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1940B1 - 벼의 출수기와 생장을 조절하는 dhd1 유전자 및 이의 용도 - Google Patents

벼의 출수기와 생장을 조절하는 dhd1 유전자 및 이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1940B1
KR101651940B1 KR1020150155819A KR20150155819A KR101651940B1 KR 101651940 B1 KR101651940 B1 KR 101651940B1 KR 1020150155819 A KR1020150155819 A KR 1020150155819A KR 20150155819 A KR20150155819 A KR 20150155819A KR 101651940 B1 KR101651940 B1 KR 1016519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ne
plant
dhd1
rice
grow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58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범기
윤인선
이강섭
권택윤
조정일
문석준
민명기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501558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19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19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19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 C12N15/09Recombinant DNA-technology
    • C12N15/63Introduction of foreign genetic material using vectors; Vectors; Use of hosts therefor; Regulation of expression
    • C12N15/79Vectors or expre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ukaryotic hosts
    • C12N15/82Vectors or expre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ukaryotic hosts for plant cells, e.g. plant artificial chromosomes (PACs)
    • C12N15/8241Phenotypically and genetically modified plants via recombinant DNA technology
    • C12N15/8261Phenotypically and genetically modified plants via recombinant DNA technology with agronomic (input) traits, e.g. crop yield
    • C12N15/8262Phenotypically and genetically modified plants via recombinant DNA technology with agronomic (input) traits, e.g. crop yield involving plant developmen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HNEW PLANTS OR NON-TRANSGENIC PROCESSES FOR OBTAINING THEM; PLANT REPRODUCTION BY TISSUE CULTURE TECHNIQUES
    • A01H5/00Angiosperms, i.e. flowering plants, characterised by their plant parts; Angiosperms characterised otherwise than by their botanic taxonomy
    • A01H5/10See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12Viral antige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12Viral antigens
    • A61K39/145Orthomyxoviridae, e.g. influenza viru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00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virus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 C12N15/09Recombinant DNA-technology
    • C12N15/63Introduction of foreign genetic material using vectors; Vectors; Use of hosts therefor; Regulation of expression
    • C12N15/79Vectors or expre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ukaryotic hosts
    • C12N15/82Vectors or expre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ukaryotic hosts for plant cells, e.g. plant artificial chromosomes (PACs)
    • C12N15/8241Phenotypically and genetically modified plants via recombinant DNA technology
    • C12N15/8242Phenotypically and genetically modified plants via recombinant DNA technology with non-agronomic quality (output) traits, e.g. for industrial processing; Value added, non-agronomic traits
    • C12N15/8257Phenotypically and genetically modified plants via recombinant DNA technology with non-agronomic quality (output) traits, e.g. for industrial processing; Value added, non-agronomic traits for the production of primary gene products, e.g. pharmaceutical products, interferon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 C12N15/09Recombinant DNA-technology
    • C12N15/63Introduction of foreign genetic material using vectors; Vectors; Use of hosts therefor; Regulation of expression
    • C12N15/79Vectors or expre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ukaryotic hosts
    • C12N15/82Vectors or expre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ukaryotic hosts for plant cells, e.g. plant artificial chromosomes (PACs)
    • C12N15/8241Phenotypically and genetically modified plants via recombinant DNA technology
    • C12N15/8242Phenotypically and genetically modified plants via recombinant DNA technology with non-agronomic quality (output) traits, e.g. for industrial processing; Value added, non-agronomic traits
    • C12N15/8257Phenotypically and genetically modified plants via recombinant DNA technology with non-agronomic quality (output) traits, e.g. for industrial processing; Value added, non-agronomic traits for the production of primary gene products, e.g. pharmaceutical products, interferon
    • C12N15/8258Phenotypically and genetically modified plants via recombinant DNA technology with non-agronomic quality (output) traits, e.g. for industrial processing; Value added, non-agronomic traits for the production of primary gene products, e.g. pharmaceutical products, interferon for the production of oral vaccines (antigens) or immunoglobuli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760/00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ssRNA viruses negative-sense
    • C12N2760/00011Details
    • C12N2760/16011Orthomyxoviridae
    • C12N2760/16111Influenzavirus A, i.e. influenza A virus
    • C12N2760/16123Virus like particles [VLP]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760/00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ssRNA viruses negative-sense
    • C12N2760/00011Details
