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1610B1 - 기름 분리형 냄비 - Google Patents

기름 분리형 냄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1610B1
KR101651610B1 KR1020140127670A KR20140127670A KR101651610B1 KR 101651610 B1 KR101651610 B1 KR 101651610B1 KR 1020140127670 A KR1020140127670 A KR 1020140127670A KR 20140127670 A KR20140127670 A KR 20140127670A KR 101651610 B1 KR101651610 B1 KR 1016516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p
oil
pot
bell
sepa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76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35848A (ko
Inventor
고대현
이민형
강성운
고훈철
현정석
Original Assignee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1276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1610B1/ko
Publication of KR201600358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58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16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16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16Inserts
    • A47J36/20Perforated bases or perforated containers to be placed inside a cooking utensil ; Draining baskets, inserts with separation wall

Abstract

본 발명은 기름 분리형 냄비에 관한 것으로서, 사골을 끓여서 생기는 육수와 기름을 분리할 수 있도록 한 냄비에 있어서, 냄비 본체; 상기 냄비 본체 내를 별도의 공간으로 구획하여 분리하도록 하되 하부에 개방부가 형성되고 냄비 본체 내 바닥과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분리대; 및 본체 트랩관과 상기 본체 트랩관의 내부 바닥면에서 일정 높이로 설치되는 하부 트랩관 및 상기 하부 트랩관의 상면과 일정간격을 두고 바닥면과 떨어져 설치되는 상부 트랩관으로 구성되어 상기 분리대의 개방부에 설치하되, 상기 냄비 본체 내의 바닥면에 세워져 설치되는 벨 트랩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사골육수를 식히지 않더라고 뜨거운 상태에서 육수를 뽑아내고 기름을 효과적으로 분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이러한 효과로 그만큼 사골육수를 우려냄에 있어 효율적이고 시간상으로도 절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기름 분리형 냄비{Pot for division of oil}
본 발명은 기름 분리형 냄비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히는 냄비 본체 내에 탈착할 수 있는 분리대와 벨 트랩을 설치하여, 상기 분리대에 사골과 같은 뼈를 넣고 끓여 우려내면 분리대의 개방부에 설치된 벨 트랩에 의해 기름과 육수가 분리되면서 냄비 본체 내에서 상기 분리대의 안쪽으로는 기름, 상기 분리대의 바깥쪽으로는 육수로 구분되어, 기름을 쉽게 제거하면서 냄비에 있는 육수만 따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기름 분리형 냄비에 관한 것이다.
전통적으로 우리 나라는 사골과 같은 뼈를 고아 얻은 육수로 설렁탕이나 곰탕 등과 같은 다양한 음식을 만들어 내는데, 보통 뼈를 고아 우려내면 기름과 육수가 동시에 우러나오기 때문에, 상기 기름을 제거하고 맑은 육수만 음식에 이용하게 된다. 따라서 뼈를 고아 우려낸 육수에 기름이 섞여 있으면 상기 기름만 별도로 분리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다양한 방법으로 기름을 분리하고 있다.
