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85798A - 장원형 교각용 슬립폼 및 이를 이용한 수평근 배근방법 - Google Patents

장원형 교각용 슬립폼 및 이를 이용한 수평근 배근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85798A
KR20090085798A KR1020080011628A KR20080011628A KR20090085798A KR 20090085798 A KR20090085798 A KR 20090085798A KR 1020080011628 A KR1020080011628 A KR 1020080011628A KR 20080011628 A KR20080011628 A KR 20080011628A KR 20090085798 A KR20090085798 A KR 200900857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oke
horizontal
vertical
foam
vertical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16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87122B1 (ko
Inventor
최성환
Original Assignee
은산토건(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은산토건(주) filed Critical 은산토건(주)
Priority to KR10200800116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7122B1/ko
Publication of KR200900857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57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71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71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2Piers; Abutments ; Protecting same against drifting ic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20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원형 교각용 슬립폼 및 이를 이용한 수평근 배근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요크 수직재를 상측 요크 수직재와 하측 요크 수직재로 분리하고, 이들 사이에 수직재 연결기구를 설치하여 슬립폼의 이동시와 콘크리트 타설시에는 상하측 요크 수직재를 연결하고, 수평근을 배근할 때는 수직재 연결기구를 해체하여 상하측 요크 수직재 사이에 틈새가 형성되도록 하여 그 틈새로 수평근을 배근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이므로 장원형 교각용 수평근을 직선부와 반원부로 구성되는 "U"자형 철근으로 제작하여 배근하고 2개의 조인트만으로 연결할 수 있어 공사원자재를 절감하고, 품질향상과 작업안전성을 기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장원형 교각, 슬립폼, 철근

Description

장원형 교각용 슬립폼 및 이를 이용한 수평근 배근방법{Slip form for elliptical bridge pier and Method for arranging reinforced r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장원형 교각용 슬립폼 및 이를 이용한 수평근 배근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평근의 조인트를 최소화하면서도 수평근의 배근이 매우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장원형 교각용 슬립폼 및 이를 이용한 수평근 배근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장원형 교각(P)을 철근 콘크리트로 시공함에 있어서는, 도 13, 도 14,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수직근(1)과 이 수직근(1)들에 연결되는 복수개의 장원형 수평근(2)을 배근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벽체(W)를 구축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장원형 교각을 시공함에 있어서는 슬립폼을 사용하는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장원형 교각용 슬립폼(SF)은 도 11 내지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공하고자 하는 장원형 교각(P)을 형성하는 벽체(W)들의 내외측에 대향 설치되는 내외측 요크 수직재(111,112)와 이들 내외측 요크 수직재(111,112)를 연결하는 상하측 요크 수평재(113,114)를 가지는 복수개(도시례에서는 5개)의 요크(110)와, 상기 복수개의 요크(110)의 내외측 요크 수직재(111,112)를 각각 연결하는 내외측 웨일링(walling)(121,122) 및, 상기 내외측 웨일링(121,122)을 통해 요크(110)에 지지되는 내외측 폼패널(131,132)을 가지는 폼 조립체(100)와; 상기 요크(110)에 장착되어 폼 조립체(100)를 상승시키기 위한 유압잭(2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요크(110)와 웨일링(121,122)은 H빔, 채널 등의 형강으로 구성되며, 폼패널(131,132)은 금속판재로 구성된다.
상기 내외측 요크 수직재(111,112)는 그 사이에 설치되는 웨일링(121,122)과 폼패널(131,132) 등을 고려하여 시공하고자 하는 장원형 교각(P)의 벽체(W) 벽두께보다 넓은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상기 상하측 요크 수평재(113,114)는 복수개의 요크 연결재(115,116)에 의해 내외측 요크 수직재(111,112)에 연결된다.