    • C12N2760/16011Orthomyxoviridae
    • C12N2760/16111Influenzavirus A, i.e. influenza A virus
    • C12N2760/16134Use of virus or viral component as vaccine, e.g. live-attenuated or inactivated virus, VLP, viral protein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760/00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ssRNA viruses negative-sense
    • C12N2760/00011Details
    • C12N2760/16011Orthomyxoviridae
    • C12N2760/16211Influenzavirus B, i.e. influenza B virus
    • C12N2760/16223Virus like particles [VLP]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760/00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ssRNA viruses negative-sense
    • C12N2760/00011Details
    • C12N2760/16011Orthomyxoviridae
    • C12N2760/16211Influenzavirus B, i.e. influenza B virus
    • C12N2760/16234Use of virus or viral component as vaccine, e.g. live-attenuated or inactivated virus, VLP, viral prote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irology (AREA)
  • Biophysics (AREA)
  • Bio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ell Biology (AREA)
  • Immunolog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My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Botany (AREA)
  • Physi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Breeding Of Plants And Reproduction By Means Of Cultu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물체의 출수기와 생장을 조절하는 DHD1 유전자 및 상기 유전자를 식물체에 과발현시킴으로써 식물체의 출수기 및 생장을 조절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유전자를 이용하면 식물체의 출수기 및 생장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작물의 생산성 및 바이오매스 향상 등의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벼의 출수기와 생장을 조절하는 DHD1 유전자 및 이의 용도{DHD1 gene for regulating heading date and growth of rice, and uses thereof}
본 발명은 벼의 출수기와 생장을 조절하는 DHD1 유전자 및 상기 유전자를 식물체에 과발현시킴으로써 벼의 출수기 및 생장을 조절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벼는 크게 영양생장기와 생식생장기라는 두 개의 과정을 거쳐 자신의 일생을 마감한다. 영양생장기는 벼의 몸체를 만드는 시기이고, 생식생장기는 2세를 위한 볍씨를 만드는 시기이다. 영양생장기는 육묘기와 분얼기로 나뉘고, 그 중간에 모내기 후의 활착기가 있다. 육묘기에는 씨앗의 영양분이 고갈되는 이유기(離乳期)가 있는데, 세 번째 잎이 완전히 형성된 뒤 네 번째 잎이 만들어지는 시기(3.5엽)을 말한다. 모가 논에 들어가 활착한 다음에는 분얼이 왕성하게 일어나는데, 영양생장기의 재배 목표는 왕성한 분얼에 있다. 분얼이란 땅속에 있는 벼의 마디에서 새 가지가 나오는 것을 의미한다. 생식생장기는 유수 분화기부터 성숙기까지의 기간을 말하는데, 출수기(이삭이 팼을 때)를 기점으로 앞에는 신장기, 뒤에는 결실기가 된다. 전기가 신장(伸長)기인 것은 이때가 되면 이삭 줄기의 마디 사이가 급신장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제 벼는 육체 성장이 둔화되고, 이삭의 성장은 가속화되기 때문에 이때부터 잎이 만들어지는 기간은 두 배로 느려진다. 이 신장기에는 어린 이삭(유수)이 분화하면서 동시에 이삭의 줄기가 급신장하며, 후반부에는 꽃가루가 만들어지는 감수분열기(생식세포분열기)를 맞이하고 이때부터 이삭이 패기 전까지를 수잉기(穗孕期)라 한다.
영양 생장과 생식 생장은 개화 신호에 의해 두 가지 생장 간의 전환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개화 신호에는 식물체 내의 유전적 요인과 광주기, 빛의 세기와 같은 환경적 요인 등 다양한 요소가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생장 전환의 결과 다양한 형택적 변화가 일어나므로, 개화 관련 기작에 대해 연구가 계속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7-0087804호는 생체시계에 의해 조절되는 벼 개화시기조절 유전자 및 이를 이용한 식물의 개화시기 조절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문헌에서는 애기장대의 생체시계에 의해 조절되는 유전자 COL과 유사한 유전자인 벼의 COL 유전자에 의해 식물체의 개화시기를 조절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이처럼 벼에서 개화 관련 유전자들이 일부 밝혀졌지만 그 수가 제한적이며, 애기장대와 구별되는 벼 특이적인 유전자에 대해서도 알려진 것이 별로 없다. 개화시기가 식물의 경작 시기 및 경작 지역 결정시 매우 중요하고, 개화시기를 조절함으로써 막대한 농업적 이익을 얻을 수 있음을 고려할 때, 벼의 개화 시기 조절 경로를 밝히고 이에 관여하는 유전자를 탐색하기 위한 노력이 요구된다 할 것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작물의 출수기 및 영양 생장 조절방법에 관해 연구를 하던 중, 벼 유래 DHD1 유전자가 식물체의 출수기 및 영양 생장 조절에 관련이 있음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한국 공개특허 제10-2007-0087804호
본 발명의 목적은 식물체의 출수기 및 생장을 조절하는 서열번호 1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지는 DHD1 유전자를 포함하는 재조합 벡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재조합 벡터로 형질전환된 식물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서열번호 2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지는 DHD1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서열번호 1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유전자를 식물체에 과발현시킴으로써 식물체의 출수기 및 생장을 조절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서열번호 2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지는 DHD1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서열번호 1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유전자를 포함하는 식물체의 출수기 및 생장을 조절하기 위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식물체의 출수기 및 생장을 조절하는 서열번호 1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지는 DHD1 (Delayed Heading Date 1) 유전자를 포함하는 재조합 벡터를 제공한다.
상기 DHD1 유전자는 벼(oryza sativa L.)에서 분리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서열번호 1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지는 유전자는 843개의 뉴클레오티드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상기 DHD1 유전자는 서열번호 3 및 서열번호 4로 표시되는 프라이머 세트를 이용하여 PCR(Polymerase chain reaction) 증폭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출수기(出穗期)"란 화본과 식물에서 개화에 앞서 이삭목마디 사이가 신장하여 지엽의 잎집에서 이삭이 나오는 시기를 의미한다. 벼에서는 출수와 동시에 개화가 시작되기 때문에 이삭의 끝이 나온 때를 출수라고 정의한다. 따라서, 벼의 출수기는 벼의 개화시기와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생장"이란 식물체의 길이가 증가하는 것을 의미한다. 식물체 중 특히 벼의 길이를 의미하는 용어로는 간장, 초장, 수장 등이 있다. "간장"이란 땅에서부터 벼이삭의 이삭 목 마디까지의 길이를 의미하며, "초장"이란 땅에서부터 가장 긴 줄기의 제일 긴 잎까지의 길이를 의미하고, "수장"이란 이삭목에서 이삭끝까지의 길이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출수기 및 생장의 조절은 식물체의 출수기를 지연시키고, 줄기신장을 촉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DHD1 유전자는 식물체의 출수기를 지연시키고, 줄기신장을 촉진시키는 유전자일 수 있다.