즉 기존의 냄비에서 사골 육수를 우려낸 후 기름을 제거하는 방법은 ① 식힌 후 기름이 응고되면 걷는 방법과, ② 얼음주머니를 육수 안에 던져두고 얼음주머니 주위로 뭉치는 기름을 제거하는 2가지 방법이 많이 이용된다. 이 경우, 식힌 후 기름을 제거하는 방법은 시간이 오래 걸리고, 얼음주머니를 투하하는 경우 사골 육수의 농도나 맛이 변질될 가능성이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선행기술문헌의 특허문헌에 기재된 발명들은 육수 배출관이나 배출공이 구비된 냄비나 조리용기이지만, 이들 냄비나 조리용기는 사골 육수를 우려낸 후 기름은 위로 뜨고 맑은 육수는 밑에 있게 되는데, 밑에 있는 맑은 육수를 빼내기 위해 냄비나 조리용기의 아래쪽에 육수 배출관이나 배출공을 설치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냄비나 조리용기는 기름이 표면에 어느 정도 있는지 알 수 있는 방법이 없기 때문에 육수 수위가 낮아질 때 기름이 육수와 함께 그대로 딸려 나올 가능성이 커서, 기름이 육수와 확실하게 분리되기 힘들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94217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1-025603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시간이 걸리거나 따로 얼음주머니가 필요 없이 냄비 자체에서 기름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냄비 본체 내를 서로 다른 공간으로 구획하는 분리대를 상기 냄비 본체 내에 설치하고, 상기 분리대의 개방부에 기름과 육수를 분리하는 벨 트랩을 설치함으로써, 일정 수위 이상에서 상기 벨 트랩을 통해 육수는 통과하지만 기름은 통과하지 못하도록 하여 분리대의 안쪽에만 기름이 모아져 별도로 쉽게 제거하고 맑은 육수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기름 분리형 냄비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기름 분리형 냄비는, 사골을 끓여서 생기는 육수와 기름을 분리할 수 있도록 한 냄비에 있어서, 냄비 본체; 상기 냄비 본체 내를 별도의 공간으로 구획하여 분리하도록 하되 하부에 개방부가 형성되고 냄비 본체 내 바닥과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분리대; 및 본체 트랩관과 상기 본체 트랩관의 내부 바닥면에서 일정 높이로 설치되는 하부 트랩관 및 상기 하부 트랩관의 상면과 일정간격을 두고 바닥면과 떨어져 설치되는 상부 트랩관으로 구성되어 상기 분리대의 개방부에 설치하되, 상기 냄비 본체 내의 바닥면에 세워져 설치되는 벨 트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 가운데를 가로질러 손잡이가 형성되고 상기 벨 트랩의 본체 트랩관과 나사결합하는 고리형 덮개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벨 트랩은 분리대의 개방부에서 탈착할 수 있도록 하되, 상기 벨 트랩의 탈착은 분리대의 개방부와 나사결합에 의해 이루어지거나, 상기 벨 트랩의 탈착은 분리대의 개방부와 슬라이드 돌기 및 슬라이드 홈에 의한 슬라이드 결합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상부 트랩관의 상면에 부착되어 벨 트랩에 얹어놓는 빗살판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분리대는 냄비 내의 한쪽에 비대칭으로 설치되거나, 상기 분리대는 냄비 내의 중심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분리대는 냄비 본체에서 탈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기름 분리형 냄비에 의하면, 사골육수를 식히지 않더라고 뜨거운 상태에서 육수를 뽑아내고 기름을 효과적으로 분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이러한 효과로 그만큼 사골육수를 우려냄에 있어 효율적이고 시간상으로도 절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 벨 트랩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여 다양한 높이의 냄비 규격에 맞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기름이 벨 트랩 안에 갇혀있으므로 육수를 구조물에서 다 제거한 후에는 벨 트랩 안에 있는 기름만 빼내면 되기 때문에 기름 제거가 매우 쉽다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기름의 뜨는 성질로 인해 맑은 육수와 기름이 분리대와 벨 트랩에 의해 효과적으로 분리되어 맑은 육수만을 먹을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름 분리형 냄비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름 분리형 냄비에 사용되는 벨 트랩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름 분리형 냄비에 사용되는 벨 트랩의 사용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름 분리형 냄비에 사용되는 벨 트랩의 사시도
도 5의 (a)와 (b) 및 (c)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기름 분리형 냄비의 사용상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기름 분리형 냄비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름 분리형 냄비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름 분리형 냄비에 사용되는 벨 트랩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름 분리형 냄비는 냄비 본체(1), 분리대(2), 벨 트랩(3)을 기본 구성으로 하고 있다.
상기 냄비 본체(1)는 여러 가지 내용물을 담을 수 있는 일반적인 냄비 구조로 되어 있으며, 내부에 분리대(2)를 바닥에서 일정간격을 띄워 설치하게 된다.