상기 내외측 폼패널(131,132)은 철판을 만곡시켜 하나의 장원형 패널로 구성할 수도 있으나, 여러 개의 만곡형 철판과 평판형 철판으로 분할하여 서로 결합하는 것에 의해 전체적으로 장원형 패널을 이루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내외측 폼패널(131,132)은 복수개의 수직형 연결재(133,134)와 상하측 반원형 연결재(135,136)에 의해 웨일링(121,122)에 고정 결합된다.
상기 내측 요크 수직재(111)들 사이의 중단부에는 내측 중단 데크(140)가 구 비되며, 상기 외측 요크 수직재(112)의 중단부 외측에는 외측 중단 데크(150)가 구비되고, 상기 내외측 요크 수직재(111,112)의 상단에는 상단 데크(160)가 구비된다.
상기 내측 중단 데크(140)는 상기 내측 요크 수직재(111)들의 중단 내측에 연결 고정되는 웨일링(141)과, 이 웨일링(141)의 상부에 결합되는 데크 프레임(142) 및 이 데크 프레임(142)의 상면에 복개되는 데크 플레이트(143)로 구성된다.
상기 외측 중단 데크(150)는 상기 외측 요크 수직재(112)들의 중단 외측에 연결 고정되는 웨일링(151)과, 이 웨일링(151)의 상부에 결합되는 데크 프레임(152) 및, 이 데크 프레임(152)의 상부에 복개되는 데크 플레이트(153)로 구성된다.
상기 데크 프레임(152)의 하부에는 지지대(152a)가 구비된다.
상기 외측 중단 데크(150)의 상면에는 그 가장자리를 따라 안전망(154)이 설치된다. 상기 안전망(154)은 외측 중단 데크(150)의 상면 가장자리를 따라 설치되는 복수개의 지지봉(155)과, 상기 복수개의 지지봉(155)에 결하되는 망체(156)로 구성된다.
상기 상단 데크(160)는 상기 내외측 요크 수직재(111,112)의 상단에 결합되는 데크 프레임(161)과, 이 데크 프레임(161)의 상부에 복개되는 데크 프레임(162)으로 구성된다.
상기 데크 플레이트(143,153,162)는 통상적으로 복공판으로 사용되는 미끄럼 방지용 엠보싱 철판이나 타공철판이 사용된다.
상기 유압잭(200)은 상하측 요크 수평재(113,114)의 사이에 수직으로 설치되며, 잭로드(210)가 구비된다.
상기 잭로드(210)는 최하단이 장원형 교각(P)의 벽체(W)의 하단에 타설되는 기초 바닥 콘크리트(미도시)에 지지되며, 장원형 교각(P)의 전체 높이에 대하여 슬립폼(SF)을 상승시킬 수 있는 높이를 가지는 하나의 로드로 구성할 수도 있으나, 통상적으로 그 상하단에 수나사부와 암나사부가 형성된 여러 개의 로드로 분할하여 슬립폼(SF)의 상승 높이에 따라 점차 조립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슬립폼에 의하여 장원형 교각을 시공함에 있어서는 폼패널(121,122) 사이에 직선형 수직근(1)과 장원형 수평근(2)을 배근하고, 폼패널(121,122) 사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타설된 콘크리트가 어느 정도 양생이 이루어지면 슬립폼(100)을 다음 위치로 상승시켜 상술한 과정을 반복하는 것에 의해 장원형 교각(P)의 벽체(W)를 타설한다.
이때 직선형 수직근(1)과 장원형 수평근(2)은 외측 중단 데크(150)에 적재한 상태로 상승 이동하면서 장원형 교각(P)을 시공한다.
직선형 수직근(1)과 장원형 수평근(2)을 배근하기 위해서는 내측 중단 데크(140)와 외측 중단 데크(150)에 적재된 장원형 수평근(2)을 인접하는 내외측 요크 수직재(111,112)들 사이를 통해 내외측 폼패널(131,132) 사이의 배근위치로 이동시켜 조립작업을 하게 되는데 직선형 수직근(1)은 내외측 요크 수직재(111,112) 사이를 통해 세워서 배근 위치 즉, 내외측 폼패널(131,132) 사이로 투입할 수 있으 므로 배근작업에 하등의 문제가 없으나, 장원형 수평근(2)의 경우 눕힌 상태로 이동 및 투입하여야 하기 때문에 외측 요크 수직재(112)들 사이로 통과시킬 수 있는 장원형 수평근(2)의 크기에 한계가 있게 된다.
