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7643B1 - 공기 청정기 - Google Patents

공기 청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7643B1
KR101647643B1 KR1020150148072A KR20150148072A KR101647643B1 KR 101647643 B1 KR101647643 B1 KR 101647643B1 KR 1020150148072 A KR1020150148072 A KR 1020150148072A KR 20150148072 A KR20150148072 A KR 20150148072A KR 101647643 B1 KR101647643 B1 KR 1016476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air
deodorization
chlorine dioxide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80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26328A (ko
Inventor
윤종현
윤성진
최윤혁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480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7643B1/ko
Publication of KR201501263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63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76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76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10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 plates, sheets or pads having plane surfaces
    • B01D46/1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 plates, sheets or pads having plane surfaces in multiple arrangements
    • B01D46/00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01D46/0036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by adsorption or absorp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01D46/0038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with means for influencing the odor, e.g. deodorizing substanc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냄새 유발물질을 안정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공기 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는 공기를 내부로 유입시켜 토출하는 몸체부; 유입된 공기의 이동경로 상에 배치되도록 상기 몸체부에 설치되어 유입된 공기를 정화하고, 서로 중첩 배치되는 프리필터, 전처리필터, 헤파필터 및 탈취부재를 포함하는 필터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탈취부재는 공기에 함유된 냄새 유발물질을 제거하는 안정화 이산화염소를 함유하는 화학분해 탈취필터를 포함하며, 상기 화학분해 탈취필터는 이면층과 표면층을 구비하는 다층 구조로 구성되고, 상기 안정화 이산화염소는 겔화되어 상기 화학분해 탈취필터의 이면층과 표면층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Description

공기 청정기{AIR CLEANER}
본 발명은 공기 청정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입된 공기로부터 냄새 유발물질을 제거하는 탈취필터를 구비하는 공기 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 또는 학교, 학원 등 실내에서는 청정한 환경을 유지하기 위하여 공기 청정기가 사용된다.
종래에는 공기를 정화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폴리프로필렌 수지 섬유 또는 폴리에틸린 수지 섬유를 이용하는 부직포 형태의 필터를 사용하거나, 전기집진방식의 정전필터 등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형식의 필터로는 먼지를 거르는 것은 가능하지만 그 구조상 악취를 제거하거나 세균을 살균하는 것은 곤란하다.
한편, 공기청정기 작동 중 실내 공간에, 예컨대 애완견 냄새, 방귀 냄새, 담배 냄새 등의 냄새를 유발하는 입자(이하 '냄새입자'라고 함)가 단시간 내 다량으로 유입하게 되는 경우, 먼지 등의 다른 오염원들처럼 냄새 입자도 공기청정기의 필터부를 거치면서 필터링됨으로써 소정 시간이 지난 후에는 완전히 제거될 수 있다. 하지만, 이들 냄새 입자들을 제거하는 시간 동안 실내의 있는 사람은 냄새 입자로부터 유발되는 냄새 때문에 불쾌감을 느끼게 된다.
