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8111B1 - 차량용 램프 제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램프 제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8111B1
KR101648111B1 KR1020140182282A KR20140182282A KR101648111B1 KR 101648111 B1 KR101648111 B1 KR 101648111B1 KR 1020140182282 A KR1020140182282 A KR 1020140182282A KR 20140182282 A KR20140182282 A KR 20140182282A KR 101648111 B1 KR101648111 B1 KR 1016481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lamp
vehicle
vehicle lamp
emitting uni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22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73677A (ko
Inventor
배용덕
Original Assignee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822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8111B1/ko
Publication of KR201600736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36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81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81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0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 B60Q1/08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automat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1/00Arrangement of monitoring devices for devices provided for in groups B60Q1/00 - B60Q9/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62/00Illumination
    • Y10S362/802Position or condition responsive switc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램프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에 구비된 발광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의 동작을 감시하고, 차량에 의해 조사되는 광의 광량을 보장하는 차량용 램프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제어 장치는 차량용 램프의 점등 여부를 판단하는 램프 판단부와, 상기 차량용 램프의 점등 여부에 따라 상기 차량용 램프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의 동작 여부를 판단하는 센서 판단부, 및 상기 온도 센서의 동작 여부에 대한 결과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램프 제어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lamp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램프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에 구비된 발광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의 동작을 감시하고, 차량에 의해 조사되는 광의 광량을 보장하는 차량용 램프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야간 주행 시에 차량 주변에 위치한 대상물을 용이하게 확인하기 위한 조명 기능 및 다른 차량이나 도로 이용자들에게 차량의 주행 상태를 알리기 위한 신호 기능을 가지는 램프를 구비한다.
예를 들어, 헤드 램프 및 포그 램프 등은 주로 조명 기능을 목적으로 하고, 턴 시그널 램프, 테일 램프, 브레이크 램프, 사이드 마커(Side Marker) 등은 주로 신호 기능을 목적으로 하며, 경우에 따라 조명 기능과 신호 기능을 모두 하게 된다.
이 중에서 헤드 램프는 차량이 야간에 주행하거나 주변 밝기가 낮은 터널 등을 주행하는 경우 차량의 주행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광을 조사하여 야간에 운전자의 시야를 확보하는 필수적인 기능을 가지고 있다.
한편, 차량이 야간에 헤드 램프를 켜고 주행할 때 주행 방향 전방에 위치한 선행 차량이나 대향 차량의 운전자에게 눈부심을 유발하여 시야를 방해함으로써, 차량 사고 발생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적응형 드라이빙 빔(ADB; Adaptive Driving Beam) 기술이 차량에 적용되고 있다.
차량은 복수의 발광부를 구비할 수 있는데, 적응형 드라이빙 빔 모드를 적용함에 따라 각 발광부의 점등 및 소등이 제어되어 선행 차량이나 대향 차량으로 광이 조사되지 않게 된다.
한편, 복수의 발광부를 구비한 차량은 발광부의 온도에 따라 유입되는 전류가 달라져야 하는데, 온도 센서에 오류가 발생한 경우 발광부가 손상될 수 있으며, 충분한 전류가 공급되지 못함에 따라 광의 광량이 줄어들어 올바른 배광 패턴이 형성되지 못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발광부 중 일부 발광부에 오류가 발생한 경우에는 음영 지대가 발생하게 되어 올바른 배광 패턴이 형성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복수의 발광부를 구비한 차량에서 발광부의 손상을 방지하면서 올바른 배광 패턴이 형성되도록 하는 발명의 등장이 요구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20039호 (2013.01.02)
