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8413B1 - 인쇄회로기판의 트레이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인쇄회로기판의 트레이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8413B1
KR101648413B1 KR1020160065306A KR20160065306A KR101648413B1 KR 101648413 B1 KR101648413 B1 KR 101648413B1 KR 1020160065306 A KR1020160065306 A KR 1020160065306A KR 20160065306 A KR20160065306 A KR 20160065306A KR 101648413 B1 KR101648413 B1 KR 1016484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y
frame
support
take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53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우용
Original Assignee
제이엠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엠티(주) filed Critical 제이엠티(주)
Priority to KR10201600653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84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84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84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0085Apparatus for treatments of printed circuits with liqui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5K3/02 - H05K3/46; conveyors and holding means therefo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061Tools for holding the circuit boards during processing; handling transport of printed circuit board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061Tools for holding the circuit boards during processing; handling transport of printed circuit boards
    • H05K13/0069Holders for printed circuit bo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쇄회로기판의 트레이 이송장치가 개시되는 것으로, 지지프레임체(10)와; 상기 지지프레임체(10)에 수직으로 연결되는 제1지주(13), 제2지주(14), 제3지주(15) 및 제4지주(16)와; 상기 제1지주(13), 제2지주(14), 제3지주(15) 및 제4지주(16)와 연결 고정되는 트레이안착체(20)와; 상기 트레이안착체(20)에 안착되는 트레이의 일측을 밀착하는 제1지지체(30)와; 상기 트레이안착체(20)에 안착되는 트레이의 타측을 밀착하는 제2지지체(40)와; 상기 제1지주(13)와 제2지주(14) 상단에 구비되는 제1승하강구동체(50)와; 상기 제3지주(15)와 제4지주(16) 상단에 구비되는 제2승하강구동체(60)와; 상기 제1승하강구동체(50)와 제2승하강구동체(60)에 의해 승하강되는 승하강체(70)와; 상기 승하강체(70)의 제1가이드봉(74) 및 제2가이드봉(74a)에 끼움연결되고 상기 트레이안착체(20)에 안착되는 트레이에 수용된 인쇄회로기판을 흡착하는 흡착구가 구비되는 흡착구고정체(80)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인쇄회로기판의 트레이 이송장치{TRAY TRANSFER EQUIPMENT OF PCB}
본 발명은 인쇄회로기판의 트레이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정이 완료된 인쇄회로기판을 납품용 트레이로 이송할 때 인쇄회로기판을 납품용 트레이에 쉽고 용이하게 수용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인쇄회로기판의 파손을 방지하고 이송시간을 크게 단축하여 작업성 및 작업효율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인쇄회로기판의 트레이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쇄회로기판(PCB)은 스마트폰과 같은 전자제품에 내장되는 박판형 기판을 말하는 것으로, 이러한 인쇄회로기판은 노광, 에칭의 공정을 통해 패턴을 구성한 후 전자부품실장과 같은 공정을 거쳐 제조가 완성된다.
이러한 작업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인쇄회로기판의 공정라인의 이송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공정용 트레이를 이용하여 각 해당 공정라인측으로 인쇄회로기판이 이송되어 해당 공정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종래 인쇄회로기판을 이송하는 트레이를 살펴보면, 공개특허 10-2013-0055353호인 기판 이송 트레이가 안출된 바 있으며, 이는 기판 이송 트레이에 있어서, 순차적으로 연결되는 복수 개의 판을 가지고, 그 상면에 기판이 놓이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가장자리를 감싸는 프레임과, 상기 지지판의 상면에서 상기 프레임에 인접하게 놓이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기판의 처리 공정시 상기 지지판의 에지 영역으로 분사되는 공정 가스의 유로를 상기 지지판의 내측 방향으로 유도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은, 기판 이송 크레이의 에지 영역에 놓인 기판의 박막 증착 균일도를 향상시키고, 기판 이송 트레이의 클리닝 소요시간을 줄일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이와 같은 종래 공정용 트레이를 이용하여 각 해당공정으로 인쇄회로기판을 이송시켜 각 해당공정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인쇄회로기판을 제조하고 있다.
그러나, 제조가 완료된 인쇄회로기판을 납품하기 위해서는 공정용 트레이로부터 납품용 트레이로 인쇄회로기판을 수용하여야 하는 바, 공정용 트레이에서 납품용 트레이로 인쇄회로기판을 수용하는 과정에서 제조가 완료된 인쇄회로기판에 충격이 가해지거나 함에 따라 완성된 인쇄회로기판의 불량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작업자가 직접 수작업에 의해 일일이 공정용 트레이로부터 납품용 트레이로 인쇄회로기판을 수용하기 때문에 작업시간이 지연되어 작업성 및 작업효율성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 인쇄회로기판을 이송하기 위해 안착하는 기술로, 등록실용 20-0433120호인 인쇄회로기판 이송용 안착장치가 안출된 바 있으며, 이는 외관을 이루면서 평판형 플레이트로 형성된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상면에 요입 형성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쇄회로기판이 각각 안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안착홈, 상기 몸체부의 상면 중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안착부위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요입홈 그리고, 상기 요입홈 내에 요입 설치되면서 그 상면에 안착되는 인쇄회로기판의 유동을 방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찰 패드부로 이루어져 있으며, 마찰패드부에 의해 인쇄회로기판의 유동이 방지되어 인쇄회로기판의 표면에 인쇄되는 회로의 손상을 방지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 역시 몸체부의 내부에 인쇄회로기판을 일일이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옮겨 안착시켜야 하기 때문에 앞서 언급한 문제점인 작업자가 직접 수작업에 의해 일일이 공정용 트레이로부터 납품용 트레이로 인쇄회로기판을 수용하기 때문에 작업시간이 지연되어 작업성 및 작업효율성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현상은 여전히 해결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공개특허 10-2013-0055353호(2013.05.28. 공개) 대한민국등록실용 20-0433120호(2006.12.01. 등록)