따라서 종래에는 부득이 하게 도 16 및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원형 수평근(2)을 2개의 직선형 철근(2a)과 이들 2개의 직선형 철근(2a)의 양단에 연결되는 2개의 반원형 철근(2b)의 4개씩의 철근으로 분할하고 있다.
이에 따라 장원형 수평근(2)을 조립하기 위해서는 2개의 직선형 철근(2a)과 2개의 반원형 철근(2b)의 연결 부위를 철근 조인트(미도시)로 연결하여야 하는데 그 연결부위가 4개소이기 때문에 시공이 번거롭게 되고, 철근 조인트(미도시) 등 원자재 사용개수가 증가하며, 연결부위가 많아짐에 따라 시공품질이 저하되고, 작업안전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도 16 및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선형 철근(2a)의 양단에는 반원형 철근(2b)과 겹쳐지는 부분에 반원형 철근(2b)과 같은 곡률로 만곡부(2c)를 형성하여야 하므로 철근성형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많은 인력과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수평근의 조인트 개수와 이에 따른 연결 작업 공수를 최소화하여 시공이 간편하고, 시공품질이 향상되며 작업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장원형 교각용 슬립폼 및 이를 이용한 수평근 배근방법을 제공하려는 것 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평근을 단순히 2개의 "U"자형 철근으로 성형함으로써 철근성형작업이 매우 간편하고 인력과 시간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장원형 교각용 슬립폼 및 이를 이용한 수평근 배근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각 한 쌍의 요크 수직재와 이 각 한 쌍의 요크 수직재를 연결하는 상하측 요크 수평재를 가지는 요크와, 상기 요크에 조립되는 폼패널과, 상기 요크 수직재의 중단에 설치되는 내측 중단 데크와 외측 중단 데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장원형 교각용 슬립폼에 있어서, 상기 요크 수직재는 상기 하측 요크 수평재와 폼패널의 상단 사이의 위치에서 상하로 분리되어 그 사이에 수평근이 진입될 수 있는 틈새가 형성되는 상하측 요크 수직재로 구성되며, 상기 상하측 요크 수직재 사이를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는 수직재 연결기구와, 상기 하측 요크 수평재의 하면과 내측 중단 데크의 상면 사이에 설치되어 상측 요크 수직재와 상하측 요크를 지지하는 슬립폼 처짐방지기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원형 교각용 슬립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하측 요크 수직재의 하단과 상단에 고정된 고정편의 사이에 끼워지는 끼움재와 이 끼움재를 고정편에 고정하는 볼트와 너트로 구성되는 수직재 연결기구에 의해 상측 요크 수직재와 하측 요크 수직재가 연결된 상태에서 내측 중단 데크와 외측 중단 데크 위에 두 개의 직선부와 이들 직선부를 연결하는 반원형부를 가지는 "U"자형 철근을 적재하고 슬립폼 을 시공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와; 수직재 연결기구의 볼트와 너트를 해체하여 끼움재를 탈거하여 상하측 요크 수직재 사이에 틈새가 형성되도록 함과 아울러 하측 요크 수평재와 내측 중단 데크 사이에 슬립폼 처짐방지기구에 의해 요크가 처지지 않도록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틈새를 통하여 "U"자형 철근을 내외측 폼패널의 상단부로 이동 적재하는 단계와; 수직재 연결기구를 재조립하여 상하측 요크 수직재를 연결하고, 내외측 폼패널의 상단부에 적재된 "U"자형 철근을 수평근 배근 위치로 이동시켜 배근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장원형 교각용 수평근 배근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장원형 교각용 슬립폼 및 이를 이용한 수평근 배근방법에 의하면, 내외측 요크 수직재를 상측 요크 수직재와 하측 요크 수직재로 분리하고, 이들 사이에 수직재 연결기구를 설치하여 슬립폼의 이동시와 콘크리트 타설시에는 상하측 요크 수직재를 연결하고, 수평근을 배근할 