도록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조용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후면프레임은, 상기 후방전측플레이트와 상기 후방후측플레이트가 이격된 일정 거리만큼의 길이를 가지며, 내측에 빈 공간을 형성하고, 일단과 타단이 개방된 통형의 후방보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조용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보강수단은, 개방된 일단이 상기 제3관통공과 연통되고, 개방된 타단이 상기 제4관통공과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조용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3관통공은, D4의 직경을 가지는 원형의 홀이고,
    상기 제4관통공은, D5의 직경을 가지는 원형의 홀이며,
    상기 D4와 상기 D5는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조용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보강수단은,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횡단면의 내경이 D6이고,
    상기 D6은, 상기 D4 및 상기 D5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조용 장치.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테이블유닛은,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격자 형태의 중앙하면프레임과, 상기 중앙하면프레임의 좌우측단에서 상측 방향으로 수직 연장 형성된 한 쌍의 중앙측면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조용 장치.
  21.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는, 추진 동력을 제공받기 위해 상기 프레임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좌우측에 각각 분리 형성된 한 쌍의 기어레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조용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레일은, 분리 가능하게 조립되는 테이블유닛별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조용 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레일은, 상기 연장테이블유닛이 제거된 상태로 상기 전방테이블유닛, 상기 중앙테이블유닛 및 상기 후방테이블유닛이 차례로 조립되더라도, 연속적인 기어치형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조용 장치.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레일의 기어치형은, 상기 연장테이블유닛이 추가된 상태로 상기 전방테이블유닛, 상기 연장테이블유닛, 상기 중앙테이블유닛, 상기 연장테이블유닛 및 상기 후방테이블유닛이 차례로 조립되더라도, 연속적인 기어치형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조용 장치.
  25. 상측이 개방된 형상을 하며, 개방된 상측과 연통된 내부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내부공간에 안착되는 성형몰드를 지지하는 프레임부와,
    상기 프레임부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프레임부에 결합된 이동부를 포함하여 상기 성형몰드가 안착된 상기 프레임부의 공정별 이동을 용이하게 하고,
    상기 이동부는, 중앙테이블유닛과, 전방테이블유닛과, 후방테이블유닛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조용 장치.
  26. 삭제
  27.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상기 중앙테이블유닛에 결합된 탄성수단을 포함하는 제1롤러부와, 상기 전방테이블유닛 및 상기 후방테이블유닛에 결합된 탄성수단을 포함하지 않는 제2롤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조용 장치.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테이블유닛은, 한 쌍의 중앙측면프레임의 중심 하측면으로부터 상측방향으로 일정한 높이만큼 관통 형성된 한 쌍의 이동부수용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조용 장치.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제1롤러부는, 상기 이동부수용홀 상에 형성되며, 충격을 흡수하는 댐핑부와, 상기 댐핑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바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조용 장치.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댐핑부는, 일측이 상기 이동부수용홀의 상면을 형성한 중앙 측면 프레임에 결합되는 탄성수단과, 상기 탄성수단의 타측에 결합되는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의 좌우측에서 하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연결수단과, 상기 연결수단 사이를 연결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바퀴부가 결합되는 회전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조용 장치.
  31.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조용 인장테이블과,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조용 인장테이블 상에 안착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조용 성형몰드를 포함하며,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조용 인장테이블은, 상측이 개방된 형상을 하며, 개방된 상측과 연통된 내부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내부공간에 안착되는 성형몰드를 지지하는 프레임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부는, 복수 개의 테이블유닛이 분리 가능하게 조립되는 모듈식으로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부에 안착되는 상기 성형몰드의 형상에 따라 그 길이를 조절해 강선 로스를 최소화하며,
    상기 성형몰드는, 복수 개의 몰드유닛이 분리 가능하게 조립되는 모듈식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조용 장치.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몰드는, 성형몰드의 중심부를 형성하는 중앙몰드유닛과,
    상기 중앙몰드유닛의 전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전방몰드유닛과,
    상기 중앙몰드유닛의 후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후방몰드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조용 장치.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몰드는, 상기 중앙몰드유닛과 상기 전방몰드유닛 사이 및/또는 상기 중앙몰드유닛과 상기 후방몰드유닛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중앙몰드유닛 및 상기 전방몰드유닛과 분리가능하게 결합되거나, 상기 중앙몰드유닛 및 상기 후방몰드유닛과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연장몰드유닛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조용 장치.