상기 서열번호 1의 염기서열은 서열번호 2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지는 DHD1 단백질을 암호화한다.
상기 서열번호 2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지는 DHD1 단백질은 280개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벡터는 DHD1 유전자를 과발현시키기 위한 재조합 벡터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재조합"은 세포가 이종의 핵산을 복제하거나, 상기 핵산을 발현하거나 또는 펩티드, 이종의 펩티드 또는 이종의 핵산에 의해 암호화된 단백질을 발현하는 세포를 지칭하는 것이다. 재조합 세포는 상기 세포의 천연 형태에서는 발견되지 않는 유전자 또는 유전자 절편을, 센스 또는 안티센스 형태 중 하나로 발현할 수 있다. 또한 재조합 세포는 천연 상태의 세포에서 발견되는 유전자를 발현할 수 있으며, 그러나 상기 유전자는 변형된 것으로서 인위적인 수단에 의해 세포 내 재도입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벡터"는 세포 내로 전달하는 DNA 단편(들), 핵산 분자를 지칭할 때 사용된다. 벡터는 DNA를 복제시키고, 숙주세포에서 독립적으로 재생산될 수 있다. 용어 "발현 벡터"는 흔히 "재조합 벡터"와 호환하여 사용된다. 용어 "재조합 벡터"는 목적한 코딩 서열과, 특정 숙주 생물에서 작동가능하게 연결된 코딩 서열을 발현하는데 필수적인 적정 핵산 서열을 포함하는 재조합 DNA 분자를 의미한다. 진핵세포에서 이용 가능한 프로모터, 인핸서, 종결신호 및 폴리아데닐레이션 신호는 공지되어 있다.
본 발명의 벡터는 전형적으로 클로닝 또는 발현을 위한 벡터로서 구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벡터는 원핵 세포 또는 진핵 세포를 숙주로 하여 구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재조합 벡터가 발현 벡터이고, 원핵 세포를 숙주로 하는 경우에는, 전사를 진행시킬 수 있는 강력한 프로모터 (예컨대, pLλ프로모터, trp 프로모터, lac 프로모터, T7 프로모터, tac 프로모터 등), 해독의 개시를 위한 리보좀 결합 자리 및 전사/해독 종결 서열을 포함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발현 벡터는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선택성 마커를 포함할 것이다. 상기 마커는 통상적으로 화학적인 방법으로 선택될 수 있는 특성을 갖는 핵산 서열로, 형질전환된 세포를 비형질전환 세포로부터 구별할 수 있는 모든 유전자가 이에 해당된다. 그 예로는 글리포세이트(glyphosate), 글루포시네이트암모늄(glufosinate ammonium) 또는 포스피노트리신(phosphinothricin)과 같은 제초제 저항성 유전자, 카나마이신(kanamycin), G418, 블레오마이신(Bleomycin), 하이그로마이신(hygromycin), 클로람페니콜(chloramphenicol)과 같은 항생제 내성 유전자가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재조합 벡터에서, 프로모터는 CaMV 35S, 액틴, 유비퀴틴, pEMU, MAS 또는 히스톤 프로모터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프로모터"란 용어는 구조 유전자로부터의 DNA 업스트림의 영역을 의미하며 전사를 개시하기 위하여 RNA 폴리머라아제가 결합하는 DNA 분자를 말한다. "식물 프로모터"는 식물 세포에서 전사를 개시할 수 있는 프로모터이다. "항시발현(constitutive) 프로모터"는 대부분의 환경 조건 및 발달 상태 또는 세포 분화 하에서 활성이 있는 프로모터이다. 형질전환체의 선택이 각종 단계에서 각종 조직에 의해서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항시발현 프로모터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할 수 있다. 따라서, 항시발현 프로모터는 선택 가능성을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벡터의 제작은 Gateway 벡터 시스템을 이용하였다. 구체적으로, 발현하고자 하는 유전자 서열의 양쪽 서열을 프라이머(primer) 서열로 하여 PCR(Polymerase chain reaction)을 이용하여 증폭하였다. attL1과 attL2 site를 가지고 있는 pENTR/Directional TOPO vector(Invitrogen)에 삽입하기 위하여 양 방향 프라이머 중 정 방향 프라이머 앞쪽에 CACC를 삽입하여 증폭된 유전자가 방향성을 가지고 pENTR™ Directional TOPO vector에 들어갈 수 있게 만들었다 (pENTR™ Directional TOPO Cloning Kits, Invitrogen). 그리고 이를 다시 attR1과 attR2를 가지고 있는 목적 Gateway 벡터 시스템에 LR Clonase II Enzyme Mix를 이용하여 목적 유전자를 목적 벡터(vector)에 삽입하였다. 이러한 방식으로 목적 유전자를 과발현하는 벡터를 제작하였다. att라 불리는 특이한 서열을 통한 위치 특이적 재조합(SSR, Site-specific recombination)을 이용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pGA2897 벡터에 DHD1 유전자를 삽입하여 제조한 재조합 벡터 pGA2897DHD1을 예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특정 벡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재조합 벡터로 형질전환된 식물체를 제공한다.
