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9293B1 -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중력식 옹벽 - Google Patents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중력식 옹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9293B1
KR101649293B1 KR1020140059619A KR20140059619A KR101649293B1 KR 101649293 B1 KR101649293 B1 KR 101649293B1 KR 1020140059619 A KR1020140059619 A KR 1020140059619A KR 20140059619 A KR20140059619 A KR 20140059619A KR 101649293 B1 KR101649293 B1 KR 1016492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fork insertion
insertion grooves
main body
delete del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96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33868A (ko
Inventor
김광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진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진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진산업
Priority to KR10201400596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9293B1/ko
Publication of KR201501338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38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92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92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가 적층구조에 의해 중력식 옹벽을 형성하는 블록(100)에 관한 것으로서, 본체; 상기 본체의 상면에 형성된 돌부(101); 하부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블록(100a)의 상면에 형성된 돌부(101a)와 결합하도록, 상기 본체의 저면에 형성된 홈부(102); 지게차(20)의 포크(21)가 삽입되도록, 상기 본체의 저면 후방에 형성된 복수의 하부 포크 삽입홈(11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력식 옹벽용 블록(100)을 제시함으로써, 구조적 안정성이 우수하여 곡선구간이나 높이가 높은 옹벽의 경우라도 균열의 발생이 거의 없고, 우수한 시공성을 얻을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중력식 옹벽{BLOCK AND GRAVITY RETAININIG WALL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건설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중력식 옹벽에 관한 것이다.
중력식 옹벽이란, 강봉이나 그리드와 같은 별도의 보강재 없이, 축조구조를 이루는 표면재인 블록들의 자중만으로 배후토사의 토압에 저항하도록 하는 구조물을 말한다.
따라서 중력식 옹벽용 블록은 인력으로 운반하여 시공할 수 없는 무게(300~1000kg)로 형성되며, 이에 따라 지게차, 굴삭기, 크레인과 같은 장비를 반드시 사용하여 시공해야 한다는 특징이 있다.
도 1,2는 종래의 중력식 옹벽용 블록을 도시한 것이다.
종래의 블록(10)은 축조구조를 이루기 위하여 돌부(11) 및 홈부(12)가 형성되며, 지게차(20)의 포크(21)가 삽입되도록 양측면에 삽입홈(13)이 형성된다(도 3).
이러한 종래의 블록 및 이에 의해 시공된 중력식 옹벽은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었다.
첫째, 구조적 안정성이 좋지 못하다.
지게차(20)의 포크(21)가 안정적으로 블록(10)을 들어 운반하기 위해서는 포크(21)가 충분한 길이만큼 삽입홈(13)에 삽입되어야 하므로, 삽입홈(13)은 블록(10)의 후단으로부터 전방에 인접한 영역까지 형성되어야 하는데, 이로 인하여 삽입홈(13)과 홈부(12) 사이의 간격(단면)이 좁아져 구조적 취약부가 발생한다.
따라서 응력집중이 발생하여, 블록 표면의 균열을 야기하게 되는데, 이러한 현상은 곡선구간에서 특히 부각되며, 옹벽의 높이를 일정 수준(5m 정도) 이상으로 높게 하지 못하는 이유가 된다.
도 4 내지 6은 상술한 구조를 취하는 종래의 블록에 의한 중력식 옹벽을 촬영한 사진들로서, 도 4에 숫자로 표시된 지점이 균열이 발생한 영역이고, 도 5,6은 특히 균열이 크게 발생한 대표적인 지점에 관한 것이다.
둘째, 시공성이 좋지 못하다.
지게차의 포크가 블록의 양측을 지지하면서 들어올리는 구조이므로, 블록의 바닥면을 지지하는 경우에 비해 안정성이 취약하여, 운반 중 떨어뜨림에 의한 파손의 우려가 많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구조적 안정성이 우수하여 곡선구간이나 높이가 높은 옹벽의 경우라도 균열의 발생이 거의 없고, 우수한 시공성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중력식 옹벽을 제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은 다수가 적층구조에 의해 중력식 옹벽을 형성하는 블록(100)에 있어서, 본체; 상기 본체의 상면에 형성된 돌부(101); 하부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블록(100a)의 상면에 형성된 돌부(101a)와 결합하도록, 상기 본체의 저면에 형성된 홈부(102); 지게차(20)의 포크(21)가 삽입되도록, 상기 본체의 저면 후방에 형성된 복수의 하부 포크 삽입홈(11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력식 옹벽용 블록(100)을 제시한다.