본 발명은 차량에 구비된 발광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의 동작을 감시하고, 차량에 의해 조사되는 광의 광량을 보장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제어 장치는 차량용 램프의 점등 여부를 판단하는 램프 판단부와, 상기 차량용 램프의 점등 여부에 따라 상기 차량용 램프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의 동작 여부를 판단하는 센서 판단부, 및 상기 온도 센서의 동작 여부에 대한 결과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제어 장치는 차량용 램프의 점등 명령이 입력된 이후, 상기 차량용 램프를 구성하는 복수의 발광부 각각의 점등 여부를 판단하는 램프 판단부, 및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점등되지 않은 발광부에 인접한 주변 발광부의 광량을 증가시키는 램프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제어 방법은 차량용 램프의 점등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차량용 램프의 점등 여부에 따라 상기 차량용 램프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의 동작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온도 센서의 동작 여부에 대한 결과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제어 방법은 차량용 램프의 점등 명령이 입력된 이후, 상기 차량용 램프를 구성하는 복수의 발광부 각각의 점등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점등되지 않은 발광부에 인접한 주변 발광부의 광량을 증가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 제어 장치 및 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차량에 구비된 발광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의 동작을 감시함에 따라 발광부의 손상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둘째, 차량에 의해 조사되는 광의 광량을 보장함에 따라 올바른 배광 패턴이 형성되도록 하는 장점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가 도시된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구성이 도시된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가 제어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제어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는 차량용 램프를 구성하는 복수의 발광부 중 하나가 점등되지 않은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주변 발광부의 광량이 제어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주변 발광부의 광량이 제어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제어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제어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가 도시된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구성이 도시된 개략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1)는 차량(2)의 전방 양측에 구비되어 차량이 야간에 주행하거나 터널과 같이 어두운 장소를 주행할 때 운전자가 전방 시야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차량용 램프(1)는 차량의 주행 상태나 주변 환경 등에 따라 로우 빔 패턴이나 하이 빔 패턴 등과 같은 다양한 빔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차량용 램프(1)가 헤드 램프인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테일 램프, 브레이크 램프, 포그 램프, 턴 시그널 램프, 포지션 램프일 수 있으며, 또는 차량(2)에 설치되는 다양한 램프일 수도 있다.
이러한 차량용 램프(1)는 전술한 로우 빔 패턴 및 하이 빔 패턴을 형성하는 램프와 더불어 포지션 램프나 턴 시그널 램프 등과 같은 다양한 램프가 함께 포함될 수 있고, 로우 빔 패턴 및 하이 빔 패턴을 형성하는 램프가 각각 설치될 수 있으며, 하나의 램프에서 로우 빔 패턴 및 하이 빔 패턴을 함께 형성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1)는 하이 빔 패턴을 형성하는 램프로서, 운전자의 원거리 시야가 충분히 확보될 수 있도록 하고, 차량(2)의 전방에 선행 차량이나 대향 차량과 같은 전방 차량이 존재하는 경우, 전방 차량의 위치에 따라 암영대(Shadow area)를 형성하여 눈부심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차량용 램프(1)가 하이 빔 패턴을 형성하는 램프인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빔 패턴을 형성하면서도 차량 주변에 존재하는 장애물의 위치에 따라 암영대를 형성할 필요가 있는 각종 램프에 적용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차량용 램프(1)가 헤드 램프로서 하이 빔 패턴을 형성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전술한 차량의 주행 상태나 주변 환경 등에 따른 로우 빔 패턴을 함께 형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1)는 제 1 램프(100) 및 제 2 램프(20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 1 램프(100) 및 제 2 램프(200)는 차량 전방에 형성되는 빔 패턴, 즉 하이 빔 패턴의 제 1영역 및 제 2영역을 각각 형성할 수 있고, 제 1영역 및 제 2영역은 서로가 분리되도록 형성되거나 일부가 중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 1 램프(100)는 우측 헤드 램프이고, 제 2 램프(200)는 좌측 헤드 램프이고, 차량 전방에 형성되는 빔 패턴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각각 우측 영역의 우측 빔 패턴 및 좌측 영역의 좌측 빔 패턴을 형성하며, 우측 빔 패턴 및 좌측 빔 패턴이 빔 패턴의 중심부 부근에서 서로 일부가 중첩되도록 형성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우측 빔 패턴 및 좌측 빔 패턴이 빔 패턴의 중심부 부근에서 서로 분리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제 1 램프(100)와 제 2 램프(200)는 각각 하나 이상의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발광부(110~150, 210~25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 1 램프(100)는 복수의 발광부(110~150)가 차량의 내측 방향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배열되고, 제 2 램프(200)는 복수의 발광부(210~250)가 차량의 외측 방향으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배열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제 1 램프(100)와 제 2 램프(200)에 각각 포함되는 복수의 발광부(110~150, 210~250)에는 광이 발생되는 광원뿐만 아니라 광 조사 방향, 광 조사 범위, 광량 등을 조절하기 위한 각종 구성 요소(예를 들어, 리플렉터 또는 쉴드 등)가 함께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제 1 램프(100)에 포함된 복수의 