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1863B1 - 가습장치용 물통 및 이를 구비하는 자연가습형 공기청정기 - Google Patents

가습장치용 물통 및 이를 구비하는 자연가습형 공기청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1863B1
KR101471863B1 KR1020080047538A KR20080047538A KR101471863B1 KR 101471863 B1 KR101471863 B1 KR 101471863B1 KR 1020080047538 A KR1020080047538 A KR 1020080047538A KR 20080047538 A KR20080047538 A KR 20080047538A KR 101471863 B1 KR101471863 B1 KR 1014718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injection port
water tank
bottle body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75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21569A (ko
Inventor
송규완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475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1863B1/ko
Publication of KR200901215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15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18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18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 F24F6/04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stationary unheated wet elements
    • F24F6/043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stationary unheated wet elements with self-sucking action, e.g. wic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8Air-humidifier with water reservo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Abstract

사용자가 용이하게 물을 채워 넣을 수 있는 가습장치용 물통 및 이를 구비하는 자연가습형 공기청정기가 개시된다.
상기한 가습장치용 물통은 물이 저장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구비하는 물통 몸체; 상기 물통 몸체의 일측에 구비되며, 물의 유입 및 유출이 가능한 통로를 구성하는 제1 주입구; 및 상기 제1 주입구와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물통 몸체의 내부로 물이 주입될 수 있는 통로를 구성하는 제2 주입구; 를 포함하고, 상기 물통 몸체는 상기 제2 주입구가 형성된 면의 반대측에 배치되는 면이 평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가습장치용 물통에 의하면, 연장부에 형성된 제2 주입구를 통해 사용자가 정수기 또는 싱크대에서 물을 채워 넣을 수 있으므로, 물을 채워 넣는 동안 길이가 긴 물통을 눕힌 상태에서 물을 물통에 채울 수 있어 보다 용이하게 물통에 물을 채울 수 있다.
자연가습형 공기청정기, 물통, 보조 유입구