KR1020200032386A 2020-03-17 2020-03-17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조용 장치 KR1021424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2386A KR102142466B1 (ko) 2020-03-17 2020-03-17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조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2386A KR102142466B1 (ko) 2020-03-17 2020-03-17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조용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2466B1 true KR102142466B1 (ko) 2020-08-14

Family

ID=720502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2386A KR102142466B1 (ko) 2020-03-17 2020-03-17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조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246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3009B1 (ko) 2020-11-03 2021-02-05 민우산업(주)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제작장치 및 제작방법
KR102283753B1 (ko) * 2021-02-01 2021-07-30 주식회사 태명실업 프리텐션 방식을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조를 위한 이동식 제조 형틀 및 그 제조 형틀을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의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19699A (ko) * 2012-04-24 2013-11-01 (주)대우건설 모듈러 코핑부용 조립식 거푸집
KR101353048B1 (ko) 2013-08-08 2014-01-20 피씨엠건설(주)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작용 몰드
KR20160002066A (ko) * 2014-06-30 2016-01-07 강말선 진동 원형관 성형용 몰드
KR101653489B1 (ko) * 2015-04-07 2016-09-01 피씨에스솔루션 주식회사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조용 이동식 몰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19699A (ko) * 2012-04-24 2013-11-01 (주)대우건설 모듈러 코핑부용 조립식 거푸집
KR101353048B1 (ko) 2013-08-08 2014-01-20 피씨엠건설(주)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작용 몰드
KR20160002066A (ko) * 2014-06-30 2016-01-07 강말선 진동 원형관 성형용 몰드
KR101653489B1 (ko) * 2015-04-07 2016-09-01 피씨에스솔루션 주식회사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조용 이동식 몰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3009B1 (ko) 2020-11-03 2021-02-05 민우산업(주)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제작장치 및 제작방법
KR102283753B1 (ko) * 2021-02-01 2021-07-30 주식회사 태명실업 프리텐션 방식을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조를 위한 이동식 제조 형틀 및 그 제조 형틀을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2466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조용 장치
RU2504617C2 (ru) Способ создания бетонной платформы, бетонная платформа и соединительная деталь
JP2011005689A5 (ko)
KR101199997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용 성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정화조 성형물의 제조방법
KR200393006Y1 (ko) Frp 구조체를 이용한 중공형 프리캐스트 기둥의연결구조
KR101705002B1 (ko) 조립식 이중합성 플레이트 거더교 및 그 시공방법
KR102055012B1 (ko) 프리캐스트 격자형보 몰드의 탈형 장치
WO2014046132A1 (ja) 成形機
KR102283753B1 (ko) 프리텐션 방식을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조를 위한 이동식 제조 형틀 및 그 제조 형틀을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의 제조방법
CN113931304B (zh) 一种可拆卸卡槽装配式梁柱节点连接结构
CN112549283B (zh) 一种装配式建筑预制构件生产用固定装置
KR101642484B1 (ko) 멀티 코너 타이 브라켓
JPH0434161A (ja) Pc柱及びpc柱構法
CN115288358B (zh) 一种纤维增强水泥板内置固定网架
CN213999926U (zh) 预制构件生产用纵梁及圈梁
KR20060023618A (ko) Frp 구조체를 이용한 중공형 프리캐스트 기둥 및 이의연결구조
KR20060112502A (ko) Frp 폼에 콘크리트를 충전한 합성보
KR100583774B1 (ko) 가변형 합벽지지대
KR102343409B1 (ko) 모듈형 진동 저감 pc 슬래브
KR20130081172A (ko) 복부파형강판 콘크리트 합성아이빔 제작용 거푸집
KR102420436B1 (ko) 모듈형 바체어 구조체 및 그 설치방법
KR101713011B1 (ko) Pc 몰드 회전장치
KR20050081796A (ko) 충전재를 이용한 피.에스 거더교 구조 및 그 공법
KR100868865B1 (ko) 연속 교량의 교각부에 헌치 블럭이 형성되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빔 교량의 연속 공법 및 이를 이용한 교량의 연속화 구조
KR20050076059A (ko) 교각 시공용 거푸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