때는 수직재 연결기구를 해체하여 상하측 요크 수직재 사이에 틈새가 형성되도록 하여 그 틈새로 수평근을 배근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장원형 교각용 수평근을 직선부와 반원부로 구성되는 2개의 "U"자형 철근으로 제작하여 배근하고 2개의 조인트만으로 연결할 수 있어 수평근의 조인트 개수와 이에 따른 연결 작업 공수를 최소화하여 시공이 간편하고, 시공품질이 향상되며, 작업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장원형 교각용 슬립폼 및 이를 이용한 수평근 배근방법에 의 하면, 수평근을 단순히 2개의 "U"자형 철근으로 성형함으로써 철근성형작업이 매우 간편하고 인력과 시간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장원형 교각용 슬립폼 및 이를 이용한 수평근 배근방법에 의하면, 상하측 요크 수직재 사이에 설치되는 수직재 연결기구를 해체한 경우에는 하측 요크 수평재와 내측 중단 데크 사이에 슬립폼 처짐방지기구를 설치하여 슬립폼이 처지는 일이 없게 되므로 안전하게 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장원형 교각용 슬립폼을 첨부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장원형 교각용 슬립폼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장원형 교각용 슬립폼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장원형 교각용 슬립폼의 종단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장원형 교각용 슬립폼의 부분 확대 종단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장원형 교각용 슬립폼의 부분 사시도, 도 6은 도 3의 A-A선 단면도, 도 7은 슬립폼 처짐방지기구의 확대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해 시공되는 장원형 교각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해 장원형 교각을 시공할 때 사용되는 수평근의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장원형 교각용 수평근 배근방법을 보인 시공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장원형 교각용 슬립폼(SF)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공하고자 하는 장원형 교각(P)을 형성하는 벽체(W)들의 내외측에 대향 설치되는 내외측 요크 수직재(111,112)와 이들 내외측 요크 수직재(111,112)를 연결 하는 상하측 요크 수평재(113,114)를 가지는 복수개(도시례에서는 5개)의 요크(110)와, 상기 복수개의 요크(110)의 내외측 요크 수직재(111,112)를 각각 연결하는 내외측 웨일링(walling)(121,122) 및, 상기 내외측 웨일링(121,122)을 통해 요크(110)에 지지되는 내외측 폼패널(131,132)을 가지는 폼 조립체(100)와; 상기 요크(110)에 장착되어 폼 조립체(100)를 상승시키기 위한 유압잭(200)을 포함하는 기본적인 기술구성과 내측 중단 데크(140)와 외측 중단 데크(150) 및 상단 데크(160)의 구성은 상술한 종래 기술과 동일하다.
따라서 종래 기술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라서 상기 요크 수직재(111,112)는 하측 요크 수평재(114)의 하단과 폼패널(131,132)의 상단 사이의 위치에서 상측 요크 수직재(111a,112a)와 하측 요크 수직재(111b,112b)로 분할되어 이들 상하측 요크 수직재(111a,112a,111b,112b)의 사이에 수평근(6)이 진입할 수 있는 틈새(C)가 형성되며, 상기 틈새(C)에는 수직재 연결기구(300)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수직재 연결기구(300)는 상기 상측 요크 수직재(111a,112a)의 하단과 하측 요크 수직재(111b,112b)의 상단에 각각 고정되는 고정편(310,320)과, 상기 고정편(310,320) 사이에 끼워지는 끼움재(330,340)와, 상기 고정편(310,320)과 끼움재(330,340)를 관통하는 볼트(350,360) 및, 상기 볼트(350,360)에 체결되는 너트(370,3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도 6 참조).