이에 따라, 탈취를 위하여 활성탄으로 만들어진 별도의 탈취필터를 사용한다. 하지만, 활성탄을 이용한 탈취필터는 탈취성능 및 내구성에 제약이 있어, 활성탄을 이용한 탈취필터를 구비하는 공기청정기는 넓은 공간을 가진 장소, 예를 들어 레스토랑이나 PC방 등에서는 사용하면 탈취성능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다시 말해, 넓은 공간을 가진 장소에서 활성탄을 이용한 탈취필터가 구비된 공기청정기를 사용하는 경우 탈취필터를 통해 공기 중에 포함된 냄새 유발물질을 제거하는데 한계가 있어 공기 중으로부터 악취 등을 제거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냄새 유발물질을 안정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공기 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 중 적어도 일부를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공기를 내부로 유입시켜 토출하는 몸체부; 유입된 공기의 이동경로 상에 배치되도록 상기 몸체부에 설치되어 유입된 공기를 정화하고, 서로 중첩 배치되는 프리필터, 전처리필터, 헤파필터 및 탈취부재를 포함하는 필터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탈취부재는 공기에 함유된 냄새 유발물질을 제거하는 안정화 이산화염소를 함유하는 화학분해 탈취필터를 포함하며, 상기 화학분해 탈취필터는 이면층과 표면층을 구비하는 다층 구조로 구성되고, 상기 안정화 이산화염소는 겔화되어 상기 화학분해 탈취필터의 이면층과 표면층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기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탈취부재는 입상 활성탄 필터로 구성된 흡착 탈취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화학분해 탈취필터는 상기 헤파필터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흡착 탈취필터는 상기 헤파필터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다른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공기를 내부로 유입시켜 토출하는 몸체부; 유입된 공기의 이동경로 상에 배치되도록 상기 몸체부에 설치되어 유입된 공기를 정화하고, 서로 중첩 배치되는 프리필터, 전처리필터, 헤파필터 및 탈취부재를 포함하는 필터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탈취부재는 공기에 함유된 냄새 유발물질을 제거하는 겔화된 안정화 이산화염소를 함유하는 화학분해 탈취필터를 포함하며, 상기 화학분해 탈취필터는 중공의 액자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에 형성된 토출구에 장착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며 상기 겔화된 안정화 이산화염소를 함유하는 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겔화된 안정화 이산화염소를 함유하는 필터는 이면층과 표면층을 구비하는 다층 구조로 구성되고, 상기 안정화 이산화염소는 겔화되어 상기 겔화된 안정화 이산화염소를 함유하는 필터의 이면층과 표면층 사이에 배치되는 공기 청정기를 제공한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상기 탈취부재는 입상 활성탄 필터로 구성된 흡착 탈취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일 실시예에서, 상기 흡착 탈취필터는 상기 헤파필터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안정화 이산화염소를 함유한 탈취부재를 통하여 공기 중에 함유된 냄새 유발물질을 화학적으로 분해함으로써 넓은 공간에서도 공기 중에 함유된 냄새를 제거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공기 청정기(100)는 몸체부(120), 필터유닛(140)을 포함한다.
몸체부(120)는 공기 청정기(100)의 외관을 형성하며, 실내 공기를 흡입하는 유입구(124)가 형성된 전면 케이스(122)를 구비한다. 또한, 몸체부(120)의 상부에는 정화된 공기가 토출되도록 하는 토출구(126)가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는 유입구(124)와 토출구(126)가 각각 몸체부(120)의 전면과 상부에 형성된 경우를 도시하였으나, 유입구(124)와 토출구(126)는 전면, 측면, 또는 후면 등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몸체부(120)는 분리막(128)을 기준으로 다수의 필터들의 조립공간이 되는 필터 수용부(130)와, 실내 공기를 흡입하고 정화된 공기를 다시 실내로 토출하도록 장착되는 송풍팬(132)이 설치되는 팬 수용부(134)로 나누어질 수 있다.
필터유닛(140)은 다수개의 필터로 이루어지며, 흡입된 실내 공기는 필터유닛(140)을 통과하면서 정화된다. 즉, 필터유닛(140)은 유입된 공기의 이동경로 상에 배치되도록 몸체부(120)에 설치되어 유입된 공기를 정화하며, 안정화 이산화염소에 의해 공기 중에 함유된 악취를 제거한다.
한편, 필터유닛(140)은 일예로서 프리필터(141), 전처리필터(142), 기능필터(143), 헤파필터(144), 및 탈취부재(160)를 구비할 수 있다.
프리필터(141)는 항균소재를 사용하여 구성할 수 있으며, 비교적 큰 먼지 및 곰팡이, 머리카락, 애완동물의 털을 제거할 수 있다. 그리고, 전처리필터(142)도 항균소재를 사용하여 구성할 수 있으며, 중간 크기의 먼저 및 애완동물의 털 등을 제거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기능 필터(143)는 황사, 유아, 새집, 헌집 전용 필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구비할 수 있다.
기능 필터(143)가 황사 전용 필터인 경우, 기능 필터(143)는 황사 발생시 발생되는 분진 및 질소산화물, 황산화물을 제거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그리고, 기능 필터(143)가 유아 전용 필터인 경우 기능 필터(143)는 독감바이러스, 조류독감 바이러스 등을 제거할 수 있는 은행나무 추출액, 붉나무 추출액 등 인체에 무해한 천연물질이 함유된 항균처리 필터일 수 있다.
또한, 기능 필터(143)가 새집 전용 필터인 경우, 기능 필터(143)는 새집증후군의 원인 물질로 알려진 포름알데히드 및 휘발성 유기화합물(VOCs)을 제거하는 필터일 수 있다.