상기 분리대(2)는 수평판(2a)과 수직판(2b)이 연결된 대략 ㄴ자 형태로 되어 상기 수평판(2a)에 사골과 뼈를 얹어 놓고 상기 수직판(2b)은 일종의 손잡이 기능을 하며, 상기 수평판(2a)의 중심에 벨 트랩(3)을 삽입하여 설치할 수 있는 개방부(4)가 형성된다. 이러한 분리대(2)는 냄비 본체(1) 밑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비대칭형의 형태로 되어 있어 이러한 비대칭 구조는 사골을 충분하게 담을 수 있고 사골육수를 진하게 우려내는데 문제가 없도록 하기 위한 구조이다. 사골을 얹는 수평판(2a)의 경우 상기한 바와 같이 벨 트랩(3)에 의해 냄비 본체(1)의 밑바닥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하여 사골육수를 우려낼 때 기름이 분리된 맑은 육수만 우러나오도록 한다. 상기 분리대(2)는 비대칭의 형태가 아니라 원통의 대칭의 형태로 냄비 본체(1)의 중심에 설치할 수도 있으며 냄비 분체(1)에 고정된 형태가 아니라 상기 냄비 본체(1)로부터 탈착할 수 있는 구조로 할 수도 있다.
상기 벨 트랩(3)은 기름을 육수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장치로써 본체 트랩관(3a)과 관 형상의 하부 트랩관(3b) 및 나팔관 형상의 상부 트랩관(3c)으로 이루어져, 외형을 이루는 상기 본체 트랩관(3a)의 내부 바닥면 중심에 하부 트랩관(3b)이 일정 높이로 세워져 설치되고, 상기 본체 트랩관(3a)의 상면에서 하부 트랩관(3b)의 상면과 일정간격을 두고 냄비 본체(1)의 바닥면과 떨어져 상부 트랩관(3c)이 설치된다. 상기 상부 트랩관(3c)은 별도의 지지수단이 없으므로 지지대(미도시)를 본체 트랩관(3a)의 상면과 연결하거나, 상부 트랩관(3c)의 상면에 사골은 빠져나가지 않으면서 육수는 빠져나갈 수 있는 빗살판(5)을 부착하여 본체 트랩관(3a)의 상면에 얹어 놓는다. 이러한 벨 트랩(3)은 분리대(2)의 개방부(4)에 삽입되어 냄비 본체(1)의 바닥면에 세워지면서 설치되는데, 이렇게 벨 트랩(3)이 냄비 본체(1)의 바닥면에 세워져 설치되므로 상기 분리대(2)는 냄비 본체(1)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그 위에 설치된다.
이러한 벨 트랩(3)은 S자형 트랩으로써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물의 수위가 충분히 높지 않아서 빠져나가지 못하는 육수와 기름은 그 안에 갇히게 되며, 사골을 고을 때 처음에는 물이 나중에는 육수가 빠져나가는 통과공임과 동시에 상기 육수의 경우 일정 높이를 넘어서는 육수만이 상기 통과공을 통해 빠져나가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름 분리형 냄비에 사용되는 벨 트랩의 사시도 및 분리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름 분리형 냄비에 사용되는 벨 트랩(30)은 육수와 기름을 외부와 분리시켜 주는 역할을 하며, 상기한 일 실시예의 벨 트랩에서와 같이 본체 트랩관(30a)과 관 형상의 하부 트랩관(30b) 및 나팔관 형상의 상부 트랩관(30c)과 더불어, 상기 본체 트랩관(30a)에 나사결합되는 고리형 덮개(30d)를 추가한 것이다. 원통형으로 된 상기 본체 트랩관(30a)은 상단 둘레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고 그 아래의 둘레 일부는 개방된 형태로 되어 있다. 그리고 하부 트랩관(30b)은 상기한 일 실시예의 벨 트랩에서와 같이 관 형상으로 되어 있으나 상부 트랩관(30c)은 반구형으로 되어 있으며 그 상면에 같은 형태의 빗살판(5)이 부착되어 있다. 상기 고리형 덮개(30d)는 가운데에 걸쳐 손잡이(6)가 연결되며,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내면의 아래쪽 둘레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본체 트랩관(30a)과 나사결합되면 본체 트랩관(30a)의 둘레를 덮어 결합된다.