또한 상기 하측 요크 수평재(114)와 내측 중단 데크(140) 사이에는 슬립폼 처짐방지기구(400)가 설치된다.
상기 슬립폼 처짐방지기구(400)는 수직재 연결기구(300)를 해체하여 내외측 요크 수직재(111,112)의 상측 요크 수직재(111a,112a)와 하측 요크 수직재(111b,112b)가 분리된 상태에서 상측 요크 수직재(111a,112a)와 상하측 요크 수평재(113,114) 및 상단 데크(160)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슬립폼 처짐방지기구(400)는 하측 요크 수평재(114)의 하면과 내측 중단 데크(140)의 상면에 각각 설치된 걸림고리(410,420)와, 상기 걸림고리(410,420)에 각각 걸리는 걸고리(431,441)와 이 걸고리(431,441)에서 일체로 연장되며 서로 반대방향 나선으로 되는 나사봉(432,442)을 가지는 타이로드(430,440) 및, 상기 타이로드(430,440)의 나사봉(432,442)에 나사결합되는 나사공(451,452)을 가지는 턴버클(4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도 7 참조).
이하, 본 발명의 장원형 교각용 수평근 배근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장원형 교각용 수평근 배근방법은,
도 9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측 요크 수직재(111a,112a,111b,112b)의 하단과 상단에 고정된 고정편(310,320)의 사이에 끼움재(330,340)를 끼우고 볼트(350,360)와 너트(370,380)로 고정편(310,320)과 끼움재(330,340)를 고정 결합하여 상하측 요크 수직재(111a,112a,111b,112b)가 연결된 상태에서 내측 중단 데크(140)와 외측 중단 데크(150) 위에 수직근(5)과 수평근(6)을 적재하고 슬립폼(SF)을 시공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와;
도 9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직재 연결기구(300)의 볼트(350,360)와 너 트(370,380)를 해체하여 끼움재(330,340)를 탈거하여 상하측 요크 수직재(111a,112a,111b,112b) 사이에 틈새(C)가 형성되도록 함과 아울러 하측 요크 수평재(114)와 내측 중단 데크(140) 사이에 슬립폼 처짐방지기구(400)에 의해 상측 요크 수직재(111a,112a)와 요크 수평재(113,114) 및 상단 데크(160) 등이 처지지 않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틈새(C)를 통하여 수평근(6)을 내외측 폼패널(131,132)의 상단부로 이동 적재하는 단계와;
도 9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직재 연결기구(300)를 재조립하여 상하측 요크 수직재(111a,112a,111b,112b)를 연결하고, 내외측 폼패널(131,132)의 상단부에 적재된 수평근(6)을 배근 위치로 이동시켜 배근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슬립폼(SF)을 시공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에서는 슬립폼 처짐방지기구(400)를 해체한 상태로 이동시킬 수도 있다.
상기 수직재 연결기구(300)를 해체하고 끼움재(330)를 탈거하여 상하측 요크 수직재(111a,112a,111b,112b) 사이에 틈새(C)가 형성되도록 함에 있어서는 그 전에 슬립폼 처짐방지기구(400)를 미리 설치하여 수직재 연결기구(300)를 해체하고 끼움재(330)를 탈거하였을 때 상측 요크 수직재(111a,112a)와 요크 수평재(113,114) 및 상단 데크(160) 등이 처지지 않고 슬립폼 처짐방지기구(400)에 의해 지지되도록 한다.
상기 수직재 연결기구(300)를 해체함에 있어서는 볼트(350,360)에서 너트(370,380)를 해체하고 볼트(350,360)를 고정편(310,320) 및 끼움재(330,340)에서 분리하는 것에 의해 끼움재(330,340)를 탈거할 수 있으며, 수직재 연결기구(300)를 재조립함에 있어서는 끼움재(330,340)를 고정편(310,320)의 사이에 끼우고 고정편(310,320)과 끼움재(330,340)에 볼트(350,360)를 관통시킨 다음 볼트(35,3600)에 너트(370,380)를 체결하는 것에 의해 끼움재(330,340)를 재조립할 수 있다.