그리고, 기능 필터(143)가 헌집 전용 필터인 경우, 기능 필터(143)는 헌집증후군의 원인이 되는 곰팡이균, 일반 세균 등을 제거할 뿐만 아니라 호홉기를 통해 폐에 침투하여 심각한 질병을 일으키는 레지오넬라균을 제거할 수 있는 필터일 수 있다.
헤파필터(144)는 전면이 부직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미세 분진의 제거에 탁월한 성능을 발휘하는 것으로, 나노 실버와 카테킨 항균/항곰팡이 처리를 할 수 있으며, 담배연기는 물론 바이러스, 세균 등을 제거할 수 있다.
탈취부재(160)는 하나 또는 다수개가 위치를 달리하여 배치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는 제1 탈취필터('흡착 탈취필터')(162), 제2 탈취필터('화학분해 탈취필터')(164)가 구비된 경우를 설명하도록 한다.
제1 탈취필터(162)는 기능필터(143)와 헤파필터(144)의 사이에 배치되어 유입된 공기로부터 유해가스를 제거하고, 음식냄새, 곰팡이 냄새 등을 제거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제1 탈취필터('흡착 탈취필터')(162)는 물로 세척하여 건조 후 재사용가능한 수세필터로서, 냄새 및 유해가스 제거에 효과적인 입상 활성탄 탈취필터를 적용할 수 있으며, 집안의 음식 냄새와 쾌쾌한 잡내 등을 제거할 수 있다.
한편, 제2 탈취필터(164)는 헤파필터(144)의 후방에 배치되어 정화된 공기로부터 제거되지 않은 악취 등을 유발하는 냄새 유발물질을 화학적으로 분해하여 제거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 탈취필터('화학분해 탈취필터')(164)는 안정화 이산화염소를 함유할 수 있다. 안정화 이산화염소는 통상은 액체상태이지만, 겔 상태의 것, 흡착 물질에 흡착시킨 고체상태의 것 등, 각종 형태로 가공한 것도 이용 가능하다.
한편, 안정화 이산화염소가 활성탄, 점토 등의 다공질 재료 등의 흡착 물질에 흡착한 형태의 경우, 흡착 물질을 제2 탈취필터(164)에 도포 접착시킬 수 있다. 이 경우, 필요에 따라 표면을 보호하는 보호층을 설치해도 좋다.
안정화 이산화염소가 액체상태의 경우에는 제2 탈취필터(164)는 액체를 함침시킬 필요가 있기 때문에, 부직포, 직물, 종이 등의 섬유성질을 것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안정화 이산화염소의 함침층의 표면에 통풍성을 가지는 발수성의 보호층을 설치하고 표면을 건조 상태로 유지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안정화 이산화염소가 겔 상태의 경우에는 겔 상태의 안정화 이산화염소를 지지하도록 예를 들면 제2 탈취필터(164)를 다층 구조로 하고, 안정화 이산화염소의 겔 층을 이면층과 표면층 사이에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탈취필터(164)에 함유된 안정화 이산화염소는 서서히 이산화염소 가스(gas)를 발생하고, 이산화염소 가스에 의해 악취 등의 원인이 되는 냄새 유발물질을 화학적으로 분해하며, 동시에 악취 등의 원인이 되는 냄새 유발물질에 포함된 세균을 사멸시킨다.
즉, 제2 탈취필터('화학분해 탈취필터')(164)는 활성탄보다 탈취 성능이 우수한 안정화 이산화염소를 통해 공기 중에 포함된 악취 등의 원인이 되는 냄새 유발물질을 제거할 수 있으므로, 제1 탈취필터('흡착 탈취필터')(162)에 의해 제거되지 못하는 악취 등을 제거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보다 넓은 장소에서도 효과적으로 악취 등을 제거할 수 있다.
한편, 도 1에는 탈취부재(160)가 제1 탈취필터(162)와 제2 탈취필터(164)를 구비하는 경우를 도시하였으나, 탈취부재(160)는 제2 탈취필터(164)만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는 프리필터(141), 전처리필터(142), 기능필터(143), 제1 탈취필터(162), 헤파필터(144), 그리고 제2 탈취필터(164)의 순서로 배치되는 경우를 도시하였으나, 상기한 필터들의 종류, 갯수, 배치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공기 청정기(200)는 몸체부(220), 및 필터유닛(240)을 포함한다.
