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9819A - 공기청정기 - Google Patents

공기청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99819A
KR20220099819A KR1020210002150A KR20210002150A KR20220099819A KR 20220099819 A KR20220099819 A KR 20220099819A KR 1020210002150 A KR1020210002150 A KR 1020210002150A KR 20210002150 A KR20210002150 A KR 20210002150A KR 20220099819 A KR20220099819 A KR 202200998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frame
air
cover
out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21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경미연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021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99819A/ko
Publication of KR202200998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98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08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dry filte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01D46/0005Mounting of filtering elements within casings, housings or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66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공기를 여과하기 위한 공기청정기에 있어서, 상기 외부공기를 상기 공기청정기의 내부로 유동시키기 위한 송풍력을 제공하는 송풍기; 상기 송풍기를 내부에 수용하는 프레임; 및 상기 공기청정기 내로 유입된 상기 외부공기를 여과하는 여과력을 가지며, 세척을 통해 상기 여과력이 회복되도록 구성되는 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는, 상기 외부공기를 여과하기 위한 여과부; 상기 여과부를 지지하는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에 배치되어 상기 프레임에 결착될 수 있는 결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는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수용된 수용상태; 및 상기 결착부가 상기 프레임의 외부에 결착되어 상기 프레임의 외부에 놓이는 외부결착상태 중 어느 하나에 놓이도록 구성되는, 공기청정기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공기청정기{AIR CLEANER}
본 발명은 공기청정기에 대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청정기는 오염된 실내 공기를 흡입하여 공기에 함유된 먼지, 냄새입자 등을 필터로 걸러내어 깨끗한 공기로 정화시키는 장치이다. 이러한 공기청정기는 주위의 오염된 공기를 흡입하여 정화시킨 후, 정화된 깨끗한 공기를 공기청정기의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실내 공기를 정화시킬 수 있다.
한편, 일반적으로, 공기청정기는 내부로 유입된 공기에 함유된 먼지, 냄새입자 등을 여과할 수 있는 필터를 포함한다. 이러한 필터는 소정 시간 사용되면 여과력이 저하되며, 여과력이 저하된 필터는 새것으로 교체될 필요가 있다. 그러나. 필터를 소정 주기마다 새것으로 교체하게 되면 필터 교체 비용이 많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물 등을 이용한 세척에 의해 여과력이 상당 수준으로 회복되는 일부 필터는 새것으로 교체되는 대신 세척을 통하여 재사용되고 있다.
본 출원인의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47643호 “공기청정기”(특허문헌 1)는 물세척을 통하여 재사용될 수 있는 탈취필터를 개시한다. 이러한 특허문헌 1의 탈취필터는 공기청정기로부터 탈거될 수 있으며, 탈거된 탈취필터는 물세척되어 재사용된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의 탈취필터는 세척된 후에 잔류하는 물이 건조될 때까지 별도의 건조 공간에 보관되어야 하며, 사용자는 탈취필터를 건조하기 위한 별도의 건조 공간을 마련하고 탈취필터를 이송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한다. 또한, 사용자가 별도의 건조 공간에서 탈취필터가 건조 중임을 잊은 채로 공기청정기를 작동시키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할 수 있으며, 탈취필터가 공기청정기에 장착되지 않은 채로 공기청정기가 작동되면 공기청정기의 정화 효율은 저하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인의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59499호 “가습형 공기청정기”(특허문헌 2)도 물세척을 통하여 재사용될 수 있는 탈취필터를 개시한다.