Description

가습장치용 물통 및 이를 구비하는 자연가습형 공기청정기{A water tank for humidifier and natural humidification type air cleane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자연가습형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가습필터가 설치되는 수조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가습장치용 물통 및 이를 구비하는 자연가습형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 청정기는 다양한 필터들을 적용하여 대기 중의 오염 먼지나 인체에 해로운 유해물질 등을 걸러주어 신선한 공기를 제공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공기 청정기 중 자연가습형 공기 청정기는 다양한 필터들에 의해 청정화된 공기가 물을 머금은 가습 필터를 통과하면서 습공기로 변하는 것을 이용한 장치이다.
즉, 자연가습형 공기 청정기는 내부에 설치되는 송풍팬이 실내의 공기를 공기 청정기의 내부로 유입시켜 이 유입된 공기를 각각의 필터에 통과시키면서 청정 여과한 후, 청정화된 공기가 가습 필터를 통과하도록 하여 청정화된 공기를 습공기로 변환시킨 후 실내 공간으로 재토출한다.
이를 위해, 통상적으로 자연가습형 공기 청정기에는 정화된 공기를 습공기로 변환되도록 하는 가습 필터가 설치되는 수조가 설치되고, 수조는 가습 필터에 물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수조에는 수조로 물을 공급하는 물통이 연결된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자연가습형 공기청정기의 구조상 물통이 길어질 수밖에 없고, 물통이 길어지면 사용자가 수조로부터 물통을 분리시킨 후 수조에 물을 채워 넣을 때 불편한 문제가 있다.
즉, 사용자는 수조로부터 물통을 분리시킨 후 일반적으로 정수기 또는 싱크대에서 물을 물통에 채워 넣는데, 물통이 길어지면 물통을 세워서 물을 받을 수 없다.
또한, 물통을 세워서 물을 받을 수 없으므로, 물통에 물을 가득 채울 수 없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물통이 길어져서 물통에 물을 채워 넣은 경우 물통이 싱크대와 간섭되어 제대로 물통에 물을 채울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용이하게 물을 채워 넣을 수 있는 가습장치용 물통 및 이를 구비하는 자연가습형 공기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습장치용 물통은 물이 저장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구비하는 물통 몸체; 상기 물통 몸체의 일측에 구비되며, 물의 유입 및 유출이 가능한 통로를 구성하는 제1 주입구; 및 상기 제1 주입구와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물통 몸체의 내부로 물이 주입될 수 있는 통로를 구성하는 제2 주입구; 를 포함하고, 상기 물통 몸체는 상기 제2 주입구가 형성된 면의 반대측에 배치되는 면이 평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주입구는 상기 물통 몸체의 길이방향의 일측 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2 주입구는 상기 물통 몸체의 폭방향의 일측 단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물통 몸체의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연장부가 더 포함되고, 상기 제2 주입구는 상기 연장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장부는 상기 연장부가 형성된 면의 반대측에 배치되는 평면으로부터 상기 연장부에 형성된 제2 주입구 끝단까지의 길이가 16~18cm의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연가습형 공기청정기는 유입된 공기를 정화시키는 필터 어셈블리; 상기 가습필터가 돌출되도록 장착되어 상기 가습필터가 공기의 이동 경로상에 배치되도록 상기 필터 어셈블리의 후방에 설치되는 수조; 및 물이 저장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구비하는 물통 몸체와, 상기 물통 몸체의 일측에 구비되며 물의 유입 및 유출이 가능한 통로를 구성하는 제1 주입구와, 상기 제1 주입구와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물통 몸체의 내부로 물이 주입될 수 있는 통로를 구성하는 제2 주입구를 포함하며, 상기 수조에 장착되어 상기 수조에 물을 공급하는 물통; 을 포함하고, 상기 물통 몸체는 상기 제2 주입구가 형성된 면의 반대측에 배치되는 면이 평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본 발명에 따르면, 연장부에 형성된 제2 주입구를 통해 사용자가 정수기 또는 싱크대에서 물을 채워 넣을 수 있으므로, 물을 채워 넣는 동안 길이가 긴 물통을 눕힌 상태에서 물을 물통에 채울 수 있어 보다 용이하게 물통에 물을 채울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습장치용 물통 및 이를 구비하는 자연가습형 공기청정기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연가습형 공기청정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자연가습형 공기청정기(100)는 필터 어셈블리(120), 송풍유닛(140), 및 가습 수단(160)을 포함한다.