몸체부(220)는 공기 청정기(200)의 외관을 형성하며, 실내 공기를 흡입하는 유입구(224)가 형성된 전면 케이스(222)를 구비한다. 또한, 몸체부(220)의 상부에는 정화된 공기가 토출되도록 하는 토출구(226)가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는 유입구(224)와 토출구(226)가 각각 몸체부(220)의 전면과 상부에 형성된 경우를 도시하였으나, 유입구(224)와 토출구(226)는 전면, 측면, 또는 후면 등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몸체부(220)는 분리막(228)을 기준으로 다수의 필터들의 조립공간이 되는 필터 수용부(230)와, 실내 공기를 흡입하고 정화된 공기를 다시 실내로 토출하도록 장착되는 송풍팬(232)이 설치되는 팬 수용부(234)로 나누어질 수 있다.
필터유닛(240)은 일예로서 프리필터(241), 전처리필터(242), 기능필터(243), 헤파필터(244), 및 탈취부재(260)를 구비할 수 있다.
프리필터(241), 전처리필터(242), 기능필터(243), 헤파필터(244)는 상기한 실시예에서 기재된 내용과 중복되는 설명에 해당함으로 그에 갈음하고,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실시예에서 기재된 내용과 중복되지 않는 탈취부재(260)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탈취부재(260)는 제1 탈취필터('흡착 탈취필터)(262), 제2 탈취필터('화학분해 탈취필터')(264)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탈취필터('흡착 탈취필터')(262)는 기능필터(243)와 헤파필터(244)의 사이에 배치되어 유입된 공기로부터 유해가스를 제거하고, 음식냄새, 곰팡이 냄새 등을 제거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제1 탈취필터(262)는 물로 세척하여 건조 후 재사용가능한 수세필터로서, 냄새 및 유해가스 제거에 효과적인 입상 활성탄 탈취필터를 적용할 수 있으며, 집안의 음식 냄새와 쾌쾌한 잡내 등을 제거할 수 있다.
제2 탈취필터('화학분해 탈취필터')(264)는 몸체부(220)에 형성된 토출구(226)를 통해 정화된 공기가 몸체부(220) 외부로 배출되기 전에 제1 탈취필터(262)에 의해 제거되지 않은 냄새 유발물질을 제거하도록 몸체부(220)에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제2 탈취필터(264)를 용이하게 분리, 고정시킬 수 있도록 제2 탈취필터(264)는 용이하게 분리, 고정되는 고정구조에 의해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고정구조는 당업자가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구성에 해당하는 것으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다.
제2 탈취필터(264)는 프레임(264a), 및 필터(264b)를 구비할 수 있다. 즉, 제2 탈취필터(264)는 당업자에게 널리 알려진 카트리지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프레임(264a)은 중공의 액자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몸체부(220)에 형성된 토출구(226) 측에 배치되도록 몸체부(220)에 장착된다.
필터(264b)는 프레임(264a)에 장착되며, 안정화 이산화염소를 함유할 수 있다. 안정화 이산화염소는 통상은 액체상태이지만, 겔 상태의 것, 흡착 물질에 흡착시킨 고체상태의 것 등, 각종 형태로 가공한 것도 이용 가능하다.
한편, 안정화 이산화염소가 활성탄, 점토 등의 다공질 재료 등의 흡착 물질에 흡착한 형태의 경우, 흡착 물질을 필터(264b)에 도포 접착시킬 수 있다. 이 경우, 필요에 따라 표면을 보호하는 보호층을 설치해도 좋다.
안정화 이산화염소가 액체상태의 경우에는 필터(264b)는 액체를 함침시킬 필요가 있기 때문에, 부직포, 직물, 종이 등의 섬유성질을 것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안정화 이산화염소의 함침층의 표면에 통풍성을 가지는 발수성의 보호층을 설치하고 표면을 건조 상태로 유지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안정화 이산화염소가 겔 상태의 경우에는 겔 상태의 안정화 이산화염소를 지지하도록 예를 들면 필터(264b)를 다층 구조로 하고, 안정화 이산화염소의 겔 층을 이면층과 표면층 사이에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필터(264b)에 함유된 안정화 이산화염소는 서서히 이산화염소 가스(gas)를 발생하고, 이산화염소 가스에 의해 악취 등의 원인이 되는 냄새 유발물질을 화학적으로 분해하며, 동시에 악취 등의 원인이 되는 냄새 유발물질에 포함된 세균을 사멸시킨다.