그러나, 특허문헌 2의 탈취필터도 특허문헌 1의 탈취필터와 마찬가지로 세척된 후에 잔류하는 물이 건조될 때까지 별도의 건조 공간에 보관되어야 하며, 사용자는 탈취필터를 건조하기 위한 별도의 건조 공간을 마련하고 탈취필터를 이송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한다. 또한, 사용자가 별도의 건조 공간에서 탈취필터가 건조 중임을 잊은 채로 공기청정기를 작동시키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할 수 있으며, 탈취필터가 공기청정기에 장착되지 않은 채로 공기청정기가 작동되면 공기청정기의 정화 효율은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필터를 건조시키기 위한 별도의 건조 공간을 요하지 않으며, 사용자가 필터가 공기청정기로부터 탈거되어 건조 중이라는 것을 망각한 채로 공기청정기를 작동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공기청정기의 필요성이 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1647643호(2016.08.11 등록공고) 한국 등록특허 제10-1459499호(2014.11.07 등록공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배경에 착안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필터를 세척한 후에 공기청정기의 프레임에 결착될 수 있도록 구성하여 별도의 건조 공간 없이 필터를 건조시켜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공기청정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가 필터가 건조 중임을 쉽게 인식할 수 있으며, 필터가 공기청정기의 내부에 장착되지 않은 채로 공기청정기가 작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공기청정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공기청정기의 정화 효율을 유지하면서도 필터의 건조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공기청정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외부공기를 여과하기 위한 공기청정기에 있어서, 상기 외부공기를 상기 공기청정기의 내부로 유동시키기 위한 송풍력을 제공하는 송풍기; 상기 송풍기를 내부에 수용하는 프레임; 및 상기 공기청정기 내로 유입된 상기 외부공기를 여과하는 여과력을 가지며, 세척을 통해 상기 여과력이 회복되도록 구성되는 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는, 상기 외부공기를 여과하기 위한 여과부; 상기 여과부를 지지하는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에 배치되어 상기 프레임에 결착될 수 있는 결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는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수용된 수용상태; 및 상기 결착부가 상기 프레임의 외부에 결착되어 상기 프레임의 외부에 놓이는 외부결착상태 중 어느 하나에 놓이도록 구성되는, 공기청정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외부공기가 상기 프레임의 내부로 유입되기 위한 유입구, 및 상기 프레임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프레임의 외부로 토출되기 위한 토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필터는, 상기 외부결착상태에 놓일 때, 상기 유입구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프레임의 외부에서 커버하거나 상기 토출구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프레임의 외부에서 커버하도록 상기 프레임에 결착되는, 공기청정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외부공기가 상기 프레임의 내부로 유입되기 위한 유입구가 형성된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필터가 상기 외부결착상태에 놓이도록 상기 결착부에 맞물리는 걸림구를 가지며, 상기 여과부는 상기 필터가 상기 외부결착상태에 놓일 때 상기 유입구와 대향하는, 공기청정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부와 상기 커버는, 상기 필터가 상기 외부결착상태에 놓일 때 적어도 일부가 서로 밀착되는, 공기청정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구는 상기 커버의 상측에 제공되고, 상기 결착부는 상기 바디부의 상측에 제공되며, 상기 바디부의 하단은, 상기 필터가 상기 외부결착상태에 놓일 때, 상기 커버의 하단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는, 공기청정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구와 상기 결착부는, 상기 결착부가 상기 걸림구의 상측의 일부를 커버하며 맞물리도록 구성되는, 공기청정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구는 전후방향으로 소정의 두께를 가지며, 상기 결착부는, 상기 바디부로부터 돌출된 돌출부; 및 상기 돌출부의 단부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되, 상기 걸림구의 두께보다 크거나 같은 거리만큼 상기 바디부로부터 이격된 걸쇠부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은, 상기 결착부가 삽입될 수 있는 걸림구를 가지며, 상기 결착부는, 상기 필터가 외부결착상태에 놓일 때 상기 걸림구에 삽입된 채로 상기 프레임에 결착되는, 공기청정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은, 커버; 및 상기 커버의 상측에 배치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결착부 및 고정부재 중 하나 이상은, 상기 필터가 외부결착상태에 놓일 때, 서로 인력에 의해 결착되도록 자성을 가지는, 공기청정기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필터를 세척 한 후에 공기청정기의 프레임에 결착될 수 있도록 구성하여 별도의 건조 공간 없이 필터를 건조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가 필터가 건조 중임을 쉽게 인식할 수 있으며, 필터가 공기청정기의 내부에 장착되지 않은 채로 공기청정기가 작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공기청정기의 정화 효율을 유지하면서도 필터의 건조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공기청정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필터가 외부결착상태에 놓인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필터의 배면 사시도 및 일부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3의 공기청정기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로 변형되었을 때의 사시도 및 일부 확대도이다.