발광부(110~150)와 제 2 램프(200)에 포함된 복수의 발광부(210~250)가 차폭 방향으로 동일한 배열 순서를 가지도록 제조된 경우, 제 1 램프(100) 및 제 2 램프(200)에 각각 포함된 복수의 발광부(110~150, 210~250)는 차폭 방향으로 좌우가 바뀌어 조사될 수 있으나, 이는 제 1 램프(100)와 제 2 램프(200)에 각각 포함된 복수의 발광부(110~150, 210~250)에 배열 순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램프(100)에서 가장 좌측에 위치한 발광부(110)는 우측 빔 패턴의 가장 내측 방향에 광을 조사하게 되나, 제 2 램프(200)에서 가장 좌측에 위치한 발광부(210)는 좌측 빔 패턴의 가장 외측 방향에 광을 조사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실시예에서는 제 1 램프(100) 및 제 2 램프(200)가 각각 5개의 발광부를 포함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고 형성하고자 하는 빔 패턴에서 요구되는 광량이나 광 조사 범위 등에 따라 발광부의 개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가 제어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차량용 램프(1)의 점등 명령이 발생하는 경우 각 발광부(110~150, 210~250)로 전력이 공급되어 발광부가 점등된다.
여기서, 발광부(110~150, 210~250)가 점등된 이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발광부(110~150, 210~250)의 온도가 증가하게 되는데, 그 저항 특성으로 인하여 온도가 증가할수록 광량이 감소하게 된다.
이에, 발광부(110~150, 210~250)의 온도를 고려하여 공급되는 전력의 크기가 달라져야 하는데, 이에 차량용 램프(1)에 인접하여 온도 센서(311, 312)가 구비되고, 온도 센서(311, 312)로부터 제공된 온도를 참조하여 차량용 램프(1)로 공급하는 전력량을 조절하는 램프 제어부(470)가 구비될 수 있다.
온도 센서(311, 312)는 제 1 램프(100) 및 제 2 램프(200)에 각각 구비될 수 있으며, 램프 제어부(470)는 각 온도 센서(311, 312)의 감지 결과를 기초로 제 1 램프(100) 및 제 2 램프(200)로 공급되는 전력량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온도 센서(311, 312)는 NTC 서미스터(Negative Temperature Coefficient - thermistor)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한편, 온도 센서(311, 312)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는 경우 차량용 램프(1)의 온도가 램프 제어부(470)로 전달되지 않으며, 이에 차량용 램프(1)가 충분한 광량의 광을 조사하지 못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제어 장치(400)는 온도 센서(311, 312)의 동작 여부를 판단하여 사용자에게 통지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제어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로서, 차량용 램프 제어 장치(400)는 수신부(410), 램프 판단부(420), 센서 판단부(430), 저장부(440), 제어부(450), 램프 제어부(470) 및 출력부(4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수신부(410)는 온도 센서(311, 312)의 감지 결과를 수신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온도 센서(311, 312)는 제 1 램프(100) 및 제 2 램프(200) 각각에 구비될 수 있으며, 수신부(410)는 각 온도 센서(311, 312)로부터 동시에 또는 서로 다른 시간에 온도 감지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램프 판단부(420)는 차량용 램프(1)의 점등 여부를 판단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램프 판단부(420)는 차량용 램프(1)로 공급되는 전력의 유무를 참조하여 차량용 램프(1)의 점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용 램프(1)로 전력이 공급되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램프 판단부(420)는 차량용 램프(1)가 점등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차량용 램프(1)로 전력이 공급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램프 판단부(420)는 차량용 램프(1)가 점등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센서 판단부(430)는 차량용 램프(1)의 점등 여부에 따라 차량용 램프(1)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311, 312)의 동작 여부를 판단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차량용 램프(1)가 점등된 경우 센서 판단부(430)가 온도 센서(311, 312)의 동작 여부를 판단하는 것으로서, 센서 판단부(430)는 차량용 램프(1)의 점등이 개시된 시점과 일정 시간이 경과한 시점에서의 온도 변화량을 참조하여 온도 센서(311, 312)의 동작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용 램프(1)의 점등이 개시된 시점과 일정 시간이 경과한 시점에서의 온도 변화량이 사전에 설정된 임계치 이상인 경우 센서 판단부(430)는 온도 센서(311, 312)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차량용 램프(1)의 점등이 개시된 시점과 일정 시간이 경과한 시점에서의 온도 변화량이 사전에 설정된 임계치 미만인 경우 센서 판단부(430)는 온도 센서(311, 312)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출력부(460)는 온도 센서(311, 312)의 동작 여부에 대한 결과를 출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출력부(460)는 "온도 센서가 정상 동작하고 있음" 또는 "온도 센서가 정상 동작하고 있지 않음"과 같은 정보를 출력할 수 있는 것으로서, 이와 같은 정보는 시각적, 청각적 또는 촉각적 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출력부(460)는 영상 출력부(미도시), 음성 출력부(미도시) 및 진동 수단(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램프 제어부(470)는 차량용 램프(1)로 공급되는 전력량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램프 제어부(470)는 수신부(410)를 통하여 수신된 온도를 참조하여 차량용 램프(1)로 공급되는 전력량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킬 수 있다.