즉, 제2 탈취필터('화학분해 탈취필터')(264)는 활성탄보다 탈취 성능이 우수한 안정화 이산화염소를 통해 공기 중에 포함된 악취 등의 원인이 되는 냄새 유발물질을 제거할 수 있으므로, 제1 탈취필터('흡착 탈취필터')(262)에 의해 제거되지 못하는 악취 등을 제거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보다 넓은 장소에서도 효과적으로 악취 등을 제거할 수 있다. 그리고, 용이하게 제2 탈취필터(264)를 착탈시킬 수 있는 고정구조를 통해 제2 탈취필터(264)가 몸체(220)에 착탈될 수 있어, 사용자는 보다 용이하게 제2 탈취필터(264)를 교체 및 관리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탈취부재(260)가 제1 탈취필터(262)와 제2 탈취필터(264)를 구비하는 경우를 도시하였으나, 탈취부재(260)는 제2 탈취필터(264)만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프리필터(241), 전처리필터(242), 기능필터(243), 제1 탈취필터(262), 헤파필터(244)의 순서로 배치되는 경우를 도시하였으나, 상기한 필터들의 종류, 개수, 배치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100, 200: 공기 청정기
120, 220: 몸체부
140, 240: 필터 유닛
160, 260: 탈취부재
162, 262: 제1 탈취필터('흡착 탈취필터')
164, 264: 제2 탈취필터('화학분해 탈취필터')

Claims (7)

  1. 공기를 내부로 유입시켜 토출하는 몸체부;
    유입된 공기의 이동경로 상에 배치되도록 상기 몸체부에 설치되어 유입된 공기를 정화하고, 서로 중첩 배치되는 프리필터, 전처리필터, 헤파필터 및 탈취부재를 포함하는 필터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탈취부재는 공기에 함유된 냄새 유발물질을 제거하는 안정화 이산화염소를 함유하는 화학분해 탈취필터를 포함하며,
    상기 화학분해 탈취필터는 이면층과 표면층을 구비하는 다층 구조로 구성되고,
    상기 안정화 이산화염소는 겔화되어 상기 화학분해 탈취필터의 이면층과 표면층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취부재는 입상 활성탄 필터로 구성된 흡착 탈취필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분해 탈취필터는 상기 헤파필터의 후방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기.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 탈취필터는 상기 헤파필터의 전방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기.
  5. 공기를 내부로 유입시켜 토출하는 몸체부;
    유입된 공기의 이동경로 상에 배치되도록 상기 몸체부에 설치되어 유입된 공기를 정화하고, 서로 중첩 배치되는 프리필터, 전처리필터, 헤파필터 및 탈취부재를 포함하는 필터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탈취부재는 공기에 함유된 냄새 유발물질을 제거하는 겔화된 안정화 이산화염소를 함유하는 화학분해 탈취필터를 포함하며,
    상기 화학분해 탈취필터는 중공의 액자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에 형성된 토출구에 장착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며 상기 겔화된 안정화 이산화염소를 함유하는 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겔화된 안정화 이산화염소를 함유하는 필터는 이면층과 표면층을 구비하는 다층 구조로 구성되고,
    상기 안정화 이산화염소는 겔화되어 상기 겔화된 안정화 이산화염소를 함유하는 필터의 이면층과 표면층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탈취부재는 입상 활성탄 필터로 구성된 흡착 탈취필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 탈취필터는 상기 헤파필터의 전방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기.