필터 어셈블리(120)는 공기 중의 이물질 또는 먼지 등을 걸러내어 청정한 공기를 제공하기 위한 다수의 필터링 수단의 결합체이다. 이를 위해 필터 어셈블리(120)는 프리필터(121), 전처리필터(122), 기능필터(123), 헤파필터(124), 및 탈취필터(125)를 구비할 수 있다.
프리필터(121)는 항균소재를 사용하여 구성할 수 있으며, 비교적 큰 먼지 및 곰팡이, 머리카락, 애완동물의 털을 제거한다. 그리고, 전처리필터(122)도 항균소재를 사용하여 구성할 수 있으며, 중간 크기의 먼저 및 애완동물의 털 등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기능 필터(124)는 황사, 유아, 새집, 헌집 전용 필터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기능 필터(124)가 황사 전용 필터인 경우, 기능 필터(124)는 황사 발생시 발생되는 분진 및 질소산화물, 황산화물을 제거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그리고, 기능 필터(124)가 유아 전용 필터인 경우 기능 필터(124)는 독감바이러스, 조류독감 바이러스 등을 제거할 수 있는 은행나무 추출액, 붉나무 추출액 등 인체에 무해한 천연물질이 함유된 항균처리 필터일 수 있다.
또한, 기능 필터(124)가 새집 전용 필터인 경우, 기능 필터(124)는 새집증후군의 원인 물질로 알려진 포름알데히드 및 휘발성유기화합물(VOCs)를 제거하는 필터일 수 있다.
그리고, 기능 필터(124)가 헌집 전용 필터인 경우, 기능 필터(124)는 헌집증후군의 원인이 되는 곰팡이균, 일반 세균 등을 제거할 뿐만 아니라 호홉기를 통해 폐에 침투하여 심각한 질병을 일으키는 레지오넬라균을 제거할 수 있는 필터일 수 있다.
헤파필터(125)는 전면이 부직포로 이루어 질 수 있으며, 미세 분진의 제거에 탁월한 성능을 발휘하는 것으로, 나노 실버와 카테킨 항균/항곰팡이 처리를 할 수 있으며, 담배연기는 물론 바이러스, 세균 등을 제거할 수 있다.
탈취필터(126)는 물로 세척하여 건조 후 재사용가능한 수세필터로서, 냄새 및 유해가스 제거에 효과적인 입상 활성탄 탈취필터를 적용할 수 있으며, 집안의 음식 냄새와 쾌쾌한 잡내 등을 제거할 수 있다.
그리고, 가장 효율적인 필터링을 위해 필터커버(미도시)에 프리필터(121), 전처리필터(122), 기능 필터(124), 헤파 필터(125), 탈취필터(126)의 순으로 장착될 수 있다.
송풍유닛(140)은 필터 어셈블리(120)의 후방에 배치되고, 송풍팬(미도시)이 내장된 상태로 제공된다. 즉, 송풍유닛(140)은 실내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해 송풍팬이 내장되고, 이러한 송풍팬이 실내의 공기를 자연가습형 공기 청정기(100)의 내부로 유입시켜 이 유입된 공기를 각각의 필터에 통과시키면서 청정 여과한 후 실내 공간으로 재토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가습 수단(160)은 자연가습형 공기 청정기(100)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의 이동 경로 상에 배치된다. 또한, 필터 어셈블리(120)에 의해 청정화된 공기는 송풍유닛(140)의 송풍팬(141)에 의해 가습수단(160)을 통과하여 습공기가 된다.
즉, 가습수단(160)은 필터 어셈블리(120)에 의해 정화된 공기에 경도성 물질이 제거된 물을 제공토록 자연가습형 공기 청정기(100)의 내부에 설치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습수단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물통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가습 수단(160)은 수조(170), 가습필터(180), 및 물 통(200)을 포함한다.
수조(170)는 내부에 물이 저장될 수 있도록 내부 공간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한편, 수조(170)의 상면에는 가습 필터(180)가 상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관통홀(178)을 구비할 수 있다. 즉, 가습 필터(180)는 수조(170)의 상부로 돌출되어 배치되도록 수조(170)에 설치된다.
그리고, 수조(170)의 상면에는 관통홀(172)과 간섭되지 않도록 물탱크(200)가 장착되는 장착홀(174)이 형성될 수 있다. 장착홀(174)에 물탱크(200)가 장착되어 물탱크로부터 수조(170)의 내부에 물이 공급된다.
가습 필터(180)는 수조(170)에 형성된 관통홀(172)를 통해 수조(170)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수조(170)의 내부에 장착되는 무기물 제거 필터(미도시)에 의해 경도성 물질이 제거된 물을 흡수한다.
따라서, 필터 어셈블리(120)에 의해 청정화된 공기가 송풍유닛(140, 도 1 참조)에 의해 송풍되어 가습 필터(180)를 통과한 후 습공기가 된다. 또한, 정화된 공기가 물을 머금은 가습 필터(180)를 통과한 후 습공기가 될 수 있도록 가습 필터(180)는 공기가 통과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물통(200)은 수조(170)의 장착홀(174)에 장착되어 수조(170)의 내부로 물을 공급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물통(200)은 물통 몸체(220)와, 연장부(240)를 구비한다.
물통 몸체(220)는 내부에 물을 수용하기 위해 내부 공간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또한, 물통 몸체(220)의 저면에는 물의 유입 또는 유출이 가능한 제1 주입구(222)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주입구(222)는 물통 몸체(220)의 내부에 수용된 물이 유출될 때 유출되는 물의 양을 제어하기 위해 하부캡(224)이 결합될 수 있다.