상기 식물체는 단자엽 식물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벼, 밀, 보리, 수수, 옥수수 및 기장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고, 벼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식물의 형질전환은 DNA를 식물에 전이시키는 임의의 방법을 의미한다. 그러한 형질전환 방법은 반드시 재생 및 (또는) 조직 배양 기간을 가질 필요는 없다. 식물 종의 형질전환은 이제는 쌍자엽 식물뿐만 아니라 단자엽 식물 양자를 포함한 식물 종에 대해 일반적이다. 원칙적으로, 임의의 형질전환 방법은 본 발명에 따른 잡종 DNA를 적당한 선조 세포로 도입시키는데 이용될 수 있다. 방법은 원형질체에 대한 칼슘/폴리에틸렌 글리콜 방법(Krens, F.A. et al., 1982, Nature 296, 72-74; Negrutiu I. et al., June 1987, Plant Mol. Biol. 8, 363-373), 원형질체의 전기천공법(Shillito R.D. et al., 1985 Bio/Technol. 3, 1099-1102), 식물 요소로의 현미주사법(Crossway A. et al., 1986, Mol. Gen. Genet. 202, 179-185), 각종 식물 요소의 (DNA 또는 RNA-코팅된) 입자 충격법(Klein T.M. et al., 1987, Nature 327, 70), 식물의 침윤 또는 성숙 화분 또는 소포자의 형질전환에 의한 아그로박테리움 투머파시엔스 매개된 유전자 전이에서 (비완전성) 바이러스에 의한 감염(EP 0 301 316호) 등으로부터 적당하게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방법은 아그로박테리움 매개된 DNA 전달을 포함한다. 특히 바람직한 것은 EP A 120 516호 및 미국 특허 제4,940,838호에 기재된 바와 같은 소위 이원 벡터 기술을 이용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벡터가 도입되는 식물 세포는 세포가 식물로 재생될 수 있는 한 특정한 형태로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 세포는, 예를 들면, 배양된 세포 부유물, 원형질체(protoplast), 잎 절편(leaf section) 및 캘러스(callus)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에 따라 제조되고 조직 배양을 통해 재분화시킨 출수기가 지연되고 줄기신장이 촉진된 식물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서열번호 2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지는 DHD1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서열번호 1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유전자를 식물체에 과발현시킴으로써 식물체의 출수기 및 생장을 조절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유전자를 과발현시키는 방법은 프로모터에 상기 유전자를 작동 가능하게 연결한 재조합 벡터로 식물체를 형질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방법에 의하면 서열번호 1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지는 유전자를 과발현시켜 서열번호 2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지는 DHD1 단백질의 세포 내 수준(level)을 높임으로써 식물체의 출수기 및 생장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세포 내 수준이란 세포 내에 존재하는 양을 말하는 것으로, 이는 당업자에게 공지된 여러 방법으로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세포 내 수준은 전사 단계에서의 조절 또는 전사 후 단계에서의 조절을 통해 조절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사 단계에서의 조절은 당업자에게 공지된 유전자의 발현을 증진시키기 위한 방법, 예를 들면, 프로모터에 서열번호 1의 DHD1 유전자 또는 이들에 대한 상동 유전자를 연결한 재조합 발현벡터를 제조하여 상기 유전자의 발현을 증진시키는 방법 또는 서열번호 1의 DHD1 유전자 또는 이들에 대한 상동유전자의 주변에 상기 유전자의 발현이 증진되도록 하는 발현조절서열을 삽입하는 방법 등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전사 후 단계에서의 조절은 당업자에게 공지된 단백질 발현을 증진시키기 위한 방법, 예를 들면, 서열번호 1 또는 이의 기능적 동등물의 DHD1 유전자를 주형으로 전사된 mRNA의 안정성을 증진하는 방법, 단백질 또는 단백질의 안정성을 증진하는 방법 또는 단백질 또는 단백질의 활성을 증진하는 방법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식물체는 단자엽 식물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벼, 밀, 보리, 수수, 옥수수 및 기장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고, 벼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방법은 식물체의 출수기를 지연시키고, 줄기신장을 촉진시키는 방법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본 발명자들은 DHD1 유전자가 포함된 재조합 벡터를 아그로박테리움에 도입시키고 상기 도입된 아그로박테리움을 이용하여 벼에 형질전환시켰다. DHD1 유전자 과발현 형질전환체를 수득해 출수기 및 생육 모습을 확인한 결과, 대조구인 동진벼에 비하여 출수기가 평균 8~9일 정도 지연되고, 간장 및 초장이 약 10% 이상 증가하였다. 따라서, DHD1 유전자의 과발현 형질전환체는 출수기가 지연되고, 줄기신장이 촉진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본 발명은 서열번호 2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지는 DHD1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서열번호 1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유전자를 포함하는 식물체의 출수기 및 생장을 조절하기 위한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본 발명의 조성물은 유효 성분으로서 DHD1 유전자를 포함하며, 상기 유전자를 식물체에 형질전환시킴으로써 식물체의 출수기 및 생장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식물체의 출수기 및 생장의 조절은 식물체의 출수기를 지연시키고, 줄기신장을 촉진시키는 방법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식물체는 단자엽 식물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벼, 밀, 보리, 수수, 옥수수 및 기장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고, 벼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식물체의 출수기와 생장을 조절하는 유전자 및 이를 이용하여 식물체의 출수기를 지연시키고 줄기신장을 촉진시키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전자를 이용하면 식물체의 출수기 및 생장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작물의 생산성 및 바이오매스 향상 등의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다.
도 1은 DHD1 유전자의 염기서열을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GA2897DHD1 벡터의 모식도이다.
도 3은 대조구인 동진 벼와 비교하여 DHD1 유전자 과발현 벼 형질전환체의 출수기 지연 모습을 나타낸 도이다.
