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6585B1 - 패널제조장치 - Google Patents

패널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6585B1
KR100756585B1 KR1020040093879A KR20040093879A KR100756585B1 KR 100756585 B1 KR100756585 B1 KR 100756585B1 KR 1020040093879 A KR1020040093879 A KR 1020040093879A KR 20040093879 A KR20040093879 A KR 20040093879A KR 100756585 B1 KR100756585 B1 KR 1007565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ge
panel
unit
seated
hand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38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55578A (ko
Inventor
강석주
김광준
이준승
정성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938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6585B1/ko
Priority to TW094109067A priority patent/TWI326777B/zh
Priority to CN200510067306XA priority patent/CN1775640B/zh
Publication of KR200600555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55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65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65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24Manufacture or joining of vessels, leading-in conductors or bases
    • H01J9/241Manufacture or joining of vessels, leading-in conductors or bases the vessel being for a flat panel displa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24Manufacture or joining of vessels, leading-in conductors or bases
    • H01J9/34Joining base to vesse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46Machines having sequentially arranged operating stations
    • H01J9/48Machines having sequentially arranged operating stations with automatic transfer of workpieces between operating st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Container, Conveyance, Adherence, Positioning, Of Waf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패널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패널을 제조하기 위한 공정유닛과; 상기 공정유닛으로 패널을 공급하도록 패널을 이송하는 제1스테이지와, 상기 공정유닛으로부터 패널을 배출하도록 패널을 이송하는 제2스테이지와, 상기 제1스테이지 및 상기 제2스테이지를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스테이지가이드를 갖는 이송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패널의 공급과 배출을 동시에 진행할 수 있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패널제조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패널제조장치 {PANEL MANUFACTURING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패널제조장치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패널제조장치의 평면도,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패널제조장치의 작동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패널제조장치의 정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패널제조장치 5 : 패널
10 : 공정유닛 11 : 공정플레이트
15 : 작업대 16 : 패널지지대
21 : 제1스테이지 23 : 스테이지가이드
31 : 제2스테이지 41 : 위치제어유닛
43 : 검출부 51 : 제1핸들러
61 : 제2핸들러 70 : 베이스
본 발명은 패널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패널의 생산성을 향상시키도록 구조를 개선한 패널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패널은 PDP(PLASMA DISPLAY PANEL), TFT-LCD(THIN FILM TRANSISTOR - LIQUID CRYSTAL DISPLAY) 및 유기ELD(ELECTRO LUMINESCENCE DISPLAY)와 같은 평면디스플레이에 장착되어 화상을 형성하는 디스플레이패널을 총칭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패널은 유리기판에 다양한 전자부품을 부착하는 등의 제조공정이 마련된 패널제조장치에 의해 제조된다.
이러한 종래의 패널제조장치는 패널을 제조하도록 마련된 공정유닛과, 이러한 공정유닛으로 패널을 이송하기 위해 이송유닛을 구비한다.
이송유닛은 패널을 공정유닛으로 이송하기 위한 스테이지와, 공정유닛 및 스테이지를 지지하는 베이스를 포함한다.
이러한 스테이지는 패널을 지지하여 제조 공정상의 공정유닛으로 공급하며 공정유닛에서 제조공정이 완료된 패널을 배출하도록 이송한다. 즉, 스테이지는 투입된 패널을 제조공정이 수행되어 배출될 때까지 연속적으로 지지하도록 하나로 마련된다.