도 7은 도 4의 공기청정기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로 변형되었을 때의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지지', '유입', '토출', '유동', '결합', '결착'된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지지, 유입, 공급, 유동, 결합, 결착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된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전후, 좌우 및 상하 방향에 대한 표현은 도 1 내지 도 7의 도시를 기준으로 설명한 것이며 해당 대상의 방향이 변경되면 다르게 표현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1)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1)는 공기청정기(1)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의 먼지, 냄새입자 등을 여과함으로써 오염된 공기를 깨끗한 공기로 정화시킬 수 있다. 이러한 공기청정기(1)는 외부의 공기를 내부로 흡입할 수 있으며, 내부에서 정화된 깨끗한 공기를 외부로 토출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공기청정기(1)의 외부로부터 공기청정기(1)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는 외부 공기로 명명될 수 있다. 이러한 공기청정기(1)는 프레임(100), 필터(200), 여과모듈(300) 및 송풍기(40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100)은 필터(200), 여과모듈(300) 및 송풍기(400)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으며, 필터(200), 여과모듈(300) 및 송풍기(400)를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프레임(100)은 하우징(110) 및 커버(12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10)은 필터(200), 여과모듈(300) 및 송풍기(400)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10)에는 공기청정기(1) 내부에서 여과된 공기를 외부로 토출하기 위한 토출구(11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토출구(111)는 일 예로, 하우징(110)의 상방을 향하여 개구될 수 있으며,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토출구(111)는 하우징(110)의 후방측에 형성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커버(120)는 하우징(110)과 선택적으로 결합된다. 다시 말해, 하우징(110)에 결합된 커버(120)는 필요에 따라 하우징(11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버(120)는 필터(200)의 세척이 필요한 경우 필터(200)가 프레임(100)의 외부로 탈거될 수 있도록 하우징(11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변형 실시예에서 필터(200)는 커버(120)의 일부 또는 전부가 하우징(110)에 체결된 상태에서 탈거될 수도 있고, 이 경우 커버(120)는 하우징(110)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는 구조가 될 수 있다. 한편, 커버(120)는 커버부(121), 체결부(122) 및 연결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부(121)는 하우징(110)의 전면을 커버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커버부(121)는 일 예로, 전후 방향으로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커버부(121)에는 공기청정기(1) 외부의 공기가 내부로 유동하기 위한 유입구(121a)가 형성될 수 있다. 유입구(121a)는 커버부(121)를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유입구(121a)를 통하여 외부 공기는 공기청정기(1)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커버부(121)에는 필터(200)가 결착되기 위한 걸림구(121b)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걸림구(121b)는 커버부(121)의 상측에 제공될 수 있으며, 커버부(121)의 상측 가장자리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걸림구(121b)는 후술할 필터(200)의 결착부(230)와 맞물릴 수 있도록 전후 방향으로 소정의 두께(t)를 가질 수 있다.
체결부(122)는 커버(120) 중 하우징(110)과 결합되는 부분으로 하우징(110)과 선택적으로 결합된다.
연결부(123)는 커버부(121)와 체결부(122)가 전후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도록 커버부(121)와 체결부(122)를 연결시킬 수 있다. 이러한 연결부(123)의 상면은 커버부(121)의 걸림구(121b)로부터 하방으로 소정 거리 이격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필터(200)는 외부 공기의 먼지 또는 냄새입자를 1차적으로 여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필터(200)는 여과모듈(300)보다 큰 입경을 가지는 입자를 여과할 수 있다. 또한, 필터(200)는 소정 시간 이상 사용되면 여과력이 저하되며, 저하된 여과력이 회복되도록 세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필터(200)는 프레임(100)으로부터 탈거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탈거된 필터(200)는 물 세척될 수 있다. 이처럼 세척된 필터(200)는 여과력이 회복될 수 있으며, 프레임(100) 내부에 장착되어 재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필터(200)가 물로 세척되는 경우를 예시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여기서 '물'은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물뿐만 아니라 세정 작용을 할 수 있는 수성 또는 유성 세정액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한편, 필터(200)는 수용상태 및 외부결착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에 놓일 수 있다.