도 4는 대조구인 동진 벼와 비교하여 DHD1 유전자 과발현 벼 형질전환체의생육 증진 모습을 나타낸 도이다.
도 5는 대조구인 동진 벼(동진, Dongjin)와 DHD1 유전자 과발현 벼 형질전환체(DHD1-8-1, DHD1-11-3, DHD1-12-3, DHD1-12-5)의 길이(nm; A:간장, B;초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P<0.01).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에서 보다 상세하게 기술한다. 다만,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거나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실시예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것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 실시예 1> 벼 유래 DHD1 유전자 분리
벼의 다양한 조직으로부터 cDNA를 분리하여 염기서열을 분석하였다. 이 중 아직까지 기능이 알려지지 않은 새로운 유전자를 발견하여 DHD1(Delayed Heading Date 1)로 명명하였으며, 이를 서열번호 1로 기재하고 이에 상응하는 아미노산 서열을 서열번호 2로 기재하였다(도 1).
DHD1 유전자를 분리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동진벼로부터 총 RNA를 trizol로 분리한 다음, 역전사 효소를 이용하여 총 RNA 5 ㎍로부터 30 ㎍의 cDNA를 합성하였다. 상기 합성한 cDNA로부터 DHD1-F(서열번호 3) 및 DHD1-R(서열번호 4)의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DHD1 유전자의 coding 영역을 PCR로 증폭하였다. PCR 후 1% 아가로스젤(agarose gel)에 전기영동하여 PCR 산물을 확인하였고, Qiagen Gel extraction kit를 사용하여 DNA를 추출하여 pGEM-Teasy 벡터(Promega)에 클로닝하였다. 클로닝 후, T7 프라이머(서열번호 5)와 SP6 프라이머(서열번호 6), BigDye Terminator 3.1 (ABI)을 이용하여 목적 유전자인 DHD1의 염기서열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DHD1 유전자는 NCBI GenBank Accession no. NM_001071947.1의 유전자와 염기서열이 동일함을 확인하였다. 사용한 프라이머 정보는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서열번호 프라이머 명칭 프라이머 방향 서열(5'→3')
3 DHD1-F 정방향 ATGAGCGGCGCGTACAGGGAT
4 DHD1-R 역방향 TCATGACTGCTTGTGAAGTTTGA
5 T7 sequencing primer 정방향 TAATACGACTCACTATAGGG
6 SP6 sequencing primer 정방향 TAAATCCACTGTGATATCTTAT
< 실시예 2> DHD1 유전자 과발현 벡터의 제작
식물체 형질전환을 위한 DHD1 과발현 벡터를 제작하였다.
구체적으로, DHD1-F 프라이머(서열번호 3)와 DHD1-R 프라이머(서열번호 4)를 이용하여 PCR(Polymerase chain reaction)을 수행해 843 bp의 cDNA를 증폭하였다(표 1). PCR은 95 ℃ 30초, 55 ℃ 30초, 72 ℃ 1분을 30 사이클 수행하였다. 증폭된 cDNA는 gateway cloning 방법을 이용하여 pDONR221 벡터에 도입하여, 식물체 형질전환용 벡터 pGA2897에 클로닝하였다. 이렇게 제작한 식물체 형질전환용 pGA2897DHD1 벡터를 도 2에 나타내었다.
< 실시예 3> DHD1 유전자 과발현 벼 형질전환체 제작 및 과발현 검정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작한 벡터를 Agrobacterium LBA4404균주에 형질전환하고, 이를 이용해 벼에 형질전환을 실시하였다. 본 발명자들은 DHD1 유전자를 과발현하는 형질전환체를 제작하기 위하여 아그로박테리움 매개형질전환방법(Hiei et al. 1994)을 이용하여 현미를 형질전환하였다.
구체적으로, 벼 형질전환에 사용하는 볍씨는 껍질을 벗긴 현미를 사용하였다. 볍씨를 70% 에탄올에서 1분간 침지시킨 후 50% 락스 용액 (락스 30 ml당 Tween 20 10 ㎕ 첨가)에서 40분 동안 소독하였다. 소독액을 모두 따라 버린 후 볍씨를 멸균수로 5회 세척하였다. 소독액이 잘 세척이 된 후 여과지를 이용해 볍씨에서 물기를 제거한 뒤 2N6 배지에 볍씨를 배지 안에 박아 넣어 배지와 접촉이 잘되도록 하고 씨눈은 위로 향하도록 하여 치상하였다. 2N6 배지는 N6에 배지 (Chu et al., Scin Sin(1975) 18:659-668)에 다량원소, 미량원소와 비타민을 함유한 혼합물 4 g/L, 30 g/L sucrose, 0.5 g/L proline, 0.5 g/L glutamine, 0.3 g/L casamino acids, 0.01 g/L myo-inositol, 2 mg/L 2,4-D 및 4 g/L phytagel를 첨가한 고체 배지 (pH5.8)이다. 28 ℃로 처리하여 5일간 배양하였으며, 캘러스가 유도되면 배유를 제거하였다. 