이에, 종래의 패널제조장치는 하나의 스테이지를 마련하고 있어, 하나의 패널이 공정유닛을 완료하여 완전히 배출될 때까지 다음 패널을 투입시킬 수 없으므로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패널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패널제조장치에 있어서, 패널을 제조하기 위한 공정유닛과; 상기 공정유닛으로 패널을 공급하도록 패널을 이송하는 제1스테이지와, 상기 공정유닛으로부터 패널을 배출하도록 패널을 이송하는 제2스테이지와, 상기 제1스테이지 및 상기 제2스테이지를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스테이지가이드를 갖는 이송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제조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이송유닛은, 상기 스테이지가이드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제1스테이지에 패널을 안착하는 제1핸들러와, 상기 스테이지가이드의 타측에 마련되어 상기 제2스테이지에 안착된 패널을 배출하는 제2핸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송유닛은 상기 제1핸들러 및 상기 제2핸들러를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핸들러가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스테이지는 안착된 패널을 다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이송유닛은 상기 제1스테이지에 안착된 패널의 위치정보를 검출하는 검출부와, 상기 검출부로부터 검출된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스테이지에 안착된 패널을 정렬하도록 상기 제1스테이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갖는 위치제어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검출부는 상기 제1스테이지에 안착된 패널을 촬영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스테이지와 상기 제2스테이지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제1스테이지에 의해 이송된 패널을 전달받아 상기 공정유닛에 대해 승강가능하게 지지하며 상기 공정유닛에 의해 공정이 완료된 패널을 상기 제2스테이지로 전달가능하게 마련된 작업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정유닛은 복수개로 마련되며, 상기 이송유닛은 상기 각 공정유닛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앞 공정유닛으로부터 패널을 전달받아 상기 후 공정유닛으로 공급하는 제3스테이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스테이지와 상기 제2스테이지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제1스테이지 및 제3스테이지 중 하나에 의해 이송된 패널을 전달받아 상기 각 공정유닛에 대해 승강가능하게 지지하며 상기 각 공정유닛에 의해 공정이 완료된 패널을 상기 제3스테이지 및 상기 제2스테이지 중 하나로 전달가능하게 마련된 복수의 작업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스테이지 및 제3스테이지는 안착된 패널을 다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이송유닛은 상기 제1스테이지 및 상기 제3스테이지에 각각 안착된 패널의 위치정보를 검출하는 검출부와, 상기 검출부로부터 검출된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스테이지 및 상기 제3스테이지에 각각 안착된 패널을 정렬하도록 상기 제1스테이지 및 제3스테이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갖는 복수의 위치제어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설명에 앞서,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제1실시예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패널제조장치(1)는 패널(5)을 제조하도록 마련된 공정유닛(10)과, 공정유닛(10)으로 패널(5)을 공급 및 배출하기 위한 이송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패널제조장치(1)는 공정유닛(10) 및 이송유닛을 지지하는 베이스(70)를 더 포함한다.
베이스(70)는 공정유닛(10) 및 이송유닛을 지지하도록 하부영역에 마련되며, 그 양측에는 패널(5)을 외부에서 공급 및 외부로 배출하도록 카세트(7)가 마련된다.
패널(5)은 PDP(PLASMA DISPLAY PANEL), TFT-LCD(THIN FILM TRANSISTOR - LIQUID CRYSTAL DISPLAY) 및 유기ELD(ELECTRO LUMINESCENCE DISPLAY)와 같은 평면디스플레이에 장착되어 화상을 형성하는 디스플레이패널을 총칭하며, 판 형상의 유리기판에 IC 및 인쇄회로기판과 같은 전자부품들이 부착되어 형성된다.
공정유닛(10)은 패널(5)을 제조하기 위해 마련된 장치로써, 패널(5)상에 IC 및 인쇄회로기판과 같은 전자부품들을 부착하기 위한 장치이다. 공정유닛(10)은 제작되는 패널(5)의 종류 등에 따라 하나 혹은 복수개로 마련될 수 있다. 공정유닛(10)에는 후술할 작업대(15)에 의해 승강하는 패널(5)에 전자부품을 접합하기 위한 공정플레이트(11)와, 공정플레이트(11)를 지지하는 유닛지지대(13)가 마련된다. 공정유닛(10)의 하측에는 패널(5)을 지지하여 승강시키는 작업대(15)가 마련된다.
유닛지지대(13)는 공정플레이트(11)를 지지하도록 베이스(70)에 대해 기립 설치된다.
작업대(15)는 후술할 제1스테이지(21)와 제2스테이지(31) 사이에 마련되어 제1스테이지(21)에 의해 이송된 패널(5)을 전달받아 공정유닛(10)에 대해 승강가능하게 지지하며 공정유닛(10)에 의해 공정이 완료된 패널(5)을 제2스테이지(31)로 전달가능하게 마련된다. 작업대(15)는 제1스테이지(21)에 의해 이송된 패널(5)을 지지하도록 패널지지대(16)가 마련된다. 작업대(15)에는 작업대(15)를 상하로 승강가능하게 지지하는 작업대승강부(18)가 마련된다.