도 1을 다시 참조하면, 필터(200)가 수용상태에 놓일 때, 필터(200)는 프레임(100)의 내측에 수용된 채로 프레임(100)에 지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필터(200)가 수용상태에 놓일 때, 필터(200)는 여과모듈(300)보다 유입구(121a)와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즉, 필터(200)는 여과모듈(300)보다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송풍기(400)가 작동되면, 외부 공기는 유입구(121a), 필터(200) 및 여과모듈(300)을 순차적으로 통과하도록 유동할 수 있다.
도 3을 다시 참조하면, 필터(200)가 외부결착상태에 놓일 때, 필터(200)는 프레임(100)의 외부에 결착되어 프레임(100)의 외부에 놓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물세척된 필터(200)는 잔류하는 물이 자연 건조되도록 외부결착상태에 놓일 수 있다. 이러한 필터(200)는 프레임(100)의 상면, 측면, 전면 및 후면 등 다양한 위치에서 프레임(100)에 결착된 채로 건조될 수 있다.
이러한 필터(200)는 물세척된 후에 잔류하는 물이 보다 잘 건조되도록 외부 공기가 유동하는 경로 상에 놓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필터(200)는 외부결착상태에 놓일 때, 프레임(100)의 외부에서 복수 개의 토출구(111) 중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도록 프레임(100)에 결착될 수 있다. 이 경우 송풍기(400)가 작동되면, 외부 공기는 유입구(121a), 여과모듈(300), 토출구(111) 및 필터(200)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도록 유동할 수 있다.
다른 예시로, 필터(200)는 외부결착상태에 놓일 때, 프레임(100)의 외부에서 복수 개의 유입구(121a) 중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도록 프레임(100)에 결착될 수 있다. 이 경우 송풍기(400)가 작동되면, 외부 공기는 필터(200), 유입구(121a) 및 여과모듈(300)을 순차적으로 통과할 수 있다.
이처럼, 필터(200)가 물세척된 후에 프레임(100)에 결착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별도의 건조 공간 없이 필터(200)를 건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물세척된 필터(200)가 공기의 유동 경로에 놓인 채로 외부결착상태에 놓임으로써 보다 빠르게 필터(200)를 건조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필터(200)는 바디부(210), 여과부(220), 결착부(230) 및 파지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를 다시 참조하면, 바디부(210)는 필터(200)의 외형을 구성할 수 있으며, 여과부(220)를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바디부(210)는 필터(200)가 외부결착상태에 놓일 때, 바디부(210)의 하단이 커버(120)의 하단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바디부(210)의 하단은 필터(200)가 외부결착상태에 놓일 때, 공기청정기(1)가 지지된 바닥면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될 수 있다.
또한, 바디부(210)는 바디부 일면(211)과 바디부 타면(21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바디부 일면(211)은 필터(200)가 외부결착상태에 놓일 때, 적어도 일부가 커버(120)와 밀착될 수 있다. 이로 인해, 결착부(230)는 보다 견고하게 걸림구(121b)에 결착될 수 있으며, 필터(200)는 외부결착상태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유지될 수 있다.
여과부(220)는 외부 공기의 먼지 또는 냄새입자를 여과할 수 있으며, 일 예로, 물세척 가능한 메쉬 구조(mesh) 등 일 수 있다. 또한, 여과부(220)는 필터(200)가 외부결착상태에 놓일 때, 유입구(121a)와 대향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필터(200)가 외부결착상태에 놓일 때, 외부 공기는 여과부(220)에서 여과된 후 공기청정기(1)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결착부(230)는 바디부(210)에 배치되어 프레임(100)의 외부에 결착될 수 있다. 이러한 결착부(230)는 필터(200)가 외부결착상태에 놓일 때, 바디부(210)와 여과부(220)가 프레임(100)의 외부에 놓이도록 걸림구(121b)에 결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착부(230)는 바디부(210)의 상측에 제공될 수 있으며, 걸림구(121b)의 상측의 일부를 커버하면서 걸림구(121b)와 맞물릴 수 있다.