상기 슬립폼 처짐방지기구(400)를 설치함에 있어서는 턴버클(450)을 조임방향으로 돌려서 타이로드(430,440)의 걸고리(431,441)가 하측 요크 수평재(114)의 하면과 내측 중단 데크(140)의 상면에 고정된 걸림고리(410,420)에 걸릴 수 있도록 조정한 다음, 걸고리(432,442)를 걸림고리(410,420)에 걸어서 상측 요크 수직재(111a,111b)와 상하측 요크 수평재(113,114) 및 상단 데크(160) 등이 슬립폼 처짐방지기구(400)에 의해 지지되도록 한다.
한편, 수직재 연결기구(300)를 해체하여 수평근(6)을 통과시킨 후 수직재 연결기구(300)를 재조립하기 위하여 끼움재(330)를 틈새(C)에 삽입할 경우 상측 요크 수직재(111a,112a)와 상하측 요크 수평재(113,114) 및 상단 데크(160)의 하중에 의해 틈새(C)에 끼움재(330)를 끼워 넣기 어려울 경우에는 자동차용 잭(jack)이나 유압잭 등을 사용하여 상측 요크 수직재(111a,112a)와 상하측 요크 수평재(113,114) 및 상단 데크(160)를 들어 올린 상태에서 끼움재(330)를 끼워 넣음으로써 그 작업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장원형 교각용 수평근 배근방법에 의하면, 내외측 요크 수직재(111,112)를 상하측 요크 수직재(111a,112a,111b,112b)로 분할하여 내측 중단 데크(140)와 외측 중단 데크(150)에 적재되어 있는 장원형 수평근(6)을 이들 상하측 요크 수직재(111a,112a,111b,112b)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C)를 통하여 내외측 폼패널(131,132)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내외측 중단 데크(140,150)에서 배근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는 장원형 수평근(6)의 크기에 제약이 없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장원형 수평근(6)을 종래와 같이 2개의 직선형 철근과 2개의 반원형 철근의 4개로 분할하지 않고, 직선부(6a)와 반원부(6b)를 가지는 "U"자형으로 분할할 수 있게 되며, 직선부(6a)를 중첩시키고 이 부분을 조인트(미도시)로써 연결함으로써 장원형 철근(6)을 완성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장원형 수평근(6)을 2개의 "U"자형으로 분할함에 따라 2개의 조인트(미도시)만으로 장원형 수평근(6)을 조립할 수 있게 되어 시공이 간편하고, 시공품질이 향상되며 작업안정성이 향상된다.
또한 종래 직선형 철근의 양단에 만곡부를 형성하는 작업이 필요 없고 단순히 "U"자형으로 성형하면 되므로 장원형 수평근(6)의 성형작업이 간편하고, 인력 및 시간이 절감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장원형 교각용 슬립폼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장원형 교각용 슬립폼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장원형 교각용 슬립폼의 종단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장원형 교각용 슬립폼의 부분 확대 종단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장원형 교각용 슬립폼의 부분 사시도,
도 6은 도 3의 A-A선 단면도,
도 7은 슬립폼 처짐방지기구의 확대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해 시공되는 장원형 교각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해 장원형 교각을 시공할 때 사용되는 수평근의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장원형 교각용 수평근 배근방법을 보인 시공도,