본 발명은 제조가 완료된 인쇄회로기판을 이송하기 위해 공정용 트레이에서 납품용 트레이로 수용할 때 인쇄회로기판을 흡착하여 들어준 후 공정용 트레이로부터 인쇄회로기판을 빼내고, 인쇄회로기판을 납품용 트레이에 수용하도록 하여 공정용 트레이로부터 납품용 트레이로 인쇄회로기판을 수용할 때 발생되는 인쇄회로기판의 불량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작업시간을 크게 단축시켜 작업성 및 작업효율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인쇄회로기판의 트레이 이송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인 인쇄회로기판의 트레이 이송장치는, 수직프레임 및 수평프레임을 갖는 지지프레임체와; 상기 지지프레임체에 수직으로 연결되어 상기 지지프레임체의 상부측으로 각각 연장되는 제1지주, 제2지주, 제3지주 및 제4지주와;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단에 위치되어 상기 제1지주, 제2지주, 제3지주 및 제4지주와 연결 고정되고 양측에 각각 제1인출입공간부와 제2인출입구멍공간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1인출입공간부의 하부측으로 제1걸이부 및 상기 제2인출입공간부의 하부측으로 제2걸이부가 각각 연장되는 트레이안착체와; 상기 제1인출입공간부에 구비되어 상기 트레이안착체에 안착되는 트레이의 일측이 밀착되어 지지되는 제1지지부와, 상기 제1지지부가 상기 제1인출입공간부의 상부측으로 인출되거나 또는 상기 제1지지부가 상기 제1인출입공간부측으로 인입되도록 하는 제1인출입실린더와, 상기 제1지지부와 상기 제1인출입실린더를 연결하는 제1인출입실린더봉과, 상기 제1인출입실린더가 고정되고 상부 일측에 제1이동편이 구비되고 하부측에는 제1슬라이딩이동부를 갖는 제1고정부와, 상기 트레이안착체의 제1걸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고정부의 제1슬라이딩이동부가 끼워지는 제1이동가이드봉과, 상기 제1고정부의 제1이동편과 나사체결되어 회전 동작에 의해 상기 제1고정부를 좌측으로 밀어주거나 우측으로 당겨주는 제1거리조절구를 갖는 제1지지체와; 상기 제2인출입공간부에 구비되어 상기 트레이안착체에 안착되는 트레이의 타측이 밀착되어 지지되는 제2지지부와, 상기 제2지지부가 상기 제2인출입공간부의 상부측으로 인출되거나 또는 상기 제2지지부가 상기 제2인출입공간부측으로 인입되도록 하는 제2인출입실린더와, 상기 제2지지부와 상기 제2인출입실린더를 연결하는 제2인출입실린더봉과, 상기 제2인출입실린더가 고정되고 상부 일측에 제2이동편이 구비되고 하부측에는 제2슬라이딩이동부를 갖는 제2고정부와, 상기 트레이안착체의 제2걸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2고정부의 제2슬라이딩이동부가 끼워지는 제2이동가이드봉과, 상기 제2고정부의 제2이동편과 나사체결되어 회전 동작에 의해 상기 제2고정부를 좌측으로 밀어주거나 우측으로 당겨주는 제2거리조절구를 갖는 제2지지체와; 상기 제1지주와 제2지주 상단을 연결하는 제1연결프레임과, 상기 제1연결프레임의 양측에 가로방향으로 각각 연결되는 2개의 제1보조프레임과, 상기 2개의 제1보조프레임을 연결하는 제2연결프레임과, 상기 제1연결프레임과 상기 제2연결프레임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제1연결프레임과 제2연결프레임에 고정되는 제1실린더지지프레임과, 상기 제1실린더지지프레임에 구비되고 상기 제1실린더지지프레임의 하부측으로 연장되는 제1승하강봉을 갖는 제1승하강실린더와, 상기 제1실린더지지프레임의 하부측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슬라이드봉을 갖는 제1승하강구동체와; 상기 제3지주와 제4지주 상단을 연결하는 제3연결프레임과, 상기 제3연결프레임의 양측에 가로방향으로 각각 연결되는 2개의 제2보조프레임과, 상기 2개의 제2보조프레임을 연결하는 제4연결프레임과, 상기 제3연결프레임과 상기 제4연결프레임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제3연결프레임과 제4연결프레임에 고정되는 제2실린더지지프레임과, 상기 제2실린더지지프레임에 구비되고 상기 제2실린더지지프레임의 하부측으로 연장되는 제2승하강봉을 갖는 제2승하강실린더와, 상기 제2실린더지지프레임의 하부측으로부터 연장되는 제2슬라이드봉을 갖는 제2승하강구동체와; 상기 지지프레임체의 상부측에 위치되는 2개의 가로형고정대와, 상기 2개의 가로형고정대의 양측단을 각각 연결하는 2개의 세로형고정대와, 상기 2개의 가로형고정대의 내측에 위치되어 서로 마주보도록 상기 가로형고정대에 연결되는 2개의 보조고정대와, 상기 2개의 보조고정대를 연결하는 제1가이드봉 및 제2가이드봉과, 상기 2개의 세로형고정대와 2개의 보조고정대 사이에 각각 위치되고 내측 중앙에 상기 제1승하강구동체의 제1승하강봉과, 상기 제2승하강구동체의 제2승하강봉이 각각 연결되는 실린더봉결합구멍과, 상기 실린더봉결합구멍의 양측에 각각 관통되어 상기 제1슬라이드봉 및 제2슬라이드봉이 각각 끼워지는 슬라이드봉끼움구멍이 각각 구비되는 제1고정판 및 제2고정판을 갖는 승하강체와; 상기 승하강체의 제1가이드봉 및 제2가이드봉에 끼움연결되고 상기 트레이안착체에 안착되는 트레이에 수용된 인쇄회로기판을 흡착하는 흡착구가 구비되는 흡착구고정체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나아가, 상기 흡착구고정체는, 상기 승하강체의 제1가이드봉 및 제2가이드봉에 끼움연결되는 제1가이드구 및 제2가이드구가 하단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의 내측에 이 고정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되고 내면에 걸림턱이 구비되는 수용공간부와; 상기 수용공간부에 끼워지고 상기 걸림턱에 걸어지는 걸림부를 갖는 복수개의 흡착구와; 상기 수용공간부를 덮어 포설하되 상기 복수개의 흡착구가 수용되는 복수개의 흡착구수용공간이 구비되는 흡착구위치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의 상단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판을 상기 승하강체의 가로형고정대에 고정하는 고정구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나아가, 상기 지지프레임체의 수평프레임에는, 상기 제1지지체의 제1지지부가 상기 제1인출입실린더에 의해 상기 제1인출입공간부측으로 인입될 때 상기 트레이안착체에 안착되는 트레이의 일측을 밀착지지하는 제1보조트레이밀착구와; 상기 제2지지체의 제2지지부가 상기 제2인출입실린더에 의해 상기 제2인출입공간부측으로 인입될 때 상기 트레이안착체에 안착되는 트레이의 타측을 밀착지지하는 제2보조트레이밀착구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공정용 트레이에서 납품용 트레이로 인쇄회로기판을 이송할 때 인쇄회로기판을 흡착구에 의해 흡착하여 수용 이송함에 따라 공정용 트레이에서 납품용 트레이로 인쇄회로기판을 이송하는 과정에서의 인쇄회로기판의 훼손 및 불량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시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어 작업성 및 작업효율성이 크게 향상되고 트레이의 크기에 따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어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인쇄회로기판의 트레이 이송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인쇄회로기판의 트레이 이송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인 인쇄회로기판의 트레이 이송장치의 구성요부를 나타낸 일부생략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인 인쇄회로기판의 트레이 이송장치의 구성요부를 나타낸 일부확대 구성도이다.