저장부(440)는 온도 센서(311, 312)의 동작 여부를 판단하는데 이용되는 임계치를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센서 판단부(430)는 차량용 램프(1)의 점등이 개시된 시점과 일정 시간이 경과한 시점에서의 온도 변화량과 저장부(440)에 저장된 임계치를 비교하여 온도 센서(311, 312)의 동작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다.
또한, 저장부(440)는 온도와 전력량의 관계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온도 또는 특정 온도 범위에서 공급되어야 하는 전력량에 대한 정보가 저장부(440)에 저장될 수 있는 것으로서, 램프 제어부(470)는 이를 참조하여 차량용 램프(1)에 공급할 전력량을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450)는 수신부(410), 램프 판단부(420), 센서 판단부(430), 저장부(440), 출력부(460) 및 램프 제어부(470)에 대한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한다.
이상은 차량용 램프 제어 장치(400)가 온도 센서(311, 312)의 동작 여부를 판단하고 출력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제어 장치(400)는 차량용 램프(1)를 구성하는 복수의 발광부(110~150, 210~250) 중 일부가 정상 동작하지 않음에 따라 올바른 배광 패턴이 형성되지 않는 경우 이를 보상하여 개선된 배광 패턴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용 램프(1)의 점등 명령이 발생된 이후에 복수의 발광부(110~150, 210~250) 중 하나 또는 일부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는 경우 올바른 배광 패턴이 형성되지 않게 되는데, 차량용 램프 제어 장치(400)는 정상 동작하지 않는 발광부의 광량을 보상하기 위하여 다른 발광부의 광량을 증가시키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램프 판단부(420)는 차량용 램프(1)의 점등 명령이 입력된 이후, 차량용 램프(1)를 구성하는 복수의 발광부(110~150, 210~250) 각각의 점등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램프 판단부(420)는 복수의 발광부(110~150, 210~250) 각각으로 공급되는 전력의 유무를 참조하여 복수의 발광부(110~150, 210~250) 각각의 점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발광부(110~150, 210~250)가 노후되어 내부적으로 단선되는 경우 회로가 구성되지 않아 전력을 공급받지 못할 수 있는데, 램프 판단부(420)는 전력의 공급 여부 즉, 전류의 흐름 여부를 참조하여 각 발광부(110~150, 210~250)의 점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발광부(110~150, 210~250)가 노후되어 내부적으로 단락될 수도 있는데, 이에 램프 판단부(420)는 발광부(110~150, 210~250)에 걸리는 저항을 참조하여 발광부(110~150, 210~250)의 점등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도 5는 차량용 램프를 구성하는 복수의 발광부 중 하나가 점등되지 않은 것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복수의 발광부(110~150, 210~250) 중 하나가 점등되지 않음에 따라 형성된 배광 패턴(500)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1 램프(100) 및 제 2 램프(200)는 각각 복수의 발광부(110~150, 210~2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도 5는 제 1 램프(100)를 구성하는 발광부(110~150) 중 제 4 발광부(140)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는 경우의 배광 패턴(500)을 도시하고 있다.