상기 복수의 하부 포크 삽입홈(110)은 상기 홈부(102)의 후방에 이격하여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수의 하부 포크 삽입홈(110)의 상면은 전방을 향하여 하향경사진 구조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수의 하부 포크 삽입홈(110)의 상면은 하향만곡진 구조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지게차(20)의 포크(21)가 삽입되도록, 상기 본체의 상면 후방에 형성된 복수의 상부 포크 삽입홈(120);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수의 상부 포크 삽입홈(120)은 상기 돌부(101)의 후방에 이격하여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수의 상부 포크 삽입홈(120)의 저면은 전방을 향하여 상향경사진 구조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수의 상부 포크 삽입홈(120)의 저면은 상향만곡진 구조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수의 하부 포크 삽입홈(110)의 상호 간격과, 상기 복수의 상부 포크 삽입홈(120)의 상호 간격은 동일하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의 상면 및 저면의 폭은 상호 동일하게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하부 포크 삽입홈(110) 및 복수의 상부 포크 삽입홈(120)은 상호 동일한 수직선상의 위치에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 블록(100) 다수가 엇갈림 구조로 적층되어 형성된 중력식 옹벽으로서, 상기 블록(100)의 하부 포크 삽입홈(110)과, 하부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블록(100a)의 상부 포크 삽입홈(120a)이 상호 만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력식 옹벽을 제시한다.
본 발명은 구조적 안정성이 우수하여 곡선구간이나 높이가 높은 옹벽의 경우라도 균열의 발생이 거의 없고, 우수한 시공성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중력식 옹벽을 제시한다.
도 1 내지 6은 종래기술을 도시한 것으로서,
도 1은 블록의 사시도.
도 2는 블록의 측면도.
도 3은 블록의 시공상태의 사진.
도 4 내지 6은 중력식 옹벽의 균열 부위의 사진.
도 7 이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7은 블록의 제1 실시예의 사시도.
도 8은 블록의 제1 실시예의 단면도.
도 9는 블록의 제2 실시예의 단면도.
도 10은 블록의 제3 실시예의 사시도.
도 11은 블록의 제3 실시예의 단면도.
도 12는 중력식 옹벽의 일실시예의 분해사시도.
도 13은 중력식 옹벽의 일실시예의 부분배면도.
도 14는 중력식 옹벽의 시공상태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7 이하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다수가 적층구조에 의해 중력식 옹벽을 형성하는 블록(100)에 관한 것이다.
이는 본체; 본체의 상면에 형성된 돌부(101); 하부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블록(100a)의 상면에 형성된 돌부(101a)와 결합하도록, 본체의 저면에 형성된 홈부(102); 지게차(20)의 포크(21)가 삽입되도록, 본체의 저면 후방에 형성된 복수의 하부 포크 삽입홈(11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지게차(20)의 포크(21)를 하부 포크 삽입홈(110)을 통해 삽입하면, 본체가 들리면서 본체의 저면과 바닥 사이에 틈이 생기고, 이 틈을 통해 지게차(20)의 포크(21)가 인입하여 블록 본체의 저면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이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종래의 블록에서는 포크의 삽입홈이 블록의 양측면에 형성되므로, 포크가 블록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하기 위하여 삽입홈이 길어짐에 따라 상술한 문제가 발생하였으나, 본 발명에 의한 블록의 경우에는 기본적으로 포크가 블록의 저면을 지지하도록 한다는 전제 하에 이를 쉽게 하기 위하여 삽입홈(110)을 형성하므로, 삽입홈(110)의 길이가 길 필요가 없어 구조적 취약부의 발생을 피할 수 있다.
따라서 응력집중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블록 표면의 균열을 방지할 수 있고, 곡선구간 및 높은 고도의 옹벽의 경우에도 중력식 옹벽의 우수한 구조적 안정성을 얻도록 한다.