도 5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인 인쇄회로기판의 트레이 이송장치에 의해 인쇄회로기판이 공정용 트레이에서 납품용 트레이로 이송되는 것을 각각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인 인쇄회로기판의 트레이 이송장치의 흡착구고정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인 인쇄회로기판의 트레이 이송장치의 흡착구고정체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인 인쇄회로기판의 트레이 이송장치의 흡착구고정체가 고정되는 상태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인 인쇄회로기판의 트레이 이송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각각 나타낸 구성도이다.
이하,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의 트레이 이송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인쇄회로기판의 트레이 이송장치는, 지지프레임체(10)와, 트레이안착체(20), 제1지지체(30), 제2지지체(40), 제1승하강구동체(50), 제2승하강구동체(60), 승하강체(70) 및 흡착구고정체(80)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지지프레임체(10)에 고정되어 지지되는 트레이안착체(20)에 제조가 완료된 인쇄회로기판(101)이 수용된 공정용 트레이(102)를 올려 놓은 후 상기 흡착구고정체(80)가 구비되어 있는 승하강체(70)를 제1승하강구동체(50)와 제2승하강구동체(60)를 이용하여 공정용 트레이(102)측으로 하강시킨 후 공정용 트레이(102)에 수용된 인쇄회로기판(101)을 흡착하여 들어 올린 상태에서 공정용 트레이(102)를 트레이안착체(20)로부터 빼내고 다시 트레이안착체(20)에 납품용 트레이(103)를 안착시킨 후 들어 올려진 인쇄회로기판(101)을 납품용 트레이(103)에 하강시켜 수용함에 따라 쉽고 간단하게 공정용 트레이로부터 인쇄회로기판을 납품용 트레이에 이송 수용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성 및 작업효율성이 크게 향상됨은 물론 작업자가 손으로 인쇄회로기판을 만지지 않음에 따라 인쇄회로기판에 대한 훼손 및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지지프레임체(10)는, 바닥으로부터 세워지는 수직프레임(11) 및 상기 수직프레임(11)의 상부를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으로 연결하는 수평프레임(12)으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체(10)에 수직으로 연결되어 상기 지지프레임체(10)의 상부측으로 각각 연장되는 제1지주(13), 제2지주(14), 제3지주(15) 및 제4지주(16)가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제1지주(13), 제2지주(14), 제3지주(15) 및 제4지주(16)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프레임체(10)의 수직프레임(11)과 같이 하단이 바닥에 닿도록 하거나 또는 상기 수평프레임(12)의 상부측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수직프레임(11)에 하단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트레이안착체(20)는, 인쇄회로기판(101)이 수용되어 있는 공정용 트레이(102) 및 인쇄회로기판(101)을 수용하기 위한 납품용 트레이(103)가 각각 안착되는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프레임(10)의 상단에 위치되어 상기 제1지주(13), 제2지주(14), 제3지주(15) 및 제4지주(16)와 연결 고정되고 양측에 각각 제1인출입공간부(21)와 제2인출입구멍공간부(22)가 구비되며 상기 제1인출입공간부(21)의 하부측으로 제1걸이부(23) 및 상기 제2인출입공간부(22)의 하부측으로 제2걸이부(24)가 각각 연장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제1지지체(30)는, 상기 제1인출입공간부(21)에 구비되어 상기 트레이안착체(20)에 안착되는 트레이의 일측이 밀착되어 지지되는 제1지지부(31)와, 상기 제1지지부(31)가 상기 제1인출입공간부(21)의 상부측으로 인출되거나 또는 상기 제1지지부(31)가 상기 제1인출입공간부(21)측으로 인입되도록 하는 제1인출입실린더(32)와, 상기 제1지지부(31)와 상기 제1인출입실린더(32)를 연결하는 제1인출입실린더봉(33)과, 상기 제1인출입실린더(32)가 고정되고 상부 일측에 제1이동편(34)이 구비되고 하부측에는 제1슬라이딩이동부(35)를 갖는 제1고정부(36)와, 상기 트레이안착체(20)의 제1걸이부(23)에 구비되어 상기 제1고정부(36)의 제1슬라이딩이동부(35)가 끼워지는 제1이동가이드봉(37)과, 상기 제1고정부(36)의 제1이동편(34)과 나사체결되어 회전 동작에 의해 상기 제1고정부(36)를 좌측으로 밀어주거나 우측으로 당겨주는 제1거리조절구(38)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제1지지부(31)는, 상기 트레이안착체(20)에 안착되는 트레이의 일측에 밀착되어 트레이의 일측을 지지하는 것으로 상기 제1인출입공간부(21)로부터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제1거리조절구(38)에 의해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거리조절구(38)를 돌려주면 상기 제1거리조절구(38)가 나사체결된 제1이동편(34)이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 이동되고 또한 상기 제1슬라이딩이동부(35)가 제1이동가이드봉(37)을 따라 이동되며 이에 따라, 상기 제1이동편(34)과 제1슬라이딩이동부(35)를 갖는 상기 제1고정부(36)가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 이동되며, 상기 제1고정부(36)에 고정된 제1인출입실린더(32) 및 상기 제1인출입실린더(32)와 제1인출입실린더봉(33)에 의해 연결된 상기 제1지지부(31)가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 이동된다.