KR1020150148072A 2015-10-23 2015-10-23 공기 청정기 KR1016476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8072A KR101647643B1 (ko) 2015-10-23 2015-10-23 공기 청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8072A KR101647643B1 (ko) 2015-10-23 2015-10-23 공기 청정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4168A Division KR20100025433A (ko) 2008-08-27 2008-08-27 공기 청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6328A KR20150126328A (ko) 2015-11-11
KR101647643B1 true KR101647643B1 (ko) 2016-08-11

Family

ID=546057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8072A KR101647643B1 (ko) 2015-10-23 2015-10-23 공기 청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764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6812A (ko) 2017-09-28 2019-04-05 주식회사 엘지화학 일체형 세라믹 필터 및 그 제조 방법
KR102235864B1 (ko) * 2020-11-30 2021-04-05 임갑순 유해가스 제거용 필터를 구비하는 공기청정기 및 그 제조방법
US20220221172A1 (en) * 2021-01-12 2022-07-14 Microjet Technology Co., Ltd. Gas exchange device
KR20220099819A (ko) 2021-01-07 2022-07-14 코웨이 주식회사 공기청정기
KR20230018197A (ko) 2021-07-29 2023-02-07 (주)피노스토리 다층 구조 세라믹 필터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72029B2 (en) 2019-12-20 2023-10-03 Microjet Technology Co., Ltd. Gas detection and purification device
CN113002275B (zh) * 2019-12-20 2023-09-22 研能科技股份有限公司 气体检测及净化装置
KR20220142229A (ko) 2021-04-14 2022-10-21 코웨이 주식회사 공기청정기
KR20240047030A (ko) 2022-10-04 2024-04-12 코웨이 주식회사 공기 청정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41060B2 (ja) 2015-12-14 2022-03-23 クアルコム,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混合干渉を推定するための基準信号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1060B2 (ja) * 1990-02-05 1995-05-10 佐内 藤田 環境浄化器
JPH11285525A (ja) * 1998-02-05 1999-10-19 San Seal:Kk 殺菌脱臭ガス供給装置
KR100518664B1 (ko) * 2003-09-25 2005-10-05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초고효율 공기청정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41060B2 (ja) 2015-12-14 2022-03-23 クアルコム,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混合干渉を推定するための基準信号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6812A (ko) 2017-09-28 2019-04-05 주식회사 엘지화학 일체형 세라믹 필터 및 그 제조 방법
KR102235864B1 (ko) * 2020-11-30 2021-04-05 임갑순 유해가스 제거용 필터를 구비하는 공기청정기 및 그 제조방법
KR20220099819A (ko) 2021-01-07 2022-07-14 코웨이 주식회사 공기청정기
US20220221172A1 (en) * 2021-01-12 2022-07-14 Microjet Technology Co., Ltd. Gas exchange device
US11879665B2 (en) * 2021-01-12 2024-01-23 Microjet Technology Co., Ltd. Gas exchange device
KR20230018197A (ko) 2021-07-29 2023-02-07 (주)피노스토리 다층 구조 세라믹 필터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6328A (ko) 2015-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7643B1 (ko) 공기 청정기
KR101962356B1 (ko) 살균, 탈취 및 유해물질 제거가 우수한 복합형 필터부를 갖는 공기정화기
KR102379346B1 (ko) 공기청정기
KR102068434B1 (ko) 건식 및 습식 방식에 의해 유해물질 제거가 용이한 다단식 순차형 필터부를 갖는 산업용 공기정화기
KR20120119475A (ko) 복합 공기청정장치
KR100867110B1 (ko) 방향기능을 갖는 공기청정기
KR20150123037A (ko) 공기청정기능이 구비된 해충 트랩 장치
KR20080085964A (ko) 엘리베이터용 공기청정기
KR101459499B1 (ko) 가습형 공기 청정기
CN205332387U (zh) 一种具有湿润空气功能的空气净化器
KR100575309B1 (ko) 공기청정기의 필터장치
KR102463115B1 (ko) 살균모듈을 이용한 공기청정기
JP2007007151A (ja) 空気清浄機
KR101568988B1 (ko) 공기 청정기
KR20090121567A (ko) 자연가습형 공기 청정기용 수조 및 이를 구비하는자연가습형 공기 청정기
KR20150092455A (ko) 친환경적인 목재형 공기청정기
KR20190044296A (ko) 항균 필터를 구비한 공기청정기
KR102213439B1 (ko) 탈취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KR20100025433A (ko) 공기 청정기
KR200340802Y1 (ko) Uv 살균 공기청정기
RU81684U1 (ru) Воздухоочиститель автомобильный "аверс-хэлфи-эйр"
JP7311521B2 (ja) 空気清浄媒体
KR101471863B1 (ko) 가습장치용 물통 및 이를 구비하는 자연가습형 공기청정기
KR102532294B1 (ko) 차량용 공기청정기
JP3061176U (ja) 空気清浄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