배유는 캘러스가 훼손되지 않도록 핀셋을 이용하여 조심스럽게 제거하며, 자엽과 뿌리 부분은 그대로 두어 캘러스가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였다. 형질전환시켜 둔 아그로박테리움을 AB 고체 배지에 3일간 배양한 후 AAM 액체 배지에 모아서 현탁액을 만들었다. 흡광도기계를 이용하여 현탁액의 농도를 측정하며 먼저 OD595=0.1이 되도록 만든 후 AAM으로 10배 희석하여 OD595=0.01이 되도록 만들었다. 상기 아그로박테리움 현탁액에 배유를 제거한 캘러스를 2분 동안 침지하고 부드럽게 용액을 흔들어 아그로박테리움을 접종하였다. 접종이 끝나면 캘러스에서 현탁액만을 따라 버리며 여과지를 이용하여 여액을 제거하였다. 이 작업은 신속히 진행하며 캘러스가 지나치게 여과지 위에 오래 방치되어 마르지 않도록 주의하였다. 2N6 배지에 10 g/L 글루코오스 및 100 μM acetosyringone을 추가하여 pH를 5.2로 조정한 2N6-AS 배지 위에 미리 여과지를 한 장씩 깔아놓아서 충분히 배지 성분이 스며들게 한 다음, 상기 캘러스를 여과지 위에 올려놓아 25 ℃에서 7일간 암배양하여 공동배양하였다. 여과지는 공동배양 기간 동안 아그로박테리움이 과도하게 성장하여 캘러스가 물러지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공동배양 후 선택적으로 아그로박테리움을 멸균증류수 1L에 항생제인 카르베니실린(carbenicillin)을 500 mg을 넣은 용액으로 세척하여 제거할 수 있으나, 아그로박테리움 LBA4404 균주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공동배양 기간 동안 아그로박테리움의 과도한 성장이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세척 작업을 하지 않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그 후 캘러스를 2N6 배지에 항생제인 세포탁심(cefotaxime) 200mg/L, 하이그로마이신(Hygromycin) 40mg/L가 첨가된 2N6-CH 배지로 옮겼다. 이때 핀셋을 이용하여 자엽과 뿌리 부분을 제거하며 캘러스는 2-3조각으로 나누어 배지와 닿는 면적이 최대가 되게 옮겨 배양한다. 배양온도는 28 ℃가 적당하며 암배양기에서 14일 동안 배양하여 형질전환된 캘러스를 유도하였다. 배앙 14일 후, 항생제인 하이그로마이신이 첨가된 2N6-CH 배지에서 형질전환된 캘러스가 분열하면서 성장하면 슈트와 뿌리를 유도할 수 있는 재분화 배지인 MSR 배지로 계대배양하였다. 형질전환된 캘러스의 구분은 새롭게 분화된 캘러스 덩어리의 유무로 판단하며 갈변되어 죽은 캘러스는 버렸다. 그 후, 형질전환된 벼를 선별하기 위하여 한 달간 키운 벼를 동결건조시켜 파쇄한 후 이로부터 DNeasy Plant Mini Kit(QIAGEN)를 이용하여 Genomic DNA를 분리하였다. 분리한 Genomic DNA 및 하기 표 2의 하이그로마이신 유전자 프라이머 (서열번호 7 및 8)를 이용하여 PCR를 수행하여 DHD1 유전자와 함께 삽입된 하이그로마이신 유전자의 삽입을 확인함으로써 DHD1 유전자의 삽입 여부를 확인하여 DHD1 과발현 형질전환체를 선발하였다. 그리고 형질전환체에서 DHD1 유전자의 과발현을 검정하였다. 그 결과, DHD1 유전자가 과발현된 벼 형질전환체를 확보하였다.
서열번호 프라이머 명칭 프라이머 방향 서열(5'→3')
7 Hygromycin F 정방향 CGACGTCTGTCGAGAAGTTT
8 Hygromycin R 역방향 CTATTCCTTTGCCCTCGGAC
< 실시예 4> DHD1 유전자 과발현 형질전환체의 출수기 지연 효과 검정
상기 실시예 3에서 제작한 DHD1 유전자 과발현 벼 형질전환체의 출수기 지연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실험을 하였다.
구체적으로, DHD1 유전자 과발현 벼 형질전환체 5계통과 대조구인 동진벼를 각 계통 당 20식물체씩 벼 포장에 동일한 날짜에 이앙하였다. 이후 출수기를 포장에서 2년에 걸쳐 2회 조사하였다.
그 결과, DHD1 과발현 벼는 이앙 후 출수기까지 소요되는 기간이 대조구인 동진벼에 비하여 평균 8~9일 정도 지연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3 및 표 3).
조사연도
이앙 후 출수기까지의 일수
동진 벼 DHD1 과발현 벼 형질전환체
2013년 74일 83일
2014년 77일 85일
< 실시예 5> DHD1 유전자 과발현 형질전환체의 간장 및 초장 생육 증진 효과 검정
상기 실시예 3에서 제작한 DHD1 유전자 과발현 벼 형질전환체의 영양 생장 증진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실험을 하였다.
구체적으로, 실시예 4에서 사용한 형질전환 식물체 와 대조구인 동진벼를 수확 직전에 간장 및 초장을 각 계통당 20식물체씩 측정하였다.
그 결과, DHD1 과발현 벼는 대조구인 동진벼에 비하여 간장 및 초장이 각각 10% 정도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4 및 도 5).