이에 따라, 트레이안착체(20)에 안착되는 트레이의 크기에 따라 상기 제1지지부(31)의 위치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어 사용성 및 편의성이 크게 향상된다.
상기 제2지지체(40)는, 상기 제2인출입공간부(22)에 구비되어 상기 트레이안착체(20)에 안착되는 트레이의 타측이 밀착되어 지지되는 제2지지부(41)와, 상기 제2지지부(41)가 상기 제2인출입공간부(22)의 상부측으로 인출되거나 또는 상기 제2지지부(41)가 상기 제2인출입공간부(22)측으로 인입되도록 하는 제2인출입실린더(42)와, 상기 제2지지부(41)와 상기 제2인출입실린더(42)를 연결하는 제2인출입실린더봉(43)과, 상기 제2인출입실린더(42)가 고정되고 상부 일측에 제2이동편(44)이 구비되고 하부측에는 제2슬라이딩이동부(45)를 갖는 제2고정부(46)와, 상기 트레이안착체(20)의 제2걸이부(24)에 구비되어 상기 제2고정부(46)의 제2슬라이딩이동부(45)가 끼워지는 제2이동가이드봉(47)과, 상기 제2고정부(46)의 제2이동편(44)과 나사체결되어 회전 동작에 의해 상기 제2고정부(46)를 좌측으로 밀어주거나 우측으로 당겨주는 제2거리조절구(48)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제2지지부(41)는, 상기 트레이안착체(20)에 안착되는 트레이의 타측에 밀착되어 트레이의 타측을 지지하는 것으로 상기 제2인출입공간부(22)로부터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제2거리조절구(48)에 의해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거리조절구(48)를 돌려주면 상기 제2거리조절구(48)가 나사체결된 제2이동편(44)이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 이동되고 또한 상기 제2슬라이딩이동부(45)가 제2이동가이드봉(47)을 따라 이동되며 이에 따라, 상기 제2이동편(44)과 제2슬라이딩이동부(45)를 갖는 상기 제2고정부(46)가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 이동되며, 상기 제2고정부(46)에 고정된 제2인출입실린더(42) 및 상기 제2인출입실린더(42)와 제2인출입실린더봉(43)에 의해 연결된 상기 제2지지부(41)가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 이동된다.
이에 따라, 트레이안착체(20)에 안착되는 트레이의 크기에 따라 상기 제2지지부(41)의 위치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어 사용성 및 편의성이 크게 향상된다.
상기 제1승하강구동체(50)는, 상기 제1지주(13)와 제2지주(14) 상단을 연결하는 제1연결프레임(51)과, 상기 제1연결프레임(51)의 양측에 가로방향으로 각각 연결되는 2개의 제1보조프레임(52)(53)과, 상기 2개의 제1보조프레임(52)(53)을 연결하는 제2연결프레임(54)과, 상기 제1연결프레임(51)과 상기 제2연결프레임(54)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제1연결프레임(51)과 제2연결프레임(54)에 고정되는 제1실린더지지프레임(55)과, 상기 제1실린더지지프레임(55)에 구비되고 상기 제1실린더지지프레임(55)의 하부측으로 연장되는 제1승하강봉(56)을 갖는 제1승하강실린더(57)와, 상기 제1실린더지지프레임(55)의 하부측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슬라이드봉(58)으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2승하강구동체(60)는, 상기 제3지주(15)와 제4지주(16) 상단을 연결하는 제3연결프레임(61)과, 상기 제3연결프레임(61)의 양측에 가로방향으로 각각 연결되는 2개의 제2보조프레임(62)(63)과, 상기 2개의 제2보조프레임(62)(63)을 연결하는 제4연결프레임(64)과, 상기 제3연결프레임(61)과 상기 제4연결프레임(64)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제3연결프레임(61)과 제4연결프레임(64)에 고정되는 제2실린더지지프레임(65)과, 상기 제2실린더지지프레임(65)에 구비되고 상기 제2실린더지지프레임(65)의 하부측으로 연장되는 제2승하강봉(66)을 갖는 제2승하강실린더(67)와, 상기 제2실린더지지프레임(65)의 하부측으로부터 연장되는 제2슬라이드봉(68)으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제1승하강구동체(50)와 제2승하강구동체(6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마주보도록 구비되어 위치되는 것으로, 이는 상기 승하강체(70)의 양측을 동시에 승강시키거나 또는 동시에 하강시켜 승하강체(70)의 승강 또는 하강에 있어서 승하강체(70)가 일측방향으로 기울어져 승하강체(70)의 수평이 이루어지지 않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승하강체(70)는, 상기 지지프레임체(10)의 상부측에 위치되는 2개의 가로형고정대(71)(71a)와, 상기 2개의 가로형고정대(71)(71a)의 양측단을 각각 연결하는 2개의 세로형고정대(72)(72a)와, 상기 2개의 가로형고정대(71)(71a)의 내측에 위치되어 서로 마주보도록 상기 2개의 가로형고정대에 각각 연결되는 2개의 보조고정대(73)(73a)와, 상기 2개의 보조고정대(73)(73a)를 연결하는 제1가이드봉(74) 및 제2가이드봉(74a)과, 상기 2개의 세로형고정대(72)(72a)와 2개의 보조고정대(73)(73a) 사이에 각각 위치되고 내측 중앙에 상기 제1승하강구동체(50)의 제1승하강봉(56)과 상기 제2승하강구동체(60)의 제2승하강봉(66)이 각각 연결되는 실린더봉결합구멍(75)과, 상기 실린더봉결합구멍(75)의 양측에 각각 관통되어 상기 제1슬라이드봉(58) 및 제2슬라이드봉(68)이 각각 끼워지는 슬라이드봉끼움구멍(76)이 각각 구비되는 제1고정판(77) 및 제2고정판(77a)으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승하강체(70)는, 상기 제1승하강구동체(50) 및 제2승하강구동체(60)에 의해 하강 및 승강된다.