이처럼, 결착부(230)가 바디부(210)의 상측에 제공됨으로써 필터(200)는 커버(120)에 용이하게 밀착될 수 있으며, 결착부(230)는 중력에 의해 용이하게 걸림구(121b)와 맞물릴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결착부(230)는 돌출부(231) 및 걸쇠부(232)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231)는 바디부 일면(211)으로부터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걸쇠부(232)는 돌출부(231)의 일측 단부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돌출부(231)와 걸쇠부(232)는 'ㄱ'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걸쇠부(232)는 걸림구(121b)의 두께(t)보다 크거나 같은 거리(d)만큼 바디부 일면(211)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이로 인해, 필터(200)가 외부결착상태에 놓일 때, 돌출부(231)와 걸쇠부(232)는 걸림구(121b)와 밀착되어 맞물릴 수 있다.
파지부(240)는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는 부분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파지부(240)를 파지한 채로 필터(200)를 운반할 수 있다.
여과모듈(300)은 필터(200)를 통과한 공기를 여과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여과모듈(300)은 필터(200)에서 1차적으로 여과된 공기를 2차로 여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여과모듈(300)은 공기 내의 먼지, 냄새입자 등을 여과시킬 수 있는 헤파 필터, 탈취 필터 등일 수 있다.
송풍기(400)는 공기청정기(1) 외부의 공기가 공기청정기(1) 내부로 유입되도록 구동될 수 있다. 또한, 송풍기(400)는 필터(200) 및 여과모듈(300)에서 여과된 공기를 공기청정기(1)의 외부로 토출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이러한 송풍기(400)는 일 예로, 토출구(111)의 하방에 놓이도록 공기청정기(1)의 후방측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구성 이외에도,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결착부(230)는 걸림구(121b)에 삽입될 수 있다. 이하, 도 6을 더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2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상술한 실시예와 비교하였을 때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며 동일한 설명 및 도면부호는 상술한 실시예를 원용한다.
걸림구(121b)는 결착부(23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커버(120)에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걸림구(121b)는 커버(120)를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는 홀 또는 커버(120)의 전면으로부터 인입된 홈일 수 있다. 또한, 걸림구(121b)는 커버(120)의 상측에 제공될 수 있다.
결착부(230)는 필터(200)가 외부결착상태에 놓일 때, 걸림구(121b)와 대응되는 위치에서 걸림구(121b)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결착부(230)는 필터(200)가 외부결착상태에 놓일 때, 걸림구(121b)에 삽입된 채로 커버(120)에 결착될 수 있다. 이러한 결착부(230)는 걸림구(121b)의 형상에 대응되는 돌기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일 예로 후크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다만, 본 명세서에서 걸림구(121b)는 유입구(121a)와 별개의 홀로 서술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고 결착부(230)는 유입구(121a)에 삽입된 채로 커버(120)에 결착될 수도 있다.
한편, 이러한 구성 이외에도,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르면, 프레임(100)은 고정부재(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7을 더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3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상술한 실시예와 비교하였을 때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며 동일한 설명 및 도면부호는 상술한 실시예를 원용한다.
프레임(100)은 고정부재(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고정부재(130)는 커버(120)의 전면에 지지될 수 있으며,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 개의 고정부재(130)는 커버(120)의 상측에 지지될 수 있다.
결착부(230)는 필터(200)가 외부결착상태에 놓일 때, 고정부재(130)와 자성에 의한 인력에 의해 결착될 수 있다. 이러한 결착부(230)는 필터(200)가 외부결착상태에 놓일 때, 고정부재(130)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고정부재(130)와 결착될 수 있다. 또한, 결착부(230)는 고정부재(130)와 대응되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결착부(230)가 고정부재(130)와 결착될 때, 바디부 일면(211)은 커버(120)와 밀착된다.