둘째, 지게차의 포크가 블록의 저면을 지지하면서 들어올리는 구조이므로, 종래와 같이 운반 중 떨어뜨림에 의한 파손의 우려가 적어 우수한 시공성을 얻을 수 있다.
복수의 하부 포크 삽입홈(110)은 홈부(102)의 후방에 충분한 거리를 두고 이격하여 형성되는 것이 응력집중에 의한 균열 방지를 위하여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블록의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지게차의 포크가 삽입되어 블록 본체를 살짝 들어올릴 수 있는 정도의 길이까지만 삽입홈(110)이 형성되면 되므로, 홈부(102)와의 거리를 충분히 떨어뜨릴 수 있다.
복수의 하부 포크 삽입홈(110)의 상면이 전방을 향하여 하향경사진 구조로 형성되는 경우, 포크가 삽입홈(110)을 통해 인입하면서 점진적으로 블록 본체가 상측으로 들어올려지게 되므로, 운반 작업 도중 블록의 파손을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추가된다.
나아가 복수의 하부 포크 삽입홈(110)의 상면이 하향만곡진 구조로 형성되는 경우 상술한 효과를 더욱 크게 얻을 수 있다.
중력식 옹벽의 시공을 위해서는 대단히 많은 수의 블록이 필요하므로, 시공 현장의 주위 부지에 다수의 블록을 임시로 쌓아두었다가 이를 다시 들어올려 설치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블록에 상술한 하부 포크 삽입홈(110)에 더하여, 지게차(20)의 포크(21)가 삽입되도록, 본체의 상면 후방에 복수의 상부 포크 삽입홈(120)이 형성된 구성을 취하는 경우, 포크의 삽입에 의한 블록의 인상 및 포크의 이탈에 의한 블록의 거치 작업을 더욱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 경우에도 응력집중을 피하기 위하여, 복수의 상부 포크 삽입홈(120)이 돌부(101)의 후방에 충분한 거리를 두고 이격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하부 포크 삽입홈(110)과 동일한 이유로, 복수의 상부 포크 삽입홈(120)의 저면은 전방을 향하여 상향경사진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좋고, 나아가 복수의 상부 포크 삽입홈(120)의 저면은 상향만곡진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블록(100)은 다수가 엇갈림 구조로 적층되어 중력식 옹벽을 형성하는데, 중력식 옹벽의 지지력은 블록들 상호의 접촉면적에 비례하는 것이므로, 블록(100)의 하부 포크 삽입홈(110)과, 하부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블록(100a)의 상부 포크 삽입홈(120a)이 상호 만나도록 설치함으로써, 삽입홈의 형성에 따른 접촉면적의 축소를 최소화하는 것이 구조적 안정성을 위하여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복수의 하부 포크 삽입홈(110)의 상호 간격과, 복수의 상부 포크 삽입홈(120)의 상호 간격이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본체의 상면 및 저면의 폭은 상호 동일하게 형성되고, 복수의 하부 포크 삽입홈(110) 및 복수의 상부 포크 삽입홈(120)이 상호 동일한 수직선상의 위치에 형성되는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상부 블록(100)의 하부 포크 삽입홈(110)과 하부 블록(100a)의 상부 포크 삽입홈(120a)이 상호 만나는 구조를 안정적으로 이룰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한편, 블록(100)의 적층 작업 중 레벨링 기타 미세 조정이 필요한 경우, 레버 등의 도구(30)를 위 하부 포크 삽입홈(110)에 삽입하여 블록(100)을 약간 들어올린 후, 패드(40) 등을 삽입함에 의해 위 조정작업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다는 효과도 있다(도 14).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20 : 지게차 21 : 포크
100 : 블록 101 : 돌부
102 : 홈부 110 : 하부 포크 삽입홈
120 : 상부 포크 삽입홈

Claims (11)

  1. 다수가 적층구조에 의해 중력식 옹벽을 형성하는 블록(100)에 있어서,
    본체;
    상기 본체의 상면에 형성된 돌부(101);
    하부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블록(100a)의 상면에 형성된 돌부(101a)와 결합하도록, 상기 본체의 저면에 형성된 홈부(102);
    지게차(20)의 포크(21)가 삽입되도록, 상기 본체의 저면 후방에 형성된 복수의 하부 포크 삽입홈(110);
    지게차(20)의 포크(21)가 삽입되도록, 상기 본체의 상면 후방에 형성된 복수의 상부 포크 삽입홈(120);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하부 포크 삽입홈(110)은 상기 홈부(102)의 후방에 이격하여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하부 포크 삽입홈(110)의 상면은 전방을 향하여 하향경사진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하부 포크 삽입홈(110)의 상면은 하향만곡진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상부 포크 삽입홈(120)은 상기 돌부(101)의 후방에 이격하여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상부 포크 삽입홈(120)의 저면은 전방을 향하여 상향경사진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상부 포크 삽입홈(120)의 저면은 상향만곡진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하부 포크 삽입홈(110)의 상호 간격과, 상기 복수의 상부 포크 삽입홈(120)의 상호 간격은 동일하게 형성되며,