패널지지대(16)는 패널(5)의 하부면과 접촉하여 지지한다. 패널지지대(16)는 패널(5)의 전후방향 하부면 가장자리를 지지하도록 작업대(15)의 전후방향에 한 쌍으로 마련된다. 패널지지대(16)에는 패널(5)의 하부면을 진공으로 흡착하도록 다수의 흡착홀(17)이 마련될 수 있다.
작업대승강부(18)는 작업대(15)의 하부영역에 마련되어 작업대(15)를 승강시킨다. 작업대승강부(18)는 실린더형상으로 마련되나, 실린더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작업대(15)를 승강시키도록 다양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작업대승강부(18)는 베이스(70)에 대해 결합되어 지지된다.
이송유닛은 공정유닛(10)으로 패널(5)을 공급하도록 패널(5)을 이송하는 제1스테이지(21)와, 공정유닛(10)으로부터 패널(5)을 배출하도록 패널(5)을 이송하는 제2스테이지(31)와, 제1스테이지(21) 및 제2스테이지(31)를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스테이지가이드(23)를 포함한다. 이송유닛은 스테이지가이드(23)의 일측에 마련되어 제1스테이지(21)에 패널을 안착하는 제1핸들러(51)와, 스테이지가이드(23)의 타 측에 마련되어 제2스테이지(31)에 안착된 패널을 배출하는 제2핸들러(61)를 더 포함한다. 이송유닛은 제1핸들러(51) 및 제2핸들러(61)를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핸들러가이드(53)를 더 포함한다. 이송유닛은 제1스테이지(21)에 안착된 패널(5)의 위치정보를 검출하여 패널(5)을 정렬하는 위치제어유닛(41)을 더 포함한다.
제1스테이지(21)의 상부는 패널(5)을 안착가능하게 판 형상으로 마련되며, 그 하부는 스테이지가이드(23)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마련된다. 제1스테이지(21)는 스테이지가이드(23)의 일측에서 공정유닛(10)이 마련된 작업대(15)까지 왕복 슬라이딩가능하게 마련된다. 제1스테이지(21)의 상부는 패널(5)의 크기보다 다소 작게 마련된다. 제1스테이지(21)는 안착된 패널(5)을 다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마련된다. 즉, 제1스테이지(21)는 스테이지가이드(23)의 길이방향인 좌우방향과(X), 좌우방향의 수직방향인 전후방향(Y)과, 제1스테이지(21)의 판면에 대해 상하방향(Z) 및 상하방향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방향(θ)으로 이동가능하게 마련된다(도 1 및 도 2참조). 그러나, 제1스테이지(21)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방향으로 패널(5)을 정렬가능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제1스테이지(21)는 제1핸들러(51)에 의해 카세트(7)로부터 패널(5)을 전달받아 위치제어유닛(41)의 제어부에 의해 패널(5)을 이동시켜 패널(5)을 기준위치로 정렬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1스테이지(21)는 스테이지가이드(23)를 따라 작업대(15)의 상측으로 이동하여 하강하며 패널(5)을 작업대(15)의 패널지지대(16)에 안착시킬 수 있다.
제2스테이지(31)는 상부는 패널(5)을 안착가능하게 판 형상으로 마련되며, 그 하부는 스테이지가이드(23)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마련된다. 제1스테이지 (21)의 상부는 패널(5)의 크기보다 다소 작게 마련된다. 제2스테이지(31)는 공정유닛(10)이 마련된 작업대(15)에서 스테이지가이드(23)의 타측에서 왕복 슬라이딩가능하게 마련된다. 제2스테이지(31)는 제2스테이지(31)의 판면에 대해 상하방향(Z) 승강가능하게 마련된다. 이에, 제2스테이지(31)는 작업대(15)에 지지된 패널(5)의 하측으로 이동하여 상승하며 패널(5)을 안착시켜 스테이지가이드(23)의 타측으로 이송할 수 있다.
스테이지가이드(23)는 제1 및 제2스테이지(21,31)를 안내하도록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스테이지가이드(23)는 제1 및 제2스테이지(21,31)를 동시에 안내하도록 하나로 마련되나, 제1 및 제2스테이지(21,31)를 각각 안내하도록 한 쌍으로 마련되어 길이방향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제1핸들러(51)는 스테이지가이드(23)의 일측에 근접하여 마련된 카세트(7)로부터 스테이지가이드(23)의 일측에 위치한 제1스테이지(21)에 패널(5)을 안착시킬 수 있도록 마련된다. 제1핸들러(51)는 패널(5)의 상부면에 접촉하여 진공으로 흡착하여 패널(5)을 이동시키게 된다.