이러한 고정부재(130) 및 결착부(230) 중 하나 이상은 서로 인력에 의해 결착되도록 자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부재(130)는 자석으로 이루어지고, 결착부(230)는 자석과 결착될 수 있는 금속일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에 불과하고 고정부재(130)가 금속이고, 결착부(230)가 자석일 수 있으며, 고정부재(130) 및 결착부(230) 모두 자석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공기청정기(1)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수용상태에 놓인 필터(200)는 공기청정기(1) 내부로 유입되는 외부 공기를 여과할 수 있다. 이러한 필터(200)는 소정 시간 이상 사용되면, 여과력이 저하된다. 이 경우 필터(200)는 여과력이 회복되기 위해 프레임(100)으로부터 탈거되어 물세척된다.
물세척된 필터(200)는 여과부(220)에 물이 잔류할 수 있다. 또한, 물이 잔류된 필터(200)를 건조시키지 않고 프레임(100)에 장착시키면 필터(200)와 프레임(100)이 밀착되는 부분에는 물이 건조되지 않고 잔류하게 되며, 세균이 번식할 수 있다. 또한, 필터(200)에 잔류하는 물이 여과모듈(300)에 흡습될 수 있으며, 물이 흡습된 여과모듈(300)은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공기청정기(1) 내부에 세균이 번식하는 것을 방지하고 여과모듈(300)에 물이 흡습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필터(200)를 외부결착상태에 놓이도록 할 수 있다.
이처럼, 필터(200)를 물세척 한 후에 프레임(100)에 결착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사용자는 별도의 건조 공간 없이 필터(200)를 건조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별도의 건조 공간에서 필터(200)를 가져오지 않아도 되어 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는 필터(200)가 공기청정기(1)의 외부에 결착되어 건조 중임을 쉽게 인지함으로써 필터(200)가 장착되지 않은 채로 공기청정기(1)를 작동시키는 실수가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게다가, 필터(200)가 외부결착상태에 놓일 때, 공기가 유동하는 경로 상에 필터(200)가 배치됨으로써 보다 자연 상태에서 건조하는 것 보다 빠르게 건조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필터(200)를 유입구(121a)의 전방에 둘 경우 필터(200)가 공기의 유동에 의해 필터(200)가 보다 빠르게 건조되면서도 공기청정기(1)의 정화 효율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에 따르는 최광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개시된 실시형태들을 조합/치환하여 적시되지 않은 형상의 패턴을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외에도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개시된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명백하다.
1: 공기청정기
100: 프레임 110: 하우징
111: 토출구 120: 커버
121: 커버부 121a: 유입구
121b: 걸림구 122: 체결부
123: 연결부 130: 고정부재
200: 필터 210: 바디부
211: 바디부 일면 212: 바디부 타면
220: 여과부 230: 결착부
231: 돌출부 232: 걸쇠부
240: 파지부 300: 여과모듈
400: 송풍기

Claims (9)

  1. 외부공기를 여과하기 위한 공기청정기에 있어서,
    상기 외부공기를 상기 공기청정기의 내부로 유동시키기 위한 송풍력을 제공하는 송풍기;
    상기 송풍기를 내부에 수용하는 프레임; 및
    상기 공기청정기 내로 유입된 상기 외부공기를 여과하는 여과력을 가지며, 세척을 통해 상기 여과력이 회복되도록 구성되는 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는,
    상기 외부공기를 여과하기 위한 여과부;
    상기 여과부를 지지하는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에 배치되어 상기 프레임에 결착될 수 있는 결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는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수용된 수용상태; 및 상기 결착부가 상기 프레임의 외부에 결착되어 상기 프레임의 외부에 놓이는 외부결착상태 중 어느 하나에 놓이도록 구성되는,
    공기청정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외부공기가 상기 프레임의 내부로 유입되기 위한 유입구, 및 상기 프레임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프레임의 외부로 토출되기 위한 토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필터는, 상기 외부결착상태에 놓일 때, 상기 유입구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프레임의 외부에서 커버하거나 상기 토출구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프레임의 외부에서 커버하도록 상기 프레임에 결착되는,