상기한 일 실시예의 벨 트랩(3)은 물론 다른 실시예의 벨 트랩(30)도 분리대(2)의 개방부(4)에 탈착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 도시하지 않았지만 나사결합 또는 슬라이드 결합에 의해 상기 분리대(2)의 개방부에 결합되거나 분리된다. 상기 나사결합은 분리대(2)의 개방부(4) 안쪽 둘레에 나사산을 형성하고 상기 벨 트랩(3)(30)의 바깥 둘레면에 나사산을 형성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며, 슬라이드 결합은 상기 분리대(2)의 개방부(4) 안쪽 둘레에 슬라이드 돌기 또는 슬라이드 홈을 형성하고, 상기 벨 트랩(3)(30)의 바깥 둘레면에 상기 슬라이드 돌기 또는 슬라이드 홈과 대응하는 슬라이드 홈 또는 슬라이드 돌기를 형성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이와 같은 벨 트랩(30)의 경우 나사결합에 의해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냄비 본체(1)의 크기 및 깊이에 맞추어 적당한 높이로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5의 (a)와 (b) 및 (c)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기름 분리형 냄비의 사용상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5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름이 물에 뜨는 성질을 이용하여 냄비 본체(1) 내의 분리대(2) 안에만 사골의 기름이 뜨게 된다. 이 후 도 5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골의 기름이 떠있는 분리대(2)를 들어올리게 되면 상기 분리대(2)에 결합된 벨 트랩(3)(30)을 통해 깨끗한 육수만 배출되어 냄비 본체(1)에 남게 된다. 이렇게 되면 상기 벨 트랩(3)(30)의 하부 트랩관(3a)(30a)의 높이를 넘어서는 육수만이 상기 하부 트랩관(3a)(30a)의 통과공으로 빠지게 된다. 수위가 충분히 높지 않아서 빠져나가지 못하는 육수와 기름은 상기 벨 트랩(3)(30a) 안에 갇히게 된다.
따라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냄비 본체(1) 내의 분리대(2)에 사골(7)을 얹어놓고 물을 부어 끓이게 되면, 사골을 우려내면서 발생하는 기름은 상기 분리대(2)에 설치된 벨 트랩(3)에 갇히게 되고 육수는 벨 트랩(3)을 통해 빠져나가 분리대(2)와 구획된 냄비 본체(1) 내의 공간에는 육수만 남게 된다. 이렇게 되면 벨트랩(3) 또는 벨 트랩(3)을 포함한 분리대(2)를 냄비 본체(1)로부터 분리하여 기름을 제거하고, 냄비 본체(1)에 남은 사골육수만 상기 냄비 본체(1)를 기울여 필요한 곳에 담아 사용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름 분리형 냄비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1 : 냄비 본체 2 : 분리대
2a : 수평판 2b : 수직판
3,30 : 벨 트랩 3a,30a : 본체 트랩관
3b,30b : 하부 트랩관 3c,30c : 상부 트랩관
30d : 고리형 덮개 4 : 개방부
5 : 빗살판 6 : 손잡이
7 : 사골

Claims (10)

  1. 사골(7)을 끓여서 생기는 육수와 기름을 분리할 수 있도록 한 냄비에 있어서,
    냄비 본체(1);
    상기 냄비 본체(1) 내를 별도의 공간으로 구획하여 분리하도록 하되 하부에 개방부(4)가 형성되고 냄비 본체(1) 내 바닥과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분리대(2); 및
    본체 트랩관(3a)과 상기 본체 트랩관(3a)의 내부 바닥면에서 일정 높이로 설치되는 하부 트랩관(3b) 및 상기 하부 트랩관(3b)의 상면과 일정간격을 두고 바닥면과 떨어져 설치되는 상부 트랩관(3c)으로 구성되어 상기 분리대(2)의 개방부(4)에 설치하되, 상기 냄비 본체(1) 내의 바닥면에 세워져 설치되는 벨 트랩(3);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름 분리형 냄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벨 트랩(3)의 가운데를 가로질러 형성되는 손잡이(6)와 벨 트랩(3)의 본체 트랩관(3a)과 나사결합하는 고리형 덮개(30d)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름 분리형 냄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벨 트랩(3)은 분리대(2)의 개방부(4)에서 탈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름 분리형 냄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벨 트랩(3)의 탈착은 분리대(2)의 개방부(4)와 나사결합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름 분리형 냄비.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벨 트랩(3)의 탈착은 분리대(2)의 개방부(4)와 슬라이드 돌기 및 슬라이드 홈에 의한 슬라이드 결합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름 분리형 냄비.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트랩관(3c)의 상면에 부착되어 벨 트랩(3)에 얹어놓는 빗살판(5)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름 분리형 냄비.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대(2)는 냄비 내의 한쪽에 비대칭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름 분리형 냄비.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대(2)는 냄비 내의 중심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름 분리형 냄비.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대(2)는 냄비 본체(1)에서 탈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름 분리형 냄비.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대(2)는 냄비 본체(1)에서 탈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름 분리형 냄비.