SEQUENCE LISTING <110> REPUBLIC OF KOREA(MANAGEMENT :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120> DHD1 gene for regulating heading date and growth of rice, and uses thereof <130> P15R12D0959 <160> 8 <170> PatentIn version 3.2 <210> 1 <211> 843 <212> DNA <213> Oryza sativa <400> 1 atgagcggcg cgtacaggga tcgggggttc ggcggcgcgg cggcggagat ggaccggaag 60 cgcatcaagg acgtgctcga gaagcacctg gacaggtcgt ccccgtccac atccaggggg 120 gcggcggtgg ccaaggagag ggaccgcctc gccgccgcag gggggaagct gcccgcgccg 180 ctcggcaagg ccgggaaggt ctccgatggt gcagaagaat ttgaaactga cagtgaagat 240 tcagatgtca gtggttctga gggagaggac acatcttgga tttcatggtt ctgcagtttg 300 cgcggcaatg agttcttctg tgagatcgat gatgattata tacaggatga tttcaacctt 360 tgtggtctga gcaatcaggt gccatattat gactatgcac ttgatcttat cttagacatc 420 gagtcttcta atggtgatgt gttcactgag gagcaaaatg aattaattga gtcatctgca 480 gagatgctgt atggattaat tcatgcaaga tatatcttaa ccagcaaggg tctggctgca 540 atgttggaga agttcaagaa ctatgacttt ggaagatgcc cccgggtata ctgttgtggc 600 caaccctgtc ttcctgcagg gcaatcagat attcctaggt ctagcacagt gaagatatac 660 tgtccaaaat gtgaagattt acattatcca agatccaagt accaaggcaa cattgacgga 720 gcgtactttg ggacaacatt cccacatctc ttcctgatga catatccaca cttgaagcca 780 caaaagccat ctcagcagta tgttccaaaa gtttttggct tcaaacttca caagcagtca 840 tga 843 <210> 2 <211> 280 <212> PRT <213> Oryza sativa <400> 2 Met Ser Gly Ala Tyr Arg Asp Arg Gly Phe Gly Gly Ala Ala Ala Glu 1 5 10 15 Met Asp Arg Lys Arg Ile Lys Asp Val Leu Glu Lys His Leu Asp Arg 20 25 30 Ser Ser Pro Ser Thr Ser Arg Gly Ala Ala Val Ala Lys Glu Arg Asp 35 40 45 Arg Leu Ala Ala Ala Gly Gly Lys Leu Pro Ala Pro Leu Gly Lys Ala 50 55 60 Gly Lys Val Ser Asp Gly Ala Glu Glu Phe Glu Thr Asp Ser Glu Asp 65 70 75 80 Ser Asp Val Ser Gly Ser Glu Gly Glu Asp Thr Ser Trp Ile Ser Trp 85 90 95 Phe Cys Ser Leu Arg Gly Asn Glu Phe Phe Cys Glu Ile Asp Asp Asp 100 105 110 Tyr Ile Gln Asp Asp Phe Asn Leu Cys Gly Leu Ser Asn Gln Val Pro 115 120 125 Tyr Tyr Asp Tyr Ala Leu Asp Leu Ile Leu Asp Ile Glu Ser Ser Asn 130 135 140 Gly Asp Val Phe Thr Glu Glu Gln Asn Glu Leu Ile Glu Ser Ser Ala 145 150 155 160 Glu Met Leu Tyr Gly Leu Ile His Ala Arg Tyr Ile Leu Thr Ser Lys 165 170 175 Gly Leu Ala Ala Met Leu Glu Lys Phe Lys Asn Tyr Asp Phe Gly Arg 180 185 190 Cys Pro Arg Val Tyr Cys Cys Gly Gln Pro Cys Leu Pro Ala Gly Gln 195 200 205 Ser Asp Ile Pro Arg Ser Ser Thr Val Lys Ile Tyr Cys Pro Lys Cys 210 215 220 Glu Asp Leu His Tyr Pro Arg Ser Lys Tyr Gln Gly Asn Ile Asp Gly 225 230 235 240 Ala Tyr Phe Gly Thr Thr Phe Pro His Leu Phe Leu Met Thr Tyr Pro 245 250 255 His Leu Lys Pro Gln Lys Pro Ser Gln Gln Tyr Val Pro Lys Val Phe 260 265 270 Gly Phe Lys Leu His Lys Gln Ser 275 280 <210> 3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HD1-F <400> 3 atgagcggcg cgtacaggga t 21 <210> 4 <211> 23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HD1-R <400> 4 tcatgactgc ttgtgaagtt tga 23 <210> 5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T7 sequencing primer <400> 5 taatacgact cactataggg 20 <210> 6 <211> 2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P6 sequencing primer <400> 6 taaatccact gtgatatctt at 22 <210> 7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ygromycin F <400> 7 cgacgtctgt cgagaagttt 20 <210> 8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ygromycin R <400> 8 ctattccttt gccctcggac 20

Claims (10)

  1. 식물체의 출수기 및 생장을 조절하는 서열번호 1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지는 DHD1 (Delayed Heading Date 1) 유전자를 포함하는 재조합 벡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DHD1 유전자는 벼에서 분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조합 벡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출수기 및 생장의 조절은 식물체의 출수기를 지연시키고, 줄기신장을 촉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조합 벡터.
  4. 제 1항의 재조합 벡터로 형질전환된 식물체.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체는 벼, 밀, 보리, 수수, 옥수수 및 기장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체.
  6. 서열번호 2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지는 DHD1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서열번호 1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유전자를 식물체에 과발현시킴으로써 식물체의 출수기 및 생장을 조절하는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자를 과발현시키는 방법은 프로모터에 상기 유전자를 작동 가능하게 연결한 재조합 벡터로 식물체를 형질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체의 출수기 및 생장을 조절하는 방법.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체는 벼, 밀, 보리, 수수, 옥수수 및 기장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체의 출수기 및 생장을 조절하는 방법.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식물체의 출수기를 지연시키고, 줄기신장을 촉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체의 출수기 및 생장을 조절하는 방법.