즉, 물통(200)이 수조(170)의 장착홀(174)에 장착되면 물통(200) 내부에 수용된 물은 제1 주입구(222)를 거쳐 하부캡(224)으로 유출될 수 있다. 이때, 수조(170)의 내부에 구비되는 플로우트(미도시)는 수위를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일정수위 이상 수조(170)에 물이 공급되면, 플로우트에 연결된 제어부(미도시)는 하부캡(224)으로부터 물이 유출되지 못하도록 제1 주입구(222)를 폐쇄시킬 수 있다.
이후 수조(170) 내부에 물의 수위가 낮아지면, 제어부는 다시 하부캡(224)으로부터 물이 유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물통(200)이 수조(170)로부터 분리되는 경우, 사용자는 하부캡(224)을 제1 주입구(222)로부터 분리시킨 후 제1 주입구(222)를 통해 물통(200) 내부에 물을 채워 넣을 수 있다.
하부캡(224)은 가습기 등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구성으로서, 당업계에 널리 알려진 구성 요소에 해당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제1 주입구(222)를 통해 물의 유출, 유입을 조절할 수 있는 어떠한 구성도 채용 가능할 것이다.
한편, 물통 몸체(220)는 연장부(240)가 형성된 면의 반대측에 배치되는 면이 평면이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평면으로 형성된 물통 몸체(220)의 일측면을 통해 물통(200)은 바닥면에 지지되어 세워질 수 있다.
연장부(240)는 물통 몸체(220)의 상부에 형성되며, 물통 몸체(220)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연장부(240)는 제1 주입구(222)가 구비되는 측의 타측에 물통 몸체(220)의 길이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연장부(240)에는 물통 몸체(220)의 내부에 물을 채울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2 주입구(242)를 구비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물통(200)을 수조(170)로부터 분리시킨 후, 제2 주입구(242)를 통해 물통 몸체(220)의 내부에 물을 채워 넣을 수 있다.
한편, 제2 주입구(242)에는 제2 주입구(242)를 개폐하는 상부캡(244)이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부캡(244)을 제2 주입구(242)로부터 분리시킨 후 제2 주입구(242)를 통해 물을 유입시키고, 물통 몸체(220)의 내부에 물이 가득 채워지면 상부캡(244)을 제2 주입구(242)에 결합시킨다.
또한, 연장부(240)는 정수기 또는 싱크대에서 용이하게 물통 몸체(220)의 내부로 물을 유입시킬 수 있도록 연장부(240)가 형성된 면의 반대측에 배치되는 평면으로부터 연장부(240)에 형성된 제2 주입구(242) 끝단까지의 길이가 16~18cm의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정수기에서 제2 주입구(242)를 통해 물을 물통 몸체(220)의 내부로 유입시키는 경우, 사용자는 물통(200)을 정수기의 추출코크 아래에 위치시킨 후 추출코크로부터 물이 배출되도록 하여 물통 몸체(220)에 물을 채워 넣는다.
이때, 연장부(240)가 형성된 면의 반대측에 배치되는 평면으로부터 연장부(240)에 형성된 제2 주입구(242) 끝단까지의 길이가 16~18cm로 형성되어 있어, 제2 주입구(242)는 정수기의 추출코크와 폐수 배출용기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물통(200)을 기울이지 않고 정수기의 추출코크로부터 물통 몸체(220)의 내부에 물을 채워 넣을 수 있어, 보다 용이하게 물통(200)에 물을 채울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싱크대에서 제2 주입구(242)를 통해 물을 물통 몸체(220)의 내부로 유입시키는 경우에도 제2 주입구(242)가 위쪽을 향하도록 물통(200)을 눕힌 상태에서 물을 채워 넣을 수 있어 물통 몸체(220)의 제1 주입구(222)가 구비된 측이 싱크대와 간섭되지 않은 상태에서 물을 채워 넣을 수 있다.
한편, 물통 몸체(220)의 일단, 즉 제1 주입구(222)가 형성된 측의 타측 단부에는 사용자가 물통(200)을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손잡이부(250)가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손잡이부(250)를 잡고 물통(200)을 수조(17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연장부(240)에 구비되는 제2 주입구(242)를 통해 사용자가 물을 물통 몸체(220)의 내부에 채워 넣을 수 있어 보다 용이하게 물통(200)에 물을 채워 넣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연가습형 공기청정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습수단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물통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자연가습형 공기청정기
120 : 필터 어셈블리
140 : 송풍유닛
160 : 가습수단
170 : 수조
180 : 가습필터
200 : 물통
220 : 물통 몸체
222 : 제1 주입구
240 : 연장부
242 : 제2 주입구