제2핸들러(61)는 스테이지가이드(23)의 타측에 위치한 제2스테이지(31)에 안착된 패널(5)을 스테이지가이드(23)의 타측에 근접하여 마련된 카세트(7)로부터 이동시킬 수 있도록 마련된다. 제2핸들러(61)는 패널(5)의 상부면에 접촉하여 진공으로 흡착하여 패널(5)을 이동시키게 된다.
핸들러가이드(53)는 제1 및 제2핸들러(51,61)가 이동가능하게 스테이지가이드(23)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핸들러가이드(53)와 제1 및 제2핸들러 (51,61)사이에는 제1 및 제2핸들러(51,61)를 핸들러가이드(53)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하는 핸들러슬라이더(55)가 마련된다.
위치제어유닛(41)은 제1스테이지(21)에 안착된 패널(5)의 위치정보를 검출하는 검출부(43)와, 검출부(43)로부터 검출된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제1스테이지(21)에 안착된 패널을 정렬하도록 제1스테이지(21)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위치제어유닛(41)은 스테이지가이드(23)의 일측에 마련되어 검출부(43)를 지지하는 검출부지지대(45)를 더 포함한다.
검출부(43)는 제1스테이지(21)에 안착된 패널(5)을 촬영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로 마련된다. 검출부(43)는 본 발명의 일예로 스테이지가이드(23)의 일측에 마련되어 제1스테이지(21)에 안착된 패널(5)의 얼라인마크(미도시)를 촬영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검출부(43)는 제1스테이지(21)에 안착된 패널(5)의 얼라인마크(미도시)를 하측에서 상측으로 촬영할 수 있도록 패널(5)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마련된다. 검출부(43)는 상호 이격되어 한 쌍으로 마련되나, 패널(5)의 적어도 두지점을 촬영할 수 있도록 하나로 이동가능하게 마련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패널제조장치(1)의 제조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스테이지가이드(23)의 일측에 근접한 카세트(7)에 패널(5)을 위치시키다. 그리고, 제1스테이지(21)는 스테이지가이드(23)의 일측에 위치한 상태에서 제1핸들러(51)에 의해 카세트(7)로부터 패널(5)을 전달받는다(도 3참조). 그리고, 제1스테이지(21)는 위치제어유닛(41)의 제어부에 의해 패널(5)을 이동시켜 패널(5)을 기준위치로 정렬시키게 된다. 그런 후 제1스테이지(21)는 스테이지가이드(23)를 따라 작업대(15)의 상측으로 이동한다(도 4참조). 그리고, 제1스테이지(21)는 하강하여 패널(5)을 작업대(15)의 패널지지대(16)에 안착시킨 후 다시 스테이지가이드(23)의 일측으로 이동하여 초기 상태로 상승하게 된다(도 5참조). 그리고, 작업대(15)는 공정유닛(10)에 의해 공정작업이 수행되도록 지지된 패널(5)을 승강시키며, 공정작업이 완료된 패널(5)을 하강시킨다. 그러면, 제2스테이지(31)는 작업대(15)로 이동하여 공정유닛(10)에 의해 공정작업이 완료되어 작업대(15)에 지지된 패널(5)을 안착시키게 된다(도 5참조). 이때, 제2스테이지(31)는 작업대(15)의 패널(5) 하측으로 이동한 후, 상승하여 패널(5)을 안착시키게 된다. 그리고, 제2스테이지(31)는 스테이지가이드(23)의 타측으로 이송하게 되며, 제2핸들러(61)에 의해 제2스테이지(31)에 안착된 패널(5)을 카세트(7)로 배출하게 된다(도 6참조). 그리고, 제2스테이지(31)가 패널(5)을 스테이지가이드(23)의 타측으로 이송하여 배출할 때, 제1핸들러(51) 및 제1스테이지(21)에 의해 다른 패널(5)이 공정유닛(10)을 공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패널제조장치는 패널을 제조하기 위한 공정유닛과; 공정유닛으로 패널을 공급하도록 패널을 이송하는 제1스테이지와, 공정유닛으로부터 패널을 배출하도록 패널을 이송하는 제2스테이지와, 제1스테이지 및 제2스테이지를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스테이지가이드를 갖는 이송유닛을 마련하여 패널의 공급과 배출을 동시에 진행할 수 있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2실시예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패널제조장치(100)는 제1실시예와 달리 공정유닛(10,110)이 복수개로 마련되며, 이송유닛은 각 공정유닛(10,110) 사이에 마련되어 앞 공정유닛(10)으로부터 패널(5)을 전달받아 후 공정유닛(110)으로 공급하는 제3스테이지(131)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제2실시예에 따른 패널제조장치(100)는 복수의 공정유닛(10,110)에 대응하여 복수의 작업대(15,115)를 더 포함한다. 또한, 제2실시예에 따른 패널제조장치(1)는 제1스테이지(21)뿐만 아니라 제3스테이지(131)에 안착된 패널(5)을 각각 정렬하도록 복수의 위치제어유닛(41,141)을 포함한다.