    공기청정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외부공기가 상기 프레임의 내부로 유입되기 위한 유입구가 형성된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필터가 상기 외부결착상태에 놓이도록 상기 결착부에 맞물리는 걸림구를 가지며,
    상기 여과부는 상기 필터가 상기 외부결착상태에 놓일 때 상기 유입구와 대향하는,
    공기청정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와 상기 커버는, 상기 필터가 상기 외부결착상태에 놓일 때 적어도 일부가 서로 밀착되는,
    공기청정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구는 상기 커버의 상측에 제공되고, 상기 결착부는 상기 바디부의 상측에 제공되며,
    상기 바디부의 하단은, 상기 필터가 상기 외부결착상태에 놓일 때, 상기 커버의 하단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는,
    공기청정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구와 상기 결착부는, 상기 결착부가 상기 걸림구의 상측의 일부를 커버하며 맞물리도록 구성되는,
    공기청정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구는 전후방향으로 소정의 두께를 가지며,
    상기 결착부는,
    상기 바디부로부터 돌출된 돌출부; 및
    상기 돌출부의 단부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되, 상기 걸림구의 두께보다 크거나 같은 거리만큼 상기 바디부로부터 이격된 걸쇠부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결착부가 삽입될 수 있는 걸림구를 가지며,
    상기 결착부는, 상기 필터가 외부결착상태에 놓일 때 상기 걸림구에 삽입된 채로 상기 프레임에 결착되는,
    공기청정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커버; 및
    상기 커버의 상측에 배치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결착부 및 고정부재 중 하나 이상은, 상기 필터가 외부결착상태에 놓일 때, 서로 인력에 의해 결착되도록 자성을 가지는,
    공기청정기.
KR1020210002150A 2021-01-07 2021-01-07 공기청정기 KR2022009981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2150A KR20220099819A (ko) 2021-01-07 2021-01-07 공기청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2150A KR20220099819A (ko) 2021-01-07 2021-01-07 공기청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9819A true KR20220099819A (ko) 2022-07-14

Family

ID=824069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2150A KR20220099819A (ko) 2021-01-07 2021-01-07 공기청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9981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0593B1 (ko) * 2022-11-24 2024-02-27 최민준 무드등이 구비된 수면용 공기청정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9499B1 (ko) 2008-05-07 2014-11-07 코웨이 주식회사 가습형 공기 청정기
KR101647643B1 (ko) 2015-10-23 2016-08-11 코웨이 주식회사 공기 청정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9499B1 (ko) 2008-05-07 2014-11-07 코웨이 주식회사 가습형 공기 청정기
KR101647643B1 (ko) 2015-10-23 2016-08-11 코웨이 주식회사 공기 청정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0593B1 (ko) * 2022-11-24 2024-02-27 최민준 무드등이 구비된 수면용 공기청정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6761B1 (ko) 공기청정기
US7291205B2 (en) Air cleaner
MX2007008913A (es) Limpiador de aire con flujo de aire mejorado.
US11965674B2 (en) Filter device and air cleaner having the same
KR20220099819A (ko) 공기청정기
KR101185250B1 (ko) 공기청정기
JP2006022977A (ja) 空気清浄機
KR200419443Y1 (ko) 서랍형 공기청정기
KR20080026466A (ko) 공기청정기
JP2008029904A (ja) 空気清浄機
KR100496920B1 (ko) 공기청정기
KR102183449B1 (ko) 탈착 가능한 차량용 암레스트형 공기청정기 및 그 결합구조
KR20140073326A (ko) 공기 청정기
WO2012121162A1 (ja) 集塵機
KR100464516B1 (ko) 공기청정기
KR100751764B1 (ko) 진공 청소기용 배기 필터
KR20120125019A (ko) 공기 청정기
KR200395665Y1 (ko) 공기정화장치가 부설된 등기구 커버
KR100544701B1 (ko) 공기청정기
KR20100052375A (ko) 공기 청정기
JP2010125391A (ja) 空気清浄機
KR200305868Y1 (ko) 음이온 공기 청정 시스템
JP4380352B2 (ja) 脱臭装置
KR100551973B1 (ko) 공기청정기
KR20040046451A (ko) 음이온 공기청정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