    상기 본체의 상면 및 저면의 폭은 상호 동일하게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하부 포크 삽입홈(110) 및 복수의 상부 포크 삽입홈(120)은 상호 동일한 수직선상의 위치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력식 옹벽용 블록(100).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제1항의 블록(100) 다수가 엇갈림 구조로 적층되어 형성된 중력식 옹벽으로서,
    상기 블록(100)의 하부 포크 삽입홈(110)과, 하부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블록(100a)의 상부 포크 삽입홈(120a)이 상호 만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력식 옹벽.
KR1020140059619A 2014-05-19 2014-05-19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중력식 옹벽 KR1016492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9619A KR101649293B1 (ko) 2014-05-19 2014-05-19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중력식 옹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9619A KR101649293B1 (ko) 2014-05-19 2014-05-19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중력식 옹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3868A KR20150133868A (ko) 2015-12-01
KR101649293B1 true KR101649293B1 (ko) 2016-08-22

Family

ID=548824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9619A KR101649293B1 (ko) 2014-05-19 2014-05-19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중력식 옹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929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18967A (ja) * 1999-07-01 2001-01-23 Sanko Co Ltd バンド緊諦用パレット及び該パレット用天板部材
KR200363388Y1 (ko) * 2004-06-09 2004-10-01 김현덕 옹벽용 블록구조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18967A (ja) * 1999-07-01 2001-01-23 Sanko Co Ltd バンド緊諦用パレット及び該パレット用天板部材
KR200363388Y1 (ko) * 2004-06-09 2004-10-01 김현덕 옹벽용 블록구조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3868A (ko) 2015-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9293B1 (ko)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중력식 옹벽
KR101138915B1 (ko) 옹벽
KR102136688B1 (ko) 옹벽 블록용 인양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옹벽 구조물의 시공방법
JP6224037B2 (ja) 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
KR20120005009U (ko) 흙막이용 판넬
JP2018155051A (ja) 基礎構造およびその構築方法
KR102059055B1 (ko) 들뜸 현상을 방지하는 층간 소음 방지 패널
KR101341726B1 (ko) 조립식 토류판
KR101005352B1 (ko) 지오그리드를 이용한 옹벽
KR102333749B1 (ko) 경사 변형이 용이한 옹벽 블록
KR101569899B1 (ko) 이중 강관구조의 흙막이 공사용 토류판
KR101341673B1 (ko) 가이드가 형성되어 있는 토류판
JP3170419U (ja) 足場用敷板
JP2016035167A (ja) 重量構造物
KR101149864B1 (ko) 물하중 재하용 지지대, 물하중 재하용 가설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물하중 재하공법
JP2019218721A (ja) 擁壁用ブロックおよび擁壁
KR102192423B1 (ko) 모서리 보호구조를 갖는 옹벽 블럭
JP6562271B2 (ja) 滑動抵抗板が設置された空積みブロック擁壁の施工法
KR101261215B1 (ko) 친환경 옹벽블록
KR101748927B1 (ko) 조립식 측벽 지지대
JP3159235U (ja) L型擁壁およびl型擁壁ユニット
KR20120000391A (ko) 경사판 앵커부재를 구비한 옹벽블록 및 이를 이용한 옹벽
KR101328438B1 (ko) 담장용 블록의 기초 블록 및 이를 이용한 블록조 담장
JP7083243B2 (ja) 補強土壁に設置する安全柵
CN220266985U (zh) 一种注浆环保砖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