공정유닛(10,1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로 한 쌍으로 마련되며, 제3스테이지(131)는 한 쌍의 공정유닛(10,110) 사이에 배치되도록 하나로 마련된다. 그러나, 이러한 공정유닛은 3개 이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제3스테이지도 각 공정유닛 사이에 배치되어 2개 이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3스테이지(131)는 전술한 제1스테이지(21)와 같이 안착된 패널(5)을 다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마련된다.
작업대(15,115)는 제1스테이지(21)와 제2스테이지(31) 사이에 마련되어 제1스테이지(21) 및 제3스테이지(131) 중 하나에 의해 이송된 패널(5)을 전달받아 각 공정유닛(10,110)에 대해 승강가능하게 지지하며 각 공정유닛(10,110)에 의해 공정작업이 완료된 패널(5)을 제3스테이지(131) 및 제2스테이지(31) 중 하나로 전달가능하게 한 쌍으로 마련된다.
위치제어유닛(41,141)은 제1스테이지(21) 및 제3스테이지(131)에 각각 안착 된 패널(5)의 위치정보를 검출하는 검출부(43)와, 검출부(43)로부터 검출된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제1스테이지(21) 및 제3스테이지(131)에 각각 안착된 패널(5)을 정렬하도록 제1스테이지(21) 및 제3스테이지(131)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갖도록 한 쌍으로 마련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패널제조장치(1)의 제조과정은 전술한 제1실시예와 유사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패널제조장치(1)는 동시에 제1핸들러(51) 및 제1스테이지(21)에 의해 공정유닛(10,110)으로 패널(5)을 공급하며, 제3스테이지(131)에 의해 공정유닛(10,110)에 패널(5)을 공급하고, 제2핸들러(61) 및 제2스테이지(31)에 의해 패널(5)을 카세트(7)로 배출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패널제조장치는 패널의 공급과 배출을 동시에 진행할 수 있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패널의 공급과 배출을 동시에 진행할 수 있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패널제조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9)

  1. 패널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패널의 이송 경로에 배치되며 승강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패널을 지지하는 작업대를 갖는 공정유닛과;
    상기 공정유닛의 전방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패널을 상기 작업대로 공급하는 제1스테이지와, 상기 공정유닛의 후방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제1스테이지가 상기 패널을 상기 작업대로 공급하는 동안 상기 작업대에서 상기 패널을 배출하는 제2스테이지를 갖는 이송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제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유닛은,
    상기 스테이지가이드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제1스테이지에 패널을 안착하는 제1핸들러와, 상기 스테이지가이드의 타측에 마련되어 상기 제2스테이지에 안착된 패널을 배출하는 제2핸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제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유닛은 상기 제1핸들러 및 상기 제2핸들러를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핸들러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제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테이지는 안착된 패널을 다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이송유닛은 상기 제1스테이지에 안착된 패널의 위치정보를 검출하는 검출부와, 상기 검출부로부터 검출된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스테이지에 안착된 패널을 정렬하도록 상기 제1스테이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갖는 위치제어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제조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상기 제1스테이지에 안착된 패널을 촬영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제조장치.