정상적으로 점등된 제 1, 2, 3, 5 발광부(110, 120, 130, 150)는 각각 올바른 배광 패턴(510, 520, 530, 550)을 형성하지만, 제 4 발광부(140)가 점등되지 않음에 따라 대응하는 부분에는 암영대(540)가 형성된다.
이에, 특정 발광부가 동작하지 않는 경우 해당 발광부의 광량을 보상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램프 제어부(470)는 램프 판단부(420)의 판단 결과에 따라, 점등되지 않은 발광부에 인접한 주변 발광부의 광량을 증가시킨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주변 발광부의 광량이 제어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 4 발광부(140)가 점등되지 않는 경우 램프 제어부(470)는 제 4 발광부(140)에 인접한 제 3 발광부(130) 및 제 5 발광부(150)의 광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점등되지 않은 제 4 발광부(140)의 주변 발광부 즉, 제 3 발광부(130) 및 제 5 발광부(150)의 광량이 증가함에 따라 대응하는 배광 패턴(531, 551)의 크기가 증가하게 되어 주변 발광부에 의하여 광량이 보상된 배광 패턴(600)이 형성된다.
여기서, 제 3 발광부(130) 및 제 5 발광부(150)는 제 4 발광부(140)에 직접적으로 인접한 발광부이기 때문에 그 광량이 조절되지만, 제 4 발광부(140)에 직접적으로 인접하지 않은 제 1 발광부(110) 및 제 2 발광부(120)의 광량은 원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램프 제어부(470)는 점등되지 않은 발광부에 인접한 복수의 주변 발광부의 인접 정도를 고려하여 복수의 주변 발광부의 광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즉, 제 4 발광부(140)가 점등되지 않은 경우 이에 직접 인접한 제 3 발광부(130) 및 제 5 발광부(150)의 광량뿐만 아니라 램프 제어부(470)는 제 4 발광부(140)에 직접 인접하지 않은 제 1 발광부(110) 및 제 2 발광부(120)의 광량까지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주변 발광부의 광량이 제어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점등되지 않은 제 4 발광부(140)와의 인접 정도가 고려되어 주변 발광부의 광량이 제어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램프 제어부(470)는 점등되지 않은 발광부에 가까울수록 큰 광량의 광을 조사하도록 복수의 주변 발광부의 광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즉, 램프 제어부(470)는 제 4 발광부(140)에 가장 가깝게 인접한 제 3 발광부(130) 및 제 5 발광부(150)의 광량을 가장 크게 증가시키고, 그 다음 가깝게 인접한 제 2 발광부(120)의 광량을 두 번째로 크게 증가시키며, 가장 멀리 있는 제 1 발광부(110)의 광량을 가장 작게 증가시키는 것이다.
이에 따라, 제 3 발광부(130) 및 제 5 발광부(150)는 동일한 크기의 가장 큰 배광 패턴(531, 551)을 형성하고, 제 2 발광부(120)는 두 번째로 큰 배광 패턴(521)을 형성하며, 제 1 발광부(110)는 가장 작은 배광 패턴(511)을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점등되지 않은 발광부와의 인접 정도를 고려하여 주변 발광부의 광량을 조절함에 따라 보다 적응적으로 암영대(540)의 광량을 보상한 배광 패턴(700)이 형성될 수 있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제어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램프 판단부(420)는 차량용 램프(1)의 점등 여부를 판단한다(S810). 램프 판단부(420)는 차량용 램프(1)로 공급되는 전력의 유무를 참조하여 차량용 램프(1)의 점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차량용 램프(1)가 점등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수신부(410)는 온도 센서(311, 312)로부터 감지된 온도값을 수신할 수 있다(S820).
그리고, 센서 판단부(430)는 온도 센서(311, 312)의 동작 여부를 판단한다. 온도 센서(311, 312)의 동작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센서 판단부(430)는 차량용 램프(1)의 점등이 개시된 시점과 일정 시간이 경과한 시점에서의 온도 변화량을 사전에 설정된 임계치와 비교함으로써 온도 센서(311, 312)의 동작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830).
그리하여, 온도 변화량이 임계치 미만인 경우 출력부(460)는 온도 센서(311, 312)의 상태가 정상이 아님을 출력할 수 있다(S840).