즉, 상기 제1승하강구동체(50)의 제1승하강실린더(57)와 제2승하강실린더(67)가 동시에 작동되어 상기 제1승하강봉(56)과 상기 제2승하강봉(66)이 동시에 하강되면 상기 제1승하강봉(56)과 제2승하강봉(66)이 각각 결합된 실린더봉결합구멍(75)이 각각 구비된 상기 제1고정판(77) 및 제2고정판(77a)이 하강되고 이들 제1고정판(77) 및 제2고정판(77a)의 하강동작에 의해 상기 2개의 가로형고정대(71)(71a)와 2개의 보조고정대(73)(73a) 및 제1가이드봉(74)과 제2가이드봉(74a)을 갖는 상기 승하강체(70)가 하강된다.
또한, 승하강체(70)의 승강 동작 역시 상기 제1승하강구동체(50)의 제1승하강실린더(57)와 제2승하강실린더(67)가 동시에 작동되어 상기 제1승하강봉(56)과 상기 제2승하강봉(66)이 동시에 승강되는 동작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 흡착구고정체(80)는, 상기 승하강체(70)의 제1가이드봉(74) 및 제2가이드봉(74a)에 끼움연결되고 상기 트레이안착체(20)에 안착되는 트레이에 수용된 인쇄회로기판을 흡착하는 흡착구(85)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상기 승하강체(70)의 하강 및 승강동작에 의해 상기 흡착구고정체(80) 역시 승하강체(70)와 동일하게 하강 및 승강되어 공정용 트레이(102)에 수용되어 있는 인쇄회로기판(101)을 흡착하여 공정용 트레이(102)로부터 들어 올리거나 납품용 트레이(103)에 인쇄회로기판(101)을 수용한다.
상기 흡착구고정체(80)는, 상기 승하강체(70)의 제1가이드봉(74) 및 제2가이드봉(74a)에 끼움연결되는 제1가이드구(81) 및 제2가이드구(82)가 하단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고정판(83)과, 상기 고정판(83)의 내측에 이 고정판(83)의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되고 내면에 걸림턱(84a)이 구비되는 수용공간부(84)와, 상기 수용공간부(84)에 끼워지고 상기 걸림턱(84a)에 걸어지는 걸림부(85a)를 갖는 복수개의 흡착구(85)와, 상기 수용공간부(84)를 덮어 포설하되 상기 복수개의 흡착구(85)가 각각 수용되는 복수개의 흡착구수용공간(86a)이 구비되는 흡착구위치고정판(86)과, 상기 흡착구위치고정판(86)의 상단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흡착구위치고정판(86)을 상기 승하강체(70)의 가로형고정대(71)(71a)에 고정하는 고정구(87)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판(83)에 구비되는 수용공간부(84)에 수용되는 복수개의 흡착구(85)는 상기 흡착구위치고정판(86)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흡착구수용공간(86a)에 의해 유동됨이 방지되는 것으로, 상기 흡착구위치고정판(86)을 상기 수용공간부(84)에 덮어 포설할 때 상기 복수개의 흡착구수용공간(86a) 하나하나의 공간에 상기 복수개의 흡착구(85) 각각 하나하나를 위치하여 흡착구위치고정판(86)으로 수용공간부(84)를 덮어 포설하면 상기 복수개의 흡착구수용공간(86a) 각각에 수용되는 흡착구 각각이 복수개의 흡착구수용공간(86a) 각각에 의해 위치가 고정될 수 있어 흡착구(85)가 서로 유동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 때, 복수개의 흡착구수용공간(86a)의 간격은 흡착되는 인쇄회로기판의 크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흡착구(85)는 진공압에 공급되는 것으로 공급되는 진공압에 의해 인쇄회로기판을 흡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의해 인쇄회로기판(101)이 공정용 트레이(102)에서 납품용 트레이(103)로 이송 수용되는 것을 간략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트레이안착체(20)의 상부에 제조된 인쇄회로기판(101)이 수용된 공정용 트레이(102)를 안착한다.
이 때, 상기 공정용 트레이(102)의 일측과 타측은 각각 상기 제1지지체(30)의 제1지지부(31)와 제2지지체(40)의 제2지지부(41)에 의해 밀착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승하강구동체(50)의 제1승하강봉(56) 및 제2승하강구동체(60)의 제2승하강봉(66)을 동시에 하강시켜 상기 승하강체(70)가 공정용 트레이(102)측으로 하강되도록 한 다음, 상기 흡착구고정체(80)의 흡착구(85)에 진공압을 공급시켜 공정용 트레이(102)에 수용된 인쇄회로기판(101)이 상기 흡착구(85)에 의해 흡착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착구(85)에 인쇄회로기판(101)이 흡착된 상태로 상기 제1승하강구동체(50)의 제1승하강봉(56) 및 제2승하강구동체(60)의 제2승하강봉(66)을 동시에 승강시켜 상기 승하강체(70)가 공정용 트레이(102)로부터 승강되도록 하여 상기 흡착구(85)에 의해 흡착된 인쇄회로기판(101)을 공정용 트레이(102)로부터 들어 올린다.
다음으로, 인쇄회로기판(101)이 들어 올려진 공정용 트레이(102)를 트레이 안착체(20)로부터 빼낸 후 트레이 안착체(20)에 납품용 트레이(103)를 안착시킨다.