  6. 제1항 또는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테이지와 상기 공정유닛의 작업대 및 상기 제2스테이지는 상기 패널의 이송 경로를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제조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정유닛은 복수개로 마련되며,
    상기 이송유닛은 상기 각 공정유닛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앞 공정유닛으로부터 패널을 전달받아 상기 후 공정유닛으로 공급하는 제3스테이지를 더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제조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테이지와 상기 제2스테이지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제1스테이지 및 제3스테이지 중 하나에 의해 이송된 패널을 전달받아 상기 각 공정유닛에 대해 승강가능하게 지지하며 상기 각 공정유닛에 의해 공정이 완료된 패널을 상기 제3스테이지 및 상기 제2스테이지 중 하나로 전달가능하게 마련된 복수의 작업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제조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테이지 및 제3스테이지는 안착된 패널을 다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이송유닛은 상기 제1스테이지 및 상기 제3스테이지에 각각 안착된 패널의 위치정보를 검출하는 검출부와, 상기 검출부로부터 검출된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스테이지 및 상기 제3스테이지에 각각 안착된 패널을 정렬하도록 상기 제1스테이지 및 제3스테이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갖는 복수의 위치제어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제조장치.
KR1020040093879A 2004-11-17 2004-11-17 패널제조장치 KR1007565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3879A KR100756585B1 (ko) 2004-11-17 2004-11-17 패널제조장치
TW094109067A TWI326777B (en) 2004-11-17 2005-03-24 Panel manufacturing apparatus
CN200510067306XA CN1775640B (zh) 2004-11-17 2005-04-18 屏板制造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3879A KR100756585B1 (ko) 2004-11-17 2004-11-17 패널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5578A KR20060055578A (ko) 2006-05-23
KR100756585B1 true KR100756585B1 (ko) 2007-09-10

Family

ID=367653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3879A KR100756585B1 (ko) 2004-11-17 2004-11-17 패널제조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756585B1 (ko)
CN (1) CN1775640B (ko)
TW (1) TWI32677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1111B1 (ko) * 2006-09-28 2008-03-07 (주)풍산시스템 디스플레이 패널용 배기홀 가공장치
KR100811115B1 (ko) * 2006-09-28 2008-03-06 (주)풍산시스템 디스플레이 패널용 배기홀 가공방법
KR101482928B1 (ko) * 2013-11-29 2015-01-16 주식회사 트레이스 동시 이송방식의 진공합착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8757A (ko) * 1997-08-28 1999-03-15 윤종용 액정패널의 칩 부착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76668B1 (en) * 1998-05-20 2001-01-23 Applied Komatsu Technology, Inc. In-situ substrate transfer shuttl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8757A (ko) * 1997-08-28 1999-03-15 윤종용 액정패널의 칩 부착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775640A (zh) 2006-05-24
TW200617478A (en) 2006-06-01
CN1775640B (zh) 2011-03-23
TWI326777B (en) 2010-07-01
KR20060055578A (ko) 2006-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3970B1 (ko) 기판 반송 장치
JP6659682B2 (ja) 印刷装置
US20110297020A1 (en) Screen printer and screen printing method
KR20100065276A (ko) 스크린 인쇄 장치
JP6401872B2 (ja) マスク搬送装置及びマスク搬送方法
KR101882645B1 (ko) 기판의 비아홀 검사장치
KR101032089B1 (ko) 기판검사장치
KR101796550B1 (ko) 인쇄회로기판의 자동검사장치
KR100756585B1 (ko) 패널제조장치
KR101544285B1 (ko) 기판 이송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기판 검사 장치
TWI669775B (zh) 基板的傳輸裝置、傳輸方法以及光刻設備
CN108116888B (zh) 具有双工艺设备的自动基板处理系统
JP4648060B2 (ja) 印刷装置および印刷方法
KR20180091510A (ko) 디스플레이 셀의 검사 장치
TW201904377A (zh) 真空吸附晶片黏貼之方法
KR101525923B1 (ko) 인쇄회로기판용 노광장치의 정렬마크 감지장치
GB2484373A (en) Screen printing device and screen printing method
KR20110040002A (ko) 기판검사 장치
KR20160052192A (ko) 기판 이송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기판 검사 장치
KR20190083952A (ko) 기판의 비아홀 검사장치
JP4567510B2 (ja) 印刷装置およびステンシルの位置決め方法
KR100521995B1 (ko) 카세트 탑재장치
JP2022140563A (ja) 印刷装置
KR20210123718A (ko) 평판 표시패널 검사장치용 워크 테이블의 대형 셀 얼라인먼트 장치
JP2016152236A (ja) 部品実装装置および部品実装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3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9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