출력부(460)를 통하여 출력된 결과를 참조하여 사용자는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제어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램프 판단부(420)는 차량용 램프(1)의 점등 여부를 판단한다(S910). 램프 판단부(420)는 차량용 램프(1)로 공급되는 전력의 유무를 참조하여 차량용 램프(1)의 점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차량용 램프(1)가 점등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램프 판단부(420)는 차량용 램프(1)의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S920). 즉, 램프 판단부(420)는 차량용 램프(1)를 구성하는 각 발광부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모니터링하는 것이다.
차량용 램프(1)에 오류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S930), 램프 판단부(420)는 어떠한 발광부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는지 확인한다(S940). 램프 판단부(420)는 각 발광부(110~150, 210~250)로의 전류의 흐름 여부 또는 각 발광부(110~150, 210~250)에 걸리는 저항을 참조하여 어떠한 발광부에 오류가 발생하였는지 확인할 수 있다.
오류가 발생된 발광부에 대한 정보가 램프 제어부(470)로 전달되고, 램프 제어부(470)는 오류가 발생된 발광부에 인접한 주변 발광부의 광량을 증가시킨다(S950).
주변 발광부의 광량을 증가시킴에 있어서, 램프 제어부(470)는 오류가 발생된 발광부에 직접 인접한 주변 발광부의 광량만을 증가시키거나, 오류가 발생된 발광부와의 인접 정도를 고려하여 차량용 램프(1)를 구성하는 모든 주변 발광부의 광량을 증가시킬 수도 있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410: 수신부 420: 램프 판단부
430: 센서 판단부 440: 저장부
450: 제어부 460: 출력부
470: 램프 제어부

Claims (16)

  1. 차량용 램프의 점등 여부를 판단하는 램프 판단부;
    상기 차량용 램프의 점등 여부에 따라 상기 차량용 램프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
    상기 온도 센서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센서 판단부; 및
    상기 온도 센서의 정상 동작 여부에 대한 결과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제어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 판단부는 상기 차량용 램프로 공급되는 전력의 유무를 참조하여 상기 차량용 램프의 점등 여부를 판단하는 차량용 램프 제어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판단부는 상기 차량용 램프의 점등이 개시된 시점과 일정 시간이 경과한 시점에서의 온도 변화량을 참조하여 상기 온도 센서의 동작 여부를 판단하는 차량용 램프 제어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센서는 NTC 서미스터(Negative Temperature Coefficient - thermistor)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제어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 판단부는 차량용 램프의 점등 명령이 입력된 이후, 상기 차량용 램프를 구성하는 복수의 발광부 각각의 점등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차량용 램프 제어 장치는 상기 차량용 램프를 구성하는 복수의 발광부 각각의 점등 여부를 판단한 결과에 따라, 정상 동작하지 않는 발광부가 존재하는 경우 정상 동작하는 발광부 중 적어도 하나의 광량을 증가시키는 램프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제어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 판단부는 상기 복수의 발광부 각각으로 공급되는 전력의 유무를 참조하여 상기 복수의 발광부 각각의 점등 여부를 판단하는 차량용 램프 제어 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 제어부는 상기 정상 동작하는 발광부별 상기 정상 동작하지 않는 발광부와의 인접 정도를 고려하여 상기 정상 동작하는 발광부 중 적어도 하나의 광량을 증가시키는 차량용 램프 제어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 제어부는 상기 정상 동작하지 않는 발광부에 가까울수록 큰 광량의 광을 조사하도록 상기 정상 동작하는 발광부 중 적어도 하나의 광량을 증가시키는 차량용 램프 제어 장치.
  9. 차량용 램프의 점등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차량용 램프의 점등 여부에 따라 상기 차량용 램프의 온도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차량용 램프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온도 센서의 정상 동작 여부에 대한 결과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제어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램프의 점등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용 램프로 공급되는 전력의 유무를 참조하여 상기 차량용 램프의 점등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제어 방법.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센서의 동작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용 램프의 점등이 개시된 시점과 일정 시간이 경과한 시점에서의 온도 변화량을 참조하여 상기 온도 센서의 동작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제어 방법.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센서는 NTC 서미스터(Negative Temperature Coefficient - thermistor)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제어 방법.