다음으로, 상기 제1승하강구동체(50)의 제1승하강봉(56) 및 제2승하강구동체(60)의 제2승하강봉(66)을 동시에 하강시켜 상기 승하강체(70)가 납품용 트레이(103)측으로 인쇄회로기판(101)이 흡착된 흡착구(85)가 하강되도록 한 후 흡착구(85)에 공급되는 진공압을 해제하여 흡착구(85)에 흡착된 인쇄회로기판(101)이 납품용 트레이(103)에 수용되도록 하면 된다.
또한, 납품용 트레이(103)에 인쇄회로기판(101)이 수용되면 상기 하강된 승하강체(70)를 다시 승강시켜 인쇄회로기판(101)이 수용된 납품용 트레이(103)를 트레이 안착체(20)로부터 빼내면 된다.
이와 같은 작업을 반복적으로 진행하면서 공정용 트레이(102)에 수용된 인쇄회로기판(101)을 납품용 트레이(103)에 적재 수용하면 된다.
본 발명의 상기 지지프레임체(10)의 수평프레임(12)에는, 상기 제1지지체(30)의 제1지지부(31)가 상기 제1인출입실린더(32)에 의해 상기 제1인출입공간부(21)측으로 인입될 때 상기 트레이안착체(20)에 안착되는 트레이의 일측을 밀착지지하는 제1보조트레이밀착구(90)와, 상기 제2지지체(40)의 제2지지부(41)가 상기 제2인출입실린더(42)에 의해 상기 제2인출입공간부(22)측으로 인입될 때 상기 트레이안착체(20)에 안착되는 트레이의 타측을 밀착지지하는 제2보조트레이밀착구(80a)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제1보조트레이밀착구(90)와 제2보조트레이밀착구(80a)가 더 구비되는 이유는, 상기 제1지지부(31)와 제2지지부(41)가 서로에 대해 벌어지는 간격보다 트레이의 크기가 클 경우 제1보조트레이밀착구(90)와 제2보조트레이밀착구(80a)를 이용하여 트레이의 일측과 타측을 밀착고정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1보조트레이밀착구(90)와 제2보조트레이밀착구(80a)를 이용하여 트레이의 일측과 타측이 각각 밀착고정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1지지부(31)와 제2지지부(41) 중 어느 하나의 지지부가 상기 제1인출입공간부(21) 또는 제2인출입공간부(22)측으로 인입된다.
상기 제1지지부(31)가 제1인출입공간부(21)측으로 인입됨이 가능한 이유는, 상기 제1지지부(31)가 제1인출입실린더봉(33)에 의해 연결된 제1인출입실린더(32)에 의해 상기 제1지지부(31)가 승강 및 하강이 가능하기 때문으로, 상기 제1인출입실린더(32)의 작동에 의해 상기 제1인출입실린더봉(33)이 인출 또는 인입되면, 상기 제1지지부(31)는 상기 제1인출입실린더봉(33)의 인출 또는 인입동작에 의해 상기 제1인출입공간부(21)로부터 인출되거나 또는 제1인출입공간부(21)측으로 인입되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제2지지부(41)가 제2인출입공간부(22)측으로 인입됨이 가능한 이유는, 상기 제2지지부(41)가 제2인출입실린더봉(43)에 의해 연결된 제2인출입실린더(42)에 의해 상기 제2지지부(41)가 승강 및 하강이 가능하기 때문으로, 상기 제2인출입실린더(42)의 작동에 의해 상기 제2인출입실린더봉(43)이 인출 또는 인입되면, 상기 제2지지부(41)는 상기 제2인출입실린더봉(43)의 인출 또는 인입동작에 의해 상기 제2인출입공간부(41)로부터 인출되거나 또는 제2인출입공간부(41)측으로 인입되기 때문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 지지프레임체 11 : 수직프레임
12 : 수평프레임 13 : 제1지주
14 : 제2지주 15 : 제3지주
16 : 제4지주 20 : 트레이안착체
21 : 제1인출입공간부 22 : 제2인출입공간부
23 : 제1걸이부 24 : 제2걸이부
30 : 제1지지체 31 : 제1지지부
32 : 제1인출입실린더 33 : 제1인출입실린더봉
34 : 제1이동편 35 : 제1슬라이딩이동부
36 : 제1고정부 37 : 제1이동가이드봉
38 : 제1거리조절구 40 : 제2지지체
41 : 제2지지부 42 : 제2인출입실린더
43 : 제2인출입실린더봉 44 : 제2이동편
45 : 제2슬라이딩이동부 46 : 제2고정부
47 : 제2이동가이드봉 48 : 제2거리조절구
50 : 제1승하강구동체 51 : 제1연결프레임
52, 53 : 제1보조프레임 54 : 제2연결프레임
55 : 제1실린더지지프레임 56 : 제1승하강봉
57 : 제1승하강실린더 58 : 제1슬라이드봉
60 : 제2승하강구동체 61 : 제3연결프레임
62, 63 : 제2보조프레임 64 : 제4연결프레임
65 : 제2실린더지지프레임 66 : 제2승하강봉
67 : 제2승하강실린더 68 : 제2슬라이드봉
70 : 승하강체 71, 71a : 가로형고정대
72, 72a : 세로형고정대 73, 73a : 보조고정대
74 : 제1가이드봉 75 : 실린더봉결합구멍
76 : 슬라이드봉끼움구멍 77 : 제1고정판
77a : 제2고정판 80 : 흡착구고정체
81 : 제1가이드 82 : 제2가이드
83 : 고정판 84 : 수용공간부
84a : 걸림턱 85 : 흡착구
85a : 걸림부 86 : 흡착구위치고정판
87 : 고정구 90 : 제1보조트레이밀착구
90a : 제2보조트레이밀착구

Claims (3)

  1. 수직프레임(11) 및 수평프레임(12)을 갖는 지지프레임체(10)와;
    상기 지지프레임체(10)에 수직으로 연결되어 상기 지지프레임체(10)의 상부측으로 각각 연장되는 제1지주(13), 제2지주(14), 제3지주(15) 및 제4지주(16)와;
    상기 지지프레임(10)의 상단에 위치되어 상기 제1지주(13), 제2지주(14), 제3지주(15) 및 제4지주(16)와 연결 고정되고 양측에 각각 제1인출입공간부(21)와 제2인출입구멍공간부(22)가 구비되며 상기 제1인출입공간부(21)의 하부측으로 제1걸이부(23) 및 상기 제2인출입공간부(22)의 하부측으로 제2걸이부(24)가 각각 연장되는 트레이안착체(20)와;