도 11은 종래 장원형 교각용 슬립폼의 사시도,
도 12는 종래 장원형 교각용 슬립폼의 정면도,
도 13은 종래 장원형 교각용 슬립폼의 종단 정면도,
도 14는 종래 장원형 교각용 슬립폼의 부분 확대 종단 정면도,
도 15는 종래 장원형 교각용 슬립폼의 부분 사시도,
도 16은 종래 장원형 교각용 슬립폼에 의해 시공되는 장원형 교각의 사시도,
도 17은 종래 장원형 교각용 수평근 배근과정을 보인 시공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슬립폼 조립체 110 : 요크
111,112 : 내외측 요크 수직재 111a,112a : 상측 요크 수직재
111b,112b : 하측 요크 수직재 113,114 : 상하측 요크 수평재
131,132 : 내외측 폼패널 200 : 유압잭
300 : 수직재 연결기구 400 : 슬립폼 처짐방지기구

Claims (4)

  1. 각 한 쌍의 요크 수직재와 이 각 한 쌍의 요크 수직재를 연결하는 상하측 요크 수평재를 가지는 요크와, 상기 요크에 조립되는 폼패널과, 상기 요크 수직재의 중단에 설치되는 내측 중단 데크와 외측 중단 데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장원형 교각용 슬립폼에 있어서, 상기 요크 수직재는 상기 하측 요크 수평재와 폼패널의 상단 사이의 위치에서 상하로 분리되어 그 사이에 수평근이 진입될 수 있는 틈새가 형성되는 상하측 요크 수직재로 구성되며, 상기 상하측 요크 수직재 사이를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는 수직재 연결기구와, 상기 하측 요크 수평재의 하면과 내측 중단 데크의 상면 사이에 설치되어 상측 요크 수직재와 상하측 요크를 지지하는 슬립폼 처짐방지기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원형 교각용 슬립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재 연결기구는, 상기 상측 요크 수직재의 하단과 하측 요크 수직재의 상단에 각각 고정되는 연결편과, 상기 연결편 사이에 끼워지는 끼움재와, 상기 연결편과 끼움재를 관통하는 볼트 및, 상기 볼트에 체결되는 너트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원형 교각용 슬립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립폼 처짐방지기구는,
    상기 하측 요크 수평재의 하면과 내측 중단 데크의 상면에 각각 설치된 걸림고리와, 상기 걸림고리에 각각 걸리는 걸고리와 이 걸고리에서 일체로 연장되며 서 로 반대방향 나선으로 되는 나사봉을 가지는 타이로드 및, 상기 타이로드의 나사봉에 나사결합되는 나사공을 가지는 턴버클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원형 교각용 슬립폼.
  4. 상하측 요크 수직재의 하단과 상단에 고정된 고정편의 사이에 끼워지는 끼움재와 이 끼움재를 고정편에 고정하는 볼트와 너트로 구성되는 수직재 연결기구에 의해 상측 요크 수직재와 하측 요크 수직재가 연결된 상태에서 내측 중단 데크와 외측 중단 데크 위에 두 개의 직선부와 이들 직선부를 연결하는 반원형부를 가지는 "U"자형 철근을 적재하고 슬립폼을 시공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와;
    수직재 연결기구의 볼트와 너트를 해체하여 끼움재를 탈거하여 상하측 요크 수직재 사이에 틈새가 형성되도록 함과 아울러 하측 요크 수평재와 내측 중단 데크 사이에 슬립폼 처짐방지기구에 의해 요크가 처지지 않도록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틈새를 통하여 "U"자형 철근을 내외측 폼패널의 상단부로 이동 적재하는 단계와;
    수직재 연결기구를 재조립하여 상하측 요크 수직재를 연결하고, 내외측 폼패널의 상단부에 적재된 "U"자형 철근을 수평근 배근 위치로 이동시켜 배근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장원형 교각용 수평근 배근방법.