Claims (7)

  1. 물이 저장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구비하는 물통 몸체;
    상기 물통 몸체의 일측에 구비되며, 물의 유입 및 유출이 가능한 통로를 구성하는 제1 주입구; 및
    상기 제1 주입구와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물통 몸체의 내부로 물이 주입될 수 있는 통로를 구성하는 제2 주입구; 를 포함하고,
    상기 물통 몸체는 상기 제2 주입구가 형성된 면의 반대측에 배치되는 면이 평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장치용 물통.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주입구는 상기 물통 몸체의 길이방향의 일측 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2 주입구는 상기 물통 몸체의 폭방향의 일측 단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장치용 물통.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물통 몸체의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연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주입구는 상기 연장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장치용 물통.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상기 연장부가 형성된 면의 반대측에 배치되는 평면으로부터 상기 연장부에 형성된 제2 주입구 끝단까지의 길이가 16~18cm의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장치용 물통.
  5. 공기를 내부로 유입시켜 정화한 후 가습필터를 통과한 습공기를 외부로 유출시키는 자연가습형 공기청정기에 있어서,
    유입된 공기를 정화시키는 필터 어셈블리;
    상기 가습필터가 돌출되도록 장착되어 상기 가습필터가 공기의 이동 경로상에 배치되도록 상기 필터 어셈블리의 후방에 설치되는 수조; 및
    물이 저장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구비하는 물통 몸체와, 상기 물통 몸체의 일측에 구비되며 물의 유입 및 유출이 가능한 통로를 구성하는 제1 주입구와, 상기 제1 주입구와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물통 몸체의 내부로 물이 주입될 수 있는 통로를 구성하는 제2 주입구를 포함하며, 상기 수조에 장착되어 상기 수조에 물을 공급하는 물통; 을 포함하고,
    상기 물통 몸체는 상기 제2 주입구가 형성된 면의 반대측에 배치되는 면이 평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가습형 공기청정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물통 몸체의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연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주입구는 상기 연장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가습형 공기청정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주입구는 상기 물통 몸체의 길이방향의 일측 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2 주입구는 상기 물통 몸체의 폭방향의 일측 단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가습형 공기청정기.
KR1020080047538A 2008-05-22 2008-05-22 가습장치용 물통 및 이를 구비하는 자연가습형 공기청정기 KR1014718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7538A KR101471863B1 (ko) 2008-05-22 2008-05-22 가습장치용 물통 및 이를 구비하는 자연가습형 공기청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7538A KR101471863B1 (ko) 2008-05-22 2008-05-22 가습장치용 물통 및 이를 구비하는 자연가습형 공기청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1569A KR20090121569A (ko) 2009-11-26
KR101471863B1 true KR101471863B1 (ko) 2014-12-24

Family

ID=416044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7538A KR101471863B1 (ko) 2008-05-22 2008-05-22 가습장치용 물통 및 이를 구비하는 자연가습형 공기청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186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0753B1 (ko) * 2015-04-03 2022-05-25 코웨이 주식회사 가습장치용 물통 및 이를 구비하는 가습공기청정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4258A (ko) * 2000-07-04 2002-01-16 구자홍 습도 조절이 가능한 공기조화기
JP2003065567A (ja) * 2001-08-27 2003-03-05 Mitsubishi Electric Corp 気化式加湿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4258A (ko) * 2000-07-04 2002-01-16 구자홍 습도 조절이 가능한 공기조화기
JP2003065567A (ja) * 2001-08-27 2003-03-05 Mitsubishi Electric Corp 気化式加湿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1569A (ko) 2009-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7643B1 (ko) 공기 청정기
KR101768009B1 (ko) 여과플레이트를 이용한 미세먼지 제거장치
KR20110001624A (ko) 가습 장치 및 이를 구비한 공기 청정기
KR20180001395A (ko) 습식형 공기청정기
KR102040399B1 (ko) 물흡착식 공기필터
KR102068434B1 (ko) 건식 및 습식 방식에 의해 유해물질 제거가 용이한 다단식 순차형 필터부를 갖는 산업용 공기정화기
KR100867110B1 (ko) 방향기능을 갖는 공기청정기
KR101553136B1 (ko) 제연 및 미세먼지,유기화합물 정화시스템
KR100972616B1 (ko) 항원 폭로실 및 그 세정·건조방법
KR100604643B1 (ko) 복합 공기 청정기
KR101459499B1 (ko) 가습형 공기 청정기
KR101352776B1 (ko) 실내 공기 정화 장치
KR101471863B1 (ko) 가습장치용 물통 및 이를 구비하는 자연가습형 공기청정기
KR101321602B1 (ko) 공기 정화, 방향, 살균 및 가습 기능을 가지는 습식 방식의 공기 여과기
KR102344433B1 (ko) 축산시설 공기정화 시스템
KR20090121567A (ko) 자연가습형 공기 청정기용 수조 및 이를 구비하는자연가습형 공기 청정기
KR20200134738A (ko) 공기정화기
KR100533589B1 (ko) 광촉매 적용 살균 가습기
KR20200115845A (ko) 미세 분무를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KR100558273B1 (ko) 자연 가습 시스템과 이를 구비한 자연 가습형 공기청정기
KR100815593B1 (ko) 공기청정기
KR20090121568A (ko) 자연가습형 공기청정기용 무기물 제거 필터 및 이를구비하는 자연가습형 공기청정기
CN217524973U (zh) 一种具有空气处理功能的表面清洁装置
KR20190036043A (ko) 분사형 습식노즐이 구비된 공기청정기
KR101365748B1 (ko) 핸드 드라이어 및 통합필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2

Year of fee payment: 5