    상기 제1인출입공간부(21)에 구비되어 상기 트레이안착체(20)에 안착되는 트레이의 일측이 밀착되어 지지되는 제1지지부(31)와, 상기 제1지지부(31)가 상기 제1인출입공간부(21)의 상부측으로 인출되거나 또는 상기 제1지지부(31)가 상기 제1인출입공간부(21)측으로 인입되도록 하는 제1인출입실린더(32)와, 상기 제1지지부(31)와 상기 제1인출입실린더(32)를 연결하는 제1인출입실린더봉(33)과, 상기 제1인출입실린더(32)가 고정되고 상부 일측에 제1이동편(34)이 구비되고 하부측에는 제1슬라이딩이동부(35)를 갖는 제1고정부(36)와, 상기 트레이안착체(20)의 제1걸이부(23)에 구비되어 상기 제1고정부(36)의 제1슬라이딩이동부(35)가 끼워지는 제1이동가이드봉(37)과, 상기 제1고정부(36)의 제1이동편(34)과 나사체결되어 회전 동작에 의해 상기 제1고정부(36)를 좌측으로 밀어주거나 우측으로 당겨주는 제1거리조절구(38)를 갖는 제1지지체(30)와;
    상기 제2인출입공간부(22)에 구비되어 상기 트레이안착체(20)에 안착되는 트레이의 타측이 밀착되어 지지되는 제2지지부(41)와, 상기 제2지지부(41)가 상기 제2인출입공간부(22)의 상부측으로 인출되거나 또는 상기 제2지지부(41)가 상기 제2인출입공간부(22)측으로 인입되도록 하는 제2인출입실린더(42)와, 상기 제2지지부(41)와 상기 제2인출입실린더(42)를 연결하는 제2인출입실린더봉(43)과, 상기 제2인출입실린더(42)가 고정되고 상부 일측에 제2이동편(44)이 구비되고 하부측에는 제2슬라이딩이동부(45)를 갖는 제2고정부(46)와, 상기 트레이안착체(20)의 제2걸이부(24)에 구비되어 상기 제2고정부(46)의 제2슬라이딩이동부(45)가 끼워지는 제2이동가이드봉(47)과, 상기 제2고정부(46)의 제2이동편(44)과 나사체결되어 회전 동작에 의해 상기 제2고정부(46)를 좌측으로 밀어주거나 우측으로 당겨주는 제2거리조절구(48)를 갖는 제2지지체(40)와;
    상기 제1지주(13)와 제2지주(14) 상단을 연결하는 제1연결프레임(51)과, 상기 제1연결프레임(51)의 양측에 가로방향으로 각각 연결되는 2개의 제1보조프레임(52)(53)과, 상기 2개의 제1보조프레임(52)(53)을 연결하는 제2연결프레임(54)과, 상기 제1연결프레임(51)과 상기 제2연결프레임(54)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제1연결프레임(51)과 제2연결프레임(54)에 고정되는 제1실린더지지프레임(55)과, 상기 제1실린더지지프레임(55)에 구비되고 상기 제1실린더지지프레임(55)의 하부측으로 연장되는 제1승하강봉(56)을 갖는 제1승하강실린더(57)와, 상기 제1실린더지지프레임(55)의 하부측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슬라이드봉(58)을 갖는 제1승하강구동체(50)와;
    상기 제3지주(15)와 제4지주(16) 상단을 연결하는 제3연결프레임(61)과, 상기 제3연결프레임(61)의 양측에 가로방향으로 각각 연결되는 2개의 제2보조프레임(62)(63)과, 상기 2개의 제2보조프레임(62)(63)을 연결하는 제4연결프레임(64)과, 상기 제3연결프레임(61)과 상기 제4연결프레임(64)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제3연결프레임(61)과 제4연결프레임(64)에 고정되는 제2실린더지지프레임(65)과, 상기 제2실린더지지프레임(65)에 구비되고 상기 제2실린더지지프레임(65)의 하부측으로 연장되는 제2승하강봉(66)을 갖는 제2승하강실린더(67)와, 상기 제2실린더지지프레임(65)의 하부측으로부터 연장되는 제2슬라이드봉(68)을 갖는 제2승하강구동체(60)와;
    상기 지지프레임체(10)의 상부측에 위치되는 2개의 가로형고정대(71)(71a)와, 상기 2개의 가로형고정대(71)(71a)의 양측단을 각각 연결하는 2개의 세로형고정대(72)(72a)와, 상기 2개의 가로형고정대(71)(71a)의 내측에 위치되어 서로 마주보도록 상기 2개의 가로형고정대에 각각 연결되는 2개의 보조고정대(73)(73a)와, 상기 2개의 보조고정대(73)(73a)를 연결하는 제1가이드봉(74) 및 제2가이드봉(74a)과, 상기 2개의 세로형고정대(72)(72a)와 2개의 보조고정대(73)(73a) 사이에 각각 위치되고 내측 중앙에 상기 제1승하강구동체(50)의 제1승하강봉(56)과 상기 제2승하강구동체(60)의 제2승하강봉(66)이 각각 연결되는 실린더봉결합구멍(75)과, 상기 실린더봉결합구멍(75)의 양측에 각각 관통되어 상기 제1슬라이드봉(58) 및 제2슬라이드봉(68)이 각각 끼워지는 슬라이드봉끼움구멍(76)이 각각 구비되는 제1고정판(77) 및 제2고정판(77a)을 갖는 승하강체(70)와;
    상기 승하강체(70)의 제1가이드봉(74) 및 제2가이드봉(74a)에 끼움연결되고 상기 트레이안착체(20)에 안착되는 트레이에 수용된 인쇄회로기판을 흡착하는 흡착구가 구비되는 흡착구고정체(80)로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회로기판의 트레이 이송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구고정체(80)는,
    상기 승하강체(70)의 제1가이드봉(74) 및 제2가이드봉(74a)에 끼움연결되는 제1가이드구(81) 및 제2가이드구(82)가 하단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고정판(83)과;
    상기 고정판(83)의 내측에 이 고정판(83)의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되고 내면에 걸림턱(84a)이 구비되는 수용공간부(84)와;
    상기 수용공간부(84)에 끼워지고 상기 걸림턱(84a)에 걸어지는 걸림부(85a)를 갖는 복수개의 흡착구(85)와;
    상기 수용공간부(84)를 덮어 포설하되 상기 복수개의 흡착구(85)가 각각 수용되는 복수개의 흡착구수용공간(86a)이 구비되는 흡착구위치고정판(86)과;