  13. 제 9항에 있어서,
    차량용 램프의 점등 명령이 입력된 이후, 상기 차량용 램프를 구성하는 복수의 발광부 각각의 점등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용 램프를 구성하는 복수의 발광부 각각의 점등 여부를 판단한 결과에 따라, 정상 동작하지 않는 발광부가 존재하는 경우 정상 동작하는 발광부 중 적어도 하나의 광량을 증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제어 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램프를 구성하는 복수의 발광부 각각의 점등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발광부 각각으로 공급되는 전력의 유무를 참조하여 상기 복수의 발광부 각각의 점등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제어 방법.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정상 동작하는 발광부 중 적어도 하나의 광량을 증가시키는 단계는 상기 정상 동작하는 발광부별 상기 정상 동작하지 않는 발광부와의 인접 정도를 고려하여 상기 정상 동작하는 발광부 중 적어도 하나의 광량을 증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제어 방법.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정상 동작하는 발광부 중 적어도 하나의 광량을 증가시키는 단계는 상기 정상 동작하지 않는 발광부에 가까울수록 큰 광량의 광을 조사하도록 상기 정상 동작하는 발광부 중 적어도 하나의 광량을 증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제어 방법.
KR1020140182282A 2014-12-17 2014-12-17 차량용 램프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6481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2282A KR101648111B1 (ko) 2014-12-17 2014-12-17 차량용 램프 제어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2282A KR101648111B1 (ko) 2014-12-17 2014-12-17 차량용 램프 제어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3677A KR20160073677A (ko) 2016-06-27
KR101648111B1 true KR101648111B1 (ko) 2016-08-16

Family

ID=563443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2282A KR101648111B1 (ko) 2014-12-17 2014-12-17 차량용 램프 제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811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44337B1 (en) 2017-06-02 2018-12-0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light assembly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4546B1 (ko) * 2017-07-28 2022-04-11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83905A (ko) * 1997-05-20 1998-12-05 홍종만 열감지식 자동차 전조등 고장유무 검출장치 및 그 방법
KR20060003393A (ko) * 2004-07-06 2006-01-11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차량의 램프제어기용 램프 단선 감지장치
KR20110005371A (ko) * 2009-07-10 2011-01-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엘이디 헤드램프
KR101220039B1 (ko) 2010-09-15 2013-01-08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전조등 제어 시스템
KR101279221B1 (ko) * 2011-06-17 2013-06-26 박상욱 헤드라이트 렌즈 분리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44337B1 (en) 2017-06-02 2018-12-0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light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3677A (ko) 2016-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40186B2 (en) Vehicle lamp
US10293740B2 (en) Method for the operation of a headlight and motor vehicle headlight
KR101648111B1 (ko) 차량용 램프 제어 장치 및 방법
JP5809701B2 (ja) 照明システム
JP5436181B2 (ja) 車両用前照灯制御装置
KR101730894B1 (ko) 차량용 램프 및 그 제어 방법
KR20160097583A (ko) 차량용 램프 및 그 제어 방법
KR101371539B1 (ko) 차량용 램프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2289747B1 (ko) 차량용 램프 제어 장치 및 방법
JP7052165B2 (ja) 前照灯制御装置
KR102127170B1 (ko) 헤드 램프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1784616B1 (ko) 차량의 램프 자동 제어장치 및 그 방법
JP2008281428A (ja) 炭酸ガス検出装置
KR101747881B1 (ko) 차량용 램프 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07145233A (ja) 光照射システム
KR102175909B1 (ko) 차량 전조등 자동제어장치 및 자동제어방법
KR101982503B1 (ko) 차량용 램프
JP2009056905A (ja) 車両用オートライト装置
KR200282037Y1 (ko) 자동차의 상향등 제어장치
JP2008174172A (ja) オートライト装置
KR100729337B1 (ko) 미등 및 정지등을 겸하는 정지 스위치 센서
KR20050071092A (ko) 주위 환경에 대응하는 자동차용 램프 시스템
JP2005199860A (ja) 車両用照明灯制御装置
KR100503245B1 (ko) 음성서비스 가능한 배광 가변 전조등 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H11105623A (ja) 自動車用ストップランプ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