  10. 서열번호 2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지는 DHD1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서열번호 1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유전자를 포함하는 식물체의 출수기 및 생장을 조절하기 위한 조성물.
KR1020150155819A 2015-11-06 2015-11-06 벼의 출수기와 생장을 조절하는 dhd1 유전자 및 이의 용도 KR1016519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5819A KR101651940B1 (ko) 2015-11-06 2015-11-06 벼의 출수기와 생장을 조절하는 dhd1 유전자 및 이의 용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5819A KR101651940B1 (ko) 2015-11-06 2015-11-06 벼의 출수기와 생장을 조절하는 dhd1 유전자 및 이의 용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1940B1 true KR101651940B1 (ko) 2016-08-29

Family

ID=568860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5819A KR101651940B1 (ko) 2015-11-06 2015-11-06 벼의 출수기와 생장을 조절하는 dhd1 유전자 및 이의 용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194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68189A (zh) * 2017-04-12 2017-06-20 中国农业科学院作物科学研究所 用于鉴定春夏谷类型的引物对及其应用
KR20210069839A (ko) 2019-12-04 2021-06-14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식물체의 개화기 조절 efg1 유전자 및 이의 용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87804A (ko) 2005-12-13 2007-08-29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생체시계에 의해 조절되는 벼 개화시기조절 유전자 및 이를이용한 식물의 개화시기 조절 방법
KR100892804B1 (ko) * 2007-11-30 2009-04-10 현대 파워텍 주식회사 자동 변속기의 파워 트레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87804A (ko) 2005-12-13 2007-08-29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생체시계에 의해 조절되는 벼 개화시기조절 유전자 및 이를이용한 식물의 개화시기 조절 방법
KR100892804B1 (ko) * 2007-11-30 2009-04-10 현대 파워텍 주식회사 자동 변속기의 파워 트레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68189A (zh) * 2017-04-12 2017-06-20 中国农业科学院作物科学研究所 用于鉴定春夏谷类型的引物对及其应用
CN106868189B (zh) * 2017-04-12 2020-06-02 中国农业科学院作物科学研究所 用于鉴定春夏谷类型的引物对及其应用
KR20210069839A (ko) 2019-12-04 2021-06-14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식물체의 개화기 조절 efg1 유전자 및 이의 용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ee et al. Constitutive and seed-specific expression of a maize lysine-feedback-insensitive dihydrodipicolinate synthase gene leads to increased free lysine levels in rice seeds
CN107435047B (zh) 一种植物磷信号网络中耐低磷关键基因GmPHR25及其与应用
US7732678B1 (en) Cotton fiber transcriptional factors
KR101651940B1 (ko) 벼의 출수기와 생장을 조절하는 dhd1 유전자 및 이의 용도
KR102265780B1 (ko) 식물체의 개화기 조절 efg1 유전자 및 이의 용도
US10889828B2 (en) Transgenic plants with enhanced traits
JP4189636B2 (ja) アミノ酸含量の増大した植物、窒素含量が増大した植物、窒素制限下での成育抑制が解除された植物、およびそれらの作製法
KR102090157B1 (ko) 식물체의 초장, 종자 크기 및 출수기를 조절하는 야생벼 유래 apx9 유전자 및 이의 용도
KR102000465B1 (ko) 식물의 키다리병 저항성을 증진시키는 방법
KR101785101B1 (ko) OsDWD1 유전자 및 이의 용도
KR101957736B1 (ko) 식물의 고온 스트레스 내성을 증가시키는 벼 유래 OsOPT10 유전자 및 이의 용도
KR101874192B1 (ko) 식물병 저항성을 증가시키는 OsTat1 유전자 및 이의 용도
KR101161276B1 (ko) 도관 특이적 발현 유도용 프로모터 및 이를 포함하는 발현 벡터
WO2007048030A2 (en) Plants expressing environmental stress tolerances having petunia cbf genes therein
KR101677067B1 (ko) 벼 유래 종자 특이적 프로모터 및 이의 용도
KR101554209B1 (ko) 벼 Os05g0543000 유전자 유래 소포자 또는 화분 특이적 발현 프로모터 및 이의 용도
KR101437606B1 (ko) 배추 유래 프로모터 및 상기 프로모터로 형질 전환된 식물
KR101965971B1 (ko) 인산 결핍 유도 프로모터 및 이의 용도
KR20190043841A (ko) 식물체에서 CRISPR/Cas9 시스템을 이용하여 LeMADS-RIN 유전자 편집에 의해 에틸렌 생산을 감소시키는 방법
KR102025257B1 (ko) 벼 유래의 v p 유전자의 수확량 및 환경 스트레스 조절자로서의 용도
JP5833827B2 (ja) 植物の油脂生産性を増大させる遺伝子及びその利用方法
KR101849151B1 (ko) 식물체의 바이오매스 또는 종자 생산량을 증가시키는 애기장대 유래 pTAC10 유전자 및 이의 용도
KR101825219B1 (ko) 담배 유래의 탈메틸화 관련 NtROS2a 유전자 및 이의 용도
KR100480479B1 (ko) 프로토포르피리노겐 옥시다아제의 엽록체 및 미토콘드리아동시발현을 이용한 작물의 제초제 저항성 증대 방법 및 이유전자를 제초제 저항성 선발 마커로 사용하는 형질전환세포주 선발 방법
KR20220137272A (ko) 인트론이 유지된 무 유래의 RsMYB1 전사체 또는 RsTT8 전사체 및 이의 용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