KR1020080011628A 2008-02-05 2008-02-05 장원형 교각용 슬립폼 및 이를 이용한 수평근 배근방법 KR1009871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1628A KR100987122B1 (ko) 2008-02-05 2008-02-05 장원형 교각용 슬립폼 및 이를 이용한 수평근 배근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1628A KR100987122B1 (ko) 2008-02-05 2008-02-05 장원형 교각용 슬립폼 및 이를 이용한 수평근 배근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5798A true KR20090085798A (ko) 2009-08-10
KR100987122B1 KR100987122B1 (ko) 2010-10-11

Family

ID=412056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1628A KR100987122B1 (ko) 2008-02-05 2008-02-05 장원형 교각용 슬립폼 및 이를 이용한 수평근 배근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712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635332A (zh) * 2022-03-23 2022-06-17 保利长大工程有限公司 一种桥梁上防撞栏滑模施工装置及其施工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8679B1 (ko) 2020-11-18 2021-03-15 노오순 수직구 내부 격벽 시공시스템
KR102228678B1 (ko) 2020-11-18 2021-03-15 노오순 가설식 곤돌라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36395B2 (ja) * 1993-05-12 1996-09-18 株式会社大林組 鋼管・コンクリ―ト複合構造橋脚の施工方法
JP2812177B2 (ja) * 1994-01-28 1998-10-22 鹿島建設株式会社 スリップフォーム工法による橋脚施工方法
JPH09125603A (ja) * 1995-10-27 1997-05-13 Ohbayashi Corp コンクリート構造物用鉄筋構造
JP3425352B2 (ja) 1998-01-21 2003-07-14 株式会社大林組 自昇式型枠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635332A (zh) * 2022-03-23 2022-06-17 保利长大工程有限公司 一种桥梁上防撞栏滑模施工装置及其施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87122B1 (ko) 2010-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4008B1 (ko) 성형강판을 이용한 기둥 영구거푸집
EP2447025B1 (en) Method for producing concrete trestle, concrete trestle, and connecting member
KR100541965B1 (ko) 강재가 콘크리트의 자중을 부담하는 강합성 거더의 제작장치 및 그 제작 방법
US20100031605A1 (en) Composite concrete column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KR102387052B1 (ko) 단부보강된 하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보의 시공 방법
WO2009011516A2 (en) Form with reinforcing bars, non-support form system and non-support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KR101004617B1 (ko) 임시 강재 보강리브와 영구 콘크리트 보강리브를 이용한 강재 슬래브저판 및 강합성 교량 시공방법
KR100987122B1 (ko) 장원형 교각용 슬립폼 및 이를 이용한 수평근 배근방법
KR100814379B1 (ko) 트러스 거더 일체형 슬래브 거푸집 구조
KR101204966B1 (ko) 증가된 단면강성을 가진 강재거더의 구속콘크리트 제작방법
KR20120085641A (ko) 보 및 슬래브 거푸집 조립 구조 및 이를 이용한 보 및 슬래브 구조물 시공 방법
KR101029992B1 (ko) 아치형 피에스씨 빔 제작 방법
KR20230025521A (ko) 트러스거더가 합성된 기둥 거푸집 구조재 및 그 시공방법
KR101004618B1 (ko) 임시 강재 횡방향리브와 영구 콘크리트 횡방향리브를 이용한 합성거더교 시공방법
CN205502058U (zh) 拼装式塔式起重机基础
KR102296982B1 (ko) 트랜스퍼보 타설용 철골보를 이용한 트랜스퍼층 시공방법
KR102139851B1 (ko) 역t형 단면 혼합형 psc거더 및 이를 이용한 슬래브 시공방법
JP3830055B2 (ja) コンクリート型枠体とこのコンクリート型枠体を用いた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構築方法
KR101023175B1 (ko) 프리플렉스 합성보 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한 부분 프리플렉스 연속합성보
KR101347556B1 (ko) 복부파형강판 콘크리트 합성아이빔 제작용 거푸집
KR100926137B1 (ko) 가로지지보가 형성된 합성거더용 거푸집시스템 및 이를이용한 합성거더 제작방법
KR101140627B1 (ko) 콘크리트 건물의 건축공법
CN111058622A (zh) 一种柱钢筋采用绑扎搭接方式的大钢模现浇柱施工方法
KR101739658B1 (ko) 교량 슬래브 전단면을 압축부재로 사용하고 슬래브 폭이 넓은 강박스와 슬래브가 일체화된 강박스 거더교
KR20050076059A (ko) 교각 시공용 거푸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5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