KR1020140127670A 2014-09-24 2014-09-24 기름 분리형 냄비 KR1016516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7670A KR101651610B1 (ko) 2014-09-24 2014-09-24 기름 분리형 냄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7670A KR101651610B1 (ko) 2014-09-24 2014-09-24 기름 분리형 냄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5848A KR20160035848A (ko) 2016-04-01
KR101651610B1 true KR101651610B1 (ko) 2016-08-26

Family

ID=55799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7670A KR101651610B1 (ko) 2014-09-24 2014-09-24 기름 분리형 냄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161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55015A (zh) * 2017-05-27 2017-07-18 广东天际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过滤汤中油脂的器具
CN115413932A (zh) * 2019-12-06 2022-12-02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烹饪器具的分离装置和具有其的烹饪装置
CN114403697B (zh) * 2019-12-31 2023-09-01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烹饪器具及其滤油控制方法和控制装置
CN111973020B (zh) * 2020-08-19 2023-09-15 阜阳市尚源食品有限公司 一种牛肉饼生产用模板以及牛肉饼制造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83181A (ja) 2005-09-22 2007-04-05 Midori Suzuki 油吸収材及びそれを用いた処理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6646Y1 (ko) * 1997-05-02 1999-06-15 이정문 지방 제거장치
JP2001025603A (ja) 1999-05-11 2001-01-30 Yoshie Futaki 調理用の分離容器
KR101086819B1 (ko) * 2009-08-07 2011-11-29 김은정 조리용 깔끔 기름 제거기
KR101294217B1 (ko) 2011-07-15 2013-08-07 한일에스티에스 주식회사 조리용기의 기름 배출공 개폐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83181A (ja) 2005-09-22 2007-04-05 Midori Suzuki 油吸収材及びそれを用いた処理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5848A (ko) 2016-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1610B1 (ko) 기름 분리형 냄비
CN107105912B (zh) 模块化筛和榨汁装置
US20130125765A1 (en) Stock pot with fitted strainer-basket
US6167799B1 (en) Tamale and vegetable steaming device
RU2017109241A (ru) Капсула,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приготовления заданного количества напитка, пригодного к употреблению
RU2009111238A (ru) Капсула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напитка
RU2013140171A (ru) Картридж для очистки воды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чистки воды кувшинного типа
WO2013074423A1 (en) Beverage preparation and dispensing system
US20140291236A1 (en) Multifunction Strainer and Bowl
CN103767532A (zh) 一种带滤网架的汤锅
US20120167774A1 (en) Device
US9801502B2 (en) Toothbrush storage system
US20070101871A1 (en) Egg separators
CN107930867A (zh) 一种供固液离心机使用的快速卸料装置
CN210248257U (zh) 一种鸭头卤制笼
US1405662A (en) Percolator
KR102034693B1 (ko) 식품 숙성 용기
CN213605790U (zh) 油汤分离器具及炖盅
FR2942122B1 (fr) Appareil de cuisson comportant un receptacle a aliments et un element de filtration
KR101932858B1 (ko) 조리용기 덮개
KR20130049909A (ko) 휴대용 정수기
US20190183290A1 (en) Soup Oil Strainer & Trapper
US9814350B2 (en) Slow cooker accessory
RU2017124996A (ru) Трубка подачи с объединенным уплотняющим элементом
KR200454747Y1 (ko) 쌀씻는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