    상기 흡착구위치고정판(86)의 상단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흡착구위치고정판(86)을 상기 승하강체(70)의 가로형고정대(71)(71a)에 고정하는 고정구(87)로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회로기판의 트레이 이송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체(10)의 수평프레임(12)에는,
    상기 제1지지체(30)의 제1지지부(31)가 상기 제1인출입실린더(32)에 의해 상기 제1인출입공간부(21)측으로 인입될 때 상기 트레이안착체(20)에 안착되는 트레이의 일측을 밀착지지하는 제1보조트레이밀착구(90)와;
    상기 제2지지체(40)의 제2지지부(41)가 상기 제2인출입실린더(42)에 의해 상기 제2인출입공간부(22)측으로 인입될 때 상기 트레이안착체(20)에 안착되는 트레이의 타측을 밀착지지하는 제2보조트레이밀착구(80a)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회로기판의 트레이 이송장치.
KR1020160065306A 2016-05-27 2016-05-27 인쇄회로기판의 트레이 이송장치 KR1016484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5306A KR101648413B1 (ko) 2016-05-27 2016-05-27 인쇄회로기판의 트레이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5306A KR101648413B1 (ko) 2016-05-27 2016-05-27 인쇄회로기판의 트레이 이송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8413B1 true KR101648413B1 (ko) 2016-08-23

Family

ID=568756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5306A KR101648413B1 (ko) 2016-05-27 2016-05-27 인쇄회로기판의 트레이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841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29056A (zh) * 2019-07-19 2019-11-08 江苏和睿半导体科技有限公司 一种芯片框架的输送结构
KR20220137364A (ko) * 2021-04-02 2022-10-12 주식회사 디에이피 노광적재대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4966A (ko) * 2001-08-14 2003-02-20 미래산업 주식회사 트레이 안착용 플레이트 교환장치
KR200433120Y1 (ko) 2006-09-29 2006-12-11 (주)대륜기계 인쇄회로기판 이송용 안착 장치
KR20130055353A (ko) 2011-11-18 2013-05-28 세메스 주식회사 기판 이송 트레이
KR20140008585A (ko) * 2012-07-09 2014-01-22 주식회사 고영테크놀러지 트레이 이송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4966A (ko) * 2001-08-14 2003-02-20 미래산업 주식회사 트레이 안착용 플레이트 교환장치
KR200433120Y1 (ko) 2006-09-29 2006-12-11 (주)대륜기계 인쇄회로기판 이송용 안착 장치
KR20130055353A (ko) 2011-11-18 2013-05-28 세메스 주식회사 기판 이송 트레이
KR20140008585A (ko) * 2012-07-09 2014-01-22 주식회사 고영테크놀러지 트레이 이송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29056A (zh) * 2019-07-19 2019-11-08 江苏和睿半导体科技有限公司 一种芯片框架的输送结构
KR20220137364A (ko) * 2021-04-02 2022-10-12 주식회사 디에이피 노광적재대차
KR102462078B1 (ko) 2021-04-02 2022-11-03 주식회사 디에이피 노광적재대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8413B1 (ko) 인쇄회로기판의 트레이 이송장치
JP4573692B2 (ja) 基板支持装置および基板支持方法
WO2016199207A1 (ja) 印刷装置及び対基板作業装置
KR101321612B1 (ko) 기판 위치맞춤 기구, 그것을 이용한 진공 예비실 및 기판 처리 시스템
JP4955070B2 (ja) 貼合せ基板製造装置および貼合せ基板製造方法
JP2006332642A (ja) 基板洗浄乾燥装置及び方法
JP6027794B2 (ja) 搬送治具
KR102022627B1 (ko) 피도금물 공급 및 배출설비
JP2015126173A (ja) ペースト供給装置、スクリーン印刷機及びペースト供給方法
JP4932691B2 (ja) 基板支持方法、基板支持装置、治具基板、部品実装装置、塗布装置及び基板検査装置
JP3971132B2 (ja) 基板処理装置
KR101301057B1 (ko) 웨이퍼 처리장치
JP7085968B2 (ja) 基板ホルダ、めっき装置および基板のめっき方法
TWI827021B (zh) 基板處理方法
KR101771905B1 (ko) 인쇄회로기판의 교체를 위한 정합 시스템
KR20140113333A (ko) 흡착 반전 장치
JP2014133672A (ja) 吸着反転装置
KR101999651B1 (ko) 검사 장치
WO2021064922A1 (ja) 基板支持ピン設置用治具、基板支持ピン設置方法
KR100756585B1 (ko) 패널제조장치
KR101638995B1 (ko) 반도체패키지의 탈착처리장치
KR102389879B1 (ko) 질소 누출 방지 기능을 구비한 이에프이엠 시스템
JP3615268B2 (ja) 基板位置決め用治具機構
KR100790792B1 (ko) 웨이퍼 이송장치
JP2007008698A (ja) 基板吸着方法、基板ホルダ及び基板吸着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